KTX가 다닐 수 없어 문을 아예 닫는 기차역

  Рет қаралды 232,617

역쟁이TV

역쟁이TV

Күн бұрын

2023년 12월은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열차들이 있습니다.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로 인해 변경되는 부분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DC #RDC #바다열차
00:00 인트로
00:17 바다열차 운행 종료
00:59 통근열차 운행 종료
05:03 무궁화호RDC 운행 종료
07:49 이 외에 달라지는 부분

Пікірлер: 357
@Mahrine
@Mahrine 6 ай бұрын
세자릿수 이용할까 말까한 역을 유리궁전으로 만들어주는 것도 문제인 것 같네요... 장사역 정도나 구 연천역정도 크기로 만들면 좋을 것 같은데.
@user-nr1ji8yi9n
@user-nr1ji8yi9n 6 ай бұрын
결국 국내 모든 디젤동차의 운행이 막을 내리게 되겠네요. 경원선, 동해선 모두 비전철 구간이 있고 종착역에 전차대가 없어 디젤동차만 운행이 가능한 상황이었는데, 수소 동차의 개발로 비전철이고 종착역에 전차대가 없는 구간에 열차가 다시 운행할 수 있게 되어야 하겠네요.
@YukiTora23
@YukiTora23 6 ай бұрын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가 과거 운행하던 동차형 열차들이 노후되어 사라진 후에 객차형 열차에만 너무 의존해왔고 정작 동차형 열차 개발이 절실해졌을 때는 ITX마음이나 KTX이음 등에 집중할 수 밖에 없어 그에 따라 비전철 노선의 전철화가 필수 과제가 될수 밖에 없어 둘다 늦어져버리면 어찌할 방법이 없어지는 황당한 상황이 생기는게 안타깝네요
@YukiTora23
@YukiTora23 6 ай бұрын
일본은 지금도 신형 디젤 동차의 제작이나 디젤 동차나 전동차를 비전화 구간에서 굴리기 위한 보완형인 하이브리드 동차나 배터리식 전동차를 개발 도입하는거에 비하면 너무 철도 인프라 투자나 다각화의 면에서 부족한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5 ай бұрын
@@YukiTora23 알짜베기 노선 SRT에 다 넘겨주고 민영화만 호시탐탐 노리고 있으니 투자할 여력이 없는 것. SRT는 KTX의 자회사인데 서로 경쟁한다는 말 자체가 코미디
@relven8762
@relven8762 5 ай бұрын
사실 디젤열차는 전쟁목적이더라도 유지되어야합니다만 안타깝네요
@user-xv6qd8dm6b
@user-xv6qd8dm6b 6 ай бұрын
아들이 보기시작해서 제가 더 잘보는 채널이네요..10만 달성 축하드립니다.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attemetro
@lattemetro 6 ай бұрын
역쟁이님 실버버튼 축하드려요!!
@user-me8ss3us8l
@user-me8ss3us8l 6 ай бұрын
제가 즐겨보는 철도영상인데 구독자 10만명 달성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ijoh260
@ijoh260 6 ай бұрын
드디어 10만명!!!! 실버버튼 축하드려요!!!!!!!!!!!!!!!!!!!!😍😍😍😍😍😍😍😍😍😍😍😍
@user-ez3kp2tw1j
@user-ez3kp2tw1j 6 ай бұрын
대체버스를 얼마나 투입하는거야 진짜 이정도면 한국철도공사가 아니라 한국버스공사인듯
@wonderfulsanaimyungliwoo
@wonderfulsanaimyungliwoo 6 ай бұрын
10만 축하합니다!!
@Yeongcheon-station
@Yeongcheon-station 6 ай бұрын
대전조차장에 방치되어있던 RDC랑 합쳐서 싸그리 페차시킬 것 같네요... 이제 진짜 RDC(+CDC)의 마지막이라는게...
@user-ji9gq2xn6v
@user-ji9gq2xn6v 6 ай бұрын
서교공의 1989년산 개조저항은 여전히 현역인데 코레일 통근과 rdc는 1990년대 중후반 제작인데도 폐차 서교공이 열차관리를 얼마나 잘하는지 알거 같아요
@user-gu5oz7re1m
@user-gu5oz7re1m 6 ай бұрын
그래도 동력의 차이는 무시 못할거 같네요.. 기름과 전기..
@rlaqbxotlrl
@rlaqbxotlrl 6 ай бұрын
​​​@@user-gu5oz7re1m같은 전동차도 1호선 가보면 서교공은 차량 관리를 빡세게 해서 내구연한이 넘어가도 쌩쌩한 차량들이 많은 반면 코레일은 그러질 않아서 내구연한이 다가오면 큰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차량들이 허다해요
@geny1
@geny1 6 ай бұрын
1989년 산은 무동력 증량객차이니 오래 쓸수 있죠 동력객차는 2002년산 입니다
@geny1
@geny1 6 ай бұрын
@@chriso586 1989년 객차는 vvvf 초기형 한편성이라 저거만 퇴역시키면 또 짬뽕 편성을 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죠 개조저항은 2002년 산이고 대수선을 해서 상태가 좋았죠
@transforsb_201
@transforsb_201 6 ай бұрын
부산도 구형 차량들이 아주 잘 다니고 있긴 하죠. 둘의 공통점은 예산없는 거지들이긴 하지만요.
@Pandahanmari
@Pandahanmari 6 ай бұрын
포항에서 영덕까지 전에 딱 한번 무궁화호 타고 갔었는데 솔직히 차 운전해서 가는거 보다 좋을때도 있더라고요 전철화 공사 잘 되길 바래봅니다
@user-ug1nl9os1x
@user-ug1nl9os1x 6 ай бұрын
실버버튼 축하드립니다^^ 저 아직까지 모르고 이제야 구독눌렀네요
@TV-oq3ws
@TV-oq3ws 6 ай бұрын
10만 구독자 축하드립니다 10호선 대신 특집 부탁드립니다
@ILGWANG19
@ILGWANG19 6 ай бұрын
수인분당선 한다네요
@user-vk1ut1cr3i
@user-vk1ut1cr3i 6 ай бұрын
일정도 못맞추고 결국 지역주민들만 불편을 겪게되었네요. 한마디로 가관입니다.
@user-dn1wz8gl1z
@user-dn1wz8gl1z 6 ай бұрын
구독자십만 경축★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6 ай бұрын
들려서 경청합니다 😐
@Sputnik812
@Sputnik812 6 ай бұрын
집이 영남권이라 어렸을때부터 RDC를 자주 타기도 했고 다른 열차에는 없는 올드한 느낌이 참 좋았는데 퇴역이 몇주 남지않았다는게 아직 얼떨떨하네요... 내외부는 일반 무궁화호랑 비슷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운행중인 열차 중에 기술적으로 가장 오래된 열차이지 않을까 싶습니다ㅎ 어느정도냐면 1984년에 등장한 NDC 디젤동차의 페이스리프트 버젼이라 해도 될만큼 차이가 없는게 특징이죠... (참고로 CDC/RDC는 전조등까지 70~80년대에 도입된 초저항과 2호선 초퍼 전동차 및 DEC/EEC/NDC 동차와 같은 부품을 씁니다)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6 ай бұрын
포항 사는사람이라 몇번 타본적 있는데 그렇게 사람이 없진 않았는데 아쉽네요.
@user-hz6jf8gl8s
@user-hz6jf8gl8s 6 ай бұрын
이제 중앙선 ktx가 서울까지 확대되고 중부내륙선 ktx가 판교까지 운행합니다.
@dhlee1219
@dhlee1219 6 ай бұрын
백마고지역까지 가는 기차 타고 싶어서 개통만 기다렸는데 무기한 중지되는군요 ㅠㅠ;;
@user-um4wl3ct7x
@user-um4wl3ct7x 6 ай бұрын
ㅠㅠ 그러게 말입니다😢😢 수소열차가 빨리 많이 제작이 되어져야 한다고 보았었습니다.😮😮😮😮😮😮
@user-ts3kw5zw1e
@user-ts3kw5zw1e 6 ай бұрын
여담이지만, 광주선 셔틀열차의 경우 수도권 광역철도에서 운행하는 전동차를 중고로 들여와서 운행하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운 생각이 듭니다. 물론 고상홈 문제는 예전에 용산~대전간 ITX-청춘이 운행했었던 사례와 같이 임시로 나무발판을 설치해서 운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rlaqbxotlrl
@rlaqbxotlrl 5 ай бұрын
그러려면 고상홈으로 개조해야 되는데 그것도 결국 비용이죠. 대체 교통수단이 없는 것도 아니고 수요가 거의 없던 노선이라 코레일 입장에선 그냥 폐선시키는게 맞습니다.
@cir3939
@cir3939 6 ай бұрын
전쟁의 위기가 아직은 상존 하는 만큼 비상시를 대비해서 디젤 여객기차를 새로 발주하는 것도 생각 해봤으면 합니다. 기차 전체를 전기기차로 운영 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 궁금 합니다.
@UrimalGyeoktugi
@UrimalGyeoktugi 6 ай бұрын
그래서 전쟁에 대비해 의무적으로 디젤기관차를 일정 대수 이상 보유하도록 하는 법이 있습니다.
@NoleongE
@NoleongE 6 ай бұрын
디젤 뿐만아니라 증기기관차도 보존중 입니다
@HJ-sl8ed
@HJ-sl8ed 6 ай бұрын
디젤기관차야 많이 있긴한데 백마고지/영덕역은 디젤기관차가 회차하기 위한 추가 선로 및 전차대가 없는 관계로 투입이 불가능합니다... / 전기동차로 일원화하는 이유는 열차 운용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차종이 일원화되어야 차량관리가 쉽고, 동차형은 회차/입환이 간단해집니다. 전기를 쓰는 이유는 전기값이 기름값보다 저렴해서...
@normal77079
@normal77079 6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을 쉽게 보시는듯. 국방부도 웬만한 무기는 버리지 않고 구리스 도포시켜 보존중인데 하물며 열차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는다봄.
@rlaqbxotlrl
@rlaqbxotlrl 6 ай бұрын
디젤기관차는 운행에 사용하지 않아도 전시대비로 계속해서 신규 발주하고 있습니다
@passfade4458
@passfade4458 6 ай бұрын
동해 : 우린 어차피 중간에 지나가는데 내가 왜 냄? / 삼척 : 우린 그래도 낼 의향 있음 / 강릉 : 우린 저거 없어도 관광객 졸라 많이 옴 ㅅㄱ 강원도 : 니들이 안내는데 내가 어떻게 냄? 코레일 : 그럼 동해선 뚫리면 그때 타
@ds5dvi
@ds5dvi 6 ай бұрын
구독자10만축하!! 실버버튼 언박싱도 한번 하나요?
@seize4085
@seize4085 6 ай бұрын
수소열차를 빨리 개발해내서 비전철화 구간을 달릴 수 있게 만들어야 하는 부분인듯.
@user-yt3ui9qb4t
@user-yt3ui9qb4t 6 ай бұрын
원전도 수명연장을 하는데...열차 수명연장은 왜 못 하나..
@bacon0204
@bacon0204 6 ай бұрын
​@@user-yt3ui9qb4t 원전은 애초에 수명 연장을 가정하고 만듭니다. 애초에 부품 신뢰도가 굉장히 높은, 비싼 부품을 쓰기도 하고요. 게다가 원전 기술은 당시에도 이미 많이 발전해서, 현재의 최신식 원전과 비교해도 효율이 그닥 차이나지 않아 새로 짓는 것보다 이득입니다. 이에 반해, 열차 같은 경우에는 수명 연장을 위해 많은 검사와 부품 교체를 진행하여야 함에도 구형 열차가 현대 열차에 비해 많이 뒤떨어지며, 구형 열차를 위해 유지보수 인력을 유지하는게 오히려 손해여서 수명연장을 안 하는 거죠.
@user-yt3ui9qb4t
@user-yt3ui9qb4t 6 ай бұрын
@@bacon0204 미국 원전은 수명연장 허가난것도 반납하고 폐쇄 했던데요? 그리고 구형열차 유지보수비가 많이 든다고 해도 신형열차 도입하기 전까지는 운행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계속 수명연장해서 쓰라는게 아니라
@bacon0204
@bacon0204 6 ай бұрын
@@user-yt3ui9qb4t 이미 미국에서는 60년도 넘어 80년 운영허가를 받은 원전도 있습니다. 애초에 엄청 내구도 좋은 비싸고 무거운 부품을 쓰고, 그렇게 정비에 돈을 써도 전기 팔아서 수익이 엄청나기 때문에 연장하는 거죠. 기차의 경우, 구형 기차는 부품조차 제대로 생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생산되더라도 정비비는 비싼데 1인당 수송비가 낮기 때문에 운영하는 코레일 입장에서는 무조건 손해입니다. 더욱이, 코레일이 앞으로 3년간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고, 2034년까지 첫 KTX 물량들(약 6조원)을 다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라 돈이 없습니다.
@HJ-sl8ed
@HJ-sl8ed 6 ай бұрын
안그래도 수명연장 해보려고 정밀검사 2차례나 했는데 고작 1년 연장하는데 수천억이 든다는 견적이 나왔다나... 하지만 이 열차들은 승객이 많지 않아 연료값도 못버는지라 그냥 버스로 대체하는겁니다. 물론, 코레일도 처음부터 중단을 고려한건 아니고 기관차+객차+기관차 형태로 운행하려했으나 국토교통부에서 허가를 안내줘서 접는겁니다. @@user-yt3ui9qb4t
@suinbundang_Kwangwoon_univ
@suinbundang_Kwangwoon_univ 6 ай бұрын
폐차라니 아쉽네요.
@user-ev4wh3vs3n
@user-ev4wh3vs3n 6 ай бұрын
역쟁이님 축하드립니다~~^^ 중앙선 시간표와ㅜㅜ itx새마을이 오후시간대로되는알려주시와요ㅜㅜ 이거 항상 보구있어욤ㅜㅜ
@user-tj4ly1dnm
@user-tj4ly1dnm 6 ай бұрын
제가 8월에 포항에서 월포해수욕장갈때 rdc를 탄게 마지막이네요ㅠ
@user-id8lz4xp4u
@user-id8lz4xp4u 6 ай бұрын
👍🏻👍🏻
@turbo-s9178
@turbo-s9178 6 ай бұрын
이참에 연천역까지 확장된 1호선 구간을 백마고지역까지 전철 구간을 확대해서 백마고지역까지 운행되었으면 하네요.
@user-xk8xy1ch1g
@user-xk8xy1ch1g 6 ай бұрын
새로 운행할 ITX-마음 구간은 부전~태화강~동대구 로 할 바엔 차라리 부전~태화강~동대구~서울로 연장운행하는 게 낫지 않을까요?
@user-bf6sk9li4t
@user-bf6sk9li4t 6 ай бұрын
대구역이나~~~동대구역에서 바로 영덕역까지 가지않으면..엄청 불편해서!!
@dbwognl103
@dbwognl103 6 ай бұрын
포항-동대구구간은 누리로 3편 무궁화객차1편 해서 기존 4편으로 운행을 하더라구요 내심 기대했던건 7600호대 한대빼서 여객용으로 썼으면 영덕운행이 되지않을까 했는데,,, 1년씩이나 운행이 중단되는군요,,,
@user-rn4gq8ek6m
@user-rn4gq8ek6m 6 ай бұрын
매번 공기늘어나고 결국은이런사태가 터지네요!
@gayjoa
@gayjoa 6 ай бұрын
오송역 공주역 무안공항역도 이렇게 없애야한다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6 ай бұрын
@@luceononuro3631이분은 지금 공항 자체보다도 무안공항에 호남고속선을 들여온 것을 문제제기 하는거죠. 무안공항이 군사적 요충지라 하더라도 호남 고속선을 들여올 명분은 안됩니다.
@chajaemyung
@chajaemyung 6 ай бұрын
저 통근열차를 타고 예비군 훈련을 갔던 기억이 있는데 ㅎㅎㅎ
@user-hu5yq4cv1c
@user-hu5yq4cv1c 6 ай бұрын
사라지는 열차들이 많아서 아쉽네요😢
@rubykoreancenter1157
@rubykoreancenter1157 6 ай бұрын
실버버튼 🎉🎉합니다
@user-nf6un5ij7k
@user-nf6un5ij7k 6 ай бұрын
근데 2년만 어떻게 차량수명 연장시키면 안되나... 부산지하철은 80년대 차량도 아직 운행하고 있는데
@user-jt2sk3qb3h
@user-jt2sk3qb3h 6 ай бұрын
안전진단 받으면되는데 차량수명20년을 뛰어넘은상태에서 받기엔 너무 늦어서 폐차하는거임
@VitorJKhan
@VitorJKhan 6 ай бұрын
방만하게 기차 운행하면 적자가 엄청납니다. 적자나면 멈추는것이 정상이지요.
@blasta5392
@blasta5392 6 ай бұрын
디젤차량이 노후화로 하나씩 사라져가는 상황에서 전동열차가 갈 수 없거나 어려운 구간이 주를 이루네요 전철화는 되어 있는 곳이 한정적이고 공사가 제때 끝나지도 않으며 수소동차도 등장하려면 멀은 걸 보면 코레일/국토부/철도공단의 계획이 너무 안일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user-ty3im7lv2m
@user-ty3im7lv2m 6 ай бұрын
국가가 철도 관련 예산에 얼마나 인색한가를 보여주는 사례 ...
@dlckdghks00
@dlckdghks00 6 ай бұрын
당연히 인색할 수 밖에. 공기업이긴 하나 코레일도 수익이 나야 영업을 하지.
@user-ty3im7lv2m
@user-ty3im7lv2m 6 ай бұрын
@@dlckdghks00 정부지원 예산 말하는 거여
@user-lp3hl5rk3b
@user-lp3hl5rk3b 6 ай бұрын
말은 바로 해야지요. 수도권은 제외입니다.
@techstar66
@techstar66 6 ай бұрын
수익 좀 난다 싶으면 분리시키고 분리시키고 남는게 가능함?
@shwuhdj2ijdjkvkdkeks
@shwuhdj2ijdjkvkdkeks 6 ай бұрын
열차 승객칸만 만들면 비용이 얼마 안 들텐데... 마음에서 기관차 빼고 승객칸만 사서 달면 안 되나요?
@Doododood
@Doododood 6 ай бұрын
제가 알못이라 그러는데 수명연장 사업 같은건 현실성이 없는건가요?? 이미 연장을해서 뽑을때로 뽑은건지, 애초에 불가한건지 모르겠어서 참 안타깝네욤...
@lyr2863
@lyr2863 4 ай бұрын
디젤열차하니 생각난 건데, 지금 사용하는 무궁화호 중 전기를 사용하는 것과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것 둘다 꽤나 연식이 오래된 것일 텐데, 그것들마저 모두 수명이 만료되면 더 이상 우리나라에 디젤열차는 돌아다니지 않는 건가요? 대부분의 열차가 전동화되었지만 그래도 디젤열차 노선을 어느 정도는 살려두는 게 맞을 것 같아서요, 화물열차도 다 디젤인 것 같던데...
@yj810104
@yj810104 6 ай бұрын
어쩌다 이리 되었는지 원.... 대체 열차가 시급하겟군요.
@user-er7by8wc4r
@user-er7by8wc4r 6 ай бұрын
와.. ITX 마음이 태화강역으로 온다니 좋네요
@mskim3849
@mskim3849 6 ай бұрын
포항 영덕 구간은 원래는 비전철 이었다가 전철화로 사업을 다시 바꾸는 바람에 연기된걸로 아는데요 제가 알기론 22년말에 개통한다고 했다가 올해로 1년 연기되다 또다시 내년으로 미루어진 건데 지금까지 철도노선이 신설 연장되는 구간이 제때 개통한적이 별로 없어서 이것도 믿을수는 없겠네요 1호선 연천구간도 2년 연기된거 보면 그때 가봐야 알거 같습니다
@lMD2l
@lMD2l 6 ай бұрын
썸넬 보고 바로 들어왔습니다 자꾸 영덕삼척 차일피일 준공을 미루는 것만 봐도 화가 나는데 RDC도 운행 중단 되다니... 내일 집 가면 바로 마지막 기차를 타봐야겠네요
@user-mp5uo3ql1o
@user-mp5uo3ql1o 6 ай бұрын
내일 바다열차 탑니다 이렇게 수명만료라니 매우 아쉽네요....
@user-bm9rk8gj4h
@user-bm9rk8gj4h 6 ай бұрын
저출산화 아니 수도권중시만의 발전에 따른 영향.
@geny1
@geny1 6 ай бұрын
무궁화호가 채산성이 맞지 않으니 새마을호 운임 중심으로 특급열차가 표준화 되겠네요
@Mr-keydary
@Mr-keydary 6 ай бұрын
디젤열차는 못쓰는 이유가 있나요? 칸수가 적어서 가성비가 안맞나요?
@aza0714
@aza0714 6 ай бұрын
포항영덕구감은 전차대가 없어서 방향전환이 힘들죠.
@insanesceptor
@insanesceptor 6 ай бұрын
전철화 안된 나머지 노선 경북선: 영주에서 전차대 돌림 서부경전선: 목포, 순천이 어지간히 큰 역이라 기관차 몇 대는 붙이고 떼기 어렵지 않음 문경선: 기존선 철거 후 전철화선 설치하고 중부내륙선으로 편입 예정
@TonyChang2277
@TonyChang2277 6 ай бұрын
국토부 유튜브보다 더 알찬 정보군요. 영덕역은 디젤기관차 견인형이 다니면 안되나요? 영덕역에 회차선로가 없나보네. 연천~백마고지역도 디젤견인형이... 아, 안되는구나. 디젤기관차가 빠꾸가 안되는 구나. 제일 궁금한거는 교외선에는 어떤 아이가 달려줄지 궁금하네요. 이달 17~18일 전에 카메라 울러메고 전국투어 함 다녀와야겠네요. NDC 퇴역 직전때도 그랬었는데, 평생을 죽도록 일만하다가 이슬같이 사라지는 RDC, CDC 좀 만나서 마음이라도 환송해줘야 겠습니다.
@yth1954
@yth1954 6 ай бұрын
저녁에는 기차가 물류로 거점역으로 눌류이동시켜라 우리나라같이 기차 활용도나 낮은나라가 있을까 ??
@user-um4wl3ct7x
@user-um4wl3ct7x 6 ай бұрын
에휴..cdc동차와 rdc동차 또한 바다열차가 폐차가 되어가니 이제는 수소열차가 제작이 많이 되어지며 그러므로 현대로템과 우진산전에서 이 열차를 얼른 많이 제작을 하게 되어지면 좋겠다고 보았었습니다. 진심으로 이 말을 하는 것입니다. 진짜로 위에와 쓴 글 같이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sfk1031
@sfk1031 6 ай бұрын
전쟁나면 디젤전동차도 필요한데 무조건 없앤다고? 전쟁나서 전기공급 안되면 철도망 쓰지도 못하는데
@suwonbus
@suwonbus 6 ай бұрын
저 좋은 건물을..... ㅠ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6 ай бұрын
영상의 내용과는 무관하지만 궁금한게 있어서요. 청라 2호선 연장과 홍대 - 대장선이 다른 건가요? 화곡역이 환승역은 맞는 거 같은데, 노선도대로만 봤을 때에는 헷갈려서요.
@gurorapid
@gurorapid 6 ай бұрын
다른 노선입니다~ 대장홍대는 기존 노선 연장이 아닌 별도 노선이라 보시면 됩니다~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6 ай бұрын
@@gurorapid 노선도로는 같아 보여서요.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6 ай бұрын
@@gurorapid 혹시 원종역에 안 쓰는 라인은 왜 안 쓰는 중인 건가요?(1번, 4번?이요. 부본선 같은데요.)
@insanesceptor
@insanesceptor 6 ай бұрын
​@@user-sj7dw3zi6d 화물열차, 서해선 KTX 운행 시 대피선입니다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6 ай бұрын
@@insanesceptor 네
@joneel5107
@joneel5107 4 ай бұрын
전시에 전력 공급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운행이 불가능해지는데 무슨 대안이 있나요?
@kingramyeon4616
@kingramyeon4616 6 ай бұрын
DMZ 트레인은 어떻게 되나요?
@user-hz9hc7pu5v
@user-hz9hc7pu5v 6 ай бұрын
이러다 충북선도 itx마음 운행하겠네요 충북종단열차 페지하면 그렇게 운행할 가능성은 있어요
@tv-old_jeanstv282
@tv-old_jeanstv282 5 ай бұрын
광주역은 지하철이 연결이 안되어서 내리기 어렵지. 순천에서 내려면 바로 광주 충장로로 가는 지하철을 탈 수 있는데...한동안 광주를 이용했던 사람으로서 안타깝네.
@allapluslim3388
@allapluslim3388 6 ай бұрын
동해선 열차구간은 진작에 개통되었어야하는데 되다 안되다 되다 안되다 하다가 결국에는 엇박자가 나서 멸쩡한 기차역을 놔두고 버스 운행이라니...... 이런게 낭비입니다.
@user-us1dw8qh9i
@user-us1dw8qh9i 2 ай бұрын
운임이 충분히 비싸거나, 손님이 많거나, 지자체가 비용을 낼 수 있다면 모르겠지만 아무것도 안 된다면 못 다니는 것이겠죠.
@jdm3077
@jdm3077 6 ай бұрын
사람이 적은 연천군과 도라산역도 교통카드 전철이 운행하는 수도권이지만 사람이 많은 부전~마산 구간조차 교통카드 전철 운행을 안하는 비수도권
@Mintsoda_15
@Mintsoda_15 6 ай бұрын
사실상 디젤동차가 아니면 어느 열차도 못 들어갈 구간이 아직 있는데, 지금은 현재의 디젤동차가 수명 만료로 없어지고 새로 투입할 디젤동차도 없는 상황이라 저 구간을 아예 운영하지 못하게 되다니....
@user-supreme54
@user-supreme54 Ай бұрын
열차 수명 만료도 문제지만 전기화로 바뀌는 순간 운영 비용이 급격하게 올라가는건 꽤 생각해 봐야 할 문제 네요.. 광주역만 하더라도 20회 이상 운영했는데 10회로 급격하게 줄어드는 순간 광주가 도시로서 기능하는 힘들이 점점 줄어든다는 소리인데 지방 도시들이 이렇게 쪼그라 드는거 군요.
@ShawnKeimShawnK
@ShawnKeimShawnK 6 ай бұрын
오송역도 하루 빨리 종료했으면 좋겠네요. 구독자 10만명 돌차 축하드립니다!! - 역쟁이 TV님 영상 챕터 나누기를 제안드렸던 사람으로부터 :)
@exo10anniversary5
@exo10anniversary5 3 ай бұрын
오송역으 이용자 많은데 왜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6 ай бұрын
전선개통하면 전구간 ktx이음만 운행하나요? 그럼 장사 월포 같은곳도 전부 ktx가 정차하나요?
@gurorapid
@gurorapid 6 ай бұрын
Ktx세우긴 좀 그렇지않을까요?? Itx마음이 설것같아요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6 ай бұрын
@@gurorapid 그런데 경전선보면 전부 ktx이음 세운다고 해서 여기도 혹시나 그럴까 해서요.
@tajiritv8
@tajiritv8 6 ай бұрын
바다열차는 한국두번째로 종운식하게될수도 있겠네요
@user-ky1dv1fw6k
@user-ky1dv1fw6k 6 ай бұрын
4~9호선열차투입:2019년실패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6 ай бұрын
이제 엔딩영상의 cdc그래픽도 끝물이군요 ...
@ds5dvi
@ds5dvi 6 ай бұрын
포항에서 영덕사이에있는 역들은 폐역이 아니고 1년간 임시운행중단하고 내년연말에 EMU-150이 투입이되는걸로 아는데!!
@user-jn7eb3do2n
@user-jn7eb3do2n 6 ай бұрын
그게 폐역입니다
@user-xi4tu2gp2v
@user-xi4tu2gp2v 6 ай бұрын
그게 전철입니다
@ds5dvi
@ds5dvi 6 ай бұрын
@@user-xi4tu2gp2v 전철구간아님 비전철구간인데 전철화공사중 전철화공사기간중 운행할 RDC동차 같은게없어 운행중단
@user-ml4fi5fw8h
@user-ml4fi5fw8h 6 ай бұрын
RDC 무궁화호 열차.. 과거 200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동대구-부전으로 가는 무궁화호 열차들은 대체로 새마을호와 객차형 무궁화호들이 주로 다녀서 처음엔 무궁화호 하면 객차형 무궁화호 열차밖에 없는건줄 알았는데 어느 순간부터(대략 이 구간 CDC 통근열차 폐지이후인 2008년경) RDC 무궁화호 열차들로만 투입이 되어서 꽤 오랫동안 이 구간의 무궁화호 열차운행을 담당하였죠. 처음엔 굉장히 깔끔해보였지만 아무래도 소음부터 해서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로 봤을 때 객차형 무궁화호보다 더 안좋아 보였습니다... 특히 운행 막바지엔 객차안에 화장실 이용을 알 수있는 LED 표시기도 고장이 나버렸고 그 외 카페객차에 위치한 자판기마저 부실해지는 등 상태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죠.. 심지어 방향전환 문제로 앉아있는 곳에서 반대로 가는 역방향 주행이 벌어지거나, 열차 문제 및 지연으로 반대방향에서 기관사가 억지로 열차가 들어오는 등 이전부터 꽤 자잘한 문제사례들이 상당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타기 싫어했던 열차였는데 몇 년전 부터 다시 객차형 무궁화호가 재투입 되었을땐 너무나 반갑기도 했고 익숙하고 편안했지만 객차대수가 예전처럼 8칸에서 많게는 10칸까지 존재했던 객차형 무궁화호가 2~3칸짜리 초미니 열차가 된걸 보고 더 이상 무궁화호 열차는 역사속으로 사라져야 되는게 맞는거구나 싶었습니다...
@RR-un3bh
@RR-un3bh 6 ай бұрын
그놈의 탄소중립을 하려면 미리 객차와 선로 개량을 하고 하든가 개판이다 개판
@PurunTree
@PurunTree 6 ай бұрын
남는 4량 광역철도 전동차하고 4량 간이고상홈 만들어서 굴리면 안되는지...
@anticreditlater
@anticreditlater 6 ай бұрын
그냥 나라에 돈이 없음. 선심성 복지예산도 늘고 진짜 필요한 복지예산도 늘어서 인프라는 민자 아니면 손댈 여유가 ㅠ
@jinthree4016
@jinthree4016 4 ай бұрын
누리로는 어디로 다 가져다 버린건지 시설도 이용객도 있는 편이였는데 열차 운행 기준을 모르겠다는
@user-tr9nv4oy2b
@user-tr9nv4oy2b 6 ай бұрын
2028년에 1호선열차가 연천역을 달릴까요? 2027년 2028년에 경원선이 중단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user-jn3qs7ng4r
@user-jn3qs7ng4r 6 ай бұрын
달빛철도도검토대상~~~
@user-vv8bw2sx5n
@user-vv8bw2sx5n 6 ай бұрын
강릉 삼척해변 포항 영덕 디젤견인 객차형 무궁화호 투입 안되나보네요?
@aza0714
@aza0714 6 ай бұрын
방향전환이 힘들어서요.
@user-uf9ni8pr1b
@user-uf9ni8pr1b 6 ай бұрын
디젤동차 운용이 왜 힘든가요? 전동차보다 조건이 널널한게 아닌가보네요?
@user-uf3zi3th6z
@user-uf3zi3th6z 6 ай бұрын
고상홈으로 만들었으면 전동열차 투입이 가능한데 일본처럼
@simonjeyou
@simonjeyou 6 ай бұрын
왜 포항 영덕구간은 최근 실선 구간인데 처음부터 전철화 을 아에 안한걸까요 이게 가장 이해가 안돼는 처음부터 2018년완공이면 2010년대 이후 착공인데 처음 부터 전철화로 선로를 깔았음 이런 문제가 없지 안았을까 생각도 듭니다. 대부분 운행중단 되는게 cdc나 rdc대체열차 부족 문제라... 결국 전철화를 재대로 안한탓이 컷네요
@sfk1031
@sfk1031 6 ай бұрын
전력선 자체가 비용이 드는데 디젤차를 없앤다고 수요가 거의 없는 동네는 철도 필요없다고? 전력선은 자체가 유지비가 드는데
@user-yf5jc2ev6r
@user-yf5jc2ev6r 6 ай бұрын
영덕-포항 구간 과연 1년 동안 중단될것인가
@Colors_MINJONG92
@Colors_MINJONG92 6 ай бұрын
얼추 겹치는 레퍼토리가 과거: 음~ 이때면 공사 다되니까 타이밍 맞게 전철로 교체하면 되겠지 현재: 아니 왜 공사 안됨? 임시버스 돌려~ 이러고 있는건데... 맨날 철도 연기대상 나오는 대한민국에서 이렇게 타이밍 맞게 될거라고 생각하다니...
@user-ty2hw7oi7a
@user-ty2hw7oi7a 6 ай бұрын
버퍼없이 공사를 한게 문제 였네요
@qtsy
@qtsy 2 ай бұрын
아깝다
@Eris_cosmic
@Eris_cosmic 4 ай бұрын
퇴역하는 디젤 동차들을 대신하기 위해 일본의 BEC819계 같은 하이브리드 전동차 등 비전철화 구간에서 운행 가능한 근교형 열차의 도입이 시급해 보이네요
@garden1622
@garden1622 6 ай бұрын
바다열차 아쉬움.
@user-um4wl3ct7x
@user-um4wl3ct7x 6 ай бұрын
ㅠㅠ 아쉽습니다. 그러므로 수소열차 바다열차가 제작이 되어져야 한다고 보았었습니다.😮😮😮😮😮😮
@seungmin0628
@seungmin0628 6 ай бұрын
CDC,RDC 운행중지되기 전에 꼭 타야할것같다
@user-xw8hd2wy8u
@user-xw8hd2wy8u 6 ай бұрын
코레일은 관리를 어케하면 후속열차 계획이 없지?
@Trainisgood
@Trainisgood 6 ай бұрын
미리 CDC 랑 바다열차 보고 오길 잘 했네요…..
@umineko9812
@umineko9812 4 ай бұрын
문닫는곳에서 노숙가능한가요?...
@luigi308
@luigi308 6 ай бұрын
4:52 디젤기관차 두대 달면 되지 않을까?
@sm-9508
@sm-9508 6 ай бұрын
왜 소요산~연천이 아닌 동두천~연천입니까?
@gurorapid
@gurorapid 6 ай бұрын
사업 구간이 동두천~연천 입니다. 또 현재 소요산역 옆에 새로운 소요산역을 짓고 있답니다.
@user-xv7kx7sz9p
@user-xv7kx7sz9p 3 ай бұрын
지역이기주의로 세운게 문제가 크지
@mobi1644
@mobi1644 5 ай бұрын
예산 낭비라고 하기엔 국가 정책 기조라서 어쩔수도 없는 부분이네요.
@user-yh7kk5fw7l
@user-yh7kk5fw7l 4 ай бұрын
평일에 3일간 영덕 놀러 가봤는데 사람 진짜 없더라.다 대구 포항으로 나갔다던데
대통령이 두 번 바뀌어도 개통 못하는 노선들
9:35
역쟁이TV
Рет қаралды 276 М.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84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90 МЛН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28 М.
비행기 기내식의 역사
11:28
pood
Рет қаралды 341 М.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KTX는 왜 점점 정차역이 많아질까?
8:28
역쟁이TV
Рет қаралды 43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