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해 버린 신도시 재건축, 수학공식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이용각 겸임교수)

  Рет қаралды 83,327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2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195
@user-si7to9sd5c
@user-si7to9sd5c 2 ай бұрын
쉬운 내용을 매우 어렵게 설명하시는 재주가 있으십니다 ㅎㅎ
@user-oz4dd8cs6v
@user-oz4dd8cs6v 2 ай бұрын
만약 지금 용적률 400%로 올려 놓으면 그 다음 재개발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재개발을 거듭할수록 용적률을 한없이 올려가야 진행 된다는 것인데 한마디로 나까지만 살고 그 다음은 어떻게 되든 나는 몰라 하는 식으로 후대 사람들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 거네요.
@user-ever33
@user-ever33 Ай бұрын
그 높이세운걸 뿌시는걸 어찌할지...재건축 40년후...
@user-lw8ec7bb9m
@user-lw8ec7bb9m Ай бұрын
그때를 대비한 인구 감소 정책을 펴왔어요..... 주민이 반으로 줄어서 자연스레 용적율이 올라가요.ㅋㅋㅋㅋㅋㅋㅋ...
@user-ln6pe5md8t
@user-ln6pe5md8t Ай бұрын
재건축을 왜 또하냐?
@user-oz4dd8cs6v
@user-oz4dd8cs6v Ай бұрын
@@user-ln6pe5md8t 그럼 그 땅을 버려요?
@user-ln6pe5md8t
@user-ln6pe5md8t Ай бұрын
@@user-oz4dd8cs6v < 내부수리 해서 계속 살지.
@user-cg9fk6rd5e
@user-cg9fk6rd5e 2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유용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artek2943
@artek2943 2 ай бұрын
비례율 수식을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는데 알파 베타 라고 변수를 넣고 얼렁뚱땅 넘어가려 하니 더 헷갈림. 그리 할거면 그냥 차근차근히 다 설명해주는게 훨씬 이해가 쉬움. 우리는 공식을 외우려 보는 사람들이 아님. 비례율이 결국 사업성인데 분양가를 높게 뽑을 수 있는 서울은 공사비가 좀 높아도 크게 문제 없다. 1기 신도시 현 상황이 용적률이 4~500이 나오지 않으면 100% 비례율이 안나와서 용적률 얘기를 하는거다라고 한번 설명하면 끝인데 왜 자꾸 했던말 또하고 또하는지..... 차라리 알파 베타 변수에 대해서 통상 0.5~0.6이다 라고 말로만 할게 아니라 구체적인 자료를 보여주는 편이 훨씬 좋았을 것 같음
@user-rz4cf2wu3y
@user-rz4cf2wu3y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쉬운 것을 어렵게 설명하는 것도 재주 입니다.
@ttkk9040
@ttkk9040 2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진짜 이번년도는 언더스탠만 듣는듯. 맘에듬
@stevekim-sm8jb
@stevekim-sm8jb 2 ай бұрын
용적률 증가는 절대 안 된다. 인구도 줄어들고 있는 마당에...재건축하고 그 건물들 또 노후됐을 때는 생각 안 하나? 그동안 아무도 그거 생각 안 하고 30년 동안 지어서 지금 이 난리가 나는 거잖아. 낡은 아파트 수리해서 100년 동안 사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본다. 지금 뽀개고 더 높게 짓는다면 우리는 후손들에게 어마어마한 쓰레기 고층 아파트만 물려주는 멍청한 세대로 기록될 것이다.
@user-wm2vq8mk1w
@user-wm2vq8mk1w Ай бұрын
그래서 리모델링이 답입니다
@younjidoh2423
@younjidoh2423 2 ай бұрын
부동산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롭고 배울것이 있네요 재미있게 진행해주셔서 감사요~~ㅋ
@whiteclind1
@whiteclind1 2 ай бұрын
댓글을 보니 이프로가 캐리했구나.
@user-br6wv6pd8d
@user-br6wv6pd8d 2 ай бұрын
도시정비법에 의한 재건축 재개발은 용적률을 높일수록 추가부담금 폭탄을 맞게 되어 지옥으로 떨어진다. 1기 신도시도 마찬가지다.
@thek.nightweretiger5969
@thek.nightweretiger5969 2 ай бұрын
안프로의 집을 소유 해본적 없는 시각의 예리한 질문과 깔끔한 이프로의 정리가 더 빛나네.
@user-lq9vb5de8z
@user-lq9vb5de8z 2 ай бұрын
재건축을 돌아가며 다 마치고 나면 다시 젤 첨 재건축 들어간 아파트가 다시 재건축 들어가야겠네요. 이주를 위해 지은 아파트는 영원히 사용되고 건설회사는 네버 엔딩.
@user-fo8yc1qo4z
@user-fo8yc1qo4z Ай бұрын
교수님 답게 공식으로 설명하시네!😄😄😄 고위직들이 좋아할듯!
@ejsjdj
@ejsjdj 2 ай бұрын
깊이있는 설명 좋았습니다!
@user-mu9hr6cy4w
@user-mu9hr6cy4w 2 ай бұрын
시행령이나 시행규칙에 규정해야할 사안으로 보이네요
@thek.nightweretiger5969
@thek.nightweretiger5969 2 ай бұрын
재건축 괸심있는 사람은 이거 저장해놓고 두고두고 봐야 하는 영상이다.
@user-hl7oe2ys8m
@user-hl7oe2ys8m 2 ай бұрын
이런분들이 부동산 교수 전문가라며 정책 아이디어 내는게 안타깝다
@user-vo8rb3zj4y
@user-vo8rb3zj4y 2 ай бұрын
진짜로 암담하네요 저런 사람들을 모아서 정책 짜고 있었나
@hyunilkim954
@hyunilkim954 2 ай бұрын
10분에 할 수 있는 얘기를 1시간
@user-yy6jm5fz9l
@user-yy6jm5fz9l 2 ай бұрын
계획적인 도시의 개념이 무슨뜻? 기존 계획은 잘 못된건가? 1;1 재건축이 답이다 자기 돈으로 아파트 지어라
@user-mu9hr6cy4w
@user-mu9hr6cy4w 2 ай бұрын
결국 자산가치의 상승율의 격차를 과연 인정(동의)의 문제임
@user-zs6mu8dq8v
@user-zs6mu8dq8v 2 ай бұрын
20년 된 푸르지오 사는데 진짜 생각보다 괜찮아서 대우건설 칭찬해주고 싶어요 😊 요새보다 그때 더 튼튼하게 지었나? 싶기도 하고...
@user-wu3gj7tr8o
@user-wu3gj7tr8o 2 ай бұрын
요즘 푸르지오 엉망
@cloudshiba2176
@cloudshiba2176 2 ай бұрын
문재인 이후에 지은 아파트는 죄다 중국인들이 지은거라... 20년 된거면 정말 튼튼하고 꼼꼼하게 지은 아파트인거죠
@Choi-en8mn
@Choi-en8mn Ай бұрын
@@cloudshiba2176ㅋㅋㅋㅋㅋ 뇌없냐 ㅋㅋㅋㅋㅋㅋㅋㅋ
@Kim01142
@Kim01142 2 ай бұрын
에고...너무 장황해요
@user-mu9hr6cy4w
@user-mu9hr6cy4w 2 ай бұрын
결국 대지지분에 따른 관리처분인가상의 문제 합의가 관건
@user-br6wv6pd8d
@user-br6wv6pd8d 2 ай бұрын
모든 것을 총회에서 결정되고 확정지분제로 하면 용적률을 높일수록 조합원의 추가분담금이 비로소 줄어든다.
@gagamel9844
@gagamel9844 2 ай бұрын
교수님 지식이 엄청 나네요 역시 전문가 입니다
@thek.nightweretiger5969
@thek.nightweretiger5969 2 ай бұрын
참고로 교수님이 아는건 많은데 전달하는 방법은 좀 더 업그레이드 해야 할 필요는 있겠네.
@mjk5395
@mjk5395 2 ай бұрын
분당은 지금도 살기 오지게 좋습니다 야탑부터 오리까지 모두 좋습니다
@user-bh7rt3pq3i
@user-bh7rt3pq3i 2 ай бұрын
그말은 맞지만 건물이 이제 점점 노후화 되가고 있죠 단지를 통합개발은 맞는것 같습니다
@Choi-en8mn
@Choi-en8mn Ай бұрын
@@user-bh7rt3pq3i??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수명이 몇년인데요~? 100년 이상 거뜬합니다 ㅎㅎ
@user-kw2pe4cy8s
@user-kw2pe4cy8s 2 ай бұрын
문제는 기존 아파트 가격(종전 가치)이 예전에 건축비 싸고 금리 낮을 때 기준으로 부풀려져 있는 것임. 건축비용 올라가고 금리도 올라갔는데, 기존 가격 그대로 채산성을 맞춰주려면 용적률 특혜를 줄 수밖에 없다는 논리임. 이게 맞나? 기존 아파트 가격이 건축비용과 금리를 반영해서 낮아져야지. 그러면 다시 채산성이 맞게 됨. 이게 시장경제임. 특혜를 계속 줘서 가격을 떠받치는 건 시장경제가 아님.
@shbaek7274
@shbaek7274 Ай бұрын
32:33 아이엠 휴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빵터졌넼ㅋㅋㅋㅋㅋㅋㅋ
@liberaldemocracyoh6058
@liberaldemocracyoh6058 2 ай бұрын
이프로님은 정리를 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건축 안해도 개인이 리모델링 해서 살면되는데 재건축 이 필요한가요? 부담금도 엄청난데 그것을 감당하는것이 쉽지도 않은데
@user-bh7rt3pq3i
@user-bh7rt3pq3i 2 ай бұрын
건물 내부만 번지르해서는 안되죠 내력벽이 점점 노후화되고 있는게 문제이고 1기신도시 건축당시의 얘기를 들으면 아마 지금 당장 제개발 하자고 할겁니다
@user-rq9kz9ds9p
@user-rq9kz9ds9p 2 ай бұрын
최소한 50년은 쓴다 급하게 새집지을려면 지돈들어서해야지 돈있냐 거저 새집 지어줄것같냐 꿩먹고알먹고 달콤한표얻을려는 인간때문에 갈등이 매우 커질것이다 간단치않아 정치인 주딩이들이 문제지
@Choi-en8mn
@Choi-en8mn Ай бұрын
@@user-bh7rt3pq3i내력벽 문제 없어요. 부실만 아니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100년 거뜬함.
@user-bt3zh3zi6q
@user-bt3zh3zi6q 2 ай бұрын
신도시 재건축 아파트는 진짜 닭장속의 꼬꼬닭 신세
@TheUwait
@TheUwait 2 ай бұрын
알멩이 정보가 없네 ...
@user-pe1du7vy3r
@user-pe1du7vy3r 16 күн бұрын
왜냐면 그래야 주택을 빨리 건설 할 수 있으니까요..! 30년전 과 지금은 국가의 상황이 많이 변했는데..민간이 미래방향을 잘못 예측할까봐서이죠.
@1kim858
@1kim858 2 ай бұрын
용적률 사업성 올리면 어차피 거기에 맞춰 땅값 집값올라가는데 사업성으로 이야기하면 답도없음
@awsrevelion
@awsrevelion 2 ай бұрын
다 영양가 없는 이야기고 결국에 방법은 하나밖에 없음. 구축의 잔존가치를 어떻게든 낮춰야됨. 노후도시를 슬럼화시켜서
@kyu5435
@kyu5435 2 ай бұрын
님말처럼 현재 아파트값을 똥값만들거나 제2의 부동산열풍 불어서 현재 아파트값 대비 분양가격이 상승하거나
@user-is4yz4rd8v
@user-is4yz4rd8v 2 ай бұрын
뭐 놔두면 그렇게 됨
@user-rv1ss6ey5x
@user-rv1ss6ey5x 2 ай бұрын
지금부터 아파트건축은 무조건 기둥식아파트라 조립식으로 공장에서 만들어서 현장에서 조립하는것으로 하는것이 좋아요 인건비라 콘크리트비용증가로 조립식으로 건축하는것이 좋아요 지금 건축하는 아파트은 재건축이 힘들어요 50년후에 아파트을 생각하세요
@Exynos3
@Exynos3 2 ай бұрын
건알못 이신가본데 현실은 20층 이상은 아직도 못 만들어요 ㅋㅋ 그리고 PC공법은 기둥식으로 만드는게 아닌데 뭔소리에요 기둥식은 RC아니면 SRC밖에 없어요 잘해야 RC기둥식 구조에 그냥 외부 마감을 PC로 하는게 전부인데 이러면 돈 더 많이 들어요 ㅋㅋ 그리고 일본도 모든 건물 구조체 수명이 40~50년 따리에 설비 내구성도 돈 많이 안쓰면 다 거기서 거기라 요즘 아파트 화재랑 정전 터져서 변압기주 떡상한건데 ㅋㅋ
@ohjay6636
@ohjay6636 2 ай бұрын
처가 아파트 재건축 하는데, 주변에 붙어있는 2개 단지를 함께 했으면 가치가 많이 올라갔을텐데, 서로 자기 단지 가치가 더 좋다고 우기다가 합의 못보고 전부 개별적으로 개발했습니다.
@user-iv6bt9ig1n
@user-iv6bt9ig1n 2 ай бұрын
92년부터 분당 입주해서 같은 집에서 전혀 불편함 없이 살고 있다 무슨 재건축이냐 목동 상계동도 아직 안했는데
@user-jq8hv8io6c
@user-jq8hv8io6c 2 ай бұрын
주민들 찬성 반대 어느쪽이 더 많은가요?
@user-gm6tt9ns2z
@user-gm6tt9ns2z 2 ай бұрын
1~20년뒤에도 살만한가?앞으로 행해져야할 일은 지금부터 준비해야지..
@30876psj
@30876psj 2 ай бұрын
분당 구축아파트 이사왔는데 여름에 비오면 물샌다. 이거 잡으려고 2년째 고생중인데 아직도 못잡음
@user-bh7rt3pq3i
@user-bh7rt3pq3i 2 ай бұрын
시범단지에 입주하셨나요? 겉으로 볼땐 아무문제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건축당시 세척도 잘 안된 모래의 사용,적정기준에 맞는 철근의 미사용등 당시 건축자재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는 얘기를 듣고도 가만히 있을지요? 어차피 건물은 노후화 됩니다 물론 지금의 분당을 재개발하면 지금의 균형이 깨질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통합 개발로 불균형을 최소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누구하나의 생각이 아닌 우리전체의 생각으로 개발을 추진해야 할것 입니다
@ancientSpecies
@ancientSpecies 2 ай бұрын
재건축은 나중에 할수록 규제 풀려서 개꿀일거 같은데?
@peterchoi424
@peterchoi424 2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깐족거림이 계속 거슬리지만, 내용이 좋아서 참고 봤습니다.
@user-sp9zv8rg4p
@user-sp9zv8rg4p 2 ай бұрын
경험많은 교수님 말씀이 맞다..관리소는 같이 사용 하지만 약2700가구임. 3개의 건설사가 지음 용적율 도 다르고 평균대지지분 차이도 넘 커... 아파트명도 다 다름.. 4월 특별시행령 예고를 한다 하니 정부는 세부적인 것 까지도 꼼 꼼히(이해충돌) 하여 싸움으로 말미암아 시간끌기를 미연에 방지가 우선시 되게 하는것 중요 할듯 함.
@user-pq9ll9ti4m
@user-pq9ll9ti4m 2 ай бұрын
은마를 보면 답이 있어요. 그러다 집값이 내리면 슬럼화로 가고 ㄸ값이 돼면 새로운 매입자가 나오면 돼고 그냥 쓰래기장으로..... 투자는 재건축 고층 보다는 재개발이 돈.
@user-pe5xx1fk5c
@user-pe5xx1fk5c 2 ай бұрын
겐또가뭐니. 겐또가.... 지금 공사판에서도. 안쓰는일본말을 자랑스럽게쓰네....
@user-pr1iv7ye7t
@user-pr1iv7ye7t 2 ай бұрын
이프로가 예리하고 날카로운 질문은 인정!! 본질 파악에 1인자입니다. 근데 미워...😅
@user-dg2bk4kn9n
@user-dg2bk4kn9n 2 ай бұрын
재건축이 자재비 인건비 올라서 어려움이 있다는것은 다아는 사실 뭐굳이 ᆢ하나마나 한말을 할듯
@user-uj9qo6bt5r
@user-uj9qo6bt5r 2 ай бұрын
이것도 되게 애매한게 그 사업지들의 평균나이를 생각해보면 진짜 다 50~70대 사람들이 많음. 이것도 진짜 답없음. 신속하게 빠르게 빨리빨리 해야지 다 좋은데. 어영부영하다가 10년 잡아먹으면 이게 ㅎㄷㄷ
@awsrevelion
@awsrevelion 2 ай бұрын
뻔한얘기를 뭐 어렵게 말하는지 모르겠네 ㅋ 교수보다 이프로가 더 전문가같다
@raykim1812
@raykim1812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하마터면 영상을 볼뻔 했습니다
@jh7152
@jh7152 2 ай бұрын
222
@user-gd5lq9bg7c
@user-gd5lq9bg7c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raykim1812
@user-ti2vp2fq1e
@user-ti2vp2fq1e 2 ай бұрын
왜 그런지 저는 알아요 ㅋ
@h304050
@h304050 2 ай бұрын
격공감! 출연자는 천재 이프로님보다 휠 공부 더 하고 나와주세요 전달력 차이가 너무 크네요 ㅠㅠ
@goodjinhan6307
@goodjinhan6307 2 ай бұрын
교수님..이거 전문가 들이 보는게. 아닌데..
@user-gk8vi6gu2u
@user-gk8vi6gu2u 27 күн бұрын
A가 허용 용적률 350%, B가 용적률 400%이면 현재 거래가격이 B가 당연히 비싸겠지만, 둘을 똑같이 허용용적률 450%를 적용해준다고 하면 결국 A와 B의 거래가격이 같아질거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할거라고 봄
@user-ns7yy4ll7n
@user-ns7yy4ll7n 2 ай бұрын
결국 개발 어렵단 말
@user-hz3xm5wn8q
@user-hz3xm5wn8q 2 ай бұрын
동의를 받지말고 룰을 정해라.이. 나라는 너무 개인의 의견을 존중하느라 말만많지 진행이 안된다
@user-jg4fc1vg7c
@user-jg4fc1vg7c Ай бұрын
미리 그런얘기를 정부에서하면 누가하겠나. 안 그래도 단지안에서도 말이 많은데~ 긍정과 합리적인 대안을 얘기하던가!😊
@user-rd2xs3hz7t
@user-rd2xs3hz7t Ай бұрын
용적율 엄청 높여서 지어놓으면 분양이되냐고요 살림집으로 고층은 안사고 싶은데요ㅠㅠ
@user-pn6td5fv1g
@user-pn6td5fv1g 2 ай бұрын
너무개입하면 부작용이많아요
@everfreeman7056
@everfreeman7056 2 ай бұрын
신도시들은 애초에 고밀도의 계획도시로 지은 것인데, 그 것을 서울 등지의 저밀도 재건축 하듯이 남의 돈으로 평수도 넓히고 더 쾌적하게 지으려고 하니 문제가 생긴 것. 신도시는 1:1로 재건축 하지 않는 한 답이 없을 것이다. 설령 고밀도 재건축으로 늘어나는 주택을 받아 줄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여러모로 주거환경은 지금 보다 훨씬 더 열악해질 것은 뻔하기 때문이다.
@user-nh2nz1fc5g
@user-nh2nz1fc5g 2 ай бұрын
과천은 차례차례 알아서 다 재건축 잘하던데.... 용적률 더줘서 괜히 문제만들지말고, 기존법대로만 용적률 주고 알아서 하라하믄 안되나? 사업성 있는애들은 재건축 하고, 사업성 안되믄 그냥 고쳐서 살아야지....집값은 시장이 알아서 잘 계산해줄것이고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 ай бұрын
세계적으로자재값 오르고,인건비오르고,땅값도야금야금오르기에 부담금오름 현실ᆢㆍ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 ай бұрын
아또 !!이자가고금리
@yulyana1530
@yulyana1530 2 ай бұрын
기존 용적율 차이땜에…과천은 저층이 주이니 그냥 놔둬도 사업성이 나오죠
@user-ge1cc3nz7v
@user-ge1cc3nz7v 2 ай бұрын
역시 부동산투기꾼 학과답다...ㅎㅎ
@water00550
@water00550 Ай бұрын
서울과 인기있는 도시 또는 지역 부동산 문제는 다른 생각을 해보세요. 서울 주택이 부족하다하여 토지를 매입해서 저렴한 임대주택을 지어 임대한다면 경기도 사람들도 임대받아 살고 싶거나 또는 지방민도 어떤 명목으로 서울에 임대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어서 수도 서울에 아무리 많은 집을 짓는다 해도 부족하게됩니다. 그냥 있기있는 도시 또는 강남처럼 인지도 있는 곳에 거주하면 주민세 폭탄을 주면됩니다. 있는 사람들 좋은 곳에 살라하고 세금을 많이걷어 분배의 방향을 얻는 것이 최선인듯 합니다.
@scko933
@scko933 Ай бұрын
정부서 규제완화 별짓 다해도 재개발 재건축 힘들어요ㆍ공사비가 너무 올랐어요ㆍ 강북이나 지방처럼 서민사는 동네는 건설 공사비 인건비 자재비 중장비사용료는 부자동네나 동일한데 집값만큼 공사비 분담금 나온다고 하니 이들 노도강같은 서민들 지역은 재건축 재개발 불가능해져 영원히 슬럼화 고통받고 사는거죠ㆍ최저임금 주52시간 중대재해처벌법 후 공사시 인건비는 두배 자재비는 1.5배 되었어요ㆍ최저임금 만큼만 오른게 아닙니다ㆍ주52시간 넘어가는시간외 외노자들 초과근무 수당도 대폭늘고 하루 한층콘크리트 바닥 타설도 이전에는 저녁 늦게도 완료짓던거 이젠 서너시간 부족해 다음날로 연장되어 또 레미콘차 부르고 노무자들 불러 콘크리트 부어 치니 30층예로 들어도 30배 공사 시간 늘어나요ㆍ한층바닥 콘크리트치고 그위에 철근 기둥세우고 목공작업하고 전기 설비 배관하는 상층 슬라브 목공작업후 콘크리트타설하는 순서니 몰아서 할 수 도 없어요ㆍ공기가 대폭늘고 야간엔 사고나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사장처벌 받을까 금지하니 또 공사기간 늘고 이래저래 문재인정부 전보다 공사비 근 2배 되었어요ㆍ문정부때 잘못된 정책들로 이제 한국 재개발 재건축 물건너갔어요ㆍ
@grammerjohn
@grammerjohn 2 ай бұрын
사기꾼특 : 쉬운이야기를 어렵게 함. 자나깨나 사기꾼 조심!. 저분이 사기꾼이라는 이야기 아님니다아니에요
@mav7079
@mav7079 Ай бұрын
한줄 요약 => 사업성이 좋을 조건: 1. 분양물량이 많다(대지지분이 높고, 용적율이 낮다). 2. 분양가가 높다. 3. 공사비가 낮다.
@NN-ix4lv
@NN-ix4lv Ай бұрын
ㅋㅋ 재건축 지어놔 봐라.가격이 천정부지다.
@user-dk5sv3fu4y
@user-dk5sv3fu4y 2 ай бұрын
학교생활에서도 ,
@user-th2hg8nl3q
@user-th2hg8nl3q Ай бұрын
신도시용적율조정할려면전국모든부동산용적률도같은비례로조정해야한다.이게안되면강제로자기돈내서재건축하게하면됨.공정하게하라
@LongLogN-sh9yx
@LongLogN-sh9yx 2 ай бұрын
국가의 재건축지원정도도 경제논리지..
@thek.nightweretiger5969
@thek.nightweretiger5969 2 ай бұрын
이프로가 주구장창 신도시 재건축은 이래야 한다는 걸 오늘 이론적으로 교수님 설명한거임. 저거 나중에 재건축할 때 비례율 잘 모르고 서로 관리처분할 때 기준 이상하게 정해지면 진짜 눈뜨고 코베이는거다.
@bohyunkim4523
@bohyunkim4523 Ай бұрын
비례율이 양수면 이익인 것 같은데요?? 음수면 손해이고요. 이익의 투자금 대비 비율이므로... 비례율이 100%면 투자금만큼은 먹어야 된다는 욕심은 아닐까요?
@user-md4cd7br6y
@user-md4cd7br6y Ай бұрын
아파트는 시간이갈수록 가치가 0원이 되야한다 자동차나 다른 물건들 처럼 주택은 노후되면 자기돈으로 새로짓는데 아파트는 공짜로 재건축하고 돈벌려고 하나
@user-lv7ge2ut5i
@user-lv7ge2ut5i Ай бұрын
땅이 있잖아요. 지분 ㅎ 0 이 어떻게 되나요?
@Mason-2012
@Mason-2012 17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이런생각을 할 수 있는지 무식함에 놀라고 간다
@iDaegyu
@iDaegyu Ай бұрын
아파트 100년 살도록 해야 한다
@sg-jl6xm
@sg-jl6xm Ай бұрын
이프로 깐족대는 말투땜에 비호감이었는데.. ㅋㅋ 점차 그만의 매력속으로 빠져드네용 하고싶은거 다하세요 응원할게요
@juhyunkim3438
@juhyunkim3438 2 ай бұрын
10평집은 30년단지에 없지않나요 16평에서 20평으로 갈수있게 지어서 분담금 낮춰야지요 집주인들 다 쫓겨나겠네요
@user-yc4uk4gm2r
@user-yc4uk4gm2r 2 ай бұрын
설명 참 어렵게 하네요. 이건 신도시 뿐만아니라 모든 재건축에 적용되는 사항인거 아닌가요.
@dannylee9662
@dannylee9662 Ай бұрын
한줄 요약 : 용적률 올려야 사업성이 나오는 신도시 재건축은 답이 없다.
@user-sp4bz6od3e
@user-sp4bz6od3e 2 күн бұрын
아니근데 이분 직업은 알겠는데 뭐하는 분이길래 국토부 대변하듯 설명하지 ㅋㅋ
@kjy8825
@kjy8825 Ай бұрын
예를 들어보자... 타워 펠리스가 현재 20년이 지났고 앞으로 3~40년이 지난다면 어찌 될까..? 현재 보다 더 높게 지으려면 지금보다 훨씬 큰 대지면적이 확보 되던가, 아니면 1:1 용적률 로 자기 돈으로 이주 이사하고 총 공사비 전액 부담 해야 하는데.. 이것도 문제가 되겠다. 언젠가는......할인 매도해도 매수 하지 않겠네.. 왜냐면 분양가 가 아닌, 실제 대지지분 실거래가 + 실 공사비 만 주택 가격으로 인정 될듯.. 더구나 인구감소도 있고...
@user-ul2mm2gg9d
@user-ul2mm2gg9d 15 күн бұрын
이분 애매하다
@user-zw7xx3fw6o
@user-zw7xx3fw6o 2 ай бұрын
부담금 없는 사람은 결국 빗인데... 이자는요. 걍 그냥사는게... 새아파트 월세내는 꼴.
@sophiakang9907
@sophiakang9907 2 ай бұрын
I'M HUMAN TOO.
@refra494
@refra494 2 ай бұрын
이런게 교수다... 대한민국의... 젊은이여! 이민가라. 배아파!!! 그럼 그린벨트로 묶어 놓고 나무하나 못베게 하는 거는.. 용적율 묶어놓고. 용도별로 토지 규정해 놓은거는... 모두가 가급적 공공적이익을 공유하기 그ㅠ모든 규제를 하는 거다...
@Hittheroad365
@Hittheroad365 2 ай бұрын
기회많이 드렸어요
@Stanly-YUN
@Stanly-YUN 2 ай бұрын
정부의지가강하긴 ...2년동안 뭘한지 알질못하겠구먼.. 국토부 양평얘기만생각나네
@jaylee8669
@jaylee8669 2 ай бұрын
어우 이프로 잘생겼어
@jenny20835
@jenny20835 2 ай бұрын
안프로는요?
@Sungkookpark11
@Sungkookpark11 2 ай бұрын
오랜만입니다
@user-ph4yw7nh2f
@user-ph4yw7nh2f 2 ай бұрын
지금 얼굴 타령.....아파트 재건축 문제 안데..
@Jinsil442
@Jinsil442 Ай бұрын
100년이상 가는 아파트 지어라. 고작 30-40년만에 뭔 낭비냐.
@JongwooKim-xd3fp
@JongwooKim-xd3fp Ай бұрын
더 멀리보면 망하자는 이야기다 용적률 지금 막 늘리면 그 다음 30년후는 ?
@user-dk5sv3fu4y
@user-dk5sv3fu4y 2 ай бұрын
학교생활에서도 성적이 중위권도 못되는 애들이 뒤에서 은근히 남들의 성적이나 비판하면서 자신이 우회적으로 잘난 척하는 애들을 많이 보아 왔는 데 오늘 그런 놈을 또 봅니다! 이런놈들 어른이 된 뒤에도 그때나지금이나 똑같씁디다! 지돈 아까워 내기바둑에 나서지도 못한놈이 이상한 훈수 하나로 분란이나 조장하는 놈들이 이런 놈들입니다! 이런놈들은 남앞에 나서지 말고 방안 퉁소나 부세요!
@newera9710
@newera9710 Ай бұрын
정말 쉬운 숫자를 어렵게 푸시네요 ㅋㅋ 그러니까 신도시 사업성을 높이려면 용적률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는 말인데 그말은 다시 말하면 신도시 거주환경이 훨씬 나빠지게 되고 초기 재건축 사업성은 사기일 뿐이라는 겁니다.
@user-vc5id5zo6s
@user-vc5id5zo6s 2 ай бұрын
이기자님이 교수하시는게 훨씬 좋을 듯. 건대 부동산학과 위상 급 추락
@user-wq2fi5cv2b
@user-wq2fi5cv2b 2 ай бұрын
수준낮은 댓글
@user-br6wv6pd8d
@user-br6wv6pd8d 2 ай бұрын
도시정비법을 수학적으로 풀어보면 용적률을 높일수록 추가부담금이 늘어납니다. 교수님! 저도 평생을 대입수학을 지도한 사람입니다. 베타값을 어떻게 한다는 설명은 결국 재건축후의 이익이냐 손해인가를 따지는 것인데 옛날 재건축은 국가가 도와주었는데 지금은 국회가 추가부담금 지옥으로 가도록 법을 그렇게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용적률 500%로 하면 추가부담금이 급격히 늘어납니다. 둔촌주공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확정지분제하에서 총회에서 모든것이 정해질 때 시장가격에 의한 재건축이 되는 것입니다. 수학적으로 보면 현 도시정비법하에서 용적률을 높일수록 추가부담금이 늘어나므로 국민에 대한 대사기극입니다. 그리고 재건축에 신탁회사는 왜 도입합니까. 총회에서 결정하면 되는데 왜 나의 재산권을 남에게 신탁하는 것입니까? 😅
@myskynet2
@myskynet2 2 ай бұрын
2등
@user-rx6qi5hm3k
@user-rx6qi5hm3k 2 ай бұрын
너무 수준이 높은 교수님을 모셔왔네.
@cloudshiba2176
@cloudshiba2176 2 ай бұрын
수학은 신에 가장 가까운 언어이다.
@ma2hful
@ma2hful 2 ай бұрын
전문가 맞으신지... 정부가 할수있는게 용적률 조절 밖에 없다는건 부린이도 알겠네요. 그리고 비례율은 100% 된다고 좋은게 아니라 조분가와 감평가로 충분히 의도적으로 만질수 있는 개념입니다
@user-fw2eu4tb7s
@user-fw2eu4tb7s 2 ай бұрын
정말 수준낮네요. 정돈된 내용으로 토론이 필요한듯
@user-kr9pw9rp2r
@user-kr9pw9rp2r 2 ай бұрын
두번째
@jamesyoo5529
@jamesyoo5529 2 ай бұрын
자기돈내고 1:1로 합시다
@scko933
@scko933 25 күн бұрын
공사비 올라 폭탄 분담금 못 피합니다ㆍ강북이나 지방처럼 건설 공사비 인건비 자재비 중장비사용료는 동일한데 집값만큼 공사비 분담금 나온다는 지역은 재건축 재개발 불가능하니 영원히 슬럼화 고치고 살게 생겼습니다ㆍ최저임금 주52시간 중대재해처벌법 후 공사장 대부분 외노자들인데 인건비 자재비는 거의 1.5배 넘게 되었어요ㆍ문정권 5년간 최저임금 41%올랐어요ㆍ주휴수당없는 일본보다 평균 최저 시급 2천원 높아요ㆍ그러니 물가가 안오를수 없죠ㆍ최저임금 만 오른게 아닙니다ㆍ주52시간 넘어가는시간외 외노자들 초과근무 수당도 대폭늘고 하루 한층콘크리트 바닥 타설도 이전에는 저녁 늦게도 완료짓던거 이젠 서너시간 부족해 다음날로 연장되어 또 레미콘차 부르고 노무자들 불러 콘크리트 부어 치니 30층예로 들어도 콘크리트타설만 해도 30일 될게 60일로 공사 시간 늘어나요ㆍ다른 전기 설비 공정들도 마찬가지로 늘어난 겁니다ㆍ한층바닥 콘크리트치고 그위에 철근 기둥세우고 목공작업하고 전기 설비 배관하는 상층 슬라브 목공작업후 콘크리트타설하는 순서니 콘트리트 작업 몰아서 할 수 도 없어요ㆍ공기가 대폭늘고 휴일 야간엔 사고나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사장처벌 받을까 금지하니 또 공사기간 늘고 이래저래 문재인정부 전보다 공사비 폭등 되었어요ㆍ캄보디아인 자국평균30만원 한국오면 평균 270입니다ㆍ일본가면 210만원입니다ㆍ아시아 최저임금 제일높은 나라가 일본 싱가폴 아닌 한국입니다ㆍ왜 외노자 지역업종 차별두는 일본과달리 한국은 임금다 송금 내수경제 도움 안하는 외노자 같이 적용합니까? 그리고 힘든 산업현장과 힘안드는 농축산현장 시급이 같은 나라 한국뿐입니다ㆍ문정부 민주당 정책의 저주들로 윤석열 아무리 재건축 규제 풀려 한들 이제 5~6억 분담금 부담느끼는 한국의 서민동네 재개발 재건축 물건너갔어요ㆍ
@user-ck4pu7zm1p
@user-ck4pu7zm1p 2 ай бұрын
대우건설이 왜 그모양이었는지 이해된다.
@user-ph7ph6xt3n
@user-ph7ph6xt3n 2 ай бұрын
왜 어렵게 설명하려하지? 있어보일려고 너무 노력하시네
@user-je7yw9sy3k
@user-je7yw9sy3k 12 күн бұрын
현재 가치만 받으라면 누가 재건축하냐? 현재 가치가 실제 가치를 온전하계 반영하고 있다고 인정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네.
@0819psy
@0819psy 2 ай бұрын
1) 왜 노계특별법은 통합단지를 지향하는가? 라는 이프로의 질의에 이용각 겸임교수 답변이 신통찮네요. 단지별 개발은 계획성, 통일성이 없다? 글쎄요. 통일성은 다른 측면에서 보면 획일성이고 다양성의 부족입니다. 제 생각은 컴팩트 시티가 도시계획의 대세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규모의 경제와 에너지 절약의 필요로 인해. 2) 비례율= 용적률 x (종후가격/종전가격) x (1-공사비/종후가격)? 이런 공식 처음보네요. 비례율 = (종후가격 총합 - 사업비) / 종전가격 총합입니다. 3)관리처분계획 문제? 통합단지개발이 힘든 이유는 같은 평형의 단지별 종전가액이 차이가 나서 힘들다? 차이가 나는게 당연하죠. 그걸 감정평가라는 제도를 통해 주민들이 합의를 하는 것이고. 다른 단지의 종전가 차이를 인정해줘야지 같은 평형이라고 같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통합개발 힘들죠. 4)뉴타운과 특별법의 방법이 다르다? 저 생각에는 같습니다. 특별법 내에서도 특별정비구역 지정 안받고 그 결과 용적률 인센티브 150% 안받고 노후계획도시 평균용적률(아마 300% 정도 되리라 예상함) 만 적용받아 하는 곳도 많을 것임(현재 용적률은 평균 200 %임)
@user-is4yz4rd8v
@user-is4yz4rd8v 2 ай бұрын
지가 더 안다고 생각하네 상대는 박사 출신인데 같잖은 🐦 끼
@user-cp9bq7gl9x
@user-cp9bq7gl9x 2 ай бұрын
세줄요약 1. 재건축은 조합사업이므로 넘이 나보다.더버는꼴을 이해하기 어려워 단지를 묶어서 통합재개발은 어렵다(아임 휴먼) 2. 용적률을 획기적으로 상향해도 단지별, 단지내 유닛별 토지지분가 혹은 거래가격에 대한 이견을(관처단계에서 합의가 어렵다) 좁히기 어렵다(아임휴먼) 3. 가격과 가치가 높은 동네(ex분당)일수록 더 양보는 없다. 분당외 1기 신도시는 일분가가 낮아 높은 건축비를 감당할수없기에 추진단계에서 분담금의 감당이 어렵고 사업추진이 쉽지않다. 한줄요약 : 안되는건 아닌데 사업성이 아주 좋고 조합원들이 여유있어서 동의율이 잘나올 아파트를 사세요.
@user-rq9kz9ds9p
@user-rq9kz9ds9p 2 ай бұрын
없다
@user-vo8rb3zj4y
@user-vo8rb3zj4y 2 ай бұрын
아오 자기가 주장하려는 바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전문가가 있나요? 20분이면 설명할 지금 시점에 중요하지도 않은 뻔한 얘기를 1시간이나 듣고 있어야 돼요? 컴팩트하고 알차고 스마트하게 방송합시다 쫌 시간낭비를 했네
갑자기 변심한 국토부, 재건축 상가 큰일났습니다 (분전리서치 김건우 대표)
55:3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09 М.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Final increíble 😱
00:39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속도 내는 1기 신도시 재건축 현실에선 이게 폭탄입니다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자)
28:38
재건축 규제 풀면 "이런 아파트"만 좋아집니다 (채부심 채상욱 대표)
36:29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46 М.
이것 모르면 재개발 입주권 날리고 현금청산됩니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
55:43
아파트 공급 부족 생각보다 훨씬 심각합니다 (분전아카데미 김건우 대표)
1:05:0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78 М.
인간이 지하수 퍼내자 지구 자전축이 변했다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1:12:44
건강검진, 진짜 솔직하게 까발립니다 (김윤수 영상의학과 전문의)
1:08:2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596 М.
지금 재개발, 재건축이 큰일 난 이유 [김건우 대표 3부]
26:46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125 М.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