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252회] 쓰레기 ‘오픈런‘ 시대 - 버려진 재활용 정책(24.05.05)

  Рет қаралды 101,595

MBCNEWS

MBCNEWS

26 күн бұрын

◇ 쓰레기 ‘오픈런‘ 시대 - 버려진 재활용 정책
- 이준희 기자
- 쓰레기차도 '오픈런'
- 소각장, 지을 수 있을까
- 민간소각장이 대안?
- 분리배출 잘해도
- 오락가락 정부 정책ㅤ
ⓒ MBC &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Пікірлер: 449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5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yg2vw8sx7f
@user-yg2vw8sx7f 23 күн бұрын
국민 세금에 빨대 꼽지마라. 소각장 주변에 암환자 폭증했잖아. 재활용시설에 투자하고 소각은 시멘트업체에 팔아라. 세금안들이고 가능하다. 시멘트업체에서는 무연탄 비싸다고 쓰레기 사고 싶어한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BYH-wc5fd
@BYH-wc5fd 14 күн бұрын
발생지 처리원칙은 도덕적으로 합리적인 방법같지만 그건 저들이 전국에 쓰레기 소각장 건설로 건설이익 .국가에서 받는운영자금을 지속적으로 받아 정치자금줄로 이용하려는 민주당의 저질스러운 꼼수 입니다 현재 민간. 공공소각장으로도 모자라지 않다 합니다
@user-eg5bg3jk5c
@user-eg5bg3jk5c 20 күн бұрын
전국구 소각장 건설 결사반대‼️‼️‼️ 시멘트업체에 톤당 5만원에 해결하면 될일이다‼️‼️‼️ 소각장 이권카르텔 종🇨🇳이재멸, 오세훈, 유정복 OUT‼️‼️‼️
@user-fy3zz5ny4h
@user-fy3zz5ny4h 15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소각장은 더이상 안지어도 된다 이미 지자체에 있고 자원으로 활용하면 되는데 자원회수 시설이라 거짓으로 말하고 소각장을 지으려는 노조들은 물러가라!!!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yg2vw8sx7f
@user-yg2vw8sx7f 23 күн бұрын
소각시설 안 부족하다. 시멘트 업체에 팔면 된다. 방송사는 선동 왜곡 방송정정해라. 시멘트업체는 쓰레기가 모자라서 난리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12 күн бұрын
잠깐. 쓰레기 태우면 각종 인체유해 가스 나오는데 그 걸 인구말집지역에 짓겠다고? 제정신임?
@Jubinau
@Jubinau 11 күн бұрын
시멘트 공장은 쓰레기를 소각장보다 훨씬 고온으로 태우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많이 배출되지 않는다. 시멘트 공장에서 처리하게 하면 되는 좋은 대안이 있는데 안하는거다. 그라고 이미 소각장이 전국에 138개다. 그걸로 충분하다. 나라가 지금 빚더미 있데 왜 돈을 그런데 쓰는거냐!
@user-fd6xq4es6e
@user-fd6xq4es6e 24 күн бұрын
분리수거를 똑바로 해놔도 가져갈때는 다 합쳐버리니 비효율적... 생산공정, 등급 분류 아무리 해봐야 수거 체계를 바꾸지 않으면 어려울듯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비계삼겹살,사이버테러중국조선족간첩 고위언론 mail 추궁해야 꼭! 선거도 인증해야! 중국 : 니 잡았노
@user-rx1cn8gd8q
@user-rx1cn8gd8q 23 күн бұрын
합치는게 맞는거지
@dreamx6711
@dreamx6711 22 күн бұрын
수거체계가 아니라 국내에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할수 있는 업체가 적어서 실제 재활용 쓸기의 10퍼센트정도만 처리가 가능하다.... 그래서 아무리 잘 모아봐야... 재활용할 업체가 없음....
@user-rosy
@user-rosy 20 күн бұрын
발생지 처리원칙은 공공소각장을 국민세금으로 더 지어서 정부보조금 해먹으려는 기만술이죠~ 이미 지어진 민간소각장을 활용하거나 시멘트업체만 활욤해도 쓰레기 문제 해소가능~ 부실하게 지어진 공공소각장이 있다면 오히려 철거해야죠~ 쓰레기가 모자라지 절대 소각장이 모자르지 않습니다~​@@dreamx6711
@jimyungbaek6127
@jimyungbaek6127 15 күн бұрын
#영종권익실천위원회 재활용에 힘쓰는게 아니라 소각장건설에 빌드업하는 게 친환경을 내세우는 현재와 불합치상황. 국민건강을 생각한다면 소각장건설300미터법제정한 민주당은 진정나쁜사람들이다. 세금낭비,국민건강위해. 소각장건설법폐기하라.
@user-rosy
@user-rosy 14 күн бұрын
국민생명권을 존중합시다~~
@user-fl5lw9tt4r
@user-fl5lw9tt4r 20 күн бұрын
님비현상이 아니라 건강해치는 다이옥신 때문에 거부하는 거에요. 소각장 안 만들어도 되요ᆢ 쓰레기를 시멘트 업체 주면 아주 좋아해요~ ^^ 톤당 5만5천원에 처리 할수 있어요~~~
@jimyungbaek6127
@jimyungbaek6127 15 күн бұрын
#영종권익실천워원회 소각장300미터법 민주당이 제정했네요. 주민들 밀집지역에 세금 써서 소각장 많이 지어서 국민들 다이옥신 에 노출시켜 병들게 해주려는 겁니다~
@Jubinau
@Jubinau 11 күн бұрын
진실을 보도해라. 소각장이 부족한게 아니고 다른 지역으로 쓰레기 이동하는걸 불법으로 해놔서 그런거잖아.
@user-fy3zz5ny4h
@user-fy3zz5ny4h 15 күн бұрын
1. 공공소각장 정부보조금은 누구 호주머니에(누구꺼)? => 운동권 정치인, 노조 및 관련 시민단체 (환경단체) 카르텔 호주머니 2. 생활쓰레기는 지자체 공공소각장이 사업장쓰레기는 민간폐기물 처리업체 (소각업체)가 처리해야 하는 발생지 처리원칙은 뭐다? => 불필요한 공공소각장을 지어서 국민혈세로 충당되는 소각장 이권카르텔의 정부보조금 슈킹을 위한 거짓말 3. 공공소각장 정부보조금은 소각장 이권카르텔의 몫이고, 공공소각장 발생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흡입은 누구 몫? => 우리와 같은 대다수 선량한 국민몫
@rosemary5494
@rosemary5494 24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소각을 시멘트 업계에서 다 해주는 데 왜 더 소각장을 만들어야 하나요? 쓰레기 소각장 근처 주민들 중에 암에 걸린 사람도 있다는데요. Mbc가 나서서 소각장 이슈화 시키는 것도 뭔가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user-yg2vw8sx7f
@user-yg2vw8sx7f 23 күн бұрын
시멘트업체에 판매해라. 소각장 건설 반대 시멘트업체에서는 쓰레기못 구해서 난리다. 요놈들 선동하는건가?
@user-jm6pt9ub1p
@user-jm6pt9ub1p 24 күн бұрын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유초중고 전교육과정을 통해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을 즐겁고 재미있는 곳으로만 현장학습으로 데려갈 것이 아니라 쓰레기 매립장, 쓰레기 소각장, 재활용쓰레기 처리장 등으로 가서 현장 교육을 해야합니다. 아마도 10~20년은 계속 교육을 하야 변화를 느낄 것입니다.
@MaxKim-mj6rp
@MaxKim-mj6rp 23 күн бұрын
쓰레기 늘어난 최대 원인은 택배 때문... 택배에 대한 쓰레기.매각세를 매기고... 택배 쓰레기를 줄일 수 있게 법적으로 재제하는게 먼저임...
@jimyungbaek6127
@jimyungbaek6127 15 күн бұрын
#영종권익실천워원회 에서 진실을 알아보세요.환경살리기에 역행하는 현실. 재활용보다 쓰레기소각에 열심인 이유가 뭘까?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heaye
@heaye 24 күн бұрын
끔찍..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Hellosunset10
@Hellosunset10 24 күн бұрын
인간이 위대하지만 지구입장에서는 최대 쓰레기지…
@yygvdjj6558
@yygvdjj6558 22 күн бұрын
위대하긴ㅋ 그저 지구 기생충
@user-wl2gn4vz5k
@user-wl2gn4vz5k 24 күн бұрын
환경정책도 몇십년전으로 후퇴했는데 뭐 어쩌겠나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단돈만원 cj>쿠팡>개알발>개무
@thsdnd
@thsdnd 23 күн бұрын
무슨 정책이요?? 뭘 알면서 말하는건가?? 제대로 알지 못하면 그냥 조용히
@ljhosep9404
@ljhosep9404 23 күн бұрын
댓글특: 정책모름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thsdnd
@thsdnd 14 күн бұрын
@@user-fp5ld3jw7k 1) 공공소각장 건립은 민간소각장에만 의존했을 때 발생가능한 갖가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수적이지요 .첫번째로는 민간소각장의 위치에 있습니다. 민간소각장 중에 서울시내 위치한 소각장이 몇개나 있나요? 대부분 지방에서도 상당히 이격된 위치에 있기에 쉽고 빠르게 폐기물을 옮겨 소각하기에 적절치 않습니다. 또한 비용의 측면에서도 공공소각장이 저렴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요. 공공소각장은 그나마도 국가가 운영하기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민간소각장의 높은 마진율을 부정하고 싶진 않으시겠죠? 또한 공정거래법 운운하기엔 현재 공공소각장은 국가소유 국가주도로 건립되는 점 너무 간과하신 것 같네요. 어딜봐서 공정거래법이 국가의 독점까지 관여하게 되는거지요?? 그럼 국방 항공부터 전력시장 전부 민간에 개방해야지요. 말이 안되는 논리입니다. 원자력도 민간에게 건설하게 하시지 그러세요? 국가운영에 필수적인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국가 소유로 국가가 독점할 수 있는 충분한 법률적 근거가 있습니다. 그리고... 소각장의 다이옥신이니 뭐니 말씀하시는데 그렇기 때문에 공공소각장이 필요한겁니다. 다이옥신 무조건 나오게 되어있습니까? 현재 스토커방식으로도 높은 온도로 적절히 관리되는 시설에서는 다이옥신 배출되지 않습니다. 님도 대기오염방시시설이 적절히 관리운영되지 않음을 전제로 말씀하셨지요? 그렇다면 반대로 적절히 운영되도록 하려면 민간시설보다는 국가가 운영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지금 민간 폐기물 처리업체들의 불법적인 폐기물 처리로 국가가 얼마나 피해보고 계신진 알고 계시죠?? 민간에게만 맡기게 되면 그 사회적 해악은 누가 감당해야 하나요? 폐기물의 적법하고 안정적인 처리보다 이윤추구가 더 중요한 가치로 운영되는 민간소각장이 어째서 국가소각장보다 우선되어야 하는지요? 님의 두번째 논리 때문에 공공소각장이 더 필요한겁니다. 물론 민간 소각장을 부정하고자 하는건 아니고 그 나름의 쓰임새가 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만, 그렇다고 해도 국가소각장이 중요거점마다 설치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님의 그러한 말들이 정책의 후퇴라고 표현해야 하는 사안들인가요?? 님이 말한 정책들은 이미 수십년전부터 어느 정권 할 것 없이 추진되어온 정책들인데요? 현정권의 정책 후퇴와는 관련없는 사안들입니다.
@user-rosy
@user-rosy 20 күн бұрын
발생지 처리원칙은 공공소각장을 국민세금으로 더 지어서 정부보조금 해먹으려는 기만술이죠~ 이미 지어진 민간소각장을 활용하거나 시멘트업체만 활욤해도 쓰레기 문제 해소가능~ 부실하게 지어진 공공소각장이 있다면 오히려 철거해야죠~ 쓰레기가 모자라지 절대 소각장이 모자르지 않습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eva-rei
@eva-rei 24 күн бұрын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지만 인간만이 사회를 파괴한다.
@user-rosy
@user-rosy 12 күн бұрын
정부보조금 해먹는 공공소각장 어찌되든 하려고 애쓴다~ 엠비씨와 공공소각장 이권단체들 지역주민 거주지 인근 300m 마다 공공소각잠 지어서 정부예산 끼리끼리 해먹는 것도 모자라 전국의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로 가득채우려고? 진짜 친환경 생각하는거 맞나? 아님 돈벌이에만 혈안되어있나?
@saintblue4074
@saintblue4074 24 күн бұрын
강남에서 나온건 강남에서 처리하고 강서에서 나온건 강서에서 처리하고..각 선거구별로 처리하자.. 각자도생이다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강남 사람은 강남 에서 삼겹살 막고 지즈고 사람은 지주고에서...니말이맞다면 비계가 많다는 게 무슨 말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음식점 리뷰는 촘.촘.하게 여러분 저게 진보 이그잼플!
@dschai0220
@dschai0220 24 күн бұрын
너희집 쓰레기는 너희 안방에 버려..각자도생
@su_a1227
@su_a1227 24 күн бұрын
이 매립장을 잘만 활용하면 랜드마크로 활용 할 수 있음! 덴마크 코펜하겐 ’아마게르 바케 Amager Bakke' 친환경 소각장! 평소에도 아이들이 옥상 잔디에서 뛰어놀고 겨울엔 스키도 탐... 깔끔한 공무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출근함
@user-ui8et8ir5f
@user-ui8et8ir5f 24 күн бұрын
​@@sujinKim-zy6dw 이게정신 나간 보수 댓글
@yunkim9320
@yunkim9320 24 күн бұрын
쓰레기는 배출하고 소각장은 안된다?? 냄새때문에 못살겠다고??? 그럼 "어디다가 소각해???" 이렇게 물으면 그건 정부에서 알아서 해라 이런식임, 쓰레기는 배출해도 우리지역은 안된다. 다 안된다고 하지? 그럼 어디로가??? 그럼 수거를 하지 말아야지... 각자 알아서 처리 하던가 제일 좋은 방법은 각 지역에서 알아서 자체 처리 해라 혹은 기존 소각장의 규모를 대폭 늘리는수 밖에 없음. 서울의 경우 각 구 마다 소각장 만들어야지뭐 강남구는 강남구에서 처리하도록해.....
@yeonshilllee2239
@yeonshilllee2239 24 күн бұрын
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안락하게 살고 싶은 국회의원님 안녕흐세요ㅋㅋ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고양시 국회의원은 진보
@k-love8896
@k-love8896 24 күн бұрын
강남은 국짐당
@petergriffin9902
@petergriffin9902 24 күн бұрын
님비현상은 민주당이나 국짐이나 별 차이없네
@rafina2276
@rafina2276 24 күн бұрын
투명페트 따로 배출하게된지 오래됐지만 아직도 접착제로 라벨 붙이는 페트병 많음..
@sy-jz8lk
@sy-jz8lk 24 күн бұрын
서울 시장이야 말로 님비 사례의 표본! 발생지 처리원칙 모범을 보이시라고요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서울시는 ai
@k-love8896
@k-love8896 24 күн бұрын
오세훈은 관심이나 있을까
@tsukiyama-akihiro
@tsukiyama-akihiro 24 күн бұрын
일본처럼 지역별 소각장에서 소각하고 재만 매립해야 한다. 한국은 역시 수준이 너무 떨어진다.
@user-mp5ui8lp9h
@user-mp5ui8lp9h 23 күн бұрын
소각장은절대더이상 지을필요가없습니다 시멘트업계에서 쓰레기를연료로이용해서 양질의 시멘트를만들고있습니다 비용도55000원 입니다 소각장에서 태우면230000원 입니다 소각장은 노조에서 운영하고있고 소각장은 국민의세금을 낭비하고있습니다 소각장을더 지어야한다는주장은세금을낭비할뿐입니다 시멘트업계에서 쓰레기를 처리해주면 서로서로가좋은일입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소각장은 추가로 짓지 않아도 됩니다^^
@user-rosy
@user-rosy 20 күн бұрын
공공소각장이 처리비가 톤당 10만원 매립이 톤당 13만원 민간소각장이 26만원이라고 했는데, 예시를 한 번 들어볼께~ 발생지 처리원칙으로 인해 생활쓰레기는 지자체 공공소각장 밖에 처리를 못하게 막고 있고, 민간소각장은 사업장쓰레기만 처리물량으로 할 수 밖에 없는데, 생활쓰레기와 사업장쓰레기가 대부분 성상(성질과 상태)이 거의 같고, 생활쓰레기 처리대상물량이 1000톤, 사업장쓰레기 처리물량이 100톤이라 가정하면, 민간소각장은 발생지 처리원칙 때문에 실제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가능함에도 제도상 막혀서 100톤 밖에 처리가 안되니 규모의 경제가 적으니 처리단가가 비쌀 수 밖에 없을 것 같네. 그런데, 민간소각장 입장에선 발생지 처리원칙이란 규제가 없다면 예시로 든 생활쓰레기 1000톤 + 사업장쓰레기 100톤 총 1100톤의 처리대상을 놓고 공공소각장과 가격경쟁을 한다면 규모의 경제 논리로 보면 26만원 보다 훨씬 더 처리단가가 절감 가능할 것 같어. 결국, 내 떵은 내가 치운다 라는 그럴 듯한 사기술로 자유시장경쟁을 지자체 공공소각장 이해관계자 카르텔들이 시장 독점을 위해 민간소각장 그리고 시멘트제조업계의 생활쓰레기 처리 시장 진입을 막고 있다는 것으로 밖에는 해석할 수 밖에 없네. 내가 법 전공은 아니지만 이건 일반 불공정거래행위 9개 유형(① 거래거절, ② 차별적 취급, ③ 경쟁사업자 배제, ④ 부당한 고객유인,⑤ 거래강제, ⑥ 거래상지위 남용, ⑦ 구속조건부거래, ⑧ 사업활동 방해, ⑨ 부당한 자금·자산·인력의 지원 (부당 지원행위)) 중 ② 차별적 취급에 해당될 것 같어. 발생지 처리원칙 자체가 그린워싱 (친환경팔이사기 위장환경주의)에만 해당되는 줄 알았는데 자유시장경제에서 중요한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도 있는 뭐 같은 정책이네~ ※ 차별적 취급이란? 사업자가 거래상대방에 대해 거래 지역이나 가격, 기타 거래조건을 차별하여 경쟁사업자나 거래상대방의 지위를 약화 시켜 자신의 지위를 유지 · 강화하는 행위 (공정거래법 제45조 제1항 제2호) 시멘트제조업계는 쓰레기소각처리단가가 톤당 5~7만원 이고 플라즈마 고온소각(1400도 이상) 방식이라 일반 지자체 공공소각장 처리온도(약 900도) 보다 훨씬 높아 다이옥신 같은 발암성 유해물질 배출도 거의 없고 시멘트 생산이라는 생산적 결과도 나오네요.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ho6tb6oj8u
@user-ho6tb6oj8u 24 күн бұрын
소각장 반대하면 쓰레기 수거 안하면 된다
@yygvdjj6558
@yygvdjj6558 22 күн бұрын
니네 집에 설치하자!!
@user-ho6tb6oj8u
@user-ho6tb6oj8u 22 күн бұрын
@@yygvdjj6558 병원부터 가봐라
@user-uj6dp5rd8z
@user-uj6dp5rd8z 22 күн бұрын
​@@yygvdjj6558 님아 이거 찬성하면 님이 싫어도 님 집에 소각장 지어요~^^ 뭘 좀 알고 이런 댓글 쓰세요... 소각장 입지선정거리부터 알고서 이런 댓글 쓰나봅니다??? 2km에서 300미터로 줄이면 님 사는 거주지역에 몇 개가 들어설 수 있을까요~~??😂😂
@2jin1
@2jin1 15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si9sc1jv1x
@user-si9sc1jv1x 24 күн бұрын
기업들이 앞장서서 재활용품 활용을 높여야 되는데 너무 안하는듯 싶네요
@ujhkweras2_sd
@ujhkweras2_sd 24 күн бұрын
이말이 맞음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2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lc8kz8pl5o
@user-lc8kz8pl5o 22 күн бұрын
소각은 해도되나? 대기오염 지구온난화도 20~30년전과는 비교도 않되고! 이속도로가면 미세먼지로 살기힘들어질수도 있다! 결국 쓰레기를 줄여야되는데! 일회용컵,빨때,수저,그릇도 못없애고있다!! 결국 옛날엔 이런거 없이도 잘 살았다! 단지 좀더 편하게 돈은 잘 벌기위해 지구를 파괴했을뿐!! 잘 생각해봐라 할수없는게 아니라 하기 힘들뿐! 않되는것과 힘든건 다른거다! 그리고 반강제적으로 하지않으면 실천 불가능할것이다! 할꺼면 그냥 빠르게 전부 뜯어고쳐야 말이 덜 나오지 머는대고 머는않되고 시간끌다 흐지부지 되고! 애초에 일회용을 전면폐지하면 배달음식이 배달부를쓰거나 수거시스템이 확립되겠지만 천천히? 이걸론 흐지될뿐이다 과자나 모든음식도 사로갈때 용기를 들고 사로가게끔 전부 바꿔버리면 거기에 맞게 시스템이 바뀌기 훨씬 좋다 시간끌며 조금씩 바꾸자? 이게 더 힘든것이다!!
@mytravel3885
@mytravel3885 24 күн бұрын
배달 음식과 과식을 유도하고 매일 쓰레기 똥 10kg 씩 만들어 내는 먹방을 금지 시켜야 합니다.
@user-oe7px9di7s
@user-oe7px9di7s 22 күн бұрын
소각장을 지으면 안된다가 아니고........쓰레기 버리는처벌을 강화했으면좋겠다.........일단 쓰레기를 버리지말아야지 소각장도 많이 필요가없을텐데 우리나라 길거리 곳곳에 아직도 쓰레기 천국이다..........나는 안산에 살고있다 여기는 공단이많다 ........외국인들도 길빵담배꽁초 아무렇지않게 길거를 다닌다........ 쓰레기를 버리는양이 많아지면 쓰레기 배출양을 먼저 쭐여야지 맞다고본다......에휴 땅도 조그만한 나라에서 날리네 날리야
@user-xx5xr2kt4u
@user-xx5xr2kt4u 24 күн бұрын
배달음식 프라스틱 용기 재활용 해야 합니다ㅡ 분 리수거 잘합시다ㅡ자연 을 보호해야 합니다 쓰레기 대란 끔직하네요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제조업 강국 대한민국은 팬다처럼 보빻안해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니 친구 끔찍하네
@FuckingYoutube18
@FuckingYoutube18 24 күн бұрын
오염된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안되고 인건비 등이 올라 재활용을 하면 적자가 나서 분리수거의 일부분만 재활용 됩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rosy
@user-rosy 10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이를 지원사격을 하는 듯 한 논조의 주요 미디어의 방송내용도 그렇고요.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지자체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 및 추가 구축/운영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다른 편의시설과 결합해서 쓰레기 소각장이 아닌 것 처럼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 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dnh3543
@dnh3543 24 күн бұрын
강남은 강남에 버려 뭘 타지역에 버리냐 강남인간들 돈 많잖아 니들이 똥싼거 니들이 처리해라
@user-rosy
@user-rosy 20 күн бұрын
기존 민간소각장 이용 및 고온 플라즈마 소각 방식(다이옥신 등 유해가스 배출 거의 없음)을 이용한 시멘트 제조 활용, 쓰레기 재활용률 제고 등 방법이 있음에도 불필요하게 주마 거주지역 300m 인근에 공공소각장을 국민혈세 낭비해가면서 공공소각장 이권카르텔만 배불리고 국민건강을 위협한다는게 문제인 겁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indigoblue965
@indigoblue965 12 күн бұрын
초딩 수준의 논리입니다. 그 논리면 너희 집 쓰레기는 님의 집 가스레인지로 태워 없애라고 해도 입 닫아야 합니다. 거기에 유독가스 처리 설비도 님 돈으로 설치해야 하구요. 지역은 지역대로 입지에 따라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용도로 달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겁니다. 시멘트 업계에 넘기고 강남구 구민은 세금 걷어 시멘트 업계 주면 됩니다. 그게 비교도 안되게 절약되고 효율적입니다. 가뜩이나 도심지는 녹지가 부족한데 금싸리기 땅에 녹지는 조성못할망정 유해물질 품어내는 소각장을 짓나요? 아무리 관리를 해도 녹지가 건강에 해롭나요 소각장이 해롭나요? 국민들 유독가스로 다 폐암걸려 죽일 셈입니다. 님 집앞에 소각장이 님 폐에 암세포를 발생시킵니다. 한 번만이라도 더 좀 깊이 생각해보시길...
@k-love8896
@k-love8896 24 күн бұрын
소각장 없는 지역은 수거도 하지 말아야 정신 차리지 ,,, 강남 쓰레기는 강남에서 강북 쓰레기는 강북에서 ~ 소각장 입지 반대할 거면 쓰레기 각자 알아서 처리하기,,, 주변 주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정도면 소각장 근로자는 멀쩡 하겠나? 가장 위험한 환경에 노출된 사람은 소각장 근무자임
@suhyeonoh1957
@suhyeonoh1957 14 күн бұрын
엠비씨가 2022년 소각장에서 참전군인 3배의 고엽제성분이 검출되어 위험하다 방송했었습니다. 그런데 지역마다 주민들 생활권에 짓자니 엠비씨가 문제네요.
@user-dk1vn8sc1t
@user-dk1vn8sc1t 23 күн бұрын
20년만 버티면됨. 저출산문제로 인구가 줄어서 쓰레기안생김. 대신 고령인구증가로 화장터는 쫌 바쁠수도...
@Jubinau
@Jubinau 11 күн бұрын
2023년 기준 소각장이 138개다. 대한민국 국민 폐암으로 다 죽일일 았냐!? 애들이 들이마시면 영구 신경 손상이라는 소각 연기를 마시게 해야겠냐? 당연히 사람 없는데 짓는게 인구 밀도 낮은데 짓는거 보다 나은거 아니야? 중국도 매연 시설 공장은 도심에서 해변가로 죄다 옮겼는데 이 당연할걸 구지 각각 도심에 지어? 지역이기주의는 이럴때 적용하는게 아니지.
@e7.147
@e7.147 22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실명제라도 해야하나. 심각하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1614m
@1614m 20 күн бұрын
경각심이 드는 뉴스네요, 저부터가 쓰레기를 줄이도록 노력해야겠어요 ㅠㅠ
@bakddandan
@bakddandan 22 күн бұрын
심각성을 알겠어요.. 앞으로 재활용 등급 높은거만 사야겠어요 삼다수 먹는데 삼다수는 그나마 다행이네요 ㅠ
@jwpark6763
@jwpark6763 21 күн бұрын
포장을 간소화 최소화 시켜서 제품이 개박살 나는 한이 있어도 쓰레기가 덜 나오게 해야함 초코 파이 반죽되면 어떰? 먹어서 뱃속으로 가면 다 똑같음 그리고 구마다 소각장 못짓게하면 수거도 하지말고 각자 가정에서 처먹든지 알아서 하라고 쓰레기 내놓으면 과태료 부과 시키면 땡임 비닐이던 락스뚜껑이던 처먹고 뒤지던 가정에서 처리하라고 해야 정신차림 그렇게 극단적으로 가야 지어달라고 나중에 울면서 빔
@user-xe4tx4zo3j
@user-xe4tx4zo3j 24 күн бұрын
서로 회피하려고 하고 불편함이 생기면 싫어하고 인센티브를 쌔게 해야할듯..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Shiba_Chuutatsu
@Shiba_Chuutatsu 21 күн бұрын
소각장 없는 지자체는 쓰레기 처리 비용 만큼 종량제 봉투 가격을 늘려야지
@user-wn4hw3ed2y
@user-wn4hw3ed2y 24 күн бұрын
생각만해도 끔찍하다. 빨리 대책이 시급하다. 이정부에서 해결할수 있을까?? 국개들은 협의를 해라 심각하다~~~
@user-oe9kz5bv7d
@user-oe9kz5bv7d 24 күн бұрын
제대로 하는것 제발 한가지만 있어라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zd5so9xy7x
@user-zd5so9xy7x 24 күн бұрын
그냥 법적으로 제활용 제품에 대해 세금 먹이삼..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조국울어...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조국같아 너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조국이그잼플
@thsdnd
@thsdnd 23 күн бұрын
이미 부담금 먹이고 있습니다
@qweks123
@qweks123 24 күн бұрын
소각장 부지부터 구하기가 힘든데 그걸어떻게해결해야할지도 고민해봐야한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ho6tb6oj8u
@user-ho6tb6oj8u 24 күн бұрын
좋은방법 하나 잇네 쓰레기 안만들면 해결 되는거 아닌가 각가정에서 나온 쓰레기 가정에서 처리 하라고 해라
@user-fb2cs7lp5h
@user-fb2cs7lp5h 24 күн бұрын
이것도 큰 문제
@LoiusK
@LoiusK 24 күн бұрын
제대로 분리 안하고 봉투에 버리는 넘들 대부분이.... 개인사업자들임. 분리 안하고 그냥 넣어버림.
@hyeon0328
@hyeon0328 24 күн бұрын
이젠뭐... 집앞에 쌓이는거지;;
@user-fh9nz2cp4v
@user-fh9nz2cp4v 24 күн бұрын
용산, 송파, 서초에 소각장 지어~ 크~~~게~~~~~~
@greenhelix
@greenhelix 24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처리 문제 심각하게 생각해야한다... 싸지르기만 말고 책임있개 해 세금이런데 써야지 어따쓰냐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suhyeonoh1957
@suhyeonoh1957 10 күн бұрын
소각장 안지어도 되요. 공공소각장 처리비용 10만원>시멘트 업체 5만5천원 공공소각장 처리온도 800도(다이옥신,고엽제등 가장 많이 발생 온도) >시멘트 업체 처리온도1400~2000도 완전소각 (오염물 발생 최소 온도) 소각장=주거지/시멘트 업체= 석회지대 시멘트 업체에 맡기고 소각장 짓는 세금과 관리하는 세금을 아낍시다! 건강도 지킵시다!
@gglee46
@gglee46 22 күн бұрын
분리수거를 왜 국민에게만 떠 넘기나? 기업들도 책임져야 한다 특히 LG 생활건강 돈 버는 것 만큼 환경에 1도 신경 안 쓰고 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Dokdo-is-korea_territory
@Dokdo-is-korea_territory 24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5%의 땅에 인구 52%가 몰려있으니.. 서울 사는 사람들이 감내해야지
@jadek9350
@jadek9350 20 күн бұрын
지금 인구감소로 쓰레기가 줄어서 소각장에서 쓰레기 달라고 하는데 ,,, 국민들이 분리수거 다해도 재활용하려는 의지가 없는지 다합쳐서 쓰레기로 만들더군... 말로만 재활용 방송하지 말고,,, 구체적으로 세분해서 쓰레기 줄이는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user-fy3np7kg9e
@user-fy3np7kg9e 24 күн бұрын
양평에 매립지 만들어라
@user-wf6ik2ym3c
@user-wf6ik2ym3c 23 күн бұрын
안사먹고,,안쓰는게 답...
@_balanceofpower
@_balanceofpower 24 күн бұрын
소각장 정비기간을 4월에 동시에 맞춰서 하는 무개념 계획은 뭘까?? 구별로 정비기간을 겹치지 않게 조정이라도 하던지... 이건도 탁상행정 인가?
@sosagejon364
@sosagejon364 11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섞인 시멘트라서 피부병을 위반한다는 사례가 나온적도 없고 독일에는 100퍼센트 대체연료 쓰면서 시멘트 만들때 섞는데 그런 문제가 논란이 된 적도 없다. 6가 크롬 등 기준치를 높여야 한다면 기준치를 높이고 준수하도록 하면 되고, 그에 맞게 소성로 재를 시멘트에 섞는 비율을 정하면 된다. 오히려 상습적으로 다이옥신과 중금속 등 유해물질 배출을 위반하고 있는데도 관리가 붕괴되어 있는 소각장을 문제삼아야한다. 심지어 민간 소각장 뿐만 아니라 공공 소각장도 수도권의 54% 가까이가 과태료를 물면서 초과배출을 하며 돈벌이를 하고 있다. 피부볌 유발은 시멘트 보다는 새벽지의 접착제가 더 원인 같은데요? 폐기물 원료 시멘트가 피부병 발병의 원인이라는 구체적 근거는 본 적 없는데 뭐가 있죠? 독일 같이 이미 쓰레기 대체연료로 100% 활용해서 시멘트를 만드는 나라에서도 이러한 논란이 된 적이 없는데 근거 없는 선동 아닌가요?
@kenneth7206
@kenneth7206 24 күн бұрын
쓰레기 매립장 저렇게 반대하는걸로 봐서는 서울에는 설치 안되고 지방에만 설치되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럴거면 혐오시설 없는 지역에서 세금 더 징수해서 혐오시설 설치된 지역 주민에게 분배 혹은 지역 예산에 편승해주는 정책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함. 님비로 반대만하면 그만인것인가? 그에 대한 책임은 국민들 모두가 다같이 안고 가야한다고 생각함.
@kijoonsong886
@kijoonsong886 24 күн бұрын
윤석열 정부의 환경정책은 빵점이다.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보수 이그잼플
@tsukiyama-akihiro
@tsukiyama-akihiro 24 күн бұрын
전정권의 가짜 친환경 때문이지
@user-nq5ow5ev7l
@user-nq5ow5ev7l 24 күн бұрын
0점은 기존에서 아무것도 안했을때 0점인거고 석렬이는 후퇴시켰죠. 그러니 마이너스라고 해야될거같습니다.
@HONGKONG11604
@HONGKONG11604 24 күн бұрын
민주당은 안그러냐? 죠팡매야?
@user-rosy
@user-rosy 20 күн бұрын
공공소각장이 처리비가 톤당 10만원 매립이 톤당 13만원 민간소각장이 26만원이라고 했는데, 예시를 한 번 들어볼께~ 발생지 처리원칙으로 인해 생활쓰레기는 지자체 공공소각장 밖에 처리를 못하게 막고 있고, 민간소각장은 사업장쓰레기만 처리물량으로 할 수 밖에 없는데, 생활쓰레기와 사업장쓰레기가 대부분 성상(성질과 상태)이 거의 같고, 생활쓰레기 처리대상물량이 1000톤, 사업장쓰레기 처리물량이 100톤이라 가정하면, 민간소각장은 발생지 처리원칙 때문에 실제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가능함에도 제도상 막혀서 100톤 밖에 처리가 안되니 규모의 경제가 적으니 처리단가가 비쌀 수 밖에 없을 것 같네. 그런데, 민간소각장 입장에선 발생지 처리원칙이란 규제가 없다면 예시로 든 생활쓰레기 1000톤 + 사업장쓰레기 100톤 총 1100톤의 처리대상을 놓고 공공소각장과 가격경쟁을 한다면 규모의 경제 논리로 보면 26만원 보다 훨씬 더 처리단가가 절감 가능할 것 같어. 결국, 내 떵은 내가 치운다 라는 그럴 듯한 사기술로 자유시장경쟁을 지자체 공공소각장 이해관계자 카르텔들이 시장 독점을 위해 민간소각장 그리고 시멘트제조업계의 생활쓰레기 처리 시장 진입을 막고 있다는 것으로 밖에는 해석할 수 밖에 없네. 내가 법 전공은 아니지만 이건 일반 불공정거래행위 9개 유형(① 거래거절, ② 차별적 취급, ③ 경쟁사업자 배제, ④ 부당한 고객유인,⑤ 거래강제, ⑥ 거래상지위 남용, ⑦ 구속조건부거래, ⑧ 사업활동 방해, ⑨ 부당한 자금·자산·인력의 지원 (부당 지원행위)) 중 ② 차별적 취급에 해당될 것 같어. 발생지 처리원칙 자체가 그린워싱 (친환경팔이사기 위장환경주의)에만 해당되는 줄 알았는데 자유시장경제에서 중요한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도 있는 뭐 같은 정책이네~ ※ 차별적 취급이란? 사업자가 거래상대방에 대해 거래 지역이나 가격, 기타 거래조건을 차별하여 경쟁사업자나 거래상대방의 지위를 약화 시켜 자신의 지위를 유지 · 강화하는 행위 (공정거래법 제45조 제1항 제2호) 시멘트제조업계는 쓰레기소각처리단가가 톤당 5~7만원 이고 플라즈마 고온소각(1400도 이상) 방식이라 일반 지자체 공공소각장 처리온도(약 900도) 보다 훨씬 높아 다이옥신 같은 발암성 유해물질 배출도 거의 없고 시멘트 생산이라는 생산적 결과도 나오네요.
@caos3994
@caos3994 24 күн бұрын
처리는 어차피 한계가 있읍니다 처리가 문제가 아니라 배출을 줄여야 합니다 사회씨스탬이 일회용품 사용이 너무 많읍니다 원천적으로 배출을 줄이는 정책으로 가는게 맞지않나 싶내요
@youngjulee9985
@youngjulee9985 18 күн бұрын
있습니다. 많습니다.....아니 이게 바뀐 게 언제적인데......ㅜ ㅜ
@hunjuchung5090
@hunjuchung5090 24 күн бұрын
😂😂😂어디다 짓을건데?? 쓰기만 하고 버릴땐 없고 민간이 돈 받고 처리해야것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ki7rj6we5p
@user-ki7rj6we5p 24 күн бұрын
다필요없고 반대할라믄 쓰레기버리지말고 쓰레기수거하지도말고 알아서처리해라 그거뿐이답없다
@yygvdjj6558
@yygvdjj6558 22 күн бұрын
니네 집에 설치하자!!
@user-ki7rj6we5p
@user-ki7rj6we5p 22 күн бұрын
@@yygvdjj6558 우리집에설치해주세요 세금혜택받고멀리쓰레기안버리로가서좋네요
@indigoblue965
@indigoblue965 12 күн бұрын
초딩 수준의 논리입니다. 그 논리면 님의 집 쓰레기는 님의 집 가스레인지로 태워 없애라고 해도 입 닫아야 합니다. 거기에 유독가스 처리 설비도 님 돈으로 설치해야 하구요. 지역은 지역대로 입지에 따라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용도로 달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겁니다. 좋은 대안이 분명 있고 문제도 해결하고 서로 윈-윈하는 방법이 있는데 왜 국민들 건강을 볼모로 하는 유해시설을 각 지역구마다 지으려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시멘트 업계에 넘기는게 최고의 대안입니다. 한 번만이라도 더 좀 깊이 생각해보시길...
@kijoonsong886
@kijoonsong886 24 күн бұрын
끈질긴 추적 저널리즘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사전에 폐지는 없습니다.
@sujinKim-zy6dw
@sujinKim-zy6dw 24 күн бұрын
Korean is more successful
@user-cc1ql9in2v
@user-cc1ql9in2v 23 күн бұрын
😊ㅈㅈㅈㅈㅈㅈㅈㅈㅈㅈ😊ㅈㅈ. 😊 😊😊😊​@@sujinKim-zy6dw
@zZo1zZo1
@zZo1zZo1 23 күн бұрын
해외 선진국 소각장과 우리나라 소각장을 비교해볼때.... 해외는 발암물질을 엄격하게 규제 관리하는데 우리나라 소각장은 하루 권장 소각량을 무시하고 몰래몰래 더 많이 소각하면서 나오는 발암물질때문에 걱정하는거죠 특히나 지방권은 더 심각합니다.. 관리자체가 거의 안되는 실정... 주민들이 하나둘 암 발병하고 사망하면서 환경부에 민원제기하고 조사가 시작되어야 진상규명이 이루워지니... 자기 거주지에 소각장 시설 건설을 반대할만하죠 다만 앞으로 쓰레기는 매립할곳이 없는데 어떻게 해결할라고 당선 공약을 저따위로 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나 혼자 당선되어 잘먹고 잘사면 그만인 세상.... 야/여당 다 똑같은 사람들입니다..
@westbrook2559
@westbrook2559 23 күн бұрын
잘못알고 계시군요... 200톤규모 소각장이면 90%정도인 180톤 정도 소각하면 잘하는 겁니다. 폐기물 성상에 따라 하루 160톤 소각할때도 많습니다. 발암물질 말씀하시는데 법적 규제치 초과하면 부과금 엄청 부담스럽고 일주일에 6번이면 소각정지입니다. 다이옥신 측정도 매분기 측정해서 이상 없어야되고 NOX 40PPM SOX 20PPM CO 40PPM HCL 14PPM 으로 환경부 기준치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소각설비의 현대화로 매년 2회의 정기보수로 문제없이 운전중 입니다. 지금 벌어지는 문제중 가장큰 이유는 본인의 동네, 지역에 혐오시설을 반대한다는 지역이기주의 입니다. 만약 소각장이 지어진다해도 그지역 주민들은 엄청난 발전기금을 받아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지요. 다 세금 입니다. 공짜는 없습니다. 쓰레기 소각장 반대하실꺼면 대안없이 반대만 하지 말아 주십시요. 대한민국은 쓰레기 소각, 재활용분야의 선진국 입니다. 미국이나 호주도 쓰레기 그냥 선별없이 아무 봉지에 싸서 버립니다. 일부 유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쓰레기 분류없이 그냥 버리고 소각/매립합니다.
@zZo1zZo1
@zZo1zZo1 23 күн бұрын
댓글알바이신지 모르겠지만... 검색이라도 해보시고 좀 댓글 다세요. 이미 청주시 북이면에 3개의 소각장이 3키로부근으로 모여서 가동중이고 그 동네 암발병율이 다른지역다 30%이상 너무 높게 나와 다시 조사중인이고... 그중에 한곳은 불법적으로 과다 소각하여 기준치를 초과하여서 청주시에서 허가취소를 소송했는데 결국에 패소했습니다. 없는 이야기를 지어 낸것도 아니고 그렇게 소각장이 좋으시면 그쪽 마을에 이사하셔서 거주하시면 되는거 아닌가요?? 내로남불도 아니고 문제가 있는것에 대해 건의를 해도 문제가 없다... 참 이상한 나라에요 대한민국은...
@user-qx9os7ef3l
@user-qx9os7ef3l 24 күн бұрын
독일처럼 어릴때부터 분리수거 교육좀적극적으로 해라 분리수거만 잘해도 큰차이가 날탠데 참... 좁아빠진 나라에서 매립장만 늘린다는게 답이냐 시민들반발이야 심할수밖에없지
@jimyungbaek6127
@jimyungbaek6127 15 күн бұрын
#영종권익실천위원회 에서 진실을 알아보세요. 환경부는 민주당이 꽉잡고 있어서, 친환경정책인 쓰레기재활용정책에 신경쓰기보다 소각장건설에 진심.
@user-fy3zz5ny4h
@user-fy3zz5ny4h 15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소각장 결사반대!!!!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wf6ik2ym3c
@user-wf6ik2ym3c 23 күн бұрын
소각장설립을 반대하려면,,자기자신들이 각자 안사먹고,,인써야합니다..도대체,,우리가 버린 쓰레기를 어떻게하라는겁니까??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suhyeonoh1957
@suhyeonoh1957 10 күн бұрын
시멘트 업체에 쓰레기 주면 됩니다. 시멘트를 만들어야 되서 석회암지대에 공장들이 있어 주거지역에 피해가 없습니다. 소각장 소각 온도는 800도 다이옥신 같은 불순물이 많이 배출되는 온도예요. 시멘트 업체는 1400도에서 2000도 입니다. 완전 소각 온도여서 불순물 배출이 거의 없으며 저감장치만 달면 제로에 가깝습니다. 또한 쓰레기를 태워서 시멘트를 만드니 생산적 이죠. 처리 단가도 톤당 5만 5천원으로 소각장(10만원)보다 저렴합니다.
@user-ge2jb4ik8p
@user-ge2jb4ik8p 22 күн бұрын
난 지금 페트병 프라스틱 재활용 회사에서 근무중인데 빈페트병: 이물질제거하기.라벨제거하기.공기빼기해서 분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wk4gz5xl2b
@user-wk4gz5xl2b 24 күн бұрын
국가가 발빠르게 제재해야 기업도 움직이지.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holisnacris
@holisnacris 24 күн бұрын
일단 [재활용 어려움] 제품부터 쓰지말기… ㅠㅠ
@heesoochae9209
@heesoochae9209 24 күн бұрын
그럼, 버리질 말라
@user-zv3pm4ho4l
@user-zv3pm4ho4l 24 күн бұрын
이래서 김포를 서울로 흡수할려했었구나 ...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vb4zx5sw6i
@user-vb4zx5sw6i 24 күн бұрын
재활용처리업체를 살려야 국민이 산다 이상황에서 재활용업체까지 재활용 못하면 대한민국 망한다 ~~~
@user-dy6nb6wk6u
@user-dy6nb6wk6u 24 күн бұрын
폐기물도 자기네 구청에서 하고 하수처리장도 자기네 구청에서 해야죠 왜 하수처리장은 서남에서 10개구를 하고 중랑도 마찬가지고
@shepherdjeong1266
@shepherdjeong1266 24 күн бұрын
환경부에서 환경정책에 역행하는 정책들 내놓는거 보고나서 분리수거 안하고 왠만하면 모두 종량제에 담아서 버린다.
@jimyungbaek6127
@jimyungbaek6127 15 күн бұрын
#영종권익실천워원회 에서 진실을 알아보세요. 쓰레기소각정책에 빌드업. 소각장건설하면서 돈이 생기거든요. 소각장게이트. 소각장건설반대.
@JS-jx4tc
@JS-jx4tc 20 күн бұрын
재활용 버릴때 분류 및 세척 제대로 좀 해라.. 음쓰 버릴땐 전용 쓰레기 봉투에 버리고.
@user-kl5zi8qx4b
@user-kl5zi8qx4b 24 күн бұрын
아니 재활용 아무리 해도 쓰레기 처리할 곳이 없는데... 그리고, 지들 맘대로 마포구에다 때려넣으면 마포구민은 호구냐? 그리고, 마포구 국회의원들 정청래하고 정진술의 묵인하에 다 처리된거 잖아?
@VipassanaRunner
@VipassanaRunner 23 күн бұрын
인간만이 유일하게 쓰레기를 만드는 이상(?)한 동물 - 진짜 똑똑한 동물 맞아??
@user-fp5ld3jw7k
@user-fp5ld3jw7k 14 күн бұрын
전국적인 지자체 공공소각장 구축 움직임이 정말 우려스럽니다. 첫번째는 공공소각장 추진 명분으로 내세우는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발생지 처리원칙인데요. 님비를 타파하고 결자해지라는 좋은 명분을 언뜻보면 표방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명분으로 지자체가 설치 운영하는 공공소각장만 생활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고 다른 민간업체(민간소각장, 시멘트제조업계 등)는 사업장쓰레기만 처리 가능하고 생활쓰레기 처리시장 참여에는 제한하고 있는 점이 저 결자해지로 보이는 긍정적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다시 말씀드리자면 민간업체도 생활쓰레기 처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된다는 점이 공정거래법 제45조 1항에서 말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복수의 능력있는 업체/기관을 어떤 사업참여기회(입찰 등)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특정업체/기관에게만 그 시장을 열어주고 다른 능력있는 업체/기관은 아예 참여기회를 배제한다? 이러한 것이 전형적인 불공정거래의 모습이고요.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사업권 보장을 공공소각장에만 부여하는게 관련 이권에 개입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 때문에 저러한 님비, 결자해지 같은 도적적 명분을 내세우는게 혹시 공공소각장과 민간업체가 동시에 생활쓰레기를 처리한다면 결코 소각장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공소각장 물량 보장을 위한 의도로 그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합리적으로 의심해볼 만 한 사항입니다. 둘째는 왜 공공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이 이름을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회수시설이니 또는 자원순환센터로 등으로 하여 일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현혹하는 듯한 용어를 사용하느냐?란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사실 현재 이미 구축되거나 구축 중인 대부분의 공공소각장의 소각방식인 스토커 방식인 연소온도 900도 수준으로 다이옥신을 포함한 발암성 유해물질 및 염소성분이 함유된 부식성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솔직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제대로 가동/관리되지 않으면 위험해지는거죠. 즉, 공공소각장은 명백한 혐오시설이자 유해물질 배출시설인 게 본질인데 이를 자원순환 시설이니 하는 마치 친환경적인 시설인양 지역주민들을 호도한다? 이건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다시말해 친환경사기팔이) 7가지 유형 중 하나인 유해상품 정당화로 생각됩니다.
@user-jq8nc5fx7s
@user-jq8nc5fx7s 24 күн бұрын
LG 생활건강 또 너냐
@user-zi2xs5sj1v
@user-zi2xs5sj1v 23 күн бұрын
소각장을 못짓게 할거면 쓰레기를 만들거나 내놓지 말아야지. 인간들이 왜 지가 버린 쓰레기를 처리 못하게하냐? 이 이기적인 인간들아.
@hyk835
@hyk835 20 күн бұрын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못만들게 금지하거나 세금 더 붙이고 반대 경우는 지원금 줘야.. 소비자가 저거 보고 고르기만 기대하면 어떡함
@indigoblue965
@indigoblue965 12 күн бұрын
제가 쓴 댓글은 왜 다 지우나요? 당신들 논리랑 의견이 다르면 이렇게 마음대로 지워도 되나요? 언론사가 이런식으로 시청자의 의견을 맘대로 재단질 해도 되나요? 반론을 달지 왜 지웁니까? 법이나 도덕, 미풍양속에 저해되는 내용도 아닌데. 국민의 건강과 생존권에 대한 문제라 의견을 낸 것 뿐인데 왜 지웁니까? 그러니 욕을 먹는 겁니다.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23 күн бұрын
대형 프라스틱 돔으로 만들어 창문을 내고 쓰레기를 이용해 사용처를 찾아야 합니다. 부랑자 들의 텐트를 프라스틱으로 만들어 늘어나는 부랑자에 대책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궁핍해 지는 생활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쓰레기를 태우면 어떤 플라스틱 물질을 얻을수 있습니까? 화단을 만드는 방법도 있고 벽돌로 겉을 감싸면 멋진 화단으로 연결시킬수 있게 길게 만들수도 있고 벽돌 모양으로 만들수 있고 속을 스치로폼으로 채워 겨울에 얼어죽는 식물 보호도 할수있고 생활에 쓰이는 용품으로 만들어 내야 합니다. 조형물을 플라스틱으로 바꾸고 각종 동물을 만들어 아이들이 타고 놀수 있고 사진도 찍고 전 도시의 공원화도 가능합니다. 근데 소각처리장을 만들어야 하는데 쓰레기를 묻을수는 없잖아요 소각함에 다이옥신이 나오지 않게 어떤 방법을 연구해야 합니다. 그 연구를 하고 머리를 맏데고 아이디어를 내야지 반대만 하면 우짭니까? 공짜로 주는 쓰레기를 수입하지 마십시요 물건을 그냥 준다해도 그것이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임을 알아야 합니다. 쓰레기를 태워 시멘트화 시키는것이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만든 쓰레기이며 우리가 흡수하는 공기는 우리가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남을 탓할필요가 없습니다. 레고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플라스틱을 벽돌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외관에 사용하는 모양은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썩지도 않으니 어떤 제품을 만들어 내는것을 연구 검토 해야 합니다. 일반 가정에 정원이나 연못 수영장 시설을 짓는다면 플라스틱은 필요하게 될것같습니다. 쓰임새가 있을려면 주택을 선호하게 되고 예쁜 집을 짓고 디자인해서 보여주고 창작하고 문화가 서서히 바뀌게 되고 다양성이 있고 우리도 사회가 집도 큼직 큼직하게 되고 각종 시설이 갖춰지고 여유롭게 땅을 쓰고 쓰레기를 재활용 하는데 치중해야 합니다. 산비탈 멧돼지는 미끄러워 못넘어 온다든지 프라스틱 활용은 쓰임새가 많을것입니다. 소각장을 지어야 합니다. 산비탈에 쓰고 패여진곳 메우고 쓸곳을 찾아 용도에 맞게 만들어야 합니다. 큰일이네요
@mcckim5678
@mcckim5678 24 күн бұрын
이미 750톤을 매일 태우고 있는 마포소각장 옆에 추가로 1,000톤 짜리를 짓겠단다. 입지선정위원회의 구성, 채점표 모두 불법/의혹 투성이. 영상 내용에서도 나오듯 주민설득이 최우선인데 행정이 엉망진창이다. 주민들이 무슨 죄인가?
@user-uk1ne5vh3q
@user-uk1ne5vh3q 23 күн бұрын
이런걸 보면 인간은 지구에 있으면 안될 동물인거 같다. 인간은 쓰레기 어디다 버리지? 생각하면 딱 떠오르는 단어.. 사람 없는곳 어두운곳 생각하지 그러면서 지방 살리겠다고 개소리 하는... 서울 쓰레기는 서울에다 버려 !
@user-no3gl6oy4v
@user-no3gl6oy4v 22 күн бұрын
대량의 쓰레기를 중국에 보냈다가 안받으니까 동남아에 보냈는데 이제는 보낼곳이 없어 우리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되는 시험대에 오른거죠.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24 күн бұрын
김포편입 못하면 서울은 곧 헬게이트 열림. 우리집앞에 소각장 생기는거임 서울 곳곳에 서울이 안개도시가 될확률이 높아보이네
@user-ft9mh4xs1n
@user-ft9mh4xs1n 21 күн бұрын
지방까지 오염시키지말고 각도심에서 나오는 쓰레기 지역에서 처리해야 맞다. 무엇보다 과잉소비 과식은 욕을 쳐먹어야함. 쓰레기가 최대한 안나오게끔 전국민이 각성해야함
@indigoblue965
@indigoblue965 12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쓰레기가 최대한 안나오게 하는게 가장 좋지만 현실적으로 쓰레기 발생을 없애는 건 불가능합니다. 최선의 대안을 찾아야 하는데, 최악의 선택을 하려니 소각장을 반대하는 겁니다. 지역은 지역대로 입지에 따라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용도로 달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겁니다. 좋은 대안이 분명 있고 문제도 해결하고 서로 윈-윈하는 방법이 있는데 왜 대다수의 국민들 건강을 볼모로 하는 유해시설을 각 지역구마다 지으려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시멘트 업계에 넘기는게 최고의 대안입니다. 기피시설은 가장 피해가 적은 곳에 모아 잘 관리하는 것이 전 지역에 기피시설로 인한 위해요소로 모두가 피해를 받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최고의 대안입니다. 어디든 오염을 안시키면 좋겠죠. 그런데 현실적으로 어딘가는 장소가 정해져야 합니다. 이곳은 사람이 가장 밀집하지 않은 곳으로 해야 가장 나은 대안인 것입니다. 도시에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은 공기가 깨끗해야 합니다. 이런 곳을 피해야 하는 것은 상식적인 대답이구요. 사람들 가정 적게 사는 시멘트 공장에서 태우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이라 생각합니다.
@seo8260
@seo8260 9 күн бұрын
그냥 각구마다 소각장을 짓고 각구의 쓰레기만 처리하도록 법제화해라!!그래야 버리는 사람들도 경각심으로 쓰레기량을 그나마 줄인다!!
@wanderer9499
@wanderer9499 24 күн бұрын
재활용 극대로 하면 딱히 버릴께 얼마안나오긴 하던데 귀찮아하지;;;
@vsy56
@vsy56 24 күн бұрын
민간 소각장과 공공 소각장의 가격 차이가 저정도나 난다면 예산 책정을 너무 낮게 한게 문제 아닌가…
@II-jk9lp
@II-jk9lp 24 күн бұрын
공장이나 땅빌려서 폐기물 무단투기하는놈들부터 쫌 조져보자
@user-ef6rk2ih1m
@user-ef6rk2ih1m 23 күн бұрын
이젠 쓰레기를 편하게 버리게 하면 안 됩니다 쓰레기를 버리는 장소를 만들어서 쓰레기를 가지고 다니다가 쓰레기버리는 장소에서 세척과 분리를 정확히 해서 버리게 하는 정책을 시급히 강구해야 합니다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3 МЛН
Кәріс тіріма өзі ?  | Synyptas 3 | 8 серия
24:47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