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쉐린 공기 없는 타이어 양산!...놀라운 혁신에 타이어뱅크가 망한다고?

  Рет қаралды 800,280

김한용의 MOCAR

김한용의 MOCAR

Жыл бұрын

* 공기없는 타이어 시대 열렸다! 근데 왜 카센터가 망한다는걸까?
* 본 영상은 (주)가연결혼정보의 PPL이 포함 돼 있습니다.
---
구독해주세요 : bit.ly/2NCioiE
김한용 hy.kim@mocar.kr

Пікірлер: 457
@user-ko5eq2hq9y
@user-ko5eq2hq9y Жыл бұрын
방송정말 재미나게 잘하시네요 감사합니다
@user-ri4ns3bo9d
@user-ri4ns3bo9d Жыл бұрын
좋은자료 잘 보고갑니다.
@gong90
@gong90 Жыл бұрын
아직은 초기버전이라 문제가 있겠지만, 장점이 워낙 좋으니 앞으로 비공압타이어로 바뀌리라 생각되네요.
@krautsauer8867
@krautsauer8867 Жыл бұрын
NASA랑 미군도 저 비공압타이어에 대한 연구를 정말 오랬동안 해오고 있는데, 마찰열문제를 해결하기가 정말 어려운것 같더라구요. ㅋㅋㅋ 당장은 힘들겠지만 신소재 개발이 좀더 이루어지면 공압타이어에 준하는 성능을 보여주는 비공압 타이어가 등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user-ts6zh4gn9v
@user-ts6zh4gn9v Жыл бұрын
저는 상용차 타고 있는데 항상 차가 무겁고 현장 다니니까 타이어 펑크도 잘나고 달리다 파스도 종종 납니다ㅠㅠ 시력이 6.0이 아닌 이상 일일이 피해 다니기도 힘들어요 ㅠㅠ 상용차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타이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user-ck3vs5du1r
@user-ck3vs5du1r Жыл бұрын
시청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e1lc4vx3x
@user-we1lc4vx3x Жыл бұрын
저 타이어 나온지 15년은 되갑니다. ㅎㅎ 상용화를 이제 할려는 듯.
@hjl5785
@hjl5785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인 방법으로 중심에서 가까운 부분은 공압 타이어 바깥쪽 부분은 비공압타이어를 만들면 타이어 터짐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듯
@CH_Sudal
@CH_Sudal Жыл бұрын
저거 원래 허머 같은 군용 차량에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총알 한방에 타이어 터지면 안되니까요. 단점은... 승차감이 조까타요. 편안한 승차감과 접지력 유지가 힘들어서 (사람이 타는) 상업용으로는 힘들거에요.
@NGC-404
@NGC-40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그래도 도시라 카센터에 가기쉬워서 괜찮은데 미국같은데는 진짜 질이확오를거같네요
@user-ct9jx9co5k
@user-ct9jx9co5k Жыл бұрын
승차감과 내구성 그리고 계절에따른 안전문제를 해결하기란 쉽지않을듯. 저런타이어는 비포장이나 험로에서의 장점은 있지만 일반승용에서 우선순위인 승차감의 벽을넘기는 힘들듯..
@dongjinkim9881
@dongjinkim9881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교환 할때 되면 일체형이라 쓸모없이 휠도 같이 교환해야 하는건데 그럼 비용이 만만치 않을것같은데요
@oklm1711
@oklm1711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네요 전 정비만 안해도 된다는 이점이면 무조건 환영입니다
@user-ur1od2dd5e
@user-ur1od2dd5e Жыл бұрын
본인의 상식으로 어렵다고 생각하겠죠 과학은 미완성일뿐 빠르게 좋은게 나왔으면 좋겠어요 그때 돼면 당연한게 돼겠구용
@tvgomisatv
@tvgomisatv Жыл бұрын
비공압 타이어의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셨군요. 덕분에 장점/단점의 대해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발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욤🤗
@SabayD83
@SabayD83 Жыл бұрын
30년 전 자동차 잡지에서 본 컨셉이었는데 지금까지 실용화하지 못했다면 쉽지 않을것 같아요.
@user-kh8fm1cd4m
@user-kh8fm1cd4m Жыл бұрын
문제는 가격, 타이어 부분에 고무질도 더 많이 들어가고 바꿀 때마다 휠값도 지불해야 하니...
@untitl6d
@untitl6d Жыл бұрын
윈터 타이어로 나온다면 도전해볼 분들이 제법 있으실 듯 합니다 휠을 갈아끼는 비용도 아깝고 추가로 구입하기도 부담스러워서 구비를 망설이게 되는 경우들이 많으니까요 스페어나 체인처럼 즉각 대응도 가능해지고요
@user-eh5hk2my9u
@user-eh5hk2my9u Жыл бұрын
사용하시는 마이크랑 스탠드 어떤건지 가르쳐주실수 있나요?
@vnfma7
@vnfma7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기체가 대류하는 속도를 고체로 따라가야하는데 기술적으로 어렵죠 . 거기다 기술적으로 가능했더라도 난도와 경제성까지 맞추는게 가능한가도..
@Yazi8051
@Yazi8051 Жыл бұрын
군복무할때 에어리스타이어 달린 무인지상드론 수송부에서 두돈반 타이어 갈다가 봤는데 타이어갈기 너무편해보이던.... 빠르게 상용화되면 좋겠네요
@cotton_swab
@cotton_swab Жыл бұрын
영상 보고 있으니 요즘 야쿠르트 이모님들 타고 다니시는 카트가 떠오르더군요 일단 속도가 빠르지 않고 승용차 많큼은 무게가 안나가니......
@user-fh2yl7ww9i
@user-fh2yl7ww9i Жыл бұрын
여름용 겨울용 노면상태에따라 무늬가 바뀌는 타이어가 나오는게 더 획기적일듯
@shlee9617
@shlee9617 Жыл бұрын
장갑차나 전차에도 고무궤도가 발전하고 있는데, 소재 자체의 발전으로 인해서 더 좋은 비공압 타이어가 개발 될 여지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user-id6xi9je6k
@user-id6xi9je6k Жыл бұрын
육각형 구조인 벌집구조를 참조해서 만들어 보아도 좋을것 같습니다.
@sportstoto12
@sportstoto12 Жыл бұрын
비공압타이어 옆면을보니 구멍이 숭숭 뚤려있던데 물웅덩이같은곳에 지나가면 차가 미끄러지지않을까요?
@savethearth9145
@savethearth9145 Жыл бұрын
갈아 끼울수 없으면 휠은 어떻하나요? BBS 및 고급휠들은...??
@user-xe9pi7ql3u
@user-xe9pi7ql3u Жыл бұрын
궁금한건 열을 받고 식고 여름과 겨울을 나서 시간이 지낫을때 타이어를 지탱해 주는 부분이 경화되서 끊어지는 경우가 있을지도 궁금하네요 그리고 그게 몇년안으로 균열이 가는지도 궁금하구요
@TV-tx8ly
@TV-tx8ly Жыл бұрын
문제는..홀이나급제동할때..가..조금은..불안하겟어요..휠이..눌림현상..훨이랑..따로 놀지않을까요?
@user-tr4en2dt3u
@user-tr4en2dt3u Жыл бұрын
잠깐씩 사용하는 관공서차량이나 업무용차량에는 금방 적용될수있을거에요 요철이많아 펑크많은작업장에 순찰차용으로도 쓸수있고 무궁무진함
@elan1227
@elan1227 Жыл бұрын
속이 차있으니 무거운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그로인한 연비저하. 또 승차감과 소음도 문제입니다. 기존 압축공기가 받쳐줬다면 이건 고무스프링이 받쳐주는차이가 있겠네요.
@user-wu6vk8jg7h
@user-wu6vk8jg7h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정비 학교를 나왔지만 흠.. 이제 진짜 필요없는 기술이 되겠네요.. 도장으로 가야지..
@bumsungoh4195
@bumsungoh4195 Жыл бұрын
1. 타이어 마모도는 어떤차이가 있나요? 2. 휠 일체형이면 타이어교체시 휠도 바꿔야 한다는건데 금액이 비싸지 않나요? 그리고 휠도 버려지는 단점이 있네요
@user-fe6wb9it5d
@user-fe6wb9it5d Жыл бұрын
휠밸은 안맞춰도 얼라이는 재조정해야하는거 아닌가요?
@user-rf5vp7pi8n
@user-rf5vp7pi8n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미쉐린이 시작하네.. 국내 중소기업에서도 개발되었네요.. 상용화까지는 쉽지않은게 현실임..
@muse1129
@muse1129 Жыл бұрын
지금 타이어 대량 생산 방식이 최적화시기죠 국내 3사 타이어 회사 1일 생산량이 몇십만개 단위니
@swariyoon
@swariyoon Жыл бұрын
휠 마운트와 트레드 사이에 링을 하나 넣어서 휠마운트와 링(단단하면서 유연한) 사이를 부싱처럼 만들고 링과 트레드 사이를 지금처럼 만들고 트레드를 전진방향으로 2개정도로 분리시켜 놓으면 냉각에도 유리하고 안쪽 바깥쪽 의 뒤틀림도 방지하고... 링의 안쪽 바깥쪽을 탄성이 다른것으로 만들면 승차감도 확보할것 같은데... 그냥 단순한 상상을 해봤네요.... 미래 자동차는 현재와 개념이 많이 달라질것 같네요~ ㅎㅎ~~~ 재밋어요~~
@user-fp9hk1pm3t
@user-fp9hk1pm3t Жыл бұрын
승차감과 안전성은 어떨까요
@CocaCooluck
@CocaCooluck Жыл бұрын
저거 20여년 전에 펑크나지 않는 타이어라고 해서 개발중이라고 했던건데.....요즘이야 기술력이 워낙 좋아서 바로 바로 상용화 되어가는 첨단 시대에 아직까지 상용화 하지 않았다면 뭔가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아서 그렇지 않을까요?
@user-ft6nb9hr7b
@user-ft6nb9hr7b Жыл бұрын
오프로드 타이어 저런걸로 쓰면 완전좋겠네요
@Oizman
@Oizman Жыл бұрын
작은 스프링을 촘촘히 박아서 만들면 어떨깨 생각해봤어요..스프링은 금속도 있고 플라스틱으로도 가능하니까
@user-od3xr9wx3r
@user-od3xr9wx3r Жыл бұрын
이뮬질이 튀어들어가서 스프링이 부서지지 않을까요..
@jeongkwanheo1530
@jeongkwanheo1530 Жыл бұрын
고속주행시에만 문제가 되는 군요 그리고 이건 제생각인데 장시간 주차시에 문제가없을까요? 공기압타이어는 내부의공기가 타이어전체에 하중을 분산시켜주지만 에어리스타이어는 바닥에 닿은부분에만 하중이가해지니까. 오랜시간 주차후에 눌려있던부분이 제대로 복원이 안된다거나 복원되더라도 그부분만 탄력이떨어지거나 하지않을까요?
@user-gm5es7wl4l
@user-gm5es7wl4l Жыл бұрын
처음엔 비싸겠네요 잘되서 이제 타이어까지 무교환으로갔음 좋겠네요
@coneyj8662
@coneyj8662 Жыл бұрын
사이드월 구멍 보아하니 진흙탕 한번 지나가면 휠밸런스 바로 폭망이겠네요
@parkyoungwoo9051
@parkyoungwoo9051 Жыл бұрын
공기를 넣지 않는 타이어 고무가 마모가 되거나, 고무 부분이 손상이 있어면 고무 부분이 통채로 떨어져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okbrucelee
@Rokbrucelee Жыл бұрын
내구성 수명(4년~5년??) 좋고 가격 저렴하고 승차감 좋다면야 잘 팔릴듯~
@user-bf9lm1pd2g
@user-bf9lm1pd2g Жыл бұрын
그건너무완벽아님기능최고에가격까지혜자먼 ㅋㅋ
@user-fp9hk1pm3t
@user-fp9hk1pm3t Жыл бұрын
승차감은 안좋을듯요
@enothyoon1096
@enothyoon1096 Жыл бұрын
군용으로 개발했고 처음에 군용인데도... 승차감이 좋지 않다고 했으니 좋아졌다고 해도 민수용... 좋아졌겠죠. 아마?
@sunflaur
@sunflaur Жыл бұрын
타이어 내부의 열을 빨리 뺏어가지고 그 열로 발전?하거나 다른쪽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언가 장비와 소재가 되면 오픈하지 않아도 되고 그럼 조금이나마 효율이 좋아지지 않을까?? 상상해본다.
@user-ut4dc1rx1b
@user-ut4dc1rx1b Жыл бұрын
윈터타이어로 저렇게 나옴 좋겠다
@user-lx5pd4xr5x
@user-lx5pd4xr5x Жыл бұрын
자전거도 무펑크 타이어있는데 속도잘안나고 코너돌때도 불안합니다 고무는 온도영향 많이받는데 과연...
@user-gh3im3lj8f
@user-gh3im3lj8f Жыл бұрын
덤프트럭이 저타이어끼는 순간 트럭뒤를 따라가는 차들은 진흙부터 자갈들의 테러는 막을수없겠네요ㅎ
@Gazah-1977
@Gazah-1977 Жыл бұрын
웬지 아주 추운날 고무가 경화되고 딱딱해지고 충격을 받게되면 안쪽 지지해주는 구조에 데미지가 가해지지 않을까?!?
@user-vy4yf3iq6r
@user-vy4yf3iq6r Жыл бұрын
왠지
@nurungiiii
@nurungiiii Жыл бұрын
전기자전거랑 킥보드가 통고무로 만들긴하죠, 문제는 승차감을 포기하고 이득을취한다는 느낌이었는데, 자동차는 어떻게 해결할지 기대되네요
@user-bb7hc4jz9c
@user-bb7hc4jz9c Жыл бұрын
어쩐지 어제 카카오바이크 탔는데 요철있는곳 지날때 엉덩이가 너무 아프고 했네요 ㅜ
@777kaist
@777kaist Жыл бұрын
킥보드 타이어 자꾸 터져서 통고무 갈아꼈더니 보도블럭에서 진동너무심해서 위험하더라
@nurungiiii
@nurungiiii Жыл бұрын
@@777kaist 그래서 그나마 킥보드나 전기자전거는 서스펜션으로 대충 매꾸고 대충타고다니는데, 자동차랑은 차원이다르니까요...한편으론 의심되고 한편으론 기대되는
@Ddirouli
@Ddirouli Жыл бұрын
@@LCH0228 비슷합니다
@user-fq8pp7ni5w
@user-fq8pp7ni5w Жыл бұрын
@@user-bb7hc4jz9c 카카오 바이크는 걍 서스가 없어서 아픈거임.. 보통타이어임
@Hoon_Pak
@Hoon_Pak Жыл бұрын
아니 타이어 닳으면 휠까지 사야 되네요? 아무리 에어리스라 해도 타이어만 교체되는 것도 나오겠죠. 타이어 회사가 수백개인데
@user-ck9jx8qn8f
@user-ck9jx8qn8f Жыл бұрын
일반 코일스프링 서스펜션이 에어서스펜션을 넘을 수 없는 것 처럼, 고무 탄성을 이용한 비공압 타이어가 공기압 타이어의 승차감을 넘을 수는 없을 것 같네요. 그래도 잘 만든 코일 스프링 서스펜션 몇몇은 에어서스펜션 급 승차감을 보여주는 만큼 비공압 타이어도 발전한다면 실사용 가능할지도요
@Kimsewoong
@Kimsewoong Жыл бұрын
오래 세워 두면 변형이 일어날 것 같은 디자인이네요...
@chl2779
@chl2779 Жыл бұрын
지게차 포크레인 기타 천천히 가는 차들에 시험적으로 좀 더 강한 무공기타이어를 장착해서 사용해 볼만 합니다. 사고가 나도 큰 사고도 아니고.......
@wonjaecha6361
@wonjaecha6361 Жыл бұрын
비공압타이어에 엔진오일처럼 오일을 일정부분 넣을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네요.
@user-kg4bo7yr7z
@user-kg4bo7yr7z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때 읽은 위인전 같은 데서, 던롭씨가 아들이 공놀이 하는 거 보고 공을 바퀴에 감아보자 라고 생각했다는 데.....
@pyon7847
@pyon7847 Жыл бұрын
일단 4.5톤이상 중량물 싣고 장거리 달리는 화물차는 무조건 꼭 필요해 보입니다
@user-jg7oj2uu2k
@user-jg7oj2uu2k Жыл бұрын
어짜피 접지면닳으면 교체하는건 똑같을테고 펑크걱정이 줄어서 좋을듯
@Aaron_leee
@Aaron_leee Жыл бұрын
tpms 기능은 죽이고 타야 하는건가요?
@SL-hw3ym
@SL-hw3ym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갈때 휠도 같이 가는건데, 비싸겠네요...
@user-mi1zv9lq1u
@user-mi1zv9lq1u Жыл бұрын
나중에는 자기부상열차나 호버크래프트처럼 떠서 주행하는 타이어리스 자동차가 나오겠죠
@ijh7705
@ijh7705 Жыл бұрын
휠이랑 타이어랑 따로 놀면 급제동시 답이 없는대 거기다 주행 할때는 무게가 분산 되는대 주차 할때는 한쪽만 하중을 받을건대 내구성을 믿을수 있을지...
@jbshim7648
@jbshim7648 Жыл бұрын
근데 레드21 장갑차 궤도도 고무 궤도인데 자동차는 쉽지 않을까요?
@cunmong
@cunmong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멋진 분. 대한민국 국민의 차를 응원하시는 진정한 리뷰 방송이네요.
@user-ml7uz1vu2q
@user-ml7uz1vu2q Жыл бұрын
모레나 진흙이 있는 도로 환경에서는 저 틈에 들어가서 절때 못쓸 것 같네요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테스트하는 곳으로 싱가포르가 선정된 이유중에는 그런것도 있지 않을까요? 특히 자갈 같은거 하나 끼어들어가면 내구성 확확 떨어질 것 같은데요...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manasasdf 공기가 고무들 사이로 통하게 하여 식혀야만 하는 상황이라 그런 해결책을 적용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zerodegree1852
@zerodegree1852 Жыл бұрын
차량이 회전할때 좀 위험할듯 접지면이랑 휠-접지면 사이 부분이 밀리면서 틀어질꺼 같은데..
@user-xe5go3qx5n
@user-xe5go3qx5n Жыл бұрын
테스트하고 나오지 않을까유
@Camperlm
@Camperlm Жыл бұрын
석박사들 모여있는 예산 충분한 연구팀에서 나온 결과물이니까 그정도는 다 테스트했을걸요
@CH_Sudal
@CH_Sudal Жыл бұрын
전기차의 가장큰 불편 요소는 충전이죠. 타이어가 아니라.
@user-jc5bw9ve6t
@user-jc5bw9ve6t Жыл бұрын
승차감 궁금하네요.일반인 입장에서 솔직히 금액을 떠나서 승차감 및 장점이 더 있다면 차 처음살때 붙어있는게 타이어라 공기가 있던 없던 상관이 없죠 모. 승차감 별 필요없는 화물차용으로 좋다던가 . 장점이 있다면 수요야 있을테니 .
@aorvh061
@aorvh061 Жыл бұрын
테스트는 국뽕우리가 할테니 빨리 출시해주세요 겨울철 여름철 ㅠㅠ 신경써서 지겨움 ㅠㅜ
@kyumsangishard
@kyumsangishard Жыл бұрын
타이어도 오래되면 노화되서 딱딱해 지는데.. 이건 공기압 타이어보다 내구성 면에서 오래 쓰지는 못하겠네요
@user-ct1ri2ro3x
@user-ct1ri2ro3x Жыл бұрын
그런데 한가지는 말씀 안해주셨는데요 비공압이든 공기압이든 오래타면 마모가 달잖아요? 어째든 고무니까요 비공압타이어는 통채로 교체해야되나요?
@fc602
@fc602 Жыл бұрын
처음 상업용 차랑에 적용하게 된 건 아닙니다. 이미 몇 년 전 부터 중장비 건설장비 등에서는 쓰이고 있습니다. 고속 회전이 덜한 것이 원인일까요? 유투브에는 중장비용 에어리스 타이어의 재생에 관한 실제 작업 영상이 여럿 있습니다.
@jongminkim4565
@jongminkim4565 Жыл бұрын
진흙들어가면 어떻게 될까..ㅋㅋ돌도 잘박히겠는뎅.
@hms9666
@hms9666 Жыл бұрын
군용차에 적용하면 좋겠네요
@_serenade
@_serenade Жыл бұрын
현대에서 개발중인 무인수색 차량이 저 타이어를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cherryjuns7764
@cherryjuns7764 Жыл бұрын
비공압타이어는 장기주차시 찌그러질텐데 벨런스있게 복원이 될리가 없지싶어요 늘그렇듯 신기술을 위해 신소재가 개발되면 그만큼 기존기술은 더 강력해진다는 딜레마가 있으니까요 탱크와 보행로봇의 관계같은?
@shining_cats
@shining_cats Жыл бұрын
다른걸 다떠나서 승차감은 못믿을거 같습니다. 활용을 하더라도 스페어 타이어로서 활용하는게 더 활용도가 높지 않을까 싶어요
@zitnbit
@zitnbit Жыл бұрын
구멍에 돌같은거 낄텐데 그럼 찌그러져야할때 제대로 안 찌그러지고 문제를 만들거같네요. 과연 이런 문제는 해결이 됐을지 모르겠습니다.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비공압 타이어로 최고 속력을 높이는 가장 깔끔한 방법은 그냥 타이어 직경을 늘리는 것인데요... 직경 늘리는데는 또 한계가 있죠.
@user-mx3iy4pt2t
@user-mx3iy4pt2t Жыл бұрын
..저 타이어 나온지7.8년정도 됬어요 ..중장비 타이어 사용되고 있어요.. 유럽형 중장비 더블 타이어에요..
@Yallong
@Yallong Жыл бұрын
휠사이에 돌같은거 주행중에 들어가도 갠찮나요?
@goldenotter6069
@goldenotter6069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론 에어리스 타이어는 처음에 미군에서 험비에서 사용되었었음..그게 꽤 오래 되었는데..아마도 험난한 지형에 특화시키기 위함 같음.. 전투 중에 험비 타이어 펑크 나면 큰일나니까...
@user-ug4fw2so4i
@user-ug4fw2so4i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론 NASA에서 무인 탐사선들 바퀴로 사용하려고 개발 한것으로 아는데요?..
@mundle321
@mundle321 Жыл бұрын
그럼 못이나 날카로운 것에서 안전 한게 비공압 타이어인가요?
@user-ok4yh4lh1c
@user-ok4yh4lh1c Жыл бұрын
타이어값이 더올라갈듯하네요 제동시에 안에 고무가 단단하지 안으면 밀리면서 제구성도 더 약해질거 같아서 안젛을듯함
@unnamed000
@unnamed000 Жыл бұрын
스페어 타이어로 먼저 시작하면 좋을거 같아요 좀 미숙한 지금의 기술로도 트렁크 안에서 관리를 안 해도 되고
@seok2153
@seok2153 Жыл бұрын
휠 디자인이 차량 익스테리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데 일단 미관적인 측면이.. 이런거 저런거 다 해결하려면 양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듯
@gaeiskidosdoye6058
@gaeiskidosdoye6058 Жыл бұрын
연비가 안 좋은건 주행시 접지면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공기 타이어는 빵빵해지면서 접지면이 비공 타이어 보다 작아지죠. 그래서 바람빠진,펑크난 타이어 마냥 달리니까... 만약 이니셜 D의 타쿠미가 드리프트 코너링을 했다면 열과 스트레스로 트레드 다 벗겨져서 벼랑으로 떨어 졌을지도. 코너링시 엄청난 무게와 열 압력 스트레스를 받을텐데 말이죠.
@user-gf6tu2jv3c
@user-gf6tu2jv3c Жыл бұрын
옛날이나 지금이나 차라는 게 기본적인 원리는 똑같죠 그걸 뛰어 넘는 게 나올 때가 된 거도 같네요 전기차도 그 중 하나고
@FP_FivePine
@FP_FivePine Жыл бұрын
고속운행 할 일이 없는 저속 초소형전기차에 적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epimetheus02
@epimetheus02 Жыл бұрын
사용 여부는 가격이 정하겠죠.
@user-kx4lv1pu4v
@user-kx4lv1pu4v Жыл бұрын
왠지 지금은 비공압 타이어로 달리다가 급제동하면 난리 날듯 하네요
@jjojo3865
@jjojo3865 Жыл бұрын
~"겨울에 특히 좋겠다..체인...눈길..어름길...고슴도치...
@lyrith2422
@lyrith2422 Жыл бұрын
245/50R18의 직경은 대략 700mm입니다. 그럼 지름 700mm의 둘레는 2.2m입니다. 시속 110kph는 초속 30.5m입니다. 타이어가 한바퀴 돌면 2.2m를 이동하므로, 30.5/2.2 = 13.86번 회전하면 30.5미터 이동이 됩니다. 1초에 14번 정도만 회전하면 되는데요.
@You-nl3vq
@You-nl3vq Жыл бұрын
moca님 설명이 틀린것 같아요. 물론 1초당 그 정도의 진동이 장시간 반복되면 문제는 생기겠지만. 휠 밸런스 설명도 휠과 타이어 무게 밸런스를 보는게 아닌데 좀 다르게 설명하신 것 같고...
@user-wt5yz7us6l
@user-wt5yz7us6l Жыл бұрын
일체형이면 타이어 교체할때 더 비싸겠네요
@CH_Sudal
@CH_Sudal Жыл бұрын
휠까지 같이 교체한다는 느낌??
@engpoo
@engpoo Жыл бұрын
비공압 타이어..왜 이렇게 실용화가 안되나...했더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었군요
@hjl5785
@hjl5785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전체로 압력이 전달될 수 있는 소재나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듯. 중간에 알루미늄판(탄소섬유판)을 동그랗게 말아서 중간에 1-10개 층층이 넣으면 충격을 타이어 전체로 전달할 수 있을 듯.
@naturalpace9578
@naturalpace9578 Жыл бұрын
질문좀할게요 ㅜ 그럼 타이어는 폐타이어로 개발가능하죠?
@sunghyunhwang1370
@sunghyunhwang1370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ec1ch6rf7o
@user-ec1ch6rf7o Жыл бұрын
소재에 알미늄이나 탄소 섬유판 한개도 아니고 여러개 넣으면 가격 감당 되나요 ㅋㅋㅋ 충격에 강한 소재들도 아니라 교체주기도 짧을거 같은데 ㅋㅋㅋ
@user-bt5qy7mb8w
@user-bt5qy7mb8w Жыл бұрын
공압 타이어과 비공압타이어 중간 이 효율이 좋은 것으로 예상. 정검의 어려움과 펑크가 문제이기 때문에 타이러의 중간까지 비공압디자인 휠까지는 공압 .. 비공압은 고속불가. 내구성도 문제가 많은 것 ...
@hyunsukim3631
@hyunsukim3631 Жыл бұрын
틈사이로 돌같은거 끼면 어찌되나도 봐야 할듯...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Жыл бұрын
자연을 모방하는 것일 수도... 고동 소라 흉내 내는 모양으로 보이거나 튼튼한 벌집구조로 만들 수도...
@viewfinder9696
@viewfinder9696 Жыл бұрын
미국 중장비에는 실제 현장 적용해서 쓰고 있습니다.
겨울길 이렇게 다녀라! 한국도로공사가 알려주는 꿀팁!
17:45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Cute Barbie Gadget 🥰 #gadgets
01:00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EV9] #6 900km 장거리 주행 후기, 이럴라고 전기차 샀(다)나?
12:53
오토캐스트 AUTOCAST
Рет қаралды 993 М.
누가 빠를까? 회전반경은? 승차감 대결?...  ST1 vs 포터EV // 비교시승
20:54
새로나온 기아 K9 시승기...연식변경, 겸손한 최고급차!
38:24
Запчасти под замену?
0:14
УРОВЕНЬ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Which one? 😍#cars #supercars #shorts #viral
0:18
Steven-Silver Lung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How to turn a crappy paint job into GLASS
0:58
Modern Vehicle Care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WHY IS A CAR MORE EXPENSIVE THAN A GIRL?
0:37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