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이 명품이 된 이유(프랑스 왕실의 비밀..)

  Рет қаралды 97,479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프랑스 사학자 임승휘 교수님과 함께 프랑스에서 시작된 명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38 명품은 왜 명품인가?
13:38 에르메스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8:57 명품 판도를 바꾼 전쟁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명품 #에르메스

Пікірлер: 148
@user-ux9oo4cj4k
@user-ux9oo4cj4k 29 күн бұрын
순간 군대 보급 슬리퍼인 줄 ㅋㅋㅋㅋ
@seungcheolpark4578
@seungcheolpark4578 29 күн бұрын
군대 보급은 통으로 찍어서 중간에 뜯어질 일 없는데 저건 뜯어질 듯
@user-cu2ty4li7o
@user-cu2ty4li7o 29 күн бұрын
그것도 명품이긴해
@yowanehaki
@yowanehaki 29 күн бұрын
슬리퍼 GOAT
@user-nk7cx9xk5d
@user-nk7cx9xk5d 28 күн бұрын
명품보다 오래가긴해
@user-nf2br9pf9v
@user-nf2br9pf9v 28 күн бұрын
나만 그 생각 한게 아니구낭ㅋㅋㄱㅋ
@Thebattleofsalsu
@Thebattleofsalsu 29 күн бұрын
사치품이 갑자기 이미지 떡상해서 명품이라고 옛날에는 중국놈들이 허세에 미쳤다고 욕 했는데 우리나라가 사치와 허영심에 가장 미친 나라로 갔죠. ㅠ
@dhl6962
@dhl6962 29 күн бұрын
명품 안사는 사람들 지들은 허세 없는 줄 아는데 필요도 없는 큰차 큰집 사는거 자체가 허세임
@perising
@perising 28 күн бұрын
​@@dhl6962뭘모르네 큰공간이라는것은 허세가 아니라 오히려 자유분방과 관련있는거임 층고가 높고 야외에 가까울수록 영혼은 더욱 맑아짐 자유학문을 탐구하는 도서관이 클수록 명관인 이유 자료양만 따지면 어두침침한 골방에 모든 전산망에 연결된 슈퍼컴퓨터 한대만 있으면 그게 최강이겠지만? 당연히 싫잖아!
@perising
@perising 28 күн бұрын
​@@dhl6962뭘모르네 큰공간이라는것은 허세가 아니라 오히려 자유분방과 관련있는거임 층고가 높고 야외에 가까울수록 영혼은 더욱 맑아짐 자유학문을 탐구하는 도서관이 클수록 명관인 이유 자료양만 따지면 어두침침한 골방에 모든 전산망에 연결된 슈퍼컴퓨터 한대만 있으면 그게 최강이겠지만? 당연히 싫잖아!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28 күн бұрын
​@@dhl6962 맞는 말인듯 저마다 갖고싶은 상품이 다르다는걸 인정해야됨 남자들이 차, 시계 좋은거 사고싶어하는것처럼 여자들은 옷, 백 좋은거 사고싶어하는거지
@DanielDaewoong
@DanielDaewoong 28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LVMH가 얼마나 많이 팔렸으면 LVMH CEO가 소공동 롯데백화점을 방문 할까요????
@annakim3018
@annakim3018 29 күн бұрын
소공동에서 일하는 직장인입니다!! 말씀하신 소공동 양장점들 몇곳 아직 남아있어요 ㅎㅎ 구경오세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user-gz4or9nh9r
@user-gz4or9nh9r 28 күн бұрын
임승휘 교수님 너무 멋지세요❤앞으로도 더 자주 나와주세요~ 역사이야기도 재미있고 항상 기대하고 있어요!
@youngjoolee4706
@youngjoolee4706 28 күн бұрын
영어를 적게 사용하고 한국어를 최대 활용해서 전달하는 모습에서 간만에 외국어 공해에서 벗어나게 되어 좋았습니다.
@user-gh1dw4py1c
@user-gh1dw4py1c 28 күн бұрын
아... 그래서 듣기에 편안했군요... 좋은 댓글에 공감, 감사합니다... 👍 👍 👍 👍 👍 👍 👍 👍 외국어 공해가 너무 심해서 진짜 유튭 시청이 좀 불편했는데... ^^
@J___KIM
@J___KIM 24 күн бұрын
외국어가 해로운 건가요?? 모국어는 깨끗하고 성스러운 것이고?? 지금 시대에??
@jarwon123
@jarwon123 22 күн бұрын
@@J___KIM원 댓글에서 외국어 “공해” 라는 표현때문에 나쁜건가? 리고 생각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해로운건 아니지만 충분히 한국어로도 쓸 수 있는 단어들을 굳이 영어로 써서 한번 더 생각하지 않아도 되니까 듣기 편하기도 하고 이해하기도 쉽지않았나 싶습니다
@user-dl6po3np2j
@user-dl6po3np2j 7 күн бұрын
​@@J___KIM영어 교육방송도 아니고 한국어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로 표현이 가는한 단어을 굳이 영어를 쓰는건 좋지 않은건 맞죠
@valentine1880
@valentine1880 29 күн бұрын
임승휘 교수님 덕에 역사를 보다 늘 기다리면서 챙겨보고 있습니다!!!
@symic79
@symic79 29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염색 새로 하시니 젊어보이심다 ㅎㅎ
@user-vi9ct5zj2e
@user-vi9ct5zj2e 28 күн бұрын
앗 저는 순간 방에 에르메스 슬리퍼를 신고 들이닥친 경찰인 줄 알았습니다.
@user-jz2eb6rd6u
@user-jz2eb6rd6u 29 күн бұрын
임승휘 교수님😍
@user-cf8nu4ir4c
@user-cf8nu4ir4c 28 күн бұрын
재미나게 잘들었.습니다감사햐요
@co-musician640
@co-musician640 28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명품 슬리퍼를 무려 2년간 숙박과 월급, 자기계발, 체력단련, 슈팅레져와 함께 제공받울 수 있습니다
@pentatonics
@pentatonics 22 күн бұрын
사치품을 왜 명품이라고 불러주는지 모르겠다. 그냥 사치품이고 고가품일 뿐.
@dmmml4478
@dmmml4478 29 күн бұрын
군대 보급 슬리퍼 비주얼에 긁혀서 들어올 수 밖에 없었다
@smhong-jh6my
@smhong-jh6my 28 күн бұрын
임승휘교수님 보다역사에서 대화하실때보면 뭔가 새침한 귀여우심~ 강인욱교수님이 중앙아시아 대륙쪽 상남자의 카리스마가 있으시다면 프랑스 연구하셔서그런지 새침한 귀부인같은 소녀미가 느껴짐^^;
@eurydice1689
@eurydice1689 29 күн бұрын
재밌어요
@user-ue2tq7dw8q
@user-ue2tq7dw8q 28 күн бұрын
와 84학번이시면 곧 환갑이신데, 엄청 젊어보이세요!
@koreawp
@koreawp 29 күн бұрын
명품이라 해도 그정도 가치가 있어야 하는데 만드는 공정이 엄청나게 어렵거나 재료비가 많이 들거나 둘 다 해당 안 되는데 명품 이름 값으로 비싸게 받아먹는 건 너무 극혐임.
@junchun2424
@junchun2424 23 күн бұрын
가치없는것에 가치부여 잘하는게 한국인들이 원래 잘하는것들이라 명품이랑 결이 잘 맞는 족속들임
@Pantalone79
@Pantalone79 28 күн бұрын
교수님 타투는 프랑스에서 하셨을라나? 갑자기 궁금하네요 ㅎ
@teancoffee6786
@teancoffee6786 28 күн бұрын
똥을 비싸게 돈주고 사도 자기가 좋아서 하는거니 문제 없는데, 남들을 본인의 잣대로 보며 낮추어보니 문제인거 같아요. 하나도 안 부러운데 남들이 우러러 볼줄 아는 찌질이가 있더라고요.
@nothanku13
@nothanku13 28 күн бұрын
명품이든, 사치품이든 내돈내산이면 누가 뭐라고 할수 있나요? 자기분에 넘치게 사치품을 소비하고 있으니 문제이죠… 부자들은 소비를 좀 해야죠~ ㅎㅎㅎ
@cp-sb6cp
@cp-sb6cp 29 күн бұрын
돈 없는데 명품 사는 심리는 뭘까요??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나요? 그거 들고 어디가려고??
@GoBoSeong
@GoBoSeong 28 күн бұрын
없는걸 감추고 싶은 심리겠죠. 내가 모자라지 않다고 백번 떠드는것 보다 눈에 보이는 명품백, 명품자동차를 보여주는게 효과적일테니까요. 능력이 출중하거나 재력이 출중해서 따로 설명이 필요하지 않는 사람들은 명품이 필요하지 않지만 어딘가 결핍이 있어 설명이 필요한 사람이 더 명품에 집착하는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junchun2424
@junchun2424 23 күн бұрын
그게바로 다른 선진국들이 이제와서나마 청소년들 SNS를 금지하려는 이유입니다 근데 한국은 다른나라에 비해 인터넷 보급 역사가 훨씬 길어서 그만큼 SNS 경력도 다들 길고 당연한게 되버려서 가장 증상이 심한 상태인거죠 한국은 애들 부모세대가 이미 SNS에 절어 있는 수준이라
@oo0oo754
@oo0oo754 28 күн бұрын
능력에 맞게 산다면 모나미 볼펜을 100만원에 산대도 누가 뭐라하겠냐 근대 능력은 ㅈ 도 안되는데 자존감은 바닥을치니 겉치레에만 신경쓰는 인간들이 불쌍한거지.. 뭐 그것 역시 본인들의 선택이지
@I-am-Groot.
@I-am-Groot. 28 күн бұрын
사치품은 원래 비쌈 감당 못하면서 사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문제일 뿐 월급 아껴서 사려 하거나 분수에 맞지 않게 사는 사람들이 한심한 것 허용심만 버려도 훨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갖을 수 있음 참고로 사치 가장 심한나라가 중국과 한국임
@user-hu4sj5zd1i
@user-hu4sj5zd1i 28 күн бұрын
1년7조 매출
@yoojustice
@yoojustice 28 күн бұрын
140만원대 에르메스 슬리퍼ㄷㄷ
@skeldks1
@skeldks1 29 күн бұрын
교수님께는 실례지만 극한직업 치킨집 사장님 같아 맘대로 서비스 주시는 ㅋㅋㅋㅋㅋ
@user-ec5zl8eq2d
@user-ec5zl8eq2d 28 күн бұрын
보다 사실 빵집 맞죠
@Sinprisasinpausa7
@Sinprisasinpausa7 28 күн бұрын
명품은 개뿔. 그냥 사치품이고 요즘은 중국업체에 다 하청을 주더만....
@user-te7dl7yp9b
@user-te7dl7yp9b 29 күн бұрын
다른건 몰라도 에르메스는 값어치 있음 자체 수공업이고 공장에서 찍어내지 않고 버킨백이나 켈리백은 프랑스 자국내에서 손수 만드니 명품중의 명품이라 할만 함 많이 만들지도 않아서 더 좋아 LVMH에 흡수되지도 않아서 그 깡이 맘에 듬
@jj09jj
@jj09jj 28 күн бұрын
그것도 예전말임
@SW00669
@SW00669 29 күн бұрын
막걸리를 마시면 회사의 마인드가 보인다. 대중 상품과 프리미엄이 있는데 같은 회사는 가격차이와 품질차이는 나는데 느낌이 비슷하다. 그 결이 비슷하다. 예전에 고급 한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밥이 너무 맛있어서 어떻게 했냐고 물었다. 양은냄비로 했다고 하더라. 이천에서 먹는 밥과 비슷하게 맛있다. 명품도 사람에 따라 걸쳐도 폼이 나는 사람이 있고 안나는 사람이 있다. 어떤 사람이 사면 적절하지만 어떤 사람이 사면 그걸 왜 샀을까? 의문이 들때도 있다. 패션은 어렵지만, 이 업계 업종에 종사하면, 눈에 띄면서도 자연스러우며 공간과도 어울리고 사람과도 어울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드러내는데도 맞고 또 어쨌거나 눈길이 한 번 더 간다면 옷을 잘 입는것. 브랜드와 상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자신에게 맞은 옷을 맞춰서 원단과 여러가지를 맞춰 제작을 하는 방식도 있다. 뉴진스 혜린은 초록색 쓰레빠 신고 춤춰도 어울리고... 글을 못쓰는 사람이 명품 만년필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글을 잘 쓰는 것 아니다. 대학 축제한다고 공연을 보고 가수들을 보지만 확실히 다르고 차이가 나긴한다. 결과는 돈을 썼으면 아깝지가 않아야 한다. 사람의 기호와 가치관이 달라서 뭐라 말할 수 없다.
@djcjfisjsq
@djcjfisjsq 28 күн бұрын
전쟁 패션 혁신
@user-uj4dm6vu4s
@user-uj4dm6vu4s 28 күн бұрын
젤 시원하게 깔꺼 까고, 챙길거 챙겨주시는........... 쵝오!!!!
@Blue_Butterfly_H
@Blue_Butterfly_H 29 күн бұрын
보다님 혹시 히파티아 스톤에 관해 다뤄주실수는 없나요? 아직 우리나라 매체에서는 다룬내용이 없는데 2년전에 밝혀지길 지구에 보유한 유일한 초신성 폭발 조각이라고 합니다
@wowdecay
@wowdecay 28 күн бұрын
이 지구가 초신성 폭발의 흔적이죠. 초신성 폭발이 없는 태양 같은 주계열 항성들이 만들 수 있는 원소는 철뿐인데 지구에 그보다 더 중원소가 있다는 것은 과거에 태양과 같은 위치에 더 큰 항성이 있었고 초신성 폭발이 있었다는 뜻이거든요. 태양은 그후 남은 성운이 중력으로 다시 뭉쳐 핵융합을 시작하면서 만들어진 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Blue_Butterfly_H
@Blue_Butterfly_H 28 күн бұрын
@@wowdecay 네 알겠고요 다른이야기 하시네요
@nupttics
@nupttics 29 күн бұрын
명품은 무슨 명품입니까. 그냥 사치품이지. 자신의 허영심과 허세욕을 포장하려고 다르게 부르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사치품 소비 세계 1위 대한민국 사람들 정신 차려야 됩니다. 나라욕은 잘 하시던데 개인 스스로 자신은 잘 안 돌아보는 것 같아요. 결혼 안하고 출산율 낮은 걸 정부탓만 하는데 사실 들여다 보면 개개인의 욕심과 비교심리 같은 것도 낮은 출산율에 크게 영향을 미쳤잖아요.
@user-hx8gu6ww2w
@user-hx8gu6ww2w 28 күн бұрын
정신승리가 오킹이네😊
@jimmy_wonseok
@jimmy_wonseok 28 күн бұрын
ㅋㅋㅋ맞죠 그리고 정부 탓 하는 사람들은 그냥 정치병걸린 사람들임
@gazuagabozua
@gazuagabozua 28 күн бұрын
조선DNA 어디 가겠습니까?ㅎㅎ
@whatgaca
@whatgaca 28 күн бұрын
1년에 20억 버는 사람이 200만원 짜리 지갑 사는거랑 1년에 5천만원 버는 사람이 5만원 짜리 지갑 사는거랑 같음
@user-tt8lr7dg1w
@user-tt8lr7dg1w 28 күн бұрын
명품실태 공장 뉴스보자마자 우리나라 외딴지방 허름한공장이랑 똑같앗지 사기꾼들
@Koinejdniebdjdjn
@Koinejdniebdjdjn 28 күн бұрын
명품은 브랜딩의 가장 성공적인 예이다.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특정 사회계급(부자, 연예인 등)에게 해당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게하고 입혀서, 마치 본인이 그 브랜드를 사용하면 동일 계급이 된 듯한 착각(?)을 유발시키는 브랜딩이야. 명품쓰는 사람들 다 좋게 마케팅 기법에 속아넘어가서, 해당 기업 돈벌어주는 사람으로 밖에 안보임 ㅋㅋㅋㅋㅋ 한마디로 좀 머리비어보이는 효과가 있어! 사기꾼들이 가장 잘 접근하는 부류가 명품쓰는 사람들 ㅋㅋㅋ
@tkqktls7
@tkqktls7 28 күн бұрын
올해초 결혼할때 양복 맞춰입었는데 ㅠ 요즘은 그냥 사서입는건가요?😅
@user-gh1dw4py1c
@user-gh1dw4py1c 28 күн бұрын
본인 상황에 맞춰 하는거죠.. 답이 어디 있나요.. ^^
@user-oz3ml7bg9q
@user-oz3ml7bg9q 28 күн бұрын
일상생활에서 입는 정장은 그냥 적당한 기성복 사지 않나용 ㅎ 예식용은 여유 되면 한벌 맞춰보는 거고..
@arakim754
@arakim754 28 күн бұрын
와 임교수님 84학번이셨어요? 9초학번이실거라 생각했는데
@hasus6106
@hasus6106 29 күн бұрын
명품은 서민 중산층의 유럽 상류층 귀족 코스프레용 물건.
@user-hu4sj5zd1i
@user-hu4sj5zd1i 20 күн бұрын
돈이 너무 많아 보통사람 10만원이 천원같은 사람이 사는것~ 이해할수도 동의할수도 없고 합리적하고는 거리가 멀지만 돈있어 보이고 싶은 사람들에겐 그래서 무시당하고 싶지 않거나 과시하고 싶은 사람이 필요한 물건~ 프랑스 사람은 있는체 하는것이 위험해질수도 있기 땜에 조심하는 편이고 또 있어 보이지 않아도 수평적 관계로 문제 없기 땜에 그러질 않음~
@user-pn3ew1hg4z
@user-pn3ew1hg4z 28 күн бұрын
명품 가격은 사람 심리를 이용하는거같은데
@woodoo9374
@woodoo9374 29 күн бұрын
군 보급품 최고역작 : 슬리퍼
@matthewkim1855
@matthewkim1855 24 күн бұрын
착시현상 12:56 노들박
@user-lo9mw9uc1t
@user-lo9mw9uc1t 29 күн бұрын
F나라 전문 교수님이시네요
@user-vq6uo2fn6j
@user-vq6uo2fn6j 28 күн бұрын
오킹의 140만원 슬리퍼 저격 ㄷㄷ
@user-rs3zj5qn5w
@user-rs3zj5qn5w 29 күн бұрын
오킹 슬리퍼!
@darktree5
@darktree5 29 күн бұрын
저는 명품과 사치품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명품을 사치품으로 만든것은 명품을 이해하지 못하고 명품을 쓰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산 사람들이 아닐까요?
@cynical009
@cynical009 28 күн бұрын
그냥 직역하면 사치품luxury인데 명품이라고 브랜딩한거죠
@darktree5
@darktree5 28 күн бұрын
@@cynical009 명품이라 부르는것이 마케팅적 요소가 있다는점은 인정합니다. 그러나 명품이란건 본질적으로는 고급진 물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고급과 사치는 다르다고 생각해요.
@user-sx8xk4pv7f
@user-sx8xk4pv7f 28 күн бұрын
​@@darktree5 서민들 장보듯이 명품을 살 수 있는 사람들이라면 사치가 아니고 고급진 제품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태반이니 사치품이란 이미지가 강한거죠..
@user-cu2ty4li7o
@user-cu2ty4li7o 29 күн бұрын
군대 보급 쓰레빠인줄 알고 왔으면 개추 ㅋㅋ
@user-di1cu6hk4y
@user-di1cu6hk4y 28 күн бұрын
이 사람이 역사를 보다에서 젤 재밌음
@user-te7dl7yp9b
@user-te7dl7yp9b 29 күн бұрын
프랑스가 자랑할만한건 금 보유량이지 세계 3위안에 드는 금 보유량을 가졌지만 자국 내 금광은 단 한곳도 없다는 사실 진심으로 금이 더 탐나긴 함 언젠가 프랑스가서 빌어먹든 사업을하든 돈을벌어 금을 사서 서울 강남 대규모 저택 지어야지
@user-pl6ln4ut7u
@user-pl6ln4ut7u 26 күн бұрын
벌거벗은세계사에서 뵙는분😊
@user-bb9ll4eu1h
@user-bb9ll4eu1h 29 күн бұрын
하 지금은 에르메스보다 까르띠에가 넘모비쌈
@user-uu5js9pv3j
@user-uu5js9pv3j 29 күн бұрын
지금은 명품 아님
@chondak2
@chondak2 29 күн бұрын
에르메스 쓰레빠 타이밍보솤ㅋㅋㅋㅋ
@jhl9444
@jhl9444 28 күн бұрын
시다라니... 마리앙뚜아라... 김디올이.싫어 할텐데 ㅋㅋ
@Ecstatic_intp
@Ecstatic_intp 28 күн бұрын
명품 쓰는. 사람은 믿고 거른다
@user-gb6wm9cu5i
@user-gb6wm9cu5i 28 күн бұрын
근데.. 자기가 좋아서 자기 돈 내고 사는데 그게 뭐가 문제에요...?😮 수준에 맞지 않는 소비행위가 문제이지, 명품을 사는 소비행위 자체가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요?
@apartmentobject-nt3wm
@apartmentobject-nt3wm 28 күн бұрын
프랑스 학자지만 브랜드명은 그 나라 방식으로 발음해주시면 더 좋을 듯 해요.
@user-ju1ft4eb8e
@user-ju1ft4eb8e 29 күн бұрын
문신인가요?😅
@gammalab
@gammalab 28 күн бұрын
썸네일에 나온 베르사체 슬리퍼는 이탈리아 브랜드인데 왜 프랑스 이야기만 하는지...; 어그로인듯
@user-yc3pj8rb2o
@user-yc3pj8rb2o 27 күн бұрын
런던더비가 뭔 말이래. 더비 경마가 뭔지 잘 모르시는 듯..
@user-nl6wi9qs9m
@user-nl6wi9qs9m 29 күн бұрын
도자기하면 우리나라 아니였나요???
@aleph1240
@aleph1240 28 күн бұрын
고려청자나 백자를 잘 만들었지만 상업화를 못했죠. 중국은 유럽에서 코발트를 수입해와서 청화백자를 만들어 유럽으로 역수출 했고 일본은 조선에서 도공을 잡아가서 만든 아리타도자기로 유럽으로 수출해서 열풍을 일으켰죠.
@molonlabe2477
@molonlabe2477 28 күн бұрын
어그로인지 진심인지 분간이 안되는 댓글
@AhnNoMon1976
@AhnNoMon1976 28 күн бұрын
💙 *구하는 이마다 받을 것이요, 찾는 이는 찾아낼 것이요,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니라!!* ❤️‍🩹 *하늘에 계신 하나님께서 구하는 자에게 좋은 것으로 주시리라...* 😊 말씀을 읽은 당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아멘!!
@s6e9xs7e4x
@s6e9xs7e4x 28 күн бұрын
너무 보고 읽으신다
@user-yd4jy9it6t
@user-yd4jy9it6t 25 күн бұрын
오킹 ㅋㅋ
@mightyYeo
@mightyYeo 28 күн бұрын
저 빤짝이 바를려고 얼마나 쥐어짤지...
@user-xs3js5wv6t
@user-xs3js5wv6t 28 күн бұрын
명품이 이해가 안가는 1인 .. 최고급 가죽에 장인이 수제로 만든 가방 은 그가격 이해 해도 .. 명품티셔츠 . 그냥 면티에 로고 프린팅 한게 그가격? 이해 할수 없음
@vegetable_tomato
@vegetable_tomato 28 күн бұрын
명품 아니고 사치품이요. 명품이라고 부르는 것도 괴이함
@limgyuhoo5516
@limgyuhoo5516 29 күн бұрын
1빠
@user-ql8fg4mr8l
@user-ql8fg4mr8l 29 күн бұрын
ㅇㅋ
@limgyuhoo5516
@limgyuhoo5516 29 күн бұрын
아닌가?
@user-td7zf8hu2p
@user-td7zf8hu2p 25 күн бұрын
최악의 평균올려치기의 나라
@Roxollox
@Roxollox 29 күн бұрын
짤 군대쓰레빠 아닌가요?
@Mahalik_L
@Mahalik_L 28 күн бұрын
주제를 모르는 인간들
@hunwoojung
@hunwoojung 27 күн бұрын
무슨 윤리적.... 악마적 마케팅이지....
@user-sg2fp1jy3z
@user-sg2fp1jy3z 28 күн бұрын
아니무슨 84학번이래 84년생이라도 믿겠네!!
@user-pi3rf4ik7h
@user-pi3rf4ik7h 25 күн бұрын
적당히해
@user-hy5nf5gh3q
@user-hy5nf5gh3q 28 күн бұрын
너무 대본을 보셔서 조금….. 다른 교수님들은 안보시던대
@Skye-yeyo
@Skye-yeyo 28 күн бұрын
명품이 명품이 된게 아니라 사치품이 명품으로 둔갑한거 아닌가요. 제대로 표현을 해야지 제목을 왜 이런식으로 다는지.
@user-ll2pm3by3p
@user-ll2pm3by3p 28 күн бұрын
지금의 “명품“이 ”명품“이라는 이름을 가지개 된 이유에 대해서 알려 주고 있잖아요. 본인이 이해력이 딸리는 걸 왜 제목 탓을 하나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익하고만 이래도 찡찡 저래도 찡찡~
@YuJi503
@YuJi503 27 күн бұрын
우리 여사님이 사치품이라면 아주 환장을 하시죠 국민들 세금으로 세계 여행을 다니며 주가조작으로 번 돈으로 사치품으로 치장을 하십니다… 사치품 선물이 아니면 만나주지도 않습니다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895 М.
현대판 영국 런던의 대영주, 25세 웨스트민스터 공작
18:46
프랑스 귀족들이 향수에 집착했던 이유? | 🇫🇷 파리 04
14:22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323 М.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89 М.
Что произошло в ресторане!
0:16
Victoria Portfolio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 СЭР ДА СЭР
0:11
Ка12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Blue🩵+Yellow💛=
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