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손노동'에 빠졌다 / SBS / 모아보는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888,086

SBS 뉴스

SBS 뉴스

Жыл бұрын

#MZ세대 #손노동 #노가다
#SBS뉴스 #8뉴스 #실시간 으로 만나 보세요
라이브 뉴스 채널 SBS 모바일24
▶SBS 뉴스로 제보해주세요
홈페이지: news.sbs.co.kr
애플리케이션: 'SBS 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카카오톡: 'SBS 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페이스북: 'SBS 뉴스' 검색해 메시지 전송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live

Пікірлер: 3 300
@soohakmoon2375
@soohakmoon2375 Жыл бұрын
바람직한 현상인 듯. 죄다 대학교 나오고, 공무원 준비하는게 이상하지. 자신에게 맞는 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다. 눈치 주지 않고 눈치 보지도 않고, 사람 천대하지 않고 다같이 소중하게 여기는 사회.
@user-fe1ex8wb1m
@user-fe1ex8wb1m Жыл бұрын
근데 검강검진은 매년 하셔야할듯 폐암걸리기 딱 좋은 직업ㅜ
@kookitube6563
@kookitube6563 Жыл бұрын
목수를 하던 멀 하던 대학나오면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도움이 되긴 됨. (공대생에 한해서)
@woolkrasdin
@woolkrasdin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문과 이과 이끌어가는건 극소수이니 나쁘게만 볼 상황은 아닌것 같습니다. 오히려 중,고등학교때부터 적성에맞는 기술 수업 전문적으로받고 대학학과도 그쪽으로 공부하면 그게 분야전문가죠 뭐 ㅋㅋ 영토도 작은데 의미없는 대학,학과 정리하고 기술은 세분화되고 지역별 대표하는 기술학교들이 생기면 정말 좋겠네요 우리나라도 어렵게 선진국에 도달했지만.. 더 앞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네요
@infi5879
@infi5879 Жыл бұрын
@@user-fe1ex8wb1m 병에는 직업귀천 없어요.
@seankim4145
@seankim4145 Жыл бұрын
참 멋진 댓글이네요
@oscarjeong9438
@oscarjeong9438 Жыл бұрын
독일 청년들이 오래전 부터 이렇게 직업의 귀천 없이 기술력으로 인정받고 개인 생활을 즐기고 일도 잘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그들의 문화였습니다. 이런 문화가 계속 발달되었으면 합니다.
@yanoljax
@yanoljax Жыл бұрын
독일은 대신 저런 노동자체 임금이 엄청 쌉니다. 무슬림하고 단가경쟁해서 월에 90벌어가는 기술공도 허다합니다.
@user-rr4od5xr9k
@user-rr4od5xr9k Жыл бұрын
정부가 시스템을 잘 만들어야 해요 아파트 내장일 하시는분 거짓말 보태면 99% 가 중국사람이다
@user-hq6tg5bx5u
@user-hq6tg5bx5u Жыл бұрын
@@yanoljax 독일이 월에구십? ㅋ really? Never
@yanoljax
@yanoljax Жыл бұрын
@@user-hq6tg5bx5u never 가아닌 강한부정으로 No 라고 했겠지 이런 새끼들하고 말섞는 내 인생이 레전드다
@yanoljax
@yanoljax Жыл бұрын
@@user-hq6tg5bx5u nevertheless라고 써야지 never을 쓰고 싶었으면 ㅋㅋㅋㅋㅋ 에휴
@koreanjjindda4074
@koreanjjindda4074 Жыл бұрын
내가 지금 41살인데 소름돋는다. 모든건 반복된다고 나의 아버지 시대때 하던 손노동이 나의 시대때 멀리했고 다음인 지금 현 젊은이들이 반대로 나서고있는걸 보고는 공간이 비는곳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가듯 모든건 돌고 도는것을 느낀다.
@KimKim-mi8xj
@KimKim-mi8xj 7 ай бұрын
개나소나 대학나오고 최저시급 올라서 그래요ㅋㅋㅋ 말씀하신대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 대우가 달라지는거
@user-hk5lf3gt8y
@user-hk5lf3gt8y 4 ай бұрын
맞아요 과부하가 오면 한쪽이 비고, 빈곳으로 또 채워가고 그러면서 돌고 돌죠. 기다리면 다 순서가 오듯...이번 생에 안되는건 안되는거지만ㅋ
@user-michaella
@user-michaella 3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
@suzume_doordansoc
@suzume_doordansoc 3 ай бұрын
근데 40대는 정신못차리고 상당수가 민주당 찍더만 ㅉㅉㅉㅉ
@ur-ytr22
@ur-ytr22 3 ай бұрын
문재인 민주당이 최저시급 올려서 모든 물가 다 올라감 ㅋㅋㅋㅋ결국은 최저시급 올라도 모든 물가 올라서 더 안좋음 알바 사용하더라도 피크타임에만 잠깐 사용하는사람들이 많을듯 피크타임에 사용하면 알바는 일이 2배로 많아졌지 최저 시급 올라가면 이런현상이 발생함 ㅋㅋ예전에 알바 3명 사용하던걸 1.5명 사용하고 일은 2배로 늘어남 ㅋㅋㅋㅋㅋㅋ
@user-is6px3cg1l
@user-is6px3cg1l Жыл бұрын
목수 15년차입니다 저도 20대후반에 이일처음배웠고 지금은 만족하며 살고있네요 힘든일이지만 젊은친구들이 일의 가치를 알아보는게 고맙고 참 대견들하네요 화이팅
@yong92lee87
@yong92lee87 4 ай бұрын
​@@user-qu3xk4ks2u그냥 평생 백수로 집구석에 서 쉬어
@user-pm4hw3yk8g
@user-pm4hw3yk8g 4 ай бұрын
그런말을 왜 sbs 가?????? 지금 태영건설 떄문에 하청 건설현장 인부는 돈못받는다고 난린대 ...........하........sbs는 안팔고 이런방송을한다고? 하............
@user-ov3gr6ey1b
@user-ov3gr6ey1b 4 ай бұрын
멋지십니다.
@kkkkkk10100
@kkkkkk10100 4 ай бұрын
얼마나 모앗나요?
@Ketchapmayo
@Ketchapmayo 3 ай бұрын
목수 너무 멋있어요! 너무 멋진일이구요, 인내심도 많이 필요하죠 존경해요 진심으로요
@hjlee7914
@hjlee7914 Жыл бұрын
이런 뉴스가 진짜 참 뉴스다. 하루가 멀다하고 재벌 컨텐츠로 눈높이만 높아지고 정말 할수 있는 일들중에 괜찮은 것들이 외면받고 있다. 이런게 개선되야 좋은 일자리라는 시각도 넒어지고, 노동을 천대하는 문화도 개선된다.
@Tay1orS3ift
@Tay1orS3ift Жыл бұрын
내리다가 순간 뉴진스라길래 갑자기 뜬금 없이 뭔 뉴진스가 나와 하고 ㅂ다시 봤네 ㅋ꙼̈ㅋ꙼̈ㅋ꙼̈ㅋ꙼̈
@DarkStorm8795
@DarkStorm8795 Жыл бұрын
나도 대기업 다니지만 나중에 올라가다 올라가다 짤리면 택배기사를 하든지 지게차 운전 하려고 생각중
@user-ht7xy9sx7p
@user-ht7xy9sx7p Жыл бұрын
@@DarkStorm8795 대기업 생산직?
@dddhju
@dddhju Жыл бұрын
@@user-ht7xy9sx7p 이런 새끼들 보면 뇌에 뭐가 들었나 싶네... 뉴스 내용 뭔 지 모름 ? 대기업 노동자라니까 열등감 발작 버튼 눌린 것 같은데 너같은 애들 살기 좋아지라고 이런 내용의 뉴스가 나오는 거임 자세히 설명해주자면 너같은 새끼들 남들 하찮게 여기는 직업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큰데 그 직업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내용의 뉴스잖아
@hjlee7914
@hjlee7914 Жыл бұрын
@Magenta 그러니까 그런 인식부터 바까야죠. 기업도 사람들이 전부다 그런 부정적 인식이 깔려있어서 기피하는데 공장은 현실적으로 하루도 쉬면 안되니 외노자라도 쓰는거 아니겠나요? 우리나라 현실에 전부다 펜대만 잡을수는 없어요. 그럴만한 자리도 없고요. 그럼 여자처자 해서 그런 노동일을 하시는 분들이 생긴다면 적어도 그분들이 직업으로 인해서 멸시받고 무시당하는 그런인식개선은 해야 된다고 생각하지 않으시는지?
@edwinjaihyunko9412
@edwinjaihyunko9412 Жыл бұрын
가장 천대받던 기술노동직이 아무도 할 사람이 남지않으니 가치를 제대로 받기시작했네요 정말 다행입니다. 사실 이게 다른 선진국처럼 생활물가를 올리기야 하겠지만, 어쩔 수 없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응해야죠.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목수 벽지 인테리어필름 벽지페인트 등 : 경고 : 지인이 있으면 정말 좋다. 그러나 뒷배(지인)없이 하면 90%는 데모도로 착취만 당하나 손털게 된다.
@yanoljax
@yanoljax Жыл бұрын
@@leehyangje 그리고 벽지나 인테리어 필름은 단가도 싸서 조선족애들하고 경쟁해야하는데 조선족애들이 더 실력이 좋은 경우가 많음
@user-co1ph2wj1b
@user-co1ph2wj1b Жыл бұрын
저게좋을거같지 ㅎ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user-co1ph2wj1b 지인이 있어서 + 야무치게 배우면 좋다 ㅎ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yanoljax 조선족 동포가 목수 인테리어필름 벽지 등에서 기술자인 경우는 2%이하 이죠. ㅎ
@user-os3qh4lx6i
@user-os3qh4lx6i Жыл бұрын
독일의 마에스터제도를 국내에도 도입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아무생각없이 20대까지 학교에 앉아있는것 보다는 진짜로 내가 좋아하는것이 뭔지, 해보는 것이 진정한 삶의 가치를 찾을 수 있는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user-we6ct6ii9n
@user-we6ct6ii9n Жыл бұрын
20살되자마자 바로일할수있는곳 가는게맞음 80년대마냥 대학에 투자해서 원금회수하고 더벌수있는 환경이아님 대학은 소수엘리트가 가야되는데 개나소나가고 올라간 인건비로 해외로 일자리다빠져나가니까 바늘구멍되서 평균취업연령 31세됐음 10년낭비..
@user-sm4vm2hm8n
@user-sm4vm2hm8n 2 ай бұрын
근데 한국 징병제떄매 힘듬.. 20대에 끌려가는게 확정이니
@dxxp____5611
@dxxp____5611 Ай бұрын
미세분진은 생각보다 눈을 통해서 몸에 많이 들어와요. 우리가 코랑 입으로만 들어올거라 생각하는데 오산입니다ㅠㅠ 현장 일하시는 분들 귀찮아도 고글 꼭 착용하세요. 저도 현장직이다보니 검색등 의료 지식들 찾다가 알게된 내용이라 전달해봅니다!
@grace-in6dl
@grace-in6dl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이 스스로 하는 노동에 가치를 느끼고 열심히 사는 모습 넘 멋지네요^^!! 돈을 당연히 그냥 받는것이 아닌 자신의 노력에 대한 값으로 받는 가치로 알 수 있는 것에 넘 좋은 기사네요 감사합니다 ^^!!
@user-ii3cf7dv4z
@user-ii3cf7dv4z Жыл бұрын
좋은 현상인듯 함. 유럽 갔을때.. 그 정원사들이 웃으면서 여유롭게 일하던 모습이 보기 좋더라
@insightpark
@insightpark 2 ай бұрын
베르사유 장미
@aimatme-vt3bf
@aimatme-vt3bf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자신의 미래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다는거네. 영리한 청년들이네. 멋지구먼.
@user-pm4hw3yk8g
@user-pm4hw3yk8g 4 ай бұрын
그런말을 왜 sbs 가?????? 지금 태영건설 떄문에 하청 건설현장 인부는 돈못받는다고 난린대 ...........하........sbs는 안팔고 이런방송을한다고? 하............bgm 희망적인거 깔면 또속아?
@redginseng12
@redginseng12 4 ай бұрын
보통 고민을 하고 들어가는경우는 별로 없고 주변사람들 소개로 많이들 들어가죠 ㅎㅎ 주변에 현장직하는사람없으면 제가 하는 직업이 있는지도 모르는 청년들이 대다수더라구요 ㅎㅎ
@jinchang9292
@jinchang9292 Жыл бұрын
미세분진은 눈과 같은 점막으로도 흡수가 가능할텐데 고글도 써서 건강 챙기셨으면 하네요
@nudzhhh
@nudzhhh Жыл бұрын
그럼 중국발 미세먼지는 어떡하죠?
@jinchang9292
@jinchang9292 Жыл бұрын
@@nudzhhh 저건 환기가 되지 않는 공간에서 바로 앞에서 분사하는 거잖아요. 중국발 미세먼지는 공청기 트시거나 야외에선 마스크 쓰고 안경 쓰세요.
@user-ht9vp6mc8e
@user-ht9vp6mc8e Жыл бұрын
@@nudzhhh 참 모자란 소리하고 있네 ㅋㅋ
@qhwl_Wlw
@qhwl_Wlw Жыл бұрын
@@nudzhhh 어쩔수없음 중국쪽과가까운 서쪽 경기도쪽에있으면 미세먼지마시고살아야댐 마스크쓴다고 미세먼지 전부다 차단할수가없음 숨을안쉬고다니면모를까
@ypirea
@ypirea Жыл бұрын
너무 더워서 고글끼면 앞이 안보임..ㅠㅠ
@jeff2389
@jeff2389 Жыл бұрын
좋은 현상이긴하나 이 업종들 또한 수요가 몰리면 그만큼 경쟁이라 힘들고, 더욱이 요즘같은 부동산시장 불경기에는 불러주는 곳이 없어서 어렵다고들 하더라구요.
@user-cj8zk3kl9e
@user-cj8zk3kl9e Жыл бұрын
부동산시장 불경기에는 오히려 고쳐쓰기 때문에 나아질거라봅니다. 무조건 때려부시고 다시짓는 신축재개발보다 리모델링쪽이 더전망이 밝을테니까요 . .. 특히결로쪽이나 목수 미장 타일 도배 실력있는분들은 무지바쁘더라고요 . . .
@user-kd3kv9gm2c
@user-kd3kv9gm2c Жыл бұрын
그렇게따지면 아무것도못할듯
@user-yg7dn1bo8k
@user-yg7dn1bo8k Жыл бұрын
@혜민 알바할때도 편하다 싶은 기술쪽이 아무것도 모르고 처음 갔는데 세후 월250~300은 가져갔습니다 사수들이나 힘든일 하시는 분들 수입은 상상이상임 공사장 사람들 후줄근하니까 없어보이는데 어지간한 회사원 수입 두배가까이 벌듯요
@kingot226
@kingot226 Жыл бұрын
@@user-yg7dn1bo8k ㅇㅈ 공사현장다니시는분들 출근할땐 포터타고 다니지만 집에 외제차 하나씩또 끌고다님
@user-xo7oq6uq8l
@user-xo7oq6uq8l Жыл бұрын
팩트) 그래도 세전 200따리 사무직보단 낫다
@lee.dong.jun.
@lee.dong.jun. Жыл бұрын
공부가 인생의 전부인 시대는 끝났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시대이다... 나는 25년 전부터 외치고 있었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는 기술[전문]을 하등 취급하고 있슴을 느낀다... 말로는 귀천이 없다고 하고 정작 본인들은 정말 진심으로 받아 들이고 있을까?... 기술을 배우는 후배에게 이런 말을 해주고 싶다... 천재 기업인 일론 머스크 보다 내가 하는 일이 더 대단하고 잘하는 일임을 본인이 알아야 한다... 2030 세대 응원하며 화이팅 입니다
@user-do2zq7td3u
@user-do2zq7td3u Жыл бұрын
멋진말입니다 !!
@user-ym3ch8iw2d
@user-ym3ch8iw2d Жыл бұрын
일론 머스크가 더 대단하긴 한데요
@user-xo4du5iu5j
@user-xo4du5iu5j Жыл бұрын
@@user-ym3ch8iw2d 자신감을 가지고 당당하게 살아라는 뜻인데, 꽉 막힌 사람들이 있음 님처럼 ㅇㅇ 그릇이 작아서 사업도 안 될 거고 남 밑에서 일하며 남들 험담이나하며 하루하루 삼류인생으로 살아가는 당신을 되돌아보십쇼 ㅋ
@WG_key
@WG_key Жыл бұрын
@@user-ym3ch8iw2d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이 댓글로 보여주셨어요 이건 유머라고도 보기 힘듬
@job670
@job670 Жыл бұрын
2030을 응원해줘서 고맙습니다!
@jaylee5197
@jaylee5197 Жыл бұрын
요즘 대기업, 중소기업 가리지 않고 희망퇴직 대상자가 되고 있는데 이런 뉴스를 보니까 진짜 기술직도 굉장히 매력적으로 보이네요.
@jinos
@jinos Жыл бұрын
80년도 공무원들은 굶어죽지 않을정도로 먹고 사는 거지직업이었어요 ㅋㅋㅋㅋㅋㅋ 지금보세요 아주 철밥통에 연금 두둑하니 ㅋㅋㅋ
@zergstar5577
@zergstar5577 Жыл бұрын
그럼 니 아들부터 배관공, 타일공, 페인트공 ㄱㄱ
@compotv1799
@compotv1799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연금이라도 많았지 이제는 공뭔 연금도박살났어요ㅜㅜㅜ
@user-dj8bh4lf3c
@user-dj8bh4lf3c Жыл бұрын
@@compotv1799 미래의 공무원은 그래도 연금은 나오긴 하지만 국민연금은....
@user-dl7sf8kn1n
@user-dl7sf8kn1n Жыл бұрын
근데 요즘 이쪽이 일이없어요 집값떨어지고 대출안돼서 이사도 안해 집도 안짓고 씨가말랐습니다 일이
@judy7289
@judy7289 5 ай бұрын
노가다라는 시선보다 기술직으로써 전문성이 있는 인재들로 바라보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엇이든 도전하는 분들 너무나도 멋있습니다!
@user-vw6mu8cm6e
@user-vw6mu8cm6e Жыл бұрын
이런일 아무나 하는거아님.. 시작하다 얼마못가는 사람들 허다할텐데 진짜 젊은나이에 이분들 정말 대단한거..
@user-rf9hb4zz7d
@user-rf9hb4zz7d Жыл бұрын
15년전 대전 ㅇㅇ대학 근방에서 맨홀 뚜껑열고 작업할때가 생각난다~ 지나가는대학생 하는말 우린나중에 저렇게 되지말자~ 더럽고 힘들게 보였겠지만 난그때부터 월천이상 벌고 있었다 직업의 귀천은없다 빚도 다갚았고 아파트도 한채샀다 내년에는 집사람도 장사준비중~이젠 월2천을 위해 내일도 달린다 기부도 좀하고 ~~ 내가 하고싶은말은 젊은이들이여 열심히해라 단 돈이되고 미래가 보이는것에 투자해라 지금 고무신 만드는 기술 배우면 성공할수 있는가? 무조건노력해서 되는건 아니다 될만한것에 열정을가지고 노력해라 두서없이 글을 썼지만 오늘도 화이팅~~끝
@user-ho8uv3sn6i
@user-ho8uv3sn6i Жыл бұрын
좋은말이네요 지금도 기술직 일하시나요? 어떤기술직이신지..?
@user-pk8mt2nm3n
@user-pk8mt2nm3n Жыл бұрын
멋집니다
@EEEEEEEEEE0
@EEEEEEEEEE0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인생은 돌고 도는것
@LOL-fd2lz
@LOL-fd2lz Жыл бұрын
아무런 잘못을 안했는데 욕먹는 사람들보면 다 잘살더라고 ㅋㅋ 남욕만 하는 애들은 보통 못살고
@user-om4lq8ds5h
@user-om4lq8ds5h Жыл бұрын
아저씨 멋져요
@BBX-SZ
@BBX-SZ Жыл бұрын
현직이었다 지금은 접었습니다 허리 목 손목 아작났습니다 저는 중문했습니다 현장일이 그리 쉬운게 아닙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user-pm4hw3yk8g
@user-pm4hw3yk8g 4 ай бұрын
그런말을 왜 sbs 가?????? 지금 태영건설 떄문에 하청 건설현장 인부는 돈못받는다고 난린대 ...........하........sbs는 안팔고 이런방송을한다고? 하............
@user-kv5qx8bd5v
@user-kv5qx8bd5v 4 ай бұрын
1년전 영상이다@@user-pm4hw3yk8g
@gildonghong8069
@gildonghong8069 4 ай бұрын
중문 몇년했고 지금은 무슨일하세요?
@misojang7747
@misojang7747 4 ай бұрын
다른일은 뮈 아무일 없을까요 직업이라는건 결국 거기서 거기 다 작업병 생김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4 ай бұрын
ㄹㅇ 건설업계는 진짜 타고난 강한 신체와 회복력이 따라주지 않으면 오래 못함 주6일 새벽기상하여 하루 죙일 먼지마시며 일하고 주말에 하루 쉬다보니 남들 2일 쉬는거랑 비교해서 휴식시간도 반이 안 됨 심지어 야외쪽 일은 비나 눈오면 일 못하니 토요일까지 일해도 연평균 22공수도 맞추기 힘듬ㅋㅋㅋㅋ 게다가 공사일이라는게 거주지 근처에만 계속 있는게 아니다보니 전국을 떠돌게 되고 1년의 90%이상 집도 못갑니다 그러다보니 이 일을 계속 하다보면 결국 일하는 만큼만 받는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user-or2tx8kl7h
@user-or2tx8kl7h Жыл бұрын
에휴...나도 기술이나 배울걸 무조건 인문계가야한다는 말을 왜들어가지고... 물론 기술직 하시는 분들도 고충이 있으시겠지만, 지금 당장 기술이라도 습득해놨으면, 뭐라도 하면서 살았을텐데..
@dmdxhltkz
@dmdxhltkz Жыл бұрын
완전 동감..
@Zzzzzvq
@Zzzzzvq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user-et3sn6vn2z
@user-et3sn6vn2z 4 ай бұрын
​@@Zzzzzvq안녕하세요. 무슨 분야 일 하시나요? 또 기술 창업이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UmSuJeong
@UmSuJeong 3 ай бұрын
늦지 않았어요. 저는 뒤늦게 공무원 준비중이지만 만약 공무원 합격되면 일하면서 기술직도 배워서 노후에는 기술직 하고 싶네요.
@GGAGURACK_JI
@GGAGURACK_JI Жыл бұрын
흔히 노가다라고 하는게 잘 모르면 천대하거나 저런거 안하려고 노력하라는 사람들이 있지만, 저런 기술을 하시는 분들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들어요. 변호사, 판사보다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 직업이라고 생각해요.
@leopardseal44
@leopardseal44 Ай бұрын
ㅇㅈ 조공으로 시작해야 되는데 진짜 웬만한 노가다 잡부보다 빡세다고 하더라구요 돈 많이 벌어도 나이들어서 무릎 나갈 각오는 해야 될듯
@deangding9793
@deangding979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현장직들은 원래대로면 대우받아야 마땅한데... 진짜 너무 바닥이미지라... 개선이 빨리되었으면 좋겠네요.
@KaZeNStar
@KaZeNStar Жыл бұрын
영상초반에 나오는 방독면 어디서 구매하는지 아는분 있나요?
@user-tp5rb7ug6m
@user-tp5rb7ug6m Жыл бұрын
저런거 하려면 현업중인 인맥필요함 일구하기 힘들어
@user-oh4ic3bm7p
@user-oh4ic3bm7p Жыл бұрын
이미지는 그럴지 몰라도 막상 월급쟁이들 두배이상으로 돈 법니다
@deangding9793
@deangding9793 Жыл бұрын
@@user-oh4ic3bm7p 알죠! 일단 기술직인데.. 우리나라도 좀 이동시간때문에 새벽출근말고 .. 호주나 미국처럼 근로시간이 정해졌으면좋겠네요
@deangding9793
@deangding9793 Жыл бұрын
@@user-tp5rb7ug6m 맞아요. 저도 지인분들이 각종분야에 계신데...그런데요 요즘은 뻥치고 경력속이고 오는분들땜에도 사람구하는데 조심하는것도 있다고 합니다
@sanggregory3606
@sanggregory3606 Жыл бұрын
땀흘리고 일 하는 모습 참으로 자랑스럽고 든든합니다 응원합니다 이제야 한국이 희망이 보이네요 감사드립니다 청년 여려분 장하다 최고다 👍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Жыл бұрын
노가다임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Жыл бұрын
@@user-nk1py3jo8k 그렇지 ㅋㅋ더정확히 막노동이라는 정확하고 확실한 단어가있는데 이쁘게 포장해서 손노동거리네?ㅋㅋ손만움직이는게 결코아닌데?ㅋㅋ난요즘이런게 큰문제라고봄 있는그데로를 표현하고 말하는사회가 되어야 그만큼 부정부폐에 관련된 고위공직자 놈들부터 요즘애들 교육까지 바르게 가르칠수있다고봄 ㅋㅋ
@aeggon4268
@aeggon4268 Жыл бұрын
@@user-nk1py3jo8k 너 같은 애들 때문에 사회가 요모양 요 꼴이지. 겉으론 똑같아 보이는 일도 제대로 일하는 인력이 있고 아닌 인력이 있다. 아무 개념없이 그냥 노가다니까 값싼 인력 쓰면 되겠지... 라고 하다가 지금 인테리어 사업 같은 게 점점 개판나고 있는 거 아니?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끼리끼리 진입장벽 엄청 높다. : 목수 벽지 인테리어필름 벽지페인트 등 : 경고 : 지인이 있으면 정말 좋다. 그러나 뒷배(지인)없이 하면 90%는 데모도로 착취만 당하나 손털게 된다.
@user-sg8dp8ql9v
@user-sg8dp8ql9v Жыл бұрын
돈 많이버는 노가다
@jcat6920
@jcat6920 Жыл бұрын
실리콘 코킹만 8년째 전문으로 하고 있는 30대 중후반 입니다 영업때문에 정말 스트레스 많이 받고, 겨울에 너무 힘들지만 제가 시공한 작업물을 보고 신기해하고 만족해주시는 많은 분들때문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노가다라는 인식이 더 많긴 합니다... 더 젊은 분들이 많이 유입되서 노가다꾼이 아닌 기술자로 불리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wac-7211
@wac-7211 Жыл бұрын
이거 행복회로 돌리는 겁니다.. 하루하루 정말 힘들어요 그만큼 보상 받는거라 버티기 힘들어요.. 저기 나오는 깨끗한 현장 만나는건 정말 드뭄... 버틸수 있으신분들만 하시길..
@user-lq6ex3qs8z
@user-lq6ex3qs8z Жыл бұрын
일정을 조정하는게 아니라 강제로 조정될경우도 있을텐데 역시 뉴스라서 좋으면만 보여주는군요
@cookingglory638
@cookingglory638 Жыл бұрын
주위에 인테리어 실력있는 사장님들 많으신데 다들 부유하게 사셔요. 건강하고 의지만있다면 꼭 좋은대학 나와서 화이트칼라만 고집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user-sq2xq6ub1g
@user-sq2xq6ub1g Жыл бұрын
이런 뉴스가 나오는거 보면 이미 여기도 포화다ㅋㅋ실제로 요새 일 ㅈㄴ없음
@user-ex7er1tl6d
@user-ex7er1tl6d Жыл бұрын
그래 이게 정상이지
@kleeclee2
@kleeclee2 Жыл бұрын
아...곧 포화될것 같은데요. 요즘에 인테리어 사장님도 발을 직접뛰어야하거든요. 학원에 지금 등록하고 싶어도 자리없거든요.
@pro85190
@pro85190 Жыл бұрын
인테리어는 전공정 돈 안주고 튄 다음 업체명 바꿔서 재오픈 한답니다 스레기들임 그렇게 돈 버는 애들이라 잘사는거
@shinssyhun
@shinssyhun Жыл бұрын
사기처서 부유한가? ㅋ
@chungdam_construction
@chungdam_construction Жыл бұрын
현장에서도 전문가가 존중받는 세상이 점점 현실화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문가는 꼭 지식과 정보가 많은 사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 많고 손기술이 좋은 사람도 포함시켜야 됩니다. 앞으로 인정 받아야 할 사람이 인정받는 문화가 더욱 빠르게 정착되었으면 합니다.
@yueesertz
@yueesertz Жыл бұрын
마음편한게 최고라서 무슨 일을 하건 기술이든 사무직이든 본인 마음이 편한 곳에서 일하는 것이 최고다
@Ssean_choi
@Ssean_choi Жыл бұрын
30대 초반인데 친구중에 딱 한놈 타일합니다. 전역하자마자 시작해서 10년 조금 넘었는데 지금은 월 1000넘게 벌고있습니다. 친구들중 제일 잘벌어요. 근데 자기 자식은 그냥 공부시켜서 대학보낼거래요. 추울때 추운데서 일하고 더울때 더운데서 일하니깐요. 그리고 100명이 시작하면 98명은 그만두거나 도태된다고 하더라고요. 쉬운게 없습니다ㅠㅜ
@user-ek8ir7xu6d
@user-ek8ir7xu6d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기술 배우는데 타일도 있지만 운전을 할줄 알아야 기술을 배우러 다닐 수 있나요?!
@user-ll2sp7ce4j
@user-ll2sp7ce4j Жыл бұрын
@@user-ek8ir7xu6d 운전은 필수임, 가족이랑해서 같이 출퇴근하는게아니라면 현장을 보통 자가로 가야하기때문에 있어야 편합니다.
@user-ek8ir7xu6d
@user-ek8ir7xu6d Жыл бұрын
@@user-ll2sp7ce4j 안녕하세요 바쁘실 시간에 답장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눈에 염증을 치료 해야 하는데요 진료 받으려고요
@user-wg3ci3mj2w
@user-wg3ci3mj2w Жыл бұрын
이게 현실이군
@napskin
@napskin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결국 사무직이 갑이라는 결론… 슬프지만 대단하긴하네요
@user-qz8yr6hu7o
@user-qz8yr6hu7o Жыл бұрын
건설회사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서 현장근로자들이 점점 여건도 좋아지고 기술자로서 인정받는 추세여서 내가 회사원이 아니면 이렇게 기술배워서 먹고살아도 괜찮다 생각했는데 제 또래분들이 점점 생각이 바뀌는것 같아서 기분이 좋네요.. 익숙해지고 전문성이 생기면 정말 좋은 직업들인 것 같아요. 메리트도 있는게 나중에 내가 팀을 꾸려서 현장을 맡아서 하게되면 정말 돈을 많이버는 직업 중 하나입니다
@someeenn
@someeenn 8 ай бұрын
이런 기술직을 배우거나 취직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는 건가요??
@user-fz7ck8jc9l
@user-fz7ck8jc9l 3 ай бұрын
자격증 백날따봐야 노가다판에서 아무도 안알아줌 그냥 종목이거저거 해보시고 꾸준히 하시면됨 일알려준다고 수습기간 ㅇㅈㄹ하면서 열정페이 주면거르시고
@leopardseal44
@leopardseal44 Ай бұрын
​@@user-fz7ck8jc9l 노가다 잡부로 먼저 뛰어야 된다는 소리인가요??
@AweSome-qq3tt
@AweSome-qq3tt Жыл бұрын
요즘 너무 자기 수준에 비해서 과소비를 하거나 좋은 직장만 보는 사람들과 달리 현실에 맞추어 좌절 탓 하지 않고 열심히 사는 사람 보면 되려 응원해주고 존중하고 싶음
@nofear5317
@nofear5317 Жыл бұрын
저도 퇴사 후 기술직에 증사중인데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만족합니다
@user-te4jk9uq8n
@user-te4jk9uq8n Жыл бұрын
어떤, 직업이든 존중해야함 세상직업 살아가는건 정답이 없어요
@0iooxxooi0
@0iooxxooi0 3 ай бұрын
​@@user-rl8mm8zb5y 앞을 못내다보는 절망적인 인간
@Demo_K
@Demo_K Жыл бұрын
진짜 앞으로 더 인정 받는 직업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직업 하나하나가 모두 소중하다고 생각해요. 각자 사회에서 소중한 존재들 입니다!
@user-me5ew5zx7w
@user-me5ew5zx7w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몰라도 페인트 분진은 건강이 너무 걱정되서 못하겠다
@kokonara3497
@kokonara3497 Жыл бұрын
좋은 선택이네요.다만 같은 손기술도 식음료쪽은 피하세요.요리사,제과제빵,바리스타....최악
@user-wd3qx3di4l
@user-wd3qx3di4l Жыл бұрын
식음료쪽은 최악인 이유가 뭔가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kokonara3497
@kokonara3497 Жыл бұрын
@@user-wd3qx3di4l 적은 급여,살인적인 근무시간,과도한 경쟁. 대부분 1년이내에 그만둠.
@user-ks8dp8vh4w
@user-ks8dp8vh4w Жыл бұрын
패스트푸드 요식업도 마찬가지이겠군요
@user-si2vp7ew8j
@user-si2vp7ew8j Жыл бұрын
미용쪽도포함
@user-pl5nz6cp9o
@user-pl5nz6cp9o Жыл бұрын
식품은 공장도, 물류센터도 둘 다 힘듬;; 자동차, 전자, 의류 보다도 돈이 적음
@papillon0123
@papillon0123 Жыл бұрын
MZ표현 하.. 스브스는 엠지표현 없으면 기사를 못쓰나;;그리고 사람은 다양하고 하는 직종도 다양한 거지 그냥 기자들이 이쪽으로 분위기 유도하는 거 같음. 직업을 뭔 유행따라 해야하나
@rnfma12311
@rnfma12311 4 ай бұрын
옛날에도x세대라는표현많이함 이런단어들로 시대를 유추가능
@ssk-gc4kp
@ssk-gc4kp 3 ай бұрын
언론이 가스라이팅 하는거죠 스브스는 거릅니다
@user-vy2hp5wz4v
@user-vy2hp5wz4v Жыл бұрын
건설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써 영상에 긍정적인 부분만 나와서 그렇지 현실은 절대 저렇지 않습니다. 내가 전공단계까지 갈려면 사수도 잘만나야되고 단가도 맞아야되고 현장컨디션도 좋아야되고 일이 없으면 그냥 쉬어야되며 바쁜날은 정말 쉬는날도 없습니다. 전 6개월을 하루도 안쉬고 일만하시는분도 봤어요. 절대 그렇게 녹록치 않죠. 잘 가르쳐주지도 않을뿐더러 잔심부름에 그리고 혹한 작업환경에 나가떨어지는 사람들 많이 봤습니다. 내가 노가다를 해보겠다 하시는분들은 무작정 뛰어들생각하지마시고 주말이나 쉬는날 이용해서 일용직으로 현장 잡부로 나가서 경험을 해보세요. 그래도 할 수있으면 도전하세요. 그게 순서입니다. 어설프게 도전했다가는 몸버리고 멘탈 개박살 납니다
@raonlee412
@raonlee412 5 ай бұрын
좋은말씀이신거같아요..!!
@user-kc3ll8hd7t
@user-kc3ll8hd7t 5 ай бұрын
좋은경험의 말씀 감사합니다.
@swarkim5995
@swarkim5995 2 ай бұрын
공감222 이게 현실이지.. 팀을 잘 만나야 합니다
@user-mw2fd3sk5v
@user-mw2fd3sk5v Ай бұрын
이거지 ㅋㅋ 회사 다니는게 안맞는거 같다고 덜컥 퇴사부터 하고 현장일 뛰어들었다가 후회하는사람도 있음 ㅋㅋ 바로 나..^^
@user-jw8zl2gt2q
@user-jw8zl2gt2q Жыл бұрын
우리 세대가 기술직 대우가 많이 좋아진게 감동적임......윗세대는 기술직이라고 깔보는 문화가 있어서 아버지 지게차 사업한다고 말을 할수가 없었음....(그당시 초4)
@KimKim-mi8xj
@KimKim-mi8xj 7 ай бұрын
개나소나 대학나오고 화이트칼라 직종 포화되서 그럼
@cando.
@cando. Ай бұрын
지게차 사업에 관심 있는 청년입니다 혹시 몇가지 물어봐도 될까요
@Joy-xy3rd
@Joy-xy3rd Жыл бұрын
응원해요 젊은 일꾼들! 정말 필요한 일입니다!
@user-hj1yj1qn1w
@user-hj1yj1qn1w Жыл бұрын
독일에서 유학할때 학사,석사 유학생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Ausbildung(마이스터과정)하러 오는 많은 젊은 분들을 봤습니다. 저는 유학끝난후 돌아왔지만 제가아는분들 자동차판금이랑 맥주제조를 배운 분들은 지금도 독일에 남아서 행복하게 잘 지내는거 같더라구요.
@Imdownzero
@Imdownzero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몸으로 하는 건 건강문제라던가 나이의 제한을 받잖아...? 라고 생각했다가, 사무실 의자에 꼼짝없이 앉아 몇 년 기업의 노예로 살며 온갖 스트레스와 병을 얻은 내 자신을 보게되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래나 저래나 일이란건 내가 어떻게 선택하냐에따라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따르기 마련인데 펜대굴리는 직업이 더 낫다고 생각했던 내 오만방자함에 반성하고갑니다,,,
@user-rs7sm1bu6r
@user-rs7sm1bu6r Жыл бұрын
처음이야 몸으로 하고 배우고 돈벌지만 나이가 들어 본인이 계속 하는건 멍청하고 문제 있는거에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dddd6847
@dddd6847 Жыл бұрын
둘다가능한직종이좋습니다
@user-ux4lx4hg7p
@user-ux4lx4hg7p Жыл бұрын
@@lol-ny2sk 없어요 스트레스
@XX-em7xm
@XX-em7xm Жыл бұрын
@@lol-ny2sk ㅋㅋ공대애들이랑 고민거리가 차원이 다르지 그건;;
@user-os1ol7pt2h
@user-os1ol7pt2h Жыл бұрын
​@@lol-ny2sk 사회복지사 했었는데 정신적으로 ㅈㄴ 몰리고 클라이언트 고딩이한테 칼 들고 협박 당해서 그만 뒀음 이정도로 정신적 스트레스 받음..?
@user-ns7ws3xr5r
@user-ns7ws3xr5r Жыл бұрын
뉴스에서 좋은것만 보여주고 좋네요.
@in_the_sea2
@in_the_sea2 4 ай бұрын
새벽같이 나가는게 ..힘든걸 떠나서 일이 들쭉날쭉 합니다.....
@user-xn7tc8vi6r
@user-xn7tc8vi6r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교육체계에서는 상상도 못하는 일들이다/. 대학교를 진짜 학문을 연구하는 곳으로 만들고 나머지 학과는 직업교육을 시키는 대형 직업학교를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
@kookitube6563
@kookitube6563 Жыл бұрын
대학교 기능중 하나가 기술자 양성하는건데요 학문연구만이 대학의 기능은 아님
@zergstar5577
@zergstar5577 Жыл бұрын
대학 안 다녀봤노? 뭔 대학이 학문을 배우는 곳이냐 어디 일부 인문이나 어문에 국한되는 소리하네. 이런 새기들은 대학은 나온거냐"? 레알 능지가 개 박살난 자식도 어디 일용직 노가다 잡우 아니노 ? ㅋ.ㅋ.ㅋ.ㅋ
@jakankim2183
@jakankim2183 Жыл бұрын
학교는 걍 아무 쓸모없음...왜냐면 현업에서 이거 유행한다고, 급히 과목 만들고 편입시킬려 하면 시간 지나서 현업에서 유행 다 지난게 부지기수...유행이 아직 덜 지났다 해도 학교는 이미 옛날 기술 가르치기 급급함...학교는 태생으로 트랜드를 따라갈 수 없는 도태된 지식만 배우는 곳일 수 밖에 없음...그래서 유행이 지나도 항상 그 자리에 있거나 복잡한거...시간이 많이 드는거 위주로 배울 수 밖에 없음. 왜냐면 그런건 유행이 잘 타진 않으니깐...트렌드에 덜 민감함. 반대로 말하면 학교는 과거를 배우러 가는 곳이고 현업의 시각에서 볼 땐 학교는 도태된 지식을 배우는 곳으로 보일 수 밖에 없음. 이게 고학력 실업자들이 넘쳐나는 이유임...학교에서 가르치는건 기본 중의 기본이고...막상 취업준비생들이 사회에 나오면 남들에게 뭔가 없는 강점을 가지거나, 면접관이 괄목상대할만한 무언가 독특한 스킬이 있어야 하는데...이미 다 유행 지난 기술만 꾸역꾸역 배워온 젊은이들에게서 뭔가 새로움을 느낄만할게 있나...학과 공부만 열심히 한 사람이라면...같은 클래식컬한 기술자면 걍 차라리 경력자를 쓰지...신입을 안 쓰지. 이게 젊은이들이 명퇴 당하는 이유이기도 하고... 아무튼 대표적인 예시로 일본의 만화산업이나 한국대중가요나...학교에서 잘 배우고 잘 가르처서 잘 된 게 아님...그런 쪽은 오히려 현업 to 현업임...현장에서 가르치고, 현장에서 배우고 프로가 됨. 정말 노벨상 딸려고 그러는게 아니라면 일반 기술자 생산하는데, 솔직히 말해서 학교조차 필요없음...그런덴 오히려 학교를 건너뜀. 왜냐면 학교는 보수적이니깐...도저히 실용적일 수가 없음. 학원 정도가 그나마 도움이 될법한데, 교육은 필연적으로 교육자들의 장사판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쓰잘데기 없는 지식을 계속 강매함...학생들에게 지식과 기술을 많이 팔면 많이 팔수록 교육자들이 돈을 버는 구조기 때문에...한국 교육계는 배우는 사람을 중심으로...그들의 성공에 초점이 맞춰진게 아니라 교육자의 경력과 성공에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대한민국의 모든 학생들은 입시교육과 사교육의 희생양일 수 밖에 없음. 학부모도 마찬가지... 한국은 공부만능주의와 교육만능주의의 환상을 좀 깨뜨려놔야 할 필요성이 있음.
@seyoungl8021
@seyoungl8021 Жыл бұрын
직업학교 씩이나 필요할까? 기술은 현장에서 배우는거지 책상에 앉아서 배우는게 아니짆아
@user-mc9qe4fb7g
@user-mc9qe4fb7g Жыл бұрын
ㅋㅋ대학에서 기술자?ㅋㅋㅋㅋㅋ개웃기네ㅋㅋㅋㅋㅋ
@user-tj4cx9zf2u
@user-tj4cx9zf2u Жыл бұрын
디지털이고 자시고 결국은 사람이 직접 해야함. 그러니 저런 직종은 절대로 사라지지가 않음. 기계로 대처가 가능한 부분도 있지만 아직까지 기계로 대처 불가한 직종도 많음.
@user-fy2gu7wf1k
@user-fy2gu7wf1k Жыл бұрын
기계로 대처가 돼도 그 기계를 사람이 운전하게 돼서 결국 그일은 사람이 필요하게 돼요 예전엔 아스팔트 사람이 펼쳐서 깔았는데 피니셔 수입해오면서 특공인력 필요 없어질거라 했는데 지금 오히려 그 기계운영 하면서 사람이 더 필요함
@user-gx4od1iw9i
@user-gx4od1iw9i Жыл бұрын
로봇이제 무시하면 안됩니다 인간처럼 할거 다하네요 요샌.. 사람보다 더 스무스하게 하는경우도 봤고 이제 곧인듯... 평생직은 없는듯.. 함찾아 보시져
@user-gx4od1iw9i
@user-gx4od1iw9i Жыл бұрын
이제 개발자들도 ai 나와서 ㅈ되브럿네 ㅅㄱ
@cielo08
@cielo08 Жыл бұрын
@@user-gx4od1iw9i ai가 모든걸하지는않죠..
@shamper_
@shamper_ Жыл бұрын
@@user-gx4od1iw9i 그래도 당장 20~30년안에 기계가 저런거까지 대체하리라곤 생각이 전혀안드는데요?
@yhk0125
@yhk0125 Жыл бұрын
건축을 하다보면 정말 저런 시공자분들 존경하게 됩니다. 벽돌공, 목수, 타일공, 페인트공 등등 정말 기술 없으면 건축가들이 원하는 퀄리티가 나오지 않을 뿐더러 기계로 대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대체 가능한 시공이 매우 적고 많은 상황에서 기계로는 해결 못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유럽은 이러한 시공자들이 작업복 입고 그대로 백화점 같은 곳에 들어와도 존중받고 편의를 많이 봐줍니다. 우리나라도 문화가 발달하는 만큼 사회인식도 성장할 시기이지 않은가 싶네요.
@SLPWASmr
@SLPWASmr Жыл бұрын
직업에 대한 인식도 트렌드처럼 돌고 도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부모님 세대들은 기술로 먹고 살던 세대였고 지금은 고정적인 수입이 중요해졌지만 다시 바뀌는거 같네요. 다 장단점이 있죠.
@user-pr5sy7hx2m
@user-pr5sy7hx2m Жыл бұрын
저 일 무시하면 안됨. 예전에 하루 일하고 15만원 벌어봤었음. 타일 알바 였었는데, 사장님이 택시 타고 가라고 15000원 정도 더 주셨었음. 일은 힘든데, 중간중간 쉬는 시간도 좀 있음... 그리고 마지막에 돈 보면 눈이 좀 돌아감. 단, 이건 있음. 팀을 잘 만나야 됨.
@user-pn8ph5kk3v
@user-pn8ph5kk3v Жыл бұрын
어중간한 직장보다 노가다가 대우받는날이오는군
@who9148
@who9148 Жыл бұрын
@@user-pn8ph5kk3v 노가다라고 무시하지 마세요 건물주인 분들중에 밖에서 폐지줍고 다니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aeggon4268
@aeggon4268 Жыл бұрын
@@user-pn8ph5kk3v 지금 불어닥치고 있는 장기 경기 침체에서 화이트 칼라는 살아남기 힘들어짐. 아마 앞으로 10~20여년 정도는 화이트 칼라 취업시장이란게 파리목숨일 듯.
@user-pn8ph5kk3v
@user-pn8ph5kk3v Жыл бұрын
@@who9148 저도 건물주가 되고싶어요
@user-rh7pq1ys2m
@user-rh7pq1ys2m Жыл бұрын
@@who9148 맞아! 저실제로 봤어요 알바하는곳 건물주 할아버지셨는데 할일없어서 취미로 폐지줍고다니셨음~ 울사장님 그할아버지 보고서 주접떤다고 욕오질나게 하셨었는데ㅋㄲ 더 어렵게 사시는 분들한테 양보하지 왜 돈도많은 노인네가 치사하게사냐고 ..
@Action_Do
@Action_Do Жыл бұрын
이거 맞아요. 저도 대학원 나와서 화이트컬러 일 하다가 떄려치고 현장왔는데. 훨씬 만족도 높습니다. 돈도 훨 많이 벌고, 드러운 상사도 없고 별거 아닌 서류종이에 결제 한번 받으려고 스트레스 받을 일도 없구요. 일하다보면 시간도 금방가고 일한만큼 돈 벌어서 좋아요. 다만 춥고 덥고 날씨에 예민하네요.
@user-ve8vp8qe7d
@user-ve8vp8qe7d 6 ай бұрын
저도 공대출신 여자인데 반도체회사에서도 오래일했는데, 지금 목수 생활 하고있어요 인맥없으면 목공학원부터 다니시면 좋아요❤
@user-bk5uk7kg9e
@user-bk5uk7kg9e 4 ай бұрын
맞아요 힘든만큼 노동의 댓가가 이루어져야 학벌위주 사회에서 탈피가 가능하죠. 좋은 현상입니다.
@user-ny4wh6ze1f
@user-ny4wh6ze1f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이 많이 진출하여, 기술직의 꼰대 부조리 문화도 많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네요.
@user-ze1yl9mn1d
@user-ze1yl9mn1d Жыл бұрын
어르신들이 하신말들이 딱 맞아요 기술을 배워야 평생 밥먹고살지하시는말~~
@user-di2th8eo4i
@user-di2th8eo4i Жыл бұрын
20대때는모름. 30대 중후반쯤되면 내가 회사에서 계속 살아남을수있을까 걱정하는게 현실임. 근데 기술직은 그런고민이 적긴한듯. 희망퇴직이라는개념도 없고. 뭐 장단점 있는듯. 본인성향에 맞는거 하는게 정답!
@user-mp4kw2jp4u
@user-mp4kw2jp4u Жыл бұрын
진짜요..매일매일 불안하고 웁니다
@hsc719
@hsc719 Жыл бұрын
어떤게 울 정도로 불안하지요? 저는 지금 업무평생해야되는가 걱정입니다. 3d업종이거든요.
@user-bv6yh3ct8n
@user-bv6yh3ct8n Жыл бұрын
@@hsc719 ㄹㅇ ㅋㅋㅋㅋ 나도 이 뉴스에서 말하는 손기술 작업자인데 어떻게든 사무직 가고싶어하는데
@user-yt7po4wd8p
@user-yt7po4wd8p Жыл бұрын
@@hsc719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ㄱㅅㅎㅆ
@Namochr123
@Namochr123 Жыл бұрын
@@user-bv6yh3ct8n 무슨일하시는데요?
@kuj0617
@kuj0617 Жыл бұрын
좋은 뉴스입니다. 잘 봤습니다. 확실히 기술과 노동에 대한 시각이 많이 바뀌고 있는 것 같군요.
@guest9863
@guest9863 Жыл бұрын
이런 실내 기술직 말고도 야외 배관,관로 같은것도 다뤄주시면 좋겠네요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 Жыл бұрын
몸쓰는 일은 정말 건강해야 해요. 그냥 근육 우락부락한게 아니라 잔병도 없어야 하고 몸이 재산은 프로스포츠선수랑 비슷해서 다치거나 아프면 번 돈 고스란히 병원비로 나가죠...어른들 말씀 둘 다 맞아요. 기술 배우면 평생 먹고 살고, 찬대서 일하면 건강 상해요. 쉬운게 없죠...
@user-hx6jt7pj3p
@user-hx6jt7pj3p Жыл бұрын
올바른 방향이지.. 기술직이 좀 더 좋은 이미지가 되길
@user-dj4wh1uw1d
@user-dj4wh1uw1d 3 ай бұрын
긍정적이시네요^^ 아무나 할생각 못하는 어마어마한 일인데 대단하십니다. 경외합니다.^^
@sglee4833
@sglee4833 4 ай бұрын
정말 보기좋네요 제가 원하던 모습이에요 그렇죠 기술직이 이렇게 인정받고 대우받는 모습 너무 좋아요
@xfilecom
@xfilecom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자기일을 찾을수있게 교육이 빨리 개혁되야함 학교는 미래의 나의 적성을 찾게 도와주는 길잡이가 되어야함 지금같은 입시 경쟁교육은 빨리 사라져야함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목수 벽지 인테리어필름 벽지페인트 등 : 경고 : 지인이 있으면 정말 좋다. 그러나 뒷배(지인)없이 하면 90%는 데모도로 착취만 당하나 손털게 된다.
@hsl8557
@hsl8557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아파트 입주하면서 입주 청소, 줄눈, 냉장고장 리폼, 커튼 이것저것 했는데 전부 30대 젊은 또래분들이었음. 다 엄청 꼼꼼하게 잘해주시더라구요.
@user-mn2xl1vc5t
@user-mn2xl1vc5t 5 ай бұрын
진짜 똑똑한 청년들입니다.
@user-hq6tg5bx5u
@user-hq6tg5bx5u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저는 형틀목수로 일생을 살았습니다 지금 나이65세 지금도 일하고 있어요 쉬엄쉬엄 해도 한달 4~5백은 법니다 겨울엔 좀 그렇지만.
@hawni_zpt
@hawni_zpt Жыл бұрын
저는 미장팀인데 왜 월급이 적죠?
@user-hu5wn5lj9c
@user-hu5wn5lj9c Жыл бұрын
노가다가 한달에 사오백이나 되어요?
@user-hq6tg5bx5u
@user-hq6tg5bx5u Жыл бұрын
@@user-hu5wn5lj9c 베트남 아들도 일당 15~20 받고 달이면 얼마겠어요 20일만 일해도 3~400 벌잖아요
@user-zt7uc4le1s
@user-zt7uc4le1s Жыл бұрын
@@user-hu5wn5lj9c 노가다라고 부르지마 무식한 사람아
@user-tj4cx9zf2u
@user-tj4cx9zf2u Жыл бұрын
@@user-hu5wn5lj9c 일반 보통인부 잡부도 일 15-16만원임.
@user-sv2mr8vf2r
@user-sv2mr8vf2r Жыл бұрын
참 공감가는 뉴스입니다 저도 시스템천정형 냉 난방기를 시공하는 사람이라 인테리어 현장이나 상가건물 신축현장 학교 신축현장에서는 뉴스에서 일하시는 분들을 모두 접합니다 이 일 시작한지도 벌써 16년차네요 한 길만 우직하고 성실하게 길을 간다면 기술직은 그에 대한 보상 확실히 옵니다 대한민국 기술직 종사자분들 모두 화이팅 입니다!!
@YWG111
@YWG111 4 ай бұрын
잘한다. 기회는 항상 남들 안하는거에 있지.
@goodrain6950
@goodrain6950 3 ай бұрын
힘냅시다 모든 세대들👍👍
@gjbtyh3811
@gjbtyh3811 Жыл бұрын
문제는 기술전수받는게 매우 힘들다는 것 자기 가족이나 친지한테만 알려주고 타인은 전수안해주잖아....
@user-or9jj3ms7v
@user-or9jj3ms7v Жыл бұрын
해주었고 또 해줘요 그런데 안 해줄수 있는게 제대로 배우고 공부하고 다지고 나서 냉정한 시각으로 본인을 판단해야 하는데 조금 경력 만들면 독립을 하거나 기술자 대우받으며 돈 더받으려고 나가니 레알 기술자는 많지 않아요 그러다보니 제대로된 시방을 못지키죠 알지를 못하니... 지쳐서 전수해주는 대에 있어 조심 스러워요
@bohyunkang8606
@bohyunkang8606 Жыл бұрын
자기가 하고싶은일하는게 좋은거같음.. 몸이 약하니 저런일못하는게 너무 아쉽다ㅜㅜ 정장입고 회사나가는거 처음1달은 좋았던거같음.. 그뒤론 하루하루가 마음고생 ㅜㅜ
@vivilove8743
@vivilove8743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현상이다. 힘내세요. 젊은분들!
@sunyoungkim7520
@sunyoungkim7520 3 ай бұрын
자기 일에 프로다운 마음가짐이 멋있으시네요. 방독면에 눈을 보호하는 고글도 함께 쓰면 좋을듯 합니다.
@lana-ri3sj
@lana-ri3sj Жыл бұрын
육체노동을 가치있게 생각하는 젊은이가 늘어 정말 기뻐요. 나라가 수준높아진 증거라고 생각해요. 원래 몸을 쓰는 노동이 더 가치있는 일인데 우린 그렇게 생각 못했지요. 젊은이들이 우리 세대보다 훨씬 똑똑하군요👍
@user-fi6ye4mx5u
@user-fi6ye4mx5u Жыл бұрын
옛날 어르신들 진짜 천대 받아가며 했던일인데 진짜 대단하신 분들이라니까
@user-pn9ps4gb1z
@user-pn9ps4gb1z 4 күн бұрын
나이 30살 사무직군에서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20대때 빵 기술자로 7년근무하고 새롭게 배우고 싶은게 있어서 사무직으로 넘어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제가봐도 사무직은 생각보다 수명이 크지 않다는게 느껴집니다. 근데 공부에 아예 뚯이없고 배움에도 생각이 없던 저에게 아버지가 빵기술을 배우라고 학원다녀 자격증따고 현장,대기업 빵연구원까지하다가 그만두고 새롭게하고 있는데 사무직에서 짤리면 다시 빵기술배웠던거 사용해서 먹고 살 수 있다도 생각하니 미래가 진짜 생각보다 걱정이 없네요. 아버지 감사합니다.
@user-fc6fs4kt9e
@user-fc6fs4kt9e 3 ай бұрын
진짜 기술 배워보고 싶어도 입문할 수 있는 루트가 많지않다.. 관련 일 하는 지인도 없으니
@2910lq
@2910lq Жыл бұрын
캬.. 이런 뉴스 자주 올려주세요 너무 보기 좋습니다 어린 친구들의 편견을 바꿀 수 있는 좋은 영향력이 담긴 뉴스입니다
@wonheepark9595
@wonheepark9595 Жыл бұрын
ㅎㅎ 저는 긍정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하지만 노가다 맞아요 맞고요 절대 쉽지도 않고 저렇게 해서 버는 돈이 많은것도 아닙니다 자신이 하는 일에 비해서 그러니 저쪽으로 나갈려면 일단 각오부터 해야합니다 몸이 정말 축나는 정도가 아니라 그냥 쓰러집니다 쓰러져.. 둘만의 시간?? 그냥 집에서 절대 안나갑니다 왜냐면 쉬어야합니다 쉬지 못하면 뭐 그냥 다음날 일어나지도 못해요 어떻게 얘기해도 자기몸 죽이면서 하는일입니다. 그리고 군대같이 움직여야 합니다. 게으르면 그냥 시장에서 매장당합니다. 뭐 어느 직업이던 그렇겠지요..
@user-yk2bj8sq8y
@user-yk2bj8sq8y Жыл бұрын
이게정답임 저거보고 뛰어들었다 이 추운날에 골병들기 딱 좋을듯
@user-of6kf1jv2k
@user-of6kf1jv2k Жыл бұрын
그저 열심히 하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user-oe1th5gn1n
@user-oe1th5gn1n Жыл бұрын
열심히 땀흘려 일하는 사람들 멋져요!
@user-wb3wv5ee6j
@user-wb3wv5ee6j Жыл бұрын
또 또 시작이다...800~1000만원에 혹하게 하는 과대 광고...물론 이런게 버는 사람들도 있죠..하지만 그만큼 엄청난 노력과 노동이 필요합니다..그리고 개인사업자가 왜 개인사업자 인가요..본인이 아무리 노력하고 잘해도 운이 안따라주면 일도 없고 망하는겁니다..
@jsejun
@jsejun Жыл бұрын
좋은 일인데 월수입 800은 회사와 마찬가지로 상위 5%안에 들어야 가능할까 말까인 점만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또 월급은 짤리기 전에는 매달 나오지만 현장일은 벌 땐 벌고 못 벌 때는 못 벌어요. 저도 최대 월 930까지 벌어봤지만 500을 일년내내 꾸준히 버는 것이 더 낫습니다.
@kong2_studio
@kong2_studio Жыл бұрын
남자친구도 전기 하는데 남들은 쉽게들 노가다라고 부르지만 난 정말 너무 멋있어보이고 자랑스러움.. 몸은 힘들어도 본인이 한만큼 돈 벌고 자기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거 자체가 멋있음 본인이 만들어낸 성과물이 있으니까 성취감 느끼면서 일하는것도 좋아보이고ㅎ 진짜 대학교 다닐때만 해도 사무실에 앉아서 컴퓨터 두드리는 일이 몸도 편하고 제일 괜찮지 않나 생각했는데 ..뭐니뭐니해도 기술직이 짱이라는걸 갈수록 더 느낌 뭘 해야할지 모르겠는 학생분들은 어떤거든 기술을 배워놓는걸 강추합니다
@user-px4bm9bh8h
@user-px4bm9bh8h 2 ай бұрын
기술추천점
@cando.
@cando. Ай бұрын
​@@user-px4bm9bh8h배울 수 있다면 중장비 추천드려요 지게차 사업도 괜찮구요
@mail12312312
@mail12312312 Жыл бұрын
저런모습보면 너무 흐뭇하고 예쁘네요.ㅋㅋ
@kimsunny8397
@kimsunny8397 Жыл бұрын
노가다 사무직에 근무하고있는 20대입미다 제발 노가다 무시하지마세요!! 힘든 노동은 맞지만 그에 응당한 충분한 페이를 받고 열심히 살아가시는 분들입니다~ 한 가정의 가장으로써 평생을 가족을 위해 일하시는 분들보면 존경스럽습니다 지금 mz세대는 그저 힘든 일이라고 생각하고 회피하는데물론 기술 배우는 과정은 힘듭니다 그렇지만 모든 일이 처음은 어렵듯이 기술자가 되면 아무도 대체할수없는 가치있는 직업이 되는건 맞습니다
@user-fc7lv8xw6y
@user-fc7lv8xw6y Жыл бұрын
24살때부터 용접 3년 했습니다.월급제가아니고 일당제여서 처음 조공으로 시작해서는400가량 받았고 라이센스따고나서는 700정도받았습니다.물론 돈을보면 대기업 부럽지 않지만 정말 그만큼 힘듭니다..위험하기도하고요 지금은 평범한 직장인으로 지내고있습니다.월급은 반토막이났지만 저는 현재회사생활이 훨씬 만족스럽습니다.안정적이고 수익이많지는않아도 워라벨도챙기며 일도 수월하기때문입니다.기술직이 나쁘다는것도아니고 직장인이 나쁘다는것도 아닙니다.단지 자신의 가치관에 맞는일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user-lu5ut8lc1p
@user-lu5ut8lc1p Жыл бұрын
@Namochr123
@Namochr123 Жыл бұрын
본인이 만족하는더 하는게 중요하죠 정답이 어디있겠어요
@zzimozzimozzi
@zzimozzimozzi Жыл бұрын
세상탓하면서 징징거리지 않고 자기 살길 개척해나가는 젊은이들 보니 멋지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젊은이들 교육도 많이 받고 똑똑해서 같은일 해도 분명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해낼거 같다.
@user-wz2kt3nz5i
@user-wz2kt3nz5i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tv-qi2qc
@tv-qi2qc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길에.. 엄마로 보이는 사람이 자식한테 건설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 보고.. 공부 안 하면 나중에 커서 저런 사람 된다..이러던데...우리 인식도 변화가 필요할 듯..
@user-rf9hb4zz7d
@user-rf9hb4zz7d Жыл бұрын
나는 내가 작업 하는데 그런 이야기 많이들었네요 월1200 정도 법니다 부자는 아니어도 노후에 박스줍지는 않을듯해요~
@god2453
@god2453 Жыл бұрын
역시 귀천은 직업으로 정하는게 아니라 사람이 정하는거 같습니다
@Imdownzero
@Imdownzero Жыл бұрын
엥 진심 실제로 이런 말 하는 사람 1도 못봤어요 언제적얘길하시는지 교육적으로도 좋지않은발언인거 요즘 엄마들이 더 잘알아요;
@juwonseong0312
@juwonseong0312 Жыл бұрын
96년생인데 저 중고등학교 다니는 내내 학교 쌤들이 그런 말 많이 했어요. 더울 때 더운데서, 추울 때 추운데서 일하고 싶지 않으면 공부하라던지 뭐 그런 말이요.
@hoyobang9
@hoyobang9 Жыл бұрын
그 엄마란세대가 3040일텐데.. 말아끼겠습니다
@user-pw6np9iv5r
@user-pw6np9iv5r Жыл бұрын
지금당장 많은돈이 필요하면 필수 인것 같아요. 원래 돈이 많고 천천히 벌어도 되는분들은 부동산같은거 생각하지만 다달이 주급 월급이든 일당이든 일하면 일하는대로 현금이 손에 쥐어지는 일이 있다면 그나름대로 나쁘지 않죠.. 대신 일감 없는날 다쳐서 일 못하는 날들을 미리 고려하여 버는돈의 3분의2는 저축하는 습관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그럼 일만하고 밥만먹냐할텐데..일자체가 밥벌이고 오락이고 취미라면 그자체가 워라밸이죠^^
@user-cd2dg9wh7z
@user-cd2dg9wh7z 11 ай бұрын
특히 한국에서는 사무직 선호 문화가 장기간 이어져서 몇년 전부터 현장기술직 경력이 있는 젊은 사람들은 조용히 엄청난 수혜를 받고들 있는 것 같습니다
@user-yn3mo9ex8i
@user-yn3mo9ex8i Жыл бұрын
다치지 않게 조심히 일해야죠
@user-sb1yk8ot6j
@user-sb1yk8ot6j Жыл бұрын
좋은 현상이긴 합니다.하지만 모든 일에는 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본인에게는 뭐가 더 맞는지 잘 판단하셔서 입문 하시길
@aks9308
@aks9308 Жыл бұрын
불과 10년전만 하더라도 대우도 나쁘고 무시받고 급여도 적어서 업계 자체에 염증을 느낀터라 저는 떠나서 다른일을 하고있지만 언제나 기억에 강렬하게 남아 즐겁게 일하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들 힘내서 좋은 결과남기시길 빕니다.
@misung-dw8wo
@misung-dw8wo 4 ай бұрын
멋지세요 ~생각을 바꾸면 일 할 수 있어요. 인간은 움직여야 즐겁고 전문적인 기술이에요. 최고!!
@speaty486
@speaty486 Жыл бұрын
쉽게말해서.. 한 지역에 오래살때 그주변 상가에 있는 가게들만 봐도 알게된다. 정말 자주바뀌는 가게가 있는가 하면 장사가 될까싶은데도 먼지 뒤집어 쓰고도 십년넘게 자리지키고있는 가게들이 있다. 거의 샤시, 도기, 페인트, 조명 이런가게들이다.
@user-is5xb7xr8f
@user-is5xb7xr8f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최고의기술 앞으로는기술없으면먹고살기바쁨^^잘선택하셨네요 ^^삶의질도높여주고 정신건강도좋고^^ 3:11 12^^
@SunnytenTV
@SunnytenTV Жыл бұрын
후진국일수록 화이트칼라가 블루칼라보다 더 대우가 좋다. 선진국일수록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모두 존중받고, 같은 경력일 경우 수입은 블루칼라가 더 높은편이다.
@user-yc9wy1cu1d
@user-yc9wy1cu1d Жыл бұрын
바람직 하네요. 이제야 어른들이 못한 고정관년을 깨는 일을새 로운 세대가 찾아가고 있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대한민국 미래는 밝다고 봅니다. 미래는 여러분이 만들어 가면 됩니다.
@welkrjwerwelrjr4116
@welkrjwerwelrjr4116 Жыл бұрын
아이큐 100근처따리 애새기들을 부모라는작자들이 즈그자식이 개나소인지 구분못하고 공부시키니까 나라가 이꼴이 낫지 ㅋㅋㅋ 선진국처럼 공부할넘들은 머리잘굴러가는데 특화된 엘리트만 시키면되는거고 나머지는원래 공부안시키고 애초에 노동으로 돌려야되는데 ㅋㅋㅋ 평균따리 지능애들이 자기한테 공부라는 자기한테 안맞는옷을 입고 뒤져라 노력하는데 그게 되냐고 줜나 불행하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fw5go
@---fw5go Жыл бұрын
막상 해보면 진지하게 사람 미친다 . 워라밸은 죽어도 없다 생각해야되고 하는것 만큼 벌어간다는게 진짜 몸갈아야함 하루하루 체력을 다 소진할정도로 일한다는게 쉽지않다..
@user-ef7ur3ru6d
@user-ef7ur3ru6d Жыл бұрын
뭐든 장단점이 있죠~~
@user-sn5jm4up7h
@user-sn5jm4up7h Жыл бұрын
나가면 다 자기 돈인데 뭐 생각하기 나름
@napskin
@napskin Жыл бұрын
돈버는 만큼 몸 나가는거지 프리랜서같이 ㅇㅇ 조절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인것같음
@kdhbuin
@kdhbuin Жыл бұрын
뭐가 사람 미친다는건지 ㅎㅎ 월 17~20일정도 일하면서 평균 800정도 실수령하고 낚시 캠핑 해외여행다니면서 워라밸 잘 즐기고있는데 저번주 일본갔다왔고 담주에는 보라카이감 뭔 워라밸이없다는건지 ㅎㅎ
@calmdownmam.
@calmdownmam. Жыл бұрын
@@kdhbuin 뭔 17일이여ㅋㅋ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Can you beat this impossible game?
00:13
LOL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연 매출 20억 집 수리공 "이 일에는 정년이 없습니다"
10:11
머니인사이드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8 year old top student dropped out of school and opened her own cafe
36:15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