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반항한다 고로 존재한다 (feat. 카뮈, 페스팅거, 시지프, 이방인)

  Рет қаралды 90,620

5분 뚝딱 철학

5분 뚝딱 철학

2 жыл бұрын

나는 매일 아침 지하철을 타고 출근을 합니다. 회사에 도착하면 나는 제일 먼저 이메일과 일정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아침회의에서 들어가서는 별것도 아닌 것을 심각한 일이 벌어진 것마냥 호들갑을 떨겁니다. 그리고 오후에는 직원들과 커피도 마시고 노닥거리기도 하고 일하는 척도 하고 담배도 피고 몰래 게임도 할 겁니다. 그리고 퇴근하면 또 쓰잘데기 없는 인간들과 친한 척을 하면서 소맥을 마시겠죠. 나는 이 짓을 거의 하루도 빠지지 않고 30년을 해왔습니다. 그래서 나는 이러한 루틴이 너무나 익숙합니다. 오히려 이러한 루틴이 헝클어지면 안절부절 못하죠.
오늘도 어김없이 지하철을 올라 탔습니다. 의자에 앉아 꾸벅꾸벅 졸고 있는 아저씨. 서서 스마트폰을 열심히 들여다 보는 학생. 경로석에 앉아서 뭔가 중얼거리는 노인. 앉을 주인을 못찾아 비어있는 임산부석, 광고판, 노선도, 손잡이. 하나도 이상할게 없는 언제나 똑같은 풍경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현타가 옵니다. “나는 왜 존재하는가?” “나는 무엇을 위해서 출근하는가?”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내가 왜 존재하는지, 내가 왜 출근을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아낼 수 없습니다.
순간 갑자기 이 모든 존재가 낯설게 느껴집니다. 30년 동안 보아왔던 풍경이 갑자기 이상하게 낮설게 보이는 겁니다.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지하철 의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손잡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광고판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심지어 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갑자기 낯설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익숙했던 존재가 갑자기 낯설게 보이는 것일까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것이 바로 오늘의 이야기입니다.

Пікірлер: 319
@skilack
@skilack 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전개가 너무 완벽해서 전 인류에게 공유하고 싶은 영상입니다.. ㅋㅋㅋ 여러 까뮈의 부조리에 대한 영상들은 많이 접했지만 이 편이 가장 울림 깊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VoidX930
@VoidX930 2 жыл бұрын
카뮈 행님은 사진도 글도 멋짐이 넘치긴 하지ㅋㅋㅋ
@haksunkim5759
@haksunkim5759 2 жыл бұрын
백 편의 영화보다 감동적인 영상 한 편을 보았네요.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bushcooni
@bushcooni 2 жыл бұрын
제가 들은 연극 수업에서 교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매년 '고도를 기다리며'를 한번씩 보는데, 그게 삶을 살아갈 힘을 준다고요. 부조리극은 무의미한 연극을 보여줌으로 우리 삶의 무의미함을 역설하죠. 시작과 끝이 맞물리면서 영원반복하는 부조리극을 보면 우리 삶도 무의미함의 반복이라는 사실을 체감하게 됩니다.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는 날들은 찾지 못할 삶의 의미를 기다리는 우리의 삶을 비유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고도는 오지 않는데도 '고도를 기다리며'는 계속 상영됩니다. 삶의 의미는 없지만 삶은 계속되어야하겠지요. 왜냐면, 그 이유가 영상에 나와있습니다. 의미 없는 연극을 보며 즐기는 것은 또하나의 '반항'이겠지요. 까뮈에 대한 글이나 영상을 볼 때 항상 드는 생각을 적어봤습니다. 어떤 생각은 드나 똑바로 설명하지를 못하니, 항상 이해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꼴입니다.
@user-uv6gi9py4k
@user-uv6gi9py4k Жыл бұрын
눈물이 줄줄 나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pianist.ohdonghan
@pianist.ohdonghan 2 жыл бұрын
자기 합리화 와 기만이 다른줄 알았는데 ᆢ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en-tout-cas
@en-tout-cas 2 жыл бұрын
캬!!! 항상 좋았지만 오늘은 더 와닿습니다. 반항은 내 전문인데 ㅋㅋ
@ch-jx3uu
@ch-jx3uu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삶이 부조리함에도 매일 열심히 '그냥 사는것'이 반항하는 살이라고요 ㆍㆍ 오늘은 제 삶을 돌아보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user-oe3ug4zk1s
@user-oe3ug4zk1s 2 жыл бұрын
엄청난 통찰력이세요...^^
@tmla5016
@tmla5016 2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은 너무 와닿네요. 의미없는 삶을 사는 가운데 이런 보석같은 강의를 듣고 생각해보는게 저의 큰 인생의 즐거움입니다. 감사합니다.
@sangdo
@sangdo 2 жыл бұрын
와 멋진 해석 멋진 설명이네요 감사합니다^^
@projector1
@projector1 11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어렵던 내용이었는데 이 영상 덕분에 이해했습니다. 게다가 재미있기까지하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qe1nr5vi7e
@user-qe1nr5vi7e 2 жыл бұрын
영상 인상 깊게 잘 보았습니다. 데카르트의 띵언을 이렇게 사용하시네요 ㅋㅋㅋ 앞으로도 영상 활동 이어나가주세요!
@user-hf6wf3dq6t
@user-hf6wf3dq6t 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 !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10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영상은 항상 어떠한 한 테마나 주제의식 같은것을 노골적으로 밀고 나가는게 아니라 단지 어떠한 이야기, 즉 세상이 이미 있고, 거기에 대한 몇 철학자들의 코멘트를 일러주시는것 같아서 너무 받아들이기 편합니다!!
@ajaeo
@ajaeo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내용 너무 좋습니디. 감사합니다.
@user-mg4ts3mi6p
@user-mg4ts3mi6p 4 ай бұрын
지성과 위트과 넘치는 영상,넘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user-jy1he2kc8m
@user-jy1he2kc8m 2 жыл бұрын
오늘의 주제는 중년의 아저씨에게는 소중한 컨텐츠였다고 생각합니다. 주인장님도 하고 싶은거 하고 사세요.
@user-bb9ex5pr7l
@user-bb9ex5pr7l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하루를 살아갈 작은 힘이되는 영상이네요 ㅎㅎ 구독!
@yjb9673
@yjb9673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진지한데, 사이사이 밈이나 이해하기 쉬운 요즘 표현을 섞어주셔서 선식처럼 소화가 잘되는 철학 강의인 것 같습니다ㅎ
@Sunhwa04
@Sunhwa04 7 ай бұрын
철학에 무식한 나도 잘 알아듣게 설명해주셨습니다 감동합니다~ 나머지 모든삶들을 즐겁고 유쾌하게 살아나겠습니다~ 존경합니다~~~
@user-vz8ue1zs1t
@user-vz8ue1zs1t 2 жыл бұрын
생각할게 정말 많은영상.. 두고두고 몇번씩 보고있습니다
@user-uc3ti3sh9b
@user-uc3ti3sh9b 2 жыл бұрын
하루도 쉴틈 없이 바삐 살아가는 나날 살아갈 이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시간날때마다 교수님 영상 틈틈히 챙겨보고 있습니다. 구독자로서 이런 영상이 더욱 널리퍼지길 기대해봅니다 ㅎㅎ
@Hibyeme1
@Hibyeme1 2 жыл бұрын
받아들이라는 말이 좋네요ㅋㅋ 저도 얼마전에 그냥 즐기라는 말을 해서 그런지 ㅋㅋㅋ 생각해보면 볼 수록 본질은 알 수 없으니 모든 게 착각일 수 있는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을 요즘 했거든요. 내 생각조차 착각이라면 착각이 아닌 진짜는 무엇이지 없는 거 아닌가. 그럼 그냥 착각 속에 살자 결론 지었습니다. 다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먹고 살기 위한 감당은 충분히 하면서요. 그러면 길가다가 넘어져도 누군가와의 갈등에도 그런 저런 일에도 더 나은 알맞은 착각을 하면서 살면 기분이 덜 나쁘잖아요 ㅋㅋ 감정은 절대적 수치화를 할 수 없는 게 이럴 땐 참 좋아요
@user-yj4yr9wz6d
@user-yj4yr9wz6d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thkorea1988
@kthkorea1988 2 жыл бұрын
몇차례 곱씹었습니다, 근래에 서사가 곁들어진 영상들이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m3ug6mr8s
@user-pm3ug6mr8s Жыл бұрын
와 너무좋아요 감사합니다
@sb-zp7mq
@sb-zp7mq Жыл бұрын
역시 필영쌤 비유최고!
@aoimado
@aoimado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 위로받고 갑니다 :)
@user-oe5yu2gr2w
@user-oe5yu2gr2w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심장아푸네욬ㅋㅋㅋ
@archineuron
@archineuron 2 жыл бұрын
보통은 행동을 먼저 하고 그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한다고 하더군요. 이때 감정이나 자아가 관여하는데 자기 자신에게 안좋은 감정이 들면 자아는 외부 정보를 바꾸어서 자신에 대한 감정을 조절하는 것 같더군요.
@ivepgu4539
@ivepgu4539 2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이라 그런지 너무 재밌네요
@user-ve6kd9lb9e
@user-ve6kd9lb9e Жыл бұрын
문득 실존적 고뇌가 엄습해오면 불안해지다가, 이영상을 보는순간 일시적으로 말끔히 사라지곤합니다. 힘들때 다시 또 듣겠습니다.
@hcr1270
@hcr1270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tanleyyoon4964
@stanleyyoon4964 Жыл бұрын
까뮈에 대한 책을 읽기엔 엄두도 안나고... 이런 저런~ 영상을 찾던 중, 선생님 영상을 😅 선생님에 이런 저런 일상의 비유가 너무 와 닿네요~ 역시 #매불쇼 ❤😊👍🙏😍 - 현대사회는 자기기만의 시대... 😢
@user-yk6zf9ch6h
@user-yk6zf9ch6h Жыл бұрын
넘 재미있습니다
@hannaj9156
@hannaj9156 Жыл бұрын
선생님 ㅜ사랑합니다ㅜㅜ
@mommyson2478
@mommyson2478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배그유저시군요 ㅋㅋㅋ
@user-cj2sl9zj9y
@user-cj2sl9zj9y 2 жыл бұрын
철학도 좋지만 배그는 못참지!
@user-cq8mo2cb1r
@user-cq8mo2cb1r 2 жыл бұрын
내가 아는 마미손?
@user-io8ny2fp7z
@user-io8ny2fp7z 2 жыл бұрын
뭐야 왜 찐임?
@user-ol8fd3ps7l
@user-ol8fd3ps7l 2 жыл бұрын
??????????
@tagtraume8873
@tagtraume8873 2 жыл бұрын
이왜진??
@jayjay-yz3mz
@jayjay-yz3mz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영상입니다 .
@soloistxx
@soloistxx 2 жыл бұрын
전 이 영상 보고 눈물났어요 감사합니다
@roserosierose11
@roserosierose11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skykim4170
@skykim4170 Жыл бұрын
ㅜㅘ😂대밌따.. 👍👍👍
@user-zl5vx7ez1u
@user-zl5vx7ez1u 2 жыл бұрын
삶에 의미가 없다 생각하고, 일에 의미가 없다 생각하니 너무 허무해서 스스로 어떻게든 새 의미를 부여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새롭게 만드는 것 없이 그저 하루하루 소비하는 삶을 살았는데, 이제는 새로운 것을 만들면서 삶에 의미를 부여하며 반항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랬더니 예전보다는 한결 가벼워진 느낌이 드네요. 카뮈, 페스팅거. 공부하고 싶은 새로운 소재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nn3op5yg6k
@user-nn3op5yg6k 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user-mt7ir7qh4t
@user-mt7ir7qh4t 2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을 보고 나는내가 자기기만의 삶을 살아왔다고 자기기만 하고 있습니다. 큰 위로가 되는군요.
@user-tq1gt1vd7h
@user-tq1gt1vd7h 11 ай бұрын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감명깊게 읽었는데, 카뮈의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삶을 인정하는 철학을 알기 쉽고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허무주의적인 생각, 존재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멀리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지프의 즐거운 바위굴리기를 생각하면서 즐겁게 살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b4mz4ei9w
@user-lb4mz4ei9w 2 жыл бұрын
적대감이라는 원류를 가진 반항이 충실한 삶의 조건이 되다니 이 얼마나 역설적인가
@user-ol8fd3ps7l
@user-ol8fd3ps7l 2 жыл бұрын
바뀐 썸네일 멋지시네요! 교수님 영상으로 철학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는데 이젠 꽤나 깊게 공부하고 있어요 ㅎㅎ 큰 틀에서 철학을 보는 눈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교수님 책도 구매했습니다! 영상 잘보구가요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2 ай бұрын
재마스크큰일만큼두각크게비개늦개늘개무개틱질개문개두박스크게비개늘개무개들개질개틱두방크게넓개무개각개턱살심각착각생각무턱대고삼백육십오일담백독백참삼각턱사각턱오각턱육각턱칠각턱팔각턱구각턱십각턱빈각시노총각문턱큰집맛없재
@user-ed9mp3do5h
@user-ed9mp3do5h Жыл бұрын
공부의 깊이가 정점에 이르시는 몇 안 되시는 분.. 5분 철학님 👍💞 1.간절,집중,최선으로 살아가라 2.지금을 당장 만족하라 그리고 받아들여라(긍정적 합리화) 3.나도 이롭고 너도 이롭게 모든 상황을 만들라 한 생각 일어남 진실 아님 알고 그저 간절, 집중, 최선으로 살아 결과는 사회에 환원하고 미련없이 웃으며 죽읍시다 🙏
@GimHoTi
@GimHoTi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bc7bv8wm2m
@user-bc7bv8wm2m 2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
@_justperson
@_justperson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JaeS-pg3nd
@JaeS-pg3nd 2 жыл бұрын
와 썸네일이 ㅋㅋㅋㅋ 마지막 독백씬도 인상깊네요 자기기만에 지쳐 무너진 뒤에온 감정 그대로를 표현한거 같습니다
@bh-ns8gx
@bh-ns8gx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습니다..
@taewy_____
@taewy_____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진짜 명작이네요,,
@user-rx1vv8xp1y
@user-rx1vv8xp1y 2 жыл бұрын
며칠전 다시 이방인을 읽으며 카뮈의 시지프 신화까지 궁금해서 읽어보려던 참이였는데, 선물같은 영상을 보게 되었네요^^ 흑색영화 장면까지 넘 흥미롭게 봤구요 카뮈의 사진들까지 화면에 정성을 들이신게 느껴집니다. 늘 고맙습니다
@loveworld6336
@loveworld6336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tarcell170
@Starcell170 2 жыл бұрын
의미가 없다고 말해주는 게 삶의 희망이 된다는게 너무 신기한 느낌이에요.
@GO0Es
@GO0Es 7 ай бұрын
인생에 반항... ㅈㄴ 멋있네....
@hanaaaaaaaaan
@hanaaaaaaaaan 2 жыл бұрын
배그는 못참지 시지프 신화에 대해 들어보고 싶었는데 잘 보고갑니다~~ 책도 넘 재밌어욥
@user-rv2sm7wz5n
@user-rv2sm7wz5n 2 жыл бұрын
아...너무 좋습니다.
@minyeongjeong
@minyeongjeong 2 жыл бұрын
처음 영상을 볼 때, 의미없고 부조리한 삶에서 탈피하라는 것이 결과적인 결론일 줄 알았으나, 부조리한 삶을 바꾸기 보다는 받아들이고 그냥 그 삶에서 행복을 느끼라는 것에서 카뮈의 인사이트를 얻어갑니다.
@moyazzzz
@moyazzzz 10 ай бұрын
ㅋㅋㅋㄱㅋ너무웃겨요
@jemilee4382
@jemilee4382 2 жыл бұрын
이번편 진짜 좋으네요. 뭔가 확 밝아진 느낌이예요!
@user-yk5lb1lw3e
@user-yk5lb1lw3e 2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잘 쓰여진 시처럼 깔끔하고 명료합니다. 영상이 점점 예술에 가까워지네요
@flamentolivier2560
@flamentolivier2560 Жыл бұрын
시지프.뫼르소.카뮈가 느낀 감정은 굳이 반항이라기보다는, 직시하는 강인함 그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봅니다. 그게 반항적으로 느껴지기도하겠지만. 실제 시지프가 갖는 의미는, 부조리라는 존재를 정면으로 맞서기엔 인간은 그만큼 터프해져야한다는것인데. 그게 꼭 반항아적인 이미지로서 해석하지 않아도됩니다. 물론 매우 반항적이긴한데. 그냥 한마디로 부조리 그자체를 인간이 넘어서는것이죠. 그 어떠한 일말의 합리화도 없이 부조리를 받아들여야합니다. 뭐 내가 터프해서 그렇다, 나는 고통을 즐긴다, 나는 강하기때문이다. 이런 그 어떠한 단 한개의 합리화도 없이. 절대적인 무의 상태에서 그대로 맞서야합니다. 그 어떠한 태도나 자세조차 지녀선 안됩니다. 그 상태에서 부조리를 받아들여야합니다.
@user-ok5ce4pb6j
@user-ok5ce4pb6j 2 жыл бұрын
제가 본 부조리 문학 해설 중 가장 명쾌했습니다. 또한 12:55 에 나오는, 의미가 무색해져도 마땅해 해야할 일을 묵묵히 해내는 장면은 페스트의 리외 의사가 연상되면서도, 칸트의 정언명령이 떠올랐습니다. 즐거운 시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l5zg8lx3t
@user-rl5zg8lx3t Жыл бұрын
오 이런 칸트의 정언명령은 정확히 실존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인데요... 비약을 혐오하는 사람의 사상으로부터 비약을 하려하는 사람들이라.. 정말 재밌네요
@Y-raise
@Y-raise Жыл бұрын
@@user-rl5zg8lx3t 그렇죠. 다들 비약?도약? 만 외쳐대는데 그 가운데 답 내리지 않은 까뮈만이 공감갑니다.
@kimhae79
@kimhae79 2 жыл бұрын
오늘부터 웃을려고 노력해야 겠습니다.. 그게 제가 할 수 있는 부조리에 대한 반항이네요
@ginger1838
@ginger1838 2 жыл бұрын
매일 아침 느끼는 감정과 고뇌네요..
@user-gy7fn6qd3o
@user-gy7fn6qd3o 9 ай бұрын
멋진영상
@gyuzilla
@gyuzilla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좋아요
@HYUNTAE730
@HYUNTAE730 2 жыл бұрын
책도 읽고 강의도 보고 드는 생각은 "자기합리화는 꼭 필요하구나" 였어요. 하지만 "자기합리화"와 "반항"을 도저히 못나누고있습니다. 반항도 자기합리화같고, 자기합리화도 반항같아서요. 한걸음만 더 나가면 보일거같은데...
@minjae92
@minjae92 2 жыл бұрын
양심은 알걸요. 자기합리화는 인지부조화를 필요로합니다. 예를들어서 tv를 보는건 즐겁다 라는게 사실명제이고 지금은 바빠서 tv를 볼 수 없다도 사실명제일때. tv 볼거 없어서 안본다는 앞의 사실명제와 반하기에 모순이 생깁니다. 내가 tv를 보지 못하는건 바빠서이지 즐겁지 않아서임이 아닙니다. 여기서 반항은 내가 바쁘기 때문에 tv를 보는 건 즐겁지만 못함을 인정하는 태도이고 자기합리화는 tv를 보지 못하니까 tv를 봐도 즐겁지 않다고 거짓말하는 태도입니다. 예시가 좀 부적절했긴한데... 이걸 넓혀서 인생이 부조리한 것을 생각할 때 우린 자기합리화하면서 애써 인생에 의미부여하며 아둥바둥하기보단 인생이 부조리한 것 자체를 수용하고 부조리에 맞서서 즐겁게 살아라. 라는거죠. 갠적으로 아둥바둥하니까 인간군상이 재밌는데 이건 좀 아니란 생각이 들긴하네요.
@minjae92
@minjae92 2 жыл бұрын
@@Ppopippopi 비슷한데 의미부여 자체가 곧 자기기만이 되는건 아니라 생각합니다. 의미부여를 해 거짓을 믿으며 자신을 속이는 것이 문제죠.
@user-pq8rm3fc8e
@user-pq8rm3fc8e 2 жыл бұрын
합리화와 반항의 차이는 가능과 불가의 옳은 판단과 용기가 기준이지 않을까싶습니다.!!!!
@Sujin3
@Sujin3 2 жыл бұрын
왜이렇게 슬프죠. .
@user-rk5zu7ku5p
@user-rk5zu7ku5p 2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어서 돌아버릴뻔했내요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말한 자기기만을 하며 살다가 최근에 스스로 그게 기만이라는 것을 알아채고 아무것도 남은 게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현타가 와서 엄청 심한 우울증과 불면증에 빠졌었어요. 저도 그 때 제 주위에 모든 것들이, 제 모습이 낯설게 느껴졌었는데 그게 그렇게 된거 였군요.
@bbjj2770
@bbjj2770 2 жыл бұрын
역시 실존주의는 섹시하네요..
@user-xn3vr5bu2u
@user-xn3vr5bu2u 19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질문드릴게있습니다 하지만 자기삶이 행복하다고 지속적으로 되뇌이면 정말 기만이 현실이 되고 부조리하지안다고 느낄 수 도 있게 될수도 있지않을까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moongrace6338
@moongrace6338 2 жыл бұрын
영상 올리셔서 이제 며칠은 배그 할수있겠네요 ㅋㅋ
@a_brick3
@a_brick3 2 жыл бұрын
저는 인간의 오만함에 귀싸대기를 날리는 이런 강의에서 후련함을 느낍니다. 지성인이 게임을 즐기는 모습이야말로 반항기 가득한 멋진 액션아니겠어요.👍🏻 어린아이의 죽음을 견딜 수 있도록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합니다!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жыл бұрын
지성인과 게임을 대척점에 있다고 전제하는 게 이해가 안가는군요. ㅎㅎㅎ 극단적인 예지만 푸코처럼 지성인이라도 동성애자에 아동성애자일 수도 있죠뭐. ㅎㅎㅎ
@user-uc9kv5gw2i
@user-uc9kv5gw2i 2 жыл бұрын
@백이사 거 동성애자 부분은 좀 뺍시다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жыл бұрын
@@user-uc9kv5gw2i 푸코가 동성애자였던 건 팩트에요. 불편한 진실인가 보군요. ㅎㅎㅎ 푸코가 아동성애자였다는 게 더 불편하지 않으신가보네요. ㅎㅎㅎ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жыл бұрын
어린 아이의 죽음 만큼 부조리한 일은 없다는 카뮈의 말은 절대 공감합니다.
@HR0_0
@HR0_0 2 жыл бұрын
푸코가 동성애자여서 불편하다기보다는, 위 댓글에서 동성애자를 부정적이게 말씀하셔서 그런 말을 하신 것 같네용
@HVDC198
@HVDC198 11 ай бұрын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에 보이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영상에 나온 무의미한 일에 저항하라는 이야기를 듣다보니 성경 전도서에 나온 처음에 나온 글귀가 떠올랐네요. 어디선가 그 해석을 주워듣기로는 무의미한 일일지라도 저항해나가야 한다는 뜻이었던 것 정도로 기억합니다. 저는 그것이 개인이 어찌하지 못하는 사건 앞에서도 저항해 나가야 한다는 희망을 뜻하는 의미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영상으로 설명해주신 말씀을 듣고 나서 그 성경의 해석이 어떤 사건에 대한 것이 아닌 인생의 모든 부조리함에 대해 저항하고 스스로의 의미를 찾으라는 내용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서양 역사에 있어서 성경이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영상에 나온 성경이 쓰여진 시절보다는 현대에 가까운 시기의 철학사에서도 성경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화두가 있었다는 걸 알게되니 성경이 쓰여졌던 과거와 오늘날 사이에 정말 모든 것이 바뀌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구심도 들게되네요. 생각할 것이 많은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imple4403
@simple4403 2 жыл бұрын
일에서 반항하느라 배그, 배그를 반항하느라 다시 책상으로~ 뭘하든 평온한 일상.. 이런게 정반합인가? 모순 속, 부조리를 받아들이는걸로 반항하여 나만의 자유를 쟁취한 선생님, 리스펙!
@nagene
@nagene Жыл бұрын
무의미 하지만 의미있는 것마냥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보고 괴로움을 느끼고 소리치는 까뮈처럼 보이네요..
@user-ky4nd2wj8p
@user-ky4nd2wj8p 2 жыл бұрын
6:30 개그지만 적절한 예시네요 ㅋㅋㅋㅋ
@lira3443
@lira3443 2 жыл бұрын
한달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봐줘야함
@hyorke7917
@hyorke7917 2 жыл бұрын
고도를 기다리며랑
@taylorrekim5909
@taylorrekim5909 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드려요..대학때 시지프신화를읽고 30년간 삶의의미 부여에 기반이 되었네요.. 부조리를 외면않하고 기꺼이 삶을 부딪치며 살아나가라.. 축구선수였으며..자신의 삶도 그의 철학처럼살아간 알베르 카뮈..21세기 지금도 최고의 실존주의자라 생각합니다.
@trendban8469
@trendban8469 Жыл бұрын
최고
@minwoosuh952
@minwoosuh952 2 жыл бұрын
쪙말 재밌네여 ㅋㅋ
@user-no1ut6dz8y
@user-no1ut6dz8y 4 ай бұрын
영화 이름이 뭔가요?
@chika_chika_ing
@chika_chika_ing 10 ай бұрын
어쩌면 우리나라 문학속에 나타나는 해학의 모습은 이런 부조리한 삶을 긍정하는 카뮈의 '반항'의 한 형태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user-kr2bs2gk7w
@user-kr2bs2gk7w 2 жыл бұрын
현실의 부조리를 인식하여 자기기만을 그만두고 역설적으로 현실에 충실하라는 것이라면, 결국 이 부조리함에 대해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한 것 또한 자기기만 아닐까요? 카뮈에 따르면 현실은 의미가 없는데도 살아가는게 낫다고 말하고 있으니까요. 자살하든 살아가든 현실은 아무 의미가 없는데 말이죠. 제가 이해력이 딸려서 그러는데 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user-up5po8rq7r
@user-up5po8rq7r 2 жыл бұрын
살아보니 공감합니다 제도권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이 잘알수없는 일이지만 퇴직하고보니 좀 이해됩니다
@awesome-mz2lj
@awesome-mz2lj 2 жыл бұрын
지금 현재 인생 노가다의 길에서 그냥 느낀 것이 그냥 재미습니다. 짜증내고 우울해하고 벙쪄 있는 다른 이들을 보면 그냥 즐겁습니다. 내가 똑같은 상황에서 마음의 자유를 확실히 찾았다는 것을 확신하기에~~~
@Latin_in_Seoul
@Latin_in_Seoul 10 ай бұрын
마조히스트야ㅋㅋㅋㅋ
@user-kx7uq3wi6m
@user-kx7uq3wi6m Жыл бұрын
삶이라는건 너무 어렵네요.... 나를 사랑하지 않아서 나를 지키지않아서 나만의 신념을 만들고 가치를 계속 추구하고 그런데 그것들은 명확하지가 않아서 잘 못된 신념 이상한 가치들이 생기고 그것을알고 봤더니 딱 한마디로 표현해 낼 수 없는 거여서 그거를 알기위해 노력하는데 그럴수록 뭔가 계속 허한 느낌이 듭니다 그래도 허한것은 사라지지않아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언제부터인가 찾게되었죠 그래도 계속 허하고 배가고픕니다. 이 영상을 보고 알게되었습니다 인생의 의미를 찾는것도 전혀 의미가 없었다는걸요.... 허물 벗기듯 제 자신을 보려 애쓰는데 생각보다는 정말 많이 어렵네요.... 인생을 깊이있게 살아가는것도... 너무 어려운 숙제의 연속이에요 죄송하지만 저에게 조언을 해주실수 있나요
@yoomr4246
@yoomr4246 2 жыл бұрын
역대급 강의.
@lcmpark
@lcmpark Жыл бұрын
동의하오!
@user-ms5mp2os2z
@user-ms5mp2os2z 2 жыл бұрын
눈물이 나네요. 그렇게 찾아 헤매였던 위로이지만 파도가 한참 지나간 후라 그런지 힘에의 의지는 생기지 않네요ㅎㅎㅎ그것 또한 ㅎㅎ 그나저나 모든 영상에 자료 편집 다하신다니 깜놀했어요. 진심 대단하세요. 감사한 마음으로 책도 구매했는데 선생님 말투가 그대로 들리더라고요ㅋ잘 완독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arion3344
@garion3344 Ай бұрын
정말 우리의 삶이 의미 없었던 걸까요 그리고 뚝딱철학님은 까뮈가 말한바가 다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좀 더 냉철한 사고가 필요한 대목입니다.
@user-ku6qp2ob4f
@user-ku6qp2ob4f 5 ай бұрын
썸네일ㅋㅋ 옆에있음 심장🎉
@dancingintherain7547
@dancingintherain7547 2 жыл бұрын
세상은 부조리하고 삶은 무의미하다는 걸 알았을때 황무지에 홀로 선 기분이었어요. 그럴때, 까뮈의 반항하라는 메시지나 니체의 위버멘쉬가 되라는 충고는 북극성처럼 반짝거립니다. 김필영 선생님은 누군가에게 나침반이 되실거구요^^
@roomix1822
@roomix182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까뮈의 철학을 여러모로 살펴보면서, 그렇다면 인간이 도덕적이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종교는 부정되고 영혼은 없고 특별한 이유 없고 무심한 세계 속에서 부조리를 겪는 인간에게 더이상 도덕적이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 까뮈가 논리적으로 제공해주는 통찰이 있을까요? 교수님의 영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반항도 말씀해주셨는데, 이유가 없는 세상사에서 그래야할 이유는 무엇인가요? 살인범이나 여러 사람의 인생을 망친 사기범이 감옥에서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느낀다면 그것도 충분히 반항이 되어버리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그 사람들에게 그럼에도 도덕적으로 살아야 할 이유를 뭘 제공해줄 수 있는가 싶었습니다. 2. 영상 마지막에 처형되러 가는 주인공의 씬에서 나오는 음악이 뭔지 궁금합니다. 원본 영상에 어떤 슬픈 음악같은걸 씌운 것 같은데, 그 음악 제목이 뭔지 알고싶습니다!
@trendban8469
@trendban8469 Жыл бұрын
엔딩구간에 나오는 영화 제목 알 수 있을까요~?
멋있게 살다간 철학자 (feat. 비트겐슈타인)
16:22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261 М.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시지프스의 신화 - 신화 이야기 16
19:10
노마드
Рет қаралды 268 М.
카뮈 : 이 모든 것이 대체 무슨 의미인가
17:29
지식의 취향
Рет қаралды 722 М.
니체와 불교 : 유럽의 붓다가 되고자 했던 니체, 그 이유는 무엇인가?
24:26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265 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부 : 영원히 돌아오는 인생, 우리는 얼마나 무거워질까?
52:15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244 М.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