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22부] 대한민국 농업 인구, 제대로 된 통계조차 없다? (f. 남재작 소장)

  Рет қаралды 36,186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Күн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
www.yes24.com/Product/Goods/11...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농업 #남재작 #쌀 #일본 #밥 #수입 #벼 #물가 #식자재 #인상 #귀농 #농사
🌎타임코드🌎
00:00 통계 내리기 어려운 농민 수와 농가 수
06:46 농업경영체가 뭘까? 그리고 왜 필요할까?
16:50 일본도 농가인구와 농가 수 통계가 있을까?
23:43 일본 농업경영체 수
25:54 외국의 통계는 어떨까?
29:13 일본의 경영규모별 경작면적
32:16 마무리

Пікірлер: 133
@globelab
@globelab 12 күн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458454 www.yes24.com/Product/Goods/118380449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농업 #남재작 #쌀 #일본 #밥 #수입 #벼 #물가 #식자재 #인상 #귀농 #농사 🌎타임코드🌎 00:00 통계 내리기 어려운 농민 수와 농가 수 06:46 농업경영체가 뭘까? 그리고 왜 필요할까? 16:50 일본도 농가인구와 농가 수 통계가 있을까? 23:43 일본 농업경영체 수 25:54 외국의 통계는 어떨까? 29:13 일본의 경영규모별 경작면적 32:16 마무리
@benwin65
@benwin65 12 күн бұрын
😊😊 35:12 ㅅ 5 그 때
@rusakura8664
@rusakura8664 12 күн бұрын
좀 주제하고 동떨어졌는지 모르겠지만 우연잖게 현재 한국이 격는 사회적 문제를 가장 비슷하고 빠르게 닮아가는 국가가 동남아 태국인데 우연잖게 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한국내 태국인 불법체류자에 대한 토론을 보면서 눈에 띄는 부분은 외국인 불법 체류자를 고용하는 한국인 사업주가 원인이고 그러하기 때문에 한국은 위선적인 국가라고 하는 일부 태국인 주장을 솔직히 한국적인 사고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였습니다. 그런데 현재 한국사회 문제의 근원은 농촌에서 도시로 급격한 인구 이동에서 비롯됐지만 과거 농촌이 처한 상황이 도시로 이동을 한다는 것이고 예측하고 있지만 그런 사회적 변화에 한국 사회는 전혀 대응하지 못 한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봅니다. 결국 한국 농촌과 지방 결국에는 도시까지도 외국인에게 경쟁하지 못한 사회적 구조로 다가올지 모른다는 것이고 현재 인구소멸까지 다가왔고 그걸 인식하면서도 그 해결점을 찾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문제부터 전혀 모른다는 것에 있다고 봅니다. 즉 다시 말하지만 어느 태국인이 한국을 향해 던진 "외국인 불법 체류자를 고용하는 한국인 사업주가 원인이고 그러하기 때문에 한국은 위선적인 국가다"라는 주장이 .... 과연 그 위선이 외국인 불법체류자만 한정 될까? 아니라 우리 한국인에게도 위선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봅니다.
@user-fy5rc1hx8i
@user-fy5rc1hx8i 12 күн бұрын
의외로 농업 진심인 채널
@eugenegwahk578
@eugenegwahk578 11 күн бұрын
농촌에서 살며 공적인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남박사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세부적인 기준과 통계가 명확하지 않으면 농축산물의 수급불안정과 그에 따른 가격파동은 언제 터질 지 모르는 지뢰와 같습니다. 기준과 통계가 명확해야 제대로 된 정책입안과 제대로 된 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은 비단 농업뿐만 아니라 산업전반에 다 적용되는 것이겠지요.
@user-er4zb3ib5y
@user-er4zb3ib5y 12 күн бұрын
정말 어려운 주제를 말씀해 주셔서 두분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이 문제를 30년 전부터 고민하고 변화해 왔지만 아직 갈길이 멀기도 한 부분인데 세금이 가장 많이 낭비한 산업계이기도 하다고합니다. 결과는 통계 및 관리가 잘 안되어 효율적인 농업지원이 이루어지지않고 세금이 세고 있지요. 농지 및 농민을 악용하는 것도 걸러내야되구요 어째던 감사드립니다!!!
@bluesky3017
@bluesky3017 12 күн бұрын
기업농이라면 농지통합에 유리하다는 글에 동의합니다. 가공식품 생산과 연계가 동시에 이뤄질 것이고 안정적 자재수급을 위한 수확량 증산이 가능할 것이라서 대규모 자본을 집약하는 것이 유리 할 듯하네요. 중견사업자에 자금 지원을위한 금융사업자 참여도 필요하니 펀드조성도 필수적일 것이구요. 또는 유한기업구조도 좋겠죠.
@user-pr3gc8kx4m
@user-pr3gc8kx4m 12 күн бұрын
ㅎㅎ 300평 이상만 되면 경영체 등록이 가능하고 혜택이 주어지니 요양원에 계신 분도 농사짓고, 얼굴 한 번 안보이는 멀리사는 지주도 농사짓고, 한 집에서도 아들 부모 다른 경영체고 ....... 온갖 방법이 다 동원되어 경영체 등록이 이루어 집니다. 소농직불금 폐지!
@ecoprob
@ecoprob 11 күн бұрын
한집에서살면 따로경영체등록 안돼요. 주소지따로해야합니다.
@syjklee
@syjklee 12 күн бұрын
극 공감합니다. 농업경영체 등록 엉망입니다. 시스템도 불편하고 법규도 미비합니다.
@user-lm7sl2pb2t
@user-lm7sl2pb2t 11 күн бұрын
아무도 (?아마, 전 처음 봐요) 알려주지 않는 정보 관심 갖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해요. 식자재 비싸다고 한탄하면서도 농업 구조가 어떻게 될까, 누가 생산을 해주시나 관심이 필요한 것 같아요. 앞으로 미래도 걱정되구요. 3차 4차 산업도 중요하지만 제일 기반은 농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먹거리 ! 돈 벌어서 젤 많이 쓰는 게 먹는 일이니까요 (저..) 농민분들과 소비자들 모두 행복했으면 좋겠어요 🎈
@user-xw8sr7zf1c
@user-xw8sr7zf1c 12 күн бұрын
왜 제대로 조사를 안할까? 가 아닌 농업인들이 정부에 협조적으로 조사에 응하지않음
@heesungkang6999
@heesungkang6999 12 күн бұрын
양도소득세때문에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도시농가가 너무 많음
@spritmc
@spritmc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농민수는 많고 농민당 경지면적은 세계 최소인데 경지면적당 농업소득은 세계최고수준이라는 신기한 나라입니다.
@whiteasasa
@whiteasasa 12 күн бұрын
가짜 농민들 너무 많습니다. 진짜 300평만 어찌해서 농업인 혜택받는 사람들널렸음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2 күн бұрын
농민들이 자살 최고로 많은데 이마저 단속하면 한국농업은 붕괴 안 이상함 한국인들은 더 깊게 안살피고 남탓을 쉽게 하는경향 투철할수록 되레 더함 공교롭 게 투철할수록 자존심도 강함 자존심 투철함 둘다 충성심이니 그럴
@grx1988
@grx1988 12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최소 1천평 바꿔야함
@user-wu4tp4yi1o
@user-wu4tp4yi1o 11 күн бұрын
소농 개혁해야함 6~80대 농업인 직불금 타먹겠다고 벼농사 하거나 임대주더라도 경영체 등록 안하는 조건으로 하는데 솔직히 싹다 작살내는게 맞음 고령소농 개혁못하면 농업발전 힘듬
@user-hq3xm8es3n
@user-hq3xm8es3n 11 күн бұрын
이 제도를 바꿔야 되겠지요
@rounlee4873
@rounlee4873 11 күн бұрын
@@user-rn8kc3wl4v 노령인구 비중이 워낙 높아서 그런거에요. 생산량이나 매출 기준 정해서 소일거리 하시는 어르신 말고 작정하고 농축업 운영하는 분만 따로 붅류 해야됩니다
@dribbletheearth
@dribbletheearth 12 күн бұрын
기업들에게 통계는 등대이자 나침반입니다. 실무적으로도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행정적 어려움은 잘 알지만 농업 관련 기관도 많은 만큼 좀 더 신경써 주시면 스타트업들에게도 큰 힘이 될 겁니다😊
@LCH0228
@LCH0228 11 күн бұрын
농사짓는것은 아닌데, 농사짓는 토지가진 지주가 농업인으로 등록하고서 진짜 농사짓는 사람대신 받아가는 경우가 예전에 직불금사태때 터졌던 경우가 있... 지금도 그런사람 아직도 있을듯
@Domichoi_journey
@Domichoi_journey 7 күн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남재작박사님 두분다 무척 좋아합니다.❤
@user-yo4om3ol6b
@user-yo4om3ol6b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농촌 개혁부터 해야함 거주민부터 다 개판임 돈따먹으려고 불법도 많고 안하무인이고
@update99.
@update99. 12 күн бұрын
늘 현실성 있는 농업의 현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농업인의 자녀로 태어나서 도시에 살고 있는데, 70대 중반으로 접어드는 시골에 계신 부모님과 그 동네분들을 볼때마다 걱정이 늘 앞섭니다. 영농의 현실이 녹록치 않기도 하고 효율성은 따져볼 수조차 없습니다. 무엇보다 실제로 도시에서 배우자 명의의 집에 거주하시면서 농촌에 있는 밭에 컨테이너 하나 가져다 놓고 주소지를 본인으로 해놓고 본인의 논은 타인에게 맡기고 직불금만 받아 챙기시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국민들의 세금이 제대로 쓰이길 바라고 농어촌의 소작농으로 연명하시는 분들이 군이나 조합의 도움으로 합동경작을 해서 서로 윈윈할 수 있음 좋겠습니다. 저도 저희 부모님 사시는 시골동네 갈때마다 짧음 5년 길면 10년 후면 저 작게 작게 나눠있는 논밭을 과연 현재 노인분들이 유지할 수 있을까 걱정되고 답답함이 밀려옵니다.
@m0neygamer264
@m0neygamer264 11 күн бұрын
현재 소규모 영농은 복마전이다. 기술은 농진청에서 알아서 해줘야 하고, 자금은 직불금부터 무이자 영농대출, 비료 보조금, 농기계 구입시 초저리 대출 등등... 아직도 20세기 프레임에 갇혀 무조건 농민에게 퍼줘야 한다는 식의 마인드가 마치 길거리 불법점유 탈세 노점상들처럼 농업계를 썩어버리게 만들었다. 경쟁력은 세계 최저, 농가보조금은 세계 최고, 그 결과는 세계 최고의 가격으로 제한된 품종만을 먹어야 하는 일반 국민들이다.
@user-lx3bp8ng9s
@user-lx3bp8ng9s 11 күн бұрын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농업분야 주제 감사합니다!! 농가 노동력 부족으로 농사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지자체에서 동남아시아 국가와 mou 통해 농번기 동안 외국인노동자가 입국하여 일을 하는데요.. 이런 방법도 안정적이진않은 것 같습니다. 국내 노동자는 인건비가 어마어마하구요.. 이러다가는 언젠가는 곡물 과일 등 식량자급도 어려울 수 있겠다 싶어요. 농가 노동력 문제도 한번 살펴봐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esthero76
@westhero76 11 күн бұрын
경영체등록 해 놓고 농사는 안 지으면서 직불금은 타 먹으니까 짬짜미로 도지도 안 받고 거저 농사는 딴 사람이 짓는 게 태반입니다. 농촌이 워낙 점조직처럼 혈연,지연이 엮인 곳이라...180만 경영체가 농업의 빈약한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네요.
@peterpark2166
@peterpark2166 12 күн бұрын
농업경영체등록을 농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농업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해야 하는데, 별별 곳에 다 자격사항으로 사용하니...왜곡이 되는 것임. 뭘 신청하거나 선정할때 실체를 보고 평가해야하는데 편의주의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가져와라 이러니 사단이 나는것임...
@user-hq3xm8es3n
@user-hq3xm8es3n 11 күн бұрын
농식품부가 너무 힘이 없어요. 뭘 알아야 정책을 펴죠
@user-qv3rb7qz3j
@user-qv3rb7qz3j 11 күн бұрын
300평 농지로 경영체 등록하면 직불금과 농민수당으로 300만원 건보료 50프로 감면 국민연금 일부보조 받는데 아는 사람은 당연히 등록합니다. 소농들 유리하게 직불금 바꾸고 농민 기준이 너무 느슨하니 생기는 부작용이죠. 정치인들은 농업 경쟁력 그런거 관심없어요 어떻게 해야 표가 될까 그 궁리만하지.
@user-vn2ot5ie9v
@user-vn2ot5ie9v 12 күн бұрын
농가 총소득이 4천만인데 농업소득은 평균 1천만원뿐 안돼고 비농업 소득이 3천만원 그럼 실제 농업소득만으로 생활이 불가능 하기때문에 지금 농업인이라 할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될까요?
@powerplant8513
@powerplant8513 12 күн бұрын
경영체 등록... 이걸 보면 공동경영인은 있지만 공동경영인 이런건 의무사항이 아닌것 같더라고요 하지만 농업인으로서의 경력인정을 받기 위해 넣는추세긴 합니다.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9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LEE-qh8xn
@LEE-qh8xn 12 күн бұрын
3분만에 보는 거는 처음이네요ㅎㅎ 항상 생각해 볼 만하고 흥미로운 주제를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gaeojo6301
@gaeojo6301 12 күн бұрын
각자 열심히.. 피드백시스템이 없어요.. 그러니 서로 문제를 모르고 같은 문제를 다르게 처리하는 경우도 많고.. 엉망입니다
@user-fc5nf8md6e
@user-fc5nf8md6e 11 күн бұрын
지자체 농지 경작 현황 조사, 농업 소득 등록 제도 도입해야 정확한 농업 통계가 나올 거 같아요. 예산이 많이 들겠지만요.
@user-vj2fn2qx6v
@user-vj2fn2qx6v 12 күн бұрын
빠른 다음시간 부탁드립니다~❤
@seo582
@seo582 9 күн бұрын
남소장님 출연하시면 꼭 챙겨보는 농민입니다. 현업에서 남소장님이 나오셔서 고민하는 부분에 많은 공감을합니다. 그리고 남소장님이 말씀 못하시는 부분도 많이 있을것입니다. 사실 우리 농업은 응급실에서 링겔이나 몰핀으로 생명유지하고 있는 환자와도 같습니다. 어느분들은 농업에 너무 많은 지원을 한다는 댓글도 많습니다. 시장 경제적으로 보면 구구절절 옳은 글들이지만 결코 농업을 죽이고 우리나라살수 없습니다. 농업부분 또한 수출 산업에 피해를 입은것도 있습니다. 개혁은 필요하지만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할때 인것 같습니다. 건강한 농업이 건강한 나라를 만들수 있기 때문입니다.
@JL-op8wy
@JL-op8wy 11 күн бұрын
농업경영체등록~~대단한거임다. 국민연금,건보료 감면혜택부터 농자재,사료면세혜택, 면세유, 농민수당의 기본이 되며.........
@tnwjddl9189
@tnwjddl9189 1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byulddongshin2294
@byulddongshin2294 11 күн бұрын
이나라가 지속가능한 나라인지 심히걱정된다 ㅠ
@user-ws4te8ez4g
@user-ws4te8ez4g 11 күн бұрын
500평 이하 경작자는 취미로 한다고 따로 분리해야하고 나이도 70 이상 농사경작자는 따로 분리하면 실제농업 종사자 숫자 나옵니다 농촌 경제 연구원에서 이런거 조사 안하시나요?
@m0neygamer264
@m0neygamer264 11 күн бұрын
직불금도 직불금이지만 농업용 면세유를 조사해보면 엄청날 것이다. 면사무소와 이장이 짜고 고령의 독거노인을 농업경영체로 허위로 등록시키는건 이미 수십년간 공공연하게 엄청난 규모로 이루어져왔다.
@nok3958
@nok3958 5 күн бұрын
집을 살 때 취득.등록세를 내는데 세금의 세금이라고 10%의 농어촌세까지 더 내야 하다니. 쌀 수매 시 수입쌀 보다 훨씬 비싼 값에도 전량 수매를 해주는데 쓰는 건가? 이제 농촌에 노인들만 남았다고 하니 대기업이 보조금 없이 알아서 하게 하고 농어촌세 그만 거두면 좋겠다.
@user-pr3gc8kx4m
@user-pr3gc8kx4m 21 сағат бұрын
@@m0neygamer264 고령의 독거 노인을 면과 이장들이 허위로 등록시키는게 아니라 주로 도시의 자녀들이나 노인 본인이 등록을 하면 이장들이 그냥 모른척하는거죠. 경영체 등록을 한다고 이장에게 일원땡전이라도 생기는건 없습니다.
@user-lh3cu4rn3x
@user-lh3cu4rn3x 9 күн бұрын
제가조사한바는 진짜 순수농업으로 소득을 얻어 먹고 사는분은 2프로 조사했습니다^^100만명
@Jay57366
@Jay57366 12 күн бұрын
넘나 오랫만이세요
@EAKBEAKB
@EAKBEAKB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결국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게 농업 열어줘야 한다
@user-ok3jx5ho7u
@user-ok3jx5ho7u 11 күн бұрын
인구는도시로 ㅡ농촌은텅텅비고
@WD40a
@WD40a 12 күн бұрын
농업맨~~~~
@ainislove3322
@ainislove3322 9 күн бұрын
전 1.1핵타 밭에서 둘 같이 일하다 막거리 마시고 싶어요. 43년 후에. 가자 너 관악이여~하면서
@dasomnuli
@dasomnuli 12 күн бұрын
❤❤ 🎉🎉
@user-jz3yc5yf3o
@user-jz3yc5yf3o 11 күн бұрын
가짜 농민 철저하게 가려내서 진짜 농민들에게 혜택을 줘야합니다.
@chistanley
@chistanley 12 күн бұрын
작은 텃밭 을 해보니 이렇게 재미 있는데 . 일해 보니 얼마나 힘든지 과일 채소 비싸다 생각 안하고 사먹는다 .
@user-mo3di6ow9r
@user-mo3di6ow9r 11 күн бұрын
김포에도 농사 지을사람없어 아는사람한테 땅부쳐먹으라고 내줬다고 들었다 부럽다
@kimchul1669
@kimchul1669 12 күн бұрын
농촌에 80먹은 할머니들만 있는데? 농업인으로 등록 되어 있어도 1년동안 논밭에 가보지도 않는 농업인이 태반이구만. 우리나라 농업은 외국 노동자가 전국을 순회하면서 짓고 있는데.
@user-ew7jz9ny2v
@user-ew7jz9ny2v 12 күн бұрын
이게 맞다 그리고 계절성 취업인구가 많은게 농업인데
@user-ql2qx4fe9g
@user-ql2qx4fe9g 12 күн бұрын
실지농민이얼마나있을지 전부지파이들고다니는데
@user-sr1rz3jj5q
@user-sr1rz3jj5q 11 күн бұрын
짝짝짝
@ainislove3322
@ainislove3322 9 күн бұрын
최박사님이 옥상에 상추를 0.86m^2 키우면 농민인가요?
@kth405
@kth405 11 күн бұрын
74살에 농경영인되어 4년째입니다 30년전 토지 구입한 동네에 다니면서 느낀건 동네 인구가 줄어드는겁니다 5분의일도 안 남았고 돈이되는 농업인은 열분도 안됩니다 대부분은 그냥 사는 겁니다...마치 도시빈민처럼... 농업외 소득이 있어 직불금 못 밭습니다
@ainislove3322
@ainislove3322 9 күн бұрын
제 밭도 파꽃이 폈드랬습니다. 내하하하
@user-nq1ti2nv7e
@user-nq1ti2nv7e 3 күн бұрын
300평에 대충 나무 몇그루 심어놓고...
@gogo-rk1je
@gogo-rk1je 11 күн бұрын
텃세 장난아니던데.. 빠머스 채널 가보면 고소고발 난리다
@user-cj3dj7zc6w
@user-cj3dj7zc6w 12 күн бұрын
남박사님 말씀해주시는 농업 주제 항상 흥미롭습니다. 고맙습니다~
@hyeoklee6881
@hyeoklee6881 12 күн бұрын
소신발언이지만 대기업같은 대규모농업이 들어가야지 식자재값도 안정될 것입니다. 농산물 수입하는데도 한계가 있고 언제까지 소규모로 하는 농가만 바로 바라보기에는 내 주머니가 견딜 수가 없었요ㅠㅠ 다들 토론이 활발한데요. 제 생각은 대기업진출하고 정부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실행했으면 합니다ㅎㅎ
@aau9999
@aau9999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이 바보가 아님. 안하는데는 이유가 있음.
@hico6003
@hico6003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이 들어가면 독점으로 농산물가격 폭등입니다. 국민은 서서히 끓는 냄비물 안에 들어있는 개구리 신세로 전락합니다. 먹고사는 걸 민간기업이 휘어잡는다? 한전, 수도 민영화보다 더 심각한 문제입니다.
@neistde.9907
@neistde.9907 12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농토가 ㅈ만해서 막상 기업규모 농업을 하기엔 수익성이 안나옴. 그냥 물가 안정화시킬거면 수입말곤 답 없음
@neistde.9907
@neistde.9907 12 күн бұрын
@@hico6003 이미 4대 곡물메이저 기업이나 무지막지한 사이즈의 미국 곡물 기업들이 있는 세상인데 뭔 소리함. 그 논리면 한국 농산물 물가는 세상 어디보다 쌌어야 되는데 뭐 한국 2에서 살아서 싸게 느껴짐?
@user-hi5gt5jt2s
@user-hi5gt5jt2s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도 대기업 나름임 오너가 당장의 수익보다 더 가치?등을 생각하면 나쁘지않은 결과를 만들지도 하림 처럼.. 덕분에 사료값 비싼 와중에도 양계는 싸잖아요. 가공 공장 자동화해서 규모화를 이룸..인정
@peterpark2166
@peterpark2166 12 күн бұрын
농업소득으로 생계가 안되니, 대부분 자영업이나 날품팔이라도 겸하고 있는게 현실....
@fierwalt
@fierwalt 12 күн бұрын
어차피 통계나 진실보단 이념과 정치로 선동만 하면 먹히는게 저 바닥인데 한국에서 그런게 무슨 의미가 있겠음.
@hiongun
@hiongun 12 күн бұрын
최박사님, 게스트에 대한 취임새가 반박자 빨라요. 호응하는 건 좋은데, 반박자 빨라서 내용상 쌩뚱맞는 경우가 있어요. 취임새를 반박자쯤 늦춰 보세요.
@MrZugul
@MrZugul 12 күн бұрын
일반인이 농지 취득 개꿀.... ㅋㅋ
@AhnNoMon1976
@AhnNoMon1976 11 күн бұрын
💙 *하나님이 가축을 위한 풀과 사람을 위한 채소를 자라게 하시며, 땅에서 먹을 것이 나게 하셔서, 사람의 마음을 힘있게 하는 양식을 주셨도다...*
@user-yk9fv6fz1f
@user-yk9fv6fz1f 11 күн бұрын
조합원 슷자유지하기외한제도
@gaeojo6301
@gaeojo6301 11 күн бұрын
농업 통계 무엇이 문제인가? 정답~ 공무원~~
@neistde.9907
@neistde.9907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 들어오기엔 수익성이 없고, 혁신을 바라기엔 저출산+고령화+텃세가 너무 심하고 그냥 농업의 미래가 곧 한국의 미래 보는거 같네요
@user-nadaungemonde
@user-nadaungemonde 12 күн бұрын
기업농이라는게 꼭 대기업만은 뜻하지 않습니다. 중소기업도 기업이듯 중소기업농도 기업농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옆나라 일본만 봐도 수천개의 기업농이 존재합니다. 이 기업들이 전부 대기업일까요? 그렇지 않죠. 대부분이 중소기업입니다. 기업=대기업 이라는 고정된 관념을 버리셔야 됩니다.
@rusakura8664
@rusakura8664 12 күн бұрын
농촌구조와 유통 여러가지 문제가 있지만 여기서 눈여겨 볼 사항 중에서 일 예로 베트남이 한국보다 물가가 싼데도 베트남 서민물가 기준으로는 생닭 한 마리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것입니다. 그럼 상대적으로 한국의 생닭은 왜 베트남 보다 쌀까요?
@rusakura8664
@rusakura8664 12 күн бұрын
한국의 농축산물 중에서 대표적 작물인 쌀은 소비가 줄어들어 그런지 서민들이 느끼기에는 싸다고 봅니다. 그런데 기업이 쌀을 생산하는 것보다 다른 작물은 대량생산하기에 수익성이 없다고 예측하기는 무라라고 봅니다.
@user-nadaungemonde
@user-nadaungemonde 12 күн бұрын
@@rusakura8664 생닭이 저렴한 것은 하림이라는 기업이 들어와 있기 때문이죠.
@user-nadaungemonde
@user-nadaungemonde 12 күн бұрын
@@rusakura8664 쌀은 비싼 편입니다. 오히려 지금보다 더 저렴해야돼요. 다른 작물들도 충분히 대량생산이 가능합니다. 규모의 경제 논리에 따라서 수많은 작물들이 재배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 수익성은 배가 되지요. 암요. 그렇지요.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11 күн бұрын
세금이 공무원들 일 똑바로 안해서 지원금 사기로 다 받아간다. 다들 농촌 농번기때 들판에 한번씩 나가보고 실질 농업인 확인부터하고 지급해라. 시원한 사무실에서 서류로 농사짓지 말고
@user-vg8fm6sy2y
@user-vg8fm6sy2y 11 күн бұрын
현직 사이비 농민인데.. 상속받은 농지때문에.. 경영체도 냈고 농협조합원도 가입했습니다만 그냥 주말농장수준임.. 실질 진짜 상업적 가치가 있는 농업을 하는 농장주는 많이쳐서 20만 봅니다.. 시골에 9할은 그냥 텃밭이나 가꾸는 노인네임.. 20년안에 다 사라질 숫자.. 물론 자식이 상속받으면 저처럼 사이비 농민이 되겠지만.. 혜택 볼려고 하는거 아니냐고 하기엔 별 혜택 없고요 굳이 농민을 유지하는게 농지보유 5년이 넘어가야 양도소득세가 대폭 떨어지고 전업농 8년이면 양도소득세가 면제가 됩니다 즉 세금때문에 팔고 싶어도 못팔고 쥐고 있다고 봐야죠 주말농장이나 굴리면서..
@user-hu9ub8fj9b
@user-hu9ub8fj9b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이 들어오면 국민들 생각해서 싸게 줄꺼같음? 이 생각에 웃었다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2 күн бұрын
한국은 CCTV 쳐다는 전체주의국가인 데 뭐뭐는 통계가 안잡히는 멋대로 행정국가 단속 하고싶은 경범죄나 집중단속 이면에 는 CCTV통한 경범죄단속 아닌 국민 정보 수집에 있어보임. 단속법안통과등도 차별 적이뤄져 한국행 희망 외노자는 드물어지 니 이민정책도 미국서유럽과 달리 굴욕화
@user-wr7mz4zf7h
@user-wr7mz4zf7h 11 күн бұрын
도시에서 가족들과 자빠져 살면서 시골집에눈 주민등록해 놓고 1주일에 한번쯤 잠깐 들러 텃밭 정도 가꾸는 법적 농민이 너무 많다. 물러받은 농토는 임대 계약을 일부러 안한 채 소작 주고 소작인은 소작료 없이 농사만 지어 묵고 농토 주인은 직불금만 타 무꼬 한다. 왜 정부가 이것을 방치하노??? 빤히 알면서 면사무소 직원은 고발 안하면 조사 안한다. 카파라치 처럼 고발하면 고발자에게 거액의 보상금을 주는 농파라치제도를 빨리 도입해야 한다.
@SonganKim-wx4fr
@SonganKim-wx4fr 11 күн бұрын
농협조합원수를 확인하면 제일 근접할겄임
@mugumahn6061
@mugumahn6061 11 күн бұрын
농업을 살리는 비책 모든 공짜 지원을 폐기하고 내버려둬라. 수십년간 특혜성 지원을 하다보니 총체적으로 엉망진창이 되어 버렸지. 진짜 농민은 사라지고 공짜지원에 목을 맨 가짜가 완전히 농업을 장악 해버렸지. 진작에 예상 되던일. 그냥 내버려두고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고 경쟁체제로 두면 차츰 경쟁력이 생겨 날 것. 죽어야 사는 길이 보이게 될 것.
@user-vs9zq3go2g
@user-vs9zq3go2g 12 күн бұрын
농수산부장관이 누구? 댓통은 매일밤 술이나 처마시고
신재생 에너지 가고 신재생 농촌이 옵니다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남재작 소장)
1:07:5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79 М.
너희는 왜 군면제야? 이스라엘의 '하레디' 너희도 군대 가라! [이스라엘 특별편]
18:13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쌀계의 벤츠, 맛있고 강한(?) 쌀, 고시히카리 (f. 남재작 소장) [농업 19부]
50:13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64 М.
어니스트 헤밍웨이, 전쟁을 기억하는 위대한 방법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1부
57:00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21 М.
SK, 고강도 사업재편에 나서다.
31:2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75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