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도 얘는 못 이긴다. 전세계 거래량 압도적 1위인데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작물│필리핀 사탕수수의 모든 것│설탕 만드는 과정│극한직업│

  Рет қаралды 416,181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29 күн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1년 4월 13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필리핀 사탕수수 농장 1~2부>의 일부입니다.
동남아시아 설탕수출국 2위! 전 국토의 절반 이상이 사탕수수 재배지인 필리핀. 현재 사탕수수 최고의 수확기인 4월은 1년 중 최고조로 바쁜 시기이다.
그늘하나 없는 살인적인 더위 속에서 오직 몸으로 부딪혀야만 하는 작업환경이지만, 평생 사탕수수를 재배 하며 살아온 그들에겐 놓을 수 없는 일터다.
현대의 기계화된 도구는 어딜 봐도 찾아볼 수가 없고 또한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그들. 세계에서 가장 힘든 직업 5위 안에 들만큼 육체적, 정신적 고통은 이루 말 할 수가 없다.
모든 작업에 대해 전통 방식을 고수하며 최고의 설탕을 만들기 위해 일하는 그들. 그 열정이 가득한 현장으로 팀이 찾아가본다.
▶ 살을 태우는 듯 한 불볕더위! 쉴 틈 없는 사탕수수 수확
평균 기온 40°C, 습도 70%를 육박하는 살인적인 더위.
가만히 있어도 비 오듯 땀이 쏟아지는 현장에서 인부들은 온 몸을 옷으로 감싸고 사탕수수 수확에 들어간다.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더위 속에서 그들을 막아주는 건 오직 옷가지 뿐.
수확에 쓰이는 도구 역시 기다란 칼 한 자루 뿐이다.
게다가 칼보다도 더 예리하게 날카로운 사탕수수 잎에 인부들의 손과 몸은 상처투성이다.
사탕수수를 베어냄과 동시에 이뤄지는 옮기기 작업.
수확현장에서 트럭으로 사탕수수를 옮기게 되는데, 이 역시 지게차 하나 없이 오직 사람의 힘으로 이루어진다.
한 번에 20~30kg의 양을 어깨에 짊어지고, 트럭에 연결된 구멍이 숭숭 뚫린
나무 사다리를 위태로이 오르내리며 네 시간 이고 다섯 시간 이고
끊임없이 반복해서 짐을 옮기는 그들.
시간이 지날수록 얼굴에 더위와 갈증에 지친 표정이 드리워지는데.
베고 싣고, 베고 싣고.. 끝나지 않는 육체노동의 연속!
그들의 작업은 언제 끝날 것인가.
▶ 오랜 시간과 인내의 산물! 재래식 설탕 ‘마스코바도’
바탕가스 사람들의 전통 설탕은 그 어떤 작업보다 사람의 시간과 정성이 들어간다.
사탕수수로 만든 즙에 지하수를 섞어 가마솥에 오랫동안 끓여내야 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정.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가마솥에서 즙을 끓이는 동안 계속해서 온도를 맞춰줘야만 한다는 것.
작업장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의 색으로 가마솥의 불 온도를 체크하기 때문에 작업을 하는 인부들은 계속 자리를 지키면서 뜨거운 열기를 이겨내야 한다.
시간이 지나 사탕수수 추출액이 걸쭉해지면서 끓기 시작하는데, 여기서 바로 인부들의 인내와 끈기의 작업이 시작된다.
일일이 손으로 만져 농도를 확인해야 하는 것이 그것.
대야에 받아 놓은 물에 사탕수수 추출액을 떨어뜨려 직접 손으로 농도를 재야 하는데, 사탕수수액의 농도는 정해진 시간 없이 급격하게 걸쭉해지기 때문에 1~2분에 한번 씩 계속 확인을 해야만 한다.
저녁부터 시작된 설탕 만들기는 새벽녘이 되어서야 마무리 될 정도로 재래식 설탕 제조는 시간과 인내와의 싸움이지만, 사탕수수를 업으로 살아오기 시작하면서부터 그들에게 설탕은 달콤한 삶의 위안이 되어왔다.
20세기 초반, 서양에 거대 자본이 유입되면서부터 자본가들은 이곳의 논과 밭을 없애고 모두 사탕수수밭으로 만들었다. 모든 것을 자본가에게 빼앗기고 가난을 이기기 위해서
그들의 밑에서 일해야만 했던 사람들. 그들은 설탕을 만들어 먹으며 힘든 노동의 고통을 달래왔던 것이다.
그리하여 설탕의 이름도 가난한 사람들의 설탕이란 뜻의 “마스코바도”로 불려졌던 것인데.
100년의 역사와 땀이 서린 그들만의 재래식 설탕 마스코바도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 농장 전체가 불타버릴 위기에 처하다! 사탕수수밭 태우기
사탕수수 잎에 베이는 부상을 줄이기 위해 농장 사람들은 몇 년 전부터 사탕수수밭을 태우기 시작했다. 날카로운 잎을 태우기 위한 것이다.
불을 태우면 잎만 타고 줄기만 남게 돼 상처 없이 수확이 가능하다.
잎들을 한데 모아놓고 불을 붙이자, 삽시간에 번지는 불길.
하늘을 향해 치솟는 불기둥은 눈을 못 뜰 정도인데. 거기다가 회오리 바람까지 부니, 이대로 가다간 불길이 농가로 번질 수도 있는 상황.
잠시 뒤, 한 인부가 비명을 지르고 인부들이 바깥으로 황급히 뛰어 나오고, 인부들이 뛰어나온 그 주변이 불길에 휩싸인다.
불길을 보고 여기저기서 몰려온 인부들이 황급히 불을 끄려고 물을 뿌려보지만 사탕수수밭을 집어 삼킨 불 앞에서는 소용없는 일이다.
자욱한 검은 연기로 앞이 보이지 않는 사탕수수 밭.
예상치 못한 상황에 손을 쓰지 못하고 지켜보기만 하는 인부들.
사탕농장 전체가 화제로 휩쓸릴 수 있는 상황 속에서
과연 이들은 무사히 작업을 해 낼 수 있을까
▶ 표현 할 수 없는 육체의 고통! 아낙네들의 모심기.
20cm 남짓 되는 모 하나로 세 번까지 수확이 가능한 사탕수수.
수확이 끝났다고 농사가 끝나는 게 아니다. 바로 모를 심는 작업에 들어가는데.
수확이 남자들의 몫이었다면, 모심기는 여자들의 몫!
남자들이 밭을 지나가면서 사탕수수 모를 뿌리고 다니면 아낙네들이 땅을 파 사탕수수 모를 심는다.
퍽퍽한 흙과 자갈이 가득한 땅을 도구 하나 없이 30cm 깊이로 파야하는 작업.
땅을 팔 때마다 손이 찢어지고, 가시가 박힌다.
그렇게 한 나절을 파다 보니 손에는 갖은 상처와 물집들이 잡히기 일쑤.
그나마 손을 보호하기 위해 끼고 있던 장갑도 1시간도 안 돼 다 찢어지고구멍이 나버릴 정도로 고된 작업이다.
설상가상 땅에 무릎을 대고 쪼그려 앉아서 장시간동안 움직이지 못하고 작업하기 때문에 다리의 통증은 이루 말 할 수 없을 정도다.
또한 강렬한 태양빛에 바싹 마른 흙은 땅을 파는 족족 흙먼지를 내는데.
사막먼지를 방불케 하는 먼지들 때문에 제대로 숨조차 쉬기 힘들고 무방비로 들이마신 먼지로 인해 작업 내내 아낙네들의 기침소리가 떠나지 않는다.
고되기 그지없는 노동 속에서도 작업 중간 중간 노래를 부르면서 모를 심는 아낙네들.
지금은 비록 힘이 들지만, 수확할 때의 기쁨을 생각하면 이 정도의 더위와 고통은 아무 것도 아니라고 입 모아 말한다.
▶ 그들이 살아가는 달콤한 이유! 사탕수수
‘사탕수수가 없었다면 지금의 우리는 없었다.’며 당당히 이야기하는 사람들.
그 만큼 사탕수수는 그들이 살아가는 이유이면서 자부심이기도 하다.
얼마 되지 않는 임금과 끊임없이 반복되는 힘든 작업 속에서도, 모든 것을 극복해온 이들.
남들처럼 고상하거나 고급스러운 직업은 아니지만, 아버지의 일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가업으로 물려받으며 당당하게 살아가는 자식들을 보면서
힘들고 지친 마음도 모두 사라지게 된다는데.
각기 다른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에 대해 똑같은 꿈과 열정을 느끼며 살아가는 이들.
그들의 꿈들의 결정체인 사탕수수는 설탕공장에서 대규모로 제조되어 필리핀의 효자 수출품목으로서 여러 나라에 수출되고 있다.
어두운 역사와 함께 시작된 사탕수수 재배.
그 시절 살기 위해서라면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했던 일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없어서는 안될 그들만의 생업이고, 후세의 미래가 걸려있는 희망이 되었다.
과거 슬픈 이름을 가진 ‘마스코바도’에서 이제 꿈과 희망을 가진 ‘마스코바도’로 바탕가스 사람들은 사탕수수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필리핀 사탕수수 농장 1~2부
✔ 방송 일자 : 2011. 04.13
#극한직업 #해외극한직업 #농장 #설탕 #사탕수수 #필리핀

Пікірлер: 267
@soc00l24
@soc00l24 23 күн бұрын
구한말 하와이 사탕수수농장에서 고생하신 1세대 이주한인이 생각나네요 ㅠ
@pyogi8165
@pyogi8165 13 күн бұрын
개조선 양반 노예로 사느니 하와이에서 사는게 나았나보죠 현명하셨던듯
@user-et9nn8ng4b
@user-et9nn8ng4b 11 күн бұрын
저도 오렌지 농장, 사탕수수농장 노동자로 이주한 선조들 생각나 들어옴...저리 고된 노동을 하고 독립자금을 냈다니...
@kaioh1384
@kaioh1384 10 күн бұрын
겪어보지도 않았는데 망상하고 자빠졌노
@user-ms5ju5tl9g
@user-ms5ju5tl9g 10 күн бұрын
​@@pyogi8165 벌레 같은데...
@user-fh6js9mu6l
@user-fh6js9mu6l 10 күн бұрын
그때 달러가 줜나 비쌌으니
@user-ow3ox5cy6g
@user-ow3ox5cy6g 17 күн бұрын
자동화 할 수 있는 일도 사람이 하는 이유는... 자동화 비용보다 사람들 인건비가 더 저렴하기 때문임. 필리핀은 농장주와 부자들로 돌아가는 나라임. 그들은 필리핀이 현대화 되는것도 바라지 않고 산업화 되는것도 싫어함. 저렴한 노동력을 쓸 수 없게 될까봐...
@user-wm1gz7nu4n
@user-wm1gz7nu4n 4 күн бұрын
마스코바도설탕 사먹긴하지만 이렇게 힘든 노동의 결과물이었다니! 저들에게 감사하며 먹어야겠너요.합당한 댓가가 주어져야할텐데. 안타깝습니다.
@user-wm1gz7nu4n
@user-wm1gz7nu4n 4 күн бұрын
마스코바도설탕 사먹긴하지만 이렇게 힘든 노동의 결과물이었다니! 저들에게 감사하며 먹어야겠너요.합당한 댓가가 주어져야할텐데. 안타깝습니다.
@ironrain4161
@ironrain4161 27 күн бұрын
왜 농업이 선진국의 산업인지.. 이걸 보니 이해가 된다;; 모두 인력으로 처리하니 생산성이 박살나고 한평생 일해도 자기 밭 한평이 없네
@user-sd7su8qn3f
@user-sd7su8qn3f 26 күн бұрын
그보다는 정치가 문제지요..독재자를 쫒아내고. 다시 독재자의 아들을 대통령으로 뽑으니
@user-lt3mf6si7x
@user-lt3mf6si7x 10 күн бұрын
저게 기술이없고 가난해서 저렇게 한다기 보단 일종의 우리나라로 치면 전통 간장,된장 만드는 집? 이런 느낌인거에요 필리핀도 이제 우리나라 90년대 초반? 그정도는 되는지라 설탕도 다 대규모로 기업화,자동화해서 판매합니다.
@kokona791
@kokona791 10 күн бұрын
선진국 미국에서 목화솜을 얻기 위해서 노예가 필요했고 남북전쟁이 일어나 자국민을 죽이는 끔찍한 일들이 벌어졌지요. 의류는 나이론과 단맛을 내는 사카린. 아스파탐. 등등. 감미료가 대체하면서 상황이 나아진 겁니다.
@user-mm3yc5my4k
@user-mm3yc5my4k 6 күн бұрын
이승만 대통령이 토지개헉으로 우리도 땅을 소유할수있게 해주셔서 감사하지요
@user-lt3mf6si7x
@user-lt3mf6si7x 5 күн бұрын
@@user-mm3yc5my4k 저게 기술이없고 가난해서 저렇게 한다기 보단 일종의 우리나라로 치면 전통 간장,된장 만드는 집? 이런 느낌인거에요 필리핀도 이제 우리나라 90년대 초반? 그정도는 되는지라 설탕도 다 대규모로 기업화,자동화해서 판매합니다.
@jhlim6161
@jhlim6161 23 күн бұрын
이 다큐 보고 필리핀 공정무역 마스코바도 주문 했어요. 노동의 강도가 정말 상상외..네요. 필리핀 농민분들의 소득 증대와 인간적인 삶을 기원 해 봅니다.
@monsterhunter25
@monsterhunter25 18 күн бұрын
설탕의 달콤함뒤에 노동에 씁슬함이..
@doit3592
@doit3592 21 күн бұрын
노동자분들이 참으로 수고가 많네요~~~ 건강하고 돈도 많이 벌기 바랍니다~~~
@sigeveb2
@sigeveb2 20 күн бұрын
마늘밭일합니다 캐고자르고선별하고상하차 돈이라도받아 감사하다생각하겠습니다 제겐 잠시도와주는일이지만 멀지않은가까운 농어민들좀 도와주세요 쉽지않겠지만 외노자분들없으면 마비입니다
@user-xp4dd3wf2j
@user-xp4dd3wf2j 8 күн бұрын
🔺🏰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5 күн бұрын
​@@sigeveb2 뭔 마비. 기계로 파종, 수확 다 가능한데... 소농이라 인력 갈아넣는거지
@user-pd6fc7rz3q
@user-pd6fc7rz3q 22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x5rl7kx6w
@user-wx5rl7kx6w 25 күн бұрын
사탕수수 겠지 하면서 들어와서 사탕수수라는 걸을 다시 알게됨 ^^ 물론 사탕수수가 진심 매우 쓸만한 식물이라서 없어서는 안되죠
@user-xd2vy8lf6k
@user-xd2vy8lf6k 4 күн бұрын
노농자가.너무슬프다
@user-jd2hh4yi7s
@user-jd2hh4yi7s 27 күн бұрын
5분 전? 못 참지
@Fucidin_ointment
@Fucidin_ointment 23 күн бұрын
와.. 불 지피고 끄고 다시 수확한다니... 진짜 힘들겠다...ㅎㄷㄷ
@mh-vd7tr
@mh-vd7tr 21 күн бұрын
농사일은 안해본사람은 모른다 얼마나힘든지
@im_chae
@im_chae 24 күн бұрын
설탕을 만들기위한 사탕수수에서 일하는 노동자. 힘든 만큼 행복하시길~~
@ultrapuncher
@ultrapuncher 27 күн бұрын
호주 사탕수수 수확은 전문 장비가 달린 차량으로 수확하고 근처 가공 공장까지 농지 내 카고 열차로 이동시키던데 다르긴 다르네요 ..
@whatthe5368
@whatthe5368 11 күн бұрын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차이 개도국은 인건비가 더 싸고 선진국은 인건비가 더 비싸니깐 기계가 대체하고(그외 노동자 처우,환경이 선진국일수록 부담이 더 심해짐)
@user-qy8ws6ti9t
@user-qy8ws6ti9t Күн бұрын
사람 사는게 다 고생이야요 일을 해야 먹고 살수 있으니 뜨거운 동남아에서 힘들겠어요
@korkostolany
@korkostolany 4 күн бұрын
정치가 안정되면 ,그 나라는 반드시 발전하게 되어있죠. 이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그러니까 세계에서 한강의 기적 이란 소리도 듣죠.근데 현재 대한민국 정치를 보면 완전 사회공산주의 되기 직전이죠.
@user-iw6br3li3s
@user-iw6br3li3s 3 күн бұрын
대통이 권력이 막강한데 좋은 대통 마나기가 쉽지않음 언론이 문제라
@korkostolany
@korkostolany 3 күн бұрын
@@user-iw6br3li3s 현 대통령은 식물 대통령입니다.거대 야당 180석이면, 대통령의 정책을 대부분 무용지물 만들 수 있는 권력 그 차제입니다. 그래서 윤대통령은 재임기간동안 정책다운 정책 한번 못펴보고 내려올게 뻔합니다.대통령 권한보다 국회 절반 이상이 할 수 있는 권력이 훨씬 더 크죠.
@musicbox-No1
@musicbox-No1 2 күн бұрын
22분18초 유세윤 인터뷰 잘하넹
@minister2507
@minister2507 16 күн бұрын
아버지가 그리 일했어도. 아들은 경영주가 될 지혜를 주시고 성공하게하소서. 아멘.
@user-we4wq9xv4e
@user-we4wq9xv4e 12 күн бұрын
마스코바도 설탕 사묵어야 겠내...
@oxygen2236
@oxygen2236 20 күн бұрын
저기는 기계가 없는게 나은거지. 일단 기계 값보다 인건비가 훨씬 싸서 기계를 못(안)사는 것도 있지만, 기계로 업무를 대체하면 남은 사람들은 일자리가 없어서 놀고 먹어야되는 상황이 샘기지.
@user-hv3nm5qq9u
@user-hv3nm5qq9u 12 күн бұрын
안타깝지만 맞는말임
@user-sn2ki7md1e
@user-sn2ki7md1e 24 күн бұрын
21세기에 정말 기계없이 저렇게 설탕을 생산하는 모습을 보니 가슴이 먹먹하네요
@user-hr3ng7wc4g
@user-hr3ng7wc4g 24 күн бұрын
저걸 자를 기계는 있을까요? 너무 감성적인것도 조현병 일수 있습니다
@jie3334
@jie3334 24 күн бұрын
@@user-hr3ng7wc4g 그 입만 살아서 잘난 남자들은 기계개발안하고 뭐하냐?
@choec1072
@choec1072 23 күн бұрын
@@jie3334 ?
@user-ou5uh2nv2f
@user-ou5uh2nv2f 23 күн бұрын
@@jie3334 당연히 기계는 만들 수 있죠 단지 개발과 사용비용보다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사람을 쓰죠
@somgurm106
@somgurm106 23 күн бұрын
저 정도 공감능력도 없으면 싸이코패스 일 수 있습니다.
@user-ci5gz9to2j
@user-ci5gz9to2j 11 күн бұрын
농사일 진짜 만만치않아요 일이 끊임없어유
@epicepic4512
@epicepic4512 24 күн бұрын
필리핀 사탕수수 농장 근처에 대장간 하나 지어서 K 호미 장사 한번 해보고 싶은 생각을 나만하고 있진 않겠지 ?
@user-sf2kw6mc8n
@user-sf2kw6mc8n 27 күн бұрын
저기는 저기 나름대로 행복이 있겠지만... 참;; 고되보인다.. ;;
@user-ih7sf2if9h
@user-ih7sf2if9h 27 күн бұрын
옛날에 본가에서 조청 만들어서 고추장 담그던 모습이 생각납니다. 옛날 우리 할머님들 고생 참 많으셨습니다ㅜㅜ
@hellmaking3729
@hellmaking3729 27 күн бұрын
하와이 이민 120년, 그들의 후손은 미국인이 되었겠지만 이민 1세대들은 결혼도 못하고 무더위속에서 사탕수수 재배를 했겠지, 사진신부와 결혼했지만 남편은 이미 늙고 병들어 그당시 하와이엔 한인 과부들만 가득
@user-kr2xc8go3i
@user-kr2xc8go3i 25 күн бұрын
과연 행복이 있을까
@user-ti4vb4gf8j
@user-ti4vb4gf8j 14 күн бұрын
​@@user-kr2xc8go3i 행복은 어디에나 어느시절에나 존재합니다
@user-kr2xc8go3i
@user-kr2xc8go3i 14 күн бұрын
@@user-ti4vb4gf8j 네 선상님
@user-ip5uf1ie9q
@user-ip5uf1ie9q 21 күн бұрын
대규모 기계화 농업은 아니더라도, 돈을 모으거나 대출을 받아 작은 기계로 소규모 기계화 농업을 하면 생산력도 훨씬 증대되고 삶의 질도 훨씬 높아질텐데. 예컨대, 밭에서 사탕수수를 옮기는 경운기, 사탕수수 대를 자르는 간단한 기계라도 사용하면 될텐데.
@beautiful_sae_ah
@beautiful_sae_ah 3 күн бұрын
33:44 캐릭터 티셔츠가 갑자기
@davidtaylor1305
@davidtaylor1305 21 күн бұрын
아.... 사탕수수 즙 짠 거 먹고 싶다.... 그나저나 뒤쪽에 땀 뻘뻘 흘리고 있는데 사탕 샤워해서 온몸이 끈적끈적해지는 건 정말 ㅋㅋㅋㅋㅋ 어우 너무 끔찍한데
@user-rm2zm4do1y
@user-rm2zm4do1y 27 күн бұрын
우리도12시간일햇는대. 지금은좋아젓지
@user-nx3uc5ho6g
@user-nx3uc5ho6g 20 күн бұрын
보홀섬에가는 뱃전 화장실에 들렀 을때 구석에 여자하나가 서있어서 뭔가했다 ㆍ 그소녀는 일을보고 나온 화장실변기에 물을 한바기지 붓고있었다 ㆍ그와같이 비록 힘든작업이지만그일을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곳이 그들의 삶을위한 일터이다 ㆍ 기계화되버리면 그나마 그들이 일할 곳이 없어 온식구가 굶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ㆍ옥수수죽 한공기를 받기위해 몇백명의 어린이들이 줄을 서는 현실ㆍ과거 우리 60년대 모습 과 같다ㆍ
@beaumoon8581
@beaumoon8581 7 күн бұрын
그 논리가 영속적인 노예화된 필리핀의 현실임. 몇몇 대지주들이 인구의 거의 모두를 그런식으로 지배하고 있슴. 중남미 농업 카르텔 같이 노동자들은 목숨 연명할 정도의 품값밖에 안줌. 다른 공산품 산업이 발달하면 노동력이 그 쪽으로 빠지고 이런 농장일은 기계화 될 텐데 농장주들이 바꿀 생각이 없슴.
@faustpanzer6766
@faustpanzer6766 12 күн бұрын
16:00 자세히보면 설탕 조물딱댄거 다시 탕에 던져넣음... ㅋㅋㅋ 골때리긴하네 위생관념 바로 파악되고 생산환경 알만해지네
@Missing_Lee
@Missing_Lee 2 сағат бұрын
거래량 압도적 1위만 보고 사탕수수 아니냐? 했는데 맞구먼 설탕 없이는 아무도 못 살아~
@user-sd7su8qn3f
@user-sd7su8qn3f 26 күн бұрын
정치가 발전해야 나라가 발전하지 아무리 천연 자원이 많고 땅이 넓어도정치가 발전하지 못하면 나라는 오히려 식민지에서 벗어나지를 못한다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24 күн бұрын
민도가 낮으면 낮은 정치가 등장한다 . ㅎㅎ 붕짜짜 붕짜
@user-np1oo6xs8k
@user-np1oo6xs8k 14 күн бұрын
ㅈㄴ멍청한 개소리 ㅋㅋㅋㅋㅋㅋㅋ 나 저능아요 나 모지리요 나 생각짧아요 나 엄마아빠한테 교육못받았소 라고 스스로 말하는꼴임 정치탓하는놈들치곤 생각깊은애 못봄 ㅋ
@user-vb3fd5xb7c
@user-vb3fd5xb7c 11 күн бұрын
공장관리자가 조금만 똑똑해도 콘베이어 설치했을텐데.. 50kg포대를 맨손으로 나르게 하다니....
@user-ot6tj8fw6t
@user-ot6tj8fw6t 27 күн бұрын
노동력대비 결과가 참.... 자동화 생산수단이 있다면 생산효율이 몇배는 향상될텐데
@un-kim.
@un-kim. 7 күн бұрын
그럴 필요가 없지 기기 감가삼각 유지비ㅡ수 비용보다 인건비가 저렴해서 그러는거
@changkooklee209
@changkooklee209 27 күн бұрын
굿
@user-lb9gw5kn9d
@user-lb9gw5kn9d 5 күн бұрын
색을 보니 이미 카라멜화가 많이 진행되었네 . . 설탕이라기보다 카라멜. . .
@ejyi4602
@ejyi4602 24 күн бұрын
인건비가 싸니까 저렇게 시설이 열악해도 사업이 굴러가는 거 같다…. 천혜의 바다와 관광자원을 갖고도 구태적인 정치와 불안한 치안으로 관광업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하고, 여타 산업이 발전할 수 없으니 노동환경과 대우가 열악해도 노동자가 몰리는 거지…
@yongyong_lee4813
@yongyong_lee4813 24 күн бұрын
저 철통 화학물질이 얼마나 나올까 으.....
@user-yo3kp3dk3h
@user-yo3kp3dk3h 8 күн бұрын
기계화 공장의 설탕은 비정제 원당이네요. 다크 마스코바도나 비정제 원당으로 요리하면 맛이 풍부해져서 좋아요
@user-jw5lk7li4f
@user-jw5lk7li4f 18 күн бұрын
세상 너무 고생이 많네요 ㆍ
@user-ou5ec3vs7j
@user-ou5ec3vs7j 27 күн бұрын
19: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기서부터 봐봐라 밭태우기 작업하다가 옆에 밭까지 홀라당태워먹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23 күн бұрын
기계 수확이 가능할텐데 그렇게 하면 폭동 일어나니 못하는 듯 🤣
@user-zw2wi5xc3h
@user-zw2wi5xc3h 27 күн бұрын
23:31 열심히 도구 사용 중인데 어떤 도구도 사용하지 않는다니 몰입이 깨지네 전기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거겠지만
@changsungpark460
@changsungpark460 27 күн бұрын
@Rano0oo
@Rano0oo 25 күн бұрын
같은 21세기 맞나 싶음..
@sadaricha82
@sadaricha82 19 күн бұрын
농사 안지어봤노?
@Rano0oo
@Rano0oo 19 күн бұрын
@@sadaricha82 ???
@user-hv3nm5qq9u
@user-hv3nm5qq9u 12 күн бұрын
​@@sadaricha82 한국같은 중진국 이상은 농사도 대부분 기계로 하자나
@user-jq7tq8bw1e
@user-jq7tq8bw1e 7 күн бұрын
포크레인기사 하면서 여러가지 일 많이 했는데.29분 30초 쯤 나오는 사탕수수 심기 외국인 여자분 들 없으면 여러분이 원하는 공원 잔디 밭 없습니다.대부분 외국인인 것 은 그렇다 해도 신체적으로도 남자는 하기 힘든 자세 입니다. 쪼그려 앉는 자세를 못해서 더 힘든 자재를 나르 던 지 하며 살아갑니다. 근데 그 와중에 한국에 동화 되어서 남자는 돈을 많이 벌어야 하는 어쩐지 저쩐지 애가 어쩌니 말은 또 많습니다.
@aioz4139
@aioz4139 26 күн бұрын
11:31 이부분 라임가루라길래 뭔가 했는데 lime(석회)를 걍 라임으로 그대로 읽었나봅니다.
@bologcom
@bologcom 25 күн бұрын
석회가 아니라 레몬과 같은 과일인 라임일 겁니다
@PenganZi
@PenganZi 25 күн бұрын
​@@bologcom라임을 쓸 거면 즙을 넣었겠죠. 불순물 제거용으로 석회가루를 추가하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user-sn8tg5fn7z
@user-sn8tg5fn7z 25 күн бұрын
석회맞아요~ 이산화탄소와 반응해서 불순물을 침전시킵니다
@user-kq6db6gb7f
@user-kq6db6gb7f 6 күн бұрын
저 까맣고 불순물묻은 수숫대를 그냥 갈아버리면 위생상ᆢ
@shareknicod
@shareknicod 25 күн бұрын
물소 나와서 놀랬네
@michaeloh7451
@michaeloh7451 23 күн бұрын
사탕수수 선도 가격과 결정계수가 유의적인 것은?
@nvvAve
@nvvAve 27 күн бұрын
와.. 꿀만큼 건강한 당이겠군요 마스코바도 설탕은 우리가 마트에서 사는 흑설탕은 사실 정제된거에 색소와 향첨가한 거라 실제론 비정제당이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kwonjames755
@kwonjames755 26 күн бұрын
건강한 당은 없음 ㅋ
@nvvAve
@nvvAve 26 күн бұрын
@@kwonjames755 꿀있잖아유 천연 항산화제 항염증제
@user-tv3is9fe3l
@user-tv3is9fe3l 25 күн бұрын
@@nvvAve 꿀도 많이 먹으면 당수치 높여주는건 똑같기 때문에 거기서 거기입니다. 그냥 어떤당이든 적당히 소량으로 먹는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nvvAve
@nvvAve 25 күн бұрын
@@user-tv3is9fe3l 결국 당은 독이군요
@user-vy2km5hd4i
@user-vy2km5hd4i 10 күн бұрын
흑설탕에는 캐러멜색소만 들어가지 향은 첨가하지않음.
@changsuoh5996
@changsuoh5996 8 күн бұрын
21세기 농업은 선진국 - 기계를 갈아 넣고 후진국 - 인력을 갈아놓고 차이네요....
@user-on7hc8gx9p
@user-on7hc8gx9p 10 күн бұрын
참 어렵게도 일하는구나..충분히 많은 부분을 기계화 할 수 있겠는데..
@kimsids
@kimsids 10 күн бұрын
몇 안되는 몸에 그래도 좋은 설탕 같은거네요.
@user-nc9sn1zy7v
@user-nc9sn1zy7v 24 күн бұрын
마스코바도 🎉🎉🎉
@osolgil719
@osolgil719 5 күн бұрын
우리집 설탕 한봉지로 오기까지. 이런 노농들이.
@daniellehong7464
@daniellehong7464 14 күн бұрын
한국5~60년도 생각나서 참..너무 고생하는데 위생상의로 참...머리굴리며 일해야 하는데 몸이 고생하네 참... 나는 너무 행복함 살아있씀에 돈 조금 있어도 그래도 하루하루감사함
@user-ck7ij8dx2n
@user-ck7ij8dx2n 12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일일이 사람손으로 농사짓는 일이 많은데, 저기도 아직까지 원식적이다
@bologcom
@bologcom 25 күн бұрын
옛날식 내레이션이다 했더니 2011년 방송이네요
@jhk2296
@jhk2296 14 күн бұрын
단맛은 신이내린 축복이자 저주이지 행복과 죽음이 6:1쯤되는거같아
@2eok2joemoocheonmannyeon
@2eok2joemoocheonmannyeon 27 күн бұрын
어이구 벌써 13년이 지난 영상이군요 필리핀은 쌀을 외국에 의존한다더니만 사탕수수 수출은 아직도 건재한지 모르겠네요
@lunascape5289
@lunascape5289 27 күн бұрын
거대 기업들이 사탕수수 같은 작물에 올인해서 쌀 수급이 작살난거죠
@jkkim9626
@jkkim9626 27 күн бұрын
원래 농사나 짓던 애들이 쌀농사를 안지으니까 쌀값이 폭등했을때 손해인거지 반도체랑 자동차 팔아먹고 사는 한국은 쌀농사 짓는게 무조건 손해다 지금 가격에서 5배 올라도 국산쌀보다 상품성 있음 식량자주화 어쩌고 하는건 멍청한놈을 겁줘서 표쳐먹고 돈쳐먹으려는 농간이고 ㅋㅋ 넌 쌀값오른다고 다니던 직장때려치고 농사지을래?
@lunascape5289
@lunascape5289 27 күн бұрын
@@jkkim9626 선생님 품귀현상이라고 아십니까? 돈은 그 돈 받고 팔아주는 곳이 있을 때 가치가 있는 거고요. 단립종 쌀 어디서 사오게요
@khackers
@khackers 27 күн бұрын
​@@lunascape5289 미국
@user-di9vh1xv5n
@user-di9vh1xv5n 27 күн бұрын
후쿠시마?​@@lunascape5289
@user-ry7tq9fw4b
@user-ry7tq9fw4b 27 күн бұрын
옥수수입파리을먼저처내는거시전문가에일머리라는거여
@jameshur7539
@jameshur7539 25 күн бұрын
불구경 꿀잼
@user-qu6jy1qw3g
@user-qu6jy1qw3g 10 күн бұрын
과적하다가 트럭 터지면 파키 형님들 오나? 오평파 를 외치면서?
@user-zj5mb8ni3l
@user-zj5mb8ni3l 20 күн бұрын
기계로 좀사용하지요
@bookvoicer
@bookvoicer 27 күн бұрын
트럭빼고 사람이 다하네...ㄷㄷㄷ
@iamnaive
@iamnaive 9 күн бұрын
중국에서 중국 사람 말을 믿고 구매하는 것이 넌센스고, 우리가 지구에 살고 있는 이상 자기장은 우리 주변에 차고도 넘쳤음.
@user-mi7vv6or3z
@user-mi7vv6or3z 12 сағат бұрын
돈이라도 많이 받고 일해야 될텐데
@bluebottle1546
@bluebottle1546 24 күн бұрын
바가지로 물뿌리는 거 봐라 .. 답답하다
@user-ry7tq9fw4b
@user-ry7tq9fw4b 27 күн бұрын
입파리망옷스로사용하면대는대에태와
@koreano145
@koreano145 17 күн бұрын
마늘 수확 저리가라네
@user-fp7kn9ro9s
@user-fp7kn9ro9s 27 күн бұрын
내가 한국인이라서 그런가 기계보다 노동력이 싸서 사람이 하는거면 트럭에 올라가는 사다리는 유공발판처럼 생긴 발판 만들고 트럭옆문짝은 높게 만들면 되지 않을까? 그런생각만듬
@sigeveb2
@sigeveb2 20 күн бұрын
역시나 대한의 방구석 워리어
@user-fp7kn9ro9s
@user-fp7kn9ro9s 20 күн бұрын
@@sigeveb2 현직 건설업 종사중 입니다 방구석은 당신이 방구석이겠지요 심심하면 잠이나 자십시요ㅋ
@Yaimma0104
@Yaimma0104 19 күн бұрын
수고스러운건 사실이지만 매일 수확하는 작물은 아니니 감안해서 봐도 될듯해요. 매일 저런다면...어휴..... 저도 오늘 수박 1200평 2500개 수확했지만. 95일동안 키우고 수확작업은 반나절~~
@A10101
@A10101 21 күн бұрын
수 십년 아니 아주 오랜세월 동안 사탕수수 농사를 짓고 살았을 텐데 꼭 호미가 아니더라도 나무 막대에 쇠부치 같은거를 묶어서 사용해도 되고 훨씬 편하고 다칠 일도 없을 텐데데 이해가 안된다 그래도 여자라고 장갑은 어디서 주어다 손에 끼고 일하네 도저희 이해가 안된다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26 күн бұрын
요즘 커피콩 대신 두리안 바뀐다는디
@jakepp6138
@jakepp6138 4 күн бұрын
기계가 해야 효율이 좋을거 같은게 너무 많은데.. 그냥 인력으로.. 갈아넣는군요 -_-;
@kainigwon5433
@kainigwon5433 9 күн бұрын
도대체 무엇을 위해 저렇게 고생을 하는 것인가..
@CockerTV_Bada
@CockerTV_Bada 23 күн бұрын
사탕수수 수확할때 불질러서 캐는지 첨알았네..
@soso-ii5ns
@soso-ii5ns 25 күн бұрын
설탕가격도 폭등하면 큰일난다
@user-vy2km5hd4i
@user-vy2km5hd4i 10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설탕가격은 내리면 내렸지 폭등은 없을겁니다. 선진국들은 벌써 대체감미료가 자리잡았고 전세계적으로도 건강문제때문에 설탕판매량이 하락세를 걷고 있으니까요. 한국 역시 제로 음료가 대세잖아요. 가격이 떨어지면서 후진국에까지 싼 가격으로 마구 풀고 있다고 합니다.
@Madao6974
@Madao6974 15 күн бұрын
탄소배출 어쩔?
@okyeon8309
@okyeon8309 8 күн бұрын
설탕이 비싸다는 말 하면 안되긋다ㅠ 인부들이 저리 힘들게 일하는데ㅠ
@doroshi99
@doroshi99 25 күн бұрын
19:40 바람이 저렇게 부는데 불을 놔? 진짜 대갈통이 텅텅빈거거나 아니면 방화광 아님?
@ssu9768
@ssu9768 16 күн бұрын
우리도 못살던 6~70년대에 저리 일했죠.
@user-zv1fc4cb6c
@user-zv1fc4cb6c 23 күн бұрын
아.. 수확을 이렇게 하는구나.. 태워버리는줄..
@parkthevenom7607
@parkthevenom7607 20 күн бұрын
거칠고 고된 노동 농장주는 손안대고 단물빠네 아~ 아름다운 자본주의
@user-ky8yl7lo3z
@user-ky8yl7lo3z 2 күн бұрын
필리핀은 사회기득권 층이 절대절대 평민이 중산층으로 가는걸 원하지 않습니다
@user-zh2hj6ig2b
@user-zh2hj6ig2b 11 күн бұрын
그 흔한 호미도 없이... 대한민국에 태어난게 얼마나 다행인지
@Master_Seo
@Master_Seo 27 күн бұрын
@big98901
@big98901 22 күн бұрын
5:00 바로 트럭나옴
@user-xy3qu5lv7n
@user-xy3qu5lv7n 27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사탕수수를 수작업으로 하네 ㅡㅡ 다 기계로 하는데;;
@suribilee4886
@suribilee4886 24 күн бұрын
왜 호미같은 도구를 안쓰지? 중국산 꽃삽같은거 천원 이천원이면 살텐데
@1120jsw
@1120jsw 17 күн бұрын
시대가 변하면 좀 기계화하자 좀!! 더러워죽겠다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 24 күн бұрын
저기에 기계화 도입하면 저 사람들 죄다 직업 잃게됨 사회 문제가 되기 땜에 함부로 도입할 수도 앖을 걸?
@galddeggajibbougganda
@galddeggajibbougganda 12 күн бұрын
달다리하이 츠직
@user-wr1pe9qo3k
@user-wr1pe9qo3k 21 күн бұрын
노조가 없나요?
@user-fh1jf6cr3s
@user-fh1jf6cr3s 16 күн бұрын
일이 얼마나 고되면 배나온사람이 한명도 안보이노!
@user-tv4li3pg4h
@user-tv4li3pg4h 7 күн бұрын
바스코바도 을 수입해라 백설탕 화학적으로 뭔가넣어하얄것 이다 그러니 삼백 은. 비건강 식품 이라고 하지 조미료 백미 백실탕
@dwqeqe103
@dwqeqe103 24 күн бұрын
전기가 없으니 소로 저 철압축기를 돌리네 ㅋㅋㅋㅋ 신기하다
@user-gf9qt5xv3o
@user-gf9qt5xv3o Күн бұрын
하루종일 노동을 하고 받는 하루 일당은 우리 돈으로 10,000원~18,000원... 필리핀은 정유시설이 없어 석유값이 우리보다 더 비쌈 (휘발류 1700원내외) 즉, 기계와 수리비, 기름값이 10만원이면, 8~10명의 노동력을 동원 할수 있음... 또 정전이 심해, 저 공장은 필수 시설만 전기시설, 정전시엔 발전기 최소로 돌리고(기름값,,,) 인력으로 때울수있는 부분(포장, 상차등)은 자동화 안함... 필리핀 인구 1억2천만명, 일인당 4000달라 좀 안됨 이 인구를 흡수할만한 거대 제조업체가 없어, 인력 남아돔, 필리핀 최대 체인마트 SM 가보면,,, 계산통로에 줄이 쫙~,,, 계산은 여자 계산원 한명, 포장해주는 젊은 남자 1명해서 2명이 붙는데도,,, 처리 속도 가히 굼벵이... 내 앞에 10명 있다면,,, 내 차례까지 최소 30분,,, 필리핀은 외국 파견 노동자의 본국송금과 관광1 그리고 관광2로 국가가 관리되지만,,, 제대로 된 정부가 들어서기전까지, 앞으로도 계속 변화없이 살것임. 지금,, 마르코스, 이멜다로 유명한 독재자의 아들이 대통임,, 우리로선 이해불가. ㅎ 필리핀이 전 세계로 보모, 파출부 수출하기보다,(우리나라도 시범사업중) 만명 2만명 단위의 삼성같은 단순제조업이라도 자꾸 불러들여야함. 그 회사들이 제조된 물품 실어나르려면 도로 닦고, 안정된 급여 지급되고, 그 사람들로부터 세수와 소비가 일어나야하는데, 지금까지도 못했는데, 될까 싶긴함... 젊은적 벽제에 있는 필리핀 참전 기념탑 팔각정에서 야방함.. 그때 필리핀 참 고마운 나라라 생각했는데,,, 조금 더 잘살고, 조금 더 행복한 나라가 되길 바래봄...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871 М.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6 МЛН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94 М.
[Full] 극한직업 - 필리핀 바나나, 파인애플 농장
45:03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27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