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판 간첩조작극, 드레퓌스 사건

  Рет қаралды 82,745

함께하는 세계사

함께하는 세계사

5 жыл бұрын

#역사 #드레퓌스사건 #간첩조작 #세계사
19세기말 프랑스의 간첩조작극, 드레퓌스 사건에 관한 영상입니다.
참고자료
Jean-Denis Bredin: The Affair. The Case of Alfred Dreyfus, New York 1986.
Ruth Harris: The man on Devil's Island. Alfred Dreyfus and the affair that divided France. London 2010.

Пікірлер: 145
@yuksain5035
@yuksain5035 4 жыл бұрын
그릇된 정보와 자극적인 야사 위주로만 구성된 유튜브의 많은 역사컨텐츠가 범람하는 가운데, 역사적 근거와 지식을 바탕으로 좋은 컨텐츠 만들어 주시는 '함께하는 세계사'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컨텐츠 정말 잘만드세요.
@user-mx7rc3gv4l
@user-mx7rc3gv4l 5 жыл бұрын
유서 대필 사건이 생각나네요. 국가권력의 부당함을 이길 수 있는건 여론이지만, 국민들의 목소리는 결국 언론으로 좌지우지 된다는 어쩔수 없는 현실...ㅠㅠ
@user-ux4oh9co2b
@user-ux4oh9co2b 3 жыл бұрын
당시 검사였던 콱상도가 아직까지 국회의원이라는 소름돋는 현실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2 жыл бұрын
곽상도라는 자가 검사 국회의원으로 증거하는 국민의식은 한치도 발전이없네요.
@user-oz6wl1nz6n
@user-oz6wl1nz6n 3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사건은 당시 유럽의 뿌리깊은 반유대주의와 나라의 책임을 상대적 약자인 소수인종에게 돌리려는 심리를 잘 보여주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드레퓌스의 무죄를 위해 끝까지 노력한 건 에밀졸라를 비롯한 프랑스 국민들이었고 드레퓌스 생전 그의 명예가 어느정도 복구되었다는 점에서 드레퓌스 사건 자체는 프랑스의 흑역사지만 그래도 프랑스의 최소한 양심과 명예를 보여준 사건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영상 감사합니다.
@user-os2jf3fw4u
@user-os2jf3fw4u 4 жыл бұрын
인간이라는 존재를 보면 얼마나 욕망에 나약한지, 그리고 얼마나 어리석은지, 자신의 편견을 벗어버리지 못하는지, 그리고 남에게는 얼마나 잔혹한지 느끼게 되어 그게 더 답답하다. 나는 양심적인 사람이 될까 아니면 보복이 두려워 침묵하는 인간이 될까?
@user-vq5cg8pg3s
@user-vq5cg8pg3s 5 жыл бұрын
깔끔하게 정리되네요.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jjune6950
@jjune6950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채널을 얼마전에알았네요. 홀딱반했어요. 일단 모든영상 정주행 할랍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user-pb1iu7dk7m
@user-pb1iu7dk7m 3 жыл бұрын
교과서 공부하다가 이해가 안되서 이 영상을 봤는데 제게 큰 도움이 되었어요 구독하고가요ㅠㅠㅠㅠㅠ!!!!
@kimmyau3032
@kimmyau3032 5 жыл бұрын
그림 너무 귀여운거 아닌가요 ㅋㅋㅋㅋㅋ 잘 보고 갑니다!
@historytogether
@historytogether 5 жыл бұрын
김먀우 Kim Myau 재밌게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jh7ue3ug4k
@user-jh7ue3ug4k 4 жыл бұрын
갑자기?
@user-fz2ir8kc6z
@user-fz2ir8kc6z 4 жыл бұрын
너무 가슴아픈 영상이네요 ㅠㅠㅠ
@user-pj6lx1wp8b
@user-pj6lx1wp8b 4 жыл бұрын
교훈적인 좋은 영상이네요,
@user-oz8ox6ux2q
@user-oz8ox6ux2q 4 жыл бұрын
참 슬프네요. 그리고 드레퓌스 사건이 생각보다 년도가 이른 시기여서 놀랐어요. 훨씬 더 뒤 시대인줄 알았는데.. 잘 보고 갑니다! ^^
@yoonseo_ji
@yoonseo_ji 3 жыл бұрын
불쌍하다
@wlsdud2810
@wlsdud2810 4 жыл бұрын
잠오는 목소리이시긴 한데.. 내용은 절대 들어도 잠이 안오네요 군말없이 중요점을 아주 간결하게 표현해서 기억하기 쉬운 말투이신듯요 잘봤습니다.
@user-yz1zc6yg4t
@user-yz1zc6yg4t 3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많이 보급되기를 바래요.
@user-tc1oz7tm6h
@user-tc1oz7tm6h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234ncwrd
@1234ncwrd 4 жыл бұрын
눈물 나 너무 불쌍해 ㅠㅠ
@user-kd2rj3ns4q
@user-kd2rj3ns4q 4 жыл бұрын
유럽사회의 뿌리깊은 반유대주의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사건이죠. 너무 많아서 그 중에 하나죠.
@user-cf3il5hk3v
@user-cf3il5hk3v 3 жыл бұрын
서울시 간첩조작사건이 생각나네요.ㅠㅠ
@user-sp8gp8is8m
@user-sp8gp8is8m 5 жыл бұрын
간첩조작 사건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모진 고문과 법을 아주 잘 아는 어떤 인물입니다.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되는 끔찍한 일이죠.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4 жыл бұрын
군부정권때 수도 없고, 21세기에도 일어나는 한국.
@user-kh5wr2ju9g
@user-kh5wr2ju9g 4 жыл бұрын
@@user-df4uh2xv3u 근혜짱 탄핵때 계언령 문건은 뭘까? 빨갱이 새끼야?
@user-kh5wr2ju9g
@user-kh5wr2ju9g 4 жыл бұрын
@@user-gn2zv1yz1l 당시 야당 빨갱이로 몰아서 계엄령하려고 한건데 간첩조작이 없어? 503새끼야
@dorianfa4209
@dorianfa4209 2 жыл бұрын
@@user-kh5wr2ju9g 문재앙이 죄없는 국민 고소해서 한국판 드레퓌스 사건 만들었지. 아주 더럽고 쓰레기 같은 방법으로 국민을 괴롭히고 말이지. 그런데 지금도 그거 진행중이지. 문재앙이 얼마나 악독한지 알수있는 대목이지. ㅋ
@_boto2353
@_boto2353 5 жыл бұрын
멋져요
@dmslm20
@dmslm20 4 жыл бұрын
휴 이런일은없었으면좋겠는데 우리나라도 이런일이 있었죠 1건도아니고 누군가의죄를뒤집어쓰고 감옥에갇힌사람 안타까움
@belleepoquela3271
@belleepoquela3271 4 жыл бұрын
이스라엘 건국의 간접 원인이자, 실제론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친 드레퓌스 사건이네요.
@karmaoo3865
@karmaoo3865 3 жыл бұрын
저 사건이 지나자 유대인들 사이에서 시오니즘 운동이 저조했다가 히틀러의 대학살로 이스라엘이 건국되었죠
@user-bi4do1bx6p
@user-bi4do1bx6p 11 ай бұрын
정리가쉽게되서감사합니다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사건 여러 곳에서 읽었는데... 이제서야 이해가 된 것 같네요 ㅠㅠ 하... 문해력 떨어지는 제게 한줄기 빛이었습니다 ㅎㅎ
@bloo_i
@bloo_i 3 жыл бұрын
어쩌면 하나의 국가라는 것이 옳바르게 작동허기 위해서는 그것이 좋은것이든 나쁜것이든 일련의 경험이 있어야만 가능한것이 아닐까요. 비슷비슷한 사건들이 국가들은 꼭한번 겪으면서 역사가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geobugi-
@geobugi-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사건만 알았지 이후 이야기는 처음 알았네요 진짜 이런 애국자가 없었네요
@user-sh3be6iy1x
@user-sh3be6iy1x 4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생각해보면 프랑스가 인권 자유 투쟁을 위해 힘을 쏟은 이유는 그만큼 인권과 자유가 가장 후졌기 때문이 아닐런지...
@dorianfa4209
@dorianfa4209 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프랑스야말로 저런걸 극복해서 인권 선진국으로 가는 계기로 만들었지.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저런걸 감추고 은폐해서 인권 후진국이지 ㅋㅋ
@user-wb1em3tu9d
@user-wb1em3tu9d 2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사건이 궁금해져서 찾아보다가 이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쉽고 간단하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드레퓌스가 미움을 받은 이유가 알자스-로렌 출신에다가 독일어에 유창했다는 건 이해가 되는데 유대인이었다는 게 미움 받을 이유에 포함되는 게 궁금합니다. 그 당시에 유럽사회에서 반유대주의가 있었던 걸까요? 그랬다면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tak1635
@tak1635 2 жыл бұрын
일단 서구권이 기독교 사회이다 보니 예수를 인정하지않고 핍박했던 유대인들에 대한 반감이 있었을 것이고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나라를 잃고 여러나라에 흩어져 살아갔기 때문에 자신들보다 하등한 민족이란 편견이 있었고 (이와 유사하게 집시족들에 대한 탄압도 엄청났고 히틀러도 유대인못지않게 많은 집시족을 학살했습니다) 앞의 두가지로 유대인을 안 좋게 보는데 이들이 뛰어난 두뇌와 경제성으로 강력한 상권을 이루자 이에 대한 질투도 있었죠. 요즘도 외국에는 유대인들이 뒤에서 돈으로 세계를 좌지우지한다는 음모론이 유행하죠.
@yujh8838
@yujh8838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사건이 발생했던 19세기 말은 반유대주의가 극심했던 시기입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간단히 말해서, 유대인은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고 범세계적으로 분포했으며 더불어 18세기 동안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였으나 국가체계가 바뀌며 그들의 유용성은 바닥을 치게 되고, 이외 다양한 유대인의 특징으로 비유대인들의 증오를 사게 됩니다. 추후에 이러한 반유대주의는 히틀러의 정치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하죠.
@scbaik254
@scbaik254 4 жыл бұрын
4:28 구독자로써 항상 좋은 영상을 제작해 주시는 것을 고맙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번 영상에는 약간의 오류가 있는 것 같아서 의견을 남깁니다. 프랑스의 사형제는 1848년에 폐지된 것이 아니라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프랑스 사회당이 집권 여당이 된 1981년에 사형제를 폐지하었습니다.
@historytogether
@historytogether 4 жыл бұрын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848년 폐지된 것은 사형제 자체가 아니라 ‘정치범에 대한’ 사형이었는데, 대본을 잘 써놓고 정작 녹음할 때 실수를 저질렀네요. 바로 잡아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western416
@western416 3 жыл бұрын
하도 이때 군부의 태도가 완고해서 에스테라지가 사실은 프랑스의 이중 간첩이라서 군부가 정치적으로 에스테라지를 보호하려고 희생양으로서 드레퓌스를 골랐다는 음모론도 있더군요
@sujinlee9720
@sujinlee9720 6 ай бұрын
내용중 프랑스에서 1848년에 사형제가 폐지되었다고 하셨는데 법률에 의한 사형제 폐지는 1981년, 헌법에 의한 완전 폐지는 2007년 아닌가요?
@yjbae2080
@yjbae2080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이 당시 프랑스가 얼마나 대단한가를 보여주는 것은 드레퓌스의 체포가 아니라 에밀졸라가 대놓고 '나는고발한다'라는 기고문을 쓸수 있었고, 그것이 아무 제지 없이 출간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KLimwon
@KLimwon 4 ай бұрын
드레퓌스 사건 자체는 잘 아는거라 그렇게 새로운게 아니었는데 풀려나고 나서 드레퓌스의 행보는 첨 들어봤네요. 프랑스한테 저런 대접을 받고도 1차세계대전에서 복무까지 하다니 정말 대단한 사람인거 같습니다. 평범한 사람이면 그냥 프랑스에 정나미가 떨어져서 이민했을거 같네요.
@user-nz6sz8to9p
@user-nz6sz8to9p Жыл бұрын
4:26 드레퓌스가 사형을 당하지 않은것은 정치범사형금지제도 때문이라고 들었는데 어떤것이 맞는건가요?
@JUNE10215
@JUNE10215 4 жыл бұрын
이 사건이 팔레스타인 문제의 시발점이죠
@user-tl3bg8vl3y
@user-tl3bg8vl3y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이네요 ㅎㅎ
@user-li5kc1wx2j
@user-li5kc1wx2j 2 жыл бұрын
군부가 나라를 좌지우지했던 우리 과거가 떠오르네요
@user-op2yv9ux3f
@user-op2yv9ux3f 4 жыл бұрын
인혁당
@aylmerwhiliem3873
@aylmerwhiliem3873 4 жыл бұрын
반유대주의는 1차대전종전 이전까지 러시아, 프랑스가 훨씬더 심했네요
@user-ol6oh2ej9n
@user-ol6oh2ej9n 3 жыл бұрын
🇬🇧빼고 싹다 반유대주의 아니었나여?
@karmaoo3865
@karmaoo3865 3 жыл бұрын
@@user-ol6oh2ej9n 유럽에서 반유대주의가 없던 나라가 없었음 유럽은 기독교 세계라서 예수를 죽인 민족이라고 유대인을 박해했고 근대 들어서 돈벌레, 구두쇠에 이기적인 민족이라고 싫어했음... 히틀러가 유대인에게 노란별 달게하고 색출해 수용소로 보내는 조치에 거의 전 유럽인들이 환호했음...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karmaoo3865 반 기독교 보다는 유대인 몰아주기 때문에 반유대주의가 심함.
@user-iu6pg3ps7p
@user-iu6pg3ps7p 3 жыл бұрын
0:40 프랑스가 입수한 문서(편지)에는 프랑스 군의 비밀정보가 적혀있지 않았습니다. 독일에 넘겨준 프랑스군대의 비밀문서 목록이 적혀있었을 뿐입니다. 그래서 이 문서를 훗날 '명세서'.... 영어로는 'bordereau' 정도로 지칭되곤 했습니다. 형식은 편지로 메모수준입니다. 문서(명세서)에 적힌 비밀문서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120mm 대포의 유압추진 장치와 사용법(설계도) 2. 지원부대의 배치도(새 계획에는 몇가지 수정사항있음) 3. 포병 편제의 변경 정보 4. 마다가스카르의 군사 배치정보 5.야전포병 부대 임시 포격편람(혹은 사격 지침내용) 그밖에 내용은 '독일측에서 요구한 정보를 입수하지 못했으며 곧 자신은 작전 참가차 떠난다는 내용과 상기 목록중 5번 비밀문서는 필요한 부분만 메모한후 돌려달라, 이유는 프랑스 국방성에 반납해야만 한다' 입니다. 님께서도 올리신 문서(명세서) 이미지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것으로 육필 필기체였고 대략 6조각 정도로 찢어서 버려졌습니다. 그래서 조각맞춤을 한후에 테이프로 붙인 자국이 선명하지요. 현재에는 원본이 유실되어 없고 필림으로만 존재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위키자료이긴 합니다만...) 문서(명세서)의 내용을 살펴볼때, 비밀 정보에 대해 폭넓게 접할수 있는 참모본부에 근무하는 장교들이 첫번째 용의선상에 올랐습니다. 또한 대부분 포병에 관한 내용이다 보니 포병장교들을 의심할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던중 유대인 출신으로 참모본부에서 근무중인 포병대위 드레퓌스가 지목되었지요. 프랑스에 잠재해있던 반유대정서가 생사람을 잡은 케이스라고 역사가들은 평가하더군요. 문서(명세서)의 내용이 한국어로 번역된 자료가 217페이지에 실려 있으니 궁금하신분은 찾아보시면 됩니다........아무튼 문서에는 직접적인 군대 기밀사항이 적혀 있지는 않습니다.
@user-iu6pg3ps7p
@user-iu6pg3ps7p 3 жыл бұрын
만약 문서(명세서)에 직접적인 군사비밀이 적혀 있었다면, 이건 어의없고 해도해도 정말 말도 안되는 사건이 되버립니다. 힘들게 입수한 적대국가(프랑스)에서 군사 기밀로 취급되는 정보가 담긴 문서를 여섯조각 정도로 찢어서 '휴지통'에 버렸다는 것은 정말 말이 않됩니다. 보안개념이 없어도 너무 어의 없는 수준입니다. 아무리 19세기 말이라 해도 그 정도는 아니였을 겁니다. 당시 보불전쟁 후이기 때문에 독일과 프랑스간에 감정이 정말 않좋았고 양측은 첩보전을 많이 벌리던 시절인데 비밀정보를 찢어서 휴지통에 버린다는 것은 정말 해도해도 너무 한겁니다. 사실 비밀사항이 적혀 있지 않다해도 문서의 입수 경위가 '휴지통'이라는 것도 좀 문제가 있긴 마찬가집니다. 아마도 프랑스 측에서 언론 발표시 '휴지통'에서 발견했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한것이고 사실은 첩보요원이 빼돌렸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프랑스 군부가 첩보요원을 통해서 파리 주재 독일 대사관에서 입수했다고 발표한다면 양국간 심각한 외교마찰이 생겼을 겁니다. 프랑스가 파리 주재 독일 대사관에서 첩보요원을 파견하여 첩보활동을 했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꼴이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독일측이 부주의 하여 휴지통에 버린것을 입수했다고 발표함으로 책임을 독일대사관에 떠넘기고 외교마찰을 피하기 위해서 그랬던것 같네요.
@goodman4754
@goodman4754 Жыл бұрын
5:58 에밀 졸라
@user-nr6xs4os7h
@user-nr6xs4os7h 2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와 나는 고발한다의 에밀 졸라 꼭 기억하겠습니다
@q2750
@q2750 3 жыл бұрын
상류 성인 사회가 별 이유없이 왕따시키는 미성년자 사회와 별다를 바 없게 느껴지는 사건이네요
@kth8482
@kth8482 2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본인은 한번도 본인이 유대인이라 말한적이 없다던데......
@user-ly8si4mh1j
@user-ly8si4mh1j 4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조국은 그대를 버렸지만 그는 조국을 위하였다!
@user-ct3ki1lm6w
@user-ct3ki1lm6w 2 жыл бұрын
집단주의, 애국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다수결의 횡포가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주는 예.
@user-yh2xw6ps4r
@user-yh2xw6ps4r 5 жыл бұрын
범인은 마미손 읍읍...
@user-wf3gq9dh2k
@user-wf3gq9dh2k 4 жыл бұрын
앙리.. 쓔바 드레피스 ㅠㅠ
@walkingholiday498
@walkingholiday498 2 жыл бұрын
21세기 대한민국에서 기득권과 기레기들에 의해 여전히 일어나고 있음
@user-qg8du3jv3b
@user-qg8du3jv3b Ай бұрын
고채상병 사건을 외국에서는 한국판 드레퓌스 사건이라고 인용된곳도 있는걸로 기억남
@user-gf4jm8it2m
@user-gf4jm8it2m 2 жыл бұрын
이런 사건은 과거에도 있고 현재에도 발생하고 있죠.... 정치인은 엘리트 집단이라 다들 역사를 배웠을 텐데도 불구하고 이익만을 좇기 바쁘고... 인류는 역사가 반복될 뿐 발전은 없다고 생각이 들어요 영원히....
@user-jg2uz9qd1m
@user-jg2uz9qd1m 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도덕적으로 살아가고 양심적으로 생활하며 법에 어긋남이 없이 살아야 한다고 배웠는데, 어찌하여 싸패들과 소패들이 권력을 잡고 세상을 피폐하게 만드는가? 전쟁으로 인류가 발전 한다? 전쟁이 아니더라도 애민정신으로 인류사를 충분히 발전 할수 있는데
@user-id3yy5yn5n
@user-id3yy5yn5n 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정예병이 모나코 지역에 다 가있었는데 그 모나코 병력이 쿠데타 주축이됨
@hjlim2153
@hjlim2153 2 жыл бұрын
tv에서 프랑스인들이 도덕적인 척하는게 역겨움 독일인들은 항상 고개숙여야하고 실상은 거기서 거긴데
@jambread848
@jambread848 2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이미 1800년대 중반에 사형을 폐지했군요................
@Dgejwkxgggwnbvzfw
@Dgejwkxgggwnbvzfw 4 жыл бұрын
이번 정의연 사태랑 비슷 피해자들 의견보다 그걸 대변한다며 자기 이익만 추구 하는게
@user-di7sf4sr7r
@user-di7sf4sr7r 4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불쌍한 사람 이다
@user-wt9lv6nv5p
@user-wt9lv6nv5p 4 жыл бұрын
너무 가엾어요ㅜㅜ
@user-wn3mv5iq8t
@user-wn3mv5iq8t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의 언론 로로르지는 살아있는 언론이네요. 에밀졸라가 밝힌 진실을 게재했어요.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2 жыл бұрын
간첩사건이 안산선수따위로 묻혀버린 지금 이 시점은 너무나도 암울한 현실이네요. 우리는 역사를 잊었고, 과거의 실수를 또 번복하네요.ㅠㅠ
@lemonclassic
@lemonclassic 3 жыл бұрын
체사레 벡카리아가 울고 가겠다
@user-yy8yg3fs8g
@user-yy8yg3fs8g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생전에 풀려나서 다행입니다..
@user-mb1eg3xs9r
@user-mb1eg3xs9r Жыл бұрын
??:우리 드레퓌스얘기는 꺼내지도 말자 ??:방금 했잖아!!(우당탕)
@progress999able
@progress999able 3 жыл бұрын
미개하다며 프랑스를 욕하는 분들은 없길 바랍니다. 대한민국도 그에 못지않을만큼 국가권력이 한 개인의 인생을 파멸로 몰았으니까요. 과거 군부독재시절, 공안검사와 판사들의 만행은 이루말할수 없을 정도로 방대합니다.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Жыл бұрын
다수가 소수를 패는 건 어딜 가나 그럼 민주주의 전파한다고 돌아댕기던 미국조차 매카시즘의 본산인데 국가만 개인을 탄압하는 것이 아니며 개인 역시 무리를 이루면 또 다른 개인을 탄압함 백날 민주타령 하기 전에 중우정치 또한 경계해야 함
@user-cf3il5hk3v
@user-cf3il5hk3v 3 жыл бұрын
박원순전시장님의 사건도 다시 돌아봐야 할 사건입니다.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Жыл бұрын
어떤 점에서요?
@user-hm7ll9mw8y
@user-hm7ll9mw8y 4 жыл бұрын
유시민의 거꾸로 읽은 세계사를 통해 알게 된 사건, 현대의 교과서에는 나와있지는 않죠. 거시적 힘에만 중점을 두니까요.
@user-po6lm3wd8k
@user-po6lm3wd8k 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책 봤었는데 ㅋㅋㅋ
@imhurogay
@imhurogay 3 жыл бұрын
걍 교과서에 넣을 정도로 줄이다보니까 정말 역대급 사건만 넣어서 그런듯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3 жыл бұрын
? 윤리 시간에 나오는데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수업이 쉬워짐.
@dorianfa4209
@dorianfa4209 2 жыл бұрын
유시민은 본인 스스로 죄없는 민간인 고문해서 프락치로 몰고 죽인 넘이지. 한국에서 드레퓌스 사건과 같은 죄없는 사람 범죄자로 모는걸 직접 몸으로 실천한 인물이야. ㅋㅋㅋ 유시민이 죄없는 사람 고문하고 프락치로 몰아서 죽인 쓰레기 행동 모르면 기사 찾아봐라. 잘 나와있다. ㅋ
@Bonjour-vh7sc
@Bonjour-vh7sc 4 жыл бұрын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저런 일 비일비재함.. 잘못 없는데 언론이 선동해서 마녀사녕하는..
@dizod02
@dizod02 3 жыл бұрын
딱 한국의 현재 모습이네
@User-ks92kb799k
@User-ks92kb799k Жыл бұрын
하.. 나같으면 벌써 화병나서 뒤졌을듯
@user-sb1dt5ww2l
@user-sb1dt5ww2l 3 жыл бұрын
유대인이 아니었으면 간첩으로 몰지 않았겠지...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Жыл бұрын
그건 모를듯 어쨌든 한 명은 잡아 넣었을테니
@yksneeuqeerfyks
@yksneeuqeerfyks 8 ай бұрын
이거 잘못 된 것 아닌가요 드레뷔시 저 사람 피해자 입니다 에스테르하지 이 사람이 실제 범인 아닌가요 에스테르하지 사건이 맞는 것 아닌가요
@user-bu5op2nf2w
@user-bu5op2nf2w Жыл бұрын
과거군사정권시절 부장님 드디어 자백했습니다 오우 수고했어 강형사 지독한 놈 결국 자백할것을 미련한놈 같으니라고 그래 뭐라고 하던가? 네 자기가 톨스토이의 전쟁과평화를 썼다고 합니다
@JHs063
@JHs063 4 жыл бұрын
프랑스도 유대인을 박해했었구나ㅠ
@user-ks2ee7xt6l
@user-ks2ee7xt6l 4 жыл бұрын
1937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유럽 내에서 유대인에게 가장 관대하던 나라가 독일임 1차 세계대전 때는 독일계 유대인들의 자원입대률이 어느 나라보다 가장 높았을 정도임 그래서 히틀러 정권 초기 때 일어난 수정의 밤 사건을 비판하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음
@user-ss4rv2lz6h
@user-ss4rv2lz6h 4 жыл бұрын
역사 통틀어서 러시아가 가장 유태인 탄압이 심했고 유럽전체에서 대체로 잘사는 유태인에 대한 부러움과 질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중세에는 지진이나 흉년이 들면 영주가 부자 유태인이 처녀를 겁탈해서 신이 노해서 그렇다 라는 선동을 통해 유대인을 죽이고 그 재산을 나눠 가지는 등 유대인의 역사는 고통과 악순환의 연속이였습니다.
@blur99009
@blur99009 4 жыл бұрын
에스파냐가 이슬람세력 몰아내고 통일될때도 유대인은 모든 재산을 뺏기고 쫓겨났죠
@chn748
@chn748 4 жыл бұрын
제일 안하던 축이었고 중세부터 독일 지방에서 벌어진 유대인 박해 역사가 제일 길고 많음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blur99009 당연하지. 이슬람 앞잡이 했던 세력인데...
@user-wn3mv5iq8t
@user-wn3mv5iq8t 3 жыл бұрын
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과 똑같네요. 곽썅도가 생각나네.
@clarencekeys
@clarencekeys 3 жыл бұрын
생긴게 딱봐도 저쪽이 진범인데???
@yoonseo_ji
@yoonseo_ji 3 жыл бұрын
알자스로렌 꿀지역
@asphere1492
@asphere1492 Жыл бұрын
역시 엘랑스의 나라 저러니까 독일에게 2번이나 쳐벌렸지 ㅋㅋㅋ
@ruslanantonov7544
@ruslanantonov7544 3 жыл бұрын
석열이형이 왜 여기서 나와?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간첩 반역 적국 기밀 이런 단어만 나오면 눈깔뒤집혀지네..어? 우리나라도 비슷한데?ㅋㅋ
@user-dhehdnw
@user-dhehdnw Жыл бұрын
대륜중 수행평가 모여...
@dynamo3590
@dynamo3590 Ай бұрын
🇮🇱 🇮🇱 🇮🇱 🇮🇱
@lazybonesfamily
@lazybonesfamily 3 жыл бұрын
이때부터였구만... 땡글이들이 나온게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4 жыл бұрын
1800년대 말 인권문제로 사형을 폐지하고 억울한 누명을 벗기기 위한 여론과 또 그 여론을 지지해주는 양심 언론사가 있고 이런것을 현대적 법원으러 해결하는 현상을 볼때 ... 저 때 조선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참 .. 안타깝다
@blur99009
@blur99009 4 жыл бұрын
미안하지만 법에 의한 인권 보호는 조선이 더 나았음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4 жыл бұрын
@@blur99009 노비제도 있던 조선에서 무슨 .. 저때 이미 노동법 , 소년법 적용한 유럽을보고도 조선이 더 낫다 취급한다고? 일제시대때 백정여자라는 이유로 딸 앞에서 집단으로 강간하고 조선시민들 그 광경보고 깔깔 웃으면서 옹기종기 모여 구경하는 모습 보고 일본경찰이 진압한 그런 나라를? 백정차별 하지말라고 일본경찰이 조선에 당부했는데 ㅋㅔ
@blur99009
@blur99009 4 жыл бұрын
@@user-nk1py3jo8k 그런식이면 조선에 이미 출산 휴가를 비롯한 휴가제도 이미 있었고 삼심제도처럼 사형을 비롯한 주요 형벌은 중앙에서 검토하기전에는 함부로 시행하지 못 했으며 오늘날의 항소 같은 것이 신분 관계없이 가능했다는건 아시는지
@blur99009
@blur99009 4 жыл бұрын
@@user-nk1py3jo8k 님이 생각하는것과 다르게 신분체계는 지키더라도 그 안에서 권리보장은 신분 상관없이 억울한일이 적도록 하는게 조선이었습니다만
@blur99009
@blur99009 2 жыл бұрын
@@dorianfa4209 개소리는 니가 하는데요? 조선 지방관은 형벌에 집행권은 있으나 제한적이고 사형 등은 조정이나 상급기관 허락 없으면 시행도 못했음 귀향 따위는 아예 상급 지방관 아니면 할 수도 없고. 지 멋대로 권한 행사했다가 모가지 댕강이고 지방가는 관리 조정에서 일일이 점고하던게 조선 시대였다 알고나 떠드시지? 조선 완전 후기나 되서야 엉망이고 어사들의 감사가 무의미해진거지 우리나라 역사에서 왕의 명령이 지방까지 제대로 전달되고 체계적인 행정처분 가능하던시기는 현대전에는 조선이 유일함
@m.ii.2839
@m.ii.2839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영상을 보니 박근혜 전 대통령이 생각나네요
@user-wn3mv5iq8t
@user-wn3mv5iq8t 3 жыл бұрын
아ᆢ마치 조국에 대한 검찰사태를 보는 것처럼 실감나는 드래퓌스 사건이로군요.
@consciousness7899
@consciousness7899 4 жыл бұрын
김기춘, 검찰, 안기부, 자한당(미래쓰레기당).. 물론 박정희, 전두환등등... 이거 TED에서도 보았었는데 (이 영상이 훨씬 세부적이고 더 재밌네요) 오랜만에 다시 보게 되네요..
@user-xk2ev6ux9d
@user-xk2ev6ux9d 3 жыл бұрын
제가 이 사건을 알게 된 것이 중학생때 교사 추천 도서에 유시민의 "거꾸로 읽는 세계사" 접하게 되면서 입니다. 그것도 에피소드 첫편에 나옵니다. 그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억울한 모함, 선동된 언론과 국민들 그리고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라고 생각 했는데 요즘 유시민 저자는 전혀 다른 행동을 해서 분노하게 된...거짓된 언행... 드레퓌스 사건 책으로 펴낸 저자가.......그러한 행동을....
@user-hr7xj2gv1t
@user-hr7xj2gv1t 3 жыл бұрын
드레퓌스 개인은 희생자이겠으나 결과적으로 예나 지금이나 유태인들의 얍삽함이 어떠했는지를 드러내는 반증이다.
@IiiIiIIIiiiiiIiIII-nh9zx
@IiiIiIIIiiiiiIiIII-nh9zx 4 жыл бұрын
최근에도 간첩사건은 아니지만 비슷한 일이 있었죠. 김기현 울산시장에 대한 청와대 하명수사. 독재를 반대하던 민주화 세력이 막상 정권을 잡고 나자 자신들도 독재를 하는 모습이 참 안타깝네요.
@sun9kang
@sun9kang 4 жыл бұрын
조국수호
Homemade Professional Spy Trick To Unlock A Phone 🔍
00:55
Crafty Champions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 Netflix 영화 사라예보로 보는 [1차 세계대전]이 난 이유
20:35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631 М.
엘리자베스 1세가 결혼을 하지 않은 이유는?
8:56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65 М.
영국이 식민지에서 저지른 만행! 보어전쟁 이야기
8:44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54 М.
최악의 악취에 시달리던 영국 런던!
7:56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8 М.
Homemade Professional Spy Trick To Unlock A Phone 🔍
00:55
Crafty Champions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