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1년,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프랑스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52,766

함께하는 세계사

함께하는 세계사

3 жыл бұрын

#역사 #세계사 #프랑스
이번 영상에서는 1871년 프랑스 파리에서 있었던 파리 코뮌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참고자료
Grams, Florian: Die Pariser Kommune, Papyrossa, Köln 2014
Marx, Karl: Der Bürgerkrieg in Frankreich. Marx-Engels-Werke Band 17, Berlin 1962, S. 313-365
Münchhausen, Thankmar von: 72 Tage. Die Pariser Kommune 1871 - die erste „Diktatur des Proletariats“, München 2015

Пікірлер: 202
@MeisterGeist55
@MeisterGeist55 3 жыл бұрын
지난번에 파리 코뮌과 인터내셔널에 관한 영상 제작 계획이 있으신지 문의했던 사람입니다. 이렇게 제가 개인적으로 관심 있던 주제를 다루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좋은 내용들을 많이 알아갑니다.
@RememberTimer
@RememberTimer 3 жыл бұрын
7:21 뒤집겠다고 뒤집개 든 거 귀여워 ^^
@user-jv3sv4db6s
@user-jv3sv4db6s 3 жыл бұрын
7:20 뒤집개 빵터졌습니다~~ 지식 + 위트, 정말 훌륭한 채널이네요. 오래오래 해주세요~~
@jhlee2529
@jhlee2529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D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vq5cg8pg3s
@user-vq5cg8pg3s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시 모르던 내용들 배우고 갑니다. 이 당시의 상황이 지금의 시대에도 많은 시사점을 남긴다는 사실이 참으로 의미심장하네요. 역사는 그래서 중요합니다. 고마와요 함께하는 세계사~~~
@user-uv1cj7zg3u
@user-uv1cj7zg3u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user-wh9sy9cf3f
@user-wh9sy9cf3f 3 жыл бұрын
옛날이야기처럼 알려주셔서 늘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고퀄영상 항상 감사해요!
@Rodak_132
@Rodak_132 3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jacobj9907
@jacobj9907 3 жыл бұрын
근대의 이념과 정치체제의 역사를 배우는건 현대에 사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 같애요. 민주주의가 당연한게 아니라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에 이르렀는지 인식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rg5kc7bv1s
@user-rg5kc7bv1s 3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램 끝날때 아무소리 없이 스으윽 끝나는게 은근 매력있네요. 다들 뭐 구독이니 좋아요니 외치는반면 그런거 없어 너무 좋네요.
@SuperJungjaehun
@SuperJungjaehun 2 жыл бұрын
복잡한 사건을 아주 명쾌하게 잘 설명하셨네요👍
@user-vb8xp1hd4x
@user-vb8xp1hd4x 3 жыл бұрын
오!이번 주말은 정말 즐겁군요!!!
@poilu6487
@poilu6487 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근대 유럽사를 좋아하는 사람인데, 이렇게 파리 코뮌을 상세히 알려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세계사에서는 파리 코뮌이 상세히 언급되지 않는 편이라.... 유감스러우면서도 이런저런 정보를 찾고 다녔는데 함께하는 세계사님 덕분에 쉬우면서도 상세히 알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Vive la commune!
@poilu6487
@poilu6487 3 жыл бұрын
@박동규 ㅇㅇ 암
@poilu6487
@poilu6487 3 жыл бұрын
​@박동규 대충 무슨 대답을 원하는지 알거 같으니까, 공산권 국가 말로는 잘 알고있음, 더 안물어 보셔도 됨.
@poilu6487
@poilu6487 3 жыл бұрын
@박동규 그래서 나한테서 무슨 말을 원하는 거임? 이게 그 유명한 K-검열이라는 건가.ㅋㅋㅋ 뭐 누가 들으면 Vive la commune이 대한민국 체제 전복 하는 글인줄 알겠네.
@dannylee9662
@dannylee9662 3 жыл бұрын
@박동규 파리 코뮌이 주장한 야간 노동 금지, 남녀 차별 금지, 아동 노동 금지는 지금 보편적 가치인건 알고 있나? 니가 일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저사람들 때문에 니가 착취 안당하고 최저시급이라도 받는거란다. 백수면 뭐 상관 없고!
@dannylee9662
@dannylee9662 3 жыл бұрын
@박동규 순수하게 사회운동만 하면 들어는 주냐? 당연히 깽판치고 반란 일으켜야지. 세상이 X같은데. 학교도 못가는 애들 아동 노동 착취하고 휴일없이 일시키면서 월급도 제대로 안주는 세상이 저 시절의 엄연한 현실. 지금도 먹고는 살게 최저임금 1만원으로 몇백원 올리자고 해도 안들어주는 세상에 절대권력 황제가 존재하던 저시절은 오죽하겠냐? 자꾸 공산주의의 끝이 안좋다고 하는데, 바로 옆 중국도 공산당이다 이친구야. 중국이 망했냐? 미국 다음 가는 나라잖냐. 생각좀 하고 살자. 조선족이라고 또 시비털겠지 ㅉㅉ 혹시 몰라 사족단다. 난 부패로 스스로 무너진 공산당 사상을 정말정말 싫어하고 시진핑이 희대의 개새끼라고 생각하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일류대 나와 대기업에 연 1억 이상 받으며 재직중인 아파트 4채 보유한 자산가다. 그중 한채는 강남. ㅇㅋ?
@kmtv6014
@kmtv6014 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혹시 가능하시면 "독일의 68운동"에 대한 내용으로 영상을 만들어주셨으면 합니다!
@ndr7440
@ndr7440 3 жыл бұрын
함께하는 세계사님 혹시 러시아의 적백내전도 다뤄 주실수있으신가요?
@Charlie-vd5of
@Charlie-vd5of 3 жыл бұрын
제가 2~3만 언저리에서 처음 봤던가 했는데 이제 10만 넘기셨네요~ 퀄을 보면 당연히 이럴 줄 알았어요ㅎㅎ 축하드리고 🎉 꼭 메이저(?)로 진출하셨음 좋겠습니다^^
@user-fo6tw8gj1q
@user-fo6tw8gj1q 3 жыл бұрын
사학과 역개론 수업 너무 어려워요ㅠㅠ 외국에서 공부하시는 선배님 응원합니다!
@jks9110
@jks9110 2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한 영상입니다
@martinoh5586
@martinoh5586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lx2js9gy7w
@user-lx2js9gy7w 3 жыл бұрын
함께하는 세계사님 저는 공부도 못하고 수학 영어 이런 과목을 잘 못하지만 어릴때부타 국어,사회,역사는 항상 100점이었어요 과학도 좋아해서 유튜브로 과학영상 매일 찾아보고 역사영상도 보고 하는데 함께하는 세계사님 덕분에 역사에 대해 더욱더 알게되었어요 정말 감사해요 이렇게 좋은 퀄리티의 역사공부는 너무나도 즐겁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wy1sp5rd3u
@user-wy1sp5rd3u 3 жыл бұрын
선댓 후감상
@HoSangYun.
@HoSangYun. 3 жыл бұрын
기다렸읍니다
@hmiller9331
@hmiller9331 3 жыл бұрын
10만명 돌파!!
@user-tu5qd1qo3c
@user-tu5qd1qo3c 3 жыл бұрын
일본의 근대화부터 2차대전내지 청일전쟁까지의 이야기가 알고싶어요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user-ky8uj3qc4l
@user-ky8uj3qc4l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컨텐츠 내용이 좋은 것 같습니다. 영상 자막/녹음 편집할 때 어떤 프로그램으로 작업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user-pd3kp7qi6q
@user-pd3kp7qi6q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영국의 토마스 쿡은 세계 최초로 여행사를 세우고는 패키지 여행 대상 중의 하나로 파리코뮌이 진압당한 이후의 파리를 정했다고 합니다. 파리가 폐허가 된 모습이 영국인들에게 그렇게 인기가 좋았다나요...
@user-od1fd3bm1w
@user-od1fd3bm1w 3 жыл бұрын
영길리쉑들 혐성보소 ㅋㅋㅋ
@user-qp8kf4kp9y
@user-qp8kf4kp9y 3 жыл бұрын
만약 도쿄가 다시 공습을 당하면 비슷할듯 ㅋㅋㅋ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amsunggalaxy58372
@Samsunggalaxy58372 3 жыл бұрын
혐성쉨 ㅋㅋㅋ
@yoonseo_ji
@yoonseo_ji 3 жыл бұрын
경쟁자의 불행이 곧 나의 행복 ㅋㅋㅋ
@tatazumair3116
@tatazumair3116 3 жыл бұрын
러시아 특집으로 빈 회의1815부터 피의일요일사건1905까지도 다뤄주세요 크림전쟁이랑 베를린회의, 독러동맹파기, 1881년 알렉산드르2세 테러사망, 독러재보장조약 등.
@user-nx8vi6su6f
@user-nx8vi6su6f 3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 세계사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난데 우리나라 교육에선 많이 안다뤄지는 것 같더라고요 개인적으로 현실사회주의가 파리코뮌같은 방식이 아니라 국가사회주의 독재체제로 간 건 안타깝습니다
@IngGan474
@IngGan474 3 жыл бұрын
권위주의적 사회주의로 간게 슬프조 레닌의 "전위당론" ㅂㄷㅂㄷ
@serpens1789
@serpens1789 3 жыл бұрын
@@senkim7260 기업의 국유화가 왜 현실에서 실현이 불가능해요? 공기업도 버젓히 있는데
@IngGan474
@IngGan474 3 жыл бұрын
@@senkim7260 국유화가 아니라 공유화아닌갑쇼
@blyatguy2441
@blyatguy2441 3 жыл бұрын
@@serpens1789 공기업은 국가의 기반시설을 민영화한거고, 저건 개인의 사유재산을 국유화하는건데 비교대상 자체가 잘못됐네요. 개인의 사유재산을 국가에 귀속시키는건 자본주의에선 무려 헌법을 어긴 불법이죠.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3 жыл бұрын
@@senkim7260 그 당시엔 현대에서 말하는 자유시장이 제대로 없었습니다 대신 애덤 스미스가 무자비하게 비판한 중상주의가 더 영향력 있었지 이건 국가가 상업을 엄격하게 통제하던 보호무역 체제였습니다. 되려 국유화를 비판하려면 이쪽이 더 적합하죠.
@user-zv4iz3zx3p
@user-zv4iz3zx3p 3 жыл бұрын
혁명의 나라 프랑스에서도 특히나 아련하고 또 허무했던 파리 코뮌이네요.. 이후 불어닥칠 끔찍한 전쟁들을 생각하니 파리 시민들이 더 불쌍해집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yr1fk4tl8o
@user-yr1fk4tl8o 3 жыл бұрын
제가 프랑스사에서 가장좋아하는 제 3공화국이네요 근대와 현대가 절묘하게 섞이는 느낌이라 좋아합니다 한번 자세히 다뤄주시길바랍니다 ㅎㅎ
@user-ez6vh2ts5y
@user-ez6vh2ts5y 3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알게되서 감사
@studio_pirates
@studio_pirates 3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 3세도 어차피 발릴거 알아서 싸움 피하려고했는데 국민들이 불타올라서 에라 모르겠다 하고 전쟁함 ㅜㅜ 어케보면 불쌍
@IngGan474
@IngGan474 3 жыл бұрын
정작 전쟁나니까 친히 전선 앞까지 가신분...
@kkomi2005
@kkomi2005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때만 해도 북독일연방(프로이센)보다 프랑스 제국 군사력이 훨씬 강했음 다만 이때 프랑스가 해외 식민지 전쟁때문에도 그렇고 주력이 해외에 있던 상태라 안싸우려고 했는데 국민들이 원해서 하다 진거 물론 프로이센이 철도수송 능력이 월등했기 때문에 전투가 일어나면 프랑스가 군보다 훨씬 많은 병력으로 대부분 승리했기도 하고 ㅇㅇ
@user-ek6ff1ou9c
@user-ek6ff1ou9c Жыл бұрын
형이 왜 여기서 나와
@pinksalt819
@pinksalt819 11 ай бұрын
갓식해적단형 여기 채널 애청자였네
@user-yj7hx8qp1y
@user-yj7hx8qp1y 6 ай бұрын
이분이 여기 왜 ㄷㄷ
@user-xh6uj3cx3w
@user-xh6uj3cx3w 3 жыл бұрын
혹시 고대 로마도 다뤄주실 수 있으신가욥?
@user-xd8pi3hr5v
@user-xd8pi3hr5v 3 жыл бұрын
서점ㄱㄱ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3 жыл бұрын
아마 이분 전공이 근현대사라 다루신다고 해도 지금처럼 전문적인 분석은 힘들 수도 있습니다. 로마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로마제국 흥망사같은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dbehdslr5266
@dbehdslr5266 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로마 대체제 오스만 제국 ㄱㄱ
@bestplayer08
@bestplayer08 3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의 비극이 있은후 역설적이게도 프랑스 및 유럽의 거의 모든 정부 (심지어 독일도 포함)와 영국은 파리 코뮌의 요구사항을 부분적으로 국가정책에 반영하고 서로 어떻게든 무력 충돌을 피하기 위해 노력해서 1차대전 전까지 벨에포크 시대라는 평화와 번영의 전성기를 누렸음. 비스마르크도 프랑스를 더이상 궁지로 몰지않기 위해 노력했고 국제적으로는 영국의 막강한 해군력으로 무역과 항해의 질서가 지켜졌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한폭탄은 돌아가고 있었지만.(프랑스인들의 독일에 대한 복수의 열망 and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의 식민지 쟁탈, 오스만과 헝가리 오스트리아 제국의 불안정하고 허약한 제국내부 정치지형 등등)
@crouchingstone
@crouchingstone 3 жыл бұрын
구독자가 어느세 10만을 넘으셨네요~~ 축하드립니다. 꾸준한 활동에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ㅎㅎㅎ
@user-wf3fm8rh6t
@user-wf3fm8rh6t 3 жыл бұрын
유럽의 쉥겐협약에대해 궁금해요 관련영상 만들어주세요~
@horatarae
@horatarae 3 жыл бұрын
파리 코뮌이 일어난 원인을 둘러싼 역사학자들의 논쟁이 재밌네요 ㅋㅋ 둘 다 합쳐서 설명하면 되지 않나 나이브하게 생각했는데, 아마 역사를 바라보는 철학적 갈래가 부딪치는 거겠죠?
@naga7647
@naga7647 3 жыл бұрын
1870년대에도 카메라로 역사적 순간을 남기고 있었구나 ㄷㄷ 이게 더 신기하네
@tidore8729
@tidore8729 3 жыл бұрын
덕분에 1900년 조선의 모습도 영상으로 유튜브에서 볼 수 있게 되었죠
@alexmag342
@alexmag342 2 жыл бұрын
Muito bom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3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내용이였다... 프로이센에게 패배하고 나서도 내전을 겪었을 줄이야... 그것도 노동자들이 주장한 바는 현대에 와서 거의 통용되는 지극히 정상적인 것을 요구 했던 것이고...
@dannylee9662
@dannylee9662 3 жыл бұрын
급진적인 주장이지만 지금은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것들이네. 야간 노동금지, 노동자 벌금 부과금지(임금삭감), 남녀 차별 금지..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라는 가치구나.
@JP-vb3rv
@JP-vb3rv 3 жыл бұрын
이런 진짜배기 채널들이 더 인기 있었으면 좋겠어요. 좌우 개념을 무슨 초등학교 가을운동회 청군백군,이겨라 우리편쯤으로 알고, 상대를 너 청군이냐 나 백군이야.백군 모여라. 이런 삼류들..아니 공부 1도 안한 거짓말쟁이들...거기에 혹하는 사람들까지, 또 왜케들 용감들은 해가지고 무조건 앞만보고 돌진하고 쓰레기 같은 댓글 토해내는 정치병 걸린 사람들..안쓰러워요. 당연히 민주주의 시민으로써 누구나 한표를 행사할수 있는데, 그걸 사이비들의 앞뒤 맞지도 않는 이상한 말들에 꽂혀서 행사하는것..아쉽죠.하긴 그것 조차 민주주의의 일부이니 존중해 줘야 하겠죠.(최근에 들은 말중에 제일 어이없는 말이 칸트가 현대식 자본주의를 지지했다 라는 유튜버인데 그 사람 구독자수가 어마어마 하더라구요. 댓글 보면 무슨 현자탄생한줄) 암튼 몇분만 들어봐도 이렇게 진짜 공부한 사람들은 확 구별이 되는데 왜 그걸 모르고 엉뚱한 오류투성이 사이비 들한테 몰리는지 모르겠네요.
@noamgraeber9052
@noamgraeber9052 3 жыл бұрын
네스트로 마흐노의 우크라이나 자유지구도 다뤄주세요.
@msp-xm1tf
@msp-xm1tf 3 жыл бұрын
5:51 나폴레옹, 프랑스 제 1제국 시기의 영광을 되찾아 줄거라고 믿어서 루이 나폴레옹을 뽑았는데... 결국엔 나폴레옹 1세의 동상마저 무너뜨렸군요...
@rnc3249
@rnc3249 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사건이었군요ㄷㄷ
@user-gy1pn5kx9s
@user-gy1pn5kx9s 3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참 재미 있었어요! 그런데 유럽이 전쟁터가 되는데 영국은 무었을 하고 있어나요?
@user-wr9fb5pq8r
@user-wr9fb5pq8r 3 жыл бұрын
영국은 공공의적이라서 고립주의임 대륙에 함부로 발들이다가는 다구리임
@rekt2021
@rekt2021 3 жыл бұрын
저때 영국은 프로이센이랑 사이 좋았아요 오히려 해외 식민지 문제로 개기는 프랑스랑 사이가 더 나빠서 프로이센이 프랑스 줘팰때 오히려 좋아했음 또 저때는 프랑스는 초강대국, 프로이센은 아직 독일 통일도 못한 신흥국 정도라 프로이센이 이긴다고 유럽 힘의 균형이 무너지네 뭐네 할 상황도 아니라 영국이 개입할 이유가 없음
@user-gy1pn5kx9s
@user-gy1pn5kx9s 3 жыл бұрын
@@rekt2021 정보 고마워요!
@zoe_797
@zoe_797 3 жыл бұрын
겨우 몇달간의 일이었군요 ㄷㄷㄷ
@user-fk7ew6mv7k
@user-fk7ew6mv7k 3 жыл бұрын
커뮤니티로 치면 디시에 비유할 만한 사건임. 가장 영향력있고 가장 마이너했던 사건. 프랑스가 후에 대육군, 대육군하면서 아무리 자위질 해봤자 이 전쟁에서 완벽하게 패배했다는건 변하지 않고 2020년 현재까지도 프랑스 사람들한테 심한 컴플렉스임. 20세기 절반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 대사건임에도 이 보불전쟁과 파리코뮌 관련해서 전세계 일반인들이 잘 모르는 이유가 독일이 1,2차대전 패배함에따라 승전국 입장에서 완벽하게 패배한 이 전쟁을 묻고 쉬쉬하려는 경향+방금 후술한 이유와 독불관계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제대로된 영화나 드라마 같은 매체가 없는 이유도 있음.
@user-fn9cq4kb4h
@user-fn9cq4kb4h 3 жыл бұрын
8:40 마르크스의 저 포즈 나폴레옹도 저렇게 손을 가리는 포즈를 취한 초상화가 많던데 무슨 뜻이 있는 포즈인가요??
@user-hn2fy3uu5r
@user-hn2fy3uu5r 3 жыл бұрын
아시면서 ㅋㅇㅋ
@o_o152
@o_o152 3 жыл бұрын
일베충 손모양처럼 계몽주의자 인증심볼임
@user-oo8fx2qr7u
@user-oo8fx2qr7u 3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은 고질적인 위염인지 위궤양인지 뭐때문에 저렇게 손대고 있었다는 말은 들어본거 같넹ㅅ
@user-hu6yc3ds4y
@user-hu6yc3ds4y Жыл бұрын
주머니에 손 넣는거에요
@strichcode1230
@strichcode1230 3 жыл бұрын
코뮌이 독일이 프랑스 공격할때 이뤄지고 싸운건 알앗는데 저렇게 열정적인지는 몰랏내
@desertfoxumich
@desertfoxumich 2 жыл бұрын
1958년 모택동의 대약진운동때 중국 농촌 곳곳에 만들어진 인민공사 제도가 인류 역사상 가장 대규모로 실시된 꼬뮌입니다. 모택동 사후에도 몇 년간 인민공사가 존속하다 폐지되었죠. 영문 위키: The people's commune was the highest of three administrative levels in rural area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during the period from 1958 to 1983 when they were replaced by townships.
@user-lg4gb4ly5k
@user-lg4gb4ly5k Жыл бұрын
코뮌이 발표한 정책들은 현재의 시점에서 보면 감탄이 나올 정도로 선진적이지만, 당시 프랑스 상황을 보면 독일이 나서지 않았다면 파리에 국한되지 않고 국토 전체를 배경으로 하는 대규모 내전으로 번졌을듯. 시민과 식자층의 괴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
@kimyoungkyu958
@kimyoungkyu958 Жыл бұрын
Uber alles, Abreuve nos sillons 중 어느게 역사적으로 Impact 있는 구절 일까요??
@user-ek9tb7ri4v
@user-ek9tb7ri4v 2 жыл бұрын
결국 코뮌이 이뤄낸건 딱히 없지... 이상주의자들의 끝
@tidore8729
@tidore8729 3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배울땐 세계최초의 코뮌정부였지만 가망도 없는 작은 봉기였고 순식간에 진압당했다고 배웠는데 이런 배경이 있었군요
@tidore8729
@tidore8729 3 жыл бұрын
@@HotSoil510 코민군이 만명도 안되는데 어떻게 삼만명을 학살함
@tidore8729
@tidore8729 3 жыл бұрын
@@HotSoil510 그럼 보도연맹 얘기말고 파리코뮌에서 삼만명 학살한 자료를 주세요
@kimyoungkyu958
@kimyoungkyu958 Жыл бұрын
유럽에서 대학원 다니면 몇 개 국어 가능하신거에요? 한국어 영어 독어 그리고 한자?? 그 이외에??? 그리고 독어는 C1이에요 B2세요??? C1이면 respect.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국민방위대(la Garde Nationale)이 프랑스 정치에서 큰 역할을 했군요.
@Korea-Lens
@Korea-Lens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에 유명한 복지 체제가 그저 이루어진게 아니군요.
@user-bp5xe9yg2j
@user-bp5xe9yg2j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가 독일에게 졌다고 프랑스 깔보면 안됨 내가 세계사를 배우고 있는데 역사에서 일어난 전쟁 수 중 많이 이겨서 1위한 국가가 프랑스임
@kkomi2005
@kkomi2005 Жыл бұрын
사실 보불전쟁때만 해도 프랑스가 프로이센보다 더 강했음 육해군 둘다 근데 프랑스 주력이 멕시코 가있어서 진거…
@Sandbox_official
@Sandbox_official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그 전쟁들 대부분이 약한 아프리카, 아시아 나라들 식민지배한거라고..
@user-oi3tx6lp8q
@user-oi3tx6lp8q 28 күн бұрын
00:49 사진에 프랑스가 패배할수밖에 없는 이유가 나타나있죠. 전 세계가 혁신에 몰두할때 과거의 영광에만 집착한 프랑스는 아직도 나폴레옹시절때와 다름없는 대포로 싸웠어요.
@user-vb8xp1hd4x
@user-vb8xp1hd4x 3 жыл бұрын
오오오ㆍ오ㆍ오ᆢ우요!!.!!!
@blyatguy2441
@blyatguy2441 3 жыл бұрын
효기심 채널이 폭파된 이상, 믿을건 함께하는 세계사님밖에 없어 😡💦
@user-bi2zy1xb7v
@user-bi2zy1xb7v 3 жыл бұрын
묘하게 질수밖에없는 전쟁이였는지도 모르겠네요
@user-kh8ul5xo3l
@user-kh8ul5xo3l 10 күн бұрын
파리코뮌은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공산정부였죠. 때문에 이후 소련은 파리코뮌의 이름을 함선에 붙이기도 했고 소련 정부의 존속기간이 파리코뮌을 넘자 자축하기도 하였죠.
@user-jd5jr7tp6j
@user-jd5jr7tp6j 3 жыл бұрын
장교 투표로 뽑는다는 생각은 정말 참신하네ㅋㅋ 만약 진짜 투표로 뽑았으면 렌야같은 장군은 나오지도 못했을듯
@user-wk5re6mv6h
@user-wk5re6mv6h 3 жыл бұрын
투표제로 하면 간부랑 사병 간의 좆목질이랑 사내정치가 훨씬 더 심해졌을듯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3 жыл бұрын
장단이 잇는 법이죠. 정치도 그렇듯이 포풀리즘을 남발해서도 안되지만 전혀 안해도 문제가 되듯이, 장교를 투표로 뽑으면 능력이나 사병들과의 관계도 무난할순 잇겟지만 인기영합적으로 훈련을 안하거나 느슨하게 할수도 잇죠.
@user-hk9ss3gf6w
@user-hk9ss3gf6w 3 ай бұрын
다른 영상에서는 미국이민자인 독일인이 독일 민족국가 시위하다가 잡혀서 그 참에 갔다고 했죠. 독일이 왜 민족국가를 민중에서 부터 원했고 왜 권력자는 싫어했는지..ㅇㅓ째서 비스마르크의 승리가 통합으로 연결된 건지 궁금합니다
@user-vx1fj9uf6w
@user-vx1fj9uf6w 3 жыл бұрын
저러니 2차 대전 때 그토록 처참하게 졌는 것일지도
@hyeongrakjeong5157
@hyeongrakjeong5157 3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에서 탄생한 인터내셔널가 원본은 프랑스어이나 kzfaq.info/get/bejne/o8eqpLWD2tC0ips.html 러시아어 интернационал 한번 들어보시는것도 좋을것같습니다 물른 ссср 등 여러나라에서 많이번역되엇습니다
@user-ev5bi4hw2z
@user-ev5bi4hw2z 2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 내전에대해 제1인터네셔널이 개장했으나 실패함을 나타내는..
@user-jd3mt7dt5m
@user-jd3mt7dt5m 2 жыл бұрын
파리 뚫고 지도부 장악했으면 몰랐을탠대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3 жыл бұрын
9:12
@rbdsb9353
@rbdsb9353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역사는 정말 다사다난한듯 ㅋㅋ
@user-zl4dz6ts5j
@user-zl4dz6ts5j 3 жыл бұрын
이게 다 루이 나폴레옹을 나폴레옹의 조카(라고 알려졌던)라는 이유로 뽑아준 프랑스 인들 때문임. 한국도 2012년에 비슷한 일이 있어서 놀랍지도 않음.
@user-dq6tf9ms6q
@user-dq6tf9ms6q Жыл бұрын
러시아 혁명 이전에 비슷한 혁명이 프랑스에서 먼저 있었다니 ㅎㅎ
@user-dh9tc6lv9b
@user-dh9tc6lv9b 3 жыл бұрын
와 우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3 жыл бұрын
300년치 혁명이 1년만에 일어난 것 같네요
@admandburke.
@admandburke. 3 жыл бұрын
지금의 프랑스는 파리코뭔을 5 18처럼 기념하나요?~~~~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사회당'이나 '프랑스 공산당' 등 기성 좌파 정당들과 '굴복하지 않는 프랑스' 같은 신흥 좌파 정당들이 따로 기념식 행사를 개최 하며 기립니다. 국가적 기념일은 아닙니다.
@minfred3462
@minfred3462 3 жыл бұрын
하아. 당연히 시대적 한계는 있었지만 풀뿌리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볼수 있었던 파리코뮨이네요 ㅠㅠ
@user-kk6wv4mn2u
@user-kk6wv4mn2u 3 жыл бұрын
이때부터 역사는 복수의 시대가 열렸다 두차례 세계대전을 건 어마어마한 규모의 복수전 독일이나 프랑스 대단하다
@user-vq3td9yv3g
@user-vq3td9yv3g 3 жыл бұрын
선추 후댓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жыл бұрын
꼬뮌추 대학살비추
@Gaeguring
@Gaeguring 3 жыл бұрын
1:28 200만명중 50만명이 노동자라는게 나쁜거임? 경제활동인구가 25%라는건데 75%는 뭐임? 어린애 황족 놀고먹는 부르주아 이런거임?
@juns1973
@juns1973 3 жыл бұрын
그 사람들이 잘봇된게 아니라 사회구조 상 그럴 수 밖에 없다는걸 말하는 것 같아요
@vedmin_studen1486
@vedmin_studen1486 3 жыл бұрын
일어나라 이 땅의 저주받은 자들이여
@user-tl9br3tp1r
@user-tl9br3tp1r 5 ай бұрын
콤뮨 -공산사회주의 꿀 같은 맛안에 독약이 있음은 아직 맛을 못 보셨네요. 정 원하시면 북한에 가세요. 아마 하루 천하 기가 막힐 겁니다.
@user-jd3mt7dt5m
@user-jd3mt7dt5m 2 жыл бұрын
만약 수도를 뚫고 나가 공격적으로 나갔으면 이겼을탠대
@b-ver
@b-ver 8 ай бұрын
?????: 우효옷☆이웃집의 쵸 존예 궁전 겟또다제☆
@user-qj2ou8nj5e
@user-qj2ou8nj5e Жыл бұрын
블랑키는 어찌됐을까 😮😮😮😮😮
@kudo0522
@kudo0522 3 жыл бұрын
중국의 유일한 시위. 천안문학살에 대해서 부탁드립니다.
@user-si8en3gw6i
@user-si8en3gw6i 3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이 성공했어야하는데 ㅠㅠ 현실사회주의국가를 나쁘게 바라보진 않지만 파리코뮌같은 비권위주의적인 국가가 없다는게 참 아쉽네요
@user-tl9br3tp1r
@user-tl9br3tp1r 5 ай бұрын
공산사회주의 꿀 같은 맛안에 독약이 있음은 아직 맛을 못 보셨네요. 정 원하시면 북한에 가세요. 아마 하루 천하 기가 막힐 겁니다.
@user-bl6bp3vu9n
@user-bl6bp3vu9n 3 жыл бұрын
1빠
@user-vf5ur2lf7d
@user-vf5ur2lf7d Жыл бұрын
반동이다!
@goldenbuglab
@goldenbuglab Жыл бұрын
코뮌이 한 이야기를 보니, 지금 우리나라에서 필요한 거네요.-_-
@user-tl9br3tp1r
@user-tl9br3tp1r 5 ай бұрын
콤뮨 -공산사회주의 꿀 같은 맛안에 독약이 있음은 아직 맛을 못 보셨네요. 정 원하시면 북한에 가세요. 아마 하루 천하 기가 막힐 겁니다.
@user-iv3si7pf8t
@user-iv3si7pf8t Жыл бұрын
최초의 사회주의 정부. 민중이여 가부장적 온건주의를 배격하라!
@user-hj7fx8jx4j
@user-hj7fx8jx4j 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파리코뮌은 3만명을 사람을 잡아 죽인 것은 사실입니다.
@ttri266
@ttri266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역사를 보면 애들이 엄청 호전적이야..... 종교 갈등 때도 서로 엄청 죽이더니 애들이 자기들 반대파는 그냥 무조건 숙청과 학살이야! 붙으면 그냥 아주 끝을 보는 넘들
@yongkim7088
@yongkim7088 3 жыл бұрын
자유주의자가 아니라 사회주의자
@user-uf8ti9sw1i
@user-uf8ti9sw1i 3 жыл бұрын
정치가도 아니고 장교를 선거로 뽑자니...막장이내요..
@rbdsb9353
@rbdsb9353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ㅋㅋ
@though_I_have_to_say_goodbye
@though_I_have_to_say_goodbye 3 жыл бұрын
으..이래서 급진이 싫어요... 우리 모두 중도를 지킵시다!! 적당히합시다! 극좌우문빠태극기모독부대소비에트트럼프천안함침묵 다 보면 아방가르드는 예술까지만!! 천천히좀 갑시다!
@PPongPong
@PPongPong 3 жыл бұрын
파리코뮌에서 제 목소리를 냈다가 핍박받은 건 여성 차별 폐지 운동가들...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가 빨갱이화될뻔했네
@user-hn2fy3uu5r
@user-hn2fy3uu5r 3 жыл бұрын
원래 좌파인데요. 혁명정부라서 부르조아들은 다 죽였어요 ㅋ
@samuelj42
@samuelj42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도 공산화 될뻔했군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천주교와 개신교는 어떻게 화해하게 되었을까?
9:19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20 М.
1890년대 프랑스 파리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5:59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나폴레옹의 조카는 어떻게 황제가 되었을까?
10:42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92 М.
18세기의 세계대전! 7년 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10:04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4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