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캘리퍼 교체전에 이영상은 꼭 보세요!(feat.1P,2P,4P)

  Рет қаралды 966,128

픽플러스

픽플러스

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캘리퍼#제동력실험
:: 내 차 팔 땐 픽플러스!
- www.pickplus.net/
:: 폐차할 땐 막차폐차!
- makcha.co.kr/
:: 촬영의 안전을 위해 관계자가 함께 동행하고 있습니다.
:: 실험 차량 중 모자이크는 협력 폐차 업체의 요청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실험 차량은 픽플러스와 협력 폐차 업체의 차량이며, 영상에 따라 폐차 차량으로 진행됩니다.
※ 비지니스 제휴 문의
info@pickplus.net

Пікірлер: 1 000
@crazy-cr2td
@crazy-cr2td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분들 상 줘야 합니다 그 어떤 광고도 없이 직접 시험하고 테스트하는 모습!!! 너무 좋습니다 실험실의 규격화된?? 데이터와는 다르지만 실제 오너가 경험할수 있는 상황에서의 테스트라 더더욱 좋습니다
@hks-el8dq
@hks-el8dq Жыл бұрын
광고 다 받아요...;;;
@anasdffd
@anasdffd Жыл бұрын
@@hks-el8dq 광고를 받는게 아니고 ㅋㅋ 픽플러스라는 중고차 수입회사 광고인거죠;;
@user-fw6sk4px1b
@user-fw6sk4px1b 5 ай бұрын
​@@anasdffd어휴 말을 못알아듣노
@user-ul7rb2bl2s
@user-ul7rb2bl2s 4 ай бұрын
​@@anasdffd형 수입회사가 아니고 수출회사 아님???
@electrickinglogic
@electrickinglogic 2 ай бұрын
광고를 하면 어떰? 무료 봉사자도 아니고 뭔 이런 그지 마인드가 다 있나...
@user-xu3zp2kw7l
@user-xu3zp2kw7l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용한 정보입니다. 실험군도 같은 차에 캘리퍼만 교체해서 더 신뢰가 갑니다. 최고입니다.
@Knkwon77
@Knkwon77 2 жыл бұрын
많은 의미가 있는 실험이네요. 5번씩 시험해서 평균냈으면 더 정확할건데 여러번 시험하는게 시간상 문제도 많았을거라 생각딉니다. 좋은 실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movementshj
@movementshj 2 жыл бұрын
잘알려주셨네유. 말씀대로 마냥 피스톤갯수만 따지지말고 피스톤의 사이즈도 중요합니다. 사실 브레이크도 브레이크인데 브레이크만큼이나 중요한게 타이어 상태죠 둘의 조합이 맞아야 원하는 제동성능이 나오겠쥬
@ChryTsha
@ChryTsha 2 жыл бұрын
와 찐짜 대박 좋은 실험입니다 아무도 안해줘서 너무 궁굼했는데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user-fh3zs7ks6w
@user-fh3zs7ks6w 2 жыл бұрын
진짜진짜 유익하고 현실적인 영상입니다. 최곱니다.제가 보는영상중에 가장최곱니다
@contizlee8634
@contizlee8634 2 жыл бұрын
잘못된 튜닝은 오히려 손해라는걸 잘 알려주는 영상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xupery_ArtLab
@Exupery_ArtLab 2 жыл бұрын
역시 튜닝의 끝은 순정!!!
@user-fy1so5oo1d
@user-fy1so5oo1d 2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맞는말
@Leegeonho
@Leegeonho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제동창치 관련한 튜닝은 하는게 이득!
@user-bb5fq2ir3o
@user-bb5fq2ir3o 2 жыл бұрын
@@user-ch4xc2tt7w 순정이지 ㅋㅋㅋㅋㅋ
@Exupery_ArtLab
@Exupery_ArtLab 2 жыл бұрын
@@user-ch4xc2tt7w 브램보가 들어가든 뭐가 들어가든 그 차에 달려나온거면 순정이에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m8lc6er3l
@user-vm8lc6er3l 6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브레이크 튜닝했다고 과속하는것보다 평소 저속주행이. 가장 좋은 브레이킹 입니다 다들 안전운전요
@user-gg3bq1db7w
@user-gg3bq1db7w 2 жыл бұрын
실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운전에 많은 도움이 되어 감사합니다. 그리고 과거에 생활의 달인 고문관님 주차 영상도 기억하고 있어요!!
@yoonmin37811
@yoonmin37811 2 жыл бұрын
이런 실험하는 분들 너므 멋지다. 무조건 구독하게되네~
@user-xh9nj7vv7z
@user-xh9nj7vv7z 2 жыл бұрын
매번 잘 듣고 보고 갑니다 기분좋은 하루 즐겁게 잘 보내세요 ^^ 감사합니다 ^^
@wi11iampark
@wi11iampark 2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말로만 들었지 직접 보여주셔서 고맙습니다!! 👏🏻👏🏻
@vanilsoul
@vanilsoul 2 жыл бұрын
문관이 형님 같은작업을 반복해서 하는자체가 엄청 수고 하셨네요 스피더님도 항상 고생하시고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lsia2724
@ulsia2724 2 жыл бұрын
2p는 바꾸자마자 체감되던데 확실히 알수있게되어서 좋네요
@sacrifice6530
@sacrifice6530 9 ай бұрын
와 대박 너무도 좋은 정보를 이제야 보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대박 나세요~~~~!!
@user-qd4zc7bt7f
@user-qd4zc7bt7f 11 ай бұрын
이 영상 뿐만이 아니고 늘 정말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궁금하던 컨텐츠였늗데!!! 감사합니다 픽플!
@jungmoonkwun
@jungmoonkwun 2 жыл бұрын
문관이형 시크한 표정 너무 매력있어요 ㅎㅎㅎㅎ
@user-vr8cf4zl4t
@user-vr8cf4zl4t 2 жыл бұрын
유용한 정보 감사 항상 재미있게 잘보고 있습니다 최선을다하는 모습에 👍
@user-ss8bo8vg2r
@user-ss8bo8vg2r 2 жыл бұрын
명답이 나왔네요~안전운행 하란 말이 딱인거 같아요~전방주시 잘하고 차 성능만 보고 과시하는 모자란 짓만 하지 않으면 꼭 바꿀 필요는 없는거 같네요~그럴만 하니까 출고 될 때 그렇게 붙어나오는거니~
@kyoungnamhong4637
@kyoungnamhong4637 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튜닝을 생각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남겨봅니다. 1. 피스톤 개수가 많으면 잘선다? 1p < 2p < 4p ? 1) 피스톤 용적이 큰 제품이 제동력이 더 강합니다. (파스칼의 법칙 찾으시면 됩니다) 2) 디스크로터 직경이 클 수록 제동력이 강합니다 300mm < 355mm < 380mm (지렛대, 시소 생각하시면 됩니다.) 3) 패드 마찰계수가 높은 것 을 사용하시면 제동력이 강해집니다. - 마찰계수가 높아지면 분진과 소음이 증가하고 패드수명이 짧아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하드론ZR, TP, 페로도3.11~ , 윈맥스w3~ 등) 2. 그러면 용적이 큰 캘리퍼 끼우면 되는거 아냐? 1) 본인 차량에 맞는 캘리퍼 용적을 전문업체와 상담하셔야 합니다. - ex) 주사기(마스터실린더) 하나로 4개의 바퀴 캘리퍼에 유압유를 나눠야 하는데 주사기가 100ml 이고 캘리퍼4개가 200ml면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겠죠? 2) 자신이 어떤 주행스타일을 가지고있는지 어떤 것 을 원하는지 아셔야 합니다. - ex) 일상주행에 제동력을 더 원한다. 스포츠주행 또는 고속주행이 많다. 트랙주행을 원한다. (각각의 브레이크 셋업에 따라 수명, 분진, 소음, 등 차이가 큽니다.) 3. 아 무슨말인지 모르겠고 튜닝할래 1) 본인 차량과 같은차종의 다른사람들이 많이 하는 제품을 찾아보세요. 실패할 확율이 줄어듭니다. 2) R&D 를 직접하는 회사 제품을 사세요. (브램보, 알콘, 네오테크 등 국내.외 좋은기업 많습니다.) 3) 외관과 제동력을 바꾸지 마세요. - 작은휠, 순정휠 에 4P 를 위해서 후륜용 을 장착하시면 돈내고 조상님 만나러 가는겁니다. 4. 돈 가장 적게들이고 제동력을 높이는 방법은? 1) 패드교체 - 분진과 간헐적인 소음은 감안하셔야 합니다. 2) 내차보다 더 큰 캘리퍼를 사용하는 차량 캘리퍼 이식 (현대, 기아 해당) - 아반테 노말에 벨로스터N캘리퍼 또는 XG2P 이식 3) 로터직경을 큰 것으로 교체 - 4. - 2) 항에 연동됩니다. 5. 그러면 4P, 6P 왜삼? 1) 일반적으로 순정 캘리퍼와 다른 외관 떄문에 많이 하십니다. 2) 레이스에 초점을 맞추면 단동식 캘리퍼에 대비해 구조적 마찰이 적어 제동력 조절이 섬세하게 가능합니다. 3) 정상적인 튜닝은 제동력 향상이 됩니다. ※ 트랙을 취미로 타며 얻은 것 을 간단하게 작성해 보았습니다.
@user-pc1sd7cx9d
@user-pc1sd7cx9d 2 жыл бұрын
정성글 추천해요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user-qb9yr7kd3e
@user-qb9yr7kd3e Жыл бұрын
4피 일반패드 보다 1피 스포츠 레이싱패드가 훨씬 잘 섭니다
@zzong123123123
@zzong123123123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Apexxxxxx
@Apexxxxxx Жыл бұрын
차잘알^^
@AAPL-fn2ui
@AAPL-fn2ui 9 ай бұрын
​@@user-qb9yr7kd3e너무 터무니 없는 의견인 것 같아서... 논문이나 실험 근거는 있나요?
@user-ge4vp2xu1d
@user-ge4vp2xu1d 2 жыл бұрын
홀리마마!! 드디어?!?! 정말정말 유익한 실험 감사합니다ㅎㅎ 건강조심하고 행복하세요~~~ 또다른 아이디어 생각해보겟습니다ㅋㅋㅋㅋㅋ
@frozenheartraphael8092
@frozenheartraphael8092 2 жыл бұрын
성불하십쇼 ㅋㅋㅋㅋㅋ
@user-rc1tv5ir3k
@user-rc1tv5ir3k 2 жыл бұрын
찐인다
@SeheraZard1
@SeheraZard1 2 жыл бұрын
역시 픽플의 두뇌인 이분이 제안한거였지 참.
@user-tl7ch8lm9m
@user-tl7ch8lm9m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히트치겠네요. 예전부터 이래저래 썰만 있었지 실험했던 영상이 한번도 없었는데 이걸로 종결나겠군요.ㅎㅎ 대박입니다.
@user-cn5kk6sz4v
@user-cn5kk6sz4v 2 жыл бұрын
역시 픽플만 할 수있는 실험입니다 좋은정보 얻어갑니다
@bongheicho
@bongheicho 2 жыл бұрын
진짜궁금했던 내용을 찍어주셔서 감사합니다
@elj1335
@elj1335 2 жыл бұрын
실험 하다보면 사실 이렇게 실험 오류가 많이나죠. 원하지 못한 결과를 사실적으로 보여주니 신빙성이 더 생기네요. 다음에 보강실험하면 꼭 보겠습니다ㅎ
@user-gk4pn1qc6x
@user-gk4pn1qc6x 2 жыл бұрын
고문관님은 표정이 참 한결같이 평화로워서 신기해요 ㅋㅋㅋ
@hong7955
@hong7955 2 жыл бұрын
정직한 결과 그리고 좋은 평론 감사합니다 적당한 튜닝은 아주 좋은 결과가 나오는 듯합니다
@user-bn3fm2sm9w
@user-bn3fm2sm9w 2 жыл бұрын
지난주 브레이크 튜닝 하고나서 이 영상을 보니 더 신기하네요. 갤로퍼 1의 브레이크를 업글 했는데 순정 1P는 정말 많이 밀려서 식은땀이 날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캘리퍼 2p와 함께 하이드로백도 모하비껄로 바꿨습니다. 만족스런 제동력을 보여주고 있네요. 이젠 서고 싶은 자리에 서 집니다. 이전에는 브레이크 밟으면 "내가 가다가 서고 싶을 때 설거야" 이럼서 주루룩 나가다가 섰는데.. 그런데 브레이크 페달이 아주 민감하지는 않는듯해요. 어떤차 타보면 조금만 밟아도 확 잡히는 차도 있는데...약간 부드럽게(?) 밟히나 분명한건 든든하게 제동 해주네요.
@Twinkle_Bald_Head
@Twinkle_Bald_Head 2 жыл бұрын
마스터 실린더의 용량도 같이 늘렸다면 더 좋은 실험 결과가 나왔을 것 같네요
@user-ru3zs1yc3f
@user-ru3zs1yc3f 2 жыл бұрын
고문관님 옷과손보면 정말 열심히 사시는 분 같아요.
@user-ty4fo3ph7x
@user-ty4fo3ph7x 2 жыл бұрын
제가 현재 운행중인 제네시스 쿠페 차량을 이 채널에서 다뤄주시니 너무 행복할 따름입니다.
@asdf0613
@asdf0613 2 жыл бұрын
일반 공도용차에서 4p,6p쓰는건 드레스업 목적이 크고 섬세한 페달 답력을 원하면서 지치지 않는 브레이크 성능을 원하면 멀티 피스톤 캘리퍼가 좋죠.. 디스크도 투피스 타입으로 하고 패드랑 타이어가 기본으로 받쳐줘야하구요
@sungjooyoon4871
@sungjooyoon4871 2 жыл бұрын
수출용 차유리 스펙적으시던 명필! 잘봤습니다! 이 이상의 디테일은 연구소가 할 일이고 오늘 영상같은 실행력이 바로 PICK+가 젤 잘하는거죠. 칭찬칭찬. 영상으로 90%이해하고 댓글에서 10%를 채워가는 유익한 채널. XG 2P 가성비를 이렇기 배워가네요.ㅍㅎㅎ
@leeyushin87
@leeyushin87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복받으세요
@qudcjf1213
@qudcjf1213 2 жыл бұрын
좋다 좋다는것만 알았던걸 확실히 알게 해주시네요 유익한 행동파 ㅋㅋㅋㅋ
@starson8961
@starson8961 2 жыл бұрын
하시는 실험들이 자동차 브랜드에서 해서 사용자들한테 알려야하는 게 아닌가 싶을정도네요.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wildfree04
@wildfree04 2 жыл бұрын
국내 생산 자동차는 징벌적 손해배상이 없기 때문에, 팔면 장떙입니다. 미미한 접촉사고에도 사망자가 발생하는 이유죠. 죽던 말던, 그냥 많이만 팔면 장땡~
@P1erreGasly
@P1erreGasly Жыл бұрын
@@wildfree04 아ㅋㅋ 차 부서져야 새로 산다고ㅋㅋ
@LamarKunta
@LamarKunta 5 ай бұрын
데이터는 각 제조사의 알앤디 부서에 산더미만큼 쌓여있어요 몰라서 안알려주는건 아닙니다
@user-vf4my1ob8p
@user-vf4my1ob8p 2 жыл бұрын
보통 자동차 제조사에서 적용하는 순정 상태의 브레이크가 승용은 1P SUV는 2P 가 많더만 마른 노면에서 80키로 운행중 브레이크 제동거리를 대략적으로 알게되어 많은 참고가 되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hwi1994
@hwi1994 2 жыл бұрын
싼타페 1p입니다.... 존나 밀리네요...
@jins8686
@jins8686 Жыл бұрын
ㄴ 동감 그런데 타이어바꾸고하면 덜밀리기는 해요
@sungjune9287
@sungjune9287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문관이형이 수고가 많으시네요
@hiyo9292
@hiyo9292 2 жыл бұрын
이런 원칙적인 실험 조차도 정말 잼씀다 흑흑 픽플러스 대박조아용
@stellamay5764
@stellamay5764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건 중요한 영상~~!!!!👍👍👍👍👍
@thelibrary5972
@thelibrary5972 2 жыл бұрын
실험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음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타이어 공기를 채웠을 때와 질소 가스를 채웠을때 연비 차이를 알려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blackkhan_tv
@blackkhan_tv 2 жыл бұрын
이번영상~너무잘봤습니다~저두 튜닝하다보니 차량무게가 늘어서 4피작업했는데 제동력이 너무좋아졌습니다~
@datsjin
@datsjin 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캘리퍼 피스톤 수만 늘리면서 하는 브레이크 업그레이드는 도움이 안된다는 교훈을 주시네요 ^^
@Cha_Joa
@Cha_Joa 2 жыл бұрын
타이어가 좋아야 더 잘 멈춥니다. 캘리퍼만 업글해도 효과는 있겠죠. 풀브레이킹시 ABS가 많이 걸리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약하거나 타이어그립이 좋은거고,반대로 ABS가 많이 걸리면 브레이크가 강하거나 타이어 그립이 약한거죠. 캘리퍼 업글을 할땐 제동력을 잘 받아낼수있게 타이어 업글도 하면 효과가 더 좋을것 같네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예전에 갑자기 다른 차선에 있던차가 갑자기 차선변경으로 풀브래이킹 한경험이 있는데 그때 노면에 습기가 많아 ABS와 비상등 자동점멸까지 작동한 경험이 있었거든요 이건 타이어가 그립이 더 좋다면 ABS가 작동이 안될수 있나요?
@musclebrain9767
@musclebrain9767 2 жыл бұрын
@@user-js4to2um8f 빗길은 노답
@user-jf3oi4uo9k
@user-jf3oi4uo9k 2 жыл бұрын
@@user-js4to2um8f 노면에 젖은상태에서 풀브레이킹은 레인타이어꼽아도 슬립이날수있습니다
@Cha_Joa
@Cha_Joa 2 жыл бұрын
@@user-js4to2um8f 그립력이 아무리 좋아도 풀브레이킹시엔 abs가 작동이 무조건 되죠. 최강의 그립력을 지닌 f1타이어도 휠이 잠깁니다.(f1은 abs가 금지) 무거운 트럭이나 버스도 abs가 작동되고요. 결론은 타이어 그립이 좋으면 좋을수록 제동거리가 더 짧습니다.
@huiwonju1
@huiwonju1 2 жыл бұрын
@@user-js4to2um8f 타이어가 도로상황이나 그립이 좋다면 ABS가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만 보통은 abs가 작동되게끔 세팅합니다 급브레이크시 Abs를 쓰지 않았다는건 타이어의 마찰력을 끝까지 쓰지 않은게 되는것이니깐요
@user-yc5es1dg2s
@user-yc5es1dg2s 2 жыл бұрын
캘리퍼 업글보단 타이어를 먼저 점검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암만 좋은캘리퍼 끼워도 타이어상태가 안좋으면 교체하나마나입니다. 타이어가 먼저입니다
@user-gb8il6zg8i
@user-gb8il6zg8i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패드별 테스트도 해주시면 정말 좋을거같아요~~
@kimseongil--7449
@kimseongil--7449 2 жыл бұрын
피스톤만 많으면 제동이 좋아진다는 착각을 실험으로 통해서 가르쳐 주었네요. 피스톤수, 그의 맞는 디스크, 타이어 상태의 삼박자가 맞아야 제동력을 줄일수 있는 지름길이라는걸 알아야 겠습니다.
@user-mq4cf8pb8x
@user-mq4cf8pb8x 2 жыл бұрын
오우 2피가 짱이네요. 얼마나 넓은 면적의 피스톤이 또 얼마나 넓은 제동면적을 갖는 패드를 쓰느냐 인가 보네요 마스타 실린더와 부스터,진공펌프도 궁합이 맞아야 할거 같은데
@user-wp3yy9tt4l
@user-wp3yy9tt4l 2 жыл бұрын
역시 밸런스가 중요하네요 👍
@hyeonsu12
@hyeonsu12 2 жыл бұрын
오 오늘도 유익한 영상 고마워 형 재미있었어 최고!
@AMG_GLC43
@AMG_GLC43 2 жыл бұрын
결국 마찰재 재질, 마찰면적이 중요하죠. 그리고, 프론트 제동력만 업글하면 노즈다이브가 심해지므로 리어도 같이 업글해야해요.
@carin9415
@carin9415 2 жыл бұрын
네오테크 4P 작업했는데 메뉴얼에 1500~2000km까지는 브레이크 길들이기 기간이라고 하더라고요.
@user-xi6xv1vf2k
@user-xi6xv1vf2k 2 жыл бұрын
캘리퍼피스톤 크기가 작기 때문이 아닙니다. 캘리퍼의 제동력은 캘리퍼피스톤 면적의 총합에 비례합니다. 제동력의 한계는 2P보다 4P캘리퍼가 월등히 높습니다. 그런데 더 제동거리가 길어진 것은 1P캘리퍼에 맞춰서 설계된 마스터실린더 압력이 부족해서 그럴겁니다.
@bigbear1845
@bigbear1845 2 жыл бұрын
꼭 알고 싶은 내용이었습니다 번창하세요
@user-jk1rn2mo3d
@user-jk1rn2mo3d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하다 형님 화이팅!!
@user-pc5lg7re6o
@user-pc5lg7re6o 2 жыл бұрын
순정 디스크, 타공디스크, 사선디스크 일때 제동력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열방출력도 차이가 나는지도 궁금합니다!
@user-vz1vt9pq5q
@user-vz1vt9pq5q 2 жыл бұрын
캘리퍼의 피스톤 갯수도 중요하지만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계수도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ENFP-T
@ENFP-T 2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solful1820
@solful1820 2 жыл бұрын
같은 물질이면 마찰계수는 차이가 없을꺼 같습니다 마찰계수는 상수 잖아요
@user-wx5bq3ww3s
@user-wx5bq3ww3s 2 жыл бұрын
갯수가 아니고 개수
@Gundam_RX78-2
@Gundam_RX78-2 2 жыл бұрын
피스톤 수를 늘리는 가장 큰 목적은 작용 면적을 늘리려는건데..(압력은 작용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따라서 같은 압력이면 1P 대구경이 2P 총 구경보다 넓이가 넓다면 1P가 성능이 더 좋습니다. 일부 숫자놀이하는 묻지마 캘리퍼는 피하세요. 그리고 압력도 중요하지만 마찰계수에 따라 성능이 천차만별이죠. 패드가 그만큼 중요합니다.
@user-nx3bx4cm9u
@user-nx3bx4cm9u 2 жыл бұрын
이런테스트 너무좋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sv7yg6mx5n
@user-sv7yg6mx5n 2 жыл бұрын
이모션텐알.. 며칠전에 뺐는데 반갑네요 ㅋㅋ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lan1227
@elan1227 2 жыл бұрын
물리적으로 봤을때. 브레이크의 정의는 운동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는것입니다. 즉, 브레이크가 과열됬을때 과열은 한계(온도)가 높고, 달아오른 상태에서도 높은 압력으로 평상시와 같은 브레이킹을 유지 하는것이 좋은 브레이크죠. . 허나 abs 빼고 생각해보면, 타이어의 그립력 보다. 브레이크 패드의 잡으려는 힘이 더 커지면, 어짜피 브레이크가 잠겨 버리게 되고, 타이어와 도로사이에서 브레이킹이 일어나기에. 결국 얼마나 좋은 타이어를 쓰냐가 제동력에 있어선 가장 중요한것입니다. 아무리 비싼 캘리퍼를 사용해봐야. 사용하고 있는 타이어의 한계 내에서 브레이크 성능을 발휘하는것이 브레이크 장치일뿐입니다.
@andersonryu772
@andersonryu772 2 жыл бұрын
파스칼의 법칙. 단면적이 넓어지면 받는힘도 커진다ㅋㅋㅋ 그래서 작동쪽 피스톤의 단면적이 중요한거죠.
@user-bi8de1wq1i
@user-bi8de1wq1i 2 жыл бұрын
영상 깔끔히 잘 찍으시네요 굿굿
@boboddl
@boboddl Жыл бұрын
이채널을 대체 왜 만들엇는지 모르겠지만… 정말 너무 좋다. 성능 다떠나서 4p가 압도적으로 이쁨
@driftkim7015
@driftkim7015 2 жыл бұрын
일단 제동거리는 브레이크 캘리퍼, 패드의 힘+타이어의 그립력 으로 나타납니다. 제아무리 멀티피스톤 캘리퍼를 끼우더라도 타이어가 안좋으면 제동거리는 길어집니다. 그리고 캘리퍼 피스톤 수가 늘어나면 제동거리도 짧아지지만 가장 큰 장점은 브레이크의 지속성입니다. 페이드 또한 1p 캘리퍼보다 늦게 옵니다.
@thunderbolt86
@thunderbolt86 2 жыл бұрын
차만 사면 브레이크 바꾸는 1인 입니다. 제동력도 제동력이지만 피스톤과 브레이크의 용량이 늘어난만큼 내열성도 같이 향상됩니다. 영상처럼 딱 1번의 풀제동시 의외로 큰 차이를 못느끼실 수 있습니다만 반복해서 여러번 부하가 걸리게 되면 열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브레이크는 패드와 함께 캘리퍼 오링까지 순식간에 녹아버립니다. 일상에서 문제없다가 일반 브레이크와 패드로 와인딩이나 서킷가면 골로가게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스포츠드라이빙에서는 브레이크를 업글하면 결과적으로 경제적이 되는데요. 제동력은 비슷하게 느껴질지라도 2~4배까지 사용 주기가 늘어납니다. 서킷용 패드들은 캘리퍼와 피스톤 개수에 상관없이 한 페어에 수십만원하는데 이걸 세번 네번 바꿀 돈이면 4p, 6p 브레이크로 교체하고 패드 한번쓰는걸로 퉁치는게 가능하거든요. 물론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용량이 있기때문에 한도끝도 없이 브레이크를 업그레이드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한두단계 업그레이드는 경제적으로도 제동력으로도 확실한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hyunchulkim1969
@hyunchulkim1969 3 ай бұрын
댓글보다가 ㅋㅋ 발견 ㅋㅋㅋㅋ
@saritrees115
@saritrees115 2 жыл бұрын
이건 진짜 궁금했는데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gzs8647
@gzs8647 3 ай бұрын
진짜 이채널 퀄리티 장난아님
@kyees2532
@kyees2532 2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인치 크기 비교 좀 부탁드려요... 큰게 멋있긴 하던데 ㅎ
@deadslow6448
@deadslow6448 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업그레이를 하면 타이어도 업그레이 꼭 하세요. 튜닝은 밸런스가 생명입니다.
@user-zy1sj5eq1r
@user-zy1sj5eq1r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유튜버가 세상에 어디 있겠어....!!!!!!!!!! 100만 왜 안되는거야잉
@Primpose
@Primpose 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ib2yb3wb1m
@user-ib2yb3wb1m 2 жыл бұрын
4p 올리실땐 전용디스크도 같이 바꿔줘야합니다. 추가로 후륜디스크를 확장해주면 브레이킹시 더욱더 안정적으로 성능이 나옵니다.
@Reddot_AUTO
@Reddot_AUTO 2 жыл бұрын
전륜차에 후륜 디스크 확장하는게 얼마나 위험한데요...
@user-ib2yb3wb1m
@user-ib2yb3wb1m 2 жыл бұрын
@@Reddot_AUTO 앞에 4p 올릴경우에는 확장해줘야합니다
@Reddot_AUTO
@Reddot_AUTO 2 жыл бұрын
@@user-ib2yb3wb1m kzfaq.info/get/bejne/h91_p7qcxsi7goU.html 27:27 보시면 왜 디스크 용량 키우면 안되는지 설명이 나와요.
@user-ib2yb3wb1m
@user-ib2yb3wb1m 2 жыл бұрын
@@Reddot_AUTO 영상확인했구요. 이민재마스터님 하시는말씀은 그냥 뒤에만 로터확장한 차량얘기하시는거같은데 로터확장시 선속도가 커져서 제동력이 커진다하셨구요. 프론트 4p올렸을때와 순정 2p의 제동력이랑 받는 딥힘이 다르기에 쏠리거나 핸들 털림이 있을수도있기에 뒤에 확장이라는걸 해서 힘을 키워서 안정적인브레이킹 하기위해서 해야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도 프론트만 4p 올렸다가 핸들털림 번번히 발생했었어서 후륜 확장하고 증상 개선됬습니다. 그리고 본문댓글보면 4p올릴때 전용디스크도 같이바꿔줘야한다는게 순정디스크에 4p넣는다는 얘기가 아니라 그 4p 캘리퍼 제조사에서 같이나오는 4p전용디스크로 바꿔야한다는거구요. 그디스크는 순정보다 더 큰 사이즈라서 결국 전륜도 확장되네요. 그럼 전륜도 선속도가 커지고 잡는힘이 커지겠죠. 저도 나름대로 자동차전공했고 현장에서 일도 해봤는데 세상에 완벽한 지식,정답은 없기에 여기까지하겠습니다.ㅇ 몇달이 지난댓글에 이렇게 영상까지 찾아오시면서 까지 할 수고는 필요없으실듯 하네요
@TV_by_Woong
@TV_by_Woong 2 жыл бұрын
@@Reddot_AUTO 대체 본인의 주관적으로 해석한 정보가 마치 객관적으로 해석되고 만인이 납득한 정설인냥 전문가의 지식을 빌려 주관적인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쓰는 무지한 행태는 어떤 깡다구에서 나오는거예요?? 물리학 기초도 없으신가??????????
@sexyis123456
@sexyis123456 2 жыл бұрын
제가 1p부터4p까지 몰아본 결과 저속에서는 1p2p가 더 잘서고 4p는 고속에서 내가 세울수 있을 만큼 섬세하게 제동이 더 잘 되더라구요~ 1p중에서는 bmw대용량이 짱인것 갔습니다~
@user-qn5gy3yx8j
@user-qn5gy3yx8j 2 жыл бұрын
4p정도 가면 하이드로백/마스터실린더 업그레이드도 뒷받침되어야 확실한 제동력이 나올것 같네요.
@tmax320
@tmax320 2 жыл бұрын
와 역시. 실험으로 보여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다음엔 연달아 급제동시 성능저하는 어떤지도 추가영상 만들어주심 어떨까요?
@user-cf5wq1ul8t
@user-cf5wq1ul8t 2 жыл бұрын
실험 하신다고 고생 많으셨습니다. 3:22 초때 잘 보시면 20cm 정도 차이 난다고 생각됩니다. 저 펜스크기가 2m 입니다. 2P 실험이 정지선이 좀더 앞이다 하면 이해가 될까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variable0
@variable0 2 жыл бұрын
음 팬스하나 차이가 나야 2m차이인데, 말씀하신것처럼 뭔가 측정이 잘못된것같습니다.
@user-cb3ce6yv8u
@user-cb3ce6yv8u Жыл бұрын
다시보시면 펜스가 6개 7개 차이납니다
@godjh6253
@godjh6253 4 ай бұрын
@@user-cb3ce6yv8u펜스 6~7개 차이난다구요? 두 차량다 정지선 부터 궁댕이까지 펜스가 6개뿐입니다. 20cm는 오바고 한 40센치정도 차이나 보이는데 비교사진만으로 판단했을땐 각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길어야 50~1m 차이일듯 합니다.
@captin_Africa
@captin_Africa 2 ай бұрын
@@user-cb3ce6yv8u .. 정지되어있는 차 옆 연두색 기둥이 7번째로 보인다구요???
@user-ov2gb4iq3o
@user-ov2gb4iq3o 2 жыл бұрын
또하나의 장점:드레스업 효과… 효과는 굉장했다!!!
@user-we1lc4vx3x
@user-we1lc4vx3x 2 жыл бұрын
실린더 갯수가 늘어나면 그에 맞는 브래이크 부스터를 더 큰 용량으로 바꿔줘야 해여. 실험에서는 부스터는 그대로인데 실린더 갯수만 늘어난 캘리퍼를 사용해서 제대로된 성능이 안나온거에요. 디스크도 중요하지만 브레이크 부스터가 더 중요해여.
@user-fj8zm6op5o
@user-fj8zm6op5o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지식 배워갑니다. 그보다 제 차량을 여기서 보니 슬프네요ㅠ
@Shionne357
@Shionne357 2 жыл бұрын
자동차는 매우 복합적인 물리학 특성을 가진 물건이죠 4p 달고 큰 디스크 달면 현가하질량이 늘어나 서스펜션의 움직임이 전보다 둔해지고 그에 따른 로드홀딩력 감소로 접지력이 떨어집니다. (4p 캘리퍼 자체는 모노블록 방식으로 제작하여 순정 주철 캘리퍼보다 무게가 덜하지만 디스크 크기가 커짐에 따라 디스크 무게가 증가하고, 디스크 직경이 커지면서 캘리퍼가 기존 너클에 들어가지 않게 되어 연장 브라켓을 달아야 하는데 보통 강성때문에 스틸재질을 장착합니다. 이렇게 되면 순정 브레이크 시스템보다 무게가 증가하게 되죠.) 또한 디스크 직경이 커지면 관성모멘트가 개선되는 것이 아니라 악화되어 고속주행때는 좋을 수 있겠으나 결국 제동력 면에 있어서는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결국 제동력도 떨어진다는 얘기죠 브레이크가 밀리는 거 같으면 타이어 트레드와 자신의 시트포지션부터 점검해보는게 우선입니다. 200 300 돈들여 4p 올리는게 먼저가 아니라요. 공도에서 일상주행하는 일반 양산차량에 4p 브레이크 튜닝은 과유불급입니다. 또한 피스톤 개수가 늘어나는 것보다 피스톤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제동력에 더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 2p보다 대용량 1p가 더 뛰어난 절대적인 제동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말머리에서 이야기 했듯이 자동차는 매우 복합적인 물리학 특성을 가졌습니다. 절대 한 가지의 상황만을 놓고 이리저리 비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죠 결론은 브레이크 튜닝 하실 필요없다입니다. 브레이크가 밀리는 거 같으세요? 시트포지션을 제대로 맞춥시다.. 그래도 나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때 기민한 느낌, 뭔가 꽂히는 느낌, 팍팍 서는 느낌을 받고 싶다 하시면 브레이크 호스를 튜닝해보세요. 주목적은 베이퍼록 방지가 크지만 페달 답력 필링 개선에도 많은 영향을 줍니다. 순정 호스는 뭔가 초기답력이 좀 스펀지스럽다면, 튜닝 호스는 초기답력부터 딱딱함?을 제공하죠 쉽게 말해서 초반답력과 후반답력의 브레이크 압력이 일정하게 가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아 제동력이 상승했다는 '착각'을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아 그리고 튜닝 디스크는 열용량을 키워주고, 열방출을 개선하고(하우징과 로터가 구분된 2p 디스크), 제동 시 패드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방출하는(타공 로터) 것을 개선해주는 거고 절대적인 제동력을 키워주는 것이 아닙니다. 공도 주행만 하는데 디스크 대빵만해봤자 좋을 거 하나 없습니다. 그냥 순정 로터로도 충분합니다.
@I_JU_
@I_JU_ 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거 업뎃하시면 문의 드리고 싶었던건데 딱 올려주시네요. 다만 앞에 물체나 사람이 있을때 긴급제동장치작동시 켈리퍼별 효과도 궁금합니다!
@yune.0000
@yune.0000 2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엔진의 기통수가 많다고 무조건 잘나가는게 아닌것과 맥을 같이하네요? 늘 그렇지만 오늘도 도움되는 영상이었습니다
@won_ss
@won_ss 2 ай бұрын
4기통 가솔린 1.6 직분사 터보가 6기통 가스 3.0 자연흡기보다 더욱 속도는 빠르지만 회전질감과 정숙성, 거칠으냐 부드러우냐의 차이.. 속도만 놓고보면 체감상1.6이 더빨랏음
@rs28coupe99
@rs28coupe99 2 жыл бұрын
제동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건 바로 무게 입니다 . 다음이 타이어 . 그다음 디스크로터의 직경 . 그리고 젤마지막이 바로 캘리퍼의 피스톤수 나 패드 재질입니다 . 전부 꺼꾸로 튜닝을 하고 있죠 . 일반차도 급브레이크 밟으면 잘 습니다 🤣 그게 발대신 역할하는 캘리퍼튜닝
@bowow-dogg
@bowow-dogg 2 жыл бұрын
패드중요
@sleep9801
@sleep9801 2 жыл бұрын
Xtm에서 하는 탑기어 프로같은곳에서 진행 하는 퀄리티를 유투브에서 대단합니다!!!!
@user-nj8tk7il9c
@user-nj8tk7il9c 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6P교체 예정인데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s6kh6cb2e
@user-os6kh6cb2e 2 жыл бұрын
예전 부터 나왔던 거지만 대용량 1P 는 왠만한 2P 못지않는 제동 성능을 자랑합니다 문제는 일반적인 4P가 아닌 슬림4P 캘리퍼라 아쉽기는 하네요 ㅎㅎ
@user-qs3wn5xo9j
@user-qs3wn5xo9j 2 жыл бұрын
언제부터 대용량 1P를 이렇게 생각하시게 된건지 모르겠네요. 대용량으로 키운것도 차체가 커져서 늘린거 뿐이지 결과론적으로 제동시 무게대비 밀리는건 비슷합니다.
@user-os6kh6cb2e
@user-os6kh6cb2e 2 жыл бұрын
@@user-qs3wn5xo9j 저는 캘리퍼를 이야기 한것이지 차량 무게를 이야기 한적 없습니다 ㅎ 같은 승용차에 대용량 1P와 일반2P의 제동 거리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것이죠 오히려 대용량 1P가 제동거리가 더 짧다는 의견도 있었으니까요
@user-os6kh6cb2e
@user-os6kh6cb2e 2 жыл бұрын
@@user-qs3wn5xo9j 참고로 예전 그랜져 오너중에는 2P에서 대용량 1P로 교체하신분들도 있으니까요
@user-qs3wn5xo9j
@user-qs3wn5xo9j 2 жыл бұрын
@@user-os6kh6cb2e 제가 말씀드리려다가 산으로 가버렸네요 ㅎㅎ 님 말씀이 맞는부분은 있긴합니다만 단순 1번의 제동으로는 대용량 1P가 제동거리가 유리하지만 가다서다 반복하면서 브레이크패드나 디스크에 스트레스 주기 시작하면 결과가 달라진다는데 있습니다. 이 역시도 서킷을 달리지 않는다면 큰 의미는 없다고봅니다ㅎㅎ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goldmackerel8166
@goldmackerel8166 2 жыл бұрын
단순히 대용량 1P가 웬만한 2P못지 않다고 판단하긴 힘들거같고 대용량 1P와 2P의 실린더 단면적 합 비교가 중요할거 같고 힘의 작용점도 어디가 더 모멘트를 크게 걸수 있는지 봐야할 문제일듯요.
@skyheine
@skyheine 2 жыл бұрын
역쉬 가성비 브레이크 튜닝은 2피스가 가장 좋군욤~아님 대용량1p든가 패드마찰면적이 커야한다고 봅니다 당연 로터 크기도 한목하구욤~^^
@user-qs3wn5xo9j
@user-qs3wn5xo9j 2 жыл бұрын
대용량 1P도 밀리는건 마찬가지에요. 대용량이라도 같은크기의 피스톤이면 2P가 당연히 좋은거구요.
@user-wx5bq3ww3s
@user-wx5bq3ww3s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은 취지는 참 좋은데 영상이 좀 아쉽네요 그래도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좋아요 꾹 하고 갑니다
@user-jq7ow4nf2f
@user-jq7ow4nf2f 4 ай бұрын
올 감사합니다 이런실험을 해주시다니 ㄷㄷ
@black_cpt
@black_cpt 2 жыл бұрын
요곤 4p라고 다 좋은게 아니다! 가 아니라 피스톤에 맞는 디스크 싸이즈....즉, 올바른 튜닝을 하지않을때 오는 마이너스적 요소를 잘보면 될듯!
@CocaCooluck
@CocaCooluck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모르겠으나 예전에는 4p로 튜닝할 때에 디스크와 패드 까지 함께 업글하곤 했었습니다. 디스크와 패드 빼고 캘리퍼만 4p로 튜닝하는 동회회 회원들을 거의 본적이 없었거든요. 정답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보통 함께 하는것을 브레이크 튜닝으로 알고 질렀거든요 ㅎㅎ
@user-mz1oj2iz6x
@user-mz1oj2iz6x 2 жыл бұрын
지굼도 그렇게 합니다 전용확장디스크 로터와 패드 캘리퍼가 다같이 조화를 이뤄야죠^^
@TE37_SL
@TE37_SL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그런데 캘리퍼만하는이유는 돈은없는데 있어보이고 싶어서 그렇지요
@user-mz1oj2iz6x
@user-mz1oj2iz6x 2 жыл бұрын
@@TE37_SL 그게 정답이겠네요 튠업이 아니라 드레스업^^
@GondreNamulbap
@GondreNamulbap 2 жыл бұрын
이 실험 최고입니다
@woojin3404
@woojin3404 2 жыл бұрын
그랜져ig 4p로 튜닝한지 5년차 인데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고속주행에서 빛을 바랩니다...
@cyi6838
@cyi6838 2 жыл бұрын
1P라고 해도 피스톤 직경과 패드 면적, 디스크 로터를 대용량으로 쓰면 제동력이 상당히 좋아집니다.
@cyi6838
@cyi6838 2 жыл бұрын
@닭죽 말은 바로합시다. 생각없이 댓글달지 마세요.
@ny8383
@ny8383 2 жыл бұрын
@닭죽 에휴 지그 에미가 이러고 사는거아는지 몰라... 한심하다 한심해
@jjrdfilm6617
@jjrdfilm6617 2 жыл бұрын
닭죽아 닭쳐라
@Man_Bmw_M
@Man_Bmw_M 2 жыл бұрын
순정 갖다버리고 프릭사s1 이런거만껴도 확 체감됨
@Cha_Joa
@Cha_Joa 2 жыл бұрын
요즘 쏘렌토,싼타페같은 준대형suv도 대형 1p를 넣어주더군요
@scarnasty1626
@scarnasty1626 2 жыл бұрын
픽플러스에서 요소수 관련 실험보고싶습니다. 요소수가 들어가는 차들은 요소수가 부족하면 운행이 안된다고 하던데 부족한 상태에서 계속 운행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jessyj855
@jessyj855 2 жыл бұрын
물리적으로는 공해만 더 나오는건데, 요소수 없으면 차에서 감지하여 엔진 고회전을 자동 차단하고 에러메세지 보냅니다.
@k76106
@k76106 2 жыл бұрын
새로운거 배우네요 감사합니다
@nxyl2015
@nxyl2015 2 жыл бұрын
힐링을 주는 프로그램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
@rseokTV
@rseokTV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빨간 캘리퍼 젠쿱 순정4p 브렘보인데 제동거리가 더 긴거보면 패드차이 아니면 타이어가 접지력이 부족해서 ABS가 빨리 작동하면서 밀린게 아닐까 싶습니다 하이그립타이어로 실험해봤으면 어땠을까싶네요
@jessyj855
@jessyj855 2 жыл бұрын
똑같은 타이어로 비교실험 해야죠. 그러면 서로 F1타이어나 항공기 타이어 붙이고 하는 실험이 되어버립니다.
@rseokTV
@rseokTV 2 жыл бұрын
@@jessyj855 동일한 차로 캘리퍼만 바꿔가면서 실험하는건데 무슨말씀이신지요
@HsHs-rv8cb
@HsHs-rv8cb 2 жыл бұрын
대용량1p(k5 gt) vs xg 2p 세기의 대결 보고싶어요
@user-rb9mi8mx1b
@user-rb9mi8mx1b 2 жыл бұрын
k5gt나 벨엔용or xg2p... 패드는 둘다 하드론zs급
@e92m32
@e92m32 2 жыл бұрын
k5 gt브레이크가 그냥 찢습니다 ㅋㅋ xg 2p는 그냥 가성비에요 무게도무거워지고 지인분이 아스 순정 대용량1p쓰시다 xg2p바꾸고 실험햇는데 더늘어났습니다 벨엔순정패드는 하드론 zr보다 2단계는높은겁니다
@user-bv8if7jn8n
@user-bv8if7jn8n 2 жыл бұрын
XG 2P 에는 2개의 43mm 실린더가 적용되어있는데 이 2개의 실린더가 누르는 힘은 아반떼 스포츠에 적용된 대용량 1P 60.6mm 캘리퍼와 동등한 힘이다. XG 2P 의 디스크 로터 직경은 320mm 이며 아방스 대용량 1P 는 305mm 이다. 직경의 차이로 제동력에도 차이가 조금은 있지만 제동 필링은 10여년 뒤에 나온 대용량 1P 브레이크 시스템이 훨씬 섬세하고 세련되었다. ( 특히 이질적인 제동감이 상당부분 사라짐 ) K5 GT 브레이크 는 63.5 mm 대용량 1P 구성이며 로터는 330mm 이다. ( 그랜져 IG 3.3 과 동일 ) 60.6mm 와 63.5mm 의 제동압력 차이는 대략 10% 정도 차이 발생 * XG 2P 브레이크는 비추
@user-jv4dh4zw3h
@user-jv4dh4zw3h 2 жыл бұрын
xg 2p 내구성도 후졌음 이걸로 튜닝하고 가혹주행하면 디스크 열변형 오고 캘리퍼도 열받아서 고착됨 그냥 순정에 스포츠 패드 타이어만 낑구겜
교체시기 지난 브레이크패드, 얼마나 위험한 걸까?
9:57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I compared genuine disk rotors and aftermarket disk rotor
5:42
카발로Caballo
Рет қаралды 505 М.
А сколько катаешься ты?
0:53
Тот самый Денчик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This is how 😂 #miata #mx5 #shorts
0:10
Miata Nation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3rd time’s a charm 😅 #bugatti #dodge #daytona #americanmuscle #muscle #musclecar
0:31
Raw 2024 Akra BMW M1000R Exhaust Sound #bmw
0:25
Christina Khalil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