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시멘트가 친환경 시멘트로 둔갑?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구멍'] | KBS 시사멘터리 추적 22.09.04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202,639

KBS시사

KBS시사

Жыл бұрын

경기도의 한 폐기물 수거업체. 폐플라스틱 등을 실은 트럭이 어딘가로 향합니다.
따라가 봤습니다. 5시간 넘게 달려 도착한 곳은 강원도의 한 시멘트 공장.
취재진이 20분 간 세어보니 평균 92초에 한 대 꼴로 폐기물 트럭이 시멘트 공장을 드나들었습니다.
시멘트 공장에서 폐기물을 어디에 쓰는 걸까.
시멘트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70년대까지 (연료로) 석유를 썼었어요. 석유를 쓰다 석유값이 너무 폭등하니까 그때 당시 유연탄으로 대체했었거든요. 요 근래에는 유연탄을 제일 많이 쓰고 있는데요. 유연탄하고 (같이) 쓰는 것 중에 폐플라스틱 같은 것은 기본적으로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소각업계에서 처리하는 소각하고 저희가 하는 것처럼 연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 거고요.”
시멘트 업계가 쓰는 폐기물은 원료와 연료로 나뉩니다.
점토질과 규산질은 원료로, 기타 일반 폐기물은 연료로 쓰입니다.
그러나 소성로 구조상 원료와 연료가 한데 뒤섞여 소각될 수밖에 없습니다.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윱니다.
인근 주민들도 불안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취재진은 시멘트 공장 주변에서 대기질을 확인해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공장 측의 저지로 측정은 불발됐습니다.
유일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 수치는 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입니다.
한국환경공단은 전국 오염물질 배출시설 830여 곳에 굴뚝자동측정기기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측정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드론 측정을 시도했던 공장 두 곳의 질소산화물 수치를 살펴봤습니다.
질소산화물은 미세먼지와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대기 오염물질입니다.
공장 한 곳은 3시간 평균값이 200ppm을 초과했고, 다른 한 곳도 120ppm이 넘었습니다.
같은 폐기물을 태우는 소각업체와 비교해봐도 6배 이상 차이가 나는 수칩니다.
이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배출 규제 기준 때문입니다.
시멘트를 생산하는 소성로에 적용되는 질소산화물 배출 기준은 270ppm,
다른 업종보다 최고 18배 완화된 기준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김승도/한림대 환경생명공학 교수
“원래 소성로를 만들 때 처음의 목적은 폐기물을 연소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 게 아니죠. 유연탄이라는 걸 써서 하는 형태로 만들었기 때문에 사실 그 때는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관리는 아무래도 좀 소홀한 편이었죠. 그래서 느슨한 기준을 적용했는데 지금이라도 폐기물을 처리한다고 하면 시설의 개보수를 통해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서 관리하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3년 전 정부는 2015년 이후 신설한 소성로는 질소산화물 배출 기준을 80ppm으로 적용하도록
관련 규정을 강화했습니다. 하지만 2007년 이전 설치한 소성로는 계속 270ppm을 적용한다는 단서 조항을 달았습니다. 그런데 이 규정에 결정적인 허점이 있었습니다
김소희/(재)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문제는 지금 국내에 있는 모든 시멘트 공장의 퀼른(소성로)은 2007년 이전에 설치된 거예요. 근데 더 재밌는 사실은 국내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시멘트 퀼른에서 태워야하는 양도 굉장히 많이 늘었어요. 그래서 2007년 이전에 만들었던 퀼른을 계속 개보수하고 있으면서 용량을 증대하는데 그건 신설이 아니잖아요. 신설이 아니다보니까 계속 2007년 이전 시설의 법적 규제를 받고있는 상황입니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SCR, ' 선택적 촉매 환원 설비’ 등에 관한 시설 지원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시멘트 업체 13곳에 1,100여억 원을 낮은 금리를 적용해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이들 업체 가운데 SCR 설비를 갖춘 업체는 아직 한 곳도 없습니다. 대부분 그보다 한 단계 낮은 저감 장치만 설치된 상태입니다.
실제로 SCR 설비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까.
SCR 설비를 갖췄다는 한 소각업체의 대기질을 측정해봤습니다.
미세먼지 값이 세제곱미터당 평균 24.3 마이크로그램...
일기예보상 ‘좋음’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초미세먼지 값도 ‘보통’에 속하는 세제곱미터당 평균 21.1마이크로그램이었습니다.
김승도/한림대 환경생명공학 교수
“오염원이 없는 주변 지역의 미세먼지 양과 비교해봤더니 높지 않고 오히려 낮은 걸로 나왔기 때문에 소각장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량은 상당히 낮고 환경적으로 영향이 없는 걸로 판단됩니다.”
시멘트에서 검출되는 중금속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취재진은 시멘트 3종류의 시료를 채취해 시험기관에 성분 분석을 의뢰했습니다.
폐기물을 쓰지 않는 한 곳을 제외한 2종류에서 상당한 양의 중금속이 검출됐습니다.
특히 한 종류에선 킬로그램당 40밀리그램의 6가 크롬이 나왔습니다.
업계 자율협약기준의 두 배, 유럽연합 기준의 20배에 이르는 수치입니다.
1급 발암물질에 속하는 비소와 납 수치도 매우 높았습니다.
임종한/인하대 의과대학 학장
“건축물 부분들을 해체하거나 노쇠하거나 그렇게 됐을 때는 시멘트 일부도 떨어져 나옵니다. 그리고 공사할 때는 시멘트가 비산되는 상태기 때문에 비산된 분진에 지역 주민들이 많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지고, 특별히 독성이 강한 중금속에 노출되면 건강 취약 그룹이라 할 수 있는 어린이들 또는 어르신들의 건강에 위협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실제 국립환경과학원이 매달 공개하는 시멘트 중금속 분석 결과를 보면 중금속은 계속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특히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은 폐기물을 쓰지 않는 업체 1곳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업체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데도 시멘트협회 측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이창기/시멘트협회 부회장
“일부 자연계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양을 자연이 함유하는 것과 마찬가지 형태로 내부 구조물이라든지 콘크리트 안에 고체화되고 안정화돼서 외부로 유출될 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습니다.”
“모든 자연 원료 자체에 사실은 중금속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가연성 폐기물을 사용한다해서 중금속 함량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걸 꼭 말씀드리고 싶고요. 왜냐면 가연성 폐기물도 근원을 보면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로부터 나온 소재기 때문에, 자연현상이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공학적으로는 인식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쓰인 폐기물 사용량은 9백만 톤...
7년 전과 비교하면 60%가 넘게 증가한 수칩니다. 시멘트협회 측은 영상까지 만들어 이런 내용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시멘트협회 홍보영상
“폐합성수지와 폐타이어를 보조연료로서 재활용하고 있고요. 이렇게 사용되는 순환자원은 유연탄보다 열량이 높아 보다 효과적인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김소희/(재)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환경부가 정한 기준이 있어요. 괜찮은 쓰레기 ‘SRF’라고 대표적인 게 있는데 시멘트 공장에서는 SRF에 해당되는 쓰레기만 태운다, 그리고 대기오염 물질을 저감하는 시설을 가능한 빨리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시멘트 업계가 얘기하는 온실가스 감축과 사회적 비용을 감소하는 두 가지 역할을 모두 다 할 수 있는 거죠. 근데 지금 현재는 그렇게 안 하고 있는데 그걸 자꾸 자기네 친환경 활동, 에코 활동이라고 하니까 저희는 ‘그린 워싱’으로 소송할까도 생각 중입니다.”
취재진은 시멘트 업계 오염물질 관리 대책을 환경부에 물었지만 인터뷰 요청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오는 2025년부터 적용할 배출 허용 기준에서 소성로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는 답변을 서면으로 보내왔습니다. 또 시멘트 업계의 오염물질 배출도 점차 줄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에는 시멘트 제조에 사용된 폐기물 성분을 표시하고, 유해성에 따라 주택용과 산업용을 나누는 내용을 담은 폐기물관리법 개정안이 지난 4월 발의된 상태입니다. 법안 통과는 불확실합니다.
노웅래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이 2008년부터 자율 협약에 의해서 업계랑 시멘트 제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말 그대로 그냥 모니터링만 하고 있는 거고, 관리 감독도 안 하고 법적 기준의 규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이것을 문제가 있으면 개선한다든지 실행 조치할 게 아니라면 모니터만 하려고하면 이거 할 이유가 없는 것이죠.”
“친환경이라고 한다면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인체에 도움이 돼야 하겠죠. 자연친화적이어야 되겠죠. 그런데 지금 시멘트는 폐기물을 집어넣어서 만드는 데다가 6가 크롬 등 중금속·발암물질까지 나오고 또 대기오염을 시켜서 인체에 위험하게 하고 있는데 이걸 친환경 시멘트다, 이렇게 얘기하는 거는 사실을 완전히 왜곡하는 것이겠죠.”
김승도/한림대 환경생명공학 교수
“초점이 온실가스 감축에만 너무 무게 중심을 두는 바람에 사실은 다른 것들이 다 함몰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대기오염이라든지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약간 등한시하고, 우리가 이 문제를 접근할 때는 사실 종합적인 측면에서, 통합적인 측면에서 들여다보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 온실가스 감축이 대기오염 물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되는가, 그리고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또 어떻게 되는가도 보면서 균형 있게 접근하는 게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노웅래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시멘트 업계에서 ‘규제가 심하면 우리 영업할 수 없다’ ‘기업할 수 없다’ 이런 측면, 산업 진흥적인 측면, 산업 발전적인 지원 측면이 굉장히 반영되고 환경 문제는 사실상 낭비니 소비니 이런 측면에서 좀 간과돼왔던 거죠. 그러니까 환경부가 사실상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지금 업체 봐주고 있는 거죠.”
22.09.04 저녁 8시 10분 KBS1TV 방송 [시사멘터리 추적] 18회
'이슈추적'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구멍']
취재기자 염기석
촬영기자 김승욱
VJ 설태훈 조선기
편집 김기곤
#발암물질시멘트 #폐기물시멘트 #대기오염 #발암물질 #시사멘터리추적 #kbs시사 #케시

Пікірлер: 603
@user-jt8uw9pr1b
@user-jt8uw9pr1b Жыл бұрын
나라를 위해 국민을 위해 힘든 취재상황인데도 사실확인을 위에 열정을 가지신 기자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오로지 돈만 쫓는 인간백정들이 이 세상에 없어지는 그때 까지 수고 해 주시기 바랍니다.
@user-rosy
@user-rosy Ай бұрын
진정한 인간백정은 전국 방방곡곡 공공소각장을 설치하겠다는 것들이지~~^^
@user-rosy
@user-rosy Ай бұрын
플라즈마 고온소각을 하고 나면 다이옥신 같은 유해물질은 거의 없어지는데 무슨 선동이냐? ㅉㅉㅉ 너내들 공공소각장에서 스토커 방식으로 900도 정도 연소온도로 소각하면 발암성 다이옥신 포함 유해가스 범벅으로 나오는 게 훨씬 해로울 껄? 세금으로 충당되는 공공소각장 정부보조금 서로 해먹느라 진정한 오염방지기술 개발이나 투자는 뒷전이잖아 ㅋㅋㅋㅋ 노조 환경팔이사기 시민단체 카르텔 인간들아 ㅋㅋㅋㅋ
@user-rosy
@user-rosy Ай бұрын
민간소각장이나 시멘트업계를 통해 사업장쓰레기 외에 생활쓰레기 처리를 하는 대안도 있건만 지자체 공공소각장에만 쓰레기 처리물량을 몰아줘야 한다는 그 놈의 발생지 처리원칙이란 기만술 때문에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임. 엠비씨 방송 보니 민간소각장 처리비용이 톤당 26만원, 쓰레기매립이 톤당 13만원 공공소각장이 톤당 10만원이라는데, 민간소각장은 발생지 처리원칙 때문에 생활쓰레기를 처리 못하니 처리비용이 비싼 거 아닌가? 생활쓰레기도 처리 가능하게 하면 규모의 경제로 처리단가가 절감될 것 같은데~~ 주민 거주지역 300m 인근에 공공소각장 곳곳마다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순환센터니 라는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환경팔이 사기)으로 유해상품을 친환경인 것처럼 정당화하면서 지역주민들 기만해가며 혐오시설을 설치 운영해서 소각장 이권카르텔 지들끼리 정부보조금 해먹으려는게 팩트겠지~~
@user-rv4vg8xf5n
@user-rv4vg8xf5n Жыл бұрын
시멘트 폐기물에서 나오는 발암 물질 생각만해도 너무 무섭네요 ㅠㅠ 생각지도 못했는데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jino2650
@jino2650 Жыл бұрын
새아파트 좋다고 살죠~ 윗돈까지 주면
@user-os4hg5bt4p
@user-os4hg5bt4p Жыл бұрын
삼풍백화점때부터 지금까지 저런식으로 해먹는게 관행이였음 시멘트에섞는 모래같은것도 문제있는거사용하고 건설할때 철근몇개빼먹고 이렇게 아끼고 아껴서 본인들 주머니에 넣는거임 한번시멘트작업하면 끝이니까 저거확인도안할거임아마
@k-Romanticist
@k-Romanticist Жыл бұрын
시멘트 회사도 회사지만 환경부 ㅅㄲ들도 대단하다 대단해.. 느그들 아파트는 꼭 중금속 시멘트로 덕지덕지 붙은 아파트에서 살고
@user-fc6yr8ml4z
@user-fc6yr8ml4z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정치인들이나 고위공무원들은 그런거임. 자기들은 양반이고 국민들은 노비 라는 조선시대 의식 그대로임. 그러니 친환경 지껄이면서 중금속 덩어리인 태양광패널 깔아대는거지. 이미 미국은 태양광패널 깐 땅엔 중금속덩어리인 패널이 마모 되어서 퍼진 패널가루 때문에 아무 작물도 자라지 않는 황무지 변했고 25년 정도인 패널 수명이 다 되어서 폐기 해야 되는데 폐기도 못한 패널들이 엄청나게 쌓여있어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음.
@user-ng3nu7mh6s
@user-ng3nu7mh6s Жыл бұрын
아파트 발암 물질 조사해서 단체 손해배상 청구해야.
@user-wu4ve6bf2f
@user-wu4ve6bf2f Жыл бұрын
환경부 현토부 국개의원들을 조져야 합니다.
@1inyong
@1inyong Жыл бұрын
제발 이런 놈들 처벌좀 강화합시다...
@bbongholy7506
@bbongholy7506 Жыл бұрын
처벌할 법이 없네요.. 국회의원들과 시민들이 이문제를 심각하게 생각 안하고 법을 제정하지 않아요..
@user-xo4xo7rr5u
@user-xo4xo7rr5u Жыл бұрын
이걸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가장 큰 문제가 아기들 면역력 면역력 약한 아기들에게는 치명타이기에 100% 아토피 오고 평생을 아토피에 고생할 가능성이 생김
@jacksonmichale464
@jacksonmichale46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이거 간접영향 생각하면 진짜 없어져야되요 ㅜㅜㅜ 제발 깨끗하게 만들어 주세요~
@user-dt2ww1ev5l
@user-dt2ww1ev5l Жыл бұрын
별거 아니라고 댓글 다는 사람들은 관련 업체나 세력들일 확율이 높네요..
@user-zj5mb8ni3l
@user-zj5mb8ni3l 14 күн бұрын
흙집짓고 사시면 안전합니다
@namhunkim2547
@namhunkim2547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아파트 대부분 폐기물발암물질 시멘트로 지어졌는데, 폐기물로 시멘트 못만들게 법을 엄격히 제정해야지 않나요?
@user-xx4nb3qt3k
@user-xx4nb3qt3k Жыл бұрын
결국 국가가 제기능을 못한다는 거네 환경부에서 떡하니 친환경시멘트라고 하다니 놀랍네요
@newtern1
@newtern1 Жыл бұрын
진짜 친환경 시멘트는 청주지역에 있는 유니온 시멘트 회사 하나뿐....... 돈 있으면 건물 지을 때 유니온 시멘트 사용해서 지어달라 해야 할 듯.........
@STARGATE_SGC
@STARGATE_SGC 3 ай бұрын
@@newtern1그럼, 시공비용을 더 내라고 하죠! 기존의 두배로요!
@onklim3132
@onklim3132 Жыл бұрын
친환경 인증 관련해서 소비자 중심 개념으로 대대적인 점검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단어 자체가 주는 느낌때문에 소비자가 혼동해서 오히려 작업시 더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realmac999
@realmac999 Жыл бұрын
중금속 시멘트 관공서에 필수로 납품하고 거기에 의무적으로 쓰게해야됨 특히 환경부
@user-fw6ro3rg9j
@user-fw6ro3rg9j Жыл бұрын
용인으로
@bgn6814
@bgn6814 Жыл бұрын
환경부 건물에 안밖으로 도배해줍시다 친환경 좋잖아요.
@BB-eu5pc
@BB-eu5pc Жыл бұрын
환경부 장관과 공무원들과 쌍용 시멘트 임원들은 매일 아침 폐타이어 10그램씩 곱게 갈아서 마시면 눈이 좋아져서 오래 사실 거에요..강추합니다.
@voiceofwind6588
@voiceofwind6588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신축 아파트에서 살면 병드는거다 ㅎㅎ 암 걸리고 폐 망가지고 아토피 생기고 다 이유가 있는거야
@jyjeong4894
@jyjeong4894 Жыл бұрын
공구리하기전에 똥도싸고 오줌누고 더러운것은 죄다넣고치지
@sleepgravity
@sleepgravity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이 널리 알려지고 법적 규제를 통해 최소한의 발암물질없는 건물안에서 살 권리를 줘야하는데 시멘트 업체 관계자들은 어떤 시멘트로 만든 집에서 사는지 궁금하다 중금속은 온세상에 다있다는 인터뷰를 하는 xx들한테 무얼 바라고 규제를 할 수 있겠나 아 무리 돈이 최고라지만 중금속 발암물질 쳐바른 아파트가 몇십억씩 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인가 궁금하네 자본주의가 어디로 가는지 모르겠다
@user-rosy
@user-rosy Ай бұрын
발생지 처리원칙은 공공소각장을 국민세금으로 더 지어서 정부보조금 해먹으려는 기만술이죠~ 이미 지어진 민간소각장을 활용하거나 시멘트업체만 활욤해도 쓰레기 문제 해소가능~ 부실하게 지어진 공공소각장이 있다면 오히려 철거해야죠~ 쓰레기가 모자라지 절대 소각장이 모자르지 않습니다~
@flofwater225
@flofwater225 Жыл бұрын
imf 이후 시맨트 업체들이 폐슬러지 및 폐타이어로 보일러 가동 해달라고 해서.. 안하면 망한다고 드러누웠음. 그 이후 아파트 새집증후군 및 아기들 아토피가 폭팔적으로 증가 했다. 돈 때문에 오염된 시멘트를 사용했는데 치료비로 더 돈을 쓰게 됐다.
@user-yb7yb8uo4j
@user-yb7yb8uo4j Жыл бұрын
환경과 건강에 심각한 문제이네요! 너무좋은 취재내용 감사드리고 응원합니다!!
@user-kr1qt3um2j
@user-kr1qt3um2j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옛날에 지어진 건물이 중금속에 안전하겠네~~~~
@user-bw2xo5tb1h
@user-bw2xo5tb1h Жыл бұрын
원래 그 시작이 97년 imf 사태이후 일본에서 돈밥고 폐기물 수입해다가 시멘트 만드는데 쓰였다고 하드라구요..
@zzang2905
@zzang2905 Жыл бұрын
이러한 사회문제를 계속해서 파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bkk3892
@bkk389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이런 프로가 있어야만 합니다.
@Materials-for-house
@Materials-for-house Жыл бұрын
전에 최병성목사님이 쓴 대한민국 쓰레기 시멘트의 비밀 이라는 책을 본게 거의 10년전이었던것 같은데 아직도 이 문제가 해결안되고 이렇게 흘러가는게 참....
@user-et7il2hq6c
@user-et7il2hq6c Жыл бұрын
자연계에 존재하는 복어독도 시멘트 협회 부회장 국그릇에 넣어주고 싶어요
@newtern1
@newtern1 Жыл бұрын
시멘트 협회 부회장이 소시오패스 인듯......
@chelubongan1889
@chelubongan1889 Жыл бұрын
시맨트공장이 오염물질을 많이 토해 내는데 환경부가 방치하면 ...이미 개발 된 기술이 나왔으면 교체해서 오염을 막아야지...방치면 국민은...
@user-nb1yi7rm6y
@user-nb1yi7rm6y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제일로 잔인한것 같네요 ㅡㅡ 이 영상 널리 좀 퍼지게 해야함!!
@newtern1
@newtern1 Жыл бұрын
시멘트 협회 부회장이 소시오패스 인듯......
@user-ng9kg8zv4n
@user-ng9kg8zv4n Жыл бұрын
동해 무릉계곡내 시멘트 공장에서 사시사철 매연이 쏟아져 나오고 있내요…안타깝내요..이런 쓰레기로 지은 아파트에 살아야 하는 우리들이..
@user-yq4zx9sc2g
@user-yq4zx9sc2g Жыл бұрын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자신들의 배만 불리려는 자들은 사업자를 취소하고, 관리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는 공무원이란 자들이 직무를 해태 한 경우에는 즉시 파면하고 구속하여 그 죄를 엄중히 물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그것이 부당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자신들의 가족을 가장 먼저 그 지역에 거주 시키도록 하는 것이 합당한 처사 아닐까 싶네요.
@user-rosy
@user-rosy Ай бұрын
민간소각장이나 시멘트업계를 통해 사업장쓰레기 외에 생활쓰레기 처리를 하는 대안도 있건만 지자체 공공소각장에만 쓰레기 처리물량을 몰아줘야 한다는 그 놈의 발생지 처리원칙이란 기만술 때문에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임. 엠비씨 방송 보니 민간소각장 처리비용이 톤당 26만원, 쓰레기매립이 톤당 13만원 공공소각장이 톤당 10만원이라는데, 민간소각장은 발생지 처리원칙 때문에 생활쓰레기를 처리 못하니 처리비용이 비싼 거 아닌가? 생활쓰레기도 처리 가능하게 하면 규모의 경제로 처리단가가 절감될 것 같은데~~ 주민 거주지역 300m 인근에 공공소각장 곳곳마다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순환센터니 라는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환경팔이 사기)으로 유해상품을 친환경인 것처럼 정당화하면서 지역주민들 기만해가며 혐오시설을 설치 운영해서 소각장 이권카르텔 지들끼리 정부보조금 해먹으려는게 팩트겠지~~
@user-vr6zo8sc3u
@user-vr6zo8sc3u Жыл бұрын
유니온 시멘트가 흥해야됩니다...
@pig7699
@pig7699 Жыл бұрын
생각지도 못한 주제라 흥미있게 봤습니당. 감사합니다.
@jjinjaU
@jjinjaU Жыл бұрын
시멘트 구성물질 위험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쉬쉬하며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었다. 이제와서야 방송에서 다룬다는게 신기하고 놀라울 뿐. 결론은 이래저래 국민들은 서서히 병들어 죽어가고 있는 셈.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Жыл бұрын
아는 사람은 다 알죠 그래서 몇십억씩 하는 콘크리트 덩어리가 이해가 안가는 1인 입니다. ㅎㅎ 새 아파트는 죽어도 들어가시면 안됩니다.
@user-jx6tr4gp7x
@user-jx6tr4gp7x Жыл бұрын
동해시에서 쌍용시멘트공장을 폐쇄해야 한다.
@user-yz3vo2ps4q
@user-yz3vo2ps4q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방송이네요~~~~
@kbssisa
@kbssisa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user-zt4yo2re2h
@user-zt4yo2re2h Жыл бұрын
폐기물이 다 타지 않는 것도 많습니다 그래서 다 재로 변하니까 괜찮다 약품처리하니까 오염물질 낮추고 괜찮다하는데... 실상 가보면 장난 아닙니다... 폐기물 업체 또는 소각로업체에서 일해보면.. 냄새.. 슬러지 엄청 많이 나와요
@subm1300
@subm1300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일본 폐기물 수입해서 이런 짓 했었는데 아직도 그대로네요. 살인죄에 준해서 처벌해야 하는데 벌금내고 끝이니까 이러는거죠.
@SJ-zq6dd
@SJ-zq6dd Жыл бұрын
이미 십수년전에 6가크롬(1급 발암물질) 폐기물 시멘트관련 MBC 다큐를 본 적 있는데, 전혀 달라진게 없다는게 놀라울 정도. 기업윤리 문제도 심각하지만, 유해물질 노브랜드 카스테라, 농약&살충제 범벅 봄 나물, 가습기 살균제 참사까지.. 뭐든지 이슈화되기 전까진 관계당국의 무책임, 안일하고 태만한 대처도 항상 문제를 키운다
@thom777
@thom777 Жыл бұрын
12:50 유니온시멘트는 안나왓네요
@user-nq6lt5kz7y
@user-nq6lt5kz7y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암발생1위인 이유가 발암불질아파트에 사는사람들이 많기때문임... 아토피도 시멘트에있는 발암물질때문임... 솔직히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멘트대부분이 폐기물과 연소된석탄 석회같은거 섞어서 만든다는건 아는사람은 모두다 알고있음.... 하지만 정부에서 쉬쉬하고 뒷돈쳐받고하니 고통받는건 국민들 ㅉㅉㅉ
@user-hl3xh1gb3i
@user-hl3xh1gb3i Жыл бұрын
10년전에 대기업 래미콘 회사 품질쪽에 일했는데 2년반 일하고 여기서 일하다간 암 걸려 죽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 그만 뒀네요. 매일 목에 머리카락 걸린 느낌에 코속에 수포 올라오고 진짜 심각합니다. 그만둬서 다행이 건강 챙겼네요. 그만두고도 몇년동안 목이 안좋아 정밀검사 했는데 성대에 혹이 발견되었고 다행이 양성 혹이었어요. 지금 아파트 다 저런 래미콘으로 만듭니다. 매우 심각합니다.
@user-rosy
@user-rosy Ай бұрын
민간소각장이나 시멘트업계를 통해 사업장쓰레기 외에 생활쓰레기 처리를 하는 대안도 있건만 지자체 공공소각장에만 쓰레기 처리물량을 몰아줘야 한다는 그 놈의 발생지 처리원칙이란 기만술 때문에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임. 엠비씨 방송 보니 민간소각장 처리비용이 톤당 26만원, 쓰레기매립이 톤당 13만원 공공소각장이 톤당 10만원이라는데, 민간소각장은 발생지 처리원칙 때문에 생활쓰레기를 처리 못하니 처리비용이 비싼 거 아닌가? 생활쓰레기도 처리 가능하게 하면 규모의 경제로 처리단가가 절감될 것 같은데~~ 주민 거주지역 300m 인근에 공공소각장 곳곳마다 자원순환시설이니 자원순환센터니 라는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환경팔이 사기)으로 유해상품을 친환경인 것처럼 정당화하면서 지역주민들 기만해가며 혐오시설을 설치 운영해서 소각장 이권카르텔 지들끼리 정부보조금 해먹으려는게 팩트겠지~~
@yanginkyu
@yanginkyu Жыл бұрын
동해네. .진짜 24시간 연기나오는거보면,대단하긴해요. 환경법이 있을텐데. .위에것들이 무마하것죠. .
@ap6845
@ap6845 Жыл бұрын
구독했어요 정말 프로그램 잘 만드시네요
@dkchoi7131
@dkchoi7131 11 ай бұрын
참 재미있는게, 어른들이 돈을 벌어서 자기집 자식들 배불리려고 환경을 팔아먹었는데 결국 그 자손들이 모든 패악질을 몸으로 감당해야되는 지경까지 옴. 더 큰 문제는 지금 시스템은 부의 세습이 되어버려서, 누가 바꾸려고 하면 큰 반발을 일으킴
@ttkk9040
@ttkk9040 Жыл бұрын
5년에서 8년사이 아파트들이 특히나 많다고 들었음. 난 10년이상된 아파트 들어갈 예정. ㅜㅜ 이분야 전문가는 오마이뉴스 한 목사님이 글 완벽합니다.
@sdhs172sj
@sdhs172sj Жыл бұрын
꼭 이렇게 입으로 국민 국민 하는 애들이 등쳐먹던데
@user-sd2nr8bo2g
@user-sd2nr8bo2g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그 뿐만아니라 공구리 재료인 골재에도 또 다른 문제점 투성이입니다
@hawaiian_kona
@hawaiian_kona Жыл бұрын
1등! 건축자재 관리가 시급하네요. 유니온 시멘트만 불검출....
@user-zr4uz8il7r
@user-zr4uz8il7r Жыл бұрын
폐기물 시멘트가 무해하다는 소리는 개소리입니다. 현재 제가 살고 있는 집이 전 세입자가 멋부린다고 벽지위에 친환경 시멘트를 덧발라 노출콘크리트처럼 꾸며놨는데 살기 시작한지 몇달만에 온몸에 피부병이 생겨서 현재 6년째 앓고 있습니다. 다른 곳으로 이사할 여력이 없어 그냥 그대로 살고있는데 금방 나을줄 알았던 피부병이 계속 재발되는걸 알았으면 진작에 이사를 갔겠죠. 엄청난 독소를 계속 뿜어대기에 저의 면역력으론 못버티는것이겠죠. 심지어 전세입자가 하는말이 본인도 걱정되서 비싼 친환경 시멘트로 발랐다고 했지만 업계의 상술에 모두가 피해자인것이죠.. 지금 아토피를 앓고있는 아기들이나 청소년 성인 대부분이 시멘트로 덮혀있는 곳에 생활하는것이니 피해자의 수는 헤아릴수 없을거에요
@user-zr4uz8il7r
@user-zr4uz8il7r Жыл бұрын
@@pro_baeksoo9977 면역력이 남다르게 뛰어나던지, 나중에 죽을병에 걸릴지는 개인차이겠지요? 그런데 이미 방송에서 과학적으로 유해한 성분이 나와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고, 내가 직접 고통을 겪고 있고, 이미 수많은 피해자가 넘쳐나는건 사실인데, 당신이 괜찮으니까 유해성이 없다는 말을 하고 싶은거죠? 그러세요.. 뭐 괜찮으면 쭉 계속 그일 하면서 몸에 유독성 성분 많이 노출되시면 되겠네요. 그런데 참 안타깝네요.. 개선을 해도 부족할 판에 위험환경에 노출된 일을 하시면서 괜찮으니 필요없다고 하신다면 고용주는 참 마음이 편하겠네요.
@doong_A
@doong_A Жыл бұрын
폐기물 시멘트가 무해하다는 소리는 개소리 맞습니다... 전혀 무해하지않다면 시멘트 업계가 아닌 월드 노벨상부터 사이언스 잡지의 기재는 물론, 각종 온갖 돈이란 돈은 다 끌어모았을겁니다. 그야말로 요즘 세계 선도 기업들의 워너비니까요. 세계적으로 친환경에 앞장서겠다는 서명운동 및 각 나라별 규제와 법안이 속속들이 마련되고 있는 현재로는 그 어느 국가라도 폐기물 시멘트가 무해하다는 개소리는 하지 않습니다.
@sjl8724
@sjl8724 Жыл бұрын
@@pro_baeksoo9977 네 네 장하심니다 많이 드십쇼
@user-sd2nr8bo2g
@user-sd2nr8bo2g Жыл бұрын
시멘트뿐만 아니라 그 외벽 마감지 인테리어에 쓰인 자재들도 크죠
@lockkey7859
@lockkey7859 Жыл бұрын
@@pro_baeksoo9977 많이해라
@masteroffantasy
@masteroffantasy Жыл бұрын
건강과 안전을 해쳐서 돈으로 바꾸는 일로 사업하는자들. 결국 생명을 돈으로 바꿔서 이익을 챙기는 극단적인 구조가 만들어진다.
@sunyoungkim1312
@sunyoungkim1312 Жыл бұрын
유니온(청주) 시멘트만 유일하게 6가크롬이 나오지 않았다니... 문제는 유니온 시멘트로 지어진 집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지 않나요?
@user-ot3ct7ml2l
@user-ot3ct7ml2l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버린것은 언젠가는 반드시 되돌아오게 되어있다.
@mensakor
@mensakor Жыл бұрын
인간을 죽여서 자연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선 친환경맞네 ㅋ
@user-gk8fs6yu2s
@user-gk8fs6yu2s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lv7kz2qd5r
@user-lv7kz2qd5r Жыл бұрын
최고의 댓글입니다!!ㅋㅋ
@ggacatgun
@ggacatgun Жыл бұрын
시멘트는 유니온 회사걸 써야겠군....유일하게 불검출...
@user-zb4le2ed3e
@user-zb4le2ed3e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콘크리트 덩어리를 물에 넣어 물고기가 얼마나 생존하는가를 실험한 영상이 생각나네.. 한국산 시멘트덩어리는 전부 물고기가 죽었고 어이없게도 중국산 덩어리를 넣은곳의 물고기는 죽지않았죠...지금은 중국산도 쓰레기를 넣을지 모르지만 당시에는 안넣은듯... 시멘트를 어떻게 만들었냐에 따라 달라지는점을 보여준 영상...
@user-tc6et1mj3n
@user-tc6et1mj3n Жыл бұрын
그건 실험자체가 잘못된거에요 시멘트는 원래 강알칼리이고 알칼리상태에서 그강도가 유지됩니다 오히려 물고기가 멀쩡할정도로 ph유지가 안되니 강도유지가 안되는 중국산이 문제인거죠
@Healing-Story
@Healing-Story Жыл бұрын
이 나라에 암발병률이 1위 인것은 아파트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토피 피부병등등 전부다 시멘트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공기 좋은 시골로 내려가면 병이 낫는 게 바로 이 원인이 아닐까요? 게다가 일본에서 수입하는 각종 폐기물도 시멘트에 들어간다고 하는데 그게 정말인지 알고 싶네요.
@sylee481
@sylee481 Жыл бұрын
일본 폐타이어 대량으로 수입하여 시멘트 연료로 사용합니다. 한마디로 쪽팔리는 짓이지요.
@user-sd2nr8bo2g
@user-sd2nr8bo2g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국내 폐타이어도 소진 못하고잇으면서
@user-th5zn6rw5s
@user-th5zn6rw5s Жыл бұрын
처리비용 까지 줘서 일본 폐기물 받는거죠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Жыл бұрын
@@sylee481 일본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산업폐기물(석탄재)도 수입해서 시멘트에 섞어쓴다고 합니다. 검색 ㄱㄱ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Жыл бұрын
@@corporatedemocrat 석탄재는 2023년(?)부터 수입금지 됩니다. 정확한 날짜는 확인 해봐야 되지만 앞으로는 수입 못하게 법제화 한걸로 압니다.
@user-hu2xn6bk7e
@user-hu2xn6bk7e Жыл бұрын
저런 인간들은 음식물 쓰레기로 버린걸 죽으로 끓여서 하루 세끼 먹이면서 감방에 가둬야하는데....건강식이라고 하면서...
@user-et7il2hq6c
@user-et7il2hq6c Жыл бұрын
유니온 시멘트를 써야 겠구만....
@user-ht4ud4tf7n
@user-ht4ud4tf7n Жыл бұрын
시멘트가 우리의 일상에 얼마나 많이 접해있는데 발암물질 덩어리 라고 하니 심각한 문제네요 😢😢
@kangminmoon2443
@kangminmoon2443 Жыл бұрын
이러니까 규제를 해야되. 회사들은 돈 벌려고 별의 별 짓을 다하고 거기서 일하는 사람들은 양심도 없고 내 일 아니니까 나몰라라하고.. 무섭다
@wiley-spy
@wiley-spy Жыл бұрын
이미 일본 동부에서 발생한 폐기물에 방사능이 피폭되어 한국 시멘트에 혼합되고 있었습니다. 새마을 운동 석면 슬레이트 지붕 이후로 암환자 폭증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태어날때부터 몸이 약해서 폐결핵 빈혈인줄로만 알았지요. 폐결핵이면 이혼사유였습니다. 집안재산 거덜난다나?
@maham2823
@maham2823 Жыл бұрын
무섭다. 폐기물시멘트로 지은 교도소 만들어 거기에 업자들 관계자들 집어넣길 바랍니다. 쓰레기 인간들은 그런곳이 어울립니다.
@user-ev2uv3gk4i
@user-ev2uv3gk4i Жыл бұрын
기후변화쎈타 사무총장의 인터뷰 "소송을 생각중이다". 시멘트협회 부회장의 뻔뻔스런 괴담을 들으니 오싹 ! 취재내용은 심각 수준을 넘었으니 이미 소송을 했어야 KBS시사 취재진 모두에게 감사 말씀 올립니다.
@newtern1
@newtern1 Жыл бұрын
시멘트 협회 부회장이 소시오패스 인듯......
@user-lz2vs5id7k
@user-lz2vs5id7k Жыл бұрын
청주 유니온 시멘트만 6가크롬이 나오지 않는군요.
@thom777
@thom777 Жыл бұрын
12:50 그러게요. 아세아도 1이면 다른 회사에 비해 엄청 적게 나오네요
@lorenlove341
@lorenlove341 Жыл бұрын
시멘트 재료로 쓰이는 폐석탄, 폐타이어, 폐슬러지, 방사능 쓰레기 일본에서 이명박 때부터 계속 수입해 왔는데... 우리 환경부가 친일이라서...
@fragrancemee2198
@fragrancemee2198 Жыл бұрын
그런 시멘트로 아파트 지어서 애들 아토피가 급증했죠 그래서 10년 이내에 지어진 아파트에 살기 싫어요... 오래 된 게 더 좋아요
@gokuma8028
@gokuma8028 Жыл бұрын
김대중때부터임 찾아보삼
@lorenlove341
@lorenlove341 Жыл бұрын
@@gokuma8028 맞아요... 이명박 이전부터 수입되고 있었어요... 근데 환경 오염시키는 폐쓰레기를 수입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일어서 수입이 멈췄죠 어이 없게도 도쿄대지진 이후 이명박이 일부러 일본에 폐쓰레기 처리해 주겠다고 직접 연락을 해서 다시 수입하게 됐다고 해요 역시 일본 대통령은 다르죠.
@user-gy2dx3bd4r
@user-gy2dx3bd4r Жыл бұрын
@@gokuma8028 동일본 대지진이후 방사능오염된 폐기물도 많이 수입해 온건 사실입니다
@jongkim8386
@jongkim8386 5 ай бұрын
아주 훌륭한 영상입니다. 성원합니다
@user-wg1ox7kq2r
@user-wg1ox7kq2r Жыл бұрын
정치.검찰.경찰.환경부 유착없이 이럴수는 없다.
@alone_stand-tj
@alone_stand-tj Жыл бұрын
아니 소각하는 건 상관 없는데 최소한 환경이나 사람을 생각해야지... 이게 말이 되나...??
@user-ts6dv7um5m
@user-ts6dv7um5m Жыл бұрын
저런걸로 아파트 짓고 건물 지으면 인간은 병들어 죽어나가겠군요
@user-oy5js5jb1y
@user-oy5js5jb1y Жыл бұрын
시멘트에 이것저것 석어도 되도록 누가 정한거냐
@rucasbrother
@rucasbrother 11 ай бұрын
일가족이 다 암에 걸리는 일도 있습니다. 지인이 보험심사하는데 너무 안타깝다 하더라구요. 시멘트 문제 정말 심각합니다.
@user-mg8kx2qj3s
@user-mg8kx2qj3s Жыл бұрын
울산 송원산업 심각합니다.. 경력 학력 보면은 노답인 애들도 가족연으로 다 들어가고있어요.
@himacor
@himacor Жыл бұрын
유니온 시멘트 불검출!
@user-zt7lu7kd2k
@user-zt7lu7kd2k Жыл бұрын
서울에시멘트 공장이 들어서야한다
@e1sin181
@e1sin181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인간을 스스로 죽도록 만드는 거지
@inhoabc1341
@inhoabc1341 Жыл бұрын
폐기물덩어리 독성 물질을 친환경이라고 와 참 대단하다 살고 있는 주택,아파트의 주 성분인데 이런씩으로 관리되다니 역시 대단한 나라다
@greenpoem2
@greenpoem2 11 ай бұрын
아...이거 너무 끔찍한 상황이네요
@user-ew2zk4rl4o
@user-ew2zk4rl4o Жыл бұрын
신규 아파트로 이사온 우리 딸아이 친구는 코피가 많이 나서 결국 이사를 갔었다 그 아이도 이런 시멘트 피해자일까?
@seongjin0110
@seongjin0110 Жыл бұрын
시멘트 온갖 폐기물을 섞어서 만든답니다 그러니 새집 증후군 아토피 생기는 거에요 제철소에서 나오는 1급 발암물질 폐기물 정화해서 말린 사람 인분 폐타일 폐유리조각 화력발전소에서 쓰고나온 석탄가루 석회석석고가루 등...온갖 폐기물이 들어가는걸 일반인 들은 모르더군요!
@sdk7430
@sdk7430 Жыл бұрын
유기농,친환경 등등....처음 시작은 차별화를 위한 마케팅이였겠지만 지금은...글쎄요...너도나도 다 친환경이다~라는 세상이라 환경 관련 규정을 개선했으면 최소한 개도기간을 1~2년이라도 줘서 설비 변경을 하게 하던지 해야지 구식이라고 환경오염물질에 노출되어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영업하게 해주는것부터가 문제의 시작 정상적으로 해도 속이고 하려는 세상인데 법적규제도 받지 않는다? 과연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려고 할까? 설비 개선의 의지도 없고 변화하는 환경규제에 따라가지 못하겠으면 자연스럽게 도태되어가야 하는게 맞다고 봄
@user-mq1my6jl8u
@user-mq1my6jl8u Жыл бұрын
아...이래서 집안에 담배도 안피는 가족이 새 아파트에 입주햇다가 폐암에 걸렸다는 뉴스가 나왔던거구나.. 어떻게 발암이 되나 했는데...이게 원인이였구나...
@hjoshua853
@hjoshua85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일때문에 공단쪽 갔다가 시멘트공장옆 도로에 주차자리가 있어서 주차해놓고 거래처 가서 업무보고 식사하고 4시간정도 흐른후에 차에 갔는데 와 ... 주차한 차들이 하얗게 가루들이 내려앉아있는데 ... 너무 놀랍더라구요 그럼 여기사람들은 저걸 다 마시고 있다는건데 와..... 그후부터는 시멘트공장근처는 안가고싶더군요
@2runjegil
@2runjegil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시멘트가 수출못하는 이유죠. 화력발전소 석탄찌거지. 폐기물 소각슬러지. 하수종말처리 후 슬러지. 폐타이어. 기타등등 어마어마하게 들어갑니다. 해외 시멘트는 맨손으로 만져도 크게 문제가 없지만 대한민국 시멘트는 맨손으로 만지면 울긋불긋 오르죠.
@goldrushtv
@goldrushtv Жыл бұрын
가끔 시멘트를 사서 씁니다. 불금출이 나온 유니온 시멘트 사서 쓰야겠습니다.
@blizzard-src
@blizzard-src Жыл бұрын
중국산 시멘트가 더 안전함 ㅜㅜ
@prodnax
@prodnax Жыл бұрын
새집증후군.. 이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구만.. 결국 개돼지들에게 쓰레기를 먹이고 피를 뽑아 가는구나.
@user-mg8kx2qj3s
@user-mg8kx2qj3s Жыл бұрын
ㄹㅇ 우리나라 문제임;; 특히 울산에 송원산업 화학공장인데 요기에 가족연으로 들어가는게 불과 2~3년전까지 그랬음... 그냥 한마디로 고졸도 인맥으로 들어가고 하는거 ㄹㅇ 없다더라;;;
@cwj7999
@cwj7999 Жыл бұрын
요즘 주택이 거의 아파트 위주인데 시멘트에서 발암물질이 나오니까 암환자가 많이 나오나 보네요..
@dogmoonga
@dogmoonga Жыл бұрын
진짜 프리미엄 고급아파트를 자처하는 브랜드들은 유럽산 시멘트 수입해서 지어야 맞는 거다.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Жыл бұрын
유럽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newtern1
@newtern1 Жыл бұрын
진짜 친환경 시멘트는 청주지역에 있는 유니온 시멘트 회사 하나뿐....... 돈 있으면 건물 지을 때 유니온 시멘트 사용해서 지어달라 해야 할 듯......... 아파트나 건물 지을 때 사용한 시멘트가 유니온 시멘트 인지 물어봐야 할 듯.......
@Yorido_jua
@Yorido_jua Жыл бұрын
와 ㅋㅋ 그냥 의식주 범주 산업은 다 국유화 해야함. 13:30 이미 사람이 손대서 가공을 거쳐 물성이랑 성분이 일부 달라지는데., 가스라이팅 같네 ㅋㅋㅋ 화석 연료로 부터 나와서 자연현상이라고?…ㅋㅋㅋㅋ 화석 연료에서 뽑에 내는 게 인위적인데 무슨..; 수익성 포기 못하니 핑계 열라 대는 것으로만 보임
@user-vt6oo3wm5t
@user-vt6oo3wm5t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user-wn9uk6tu7s
@user-wn9uk6tu7s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중국산 시멘트 수입 자유화 해라. .그러면 업계 정신차린다. 적어도 중국산은 유연탄으로만 생산한다고 한다...
@user-qr3fp7bz6l
@user-qr3fp7bz6l Жыл бұрын
울나라 암발병률이 높은게 다른게 문제가 아니었네~~ 미세멎지도 문제가 되겟지만 건물자체가 발암덩어리였어~~ 이게 제일 큰문제였고 다른 미세먼지들은 부차적인 거였어~~
@user-yv5fm2ff8t
@user-yv5fm2ff8t 11 ай бұрын
어려운취재에 감사드립니다
@user-mw7mm1ow4j
@user-mw7mm1ow4j Жыл бұрын
시멘트회사님 페기물 안 넣을수는 없지만 페기물양을 좀더 줄여서 시멘트를 만들어서면 합니다. 그렇게 해야 인체에 한도내에서 해가 없을것같고 시멘트품질도 높혀질것같습니다. 한국에서만 나온는 페기물만... 외국페기물은 절대 안되고. 정부야 시멘트외국페기물 강력하게 규제 좀 하자 건물이 튼튼하길 바라면 ...
@user-ru9bx5zh4o
@user-ru9bx5zh4o Жыл бұрын
돈받고 처리해주는데 줄일수있겠나요
@MoatsInvester
@MoatsInvester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돈 받으면서 가젿오느데 ㅋㅋㅋ 안할리가 없지
@moonster7839
@moonster7839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도 들어옵니다....후쿠시마산 활어도 들어오는데요 ㅎㅎ
@user-th5zn6rw5s
@user-th5zn6rw5s Жыл бұрын
상당수 일본 폐기물 왜냐 돈도주기 때문에
@user-fw6ro3rg9j
@user-fw6ro3rg9j Жыл бұрын
건물은 저거 써도 튼튼한데 사람이 안튼튼해지지지
@dzemann2
@dzemann2 Жыл бұрын
2000 년 이후부터, 일본에서 발암물질 석탄재 수입, 시멘트 회사 연료로 폐기물 사용 그 뒤로 시멘트에서 뭐가 나와도 대책이 없는 것 같습니다 벌써 22 년이 지났잖아요 ? 국회는 법 만드는 곳이 아니라 복도에 어깨동무하고 눕는 곳이니, 어디에다 하소연을 하겠습니까 ? 선거철에 한 번 인사하고 악수 나누면, 당선되니, 국민이 누구를 뽑아줄지는 이미 결정된 것인데, 뭣 때문에 국민 눈치를 보겠습니까 ? 국민이 자기 동네 정치인을 믿는다는데, 정치인이 긴장할 이유가 전혀 없다는데, 왜 국민의 뜻을 받들겠습니까 ? 결국, 투표장에 가서 누굴 뽑았다고 생각하는데, 국민은 아무도 뽑아준 게 아니었습니다 제대로 뽑았다고 착각할 뿐이죠 그런데, 이 내용을 취재한 사람들, 그리고 정치인, 또 한국의 모든 시멘트 회사 사장, 동네 주민, 아파트에 사는 사람, 이 사람들이 일 년 씩 자리를 바꿔 일을 한다면 바뀌는 게 있을까요 ? 세대를 넘어가면 또 바뀔 수 있을까요 ? 나는 그 자리에 가면 같은 일을 인수 받아 똑 같이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매일 5,000 만 건의 사고가 터지는데 한 사람이 어떻게 감당을 할 수 있을까요 ? 싼 시멘트도 써야 하고, 아파트에서도 살아야 하고, 시멘트 업계도 보호 받아야 하고, 이 어려운 문제를 누가 해결할 수 있을까요 ? 편향적인 인간들이 ? never 그냥 이렇게 살다가 늙어서 병원에서 시간 다 보내는 것이죠 남의 탓만 하고 있으면 그냥 해결 ?
@user-mw7mm1ow4j
@user-mw7mm1ow4j Жыл бұрын
정부야 외국페기물까지 시멘트에 집어넣지 말게 강력하게 규제하자 요즘 아파트,건물부실 시멘트를 한국 페기물 아주 조금넣고 품질을 높혀야 할듯...
@user-om4xx2ng4u
@user-om4xx2ng4u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레미콘 생산업체 전체를 성분조사하고 결과를 표기하도록해야
@user-fe8zl5ox1z
@user-fe8zl5ox1z Жыл бұрын
이건희 집지을때 한국산 시멘트 사용하지 않고, 일본산 사용했다고하지.. 그당시 일본은 폐기물을 사용하지 않고, 전량 석유나 유연탄으로 시멘트 생산할때니까... 재벌조차도 한국산 외면하면 답나온거지..
@bada7523
@bada7523 Жыл бұрын
이 문제 최병성 목사가 책 내고 고발한게 한 10년은 넘은 것 같은데 아직도 ㅋㅋㅋ
@ygtyt44
@ygtyt44 Жыл бұрын
그만큼 나라가 썩었다는거지
@dae-heuilee8200
@dae-heuilee8200 Жыл бұрын
너무 황당하다. 폐기물 집이라니.
@user-xp5qs9ig5g
@user-xp5qs9ig5g 11 ай бұрын
10년째 우리는 저런 시멘트로 건물 짖고 있지. 한국 시멘트는 멘손으로 만지면 큰일나. 손 피부 다 날라가. 베트남도 저런 시멘트는 사용 안함. 물을 많이 넣어서 장난질 해도. 저건 시멘트 라고 부를수도 없씀.
@LOVELOVE-dx7fo
@LOVELOVE-dx7fo Жыл бұрын
10년전인가 원전에서나오는 폐기물 울나라는 그냥주고 일본은 돈도주고 방사능폐기 가져가라해서 그수익이녗백억 이라햇던거같은데 시멘트로돈버는게아니라 일본서 원전페기물 돈받고 가져오는게 수익이더큼 ㅎㅎ
@streamrider17
@streamrider17 Жыл бұрын
12:27 시멘트회사별 중금속 함량 비교표
@trevorjeong2353
@trevorjeong2353 Жыл бұрын
부회장 저사람 말하는거 사실인지 확인되면 좋겠네요 증명은 저쪽에서 해야할 것 같은데
@user-jl2eu3fy3m
@user-jl2eu3fy3m Жыл бұрын
구독완ㅇ료
@realmac999
@realmac999 Жыл бұрын
관리감독 기관 부터 조사해야됨
@user-oc6de3xx8l
@user-oc6de3xx8l Жыл бұрын
폐기물 수거업체 사장들집 저걸로 지어 드립시다..적정가에 들어가서 사세요.. 자기는 싫으면서 1%도 무해하다는 건 말이 안돼죠.. 완벽하게 검증되지도 않을걸 억지인식 시키는것이라고 봅니다.
@user-ko6vp4fs1n
@user-ko6vp4fs1n Жыл бұрын
환경부 장관과 그담당자들모조리 파면하라
@user-ms1rc6ql5x
@user-ms1rc6ql5x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지었던 건축물은 레알 무식하게 시멘트만 무식하게 섞어놔서 초기강도는 떨어지지만 시간이 지남에따라 강도가 서서히 증가.. 건축물도 오래가고.. 근대현재기술은 시멘트에 석탄찌꺼기, 철강찌꺼기등 섞어놔서 초기발열이 좋아 금방굳는대신에 그만큼 수명이 줄어듬.. 이게다 빨리짓고, 싸게 짓기위한 기술이 그런쪽으로만 발전해와서 그럼ㅋ
@user-vt7vd8qw4n
@user-vt7vd8qw4n Жыл бұрын
이걸 이제야알았다니 옛날부터 있었던일인데
@hsj3573
@hsj357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폐기물을 일본에서 수입해서 쓴다는 말도 있었는데..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8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The joker's house has been invaded by a pseudo-human#joker #shorts
00:39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80 МЛН
당신이 모르는 시멘트 이야기
50:33
CJB 청주방송
Рет қаралды 22 М.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