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함, 편안함, 연비를 위한 엔지니어링 - 변속기의 진화

  Рет қаралды 185,592

유휘

유휘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자동차상식 #자동차역사 #자동차이야기
모빌과 함께하는 다섯 번째 이야기는 변속기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변속기가 달린 차량을 운전하고 계신가요?

Пікірлер: 252
@driveismylife6378
@driveismylife6378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차좀 좋아하기 시작했더니 수동이 없어지고 이젠 내연기관마저 끝을 달려가는 중이라는게.... 참 씁쓸하지만 찬란했던 역사네요😂
@user-mk3sr9hl5h
@user-mk3sr9hl5h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ㅠ 좀만 더 일찍 태어났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brianj1601
@brianj1601 Жыл бұрын
면허 따고 처음 아버지 회사 봉고프런티어로 몰던거 생각나내요ㅋㅋ
@user-zg5ev5px6n
@user-zg5ev5px6n Жыл бұрын
우리에겐 하이브리드와 E퓨얼 이라는 대체 연료라는 희망이 남아있습니다
@23236543
@23236543 Жыл бұрын
혁명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도태되는 겁니다. 이 세계는 항상 그렇게 진화를 해왔습니다.
@yz.21
@yz.21 Жыл бұрын
​@@23236543맞아요. 우리가 사랑하는 내연기관이 처음 나왔을 때도 말 타면 되지 뭘 시끄러운 기계를 타냐고 지금처럼 반발이 컸죠. 결국 신세대들은 전기차에 로망과 애착을 가지게 될테고 먼 미래에는 또 다른 방식의 운송수단에 대해 전기차세대가 반발을 하겠죠. 그래도 내연기관 시대가 저물어가는게 아쉽네요😢
@VR46..
@VR46.. Жыл бұрын
진짜 공학도들 대단
@yangsu94
@yangsu94 Жыл бұрын
전자식이아닌 기계식 수동이..진짜.. 발끝과 손끝에 엔진의 진동이 느껴지는 생동감이 있다. 시내 주행하다보면..무릅 나가겠지만 말이다.
@user-dr7xy4gk9j
@user-dr7xy4gk9j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적어보자면 자동변속기가 수동보다 비싸고 연비나 운동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은 과거에는 자동변속기의 다단화가 굉장히 어려웠습니다(물론 벤츠같은 고급차량은 빠르게 6~7단 적용)그래서 수동기어가 5단을 쓸때 자동은 4단이 기본에 경차같은경우 3단까지만 쓰는등 불리한점이 많았습니다(나온지 20년된 EF도 5단자동이 없었으니까요) 그러다가 자동기어가 다단을 쓰기 시작하자(국산 중형세단은 토스카가 5단자동 처음적용)그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다만 높은출력을 견디는건 좀더 이후 이야기라 벤츠를 보면 SL65 AMG도 그 무지막지한 토크를 못견뎌서 고작 5단만 넣을정도였습니다
@Y_Lim
@Y_Lim Жыл бұрын
토스카는 보령 6단 밋션입니다ㅎㅎ
@user-dr7xy4gk9j
@user-dr7xy4gk9j Жыл бұрын
@@Y_Lim 초기형은 아이신 5단입니다 중기형 프리미엄6부터 6단 보령미션이 넣어지고요
@Y_Lim
@Y_Lim Жыл бұрын
@@user-dr7xy4gk9j ㅇㅎ 그렇군요
@lingnewskil5339
@lingnewskil5339 Жыл бұрын
​@@user-dr7xy4gk9j토스카 초기형 아이신4단부터 시작일거에요
@user-dr7xy4gk9j
@user-dr7xy4gk9j Жыл бұрын
@@lingnewskil5339 초기형이 5단이고 초기형LPG엔진이 4단이 맞물립니다
@Manrebsicee
@Manrebsicee Жыл бұрын
울 아부지도 스틱 아방이를 모는데 언덕에서 출발할때 뒤로 밀리는 그 느낌 떨리면서도 짜릿합니다
@kiyomiyoki
@kiyomiyoki Жыл бұрын
첫차로 이지트로닉 재미있게 탔는데 MCP도 다뤄줬으면 좋겠네요.
@gagambong1
@gagambong1 Жыл бұрын
완벽하게 이해햇어❤
@user-zq3ye6qg7z
@user-zq3ye6qg7z 11 ай бұрын
싱크로메시와 디퍼런셜을 개발한 엔지니어는 천재아닐까싶어요 어떻게 그런생각을 했을까 대단합니다.
@MaerongYeeya
@MaerongYeeya Жыл бұрын
다양한 브랜드의 버튼식 기어셀렉터와 사용법 궁금합니다 지난번에 컬럼식 기어편도 재밌었어요
@LONDON883
@LONDON883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D
@user-cx7eo3pp4v
@user-cx7eo3pp4v 7 ай бұрын
몇번봐도 이해가 힘든데 이걸 발명한 사람들은 진짜 천재다 ㄷㄷ
@NJD2.0
@NJD2.0 Жыл бұрын
영상퀄리티 넘좋은데
@user-gl4eh5bx6k
@user-gl4eh5bx6k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댓구알!
@jrunsa1216
@jrunsa1216 Жыл бұрын
Good job
@fat_sorrow
@fat_sorrow 11 ай бұрын
와.................. 영상 대단,,,
@rkd350z
@rkd350z 10 ай бұрын
수동만 17년 타고 있습니다. 저는 수동이 좋아요. 여러차 보유하고 있는데 1대빼곤 다 수동입니다.
@uisun79
@uisun79 Жыл бұрын
98년 면허 처음 따서 프라이드 수동 변속기 차량을 운전했었죠 그 덕분에 아직도 수동기어에 대한 추억이 있습니다ㅎㅎ
@lukluke2461
@lukluke2461 11 ай бұрын
자동차의 시작이자 표준이었던 내연기관의 시대가 끝자락을 달리고 있다니... 참 대단한 시대에 태어난것 같습니다.
@old_car_story
@old_car_story Жыл бұрын
그 프라이드 아직 운행하고 있어요! 수동변속기 차량이 점점 사라지는 것이 아쉽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우앗!! 대단하시군요 아직까지 운행이 가능한 프라이드가 있었다니 존경스럽습니다:D
@smilezack
@smilezack 9 ай бұрын
진짜 스틱이 존잼이지 정말 이해하기 쉽고 알찬정보네요 ㅎㅎ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j4wr7vc1z
@user-yj4wr7vc1z 11 ай бұрын
직결감을 온몸으로 느끼는 느낌 ㅋㅋ
@jsp3262
@jsp3262 9 ай бұрын
이해하고 보면....정말 개발자들은 천재가 맞음
@sync2ne198
@sync2ne198 9 ай бұрын
엔지니어들의 기술력과 상상력에 감탄만..
@user-co7rt9lt5g
@user-co7rt9lt5g 11 ай бұрын
일반차량에는 토크컨버터가 짱입니다 내구성도 좋구 ㅎㅎㅎ
@linchoo7313
@linchoo7313 Жыл бұрын
그러고 보니 저도 96년도 소나타2수동을 처음 접할때의 그짜릿함을 잊지못하고 계속 수동을 타왔는데 이젠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오토가 편하네요ㅎㅎㅎ
@atnunno2680
@atnunno2680 Жыл бұрын
조금더 딥~ 한 내용에 영상 기대해도 될까요 ? ㅎㅎㅎ 잘봤습니다!
@user-zc7ho3gd5d
@user-zc7ho3gd5d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오토타는데 그전이 탔던차가 크루즈디젤수동이였는데ㅋㅋ 운전하는 맛이 쫀쫀하고 맛있었는데 왼쪽발목이랑 무릎이 아파서...
@beakshol
@beakshol 11 ай бұрын
제 차량이 CVT인데, 2500cc배기량 치고는 연비 정말 좋아요. 부산에서 에버랜드 왕복 해도 한칸 남아요
@pokerface7802
@pokerface7802 Жыл бұрын
40톤급 전차인 10식 전차에서 CVT를 채용했던 게 기억나네요
@이장따
@이장따 Жыл бұрын
시험범위네요 잘보겠습니닷
@user-yk9hq4nt1p
@user-yk9hq4nt1p Жыл бұрын
언제 한 번 gt컵 다뤄주실 수 있나요
@FHDUHD
@FHDUHD 7 ай бұрын
5:45 반대쪽 선풍기 돌아가는 데 램프 켜지는 건. 발전기의 전기를 넣으면 모터가 되고 반대로 모터의 동력을 넣어주면 발전기가 됩니다 그 이유는 구조가 서로 똑같기 때문입니다.
@RocketLoveBeat
@RocketLoveBeat 11 ай бұрын
as일할때 다마스 몰았는데 그게 나름 꽤 재미가있엇음
@hyoobee
@hyoobee 4 ай бұрын
저기까지 오는데 수많은 공학자들의 피와 땀과 눈물에 노고를...
@user-yd5cn8cu4s
@user-yd5cn8cu4s 9 ай бұрын
1종대형 딸때 생각나네요. 2:38 버스로 시험보는데 버스는 사이드브레이크가 안풀리면 rpm을 몇까지 올리던 상관없이 절대 안움직입니다. 근데 사이드 풀때... 왼쪽에 레버로 되어있는 신형 차량도 있지만, 오른쪽 레버를 뽑아 180도 돌리고 다시 꼽는 방식, 레버를 오른쪽으로 밀고, 밑으로, 왼쪽, 아래, 오른쪽으로 밀면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리는 방식도 있죠. 미션도 2단 넣고 클러치 안밟고 계속 달리는 상태에서도 4, 6, 8단 위치로 좌우로 움직입니다. 대형트럭 몰때... 자전거 아닙니다. 전진 16단, 후진 4단..;;; 1~8단은 low로, 9~16단은 high로...
@songred5674
@songred5674 8 ай бұрын
수동 운전하고 있습니다. 무릎은 가끔 쑤시지만 제대로 된 자세라면 훨씬 부담이 줄어들겠지요. 출퇴근용, 도심주행용 차라면 자동이 편하지만, 재미를 위한 차라면 역시 수동이지요.
@GoingTurtle
@GoingTurtle Жыл бұрын
이동수단을 목적으로 한다면 수동변속기 별로지만 재미를 목적으로 하면 베스트 임 그래서 얼마전 세컨카(출퇴근등등)로 스파크 수동 하나 업어왔는데 너무 재밌음
@uekrjwiqherwlsndbxhdjkfnme
@uekrjwiqherwlsndbxhdjkfnme Жыл бұрын
내 취향 제대로 저격하는 채널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크으~ 제 취향 제대로 저격하는 구독자분이 오셨군요:D
@EREN-sv6zl
@EREN-sv6zl 6 ай бұрын
수동 재밌긴 한데 무릎 아프고 피곤해서 자동 탑니다....
@user-sp0000
@user-sp0000 4 ай бұрын
변속기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해도 부드러운 체결이 어떻게 가능한지 항상 의문이 남아있었는데요 싱크로나아져가 해답이었나 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kkongbum
@kkongbum Жыл бұрын
아진짜 좋당
@nissangtr6865
@nissangtr6865 Жыл бұрын
오우 정리깔끔하네요
@user-ie7ro4cl2y
@user-ie7ro4cl2y Жыл бұрын
가끔 회사 포터트럭 타고 회사 밖 야외주행 할때 오랜만에 수동변속기 몰아서 재밌긴 한데 오르막에서 차 뒤로 훅 밀리고 시동꺼질뻔 한적 있어서 아찔했음 ㅠ 오르막에서 수동차량 스티커나 수동일것 같은 트럭들 보면 신호대기시에 너무 바짝 붙지 맙시다 ㅠ
@jefeel3024
@jefeel3024 10 ай бұрын
언덕길에서 정차시에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운상태로 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사이드를 풀면서 출발하시면 밀리지않습니다.
@MUGUNJI
@MUGUNJI 9 ай бұрын
그래서 요즘 승용 수동차에는 경사로밀림방지옵션이 거의 기본장착이죵
@fuck0107
@fuck0107 9 ай бұрын
사이드 브레이크 는 장식인가요?ㅋ
@babywoo1763
@babywoo1763 9 ай бұрын
1단은 괴물이라 진짜 어지간하면 안밀리는데 오랜만에 모셔서 그런가보네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Күн бұрын
​@@jefeel3024제가 급경사에서 그렇게 했다가 클러치 태웠습니다 ㅋㅋ 아니 출발할려는데 계속 차가 지나가서 반클을 너무 오래 잡았더라고요....
@user_yong
@user_yong 8 ай бұрын
내연기관은 없어지겠지만, 적어도 재미를 위한 펀카는 수동변속기 옵션이 반드시 존재해아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요즘 나오는 펀카 브랜드들도 아반떼N을 제외하면 수동변속기가 없어서 구매를 망설이고 있습니다.
@Chrome-bz9wy
@Chrome-bz9wy Жыл бұрын
재밋다
@Amer0786
@Amer0786 3 ай бұрын
수동은 진짜 운전이 재미있음ㅋㅋ 피곤은한데 재미는 확실하다
@SUIT_Chimp
@SUIT_Chimp Жыл бұрын
편리함이냐 낭만이냐
@SUGA_-my7pi
@SUGA_-my7pi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로 생각하는 수동변속기 장점: 급발진 걱정 없음, 차도둑 방지, 운전 더 재밌음 면허를 한번에 1종보통으로 따서 그런지 수동변속기를 더 몰아보거 싶긴 해요
@siwooedward501
@siwooedward501 Жыл бұрын
+ 기름을 아낄수있음
@gjl4180
@gjl4180 11 ай бұрын
언덕에서 시동 좀 꺼먹어 봐야... 와 ㅅㅂ... 와... ㅅㅂ... 미치겠네... 심지어 뒤에 차 있음. 근데 한번 꺼먹을때마다 가까워짐... 정신 없어 못봤는데... 벤츠 S클래스... 수동 얘기 다신 안하지...ㅋㅋㅋ
@ugvj1816
@ugvj1816 11 ай бұрын
​@@siwooedward501수동이 연비좋은건 옛말인듯
@Shionne357
@Shionne357 11 ай бұрын
수동변속기로 새차 뽑고 탄지 짐 5년째인데요 그냥 오토 타세용
@Shionne357
@Shionne357 11 ай бұрын
@@siwooedward501 지금은 오토가 더 좋습니다
@user-os4qx3fk1v
@user-os4qx3fk1v Жыл бұрын
11:17 여보야 근데 진짜 들어도 잘모르겠어...
@johnpp83able
@johnpp83able 3 ай бұрын
넣무 좋아요
@lingnewskil5339
@lingnewskil5339 Жыл бұрын
변속기 흐름 정리하는거 쉽지 않으셨을텐데 대단하시네요. 다만 내용이 생각보다 딥하게 파신것에비해 시퀀셜 내용이 빠진게 조금 아쉽네용. 시퀀셜도 레이싱문화에서는 거의 센세이션을 일으킨 물건인데 말이죵. DCT처럼 양산차 주류는 아니지만 그래도 AMT로 묶여나갈정도는 아니라고보는데 ㅜㅜ
@elvenisar
@elvenisar Жыл бұрын
시퀀셜은 별도의 형식이 아니고, 그냥 수동기어인데 기어 조작방식이 다른것 뿐이죠. 메뉴얼 오토바이에선 지금도 쓰고있죠. 그 대척점에 있는건 H식 기어레버. 클러치패달 조작없이 레버만 움직여 변속하는건 시퀀셜레버가 아니라 도그기어가 하는거죠.
@lingnewskil5339
@lingnewskil5339 Жыл бұрын
​@@elvenisar시퀀셜도 수동 안에서는 별도로 봐야하지않을까요? 제 댓글 다시 읽어보시면 AMT라고 했어용. 도그기어는 그냥 체결방식인거고 시퀀셜음 다른 방식으로 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도그기어 사용하더라도 클러치 써야하는게 맞아요 다만 시퀀셜 방식이랑 맞물리면서 출발말고는 전자제어방식이 클러치 사용없이 체결되게해주는거니까요. 위아래로 순차적인 변속밖에 못하니 H시프터방식하고는 다르다고 봅니다.
@user-mm5hz6on6v
@user-mm5hz6on6v 9 ай бұрын
수동 16년 운전했는데 나이 먹고, 도로 차 막히니까 힘들더라 지금은 오토로 운점함 ㅎ
@stellina4557
@stellina4557 Жыл бұрын
그런데 CVT를 하면 토요타, 닛산, 스바루같은 일본차 브랜드가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하는데 스틸벨트를 쓰는 닛산은 르노 코리아도 쓰긴하나 스틸벨트의 내구성 문제가 거론되서 많은 비판을 받는다면 스바루랑 현대 기아차는 스틸 체인을 쓰는 CVT를 쓰는데 현대 기아차는 영상대로 아반떼나 K3 같은 준중형에 많이쓰고 스바루는 엔진 외형때문에 어쩔수없이 CVT를 선택했지만 3.6L에 260마력이나 하는 6기통 수평대향형 엔진에도 감당할수있는 생각보다 강화된 스틸체인을 쓰고 스바루 역시 이거에 자신이 있게된건지 자기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스바루 WRX에도 들어갔습니다.
@davidjh545
@davidjh54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항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매우매우 유익한 채널임이 새삼 느껴집니다~~~^^ 한가지 요청 드려도 될까요~~ 평소에 정말 궁금했던 것인데... 앞바퀴가 4개인 대형트럭이 있죠.. 이런 차량의 앞바퀴들은 직진할 때는 모두 같은 각도로 전방을 향하고 있을텐데요.. 반면 코너를 돌때 4개의 앞바퀴가 각각 어떤 각도로 스티어링이 되어야 원활한 회전이 될지.. 4개의 앞바퀴가 움직이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유휘님께서 이 궁금즘을 좀 해결해 주실 수 있을까요..? 늘 좋은영상 감사히 잘보면서 또 염치불구하고 이렇게 부탁드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9-hyungbongo
@9-hyungbongo 11 ай бұрын
맨 앞바퀴가 더 돌아가고 바로 뒤에것이 조금 덜 돌아가죠
@davidjh545
@davidjh545 11 ай бұрын
@@9-hyungbongo 아.. 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4개의 전륜이 하나의 핸들에서 한번의 스티어링으로 각각의 적절한 원호를 이루도록 하는 무슨 특별한 장치가 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9-hyungbongo
@9-hyungbongo 11 ай бұрын
@@davidjh545 이건 100% 뇌피셜이라서 정확하지 않습니다 처음 설계할때 오무기어라고 부르는 스티어링기어? 그쪽에서 축간거리 등을 계산해서 회전 각도를 정하지 않을까 싶네요
@davidjh545
@davidjh545 11 ай бұрын
@@9-hyungbongo ㅎ 네~~ 뇌피셜이어도 너무 감사합니다~~^^
@a52159355
@a52159355 Жыл бұрын
여기에 앨리슨사의 기계식 자동변속기까지 들어가면... 어우 머리야.
@user-lb3wl9il4k
@user-lb3wl9il4k 11 ай бұрын
급발진 사고가 워낙 많다 보니, 수동변속기 차량이 있으면 그 걸 사고 싶음
@kjb7606
@kjb7606 11 ай бұрын
그럼 아반떼 N을 사
@adeul297
@adeul297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배우고 갑니다 변속기의 시초를 공부를 많이했는데도 자동변속기는 아직도 의아하네요
@유휘
@유휘 7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D
@frandre0321
@frandre0321 11 ай бұрын
운전면허할때 1종으로 봐서 수동변속기를 썼는데 그 변속기 만질때의 그 기분은 정말 좋았던 ㅋㅋ
@DarkKnight-jy1ms
@DarkKnight-jy1ms Жыл бұрын
횬다이의 습식 8-dct는 훌륭합니다
@user-di9xc5cx8h
@user-di9xc5cx8h 10 ай бұрын
클러치가 있어서 변속기 없어도 무한질주는 하지않고 서있을수는 있음
@ManDanis
@ManDanis Жыл бұрын
1:19 뭔가 익숙하다 했더니..링컨차량 계기판인가보네요!!
@warriet29
@warriet29 10 ай бұрын
수동변속기는 분해해서 보면 구조가 매우 쉽죠. 직관적이고.. 그런데 자동은... 허유... 간단한 4기통 엔진도 분해조립을 한번 보면 초보자도 쉽게 가능하지만 자동변속기는 정말 쉽지 않더군요. 얼마 전에 K2 전차 파워팩 때문에 문제가 생길 때도 미션은 쉽지 않다는게 충분히 이해가 되더군요. 게다가 1500마력에 저속 미션... 성공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거죠.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Күн бұрын
괜찮아요 토컨은 복잡해도 DCT는 수동기반이라 그나마 간단합니다 ㅋㅋ
@user-cy5tj9qf4j
@user-cy5tj9qf4j 5 күн бұрын
크레인 100톤ㅊ수동 이던시절 58톤 넘는 차를 몰때 기가 막힘
@user-qo8qr9ld3j
@user-qo8qr9ld3j 9 ай бұрын
CVT는 천천히만 몰고다니면 부드러워서 좋은듯. DCT는 액셀감 적응을 못하면 변속 충격이 느껴져서 개인적으론 그닥인거 같음. 차라리 DCT를 타느니 일반 자동변속기가 훨 낫지 싶음
@hhhhjjjjjify
@hhhhjjjjjify Жыл бұрын
cvt시초는 100년도 더 되었는데... 너무 내구성이 낮아 금방 안쓰였지만.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 9 ай бұрын
수동이 연비 더 좋을거 같죠? 절대 안그래요 ㅋㅋㅋ 알피엠 조지는 맛이 있어서 1단으로 알피엠 3~4천까지 쓰면 자동보다 연비 더 안나오는 경우도 많아요 ㅋㅋㅋ 알피엠 미친듯 조질수 있는게 수동의 또다른 매력
@juwonchoe88
@juwonchoe88 11 ай бұрын
급발진의 위험이 있으니 수동탑시다...
@asrada7521
@asrada7521 11 ай бұрын
2007년 아반떼 수동 구입해서 지금까지 몰고 있습니다.. 유일한 단점은, 서울 시내 통과할때 클러치 조작을 많이 해야 한다는 것 정도네요.. 수동 좋아해서 그런것인데 지금까지 별다른 불만은 읍네요.. 유럽은 아직도 수동 비율이 50% 정도 된다고 하던데, 울나라만 자동이 거의 90% 이상인듯..ㅋㅋ 참고로 전, 자동차 전공한 공학도로서 1종대형/1종보통/2종소형 면허 보유잠니다..ㅎㅎ
@gjl4180
@gjl4180 11 ай бұрын
유럽 수동은 거의 반자동이라고 보면됨. 시동 꺼지려고 하면 클러치하고 브레이크 동시에 밟으면 시동 부활. 우리나라 수동처럼 깡통 수동이 아님... 그래서 진짜 운동신경 없는 사람 빼고는 운전할만함. 반면 우리나라 수동은 진짜 깡통 수동, 그리고 지형 특성상 언덕 많음. 우리나라 운전면허 취득 스타일들 보면 접촉 사고 일상다반사될듯...
@pstarke1066
@pstarke1066 11 ай бұрын
유럽은 대부분이 평지지만 우린 가뜩이나 언덕길도 많은데 2천년대이후론 아파트나 대형마트 지하주차장이 일반화되기 시작하면서 수동타면 여간 불편한게아님 그러니 연비 내구성 포기하면서 자동타는것이죠
@kth4333
@kth4333 Жыл бұрын
전동화에 따라 이제 곧 추억의 유물로 사라질 부품~
@hipasus5151
@hipasus5151 Жыл бұрын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자동차라는 관점에서 볼 때 수동변속기를 운전하지 못하는 사람은 운전을 할 줄 아는 게 아님.
@slightfever37.5
@slightfever37.5 5 ай бұрын
DCT타고 있지만 현대 DCT고질병 말타기... 진짜 열받습니다
@DarkFuse
@DarkFuse Жыл бұрын
수동변속기 이제는 오토보다 출시가 힘들다는 아이러니
@2sdle112
@2sdle112 11 ай бұрын
스틱인데 클러치를 없애고 달아 줄순 없는건가;;;;; 예를들면 옛날 자동변속기에 달린 버튼처럼 누르면 자동으로 클러치가 빠지고 다시 떄면 붙는, 편리함과 운전재미 다 잡을 수 있을 듯 한데
@flyinghippo588
@flyinghippo588 10 ай бұрын
반자동으로 클러치 없이 4단 스틱기어만 있는 미션이 (6-70년대 영국 Leyland 2층 버스) 있었지요.
@user-bw6pk4ug8i
@user-bw6pk4ug8i 10 ай бұрын
스파크에 이지트로닉, 푸조 mcp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Күн бұрын
클러치를 더블로 쓰고 자동으로 조작해주는 DCT가 있긴함...
@user-vx2oj4ty1d
@user-vx2oj4ty1d 11 ай бұрын
진짜 신기함미다 나는파리 살고 이씁니다 여기는 지금수동차가 자동보다 만고 그래서 수동차가편항니다
@user-bw6pk4ug8i
@user-bw6pk4ug8i 10 ай бұрын
유럽 사람들은 수동을 많이 쓰죠.
@MongTan1004
@MongTan1004 11 ай бұрын
돌고돌아서 토크컨버터 이게 짱입죠.. 승용차를 10만키로 전후로 탔다. DCT는 부품 바꿔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토컨은 오일만 교환하면 다음 10만키로까지 그냥 쭉타면 끝..내구성도 좋습죠. 그 욕먹는 현대기아차에서도 토컨오토6단은 내구성에서는 좋다고 합니다. 이미 택시로 증명이되서 나무랄데가 없는듯.. 현기 CVT인 IVT도 결함이 꽤 많아서 욕좀 먹었는데 요즘은 괜찮나 모르것네요.
@kjb7606
@kjb7606 11 ай бұрын
IVT결함은 베뉴만 있었고 아반떼나 K3는 어린애들이 악셀 쭉쭉 쳐밟아 rpm을 급격하게 올리니 CVT가 망가지던거였죠. 곱게타시는 분은 CVT 문제 생길거 없습니다.
@user-bw6pk4ug8i
@user-bw6pk4ug8i 9 ай бұрын
@@kjb7606 곱게타면 어떤 변속기도 문제가 덜하죠. 아반떼 쏘카로 타보니 차가 힘이 없으니 고알펨을 쓸수밖에 없더군요 ivt가 그 전 cvt들에 비교해서 내구성이 좋아졌지만 그래도 문제 생길 확률이 토컨에 비해 높은데 단점이죠. 다만 연비가 진짜 좋긴 하더라구요
@leedooyoung1
@leedooyoung1 10 ай бұрын
이제 수동변속기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있음. 요즘은 트럭도 다 오토로 나옴..
@dingky1981
@dingky1981 11 ай бұрын
매일 봉고3 수동 몰고 있지만 가솔린 수동 한 번 몰아 보고 싶네요...
@gjl4180
@gjl4180 11 ай бұрын
속터질텐데요... ㅋㅋ 1, 2단에서 시동이 꺼진건가?? 싶을정도로 반응이 없으요... 디젤은 1단만 넣어도 힘이 느껴지지만... 그래서 예전에 2종 보통 = 수동면허 시절에 의외로 실기에서 떨어지는 사람들 많았음요. 주로 여자들이 많이 신청해서 했는데 {언덕에서 트럭처럼 반클러치 쓰다가는 90% 이상 시동 꺼짐요.(힘이 없어서리)} 불합격이 엄청 많았다는... 반면 1종의 경우 반클러치만 밟아도 언덕에서 슬렁슬렁 올라감.
@user-bw6pk4ug8i
@user-bw6pk4ug8i 10 ай бұрын
2.5A엔진 초반토크가 얼마나 강한지 느끼게 될것입니다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Күн бұрын
아반떼 AD 1.6 터보 모델인데 타이밍 좋다고 해야하나 안좋다고 해야 하나 어쩡쩡하게 반클 잡으면 꿀렁임도 없이 자연스럽게 시동이 꺼져요 ㅋㅋ
@sumtingwong5451
@sumtingwong5451 11 ай бұрын
승용 자세는 수동 변속기 진짜 불편하고... 포터나 버스의 수동 변속기는 탈만 함.
@730r3
@730r3 Жыл бұрын
시퀀셜 가와!
@bang8701
@bang8701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버스, 트럭 같은 상용도 자동으로 바뀌고 수동 왠만하면 안뽑는 추세입니다. 일부 오래된 화물차들은 있을 수 있지만 오토로 라인업이 바뀌었고 아예 수동 자체를 안만듭니다.(트럭의 경우 수동이 최후까지 남아있던 라인업이 마이티랑 포터, 봉고였습니다.) 버스도 이제 고속사들이 수동 자체를 안빼기 시작했고 시내도 저상버스로만 굴리는 시대가 오면 수동변속기는 정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겠죠.......
@9-hyungbongo
@9-hyungbongo 11 ай бұрын
10톤 이상 화물차는 자동 수요가 예전부터 많았는데 2.5톤급은 아직도 수동이 우세하고(얘네는 완성도가 떨어진다 합니다) 5~9.5톤급은 파비스 출시 이후로 자동 수요가 급증한듯 합니다 시외고속버스는 19년부터 자동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더네요 하지만 CNG먹는 광역은 자동 옵션이 없습니다
@user-go7nu7se8q
@user-go7nu7se8q 11 ай бұрын
수동만 14년차...이젠 지겹다... 다음엔 나도‘자동’차 사야지
@user-zd3lj5gl9f
@user-zd3lj5gl9f 11 ай бұрын
승용 수동으로 면허 따서 수동만 십여년 타다보니 오토 탈 때도 오른 손이 뇌와 다르게 자꾸 기어봉 귀Doo쪽에 올려져 있음요. 쓰담 쓰담 만지작 만지작 불끈
@flyinghippo588
@flyinghippo588 10 ай бұрын
십분 이해됩니다. 운전대가 오른쪽인 나라에서 운전하다 보니 한국이나 미국가서 왼손이 문쪽으로 가있는걸 몇번 느끼었지요. 심지어 반대편 차선으로 나도 모르게 운행한적도 있었고요.
@kkolzi
@kkolzi 11 ай бұрын
운전은 어려워져야 한다..
@user-zu9cm9ll5l
@user-zu9cm9ll5l 9 ай бұрын
건식 미션 방식 습식 미션 방식 은 미션오일 하고
@meltdown2724
@meltdown2724 9 ай бұрын
수동 디젤 한 4년 몰았었는데 급경사에서 밀림없이 올라갈 경지까지 가야 진정한 수동운전사ㅋㅋㅋ 근데 등땀 존나남ㅋㅋㅋㅋ
@user-rb9mi8mx1b
@user-rb9mi8mx1b Жыл бұрын
DCT 말고 싱글클러치 자동변속기도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혹시 이건 시퀀셜인가요?? 싱글클러치변속기 구조가 궁금합니다
@QkrQkrajfl
@QkrQkrajfl Жыл бұрын
dct에서 클러치 하나빠진거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할거에요 10:44 부분 오른쪽부분 보시면 클러치 두개가 번갈아가면서 바뀌는대 싱글클러치는 하나로 모든기어단수를 담당합니다.
@user-wy3qd9xp9k
@user-wy3qd9xp9k Жыл бұрын
Bmw e46/m3 smg미션의 네임이 시퀀스 기어 입니다 / 아우디r8 초기형, 페라리f355 등등 있지만 주로 고성능 차량에 시도했고 대중적으로는 푸조가 mcp 라는 이름으로 출시 했지만 국내에선 토크 컨버터 방식의 자동 변속기가 대중화가 되어서 인기가 없었습니다
@parkjh0821
@parkjh0821 Жыл бұрын
큰 트럭들이 AMT를 쓰죠 클러치조작과 기어스포크 선택을 사람대신 기계적으로 합니다
@user-bw6pk4ug8i
@user-bw6pk4ug8i 10 ай бұрын
r8 가야르도에 들어가는 싱글클러치 미션 3만키로마다 공임포함 1700들어서 교체합니다. 쓰레기입니다
@user-kj5wi6ld1y
@user-kj5wi6ld1y Жыл бұрын
11:11 혼다매틱? 혼다 멀티매틱도 아니고, 혼다매틱? 🤔🤔🤔🤔🤔🤔🤔 참고로 '혼다 멀티매틱' 은 무단변속기 입니다.
@greatkdk316
@greatkdk316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때 겨우 이해했던 토크컨버터다.
@yt_white_banana
@yt_white_banana Жыл бұрын
저도 DCT는 이제서야 이해가 되네요 😅
@user-wy3qd9xp9k
@user-wy3qd9xp9k Жыл бұрын
변속기를 개념 접근으로 이해해서 그런부분 입니다 메커니즘을 토대로 이해하는 분들은 많이 없죠
@user-kx5yx2br4f
@user-kx5yx2br4f 11 ай бұрын
제네시스 쿠페 380 자동 탈때 생각이 나네.. 자동6단이지만 타보면 5단에서 끝..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Күн бұрын
신쿱은 파워택 8단 아니었나요..? 제친구가 신쿱 2.0T 타는데 변속기가 멍청하다고 맨날 욕합니다 ㅋㅋ
@_jaykee_
@_jaykee_ Жыл бұрын
개재밋다
@kjh6469
@kjh6469 Жыл бұрын
부디 재미로만 보고 수동을 사지 마세요. 운전 재밌게하는 거 좋아하는데, 수동으로 운전재미? 재밌긴 합니다만, 수도권의.극심한 정체나 지방 중소도시 출퇴근 정체에다구 + 일상피로을 겪고 왼쪽 발 먹먹해지면 그때서야 깨닫고 바로 차 갖다버립니다. 물론 낮에 시간 많은 분들은 수동 추천.
@xxyou53xx
@xxyou53xx Жыл бұрын
읽어보니 무릎이 안좋으시거나 늙은이시거나 둘중하나이신듯
@user-wc4ep1qn2v
@user-wc4ep1qn2v Жыл бұрын
수동은 세컨으로 갖고있어야 딱이죠 시내바리지옥 한국에서 수동차는 이젠 감성밖에 안남은 장난감일뿐
@9-hyungbongo
@9-hyungbongo 11 ай бұрын
디젤수동은 시내에선 재미없게 몰면 피로도는 생각보다 크지 않던데요
@amorffatti
@amorffatti 9 ай бұрын
수동타는 사람들 재미로 사는거아닙니다 옆에 사람들 태우고 멋있게 기어변속하는 멋진나, 이런 어려운 수동도 운전하는 멋진나를 보여주기위해 자기 무릎의 건강과 바꿔서 수동사는거지요
@salt89506
@salt89506 7 ай бұрын
애초에 수동 탈려는 사람들 왼발 고생하는거 모를 리 없음. 그런거 다 감안하고도 타고 싶으니 타는거..
@knives382
@knives382 11 ай бұрын
영상을 다 봤지만 아직도 뭐가 뭔지 모르겠따.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 9 ай бұрын
내가 수동 성애자를 포기 못하는 이유.. 지금도 k3 쿠페 수동모델 12만이나 뛰었지만, 신차 나와도 수동은 절대 포기못함.. 차는 무조건 내연기관의 소울이 있어야 한다 생각하는 편.. 이동수단이기보다 내가 스트레스를 풀고 재미를 느끼는 부분이 제일 중요함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Күн бұрын
오호... 그럼 다음차는 아반떼 N을 사시겠군요!
@user-oo5wh7ls6s
@user-oo5wh7ls6s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이야 ㅠㅠ
@user-ue8hv3gn2g
@user-ue8hv3gn2g 4 ай бұрын
문장들 사이에 무음간격을 왜 다 없앴나요 .. . 생각할 시간이 없네요
@amd6027
@amd6027 Жыл бұрын
수동의 힐앤토 토앤토 는 DCT마냥 레브매칭 딱 맞아서 다닐때 그것만한 재미도 없지
@user-lm8mc8ft4v
@user-lm8mc8ft4v Жыл бұрын
엄청어렵다
@iamthat2886
@iamthat2886 11 ай бұрын
편리함때문에 쉽게 소나개나 면허딴바람에 얼마나 많은 말도안되는사고가 나나?그냥 8단수동으로 가야함.
@user-bq5sl5ef5u
@user-bq5sl5ef5u Жыл бұрын
들어도 어렵넹
@user-xq2hc7lf1f
@user-xq2hc7lf1f Жыл бұрын
주행중 차가 완전히 멈추기 전 변속기를 중립으로 두는 거 차에 무리 없나요? 아니면 완전히 멈춘후 엔단(중립)으로 는 게 하는 게 좋을까요? 진짜 궁금합니다. 고성능 차들 기어를 엔단에 놓고 액셀 밟아 소리 왕왕 하던데 그래도 전혀 문제 없는지 없다면 고성능 차에만 해당 되는 건지 일반 차도 무리 없는지 아닌지 알고 싶습니다. 참고로 오토 차량 기준입니다.
@5tf544
@5tf544 Жыл бұрын
요즘 차들 내구성이 좋아져서 완전히 멈추기 전 N단 넣거나 N단 넣고 후까시 넣는 정도로는 기어 박살 잘 안나영. 보령미션마냥 미션 자체가 유리몸인 경우는 제외지만... 하지만 입출력이 둘다 공회전으로 돌아가는 경우에는 기어가 박살날 수도 있으니 웬만해서는 멈추고 N단에ㅜ넣는게 좋죠
@5tf544
@5tf544 Жыл бұрын
대신 고속에서 N단넣고 굴리는거나 내리막에서 N단넣거나 N단에서 D 넣자마자 바로 출발하는건 진짜 미션 박살나는 행위입니다... 고속 N단은 입출력이 모두 고속으로 공회전해서 미션 갈리고, 내리막 N단은 엔진브레이크 없이 내려가는거라 브레이크에 무리가 가고, N-> D단 바로 출발은 준비운동없이 바로 출발이라 구동계에 무리가 가죠
@user-xq2hc7lf1f
@user-xq2hc7lf1f Жыл бұрын
@@5tf544 아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결론은 FM으로 타는 게 최고군요.완전히 멈춘후 기어를 엔단으로 놓던지 아니면 드라이브 상태, 그대로 브레이크를 밟고 있던지 (오토홀드) 없는 차량 기준이요. 맞을까요?
@lingnewskil5339
@lingnewskil5339 Жыл бұрын
​@@user-xq2hc7lf1f개인적으로 토크컨버터방식은 주행하면서 중립을 넣는건 오히려 미션에 안좋을거 같네용
@user-xq2hc7lf1f
@user-xq2hc7lf1f Жыл бұрын
@@lingnewskil5339 토크 컨버터 방식인지 아닌지 구별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잼뱅이라 ㅠㅠ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small vs big hoop #tiktok
00:12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Дибала против вратаря Легенды
00:33
Mr. Oleynik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수동 변속기
19:39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113 М.
DCT의 모든 것! 건식과 습식의 차이?
13:10
모텍 Motech
Рет қаралды 259 М.
자동 및 수동 변속기
7:47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858 М.
GDI 가솔린 엔진을 고집 했던 이유
7:52
유휘
Рет қаралды 508 М.
트럭 바퀴에 숨겨진 비밀
5:30
유휘
Рет қаралды 97 М.
TURBO Snail Race | Car edition
1:00
Delikwenth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Водитель был в шоке от увиденного #дуракинадороге #shorts
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