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주인이 되는 시작 - 강신주(철학자) l 🏫[온드림스쿨]

  Рет қаралды 157,281

KBS 청소년 공감콘서트 온드림스쿨

KBS 청소년 공감콘서트 온드림스쿨

3 жыл бұрын

📘날카로운 통찰력! 속이 뻥뻥 뚫리는 핵사이다 팩트폭격!📣
청춘의 철학멘토! 이성과 감성을 만족시키는 철학자 강신주👨‍🎓
"당신은 누구를 위해 살고 있습니까?"
"내 인생의 ‘주인공’으로서, ‘나답게’ 산다는 것은 뭘까?"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강연▶️
온드림스쿨 21회차 - 경남 함양
KBS방송 : 2018.7.21
#KBS #강연 #강신주 #청소년 #온드림스쿨 #학생 #철학자 #철학 #돌직구 #멘토 #원격수업 #인터넷강의 #집콕 #집콕강의
------------------------------------------------------------------------------------------------
대한민국 최고의 멘토들이 청소년들과 소통하는 꿈의 무대,
꿈의 강연, 대한민국 청소년을 위한 꿈의 학교
여기는 온드림스쿨!!!✋✋
온드림스쿨 홈페이지 program.kbs.co.kr/1tv/culture/...
온드림스쿨 인스타그램 / kbs_ondreamschool
청소년 공감 콘서트 온드림스쿨은 현대차 정몽구 재단과 함께 합니다.

Пікірлер: 280
@ondreamschool
@ondreamschool 3 жыл бұрын
🎁온드림스쿨 채널 구독 이벤트🎁 ★참여 방법★ ✔STEP 1 ‘청소년 공감콘서트 온드림스쿨’ 구독&알람 ON!! ✔STEP 2 영상 시청 후 좋아요 및 감상평 댓글 쓰면 END!! ✔ 이벤트 기간 : 2020.8.31.(월)~9.13.(일) ✔ 당첨자 발표 : 2020.9.16.(수) *댓글에 답글로 개별 당첨 발표 ✔ 이벤트 경품 : 추첨을 통해 문화상품권 2만원 (10명)
@nockseolgongjoo
@nockseolgongjoo 3 жыл бұрын
모두 떡볶이를 먹으러 갈때 왕따를 각오하고 짜장면을 먹으러가면 많이 외롭고 가슴 아플 거에요. 그런데요. 눈물 흘리며 혼자 짜장면을 먹고있을때 옆을 보면 눈물을 흘리며 짜장면을 먹고있는 또다른 사람을 만날지도 몰라요. 그 사람과 친구가 되는건 어떨까요?
@user-cv7pk1fd8r
@user-cv7pk1fd8r 3 жыл бұрын
전철안에서 눈물을 참내요 ㅎ
@user-dn6li6yr5q
@user-dn6li6yr5q 3 жыл бұрын
마음이 따듯해지는 글이에요
@user-xz2oe7ei4h
@user-xz2oe7ei4h 3 жыл бұрын
되게 머랄까..이 표현법을 쓰는사람은 참 좋은사람일거 같다
@user-wk1qi4my8r
@user-wk1qi4my8r 2 жыл бұрын
이런 쓰벌 혼자살면 다툴 필요도 없오!!
@ahri264
@ahri264 2 жыл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이에요. 전 어렸을때부터 군중심리에 따르지 않는 편이었거든요. 여러명과 이야기하는게 좀 어지럽기도하고.. 그러기엔 다른 곳에 신경쓸게 많아서 차라리 제가 원하는 걸 선택해서 우르르 몰려다니는걸 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책상에 혼자 남아있거나 급식소에 느즈막히 혼자 나가거나, 할 때 같이 움직이는 어떤 친구가 꼭 한 명씩은 있더라구요. 아니면 그 친구들이 저를 관찰 한 뒤에 와서 말을 걸어요. 그렇게 템포가 맞는 사람을 찾게 되더라구요.. 여러분들도 두려워마시고 속도가 맞는 친구들을 만나길 바랍니다..
@user-qu1ki8vw3v
@user-qu1ki8vw3v 3 жыл бұрын
60대 중반 에도 들어도 좋은 강의 입니다ㆍ 어느 세대가 들어도 좋으면 고전 이라고 생각 됨니다 ㆍ
@user-vd3zg7wp8n
@user-vd3zg7wp8n 3 жыл бұрын
철학자분들은 진짜 생각이 깊은것 같아요 다른 사람들이 생각할 수 있도록 끌어주는 능력이 좋으시네요.. 말하신대로 남에게 휘둘리지 않고 내 주관이 있게 살 수 있게 직접 움직여보고 싶게 해주는 강연이네요
@user-fq1kt7si8w
@user-fq1kt7si8w 2 жыл бұрын
극공감이다 죽기전에 후회하는거중 하나가 자기가 살고싶은대로 못살은거라고 하더라..
@MC-no8iq
@MC-no8iq 3 жыл бұрын
와 고등학생 때 벌써 이런 좋은 강의를 듣다니 참 부럽네
@kennethlim7146
@kennethlim7146 3 жыл бұрын
미국의 자녀들에게 원하는 거 해라 한 아이들 모두 망함. 아이들 원하는 것 거의 없음.
@sl3190
@sl3190 3 жыл бұрын
@@kennethlim7146 국어문제든 영어문제든 항상 all 이 어떻다 저떻다 나오면 오답.
@yupark7257
@yupark7257 2 жыл бұрын
@@kennethlim7146 모두 망했나요
@leeki97
@leeki97 3 жыл бұрын
친구들이 떡볶이 먹는다고 할 때 나 혼자 짜장면 먹는다고 먹으러 간다면 친구들 중에서 짜장면 먹고 싶었던 아이들이 뒤따라 오게 될겁니다.
@us1916
@us1916 3 жыл бұрын
한국사회에서는 얘 특이하네?하던데요..
@user-dn6li6yr5q
@user-dn6li6yr5q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이기때문에 힘든 일인것을 알고있습니다 돈잇으신분들 외국에 나가서 1년만 살아보세요 개인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돌아오싶시요 생각보다 우리들은 정이나 집단문화에 많이 종속되어 살고있습니다
@lee7148
@lee7148 3 жыл бұрын
내가 원하는인생을 살기위해 많은종류의 사패,소패,나르시시스트를 만나게되죠. 무시하고 딛고올라가야합니다.그들은죄의식을 심어주죠. 그 대상이 부모라할지라도...절대자신을 놓으면 안됩니다.
@sehee4918
@sehee4918 3 жыл бұрын
격공 !!!!맞아요
@DIYIife
@DIYIife 2 жыл бұрын
7:05 주인이 되는 가장 쉬운방법 . 왕따를 각오하라 심심하게 공감됩니다
@jamesLee-px4ux
@jamesLee-px4ux 6 ай бұрын
자기 삶의 주인이 되자. 항상 가슴에 담아두고 살아야해
@seldaddy
@seldaddy Жыл бұрын
다시 보고, 몇 번을 봐도. 정말 제 마음을 울리는 멋진 말씀입니다. 강신주 선생님의 정말 멋진 강의를 이렇게 언제든지 몇 번이고 보고 들을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 37살인 저도 매일 찾고 있는 것 같아요.
@carolj7586
@carolj7586 3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담임이 항상 서울교대가라했는데.안가길.너무 잘함.
@heretoday3332
@heretoday3332 3 жыл бұрын
담임의 꿈..
@user-uj5hi7yj9l
@user-uj5hi7yj9l 3 жыл бұрын
나 나이 39인데 이거 보는데 왜 찌릿찌릿 할까
@loving_vincent
@loving_vincent 3 жыл бұрын
스른아홉.. 늦지 않았습니다
@godsgrace5497
@godsgrace5497 3 жыл бұрын
저도...35 인데 공감 ㅠㅠ
@SkyBlue-li7cv
@SkyBlue-li7cv 3 жыл бұрын
나이들수록 더 공감갈지도... 저 말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user-xv4jj2mb2h
@user-xv4jj2mb2h 3 жыл бұрын
39살인데 인생을 깨닫고 이제 제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user-cx5zy6pg5f
@user-cx5zy6pg5f 3 жыл бұрын
근데..강신주샘..선생님 때문에 삶이 힘들어졌어요...이 길은 결코 쉬운 길이 아닙니다...하지만 꼭 가야할 길입니다..힘냅시다~
@user-wr9ll1fn6z
@user-wr9ll1fn6z 2 жыл бұрын
주인의 길은 남에게 칭찬 듣는 길은 아니다, 오로지 내가 원하는 길에서의 자기 만족일 뿐이다.
@user-wr4jd2he7s
@user-wr4jd2he7s 3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선생님이 원하는 삶이 아니라 진짜 자신이 인생에 주인공이 되어서 청소년들이 삶을 살아갔으면 좋겠어요 진짜 좋은 강연입니다
@bleach5064
@bleach5064 3 жыл бұрын
주인으로 살아라. 단, 주인으로 산다는 것이 결코 사회적으로 달콤하지 않을 것이다.
@Dokgo96
@Dokgo96 3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조금의 착각을 일으킬수있겟지만 자신이 원하는것을 하라는것은 꼭 “직업”을 뜻함이 아니다라는걸 인식해야되요 공사장에서 일해보신분들은 알죠 높게 쌓을려면 땅이 넓어야됩니다 왤까요? 그래야 높이쌓아도 무너지면 주변에 피해를 안주니깐요 자 그럼 직업은 넓은 땅이고요 자신이 원하는것은 높이 쌓는것이라는겁니다 직업은 그저 안전방패막임을 이해하세요 직업으로 원하는걸 할려고하면 그건 그냥 직업이지 원하는것이 아닙니다 찾으라는것의 본질 경찰이 되고싶어가 아닌 치안을 유지하고싶어서 경찰이되고 주변동료들과 공유함이 즐거운것이죠 이게 중요합니다. 직업이 여러분의 행복,원하는것과는 직결되어있지않아요 이걸 아는순간 직업에대한 스트레스를 안받고 삶의 더 중요함을 깨우치게되죠 그게 본질을 생각하는 행위입니다.
@monicapak6972
@monicapak6972 Жыл бұрын
아주 잘 이해하기쉽게 설명하셨네요 . 님과 동의합니다 .
@hjmin2065
@hjmin2065 2 жыл бұрын
주인이 되면 매순간 번뇌다. 노예가 되면 방향은 정해졌으니 노력만 하면 된다. 번뇌하는 삶이 재밌어 선택할 수 있고 아무생각없이 노력하는 삶이 재미있을 수도 있다. 그걸 선택하는 것이 진짜 주인이 되는 것이다.
@jinukjung1393
@jinukjung1393 3 жыл бұрын
한국사회는 무한경쟁으로 치닫기만 할 뿐 정작 그 주체인 나 자신을 돌아볼 기회가 주어지기 힘들었다. 나도 그래왔던 것 같아 이 영상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낀다. 후회도 되고 많은 생각도 들고. 항상 강신주의 책과 강연을 찾아 듣지만 이렇게 손쉽게 명강의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다행이며 행복인지 모르겠다. 코로나로 우울한 삶을 살아가는 요즘. 별 기대없이 유튜브를 틀고 올라온 영상을 보았다. 가만히 누워 부정적인 생각을 떨치고 좋은 강연을 보고 있자니 살아갈 용기가 생긴다. kbs 사랑해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시길!!
@gaudi8274
@gaudi8274 2 жыл бұрын
진짜 훌륭한 어른이네....
@user-zx5hs2sc9c
@user-zx5hs2sc9c 2 жыл бұрын
제가 가장 존경하는 철학자이십니다.
@user-yx6ev9xe7y
@user-yx6ev9xe7y 2 жыл бұрын
아빠회사에서 일하는데 너무 힘들어요 생각한걸말하면 면박주고 모욕하고 그래서 말을안하는데 너무 힘들어요 말그대로 노예의 삶이에요 본인 아들이 생각하는 존재라는생각을 못하시나봐요 창의적인 생각을 할 환경이 못되요 나이 마흔인데 아빠한테 주눅이들어서 이게 패턴화가되서 어디가서 무슨말을 잘 못하겠어요 말하면 혼나니까 생각한걸 말하면 혼나고 생각한걸 말하면 혼나고 생각을 안해야되나 생각은 나쁜거 또 나이 마흔에 가업 물려받는거 말고는 재주도없는데 박차고 나가서 뭘할지도 걱정이고 노예로 살기는싫은데 존속살해가 왜일어나는지 공감되는 시간을 보내는중입니다
@user-tn4ji2fc5e
@user-tn4ji2fc5e 3 жыл бұрын
스스로 선택해서 혼자서 해보는 연습을 여러번 경험해보는 것이 두려움을 없애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여럿이 있으면 스스로 생각을 안 해서 편안하지만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휩쓸려 가게 되지요. 혼자 있으면 외롭고 스스로 선택하기 위해 열심히 경험하고 생각해야 되니 정말 힘든 일입니다. 그러나 그 노력을 스스로 혼자서 하고나면 당당한 어른이 되겠지요. 학교에서 꼭 배워야할 것은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고 경험하는 자세 일 겁니다. 시키는 것을 잘 하는 칭찬 받는 아이들이 아니라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한국의 아이들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기성 세대와 어른들을 비판하고 대드는 아이들이 많아지기를 바래봅니다.^^
@user-up9vw4fu4v
@user-up9vw4fu4v 3 жыл бұрын
조은말씀이네요
@jiyoungkim5993
@jiyoungkim5993 Жыл бұрын
엄마의 뜻대로 살다보니 친구들과 관계도 그런 삶의 연속. 나이들어 뒤늦게 내맘대로 내뜻대로 살다보니 안착해 보이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원래 안착한데 착한척하고 살았던거죠. 지금은 내가 하기 싫은거는 안하고 살아요. 부모에게도 주변인에게도 성격 드러워보이는거 신경 안쓰고 살아요. 그래서인지 아픈 몸도 회복되는거같아요~
@bjazz9022
@bjazz9022 3 жыл бұрын
매우 명료하지만 정말 힘든 길인듯... 몇 년 전 강의를 듣고 큰 힘이 되었던 기억이 나네요
@user-cx5zy6pg5f
@user-cx5zy6pg5f 3 жыл бұрын
청소년 여러분 이영상 많이 보구 힘얻구 있죠?? 근데 살아보니 내가 원하는 것을 당연한듯 시도하려면 웬만하면 좋은 물가로 가야 합니다. 그건 일단 공부를 잘해서 어느정도 상식이 있는 사람들과 일해야 합니다...일단 공부를 잘 해주세요..이건 어디까지나 웬만하면이에요.. 오해는 말아주세요...사람들이 기본이 안된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user-sy5st5ry6z
@user-sy5st5ry6z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절대 공감해요
@soyeonshin2353
@soyeonshin2353 4 ай бұрын
참 좋은 강연이에요 말에 억양에 담긴 사람에 대한 사랑이 느껴져서 엄청 힘을 받았어요
@user-rd5hu7nl7j
@user-rd5hu7nl7j 2 жыл бұрын
진로를 선택할 다양한 경험과 시간을 주지 않는 현실이 아쉽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것을 선택하는 주인된 삶의 중요성을 학생들이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는 열정에 놀라곤 합니다^^~! 고맙습니다
@jiwoooo9414
@jiwoooo9414 3 жыл бұрын
중학교 3학년 이에요. 처음엔 이벤트에 끌려서 왔지만 영상을 끝까지 보고나니 가슴에 와닿는 이야기를 해 주신 강신주 선생님 말씀에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어요. 저는 프로게이머가 꿈 이에요. 솔직히 누가 뭐라해도 게임이 제일 좋고 내 꿈은 이거다 라는 확신이 있어요. 그치만 엄마는 게임에 대한 인식이 안 좋고 인터넷 방송을 싫어하셔서 저에게 음악을 시켰어요. 저도 잘 모르겠지만 음악을 잘 했거든요. 음악이 싫은 건 아니지만 하기가 싫었어요. 엄마와 많이 싸웠죠. 그리고 게임쪽으로 가고 싶다는 말이 언제부터인가 창피함을 느껴서 그냥 다 안한다고 말 해 버렸어요. 근데 지금은 확실히 내가 하고싶고자 하는 일을 말 하고 보는게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들어요. 제 친구도 축구에 엄청난 재능이 있는데 상담사를 해볼까 고민하더라구요. 저한테 얘기해 줬는데 고민들어주고 서로 말 섞는게 행복하고 존중받는 느낌이래요. 진짜 멋지다고 생각해요. 재능이 있는데 하고싶은 일을 하겠다는 각오. 저도 강신주 선생님 말씀을 마음깊이 새겨담고 평생 후회하지 않는 선택을 한 보람이 있는 인생을 살도록 노력할게요! (댓글이 자꾸 삭제돼서 다른계정 이에요)
@ondreamschool
@ondreamschool 3 жыл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구독 이벤트 당첨되셨습니다~ 당첨자분께는 문화상품권을 보내드리겠습니다! ------------------------필독 사항------------------------ 1. 9/18(금) 오후6시까지 답글로 연락드릴 메일주소 남겨주시면 메일로 연락드리겠습니다. 2. 답글의 메일주소는 확인 후 바로 삭제 될 예정입니다. 3. 9월 18일까지 답글을 남기시지 않으면 당첨이 취소됩니다. 4. 선물 발송은 모든 당첨자가 취합된 이후에 발송해드립니다.
@jiwoooo9414
@jiwoooo9414 3 жыл бұрын
@@ondreamschool 선생님 확인 부탁드려요~
@user-us9tm7yu6f
@user-us9tm7yu6f 3 жыл бұрын
현실도 게임과 비슷해요. lol에는 lol의 규칙이, 축구에는 축구의 규칙이 있듯이 현실에는 현실의 규칙이 있을 뿐이죠. 게임이든 현실이든 규칙을 이해하고 적응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해요. 현실에서도 잘 살 수 있을거예요. 현실에서든 게임이든 타인이 만든 규칙에 적응하기보다 아예 님이 규칙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요? 그것도 재미있을 것같아요. 어차피 이미 있는 모든게 누군가 만든거잖아요.
@KHO-vn1iw
@KHO-vn1iw 2 жыл бұрын
자기삶을 크게 잘 살기 위하여 누가 뭐래도 끄떡도 하지 않아야만 여기에 뛰어 들 수 있습니다. 비범한 엄숙성을 가져야만 가능해요. 평범한 인생은 유별난 사랑이 일어나지 않아요. 특히 젊은이들이 스스로 그렇게 열정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 확고부동한 자기삶을 몇몇이라도 살아야만 이 나라와 나머지 인류에게도 어떤 고요한 혁명이 일어날텐데요.
@Star_HS
@Star_HS 2 жыл бұрын
주인으로 사는 것과 타인이 노예이길 바라는 것은 다르죠. 책임감이 결여된 자유는 후자라고 생각합니다. 내 자유를 위해서 타인의 자유를 억압해선 안된다는 거죠. 내 자유를 존중받으려면 타인의 자유도 존중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존중하지 않는 것은 자유가 아닌 억지라고 게 생각해요.
@goahead9333
@goahead9333 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결국 모든 존재는 내 육신의 노예이며 삶과 죽음의 노예일 뿐이다. 단지 죽는 그날까지 가끔 주인이라 착각하며 주인이 되려고 발버둥치 다 가는 것 뿐이다. 그것을 처절히 깨달으면 남을위해 살던 나를 위해 살던 내가 좋으면 장땡인 것이며 주인, 노예 이분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배의 카타르시스가 있는 가 하면 복종의 카타르시스 또한 존재한다. 삶이란 노예적 삶이 나쁘다, 주인적 삶이 좋다~ 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내 스스로 결정해서 노예가 된다면 그것은 주체적 노예인가?
@user-jy8jv1xi9k
@user-jy8jv1xi9k 3 жыл бұрын
강신주 멋지십니다...... 자칭 왕따가 되어 살아가는 58세 직장여성입니다
@kimdongnam
@kimdongnam 3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떼 국영수과사탐과탐체육음악미술지구과학교련중 어느 한 선생님이라도 이런 말 할 줄 아시는 선생님이 있었더라면.
@user-dj9sn4rc1j
@user-dj9sn4rc1j 6 ай бұрын
울 아이들과 제가 깨닫아야하는 화두라ᆢ 일깨워주시는 선생님 마음에 감사합니다 ❤
@hyonujung2025
@hyonujung2025 3 жыл бұрын
나이 50 까지 들어 본 강의 중에 최고네요. 이걸 본 많은 젊은이들이 자기 것을 찾아 행복해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riahappy7713
@riahappy7713 3 жыл бұрын
흙수저인 사람은 노예로 살수밖에없는 세상이다. 하지만 노예생활을 하면서 노예에서 벗어나 주인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내 주인이 될수있는시대이다. 자본주의의 경제시스템을 먼저 알고 경제적 자유를 찾은다음에 나아갈수 있다고 생각한다.
@OriOriMan
@OriOriMan 3 жыл бұрын
원하는 걸 찾는다는 건 나의 존재를 알게 된다는 것 이라는 말이 진짜 와닿네요... 어렵겠지만 저도 제가 원하는걸 해서 내 삶의 주인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ㅎㅎ 너무 좋은 강연이였어요!!
@seonch2707
@seonch2707 Жыл бұрын
8:35 강신주 철학자님, 시간낭비는 피할 수 없는 것 같아요. 그 낭비가 있었기 때문에 후회하고 그래서 더욱 의지도, 열정도 생기는 것 같아요. 내가 원하는 것을 한번에 바로 찾기는 힘들죠. 그래서 여러가지 내가 하고 싶은 것들 위주로 계속 찾아보고 버려지는 시간이 많겠지만 그 버려지고 낭비하는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 좋아하는 것이 더욱 갈망하는 것이 된 것은 아닐까요? 그리고 우리는 내 인생의 주인이 절대 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선택하는 선택지 조차 내 힘이 아닌 다른 것에 의해 결정되고, 그 안에서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Vinodivinoguay
@Vinodivinoguay Жыл бұрын
우리가하는 선택지조차 다른것에 의해 결정된다...우리는 삶의 주인이 될 수 없다 씁쓸하지만 곱씹어보면 인정할수 밖에 없네요
@seonch2707
@seonch2707 Жыл бұрын
@@Vinodivinoguay 이렇게 인정하게 되면 내가 하려고 했던 것들의 대부분이 욕심이었구나 하고 다시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ㅎㅎㅎ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 9 ай бұрын
내가 원하는 것을 찾기 포기한 사람의 서글픈 댓글이네요. 정신승리라도 자신의 위로 하는 나약함에 안타깝습니다.
@user-xv4jj2mb2h
@user-xv4jj2mb2h 3 жыл бұрын
대부분에 인간은 노예로 살아간다.매일 반복되는 일상..아침에 그시간에 일어나고 저녁 그시간에 퇴근하고 무슨 로봇트도 아니고 평생 일하면서 노예생활인거죠.. 그게 본인 인생 주인인줄 알고 열심히 살았다고 말하죠..손에 쥔걸 놓지못해서 돈벌려고 일가고 욕심과 허영에 차서 허우적되는 인간들이 대부분이다.나는 내 삶에 주인처럼 살고 있다.지금 마음이 너무 편안하고 좋다.다들 아둥바둥 할 시간에 쫓기고 살때 나는 내 할거하면서 산다.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시간이 날 지배하는게 아니라 내가 시간을 가지고 놀고 지배하고 있으니 너무 행복하다..
@user-vp4hs2rx6v
@user-vp4hs2rx6v 3 жыл бұрын
부럽네요. 혹시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시는지 궁금하네요
@user-xv4jj2mb2h
@user-xv4jj2mb2h 3 жыл бұрын
@@user-vp4hs2rx6v 제 나이 39살 입니다.20살때부터 38살까지 회사생활하면서 열심히 살았습니다.하고싶은것도 많았고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고 생각하고 부모도움없이 성인되서는 손안벌렸죠.좋은집,좋은차,좋은 물건,신형,좋은옷등등 남들하는건 다해보고 싶고 계속 발전하고 좋은모습만 주위사람들에게 보이고 싶었습니다.근대 1년전에 사회생활과 스트레스로 인해 심부전증으로 심장판막 수술을 하게 되었습니다.가슴을 절개해서 인공판막을 넣는 대수술이었죠.저는 열심히 산 죄밖에 없는데 건강하다고 생각했는데 내몸하나 못챙기고 너무 몸을 혹사시켜서 병에 걸렸던겁니다.모든게 제 잘못이었죠.열심히 일하고 좋은거하고 부질없는 욕심으로 사는것이 열심히 사는줄알고 앞만보고 달려왔던겁니다.병원에 입원해있으면서도 빨리 괜찮아지면 일하러갈생각밖에 안했어요.일하던 사람이 그렇게 있으니 불안하고 하루가 아깝고 그랬습니다.몸이 아직 안좋은데 마음만 앞선거죠ㅜㅠ근대 입원해있으면서 순간 깨닫게 되더라구요.이세상에 아..이몸하나가 전부구나..이때까지 열심히 했는데 이대로 죽었으면 돈벌은거 써보지도 못하고 죽었겠구나..너무 앞만보고 달렸다는 생각도 들고 마음이 전과다르게 놓게 되더라구요.. 몸이 괜찮아지려면 최소 2년은 걸리니깐 일은 그만둔상태고 이제 직장생활은 안합니다.돈에 이끌려서 사람한테 스트레스받고 시간에 쫒기는 삶은 살면 분명히 언제가는 번돈 나중에 병원비로 다나가게 되있거든요.돈은 벌어야겠지만 큰욕심안부리면 다 먹고 살순있어요.전에는 일안하면 불안하고 초조하고 남 눈치보이고했는데 지금은 마음이 괜찮아요. 내인생 내가 사는건이니 남 신경 쓸거없자나요.내가 괜찮고 내가 좋으면 되는건이니깐요.인간은 다 욕심내면서 살고있으니 깨닫지 못하고 죽음에 문턱까지 가야 깨닫게 되겠죠.지금은 제가 이때까지 일한다고 못한 취미생활하면서 낚시도 재미삼아하고 자잔거도 타고 차타고 여행도 가고 큰돈 안들이는선에서 재미있게 살려고 노력중입니다.집에 하루종일 있을때도있고.. 집에있어도 본인마음만 괜찮으면 좋은겁니다.이것도 하나에 마음편히 쉬는 휴식이니깐요..남들은 일하고 돈벌고 경쟁하는게 열심히 산다고 그게 맞다고 하지만 저도 그런줄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구요..깨닫고 나니 그렇게 사는게 잘못된거였고 지금 제가 다른사람에게 아니라고 이야기하면 제가 이상하게 보이는것이죠..언제가는 사람들도 깨달을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이제 불쌍하게 보이네요..각자에 인생이 있으니 본인이 좋으면 좋은것이겠죠.하지만 이렇게 살든 저렇게 살든 그 끝은 같다라는거.. 궁금한거 있으면 글남겨주세요..
@sunday0923
@sunday0923 3 жыл бұрын
@@user-xv4jj2mb2h 긴 글 잘 안읽는데.. 다 읽었어요 ㅎㅎ 님 잘 사시는 거 맞습니다. 타인의 욕망에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데 아픈 것을 계기로 잘 벗어나신 것 같아요. 저도 가게 홍보 같은 거 안하고 손님 많이 오는 거 바라지 않아요. 블로그 홍보해준다고 매일 같이 전화오고 문자오고 하지만 거절합니다. 돈 많이 버는 것 보다 가게 오시는 단골 손님들과 이야기 많이 하고 소통하는 맛으로 장사합니다. 최고가 아니고 경쟁 아니여도 잘 살 수 있다는 거 더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어요 건강하시고 강쌤 응원도 많이 해주시길 바랍니다^^
@user-bf8vc9zy5q
@user-bf8vc9zy5q Жыл бұрын
30살초반이 되고 전직장을 때려치우고 다시한번 인생에 기로에 놓여있을때 우연히 선생님 말씀듣고 저를 한번 돌아보게되네요. 영상속에 젊은 학창시절에 하였으면 좋았을것을 하지만 지금도 늦지않았을거라 생각하면서 용기를 다져봅니다.. 명강연 감사합니다
@haejung526ify
@haejung526ify 3 жыл бұрын
이해할수 없었던 자녀가 이해가 되네요 그 아이는 자기의 삶을 주인으로 살고 있었고 저는 아이의 삶의 주인이 되고 싶었던 멍청한 부모였다는걸요 ㅠ 오늘 사과할께요 그리고 응원할꺼예요
@user-yq3zc4dw8r
@user-yq3zc4dw8r 3 жыл бұрын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내가 무엇을할때 행복한지 강연을 들으면서 나를 다시한번 되돌아보게 되네요
@user-mo7wj3df7t
@user-mo7wj3df7t 3 ай бұрын
ㅠㅠ 왜케 눈물이 나는거야 ㅠㅠ
@user-ru7gn6ev3m
@user-ru7gn6ev3m 3 жыл бұрын
저는 남이 행복을 느낄때가 가장행복하고, 나보다 남이 우선이라고 교육받아서 봉사하며 살고있는데 이 교육보고나서 내자신이 먼저다라는 생각이들면서 인생이 후회되네요. 남보다 나를 더생각하는 사회에 동참하겠습니다.
@user-om2xx8ob9t
@user-om2xx8ob9t 2 жыл бұрын
재성님이 진정으로 행복하고 그런 선택으로 살고 계신다면 이미 주인으로 살고계시다고 생각해요 저도 남을 도울때 행복을 느끼는데 제가 하고자하는 일들이 돈도 안되고 위험한 일들이다보니 주변 반대에 계속 부딪히고 하기로 결정해도 마음이 참 괴롭네요... 그래서 이 영상보면서 눈물났어요 ㅠㅠ 재성님도 저도 나를 지키면서도 남도 돕는 행복한 삶을 살아가면 좋겠어요
@kimpoong321
@kimpoong321 3 жыл бұрын
나답게 산다는것 내삶을 산다는것 정말 어렵지만 그만큼 중요한 내용인거 같습니다. 멋진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user-fq1dr6kt8u
@user-fq1dr6kt8u 3 жыл бұрын
내가 원하는 게 뭔지 모르고 살고 있네요..
@user-yp1yj9bt8l
@user-yp1yj9bt8l 3 жыл бұрын
저도 나이 50이 넘었는데도 내가 원하는 게 뭔지 모르겠어요 ㅠ 노예의 삶
@user-td4dg1gj2f
@user-td4dg1gj2f 3 жыл бұрын
말씀은 백번옳은데 엄~~~청 힘들어요 그러고 싶어요ᆢ 하지만ᆢ 사회구조가ᆢ 대한민국의 구조가ᆢ
@veraonce7109
@veraonce7109 25 күн бұрын
우리 삶에 철학이 필요한 이유가 이런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삶의 선택에 있어서 들어야 할 이야기.
@user-wc7ei5qm4v
@user-wc7ei5qm4v 3 жыл бұрын
내나이 곧 오십인데 이때까지 노예의 삶을 살고 있었다는 걸 지금 깨달음
@user-fb7ls8ju2v
@user-fb7ls8ju2v 3 жыл бұрын
5252 노예는 노예의 삶이 있다고. 그것 또한 삶이다. 좋은말로 하면 앞만 본게 아니고 옆도 보고 산거.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3 жыл бұрын
내 삶의 주인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사는 것 통찰력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zy119
@zy119 3 жыл бұрын
40대다. 사람들은 자기가 하고싶은걸하라고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지금은 내가 하고싶은걸 찾아야 한다는게 더 스트레스다. 근데. 법륜스님이. 그 답을줬다. 사람의 90%는 자기가 뭘 좋아하는지 모른다고했다. 그게 평범한거라고. 그냥 내가 뭘하고싶은지 몰라도 되고, 그냥 남들하는대로 평범하게 살아도 괜찮다고도 해주면 좋겠다. 이게 10대와 40대의 차이인지도 모르겠지만.
@user-ng7ol5do4d
@user-ng7ol5do4d 3 жыл бұрын
집중하는 아이들의 눈빛도 사랑스럽고 다정하게 이야기 해주는 강신주 철학자도 빛나는 거 같다. 건강 회복 하시길..
@user-vi6ne5mn7h
@user-vi6ne5mn7h 2 жыл бұрын
자기 좋아 하는 것 빨리해요...
@user-dp2hs9cp6s
@user-dp2hs9cp6s 3 жыл бұрын
나는 돈의 노예로 살고있구나.... 평생을 그렇게 살고있구나... 내 사업을 하고있어도 나는 돈의 노예로 살고있었다.... 젠장...
@user-ww8ud1rl6p
@user-ww8ud1rl6p 3 жыл бұрын
시대가 바꼈구나 우리땐 이런문화가 없었다 개슬프다 보기가 씁쓸하네
@user-kw5hw7hq2k
@user-kw5hw7hq2k 3 жыл бұрын
내 삶의 주인되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user-rx3np3nb4o
@user-rx3np3nb4o 3 жыл бұрын
전 제가 을이고 아이들이 갑이라 생각했는데ㅎ 이 영상을 보고 아이들에게 갑질을 하진않았나 반성하게되네요^^;; 나이가 이만큼 먹었어도 아직 제인생의 주인이 되지 못한것같습니다. 제가 진짜 하고 싶은것을 찾기보다 남들이 보기에 그럴듯하고 돈 많이 벌수 있는직업, 취미도 남들이 많이 하니까.. 좋다고하니까.. 같이 하고싶어서.. 크게 만족하지 않는데도 했던 경우가 많은것같아요.. 더 나이들기전에 후회하기전에 내가 하고싶은것.. 내가 좋아하는것들을 내가 주인이 되어서 찾아보고 해봐야겠어요. 나만 보기 너무 아까운 주옥같은 강연들로 얻어가는게 정말 많네요.너무 감사합니다!!
@kanuboy.m
@kanuboy.m Жыл бұрын
강신주님. 형님... 지금 다시봐도 감동의 눈물이 납니다. 대한민국의 젊은이, 중년들에게 인생을 살아가는 최고의 가이드라인을 주심에 너무 감사합니다.!!
@user-pu7ke5kj8i
@user-pu7ke5kj8i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eh5gj8ii3w
@user-eh5gj8ii3w 3 жыл бұрын
철학자 분의 강연이여서 그런지 뭔가 다르네요
@claireyun3108
@claireyun3108 3 жыл бұрын
멋진분!!!!
@user-xc2ok6ef7d
@user-xc2ok6ef7d 3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신주 선생님
@luna1783
@luna1783 2 жыл бұрын
살려달라 말하는 것도 부모의 허락을 구하는 거죠. 그냥 아무것도 말 하지 말고 혼자 비밀스럽게 해야됨
@mignonnekim6527
@mignonnekim6527 3 жыл бұрын
Bravo!!!!!!!!!
@user-qb2ox8nb6b
@user-qb2ox8nb6b 3 жыл бұрын
처음보는 분인데 말씀을 정말 잘하시네요...!
@user-ib5bp8rc2d
@user-ib5bp8rc2d 3 жыл бұрын
정보)피라미드 노동력 확보는 노예가 아닌 나일강이 범람하여 일자리가 없는 농부들에게 일정량의 곡물을 주면서 일자리를 대체하는 일종의 구제사업이였다는 설이 현재 학자들사이에서 설득력을 얻고있다.
@user-ml5tc1sd2x
@user-ml5tc1sd2x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노예계급이 아니라더군요. 그리고 그들은 노동운동을 통해서 싸워 이겼다고, 기록된 최초의 승리라고 들었어요.
@cheezpark
@cheezpark 3 жыл бұрын
짧고 굵은 강연 이네요~ 감사합니다!
@lemongingertea23
@lemongingertea23 Жыл бұрын
명강연 감사합니다.
@user-je5nz1gu5m
@user-je5nz1gu5m 3 жыл бұрын
내가 원하는 것을 하며 내 삶의 노예가 아닌 내가 내 삶의 주인이 되는 것이 얼마나 기쁘고 행복한 지 시간이 흐르고 보니 더욱 알 것 같네요. 정말 값지고 소중한 이야기라 다시금 가슴이 쿵쿵쿵쿵 뛰고 있네요. 내가 주인으로 오롯이 내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매일매일이 얼마나 행복하고 소중할 지 의식하며 살아봐야겠어요. 강의 몇 차례 들었지만 항상 가슴에 와 닿는 말씀이라 감사드립니다!
@user-xh3my6hm8e
@user-xh3my6hm8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h1lz5cc7d
@user-fh1lz5cc7d 3 жыл бұрын
강의를 들으면서 나에대해 생각하게 되네요
@user-gy7gk5wb1w
@user-gy7gk5wb1w 3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이런 좋은채널이 있을수 있죠? 구독좋아요알림설정박고 매일 열청하겠습니다.
@flexgod6811
@flexgod6811 3 жыл бұрын
한번뿐인 인생 주최적으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뽐뽐 올라오는 유익한 강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온드림스쿨 화이팅
@user-br3ig2gn2m
@user-br3ig2gn2m 3 жыл бұрын
저도 주도권을 꽉 잡고 있어야겠어요. :)
@jinochoi36
@jinochoi36 3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연 듣는다고 해서 좀처럼 인생이 바뀌지 않습니다. 잠깐은 아 그렇겠지 하고 고개를 끄덕일 수 있겠지만 그때뿐이죠. 인생은 그저 주어진게 먼저입니다 인생은 목적을 갖고 태어난게 절대 아닙니다. 태어나고 보니 내가 살아있는거죠 큰 의미를 찾으려고 고생하지 말고 그저 마음편히 사세요. 부담을 너무 느끼면 인생이 피곤해집니다
@user-ko6pf3hb2h
@user-ko6pf3hb2h 3 жыл бұрын
삶의 주인이 될수 있도록 스스로 선택하고 행동해야겠어요
@dooong2806
@dooong2806 Жыл бұрын
뭐 저분이 뭐라고 하던 중요한건 이걸 보는 이유 발전하고 싶은 마음 이라는거죠 저는 그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 만으로도 한발작 앞으로 가고 계신거 같습니다. 모두 응원합니다 !
@kampikrein
@kampikrein 4 ай бұрын
실제로 하는거 참 어려운데 많은 사람들이 그리 되기를....
@user-gc7mv1tl3p
@user-gc7mv1tl3p 3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진 강연입니다. 참으로 사랑스러운 모습이십니다.!!
@user-yy8ny6rp5c
@user-yy8ny6rp5c 3 жыл бұрын
맘은하나인데 이것저것담아노니 힘들지!
@user-nd7om6lp5o
@user-nd7om6lp5o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눈물이 날만큼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user-hf4ts2sn2d
@user-hf4ts2sn2d 3 жыл бұрын
강력한 임팩트가 있던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ㅋ
@user-pp6ll2wx3g
@user-pp6ll2wx3g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항상 타인의 시선에 의한 삶을 사는거 같아요
@user-ln6dl8yj9k
@user-ln6dl8yj9k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감사드립니다. 강신주님 덕분에 좋은 정보 얻고갑니당~~
@user-wb1qv8db6q
@user-wb1qv8db6q 3 жыл бұрын
강연 넘 좋은거 아닌가요?ㅎㅎ
@cuttegirl
@cuttegirl 3 жыл бұрын
제 삶에 주도권을 한번 잡아보고싶네요!
@user-xd9fk6vn6l
@user-xd9fk6vn6l 3 жыл бұрын
삶의 주인이 나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생각하고 인생을 살아갈게요
@user-zj9ng3dd7x
@user-zj9ng3dd7x 3 жыл бұрын
삶의 주인공은 누구인지 생각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갈게요
@kakiku2324
@kakiku2324 3 жыл бұрын
우리 아이들에게 꼭~~~들려주고싶어요~~ 애들아 너희들 원하는거 찾으렴~~ 사랑한다~~♡♡
@jbrecord5911
@jbrecord5911 3 жыл бұрын
직종미래에 대해 방황하던 중 우연히 발견한 이 강의가 빛처럼 느껴지네요 진지하게 고민을 해볼때인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v8od4fd4n
@user-kv8od4fd4n 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내가 원하는 걸 찾아 봐야 할 것 같아요 앞으로도 멋진 내용 부탁드립니다 구독 좋아요 참여 했어요
@kiwi3802
@kiwi3802 3 жыл бұрын
🐥초심으로 돌아가는 옛🌼생각으로 돌아가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sukim6142
@sukim6142 3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멋진 강의에요 ㅠㅜ 삶의 노예가 아닌 주인이라니 저한텐 먼 미래네요.. ㅎㅎ 노력해보도로구하겠습니다 ^^
@user-ez7yi8hn3n
@user-ez7yi8hn3n 3 жыл бұрын
정말 들으면서 저는 제 삶의 주인으로 살고 있는가 고민해보게 되었네요....
@user-eq8qp6su5l
@user-eq8qp6su5l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잘 들었습니다. 원하는것 하는 주부. 강사.즐겁게 하는 50중반입니자. ^^
@himitsushojo
@himitsushojo 3 жыл бұрын
마이웨이로 살고싶지만 눈치보이는 세상,,,강의 잘 들었어요!
@user-nh5es1wj6j
@user-nh5es1wj6j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 보고 제 진로에 대해 많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 같아요 꼭 제가 원하는 일 찾아서 행복하게 살고싶어요😢
붓다빅퀘스천 3 강신주 '자본이 아니라 자비'
42:22
불광미디어
Рет қаралды 185 М.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Wh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Chips evolution !! 😔😔
00:23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꿈을 위한 시간 - 마이클 리(뮤지컬 배우) l 🏫[온드림스쿨]
18:48
KBS 청소년 공감콘서트 온드림스쿨
Рет қаралды 27 М.
[성장문답]나답게 살고 싶은 사람들이 반드시 들어야할 대답
4:43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