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촉나라 후반기 진짜 인재가 없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7,302

역사꼰대-역사의 기록으로 생각 확장

역사꼰대-역사의 기록으로 생각 확장

9 ай бұрын

* 건전한 토론은 지향합니다만
상대방을 불쾌하게 할 수 있는 말은 삼가주세요*
삼국지 촉나라 후반기 인재들을 모아봤습니다.
최대한 정사 위주로 자료를 취합하려 했지만....
촉 후반기 인물들은 기록이 너무 부족한지라..
진위여부를 불문하고 최대한 자료를 모아보았으니 재미로만 봐주세요~~

Пікірлер: 54
@user-io7gv9bf6z
@user-io7gv9bf6z 7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너무 재미있어요~~ 시간 가는 줄 모르겠어요 ~~ 좋아요
@historyGD2322
@historyGD2322 7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시고 이렇게 댓글까지 친절하게 남겨주셔서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ㅜ 많은 힘이됩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영상으로 보답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려요!!^^
@polyonomata
@polyonomata 8 ай бұрын
일단 당시 촉한의 특산품인 촉금(蜀錦)에 대해 이야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촉은 전통적으로 품질높은 비단으로 유명했고, 당시 촉금은 오나 위에서도 널리 사랑받고 팔렸습니다. 촉금으로 얻은 수입과 더불어 제갈량은 당시 돈이었던 오수전(五銖錢)이 동탁의 폭정으로 가치가 바닥으로 떨어지자 촉에서 나는 품질좋은 구리를 가지고 돈을 찍습니다. 당시 돈은 15수의 무게로 직오백전을 찍어서 시뇨리지를 얻었는데, 당시 위촉오에서 동탁이 대량으로 푼 불량오수전때문에 문제를 겪고 있었고, 이 촉한의 새 돈은 곧 삼국 전부에서 널리 통용됩니다. 일단 순도높은 구리로 만든 돈이라는게 화폐에 대한 신뢰성까지 올려주었던 것이죠. 그리고 제갈량은 촉한의 모든 국력을 쥐어짜서 북벌에 몰빵했고, 이는 강유에 의해 계승됩니다. 진짜 이 둘이야말로 촉한의 기둥이었지요. 요약하자면, 촉한은 삼국중 가장 인구가 적었지만 경제력 짱짱맨이었다는 거.
@polyonomata
@polyonomata 8 ай бұрын
덧붙이자면, 유비군 초기에는 관우, 장비쯤 되는 군 최고지휘관급이 졸병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칼질을 해야했지만 이후 국가가 정비되고 하면서 더이상 장수가 칼들고 싸울 일이 없게 되면서 삼국지 후반부의 무장들의 무쌍은 알려지지 않은게 아닌가도 싶습니다. 이건 군벌수준에서 시작했던 조조, 손견, 원소 등도 마찬가지죠.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경제력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었는데 식견을 넓혀주시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또한 아래 의견을 보자면 진도같은 인물들은 정말 미스테리한 인물이 되겠군요..
@user-pi2me1ru9p
@user-pi2me1ru9p 8 ай бұрын
​@@polyonomata와 제갈량 대단하긴하네요 천하통일했음 제갈량같은 사람이 나라 잘 꾸릴듯
@Art-Joe
@Art-Joe 5 ай бұрын
@@polyonomata극후반기까지 조운급 무쌍으로 이름날린 문앙은 ㄷㄷ
@Art-Joe
@Art-Joe 5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살짝 더듬는다면 유파는 후반기 문관이라기엔 너무 빨리 사망했고 비의 사망 이후 집권한 진지라는 인물도 능력이 출중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파동태수 염우도 황호랑 결탁했었지만 능력만은 괜찮았던걸로 알고 있어요
@historyGD2322
@historyGD2322 5 ай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후일 영상에 참고하겠습니다!!
@user-ow4jo8qf6i
@user-ow4jo8qf6i 7 ай бұрын
왕평쵝오😊
@shin1793
@shin1793 Ай бұрын
위연이 반란은 했지만 군사령관으로는 짱이었죠 싸움도 잘했고 마초만 조금더 살았어도 좋았을 땐대 아쉬움 제갈승상이 괜히 과로사 한게 아님
@tv-talmo
@tv-talmo 8 ай бұрын
비위인지 비의인지 이름이 늘 헷갈리는데 얘랑.... 암튼 장완 동윤 곽유지 등지 왕평 마충 장익 장의 위연 강유 마대 요화 제가 아는 후반전 촉의 인재는 이정도이네용.아주 나중에 위에서 망명한 하후패정도?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나관중씨가 한자를 착각하여 비위로 써서 한동안은 비위로 개명되었었죠.. 정사 기준으로 비의가 맞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user-po7iq9rj1s
@user-po7iq9rj1s 6 ай бұрын
일단 유비가 이릉대전에서 나온 기록을 토대로 사망한 숫자와 실종되고, 오와 위에 복속된 인물을 합치면 약 400 명쯤 됩니다. 특히 문관이 300 명정도 있었는데, 이는 형주를 차지하고 빨리 문서 행정을 처리할려고 데려간거 같습니다.
@historyGD2322
@historyGD2322 6 ай бұрын
호오...재미있는 정보 감사합니다!!^^
@user-co8rm5co3p
@user-co8rm5co3p 7 күн бұрын
위연 마대 왕평 나헌 곽익 장익/장억 강유 이회 이엄 비의 장완 동윤 곽유지 요화 마충정도 있으려나요
@somepeople3163
@somepeople3163 9 ай бұрын
나헌 상총등도 있습니다
@historyGD2322
@historyGD2322 9 ай бұрын
나헌은 제가 뒷부분에 짤막하게나마 수록해놓았고 상총은 유명세만큼 자료가 많지 않아 제외하였습니다!! 혹시 아시는 자료가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Art-Joe
@Art-Joe 5 ай бұрын
상총은 수도방위사령관
@user-vv5zj5dc8z
@user-vv5zj5dc8z 8 ай бұрын
마충과 장의(억)이 빠젔군요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1:13 장억 6:05 마충 입니다!
@user-wg7lz7gb1l
@user-wg7lz7gb1l 4 ай бұрын
장억 공명전 크리티컬 몬스터 공명전 할때 최애캐😂😂
@historyGD2322
@historyGD2322 4 ай бұрын
사기캐였죠 ㅎ
@leofrancis6826
@leofrancis6826 8 ай бұрын
근데 당시 탁고대신 급들은 다 자기 부가 있지 않았나요?촉나라가 작은 나라라 이엄은 못줬다하면 할말은 없는데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위나라의 경우는 탁고대신들에게 보좌를 부탁했다.로 나와있지만, 촉나라의 경우 제갈량을 `주`로 그리고 이엄이 `부`로 보좌하게했다. 라고 나와있는 것을 보면 추측컨대 동등한 위치에서의 탁고일 수도 있지만 이엄은 어디까지나 제갈량의 보좌와 동시에 견제하는 역할이기에 부를 주지 않았을 수도 있고 중도호라는 직책또한 부를 만들 수 없는 직책이었다고 하니, 여러 정황을 봤을때, 유비의 탁고에서 이엄이 너무 거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를 만들 수 없는 중도호라는 직위를 새로 만들어 이엄에게 준 것이 아닐까 합니다. 또는 원래 기반이 영안이었으니 영안에는 부가 있었는데 영안->강주->한중으로 임지를 이동하는 와중에 생겼던 군권변경+직위변경으로 인해 해산된 것일수도 있구요.
@leofrancis6826
@leofrancis6826 8 ай бұрын
@@historyGD2322 와 깊게 배우고 갑니다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좋은 질문 주셔서 저도 다른 관점으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네요.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user-bn4og8dh7u
@user-bn4og8dh7u 8 ай бұрын
후반기에는 황호의 남자 대장군 염우 황호와 공동정부 만든 진지 그리고 진나라때도 먹어주던 명장 나헌이 기억납니다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다들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죠 ㅎㅎ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jay-g9987
@jay-g9987 7 ай бұрын
조예가 촉나라 비단에 환장을 했다는데
@historyGD2322
@historyGD2322 7 ай бұрын
성능이 엄청 좋았나봅니다
@user-ke4et5bd2j
@user-ke4et5bd2j 8 ай бұрын
황숭도 해주실래요? 황권의 아들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추가로 다뤄보겠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R.O.K95
@R.O.K95 6 ай бұрын
삼국지 공명전에서 대무도가 장억은 옳은 설정인듯?? 😎
@historyGD2322
@historyGD2322 6 ай бұрын
개사기 무도계에 혼자 무식하게 센 장억이었죠...추억 돋네요
@user-mf2ng8md3c
@user-mf2ng8md3c 9 ай бұрын
강유가 전담하던거봐도 인구가 적어 위에비해 장수가 없다
@historyGD2322
@historyGD2322 9 ай бұрын
사실 인구수만 봐도 답이 나오긴하죠...
@user-ds2lh4yr7y
@user-ds2lh4yr7y 8 ай бұрын
🎉
@User-bonjour2000
@User-bonjour2000 4 ай бұрын
요화 강유 왕평은 익히 알텐데 ㅎㅎ
@puggyk4220
@puggyk4220 3 ай бұрын
왕평 마대 하후패 강유
@user-jv8iv5xo1n
@user-jv8iv5xo1n 9 ай бұрын
연의에서의 조운은 정사의 조운+진도
@user-sh6hg3ig7s
@user-sh6hg3ig7s 29 күн бұрын
오반은 오공의 아들 맞지
@user-tp4fj5qt7g
@user-tp4fj5qt7g 5 ай бұрын
강유, 하후패, 마량, 이엄, 왕평, 나헌, 관흥, 관색, 장포, 요화, 장완, 장억
@scra9602
@scra9602 3 ай бұрын
위연 미만 잡이죠. 오호장군 뒤를 이어 하드캐리한 사람임
@user-jv8iv5xo1n
@user-jv8iv5xo1n 9 ай бұрын
왕평은 통솔86~89 A급무장임 곽회에게 강한 위연 장합에게 강한 왕평
@Art-Joe
@Art-Joe 5 ай бұрын
그 왕평을 보좌하고 계책을 제안한 류민
@fair-korea
@fair-korea 8 ай бұрын
여자인데 잼있어요 ㅎㅎ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user-li4db8wi9n
@user-li4db8wi9n 8 ай бұрын
진수의 아버지 진식이 제갈량에게 처형 당해서 진수가 촉의 역사를 그렇게 썼다라는 썰도 있죠
@historyGD2322
@historyGD2322 8 ай бұрын
음 제가 알기로 진식이 처형당한건 연의에서만 나오는 걸로 알고있습니다만, 혹시 다른 사료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Art-Joe
@Art-Joe 5 ай бұрын
그건 연의
БЕЛАРУСЬ - РОССИЯ | ОБЗОР МАТЧА | HIGHLIGHTS BELARUS - RUSSIA
6:14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футболу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삼국지 위나라 오자양장, 왜 얘네 5명일까?? / 삼국지 역사탐구 / 대체역사 / IF삼국지
18:46
역사꼰대-역사의 기록으로 생각 확장
Рет қаралды 13 М.
삼국지 왕평, 낙곡대전의 대승에도 승진하지 못한 이유
13:41
손찬이형 - 삼국지 인물 탐구
Рет қаралды 55 М.
삼국지 공손찬, 능력은 있었지만 약간씩 나사가 빠져있는,
10:49
역사꼰대-역사의 기록으로 생각 확장
Рет қаралды 2,2 М.
삼국지 유비가 이릉대전을 일으킨 이유
8:25
손찬이형 - 삼국지 인물 탐구
Рет қаралды 47 М.
[완전판] 지도로 보는 《삼국지연의》
25:09
이오 IO
Рет қаралды 674 М.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