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더 라인“, 수직도시의 종말을 예고하는 이유 / 분석왕

  Рет қаралды 86,886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Ай бұрын

✅ '채부심'채널 구독자들이라면 이 책은 읽어야지!
2024년 화제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출산율 제로사회, 우리의 생존전략을 다뤄봅니다.
예스24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링크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www.aladin.co.kr/m/mproduct.a...
👉영상이 재밌었다면 우리채널을 후원해주세요! 커피한잔 가격도 채널에 큰 도움이 됩니다.
/ @chaeboosim
👉 더 많은 인사이트,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naver.me/xRP7SdBY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naver.me/x9ct3yeH
#더라인 #빈살만 #수직도시

Пікірлер: 196
@TTL-oe5yz
@TTL-oe5yz Ай бұрын
각 코너를 층으로 나눈 종로서적이 망하고, 넓은 한 층에 모든 코너를 넣은 교보문고가 살아남은 이유
@puggyk4220
@puggyk4220 28 күн бұрын
무릎이 아파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28 күн бұрын
땅도 넓고 인구밀도도 낮은데 왜 위로 올리는걸까?
@user-zn5lo1tw3m
@user-zn5lo1tw3m 17 күн бұрын
@@northbynorthwest999 결국 국토의 크기보다도 중요한건 인구밀집도. 번화가, 대도시는 어느나라나 몰려있기에 수직화가 됨
@Illilillllliiiiill
@Illilillllliiiiill 9 күн бұрын
교보문고도 원래 망하는건데 교보생명이 돈줘서 안망하는거임
@user-oo5qp7qb1j
@user-oo5qp7qb1j Ай бұрын
한국이 제대로된 주거문화를 가지려면 고층에 대한 욕구를 버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왜 일본의 동경이나 그 주변 주택가를 걸으면서 사람들이 편안해 하고 좋아하는지를 깨달아야 한다고 봅니다. 좁고 불편한 왕복 2차선 도로이고 인도도 좁지만 그로 인해 자동차가 저속으로 움직이고 동선이 확보가 되는 거죠. 아무리 차가 좋아도 결국은 모두 보행자가 될 수 밖에 없고 그래야만 안전히 확보되고 상가들도 보행자로 인해 활성화가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 대단지 아파트들의 대단지 상가들의 공실률 한번 보세요.
@hj7583
@hj7583 Ай бұрын
땅이 좁은데 어떡함?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Ай бұрын
​@@hj7583 작은 집에서 사는데 익숙해지면 굳이 고층일 필요가 없긴 하죠. 프랑스 학자의 우리나라 아파트 연구에 따르면 재개발을 해서 아파트가 들어서면 기존에 살던 사람보다는 적은 사람이 산다고 그래요. 한 사람당 주거 면적은 넓어지고 쾌적해졌겠지만 그 지역에 사는 사람 수는 약간 줄어들었다고 들었어요.
@user-oo5qp7qb1j
@user-oo5qp7qb1j Ай бұрын
@@hj7583 용적률은 똑같아요. 용적률 찾아보세요. 같은 땅 크기에 지을 수 있는 면적은 동일함. 용적률 올리면 닭장됨. 사람들의 착각.
@manevemaa5367
@manevemaa5367 25 күн бұрын
종로 한옥거리가 훨 더 편. 근데 가나빨이 똥파리들이 다 때려부수고 있음. 법카 쓰라고 차가운 초밥집 성행 중 초고층은 평지 적은 우리나라에서 어쩔 없 선택지, 편의성 안전성 무시하고 주먹구구 빨리빨리 때려잡기 식으로 지은 게 가장 큰 문제 , 이걸 때려부수가 다시 지을 궁리만 하지 오래 쓸 궁리 제로 미국에서는 수십년 백년 오래 된 콘크 건물 많다는데 우리는 그렇지 못한 이유. 1,2층 상가 주차장, 지층과 3층 주차장인 신축 고층 주복 확대하면 1층 주차장 도로, 2층공원 보행로 + 초고층 추세로 갈 듯.
@yonbreen
@yonbreen 25 күн бұрын
유럽도시에 있는, 10층이하 아파트가 답인거 같아요. 1층~3층은 상업/ 사무공간으로 쓰고, 그 위로 주거로 사용하고요. 이렇게 해야 걸어다니고 싶은 도시가 됩니다. (용적률 파리가 서울보다 높습니다) 일본과 같은 단독주택은 결국 자동차 위주의 도시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일본 지방은 자동차 필수)
@brH-mg5kq
@brH-mg5kq Ай бұрын
걸어다닐 수 있는 도시도 살아보고, 신도시도 살아봤는데 개인적으로 신도시는 돌아다니기가 너무 불편했습니다. 길 양쪽으로는 높은 담이 쳐진 아파트 단지뿐이고 차도는 왕복 8차선이라 차 없이는 다닐수가 없더라고요. 그렇지만 차타고 다닐때는 도로가 쾌적해서 좋았습니다. 장단이 있지만 매력있는 도시는 역시 걸어다닐 수 있는 도시인것 같습니다. 도시계획할 때 둘을 적절히 섞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tl1hv5dx8r
@user-tl1hv5dx8r Ай бұрын
오도바이 레쓰고
@zacu0908
@zacu0908 Ай бұрын
송도에 그래서 퀵보드 자전거대여 많이 하더라구요
@user-so5bg7jq4j
@user-so5bg7jq4j 24 күн бұрын
1기신도시만 살아보셨나요? 요즘 신도시는 도로 양쪽으로 인도와 자전거길이 거의 반드시 존재하는데요?
@NOTE-fe3sr
@NOTE-fe3sr 23 күн бұрын
​@@user-so5bg7jq4j그.. 뭐 없나?
@soongyupark5324
@soongyupark5324 22 күн бұрын
@@user-so5bg7jq4j 동탄은 별로였어요....삭막하고 걸어가는 동선내에 편의시설없고. 영통은 좋았어요. 산책로 잘되어있고 걷는 동선내에 쇼핑몰, 극장, 상업지구(밥집, 술집, 공원, 수영장...) 있습니다..
@dnhfjffjtgodkskee
@dnhfjffjtgodkskee Ай бұрын
진심 공감해요. 저희 사무실도 건물 5층규모에 수평으로 건물이 천평정도 되는데 한층에서 다되서 편하더라고요 근데 집근처 구청은 12층인데 엘베가 로비용 2대에 전층용 1대라서 엘베 대기시간이 엄청 깁니다ㅠㅠ 2층에 민원부서들이 몰려있는데 노령인구 증가해서 계단이 여러군데 있음에도 다 엘베만 기다리고 있어요(중앙홀계단/비상계단/외부에서 바로 2층가는 큰 계단 2곳) 직원들조차 층간이동이 많아서 전부 엘베만 기다리니깐 가끔 방문하면 누가 이딴식으로 지어놨을까? 왜? 중앙을 크게 비워놓고 지어서 이런 비효율적인 높은 건물을 만들었을까?(성북구청) 차라리 뻥 뚫린 건물중앙을 슬래브치고 엘베를 더 추가하지...스타필드처럼 중앙을 뚫어놔서..에효...계단 그렇게 많아도 노인들 전부 2층가는데 엘베앞만 서성...수직구조 건물은 차라리 면적이 넓어서 한층에서 최대한 모든걸 끝내야지..계속 여러층 왔다리 갔다리 하게하고 엘베대수는 적어서 대기전쟁이고...수직구조는 인간의 삶과는 동떨어진 구조입니다. 그나마 주거는 이동이라도 적으니 망정이지 오피스는 사람이동도 많아서 엘베기다리다가 한세월.. 그래서 최신 고층오피스는 엘베가 많은데 점심시간되면 역시나 전쟁...
@chaeboosim
@chaeboosim Ай бұрын
멋에 취한거죠 ㅎㅎ
@ttkk9040
@ttkk9040 Ай бұрын
그렇죠. 결국 상가는 1층은 끝까지 살아남고 가치가 유지되는... 뭐든.. 적절해야
@user-qg8uy9lm1t
@user-qg8uy9lm1t Ай бұрын
인정~
@user-so5bg7jq4j
@user-so5bg7jq4j 24 күн бұрын
고층에서 내려다보는 뷰가 좋아서 고층일수록 비싸요
@user-ji5kf7kd2b
@user-ji5kf7kd2b Ай бұрын
늘 재미있습니다 수고하셨어요
@logicalfeeling2264
@logicalfeeling2264 Ай бұрын
이 형 컨텐츠가 남달라.
@runheedong
@runheedong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서 집중해서 들었어요! 최고❤
@user-fz5bt7uw5c
@user-fz5bt7uw5c Ай бұрын
철학적 고민까지 방송 품질이 나날이 발전하네요
@veryberry-ys4hs
@veryberry-ys4hs Ай бұрын
저도 아파트 고층에서 살다가 빌라에사 살고 있는데, 확실히 활동 면적이 넓어졌어요. 아파트는 단지도 많고 엘베 기다리고 빠져나가기 쉽지 않아서 활동반경이 넓지 않았는데 빌라는 금방 내려가고 확실히 효율적이긴 하더라고요...ㅎ 걷는 것도 좋아하게 됨..다만 높은 건물들이 많다보니 저층 건물들 채광을 가리는 문제가 많은 듯 해요 ㅠㅜ 이젠 채광 독차지 하려고 자꾸 높은 건물 짓는 느낌...뚱뚱한 건물들에서 사람들이 건강하게 살도록 하려면 고층건물 다 밀어버리던지 어디 벌판에서 지어야할듯..
@gnsdl116
@gnsdl116 Ай бұрын
고층에 단지가 클수록 건물과 단지 외부 입출입에 대한 허들이 높아져서 사람이 게을러지더라구요.
@user-ij5km2ef4d
@user-ij5km2ef4d Ай бұрын
그래서 주택도 2층 3층보다는 단층이 좋고 아파트나 빌라 오피스텔에서도 복층구조보다 단층구조가 좋다고 하더군요 특히 나이가 들수록 2층 3층 집은 치명적인 독이 될수 있다고 하더군요
@chaeboosim
@chaeboosim Ай бұрын
개별주택 복층 이상은 쓰기 매우 불편해요
@deltax9471
@deltax9471 Ай бұрын
돈만 여유있으면 넓게 단층 주택이 훨조음 2층이상있는 주택이나 복층 오피수텔 조금만 살아보면 한층 계단도 생각보다 많이 불편함을 느낄수있음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27 күн бұрын
층고가 높으면 단점도 많지만 장점도 매우 많죠. 무엇보다 집에서 계속 있어도 답답하지가 않아요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26 күн бұрын
😅층고 높고 엘리베이터 설치하면 된다
@user-wp8dn1dv9e
@user-wp8dn1dv9e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좋아용 전망과 역사를 한번에 설명해주셔서요 근데 부린이들을 위해서 앞으로의 부동산 전망에 대해서만 한번 쉽게 다뤄주세용 ^^
@user-fm8oh7tn5o
@user-fm8oh7tn5o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들을게요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Ай бұрын
한국도 서울 경기에 아파트는15층까지만 짓게 했으면 느리게 발전해도 좋았을거 같음.10층대 아파트로 띄엄띄엄 건설해서 마을처럼 운영되게 ㅇㅇ
@user-eg3te3eb7q
@user-eg3te3eb7q Ай бұрын
많은걸 배웁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drPjw
@drPjw Ай бұрын
건설회사가 갑인 나라죠. 수익을 위해서는 어떤짓도 하는 .
@user-uo2oc9wy2n
@user-uo2oc9wy2n Ай бұрын
굿 👍 👍 👍 👍
@user-jm5xr9vt1k
@user-jm5xr9vt1k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imdIN
@LimdIN Ай бұрын
새로운 시각으로 빈살만의 더 라인 프로젝트를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sdl5154
@sdl5154 Ай бұрын
층층이 쌓아온 수직은 감옥 닭장을 연상 시키기도 하고 엘리베이터 이동으로 움직이기 불편하죠
@markk1690
@markk1690 28 күн бұрын
내용이 알차네요
@user-ob6rw4lw7v
@user-ob6rw4lw7v Ай бұрын
와 1분전 선댓 후감상
@dohyunbarg
@dohyunbarg Ай бұрын
비용이 높은 도시는 살아남지 못한다.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Ай бұрын
11:10 롯뽄기(六本木): 일본 미나토구의 지역 이름.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지하철로 한정거장 거리에 있는 곳. 그곳에 디벨로퍼인 모리빌딩이 지은 건축물은 롯뽄기 힐스.
@sonnos4569
@sonnos4569 Ай бұрын
셜록현준 채널에서 쭉 들어왔던 내용을 채부심 채널에서 다각적으로 다시 들으니 새롭고 재밌네요. 고맙습니다.
@simon-he4rq
@simon-he4rq Ай бұрын
1분전은 못참지 ㅋㅋ
@kt1293
@kt1293 Ай бұрын
건축 컨텐츠까지 ^^@
@user-fu2fm9tr6l
@user-fu2fm9tr6l Ай бұрын
지식 많이 쌓고갑니다
@drmphy
@drmphy 26 күн бұрын
수직 공간은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다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시멘트나 철근 같은 건축자재를 끊임 없이 꼭데기로 올려줘야 한다 요즘은 크레인이 그 역할을 하지만 인간이 지고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지 상상할 수 있을 거다 직관적으로 건물 무게 만큼 위치에너지가 증가하는 거고 그와 비례해서 건축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거다 완공이 된 이후에도 수직 건물은 에너지가 많이 들어간다 엘리베이터도 끊임 없이 상하 운동을 해야 하고 인간이 걸어다녀도 평지를 걷는 것보다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인간만 돌아다니는 게 아니라 물자나 설비도 층간을 넘나들어야 하는데 수직 건물은 존재 자체로 에너지 블랙홀이다 고층건물이 많아질수록 에너지 요구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효용성이나 에너지 안보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롯데타워가 대략 가로세로 각각 100m씩 높이 500m짜리 건물이다 이 빌딩 하나 세우는 데도 엄청난 돈과 엄청난 인력과 엄청난 에너지와 엄청난 고난위 기술이 필요했는데 높이 500m 짜리 건물을 170km로 이어서 짓겠다는 것은 돈의 문제가 아니라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애당초 어그로(무리수를 이용한 관심 끌기)였다 어떤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대중과 투자자에 대한 어그로가 필요한 필요하긴 하지만 더라인을 진짜로 지을 거라고 생각했다면 합리적 사고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더라인의 건축 규모를 축소해서 2.3km 정도 짓는다고 하는데 그것도 다 짓지 못할 거다 사우디에 사막이 많다도 하지만 그 넓은 땅을 놔두고 좁은 곳에 수직 공간을 집약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 어차피 같은 수용율이라면 수직으로 세울 건물을 그대로 옆으로 눕히거나 적당한 층수로 짤라서 옆으로 배열하는 게 낫다 앞에서 말한 건물의 위치에너지는 높이와 비례하고 수평 이동시에는 위치에너지 차이가 없다 옆으로 건물을 지으면 그만큼 건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아낄 수 있고 입주후에도 생활상 에너지 효율이 좋다
@user-ho4ix4yy5n
@user-ho4ix4yy5n Ай бұрын
최경영tv 에서 흥미로운 주제 신선한 이야기 듣고 왔어요
@vuvuga5206
@vuvuga5206 Ай бұрын
12:36 뭐가 뭔지는 그냥 원시시대 생각하면 편하지 않을까나 얼마전에 판교서 걸어보니 너무 불편하더라...
@hooponopono7942
@hooponopono7942 Ай бұрын
'이벤트 밀도'가 낮아서 그럴겁니다 테헤란로와 가로수길을 비교해보면 딱!답이 나오죠(feat. 셜록현준)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Ай бұрын
애초에 이명박근혜때 지은 신도시들은 미국따라해서
@gnsdl116
@gnsdl116 Ай бұрын
@@hooponopono7942엄청 삭막하더라구요 판교..
@user-xj1yk9mc3l
@user-xj1yk9mc3l 26 күн бұрын
인구감소가 가시화되고 적층방식의 주거환경의 접근성이 떨어질 수록 도로 단독주택들이 들어서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까 싶음.... 시골에나 생기던 전원주택들이 이젠 지방도심에 생기지 않을까?
@user-uu9ir9rd6t
@user-uu9ir9rd6t Ай бұрын
인재를 키워서 혁신적인 기업을 창업하도록 지원을 해줘야지 부동산으로 경기부양 생각만 하는건 전세계 정치인들의포퓰리즘적이고 근시안적인 본성인것 같습니다.
@user-fx7wm5zb1r
@user-fx7wm5zb1r Ай бұрын
예술품 만드는것도 아니고 기본형태와 개념 자체가 그냥 비효율. 두바이 팜아일랜드가 실패한 사례가 있는데 저 계획도 성공할수가 없음. 돈이면 다 되기 하지만 오일머니라고 해도 무한이 아니다.
@user-ik8eo8nl1y
@user-ik8eo8nl1y 29 күн бұрын
대도시 외곽 자연, 농경지에 신도시를 건설하게 되면 첫째... 환경 파괴 둘째... 직주거리 증가에 따른 차량연료비 증가 및 탄소중립 실현 난망, 통근시간 증가 등이 발생하므로 대도시 기능분산 및 국토 균형발전을 위하여 소멸해가는 지방도시에 산업인프라를 구축하고 주거대책을 세워야겠죠. 항상 좋은 견해 잘 보고 있습니다.
@analyzerx
@analyzerx Ай бұрын
수직이던 수평이던 인구밀도가 동일하면 의미 없는 비교 입니다. 정확히는 인구밀도가 낮고 적당한 편의시설과 거주 환경을 제공하는 곳이 살기 좋은곳입니다. 수직이던 수평이던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27 күн бұрын
개인 이동수단을 완전 날려버릴수 있는 구조라서 좋아보임. 장거리는 고속철 근거리는 트램과 모노레일을 이용하는 구조로 간다면 수직이동을 위한 엘베등만 든든하게 지원되고 충고만 충분히 확보해준다면 환경적으로 매우 유리한 구조가 될것.
@Kimjh2700
@Kimjh2700 Ай бұрын
세종시 정부청사 사례를 보면… 수직이 더효율적이지 않나요? 수평으로 저층 길게 뽑은 청사때문에 이동시간만 길어지고 결국 새로 짓는 건물은 고층으로 만들어 서로 들어가려고 한다더군요…
@EastWood2004
@EastWood2004 Ай бұрын
건축학 전문가가 아닌 내가 봐도 말이 안 되는 건데 저걸 시작한다는 빈 살만의 지능이 의심이 되네요
@user-ty7ub9gn9d
@user-ty7ub9gn9d 25 күн бұрын
라인같은 대규모 국책사업을 보면 진짜 국가지도자의 자질이 중요하단걸 깨닫슴
@run-away.
@run-away. Ай бұрын
어디든 정책은 다 뻥튀기 😅😅
@user-pg4bx9zf1s
@user-pg4bx9zf1s Ай бұрын
짓던중에 처음꺼 재건축해야함
@Vusse
@Vusse Ай бұрын
지금 송도가 딱 그런 상황
@user-uu9ir9rd6t
@user-uu9ir9rd6t Ай бұрын
저거하면 나라가 망할것 같더니...
@user-kr1ec3xi9c
@user-kr1ec3xi9c Ай бұрын
ㅋㅋ 승강기가 있어서 편하다고 알고있지만 사실은 승강기라도 타고 다녀야 할만큼 불편해서 어쩔수 없이 승강기를 만든것이다
@ierrtty777
@ierrtty777 Ай бұрын
서울시도 높게만짓는거 이제는 좀 생각종 해봐야될듯..높은건물 .이제 촌스럽.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Ай бұрын
촌스럽진않은데
@hesist
@hesist 11 күн бұрын
진짜 부족한게 아님 수많은 공실을 생각하면 불필요한 건물이 많고 높이가 과도하게 높음
@user-uu5el1ii3n
@user-uu5el1ii3n Ай бұрын
현차 : 그치만...차량중심 도시를 안지으면 우리 제품이 안팔리는걸~
@dr.jekyll1726
@dr.jekyll1726 Ай бұрын
거기서 현차가 나오는 건 논점흐리기 아니냐
@ttkk9040
@ttkk9040 Ай бұрын
ㅋㅋ 중동파견 건설사 엔지니어 출신이니 잘 아실듯... ㅎ 아직 안봤지만 기대대는 오늘 영상
@waltherjaguar
@waltherjaguar Ай бұрын
시티즈 스카이라인만 해봐도 라인프로젝트는 말이 안되는데 그걸 한다하니 '???? 진짜하게?' 했었는데 이제 현실과 타협하는거 같네요
@lunakim9231
@lunakim9231 Ай бұрын
저도 최경영에서 타고왔어요
@user-gw6ov8ib5z
@user-gw6ov8ib5z Ай бұрын
분당. 등 신도시는. 차로만. 이동가능. 불편함. 역세권 도심을. 개발해야하는 이유 ㅇᆢ
@hyeonminkim9182
@hyeonminkim9182 Ай бұрын
더 라인->더 스팟
@SNWN97
@SNWN97 Ай бұрын
😃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Ай бұрын
5:15 아인 뉴타운(x) 아현 뉴타운(O) 현재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가 있는 지역을 아현뉴타운이라고 부릅니다.
@deltax9471
@deltax9471 Ай бұрын
아마 ai자동 자막으로 인해 오타? 난거같네요
@moonster1632
@moonster1632 Ай бұрын
결론 : 컴팩트 서울
@user-nr7ix7iy9t
@user-nr7ix7iy9t Ай бұрын
컴팩트 씨티☞ 용인 양재 김포 연신내(?)
@simonson6498
@simonson6498 Ай бұрын
@@user-nr7ix7iy9t 오 김포가 이름이 들어가네
@jaeyonglee296
@jaeyonglee296 Ай бұрын
축소라고 말할 수준이 아니라고 봅니다. 사기라고 해야 마땅합니다. 마치 대한민국의 전세사기범 수준이라고 해야 합니다.
@user-yo3oy2ui8q
@user-yo3oy2ui8q Ай бұрын
용적률 장사 땜에 수직으로 가는 거 아닌가? 동간 거리는 넓었으면 좋겠고.
@zacu0908
@zacu0908 Ай бұрын
14층 아파트 살고 있는데 그 이상에서는 살고 싶지 않아요 엘베도 불편하고 하늘이 보이지도 않고 채광도 안좋고 용적율 낮춰야 한다고 봅니다
@SeanPark7
@SeanPark7 26 күн бұрын
수직으로 해야 인프라 공유가 좋은것 같은데...
@user-dr7di8lz8j
@user-dr7di8lz8j Ай бұрын
20층 넘으면 엘리베이터 기달는게 너무 싫더라구요ㅋ
@user-pv8in8kq4z
@user-pv8in8kq4z Ай бұрын
진즉에 넓은 아파트 이골난 사람들은 그런 엘레베타 짜증에 쩔어 고층 닭장에 안들어가져. 졸부나 헬조선 암닭들이 좋은 줄 알고 부화뇌동 세뇌당한 결과.
@dearyu6329
@dearyu6329 Ай бұрын
용적률 올리면 닭장 아파트 된다고 반대하는데... 주거형 아파트도 뚱뚱하게해서 원래10동 지을걸 3동으로 지으면 된다.. 제발 해외사례좀 보고 살았으면~
@chaeboosim
@chaeboosim Ай бұрын
다들 뾰족한 무쓸모 디자인 선호해서 하하... 건폐율이 낮으면 좋다는 망상에 사로잡혀있죠
@hyoungj1232
@hyoungj1232 Ай бұрын
사계절 온도변화가 극과 극인 나라랑 다른 나라 비교하는 건 보일러 에어컨 동시에 쓰는 나라가 있는지? 북향 서향 우리나라에서 살아보고 이야기하는지 궁금합니다
@user-pj5ve6or9j
@user-pj5ve6or9j 23 күн бұрын
미사일 한방 맞으면 어떻게 될까요? 비상시 도망은 할수 있을까 미국 911테러 자폭 테러
@user-ox7lw1pp8u
@user-ox7lw1pp8u Ай бұрын
조금만 더 쉽게 해주시면 안될까요? 너무 듣고 싶은데 귀에 쏙쏙 들어오면 좋을텐데
@user-kn6nf6pj6g
@user-kn6nf6pj6g Ай бұрын
비전문가인 내가 대충봐도 정사각이나 원형도시가 좋을거같은데?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전형적인 신도시, 고층 아파트 쫙있고 네모난 상가에 간판 쫙있는 도시는 정말 매력없다.. 오직 효율만을 위한 도시디자인.. 분당은 지금도 20층인데 40층 고층단지 만들겠다는거지?? 볼만하겠다..
@shinealight0818
@shinealight0818 Ай бұрын
처음부터 ??스러웠다
@104-xv1ek
@104-xv1ek Ай бұрын
멋잇다
@victorkim2954
@victorkim2954 Ай бұрын
수평도시는 점점 인구소멸로 가고있고, 젊은이들은 점점 수직도시로만 모여들고 있다.
@chaeboosim
@chaeboosim Ай бұрын
도쿄와 파리도 매우 수평합니다 껄껄...
@geneeu6098
@geneeu6098 Ай бұрын
박진영 노래 따라하시는 거 ㅋㅋㅋㅋㅋㅋ
@lifelogbyj
@lifelogbyj 28 күн бұрын
채상욱님은 진정한 오피니언 리더라고 생각합니다.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려는 피나는 노력 절실함이 느껴집니다. 동일 주제라도 가십으로 시작해서 끝맺음 하는 채널과는 질이 다릅니다. 그렇게 인간이 가진 본질임에도 이런 이야기가 이제야 회자되는 이유가 뭘까요.. 저는 40대인데, 돈을 벌어도 사고싶은집이 없어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이었습니다 층고낮고 답답한 아파트는 공짜로 살래도 살기싫고 층고높은 주상복합은 아파트 단지가 하늘이 꽉막혀서 걸어다니고 싶지 않아 살기 싫고... 집앞에 6차선 8차선 도로가 있는 느낌 정말 싫습니다. 오피스에 사는 느낌....; 암튼 그래서 답답해서 죽을거같다.. 라고 하는 찰나에 주재원 발령받아 브라셀에 왔는데... 여기와서 살면서 가장 행복한게 말씀처럼 어딜가도 20분이면 갈수 있다는거에요. 이길 저길 다양하게 걸어다니며 꽃보고 나무보고 유럽은 길따라 조경하는데 세금을 엄청나게 쏟아붓습니다. 그러면 그 생활환경에 매료되서 저 같은 사람이 유럽으로의 이민을 준비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chaeboosim
@chaeboosim 27 күн бұрын
아이고 감사합니다... 한국 도시는 진짜 고쳐야됩니다 ㅠㅠ
@user-uv6hr8zr3z
@user-uv6hr8zr3z 11 күн бұрын
수백미터가 넘는 건물은 하나의 점으로 존재 할때만이 약간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주변의 건물이 상대적으로 낮아 경관을 제공하고 채광이 이롭게 되기 때문이다. 수백키로미터에 이르는 선으로 이뤄진 수백미터의 건물은 낮은 층에서는 햇빛도 들어오지 않아 낮에도 컴컴하고 환기도 어렵다. 이건 돌ㄷㄱ리의 발생이다. 설사 지어진다 한들 자원 낭비일 뿐이다.
@user-eh5lr3fl7m
@user-eh5lr3fl7m Ай бұрын
정부세종청사가 수평이동의 결정체아닐까요ㅋㅋㅋㅋㅋ
@LPark-dl4ur
@LPark-dl4ur Ай бұрын
잠실, 판교처럼 아파트단지가 많이 들어설수록 걸어다니기에는 불편하죠. 서울 구도심 빌라촌이 차 없이 살기에는 훨씬 더 편함.
@akkorean
@akkorean Ай бұрын
???
@user-zj4li9mw7v
@user-zj4li9mw7v Ай бұрын
잉? 아파트 안 가봤나요?
@LPark-dl4ur
@LPark-dl4ur Ай бұрын
​@@user-zj4li9mw7v아파트는 단지 사방으로 담장으로 막혀 있어 가로 질러 갈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인도와의 경계가 나무와 수풀뿐이라 그렇습니다. 잠실역 5번 출구로 나와서 잠실새내역까지 걸어보세요. 그리고 혜화역 근처를 걸어보세요. 그럼 차이를 느끼실 겁니다.
@user-qq5fv3gs5y
@user-qq5fv3gs5y Ай бұрын
에이.. 너무 갔네요. 빌라촌은 거리 환경이 더럽고(음식물쓰레기, 일반쓰레기 난립) 아파트는 깔끔하죠. 요즘 아파트들 각 구역 마다 입출구가 있고 대중교통이 잘되어 있어서 오히려 아파트 밀집 지역이 더 살기에는 편합니다.
@user-nf3qd7hh4t
@user-nf3qd7hh4t Ай бұрын
@@LPark-dl4ur 맞아요 혜화동 등 사대문안 주거지는 빌라여도 살기 좋아요 고즈넉하고요. 산동네촌 말고요
@jamesmillerjo
@jamesmillerjo Ай бұрын
미래는 메가시티 원이다
@jenlala72
@jenlala72 Ай бұрын
제목만 보고 추천 합니다.
@ilililiililiil3006
@ilililiililiil3006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세종시가 정말 아쉽다고 생각함. 사공이 너무 많아서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버린 비운의 도시ㅋㅋㅋㅋㅋ
@dmamirine7781
@dmamirine7781 23 күн бұрын
알고보니 침수대비용 건물 식 노아의방주?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29 күн бұрын
국가 수준에서의 땅콩 주택
@culture6375
@culture6375 29 күн бұрын
걘적으로 수직 안좋아함. 수평이동 굿! 제2롯데월드,너무 별루죠 그 건물만 삐죽 솟아서 전체 도시랑 전혀 어울리지 않아요 ㅠ 누가 허가해준거냐 ㅠ 조화롭지 않잖아요ㅠ
@user-bp4pv4fc2w
@user-bp4pv4fc2w 27 күн бұрын
더 라인이 아니라 ‘더 닷’
@baksehyeon
@baksehyeon 27 күн бұрын
수직이고 수평이고 우리나라처럼 아무대나 수직으로 올리면 망하는거지.
@djlipsum1526
@djlipsum1526 24 күн бұрын
내 이랄 줄 ㅋㅋㅋㅋㅋㅋ
@lionelmessi-kv7ye
@lionelmessi-kv7ye Ай бұрын
신도시는 확실히 답답해요. 숨이 막히는 느낌..
@user-zm6rk2ym5t
@user-zm6rk2ym5t Ай бұрын
누가봐도 비현실적인 도시설계..
@user-ln9bd6zn6g
@user-ln9bd6zn6g Ай бұрын
1등!
@user-ok2rp5qt4h
@user-ok2rp5qt4h 26 күн бұрын
그거 할 돈이면 해수담수화 엄청 깔아서 사막에 나무 다 심는게 좋지 않냐? ㅋㅋ
@user-gr1vh8wj4z
@user-gr1vh8wj4z 21 күн бұрын
The Line -> The Dot.
@yas-oh
@yas-oh 28 күн бұрын
땅덩이가좁아서 아파트가 흥한거지 우리라고 딱히 아파트살고싶겟음?
@pstar218
@pstar218 Ай бұрын
제와피
@user-fu9nl3mf8n
@user-fu9nl3mf8n 11 күн бұрын
170km 는 정신병 수준이고 적당한 크기에 뉴타운 하나 세울듯 아예 그지는 아니니까
@user-741
@user-741 Ай бұрын
ㅋㅋㅋ한마디로 개소리^^ 이걸 신나게 빨았던 윤어퍼컷ㅋㅋㅋ
@user-lt7fx9ds3g
@user-lt7fx9ds3g 11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저렇게 이쁘게 지어놓으면 핵폭격 해서 싹다 지워버리기 좋겠네
@buffettwarrant7416
@buffettwarrant7416 Ай бұрын
2.7km면ㅋㅋㅋ 더 라인이 아니라 더 콤마 아니냐 ?
@user-xo1mb4ux7f
@user-xo1mb4ux7f Ай бұрын
살펴 보도록 할게요 ☞ 살펴 볼게요 가져 보도록 할게요 ☞ 가져 볼게요 전달드리도록 할게요 ☞ 전달드릴게요
@user-dq3ok2xb3y
@user-dq3ok2xb3y Ай бұрын
이건 그냥 사우디 홍보용이었다. TV고 유튜브 건 이거 말 안한 방송이 없었지. 덕분에 사우디...빈살만...사우디 역사 등등 간거자나 그 덕에 방송하는 애들도 먹고 산거지 ㅋㅋㅋ
@user-mc7tg5fn9o
@user-mc7tg5fn9o Ай бұрын
듣고있나?? 국토부???
@marklee9785
@marklee9785 21 күн бұрын
500m건물 관리가 안 될거다.
@user-ze1rl1jn6q
@user-ze1rl1jn6q 27 күн бұрын
개그 욕심이 좀 있으신듯 ㅋㅋ
@kevinna2523
@kevinna2523 28 күн бұрын
어느 시공간 이야기인지..
@MrSinusu
@MrSinusu 9 күн бұрын
이번 네움시티 프로젝트 때문에 사우디가 돈이 없다는 사실이 온세계에 알려졌네. 이 황태자 놈 오래 권좌에 못 있겠구만.
@97500cdthfd
@97500cdthfd Ай бұрын
채상욱 작가 출연 kzfaq.info/get/bejne/jcindsKY2rCygJs.htmlsi=CcUpOAYvgKUw1GwJ
@STUDY_MACHINE
@STUDY_MACHINE Ай бұрын
2% 물가 달성하면 경기침체 반드시 오는 이유 | 분석왕 - 진짜 자본주의편
23:27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Рет қаралды 39 М.
초고령 한국을 바라보는 외국증권사의 뷰는 충격적 / Super-aging nation? 환율 조심하세요
21:19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Рет қаралды 71 М.
UFC 302 : Махачев VS Порье
02:54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816 М.
Is the Saudi Mirror Line Possible?
17:00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종부세 폐지 논란, 이 영상으로 종결
21:03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Рет қаралды 54 М.
자산 3억이면 중산층이라고? 대한민국 소득 자산 팩트체크합니다 | 채부심 부동산 세미나
18:00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Рет қаралды 567 М.
서울 부동산 강세장의 진짜 의미
14:15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Рет қаралды 54 М.
네옴시티 사업 축소, 한국 기업 노력은 물거품 되나
9:38
헤럴드스토리
Рет қаралды 49 М.
UFC 302 : Махачев VS Порье
02:54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