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동산? 앞으로 이곳 뜰 겁니다 (한국도시의미래, 도시읽어드립니다,2024부동산)ㅣ김시덕 도시문헌학자 [재테크 명강]

  Рет қаралды 201,261

조선일보 머니

조선일보 머니

Күн бұрын

#한국도시의미래 #부동산투자 #재테크명강
🏠'초양극화' 부동산 시장, 한국에서 살아야 할 곳과 살 곳은 어디인가?
🚶강남부터 땅끝마을까지 김시덕 박사가 직접 답사하며 얻은 인사이트를 통해 부동산 투자의 기준을 설립하는 방법
------------------------------------------------------------------------------------------------------------
🎥타임라인
00:00 국가는 강남을 버렸다
00:21 한국 도시의 미래
02:26 제2의 강남, 나올 수 있을까?
04:52 마용성? 이제는 마용여
05:38 메가시티의 핵심은 교통
06:33 GTX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
10:05 서해선과 동해선 주목해야 하는 이유
12:38 지금 화성은 영동개발 초기 모습?
13:18 대서울권 집중화 막으려면
17:13 3대 메가시티의 핵심, 대서울권
20:45 경기남도? 경기북도?
22:06 2부 정리, 3부 예고
부동산 전문가와 함께하는 재테크 명강👴
#경제 #김시덕 #재테크명강 #부동산

Пікірлер: 321
@user-nu9do4ux5r
@user-nu9do4ux5r 16 күн бұрын
꼭지방뿐만아니라...서울외각만 가더라도 외국인문제 심각하져...양주시,양평군,수원시,평택시,김포양촌통진읍등등...정말열심히 일하는 외국인근로자도 많지만, 그렇지않는 외국인도 많이 잇져...사회적문제 심각합니다...새벽에 평택역 가보셧나여? 아수라입니다...분위기도 무섭구여....한국법이 약하다는것, 한국교도소 호텔수준이라는것, 그들도 다압니다....극소수? 절대아닙니다....중국인들도 자국서 범죄해서 한국으로 많이 도피하져..
@miri5652
@miri5652 12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망해야 됩니다...
@aurakang3636
@aurakang3636 8 күн бұрын
@@miri5652 곧 망할거랍니다.
@user-eo6io2xw5q
@user-eo6io2xw5q 3 күн бұрын
외국인들 사회문제입니다! 유럽은 국민들이 희생합니다! 자국민보호 해야하고 외국인 사회범죄일시 추방이 답이다. 강하게 처벌해야함!!!
@yoonkian9150
@yoonkian9150 17 күн бұрын
8분 15초: "한국 시민들의 상당수는 최고 서비스는 받고 싶은데, 비싼 값을 내는 것은 싫어해요" - 뼈를 때리는 말씀이네요
@alvinch.5200
@alvinch.5200 17 күн бұрын
엥? 세계 최고의 가성비 의료를 잘 받고있으면서도 그것도 걷어차고 세상에 있지도 않는 ”더 싸고 질 좋은 oecd 수준 공공의료“ 내놓으라는 전반적인 킹민들 인식 아닙니까? 그러면서 자기 지갑에서 건강보험료 천원 더 나가면 빼애애애액 하는 돈벌레 ㅋㅋㅋ
@kuksun00
@kuksun00 17 күн бұрын
집값은 비싸길 바라고 보유세는 많이 내기싫고 ㅋㅋ
@user-wq3zu2it9x
@user-wq3zu2it9x 17 күн бұрын
선동하지마셈, 자본주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에서 최소 비용, 최대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건 사회 전체를 관통하는 원리임, 당연히 최고의 서비스를 가장 싼 가격에 향유하는게 기본 원리에 맞는 행위인거지
@yolly72
@yolly72 17 күн бұрын
교육쪽이 그러함. 공교육이 최고의 서비스를 해줘야 한다고, 학교(선생)를 옭아쥐어짬. sns로 눈높이가 높아져 강남 수준의 교육 서비스를 (내가 이렇게 세금 내니깐) 어디서나 공교육은 해줘야 한다고 함. 강남의 공교육이 좋은게 아니라, 공교육 안받아도 되게끔 미리 다 사교육 시키고 오니깐 그런건데... 그런건 안중에도 없고 무조건 내가 세금내는 (얼마나 내시는지...) 국민이니깐, 우리 국민들 목소리 합치면 뭐든지 들어줘야 한다는 이상한 민주주의의 한쪽면만 크게 보고 자란 교육으로 똘똘 키워진 지금의 40대...
@user-gf6gn7ob8c
@user-gf6gn7ob8c 17 күн бұрын
​@@user-wq3zu2it9x 본인이 그 서비스 제공자가 되세요 그럼. 다 그 마음이니 좋은거는 비싸지는겁니다.
@user-fc3cw8pg1c
@user-fc3cw8pg1c 16 күн бұрын
용산공원부지는 후대에 물려줄 소중한 휴식공간 이므로 반드시 공원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user-bw6wl7qy5v
@user-bw6wl7qy5v 15 күн бұрын
용산사냐?
@user-hj2oc6px2g
@user-hj2oc6px2g 15 күн бұрын
용산 공원추진해야합니다 높은 아파트는 한강변에 100층짜리 집 지어서 살게합시다 ㅇ 그리고 지금가격에서 50%내려가야 합니다 그래야 세금걱정 없이 살것 입니다 종부세는 꼭 없애야합니다 상속세도 없애야 합니다 증여세도 없애야 힌ㅂ니다 내가벌어서 자식주는데 왜 세금을 내야히라요
@kkiwwikiwi7884
@kkiwwikiwi7884 15 күн бұрын
빼곡히 아파트 지어서 과밀지역 만들어야. 그래야 부동산 인상 막을수있고 자금이 산업에 간다
@user-bh2iy7xx9x
@user-bh2iy7xx9x 2 күн бұрын
그 후대가 나라 망한거에 관심이 없음 아주 싹수가 노람 어르신들이 지켜온 나라 25만원 언제주나 입벌리는 긔즤들 뿐
@user-zc4oo7hk5w
@user-zc4oo7hk5w 17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전문가와 함께하는 재테크 명강 도시문헌학자 김시덕님과 함께 한 이번 영상을 통해 도시 미래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볼수 있어서 흥미로웠어요 앞으로 많은 분들이 오랫동안 함께하며 더욱 다양하고 알찬 소식이 가득하며 즐거움이 함께하는 공간이 되길 바라며 항상 응원합니다
@keep918
@keep918 4 күн бұрын
용산은 공원이 되어야 됩니다
@g11112
@g11112 17 күн бұрын
김시덕 도시문헌학자님 말씀들으면, 도시의 미래에 대한 관점이 저같이 문외한 입장에서 많은 도움이 되네요😊
@user-uy8rx1cb3i
@user-uy8rx1cb3i 15 күн бұрын
자녀가 없으면 굳이 비싼곳에서 살필요없음
@abyssalvoyage
@abyssalvoyage 17 күн бұрын
김시덕 박사님의 일타강의 잛 봤습니다.
@user879p
@user879p 6 күн бұрын
한국인들은 최고의 서비스를 원하면서도 싸길 원한다. 정말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의료의 수준도 갈수록 저하될 것 같습니다
@user-ml1el2tu7e
@user-ml1el2tu7e 16 күн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시간 가는줄 모르게 늘 유익하고 흥미롭습니다. 앉아서 전국 각지의 상황을 알게 됩니다.
@JJ-pc6se
@JJ-pc6se 13 күн бұрын
숲과 나무를 적절히 보는 시각을 가질려 노력하지만 이상하게 부동산에 있어서는 자꾸 나무만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번 김시덕님의 영상을 보면서 숲을 다시 바라보게 되는 시야를 가지게 됩니다. 좋은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user-ij7xe5kn5p
@user-ij7xe5kn5p 15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 다만, 용산공원부지에 고밀도 거주지를 만는것에 대하여는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진정 후대에 무엇이 이익이될지...
@dream-rp1op
@dream-rp1op 14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뭔 용산 군 부지에 고밀도 아파트를 짓나요 ?
@user-bh2iy7xx9x
@user-bh2iy7xx9x 2 күн бұрын
후대들은 그들이 알아서 하게 합시다 나라 망햐도 돈 언제쥬나 하는 그지들 뿐
@user-ky3ep4fh9s
@user-ky3ep4fh9s 17 күн бұрын
근데 gtx가 들어서면 거기가 지역의 핵심지고 gtx를 중심으로 지하철, 버스들이 연결됨 그래서 gtx 따라가는게 맞음
@user-vm7wh4vt1l
@user-vm7wh4vt1l 17 күн бұрын
역시 김시덕박사님, 많은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팩트에 입각한 가감없는 미래예측, 시사점이 많네요. 다음편이 기대됩니다.
@jongimlee1261
@jongimlee1261 17 күн бұрын
ㅁㅁㅁㅁ
@herosohn8481
@herosohn8481 16 күн бұрын
저번부터 이양반은 이상한 괴담만하는거같은데?
@user-wz5lu5xr3u
@user-wz5lu5xr3u 16 күн бұрын
무슨괴담요 ? 옮은말만 하는고만​@@herosohn8481
@user-jp7tu5wf8f
@user-jp7tu5wf8f 14 күн бұрын
모두 맞는말씀입니다
@user-ld2el5qx3v
@user-ld2el5qx3v 11 күн бұрын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f1kq5fo2t
@user-qf1kq5fo2t 14 күн бұрын
왜 이렇게 사는 지역에 대해서 피곤하게 연구하고 고민해야 하나요 삶을 안정적으로 그냥 살고 싶은데...
@user-dq1fo4jl8c
@user-dq1fo4jl8c 11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제말이요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2 күн бұрын
관심있는 사람들도 있고 아닌사람들도 있죠 어느분야나 다 그래요 스트래스 받지마시고 다른 흥미있는 분야 찿아보세요
@stellakang4639
@stellakang4639 4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좋습니다.
@user-js1rx5uv9n
@user-js1rx5uv9n 15 күн бұрын
비싼 아파트중심으로 복합적으로 개발하니 빈부격차는 아파트가 주도하죠
@chkim396
@chkim396 16 күн бұрын
Gtx 예측 하신거 보고 무한신뢰감 팍팍중. 석학이십니다
@user-fk3od4kw3g
@user-fk3od4kw3g 15 күн бұрын
14:41
@earthduckhoo
@earthduckhoo 9 күн бұрын
인사이트가 넘나리 훌륭하셔서 매번 챙겨보는 김시덕 박사님. 왠지모르게 수척해보이셔서 마음이 아프네요. 어깨의 머리카락도 떼어드리고 싶네요.
@user-lu9iv5jq3u
@user-lu9iv5jq3u 17 күн бұрын
그 지역구에 어떤 사고의 사람들이 살고있는지가 여러가지 요소를 결정 짓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user-no6wn8fx7b
@user-no6wn8fx7b 12 күн бұрын
마포 용산 성동 광진 한강벨트 중심부는 개발 지속으로 계속 오른다
@user-rp3vc6pt9g
@user-rp3vc6pt9g 14 күн бұрын
저녁 6시무렵인데도 마치 밤 10시 정도의 느낌이 드는 곳은 왠지 무선.......생동감이 넘치는 곳은 어디든.......
@JK-xy3zn
@JK-xy3zn 17 күн бұрын
책을 읽어본 독자로서 잘들었습니다. GTX이야기는 이분말씀이 개통전부터 맞았고 저는 이분연구결과가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user-me7di1zc4q
@user-me7di1zc4q 13 күн бұрын
아직 맞다, 안맞다 얘기할 시기가 아니죠. 삼성역이 개통되고 최소 몇년이 지나야 진정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board-sr1qz
@board-sr1qz 16 күн бұрын
내용은 좋은데 땅 기획부동산업자들이 좋아할 내용이긴하네요
@jimmypak8898
@jimmypak8898 16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직접 탑승해보면 버스보다 GTX가 훨씬편함.. 평택 서부는 직접 살아보면 언젠간 되겠지만…. 아직 많이 멀었음😊
@johnslvation8940
@johnslvation8940 16 күн бұрын
용산공원 고밀도 개발,,,경제적으로는 좋은 의견이나, 후세대들을 위하여 고밀도 녹지 지역으로 만들어야 되지 않을런지요,,,나무를 빽빽하게 심어서 정글처럼 만들면,,,(제말이 아니고, 어떤 학자의 의견이었습니다,,,)
@user-fq1qt4of1v
@user-fq1qt4of1v 16 күн бұрын
강남 영등포 여름되면 숲이 없어서 뜨거워서 못살겠더만
@user-bh2iy7xx9x
@user-bh2iy7xx9x 2 күн бұрын
영등포 뿐 아님 뭉개인이 나무 다 베어버림
@user-vh2bl8fb2b
@user-vh2bl8fb2b 12 күн бұрын
시야를 넓히게 된 명강의 입니다.
@user-js4nr5oz2g
@user-js4nr5oz2g 14 күн бұрын
인간은 경험을 통해서 살아가는 것이라,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 하는 것이라 생각 합니다, 또 한번 지켜 보지요;
@user-uj3fv4eq5u
@user-uj3fv4eq5u 17 күн бұрын
12:08 남향읍아니고 남양읍입니다
@user-dx2tb1wt8k
@user-dx2tb1wt8k 16 күн бұрын
용산이 최고가 되겠네요 한강변 혹은 공원주변
@user-jh8il8di2h
@user-jh8il8di2h 14 күн бұрын
지구의 기후변화는 인간이 못막는다.
@user-hs5cl6fd7r
@user-hs5cl6fd7r 16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용산입니다
@user-yf7ks4te6w
@user-yf7ks4te6w 4 күн бұрын
김시덕박사님 추가령지구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ser-lb4dh9nu6s
@user-lb4dh9nu6s 12 күн бұрын
13:53 15:00 될수도 없고 할생각도 없다는게 너무 맞는말같네요..
@user-fz1vc3cy5k
@user-fz1vc3cy5k 16 күн бұрын
8분15초 이후 15분10초 이후 16분 이후 부분들을 잘 들어보면 일본에서 성공한 케이스들 입니다. 너무너무 맞는말만 골라서 하시네요. 참 대단하십니다👍
@Exynos3
@Exynos3 1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그래서 민자에 고물가에 고서비스로 간건데 ㅋㅋ
@user-ej8bp5bg4r
@user-ej8bp5bg4r 16 күн бұрын
통일 되면 최대 수혜지역 : 강남. 남한 탑에서 한반도 탑으로~
@jimmypak8898
@jimmypak8898 16 күн бұрын
이분은 항상 잘 나가다가 어쩌다 한 번 일어날 상황을 너무 부풀림…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16 күн бұрын
인구가 줄어드는 마당에 그런식으로 메가시티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보다는 거점도시별로 개별적으로 발전할 것이라 저는 보고 있어요. 주변도시들은 점점 소멸화 되고 한두개 거점도시들만 남을겁니다.
@user-hq5jf4qu4g
@user-hq5jf4qu4g 17 күн бұрын
용산,마포,여의도... 공감백배하고 갑니다.
@user-oq2fv8tl8v
@user-oq2fv8tl8v 17 күн бұрын
푸하하하하 푸하하하하
@abcdefghijkjin
@abcdefghijkjin 17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user-se9qt2ig4n
@user-se9qt2ig4n 17 күн бұрын
희망사항???
@ssamssae
@ssamssae 14 күн бұрын
이제는 용산이야
@mancurious9839
@mancurious9839 17 күн бұрын
과거의 성공 사례가 미래에도 재현된다는 보장이 없지. 서울에선 특별히 내가 뭘 하지 않더라도 필요할 땐 짧은 시간 내엔 할 수 있다지만 서율 바깥에서 서울까지 가야한다 라는게 있는거지. 동탄역 바로 옆에 살면 아마 신교통의 혜택이 있겠지만 다른 곳은 심리적 거리감 아닐까?
@user-yq6pv2rs6c
@user-yq6pv2rs6c 16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외국인 노동자를 계속 단속하면 인건비만 높아지고 있어요
@user-wo2nf2hb4q
@user-wo2nf2hb4q 12 күн бұрын
기획부동산 업자들이 홍보용으로 쓰면 딱 좋을 컨텐츠네요~~먼 미래 얘기들...먹튀용..
@torutomaktu
@torutomaktu 17 күн бұрын
통찰력과 시야가 대단하구만
@user-eb9kq2he6m
@user-eb9kq2he6m 16 күн бұрын
용산공원 고밀도 개발해서 서울 살고 싶은 사람 살게하고, 힘들면 떠나게 하라했는데 이후 대책은 없네요!
@user-vv7fr2fg2b
@user-vv7fr2fg2b 16 күн бұрын
가성비를 좋아한다
@Ki-kt4ht
@Ki-kt4ht 11 күн бұрын
지방유지들이나 정치가들이 우리나라 국내 청년 여성분들의 마음도 못 잡고 현실을 못보는데 해외 사람들이야 더 말해 무엇할까요. 말씀하신 것들이 다 맞고 뼈 때리는 얘기들이시지만, 해외 입국자들에 대한 대응이나 법 제정도 너무 주먹구구식이라서, 우리나라 사람들 입장에서도 그들 입장에서도 좋은 부분이 별로 없다는 것도 원인에라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나 기술 등이 발전한 것에 비해서 국회의원둘이나 사법계 같은 지도자들 계열이 너무 고민이 없고 발전이 없어서 그 차이가 지금의 상황을 더 가속화시킨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정책을 승인시키고 추진하는 것은 그들이니까요. 그런 이들을 뽑은 우리 국민들의 인과응보이지요.
@user-ih5fx4ug7b
@user-ih5fx4ug7b 15 күн бұрын
쉽게 풀어 설명해주시는 분입니다
@user-ez1tn3bh8p
@user-ez1tn3bh8p 17 күн бұрын
이 시대의 참지식인 김시덕
@user-yy4sk6wz2d
@user-yy4sk6wz2d 16 күн бұрын
알찬 강의 아주 잘 봤습니다. 뭐든 지하화 하려는 것들은 다 사기꾼으로 보시면 꼭 맞습니다. 왜냐면 돈 꿀꺽하기에 딱 좋거든요.
@user-me1xk3ml2t
@user-me1xk3ml2t 17 күн бұрын
다다다 다음 세대에 가면 몰라도...ㅋ
@kimmykim1844
@kimmykim1844 15 күн бұрын
서해선의 미래 거기는 공장, 논,탁한대기 과연 주거지로 적합할까.
@hanzusong7963
@hanzusong7963 16 күн бұрын
인력을 쿼트제로 한다고? ㅎㅎ. 실력으로 뽑아야지.
@mickypark6039
@mickypark6039 17 күн бұрын
경기도에 일자리 좀 넣어달라 !!!!!
@user-gg5pu5uw5o
@user-gg5pu5uw5o 17 күн бұрын
만고진리. 세상에 공짜는 없다.
@user-rl7lu7ex8p
@user-rl7lu7ex8p 16 күн бұрын
남녀인원 절반은 역차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남녀구분없이 실력으로 뽑는게 가장 평등한거죠
@jmc6952
@jmc6952 1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여자인 제가 저 부분에 공감이 안되네요. 어디든 실력으로 뽑는 것이 모든이들의 공감을 받죠.
@eys2101
@eys2101 9 сағат бұрын
꼭 강남을 물고 뜯어야 되는거니
@kumakun4172
@kumakun4172 17 күн бұрын
인구가 줄어도 서울, 수도권에 더 몰리게 되어 있고 서울 상급지는 더 비싸질 것이다
@Helios_377
@Helios_377 17 күн бұрын
인구가 15년뒤면 천만명이 사라지는데 갸소리도 정도껏ㅋㅋ
@johnslvation8940
@johnslvation8940 16 күн бұрын
이 전망은 전문가집단의 공통적인 의견이기는 합니다,,,대한민국에 특단의 대책과 개혁이 실행되지 않는 한 수도권공화국이 되어 갈 수 밖에 없기에,,,위기의식을 갖고 뭔가 시작해야 된다는데, 이 게 정말 어렵다네요,,,
@sungjunahn8401
@sungjunahn8401 12 күн бұрын
인구소멸에 무슨 동해선?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17 күн бұрын
마용성 여의도 는 도심과더불어 일자리, 문화,역사, 자연이 어우러진 중요한입지가될듯. 남쪽은 첨단제조업. 용산 도심 여의도는 글로벌, 금융 , 업무시설. 마포 성수는 업무와 거주지.
@user-vz1zo1rj5s
@user-vz1zo1rj5s 14 күн бұрын
경기남부 평택 ‥반도체7공장까지 짖는다하네요 ‥ 한기수당일자리수자가 어마어마한데 5ㆍ6기가 7기까지라면 기존의10기까지 짖는일이생기는데‥‥용적률을위로올린다하네요ㅡ ㅡ평택은정말 어마이마해질것같네요 ㅡ높이로올라가니 참ai반도체로인한 평택이 엄청뜰거같습니다
@leesj7448
@leesj7448 12 күн бұрын
문제는. 현재 한국 반도체가 판매가 급락하고있습니다. 대만의 저가 반도체 때문에 현재 한국의 반도체 시장도 죽어나가고있습니다.또한 고덕삼성의 경우 현재 건설 공사기간을 단축해서 빠르게 짓는게 아니라 사람줄여가며 공사기간 늘리고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경제가. 언론에서 말하는바와는 틀리게 심각합니다.여기 영상과 같이.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모이고있습니다
@EastWood2004
@EastWood2004 16 күн бұрын
제목도 자극적으로 뽑기는.. 국가가 버리긴 뭘버려. 민간이 사고파는 시장인데.
@user-kw6nw3tu3c
@user-kw6nw3tu3c 15 күн бұрын
국가에서 개발하지않았다는 말을 버렸다고 표현한건대 문해력이 그렇게 없어가지고 사회생활 되시는지 궁굼하네요. 추가로 강남은 오로지 민간자본으로 개발되었다고도 이어서 설명하시던대...
@EastWood2004
@EastWood2004 15 күн бұрын
@@user-kw6nw3tu3c 본인도 그렇게 써놓고도 저 제목을 그렇게 이해가 싶은가 보네요? 내용 보지도 않고 제목만 보고 댓글 달았습니다. 저런 낚시성 영상은 보나마나니깐요. 버린건 abandon 즉 포기한거라는 말인데.
@user-sb3ql3fc7j
@user-sb3ql3fc7j 17 күн бұрын
조목조목 와닿는말씀 잘봤습니다
@SJPark-ic3xi
@SJPark-ic3xi 17 күн бұрын
혁신도시를 쌩뚱맞은 외곽지나 도시와 도시 사이에 이상하게 만들어 놔서, 이도저도 아닌 상황에 적극 공감합니다. 특히나, 그 지역에 땅 있던 지역 유지나 토건업자들만 돈 벌었다는 얘기도 적극 공감!!! 부산, 대구 등 핵심도시들 말고는 KTX, SRT도 어중간한데 역을 만들고, 혁신도시를 만들어서 모두가 불편함. 개발 개판
@user-ie2me8sy6b
@user-ie2me8sy6b 16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어떠한 지역도 안뜸 부동산 물건너 강구경하쇼
@user-jx2vo4hi4m
@user-jx2vo4hi4m 14 күн бұрын
북한도 이미 남한과 개리가 커므로 외국이라 잠정하면서, 적극 이민을 수용해 다이민 국가로 가야 인구소멸을 막을거 같네요 .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지나며 이루어진 단일민족의 억지성울 느슨히 오픈하면서 다민족 국가로 가야만 국가소멸을 막을수 있겠네요. 당분간 출생률 회복이 어려운 건 분명하니 이민과 다문화를 수용하여 동북아의 아메리카가 되면 좋을 것 같아요.
@choiyohan
@choiyohan 6 күн бұрын
감우성 닮으신듯
@user-comnshop7566
@user-comnshop7566 15 күн бұрын
한반도 자체가 서울 공화국 된다.. ㅎㅎ
@Dyhvgjjiygj2go
@Dyhvgjjiygj2go 14 күн бұрын
나도 여자지만 직장생활 하며 느낀게 대부분 여자들 남자 반도 일 안하고 징징대고 예민하며 억울해 해 남자에 비해 생산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여성을 위해 주셔서 감사하나 이상속에 살고 계시네요~ 아닌건 아닌겁니다. 이십년 이상 일하고 느낀점입니다!
@hanzusong7963
@hanzusong7963 16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지방소멸이 되면 어쩔 수 없는거라고 생각하며 자연에 맡기는 것이 어떠한지도 생각해봐야해. 짧은 생각 끝에 하는 강변은 좀 자제하고.
@kuicat
@kuicat 12 күн бұрын
교통의 발전사를 보시면 그 속에 답이 있음
@lastcoin_
@lastcoin_ 14 күн бұрын
좀 버려야지 오래 해먹었는데
@user-vf3cz1km3t
@user-vf3cz1km3t 16 күн бұрын
용산공원을 고밀도 개발하면 용산의 가치와 미래는 급추락 할 것이다!!
@username03555
@username03555 17 күн бұрын
송도에서 서울 중심지를 관통하는 GTX Ɓ노선과 서해선이 중심축 역할을 하고 효율성이 있다고 봅니다.
@user-lr7jb7lx7v
@user-lr7jb7lx7v 17 күн бұрын
근데 GTX B,C는 2035년~2040년에 개통해요. 너무 멀었다는거죠
@user-krtpp
@user-krtpp 4 күн бұрын
본인만 버린듯😂😂😂😂😂😂
@isaacsstudio7341
@isaacsstudio7341 Күн бұрын
인구가 안받춰져서 어떤 개발도 60.70년대 같을 수는 없을거같네요. 허무한 청사진..
@user-sx3yc6xc7o
@user-sx3yc6xc7o 11 күн бұрын
용인반도체 한전망하게 생겼는데 ㅋㅋ 뭔 반도체 클러스터야 ㅋㅋ
@dowghner9907
@dowghner9907 15 күн бұрын
그냥 동네 공인중개사님께 물어보면 될듯
@user-kt9wy7hr2n
@user-kt9wy7hr2n 15 күн бұрын
항상 흥미롭긴한데 ^^ 투자적 안목은 글쎄....... ^^ ㅎㅎㅎ
@joyjoy8898
@joyjoy8898 8 күн бұрын
지방색 텃새 마인드 안바뀌면서 대서울 쪽 인구 오기를 바란다는 것은 모순
@mikel6219
@mikel6219 17 күн бұрын
집값 장난으로 돈은 벌었는데 할 일은 별로 없고.. 일 해본적도 없고 할 엄두도 못내는 것들이 어떻게 또 한탕 해보려고, 좋탄다 ㅉㅉ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15 күн бұрын
지형도 오목해서 장마 홍수에 취약 잠기던 강남이 구도시가 되가고있는느낌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15 күн бұрын
양극화 저출산 0.6명 마이너스, 공공성을 생각을 넓히지못하는 지식
@chunsikjeong1748
@chunsikjeong1748 17 күн бұрын
대서울권.....장난해?
@user-ie3tj5cj8j
@user-ie3tj5cj8j 15 күн бұрын
과격테러가 문제지
@ec3462
@ec3462 15 күн бұрын
저출산에 흥할 지역이 어디든 인구가 수요를 따라줄까요? 서울의 광대역화라 와국인 유입을 확대하려면 가난한 동남아 말고 부자들이 새컨 써드 허우스를 한국에 마련해서 그들의 지갑을 열려면 개인적으로 다중국적 인정으로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동내 식당이 한국말고도 글로벌 시장까지 돈을 끌어들일수 있지 않을까. 한류 붐이 불었을때 안전하고 맛있는 건강한 음식 먹으러 한국을 자주와서 돈을 쓴다면 관광수입을 키우는거죠. 한국국적을 주는 이유는 세금징수가 확실 하거든요.
@yosdwszdes---
@yosdwszdes--- 11 күн бұрын
이미 강남 아파트 중국사람들이 사고 팔고해서 더 가격을올려요
@trillion7086
@trillion7086 17 күн бұрын
혁신도시 대실패
@trillion7086
@trillion7086 17 күн бұрын
남는땅은 전부 공원화 해야한다
@user-qv5qr2kp4h
@user-qv5qr2kp4h 16 күн бұрын
남녀절반으로 하는게 말이 되나요ㅋㅋ 능력이 있으면 뽑는거지
@somgurm106
@somgurm106 14 күн бұрын
사무직은 남녀 능력의 차이가 있을 수 없죠. 중고등학교 성적은 오히려 여자들이 더 좋은데요. 회사의 고위직에 여자가 적다보니 기회를 적게 받게 되는 것 같아요. 강제로 한번 고위직을 반반으로 만들면 그 후엔 공평하게 경쟁해도 될 겁니다. 실제로 독일은 임원, CEO, 정치인의 성비가 거의 반반 입니다. 그리고 요즘 같이 외벌이로 먹고 살기 힘든 시기에 배우자가 돈을 잘 벌면 남자에게도 좋은 겁니다. 요즘 남자들의 자랑이 자기 부인 돈 잘번다 입니다. 어차피 맞벌이 할텐데 여자가 잘 벌면 좋잖아요.
@user-vc6yc7gz1z
@user-vc6yc7gz1z 14 күн бұрын
​@@somgurm106페미정책 저출산을 만든다~
@user-qv5qr2kp4h
@user-qv5qr2kp4h 14 күн бұрын
@@somgurm106 그냥 능력좋은사람을 뽑자는건데 왜 자꾸 반반타령을 하세요? 중고등학생때 성적이 여자가 더 좋다구요..? 근데 왜 의대 이공계열 최상위권은 다 남자죠? 이것도 여자라서 당했나요? 세계적인 CEO 우리나라 여성CEO들도 반반하자는 개소리좀 하지말라고 이야기하는데 뭔 반반을 외치세요? 잘하는 여성들이 더 많으면 여자들로 100%를 채워도 아무말 안합니다. 사무직은 남녀능력의 차이가 없으면 뭐하러 면접보나요? 그렇게치면 인간의 사무직 능력은 전부 똑같으니까 면접없이 그냥 지원받아서 추첨해서 뽑는거죠ㅋㅋ 단단히 착각하시는데 특히 기업은 이익집단으로 인간보다 로봇이나 원숭이가 능률이 좋으면 그것들로 대체할집단입니다. 말같은소리를 좀 하세요.
@user-nn2dm9rk8n
@user-nn2dm9rk8n 14 күн бұрын
​@@somgurm106수능성적 상위권으로 갈수록 남학생의 비율이 높죠 여학생이 성적이 좋다는 것은 평균입니다
@user-nn2dm9rk8n
@user-nn2dm9rk8n 14 күн бұрын
​@@somgurm106회사의 고위직이 능력없이 자리를 차지한다고 보시나요?말도 안되는 소리를~~이윤이 목적인 사기업이 능력도 없는데 남자라고 차지한다?참 페미적인 발상이고 무섭네요
@user-un3hb7ey2m
@user-un3hb7ey2m 15 сағат бұрын
에고.. 용산공원을 반대하시고, 최대한 고밀도로 개발해야한다니요? 인구도 줄어들고 자본주의 폐해는 가중되는데...서울 중앙에 선진국처럼 녹지공간좀 만들어 인간답게 사는건 사치인지요. 역사적으로 외세에만 눌려있어서 기한번 펴보지못했던 그 땅을 고밀도로 개발해야한다는 의견에 슬픔이 몰려옵니다.
@user-ms4fc4xw2r
@user-ms4fc4xw2r 17 күн бұрын
원전은 북한에서 멀어서 지은게 맞는데 부울경이 발전된건 북한에서 멀어서가 아니라 거기가 태평양 기간항로라서 그럼
@user-yf1ck5wz7q
@user-yf1ck5wz7q 13 күн бұрын
신사동 서초구 강남구 송파 인접지역 동작구 사는 나는 뭐냐 ㅠ
@lynnoil
@lynnoil 7 күн бұрын
서울을 버려야 국토균형 개발이 진전될것이다
@auzinger0114
@auzinger0114 16 күн бұрын
시덕님 고위급에 의무적으로 남녀반반 할당하지 않는게 남녀차별에 가부장적이라는 말씀은 굉장히 극단적인 발언이시네요. 능력과 경력을 검증해야할 고위급 직위에 성별의 논리가 침투시키는 것 자체가 래디컬 페미니즘의 전형적인 주장이죠. 자본주의 자유주의 사회에서 그런 극단적인 메갈리즘적인 주장은 모럴해저드를 초래하고 근본 경쟁력을 해치게 됩니다. 시덕님의 주장이 잘 반영된 여가부를 보면 좋은 실례가 될 것 같네요
@user-oq7jo4qg6v
@user-oq7jo4qg6v 15 күн бұрын
뭔 말인지...
@user-bw7od1vq5m
@user-bw7od1vq5m 1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왜 엮고조지고 회유협박조작 언론플레이 여피의자와 연애 전문 특수통검사대부는 왜 여가부 폐지 안하고 수의계약으로 돈 세탁만 열심히죠? 국민세금을 자기돈처럼 기밀이라며 왕창 쓰고 있나요?
@wokemen8706
@wokemen8706 16 күн бұрын
적정 인구가 얼마라고 생각하시은디 궁굼하네요 2000만이 되면 뭐 어떻다구
@user-js8jv3pg2w
@user-js8jv3pg2w 15 күн бұрын
저출산에 인구도 업ㅅ는데 ㅋ ㅋ
@katharinaw6430
@katharinaw6430 17 күн бұрын
런던 켄싱턴과 NYC 맨하탄에서 살아보니, 강남 불멸을 알겠더라..
Тяжелые будни жены
00:4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顔面水槽をカラフルにしたらキモ過ぎたwwwww
00:5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OMG 😨 Era o tênis dela 🤬
00:19
Polar em português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그래서 미국 주식 지금 사요? 말아요?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김학균 센터장)
1:06:5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3 М.
Тяжелые будни жены
00:4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