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일타 글쓰기 선생님이 말하는 우리 아이 국어 달인 만들기 | 나민애 서울대 교수 [해시태그 EP.21]

  Рет қаралды 49,211

작가생각

작가생각

2 ай бұрын

삶을 반올림하는 지식의 우물, 해시태그
열한 번째 '해시태그'는 #국어교육 입니다.
서울대학교 #나민애 교수가
독서가 자녀 교육에 중요한 까닭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 강연의 내용이 담긴 《국어 잘하는 아이가 이깁니다》 책 살펴보기
www.gimmyoung.com/book/books/...

Пікірлер: 51
@gy_writers
@gy_writers 2 ай бұрын
독자의 질문을 모아 답한 '해시태그' 2편이 업로드되었습니다 😃 kzfaq.info/get/bejne/jpmbdaV2kuCVdo0.html
@user-wv3lr7ym2x
@user-wv3lr7ym2x 2 ай бұрын
저는 책육아를 하던 엄마는 아니에요.그런데 아이가 장난감만큼이나 책을 너무좋아해서 유아때 공복에 목이 쉬도록 읽어줬고 7세때 자기혼자 읽고싶다고 읽기독립했어요. 아이가 한글책을 너무좋아해서 영어노출 실패하고 한글독서 하게 뒀네요.영어는 초등때 시작했답니다. 한국사 세계사 5살부터 닳도록 읽었고,좋아하는 책들로만 책장을 채워줬습니다.7세에 비룡소클래식 고전 골라읽었어요.책은 대부분 사서 읽혔고 성인책들도 읽어내더군요. 그리스로마신화 좋아하고 지금은 해리포터에 빠져서 본인 돈으로 원서도 삽니다. 저는 책을 안읽는 엄마고 아이한테 책추천받아 읽어요. 하지만 제가 아이한테 꼭 지키고있는게 있는데요.절대 독후활동 하지않았고 관심분야로만 책을 사주었어요. 읽으라고 말한적 없구요.아이한테 독서는 글쓰기를 잘하기 위함이 아니라 재미이자 놀이더라구요. 제일 특이했던건 어떤글을 보더라도 막힘없이 읽는다는거에요.논픽션이든 픽션이든 글읽는데 주저함이 없다는게 저또한 신기하네요.
@user-gi5xe2qs3n
@user-gi5xe2qs3n 2 ай бұрын
책 독서교육 업그레이드 독서 이력의 방향 잡아주기 *보이는 단어보다 안보이는 단어가 중요 - 인간이 쌓아 올린 가장 고급한 영역은 안보이는 단어로 다 표현됨 (도덕 , 윤리, 정의, 문명, 인품, 근엄,,,) *책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 이야기책, 문학작품 ~>인물 묘사와 심리 이해, 맥락 파악 지식책 ~>핵심 개념 파악 *중학생 - 1930~1940년대 단편소설 이태준, 김유정, 김동인, 이효석 이런 작가들의 단편 중에서 유명한 것 미리 읽히기 - 조부모 세대 농촌 문화가 나오는 소설 황순원의 소설, 박완서의 소설, 권정생의 소설 등 교과서 지문으로 많이 나오는 농존 문화 배경 소설 - 1920~2000년대까지 중요 시인들의 작품 시가 어렵기는 하지만 성적을 생각한다면 넘어야 할 산 *시간없는 고등학생 - 발췌독 추천 희망하는 어떤 전공이나 영역이 있다면 그 영역에 대해서 보다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책을 미리 읽어 두는 것이 상당히 유리 전공탐색에 도움 독서는 모든 과목의 기반 책 잘 읽는 아이는요, 자기 자신을 잘 읽는 어른, 다른 사람을 잘 읽는 어른 세상을 잘 읽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wowhswowhs
@wowhswowhs 2 ай бұрын
멋져요
@thevoicechord
@thevoicechord 2 ай бұрын
요약 정리 깔끔하시네요!!
@jeongeunmin5350
@jeongeunmin5350 2 ай бұрын
너무나 공감되는 내용이라 댓글을 안 달수가 없네요. 독서는 아이에게 밥입니다. 차고 넘치는 독서를 경험해본 아이는 학습 그릇의 크기가 남다릅니다. 교과서가 술술 읽히고 공부가 쉬워지는 마법같은 경험을 할 수 있어요. 중고등까지 놓지 않고 독서를 신경써서 챙기면 입시에 도움이 되는 건 당연하고 결국엔 책읽는 어른으로 자랍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가 달라져요. 특히 초등시절엔 학원보다 독서를 우선순위로 두어야 하고요. 서점과 도서관이 내 집만큼 편안할 정도로 자주 드나들고, 책 냄새를 좋아하는 아이로 만들어야 하죠. 교수님 말씀이 1000퍼센트 맞다고 생각해요.
@seifrigii-coco8449
@seifrigii-coco8449 2 ай бұрын
우와 넘 제생각과 같아 답글 남겨봅니다. 제 아이는 책냄새를 킁킁 맡으며 책을 읽는다고 말하더라고요~~책의 냄새가 좋다고요~~아직까진 사교육 없이 책을 많이 읽히고 있는데 책의 힘을 믿습니다~~
@9y30
@9y30 2 ай бұрын
저또한 용기내 저의 경험을 몇자 적어봅니다~아이의 한손에 꼭 책을 들려주고 싶어서 말못하는 시절부터 주구장창 읽어주고 또읽어주고 도서관에 출근했었습니다. 저는 책을 즐기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러나 한글도 7살에 떼었구요..흔히말하는.읽기독립도 아주 늦게 1학년말~2학년쯤 되었습니다.늦나보다하고 그냥 하루도 빠짐없이 계속 읽어주고 관심분야를 밀어주고 응원해줬더니 누구보다 한국 역사를 사랑하는 어린이가 되었습니다. 삼국지,초한지,그리스로마신화를 줄줄 꿰고 있습니다.몇번씩 반복해서 시리즈를 읽어내더라고요 관심사는 위인ㅡ역사ㅡ중국사 한국문학으로 확장되었구요. 학교 교과목 모두를 너무 즐기는 4학년 아이로 자랐습니다. 모든과목이 즐겁다고하는데 저는 책의 힘이라고 감히 생각됩니다.
@MMEcc5_
@MMEcc5_ 2 ай бұрын
나태주 시인님이 딸 잘키우셨어요🎉
@user-ok5zp4tt3n
@user-ok5zp4tt3n 2 ай бұрын
와우~~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네요 ^^말씀도 잘하시고 이해도 잘됩니다
@user-gusrma10djr
@user-gusrma10djr 2 ай бұрын
끝부분 공감합니다. 책을 읽으면 세상을 읽을수 있습니다. 입시가 아니라. 세상살아가는 힘😊
@user-pi4gy1qi7y
@user-pi4gy1qi7y 2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프로입니다 나이든저에게도 도돌이가되어 다시짚어봅니다 독서는평생의동무입니다
@wowhswowhs
@wowhswowhs 2 ай бұрын
연년생남매인데, 책 안좋아하는 하고 게임좋아하는 아들도 재밌는 목록 가져와서 밥먹을때, 자기전에 읽어주면 좋아해요. 도서관 정말 자주가고 빌려서 읽어주고 있는데, 강연이 넘 응원이 되네요!
@user-cl6rx1ok2m
@user-cl6rx1ok2m 2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공감합니다. 독서를 통해 자녀를 성장시키고자 노력하는 가정에 큰 힘이 됩니다:) 그리고 아직 고민하시고, 불안해하시는 부모님들께는 용기가 전해질것 같습니다. 결과만을 바라보고 시작하면 힘겹고, 지쳐서 버겁게만 느껴질수 있어요. 하지만 정말 억지로라도 힘빼시고 하루 1권을 목표로~ 하루 10분을 목표로 그냥 갈때까지 가보자 라는 마음으로 행동에 옮기신다면 진짜 진짜 빛 볼 날이 옵니다. 이건 좋은 성적이나, 성공적인 입시와 같은 작은 그릇에는 채울수 없는 빛입니다. 자녀가 진정 행복한 사람으로 거듭날수 있습니다. 저도 현재진행중이지만 초심 잃지않도록, 이런 영상도 봐가면서 힘내고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아이를 통해 직감적으로 독서의 힘을 진심! 믿게되었습니다. 많은분들이 그런 경험을 해보셨으면하는 바람입니다.❤
@soyoungkwon8997
@soyoungkwon8997 2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초등부터 독서의 중요성은 너무나 이해가 가고 동의하는 바입니다. 혹시 유아기 독서에 대해서도 강의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p3891
@up3891 23 күн бұрын
안 보이는 단어... 말씀하실 때 저 닭살 돋았습니다~! 저와 아이의 독서 꼭 잡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ooyeonlee3531
@jooyeonlee3531 Күн бұрын
큰 도움받습니다 깊은 감사드립니다
@user-km9of9rr9y
@user-km9of9rr9y 2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말씀이 발음이 정확하시고 목소리도 좋으셔서 참 좋으네요
@user-xr7yy3cx1g
@user-xr7yy3cx1g 2 ай бұрын
넘 좋은 강연 고맙습니다. 보통 이런 강연 댓글에 책 좋아하는 애들 타고난다, 공부머리는 따로 있다는 댓글 달리고 일정 부분 맞는 말이지만요. 우리 아이가 그렇게 타고나지 않았다면 부모가 환경이라도 만들어주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요? 저도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했고 제 아이에게 독서를 좋아하게 하려고 노력을 기울였지만 워킹맘이라 노력이 부족했는지 아님 아이가 독서를 좋아하는 기질이 아니라 그런지 제 아이는 독서를 그렇게 좋아하진 않더라구요. 그치만 그래도 독서를 싫어하지만 않게 하면서 꾸준히는 읽히려고 노력 중이고 그래서 그런지 문해력도 차츰 좋아지고 글쓰기도 발전하는 게 눈에 보이네요.
@user-vl2wn4gi2w
@user-vl2wn4gi2w 18 сағат бұрын
헐 나태주 선생님이 저렇게 나이가 많으셨는가. 그런데 왜 소년 같은 인상인지... 도가 놓은 스님 같기도 하고 존경 스럽습니다. 시인이 아니라 성인인가...
@mkjeong1810
@mkjeong1810 Ай бұрын
물가에 가게 할 수는 있다. 스스로 물을 마시도록 하는 건.
@user-qp1tp8yi5y
@user-qp1tp8yi5y 2 ай бұрын
저는 총등4학년과 1학년 아이둘을 키우는 부모입니다. 아이가 책을 많이 읽히고 싶어서 같이 읽기도 같이 생각해보기도 같이 말해보다가도 말문이 막히면 다시 읽기를 연습합니다. 4학년 아이가 문제집 푸는 시간보다 독서 하는 시간이 더 많은데 처음에는 조바심에 문제집좀 풀어라 했는데 독서를 하고도 또 문제집은 풀기는 하더라고요. 아이에게 기다림으로 두들겼더니 아이가 스스로 읽으려고 하고 도서관에 먼저 가자고 이야기를 하네요. 그리고 엄마가 책을 읽고 있으면 옆에 와서 책을 읽기는 하네요^^~ 조바심 가지지 마시고 아이를 믿음으로 지켜봐주면 많이 변하기는 하네요^^~
@user-hg9zj3ii5c
@user-hg9zj3ii5c 16 күн бұрын
음악소리가 거슬리네요 음악들으러온게 아닌데ㅡㅡ 듣다가 말았어요
@totaltruth3282
@totaltruth3282 2 ай бұрын
국어를 잘하면 모든 걸 잘한다는 것을 70이 되어서야 깨달았습니다. 제가 영어를 가르쳐보니 국어를 잘하는 아이가 영어를 잘하더라구요. 초등학교때 읽을책을 다 읽어서 6학년때 실컷 놀았대요. 중학교 3년때 고3 수능영어 1등급 나오더라구요. 이해력이 빠르더라구요. 결국 서울대 박사과정까지 장학금으로 끝내더라구요.
@sookheelee7848
@sookheelee7848 2 ай бұрын
음악 빼주시면 안될까요?말씀에 집중이 안되네요~~
@edgarkim8412
@edgarkim8412 12 күн бұрын
30.40년대 이태준 김유정 김동인.이효석 단편
@wowhswowhs
@wowhswowhs 2 ай бұрын
책좋아하게 하는건 후천적영역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엄마가 읽지 않는 사람이면 불가능
@user-pz3eb1kp9u
@user-pz3eb1kp9u 14 күн бұрын
나태주 시인 선생님 과 닮으셨네요
@user-hb7sl7vj7p
@user-hb7sl7vj7p 23 күн бұрын
안보이는 단어는 성경( 바이블)이 최고였던 것 같습니다.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2 ай бұрын
한국80%대학진학 몸으로 숙련으로 하는일 할려는 사람이 없다는게 더문제죠 할머니 할아버지 초등학교 한글조차 몰라도 자식 7명8명 잘길러냈죠
@elliep3276
@elliep3276 2 ай бұрын
나민애 교수님 초2 엄마인데 정말 적절한 타이밍에 교수님을 알게되어 많이 반성도 하고 앞으로 어떻게 헤야 할지 방향성을 잡게 되었습니다^^ 책을 너무 싫어했던 아이었는데 초1때 만화책으로 책 지면을 넘기는 기쁨을 알려주었고 요즘은 일반 책으로 조금씩 전환을 시켜주고 있는데 어떻게 해줘야 할지 고민이 되고 있었어요!! 제 사랑 한스푼 넣어 아이에게 독서의 기쁨을 알려주도록 노력해 볼께요❤
@user-ne1kf1kr6f
@user-ne1kf1kr6f 2 ай бұрын
부모는 책을 많이 읽는데 자식은 책을 안읽어요 이해할수 없었는데 그 이유를 다키우고 나니 알게 되었어요 엄마가 아빠가 책읽는게 싫다는 것이다 같이 놀아주지 않는다고 아이는 책이 싫었다는 것입니다 세상에 공부 잘 하는 아이들만 있으면 세상이 돌아갈까요 독서하지 않아도 좋은 대학 들어갔습니다 왜 세상은 상위1프로의 것에 맞출까요 그외의 사람이 더 많은데요
@0p9o1q2wcfvg4
@0p9o1q2wcfvg4 2 ай бұрын
맞네요..적절하게..아이들에게는 엄마아빠와 스킨쉽하며 놀수있는 시간도 중요하네요.
@mouton8653
@mouton8653 2 ай бұрын
독서 하는 부모라면 학벌이 높을 것이고,식탁에서 대화가 다르겠죠. 80프로는 부모를 닮으니 좋은 대학 간거겠죠?
@user-hw3pc3xc8v
@user-hw3pc3xc8v 2 ай бұрын
타고난 애들이죠... 모두가 책을 좋아할 수없어요...아무리 책 읽기를 강조하고 시켜도 머리에 그런 내장칩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힘들죠.. 문제는 사회는 이런 애들을 우대해준다는 사실...
@seifrigii-coco8449
@seifrigii-coco8449 2 ай бұрын
지나가다 경험자라 그냥 남겨봅니다...독서 강조시키지 말고 태어나면서부터 아이가 책을 스스로 잡게 될 때까지 몇 살까지든 부모가 책을 읽어주고 아이의 흥미를 찾아 좋아할만한 책을 함께 찾아주는 노력을 한다면 누구든 막 좋아하진 않더라도 스스로 책을 집어드는 아이가 된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제 경험담이라서 남겨봅니다~~뱃속에 있을때부터 초4까지 읽어주어도 책을 스스로 안꺼내는 아이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책을 골라주다보니 드디어 책을 직접 꺼내들고 지금은 게임보다 재미있는 책들도 몇 권 찾았다고 소중하게 보관하며 다시 꺼내 읽는 책들도 생겼어요~~초6인 지금은 글도 종종 쓰구요~~지금까지도 고전책을 제가 읽어주기도 합니다~~아이가 살면서 어려운 일을 직면했을 때 책에서 해답을 찾기도 하고 많이 지쳤을 땐 책이 안락한 도피처가 되어 줄 수도 있고 책이 평생 아이의 친구가 되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포기 않고 읽어주었어요~~지금 책을 좋아히는 아이가 되기까지 넘 오래 걸려 12년을 노력했지만 지금이라도 책을 꺼내드는 아이가 되어주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저한테 책이 그런 다정한 좋은 친구이기에 아이에게도 꼭 그렇게 만들어주고 싶었네요~~ 님 글에 반대하려고 글을 단게 아니라~~아주 오래 걸리더라도 노력하면 책을 드는 아이로 자라날 수 있다는 경험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요~~제 답글을 읽고 또 한 분의 부모님이 실천하게 될 수도 있으니까요~ 책읽는 아이는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신에 대한 깊은 생각을 하며 눈을 반짝이며 설레이는 진실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되는것 같아요~~
@user-uy7mp1xf6j
@user-uy7mp1xf6j 2 ай бұрын
@@seifrigii-coco8449멋진분!! 그런데 이렇게 까지 꾸준히 책을 읽어주기 까지 쉽지만은 않으셨지요?? ㅜㅜ
@seifrigii-coco8449
@seifrigii-coco8449 2 ай бұрын
@@user-uy7mp1xf6j 네ㅜ 중간에 힘들기도 했어요 그래도 아이가 책에 손은 안가지만 엄마가 읽어주는 건 좋다고 하니 희망이 보이더라고요~~푸른사자와니니에 훅 빠지더니 잘때도 읽다 안고 자고 그러더라고요~~그때부터 였어요! 그 이후에 나니아연대기 긴긴밤 프리워터 안녕우주 아몬드 기억전달자 등 청소년 장편소설이나 시리즈물들 고전에도 빠져서 읽기에 갑자기 폭풍 몰입 하고 있어요~~이런날이 오리라 생각 못했는데ㅜ 요즘은 진짜 보람을 느끼고 있고요 아이도 요번에 엄마 끝까지 책 읽어주시고 권해주셔서 고맙다고 하더라고요 공책 만들어서 책에서 읽었던 좋은 글귀도 적어놓더라고요~ 전 책의 힘을 무엇보다 믿어요~답글 감사합니다~^-^
@lav15lav
@lav15lav 2 ай бұрын
❤ 글을 예쁘게 잘 쓰시네요 저두 오늘부터는 초등 아들 책 읽어줘야겠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seifrigii-coco8449
@seifrigii-coco8449 2 ай бұрын
@@lav15lav 감동이에요ㅜ 엄마가 읽어주시는 책과 함께 아이가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요♡
@yongpokcho8030
@yongpokcho8030 Ай бұрын
수다스럽다
@user-ik4mg4hu7w
@user-ik4mg4hu7w 2 ай бұрын
이런말해서 지송해요. 구연동화식으로 이야기 하셔서 뭔가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감이 느껴져... 끝까지 듣기가 힘들어요... 평안하 말하듯이 이야기 해주시면 더 좋을것 같아요. 내용은 너무 좋은데.... 말하시는 방법에서... 뭔가 듣기 힘듬이 느껴지네요
@user-ot2wl4kb2b
@user-ot2wl4kb2b 2 ай бұрын
서울대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많은 교수님중 한분이십니다…
@user-uq8po3cp6y
@user-uq8po3cp6y 2 ай бұрын
저는 오히려 그렇게 말씀 해주셔서 집중이 잘 되었습니다
@user-vb6td4gk9b
@user-vb6td4gk9b 2 ай бұрын
배경음악 때문인거 같아요
@libertytaken1313
@libertytaken1313 2 ай бұрын
제 생각에도 배경음악 때문인 거 같아요. 말씀에 집중을 못하겠어요. ㅜㅜ
@jeongeunmin5350
@jeongeunmin5350 2 ай бұрын
저는 전혀 거슬리지 않았고 집중해서 봤어요.
@user-um2xc9bs9g
@user-um2xc9bs9g 2 ай бұрын
이런 걸 얘기하시다니!! 첫 문장부터 헉! 했지만, 들으면 들을수록 답답해서 씁니다. 이 어려운 걸 부모에게 책임지우다니요!! 학교의 공고육은 무엇을 해야 하는 걸까요? 문학작품, 지식책 등등 학교에서 못해주나요? 학교 선생들도 안하는 걸 부모에게 하라고 하다니!!! 마치 학부모가 이렇게 안되면 서울대학생이 안되나요? 학생들을 이렇게 몰아대지 마세요. 발췌독을 해서 후퇴하지 말라고 하다니!! 그리고 지금의 의사검사가 되었나봐요?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Hot Ball ASMR #asmr #asmrsounds #satisfying #relaxing #satisfyingvideo
00:19
Oddly Satisfying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