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 미국 오피스 공실, 샌프란시스코의 추락에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Рет қаралды 1,227,667

셜록현준

셜록현준

3 ай бұрын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국경제
00:23 사상 최악 미국 오피스 공실, 실리콘밸리 상황
02:24 한국 사무실은 괜찮을까
03:53 미국 기업들의 이동, 썬벨트
08:40 미국 인구 이동 역사와 강점
10:00 샌프란시스코의 슬럼화 전망

Пікірлер: 991
@user-yf9cd8hp4x
@user-yf9cd8hp4x 3 ай бұрын
샌프란시스코 박살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교도소에 들어가는 세금 아끼겠다고 경범죄 상한선 만든거... 지옥이 따로 없더만요
@Reanimator999
@Reanimator999 3 ай бұрын
그렇죠. Prop 47 라는 법때문에 도둑질 이 늘어나고 상점들은 문을 닫으니... 그리고 세금은 계속 올라가고.
@tarcoon814
@tarcoon814 3 ай бұрын
​@@Reanimator999 거의 미국이 저런 상태이더라구요. 교도소 포화문제는 전역이 그러니 경범죄를 넓혀버린 주들이 많더군요
@welcomegom
@welcomegom 3 ай бұрын
미국 망가트리려고 일부로 그러는거에요 ㅎㅎ
@mkj7758
@mkj7758 3 ай бұрын
@@tarcoon814근데 신기하게도 공화당 주는 괜찮아요 ㅋㅋㅋㅋ 민주당 주에서만 저리 난리가 나요.
@mijijeon6513
@mijijeon6513 3 ай бұрын
탁상공론
@loveJM-ou7yn
@loveJM-ou7yn 3 ай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은 사회학자들에 해당하는것 같습니다. 어릴 땐 몰랐는데 경제를 알게 되니까 돈이 무섭고 자식을 갖게 되니까 전쟁이나 이런 사회 변화가 무섭네요. 이런 영상 환영합니다!
@brandonahn7897
@brandonahn7897 3 ай бұрын
좋은 날씨가 슬럼화를 가속시킬수도 있을것 같아요. 밖에서 자도 얼어죽을 염려가 없는 날씨는 노숙인들에게 큰 매력입니다.
@hwannnnnnnn
@hwannnnnnnn 3 ай бұрын
겨울철 얼어죽을것같은 뉴욕 씨애틀에도, 여름철 쩌죽을거같은 피닉스에도 홈리스들은 항상 있습니다. 홈리스들은 좋은 날씨 찾아 떠나는 노력조차 않합니다.
@acumen07
@acumen07 3 ай бұрын
그거랑은 크게 상관 없어 보입니다. 우리나라보다 악랄한 연교차를 보이는 시카고도 노숙자 문제 심각합니다.
@rcoprcop
@rcoprcop 3 ай бұрын
밖에서 얼어죽을수 있는 날씨인 한국도 노숙자 언제나 있습니다.
@polapaul
@polapaul 3 ай бұрын
날씨 좋다고 해서 노숙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꺼에요. 미국에서 대학교때 저널리즘 전공하는 여친이랑 노숙자들을 많이 인터뷰 했는데 처음 노숙을 시작하는 여성의 90% 이상이 첫날 밤에 강간당하고 남녀 상관 없이 거의다 도둑질/강도질을 겪는다고 하더라고요. 미국이 사회복지가 부실한 부분이 많아서 노숙자 되기가 진짜 쉽지만 제가 만나본 노숙인들 중에 한명 빼고는 선택적으로 노숙을 하는 사람은 없었어요.
@Thoughtcrime.
@Thoughtcrime. 3 ай бұрын
​@@rcoprcop근데 러시아 케나다에는 홈리스가 확실히 덜함
@AmyJJeong
@AmyJJeong 3 ай бұрын
어디서 못 듣는 이런 얘기를 유튜브로 편하게 볼 수 있는 게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당! 흥미롭네용🤔
@shuv3143
@shuv3143 3 ай бұрын
자원 중에 사람이 사는데 가장 필요한 것이 물이예요. 그런데 가믐과 홍수가 여기저기에서 극과 극으로 발생하고있는 땅이 지금의 미국입니다. 사실 매해 일어나는 막대한 산불피해도 가물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다 이거든요….오피스문화의 변화, 전기나 오일, 풍력, 원자력등등의 에너지자원과 연관된 주거지변화 외에도, 물에 관련된 미래의 인구이동이나 산업구조변동, 발전, 퇴보, 그리고 이에따른 주거형태, 주거환경변화도 다루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항상 흥미로운 주제의 내용들에 대해 생각케 하는 프로그램에 감사드려요.
@user-lg1fq8xe7x
@user-lg1fq8xe7x 3 ай бұрын
@shuv3143 정정합니다 가뭄,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sangheeozuna3894
@sangheeozuna3894 3 ай бұрын
다계획이 된 산불임.
@Stell-ml3jj
@Stell-ml3jj 3 ай бұрын
이에요! 이예요는 없는 말
@shuv3143
@shuv3143 3 ай бұрын
@@Stell-ml3jj 아! 그런가요? 미국에서 45년 살다보니 한글철자법 잊어버리고 또 모르는 것이 꽤 될 것 같네요. 고쳐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hi1gr8hr5s
@user-hi1gr8hr5s 3 ай бұрын
​@@shuv3143예요 / 이에요. 기억해요~
@junglee6608
@junglee6608 3 ай бұрын
오우, 재밌어요. 필요한 좋은 정보, 분석 감사합니다!!♡♡♡
@user_mor1319ah
@user_mor1319ah 3 ай бұрын
미국 사는데 맞아요 지금 선벨트쪽 조지아, 플로리다, 텍사스, 노스캐롤라이나 쪽으로 엄청 인구이동 많아요
@acumen07
@acumen07 3 ай бұрын
플로리다가 2년 전쯤인가 뉴욕 제치고 미국에서 3번째로 인구 많은 주가 됐죠..
@mzliop3655
@mzliop3655 3 ай бұрын
일단 북쪽은 너무 비싸니까 어쩔수없어요...
@arthurvan2374
@arthurvan2374 3 ай бұрын
우리도 좀 고창 해남 광양 창원 이쪽으로 기업들 가라
@kulkrafts3143
@kulkrafts3143 3 ай бұрын
선벨트라서 이주하는게 아닙니다. 공화당지역이라서 세금과 치안정책때문에 텍사스, 플로리다, 약간 노스캐롤라이나로 이주하는겁니다. 기업이 필요한 전력과 수력지원 잘해주고, 기업세금과 개인세금 없던지 적고, 인권보호한다며 범죄자처벌 안하지 않는 법치지역에 첨단기업들이 몰리니 인구들도 이동하는겁니다. 민주당 지역은 불법체류자 보조금주고, 세금올리고, 범죄자 인권존중해주고, 동성연애자 보호하느라 여성체육대회에 남자동성연애자들이 독점하고, 자녀교육수준떨어지고, 치안은 더불안하고, 그러니 공화당 지역이 인기 있는겁니다. 선벨트는 80년대 유가상승으로 연료비 덜드는 선벨트로 이주할때 생겨난 단어입니다. 선벨트라고 루이지아나나 알캔사로 이주하진 않습니다.
@Member_YuJi
@Member_YuJi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여러모로 병든 나라.. 서서히 무너져 가고 있음.. 백 년 후엔 저 더러운 중공보다 더 병이 깊어 중공에게 패권을 빼앗길 둣..
@vbs-venusbiblestudy8517
@vbs-venusbiblestudy8517 3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잘 얻고 갑니다.
@가벼운캠핑
@가벼운캠핑 3 ай бұрын
나이 먹어가면서 날씨가 엄청 즁요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캘리포니아를 떠날수가 없네요
@mkj7758
@mkj7758 3 ай бұрын
맞아요. 캘리포니아 기후가 최고죠. 텍사스쪽은 습도가 높아서 불쾌하고 겨울엔 너무 춥더라고요. 벌레도 너무 많고. 마이애미쪽도 너무 습하고 벌레많고 태풍 끔찍하고… 그래도 싸니까 노인들이 많이들 간다더라고요. 이래저래 따져보면 정말 캘리포니아가 최고같애요 ㅎㅎ
@sweetallier
@sweetallier 3 ай бұрын
아... 맞아요... 나이드니까, 기후 날씨 좋은 곳으로 이사가고 싶어요...ㅠㅜ
@s6kang
@s6kang 3 ай бұрын
​@@mkj7758습도 높은 건 휴스턴만 그렇습니다. 댈러스는 안그래요
@Shoner_Walk
@Shoner_Walk 3 ай бұрын
샌디에이고 살고 싶네요
@user-mm3ky7yj2g
@user-mm3ky7yj2g 3 ай бұрын
?​@@sweetallier
@sweetallier
@sweetallier 3 ай бұрын
오늘도 통찰력 있는 멋진 말씀 잘 듣고 갑니다~!!! ^^/
@ripple800510
@ripple800510 3 ай бұрын
5:00 나오는 미국 지도에서 텍사스 옆 주가 아리조나주로 표기되어 있는데 뉴멕시코주입니다.
@jeongwoonjeong1792
@jeongwoonjeong1792 3 ай бұрын
뉴멕시코 거주자는 웁니다ㅠㅠ
@hughkeem
@hughkeem 3 ай бұрын
저도 이거보고 코멘트하려했는데 역시 있네요 ㅋ
@historywiki
@historywiki 3 ай бұрын
캘-애-뉴-텍 인데 한칸 실수하셨군요 ㅎ
@dogs_haunt
@dogs_haunt 20 күн бұрын
앨바커키 사람들은 웁니다
@user-kg9ch6el1m
@user-kg9ch6el1m 3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덕분에 알기 어려운 지식을 유튜브로 편하고 재미있게 알 수 있게 되어서 정말 좋네요.
@parkcurry8887
@parkcurry8887 3 ай бұрын
폭넓은 지식과 정보를 아우르는 통찰력 있는 시선. 좋은 내용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et2ef1uk9g
@user-et2ef1uk9g 3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정보지식 공유 감사합니다.
@andykim_tube
@andykim_tube 3 ай бұрын
텍사스로 이주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주 소득세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리조나는 소득세가 있지만 캘리포니아 보다는 훨씬 낮습니다. 그리고 보수성향의 사람이 텍사스로 가기도 하지만 역으로 IT 인력들이 유입되면서 잉부 텍사스 지역이 진보성향으로 바뀌게 되는 곳도 생겼습니다.
@user-gq5nl1yv7h
@user-gq5nl1yv7h 3 ай бұрын
이게 메인 같은데ㅋㅋㅋㅋㅋㅋㅋㅋ
@thelezard3378
@thelezard3378 3 ай бұрын
텍사스 삽니다. 소득세는 없는데 재산세가 2.3%에요. 1년에 내는 세금을 다 합치면 캘리랑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저도 캘리 살다가 넘어왔지만, 텍사스가면 소득세 없으니까 소득이 확 늘꺼 같은데, 다른 짜잘한 세금이 많아요. 소비세도 캘리는 의류나 신발은 다 면세인데, 텍사스는 아니에요. 좀더 알아보세요.
@user-rp7fl2dn5v
@user-rp7fl2dn5v 3 ай бұрын
⁠​⁠@@thelezard3378 캘리가 의류나 신발이 면세라구요? 잘못 알고 계시네요 9.5프로 텍스가 붙습니다.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3 ай бұрын
좌빨들놈들이 텍사스도 오염시켜리면 어쩐대요
@dragonboat4082
@dragonboat4082 3 ай бұрын
Income tax가 낮은 주는 와이오밍, 텍사스, 테네시, 사우스다코타, 네바다, 플로리다, 알래스카. Sales tax가 낮은주 오레곤, 몬타나, 뉴햄프셔, 델라웨어. Property tax가 낮은주 하와이, 앨라배마, 콜로라도, 와이오밍, 루이지애나.
@chloej8613
@chloej8613 3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유익하고... 요점 콕콕 잘 듣고 갑니다!
@naiayu4527
@naiayu4527 3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ChriseanKim
@ChriseanKim 3 ай бұрын
귀중한 정보 잘 들었슴니다. 😊😊😊
@VanillaSky16-bt4dw
@VanillaSky16-bt4dw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 정보를 편안하게 볼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user-zi8tc8of6y
@user-zi8tc8of6y 3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avidethan4354
@davidethan4354 3 ай бұрын
그보다 서부 세금 집값 물가 등 다 비싸고 낸 돈에 비해 혜택이 없음 주위에 약쟁이에 노숙자가 엄청 늘어 나니깐 범죄율도 올라가고 그런데 경찰 검찰은 아무일도 안하니 부자들이 샌프란시스코 근처에 황무지 사서 거기 개발 하고 이사 가더라고요
@okowoo9719
@okowoo9719 3 ай бұрын
혹시 중국인 영향도 있나요? 캘리포니아에 중국인들로 바글바글 , 히스패닉도 그렇고
@user-ts6zo7nr8t
@user-ts6zo7nr8t 3 ай бұрын
어차피 텍사스도 산업이 몰릴수록 임대료 범죄율 엄청 올라간다 그러면 또 기업은 다른데로 움직이겟지
@mkj7758
@mkj7758 3 ай бұрын
@@okowoo9719그건 아닌거같애요. 그 훔치고 뭐 그런 사람들도 오히려 흑인들이 좀 더 많으면 많았지… 그냥 딱 민주당 탓이에요. 피씨질도 적당히 해야하는건데 선 넘은거죠 머.
@mkj7758
@mkj7758 3 ай бұрын
@@user-ts6zo7nr8t정답. 지금이야 세금감면 또는 몇년간 면제해주고 그 이후에도 세금이 훨씬 싸고 근데 이래 사람들이 몰려가니 곧 더 큰 도시화 될거고 그럼 또 민주당이 슬금슬금 커지겠죠. 이것저것 다 뜯어가가지고는 노동자들 좀 챙겨주다가 어느순간이 지나면 그지들 퍼주고 게이들 퍼주고 또 어딘가에 퍼주고… 그러고나면 또 똑같은 수순이 될거라 생각해요.
@emptiness018
@emptiness018 3 ай бұрын
@@mkj7758텍사스는 달라요. 불법체류자 대하는거 보면 차원이 달라요.
@jennakoo5840
@jennakoo5840 3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minslife390
@minslife390 3 ай бұрын
저는 캘리포니아에서 살다가 플로리다와서 살고 있는데요. 정치적 견해때문에 생활의 불편함을 느낀다는말 정확해요. 서부와 남부가 이렇게 정치적 견해가 다른지 플로리다로 이사오기 전엔 몰랐어요
@yoodavid5459
@yoodavid5459 3 ай бұрын
경상도와 전라도를 생각하면 이해가 빠름.
@jinnyjung8741
@jinnyjung8741 3 ай бұрын
저는 지금 플로리다 살고 있는데 캘리포니아로 이주 고려 중이에요. 혹시 캘리포니아에서 플로리다로 이사 오신 이유를 여쭤볼 수 있을까요?
@hyorim98
@hyorim98 3 ай бұрын
플로리다는 미국의 대표적인 스윙 스테이트 아닌가요? 캘리포니아가 압도적으로 민주당 지지가 많아서 그렇지 플로리다가 어찌보면 사실 중립에 더 가깝죠.
@BEWHYYY
@BEWHYYY 3 ай бұрын
캘리어디사셨었어요?? 캘리도 베이커즈같은곳은 극보수지역인데
@marcusk916
@marcusk916 3 ай бұрын
플로리다는 곧 물에 잠길겁니다 벗어나세요
@user-mh3ii9iu6
@user-mh3ii9iu6 3 ай бұрын
영상 주제와 스크립트는 매번 교수님께서 준비하시는 건가요?! 궁금했습니다 😅
@user-vp4yd9sc9p
@user-vp4yd9sc9p 3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채널 ❤️
@michelle-co8lr
@michelle-co8lr 3 ай бұрын
건축외에도이해안되는 궁금증을 풀어주시는 교수님~ 굿~ 굿❤
@yongtaelee5579
@yongtaelee5579 3 ай бұрын
Best contents. Thanks ^^
@user-ii3sj3ru1i
@user-ii3sj3ru1i 3 ай бұрын
주제부터가 너무 기대되는 영상이네요 바로 왔습니다
@whoareya1901
@whoareya1901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준님. 궁금한점이 있는데요, 텍사스 같은 주는 온난화 때문에 온도가 계속 올라가고 있는데요. 혹시 온도의 변화도 인구 이동에 영향을 줄까요?
@josephksung
@josephksung 3 ай бұрын
지구 온난화는 거짓말입니다. 곧 전세계가 알게될거에요
@areuadreamer
@areuadreamer Ай бұрын
되게 유익하네요. 스킵 안하고 잘 봤습니다 😊
@like9614
@like9614 3 ай бұрын
생각못한 지식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좋은 곳
@user-ow1tv4gu7l
@user-ow1tv4gu7l 3 ай бұрын
재미있네요.
@blueite
@blueite 3 ай бұрын
4:54 애리조나나 텍사스로의 이전 이유로 태양광 발전이 언급된 게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인식으로는 텍사스 내륙이나 특히 애리조나는 더워서 냉방 낭비가 막대할 뿐더러 반도체 공장이 들어갈 수자원이 마땅찮은 지역이거든요. 게다가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에는 있는 대중교통이 없어서 어떤 관점으로도 친환경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는 인상이 있습니다.
@caringandloving2261
@caringandloving2261 3 ай бұрын
Ironically 태양열을 오히려 피하죠. 석유만 고집 하니까뇨.
@blueite
@blueite 3 ай бұрын
@@caringandloving2261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패널을 깔면 어쨌든 명목상으로는 친환경이 된다는 이야기라는 게...
@wawagj
@wawagj 3 ай бұрын
아리조나는 사막만 있는 게 아니예요. 북쪽에 그랜드캐년이 있어요. 그래서 캘리포니아도 아리조나에서 물을 사와요. 플러스 아리조나엔 원자력발전소도 있어서 다 커버하고 옆동네주들에게도 전기를 공급해요. 그리고 저도 석유나는 사막이 있는 곳에 사는 데 미국이 참 희한하다고 느낀게 10년전에도 저희 동네 전기발전량을 보면 태양열, 풍력이 전체 전기발전량의 30퍼더라고요. 젤 싼건 화력발전소인데도요. 그러니까 그냥 멋으로 태양광이나 풍력설치하는 게 아니예요. 꽤 오래전부터 이렇게 운영하고 노하우를 쌓고 있었던 겁니다. 이게 대단하다고 느꼈어요. 석유때문에 천연가스 많이 생산되는 곳에 태양열, 풍력발전기도 설치해서 가동하는....물론 저희 동넨 석유생산으로 인해 같이 발생하는 천연가스로 돌아가는 화력발전소도 있어서 천연가스가격이 내려가면 전기세가 싸져요. 몇년전에 천연가스가격 마이너스일때 석유회사들이 전기회사에다가 천연가스를 돈주고 처리를 부탁해서(천연가스 그냥 날리면 주정부로 부터 벌금이 엄청남) 전기세 몇불 안나왔을 때가 있었죠.
@gemmag.5450
@gemmag.5450 3 ай бұрын
​@@wawagj그렇군요
@blueite
@blueite 3 ай бұрын
@@wawagj태양광과 풍력 발전에는 확실히 좋은 지역입니다. 문제는 반도체와 같이 환경 부하가 큰 산업이 들어가고 인구가 급증하는 게 바람직한가 하는 거죠. (애리조나가 다는 아니라도 산업이 유입되는 피닉스 근방은 덥고 건조합니다. 그리고 저는 LA나 샌디에고같은 남가주도 적합한 지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영상에서 언급하는 바는 애리조나나 텍사스로 이전하면서 자체 태양광 발전으로 환경 지표를 개선한다는 건데, 일단 캘리포니아가 태양광이 부적합한지는(아마 아닐 것) 차치하고 애리조나, 텍사스는 에너지 다소비 지역입니다. 인구 대비 전력 소비로 하면 캘리포니아보다 2배 가까이 소비하는 지역이니 그거 감안하면 공장에 태양광 좀 올린다고 탄소 배출량을 저감했다고 주장하는 논리가 허망하게 보일 수밖에 없죠.
@09tgfl81
@09tgfl81 3 ай бұрын
도시개발 관점에서 최신 역사를 들여다보는것 같은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우리나라 지방 개발에 대한 의견도 궁금합니다
@mimi00908
@mimi00908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렇게 품질높은 강의가 유튜브에 좀 더 많았으면. 나이들어선 감 유지가 참 힘듭니다
@user-tw1te4mt2q
@user-tw1te4mt2q 3 ай бұрын
영화 듄 속에 건축물 이야기 해주시면 재밌을 것 같아요!
@lagameland
@lagameland 3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정확한 분석입니다. 저는 캘리포니아 남부 지역에서 24년 거주 중인 한국인인데 같은 캘리포니아라도 북부와 남부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다른 점도 많고 서로 사이가 썩 좋지 않습니다. ^^ IT 산업이 남서부로 집결이 되면 오히려 파급 효과는 클 것으로 봅니다. 그런데 서부 지역이 슬럼화는 안 될 거에요. 그 이유는 아시아 대륙과 교역하기에 좋은 입지 조건에 날씨가 타 지역에 비해서 화창해서 관광지로는 좋거든요. 대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문화산업이 더 발전할 지역으로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아시안 이민자들이 많은 지역이라 쉽게 망하지는 않을 거에요. 디트로이트는 흑인 노동자층이 주요 인력이였으니 산업 하나가 망하니 다른 것까지 망했지만 캘리포니아의 다수가 남아메리카 이민자들이고 이 지역은 미국에서 가장 많은 아시아 이민자들이 사는 곳이라 외부와의 교류가 많아 디트로이트처럼 침체로 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샌프란시코는 문제가 많긴 하죠. 하지만 다운된 후 다시 회복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특히 부동산 가격은 좀 다운이 되어야죠. 캘리포니아 거주민들이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많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한시적인 부동산 침체는 반드시 나쁜 현상은 아니라고 봅니다.
@daniellekim2485
@daniellekim2485 3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분석 감사드립니다!
@Generallee85
@Generallee85 3 ай бұрын
*샌프란시스코 출장중에 영상을 보니 넘나 좋구*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 3 ай бұрын
유교와 자본주의의 단점만 남은 나라라는게 진짜 와닿는 표현이더라고요 1문장으로 어떻게 그렇게 간결하게 한국을 표현할수 있었는지...
@mkimtv
@mkimtv 3 ай бұрын
미국 캘리포니아는 리버럴 정책이 강한 곳 입니다. 미국은 주마다 각 주를 이끄는 정당이 다른데 캘리포니아는 진한 민주당 주이죠. 민주당 주 중에서도 가장 급진적 리버럴 정책이 펼쳐지는 곳입니다. 소수 젠더 우대정책, 소수인종 및 범죄자 우대 정책 높은 세금 정책 , 기름값도 세금을 매겨 미국에서 제일 비싸구요.. 조지 플로이드와 BLM 폭동 이후 소수인종을 우대해 준다며 주로 범죄를 저지르는 흑인들에게 1,000 불 미만의 도둑질은 처벌도 제대로 하지 않아요. 그래서 편의점과 주유소 슈퍼 등 치약이나 세제에도 자물쇠를 걸어놔야 하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거리에는 홈리스가 가득하고 마약 중독자들이 넘쳐납니다. 미국은 건국 때 부터 기독교정신으로 도덕법을 통한 헌법을 재정하고 윤리적인 삶을 추구했는데. 결국 그 근본주의 즉 절대가치를 무너뜨리는 미국의 리버럴 정책들이 미국 전역을 병들게 하고 있음은 사실입니다.. 결국 리버럴 정책들은 교육을 통해 가정의 질서나 국가관을 파괴하고 있으니까요. 다음세대가 정체성이 헷갈리는거에요. 혼란이 가득하구요. 자살율도 높아요. 선벨트 라기보다는 바이블 벨트라고 보통 하죠.. 공화당 지역으로 사람들이 이사를 가는 추세입니다. 기독교정신이 그나마 잘 살아있는 곳에는 성경을 절대가치로 삼아 법도 잘 지키고 질서를 지키는 문화니까요. 하지만 그런 바이블 벨트도 리버럴 주에 있던 사람들이 넘어와서, 모순적으로 또 민주당 정책을 지지하며 투표하거나 생활습관을 그대로 가져오다 보니 대도시에선 여전히 리버럴한 편입니다.
@badajung9118
@badajung9118 3 ай бұрын
넘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힙니다 지금 켈리에서 오래살았는데 손녀 손자 공립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 제도가 성경에 가르치는것과 어긋나고 아이들이 바른 교육을 못 받을것 같아 저흰 공화당 주로 떠날려고 알아보고 있읍니다
@bf5676
@bf5676 3 ай бұрын
그치만 남부 오픈캐리지역에 총이 더 잘보여서 범죄율과 상관없이 무섭더라구요 ㅠㅠ
@breeze3596
@breeze3596 3 ай бұрын
그래도 확실히 캘리 있을때보다 텍사스, 조지아 가니까 인종차별이 있고.. 캘리 있을때가 그립네요.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Ай бұрын
@@breeze3596 텍사스에서 무슨 인종차별을 당하셨나요? 저는 오히려 도시에있을떄 흑인들에게 당하다 텍사스 가니까 백인들이 친절하게 해주던데요
@eroomi5372
@eroomi5372 10 күн бұрын
역사적으로 패권국은 100년 주기로 다 바꼈습니다. 국제정세 와 지정학 공부 잘하셔서 대비 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2019년부터 비트코인과 금으로 자산을 모아가고 있습니다.
@doghappy9495
@doghappy9495 3 ай бұрын
제가 모른부분을 방송을 보게되서 좋았습니다
@cklee3586
@cklee3586 3 ай бұрын
역시 교수님.. 아이디어..👍
@cyprincipe
@cyprincipe 3 ай бұрын
선벨트가 실리콘밸리를 대체하면서 실리콘밸리가 쇠락할 것인가에 대해, 저는 회의적으로 봅니다. 실리콘밸리 인근에는 빅테크를 만들어낸 인재들이 다수 배출된 스탠포드대학교,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등이 있지만, 선벨트에서 이들을 대체해 인재를 공급할 대학이 있을 것인지는 미지수이고, 인도를 비롯한 전세계의 IT 인재들이 모여 협업, 경쟁을 해가며 성과물을 만들어내는, 실리콘밸리만큼의 생태계가 구축되어 혁신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고 싶습니다. 낯선 외국인들까지 포용하고 그들에게 성공의 기회를 줄만큼 열린 곳이기에 샌프란시코는 IT의 메카로 우뚝설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히피들의 성지였고 지금도 조금은 무질서하게 보이지만, 스티브 잡스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사람들의 눈에는 약간은 일탈로 보여도 그것이 묘하게도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곳이 바로 샌프란시코와 배이 자역이라는 점을 주목해 봅니다. 이러한 자유로움이 아마도 아이비리그가 있는 미국 동부가 아니라, 미국의 서부가 전세계의 문명 혁신을 이끌어가게 된 주요 동기가 되었을 것입니다.
@user-ts5jw5ub8c
@user-ts5jw5ub8c 3 ай бұрын
아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망가질 자유 부자를 꿈꾸지 않을 자유가 열린사고 자유로운 사고의 시작점 다수의 아시아 국가가 따라갈수없는 그 무엇
@bf5676
@bf5676 3 ай бұрын
어느정도 동의하는 부분도 있지만 남부의 조지아텍이나 텍사스쪽은 아주 예전부터 자금력으로 고학력 사람들이 몰리고 있고, 탑 40안에 들 정도로 훌륭한 학교들이 있습니다. 지금 인구 유입도 많아져서 계속 늘고 있고요 .
@fxtail125
@fxtail125 3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직업을 위해서라면 주를 건너뛰는 일은 큰 고려대상이 아닙니다.
@rosie5817
@rosie5817 3 ай бұрын
몇십년간 그런 자유로움과 it로 발전을 했었고 이제부턴 아니란 소리지.. 낯선 외국인 안받아들이고 싶고 우리끼리 잘먹고 잘살고 싶다는 기조로 바뀌는 중
@numero7384
@numero7384 3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
@user-xg4zt8ph8x
@user-xg4zt8ph8x 3 ай бұрын
시야를 넓혀 주시는 유익한 영상 좋구요 감사합니다.
@uryroom1
@uryroom1 3 ай бұрын
너무 멋진 건축가님❤❤❤
@markov2k2
@markov2k2 3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듣고 갑니다. 텍사스는 날씨만 아니면 참 좋은 주인데 말이죠. 살인적으로 덥데요.
@kaysheem7806
@kaysheem7806 3 ай бұрын
스킵 안하고 끝까지 보는 유일한 채널^^
@user-nkmkj8241g
@user-nkmkj8241g 3 ай бұрын
안그래도 샌프란시스코 갓을때 온 다운타운이 공실이라 넘 궁금했어요!
@mcolm1721
@mcolm1721 3 ай бұрын
뭔가 스타워즈나 블레이드러너같이 미국 사이파이영화들에 나오는 건축물들에 대한 이야기도 해주시면 진짜 재밌을거같네요 ㅋㅋ
@kyengmo0
@kyengmo0 3 ай бұрын
말은 쉬운데 애리조나 이런 곳에서 살기 힘듬 너무 힘들어요.너무 더워서. 아무리 집값이 싸고 정책이 어쩌구저쩌구 하지만 기후 때문에 그렇게 수요가 있진 않아 보임.
@fxtail125
@fxtail125 3 ай бұрын
애리조나 살고있는데 매해 엄청난 인구가 유입되고있어요. 거의 대부분 캘리에서 오고, 네바다, 유타, 텍사스쪽으로도 유입이 많더라구요. 살기 어렵다지만 막상 살아보면 더위는 적응돼요. 주택, 근무지 99프로는 시스템 에어컨이고 에어컨 스펙도 엄청 좋습니다... 전기세 많이나간다지만 난방비는 안나가니 또이또이에요. 11월부터 4월 약 5개월까지의 애리조나 날씨는 환상 그 자체입니다. 나머지 7개월은 덥구요
@ML-jq7yh
@ML-jq7yh 3 ай бұрын
@@fxtail125 애리조나 날씨가 환상이라니 잘 모르시는 것 같네요. 원글처럼 더워서 미쳐버리는 지역입니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user-dz3xi2en7w
@user-dz3xi2en7w 3 ай бұрын
피닉스에 가봤는데 날씨는 전혀 문제가 안되던데요? 어차피 미국이란 곳이 자동차로만 움직이니 낮에는 실내--> 실내로 움직이다가 저녁 되면 충분히 기온이 떨어져서 괜찮았어요. 바깥에 걸어서 돌아다닐 일이 없어서 날씨가 어떻다는 것은 전혀 못느꼈네요.
@dpainhahn
@dpainhahn 3 ай бұрын
애리조나 날씨는 호불호가 갈림. 북부 지역의 추운 겨울때 집에 있는것 처럼 더운 여름엔 실내에서 활동하면 괜찮음.
@fxtail125
@fxtail125 3 ай бұрын
@@ML-jq7yh 안읽으셨나요? 11월부터 4월까지 5개월간은 환상적이라고했어요
@yeawonkim4714
@yeawonkim4714 3 ай бұрын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친구들 말로는 테크놀로지 회사들이 코로나 당시엔 선벨트 지역으로 옮겼지만 그곳은 회사간 교류 및 투자 부분에서 샌프란을 따라가지 못해서 다시 돌아가는 회사들이 많다고 그래요. 근처 스탠포드도 위치해 있어서 세계적인 테크 인재들이 모여들다보니 인력부분에서도 용이하구요.
@ma.t.t.9096
@ma.t.t.9096 3 ай бұрын
텍사스에는 소득세가 없기 때문에 매우 매력적인 혜택있어요
@Kuromee_xoxo
@Kuromee_xoxo 3 ай бұрын
급진파뽑아서 본인동네 싫어져서 텍사스 와놓고 텍사스와서 또 PC지지하는 바보들 싫으네요...
@polapaul
@polapaul 3 ай бұрын
@@Kuromee_xoxo그런데 텍사스 원래 민주당이 굉장히 쎈 주였어요. Red State으로 변한건 꽤 근례의 일이에요.
@clickbait1602
@clickbait1602 3 ай бұрын
그대신 property tax가 너무 높아요ㅋㅋ 물론 소득세 없어서 좋지만요
@ma.t.t.9096
@ma.t.t.9096 3 ай бұрын
@@clickbait1602 캘리포니아 property tax rate 낮지만 집값이 텍사스보다 1.5~2배 비싸요, 그래서 세금 금액은 비슷해요 (+/- 1000불).
@kulkrafts3143
@kulkrafts3143 3 ай бұрын
@@polapaul민주당 쎘다니요? 70년전 민주당이 보수당일때라면 몰라도… 텍사스는 언제나 보수지역이었습니다. 민주당이 진보적으로 비뀌고 공화당이 보수로 2차대전후 바뀔때 지지정당만 바뀐겁니다.
@user-uv9vw3fw9d
@user-uv9vw3fw9d 3 ай бұрын
RE100 여기서 듣게 되네요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dubu6478
@dubu6478 3 ай бұрын
너무좋아요
@yj_ruth
@yj_ruth 3 ай бұрын
저는 일리노이에 살지만 샌프란, 켈리 사는 지인에게서 들었는데 말씀하신것중 세번째 이유, 정치적인 이유로 텍사스나 애리조나로 이동하는 분들(한국분들 포함) 요즘 많이 증가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미국에대해 잘 분석해 주셨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sw4j
@msw4j 3 ай бұрын
네 그렇다고 하네요. 학교 교육도 지나치게 리버럴하고 또 범죄율 증가도 이유중 하나인듯요.
@joycec.1911
@joycec.1911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세금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연방세, 주정부세. 주정부세가 작긴 해도 회사 입장에선 큰 부담이거든요. 개인들도 세금 문제와 저렴한 주택가격땜에 텍사스로 옮기는 경우가 많아요. 탄소배출 안하는 태양열에 대한 세금혜택이 있어서, 그것도 큰 요인으로 봐요. 지금 캘리는 너무 밀집되어 있어요. 인구가 좀 줄어도 괜찮아요. 항구가 있어서 아주 망하긴 힘들구요. 특히 남쪽은 뭐.... 적당한 선에서 멈추면 좋겠어요. 사람이 넘 많아요 ㅜㅜ
@user-vy7xz4di3e
@user-vy7xz4di3e 3 ай бұрын
수상도시나 아틀란티스 같은 물 속에서의 건물같은 주제에 대해 현준님 의견도 들어보고싶어요
@traderjoe2495
@traderjoe2495 3 ай бұрын
Very well analyzed video. I work in tech and that’s exactly what’s happening.
@user-ku6vm8xy6b
@user-ku6vm8xy6b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회사들이 좀 지방으로 좀 옮겨줬으면 좋겠다
@user-cd2pc3rm7b
@user-cd2pc3rm7b 3 ай бұрын
교통이 좋아지면 가능할 수 있겠네요. 현재 동쪽 서쪽으로 깔고있는 복선전철 개통되면 정거장마다 도시 건설이 가능해지니까요. 서쪽은 올해말 개통이라했네요.
@tkdgnsdl3115
@tkdgnsdl3115 3 ай бұрын
왜요?
@Keii423
@Keii423 3 ай бұрын
지방에서도 잘 굴러가면 상관 없겠지만 좋은 인재를 얻기가 힘듬
@ML-jq7yh
@ML-jq7yh 3 ай бұрын
@@tkdgnsdl3115 왜라니요? 인구집중의 문제가 심각하니까 그런 거죠
@s_p_m_23
@s_p_m_23 3 ай бұрын
각 지방 도시들이 매력이 있으면 가능하지. 그런데 전부다 아파트 천지에 서울 하위호환이잖아?
@user-ck4gy9bp1q
@user-ck4gy9bp1q 3 ай бұрын
넘 재밌다 ㅎㅎ
@user-ps1tz7ld8f
@user-ps1tz7ld8f 3 ай бұрын
와 정말 좋은 아이디어예요! 역시 교수님.. 하..역시나 다는 생각은 아직은 자본가들이 돈안된다며 반기를 들....ㅠㅠ 바뀌어 갈 수 있....겠죠? ㅠ
@user-cc1ee4ke4p
@user-cc1ee4ke4p 3 ай бұрын
언제 들어도 바라보는 시각이 참 좋아요!! 잼있었어요
@user-wz6gx9wc9k
@user-wz6gx9wc9k 3 ай бұрын
아~~너무너무 재밌당😊
@churchunni
@churchunni 3 ай бұрын
제가 사는곳은 썬벨트 바로 위 테네시인데 지난 2년간 캘리포니아에서 많은 분들이 이동했어요. 테네시 토박이 분들은 농담으로 캘리포니아에서 온 사람들이 테네시를 도시화 시켰다고 하며 다시 예전 시골같은 테네시 모습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말들도 약간 투덜거리듯 자주해요. 새집도 굉장히 많이 지어지고 있고 원래 테네시는 커피마시면 스벅 제일 많이 갔는데 이제는 로컬 커피숍 같은것도 20여개 이상 생겼고 지금도 계속 집짓고 새로운 커피숍들 새로운 식당들이 많이 생기는 추세에요. 제가 보기엔 30-40대 연령의 캘리포니아인들이 많이 이동한것 처럼 보여요. 이렇게 미국 인구이동에 대해 간결하고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니 지금 일어나고 있는 변화에 대해 이해가 잘되네요. 감사해요.
@user-zt8wu6hh4t
@user-zt8wu6hh4t 3 ай бұрын
시카고에서 영상 보는중인데 재밌구만용.......!
@viivii6850
@viivii6850 3 ай бұрын
2:48 와 벼농사와 밀 농사에 따른 문화적 차이가 있었다니 정말 신기하네요. 그리고 띄어쓰기가 벼농사, 밀 농사인 것도 배워갑니다.
@LK1109R8
@LK1109R8 3 ай бұрын
실리콘 벨리 살고 있습니다만 캘리포니아가 문화생활 및 날씨가 워낙 좋기 때문에 텍사스로 이주 가셨다가 다시 돌아오시는 분들이 워낙 많습니다. 공실율이 높아지는 건 재택으로 인하여 오피스 위주 대도시들의 모든 현상이구요. 실제로 가보면 관광객들 넘치고 테크 기업들도 다시 실리콘 벨리로 돌아오는 추세 이고 캘리 인구가 자그만치 4천만이 넘는데 이주나간 인구수를 보면 1퍼도 아니에요. 이주를 했더라도 핵심 부서들은 실리콘벨리에 남겨두었었죠. 회사가 인건비 따지면 인도에다가 오피스 만들면 되었었겠죠. 실리콘밸리의 문화나 사람들 수준에서 나오는 아이디어들은 무시 못 하는거겠죠.
@hook772
@hook772 3 ай бұрын
작년에 샌프란 두번 여행갔었는데 뉴스나 미디어에서 너무 과하게 포장하는것 같음. 위함하다고 생각지 않았구 길거리도 깨끗하고 역시 볼것도 많은곳
@Kettlers
@Kettlers 3 ай бұрын
인권비는 뭔가요? ㅋㅋ 인건비겠죠.
@LK1109R8
@LK1109R8 3 ай бұрын
@@Kettlers 죄송합니다 ㅋㅋㅋ 맞춤법 틀릴수도 있죠 ㅠ
@bluechips4337
@bluechips4337 3 ай бұрын
건축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인데 이렇게 정말 중요한 사회적 이슈들이 단순히 주택 임대 현황과 같은 데이터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매우 놀랍네요. 정말 생생하고 자세하게 그 분야를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주시는 채널인거 같아요.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영상 많이 기대합니다:)
@q030p
@q030p 2 ай бұрын
2:46 교수님이 지으신 공간이 만든공간 책에서 나온 내용이네요 ㅎ 불침번 근무할때마다 꼭 읽고있습니다 ㅎㅎ
@yelinjo
@yelinjo 3 ай бұрын
재택근무 관련 해서는 제도에 대한 차이도 있다고 합니다! 미국은 해고가 굉장히 쉬운 반면 우리나라는 해고가 어려워서 재택근무를 하게되는 경우 근무관리가 어렵다고 하더라구요. 미국도 아직 승진이나 팀워크에 있어서는 출근하는 사람이 조금 더 유리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아서, 이에 대한 틀(?)은 아직 잡혀가고 있는 거 같습니다. 아 그리고 미국은 연봉과 근무형태를 채용 시 네고하는 경우도 많은데 한국은 이게 좀 더 어려운 거 같아요
@youngjunlee3939
@youngjunlee3939 3 ай бұрын
노동자 재택비율과 오피스 공실률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어차피 임차인은 기업이고, 노동자들이 화수목 출근한다고 해서 기업이 사무실을 화수목만 임대할 순 없지 않나요? 되려 현재는 코로나 시절보다 재택비율, 특히 완전 재택비율이 현저히 낮아졌는데도 공실률은 최고죠. 유동성이 줄고 얼치기 스타트업들이 다 사라져서, 그리고 미국 실물경기가 안 좋아서 공실률이 최고점이라는게 맞는 것 같네요.
@quintonmckimm
@quintonmckimm 3 ай бұрын
I think there's a bigger problem of zoning laws that are extremely difficult to change. In fact, zoning laws unfortunately make it difficult for most suburban cities to build with more density.
@user-wi6yk8wo9i
@user-wi6yk8wo9i 3 ай бұрын
교수님 서울의 가든테라스가 사라지기 전에 해당건물에 대해서도 설명을 들을 수 있을까요?
@btc_1217
@btc_1217 3 ай бұрын
영어자막 너무 좋습니다
@EUNJPARK-ct9bp
@EUNJPARK-ct9bp 3 ай бұрын
관가하신게 있어요. 실리콘벨리는 지금 인구증가가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어요. 재택근무 하면서 떠났던 사람들이 돌아오고 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텍사스 갔다가 다시 돌아오시는 분들도 많아요.
@enakra-qi2oj
@enakra-qi2oj 3 ай бұрын
관가 -> 간과입니다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참 재밌는 나라 같아요 ㅎㅎ 앞으로 선벨트 지역이 어떻게 변할지도 궁금해지네요!
@Crown-Brasil
@Crown-Brasil 3 ай бұрын
좋은 아이디어네.
@HarveysPizzeria
@HarveysPizzeria 3 ай бұрын
00:09:42 역사시간에 채집수렵하던 시대를 배웠던 것처럼, 미래의 완전히 고도화된 사회에서 현대를 바라볼 때, 일을하기 위해 모였다, 모이기 위해 도로와 지하철을 건설하고, 집을 지었다 등의 행위가 화전민들이 하던 행위들처럼 보일 것 같아서 뭔가 아득하기도 하고 신기하네요.
@sskim1882
@sskim1882 3 ай бұрын
미국산업이 텍사스로 이동중이라는 얘길 저도 들어서... 궁금한 얘길 잘 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ae-world
@rae-world 3 ай бұрын
텍사스뿐 아니라, 한인들 급증중인 조지아, 테네시, 캐롤라이나, 플로리다등 땅 넓은 동네 성장은 엄청남. 대도시들만 망가지는건데 고소득자들은 또 대도시에 몰려있기도하지
@Hanfugirl_Hanzi
@Hanfugirl_Hanzi 3 ай бұрын
텍사스가 국내 경상도 고향 같은 곳이에요 보수들의 고향이기도 하고 레드준표 레드넥들 고향
@Hanfugirl_Hanzi
@Hanfugirl_Hanzi 3 ай бұрын
텍사스가 경상도 고향 같은 곳이에요 정치적으로도 보수적이고요
@TheMcHwang
@TheMcHwang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지식산업센터와 신도시 상가 박살이던데 이 문제도 한번 다뤄주세요
@user-kf5pv2qn4e
@user-kf5pv2qn4e 3 ай бұрын
그냥 욕망과 욕망이 만났건데, 부동산 거품 빠지면서 제일먼저 터지는건 당연했던건데 어떻게 더 다룰
@TheMcHwang
@TheMcHwang 3 ай бұрын
@@user-kf5pv2qn4e 넌 빠져있어
@TheMcHwang
@TheMcHwang 3 ай бұрын
@@user-kf5pv2qn4e 나가있어
@user-cx2gj6en9k
@user-cx2gj6en9k 3 ай бұрын
신도시는 원래 공실이 많아요. 시기도 않좋게 겹쳤고요. 지식산업센터는 정부주도로 진행되었는데 경쟁력없는 지역까지 무리하게 진행한결과물..
@TheMcHwang
@TheMcHwang 3 ай бұрын
@@user-kf5pv2qn4e 응
@seoyeonlee-oy2rg
@seoyeonlee-oy2rg 3 ай бұрын
교수님 혹시 최근에 철거된 일본의 나카긴 캡슐타워 관련해서 영상 남겨주실 수 있을까요? 당대에 되게 미래적이라는 평가를 들었던 것 같은데 예상보다 건물 자체의 수명이 건축가가 예상했던 것 보다는 짧은 듯 해서요. 왜 그렇게 오래 유지되지 못했을까요?
@user-iw2dp5ct1y
@user-iw2dp5ct1y 3 ай бұрын
한번쯤 가보고 싶었는데.. 샌프란시스코나 실리콘밸리나 아쉬운 이야기만 ㅜ
@Ppppii
@Ppppii 3 ай бұрын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사기꾼이 특히 금융쪽 너무 많아서 힘들어요...
@krshin4762
@krshin4762 3 ай бұрын
또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미쿡 돌아다녀 보면 정말 정말 땅덩어리 하나 만큼은 뭐 솔직히 대따~ 부럽고 넘사벽같긴 하네요 ㅋ. 감히 덧붙이고 싶은 얘기는 코비드 사태 겪으면서 미국 각 기업에선 등떠밀려 직원들이 집에서 일해도 되는거가 되는건가? 했다가 ~되네! 했던 부분이 계속 "할만 하네, 계속 그러지 뭐" 하는 회사들은 계속 그러는 분위기 같고요, 예를 들어 졸업하고 현재는 뉴욕에서 직장 다니는 딸내미도 아직까지 일주일에 절반만 사무실 나가는데 그 쪽 지역 대충 얘기도 들어보면 사무실들 엄청 공실 생기고 말씀하신 거주비용 부분이나 뭐 여러가지 정확하고 앞으로 어떨지 까지도 제대로 보신 말씀 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연방은 그렇다 치고 각 주정부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얘기가 흘러갈텐데요 대표적으로 텍사스 같은데 보면 앞으로 더 말씀처럼 남부( 주로 공화당, 빨간 주들)로 인구가 더 이동할 것 같고요. 미국 관련된 게 있어서 저도 조금 알긴 아는데 진짜 그런것 같고요, 게다가 범죄나 각종 정책 관련해서 말도 안되는것 같은데 현실에서 벌어지는 일이 요즘 너무 많아서리 ㅎㅎ 꽤나 걱정되긴 합니다 ㅠㅠ
@user-kz2ie4lj9t
@user-kz2ie4lj9t 3 ай бұрын
날씨 때문에 캘리가 좋아요
@brandlee5089
@brandlee5089 3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도 잘 봤습니다 👍👍❤❤ 매번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혹시나 잘못 이해하시는 분 계실까봐 친환경 에너지가 좋은 점도 있지만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다르답니다. 우리나라처럼 전력 생산의 대다수를 친환경으로 주게 되면(여기서 친환경은 풍력, 태양열과 같은-핵분열 제외) 당연히 생산의 친환경은 만족스럽지만 전력 생산의 편차가 심하고(날씨 등의 이유), 전력 송전 상 갑작스러운 전압 상승이 되면 전력이 다운되는 블랙아웃 현상이 심심찮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씀드린 테슬라와 같은 케이스는 일단 전력 생산이 잘 되는 지역(썬벨트 지대)이기도 하며, 기상 현상도 큰 편이 아니라 일관된 편이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고, 그 수요에 맞춰 설비하면 되는 이점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기는 지금 당장 저장한다는 게 쉽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지 효율이 좋은 저장장치가 상용화(개발은 늦고) 된다면 친환경이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간혹 핀치를 잘못 맞추고 쓰시는 분이 있어서 적어봅니다.
@NOKANOKANOKA
@NOKANOKANOKA 3 ай бұрын
에너지의 효율도 있지만, 영상에서 나온것처럼 re100 같은 규제도 한몫합니다. 자동차 업체들이 앞다퉈 전기자동차를 내놓는것도 환경규제로 인한 세금부담을 줄이려는것도 있구요. 뭐 이게 정말 나라에서 환경을 생각해서 하는것면 좋겠지만, 비교적 친환경 에너지 비율이 높은 유럽의 선진국을 선두로 자신들이 유리한 입장이 되기 위해 환경이라는 구실로 자꾸 규제를 강화시키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어느정도는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현재 친환경 에너지가 우리나라에 안 맞다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이유중 하나 이기도 합니다.
@goodluck3269
@goodluck3269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잘생기고 멋지신 교수님 ❤목소리도 감미롭고 ❤ 🫠🫠🫠🫠상식도 풍부해지고 ❤❤❤ 감사합니다
@goodluck3269
@goodluck3269 3 ай бұрын
벌써 끝나 네😢😢😢😢😢😢
@hwannnnnnnn
@hwannnnnnnn 3 ай бұрын
@5:00 지도에 애리조나로 표시된 곳은 뉴멕시코입니다! 애리조나는 그 왼쪽에 있는 주 입니다😊
@DaehyunAhn
@DaehyunAhn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샌프란이 워낙 날씨가 좋죠. 결국 중요한 행사가 변수가 적은 샌프란같은 곳에서 개최될 수밖에 없기때문에 여전히 중요한 도시로 여겨지지 않을까싶습니다.
@jaesunglee1934
@jaesunglee1934 3 ай бұрын
5:00 아리조나 자리는 뉴멕시코 주 자리입니다 아리조나는 바로 옆이에요!!
@Kate-zu4ms
@Kate-zu4ms 3 ай бұрын
앨에이 코리아타운 근처 식당에 갔더니 예전에 비해 너무 험악하더라구요 ㅠ 요즘 샌프란 엘에이 대도시는 너무 안 좋더라구요
@rachealrhee8652
@rachealrhee8652 3 ай бұрын
슬럼화 문화에도 차이가 있을까요? 디트로이츠나 시카고 슬럼화 시대는 술과 대마라면, 모던 슬럼화는 펜타닐 아님 정상회복 거의 희박한 마약 주입물로 일반생활이 힘든것 같은데.. 그 차이점이 있다면 알고싶습니다!
@posted6232
@posted6232 3 ай бұрын
영문판 이코노미스트 장기 구독자입니다. 3,4개월전 현준님이 지적하신 내용과 동일한 맥락으로, 구체적인 그래프 공실률이 적시된 3쪽짜리 암울한 기사를 읽었더랬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 1쪽짜리 이코노미스트 기사에서는 최근의 반도체붐과 함께 샌프란시스코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는 낙관적인 기사가 나오네요. 인구(주로 취약계층)가 8% 감소했다가 다시 고소득자 중심으로 몰린다는 내용입니다.
@P01tava
@P01tava 3 ай бұрын
킹갓AI
@april5310
@april5310 3 ай бұрын
저도 캘리포니아 사는데 날씨가 너무 좋아서 다른 주로 이사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어요. 여기 살다 택사스 간 사람들 중에도 날씨 때문에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LK1109R8
@LK1109R8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그리고 텍사스 조지아 이런주는 문화생활할게 제로 입니다.
@drawbended
@drawbended 3 ай бұрын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 밸리를 떠났던 테크 기업들 최근 다시 돌아오고 있죠 ㅋㅋ
@okowoo9719
@okowoo9719 3 ай бұрын
한국인이 텍스사에 산다고 하면 무언가 좀 신기한건 사실 ㅋㅋㅋ , 캘리포니아, 뉴욕,뉴저지,하와이, 네바다, 애리조나에 산다고 하면 그냥 그러려니 하는데,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3 ай бұрын
​@@LK1109R8캘리는 문화생활할게 있어요? 미국보면 할게 없어보이던데. 한국서 그흔한 노래방없지 피씨방없지 보드게임방없지 만화카페없지 길에 사람 적고 차타고다니지
@TONYBOTTLE
@TONYBOTTLE 3 ай бұрын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CoffeeingSeoul
@CoffeeingSeoul 3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재택근무가 저렇게 활성화 될 수 있는건 노동시장의 유연성도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재택을 하던 회사에서 하던 성과가 안나오면 그냥 해고가 가능한 나라이니까요
@SH-of7zb
@SH-of7zb 3 ай бұрын
1:54햇빛이 안드는데 팜을 만드는건 효율성이 있는건가요?..
@user-qn7tc3jn6e
@user-qn7tc3jn6e 3 ай бұрын
빛이 만약에 안들어오는게 문제라면 몰딩형식으로 렌즈를 만들어서 부착하게 되면 이런문제가 어느정도 해소되지 않을까요?? 조금 궁금하네요😊😊😊
@seongraekim4697
@seongraekim4697 3 ай бұрын
재택을 하려면, 업무라는것이 누가 해도 되도록 일정규모로 쪼개져있고 그걸 핸들링 하고 실무자를 대신해 외부와 커뮤니케이션을 중간관리자가 잘 서 있어야 함. 그런데 우리나라는 주로 하나의 업무에 한두명의 담당자가 모든 일을 처리하는 할당식 구조여서 해당 업무와 접점이 생기면 담당자를 찾아야 함. 그랬을때 자리에 없고 재택을 하고 있으면 서로 피곤해지지.. 스텐드미팅으로 5분만에 끝날 커뮤니케이션을 xx님 yy이슈로 미팅을 해야하는데 zz시에 시간 가능하세요? 라고 슬렉이 올리고있는 나를 발견하게 됨.
@mkj7758
@mkj7758 3 ай бұрын
일단 망분리가 안대있어서 그렇다던데용. 극비문서와 일반문서를 그냥 뭉퉁그려서 똑같이 취급하고 대신 망 분리로 보안을 지키는? 그런 방식이다보니 다른곳에서 접속하게 둘 수가 없는더라고 하더라고요. 님이 말씀하시는건 망분리와 서류분류 그 이후의 문제겠네용
@hook772
@hook772 3 ай бұрын
상대방을 기다려주고 배려하지 못하고 빨리 빨리 하려는 성격에, 결국 자택근무를 못하게 되면 서로가 서로 피해 보는거 아닌가 하네요. 물론 저도 자택 근무 주4일 하면서 아쉬운 점도 있지만 이것이 서로의 편익을 위하고 돌아가는 방법이라 해도 가능한 맞춰서 갑니다. 느긋한 마음으로 더 꼼꼼히 보는게 미국 방식인거 같아요. 한국은 빨리 효율성을 더 위주로 보구요
Why does Korea rebuild buildings without preserving them like the West?
13:03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
15:28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I wish I could change THIS fast! 🤣
00:33
America's Got Talent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조선과 미국, 그림에 숨겨진 도시 생활
19:53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31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