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점수 낮아도 합격했다? 공정함을 위해 하버드 대학교가 점수보다 중요하게 보는 것 ㅣ 아메리칸 드림 가능하게 하는 '미국 교육의 비밀' ㅣ 다큐멘터리K ㅣ

  Рет қаралды 21,753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9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3년 8월 5일에 방송된 <다큐멘터리K - 세계의 교육 7부, 다양성 교육의 비밀, 미국>의 일부입니다.
‘하버드’는 과연 누가 들어가는가?
세계 최고 대학으로 꼽히는 하버드. 과연 SAT 만점, 전교 1등의 수재만 들어가는 학교인가? ‘하버드 1세대’ 학생들을 만나 하버드가 추구하는 인재상에 대해 들어본다. ‘하버드 1세대’는 가족 중 본인이 처음으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다. SAT/ACT 같은 시험 점수보다 하버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무엇일까?
✔ 프로그램명 : 다큐멘터리K - 세계의 교육 7부, 다양성 교육의 비밀, 미국
✔ 방송 일자 : 2023.08.05
#골라듄다큐 #다큐멘터리K #하버드 #미국교육 #교육 #SAT #ACT #해외대학 #수능 #대학진학 #대학 #대학교 #아메리칸 드림

Пікірлер: 32
@thrdduo1226
@thrdduo1226 9 ай бұрын
출발선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안에서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본다고….? 6만명을 언제 다 ㄷㄷ
@sfkyungil5458
@sfkyungil5458 8 ай бұрын
미국의 최고의 대학 또한 세계의 최고의 대학이 될수 밖에없는 이유이다. 온갖 집단 이기주의적인 세상을 조금더 다양하고 조화롭게 만드는 역활을 하는 곳.... 미국이 세계 최강이 될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많이 알고 똑똑한게 다가 아님을 일깨워 주는곳...
@user-fr1vl9gi7h
@user-fr1vl9gi7h 9 ай бұрын
성장가능성 엘리트만 있는 곳에서는 리더가 나오지 않는다. 하버드가 달리 하버드가 아니군요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9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이죠. 우리는 공부잘하는 학생을 원하지 않는다. 인류가 문명을 이룩한이래 한 공동체에서 공감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지능이 낮은거다. 리더를, 협동을, 다양성을 원하지 한명을 위한 대학은 필요가없다.
@khkim4270
@khkim4270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였다면 난리가 났을텐데
@seanpark5766
@seanpark5766 9 ай бұрын
하버드처럼 했다간 대한민국 부모들 난리난다
@gyeseee
@gyeseee 9 ай бұрын
아메리칸드림 기회의땅 싸롸있네요~~👍🤗👏🎊💯
@elainechang824
@elainechang824 9 ай бұрын
Some students drop out becaause poor academic score
@wlgp5181
@wlgp5181 Ай бұрын
여튼 매년 아이비 입시는 힘들어요. 올해도 하버드는 3.8 퍼센. 1900 명 뽑는데 5만명이상 몰려서 그나마 올해가 쉬웠다고 하니. 룰이 없어보이는 게임이긴 합니다.
@user-ld6mx5lo6y
@user-ld6mx5lo6y 9 ай бұрын
하버드 와 그래
@MagnaAegwynn
@MagnaAegwynn 9 ай бұрын
조선사회의 청렴도로는 무리인데스
@sopianshin3250
@sopianshin3250 9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저러면...꿀빨고 왔다고 따당함....
@user-pr6nm6ib5i
@user-pr6nm6ib5i 9 ай бұрын
나는 대한민국 억만장자다. 나는 재벌이다. 나는 이른 나이에 부를 일궜다. 나는 부자가 될 것이란 믿음을 늘 갖고 있었다. 나는 그 어떤 힘든 역경을 다 극복했다. 어차피 과정인 것을 잘 안다. 난 모든 게 어차피 넘칠 거란 걸 안다. 나는 뉴욕 월스트릿 맨해튼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강남에 건물 두 채 보유 중이다. 나는 행복하다. 나는 다른 사람을 돕는다. 나는 늘 좋은사람과 어울렸다. 나는 성공했다.
@user-pr6nm6ib5i
@user-pr6nm6ib5i 9 ай бұрын
@@2theMOON_k 내 삶, 내 인생 그 자체.
@gyeseee
@gyeseee 9 ай бұрын
시크릿아님?
@1qwase2qewadsd21qewdasds-nd4qx
@1qwase2qewadsd21qewdasds-nd4qx 9 ай бұрын
혹시 용찬우씨인가요?
@user-pr6nm6ib5i
@user-pr6nm6ib5i 9 ай бұрын
@@1qwase2qewadsd21qewdasds-nd4qx 용찬우? 누구시죠?
@timelessarchitecture1917
@timelessarchitecture1917 9 ай бұрын
대학 이제 평준화 하자 제2의 동학 농민 혁명이 필요한 시기다 100년도 못사는 인생에 공부로 너무 많은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야기 하고 잇다 공부 한다고 안쓴다. 인생 다 보내고 잠깐 빛 본다. 대학 저거는 21세기 새로운 계급 문화다 열심히 연구 하고 하는거는 좋다 대신 대학 순위 매기지 마라
@jy7213
@jy7213 8 ай бұрын
동학혁명때 기관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 평지에서 육탄돌격하다가 전멸했지요.
@user-ns5vf4dg4e
@user-ns5vf4dg4e 6 ай бұрын
프랑스 그랑제꼴의 사례를 찾아보시면 좋겠네요
@athp5596
@athp5596 9 ай бұрын
절라 무식한거지..인종 차별이라고 대법원 판례도 나왔는데..공부 좀 하고 만들어라..제발
@doulk2476
@doulk2476 Ай бұрын
하버드는 돈 없으면 못감 미국에서 한국식 공부해서 갔다고는 하지만 그것도 가뭄에 콩나듯하는 거지...
@panictown85
@panictown85 9 ай бұрын
1등
@economicstatistics3219
@economicstatistics3219 9 ай бұрын
공부 잘 하는 놈이 올라가야 하는거 아님?
@bill_blackhands
@bill_blackhands 9 ай бұрын
현재가치보다 성장율을 보고 미래가치를 판단하는게 투자의 기본. 자본주의국가답게 사람에게도 같은 투자 원칙을 적용하는거 같음.
@user-vr5yo3pn6u
@user-vr5yo3pn6u 9 ай бұрын
1차원적인 사고관이네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9 ай бұрын
사람이 철학이 있어야하고 그런사람이 대학가는게 맞음 암기잘하고, 공부잘한다고 그것만으로 대학가는건 아님. 그럴거면 취업으로 빠져 가는게 더 낫지.
@DhBan-hy1hh
@DhBan-hy1hh 9 ай бұрын
이런 불공성 문제로 하바드는 미국내에서 매번 소송당한다 이런 주관적이고 불투명한 입시제도(중구난방적 입시제도)는 우리나라에서 수용불가한 것이고 수용해볼 가치가 없다 결코 좋은제도가 아니다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공정성을 훼손한다 하바드가 점점 경쟁력(가치)가 줄어들고있다( MIT Stanford 등에 비해서 하바드경쟁력 줄어들고있다) 전세계에는 공부 잘하면서 특별한 경쟁력있는 학생들 얼마든지 많다 그럼에도 공부못하는 애들중 선택한다고? 이런 랜덤한 입시제도는 비판이 필요하다 학생선택기준이 다양성(혹은 holistic review)이라는 애매한 기준 때문에 입시공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되고있다 우리나라 방송은 좀 외국의 제도를 소개할때는 비판적으로 방송을 제작해라 하바드는 그들만의 과거의 명성을 무기로 부패의 극치의 대학으로 변해가고 있으면서 1위자리에서 내려온다는 미국현지의 예기가 있는것도 유념해야한다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9 ай бұрын
그래도 우리나라보다는 나음. 대학 노벨상, 인재 배출 수준좀 보셈. 그리고 경쟁이아닌 철학 교육의 대학임
@jy7213
@jy7213 8 ай бұрын
서울대 나와도 극소수만 유명해지고 어차피 대부분은 평범하게 삽니다. 하버드도 극소수의 졸업생만 유명해지고 대부분은 평범하게 삽니다. 오히려 공부는 아주 잘하지 않아도 뭔가 뛰어난 점이 있으면 장래에 유명해질 수도 있거든요. 그런 애들도 좀 받아준다는 거지요. 학점 수능 순위대로 공부 잘하는 애들로만 꽉꽉 채우는게 아니라. MIT 나와서 대통령 대법관 연방의원 하는 사람 있나요? Stanford 나와서 컴퓨터 프로그램 IT 회사 취직 같은 건 많이 하지만 하버드처럼 졸업생들이 정계 재계 학계 언론계 예술계 법조계 의료계 연예계 등 다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내진 못합니다. 언변도 좋고 지적 능력도 뛰어난 학생들이 로즈 장학생으로 선발되는데 해마다 하버드 출신이 압도적으로 제일 많습니다. 명문 법대나 의대 진학하는 학생 수를 봐도 여전히 하버드 학부 출신이 가장 많고요. 그리고 랭킹이야 어쨌든 다른 대학과 선택할 기회가 있으면 대부분 하버드를 선택합니다. 대체할 수 있는 학교가 없어요.
ПАРАЗИТОВ МНОГО, НО ОН ОДИН!❤❤❤
01:00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КАХА и Джин 2
00:3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Eccentric clown jack #short #angel #clown
00:33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A vivid review by acrhitecture professor of Harvard and MIT campuses!
15:10
ПАРАЗИТОВ МНОГО, НО ОН ОДИН!❤❤❤
01:00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