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례지만 나이가 어떻게..?" 실례인 걸 알면서도 나이를 '꼭' 물어보는 한국인, 나이에 특히 민감한 이유가 따로 있다?! [심리읽어드립니다] | 김경일 심리학자

  Рет қаралды 106,455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요약 정리✨
00:00 시작
00:50 외국인에게도 익숙한 K-나이 문화
01:39 첫 만남부터 나이를 묻는 한국인의 이유
02:07 우리말은 왜 반말, 존댓말이 나뉘어있을까?
04:07 100년도 안 된 같은 나이 = 친구 문화
06:27 K-나이 문화의 장단점
09:28 나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12:22 나잇값, 같은 나이보다 중요한 다양성!
#사피엔스 #심리읽어드립니다 #김경일심리학자
나도 잘 모르는 내 마음, 많이 궁금하셨죠? 김경일 심리학자가 읽어드립니다
사피엔스 오리지널 〈심리읽어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342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Жыл бұрын
00:00 시작 00:50 외국인에게도 익숙한 K-나이 문화 01:39 첫 만남부터 나이를 묻는 한국인의 이유 02:07 우리말은 왜 반말, 존댓말이 나뉘어있을까? 04:07 100년도 안 된 같은 나이 = 친구 문화 06:27 K-나이 문화의 장단점 09:28 나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12:22 나잇값, 같은 나이보다 중요한 다양성!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Жыл бұрын
나도 나이물어보면 왜 물어보지? 이생각부터 듦.. 애초에 나이상관없이 상호존칭하면 되는데 나보다 어리든말든 상호존칭 쓰는 문화가 자리 잡았으면 좋겠네요
@jessh4384
@jessh4384 Жыл бұрын
나보다 어려도 존댓말하는데 아무래도 이름은 아는데 어떻게 부를지 애매할 때 자연스럽게 나이를 물어보게 되는거 같아요. ~씨 나, ~님 은 좀 어색해서 친해지기 어려운 느낌ㅜㅜ
@user-rm3pg1hh8d
@user-rm3pg1hh8d Жыл бұрын
일할 때는 같은 팀 아니면 나이 어린 사람한테는 씨, 많은 사람한테는 님을 보통 쓰게 되더라고...
@kjsomams19
@kjsomams19 Жыл бұрын
그냥상호반말이 더 유연한 사회가 될듯
@iilllllliilllliilllllliillii
@iilllllliilllliilllllliillii Жыл бұрын
@@jessh4384 왜 친해져야하지?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게 기본적인 매너인데. 사실 나이만큼 기준은 너무 단순한게 없긴 하니까 이해는 하지만, 상종하고 싶진 않더라구요. 이왕 그런 기준이 생긴만큼 도덕책에 이런 대화 매너도 같이 교육했음 좋겠어요. 친밀함의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데 언제 봤다고 대뜸 반말인지. 예전에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보면서 아이가 "내가 존중받고 싶은만큼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라고 어머니한테 교육 받는걸 보고, 나중에 내가 가정을 이룰 때 반드시 저걸 기조로 삼아야 겠다 다짐까지 했다니까요.
@anodami8462
@anodami8462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는 취업할때도 능력위주지 나이 크게 중시안한다. 그런데 한국은 30 넘어가면 무덤 들어가기 직전인 사람 취급이지 취업시장에서 100세 시대인데;; 진짜 없어져야 할 악습
@cross-zevol3745
@cross-zevol3745 Жыл бұрын
ㅇㅈ
@raonlee412
@raonlee412 Жыл бұрын
님나이가? 대기업이런데는 30넘어가믄 그래요?ㅠ
@cross-zevol3745
@cross-zevol3745 Жыл бұрын
20대만 사람이지 30대넘으면 입사해도 퇴물취급함
@anodami8462
@anodami8462 Жыл бұрын
@@raonlee412 일단 문과 계통 직업은 30 넘어가면 취업 못하고, 그나마 이과계통은 30 초반까진 실력여하에 따라 가능할때가 있죠
@how5555
@how5555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이력서에 사진,생일 기재하는 나라가 드뭄. 공평성에 어긋난다고 ㅋㅋ 한국인은 세계 다 그런줄 알죠
@user-kn5jo2bp5r
@user-kn5jo2bp5r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서열 따지기는 전세계 탑급. 상대방을 존중해주기 위한것이라기 보단 상전대접 받고자하는 기대 심리가 더 큰게 아닐까 본다.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Жыл бұрын
좀 더 솔직히 말해서 한국인에게는 사람 위에 사람 있고 사람 밑에 사람 있다는 굳건한 신념이 유전자 레벨로 각인되어 있다는 뜻이죠.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Жыл бұрын
개소리들 오지네.. ㅋㅋㅋ
@user-ir3rj7gs8r
@user-ir3rj7gs8r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서열을 따지는게 아니라 ㅈ도 아무것도 아닌새끼가 서열을 따질려고 할 때 죽이려는 거임
@user-zo3ei3zn9x
@user-zo3ei3zn9x Жыл бұрын
ㄴㄴ나이많음 틀딱취급하고 후려침
@user-ur7nf5ed2t
@user-ur7nf5ed2t Жыл бұрын
홍익인간의 정신을 잊지 맙시다.
@user-pi8jc9sw6t
@user-pi8jc9sw6t Жыл бұрын
나이를 더 먹은 어른이라고 무조건 어른스러운것도 아닌데, 우리나라는 나이 많은게 벼슬인줄 아는 어른답지 않은 인간들이 너무 많다.
@Since19918
@Since19918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시비가 붙는 장면 보면 너 나이 몇살이야 꼭 물어보더라구요
@Report-02
@Report-02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벼슬이죠 한국은 ...ㅋㅋㅋㅋ
@surger7267
@surger7267 Жыл бұрын
나이 어린게 권력이줄 아는 아이들도 많더만 대표적인게 촉법 운운.. 결국 나이가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문제라는거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쓸데없는 유교사상 ㅋ
@seyun325
@seyun325 Жыл бұрын
전 그런 사람들보단 나이 많다며 힘들다 늦었다 하는 주변 또래 사람들이 더 힘들더라구요. 이제 30 들어섰는데.. 가끔 20대 초반 동생들이랑 놀면 뭔가 죄의식이 느껴지구..
@MNBN87
@MNBN87 Жыл бұрын
내 경험상 자칭 동방예의지국인 한국은 예의가 아주 없는 나라임. 정확히 말하자면 아래서 위로 지켜야할 예의만 많고, 윗사람이 아랫사람애게, 또는 친구/동료간의 예의가 잘 안지켜짐.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매너가 없는거죠
@demeannnner38
@demeannnner38 Жыл бұрын
크으 인정👍 오히려 서양이 존칭 이런거 없이 이름부르고 반말하면서도, 나이불명 서로에 대한 수평적인 존중태도랑 실력이나 인성에 기반한 정당한 권력을 인정하는 문화가 역사적으로 잘 다져있음👍👍 결국 한국은 윗사람한테 잘보이는것조차 진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존경이 아닌 걍 살기위한 가식 그자체 그리고 아래로는 내리갈굼 진짜 헬클라쓰 ㅋㅋㅋ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더군다나 얼굴이 안보이는 익명커뮤니티는 더 개판이죠.
@Grrrrrrrka
@Grrrrrrrka Жыл бұрын
이거네 이게맞지. 격공
@chun44444
@chun44444 Жыл бұрын
@@user-xg8ni6gp7e 남자는 무조건 군대 다녀왔냐고 질문당함. 관심도 없는데 지 혼자서 자기 때는 빡세게 훈련했니 요즘것들은 빠졌다니 뭐 어쩌라는건지 ㅋㅋㅋ
@iamhere309
@iamhere309 Жыл бұрын
나이라도 물어보고 반말하면 뭐 한참 봐준다 생각하고 그려러니.. 하는데 외모가 자기 기준에서 어려보이면 그냥 겉만 보고 반말함.. 어이가.. 그냥 저는 사회에서 만나는 모든 분들에게 존대를 씁니다.
@user-yj1fi2pu9u
@user-yj1fi2pu9u Жыл бұрын
결혼유무는 왜 물어보는지?더 나아가 애인있는지까지 ,,,,면접에서 사적인거 좀 지양해야할듯
@Since19918
@Since19918 Жыл бұрын
면접에서 이런것도 물어봐요? 아이러니 하네요. 결혼유무. 애인 유무보다 폴리스첵이 더 중요한거 같은데..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육아휴직 패널티 주려고 하는걸까요? 수당 더 쳐줘야해서? 진짜 이해할 수 없는 질문이에요. 진짜로 다른 교수님 말마따나 기업은 소시오패스를 만들어내는 면접을 보고 있는것 같기도 해요.
@koko-tu9kf
@koko-tu9kf Жыл бұрын
@@Since19918 여자한테 많이 물어봐요 결혼하면 그만둘까봐
@jamiesong1974
@jamiesong1974 Жыл бұрын
90년대 2천년대까지 그랬어요. 그 질문에 미간이 조금이라도 찌푸려지면 바로 아웃이었습니다. 이거 성깔있네...이렇게 보는거죠. 거기에 하나 더. 커피 타오라면 타올 수 있겠어요? 이 질문
@user-by4ts8wr9b
@user-by4ts8wr9b Ай бұрын
근데 창업자로써 답변해드리자면 꽤 중요한 질문들이긴 해요... '애인 있냐? 결혼 했냐?' 는 신혼 여행, 출산 등으로 근태에 영향이 있을수 있기때문에 사전에 물어봐놔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넋놓고 있다가 갑자기 결혼한다, 임신했다 그러면 그 직원 자리 비울동안 대체할 인력 못뽑으면 난리납니다 ㄷㄷㄷ 근데 이게 또 무례할수도 있는 질문이라서 조심스러워 지기도 하구요... 창업자 입장으로선 난감합니다 이해좀 해주십쇼 ㅋㅋㅋ
@andyyi8213
@andyyi8213 Жыл бұрын
정말 없어져야 할 악습. 문화라고 부르기엔 미개하고 권위적인 과거의 잔해 그 이하 쓰레기임. 나이가 조금 많다고 어린 사람한테 자기가 듣고 싶은 것만 듣고 정작 들어야 할 쓴소리 들으면 싸가지 없다고 함. 거기에 아무리 그래도 너보다 몇 년 더 살았는데 이딴 소리 하면 웃음 밖에 안 나오더라. 어쩌라는 건지.
@user-eg9bp4kr9z
@user-eg9bp4kr9z Ай бұрын
얼마나 많이 당한겨.. 그 정도까진 아니라고 보는데 ㅋㅋ 😂
@user-fj5kn9gn1n
@user-fj5kn9gn1n Жыл бұрын
직장에서 알지도 못하는 사람이 기분나쁘다고 저보고 나이가 어떻게 되냐고 물어보는데 예의도 없이 나이가 어리면 어떻고 많으면 어떻게 할건지 참.. 한심한 한국사람들..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진짜 정작 중요한 걸 모르는 나라임
@user-fj5kn9gn1n
@user-fj5kn9gn1n Жыл бұрын
@@sahrahnghahndah 뒷담화는 또 얼마나 그렇게들 하는지요... 정작 앞에서는 입뻥긋도 못하면서요... 귀중한 인생을 그렇게 밖에 못쓰는게 너무 불쌍하더라구요..
@djWhdnUnvK
@djWhdnUnvK Жыл бұрын
나이 많으면 꼰대라고 할 거고 나이 어리면 젊은 꼰대라고 하거나 어린 놈이라 개념이 없다고 할듯요 ... ㅋㅋ
@user-so9bw9vj7t
@user-so9bw9vj7t Жыл бұрын
근데 뒷담이 먼상관인지 아가리가 달려있으니 뒷담 깔수있다 생각함 세상에 뒷담 안까는사람 본적이 없는데 물론 뒷담까는건 앞에서 당당하게 말못하는 약자들이 하는짓이지만
@user-fj5kn9gn1n
@user-fj5kn9gn1n Жыл бұрын
@@user-so9bw9vj7t 할 수도 있죠...도가 너무 지나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봐와서 쓴 글입니다. 그걸 교훈삼아 전 직접 말하거나 그냥 혼자 감당하지 뒷담화는 안한지 20년이 넘었네요. 남 잘나가면 질투나서 욕하고 못하면 그럼 그렇지 하면서 못한다고 욕하고.. 핑계도 많더라구요..
@hororororororo
@hororororororo Жыл бұрын
살면서 다른 사람 나이 궁금해본적 없는데 다들 묻길래 그게 매너인가 싶어서 나도 물어봄. 근데 상대방이 나이 알려줘도 상대방 나이 관심없고 까먹음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예전엔 친구라고 소개해줬는데 너보다 나이 많은데 왜 친구냐고하길래 당황스러운게 한두번이 아니었음ㅋㅋㅋㅋㅋㅋㅋ 왜 동갑만 친구임? ㅋㅋㅋㅋㅋㅋ 이게 너무 어이가 없음ㅋㅋㅋㅋㅋㅋ 친하면 친구아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냥 다들 아니라길래 그렇구나하고 살고있음ㅋㅋㅋㅋㅋㅋㅋ
@djWhdnUnvK
@djWhdnUnvK Жыл бұрын
말 편하게 하고 싶어서 (반말) 나이 묻는 사람도 있던데 한국도 그냥 나이 상관없이 서로 존댓말 하거나 서로 반말 하는 문화였다면 좋았을 듯 ... 오히려 영어 쓸 때가 편함
@user-le4hl2nx6u
@user-le4hl2nx6u Жыл бұрын
영어를 할 때는 그냥 말을 하면 되는거니까 한국어처럼 피곤하지가 않아요. 우리나라도 영어처럼 2인칭 좀 발달했으면 좋겠어요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일하다보면 나이 지긋하신 임원분들이 한결같이 매너있게 직원들을 대하시는걸 보면 회사 이미지가 벌써 달라요. 품격있고 참 멋있고, 그분들은 거래를 하더라도 더 존경하는 마음이 절로 우러나서 성의있게 대하게 되더라구요. 나이든 분들에게서 닮고자 하는 부분은 그런 아량있고 품위가 베어 나오는, 매너가 멋있는 부분이 아닌가 싶어요. 교수님 영상을 봐도 봐도 새롭게 깨닫는게 있어서 요사이 들어서 말씨를 잘 갖춰 쓰도록 노력하게 되었습니다.
@user-jc7im8zs8h
@user-jc7im8zs8h Жыл бұрын
지루하지 않고, 재밌어요! 영상의 적절한 음악과 자막도 한 몫 하네용!
@twinklestar4887
@twinklestar4887 Жыл бұрын
누군가 만나 존대해주면 무례할일이 뭐있습니까? 어려보여도 존대말 쓰면 큰일나는것도 아닌데 그냥 예의있게 쓰면 될일인걸...우리나라의 서열정리문화도 바뀌어야할 문화 같습니다.
@hielee632
@hielee632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몇인지 어디사는지 등등 쓸데없는 질문 좀 안하면 좋겠음. 그냥 그 상황에 대한 얘기만 하고 적당히 지내고 빠빠이 하면 좋겠는데 자꾸 별것도 아닌 개인적인 질문들 진짜 평생을 살아도 난 적응을 못할듯..
@HAPPYHAPPY-ml5lk
@HAPPYHAPPY-ml5lk Жыл бұрын
늘 불편했던 한국문화 중에 하나였던 서열, 나이문화를 잘 풀어서 해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issyun0049
@Missyun0049 Жыл бұрын
이번 편도 잘봤어요~~
@johanessshen5000
@johanessshen5000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나이 서열문화 없어져도 되는 시대라고 생각한다. 나이를 물어보자마자 나이가 어리면 바로 말까고 하대하고 종 부리듯이 하려고 미리 준비라도 해 놓은 것처럼 나이 물어보는 사람도 있음
@godsoldiorofthe3654
@godsoldiorofthe3654 Жыл бұрын
나도 개어이없는 일을 당한게 일용직 하루 아르바이트하로 버스 타는데 기사가 갑자기 인사를 안하고 탄다며 반말부터함 그리고 뭔가 자기가 위라고 하면서 진짜 개꼰대스러운 맨트날리던데 진짜 속으로 ㅈㄴ 욕했음
@user-ns9zo5oq8x
@user-ns9zo5oq8x Жыл бұрын
정작 나이 많으면 상전모시듯이 안굼ㅋㅋ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Жыл бұрын
@@godsoldiorofthe3654 속으로 하지말고 겉으로 하지 그랬어요
@myongsoonlee1205
@myongsoonlee1205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 서열정하기 좋아하는 문화는 고질적으로 배어 있습니다. 제 일란성 쌍동이가 누가 언니고 동생인지 꼭 알고싶어 하는 한국인들. 여기 영국사람들에게서는 그 질문 받아본적 없습니다.
@user-sr6rf3li1g
@user-sr6rf3li1g Жыл бұрын
나이를 뭐하러 물어봐 ㅋ 사회에서 만난 사람은 다 존대해주면 문제 될 일이 없는데
@xmoonwalker6232
@xmoonwalker6232 Жыл бұрын
선뜻 나이부터 물어보는 사람은 거른지 오래됐습니다. 제가 장담하는데 거르는게 좋습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꼰대 기질이 있거나, 관계를 쉽게 만들려는 가벼운 사람들일 확률 50000%
@kindchang
@kindchang Жыл бұрын
그 반대의 경우도 많아요. 요즘은 나이 적게 먹는게 훨씬 강자입니다. 나이 물어보는건 그나마 나이가 적은 분에게 괜히 실례될까봐 조심스러운 부분도 많아요. 남들이 내 나이를 적게 보면 엄청 기분 좋죠. 님 얘기는 옛날 얘기
@chloeh22
@chloeh22 Жыл бұрын
@@kindchang 이런 마인드도 이상한 거죠 더 어리면 강자다..이것도 이상한 사고를 가진 사람이니까 걸러야 할 것 같아요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특히 나르시시스트가 나이 물어보면 개 소름. 나이 아는 순간 태도가 변하기 시작함…
@LessButBetter-
@LessButBetter- Жыл бұрын
나이 묻고 바로 “말 놔도 되지?”(대답은 안 들음)로 이어지는 플로우 너무 싫어요. 세 살 아기라도 모르는 사람이면 우선 존댓말부터 하는 게 맞는 거 아닌가요… 나이 많다고 무조건 “말 편하게 해주세요” 라고 하는 것도 싫고요. 가끔 이런 분들 만나면 친해지기도 전부터 힘들어요. 하루종일 나이 생각만 하나 싶을 만큼 너무 나이차에만 집착하는 사람이 많아요…
@hororororororo
@hororororororo Жыл бұрын
진짜 개싫고 그런 사람이랑 관계에 항상 거리두려고하는데 그런 사람들은 나에게 말놓는다고 친밀하고 친하다고 착각하고 사는거 같아요
@-chubbycat
@-chubbycat Жыл бұрын
걍 본인보다 나이 어리다는걸 알게되면 우위권을 선점하고 싶은 꼰대 심리가 본능적으로 튀어나오니 "말 놓을게" 라는 말이 나오는거예요. 그런 부류의 인간들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거리두기 하면서 지내는게 가장 지혜로운 방법인듯 싶네요. 어차피 일적인 관계인만큼 사무적으로만 대하면 되는거죠.
@WillnWay
@WillnWay Жыл бұрын
존대와 반말은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대화속에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한 것 같아요.
@sunwoo0607
@sunwoo0607 Жыл бұрын
공감
@from_from_0
@from_from_0 Жыл бұрын
@@WillnWay 반말에도 존중이 잇지만. 처음 본 사이에 대뜸 나이믈어보고 어리면 말놓는다? 내가 먼저 놓으라고 한경우면 상관없겠지만 아니라면 과연 존중의 의미가 있는지.
@user-rj1vt9of3c
@user-rj1vt9of3c Жыл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user-zv4bj6ij4e
@user-zv4bj6ij4e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비슷한 경우에 남자끼리. 혹은 여자끼리 있을때 보면 (물론 제대로 나이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나이가 어린데도 불구하고 몇 살 올려서 말한다거나 나이 차이가 확연히 날 경우 낮춰서 말할때가 있고, 이성을 만나면 어린 쪽으로 말하는 경향이 많은거 같습니다 그걸 굳이 속일 필요는 없지만 간간히 결혼식 전후에 나이를 알았다는 커플들이 있죠 나이 차이가 많은 경우에도 보면 직장이나 다른 모임에서 우위를 점유할 수 있는 부분이 나이죠 이든저든 제가 보기엔 상대에 따라 자신이 좀더 유리한 쪽으로 만들려는 인간의 성향 혹은 욕심?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user-xd2ph2er4r
@user-xd2ph2er4r Жыл бұрын
난 한국 사람이 아닌가보다. 사회생활에서 아무리 어려도 존층하기에 그냥 한국 사람은 상대 깔볼려고 나이 묻는거지. 자기보다 높은지 낮은지 따져서 내 아래면 깔볼려고
@eunwoo5237
@eunwoo5237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 때 이후로 한번도 누구랑 대화할 때 나이가 궁금한 적도, 물어본 적도 없어서 누가 불쑥 나이를 물어보면 진짜 소름돋고 깜짝 놀래요,,ㅋㅋ 요즘 보통 호칭 님으로 통일해서 나이 몰라도 대화할 때 불편한 거 없던데
@kokekuka24
@kokekuka24 Жыл бұрын
요즘 초면에 나이 따지고 쌀짬으로 서열 잡으려들면 미치광이 취급받긴 하죠. 특히 서울권에서는 더더욱
@Wowie_
@Wowie_ Жыл бұрын
나이에 상관 없이 존중할 생각이 없으니까 물어보는 거지. 나이가 어린 사람이면 좀 더 편하게 대할 생각부터 하니까.
@stern121
@stern121 Жыл бұрын
나이 많다고 군림하려 하지 마라. 나이 많으면 일찍 죽을 뿐...좋은게 별로 없다.
@sangwon2443
@sangwon2443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이긴한데 가는덴 순서없어요..
@user-ov5ku9it5g
@user-ov5ku9it5g Жыл бұрын
@@sangwon2443 보통 나이 많은 사람이 먼저 죽죠
@sangwon2443
@sangwon2443 Жыл бұрын
@@user-ov5ku9it5g 그러니까 맞는말이긴 한데라고 했잖아요
@user-hc1jx7rz8h
@user-hc1jx7rz8h Ай бұрын
참교육 해주려고 그러는거잖아요. 힘드니까.
@user-zm2qv7eb6x
@user-zm2qv7eb6x Жыл бұрын
해외거주자 입니다. 외국인들도 안면 트면요 나이 묻고 자식이나 가족수 묻습니다 저는 궁금하지 않아요 ㅡㅡ 전혀 저에게 몇살이냐 퓨어 코리안이냐? 그렇다고 하면 아닌거 같다. 한국인은 눈이 작은데 넌 아니다 ㅡ ㅡ 이러고 언제 여기왔냐 등등 ㅡ ㅡ
@ckjang8295
@ckjang8295 Жыл бұрын
흠,,,,기본적으로 존댓말이 편해서 나이를 물어보진 않는데 대부분 상대방이 물어봅니다. 직위든 뭐든 반말하려고 묻는 것도 아니고 철저히 비즈니스 관계인데도 무의미하게 물어보는게 더 많은 듯 합니다. 많은 대화를 하기 위해 그냥 의미없는 말을 하는,,,,,, 대부분 인간은 침묵을 못 이기는 느낌이 강하게 들더군요 침묵하고 있으면 오히려 오해하더라구요.;;;;; 그냥 쓸때없는 무의미한 대화가 싫은 것뿐인데,,,,
@hororororororo
@hororororororo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해요 할말이 없으면 굳이 말을 안했으면 좋겠어요 왜 사적인걸 물어봐서 오히려 불편하게 만드는지.. 애초에 관심도 없으면서 .. 그냥 좀 말 없이있으면 상대방에게 예의없다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yjk1629
@yjk1629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은 남에게 너무 궁금한게 많다 나이가 몇살이세요? 키가 몇센티에요? 무슨대학 나왔어요?? 어느 아파트 사세요??
@hororororororo
@hororororororo Жыл бұрын
결혼하셨어요? 여친있어요? 물어보는것도 짜증나는데 억지로 대답해주면 걱정하는 말투로 ‘어머 왜 안하셨어요?’ 이래서 개어이없음 사적인거 물어보고 대답해주고 걱정해주는척해야 예의있고 친밀감있다고 생각하는거 같음 할말이 없으면 그냥 안하면 되는데 굳이 사적인걸 물어봐서 거리를 좁혔다 생각하는거 같음 나는 ㅈ같은데
@zhezhucui2484
@zhezhucui2484 Жыл бұрын
오지랍이 쓸데없이 드럽게도 많다는거지
@kokekuka24
@kokekuka24 Жыл бұрын
특히 지방에서 그런 경향이 심함. 나도 남쪽지방에서 평생 살다가 서울로 상경한지 몇년 됐는데 여기선 확실히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서 사적인 질문 덜함
@cross-zevol3745
@cross-zevol3745 Жыл бұрын
+여친유무
@chun44444
@chun44444 Жыл бұрын
@@hororororororo 남자는 덤으로 꼭 군대 다녀왔냐고 지겹도록 들음. 군대 안가고 공익이나 면제 받았다고 이상한 사람 취급하는 경향도 없잖아있고
@user-cp2yp6zy7w
@user-cp2yp6zy7w Жыл бұрын
우리 애기 15개월인데 놀이터가면 다른 애기 몇월생인지부터 묻게 된다. 그건 아이에게 호칭을 가르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의 나이를 묻는질문은 유모차에 앉아 있을때부터 배우는 첫 사교질문같다.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연암 박지원과 이서구는 17살 차이였고, 박제가와는 13살 차이였지만 친구였습니다 이황과 기대승은 25살 차이였죠 조선시대에 5살차이로 친구삼고 이런건 여기 출연한 김경일교수 주장이고 실제로는 나이와 상관없이 친구를 했습니다
@user-xt8xh6pu4l
@user-xt8xh6pu4l Жыл бұрын
난 나이를 안 물어보는데. 그냥 존댓말로 하는 편이 편해서.
@noahwhite3964
@noahwhite396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의 '예의 있게 말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 말에 공감은 합니다. 다만 나이로 예의 있게 말하는 것이 꼭 필요한가라는 생각이 많이 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예전에 초등학생과 과학에 관한 대화하는 도중 초등학생이 저한테 이렇게 말을 했었습니다. "왜 저를 무시하세요" 하고요. 저는 당연히 초등학생이니 많은 것을 모른다고 생각하고 대화했던 거 같습니다. 오히려 나이로 상대를 파악하고 상대에게 맞춘 대화였다는 것이죠. 그리고 반대로 생각을 해봤죠. 과연 나이가 많다고 하여 많은 것을 알고 경험을 하는가?라고요. 그리고 이런 정보화 시대에 많은 것을 알고 경험해야 하는가?라고요. 그래서 요즘은 대화할 때 나이는 안 물어봅니다. 나이뿐만 아니라 편견에 사로잡히기 쉬운 것들은 안 물어봅니다. 그리고 여러 정보들로 유추하려고 하지도 않고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고 대화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랬더니 대화방식이 완전히 바뀌기 때문에 아직도 많이 부족합니다만 상대를 더 잘 알게 된 거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일생 생활하면서 상대의 나이를 알 필요가 있는가?의 대답은 NO입니다.
@seungranwagner7801
@seungranwagner7801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user-zd3pc5rn8e
@user-zd3pc5rn8e Жыл бұрын
청춘터전에서 하는 20주 정도하는 프로그램에 들어갔는데 그냥 다같이 서로 00선생님 00님 이러니까 나이 궁금하다고 생각해본적도 없었던거같아요. 서로 나이를 묻지도 않고요. 요즘엔 나이를 먼저 물어보면 "갑자기 뭐지?" 라는 생각이 먼저 드는거 같네요 ㅋㅋ
@user-lb3ih8nz6e
@user-lb3ih8nz6e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나이 어린건 어려서 그렇다 치는데 나이 많은 사람들이 많다는 이유로 무조건 반말짓거리 ,하대하는건 뼈속깊이 베어있는게 실상이다. 그러니 틀딱이니 이런 소리나 듣지요 나이 많아? 그럼 나이값좀 하세요. 대접받고 싶으면 대접하세요.
@user-zx2dk8nb8u
@user-zx2dk8nb8u Жыл бұрын
나이와 관련해서 인상 깊었던 기억이 예전에 무슨 방송이었나, 진짜 갓 말이 튼 애기들 3~4명 모아놓고 방송했는데 진짜 걔네들끼리 알아서 나이 묻고 지들끼리 서열 정하고 뭐 할때마다 "난 형이자나!" 이러면서 위계질서 세우려는거 보고 진짜 여러의미로 크게(?) 와닿는게 있었죠. 진짜 울나라 사람들이 서로 만나기만 하면 나이 묻고 서열 정하려는 심리가 짙긴 함 ㅋㅋ
@user-or2od6ji1r
@user-or2od6ji1r Жыл бұрын
어른들이 그 나이때부터 세뇌시킴ㅋ 애기들한테 나이 물어보고 oo아 형이라고 해야지 이게 말트자마자 교육받는 내용ㅋㅋ
@LessButBetter-
@LessButBetter- Жыл бұрын
으 저도 그거 봤어요. 어릴 때부터 저러니 커서도 나이 따지겠구나 싶으면서 소름 돋았지요..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헬조선 꿈나무들이군요 ㅎㅎ
@skk4517
@skk4517 Жыл бұрын
부모부터가 그렇게 가르칩니다. 형이나 누나라는게 뭐 대단하고 멋진거 마냥. 애들은 그냥 그게 멋진 무언가 인줄 알고 형 혹은 누나가 되고싶어하죠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똥서열이죠. 책임없는 권리. 권리만 있는 존중.
@c2_crystal
@c2_crystal Жыл бұрын
나이를 묻는것도 불편하지만 물어봤을때 제가 빠른년생이라 걸쳐져 있어서 너무 불편해요. 이제 년도만 말하긴 하는데 진짜 나이 묻는거만큼 쓸데없는게 없는 것 같아요.
@-chubbycat
@-chubbycat Жыл бұрын
나이 내세우는 사람치고 나이값 제대로 못하는 인간들 수두룩 하던데.ㅋㅋㅋㅋㅋ 오히려 나이가 적어도 언행이 예의 바른 경우가 더 많은거 같다. 사회에선 상호존중이 우선이고 나이 많다고 해서 꼰대본성 드러내서 대우받으려는 심리는 버려라.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한다면 본인들도 대우받게 되있다. 이왕이면 나이를 묻거나 나이를 따지는 문화가 사라져야 하는게 가장 좋을텐데 유교 문화가 강한 꼰대 월드 한국에서는 그런건 아마도 꿈같은 이야기 일것이다.
@user-DorejoAYo
@user-DorejoAYo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과 대화해도 나이 물어보던데 상대방이 'How old are you?' 라고 물어보면 만나이로 대답하는데 제가 한국인이어서 물어보는걸까요? 친해지고 싶어서 그 사람의 자료조사 같은걸까요?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은 한국에 익숙해지면 다 그런거 알죠 아니면 님이 너무 어려보여서 미성년자인지 성인인지를 알고 싶은 것이거나
@iilllllliilllliilllllliillii
@iilllllliilllliilllllliillii Жыл бұрын
미묘한거 캐치: 좉목질 잘한다
@leeon736
@leeon736 Жыл бұрын
이것도 그냥 하나의 기준일 뿐.. 나는 그냥 너무 앳되고 귀여워서 혹시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라고 물어봤는데 그 사람은 그거 하나로 나를 이상한 사람 취급하더니 도리어 반말 섞어가며 얘기함.. 아마 자기를 무시하나 그런 생각으로 나를 그렇게 대했겠지만 난 그런 의도 전혀 없었고 그 사람 혼자 계속 그런 식으로 행동하는걸 봤을 때 꼰대네 머네 그런 판단으로 그 사람을 끝까지 이상한 사람 취급하는거가 더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싶음.. 아마 그 사람하고 대화할 시간이 더 있었다면 나이 물어봐서 기분 나빴었냐고 그런 의도 아니였다고 사과하고 오해 풀도록 했을텐데 인생이라는 연이 다 그런게 아니듯이.. 헤어지게 됨 나도 살면서 내 기준 내 삶에 있어서 부합하지 않는 사람은 이상한 사람 취급을 해봤었고 그게 그냥 불필요한 소모라는걸 깨달은 적이 있음 .. 알고보면 그 사람도 나름의 기준을 갖고 살고 배울 점도 많다는걸 알고서 사람을 판단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중 그냥 대화 하나로 사람을 둘로 나눠서 판단하는게 정말 시간 낭비임
@seyun325
@seyun325 Жыл бұрын
대인관계란게 너무 어렵죠
@donaldyoon3234
@donaldyoon3234 Жыл бұрын
나이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에게 세상을 많이 산만큼 산 값을 해야 한다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했을 것이고 나이 적은 사람은 나이 많은 사람에게 많이 살은 세상에서 얻은 지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인 것 같네요 그래서 연하자는 연상자가 살아온 세월에서 얻은 그 무엇(지혜가 될 수도 있지요)이 자신에게 쉽게 전해지기를 바라는 무의식적인 뜻에서 연장자가 자신에게 말을 편하게 하게 하였을 것 같습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반말을 허용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연상자는 자신을 돌아보고 연하자에게 반말을 해도 될 만큼 스스로 자신을 존경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반말 선택을 정해야 할 것이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
@urnotalone1004
@urnotalone1004 11 ай бұрын
젊거나 늙으나 처음 보는 사이에 나이 묻는 사람은 믿 거~ 서열을 정리 하기 위해서 나이를 묻는 경우도 있지만 나이 때문에 문화를 공유 할 수 없다는 경우도 있다. 나이가 다르니 이 문화를 공유할 수 없다는 그런 문화도 사라져야 한다
@user-is1wk8fn5i
@user-is1wk8fn5i Жыл бұрын
근데 나이물어보면 그나이에맞는 이미지에 벗어나면 안좋게보니까 나이를 안물어봣으먄 좋겠음
@user-hc1jx7rz8h
@user-hc1jx7rz8h 4 ай бұрын
나이 물어보는 사람 있으면 그냥 직면하삼 답하기 싫다고 말하기 싫다고 그냥 안알려줄래요. 라고 해
@user-gj1cf6mi9g
@user-gj1cf6mi9g 11 ай бұрын
나이를 거꾸로 먹는 인간들이 많은 세상 정말 힘드네요
@Leah-yr9tq
@Leah-yr9tq Жыл бұрын
쌍둥이 사이에서도 서열을 세우는데 생판 남끼리 오죽하겠어요. 거의 집착 수준이지요
@hororororororo
@hororororororo Жыл бұрын
요즘 쌍둥이들은 서열 없이 키워요 근데 주변 동네 어른들이 ‘니가 오빠야? 동생이야?’ 자꾸 이렇게 물어봐서 애들이 당황스러워하더라구요 ㅋㅋ
@user-un2lc1zv7d
@user-un2lc1zv7d Жыл бұрын
무례하지않으면, 난 딱히 나이 안 물어보는데.. 그냥 그건 있음. 20대 인가? 50대분이신가? 추측정도만 하고 자세한 나이 안 궁금함 ㅋㅋ 근데 내가 어리니까 남들이 너무 나이를 물어봐.. 물어보고 생각보다 나이가 어리니까, 존칭해주시다가도 반말하시고 그냥 막 대해도 되는 상대로 인식을 하는지, 그건 쫌... 사촌동생을 제외하고 10대 학생들에게도 반말은 안 쓰는데, 대학원 다니다보니 제 또래보다 나이 많은 분들도 공부하러 많이 오셔서 존경스럽고 친해지면 친구같이 다녀요.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Жыл бұрын
내가 사회생활하면서 느껴본 바는 나이라는게 사전적으로 존중을 의미하는게 아닌것같아... 나이를 아는 순간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노예취급하기때문이다.
@user-vm6xn4sz3u
@user-vm6xn4sz3u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제가 더 나이가 많은 경우가 있었는데요 마치 어린 쪽을 더 챙기고 양보해야할 거 같은 부담감이 느껴져서 싫더라고요 예로 조별과제때 나이 더 많은 사람한테 의지하려 든다거나 더 어려운 걸 맡기려고 몰아간다던가 하는 식으로 흘러가기도 하고요
@user-ev4yh4ed5q
@user-ev4yh4ed5q Жыл бұрын
더보여주세요
@herasun3909
@herasun3909 Жыл бұрын
반말하고 싶은데 혹시나싶어서 묻는게 나이임. 나이물어보면 기분나쁨. 누가봐도 내가 어려보이니깐. 근데 막상 보면 내가 더 많음. 그 뒤로 어색해짐.
@learjet3871
@learjet3871 Жыл бұрын
나이를 물어 보는 이유중에 하나는 한국어때문이죠? 한국어는 존대말이 중요하기때문에, 그리고 수직문화이기 때문에,,,
@seouun
@seouun Жыл бұрын
나만 안물안궁인가 봅니다
@-chubbycat
@-chubbycat Жыл бұрын
저도 상대방의 나이가 몇살인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이상하더라구요. 나이로 상하관계 만드려고 하는거 자체가 참 불편하죠.
@user-ss3hw4wr3t
@user-ss3hw4wr3t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많으면 나이값 해야 함 돈과 참을성을 요구함 그래야 인정 받음 돈도 안쓰고 참지도 않으면서 나이 떠들면 거들떠 보지도 않음 나이들면 주머니를 열고 입을 닫아야 함
@user-sx6ul6bi7w
@user-sx6ul6bi7w Жыл бұрын
나이에 따른 서열문화가 있음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나이를 알아야 서열 정리가 되거든 ㅋㅋㅋㅋㅋㅋㅋ 꼰대마인드
@DokDari
@DokDari Жыл бұрын
내가 중년이 넘는나이다만 고등생부터 젊은이들에게 첨부터 끝까지 웬만하면 존대를한다 젊은사람들이 나이물어보고 반말하는게 싫어하는 시절이다보니 근데 결과를 얘기해볼까요? 고딩이던 스물몇살이던 서른초중반이던 계속된 존대로대하면 부담을 본인들이 가진다는것 그래도 난 절대 말 안놓음 나도 젊은애들한테 반말듣기싫거든 한국에서 끝까지 나이차 알면서도 끝까지 존대해버리면 젊은이들은 이제 태세전환.. 제가 싫은거에요? 제가 불편한겁니까? 좀 친하게 대해주면 안되요? 등등 어이없는 상황 또 만들어짐 나도 젊은시절 지나왔지만 그것 하나는 알아야한다 나도 이제서야 옛 선배들을 공감하지만 한국인 정서상 끝까지 다나까로 존대하면 그 어른은 그 젊은이에게 많은걸 가르치고 알려주는데 냉정하다는것 그 어른을 존대하고 존중함이 조성되면 내가 아는 어른들이란 사돈팔촌에 자기 거래처 명함책 다털어서라도 내가 해결해야할 일에 큰도움을 주더라 그게 한국인이고 어른이다 나도 어릴적 내가 낸데 잔지식과 세치혀로 절대 안지고 논리반박하는 재미로 헛지랄했지만 절대 못이기는건 어른들만이 가진 연륜과 이해심을 이기기엔 턱없다는것 해보라..그냥 일단 존대하면 대다수 어른은 챙긴다 그사람을 .. 다만 어른중에 나잇값 못하는이는 존중할이유없음 분명히 말한다. 욕설.하대.무시하는것들은 나도 가만히 안둠 그게 싫고 나도 존대받겠다면 젊은이도 절대 어디가서 후배들..중딩.초딩한테도 존대하고 어른한테 끝까지 존대하고 자신도 존대말로 받아보라.. 그 결과가 어찌되는지 꼭 찍어먹어보겠다면 말이다.. 한국사회에서는 그렇게하면 어찌되는지를
@hamtolyoon6610
@hamtolyoon6610 Жыл бұрын
난 제일 안궁금한게 나이임 굳이묻는다면 시대상의 정서적공감할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묻는것
@user-rm9cq3uj2r
@user-rm9cq3uj2r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에 조선인 통치를 용이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군사학교에서 윗학년이 아래학년을 쥐어잡는 문화를 계획적으로 만들어낸, 일제의 잔재라고 알고 있습니다.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거 아는 사람 별로 없어요.
@user-yf6dt8di4r
@user-yf6dt8di4r Жыл бұрын
헉 진짜라면 개소름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Жыл бұрын
성균관 선후배 문화 찾아보셈 지금 좆문대에서 후배 얼차려 주는게 사실 조선시대 전통이었음ㅋㅋ
@David-nu8gx
@David-nu8gx Жыл бұрын
일제의 잔재뿐만 아니라, 조선왕조 500년 유교 성리학 꼰대문화도 한몫했지요
@user-cd4rf6pn4w
@user-cd4rf6pn4w Жыл бұрын
또 일본 탓? 탓하기 전에 생각해볼 다른 요소들도 많은데요
@user-jp6jd5id2n
@user-jp6jd5id2n 11 ай бұрын
영어가좋긴해요 존댓말이 별로없으니 나이서열의 가장큰 단점은 취업연령제한이죠 학연 지연 혈연 참 중요하죠 중고시절 한살차이로 갑질하는 형들 생각나네
@Takingchances99
@Takingchances99 Жыл бұрын
나이물어본후 어머 한참 어린줄 알았어요. 동안칭찬도 필수. 아.싫다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나잇값이란, 다른게 아닙니다. 나이에 걸맞는 인격적, 도덕적 성숙을 가졌는가를 뜻하는 겁니다. 교수님의 말씀처럼 세계화로 인해 관계가 다양해지고 더 폭넓어진 탓에, 우리 사회가 선택한 관계의 기준점의 절대치가 나이라고 자리잡게 된만큼, 그 나이에 걸맞는 대우와 결정권을 존중받기 위해서는 걸맞는 도량을 갖추어야하지 않겠습니까. 이게 바로 나잇값이죠.
@boksoong_a5940
@boksoong_a5940 Жыл бұрын
뭐래 ㅋㅋ말은 어렵게쓰면서 지금 다양성을강조하는데 그쪽이 말하는게 교수가 말하는거랑 부합한다고 생각하세요?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boksoong_a5940 다양성 강조한 적 없습니다. 문맥을 잘 읽어주세요. 기준이 자리잡았다는거지, 강조가 아닙니다. 약간 방향이 다르다는거죠. 수고하세요.
@Missyun0049
@Missyun0049 Жыл бұрын
1:07 '연도'가 아니라 '년도'라고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자막오타인 것 같네요..
@koko-tu9kf
@koko-tu9kf Жыл бұрын
나이로 상대방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쉬우니까 물어보는듯ㅋㅋㅋㅋ몇년 내내 나이 물은적 한번도 없는데 항상 첫만남부터 묻는 사람 많더라고요 이해 안가고 무례하게 느껴짐 이게 없었던 그룹이 딱 하나였는데 IT관련 모임에서였음(물론 여기도 남자 끼면 형동생 이런거 좋아해서 안됨ㅋ)
@JJ-he2rr
@JJ-he2rr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msuKn6yXmMrcd4k.html SBS 채널인데 이 영상 한번 보시는 것도 좋을것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나이 서열 따지는 문화가 일제강점기 시대의 잔재라는 내용입니다. 정말 없어져야 할 문화라 생각해요.
@user-ci5bs3oe2b
@user-ci5bs3oe2b Жыл бұрын
군대도 한 기수 위 선임이 가장 갈궜음..(해군 수병 출신임..)
@dawngwak1590
@dawngwak1590 Жыл бұрын
나이 먹은대로. 그 나이대에. 맞게 행동해야한다는 게 젤 문제
@user-lk1nt3rx2g
@user-lk1nt3rx2g Жыл бұрын
내가 별로 안좋아하는말 나이물어본다음에 어리면 '그럼 말 놓는다' 누구신데 초면에..
@Secreat486
@Secreat486 Жыл бұрын
다양성 하면, 네덜란드가 대표적인 사례일 듯 싶습니다. (많은 도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rorang31
@rorang31 Жыл бұрын
저는 직장에서 후배가 들어오면 나이가 궁금해 미치겠지만 물어보길 참습니다 ..ㅎㅎ 후배가 먼저 물어보면 제 나이는 말해주지만요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장점과 단점을 파악해서 변하면됩니다 우리가 연대감과 저렇게 살아서 힘든시기를 견뎌냈죠 지금은 어려운시기가아니기에 단점이드러난다고생각합니다 비난만하지마시고 본인들부터 변화다보면 나라전체가변하죠 한국인의 적응력과 존중을 하다보면 좋게되겠죠
@user-pz9zm7cs3b
@user-pz9zm7cs3b 6 ай бұрын
나이에 그렇게 미친 듯이 집착하더니 다른 나라에 비해 사회진출도 늦게 하고, 결혼도 늦게 하고, 애도 늦게 낳고, 모든 게 오히려 늦어지는 나라가 돼버린건 왜일까 하는 의문을 가끔씩 품게 되네요. 그만큼 사회가 경직되어 있다 보니 구성원들에게 더 강력한 조건을 요구하는 거고, 그 문제가 이런 식으로 터지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나이 따지는 문화는 그 경직성의 일부일 뿐이고요. 저도 이런 문화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고, 최대한 기준 없이 상대를 보려 노력하는 사람이지만, 그동안 이런 문화 속에서 살다 보니 무의식중에 상대방 나이를 보고, 상대방 학교를 보는 저를 보니 현타가 안 올 수가 없네요 😂😂
@Missyun0049
@Missyun0049 Жыл бұрын
1등이다~~^^ 오늘도 잘 볼게요~^^
@unisong7105
@unisong7105 Жыл бұрын
애 초딩 학부모모임에 처음 나갔는데~~~나이를 꼭 공개해야된다고 했어요!! 스포츠클럽에 가입했는데~~~갈때마다 나이를 공개했어요!! 교회모임에 갈때마다 신입이 올때마다 나이를 까야했어요!! 코로나로 인해서~~그동안 모임이 없었고~~ 그 이후~~난 그들을 두번 다시 만나고 싶지도 않고~~ 또 그들의 소식이 그다지 궁금하지도 않아요!!! 근데~~왜 그렇게들 나이를 알고싶어했을까요???
@XRP-10dollar
@XRP-10dollar 11 ай бұрын
실례지만 경일님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pinkberry3885
@pinkberry3885 Жыл бұрын
아유트로 너무 훈훈하게 끝내는 거 아임니까
@dudtkddjqrpdmltls
@dudtkddjqrpdmltls Жыл бұрын
그러고보니 딱 봐도 초등학교 때 동창인 거 같은데 혹시나 해서 말할 때도 존대를 하네 ㅋㅋㅋ
@sunnyz8821
@sunnyz8821 2 ай бұрын
지도 교수님과 나이 차이가 별로 안 나셨나요?
@bradleysbullm1673
@bradleysbullm167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나이 따지는 건 사회적으로도 악영항이 큰데 대표적으로 나이 제한. 연령과 직급이 반드시 비례해야 해서 연하의 상관, 연상의 부하 같은 건 있을 수 없지. 남자는 군대까지 갔다오고 취업에 시간이 걸릴 수 있는데 나이 때문에 거절당하니 얼마나 불합리해. 영화 인턴 보니까 70대 할아버지도 인턴 하시던데. 이런 사회야말로 역동성과 기회가 있는 거지
@minigun.
@minigun. Жыл бұрын
딱히 인간관계에 있어 상대 나이 궁금하지도 않던데... 왜 궁금해야 하지?
@user-hc1jx7rz8h
@user-hc1jx7rz8h 4 ай бұрын
사람한테 관심이 많나보지! 지인생은 없나보지!
@user-hc1jx7rz8h
@user-hc1jx7rz8h 4 ай бұрын
상대 나이 물어보는 사람
@kindchang
@kindchang Жыл бұрын
나이가 계급입니다. 적을수록 더 계급이 높아요. 요즘은...모든 면에서
@user-yx6cx3rr8l
@user-yx6cx3rr8l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도 사회생활에서도 연장자 우선인게 많음
@user-dw5cc9qp8h
@user-dw5cc9qp8h Жыл бұрын
존댓말이랑 허리굽혀서 인사하는거 때문에 그럼.. 그 병신같은 문화가 한살이라도 더 많으면 꼰대짓을 유발함
@unhye0116
@unhye0116 Жыл бұрын
서열정리때문에 그런거 아닐까요... 보통 나이 많은 사람한테 누구누구씨 이러면 약간 버릇없어 보이니깐요..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그걸 꼰대마인드라고 하죠
@eunwoo5237
@eunwoo5237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님이라고 하면 되지 않을까요? 제 주변은 다 님이라고 하고 씨는 못 들어본 것 같아요!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eunwoo5237 다 필요없음 그냥 이름 뒤에 붙이는 직책부터 호칭까지 싹다 없애야 함 걍 이름만 부르는게 최고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Жыл бұрын
부장님이면 X부장님 동사원이면 X사원님 이렇게 부르면 됨....
@hororororororo
@hororororororo Жыл бұрын
진짜 개꼰대같아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3 ай бұрын
3:06 한국은 갑오개혁(1894)보다 6.25 전쟁(1950~1953) 때문에 신분제가 사라진 거 아닌가요?(차이나는 클라스)
@kjsomams19
@kjsomams19 Жыл бұрын
왜 존댓말의 장점이 아프간 협상 때 파슈툰 언어 할 줄 아는 사람을 찾는 능력이 되는 건지 납득이 힘듭니다. 굳이 우리나라가 아니더라도 그런 생각 하는 나라는 얼마든지 있지 않을까요? 미국인이 그런 생각을 잘 못하는 것이 자국의 공용어가 곧 세계공용어기 때문에 그럴수도 있고요. 인간사회에 서열이란 필수적이지만 언어에 서열을 넣는 것은 그 사회의 유연성을 망치는 일입니다. 고로 존댓말이란 문화의 장점은 없는거죠.
@kimseoul8380
@kimseoul8380 Жыл бұрын
다른 변수나 개념이 생긴다고 기존 변수나 개념을 무시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나이는 경험치고, 경험치는 창의력의 원천이다. 물론 일반론이다...
@blueisland1355
@blueisland1355 Жыл бұрын
아마도 한국식 나이 먹기와 우리라는 집단성 때문일 것임........설날 하루 한 시에 똑같이 나이를 먹기 때문.......다른 나라들은 자기 생일날 나이를 한 살 더 먹으니 같은 동급생이라도 나이가 같았다가 달랐다가 유동적임......외국식으로 따지면 같은 동급생 3월1일 생과 12월31일 생이 시기에 따라 다른 나이가 되지만.....한국은 항상 같은 나이가 되고......우리라는 집단성이 강함.....이 두 가지가 원인 인듯.........
@how5555
@how5555 Жыл бұрын
동시에 나이 먹는 자체가 개성을 존중하지 않는 거고 그 자체로 집단주의 지구 원탑
@flyhigh3343
@flyhigh3343 11 ай бұрын
세는 나이가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나이임 만 나이는 개인주의 즉 개인의 다름을 인정해주는 나이고
@user-jo2zn1fd8z
@user-jo2zn1fd8z Жыл бұрын
밥만 먹고 잠만 자도 나이는 먹는다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Жыл бұрын
전 나이 잘 안묻습니다.
@rosema438
@rosema438 Жыл бұрын
요즘세대엔 나이 보단 돈이랑 직업으로 나누는 성향이 더 강함
@catnip_human
@catnip_human Жыл бұрын
이런영상의 댓글은 99퍼가 나이묻는것에 불편함을 호소하는데 밖에나가면 99퍼가 나이를 묻는다. 그들은 유튜브를 안보나.. ㅠ 온라인카페의 오프라인모임이든 어떤교육기수든 00님 00선생님이라고 부르면 편할텐데 진짜 꼭 오프모임나가면 나이부터 얘기하라고 함. 00님이라고 부르면 어린게 싸가지없다고 뒤에서 다른분들께 험담하시고... 어리니까 니가하라며 서빙과 뒷정리등 그런건 다시키면서.. 어르신대접과 비유안맞춰주면 (뭐 하나라도 삐끗) 나혼자 서빙은 다하고 결국 싸가지없는애로 욕듣고. 근데 이게 남성여성 어느정도 섞여있는 모임은 안그런데 여자들만 있는 모임이 특히 이럼.
@user-nq1cw6lx6r
@user-nq1cw6lx6r Жыл бұрын
10:40 성숙
@iilllllliilllliilllllliillii
@iilllllliilllliilllllliillii Жыл бұрын
묻는이유: 서열정리
@user-fy7co1lc7d
@user-fy7co1lc7d 6 ай бұрын
친구는 몇년아시이나 10몇년남매사이도 동기로친구될수도잇지 5,6살차만친구가아니다 무조건가튼나이만친구가아니라 만으로해도 1,2살은친구지 나이가지고서열나누는자채가 미친짓이다
@chowzza
@chowzza Жыл бұрын
나이 물어보고 1살이라도 많으면 윗사람 대접 받으려고 하죠.. 쥐뿔도 없는 인간이.. 어린 상대방이 본인보다 직급이 높다거나 그러면 나보다 나이도 어린 게 라며 한 소리 합니다. 그러면 역으로 너는 대체 그 나이 때 머하다가 이러고 있냐 라고 되묻고 싶어져요...
@taedukim9241
@taedukim9241 Жыл бұрын
제목은 핵심을 찌르는데, 내용은 변두리만 훑는 느낌....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NO NO NO YES! (50 MLN SUBSCRIBERS CHALLENGE!)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102 МЛН
Don’t take steroids ! 🙏🙏
00:16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98 МЛН
잃으면 후회할, 당신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줄 사람들의 특징 (김경일 교수)
17:53
🇰🇷[한글날 특집] 세계 문자 역사와 한글이 특별한 이유?
18:22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I Feel Sad About Getting Old/Ven. Pomnyun's Dharma Q&A
8:33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Рет қаралды 479 М.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