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는 어떻게 선진국이 되었나? [동남아고 7-2화 김종호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61,278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11 ай бұрын

🎥촬영일: 23년 05월 23일(화)
😁출연자: 김종호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교수, 고영경 교수
화교들의 유입으로 중국의 문화와 말레이 등 여러 문화가 섞여 고유의 새로운 문화가 탄생했다.
많은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중국인과 말레이인 사이에 태어난 '페라나칸'들이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들의 집단은 그들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공동체를 꾸려나가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는 중화의 문화를 많이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건축과 음식 등 다양한 문화에 중국이 깃들어 있다.
화교 네트워크 역시 중국의 문화 중 하나로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꽌시'를 생각할 수 있다.
다양한 인종과 언어가 공존하고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여러 국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싱가포르.
그만큼 싱가포르에는 국가의 종속을 위한 보이지 않는 통제가 존재한다.
이번 동남아고 7-2화에서는 김종호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교수와 함께 화교와 싱가포르의 문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봤습니다.
[ ~7/6(목) 얼리버드 할인 이벤트가 마감됩니다. ]
📌 왕초보를 위한, '부동산 경매' 속성 과외
👉 buly.kr/G398nu7
📌 아는 사람만 아는, '지분 경·공매' 투자
👉 buly.kr/9t6cTMQ
[ ~7/10(월) 모집 종료됩니다. ]
📌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Web3.0 비즈니스 시행착오와 성공 노하우가 궁금하다면?
Web3.0 비즈니스 컨퍼런스
👉 bit.ly/44ctY8x
--------------------------------------------------------------------------------------------------
📌 임직원을 위한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신가요?
👉 삼프로TV 기업교육 : buly.kr/BeG5kF1
- 연락처 : 02-2118-0096
- 이메일 : edu@3protv.com
--------------------------------------------------------------------------------------------------
정프로와 함께하는 주주정회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 링크 클릭 : forms.gle/CgSbjJrrFJftNaZo8
삼프로TV가 글로벌 채널을 오픈했습니다.
👉 링크 클릭 : / @samprotvglobal
--------------------------------------------------------------------------------------------------
삼프로TV의 교육 브랜드 - 위즈덤 칼리지
위즈덤 칼리지는 "삼프로TV" 앱과 웹사이트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TV"를 검색하시어 설치하세요.
■ PC : apps.3protv.com/ 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에 "삼프로TV"를 검색하셔도 됩니다.
📞고객센터 : 02-2118-0707 / 010-3898-2324
-------------------------------------------------------------------------------------------------
■ 삼프로TV 광고 및 협업 문의
- 이메일 : ad@3protv.com
--------------------------------------------------------------------------------------------------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안내 말씀]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46
@3protv
@3protv 11 ай бұрын
[ ~7/6(목) 얼리버드 할인 이벤트가 마감됩니다. ] 📌 왕초보를 위한, '부동산 경매' 속성 과외 👉 buly.kr/G398nu7 📌 아는 사람만 아는, '지분 경·공매' 투자 👉 buly.kr/9t6cTMQ [ ~7/10(월) 모집 종료됩니다. ] 📌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Web3.0 비즈니스 시행착오와 성공 노하우가 궁금하다면? Web3.0 비즈니스 컨퍼런스 👉 bit.ly/44ctY8x -------------------------------------------------------------------------------------------------- 📌 임직원을 위한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신가요? 👉 삼프로TV 기업교육 : buly.kr/BeG5kF1 - 연락처 : 02-2118-0096 - 이메일 : edu@3protv.com -------------------------------------------------------------------------------------------------- 정프로와 함께하는 주주정회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 링크 클릭 : forms.gle/CgSbjJrrFJftNaZo8 삼프로TV가 글로벌 채널을 오픈했습니다. 👉 링크 클릭 : www.youtube.com/@samprotvglobal -------------------------------------------------------------------------------------------------- 삼프로TV의 교육 브랜드 - 위즈덤 칼리지 위즈덤 칼리지는 "삼프로TV" 앱과 웹사이트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TV"를 검색하시어 설치하세요. ■ PC : apps.3protv.com/ 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에 "삼프로TV"를 검색하셔도 됩니다. 📞고객센터 : 02-2118-0707 / 010-3898-2324 ------------------------------------------------------------------------------------------------- ■ 삼프로TV 광고 및 협업 문의 - 이메일 : ad@3protv.com --------------------------------------------------------------------------------------------------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안내 말씀]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bali_life
@bali_life 11 ай бұрын
두 편 오디오만 먼저 한 번 흘려듣고, 다시 한 번 시간 내서 집중해서 봤습니다. 동남아고 컨텐츠 중 원탑 입니다. 진행과 강의(?)가 끊김없이 흘러가서 집중해서 듣고 보기 좋았고 싱가폴과 동남아 내 화교 세계나 역사를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
@toothing2793
@toothing2793 11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동남아고는 매주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고 교수님 감사합니다😊😊
@user-io9bc5fw8y
@user-io9bc5fw8y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mu1rd6dn6t
@user-mu1rd6dn6t 11 ай бұрын
코로나 전에 갔던 페낭 주택들이 보여 너무 반가웠네요. 페낭에 페라나칸 박물관도 있어요~ 음식이 정말 맛있는 동네였는데ㅋㅋ
@valuefriends77
@valuefriends77 11 ай бұрын
이 교수님 찐이네요! 또 불러주세용^^😊
@KS-jc9kn
@KS-jc9kn 11 ай бұрын
다양한 숨은 고수님들 모셔오시네..다양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엿볼수 있어 좋네요. 앞으로 더 많은 동남아를 상대로 비지니스를 하눈 저에게는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 더많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realnrock
@realnrock 10 ай бұрын
살면서도 알고싶은게 많은 나라에요. 집중 조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재밋게 들어요
@user-cu5ob1zo8w
@user-cu5ob1zo8w 8 ай бұрын
왜 동남아는 화교경제권일까 궁금했었는데 제 궁금점을 한방에 해결해주셨네요 너무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nej4710
@anej4710 10 ай бұрын
8월에 싱가포르 다녀왔는데 귀를 기울여서 들었습니다 👏
@user-hw2su6ml3x
@user-hw2su6ml3x 11 ай бұрын
김종호교수님 강의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user-cy3ef6fu4m
@user-cy3ef6fu4m 11 ай бұрын
싱가폴 현이슈들부터 본격적으로 재밌어지네요. 다음 강연에는 싱가폴의 오늘을 중심으로 다뤄주시면 좋겠습니다!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11 ай бұрын
만약 태국에서 준비중인 "크라운하" 가 완공되면 싱가폴미래는 어떤 변화가 올까요 ? 지금처럼 유지될 것인지 ,아니면 도시규모가 축소될런지 . . .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11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sy5ot8yp3f
@user-sy5ot8yp3f 11 ай бұрын
영상잘봤어요^^
@Singkimdongwook
@Singkimdongwook 11 ай бұрын
싱가포르 계속해주세요
@martinchoi85
@martinchoi85 11 ай бұрын
[영상요약 by AI] 이 비디오는 중국인의 이민과 현지 문화에 대한 적응,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건축의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00:00 동남아시아 화교 이민자들은 결혼을 통해 현지 문화에 적응했다. 05:22 싱가포르의 중국 이민자들은 건물과 음식 문화의 기하급수적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10:50 동남아시아의 중국 이민자들은 강력한 방언 기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17:07 화교 네트워크는 상업, 정치,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합니다. 21:24 싱가포르의 외교적 입장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26:45 싱가포르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소프트파워 접근 31:18 싱가포르의 정치체제와 세대차 36:30 외국인 저임금 근로자는 싱가포르 경제에 매우 중요하지만 이들에 대한 처우와 미래 고용은 불확실합니다.
@shimjun5924
@shimjun5924 11 ай бұрын
타이페이에도 저런 건물이 늘어서있는데, 관광객 입장에서는 시도때도 없이 부슬부슬 내리는 비를 우산없이 피할 수 없으니 편리하죠. 이상하게 생각했던 점은 2층의 밑바닥 수직선이 바로 차도와 맞닿는다는 점이었습니다. 별도의 인도가 없는 거죠. 그렇다면 이것은 상가주인이 국가나 지자체 소유 인도의 공중권을 침해하고 있는 중인가, 아니면 반대로 상가주인이 자신소유의 토지를 행인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인가 궁금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에서는 계획적으로 정해진 것이라셨는데, 그렇다면 그 법은 인도의 공중을 5피트는 침범해도 된다고 정해진 것인지, 아니면 건물을 지으려면 국가에 5피트의 지상공간을 기부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ㅎ. 이걸 왜 여쭤보냐하면.. 비 안 맞는 건 좋은데, 2층 부분을 받쳐야 하다보니 인도에 중간중간 기둥이 장애물처럼 버티고 있고, 계속 어두침침해서 여기는 관련 건축법도 없나 하는 생각을 했거든요. 보여주신 사진들은 인도가 추가적으로 있지만요.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11 ай бұрын
대만에 있는 그런 건물은 영상에서 말했듯이 '기루(騎樓)'라고 불려요. 일제 시대 시가지 구획을 하면서 대만 곳곳에 지어지게 되었는데 일제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역시 복건계 후예들이 대부분)이 사는 곳은 일본식보다는 저런 중화적인 냄새가 강하죠. 역시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일제시기 경성에도 조선냄새가 강한 종로와 일본 냄새가 강한 진고개가 확연하게 나뉘었던 것처럼,,, 원칙적으로는 별도의 인도가 있죠. 인도가 없는 것 같아도 옆에 오토바이 댈정도의 작은 길은 다 있을 거예요, 그게 인도죠. '기루'는 '공익시설'로 분류되어 건물주가 기루를 만들 경우 국가는 건물주에게 그 면적만큼 면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shimjun5924
@shimjun5924 11 ай бұрын
@@icylakepaxphile 아 그렇구먼요. 공익시설, 면세혜택. 달아놓고도 누군가 알려줄거라 생각 못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예전에 보고 저에게는 너무 특이한 길이라 도시계획 전공하는 친구에게 물어보기까지 했었는데, 모르겠대서 잊어버리고 있다가 최근에 그 구룡성채가 덩어리가 되어가는 과정에 대한 유툽을 보면서 다시 궁금해졌었거든요. 아무래도 속으로 중국인의 융통성?!에 대한 선입견을 혼자 확증하고 싶었던가 봅니다.ㅎ
@shimjun5924
@shimjun5924 11 ай бұрын
​@@aviad2787 싱가포르의 경우는 대만과는 또 다르군요. 말씀대로라면 건물주는 국가소유 토지의 공중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군요. 크게 통행을 저지하지 않는다면 지상공간도 적절하게 사용하고요. 활발하게 쓰이는 건물들이 사적건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는 부분도 흥미롭네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yogm2741
@yogm2741 11 ай бұрын
싱가포르너무궁금했는데진짜재밌게들엇습니당!!!
@KIMkim-ub7nx
@KIMkim-ub7nx 11 ай бұрын
태국 남부. 즉 푸켓이남도 호키엔이 주류임. 다만 태국은 화인이라기보단 화예임. 교수가 싱가포르 위주로 설명했지만 사실 호키엔 하카 칸토니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를 이해해야함. 페라나칸의 바바 뇨냐 문화에 대해 설명이 약함. 카야토스트와 하이난 치킨라이스만 설명했지만 코피티암으로 불리는 중식 카페를 이해해야 이들의 식문화를 이해할 수 있음. 사실 싱가포르 호커센터에 가도 이런 하이나니스 음식보단 나시 칸다르에서 파는 로띠나 브리야니 식당에 줄이 훨씬 김. 이는 워낙 싱가포르에 일하러온 말레이인이 많기도 하기 때문이고,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싱가포르 음식이 다 말레이시아에 있는 음식임. 특히 페낭이 미식의 도시로 유명함
@kamlatsa
@kamlatsa 10 ай бұрын
연구생이신가요?
@jakekim9082
@jakekim9082 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마이크가 잘 안들리네요 ㅠㅠ
@pearlb3
@pearlb3 11 ай бұрын
Orchard rd외 75% hdb가 들어서 있는 외곽지역 동네들 가보면, gdp 칠만달러 달성하는 나라의 동네라 여겨지지 않을거예요. 동양의 스위스라 불려지길 원했다던데, 동양의 모나코에 더 가까운듯해요.
@03_YoHan
@03_YoHan 11 ай бұрын
@jchkim5084
@jchkim5084 11 ай бұрын
우리니라에서는 회랑이라고 하는 궁궐의 건축양식인데
@seeuncho2776
@seeuncho2776 11 ай бұрын
십년쯤이나 된 얘기지만 싱가폴 친구가 그러더군요 외국인 노동자 임금의 상한선이 월 천 달러라고, (당시 한화 백만원 정도였고 한국에 비해 너무나 적은 돈이어서 놀랐던 기억, 물가며 지디피며 감안할 때 더더욱) 지금은 정말 시장가격에 맡기는지 별로 그것도 말 같지 않고 정부차원에서 내놓고 갑질해 온 게 사실인 듯합니다 가정요양돌보미 같은 경우 몇 년씩이나 집에 가 보지를 못하고 어린 자식이 쑥 자라서야 상봉을 했다는 이야기며 그것도 멀지도 않은 필리핀이었는데 말이죠 겉만 번드레한 노동착취로 쌓은 번영이 서구 판박이인 듯해 씁쓸하네요 삼프로티비님들과 출연해 주시는 분들 덕분에 수많은 영상들을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seeuncho2776
@seeuncho2776 11 ай бұрын
그리고 그 친구는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확고하더군요
@JKPark-pj4gt
@JKPark-pj4gt 11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재미있는 싱가포르의 오늘!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rockugotcha
@rockugotcha 11 ай бұрын
조정훈이 낸 법안은 그 문제를 간과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설사 그런 제도를 도입한다고 해도 그게 출산율 상승과는 별 상관없는 제도겠네요. 나릿님들 턱에 흘린 국물 닦아주는 제도였네...
@Clxkenem
@Clxkenem 10 ай бұрын
대만, 한민족인 한국 북한 관계 생개하면 싱가폴이 화교많다는 이유로 꼭 중국편들 이유는 없다
@user-yy2gv7mi3y
@user-yy2gv7mi3y 10 ай бұрын
@user-ck9ts9gl3j
@user-ck9ts9gl3j 11 ай бұрын
사실은
@Cremenium
@Cremenium 11 ай бұрын
Nonsense😅
@user-xt1ps9se5o
@user-xt1ps9se5o 11 ай бұрын
배부르기만 한다면 돼지가 되도 괜찮은지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ай бұрын
싱가포르는 고소득 국가 인거지 선진국이 아닙니다. 1당 독재국가이며, 민주주의를 시행하지 않는 국가 입니다.
@user-fm1oc6qd8l
@user-fm1oc6qd8l 11 ай бұрын
한국은 이미 할매 할배 노인국가로 진입했어..
@user-vh8ni3fe1w
@user-vh8ni3fe1w 11 ай бұрын
타이완 다음은 싱가포르 인가?
@user-zv4zh2bb5g
@user-zv4zh2bb5g 11 ай бұрын
방송내용이 100% 정확하게 설명하시네요. 싱가포르를 보면 체제나 사상 종교등은 양질의 국민의 삶을 보장하는 수준에서만 의미가 있다. 체제나 사상 종교등이 겉으로 천명하는 고전적의미보다는 집권기득권의 이익에 부역하는 수단으로 전락한 정부가 거의 대부분인 작금의 상황에서, 싱가포르의 현체제는 자국의향상을 진정원하는 지도자라면 진심으로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단, 인지상정이겠지만, 돈과 권력을 세습하고 싶은 유혹만은 절제하기 힘든일인데, 앞으로 싱가폴정부가 이 일을 어떻게 대응할지는 두고 볼일이다. 싱가폴과 거의 같은 체제와 철학으로 황금기를 누렸던 베네치아공화국이 망한 것조차 국민의회가 세습되었기 때문임을 본다면, 싱가폴도 이 함정을 피해갈 수 있을 까 하는 조바심이 든다.
@KIMkim-ub7nx
@KIMkim-ub7nx 11 ай бұрын
뭔 소리야. 테마섹 홀딩스가 누구 지배하에 있는지 보면 그런말 안나오지
@user-xq8tm5nm7s
@user-xq8tm5nm7s 11 ай бұрын
​@@KIMkim-ub7nx방구석 ㅈ문가임ㅋㅋ
중국 부자들이 싱가포르로 몰려가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4:2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72 М.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여행은 건축가랑 가야지 [싱가포르 여행 Vlog]
21:33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389 М.
인도네시아에 창업이 많은 이유 (방정환 Yteams 파트너)
59:3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4 М.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