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자들이 싱가포르로 몰려가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Рет қаралды 250,895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10 ай бұрын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Пікірлер: 399
@max.lv_rabbit
@max.lv_rabbit 10 ай бұрын
싱가폴국립대 졸업생입니다. 중국/인도인 많은 이유 부가설명 하겠습니다. 2023년 기준 화교 76% 말레이계 14% 인도계 9% 입니다. 공용어도 4개 ; 영어, 중국어, 말레이, 타밀어입니다. 지하철 방송도 4개국어로 합니다. 공휴일도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기념일 다 있습니다. 많이 살게된 역사적 배경은 식민지, 무역업 등입니다. 싱가포르 국민의 80% 이상은 HDB라는 공공주택에서 삽니다. LH 아파트와 비슷한 느낌인데 가격은 쓰리룸 5~6억 정도입니다. 매매가 아닌, 99년 임차 방식으로 팝니다. 땅은 정부소유. HDB는 build to order이라고 주문이 들어오면 그때부터 지어지는건데 최근에 원자재 상승으로 HDB도 가격이 많이 올랐고, 외노자들이 코로나로 입국이 어려워 공사가 많이 지연돼 신규 주택 공사가 자꾸 밀립니다. 영주권이 없는 외국인들은 콘도에서 살아야하는데 대략 10억+ 이상입니다. 이것마저도 부자들이 사가서 많이 올랐습니다. 14%는 대저택에서 산다고 하셨는데 사실 거의 다 콘도입니다. 비싼 콘도도 물론 있지만 대저택급은 Bungalow라고 1% 정도? 여기가 찐부자 동네입니다. 투자이민/영주권....을 지원할만큼 돈은 없어서 그것까진 잘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최근 트렌드는 영주권을 잘 안주는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정치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Singapore for Singaporeans라고, 내부적인 반발이 커서 그걸 달래고자 정부가 점점 자국민들에게 일자리를 주는 쪽으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는 일반 기업에 오래 다니다보면 자연스럽게 영주권을 언젠간 줬는데 이제는 그 자리에 싱가포르인/영주권자를 쓰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장학금도 싱가포르인에게 일정 비율 꼭 주도록 되어있고요. 출퇴근을 말레이시아에서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국경을 넘어야 하고, 도로도 몇개 없어서 많이 막히며, 거리도 의정부에서 강남 가는 느낌이라 부자들은 굳이 안 그럴겁니다. 돈 없는 사람들이 밀려나겠죠. 진짜 겁나 덥습니다. 습하고. 그래서 바선생들이 엄청 크고 엄청 많습니다. 바닥에 낙엽인줄 알았는데 스스슥 하며 도망가는거 보면 까무러칩니다. 그정도로 큽니다. 게다가 날라다닙니다. 한국은 엄지 손톱만하죠...? 싱가포르는 기본 엄지손가락입니다.
@schema7132
@schema7132 10 ай бұрын
대단한 엘리트 이시네요. 싱가폴 아시아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의 대학이죠. 한국 대학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user-sl1ii4iv7q
@user-sl1ii4iv7q 10 ай бұрын
님의 글에서 싱가포르를 다 익히고 갑니다! 본강의도 좋지만 댓글에서 얻어가는 것도 좋아요
@laonto
@laonto 10 ай бұрын
이런 현지 정보나눔 감사합니당
@ihihi-hohoho
@ihihi-hohoho 10 ай бұрын
어소장님이 아니라 이분을 모셔서 싱가폴 얘기 듣는게 나을듯.
@SVDNet79
@SVDNet79 10 ай бұрын
NUS 출신 초 엘리트시군요! 이렇게 현지에서 경험하신 분들의 댓글이 더 많이 달렸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vl5nb7mc3r
@user-vl5nb7mc3r 8 ай бұрын
싱가폴이 돈있는 중국인들이 도피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지요..
@user-nm1ro3xn3v
@user-nm1ro3xn3v 10 ай бұрын
백억대 자산가 아니면 싱가폴에서의 삶은 팍팍 그 자체라고 봄. 그냥 정치나 국가 시스템의 견고함에서 오는 안정감은 우수하지만 중산층 개개인의 일상은 한국보다 나을게 없음.
@user-uq5vx4eq7z
@user-uq5vx4eq7z 10 ай бұрын
지금 집계한 800명은 아마도 평균 자산이 수백억은 될겁니다...거래 증권사에서 들은 이야기인데 해당 지점에만 100억이 있던 70대가 자식들이 있는 미국으로 이민 가셨다고 하네요..그런 분들은 어림잡아도 300억이상 자산가로 추정 됩니다만...
@user-bf2bj8lj3d
@user-bf2bj8lj3d 10 ай бұрын
시민권이 있냐 영주권이냐가 결정합니다. 시민권 있으면 한국보다 살기 좋아요. 싱가포르 국민의 약 80%가 HDB에 사는데 이게 옛날 대한민국 주공아파트를 고층으로 지은거라 보면 되는데 주택이라는게 해결되고 모두들 비슷비슷 살다보니 비교도 덜 당하고 나름 괜찮아요.
@user-bf2bj8lj3d
@user-bf2bj8lj3d 10 ай бұрын
다만 시민권이 없는 영주권이면 삶이 진짜 팍팍 그자체죠.
@sabinapark3017
@sabinapark3017 10 ай бұрын
이미 한국도 상당수 부자들 미국투자영주권 얻어서 나가고 있습니다.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10 ай бұрын
여기 미국에서 소장님 팬인데 이번 판결에 대해서는 좀 조사가 좀 부족한 듯 보여 아쉽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이 제도가 아시아인들의 대학 입학 숫자를 제한하는 용도로 그동안 쓰여 왔다는 거에요. 소송을 제기한 변호사는 백인이고, 이 사람이 자꾸 지니까 아시안들을 끌어 들여서 시작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억압받은 미국 흑인만 받는 거 였으면 모르겠는데, 아시안들의 숫자를 25프로 밑으로 제한하는 용도로 쓰여서 결국 아시안들 중심으로 뭉치게 된거죠. 지난 20년간 아시아인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 했음에도 입학생의 숫자는 저 비율로 제한이 되었고, 이게 비단 하버드 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 등 몇개 주를 제외한 미국의 모든 대학에서 같은 용도로 이용해 왔습니다. 이게 그렇다고 흑인에게 혜택을 준것도 아닌게 흑인보다 더 많은 숫자의 히스패닉을 할당해서 입학 시키고 일부 미국백인들 중에 이를 이용해서 입학한 사례가 많아요. 이게 무슨 인종인지 과학적으로 조사하는게 아니라 그냥 백인들은 다들 자기네 조상 중에 한명이 히스패닉계, 흑인 혹은 네이티브 어메리칸 (인디언)이 있다고 하면서 마킹 하면 되는 거에요. 아시안들은 여기에 체크 할 수가 없죠. 이미 이름에서 다 나오니까요.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10 ай бұрын
좀 더 보충하자면, 결정적으로 이게 인종 차별의 도구로 사용되었다는게 하버드 지원자들 중에 아시아 학생들이 거의 모든 카테고리에서 최고점이었는데, personality 즉 인성 점수에서 압도적으로 최하점을 받았습니다. 그러니 객관적으로 에세이 봉사활동 운동 등등 모든 부문에서 아시안들이 전부 최상위 였지만 이걸 이용해서 대학 당국들이 아시안들을 떨어뜨려 왔던거죠. 이 제도로 혜택 받는 것도 백인들인게 어차피 하버드 백인 합격자의 40퍼센트가 레거시로 입학합니다. 레거시란 부모중에 하버드 동문이 있거나 기부자가 있어서 입학한 학생들이고요. 같은 조건이면 레거시 학생이 입학할 확률이 5배에서 10배 높습니다. 마찬가지로 흑인 학생의 경우 1600만점인 SAT 시험에서 아시안 합격자들에 비해 250점이 낮았고, 히스패닉도 150점 가량 낮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조건이면 아시안의 합격률은 25퍼센트일 때 흑인 학생은 95퍼센트로 합격했고요.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10 ай бұрын
게다가 이 제도가 노예제도로 부터 이어져 내려온 차별로 인해 피해를 본 미국 학생들을 돕지도 않는게, 하버드 입학생의 절반이 아프리카 국적입니다. 흑인들 중에 70퍼센트가 부자층이라고 나왔고요. 그러니 어려운 환경에서 자란 미국 흑인 학생이 하버드로 진학할 확률은 굉장히 낮습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에서 일하는 흑인들도 거의 전부다 나이지리아 같은 아프리카에서 공부하러 온 학생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렇게 전부 다 합쳐서 입학 시켜도 못버티고 중간에 졸업 못하는 학생의 비율도 너무 높고, 흑인 학생의 대부분이 자연대나 공대로 입학했다가 다른 과로 전과한다고 합니다. 흑인 학생의 비율도 오히려 옛날에 비해 줄었다는 이야기도 있고요. 이렇게 해서 쟁쟁한 기업에 가도 이걸 아는 사람들은 그 학위를 같은 선상에 놓고 취급 하지도 않고요. 그래서 이게 도대체 어떻게 흑인을 돕는 거냐는 말이 많아요. 자기 수준에 맞는 대학을 들어간 학생들이 그곳에서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원에 가서 공부하고 잘되는 사람들이 많지, 준비도 안된 학생들이 입학했다가 중간에 그만두게 되면 오히려 잠재력이 있는 학생을 망치는 셈이죠.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10 ай бұрын
관심있는 분들은 유튜브에 대법원 판사들이 하버드와 노스캐롤라이나의 변호사들에게 질문하는 것들이 있는데, 정말 가관입니다. 변호사들이 한개도 제대로 대답 못해요. 왜냐하면 이건 그냥 인종차별하자는 정책이였거든요. 게다가 아시아라는게 한국 중국만 있는 것도 아니고, 요즘에는 인도인의 비율이 거의 중국만큼 많은데, 이 서로 다른 문화 권을 한데 뭉뚱그려서 아시안이라고 하는 것도 그냥 백인과 일부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를 배척하려는 정책이나 마찬가지죠. 테크 붐 때문에 인도에서 최고 대학을 나온 학생들의 거의 절반이 미국에 오는데 이들의 자녀들 또한 동아시아 못지 않게 공부하고 오히려 돈이 많고 다들 중상류층에 속하니 여러가지 준비가 잘 된 학생들이 많아요. 게다가 한국 중국등 아시아에서 지원하는 학생들도 폭발적으로 늘었고요. 이렇게 미국에서 태어난 아이들과 외국에서 지원하는 모두를 한데 몰아서 아시안이라고 하고 25프로 이하로 제한한거에요. 칼텍 (CalTech) 이 유명한게 탑 대학들 중 거의 유일하게 아시안을 차별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joehenry8165
@joehenry8165 10 ай бұрын
대놓고 아시아인 차별하고, 빽없는 백인들도 차별당하는 정책
@pepper5066
@pepper5066 10 ай бұрын
말씀 잘해주셨는데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하면 이런 대학들은 사립대학이지만 정부지원을 거의 천억 넘게 받는 대학이라는거죠. 2018년 자료를 보니 하바드대는 정부에서 이천억 가까이 받아갔고 이정도면 거의 준 공립대학이라고 해도 될 수준입니다. 그러니까 본인들만의 대단한 기준이 있다면 세금 쓰지말고 자기들 돈으로 운영하고 알아서 뽑으면 되는데 그게 아닌거죠.
@johnyrhee
@johnyrhee 10 ай бұрын
상속세개편 해야 합니다. 싱가포르, 홍콩, 중국, 말레이시아, 캐나다, 그리고 호주는 상속세/증여세 없구요, 그리고 미국도 부부간 상속/증여세가 전혀 없고 자식들도 부모로부터 합계 2,600만불(300억)까지 상속세를 내지 않읍니다. 한국과 비슷한 경제수준의 대만도 2008년에 상속세 개편해서 상속세 증여세를 50%에서 10%로 낮췄는데 한국의 상속세는 현재 날강도 수준으로 남편이 사망하면 더이상 그 곳에 머물러 살 수 없습니다. 30년전에 만든 한국 상속세법은 지금이라도 인플레이션, 경제수준등을 반영해서 자주 바꾸어야 합니다.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2 күн бұрын
대만과 한국의 경제수준이 뭐가 비슷해요? 일본과 한국이 같다는 소리하고 있네;; 읍니다-가 아니라 습니다!! 바뀐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구분을 못합니까? 눈 막고 귀 막고 살아가니 알 턱이나 있나!!
@user-vk9jq9hr6s
@user-vk9jq9hr6s 10 ай бұрын
한국 중견기업인들 대부분이...떠날준비하고있거나...떠나고있다... 부자를 죄악시하는 한국은 결국 망할수밖에없다... 결국 세금낼 사람은 없고 국가에 손벌리는 사람만 남는다...
@MinMin-hy3rd
@MinMin-hy3rd 10 ай бұрын
싱가포르 생활 12년차입니다. 중국 부자들 너무들어와서 집값너무 올랐어요. 한국 찐부자들도 세금피해서 싱가포르로 많이들어와요
@namja2yagi
@namja2yagi 10 ай бұрын
이게 진짜 우리나라는 상속세, 증여세 너무 많이 나오니까 부자들은 다 돈들고 해외로 나갈수 밖에 없는 구조. 이건 좀 개선을 해야되지 않나 싶은데요...
@user-vq4gp1wy3c
@user-vq4gp1wy3c 10 ай бұрын
@@namja2yagi 우리나라가 세금이 절대 많지 않습니다,,,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명목 세금도 높지 않고 실효세율로 따지면 더더욱 낮아요. 부자들이 세금 안내려고 언론플레이 하는것 뿐입니다,.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한정된 국가의 부를 조절하지 않으면 빈익빈부익부현상이 심화되서 사회갈등이라던지 사회문제가 너무 심해집니다,..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의 격차가 감당안될정도로 심해진다는 뜻입니다,
@coewroub1398
@coewroub1398 10 ай бұрын
@@user-vq4gp1wy3c 세금이 많지 않다는건 무슨 근거? 근거없이 세뇌당하신것 같은데 좀 배우세요. 물론 근로소득세를 하위 50%, 인구 절반이 면제받으니 그런측면에서는 많지 않다고 볼수 있겠네요.
@namja2yagi
@namja2yagi 10 ай бұрын
@@user-vq4gp1wy3c 상속세 증여세 많다는건데... 그래서 부자들이 다른 저런 상속세 증여세 없는 나라로 돈 빼돌리고 그걸로 한국에서 사는게 아니라 해외나가서 띵까띵까 잘사니 문제란거지. 차이가 나도 엄청나게 차이가 나니까. 그래서 괜찮은 기업도 안물려 받고 중국에 팔아 버리고 중국에 공장 많았던 기업인데... 그래서 그 기업은 중국사모펀드가 좀 운영하다가 찢어서 팔아버리는거 같더라고. 내 친구 회사 얘기임. 내 친구는 완전히 그렇게 되기전에 좋은 회사로 이직하여 잘 다니고 있지만... 우리나라 진짜 문제가 많다는걸 모르나? 이건 소득 격차가 문제가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가 아예 없어지는거라고.
@cualcualcual
@cualcualcual 10 ай бұрын
​@@user-vq4gp1wy3c 우리나라 상속세 장난 아닌거 사실이에요
@user-ly4nv7kt4d
@user-ly4nv7kt4d 10 ай бұрын
오늘도 어소장님 덕분에 출근길 시간순삭이에요❤
@user-bx2kp3np5e
@user-bx2kp3np5e Ай бұрын
중국소식통은,이철 박사님,말씀이최고믿음이간다.
@jay_jay2593
@jay_jay2593 10 ай бұрын
보유세,취득세,양도세 평소에도 다 걷을만큼 걷으면서 상속세에서 반을 떼가니 ㅜㅜ 그러면서 내가 힘들때 나라가 해주는건 없어요..적당히 걷으면 불만 없구요, 왜 땅값 자산 오를떈 세금걷으려고 공시지가는 바로 올리면서 상속세 기준은 안높입니까? 자산가치 똑같이 적용하세요..일 안하는 국회의원 잘먹고 잘 사는데 왜 내가 세금을 내냐고...
@t-youngkim251
@t-youngkim251 9 ай бұрын
핵심입니다. 국개들이 나라를 퇴보시키고 있어요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2 күн бұрын
한국 떠날 능력은 없고... 찡찡대기는 싶고
@user-ds2vq6kp2w
@user-ds2vq6kp2w 10 ай бұрын
우리도 상속세10%이내로 해라
@jylee6214
@jylee6214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부자들이 떠나지 않게 해야한다. 떠나는 부자들을 비난하지 말고, 그들의 발목을 잡는 한방이 필요할듯..
@user-mi3up4lu1e
@user-mi3up4lu1e 8 ай бұрын
부자들 증세해아지 엣햄!!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10 ай бұрын
44분 길이에서 앞 15분 즉 30프로가 그냥 뉴스 클리핑+잡담이네요 😂
@sooshin3569
@sooshin3569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10 ай бұрын
하바드도 처음부터 저렇게 뽑은게 아니라 나중에 유타대학 학장을 지낸 분이 성공하는 학생들을 관찰한 결과 4.0의 책벌레보다는 3.7에 자기가 원하는 것이 기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스스로 만들어서라도 즐기는 학생이 성공하더라는 철학에 의해 1970년대부터 바뀐거라고 하더군요. 주어진 교과서를 잘 습득해서 4.0을 받는 사람보다는, 원하는게 안보이면 스스로 만들어내는 사람이 나중에 학교를 빚내는 졸업생이 된다는 것이고, 그건 혁신기업가(앙트레 프레너)들의 특징이겠지요. 그리고 하바드 자체가 작은 공동체처럼 여겨서 최고의 배우/가수/운동선수도 어느정도 넣어서 책벌레 뿐 아니라 다방면의 엘리트그룹으로 학생들끼리 서로 관심사가 다르지만 각자 분야에서 top인 얘들을 묶어놓으면 시너지가 나온다는 믿음이겠고. 물론 한국 학부모들이야 저런 구조를 또 이용해서 돈 주고 진학전문가에게 상가지하에 아이스 링크를 만들어라도 내가 없던걸 즐겼다 라는 식으로 꾸며 입학하려 하겠지요. 대학간판이 목적이니.
@syukaforever
@syukaforever 10 ай бұрын
세금은 둘째 치더래도 언어가 중요한것같아요 예전에 홍콩이 중국반환되면서 한국이 금융허브될거란 이야기가 있었지만, 결국 싱가폴로 가더군요. 그과정에서 한국이 티끌만큼의 혜택이 있었을지는 미지수지만 싱가포르는 중국계 싱가포르인들도 많기에 중국어-영어를 할수있는 금융사직원들이 많은것같아요. 생각외로 그 메리트라는게...진짜 강해고이더라구요. 의사도 만다린 할수있는사람 태반이고 백화점가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이 세적으로 메리트있다한들 언어가 큰걸림돌이 되지않을까...라는 생각이 최근 들더군요 싱가포르도 복 많이 받은 나라같습니다
@loup4889
@loup4889 10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말이 되어야 편하죠 아무리 좋아도...
@axelrod-_-
@axelrod-_- 10 ай бұрын
언어도 그런데 공매도 제도 고칠 생각도 없는 높으신 분들과 매도 리포트 쓰면 살해 협박하는 개미 분들 수준이 너무 떨어져서 한국은 영월히 안됨
@user-fc1pb8ng3d
@user-fc1pb8ng3d 10 ай бұрын
소장님 언제나 너무 감사드립니다~~
@yarn75
@yarn75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상속세가 제일 문제.
@user-jr4zg7lh1h
@user-jr4zg7lh1h 10 ай бұрын
상속세만 문제가 아니고 증여세도 문제임...
@yekim4205
@yekim4205 10 ай бұрын
​@@user-jr4zg7lh1h대신 보유세가 턱없이 낮다고 하네요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9 ай бұрын
​@@yekim4205낮은개 당연한거 제국주의일땨 돈많이 범것도 아니고 자원이 많은것도 아니고 맨땅에 헤딩해서 번건대 세금많이 내는개 정상이냐
@yekim4205
@yekim4205 9 ай бұрын
@@leewilliam8111 왜 반말하고 지랄이야?
@user-pq8ln3lz6e
@user-pq8ln3lz6e 10 ай бұрын
한국이 세금때문에 살기가 안좋으니까 호주 싱가포르로 자금이 빠져나가는건 당연한거죠
@user-sm4or3tt9h
@user-sm4or3tt9h 10 ай бұрын
태형이 있는 나라 입니다. . .
@user-sl4bz9yh7v
@user-sl4bz9yh7v 11 күн бұрын
복받은 어소장님..
@sunnyis1671
@sunnyis1671 10 ай бұрын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Aaaajakq
@Aaaajakq 10 ай бұрын
상증세 손 안보면 중소기업 폐업하고 사라진다 안그래도 아무도 안하려고하는거 돌리는데 너같음 상증세로 60% 내고 2세들이 경영하겠냐 아무리 작은 회사라도 회사주식 갑자기 상속하게되면 최소 30억에서 100억 넘게 세금 때리맞는데 ㅋㅋ 그냥 회사 외국에팔거나 해외법인으로 돌려버리지 😂 기업들 사라지면 일자리 사라지고 그냥 나라 터지는거 전부 편의점 알바나 할까?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Ай бұрын
정말 큰일이네요 상속세 증여세 없애야 되네요
@stoneha1
@stoneha1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zg6hl9vj9n
@user-zg6hl9vj9n 9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jchkim5084
@jchkim5084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상속세 없애야한다. 이미 세금내고 모은 돈을 상속을 이유로 국가가 가져가는 것은 온당치 않다.
@user-nx1tb2yu2e
@user-nx1tb2yu2e 10 ай бұрын
사랑해요~~언더스땐딩😂
@rakey69
@rakey69 10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 즐겁게 잘 시청했네요, 고맙습니다~
@jeffpark5223
@jeffpark5223 10 ай бұрын
싱가포르는 상속/증여세가 없죠.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거죠. 한국은 보유/소득세가 계속 오르는 편이구고 상속세가 높은편이니.. 차량은 이야기하는 것처럼 쉽지 않다. 차량 댓수가 한정되어 있어서.. 내 아시아 근무시 명박이 아들이 회사를 싱가폴에 세웠었지.. 돈 빼돌리는 회사라고 소문이 파다했지… 해외 자원 투자한다면서..
@user-wh5wu4ti3z
@user-wh5wu4ti3z 10 ай бұрын
나라간도 경쟁인데 상속세 해외평균으로 바꾸죠
@andkm123
@andkm123 10 ай бұрын
남미쪽 망한 나라들 망하기전 부자들의 행동 양상과 그 원인을 분석해주세요
@user-cc9xw1dc9r
@user-cc9xw1dc9r 10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넘 좋아요
@SVDNet79
@SVDNet79 10 ай бұрын
28:35 멋지다!!! 정말 멋지다!!!
@greentea-kf3ot
@greentea-kf3ot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상속 증여세 빨리 없어져야
@brpang
@brpang 10 ай бұрын
India keeps shutting down .. 는 인터넷이 자주 끊긴다는 뜻이 아니라 인도정부가 끊는다는 뜻이 벌써 들어가 있습니다. 주어 india 가 장소가 아니라 인도 정부라는 뜻.
@user-lv1ce7jc5p
@user-lv1ce7jc5p 19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부동산 주식으로 돈 벌어서 외국에서 상속한다고~??? 외국인 콘도 거주 비용 10억 이상 공공 임대주택도 5~6억원 국가에 임차하는 방식 이게 세금임
@DIY-vj1uo
@DIY-vj1uo 10 ай бұрын
싱가포르에 사는 사람들이 죄다 중국계들이니 중국 부자들이 싱가포르로 몰려가지... ㅋㅋㅋㅋㅋ 아니 무슨 이유를 만들어야하나.
@user-yw1et7zc3o
@user-yw1et7zc3o 7 ай бұрын
알라뷰 예진
@nomark1978
@nomark1978 10 ай бұрын
법안의 취지는 좋으나.. 결과적으로 소수인종의 학생들이 교과과정을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런 현상이 계속 되다보면 결국 대학의 수준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겠죠..
@user-sl1ii4iv7q
@user-sl1ii4iv7q 10 ай бұрын
자원 없는 쪼꼬만 나라가 부자로 살아가는데는 최고의 방법인것 같네요. 세계적 부자들을 불러들여 함께 사는것~~
@user-zz3ri1yo9l
@user-zz3ri1yo9l 10 ай бұрын
부자들 지들끼리만 살꺼임..
@user-qp5xw9oz7y
@user-qp5xw9oz7y 10 ай бұрын
싱가포르는 철저한 계급사회입니다. 학벌부터 직업군부터 계층이동이 자유롭지 못합니다. 국가에서 다 통제합니다. 소득도 말레이계 노동자와 금융인프라를 가진 자본인텔리들하고는 비교도 할 수 없어요.
@wrdf1tahaya2kt
@wrdf1tahaya2kt 10 ай бұрын
@@jajang63 떡고물 주거나 얻고 싶으면 싱가폴로 이민 가시는 것은 어떠신가요? 한국에서 피해 받으면서 사는 것보다 그게 더 좋을 것 같은데요..ㅎㅎㅎ
@aussiekoala5960
@aussiekoala5960 9 ай бұрын
호주도 마찬가지죠 ㅋㅋ 한국은 뼈빠지게 연구해서 수출하는 참 멍청하죠. 다양한 방식으로 나라를 부자를 만들수 있습니다. 두바이 봐요
@KOR_J.H
@KOR_J.H 10 ай бұрын
세금내는거 좋아하는사람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까워서이기도 하겠지만. 더 큰 본질은 내가낸 세금이 과연 정당하고 제대로 쓰이고있는가 하는 의구심이 더 크기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그러니 아까워서 내기가 싫은겁니다. 설마하니 돈은 많이벌고싶고 국가의 보호는 받고싶은데 세금은 내기싫어서겠습니까.그많은 재산을 국가가 안전히 보호해주는데 말이죠. 국가 가 없으면 부자는 존재할수없습니다. 강도가 다 갈취해갈텐데요?
@user-uq5vx4eq7z
@user-uq5vx4eq7z 10 ай бұрын
죽으면 절반 이상 가져가면 국가가 강도 아닌가요? 그래서 강도 없는곳으로 떠나는듯...
@KOR_J.H
@KOR_J.H 10 ай бұрын
@@user-uq5vx4eq7z 아 좀 심하네요. 너무뜯어가네. 세금좀 줄여줬으면 좋겠습니다. 세금적게내면 모두가 좋은일아닙니까 ㅎㅎ
@anej4710
@anej4710 9 ай бұрын
올해 7월에 싱가폴 가보니 전세계 인종들이 다 모여서 어울려 살고 있었음.
@schragwerk
@schragwerk 10 ай бұрын
할당제, 어퍼머티브 액션의 본질은 사실 김빼기죠. 융합이 불가능한 소집단을 억지로 엮어서 하나의 대집단으로 만든 곳은 필연적으로 이익분배를 능력주의로만 하면 집단의 붕괴에 이를만큼의 갈등이 폭발합니다. 그래서 대집단을 깨는 것이 전체에게 손해일때 이들을 달래기 위해 이익분배때 할당제를 정당화하는 거죠. 그런 점에서 어퍼머티브 액션에서 살아남고 싶으면 정체성을 버리고 본국에 충성하라는 메시지도 같이 들어오죠. 아시안이 어퍼머티브 액션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되는 이유에 대해 그들의 속내는, 그들의 교육이 주는 이익을 본국에 가져가지 말라는 것입니다. 특히나 동아시아인들은 아무리 국적이 미국이어도 모국의 요구를 거절하기 어렵도록 강제당하거든요. 중국의 과학기술을 키운게 그거 아닙니까.
@howardkim5856
@howardkim5856 10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잘 보고 있어 감사드립니다. 근데 스튜디오 너무 밝아서 뿌옇게 보이므로 조명 조절 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mona0845
@mona0845 Ай бұрын
한국상속세는 진짜 날강도수준...
@user-uv9rk1le9f
@user-uv9rk1le9f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싱폴 넘 더워요. 근데 실내는 넘 춰서 긴소매입고 있어야 됨다. 상속할 재산 없슴 울나라가 살기 더 좋아요.
@user-lv1ce7jc5p
@user-lv1ce7jc5p 19 күн бұрын
소수 인종에 대한 특례 제도는 그 적은 사다리조차 없으면 미국이라는 다인종 다문화 국가의 통합 유지가 불가능함 우리 사회의 농어촌 전형 대학입시 처럼 경제적 불균형이 존재하더라도 서다리를 걷어차는 일은 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그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user-vx3pv2un1v
@user-vx3pv2un1v 9 ай бұрын
검찰과 조중동 만 없다면 진짜 한국이 최고 인데 ㅜㅠ
@traderdr3729
@traderdr3729 13 күн бұрын
저런 대가리 단단히 깨졌구나. 부자 증세가 민주당 전문인데. 부자증세해서 부자들 다 해외로 나간다잖아
@user-vx3pv2un1v
@user-vx3pv2un1v 9 ай бұрын
한국이 최고예요.. ㅋㅋ 저도 67세 되면 한국으로 다시 돌아갈 생각한 하고 있네요
@user-uu8ne4wo4z
@user-uu8ne4wo4z 10 ай бұрын
좋다 나쁘다로 평가 하면 안됨 합리적인 판단으로 평가해야 됨
@uwin-rj4rj
@uwin-rj4rj 10 ай бұрын
3:40 팬데믹이 끝나서 입니다.
@grida7000
@grida7000 8 ай бұрын
중국 부자들은 고민이 뭘까?
@namja2yagi
@namja2yagi 10 ай бұрын
인종 쿼터제는 엄청난 역차별이지.
@user-sl4bz9yh7v
@user-sl4bz9yh7v 11 күн бұрын
상속세를 많이내야 애국자가 됩니다
@loup4889
@loup4889 10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몇몇 통계 그냥 간단 한국어로 만들으셨다면 좋았을뻔했다는 생각은 하게 되네요....
@benkim2016
@benkim2016 10 ай бұрын
앞으로 인구절벽과 싱가폴과 말레이 이민으로 한국은 점점 인구부족 현상이?!? ㅜㅜ
@user-jr4zg7lh1h
@user-jr4zg7lh1h 10 ай бұрын
싱가폴에 증여세, 상속세가 없구나... 그래서 전세계 부자들이 싱가폴로 몰라가는...
@ljs2358
@ljs2358 10 ай бұрын
32:50
@gutikim2735
@gutikim2735 10 ай бұрын
우윳빛깔어예진 사랑해요 어예진
@gychoi2138
@gychoi2138 10 ай бұрын
Affirmative act 에요. 법이라. Action이 아니고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10 ай бұрын
Affirmative Action 이 맞아요. 영어로 구글 검색 한번만 해도 알 수 있는 거에요.
@myskylight
@myskylight 10 ай бұрын
말레이시아는 1억을 들고 예치하면 영주권을 주지 않습니다. MM2H라고 해서 은퇴자들을 유치하는 것인데, 단지 거주허가증인 Resident Permit만 발급합니다. 말레이시아는 영주권을 주는데 굉장히 까다롭고 오래 걸립니다. 현지인과 결혼하고 자녀를 현지에서 출산해도 십년이 넘도록 영주권이 안 나오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참고로 올립니다.
@kls-koreanlifestyle6455
@kls-koreanlifestyle6455 10 ай бұрын
정확한 정보 감사합니다.
@kenlee1704
@kenlee1704 10 ай бұрын
@@kls-koreanlifestyle6455 몇 3년전쯤 조건이 까다로워졌죠. 싱가폴도 엄청 …
@Nineoldman1
@Nineoldman1 10 ай бұрын
난 이 조합 너무 좋아.ㅎㅎㅎ... 꿋꿋이 자기 주장을 펴는 이프로와 .. 거기에 지지 않는 해외담당..ㅋㅋㅋ.
@minkyupark8887
@minkyupark8887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상속세
@jinheekim351
@jinheekim351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아직도 저런 리스트에 있다는게 싫다 참
@lee8747
@lee8747 10 ай бұрын
비율로 따지면 중국이나 우리나라나 비슷하네요
@younilkim6169
@younilkim6169 10 ай бұрын
이제 메이드인 차이나 달고는 힘들다는걸 느꼈겟죠 게다가 공동부유 한다고 난리이니 뭐
@flexfever1
@flexfever1 9 ай бұрын
예진 소장님 워딩과 목소리가 매력적이라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ㅎ   🌷🌸🌷🌸     🌸🌷🌸🌷🌸    Λ🌷🌸🌷🌸🌷    ( ˘ ᵕ ˘🌷🌸🌷    ヽ つ\  /     UU / 🎀 \
@aussiekoala5960
@aussiekoala5960 9 ай бұрын
한국은 부자들이 오기에 세금이 너무 높음. 호주 뉴질랜드는 세금은 높지만 수입부분 상속세가 없음. 한국은 상속세 수입세 다 높으데 누가 옴. 한국은 브자를 인정해야함 난 가난하지만 부자들이 소비를 해야 경제가 좋음 소비 없는 경제는 없음 부자들이 불법을 저질르는거와 돈이 많은건 다르게 취급해야 함. 한국이 살기는 진짜 좋으데 참 안타까움. 호주는 현재 경제 호항 이민자 몰려오니 ㅋㅋ 자원은 사실 호주 경제의 10프로 미만임.
@user-uk7xv5it3z
@user-uk7xv5it3z 6 ай бұрын
살기는 대한민국 제일좋아요 근디 돈만 있으면요
@shinnayo5233
@shinnayo5233 10 ай бұрын
오늘 싱가포르에서 쿠알라룸푸르로 왔는데, 마음은 말레이시아가 편해요. 돈이 정말 많아도 싱가포르는 계속 살고 싶지 않아요. 살아가기가 팍팍하고 시민의식은 좋을지 모르나 가면속에 가려진듯한 시민의식인듯해요.
@tonykim5004
@tonykim5004 8 ай бұрын
원래 어딜가나 시골이 더 사람냄새 나요
@TV-ms6qh
@TV-ms6qh 10 ай бұрын
보유세 재산세 상속세를 폐지하자.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이거는 국민을 다 가난하게 만드는 세금입니다
@user-hs1zz9no6r
@user-hs1zz9no6r 9 ай бұрын
싱가폴 좋은점은 노동시장의 유연성 인것 같아요. 주변에서 금방 짤린 사람도 쉽게 새직장을 찾고 50대 재취업도 잘 되는게 신기했음.
@aussiekoala5960
@aussiekoala5960 9 ай бұрын
호주도 노동 유연성이 좋습니다. 한국은 노조 이상한 언론사땜에 이상하게 노동법을 만들옸죠 우리나라 공영방송 노조들은 부끄러워 해야 되요.
@chaechae7447
@chaechae7447 10 ай бұрын
라운지바 이쁘네..... 이거보고 한국인들도 가겠다
@looklikefoolish
@looklikefoolish 10 ай бұрын
문제는 큰돈은 해외로 보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싱가포르가 세금이 0이여도.
@juzitsu
@juzitsu 10 ай бұрын
진행자분들은 수업듣고 공부하는게 일이잖아요. 이렇게 수많은 분야 전문가들 수업을 강제로 듣고 공부를 계속하다보면.... 몇년후에는 얼마나 더 똑똑해져있을가요? 나중에 온갖분야에 통달해서 완전체가 되어있는거 아냐? 토익처럼 언더스탠딩 정기 시험을 만들어서, 시험점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추적해보면 재미있겠네요
@user-oh7ku8wx7m
@user-oh7ku8wx7m 10 ай бұрын
상속세 구간도 올리고 세율도 낮춰야 한다는것에 동의함. 하지만 현재 징벌 수준의(?!) 상속세를 내야하는 분들의 대부분은 나라 경제 성장기에 세제 혜택을 엄청나게 받으면서 사실상 국가가 밀어준 기업들인데 이들에 대해 어느정도 환원 받을 수 있는 체계 마련은 필요하다고봄.
@spicedberry
@spicedberry 10 ай бұрын
1:33 프로그램 초반에 사회자님이 뭔 숫자인들 중국이 인도보다 적겠나 하셨지만, UN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올해 인도인구가 중국을 추월합니다 현재 두 나라 모두 14억 조금 넘습니다
@user-uq5vx4eq7z
@user-uq5vx4eq7z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상속세를 정리 하지 않으면 부자들의 이민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날수도 있습니다..
@whiteasasa
@whiteasasa 10 ай бұрын
근데 물가가 미친드싱 오른상황이라 진짜 나라도 이민갈듯
@user-ug7tu3sj6u
@user-ug7tu3sj6u 10 ай бұрын
@@whiteasasa 부자가 물가 생각하냐 지금 문제는 부자들이 떠나가는건데
@whiteasasa
@whiteasasa 10 ай бұрын
@@user-ug7tu3sj6u 그말은 아니규요. 물가가 오르면서 부자들이 내는 세금이 올라간다는 의미엿음. 아떤 상속세등 증여든 기준은 30년정도 전인데 물가는 올라서 세금 대상자들이 늘어난다는 의미
@user-cg6mi4gs4g
@user-cg6mi4gs4g 10 ай бұрын
돈많으면 우리나라만큼 살기좋은나라 없다
@user-uq5vx4eq7z
@user-uq5vx4eq7z 10 ай бұрын
@@user-cg6mi4gs4g 돈 가지고 미국 , 호주, 뉴질랜드 , 캐나다 가보세요..ㅎㅎ 미국 LA는 새벽2시에도 짜장면 사먹을수 있는곳 입니다..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10 ай бұрын
싱가폴 부동산은 괜찮으려나
@chickenhead9737
@chickenhead9737 10 ай бұрын
하여간 어딜가나 치나가 문제구만
@sweetzzzz
@sweetzzzz 10 ай бұрын
22:39 두달? 오마이갓! 후진국이네요.
@user-mk6dd1jj1e
@user-mk6dd1jj1e 10 ай бұрын
탈법해외자산유출 순위? 1위,중국(당근) 2위,미국(자본주의의 한계, 빈부격차의 대표적 국가) 3위,한국(미국과 더불어 상위 10%가 국가의 총부(총재산)의 70% 차지함, 대표적 빈부격차국가, 두 국가가 세계공동1위) 그외 러시아,영국 등
@ericyoon6053
@ericyoon6053 10 ай бұрын
지역균형발전 선발 얘기하시는데, 그걸 노리고 성적좋은 곳에서 농촌으로 이사가는 걸 코칭하는 걸 모르시지는 않겠죠? 오죽하면 연고없이 전학오는 중학생은 안 받겠다는 지역도 있어요. 대학 합격하면 바로 이사가버리니깐요. 미국에서 하버드 대학은 대학원을 유지하기 위한 학비 조달로 여기는 것이 현실이고, 실제로 졸업후 취업율로 따지면 다른 대학이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br2541
@br2541 9 ай бұрын
홍콩도 상속세 증여세 없음
@kimc101
@kimc101 10 ай бұрын
말레이지아 1억이면 영주권? 아닙니다.
@user-ks9qo8sg4i
@user-ks9qo8sg4i 8 ай бұрын
싱가폴 공정을 꿈꾸는가 ?
@jasonpark805
@jasonpark805 10 ай бұрын
아시아 관련뉴스를 블룸버그가 아닌 코리아발로 보는 날이 언제 올까요?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2 күн бұрын
개그
@user-sm4or3tt9h
@user-sm4or3tt9h 10 ай бұрын
지역 선발. . . 공과 대학에서 재교육 한답니다. . . 반대로 알고 있어요. .
@user-qb5wt8tg6c
@user-qb5wt8tg6c 10 ай бұрын
어예진 이뿌다 😍
@nor-xj4dq
@nor-xj4dq 21 күн бұрын
호주 좋아요~~날씨 좋고 사람들 은근 순하고 착함 느려서 그렇지...
@bjj2620
@bjj2620 10 ай бұрын
한국의 이민이유가 궁금한데 말않고 넘어가자 하네. 자기검열이 심하네.뭐가 무서운가? 더이상 안보련다!
@nasso6751
@nasso6751 10 ай бұрын
인종차별을 두고. 부모가 부자면 피부로 뽑으면 안됨
@user-bk7dn3pt3w
@user-bk7dn3pt3w 10 ай бұрын
획일적 가치관은 서울대 다양성 가치관은 하버드라고 보면 되겠네요.영양을 골고루 섭취하면 하버드 획일적으로 섭취하면 서울대라고 보면되겠네요.
@yssimon9058
@yssimon9058 20 күн бұрын
한국도 부자들을 괴롭히는거 맞죠 저도 검토중입니다
@TV-ms6qh
@TV-ms6qh 10 ай бұрын
수능시험 폐지하고 한과목만 시험보자.
@hayden_song
@hayden_song 10 ай бұрын
블룸버그 이코니미스트 맹신론자 걸러서 들으셈
@user-en9nm5eg1m
@user-en9nm5eg1m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부자가 외국으로 가는 건 인정. 개인의 자유이니 막을 이유가 없지 싶고 하지만 우리나라에 태어나서 내전이나 약탈이나 외침이나 난동을 겪지 않으며 비교적 안전하게 잘 자랄 수 있었고 사회 시스템 안에서 비교적 질서 있는 공정성을 이용하여 부자가 될 수 있었으며 남은 국민들이 대대로 유지해 온 민족의 공로와 국가적 기획으로 만든 혜택으로 얻을 수 있었던 기회의 순기능도 있었으니... 갈 때 가더라도 이용료 정도는 받아야 하지 않나 합니다. ㅋ
@Jaewon300
@Jaewon300 9 ай бұрын
이용료... 동감합니다
@user-zz5be7dw4o
@user-zz5be7dw4o 10 ай бұрын
중구
@miso-and
@miso-and 10 ай бұрын
아 웃겨 이프로님 볼매 ㅋㅋ
원전대국 프랑스가 원전으로 고민하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3:4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28 М.
라인 사태, 앞으로 이렇게 될 거 같습니다 (법무법인 디엘지 안희철 변호사)
58:0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1 М.
0% Respect Moments 😥
00:27
LE FOOT EN VIDÉO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Зу-зу Күлпәш. Көрінбейтін адам. (4-бөлім)
54:41
How did CatNap end up in Luca cartoon?🙀
00:16
LOL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중국의 40년 호황은 끝났다. Feat WSJ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5:4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25 М.
(1부) 중국 경제가 어려운 건 정말 이 사람 때문이다 (KB증권 박수현 팀장)
43:4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01 М.
소식 vs 단식, 건강에 뭐가 좋을까? (박용우 강북삼성병원 서울건진센터 교수)
1:07:3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21 М.
PF 대출 이제는 정말 터뜨린다? feat. 정부 PF 정상화 대책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40:24
러시아, 위안화 대신 루블화 밀기 시작했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7:4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37 М.
중국 흑연이 뭐길래 미국 정부도 눈치를 보나 (언더스탠딩 백종훈 기자)
20:0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52 М.
0% Respect Moments 😥
00:27
LE FOOT EN VIDÉO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