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용 교수 | K사 임원진의 스톡옵션이 무려 457억 차익을😮 역대급 먹튀 논란이던 우리나라 성과급 보상?! [어쩌다어른D]

  Рет қаралды 24,252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출연 : 신재용 교수
00:00 오프닝
01:10 기업 CEO가 받는 천문학적인 연봉! 자본주의의 상징 미국도 지적 중?
02:17 'CEO-직원 보상 배율'이 뭐길래
02:57 일론 머스크가 스톡옵션을 행사하면 80조 차익?! 미국 개미들의 분노!
04:08 우리나라 K사 스톡옵션 먹튀,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주식 매각은 다르다!
05:09 기업의 기여와 상관없이 가져가는 스톡옵션 혜택..
06:36 ESG(?)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07:06 우리나라는 대기업은 이익 분배를 어떻게 할까?
09:13 운이 작용하여 문제가 되는 성과급 분배
10:21 목표 달성 기반 인센티브의 장∙단점은?
11:27 "고성과 부문의 저성과자 vs 저성과 부문의 고성과자" 성과급 차이 이게 맞을까?
12:47 회사에서 나의 업무능력 필요도와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생각해본다면...
흥미로운 이야기를 한가득 안고 돌아온 어쩌다어른,
난생처음 어른이 된 당신을 위해 배움의 즐거움을 선물합니다!
사피엔스 오리지널 〈어쩌다어른D〉 EP.59
#사피엔스 #어쩌다어른D #신재용교수

Пікірлер: 35
@nabi617
@nabi617 2 жыл бұрын
이건 한국식이 아니고 약탈적 자본주의식이죠. 미국은 더 심각.
@yongs3497
@yongs3497 2 жыл бұрын
미국은 ceo가 돈도 많이 가지고 가지만 노동자 임금도 높은데 대한민국은 ceo만 많이 가지고 가고 노동자는 노예지 뭐 저분 말이 맞어 대기업도 주사업 분야로 가야지 쩌리 부분으로 가면 좆소보다 연봉이 작음 그쵸? 최 회장님
@johnysuh
@johnysuh 2 жыл бұрын
애플이나 그런 화사들은 직원들과 가치를 공유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근데 한국 기업들은 가치 공유 보단 술자리와 정치 가치를 둬서 그런거 아닐까요?
@stony2350
@stony2350 Жыл бұрын
성과급을 많이 받는게 문제가 아니고 상장하자마자 스톡옵션 이행해서 주식회사 설립의 가장 기본적인 존재의의인 주주이익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문제가 되는거죠
@user-bf1us8we2z
@user-bf1us8we2z 2 жыл бұрын
동결과 삭감은 지금도 일어나는데 상승은 거의 없는게 좋소 받아들이면 아마 동결과 삭감만 일어날듯요
@ganekim
@ganekim Жыл бұрын
그런 CEO는 필요없는데.. 사회에 전혀 도움이되지 않는 기업은 없는게 국가발전을 빠르게 하는 성장시키는 것에 도움이됩니다.
@user-rc3kk4ks7l
@user-rc3kk4ks7l 2 жыл бұрын
풍문으로 들었소 ~♪♬
@user-iu9xk9sw7b
@user-iu9xk9sw7b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대로 가면 이젠 직장 옆자리에 앉은 사람과도 정보공유가 원활히 안될 가능성이 커짐.. 우리 회사가 잘되는게 우리 부서에 꼭 좋은게 아니듯 우리 부서가 잘되는게 나한테도 반드시 좋다고는 할수없는 때가 있는데.
@piopiohon7415
@piopiohon7415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잘한 부하직원있으면 그 성과를 빡대가리 부장팀장 승진시키는데 쓰지말고 최소한 같이 승진시키라고..
@econandpower
@econandpower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이 핵심이네. 선택적 공정 ㅌㅋ.. 내가 인터넷에서 공정 상식 외치는 또래들 보면서 느껴지는 왠지모를 역겨움이 여기서 오는거였나.. 결국 연봉 많이 받고 싶은거 뭐라곤 못하지 누구나 가지는 욕망이니까. 솔직하면 되는데 그걸 젊은 세대는 유능하다는 프레임 뒤집어 쓰고 속물처럼 보이긴 싫은거지. 거기서 나오는 위선의 역겨움인건가봐. 연공급 체계에선 고임금 받을 순 없으니까 똥팔육 퐁퐁남 거리면서 깎아내리고 싶은거야. 그 돈 받으면서 일하는건 나름의 이유가 있는데. 친구들 선배들 중에도 보면 정말 뛰어난 사람들 있지. 근데 승진 빨리해서 보상받는 방법도 있잖아. 모든걸 성과급으로 돌려서 보상 받으려는거 내 나이 친구들도 좀 다시 생각했음 좋겠다 현 한국에선 필연적으로 보상체계 유연해지는거 임금 깎고 노동자 탄압하는데 쓰인다 90프로의 사람들은 절대 행복할 수 없을거야 나만 아니면 되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으면
@user-nk5tw1qb9s
@user-nk5tw1qb9s 2 жыл бұрын
나만 아니면 "돼"겠지 수준
@skkes3321
@skkes3321 2 жыл бұрын
그놈 먹튀 돈 다시 환수해라
@user-ow5ne3li5q
@user-ow5ne3li5q 2 жыл бұрын
미생 박과장 생각나네 ㅎㅎ
@BK-pb7bx
@BK-pb7bx 2 жыл бұрын
입으로는 저런 노동제도 성과급제도 억울하다면서 투표는 저런 시스템을 더 심화시키자는 당 뽑았다죠? 니들이 악으로 깡으로 잘 버티세요^^
@user-dm1eu2jr7c
@user-dm1eu2jr7c 2 жыл бұрын
엥? 5년동안 뭘 하고…? 화이트컬러는 그쪽에서 말하는 노동자에 안들어가잖아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жыл бұрын
거대 양당 모두 정치적 본질은 보수입니다(가짜 보수 = 기득권층에 속한 정치인이 기득권층을 위해 정치하는 집단) 민주당은 진보의 탈을 쓴 위선자 집단이고 국힘당은 보수의 탈을 쓴 수구들의 집단이고 두 당이 하등 다를게 없어요. 고로 시민들이 두 당(기득권층) 때문에 양분되어 싸울 일이 전혀 없습니다.
@user-cf9zi2gp2s
@user-cf9zi2gp2s 2 жыл бұрын
@@user-dm1eu2jr7c ㅋㅋㅋ 52시간 어디서 해줬는데요 악으로 깡으로 버티세요 ㅋㅋㅋㅋㅋㅋ
@user-ud1zs6te9e
@user-ud1zs6te9e 2 жыл бұрын
악깡버 해야되는건 5년간 집 안사서 급등한 전월세 감당해야하는 느그 대깨문들이고요ㅋㅋㅋ
@worldking9520
@worldking9520 2 жыл бұрын
@@user-cf9zi2gp2s 시야가 좁고 생각이 짧으면 내가 보고싶은 것만 보고 들을려 합니다 옳고 그럼을 확실히 분별하기 위해서는 양면을 볼줄 알아야죠 정치권이 바라는 게 바로 님처럼 팬덤정치와 한쪽 성향만 가지고 세상 일을 할려고 하는 것 그들에 게 힘을 실어주는 것 그게 정치집단이 바라는 거에요 조금만 더 생각을 깊게 해보세요 내가 보는게 세상에 전부는 아닙니다 당신보다 똑똑하고 지식 많은 사람들도 함부로 세상을 이렇다 저렇다 쉽게 판단짓지 못해요
@user-sm3qi2ex1z
@user-sm3qi2ex1z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남의 나라 이야기 같구먼... 대기업 안다니면 어차피 다 거지새끼 취급당함
@TV-do1ik
@TV-do1ik 2 жыл бұрын
ㅋㅋ그러면서 굥 찍는 MZ. . . MZ은 미친의 준말이냐?
@piopiohon7415
@piopiohon7415 2 жыл бұрын
상한을 정해야 할듯. 일정 그이상받으려면 80프로 정도를 맨 밑 직원들에게 배분해야하던가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 жыл бұрын
난 다르게 생각. 기업이 성과를 얻으면 직원들은 기본임금대비 적당한 성과보상을 해준다면 그 기업은 잘 한거라고 봄. 어짜피 노동수익이라는건 그런거고 테슬라 ceo처럼 스톡옵션은 그 리스크 대비 성과로 볼때 당연한거라고 봄, 머스크가 아니였다면 테슬라가 이정도 성장을 했을지도 알수 없는거고 테슬라가 망했다면 머스크는 전재산을 잃게 되는 상황임. 직원들이야 실업자 되고 새 일자리를 찾아야하는 정도의 리스크지만 그는 인생을 걸었고 테슬라 성공요인에 상당수도 엘론머스크의 리더쉽이였다고 봄.
@user-jq3vw1xi5b
@user-jq3vw1xi5b 2 жыл бұрын
주주라서 배당금으로 받은 부분일텐데.. 자본주의에서 당연한거죠, 받고싶으면 창업하든지 저도 MZ지만 개념 없는 MZ가 너무 많네요 ㅎㅎ
@scotts.2259
@scotts.2259 2 жыл бұрын
근데 어느정도 성과금을 올려주는건 맞다고 생각하는데 윗사람들이 많이 가져가는건 당연한거임. 그정도의 책임이 있기때문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모르나? 밑에사람이 잘못하면 그 팀이나 프로젝트 책임자가 썰리는건데 그때는 나몰라라 하면서 성과급은 더 달라고 하니 쫌 보기 않좋음.
@andendless
@andendless 2 жыл бұрын
직급이 낮은 사람의 잘못이 있다면 리더로써 애초에 그 문제를 제대로 잡지 못한 책임을 지는 게 맞지, '남이 잘못했는데 책임은 다른 이가 진다.' 라는 생각을 한다면 그냥 리더 자격이 없는 겁니다. 이런 경우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 아니라 그냥 일을 못한 거죠. 일원의 특성과 장단점, 능력 등을 파악해 시너지 효과를 내라고 하는 게 리더의 역할입니다. 재수 없으면 모가지 날아갈 수 있다며 단두대식 자리를 일부러 만든 게 아니고요. 리더의 자리는 투자의 개념이 아니니 그 말도 사실 어울리지 않아요. 만약 이런 와중에도 일원의 일탈을 방지할 수 없다면 그건 시스템의 문제를 꼬집고 개선을 요구해야지, 그걸 핑계로 성과급이 업무 강도나 양에 비해 많이 가져가는 걸 당연시 여기는 게 과연 공정이라 말할 수 있을까요?
@yusikkim6642
@yusikkim6642 2 жыл бұрын
회계학이 머를 안다고....아니다 회계학이니깐 저런소리를한다... 그게 무슨 학문 이라고
@Lee-gg4nl
@Lee-gg4nl 2 жыл бұрын
임원들은 단기간에 고액 보수 받고 직원들을 쥐어짠다. 하지만 노조는 절대악이라서 가입하면 안되는거다.
@andendless
@andendless 2 жыл бұрын
노조가 절대악이라니? ㅋㅋㅋ 살다살다 별 쓰레기 같은 글을 다 보네. 노동조합의 역할은 모른다 치고 노동법은 제대로 알고나 있는지 의심스럽다. 자기 권리 스스로 챙기지 못한다면 그거야 말로 노동자가 아닌 노예 아닌가? 그러니 노조를 손가락질 하며 절대악이라는 밑도 끝도 없는 주장을 하는 거겠지.
@gone2island819
@gone2island819 2 жыл бұрын
중노동 하면 훨 많은 돈 버는 데요. 일당 30만 이상도 가능한디요. 자본주의에서 뭘 그리 박탈감을 느끼는지. 지금 중년들은 놀면서 돈 번 것도 아니고 MZ는 그걸 불공평이라 하는 수준은 아니기를. 좋잖아요, 썩렬리를 뽑은 나라인데 뭐 그 정도 불공평은 불공평이 아니죠. 이제 최저 시급도 없어질 건데 뭐. ㅎㅎㅎ 얼마나 행복한 나라야.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жыл бұрын
이쯤되면 자발적 노예수준이라고 밖에..... 슬프다 대한민국 중산이하 서민들 사고가 노예의식으로 물들어서 희망이 없다.
@worldking9520
@worldking9520 2 жыл бұрын
이러니 정치병자들이 욕을 먹지 저기요? 세상일이라는 게 손바닥 뒤집듯 할 수 있는게 아닙니디 뭐 하나만 존재 할 수도 없을뿐 더러 분명히 견제와 정적 반대의 대상은 무조건 있어요 그래야 한쪽이 독주하는 걸 막을 수 있죠 세상 사람들이 하나같이 다 님 같았음 이 나라는 진작에 쳐 망했을 겁니다 그리고 공정과 정의 평등을 내새운 당신들 5년동안 국가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보세요 온갖 가짜뉴스에 공중파 까지 니들 유리한 대로 언론 내보내 줬는데 집권 5년만에 정권과 지선에서 까지 발린 거면 니들이 잘못한 게 맞아요 국민들이 호구인줄 압니까? 법치국가에서 법도 안 지키고 사는 누구 뽑아준 당신들 보다 낫습니다
@user-ro8ir6zm8x
@user-ro8ir6zm8x Жыл бұрын
중노동은 뭐 쉬운줄아나 90프로는 나가리다
Joven bailarín noquea a ladrón de un golpe #nmas #shorts
00:17
Did you find it?! 🤔✨✍️ #funnyart
00:11
Artistomg
Рет қаралды 124 МЛН
최진기의 '역사를 바꾼 전쟁사 2 : 몽고세계정복기' (2012)
26:18
[법륜스님의 부처님이야기] 55화.  모든 사람은 평등합니다
24:22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
Рет қаралды 97 М.
[주식] 드디어 배운 '재무제표' 읽는법(홍진경,슈카) [공부왕찐천재]
18:08
공부왕찐천재 홍진경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Joven bailarín noquea a ladrón de un golpe #nmas #shorts
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