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을 키워주는 부모님의 '이 말'ㅣ남이준 대표 (1부)

  Рет қаралды 67,832

조작가의 스몰빅클래스

조작가의 스몰빅클래스

Күн бұрын

회복탄력성이 좋은 아이들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솔루션을 남이준 대표님께 들어봅니다!
영어로 건설하는 랜드마크 세계여행🛫
[지원쌤의 English 세계톡마블] 만나러가기👉smallbigclass.com/BbjuKV
[📝 질문 리스트]
00:00 하이라이트
00:41 남이준 대표님 자기소개
01:12 가장 많이 들어본 고민 및 질문?
02:38 앞으로 아이들에게 필요한 역량 및 지표는?
04:07 아이 역량 기르기 위한 부모님의 역할?
05:42 물리 교사를 그만두고, 교육 사업을 시작한 계기?
07:19 부모님들의 걱정은 없었나요?
10:10 그 학생들이 지금은 어떻게 살고 있나요?
12:19 과학, 공학의 교육적 경험이 필수라고 생각하는지?
14:43 여러 가지 역량들이 학교의 성적과도 비례하나요?
[조작가의 스몰빅클래스]
성적이 좋은 아이도 '이 경험'이 없다면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
내일을 위한 작지만 큰 걸음, 스몰빅클래스
#스몰빅클래스 #남이준 #회복탄력성 #퓨너스
#초등공부 #초등필수 #공부습관 #초등공부습관
#초등맘 #어휘력 #문해력 #초등문해력 #본질육아 #초등입학 #예비초등
#엄빠표학습 #학부모공개수업 #학부모상담 #부모학교
#과학 #공학 #실패경험 #인공지능 #세계대회 #성취감 #자신감 #자존감
✏ 스몰빅클래스 공식 홈페이지👉bit.ly/3fItxzl
✏ 조작가 인스타그램👉 / insight_cho
✏ 문의메일👉smallbigclass@smallbigclass.com

Пікірлер: 99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회복탄력성이 좋은 아이들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솔루션을 남이준 대표님께 들어봅니다! [📝 질문 리스트] 00:00 하이라이트 00:41 남이준 대표님 자기소개 01:12 가장 많이 들어본 고민 및 질문? 02:38 앞으로 아이들에게 필요한 역량 및 지표는? 04:07 아이 역량 기르기 위한 부모님의 역할? 05:42 물리 교사를 그만두고, 교육 사업을 시작한 계기? 07:19 부모님들의 걱정은 없었나요? 10:10 그 학생들이 지금은 어떻게 살고 있나요? 12:19 과학, 공학의 교육적 경험이 필수라고 생각하는지? 14:43 여러 가지 역량들이 학교의 성적과도 비례하나요?
@user-cw4yv2xh7e
@user-cw4yv2xh7e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에 크게 비행을 하거나 학교생활을 엉망으로 한건 아니지만 성실함이 꾸준하지 못해 성적에 기복이 있었어요. 전교 1등도 했다가 반에서 10등안에도 못들었다가. 이런데에는 또다른 이유가 하나더 있었는데 좋아하는 과목만 더 열심히 하고 싫어하는 과목은 어느땐 쳐다보지도 않고... 성인이 되어 돌이켜보니 이런게 다 성실함의 부족이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문제는 이런 습관이 몸에 베어 성인이 되서도 한번씩 나타나요. 직장생활도 기복이 있는 거죠. 대학원 다닐떄도 그렇구요. 결국 프로페셔널한 진로를 찾지 못했어요. 어쩌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게 성실한거에요. 즉흥적인거 반짝 몰입하는거 아무다 다 하죠. 그렇게 잠깐 반짝 몰리하고 하면 다 하는데 안한다고 생각하기도 하죠. 그런데 무엇인가를 꾸준히 기복없이 하려고 하면 보통일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되요. 전 성실한 학생들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학생으로서 학교다닐때 비가오나 눈이오나 학생으로써 학업을 성실히 꾸준히 하면 성인이 되어 뭐라도 해낼 수 있는 힘이 생긴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학창시절을 그렇게 투자해보면 성인이 되어 진로찾을때도 밑거름이 되요. 난 어디까지 할 수 있는 사람인지 알 수도 있고... 또 성실하게 하면 어떤 과정으로 성장하는지 경험으로 알았기 때문에 자기만의 도구가 내재되어 언제든지 또 꺼낼 쓸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전 지금 늦은 나이에 성실함을 장착하려고 매일 노력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조금씩 자신감과 실력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학생 여러분 초중고에서 배우는 것들 사회에 나오면 어느하나 쓸모없는거 없습니다. 학습내용은 기본 상식이 되고 학습 태도는 내가 성인이 되어 꿈을 이루는 나만의 도구가 되요. 학교에서의 배움을 이런저런 이유를 만들어 게을리하지 말고 그냥 하세요. 어차피 학생이라 하루중 대부분 학교에서 지내는 만큼 그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학생은 공부가 업이다 생각하구요. 성적보다는 학창시절 나의 기본기를 만들고 성장을 만든다는 생각으로요. 학교에서 성실하게 꾸준히 자기일을 하는 학생들 칭찬합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 인사이트입니다. 성실한것 정말 중요합니다. 시간이 충분하지 못해 충분히 의견을 피력하지 못했는데. 제 생각에는 성실함이 필요없다.. 이게 아니고 성실함은 기본이고 그것만으로 충분했던 시대가 지나 이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도 정말 중요하다.. 이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또한 놀랍게도 시대가 발달할 수록 신뢰를 얻고 유지하는 역량이 정말 중요하답니다. ㅎㅎ 제가 전달을 충분히 못한것 같아 죄송하네요
@user-cw4yv2xh7e
@user-cw4yv2xh7e Жыл бұрын
@@yijunnam5636 오~~ 아닙니다. 혹시 청소년들이 성실을 가볍게 여길까봐 저의 청소년기를 생각하며 적어보았습니다^^ 선생님의 말씀은 새시대에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silver6268
@silver6268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성찰력 대단하십니다~ 중학생 아들 키우며 경험하고 느끼고 실패하고 또 도전하고 이런경험 할 수 있게 해주고 싶었어요~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지역적 시스템이 많이 부족하다는걸 느끼고 나 혼자 할 수 있는 건 한계가 있었어요~중학생 아들 이런저런 경험해주고 싶어 정보도 찾고 강의도 듣지만 현실에선 너무 부족하고 없다시피 합니다~특히 중고등학생은 더 없어요~ㅋ생활속에서 할 수 있는것도 한계가 있더라구요~ 결국 저도 결론 내린건 님과 같은 결론이에요~ 공부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현실속에서 그럼 공부에서 답을찾자!!여기서 느끼고 성공하고 실패해보면 되지~현실과 타협했어요~ 그리고 곧 고등입학을 앞두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열심히 공부하는 아들을 보며 대단하다고 느끼고(저는 못할일이라서요!!ㅋㅋ)그런 모습을 보며 좋은대학 못가도 커서 뭐라도 할 수 있는 놈이 되겠구나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그래도 남이준 대표님 말씀 공감가고 좋은말씀 많이 있네요~^^
@seungheelee3454
@seungheelee3454 Жыл бұрын
성실함이 1순위인데 요즘은 이것이 후순위인 듯한 뉘앙스로 얘기하는 것 같아 부모, 애들이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예전 산업화 시대에는 성실하면 되었지만 요즘 시대에는 창의력이 더 중요하다. 근데 실상은 창의력은 성실함이 바탕이 되어야 나와요. 댓글에 감사히 부연설명 추가해주셨지만 이제 성실함 + 알파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근데 그 알파가 성실함을 대체할 순 없어요. 성실함 없이는 쉽게 무너지는 모래성이에요
@ilikebeatles3136
@ilikebeatles3136 Жыл бұрын
여긴 일본입니다 일본엔 고등때 입시를 하는데 입시 조건이 출석일자가 꼭 적혀있어요 그리고 삼년내내 부카츠를 열심히 완수 했는지 봅니다 우리아들은 농구부였어요 일주일 5일 연습과 경기로 여름방학때 도대회때 은퇴를 하고 지금은 고등학교 목표로 공부하고 있어요 자기가 선택한 농구명문고에 가고 싶어해서 나름 열심히 중인데 아이의 그 과정을 지켜본 결과 우리아이의 미래에 대한 걱정보다는 믿음과 확신이 생겼어요 중학교 생활은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경험을 우리아들은 했으니까 참 만족스러워요
@MarcoJJAng0
@MarcoJJAng0 Жыл бұрын
성적이 좋으면 사회적응력이 높은것이고, 뚜렷한 주관과 신념으로 몰입하는 아이는 그 분야에 성공확률이 높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메모할 내용이 많은 오늘의 영상이었죠! 다음 남이준 대표님 2부도 알찬 내용이 가득 담겨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
@user-zd5tj9so7x
@user-zd5tj9so7x Жыл бұрын
회복 탄력성이 곧 스몰빅 경험의 반복에서 이루어지겠네요.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늘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스몰빅 경험을 반복으로 회복탄력성이 길러진다' 핵심을 잘 짚어주셨습니다. 앞으로도 인사이트 있는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네 스몰빅 경험중에 부모님의 지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user-ww2ks2ui8j
@user-ww2ks2ui8j Жыл бұрын
고등학생 때 꾸준히 쌓아온 일지를 대학고 면접때 포트폴리오로 보여준다는 발상이 너무 좋네요. 꾸준함을 증명할 수 있게 준비해준 방법이 돋보입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 그래서 제가 지도한 아이들이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기록하고 기록을 토대로 고민하고 성장하는 방법이 정말 좋은데요.. ㅎㅎ
@urin5170
@urin5170 Жыл бұрын
조금 해이해질만하면 작은 성공경험과 무한 응원의 중요성을 상기시켜주시는 스몰빅 감사합니다. 요즘 꾸준히 영상 올려주셔서 육퇴 후가 든든해요^^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자녀 분께 무한 응원의 중요성을 느끼시는 만큼 저희 스몰빅클래스도 uri N님께 무한 응원을 드리겠습니다! 다음 2부도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sungnin_Lee
@sungnin_Lee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진분이네요 하고싶은걸 하라고 말한대로 본인도 본보기가 되기위해 새로운 길을 시작하셨다니 대단하세요
@ey03choi68
@ey03choi68 Жыл бұрын
동산고 졸업생인데 여기서 뵈어서 깜짝 놀랐어요ㅋㅋ특유의 역삼각형 얼굴형때문에 게보린선생님이라고 불렀었는데ㅋㅋ과학발명반 기억나요ㅎㅎ그 당시에도 열정이 넘치셨는데 넓은세상으로 나가셨었네요. 건강하세요 선생님^^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자 분께서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앗 게보린 선생님..! ㅠㅠ 정말 친근하고 재미난 별명이었네요 :) 조금 더 넓은 세상에서 선한 영향력 펼치고 계시는 남이준 대표님과 이렇게 지나치지 않고 좋은 댓글 남겨주신 ey03 choi님 저희가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반가워요!! 그리고 과거는 덮는 걸로~~ ㅎㅎ
@user-rw4yn8bv7r
@user-rw4yn8bv7r Жыл бұрын
게.. 게보린.. 역시 학생들의 센스란^^;;
@rang2e
@rang2e Жыл бұрын
선댓글 후시청!! 오늘도 좋은 말씀 기대해봅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dreammanse
@dreammanse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이시네요. 엄마는 설계자 역할만 하면 된다는게 엄마들이 생각인데 함께 소통하고 눈높이를 같이 해야된다는 이야기 공감합니다.
@user-ij5on9ew6m
@user-ij5on9ew6m Жыл бұрын
너무나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hhhheung
@uhhhheung Жыл бұрын
말씀에 진실함이 느껴져요~~♡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진심 100% 입니다 ㅎㅎ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맞습니다! 정말 진심 순도 100% 담아 답변해주시더라고요! 2부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Singsong12345
@Singsong12345 Жыл бұрын
2부 너무 기대됩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부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아이와 부모님께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user-ju9st7is1b
@user-ju9st7is1b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아요^^ 2부도 기대됩니다.감사합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한 사람의 의견으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부도 알찬 내용 가득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raindropflower5523
@raindropflower5523 Жыл бұрын
한 마디도 놓치고 싶지 않은 주옥같은 말씀이세요! 육아에 잘 녹여내어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부족한 주장인데 공감해주셔서 저도 저를 돌아보게 되네요^^
@user-hk7ss6hs5j
@user-hk7ss6hs5j Жыл бұрын
회복탄력성 저도 필요한 것 같아요! 좋은 말씀 감사해요!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2부도 기대해주세요 :)
@reader_twoin
@reader_twoin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것을 빨리 캐치하고 싶네요☺️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네 아이가 좋아하는 걸 캐치하시려면 부모의 욕심을 잘 구별해야 하는데 그게 제일로 어렵죠 ㅎㅎㅎㅎ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yishinhwa
@yishinhwa Жыл бұрын
교육 신념이 탁월하십니다! 스몰빅 덕분에 고급 강의를 쉽게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부족한 경험을 토대로 견해를 피력했을 뿐입니다. 참고하셔서 더 좋은 방법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user-sk3yg7gx5z
@user-sk3yg7gx5z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더 좋은경험 시켜주고싶네요ㅎㅎ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그런 마음을 계속 가져가시는게 중요하죠~~ ㅎㅎ
@user-pt9we9pk8i
@user-pt9we9pk8i Жыл бұрын
교육철학이 뚜렷하신거 같고 뭔가 조작가님과 생각이 통하시는 분인듯요. 아이가 몰입하며 즐기는 동아리 활동이 좋은 역량 쌓는데 도움 많이 되는건 진짜 맞는거 같아요!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맞습니다! 대표님의 확고한 교육 철학에서 저희 스몰빅클래스도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던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인터뷰하면서 저와 생각이 정말 많이 비슷하시구나.. 생각했습니다. 아이들의 교육에는 정도가 있다기 보다는 여러 사람의 생각, 고민, 경험을 토대로 아이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가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user-pv2be7bi2y
@user-pv2be7bi2y Жыл бұрын
제가생각하고 고민했던 것에 대해 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민에 도움이 되셨다니 정말 기쁩니다. 2부에 더욱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함께 고민하면서 아이에게 맞는 솔루션을 찾아가면 좋겠습니다. ㅎㅎ
@user-mw2kl1ju4c
@user-mw2kl1ju4c Жыл бұрын
오늘 방송 잘 들었습니다. 아이가 만든것에 대한 사진은 그때 그때 찍어 두는데 포토폴리오로 정리를 해놔야겠네요. 부모님의 믿음과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네 ㅎㅎ 부모님이 해줄 수 있는 것을 찾아 해주는 것이 중요하죠^^
@hyooll3372
@hyooll3372 Жыл бұрын
저도 저희 아이를 믿어주고 지지해주는 부모가 되고 싶고, 저희 아이가 저를 그렇게 생각하면 좋겠어요.. 더 노력해야겠습니다ㅜㅜ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꾸준한 신뢰를 보여주시면 분명 아이도 부모님의 마음을 알게 되는 날이 올 것이에요! 부모님들 진심으로 존경하고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부모를 제일 잘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 같아요.. 표현을 안해서 그렇지 분명히 이해하고 있을 겁니다. 나중에 크니까... '우리 엄마 아빠가 그런대로 괜찮은 사람이었다' 고 하더라구요 ㅎㅎㅎㅎㅎㅎ
@user-kx8ez1vd9r
@user-kx8ez1vd9r Жыл бұрын
스몰빅클래스 덕분에 양질의 부모교육을 받아요~^^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채널이 부모·자녀 교육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jd4yv8ks8s
@user-jd4yv8ks8s Жыл бұрын
성실함이 인생에 가장 중요한 성공요소입니다. 순간의 기지는 성실한 지식 습득 및 성찰에서 나오는거죠. 공교육비판만 있고 대안이 부족한게 아쉽네요.
@clairekim5534
@clairekim5534 Жыл бұрын
부모의 지지는 아이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것임을 알고 있지만 부모에게도 쉽지만은 않고 가끔 이런 지지가 과연 옳은 것인가를 고민하게 될 때도 있습니다. 디냅과정을 통해 조금씩 불투명한 부분들을 서서히 걷어내고 있지만 더 노력해야하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저도 아이를 믿고 지지하는 것이 많은 노력과 에너지, 결심과 실천, 시행착오가 필요한 일이랍니다. ㅎㅎㅎㅎ 계속 노력하고 있는것과 그 방향이 맞다는 생각이 중요한것 같아요
@user-tz6io6fq6p
@user-tz6io6fq6p Жыл бұрын
앗 아이와 퓨너스 제품으로 열심히 잘놀았는데 반갑네요^^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반갑습니다!!!!
@user-pk5of9bw7u
@user-pk5of9bw7u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퓨너스 대표님 저의 생각과 너무 일치해서 고개를 끄덕 거리며 보았습니다. 저희 아이 로봇대회에서 예선통과하고 본선 힘차게 나가려고 하고있습니다. 대회를 처음 경험해보았는데 기존의 타 대회나 시험에비해 자유로운 아이들주도적인 분위기가 아주 인상깊었습니다. 2부도 경청해서 보겠습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네 FIRST LEGO League 정말 멋진 프로그램이죠 ㅎㅎ 더 많은 아이들이 경험하기를 바랍니다~~
@sarahseonyeongyu9966
@sarahseonyeongyu9966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하고 도움 되는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bomnalkim3976
@bomnalkim3976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shineonmina
@shineonmina Жыл бұрын
좋은 평가 기준이 없다는 말에 완전 공감해서 끝까지 봅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사회가 조금씩 발전하고 있으니 점점 좋아질거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승진을 위한 평가기준에 주변의 평판이 들어가는 곳도 늘어난다고 하네요..이런 방법도 좋은 것 같습니다
@shineonmina
@shineonmina Жыл бұрын
@@yijunnam5636 맞아요 올해 저도 직장 동료가 이직하려는데 cj 계열사에서 전 직장 동료와 팀장의 평가가 필요하다며 잘부탁한다고 기프티콘을 보냈더라고요 ^^;; 면접자가 선정한 2명과 면접관이 유선 면담 형식이었는데 전 아쉬웠어요 ㅠ 약점이나 단점은 차마 얘기 못하겠더라고요... 부디 아이들이 크는 세상은 정말 합리적이고 효용성이 있는 제도들이 받쳐주길 기대합니다^^
@user-yk9bn4dz3j
@user-yk9bn4dz3j Жыл бұрын
5살때부터 8년간 레고센타를 보낸 엄마입니다. 지금도 하고 있구요. 레고의 장점은 고학년부터 팀 프로젝트 기반이기에 협업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사고력등이 좋아집니다. 항상 주변 엄마들에게 강추하는데 영수 학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엄마들이 많아 아쉬울 뿐입니다. 저희 아이도 팀 프로젝트 하면서 포트폴리오 작성하는데 특목고 입시에 사용된다고 하더라구요. 대회 참가하면 많이 성장하는 아이를 직접 봐 왔어요. 대회 준비하는 기간 그리고 참가해서 느끼는 점은 부모가 말로 설명하는 거와 다른 차원이더라구요.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는 도시 열섬현상, 빛공해, 우주 쓰레기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주제로 레고로 모형을 제작해 해결하는 것이였어요. 주변의 문제들은 고민하게 되고 자료조사를 하고 해결 방법을 찾고 또 하다보면 난관에 봉착하게 되고... 그 모든 과정이 참 좋아요^^ 레고 너무 좋아요!!!
@Kim-pj9ln
@Kim-pj9ln Жыл бұрын
저는 부모님과 달리 도전적이고 대범하고 실험적인 성향이 강한데 부모님이 보수적이고 현실주의적이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판 싸울까요?
@Dreamer-rv2jb
@Dreamer-rv2jb Жыл бұрын
빨리 독립하시는 게 제일 좋고요. 아니면 해외로 최대한 빨리 나가시는 것도 한 방법이고요. 싸우는 것보다는 진중하고 어른스러운 모습으로 대응하는 게 더 효과적이고요. 뭐라고 하시든 조용히 하고 싶은 걸 부업처럼 조금씩 해보는 것도 방법일 수 있어요. 일단 대응을 짜려면 자기 스타일을 스스로 연구해야 해요. 여리고 창의적이고 섬세한 스타일의 분들은 부모님이랑 싸우다 영혼이 다치면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요. Motivation도 잃어버리고 무기력해질 수 있어요. 완전 꺽이면서 포기해버리는 거죠. 그런데 애초에 좀 마이웨아 스타일에 데미지 잘 안 입는다는 생각이 들면 좀 충돌이 생겨도 잘 견디니까 부딪혀봐도 되겠죠. 자기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전략을 짜는 게 중요해요. 그런데 그게 사람마다 완전 다르니까 자기 자신을 연구해야 해요.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을 설득하는 일이 쉽지는 않죠. 마찬가지로 자녀를 설득하는 일도 쉽지 않구요.. 하지만 인생의 결과에 대해 책임 질 때 부모님의 몫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오롯이 나의 선택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는 사람마다 다르고 시간이 지나봐야 아는 것도 있어서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소통의 방식도 매우 중요하구요.
@user-xi3hs4et1v
@user-xi3hs4et1v Жыл бұрын
7세 부모입니다. 시간과 전문지식에는 한계가 있는데.. 도슨트와 함께 보내는 1시간, 엄마와 함께 보내는 1시간 무엇이 더 나은선택일지 여전히 의문은 남네요. 아이 나이가 높아질수록 더더욱.. 아이의 흡수능력은 스폰지와 같고 엄마는 전문가가 아니니
@pioneer7277
@pioneer7277 Жыл бұрын
도슨트를 엄마도 같이 따라다니면 되던데요 . 애들이랑 엄마랑 같이 ..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지식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겠다는 목표는 도슨트로 부터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 호기심, 호감, 긍정적 에너지는 부모님이 함께 좋아해주시는 것이 정말 중요한것 같습니다. 어떤 것에 더 가중치를 두고 선택하시느냐는 부모님의 몫이구요.. 둘을 한번에 하기는 어렵지만 한번씩 번갈아 하는 것은 어떨까요?
@user-od7uv7tw2q
@user-od7uv7tw2q Жыл бұрын
도슨트와 함께 보낸 후...아이는 아이의 입장에서 듣고 보고, 부모는 어른의 눈높이에서 보고 들으며 그런 내 아이도 보게 되더라고요. 내 아이가 잘 들을 때는 좋지만 개구쟁이 행동을 하면 못마땅해지기도 하면서요. 그리고 돌아오는 길 그 본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게 되고 그 다음에는 그 아이의 흥미를 좀더 고려해 선택하게 되어서 경험의 크기를 키워 나갈 수 있었어요.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user-od7uv7tw2q 좋은 방법입니다!!
@todanalee
@todanalee Жыл бұрын
아이를 믿어주고 싶은데.... 습관적으로 거짓말을하는 만 4세 둘째 딸 아이의 말을 벌써부터 믿을수가 없네요....어찌해야할지 모르겠어요 ..그 나이에 하는 거짓말이 얼마나 심하겠냐...할수도 있겠지만항상 정직하게 말하는 만 7살 언니와는 다르게 사소한것들을 다른사람들에게 없는것도 있는것처럼, 안 한것도 한 것처럼, 먹은것도 안먹은것처럼...조작가님, 아이의 거짓말 특집 한번 다뤄주시겠어요??
@user-ni2lo8nu2r
@user-ni2lo8nu2r Жыл бұрын
그 나이에 애들은 현실과 상상 세계를 구분하는 기로에 서 있습니다. 거짓말을 혼내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경우 더 거짓말이 심해져요. 대화를 많이 나누고 공감해 주시는 노력을 더더더 많이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너무 엄격하게 훈육하시면 거짓말이 더 심해져요. 같이 놀아주는 시간을 늘려야 할 것 같네요. 연령 공부를 좀 하시면 좋겠습니다. 기준이 언니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아이는 유일한 존재이고 개인의 발달속도 성격은 다 달라요. 부모만이 아이를 잘 이해할 수 있어요. ~~
@choice7524
@choice7524 Жыл бұрын
아이가ㅜ관심을 갖기 위해서 그런게 아닐까요?
@QueeNYHJ
@QueeNYHJ Жыл бұрын
거짓말 하는 아이들이 부모님한테 솔직히 말하면 혼이 나니까 무서워서 그런 경우가 있더라고요. 아직 4살이면 윗 댓 같이 상상이랑 현실 정확하게 구별을 못하는 경우도 있고요. 아이들 거짓말 관련 된 건 잘 찾아보시면 육아서적이나 오은영쌤 채널 등에서 많이 다루고 있더라고요.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아이의 행동은 타고난 기질, 후천적 경험, 가정의 분위기, 관계 등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너무나도 많은 것 같아요.. 차분히 오래 자세히 관찰해서 문제의 원인을 찾아가시는 것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아이를 사랑하는 태도가 아이의 행동의 결과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운명적 관계때문이라는 사실을 전달해주시는 것이 중요한것 같아요. 거짓말을 해도 사랑하는 것은 변함없으실테니까요.. 다만 속상하고 걱정되고.. 하시는 거지.. 그런 사실을 아이에게 전달을 하시는 과정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todanalee
@todanalee Жыл бұрын
따뜻하고 정성스런 대댓글들 감사합니다! 육아는 너무 어렵지만 열심히 더 공부해볼께요!
@EIEI_061
@EIEI_061 Жыл бұрын
맨~~~ 날 공교육 비판만 하니 이젠 솔직히.... 아.... 걸러 듣자.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네 ㅎㅎ 걸러 들으셔야죠~~ 공교육을 비판한다면 공교육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반증이죠. 그리고 아이의 성장만 집중해서 고민해 보는 관점에서는 공교육도 큰 교육의 범주의 하나일 뿐입니다. 부모님의 역할도 중요하고요. 교육이 지식을 전달하는 것 100%가 아니라면 마인드도, 태도도, 세상을 보는 방법도,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요령도, 말하는 법, 생각하는 법 이런모든 것들을 어떻게 길러 주느냐의 문제에서 제가 가지고 있는 편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거라고 이해하시면 될것 같아요. 아.. 저사람은 저런 생각을 하고 저런 주장을 하는구나.. 참고하자.. 이렇게 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IEI_061
@EIEI_061 Жыл бұрын
@@yijunnam5636 좋은 말씀이네요. 뭐든 장단이 있기 마련인데 한국의 공교육을 비난만 하니 그럼 뭐 어쩌라고~ 싶었어요. 대안 없는 비판에 질렸고 결국 또 부모 하기 나름이고 진정으로 공교육을 걱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클릭수 유도하기 위함은 아닌가 싶고. 초등 교과서 보면 너무 훌륭해서 입이 떡 벌어지고 학교와 교사 모두 다양한 시도를 꾀하려고 분투하는 모습에 애쓰는구나 싶을 때 많습니다. 너무 치우친 비판만 난무하는 게 아닌가 씁쓸합니다. 뭐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고 비판 의도는 없었는데 글이 퉁명하게 짧았나 봅니다.
@yijunnam5636
@yijunnam5636 Жыл бұрын
@@EIEI_061 그럼요!! 학교가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는지 정말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저의 이야기는 부모님들과 자녀의 관점에서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사춘기 아이들에게 부모님이 절대 해서는 안되는 말  | 이임숙 소장 1부
19:54
더 늦기전에 이렇게 말하는 가족과 멀어지세요.
14:36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539 М.
아이의 세계를 넓히는 '과정'의 말 | 김종원 작가 | 가족 부모 말
19:45
하우투 : 하루를 우리에게 투자한다면
Рет қаралды 958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