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Can Quantum Computer calculate the future? | determinism, Freewill, Roger Penrose, Dev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105,580

위니버스

위니버스

Күн бұрын

Is our future decided? With the development of quantum computers, many sci-fi movies such as Devs are dealing with determinism and free will. In this video, we will talk about whether it is scientifically possible to use quantum computers to recreate the past and predict the future. I will also summarize the terms of quantum mechanics that are somewhat unfamiliar to us, such as Copenhagen interpretation, De broglie Bohm, Many Worlds interpretation (Everett interpretation), Schrodinger's cat, Laplace's demon, and measurement paradox. Let's also talk about Orch OR, the theory of consciousness that Roger Penrose, who won the 2020 Nobel Prize in Physics, thinks.
#Determinism #Freewill #QuantumComputer #Devs #Weniverse
---
00:00 Quantum Computer and Determinism
00:40 Laplace's Demon
1:37 Principle of Quantum Computer - Superposition, Qubit
2:48 The Problem of Determinism - Interpretations of Quantum Dynamics, Problems of Consciousness
3:07 measurement paradox, Dirac bracket
5:13 Problem of Consciousness
5:36 Perspective - Materialism
5:44 Perspective - Two-way Theory
5:57 Perspective - Roger Penrose (ORCH OR)
6:45 Experiment on Free will
7:08 A device from Exhalation
---
Weniverse Original Soundtrack
/ quantum-supremacy
---
Reference
Penrose's ORCH OR
www.sciencedirect.com/science...
Counterpart on the ORCH OR
www.researchgate.net/publicat...
Penrose photography - Cirone-Musi
---
Weniverse
Understanding We & Universe
© 2020 Weniverse. All Rights Reserved

Пікірлер: 135
@Cloid03
@Cloid03 3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이 더 유명해졌으면 좋겠어요 저만 보기 넘 아까워요!!ㅜㅜㅜ
@SrJkim
@SrJkim Жыл бұрын
당신의 정체가 궁금해집니다… 훌륭한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앞으로 자주 영상 올려주세요. 🙏🏻👍🏻✨🤍
@jasonkim1642
@jasonkim1642 3 жыл бұрын
학교 교육자료로도 너무 좋을것 같아요! 잘 만든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앞으로도 홧팅!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Maerung2
@Maerung2 3 жыл бұрын
분명 떡상할 채널인듯 근래 한국 유튭 시장에서 찾기 힘든 보석을 하나 발견한 느낌! 응원합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응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springsprout406
@springsprout406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보겠습니다
@user-kl7zq2lo3f
@user-kl7zq2lo3f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에서 보긴 아까운 컨텐츠네요 정말 잘봤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jayjo7624
@jayjo7624 3 жыл бұрын
영상도 대단하지만 설명 퀄리티가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초전도체에 관해서도 다뤄주세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소재 리스트 추가하겠습니다👍
@LEEYOLee
@LEEYOLee 3 жыл бұрын
이런 귀한 영상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조금 어려운 주제였지만 워낙 퀄리티가 좋아서 이해가 수월했어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드려요 :)
@user-dz9te4hh3l
@user-dz9te4hh3l 2 жыл бұрын
7
@run_jadu
@run_jadu 2 жыл бұрын
퀄리티가 좋고 이해가 쉽게 되네요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드려요 :)
@user-nw9su2hr2s
@user-nw9su2hr2s 3 жыл бұрын
오늘 알았는데 영상 다 봤습니다. 금방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으실 것 같네요 ㅋㅋㅋ 100만 갑시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다 보시다니...알고리즘의 선택도 좋지만 유찬님의 선택이 참 감사합니다 ;)
@kakhi0513
@kakhi0513 2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이거 봤는데 저번에 상대성이론도 이분 거 봤었네요 이런 추세면 곧 접점이 많아질 거 같네요ㅋㅋㅋㅋ
@LKLAAADPLIOI
@LKLAAADPLIOI 3 жыл бұрын
버튼을 지금 누를까말까 하는게 뇌파로 잡혀서 누르기 1초전에 잡히는 것일 수도 있어요
@arate0896
@arate0896 3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어렵지만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계시다니 힘이 나네요. 다음 영상도 열심히 준비해보겠습니다!
@lifecode8823
@lifecode8823 2 жыл бұрын
정말 진흙 속에 보석 같은 채널입니다.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가 강의하고 있는 대학원 단톡방에도 공유하겠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kmujn
@Ikmujn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자료를 직접 제작하신건지 아카이브에서 빌려온 것인지.. 이런 동영상을 개인이 제작할 수 있는 그런 어플리케이션이 있나요? 영상 제작 소프트웨어도 대단한 것 같습니다. 인문학적 통찰, 기술의 정확한 전달... ebs 방송사에서 방영해도 될 정도로 고품질입니다. 세상에 능력자가 많다는 걸 다시 꺠닫네요. 잘봤습니다.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일부는 소스를 가져오지만 대부분 직접 제작하고 있습니다 :) 칭찬에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영상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jw9gh9ww1l
@user-jw9gh9ww1l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양자 컴퓨터는 제가 대학교 다닐 때도 나왔던 얘긴데 실제로 어디까지 실현 가능한지 새삼 궁금해 지네요. ㅎ
@momomusique2102
@momomusique2102 2 жыл бұрын
선댓글 남기고 후 감상 합니당 >_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kd7bc4qs6h
@user-kd7bc4qs6h 3 жыл бұрын
하..... 정말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이걸 다 이해하지 못하는 제 스스로에게 분노합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보셨다면 그것도 괜찮지 않을까요 :)
@user13708
@user13708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이 너무 재미있는 이유는 자유의지 같은 철학과 연결된다는 점인거 같아요 다 계산할 수 있으면 미래 예측 가능한거 아닌가? 하고 상상했었는데 역시 이미 개념이 있었군요 너무 재밌어요
@user-do7ir7ul5s
@user-do7ir7ul5s 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퀄리티... 항상 감사합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
@yamju1
@yamju1 3 жыл бұрын
오.. 왓챠에서 데브스 보고 이 영상 보니까 더 흥미로워여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저도 데브스를 보고 만들었습니다 :)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jonhealer4084
@jonhealer4084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지식이 늘었는데.. 다 보고 나서 내 지식의 초라함을 느끼게 되었어요..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지식에 초라함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 우리 모두 잘 모르고, 계속 배워야할 것들이 많이 남아있으니까요. 그저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즐거움을 계속 느끼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fk5wo9sj2d
@user-fk5wo9sj2d 3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흥미로워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마워요 :)
@blog0501
@blog0501 3 жыл бұрын
놀라운 영상 퀄리티와 전문가 수준의 정보 수집력, 정보 전달력에 놀라 처음으로 유튭 댓글도 달고 바로 구독 눌렀습니다..!! 결국에는 이렇게 근본이 탄탄한 사람들이 잘 되더라구요 ㅎㅎ 시대 흐름에 맞는 정말 좋은 정보들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친구들한테도 많이 추천해주겠습니다!! (분야가 조금 더 다양해진다면 훨씬 인기가 많아질 듯 합니다! 저는 전염병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학생이라 땡 잡았지만요 >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gq6dm8gk5j
@user-gq6dm8gk5j 3 жыл бұрын
이번에는 역대급으로 어려웠네요 ㅠㅠ 매우 흥미 있는 소재인것은 분명했는데 제 기준에서는 잘모르는 미지의 영역 + 방대한 기초지식 = 8분 압축 이런 느낌이어서 많이 어려웠어요. 마지막에 고성능의 양자컴퓨터가 매우 넓은 영역의 물리적 연관이나 움직임은 예측할 수 있을지 몰라도, 의식의 경우는 다른 부분이지 않을까 싶네요. 어려웠지만 여러가지로 생각 해 볼 수 있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 양자역학, 의식에 관련한 내용들은 나중에 더 천천히, 그리고 자세하게 하나씩 다뤄보겠습니다! 언제나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bb9rj9vf5l
@user-bb9rj9vf5l 2 жыл бұрын
뇌에도 물리적, 화학적 법칙이 0개도 빠짐 없이 성립한다면 미래 예측 가능 컴퓨터가 나왔을 때 그저 복잡하기만 한 뇌의 미래도 예측이 쌉가능 할 거 같네요 생물이 불확정적인 것은... 진화랑 에너지 섭취, 분해, 생존 하는 것이 비생물과는 확연히 달라서 생물이 불확정적인 것인가..
@sunnybae8980
@sunnybae8980 3 жыл бұрын
'데브스'보고 이것저것 보다가 이 동영상까지 보게 되었는데, 정말 훌륭합니다!ㅎㅎㅎㅎ 진짜 정리가 잘 되어 있네요~ 아주 그냥 시원한 느낌입니당ㅋㅋ 어느 콘텐츠들보다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 바로 갑니당 ㅋㅋㅎㅣ히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오늘 영상도 새로 올라왔답니다😄
@kyungheumpark8767
@kyungheumpark8767 3 жыл бұрын
혹시 사용하시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너무 좋네요 영상이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주로 애프터 이펙트를 씁니다 :)
@cosh314
@cosh314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나온 숨이라는 소설을 읽은 적이 있는데, 이 책을 언급하기 전까지는 댓글을 쓸 생각이 없었는데 이를 보자마자 아무 말이라도 쓰기로 하였습니다. 이를 예측하였나요?🤭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확인을 위해 전기 신호 감지기부터 부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qc2ld2zd3u
@user-qc2ld2zd3u 3 жыл бұрын
와,,, 자유의지가 존재할 수 없다는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하고 여러번 노트북으로 글을 써본 적이 있는데 항상 실패했었거든요. 그런데 7:09의 기계 장치가 있다면 결국 그 led신호를 보고 버튼을 누르지 않게 될 수도 있겠죠. 이미 눌러야겠다는 신호가 뇌에서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버튼을 누르지 않았으므로 이는 결정론에 대해 반박할 수 있는 작은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led가 켜지는 것을 보자마자 바로 외부의 자극을 통해 뇌가 ‘어? 버튼 누르지 말자’라고 판단을 내려서 1초 뒤에 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뿐이라고 위의 의견에 반박할 수도 있겠군요,,, 댓글을 쓰다보니 역시 어? 그러면 결정론or자유의지가 맞는 거 아닌가? 라고 생각이 들면서도 막상 글을 쓰니 모순이 보이고 역시 어렵고 복잡하구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ㅋㅋㅋ,,,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도록 고퀄리티의 새로운 정보가 많이 담겨있는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처음 뵈었지만 벌써 정든 것 같네요 ㅠㅜㅠ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말씀해주신 것과 비슷하게 이 실험과 관련한 논쟁이 꽤 있습니다 :) 앞으로도 지켜봐주세요🙏
@DD-rh7rj
@DD-rh7rj 3 ай бұрын
1:18 에 나온 전 우주의 입자들의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정한 상황이고 실제로 이러한 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없는거죠?
@warden5055
@warden5055 2 жыл бұрын
노가다 정신으로 끝까지 파다보면 양자역학도 명확하게 정리가 되고 활용하는 날이 올겁니다
@kaiserji
@kaiserji 2 жыл бұрын
7:27 피자도 잘만들고 과학도 잘하는 테드창 당신은 도덕책...
@user-xe2lq5bq6y
@user-xe2lq5bq6y 2 жыл бұрын
혹시 학교 자료에서 발표할 때 참고나 자료 좀 써도 괜찮을까요..? 친구들도 알았으면 하는 내용이여서요. 출처는 꼭 밝힐게요!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
@user-xe2lq5bq6y
@user-xe2lq5bq6y 2 жыл бұрын
@@Weniverse 감사합니다!!!
@user-xh5dr2in4y
@user-xh5dr2in4y 2 жыл бұрын
과거의 모든 데이터를 모두 기록해서 분석하고 예측해도 미래는 달라질 수 있음 데이터를 관측하는 순간 관측 수단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관측한 데이터가 달라지기 때문
@jinsim1004
@jinsim1004 3 жыл бұрын
버튼누르는거 최근에 한 실흠에서 시간 차이 7초인가 20초? 까지도 차이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user-fq2dx2hv6x
@user-fq2dx2hv6x 2 жыл бұрын
혹시 노화관련해서 영상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텔로미어랑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 관련 영상 ,, 요즘 푹 빠졌거든요 ㅠㅠ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생명공학 분야는 꾸준히 만들 예정입니다. 언젠가는…다룰 수 있을 것 같아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3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드는 것보다 특정 시점의 우주의 모든 입자의 정보를 한치의 오차도 없이 입력하는게 더 어렵지 않을까요?
@CookTorrasque
@CookTorrasque 2 жыл бұрын
그 기반을 지금까지 닦아왔소
@user-js6sm3ru2i
@user-js6sm3ru2i 3 жыл бұрын
대본 직접쓰시나요? 입자물리쪽 전공이신..? .. 유튜브 특성상 조금빠른전개는 어쩔수없지만 김상욱교수님이 떠오르네요...정말 훌륭합니다 .. 누구세요? 궁금하네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아직은 혼자서 다 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여러명이 함께 작업하는 날이 오면 좋겠네요 :)
@user-js6sm3ru2i
@user-js6sm3ru2i 3 жыл бұрын
@@Weniverse 위니버스..훌륭한영상이 왜이제서야...유튜브의 알고리즘에 연관성으로 제 자유의지가 없어진게 아닌가요? 이영상을 보고 다시끔 생각해봅니다.....제 취향이 유튜브가 만들어주는거같은.... 여하튼 응원합니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우리에겐 구글님의 의지만이 있을 뿐입니다..😎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redstone_pg
@redstone_pg 3 жыл бұрын
왜 떡상하지 않는고야! 100만가 버리라구!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떡이...상해버렸습니다...ㅋㅋㅋ
@sohrkim
@sohrkim 3 жыл бұрын
캬...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
@user-tj3vt8yt9w
@user-tj3vt8yt9w 9 ай бұрын
현재를 입력할 수 없는데 미래를 어떻게 예측합니까
@user-wj9qk5qi5f
@user-wj9qk5qi5f 2 жыл бұрын
슈퍼컴퓨터로 인간의 뉴런의 신경전달 활동을 100% 연산해낼 수 있다면, 인간의 뇌 복제도 가능한 일이 되려나요?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100%가 현실적으로 가능한지는 우선 차치하고서라도, 그 엄청난 진입장벽을 통과한다 해도 저는 회의적으로 보긴 합니다 :) 이 부분에 관해서는 또다시 영상을 만들어볼 예정입니다.
@daesungkim9010
@daesungkim9010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개발된 양자컴은 계산만 빠르게 하는 것까지만 가능합니다. 물론 암호화하는 것도 포함되긴 하지만 양자컴이 뭐든 다 해 줄거라는 건 아직 불가능하고 100년 후에야 부분적으로 가능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양자컴 관려주에 투자는 성급하다고 보심됩니다.
@__sizeof__
@__sizeof__ 3 жыл бұрын
한국판 크루즈게작트 채널이다. 흥행하자!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정말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user-oy4lu9jk2c
@user-oy4lu9jk2c 10 ай бұрын
의식의 실체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밝혀지는 날이 올까요?
@user-dz9sv8pn4g
@user-dz9sv8pn4g 2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로 어떤사람이 교통사고로 죽을 것이라고 계산되서 그를 구해줬다면 이 계산은 맞은것인가 틀린것인가?
@user-xx1oj8pq6l
@user-xx1oj8pq6l 3 жыл бұрын
라플라스의 악마 이야기를 듣고 이런 생각을 한적이 있지요. 우주에 있는 모든 정보를 가지고 계산을 할 수 있을까? 입자 하나가 가진 정보량이 입자 하나가 계산할 수 있는 양보다 크다면 정보량 > 계산량 이므로 결국 우주 안에서는 우리 우주를 계산 할 수 없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요
@user-mj1hv4ho2b
@user-mj1hv4ho2b 2 жыл бұрын
우와아앙 개똑똑해 🥺...
@user-lf3sy3ph1x
@user-lf3sy3ph1x Жыл бұрын
버튼을 누르기 1초전에 전기적 반응이 일어나서 자유의지를 읽을수 있지만 예측은 안될거같은데 누르고 싶을때 불빛이 켜지는 건데 손을 가져다가 대기만하고 안눌렀을때 까지는 예측이 안되는거 아닌가?, 즉 빛이 들어오는거만으로는 이사람이 누르고 싶다는거까지만 알고 눌렀는지는 모른다는거임 고양이가 밥을 이때쯤 먹겠다는 알지만 확실하게 먹었는지 알 수 없는그런거
@idk-tn3xz
@idk-tn3xz 3 жыл бұрын
너무 이해하고 싶은데, 상경계라 이해하기가 어렵네요ㅠ 이해하기 위해 많은 공부가 수반되어야 할 것 같네요.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조금씩 용어와 설명에 노출되면 이해가 되는 것만 같은(?) 시기가 찾아옵니다! 조급해마시고 천천히 재밌게 콘텐츠들을 즐기시는 것도 방법인 것 같아요 :)
@linegang09
@linegang09 2 жыл бұрын
저도 정치학과 졸업한 사람인데,, 그러나 약 10년을 방산부분 과 컴퓨터를 연구가 아닌 공부를 하다보니,, 이젠 저런게 매우 흥미가 있네요.
@user-fr9ld3ni2g
@user-fr9ld3ni2g 3 жыл бұрын
Good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
@mindl_
@mindl_ 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또한 몇백년 뒤면 완전히 풀리겠죠..?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단순히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근본적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그 불확실성을 받아들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hv4kn3ud7n
@user-hv4kn3ud7n 3 жыл бұрын
꿀잼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
@kunhyungtwicebamm2860
@kunhyungtwicebamm2860 Жыл бұрын
에딩턴 수처럼 원소의 숫자까지도 전부 안다고해서 모든 선택에 결정론이 있다는 해석은 말이 안되죠. 다만 수학 과학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는 인류에게 어마어마한 혜택을 실제로 만들어줬으니까요. 인식한다는 말은 어려운 얘기인데 순식간에 우주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해도 선택은 매번 다를거에요. 완전한 이해라는 가정하에서도 그것을 반드시 선택해야 함을 뜻하진 않으니까요. 이런 거창한 이해속에서도 실제는 고양이보고 그냥 한번 웃는 일이 완벽하다고 설명될 이유는 오히려 아니듯이요. 세상의 모든 사실은 결론적으로 귀결될수 없어요. 애초에 사실은 또한 사실일 수 있는 상(모습)일 수 없죠. 세상의 모든걸 안다는 이유가 전혀 선택의 모든 길과 합치할 이유가 없는거에요. 그래서 또한 미래는 정해질 수 없는거죠. 싯다르타가 본 역사의 일부에서는 과정론 적으로 사치라는 개념이 달랐을거죠. 얼음은 요즘에 사치품일수 없자나요. 물이 갖는 초월적인 분자형태가 얼음의 상이죠. 개념 하나가 갖는 초월의 문제는 어마어마해요. 그마저도 이유라해도 결국 선택은 인간에게 종속적이라 이해의 문제로 남는거죠. 꼭이라는 결론이 없다이거죠. 날씨가 좋다는걸 이해할 수 있나요? 전 런던처럼 비오고 우중충한 날씨를 좋아해서 말이죠.
@kunhyungtwicebamm2860
@kunhyungtwicebamm2860 Жыл бұрын
끔찍하며 또한 초월적이게 끔찍한 이유의 장에서 제 고양이는 쥐를 10마리나 죽였다는 일이죠. 고양이가 없었다면 쥐는 살았거나 당분간 살수있겠죠. 사실은 단순하죠. 세상의 모든 일을 다알수 있다해도 고양이를 쓰다듬는 국한된 차원의 미래를 바꿀수 있을까요? 국한됐어도 정해진 이유를 대변할 결정된 선택만이 존재할 미래가 없으니 반례는 성립하지 않죠. 의식이 무위식을 정한다는 말이 꽤나 그럴듯한 말인 이유가 걷는다라는 말을 이해하는 방식에 있죠. 만약 내가 땅에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중력의 진짜 이유를 끄집어 낼수 있다면 나는 지구에서 산 기억만으로 남지 않는거죠. 왜냐하면 어느 누구도 꿈속에서 날아다닌걸 꿈으로만 기억하기 때문인거죠. 그래서 땅에 붙어서만 걸어다니는걸 현실로 인지하는겁니다. 좀더 물리학적으로 일관된 크기 이상의 중력을 기억하는거죠.
@ArezDMCBSM
@ArezDMCBSM 3 жыл бұрын
영상 제작자분하고 대화하면 10분 안에 빡치게 할수있을것 같다ㅋㅋ 나의 무지함으로ㅋㅋㅋㅋㅋ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치...친절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user-cj4yv2hi1k
@user-cj4yv2hi1k Жыл бұрын
ㅋㅋ 10분도 안 걸리다.에 한 표.
@helloworld5963
@helloworld5963 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에 데이터를 완벽히 계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은 그 데이터들이 의미하는 실제 입자들의 상호작용 시간보다 적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그건 계산 결과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허용한 결과입니다. 시간단축을 얻을려면 오차없음을 포기해야 합니다
@sep5072
@sep5072 2 жыл бұрын
이 내용에 대한 자세한 물리학적 영상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우주를 완벽하게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는 우주 그 자체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한 세부적 설명이 있으면 좋겠네요. 자세한 내용을 본 적이 없어서 이 주장에 대해 아직은 잘 모르겠네요.
@user-qw3jn7bd7i
@user-qw3jn7bd7i 2 жыл бұрын
단순한 물질적인 미래는 예측할수 있다. 하지만 인간의미래나 기후는 예측할수 없다.
@deuxchevauxs6390
@deuxchevauxs6390 2 жыл бұрын
일기예보가 과거를 입력해서 미래를 예측하는거 아닌가요? 사람 일은 수치화 안되어서 모르죠. 주가 예측도 불가능할듯
@user-vo1kp7bi4b
@user-vo1kp7bi4b 2 жыл бұрын
평범한 사회의 분석은 양자컴퓨터에서 분석한 정도 만으로도 무난 할 수있을지 모릅니다 단조로움을 어느정도 벗어난 범위 겠지만요 진화를 거듭하는 인간의 환경 적응능력은 당연히 그 이상을 향해 조정되겠죠, 자연현상일겁니다 결국 한계는 없는 것이겠지요
@user-oe2de3bv4j
@user-oe2de3bv4j 2 жыл бұрын
200초 vs 1만년 . 속도 차이를 대충 계산해보니까 대략 150억배 차이네요
@chshan6922
@chshan6922 2 жыл бұрын
배가 고프면 음식을 찾고 몸이 원하는 음식을 떠올리게 된다. 여기까지가 본능이라 치면 음식을 안 먹는 게 자유의지가 아닐까? 음식을 안 먹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없으므로 엄청난 성능의 컴퓨터라면 미래를 아주 작은 오차로 예측할 수 있을 것. 사실 우주에서 생물체가 우주적인 사건은 일으키기 어려우므로 미래는 정해졌다고 본다.
@user-fp9is8tb5r
@user-fp9is8tb5r 2 жыл бұрын
인간도 자신이 살아오고 보고 느끼고 깨닫고 그경험으로 기준을 매기고 생각을 하고 판단하고 행동하지 주변환경까지 있어서 경우의 수가 방대 할 뿐이지 결정론이 맞다고 본다 당구공을 쳤을때 결과는 정해져 있지
@sep5072
@sep5072 2 жыл бұрын
당구공이 우리들의 일반적인 예측과 유사하게 이동하는 것은 그 확률이 높을 뿐이고 극히 낮지만 농구공이 갑자기 하늘을 날아오른다는 확률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미래는 확률파동상 존재하며 결정론은 아니라고 봅니다.
@user-vc5kf1eg5r
@user-vc5kf1eg5r 2 жыл бұрын
비트코인 얼마나 오를까요
@sep5072
@sep5072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기술이 발달하더라도 미래를 계산하는 것은 불완전성의 원리에 의해 불가능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떠한 체계도 자기 자신을 통해 그 자신을 증명할 수 없듯이, 자기자신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즉 궁극적으로 수학적 원리에 의하여 미래를 완벽하게 예측하고 계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겠죠. 우리의 미래가 확률파동상 존재하다가 하나로 붕괴되는 것인지, 아니면 이미 존재하는데 그것을 따라가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완벽하게 계산하는 라플라스의 악마는 앞으로도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당장 단순하게 보더라도, 내가 10초후에 들고있는 동전을 떨어트릴까 안떨어트릴까를 계산하라던가 자기모순적 요구를 계산하게 할 경우 모순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래가 결정되어있을지라도 이를 절대 알 방법이 없으니 자유의지는 "편의상" 존재한다 봐도 되지 않을까요? 요즘은 최신물리학 및 수학에 대한 영상을 볼때마다 지능에 한계가 느껴지네요. 저보다 똑똑한 사람들은 해당 내용들을 더 쉽고 간결하게 이해하고 있겠죠
@seungchanlee5244
@seungchanlee5244 2 жыл бұрын
설명 잘들었습니다. 실제 현상으로 실험으로 많이 증명되고, 실존하는 현상으로 양자역학은 이미 기증현실로 판명이 나 있는 상황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전자의 스핀현상이죠. 이러한 현상등에 기반하여, 양자역학에서는 양자얽힘현상도 규명을 했죠. 그러한 사실에 기반해서, 양자컴퓨터 개념이 생겨난 것입니다. 쉽게 얘기하면, 물리적으로 어떤입자의 집단에서 각각의 상태가 물리적 조건에서 정해진다면, 입자는 미시세계에서 구별이 안되니까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각자의 상태를 유지한다면, 어떤 입자들의 상태가 확인되면, 나머지들은 그에 따라서 저절로 결정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말은 양자컴퓨터가 가용한 기술로 발전되면, 계산시작과 함께 계산결과가 나온다는 얘기하고 같습니다.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입자의 파동성에 대해서는 아주 옛날부터 영의 빛의 간섭실험과 아인슈타인의 광전효과에서 빛은 입자이면서 파동이라는 징후를 오래전부터 보여왔습니다. 현대에는 플랑크라는 물리학자가 플랑크상수와 관계되는 양자역학을 최초로 창시했죠. 미시세계에서는 연속적인 상태가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꼭 정해진 상태만을 선택하고 그 법칙에 따라서 물리현상을 기술하게 되는 양자역학이 탄생된 것입니다. 실험적으로는 전자의 스핀 분포실험등으로 상태의 불연속과 관련되는 양자현상이 이미 실험으로 다 확인이 되었죠. 중요한 것은 양자얽힘현상을 얼마나 잘 유지하느냐 입니다. 예를 들어서, 전자 두개가 있다면, 하나가 스핀업이면 나머지 하나는 스핀다운이어야 합니다. 이것은 우주 정반대의 방향에서도 동일합니다. 여기에서의 전자상태가 스핀업에서 스핀다운으로 바뀐다면, 우주의 반대편의 있는 전자는 스핀다운 상태였다가 스핀업으로 스스로 알아서 자기의 상태가 바뀐다는 얘기입니다. 그러한 현상을 양자얽힘 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실험적으로 발견되고 확인이 된 상황입니다. 그러한 얽힘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가 양자컴퓨터의 연산소자가 됩니다. 양자컴퓨터의 각소자의 상태결정은 초기 중첩상태에서 서로 연산상에서 얽혀있는 소자간의 상태변환으로 계산시작과 동시에 계산결과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양자컴퓨터의 양자얽힘을 정교하게 유지하도록 개발된다면, 계산을 시작하는 순간 계산결과가 바로나오는 컴퓨터가 가능하다는 것이죠. 물론 기술이 얼마나 정교해질지가 관건이긴 하지만, 충분히 만족할만한 수준의 정교성이 없더라도 양자컴퓨터의 계산속도는 모든것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는 유일한 수단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user-oi2hy6yv2n
@user-oi2hy6yv2n 2 жыл бұрын
그럼 나비효과라는게 실재하는 이야기일 수 있다는건가여??
@hovhani77
@hovhani77 2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세상도 양자 컴퓨터 세상안 시뮬레이션임
@k.6105
@k.6105 2 жыл бұрын
양자 컴퓨터로 미래 예측 이런거 안바라고 그냥 풀다이브 vr 게임이나 만들어줬으면
@user-vr3vc8xx8b
@user-vr3vc8xx8b 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때문에 특정할수없으므로 안되는거 아님?
@shoulder71
@shoulder71 3 жыл бұрын
결정론의 베이스가 뭔지는 이해는 하지만.. 아무리 빛의 속도로 계산한다고 한들.. 미래를 예측하는건 공상에 지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내가 오른팔을 들지 왼팔을 들지.. 거시적인 관점에서나 계산이 가능하지. 사실 팔을 들더라도 어느 속도로 어느 위치까지 들지는 모르죠. 어떤 위치"값 " 이라는것 자체도 원자단위로 들어가면 흔들리고 있으니까요.. 정지해 있는 물체도 원자단위로 들어가면 정지해 있는게 아닙니다. 계속 진동하고 있거든요.. 어떤 팔을 어느위치로 어디까지 들 확률이 몇%다 정도는.. 계산이 가능할 수도 있겠네요. (논리적으론)
@sampacs
@sampacs 2 жыл бұрын
Psi 는 프사이가 아니라 영어로 사이, 그리스어로는 프시로 발음됩니다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본 영상의 발음은 한국물리학회 용어집을 따랐습니다.
@lsy0
@lsy0 2 жыл бұрын
테드창이 실존인물이였구나...
@Name-ki2yj
@Name-ki2yj 3 жыл бұрын
5252 기다리고 있었다구요 제엔장...!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기다리신만큼 재밌으셨길 바라겠습니다 ㅠㅠ
@MC-dk1ov
@MC-dk1ov 3 жыл бұрын
미래를 계산할 수 없는이유 우주팽창의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빠르다(계산값의 최대속도는 빛의속도)
@daesungkim9010
@daesungkim9010 2 жыл бұрын
극한직업의 테드 창이 공상과학 소설을 썼다고?
@tal3270
@tal3270 3 жыл бұрын
재밓어요
@user-vg9uk3fh9y
@user-vg9uk3fh9y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결과가 뭐에요? 된다?안된다?
@Weniverse
@Weniverse 3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가 나온다해도 어려울 것이다로 결론내릴 수 있겠습니다 :)
@user-vg9uk3fh9y
@user-vg9uk3fh9y 3 жыл бұрын
@@Weniverse 절대 불가능한건 아니군요,,,
@wayne_rooney_10
@wayne_rooney_10 2 жыл бұрын
테드창이 조폭생활을 그만두고 소설가가 되었군요?
@linegang09
@linegang09 9 ай бұрын
구글은 양자 컴퓨터 개발 하지 못했다. 저 악마들은 거짓말 한 것이다... 겨우 맛을 보려다가, 맛도 보지 못했다고 한다.
@user-iq3qf6le5m
@user-iq3qf6le5m 2 жыл бұрын
너무 어렵네요 내용이.
@user-wy5ll7lu8w
@user-wy5ll7lu8w 2 жыл бұрын
나 죽어 양자컴퓨터는 못참지!!!!!
@Weniverse
@Weniverse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
@user-rb2ze1bq7q
@user-rb2ze1bq7q 2 жыл бұрын
그량 영화 루시한번봐라 눈으로 보지않는이상 믿지마라. 실존하지않으면믿지마라. 컴퓨터가발달하여정보처리능력이발달하였다하더라도그것은가상에서일뿐절대당시상황에서의적용이될지안될지는알수없다믿지마라. 요즘은 믿지마라탕.
@coolguyljh
@coolguyljh 2 жыл бұрын
블랙체인 개념이 깨져서 코인도 다시 0원이 되는거지
Overpopulation | Doom of Our World? or just Exaggeration?
12:09
위니버스
Рет қаралды 40 М.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SHE WANTED CHIPS, BUT SHE GOT CARROTS 🤣🥕
00:19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NO NO NO YES! (50 MLN SUBSCRIBERS CHALLENGE!)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102 МЛН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24:01
위니버스
Рет қаралды 176 М.
Fungal Empire (4K) | The reason we should love mold
12:52
위니버스
Рет қаралды 41 М.
[SUB] Entropy Explained |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9:12
위니버스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POCO F6 PRO - ЛУЧШИЙ POCO НА ДАННЫЙ МОМЕНТ!
18:51
How much charging is in your phone right now? 📱➡️ 🔋VS 🪫
0:11
The power button can never be pressed!!
0:57
Maker Y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 Сколько всего у меня клавиатур? #обзор
0:41
Гранатка — про VR и девайсы
Рет қаралды 651 М.
What’s your charging level??
0:14
Татьяна Дук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