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보다 재미있는 불상 이야기, 세계 최고의 불상은?

  Рет қаралды 383,623

황현필 한국사

황현필 한국사

Жыл бұрын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Пікірлер: 496
@pop-gz6xe
@pop-gz6xe Жыл бұрын
올해는 석굴암에 들렀어요. 석상을 한 30분 보고 있으려니 눈물이 나더군요. 감동이었습니다.
@hanbok9225
@hanbok9225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불상은 모르겠지만 세계 최고의 불쌍은 접니다... 최종면접 떨어졌네요 ㅠㅠ
@XERXES23
@XERXES23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드립이 너무 재밌어서 웃어버렸네요 ㅎㅎ 힘내세요 ㅠㅠ
@choshin1005
@choshin1005 Жыл бұрын
힘네세요 내년에 또 기회가있을꺼에요
@user-sy2yn3qn7e
@user-sy2yn3qn7e Жыл бұрын
힘 내세요 아자 아자 ㅎ
@user-zv4ef8gv6b
@user-zv4ef8gv6b Жыл бұрын
토닥토닥
@stressbar
@stressbar Жыл бұрын
다음에는 꼭 합격하실거에요.
@youngtaeahn1692
@youngtaeahn1692 Жыл бұрын
문화유산을 3차원으로 기록하는 일을 하는 입장에서 문화유산을 이렇게 다뤄주시니 감사한 마음입니다!ㅎ
@user-pc9tw5sc6s
@user-pc9tw5sc6s Жыл бұрын
들으면서 와~~ 선조님들의 훌륭한 불상들을 보면서 그저 감탄스러움뿐이였읍니다. 거침없는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면서 와~~~역시!! 어떻게 저렇게잘아실까!?? 순간 이걸로 먹고 살았다는선생님 말씀 .. 빵 터지면서 존경스러운 마음이 들었읍니다. 부디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요. 불교인의 한사람으로서 감사드립니다. 공부 잘했읍니다. 훌륭한 유산을 남겨주신분들 이 우리의 조상님이란것도 자랑스럽습니다. 감사드립니다.
@sagesse516
@sagesse516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의 강의를 들을때는 집중이 너무 잘됨, 재밌고 유익하고 그리도, 정열을 느낀다 고맙습니다
@user-uq7zg5qf8w
@user-uq7zg5qf8w Жыл бұрын
한국사 가르치는 분들은 왜 ㅅ발음을 못하는 경향이 있을까, 나만의 미스테리
@user-dc2ec1mg5t
@user-dc2ec1mg5t Жыл бұрын
황쌤 최곱니다. 역사 강의 열정이 어마무시한 힘이 느껴집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zgs0305
@zgs0305 Жыл бұрын
최고십니다👍~항상 재밌게 잘 듣고있습니다💙~^^
@soohankim112
@soohankim11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재미있는 역사 강의 매번 흥미진진하게 시청합니다.^^ 학창시절에 봤었으면...
@user-lq9jd1cd2z
@user-lq9jd1cd2z Жыл бұрын
불상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xi1tg3rh7w
@user-xi1tg3rh7w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서산,친정입니당~~ 서산마애삼존불상... 고란사 어릴때 외가 친척들과 그밑 계곡에서 신나게 놀았었고 소풍도 갔었고... 지금은 진짜 좋아지고 유명해졌죠.
@user-mi2tp7tq4f
@user-mi2tp7tq4f Жыл бұрын
항상 응원하며 시청합니다 요지경 세상 지치지 않고 걷다 보면 좋은 날도 오겠지요 그 날이 빨리 오길 바랄 뿐입니다.
@sammykim8969
@sammykim8969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이렇게 된거 한국의 전통건축에 대해서도 시리즈로 잡아서 한번 주욱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도 건축전공한 사람이라 전통건축 답사를 많이 다녀보긴 했지만 선생님 만큼 돌아다녀보지는 않았을거 같습니다. 소개해주시면 딸아이 데리고 좋은곳 돌아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
@user-vs1wp9dk9y
@user-vs1wp9dk9y Жыл бұрын
너나삼등신
@user-oy1ps7px2e
@user-oy1ps7px2e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다음에는 우리나라의 역사적의미가 있는 사찰을 정리해 주시면 어떨까요? 존경합니다.
@user-np1zn6yz4l
@user-np1zn6yz4l Жыл бұрын
주말에 용산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는데 박물관에서 본 불상에 대한 설명이 있네요. 언제나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pro_novice
@pro_novice Жыл бұрын
크으...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고향이 안동이고 어머니 고향이 영주 풍기라서 어릴 때 부터 안동 이천동 마애불(저 어릴때는 안동 제비원 불상이라고 불렸습니다)과 부석사 좌상을 수시로 보고 자라와서 그런지 부모님이 아무리 설명해주셔도 엄청 크네? 신기하다? 멋있다? 정도의 감흥 밖에 없었었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나이먹고 문화재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경험이 늘다보니 이 두 가지 불상이 우리나라 불상의 역사에서 중요한 포지션을 잡고 있는것을 뒤늦게 깨달았지요 ㅎㅎ 선생님의 강의에서 저도 매우 공감하는게 광주의 철불상을 백과사전에서 어릴 때 사진으로 보고 시꺼멓게 생긴게 저에게는 상당히 이질적이었는데 나중에 실제로 보니 그 크기와 아우라에 와..... 하고 멍하니 계속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ㅎㅎㅎ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user-vs1wp9dk9y
@user-vs1wp9dk9y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하는거 같애요? 쓰레긴데?
@user-fj7qe7fd6h
@user-fj7qe7fd6h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고 유익한 강의! 하나도 빼먹지 않고 다 보고 있어요~ (물론, 기억은 다 못하지만...ㅠㅠ)
@user-td2jq6vo5v
@user-td2jq6vo5v Жыл бұрын
추가 1인
@elley12
@elley12 Жыл бұрын
황샘은 ............👍정말 최고에요.. 불상이면 불상 탑이면 탑.. 이순신 장군의 세세한 전투나 우리 장수를 비롯 왜장 이름까지 세세히 기억하는 놀라운 암기력... 그 머리가 부러울 따름..복붙하면 얼마나 좋은가 말이지.. 부석사가 황샘을 결혼 시킨 절이라 하시니 설명이 따로 긴히 필요한 부분 아닌가?궁금할 따름..ㅎㅎ
@MKHan-qe8pd
@MKHan-qe8pd Жыл бұрын
우와. 불상들이 다 멋있어요.강의 잘 시청했습니다.부처님의 대자대비 정신이 현 시대에 한반도에 구현되길 기원합니다.
@elley12
@elley12 Жыл бұрын
무속이 깊숙히 자리잡고 있어요..굥씨 줄리때문에 더 괴기 스럽다는...무속을 무조건 배척하는건 아니지만 국가 경영에 도움되는건 아니지 않나요?
@user-vu7vr1de1o
@user-vu7vr1de1o Жыл бұрын
문화유산 강의 엄청 좋지요 감사합니다..똑똑이 선생님
@hykim6757
@hykim6757 Жыл бұрын
중학생때 석굴암가보고 30년도 더지나 재작년에 가봤는데 어이쿠 왜래 많이 걸어가야되는지.. 그러나 도착하고 석굴암 불상을 보는순간 숙연해지면서 자랑스러움이 느껴지고 정말 잘왔다고 느껴졌음
@user-rf4kt1zn1i
@user-rf4kt1zn1i Жыл бұрын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계곡 와불도 참 멋있습니다
@user-uv7vd7og6l
@user-uv7vd7og6l Жыл бұрын
황선생 꾸준히 민초들이 깨우칠수있도록 다방면의 강의 부탁드립니다 인사를 다할수없이 감사합니다
@beat7709
@beat7709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재미있고요.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이시대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많은 역사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ㅎㅎ
@user-dq5sb6tc1o
@user-dq5sb6tc1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jy4rg4xx8x
@user-jy4rg4xx8x Жыл бұрын
석굴암 부처님은 걸작중에 걸작이지요 작품이라기보다. . . 오십년전에 그 가림막집이 없을때 일출때의 감동을 지금도 기억하지요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user-zj8pp6uk2u
@user-zj8pp6uk2u Жыл бұрын
서산마애삼존불 ᆢ 너무 귀여웠습니다ᆢ선생님 강의로 더 관심있게 봐지겠네요.
@user-dk6ek1rx3k
@user-dk6ek1rx3k Жыл бұрын
와~ 불상으로 이렇게 많은 설명을 잘 듣고 갑니다
@user-dp6xs2lm6s
@user-dp6xs2lm6s Жыл бұрын
늘 응원합니다 고맙습니다
@user-vj9ud2qk8p
@user-vj9ud2qk8p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감사합니다
@TED-CHANG
@TED-CHANG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역사답게 잘 배우고 있는 테드창입니다! 쌤~
@user-sn9rf8mk5w
@user-sn9rf8mk5w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때 수학여행으로 경주갔다가 기억남는것은 오직 하나 석굴암밖에 없었음. 수많은 불상을 보고 돌아다니다가 질려서 갈까말까하다가 다 보러가니까 따라갔는데 석굴암을 보고 깜짝 놀라서 한참을 서서 봤던 기억이 납니다.
@hsun7211
@hsun7211 Жыл бұрын
잘 듣겠습니다~
@Luka_1018
@Luka_1018 Жыл бұрын
다음엔 궁궐 이야기도 듣고싶습니다!
@user-kq3ry1rg5d
@user-kq3ry1rg5d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선생님 재밌게 잘보고있습니다 제가살고있는 서산이 나오니 반갑네요
@user-fr7vg1wo2d
@user-fr7vg1wo2d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fq1bn3hn2t
@user-fq1bn3hn2t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 들으면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감사합니다
@lovelyyy9260
@lovelyyy9260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오늘 강의도 감사합니다👍👍
@350q8
@350q8 Жыл бұрын
황쌤 강의 들을때마다 감탄. 대단하십니다👍👍👍 넘 재밌어요 바람이 선선해지니 유유자적 답사가고 싶네요
@user-ge8fc2xd6b
@user-ge8fc2xd6b Жыл бұрын
이런 고오급 영상 더보고싶어서 시간날떄마다 한번씩 나눠 보고있습니다 !! 이런 시리즈 더 내주세요~ 댓글 보고 계시죠 ??
@uddum7438
@uddum7438 Жыл бұрын
오늘 나온 불상 보러 역사탐방 하는 것도 엄청 재미날 거 같아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iu2dt9of1j
@user-iu2dt9of1j Жыл бұрын
황박사님 오늘도 감사드립니다ㅡ
@user-rc9po5hi8b
@user-rc9po5hi8b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보고갑니다, 고맙습니다.~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산천과 섬들을 돌아다니면서 깨닫게 된 것은 우리가 아직까지 미처 몰랐던 불상 조각품과 석각 예술품들이 대단히 많다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견될 것입니다.
@user-lo8ev6fi3b
@user-lo8ev6fi3b Жыл бұрын
채색된 석굴암 불상과 이마에 보석이 있었더라면
@user-oe7cu3vt8t
@user-oe7cu3vt8t Жыл бұрын
스토리가 더 재밌었던 관촉사가 너무 반가운 오늘이네요 ㅅㅅ
@user-xp9dl1wd8n
@user-xp9dl1wd8n Жыл бұрын
황현필님^^ 강의내용이 고퀄이고 진짜 푹 빠지게 만드는 설명입니다 한국사 공부 필요없지만 매일 강의 듣고 있어요 국사공부를 다시 하네요 감사합니다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는 명강의입니다. 참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vp4vw8pr9d
@user-vp4vw8pr9d Жыл бұрын
제 고향 경북 안동에 가면 이천동이라는곳에 거대한 제비원 미륵불상이 있습니다 어릴적 그곳을 오갔던 기억이 납니다 엄청 컸어요 제비원 소주도 유명했지요
@user-mv4wr2km3c
@user-mv4wr2km3c Жыл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나이먹어 가물가물 하는데 새로이 기억을 찿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uu9id9cu3p
@user-uu9id9cu3p Жыл бұрын
서산마애삼존불상 설명중에 어벙해 보일 수도 있단 말씀에 웃음이 나네요 사진 상으로만 많이 봤는데 중앙 불상이나 좌우 불상도 표정이 귀엽게 느꼈는데요 오동통한게 우리 둘째딸래미 같아서요 제 둘째 초딩 2학년임다.
@user-hp2kk4qx7j
@user-hp2kk4qx7j Жыл бұрын
불국토를 염원하며 조형미가 뛰어난 불상을 조성한 우리 조상님이 자랑스럽습니다.
@whitecastle6130
@whitecastle6130 Жыл бұрын
요새 한능 때문에 외우기 힘든걸 쉽게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w4fe4nb7y
@user-ow4fe4nb7y Жыл бұрын
최고👍
@user-gs5ck8bf2x
@user-gs5ck8bf2x Жыл бұрын
하하하 황선생님 영상 보면 독똑해지는데 조회수 많아야죠 고맙습니다 허 저두 서산 마애불 갔을때 똑같은 경험 했는데요 욕 다나왔는데 10여년전에 갔을때 은은한미소 엄청나던데요
@user-yu9oq6bc8p
@user-yu9oq6bc8p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이 언급하신 불상은 거의 친견핸 듯하네요. 감사합니다.
@user-hp4ed9ql8v
@user-hp4ed9ql8v Жыл бұрын
내 나라를 사랑하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지만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것도 방법입니다. 그 열정을 저도 본받게 됩니다. 항상 좋아요를 누르게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ux5px5lp3u
@user-ux5px5lp3u Жыл бұрын
강의 정말 재밌네요~ㅎ 저도 10년정도전에 용산국립박물관 가서 반가사유상을 봤는데 정말 압도적이었습니다.눈물을 흘리시는분들도 봤어요. 그리고 영광에 처음으로 불교가 들어왔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원불교가 본산이 영광에 있는거 아는데 그거랑 좀 관련이 있는지도 궁금하네요~ㅎ 유익한 강의~ 지인들과 이야기꺼리를 만들수 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ㅎ
@user-xi9bh6lb9d
@user-xi9bh6lb9d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의 강의 감사합니다. 딱 하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전남 장흥에 위치한 보림사 라는 조그마한 절이 있는데 절이 아담하면서 조형 미 또한 뛰어난 절입니다. 그 절에 가면 제작 년도가 정확 하게 적혀있는 몇 안되는 국보 불상이 있는데 철조비로자나불 상입니다. 저는 약 10 년 전 즈음 우연히 들렀다가 그 웅장함에 매료되어 10번 이상을 방문을 했고 5회 이상 비로자나불상 앞에서 108배를 드린 적이 있습니다. 다음에 불상에 대해서 다시 한번 강의를 하실 생각이 있으시면 꼭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저의 감동을 같이 느껴보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elley12
@elley12 Жыл бұрын
오래된 절인가요? 가까우니 한번 가보고 싶네요..철조비로자나불상 기억해두겠습니다..
@user-xi9bh6lb9d
@user-xi9bh6lb9d Жыл бұрын
@@elley12 국보가 있는 사찰이라서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신하시대때 창건된걸로...
@sogoodbye8125
@sogoodbye8125 Жыл бұрын
마애가 바위를 깎아만들었다는 뜻이란 걸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ㄷㄷㄷ
@happyjj6571
@happyjj6571 Жыл бұрын
석굴암 본존 불상을 처음 봤던 순간을 잊지 못합니다 . 숨이 턱 막히는 감동의 순간을요.
@kimbak65
@kimbak65 Жыл бұрын
경주남산 배동삼존불입상을 찾아가는 이가 없다 하시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신라의 미소라고 불리우며 지금은 잘못된 전각 설치로 미소를 잃었지만 아름다운 불상 입니다.
@user-do4du6zu7n
@user-do4du6zu7n Жыл бұрын
석굴암은 보긴 했지만 정말 감탄만 나옴 실제로 한번 만져보고 싶다ㅠ.ㅠ
@kyeongran486
@kyeongran486 Жыл бұрын
시간 가는줄 모르고 빠져들었어요 메모도 다 해놨답니다ㅋㅋ 선운사랑 부석사는 꼭 가볼거예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KoreaTemple
@KoreaTemple Жыл бұрын
너무 관심있는 부분이라 1분 1초 모두 재밌고 소중하게 봤습니다!!! 법성포의 뜻을 듣고 엄청 놀랐어요!! 저도 친구들에게 알려줘야겠어요 ㅎㅎ
@yiseoyi
@yiseoyi Жыл бұрын
18:15 여기서 진짜 넘 웃겨서 빵 터졌어요 ㅋㅋㅋㅋㅋㅋ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ㅋㅋㅋ 황쌤 문화유산 강의 넘 재밌어요!!
@purplecow777
@purplecow777 Жыл бұрын
불상의 이름이 그냥 정해지는게 아니었군요 지어지는 규칙만 알아도 어떤 불상인지를 알 수있는 거였는데 어릴적 수업시간에는 무얼 그리 죽어라 암기만 하려고 했는지 선생님 덕분에 좋은 지혜을 얻었습니다
@jtchoi4831
@jtchoi4831 Жыл бұрын
'이 길 정말 맞는 길이야?' 하면서 차 몰고 올라가다 만난 신무동 마애불좌상을 보고 받았던 감격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user-sn1yl8vx8y
@user-sn1yl8vx8y Жыл бұрын
강의 넘 유익합니다. 참고로.. (예전) 서산마애삼존불상 (현재) 서산용현리마애여래삼존상
@MKHan-qe8pd
@MKHan-qe8pd Жыл бұрын
내가 1979년 고 3에 배울 때에는 '서산마애삼존불상'이라고 해서 지금도 이게 입에 익숙하네요.
@c.p.9702
@c.p.9702 Жыл бұрын
국립중앙박물관에 가시면 사유의 방이라고 해서 국보 반가사유상2개 모두 동시에 전시하고 있습니다. 고류사에 있는 목조 반가 사유상도 본적있는데 이 반가 사유상들을 볼때 마다 잠시나마 압도되는 점은 공통점인 것 같네요
@user-yw3ow9gt8k
@user-yw3ow9gt8k Жыл бұрын
사유의 방은 국중박 역사상 손꼽을만큼 정말 멋진 기획이라고 생각해요. 불교를 믿지 않음에도 너무나 압도당하는 그 공간..... 멋진곳이에요 정말...
@cactus275
@cactus275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 너무 재밌어요. 최고 최고~
@REDSTAR-009
@REDSTAR-009 Жыл бұрын
국립 중앙 박물관 불상 전시관은 반가사유상 있는 곳 빼곤 사람이 거의 없어 조용히 마음 수련 하기 좋습니다.
@yonghyungtraveler
@yonghyungtraveler Жыл бұрын
구례사성암 마애여래입상 군위 제2의석굴암 도 소개해주실만했는데 아쉽습니다 ~^^ 자 다음편은 유네스코한국의산사 7곳 같은주제로도 강의해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xv5ci2uo5e
@user-xv5ci2uo5e Жыл бұрын
저도 덕분에 유식해 지는것 같아요🤣🤣🤣
@yongbinsong9676
@yongbinsong9676 Жыл бұрын
나와 똑같은 경험을 하셨네 그려. 따로 전시실에서 일단의 일본인들이 매우 엄숙하고 진지하게 바라보고 설명을 듣는 모습이 신기했더만 10년 전으로 기억하는데.
@user-yg7dd3cg5v
@user-yg7dd3cg5v Жыл бұрын
이젠 불상 공부 재미나요 감사합니다
@kdw.2208
@kdw.2208 Жыл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user-ol8pl6yb4x
@user-ol8pl6yb4x Жыл бұрын
저는 석굴암 사진만 보아도 가슴이 뜁니다. 정말 대단하고 아름답습니다!
@user-fr7ws2zx7b
@user-fr7ws2zx7b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서산 마애 삼존불은 몽달귀신 모양에서 성형하였다 하셨는데 원래 몽달귀신 모양이 맞고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얼굴의 양감이 살아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홍준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도 불빛을 비춰보이면서 양감과 그 미소를 확인하는 대목이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최근 사진을 보니 성형되었네요ㅠ) 그리고 국보 119호인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은 발굴지가 경남 의령군 대의면이며 광배에 '연가7년'이라는 혁혁한 명문 때문에 의령이라는 지명은 들어가지 않은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kely1482
@kely1482 Жыл бұрын
서산마예삼존불상. 가는길이 정말 욕나올 수준이었는데. 거기에 다달아서 존 서산마예삼존불상은 저 세상 작품이었다.
@user-pi2op2db7g
@user-pi2op2db7g Жыл бұрын
너무나 궁금했던 불상 이야기 정말 좋아요 황쌤 짱~♡
@nyaongknight3635
@nyaongknight3635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히 잘 봤습니다. 덧붙여, 유명한 불상중에 두가지가 빠졌길래 약간 아는 척 해봅니다. 하나는 우리 고향에 있는 절인, 금산사 미륵전의 미륵불입니다. 커다란 불상들 경쟁하는 것과 달리, 임진왜란 이후 지어진 이 금산사 미륵전 미륵불은 우리나라의 문화재 급의 실내입상 중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하죠. 인근에 퍼진 미륵신앙의 중심이기에 역사적 가치도 있고요. 아, 여담이지만 금산사의 주법당, 근본중당은 미륵전이 아닙니다. 금산사는 화엄종 계열의 사찰이었기에, 근본중당은 대적광전이고 모신 부처님은 비로자나불입니다. 그리고 다른 유명한 불상은, 바로 양산 통도사 대웅전의 '투명불상' 입니다. 마음이 착한 사람과 40넘은 숫총각 숫처녀에게만 보이....퍼억!ㅋ 농담이구요,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양산 통도사는 석가모니 부처님 진신사리가 있어서, 대웅전 안에 석가모니불 불상이 없는 '불보사찰'입니다. 합천 해인사, 승주 송광사와 함께 삼보사찰 중 하나죠. 그리고 해당 사찰의 제일 큰 법당, 근본중당 이름이 대웅전, 대웅보전 등등이면 이는 모시고 있는 주불이 석가모니 불이고, 대적광전, 대광명전 등이면 비로자나불을 모신 화엄종 계열 사찰, 그리고 극락전, 극락보전, 무량수전 등이면 아미타불이 모셔진 겁니다. 그리고 같은 대웅전이라도, 대웅보전 등으로 글자가 더 붙으면 규모가 더 크고 안에 모셔진 부처님도 많습니다. 부처님 하나에 협시보살 둘이 아니라, 본존불 하나에 협시불 둘, 거기에 협시보살 둘까지 다섯이 되죠.
@esnara
@esnara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대단한 열정을 함께 받았습니다. 교회를 다니는 사람이나 여행을 자주 다니다보니 지방에 방문할때 마다 명소가 절이 빠지지 않아서 늘 방문합니다. 여기저기 가보지 않은 절 그 많은 불상들 중 최고는 역시 석굴암 본존불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경주 여행을 하면서 항마촉지인이나 비로자나불의 자세나 많은 것들 공부하게 되고 국립박물관의 사유의 방에 들어가 한참을 머물다 나왔지만 석굴암 본존불 앞에 한 20분 정도의 시간을 보내며 가만히 있는데 그리 마음이 편할 수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금동불이나, 목조, 철불 보다는 석불이 따뜻함을 품고 있는 듯 하여 좋고 그중의 최고의 작품은 석굴암 본존불인듯 합니다. 20년 정도 전에 한국의 종이라는 씨디를 사서 혼자 집에서 들어보곤 했었는데 더이상 듣지 못하는 성덕대왕 신종의 소리도 참 좋았던것 같습니다. 석굴암 본존불을 바라보며 성덕대왕 신종의 소리를 함께 듣는다면 신라 시대의 그 풍경으로 돌아가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user-sy2yn3qn7e
@user-sy2yn3qn7e Жыл бұрын
오! 지역 재료 불상 종류 자세에 따라 이름이 붙는군요 너무 재미있어요
@user-kr8no9ee4z
@user-kr8no9ee4z Жыл бұрын
저는 석굴암 아래에 있는 감로수의 용도를 듣고 엄청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user-xj6wj5ey3y
@user-xj6wj5ey3y Жыл бұрын
석굴암 가실때 차로 가시지 말고 꼭 불국사에서 걸어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주사람들도 운동삼아 오르기도 하지만 천년된 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은 길을 편하게 다니기 위해 넓혔지만 그 길을 통해 석굴암 뒷편길(일반인은 현재 통행 못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을 이용해 감포 해안가로 신라시대때 오고 갔다고 합니다.
@user-gg6qb8nt4x
@user-gg6qb8nt4x Жыл бұрын
최고 👍 감사합니다
@user-nr5kd9cr3z
@user-nr5kd9cr3z Жыл бұрын
벽돌 만든 진흙도 모래 중에 하나죠 뭘~!!!ㅎㅎㅎㅎㅎ 탑이랑 불상 이야기 해주신 것도 넘나 유익하고 재미있습니다~ 기회 되면 또 해주세요!!!!
@user-nl5wk3gc5k
@user-nl5wk3gc5k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최고👍
@dokdo8888
@dokdo8888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 응원할게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모두 우리나라 구천만민족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수집한 문물중 고구려 금동 반가사유상도 있습니다
@biketube7552
@biketube7552 Жыл бұрын
영광에 불갑사라는 절이 있습니다.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가 영광이구요 이절에서 백제불교가 시작되었다고 하네요. 엄청 오래된 절이지만 전쟁때 많이 소실되었다가 몇년전부터 복구중에 있습니다.(안가본지 좀 되서 지금은 다 되었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인지 아시아인지 암튼 가장 큰 목조 사대천왕이 있는 절이기도 합니다 직접 보면 진짜 웅장 하더군요.
@littlepeach0897
@littlepeach0897 Жыл бұрын
문화유산 강의 너무 좋아요!!! 시리즈 나오면 무조건 보겠습니다
@user-fg2lg4sf3y
@user-fg2lg4sf3y Жыл бұрын
관촉사 석불도 숨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래 올 미륵을 형상화한 석불입니다. 당시 미래 미륵의 모습을 예언한것으로 갓을 씌운건 미래 미륵이 선비임을 형상화한거고.....
@user-tn6ic6vu4y
@user-tn6ic6vu4y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알고 있지만 먼가 부족한 내지식에 속시원한 강의입니다
@user-gk6oe8gt4b
@user-gk6oe8gt4b Жыл бұрын
좋은 공부 하고갑니다. 강의 잘 하시네요. 귀에 쏙옥~~
@user-zs9rf7zp6b
@user-zs9rf7zp6b Жыл бұрын
이런강의 유익하고 좋습니다.
@user-ro2hl8px6l
@user-ro2hl8px6l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를 무료로 들어도 되는지요 선생님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user-kh9ee9rq7h
@user-kh9ee9rq7h 8 ай бұрын
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tea8448
@tea8448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유적지를다니면서 유명한 유물에만 눈이갔었는데 이제 모두 유심히 꼼꼼하게 오래 봐야겠어요❤
@muzik_tiger
@muzik_tiger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user-vm7ux3pg4b
@user-vm7ux3pg4b Жыл бұрын
황쌤님 안녕하세요 불자로서 불상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j.1768
@j.1768 Жыл бұрын
아, 불상 강의 너무 좋습니다!!! 이런 강의 많이 보여 주세요.
[역사왜곡-3] 의 자 왕, 3천궁녀의 진실
24:10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244 М.
우리 역사상 최악의 암군 5인|황현필
31:10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545 М.
Khóa ly biệt
0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모든 부처님을 구분하는 비법 - 불교특강
27:31
자현스님의 문수선원 - 동양학의 EBS
Рет қаралды 40 М.
[역사라이벌3] 파계승No.1원효vs제도권No.1의상
20:01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18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