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 모르는 '고려거란전쟁 ' 속 경제사 [임용한 역사학자 3부]

  Рет қаралды 49,438

머니올라_KBS

머니올라_KBS

Күн бұрын

고려거란전쟁의 역사 속 뒷 얘기를 임용한 소장님과 나눴습니다. 강감찬 장군의 비밀, 대한민국처럼 수출 경제 비중이 컸던 고려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 역사를 임 소장님이 차근차근 짚어드립니다. 많은 시청 바랍니다 ^^
[영상 촬영 날짜: 12월 16일]
출연 신청/문의: kbsnewbonsa@gmail.com
00:00 오프닝
00:35 강감찬, 어떤 사람?
03:14 벽란도와 무역국가 고려
07:44 ‘상업 발달’ 고려, 사찰이 경제 주도
12:06 우리 시대와 고려사
출연을 원하는 전문가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임용한 #고려거란전쟁 #강감찬 #사찰 #경제 #현종 #양규 #정통사극
#고려경제사 #고려사 #벽란도 #무역국가 #전쟁사 #여요전쟁 #머니올라 #KBS #고거전 #최수종 #김동준 #양규

Пікірлер: 183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5 ай бұрын
박사님 방송 자주나와주세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많이 모시겠습니다 ^^
@Taruwoo
@Taruwoo 5 ай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은 정치적으로 치우침 없이 역사를 있는 그대로 탐구하시고 강의 해 주시는 것이 너무 좋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저도 역사는 공정하게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ekddmf
@ekddmf 5 ай бұрын
항상 임용한 박사님 얘기를 듣다보면 재미도 있으면서 핵심을 찌르는 무언가가 있으세요. 다른 패널분들도 전문가이시겠지만 보는 시야가 다르심 계속 곱씹어보게됨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도 박사님 많이 모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user-zo2ki9yx7n
@user-zo2ki9yx7n 5 ай бұрын
​@@_kbs7532좋은 진행 감사합니다:)
@user-bd9vj2bw2q
@user-bd9vj2bw2q 5 ай бұрын
전쟁을 국난극복의 관점에서만 배웠다. 이 시각에 동의하는것이 우리는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을 군사적 관점하에서 어떤 전략적 목표 하에 이루어졌고 어떠한 전술이 주로 사용되며, 왜 공자측과 방자측이 이런 노선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가 이런 분석이 없었죠. 그런데 이제는 이런 시각을 극복해야죠. 전쟁은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해야지 감정이 앞서서 분기탱천하고 눈물 짓기만 하면 전쟁을 못막죠.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박사님의 노량 분석도 기대하겠습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방송 잘 준비해볼게요 구독 부탁드립니다 ^^
@erich3376
@erich3376 5 ай бұрын
고려시대 사찰이 그런 역할을 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네요 덕분에 또 배워갑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
@user-wd2fd1yv3z
@user-wd2fd1yv3z 5 ай бұрын
토크멘터리 전쟁사 승병 시청해보세요. 재밌습니다
@Tradesoul2025
@Tradesoul2025 5 ай бұрын
상업적인 역할도 했었고 자체적인 군사력도 상당한 수준으로 보유했었습니다. 나중에 여진과의 전쟁에서 활약을 하게 되고요...
@philippeauguste9796
@philippeauguste9796 5 ай бұрын
국난 고찰에서 벗어나 세계 정세 고찰로 시야를 넓혀야 된다는 말씀 캬 또 한 번 혜안에 탁~ 랄부를 칩니다. 두둥탁~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3JTriple
@3JTriple 5 ай бұрын
박사님이 절대로 확실하지 않은것에 대해선 답을 주시지 않아 더 좋네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정통' 학자와 재미만 좇는 역사유튜버와 다른 점이지요 ^^ 고맙습니다
@soda8403
@soda8403 5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ghwnsha
@ghwnsha 5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자칭 역사 다룬다는 유튜버들은 자기 뇌피셜로 왜곡질을 일삼죠
@user-xp2lq9il5m
@user-xp2lq9il5m 5 ай бұрын
대표적으로 왜곡일삼다가 방송국에서 퇴출된 역사비전공 역사강사도 있었지ㅋㅋ
@ghwnsha
@ghwnsha 5 ай бұрын
@@user-xp2lq9il5m 역사왜곡 그날이란 프로그램에서 학교 역사선생이라면서 역사왜곡하고 다니는 사람도있죠
@patrickyu3646
@patrickyu3646 5 ай бұрын
짧은 시리즈에서 많은 걸 배웁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임박사님 또 뵙고 싶네요. 😄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epdlqlem1234
@epdlqlem1234 5 ай бұрын
15분 동안 정말 즐겁게 시청했습니다. 임용한 박사님, 장혁진 기자님 정말 감사합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즐겁게 시청해 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
@Doctor__game
@Doctor__game 5 ай бұрын
@@_kbs7532 깔끔한 진행 너무 좋았어요 ㅎㅎ
@bhorg9715
@bhorg9715 5 ай бұрын
처음뵙는 분들임에도 기자님도 편안하게 진행하시고 박사님의 인사이트와 전달력이 너무 훌륭합니다. 좋은 컨텐츠 감솨감솨 ^^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미숙한 진행을 좋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
@c.c3444
@c.c3444 5 ай бұрын
와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전쟁을 국난극복 측면으로만 봤네요 정말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저도 이번에 깨달음을 얻었답니다 ^^
@user-dy1wu9tr4g
@user-dy1wu9tr4g 5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어요! 소장님 나오신 것은 전부 완주했어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도 많이 모실게요 ^^
@user-yb5bm3ro6g
@user-yb5bm3ro6g 4 ай бұрын
팬입니다 소장님~❤❤ 다음에도 자주 뵙고 싶어요 😊
@taehyunkim1337
@taehyunkim1337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
@user-pv7yj4ne4z
@user-pv7yj4ne4z 5 ай бұрын
토전사 이후 이제서야 빛을 보는 것 같아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ni1rb6yp7k
@user-ni1rb6yp7k 5 ай бұрын
임박사님 역사 이야기는 항상 너무 재밌습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앞으로도 박사님 자주 모셔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fl4wd6py6d
@user-fl4wd6py6d 5 ай бұрын
이 시리즈 계속 해주세요 ㅋㅋ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기획 중 입니다 아이디어 있으면 알려주세요 ^^
@ericcha-gp7sr
@ericcha-gp7sr 5 ай бұрын
정말 재밌게 잘봤습니다. 머니올라팀과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
@ksav-dx2ns
@ksav-dx2ns 5 ай бұрын
박사님의 강의가 참 흥미롭고 재미있었어요 또 뵙고싶네용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kq6zb3fc8g
@user-kq6zb3fc8g 5 ай бұрын
알림 와서 바로 왔습니다. 딱 퇴근시간때에 와서 고맙네요~ 좋아요 누르고 시청합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도 퇴근 시간대에 많이 올리겠습니다. 구독 부탁드릴게요 ^^
@tube5819
@tube5819 5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xz8lm3zj8b
@user-xz8lm3zj8b 5 ай бұрын
박사님 방송은 꼭 챙겨봐야지~ 방송 감사합니다 ❤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qm7dn3ur9p
@user-qm7dn3ur9p 5 ай бұрын
박사님의 '임진왜란' 책 나오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저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ㅎ
@user-jm5xj1lq4h
@user-jm5xj1lq4h 4 ай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항상 잘 보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주원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rd5ut6kc9e
@user-rd5ut6kc9e 5 ай бұрын
항상 색다른 시각으로 볼수있게해주시는 임용한 박사님 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역사는 관점이 중요하지요 고맙습니다 ^^
@user-yl2uc4oz6m
@user-yl2uc4oz6m 4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user-xi7nh9ni4p
@user-xi7nh9ni4p 5 ай бұрын
3부 쭈욱 꿀잼 시청했습니다 ㅋㅋㅋㅋㅋ 호쾌한 웃음 즐겁네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Formpanel
@Formpanel 5 ай бұрын
진짜 흥미진진 . 그리고 마지막 국난극복 시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게 띵햇습니다 .. 관점을 넓혀 주셔서 감사해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5 ай бұрын
박사님 책도 보고 영상도 거의다 챙겨봤습니다 다음에도 또 나와주세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박사님과 영화 편도 준비 중입니다 구독 부탁드립니다 ^^
@horadokoi
@horadokoi 5 ай бұрын
임박사님 예전에 하시던 비디오까페 같은 콘텐츠라 재미있게 했네요 진행하는 기자님도 재미있게 잘 진행하시고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미숙한 진행을 좋게 평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박사님 많이 모실게요 ^^
@user-zg8ft8uo7c
@user-zg8ft8uo7c 4 ай бұрын
최고~
@user-lt6hf4dx9h
@user-lt6hf4dx9h 5 ай бұрын
기자분 부드러운 진행,박사님의 편안한 이야기 너무 좋아요. 자주보고싶어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미숙한 진행을 좋게 평가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박사님도 자주 모실게요
@user-zk5mi4je1i
@user-zk5mi4je1i 5 ай бұрын
0:00: 📜 고려시대의 경제와 사회 구조에 대한 토론 0:00: 고려시대의 경제와 사회에 대한 토론 0:14: 고려시대의 상공업에 대한 국가 통제가 조선시대보다는 느슨했던 점 0:40: 강감찬의 출신과 역할에 대한 논의 3:30: 고려시대의 경제 규모에 대한 비교적 애매한 측면 4:44: 조선시대와 고려시대의 무역에 대한 비교 5:20: 📜 고려시대의 무역과 상업 활동에 대한 사찰의 역할과 중요성 5:20: 고려시대의 무역 활발성은 사찰의 상업 및 무역 기능과 관련이 깊었음 5:40: 고려시대의 수출품으로는 비색청자가 유명했고, 종이도 중요한 수출품이었음 8:06: 조선 시대에는 상업을 제한하여 신분제를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음 9:39: 고려 시대의 사찰은 상업 및 무역 기능을 대행하여 국가의 상공업에 영향을 미쳤음 10:22: 고려시대의 지방세력들은 국가 개입에 반발하여 상업 망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음 10:37: 📚 고려시대의 경제와 전쟁사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10:37: 고려시대의 경제는 활발하고 은화가 국내상업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국제 무역도 활발했다. 11:50: 고려시대의 역사는 조선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으며, 이는 기록의 소실과 상공업 분야의 소홀로 인한 것이다. 12:39: 고려시대의 전쟁사는 국난 극복 사례로써 현대의 집단 방위체제와 경제 구조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13:31: 고려시대의 전쟁 문화와 국가 제도는 현대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며, 국제적인 전쟁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13:45: 고려시대의 역사를 통해 현대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혼란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Recapped using Tammy AI
@gygus1
@gygus1 5 ай бұрын
재밌게잘봤습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kenwood8296
@kenwood8296 5 ай бұрын
지식공유 .. 행복한 유툽시청입니다 .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많이 봐 주세요 ^^
@no-vg8nr
@no-vg8nr 5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보고갑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sund8569
@sund8569 5 ай бұрын
고려 이야기 너무 재밋어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저도 재밌어요 ㅎ
@user-ji4vr6uf4g
@user-ji4vr6uf4g 5 ай бұрын
임박사님 영상 재밋어용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고맙습니다 ^^
@user-zy9xv7em1h
@user-zy9xv7em1h 5 ай бұрын
고려역사가 너무 흥미 있네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blanche1813
@blanche1813 5 ай бұрын
종이관련 내용은 이번에 처음 아네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저도 처음 알았습니다!
@user-iy9rb8yf5n
@user-iy9rb8yf5n 5 ай бұрын
역시 박사님 영상은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dhy5343
@dhy5343 5 ай бұрын
굿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xj9to7ve7o
@user-xj9to7ve7o 5 ай бұрын
임용한! 임용한! 임용한!
@jp5500
@jp5500 5 ай бұрын
귀주 대첩도 보고싶어요 !! 수공의 진실여부도 너무 궁금하내요
@gomg4944
@gomg4944 5 ай бұрын
소장님 팬입니다 재미있게 잘봤어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te7dl7yp9b
@user-te7dl7yp9b 5 ай бұрын
귀하다 귀해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vivivi3865
@vivivi3865 3 ай бұрын
가볍게 찍었지만 마냥 가볍게 볼 수 없는 내용... 조선조 500년에 의해 훼손되어 잃어버린 고려의 500년 역사가 지금 현재까지도 우리 사회의 주축이 되는 시대 정신에 너무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고 그 역사를 찾는 한걸음 한걸음이 또한 너무나 무겁다. 지금의 내 나라 대한이 정체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과거 역사에서 본 받을 만한 꼭 필요한 가치와 교훈은 무엇일까. 과연 내가 죽기 전까지 고려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얼마나 변해 있을까. 모르겠다. 얼른 통일이 돼야 뭐가 바뀔 기미라도 보일 텐데.
@vetym02
@vetym02 5 ай бұрын
시간가는줄 모르겠네요. 잘 보고 갑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Estate300
@Estate300 5 ай бұрын
되게 호감이심. 군사학도 해박하시고 ㅋㅋㅋ 😊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정말 해박하시더라고요 ^^
@Estate300
@Estate300 5 ай бұрын
@@_kbs7532 답글 감사합니다! 기자님 ㅋㅋㅋㅋㅋ
@user-bf5qp5hs2v
@user-bf5qp5hs2v 5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재밋다 ㅋ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NangNangEE
@NangNangEE 5 ай бұрын
귀주대첩때 또 초대해 주새요! 너무 잼있어요!!!!! 😂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또 모셔보도록 하겠습니다! ^^
@NangNangEE
@NangNangEE 5 ай бұрын
@@_kbs7532 꼭요~
@user-cs9yp5th3p
@user-cs9yp5th3p 5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구독 부탁드려요 ^^
@frostfirex
@frostfirex 5 ай бұрын
풀버전을 묶어서 보여주십쇼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미공개본 포함 풀버전 준비 중입니다 ^^
@frostfirex
@frostfirex 5 ай бұрын
@@_kbs7532 굿 기대하겠읍니다
@kenaing1
@kenaing1 5 ай бұрын
박사님 다음에 또 봬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조만간 영화 편으로 또 뵙겠습니다 ^^
@user-mq9uy6lp9d
@user-mq9uy6lp9d 5 ай бұрын
잼난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capacsis
@capacsis 4 ай бұрын
후후❤
@user-yq8nr4mr6j
@user-yq8nr4mr6j 5 ай бұрын
수학을 사용해서 인구 예측해 볼 수 있을까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하네요 ^^
@chang9166
@chang9166 5 ай бұрын
드라마는 보다 밀려있는데... 이건 챙겨보는 ㅋ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구독 부탁드립니다 ^^ 드라마 고거전도 챙겨봐 주시고요 ㅎ
@user-up3hk3oh5c
@user-up3hk3oh5c 5 ай бұрын
구한말-일제 강점기-6.25를 거치면서 국난극복이라는 시선에서만 역사를 볼 수 밖에 없었던 것도 이해는 됩니다. 당시 그게 국민적인 의식이었겠죠. 그리고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죠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truth1472
@truth1472 5 ай бұрын
4부는 없네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주말에 미공개분 포함 90분짜리 '풀버전' 업로드 예정입니다 ^^
@pupwannabe5664
@pupwannabe5664 5 ай бұрын
강감찬이 삼한벽상공신 집안이라 호족일 가능성이 높고 금수저집안일 가능성이 크죠. 금주출신인데다가 성씨를 부여받았으며 5대조는 경주에서 살았다니 어떻게보면 당시 왕건보다 집안자체는 꿀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죠. 더군다나 장원급제할 정도면 재력도 꽤 있었을거고 동서고금 막론해서 호족들 자제들 서울로 불러드려 인질 내지는 친왕교육도 많이 받았을거구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자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pupwannabe5664
@pupwannabe5664 5 ай бұрын
@@_kbs7532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자세히는 모르는데 고려사 전공분께 들은 얘기가 저렇지 않을까 말씀하시더라고요. 강감찬 관련 사료가 거의 없지만 집안내력에 공신반열과 조상이 경주에서 올라온 내용은 고려사 기록에 있다고하니 이걸 기초로 추측한 거라고 합니다.
@user-go5pj8kz4u
@user-go5pj8kz4u 5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얘기도 듣고싶은데 또 해주세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1월 중순, 임 소장님과 영화 편 준비 중입니다 구독 부탁드릴게요 ^^
@user-xx1fo3vw9u
@user-xx1fo3vw9u 5 ай бұрын
개꿀잼ㅋㅋ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Soj9
@Soj9 4 ай бұрын
강감찬 장군도 지방 호족이죠. 그의 아비인 강궁진이 개국공신인 삼한공신이었고요.
@Amufilm
@Amufilm 5 ай бұрын
야호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Amufilm
@Amufilm 5 ай бұрын
@@_kbs7532 저야말로 고맙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park4223s
@park4223s 5 ай бұрын
4부 내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후속 방송을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ei8re1kw7v
@user-ei8re1kw7v 4 ай бұрын
와 신기하다 다 댓글 달아주시네. ㅎㅎ 기자님 저에게 새해 덕담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올 한 해 머니올라와 함께 부자 되시길 빌겠습니다 ^^
@jkp99999
@jkp99999 4 ай бұрын
현종이 연적으로 술드시던데 그거도 어디서 얘기해주심 좋겠네여 ㅋㅋ
@user-qz2fb2ue4m
@user-qz2fb2ue4m 5 ай бұрын
임용환 교수님 말씀은 항상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시네요^^~ 고려 주력 수출품은 종이였다.~ 고려는 불교가 흥했다.~ 당시 종이를 절에서 주로 만들었던 걸보면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또 교수님 말씀 처럼 너무 우리가 국난극복 위주의 역사를 배우다 보니 국제질서 속에서 역사적 사건들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놓치는 것도 많이 아쉬운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그런 부분들을 많이 가르쳐 주세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
@BATMASK
@BATMASK 5 ай бұрын
고려시대 잼있는거 많은데, 진짜 기록이 없나보구나. 너무 아쉽다 ㅋㅋㅋㅋ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저도 아쉽네요ㅜ
@user-ym6di3wi4p
@user-ym6di3wi4p 5 ай бұрын
객관적시각으로 역사를 배우고싶으면 임용한박사영상만 찾아보시면됩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앞으로 박사님 많이 모실게요^^
@ygchai8029
@ygchai8029 5 ай бұрын
역사를 이해하려면 전쟁사, 경제사를 제대로 이해해야 하는데...학교수업은 정치사 제도나 왕의 업적만 죽어라 외우고, 전쟁사는 의병장 이름 암기하기...편협한 역사만 배웠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
@ghwnsha
@ghwnsha 5 ай бұрын
학교에서의 역사수업은 역사왜곡한걸 가르키는거죠. 배울가치가 없는 쓰레기같은거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4 ай бұрын
최애 차중박 이런거 일본이 만든 말이네요
@MC-rn5vc
@MC-rn5vc 5 ай бұрын
전 정권때 갑자기 종방했던 토전사도 다시 시즌2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박사님 다시뵈니 좋네요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저희 채널에서 박사님 많이 모시겠습니다 ^^
@skyclan
@skyclan 5 ай бұрын
고려는 불교랑 빠질수 없지
@jksim990
@jksim990 5 ай бұрын
조회수 치트키 쓰시네 ㅋㅋㅋㅋ
@user-bb9mj8sj6d
@user-bb9mj8sj6d 5 ай бұрын
중세유럽의 교회, 전국시대 일본의 사찰 다 똑같은 시스템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user-ch7ol7bb5h
@user-ch7ol7bb5h 5 ай бұрын
참고로 고려사에 대한 기록이 많이 없어진 이유는 첫번째로 고려 전기때의 기록들은 거란제국이 고려 수도 개경성을 점령할때 모조리 파괴당했고, 두번째는 먼 미래인 임진왜란때 일본군이 조선을 점령하면서 고려사가 파괴되었다고함 ㅠㅠ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user-vr8md9ud3l
@user-vr8md9ud3l 5 ай бұрын
기자분 킬리언 머피인줄 알았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제가 오펜하이머를 닮았나요? ^^
@ejrtmejrwk6801
@ejrtmejrwk6801 5 ай бұрын
결국엔 사료가 부족하니... 애매하거나 잘 모르거나... 하는게 대부분이네요... 아쉽습니다
@_kbs7532
@_kbs7532 5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역사는 명확한 근거로 탐구해야 하니까요 ^^
@ejrtmejrwk6801
@ejrtmejrwk6801 5 ай бұрын
​@@_kbs7532고려시대는 상대적으로 사료가 부족해서 아쉽다는 뜻입니다! ㅎㅎㅎ 임용한박사님 응원합니다!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5 ай бұрын
그런 종이를 연암 박지원은 안 좋다고 왜이리 비판했는지 참 ㅎㅎㅎ
@mseiksby4541
@mseiksby4541 5 ай бұрын
가성비가 떨어져서 아닌가요? 자본주의는 대부분 가성비 싸움이잖아요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5 ай бұрын
@@mseiksby4541 중국 종이에 비해 글 쓰기나 그림 그리기에 안 좋답니다. 연암 박지원 열하일기 관내정사 종이와 붓이 그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중국서 옛날부터 고려의 백추지(白硾紙 백지를 다듬질한 것)ㆍ낭모필(狼毛筆)을 일컬었다 하나, 이는 특히 외국의 진기한 물건이라 해서 그런 것이지 실지로 쓰고 그리기에 좋아서 그런 것은 아니다. 종이도 먹빛을 잘 받고 붓길이 순순히 풀려남을 귀히 여기는 것이요, 반드시 단단하고 질겨서 찢어지지 않은 것만이 덕(德)이 됨은 아니리라. 서위(徐渭)가 말하기를, “고려 종이는 그림에는 맞지 않고 다만 돈[錢]처럼 두꺼운 게 좀 낫다.” 하였으니, 이와 같이 별로 좋지 않게 여겼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종이는 애초에 다듬지 않으면 결이 거칠어서 쓰기 힘들고, 다듬이질을 지나치게 하면 지면이 너무 빳빳해지므로 미끄러워서 붓이 머무르지 않고 딱딱하여서 먹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 종이가 중국만 못하다 함이요, 붓은 부드럽고 날씬하고 고르고 순하여 팔과 함께 잘 돌아가는 것이 좋은 것이요, 뻣뻣하고 강하고 뾰족하고 날카로운 것은 좋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중국에서 좋은 붓이라면 반드시 호주(湖州) 것을 말하는데, 이는 오로지 양호(羊毫)를 써서 다른 털을 섞지 아니한다. 양털은 다른 털에 비하여 가장 부드러우므로 부서지지 않고, 종이에 닿으면 먹을 마음대로 놀리는 것이 마치 효자(孝子)가 어버이의 뜻을 말하기 전에 벌써 알아차리는 것과 같다. 그리고 이른바 ‘낭모필(狼毛筆)’이란 더욱 잘못인 것이, 이리가 무슨 짐승인지도 알지 못하고 어찌 그 꼬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 이는 곧 족제비의 속명(俗名) 광(獷)에서 나온 것이다. 그리하여 광(獷) 자에서 녹(犭) 변을 떼고 또 광(廣) 자에서 엄(广)을 버리면 황(黃) 자가 되므로 이를 ‘황필(黃筆)’이라 한다. 이는 늘 굳세며 억세고 뻣뻣하여 부서질 염려가 있어 마치 동서를 가리지 않고 제멋대로 내닫는 철없는 아이 같다. 그러므로 우리 붓이 중국 것만 못하다 함이다. 종이와 붓이 이러한 데다가 안동(安東)의 마간석(馬肝石) 벼루에 해주(海州)의 후칠(厚漆)먹을 갈아서 왕희지(王羲之)의 《필진도서(筆陣圖序)》를 체첩(體帖)으로 본받으니, 이 아무리 삼절법(三折法 세 번 붓을 꺾는 서법)을 쓰더라도 여윈 뼈대가 메마르다. 아이들의 습자에 쓰는 분판(粉版)이란 또 무엇들인지..........
@skang4268
@skang4268 5 ай бұрын
기술이 정체되고 퇴화하니까 그렇죠 ㅋㅋ 고려때 만들던 자기도 조선 후기가 되면 품질이 조악해져서 이토히로부미가 고려 청자 발굴해서 고종한테 가져가니, 고종이 이런 물건은 조선에 없다고 할 정도로 기술이 실전되었는데 ㅋㅋ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5 ай бұрын
@@skang4268 그건 청자를 조선시대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아 안 만들어서 그런 거죠. 조선시대에는 백자를 만들었죠. 그리고 백자가 청자보다 기술 난이도가 더 높습니다. 백자가 더 높은 온도에서 만들어집니다. 더 고온에서 만들어지는 도자기가 난이도가 더 높죠 청자는 기술적으로 결함이 있는 도자기입니다.(고려시대 기준으로) 이걸 백자가 극복한 거구요. 청자를 보면 그물처럼 금이 가 있습니다. 이게 나중 예술적 가치를 상승 시키는 요인이 되었지만 기술적 한계 때문에 이렇게 된 겁니다. 도자기와 유약 간의 수축 팽창 값이 같아야 하는데 이걸 못 맞추어진 청자는 표면에 그물처럼 금이 간 것입니다.
@user-fs2ho8mm2b
@user-fs2ho8mm2b 5 ай бұрын
어찌 고려인삼을 빼먹는가!
@user-gf4xp6ug7m
@user-gf4xp6ug7m 5 ай бұрын
결국 조선보다 경제규모가 우월했을 가능성이 크다는거구만 그러니 30만 대군을 먹였던거려나
@user-kd7fu7qI5z
@user-kd7fu7qI5z 5 ай бұрын
아휴. 인구수도 조선보다 적고 농토개간도 조선보다 안됐고 수리시설도 적고 시비법이나 모내기같은 농법도 조선보다 떨어지는 고려가 어떻게 조선보다 경제규모가 우월합니까? 이렇게 일부 발언만 잘라내서 침소봉대하니까 임용한 박사가 뭔 말만 하면 이 이야기는 어떻게 해석해야한다고 보론만 한나절을 하지
@user-gf4xp6ug7m
@user-gf4xp6ug7m 5 ай бұрын
@@user-kd7fu7qI5z 통화가 없고 무역도 안하면 그깟 농법이겠죠. 경제가 순환을 안해서 얻는 손해가 얼만데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5 ай бұрын
​​@@user-gf4xp6ug7m그깟 농업이 고려나 조선이나 국가 경제 근간이었음 조세를 다 쌀로 받았음 농업 생산력만 논하면 고려는 조선 못 따라옴 윗분도 언급했지만 시비법에 이앙법 수리시설 및 개간 등등 그리고 고려가 조선보다 상업과 대외교역 좀 더 했을 뿐이지 활발하게는 안 했음 유럽 지중해 역사를 보세요 상업이 발전하면 밖으로 여기저기 나가 거점을 확보합니다 카르타고가 그랬고 그리스가 그랬고 로마가 그랬죠 아랍상인들도 마찬가지 아프리카 아시아 등등에 무역 거점을 확보했습니다 그런데 고려는? 일본과 교역에 제일 중요한 대마도 마저도 쳐다도 안 보았습니다.그리고 대외교역이 발달하면 필연적으로 국제 정세에 대해 알게 됩니다 그런데 고려는 까막눈이었습니다. 거란에 대해서도 몰랐고(전쟁 나기전 까지 50년 동안 담 쌓고 살았음) 여진 완안부에 대해서도 잘 몰랐고(동북9성 때) 이후 몽골에 대해서는 더더욱 몰랐습니다.덤으로 일본에 대해서도 잘 몰랐음 교류를 거의 안 해서... 그리고 고려도경을 보면 상설 시장이 없다고 했고 화폐보다 물품(쌀 옷감)으로 거래를 했다고 기록하고 있죠 서긍이 고려에서 가본 지역이 섬들 빼고 고려 중심 예성강 벽란도와 개경인데 이런 기록을 남겼죠. 고려가 대외교역이나 상업이 조선보다 발전한 건 사실인데 엄청난 차이가 날 정도는 아닐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고려 조선 공통점 찾아 오는 얘들과 교역했지 나가서 안 했다는 것(고려는 했나 모르겠지만 했어도 그다지) 이게 조선은 완전히 이렇게 했고 말입니다 북쪽 국경에 개시 열고 여진과 명과 남쪽은 왜관 열고 교역했죠
@user-gf4xp6ug7m
@user-gf4xp6ug7m 5 ай бұрын
@@user-dc3tk6jh4w 그러네요. 로마랑 중세유럽도 농업생산력 차이가 제법 났다고 했고. 상업이 얼마나 보편화되었냐가 중요한데 솔직히 국내시장이 통한 증거를 모르겠고, 벽란도 과대평가설도 익히 들어봤던 바라 무역을하던것치고는 고려가 대외에 무지한 경향이 확실히 많았네요. 저는 다만 조선이 인구 감소이벤트가 잦았어서 그렇게 고려보다 많았을까가 좀 미심쩍어서 과연 조선이 더 융성했을까라는 입장이네요
@muchsoso8468
@muchsoso8468 5 ай бұрын
미국도 18세기말~ 19세기 초에 상공업 인구가 3%밖에 안됐고 다 농사짓고 살았음. 농업생산량 증대와 자영농의 성장이 있어야 자본주의도 발달하는 것임
@toy052466
@toy052466 5 ай бұрын
국란극복이 맞지않나요? 솔직히 다른점을 이해못해서요~
@skang4268
@skang4268 5 ай бұрын
허구헌날 기록에 진심인 민족 어쩌고 하지만 실제로는 유교에 진심인 민족 아니누..ㅋㅋ 도덕적이지 않은 사문난적 기록은 아예 삭제해버려서 남아있지를 않음 ㅋㅋ
@user-jw2lv7tt7y
@user-jw2lv7tt7y 5 ай бұрын
지가 부동산 공시지가올려 부동산가격 졸라 올리고 전기세에 최저시급 졸라올려 물가올려 이 난리 만들어놓고 낮작도 없이 뻔뻔하다
@user-ih7oe5km5x
@user-ih7oe5km5x 5 ай бұрын
거짓말을 아주 능청시리시버리고있네
@sfk1031
@sfk1031 5 ай бұрын
엉떠리 역사나 가르치고 어차피 고려는 북한과 비슷했는데 거란에 게겼으니 자주국가라고? 고려사는 거짓말에 온통 사기투성이라서 조선에서도 고려역사는 인정안했다면서 온통 거짓말이라고 용비어천가도 난리치면서 막상 고려사 거짓말이라고 왜 말을 못할까?
@user-mp5gt4zm2v
@user-mp5gt4zm2v 4 ай бұрын
너무좋다 ...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소드마스터5] 고려를 구해낸 용장 양규 장군(새해 웅장ver.)
10:31
선조 욕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임용한 역사학자 7부]
17:38
'구국 영웅' 강감찬, 별이 된 순간 [임용한 역사학자]
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