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역대급 차별적 시장 온다" 서울 전셋값 상승이 심상치 않은 이유② (ft.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Рет қаралды 152,147

VIDEOMUG

VIDEOMUG

18 күн бұрын

"저는 약간 불만인 게 두 가지 실패가 있었어요. 그러니까 물가 잡는 거 실패했다. 이게 너무너무 큰 거고. 두 번째는 이제 이 PF 사태를 통해가지고 아파트 공급하지 못한 거, 한 2~3년 후에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온 거는 이건 정책 실패예요. 그러니까 두 가지 금융 실패와 공급 실패가 동시에 발생했기 때문에 그럼 이건 어쩔 수없어 우리가 현실로 받아들여야 되는 문제인데 사실 전셋값이라는 건 어차피 임차시장과 관련된 거니까 그럼 임차 시장에서는 이게 전세가 주구장창 올라갈 수는 없어요. 전세가 너무 많이 올라간다면 월세가 될 것이고 여기서 또 매매로 넘어갈 거란 말이에요. 그러면 이게 매매 시장으로 가는 경우의 문제이기 때문에 분양 시장을 열어놔야 돼요. 그래서 사람들이 지금 아파트를 사는 게 아니고 미래 아파트를 살 수 있는 쪽으로 관심을 이쪽으로 옮겨버려야 돼요. 안 그러면 전세가 오르고 매매가 오르고 그때는 무시무시한 일이 일어날 수 있어요."
[제작진]
기획•연출: David / 영상취재: 박영일•김태훈 / 편집: 정용희•현승호 / 콘텐츠디자인: 옥지수 / 인턴: 권도인
[비즈니스 문의]
교양이를 부탁해, 출연•협찬•콘텐츠 문의: davidhan@sbs.co.kr
#비디오머그 #서울전셋값 #차별적시장 #국토부의한계 #부동산미래 #교양이를부탁해

Пікірлер: 624
@videomug0
@videomug0 17 күн бұрын
와 함께하는 서울대 김경민 교수의 '전세사기' 파헤치기 ▶www.youtube.com/@KKMinsight
@user-qh1xt6zj7g
@user-qh1xt6zj7g 16 күн бұрын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15 күн бұрын
​@@user-qh1xt6zj7g우린 한국을 먼저 더 걱정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ㅎㅎ 한국은 관광지 바가지 상술이랑! 외국인한테 택시 값 덤탱이 씌우는 행동은 하지 말아주었으면ㅠㅠ 그리구 사탄을 숭배하고 옹호하는 컴ㅍ즈 커피! 저눈 절대~~절대 안 마시구🤮 사탄숭배옹호~ 나라 대한민국ㅎㅎㅎㅎ
@venolf
@venolf 16 күн бұрын
“집은 Buying 하는것이 아니다 Living 하는것이다. 이런 가스라이팅 더이상 하면 안돼요. 그러면서 자기들은 다 집 샀잖아요”
@jhk1356
@jhk1356 15 күн бұрын
SBS
@user-ez9el1cj5f
@user-ez9el1cj5f 15 күн бұрын
노무현과 문재인 정부
@user-cm9xl2ps1t
@user-cm9xl2ps1t 15 күн бұрын
@@user-ez9el1cj5f 왜 이명박하고 박근혜때는 떨어졌냐
@user-gz5li6ln9v
@user-gz5li6ln9v 15 күн бұрын
@@user-cm9xl2ps1t2배 폭등은 안했죠
@yoon8317
@yoon8317 15 күн бұрын
대출받아 전세 매매 Buying하다 사기당하고 폭락해도 피해자라고 정부한테 물어내라고 가스라이팅 하면 안된다.
@HY-id9jt
@HY-id9jt 16 күн бұрын
주택바우처 주면 안돼요. 바우처만큼 월세가 오르고 집값을 더 밀어올릴 거예요. 전세가가 많이 오른다고 전세대출 해줬더니 집값이 올라서 젊은 층이 집을 사는게 더 어려워졌을 뿐이죠. 어려운 사람 도와 주겠다고 부동산에 돈이 들어가게 만들면 후발주자의 부담을 키워서 자본축적을 방해하고 변동성을 키울 뿐입니다.
@dohyunbarg
@dohyunbarg 15 күн бұрын
교수나부랭이도 거짓말을 하고 자빠졌다.
@watermelon3926
@watermelon3926 14 күн бұрын
제 생각하고같으시네요
@rachelim2747
@rachelim2747 14 күн бұрын
집주인을 못밀어내니 생각해낸 방법인듯해요. 저분도 임대인을 배제한 제도는 말을 못하겠죠
@kyunakim4215
@kyunakim4215 16 күн бұрын
그럴듯한 얘기하는 것 같이 자세히 들어보면 진짜 뜬구름잡는 소리. 월세바우처하는 순간 입찢어지게 웃는건 임대인,건물주. 바우처되는만큼 월세 올린다.
@user-lf6ne7oy1g
@user-lf6ne7oy1g 16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늘 신뢰하면 출연하시는 방송 다 찾아보는 1인 입니다. 월세바우처는 좀더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전세대출 70~90%되는 순간 전세금 올랐어요. 지금도 대기업에서 월세보조 해준다고 하는 순간 주변 부동산 월세가격 상승 하죠. 월세바우처는 결국 월세가 상승 입니다.
@yk-bw6hb
@yk-bw6hb 16 күн бұрын
월세 바우처는 임금상승이 어러워지고 기업의 경쟁력을 잃게 될 것입니다. 단지 부동산 가격을 지키기 위한 편법적 수단이라 봅니다. 즉 기업의 가치는 떨어지고(주가하락) 일자리는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봅니다. 일본이 월세 바우처를 시행하고 있는데 그동안 부동산 가격이 상승 했나요? 기업의 가치가 상승했나요? 실패한 정책이라고 봅니다.
@nanringo
@nanringo 16 күн бұрын
ㅋㅋ 이교수를 믿는다고? 기득권 이세요? 아님 워너비 기득권?
@user-bv2du6ju8s
@user-bv2du6ju8s 13 күн бұрын
@@nanringo 당신은 김제동을 믿는다구요? 라인사태 뜨자마자 독도 가서 소니 카메라로 찍고 있는 조국을 믿는다구요? ..아니 그걸 떠나서 김일성 김정은 3부자를 믿는다구요???
@coingoblin
@coingoblin 6 күн бұрын
@@user-bv2du6ju8s 이 교수나 김제동이나 거기서 거기임.
@user-ys3vz3hx1z
@user-ys3vz3hx1z 16 күн бұрын
흑석 김의겸선생보면 답이 딱나옴...흑석동이득을 사회환원한다더니 서초동아파트구입..말로는 강남살지말라면서...
@user-ik5ut1iu8h
@user-ik5ut1iu8h 15 күн бұрын
국토부장관에 김현미 원희룡이라니 에레이
@user-nr3tm1nh1r
@user-nr3tm1nh1r 14 күн бұрын
서초동 아니고 우면동.
@tgpark1274
@tgpark1274 13 күн бұрын
서민들만 붕어가재인거죠
@ryanlee36
@ryanlee36 13 күн бұрын
쳐주길 넘이죠^^
@user-dk9yj7sf7g
@user-dk9yj7sf7g 16 күн бұрын
4~5년 전부터 '3기 신도시'가 어떻고 '사전분양'이 어떻고 했던 정부의 발표가 전부 사탕발림 같은 얘기였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국토부장관이 집값 14% 밖에 안 올랐다고 TV 카메라 앞에서 주장하던 걸 생각하면 아직도 화가 납니다.
@user-jn5ep7dp5x
@user-jn5ep7dp5x 14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미친듯이 지지하는 국민들ㅋㅋ
@user-mm4zr8hd7d
@user-mm4zr8hd7d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그래도 다수당
@je.k7518
@je.k7518 11 күн бұрын
사전분양자체가 미분양을 예상하고 막기위해 만든 정책이라 생각함. 이미 미분양이 일어나고 있기에 없엔거라 보면됨. 그것은 즉 앞으로 집값은 장기적으로 계속 하락할것이라는 이야기.
@user-fe6ly1hp3x
@user-fe6ly1hp3x 5 күн бұрын
더불당 찍는 븅딱들이 국민의 반 ㅋㅋㅋㅋㅋ
@joonkim2906
@joonkim2906 16 күн бұрын
전세 대출만 안해주면 집값 내려 갑니다. 복잡하게 생각 할 필요 없어요
@j_4nokptydgh
@j_4nokptydgh 14 күн бұрын
은행만 이익!!!
@user-bn9mp4jz3t
@user-bn9mp4jz3t 13 күн бұрын
그럼 월세가 올라가죠…
@rodeo5284
@rodeo5284 11 күн бұрын
요즘 이런 전세대출 금지 요청이 유행인데, 집이 모자르면 서로 경쟁을 할수 뿐이 없고 집에 관심과 준비가 부족한 사람은 나중에 정부탓 투기꾼탓 하게 되어 있다. 물론 경제적으로도 후순위 선택자로 몰릴 것임.
@nonnonno-sx5mk
@nonnonno-sx5mk 11 күн бұрын
집값 내려가는 정책을 필거 같아요? 어떤 정부가 와도 그런 정책은 안핍니다.
@nonnonno-sx5mk
@nonnonno-sx5mk 11 күн бұрын
노년층 대부분이 부동산에 몰빵한 구조인 나라에서 부동산 하락시그널을 주려고 한다? 문재인이 폭등기에 과연 부동산 하락을 위한 정책을 폈는지 보면 됨.(안그랬다는거임)
@user-dm7os8vn3p
@user-dm7os8vn3p 16 күн бұрын
순살 아파트 짓는 건설사 퇴출하고, pf 부실 건설사 퇴출하고 건강하고 투명한 건설사들이 우뚝 서는 건전한 사회가 되어야
@user-ps1cp1fe9x
@user-ps1cp1fe9x 16 күн бұрын
더비싸지는데 ㅋㅋ
@aaa4wgzu
@aaa4wgzu 16 күн бұрын
창업하세요
@userghai123
@userghai123 16 күн бұрын
분양가를 더 올려야 가능
@user-dm7os8vn3p
@user-dm7os8vn3p 15 күн бұрын
@@user-ps1cp1fe9x 지금 충분히 비싸고 철근 누락하고 지어서 덜 비싸다는 개 소리는 집어치워요 ㅎㅎㅎ
@user-dm7os8vn3p
@user-dm7os8vn3p 15 күн бұрын
​@@userghai123 개 소리는 집에서 가족들이랑 하세요 ㅎㅎㅎ
@user-ps7ju4mh7j
@user-ps7ju4mh7j 15 күн бұрын
전세대출 진짜 없애야 한다
@trustme5613
@trustme5613 15 күн бұрын
그럼 또 월세 돌면서 거지됨, 저거라도 있어야 됨
@fire-dick
@fire-dick 14 күн бұрын
​@@trustme5613 무슨 월세살면 다 거지인줄 아는 멍청한놈이 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급에 살아라는 말이다 이넘아~ 돈도없는놈이 전세땡겨서 비싼 아파트 살생각 하지말고 ㅋㅋㅋ
@user-qd6ox3jt3g
@user-qd6ox3jt3g 13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떨어져서 집을 사겠지.
@user-xy1yq1vu2w
@user-xy1yq1vu2w 7 күн бұрын
그럼 원룸 100만원 주고 살던가하세요
@user-bc4cb2kp2o
@user-bc4cb2kp2o 16 күн бұрын
문제는 결혼을 할 수 있는 자체가 자본이 있는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이고 그렇게 해서 결혼해서 증여받고 애도 낳으면 출산ㄱ하 관련해 청약 기회 등 각종 혜택을 부여합니다. 취약 계층은 결혼도 못하고 당연히 출산도 못하는데 자산취득(부동산)을 못하니 격차는 더 벌어짐… 빈부격차는 더 벌어져요.
@user-pw1sm8yw2s
@user-pw1sm8yw2s 16 күн бұрын
전세자금대출 줄이라고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17 күн бұрын
그냥 기득권이 해처먹으면서 양극화가 된거지. 나이를 떠나서 계속 해먹은게 문제.
@andyjj5789
@andyjj5789 16 күн бұрын
이게 자본주의
@user-dz9qm6yj6x
@user-dz9qm6yj6x 16 күн бұрын
소득세 상위 10프로가 80프로 내는데 그러면 밑에사람들 속득세 50프로씩 내던가
@user-ps1cp1fe9x
@user-ps1cp1fe9x 16 күн бұрын
@@user-dz9qm6yj6x 지금2030 연금받으려면 어차피 소득세60퍼내야함ㅋㅋ
@pedric09
@pedric09 16 күн бұрын
@@user-dz9qm6yj6x 그럼 뭐해? 그냥 세금도둑들이 온 사방천지인데. 80프로 내도 10억 해먹을거 100억 해먹고 1000억을 해먹으니 세금이 계속 거덜나지.
@user-bz8vd5kx7u
@user-bz8vd5kx7u 15 күн бұрын
​@@andyjj5789자본주의는 상위 10%가 부자고 공산주의는 상위 0,1%가 부자고
@user-xx9vx5nm6s
@user-xx9vx5nm6s 14 күн бұрын
이 교수님 뭔가 예측하면 다 틀리시던데….
@seongdaeson6951
@seongdaeson6951 17 күн бұрын
전문가는 없다...지나고 보면 우연히 맞추거나 틀리거나 이도저도 아니거나...
@chaostar88
@chaostar88 16 күн бұрын
전문가보다 시장 교란하는 사기꾼들이 너무 많은게 문제임. 그 놈들이 부동산 시장 이렇게 만든거고 출산율 말아먹어서 나라 망하게 만든거임. 이걸 2000년대 떳다방으로 거품 생길 때 잡았어야 했는데... 정부가 아무것도 안함.
@StormshieId
@StormshieId 16 күн бұрын
출산율 0.6 서울은 0.55 이게 우연? 백날 외면해보소 우리나라는 지금 부동산에 미쳐버린 586들 기성세대들 때문에 끝없는 나락의 터널로 빨려 들어가고 있지.
@user-bg4bs1mm4x
@user-bg4bs1mm4x 16 күн бұрын
선생님이 전문가 입니다.
@user-yy5iq9rn7u
@user-yy5iq9rn7u 16 күн бұрын
님이 전문가 하십쇼
@xxpk9901
@xxpk9901 16 күн бұрын
고장난 시계도 하루 2번은 맞춥니다 ..한가지만 계속 주장하면 .. 맞추게 되어있어요... 전문가는 많은 지식을 가진 사람이지 많이 지식이 있다고 미래의 상황을 맞추는건 아닙니다.
@user-jy8xz5mx6v
@user-jy8xz5mx6v 16 күн бұрын
김경민 교수님 국토부가 금융기관이 되서 지원하라면 결국 부동산 가격을 떠 받치라는 것인데. 전세가가 너무 오르면 누가 비싼 전세를 들어갈수 있을까요. 재산이 아닌데. 즉 주택가격이 현재처럼 너무 비싸면 살수있는 수요가 없고 결국 전세가는 떨어져서 갭투자를 할수없게 되는거죠. 교수님은 돈없는 사람들을 부추켜서 투기를 조장하고 있네요.
@jamokjam3976
@jamokjam3976 15 күн бұрын
미국의 국토부 시스템을 확인하고 교수의 말을 다시 이해하면 투기조장이란 말이 안나올거라 생각해, 미국의 국토부는 집값을 떠받치는 시스템의 금융지원이 아니니까.
@user-mt2dc1ib4c
@user-mt2dc1ib4c 12 күн бұрын
김경민교수말이 진리다. 좀더공부해바. 부정되는건 당신이 무주택이거나 주택이 있어도 이사가고싶은데 돈이 모자르거나 둘중하나라서 그렇겠지
@user-fj9qx3qo5o
@user-fj9qx3qo5o 16 күн бұрын
주택 바우처? 임대료 지원? 시중에 돈풀려 인풀레이션은 우짤라고 ㅎㅎ 미국미국 하는데 미국 도시 부동산 상승은 더심함.
@user-dz9qm6yj6x
@user-dz9qm6yj6x 16 күн бұрын
미국 월세 4인 쉐어하우스 인당 500만원 혼자쓰면 2000만원 감당 가능? 고고?
@sinuremi
@sinuremi 16 күн бұрын
결과적으로 집값 오를거니까 젊은사람들이 영끌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저렴하게 대출 많이 해주라는건대 이게 과연 젊은사람들을 위한건지 물러있는 기성세대를 위한건지 결과가 궁금하내요 ㅎㅎ
@user-tl5qr3fl1q
@user-tl5qr3fl1q 15 күн бұрын
그럼 그냥 월세 계속 사시면 되죠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15 күн бұрын
​@@user-tl5qr3fl1q우린 한국을 먼저 더 걱정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ㅎㅎ 한국은 관광지 바가지 상술이랑! 외국인한테 택시 값 덤탱이 씌우는 행동은 하지 말아주었으면ㅠㅠ 그리구 사탄을 숭배하고 옹호하는 컴ㅍ즈 커피! 저눈 절대~~절대 안 마시구🤮 사탄숭배옹호~ 나라 대한민국ㅎㅎㅎㅎ
@junicoon2
@junicoon2 15 күн бұрын
여전히 그런생각을 하다니 안타깝네요..
@sherrywhiskey
@sherrywhiskey 15 күн бұрын
이렇게 그럴싸하게 얘기하는 사람들도 막상 감투 씌워주면 결국 똑같음ㅋㅋㅋ
@hydranboa1100
@hydranboa1100 16 күн бұрын
공급량 통계 누락됐는데 그 수치 업데이트하고 강의한 건지 궁금하다.
@jkijljbnj7165
@jkijljbnj7165 16 күн бұрын
누락된 거 감안해도 공급량 계속 줄어드는 건 부인할 수 없는 확실한 추세예요. 2015년 이후 급격히 지속적으로 감소.
@user-qd1sq8nb7u
@user-qd1sq8nb7u 16 күн бұрын
감소였던게 증가가 되어서 하는 얘기아닙니까?
@jkijljbnj7165
@jkijljbnj7165 16 күн бұрын
@@user-qd1sq8nb7u 과거랑 비교해 보세요. 누락된 거 합친다고 그게 감소였던 게 증가가 되는 건지.
@jkijljbnj7165
@jkijljbnj7165 16 күн бұрын
@@user-qd1sq8nb7u 게다가 착공기준으로 보면 앞으로 3년 정도 암담합니다.
@hydranboa1100
@hydranboa1100 16 күн бұрын
@@jkijljbnj7165 십 줄은 거랑 백 줄은 거랑 다르니 대책도 다르겠지.
@gentleman419
@gentleman419 17 күн бұрын
정치권이 건설사, 부동산업계, 지지층 눈치보며 집값거품 떠받치기에만 올인 안해도 주택시장 정상화는 가능. 부동산 시장 거품 떠받치는 한, 한국 경제, 사회 왜곡현상은 지속될 것.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1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이재명 기본소득 25 현실화가 필요합니다.
@drafj6412
@drafj6412 16 күн бұрын
근데 웃긴건 먹고 살만하게 경기가 좋아지면 또 부동산 폭등함
@pedric09
@pedric09 16 күн бұрын
@@drafj6412 집값이 어느일선에서 더 이상 오르지 못하도록 막고 실제로 거주가 목적인지 투기가 목적인지도 따지고 외국인이 부동산 구매를 못하도록 하는등 어느정도의 규제를 해놓으면 지금처럼 심하게 폭등하지는 않을거같음.
@drafj6412
@drafj6412 16 күн бұрын
@@pedric09 외국인 부동산 구매 비중은 얼마 안되고 거주와 투기를 구분하는건 다주택자 세금인데 그러면 전세값이 오르고 .. 근본적인 문제는 지방이 소멸인데 지방이 소멸 될수록 수도권에 인구가 몰리고 그래서 집값이 상승하는 것이라 규제나 세금으로는 한계가 있음 해결책은 노무현 정부에서 추진했던 지역균형 발전이지만 진보 보수 그 누구도 이젠 관심이 없음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15 күн бұрын
​@@drafj6412우린 한국을 먼저 더 걱정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ㅎㅎ 한국은 관광지 바가지 상술이랑! 외국인한테 택시 값 덤탱이 씌우는 행동은 하지 말아주었으면ㅠㅠ 그리구 사탄을 숭배하고 옹호하는 컴ㅍ즈 커피! 저눈 절대~~절대 안 마시구🤮 사탄숭배옹호~ 나라 대한민국ㅎㅎ
@user-de8je9pk4r
@user-de8je9pk4r 16 күн бұрын
김경민 교수님 인사이트 최곱니다 👍
@user-vb9xq8gh4r
@user-vb9xq8gh4r 16 күн бұрын
정말 강의 잘 들었습니다!!! 👍
@marine-xw5gu
@marine-xw5gu 16 күн бұрын
앞으로 30년 뒤에 우리나라 인구가 1,800만으로 내려 간다고 하는데 교수님 이론으로는 우리나라는 다 서울에 모여서 살아야 되겠네요ㅋㅋ
@user-cl5nb6fp9c
@user-cl5nb6fp9c 16 күн бұрын
네 30년뒤에 집사세요
@marine-xw5gu
@marine-xw5gu 16 күн бұрын
@@user-cl5nb6fp9c 지금사도 30년 주담대 ㅋ 하지만 누가 사줄까요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15 күн бұрын
​@@marine-xw5gu우린 한국을 먼저 더 걱정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ㅎㅎ 한국은 관광지 바가지 상술이랑! 외국인한테 택시 값 덤탱이 씌우는 행동은 하지 말아주었으면ㅠㅠ 그리구 사탄을 숭배하고 옹호하는 컴ㅍ즈 커피! 저눈 절대~~절대 안 마시구🤮 사탄숭배옹호~ 나라 대한민국ㅎㅎ
@user-te8xd9jg6k
@user-te8xd9jg6k 13 күн бұрын
서울,경기는 - 상해/동경이랑 경쟁할수 있고, 그럼 지방은? ㅋㅋㅋ 대한민국이 아닌가벼...
@user-px1lu3fr3v
@user-px1lu3fr3v 16 күн бұрын
집 못사게 무주택자는 청약 로또 당첨 될 것 처럼 부추기고 그렇게 집 못사게 하고 빌라 시장은 다 망가뜨리고 빌라 사는 사람은 바보 되는 정책. 역전세는 정부정책 책임도 있다.
@user-oi2if7xy9r
@user-oi2if7xy9r 16 күн бұрын
한국 국토부가 미국 HUD처럼 금융업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지적은 정말 다른 분들이 못했던 좋은 지적입니다. 그런데 한국 국토부가 과연 그렇게 변할 수 있을지 심히 의심스럽군요. 그런 거대집단의 체질을 완전히 바꿔야하는데…
@park-xg1df
@park-xg1df 15 күн бұрын
다 좋은데 정부가 개입할수록 시장이 이상해집니다. 17년부터 청년들 주거안정을 위해 전세자금 대출을 lh공사 중소기업청, 지자체, 주택기금등 알수도 없는 정부혹은 지자체 청등이 무분별하게 전세자금 대출을 해주었읍니다. 좋은일 하려다 지금의 전세사기라 불리는 상태가 생겼읍니다. 돈 없으면 전세 안구하면 전세값 안올라가지 않나요? 당연한건데 전세를 대출로 구하는게 문제인것 같은데... 전세대출 총량을 제한하는 장치가 전혀 없고 인식도 못하는데.... 아파트는 다세대 빌라는 둘째치고 다가구주택 등 한꺼번에 세입자들이 돈 돌려달라면 돌려줄수 있는 주인없읍니다. 이게 전세사기가 되고 있는데... 은행도 한꺼번에 돈달라고 하면 10%밖에 준비금이 없는데... 전세는 진짜 돈있는 사람만 얻어야 전세가격이 오르지 않는다 생각하는데... 이상하게 전세사기라고만 하니 전세대출 총량을 제한해야지 .... 세입자들이 피해가 없지 갭투자도 줄어들고...
@fkduf4886
@fkduf4886 15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이 생각이 되게 짧아 보이는게, 영글 → 금리상승 → 거품붕괴 → 집값 현실화, 너무 단순하게 이 논리가 이루어 질꺼라, 이루어 지기만을 바라고 있음. 근데 디테일을 보면, 영끌족 대부분이 '있는집 자식' 들이었고(유튭 채부심 참고) '금리상승 → 거품붕괴' 시나리오가 일어난 곳은, 말 그대로 '없는집 자식'이 영끌한 노도강 정도였다. 그리고 주변 친구들이 대부분 장가를 잘가서, 처가 사정, 처가의 지인 사정, 처가의 지인의 지인 사정들 들어보고, 직급이 올라서, VVIP들 만나는 금융사 팀장, 이사급 만나보면, 아파트 30채, 50채, 100채, 오피스텔 30채, 50채, 100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우리나라에 은근 많다. 그 사람들이 30채, 50채, 100채 어떻게 가졌겠어? 기본적으로 '현금'이 바탕이 되니까 구매하고 사는거임. 현실이 이러한데, 폭락론자 애들에 어그로 끌리는 사람들은, 무슨 금리 몇% 오르면 다들 파느라 정신 없을꺼라 말하고, 사촌 아파트 사면 배아픈 심리에, 그렇게 자산시장이 붕괴되기만을 바라는데, 1. 금리가 올랐다는건 인플레란 이야기고, 인플레에선 자산 가격이 당연히 오르고, 영상에서 교수님이 말씀하신 아파트로 인플레 헷지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2. 그리고 강남, 강남과 비슷한 지역은 실거주민들이 이미 현금성 자산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기에, 몇% 오른건 본인 현금, 세입자 전가 등등의 방법으로 대부분 커버 가능하다. 3. 결국 '금리상승 → 거품붕괴 → 집값 현실화' 시나리오가 가능한건, 폭락론자 유튭을 바라보는 본인들의 자산밖에 해당이 안됨. 4. 그리고, '금리상승 → 거품붕괴 → 집값 현실화'가 이루어 진들, 본인들이 집살때 대출 필요한건 생각을 못함. 결국 금리상승에 본인들도 대출을 못 일으켜, 현실화된 집값을 감당하지도 못하고, 그냥 세입자만 전전 하는거임. 5. '인구가 줄어드는데 당연히 집값은 현실화 된다' 이렇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가장 좀 어이가 없는데... 본인들이 살고싶어하는 서울 주요 입지는 이미 본인들이 살수있는 수준을 넘어섰음. 그말인 즉슨, 인구가 줄어든들, 주요 입지 아파트를 거래하는 시장은 본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님. '인구가 줄어드는데 당연히 집값은 현실화 된다'가 적용되는 시장은 일반 서민 시장이고, 주요 입지 아파트 시장은 이미 사치재가 거래되는 시장이라, 저런 일반론이 적용이 안되는 시장임. 이미 자산과 현금을 보유한 어나더 레벨의 사람들만 거래하는 시장이고, 가끔 개천에서 용도니 사람들만 접근 가능한 시장님. 결국, '인구가 줄어드는데 당연히 집값은 현실화 된다' 라는 일반론은, 저 사치재 시장엔 아예 적용이 안되거나, 되더라도 가장 마지막에 적용될것임. (부자 나라든 못사는 나라는 상류층은 존재하고 그들만이 거래하는 시장이 되거가고 있다는 뜻임) 6. 이런 상황에 공급마저 인플레로 계속 줄어든다? 재개발 재건축 추진에 악마 프레임을 씌워 안되기만을 바란다? 바우처 주면 바우처가 레버리지가 되어 집값을 올린다? 다 그냥 본인들 무덤파는 소리로 밖에 안들림. 토건업자들이 아무리 미워도, 좋은 입지에 분양을 해야 서민들도 '그사세'에 접근 가능한거고, 돈에 환장해 보이는 좋은 입지의 재개발 재건축 추진 주민들이, 그래도 추진을 해야 서민들이 '그사세'에 접근 가능한 거임. 아무리 사회게 뒤틀려 보여도, 시장의 기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해야지, 우리는 이미 몇년전에 봐 왔자나. 시장에 맞서는 정부가 대규모 유동성 파도를 맞고 집값을 얼마나 끌어 올렸는지... 결론은, 당장 일어나지 않을 '거품붕괴', '인구부족' 레토릭에 휩쓸려 현실 낭비하지 말고,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하는지, 현실을 살기 바람. 오늘이 가장 쌌다라는 말이 현실이 될 수 있으니...
@user-ln5of1hb1m
@user-ln5of1hb1m 16 күн бұрын
걱정하지마세요. 다음 세대는 MZ세대보다 더 가난할 거에요. 연금으로 30% 내야 된대요. 세금도 더 많이 내야 할 거에요.
@jongmyungkim81
@jongmyungkim81 16 күн бұрын
와 정말 논리적이시고 말씀도 잘하시네요
@user-om4ge3li1w
@user-om4ge3li1w 13 күн бұрын
living 맞으니깐 buying 해야 되는게 맞지 living 개념으로 사야되는데 investing 개념으로 사니깐 그러지 말라는거고. 왜 living하면 안 사는 걸로 받아들이는지 모르겠다
@naldoreo6007
@naldoreo6007 15 күн бұрын
공급을 건설사만의 것인양 표현하면 안됨 주 공급원은 현재 보유한 집주인들..이들이 팔도록 양도세완화 그리고 2주택자 이상의 보유세강화를 해야함. 금융관점? 그건 미국 월가식 표현. 공공재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
@mjsheen8445
@mjsheen8445 15 күн бұрын
비리 투성이 MB를 좋아하지 않지만 건설사 출신으로 주택정책만큼은 그때 잘했지. 늘어나는 1인가구 주택 공급을 위한 다양한 제도가 나온게 그때.
@hjlee8844
@hjlee8844 16 күн бұрын
진짜 맞는 말씀을 논리적으로 하심.
@dal22
@dal22 16 күн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aroolddeal142
@aroolddeal142 15 күн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user-rt2ri8cy7f
@user-rt2ri8cy7f 16 күн бұрын
충분한 공공임대아파트 공급이 필요하다
@user-oj6fq8dh1f
@user-oj6fq8dh1f 16 күн бұрын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 12억(2023년11월 통계치) = 100년간 매달 100만원 저축 = 한탕사기 징역1~2년 or 인생포기
@beajinsu
@beajinsu 15 күн бұрын
환경대학원 교수가 부동산만 연구해 ㅋㅋㅋㅋㅋㅋ
@user-mb9vq1en8x
@user-mb9vq1en8x 10 күн бұрын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은 광범위한 의미의 환경을 연구하는 곳으로 도시 및 지역계획, 환경계획, 교통계획, 조경계획 등의 전공이 있습니다. 김경민 교수님은 그 중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의 교수입니다.
@capriccio1121
@capriccio1121 16 күн бұрын
70년대 미국이 스태그플레이션 하에서 집값이 오른 것은 그만큼 고성장 시기였기 때문이고 한국은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고 고령화와 인구 감소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데 상황이 많이 다르다고 봅니다. 물론 저출산 저성장 국면에서 집값이 폭등한 사례는 있지만 그건 금융 위기 이후의 양적 완화와 제로금리 때문이었습니다. 과거의 사례와 현재의 사례를 비교할 때 한두 가지 요소만 보면서 "그 때도 그랬으니 이번에도 그럴 거야" 라고 말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합니다. 무엇보다도 PIR을 생각하자고요. 주식에서의 PER처럼 부동산에서도 PIR을 생각하면 답이 나옵니다. 지금은 역대급 PIR로 여기서 더 집값이 오른다든가 양극화가 된다든가 할 여력이 별로 없습니다. 투자수요? 투자수요도 실수요가 떠받쳐 줄 때의 이야기입니다.
@munnike7911
@munnike7911 17 күн бұрын
노태우때 집값보면 답나옴 감당안될정도로 아파트 지어내면 무조건 해결됨.
@user-hr7yk8ys4s
@user-hr7yk8ys4s 17 күн бұрын
중국
@knockknockyoo5812
@knockknockyoo5812 16 күн бұрын
살 사람이 없는데 누가 아파트를 지을까요? 건축업자 투자자 모두 투자안할겁니다.
@user-ki5dj1rh6w
@user-ki5dj1rh6w 16 күн бұрын
인서울 우수한 지역에 건설해야 되는데 인서울 우수한 지예 땅이 없다고 무식아.. 결국은 서울 집값은 잡는게 아니라 우상향이 현실
@user-cx8xo7bz3l
@user-cx8xo7bz3l 16 күн бұрын
그때랑 다르지 으이그... 그 때는 젊은 층 인구가 지금보다 훨씬 많을때였다.
@user-qh5ib2ry8u
@user-qh5ib2ry8u 16 күн бұрын
인건비 자재비 오르는데 누가 건설합니까? 국가가 세금으로 한다면 가만히 있을까요?
@user-md9yw4ut2d
@user-md9yw4ut2d 16 күн бұрын
바우처는 반대~~분명 집값 상승의 원인이됨
@user-fr2fp6fd6e
@user-fr2fp6fd6e 16 күн бұрын
현재 60년대생 은퇴자 860만명이 아파트 매물을 내놓고 있고 경제성장율은 후퇴하고 있기 때문에 자칫 일본을 따라가는 수가 있을 것 같네요. 정신 바짝 차려야합니다.
@user-fy1gp5ll1u
@user-fy1gp5ll1u 13 күн бұрын
일본도 베이비봄 세대 대량 은퇴할때 도쿄 핵심지 부동산 폭락할줄 알았는데 웬걸 공급도 부족하고 은퇴세대도 도쿄 인프라를 포기 못했지 폭락은 없었고 시세는 유지됐음 한국 60년생 은퇴자들의 아파트 매물은 외곽에서나 일어나고 강남3구 및 근접한 지구는 가격은 유지될듯 공급도 부족하고 일본과 똑같은 길을 갈듯
@user-mm4zr8hd7d
@user-mm4zr8hd7d 13 күн бұрын
외국인이 매년 5만명씩 유입되는 상황인데 수도권 부동산 우상향 함. 중국부동산 완전 침체에 빠져서 베트남 인도 한국 부동산이 투자대상이 되서 계속 오를거임
@nonnonno-sx5mk
@nonnonno-sx5mk 11 күн бұрын
@@user-mm4zr8hd7d 그 애들이 한국에 정착하는 고급노동자들이어야 맞는 말.
@bchlee4583
@bchlee4583 16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bluekim634
@bluekim634 16 күн бұрын
지금도 학군으로 집값이 결정되는게 이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자녀들을 초중고교 최소 십여년 동안 키울만한 동네인가 아닌가. 또 자녀가 성인이 되었거나 독립했어도 그런 동네는 부부나 가족이 살기에도 유해시설도 적고 주민들 수준도 대체적으로 비슷하니까 어느정도 안정적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도 그나마 거기도 모나고 불량한 학생들이야 있지만 상대적으로 적을 확률이 높고 슬럼화되어서 집값이나 월세 전세가 싼 동네는 반대로 그 반대의 환경과 균일하지 못한 사람들의 수준과 동네에 애착이 없고 이사도 자주 다니니 환경이나 사람들 수준이 위 좋은 동네와 반대가 되는것이구요
@imlee67
@imlee67 16 күн бұрын
안철수의 생각 을 읽었을 때 느낌이 드네!! 수영도 책으로 배운 인간이란 느낌!!!
@user-he8rp1qu1x
@user-he8rp1qu1x 16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예를 들어, 지금 벌어지고 pf 사태만 봐도 분양이 안되고 사업성이 떨어져서 생긴 문제고 그건 과잉공급때문에 생긴 문제 아닌가요?? 수도권과 서울은 사정이 완전히 다른가요?? 어딜봐서 공급부족이란 건지...이해가 안되네요. 빌라시장이 급속히 줄어들면서 전세수요가 아파트로 몰리고 있는 건 익히 들어 알고 있지만 아파트 공급이 모자르단 얘기는 금시초문이네요. 그럼 애초에 pf위기는 왜 왓는지.. 진짜 이해가 안되서 그럽니다.
@infamous1919
@infamous1919 16 күн бұрын
현 PF사태는 공급과잉 때문에 생긴 문제가 아니며, 또 수도권과 서울은 사정 다른게 맞구요. 아파트 공급 부족은 많은 전문가 분들이 연초부터 예상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공급부족은 근 몇 년 상대적 통계치로 판단한거로 알고 있어요.
@user-ww1ep7wl9y
@user-ww1ep7wl9y 16 күн бұрын
pf위기는 지방이 대부분이고 아파트 공급은 서울 기준 공급량 부족입니다 통계를 보시오 그리고 빌라가 부족해서 아파트로 몰리는게 아니구요 사람들이 아파트를 선호하니 (물론 전세사기 회피목적도 좀 있어요) 빌라 오피스텔을 짓지 않아서입니다 그리고 빌라 오피스텔 안짓는 이유는 1. 아파트 선호 2. 원자제값 상승 3. 금리 상승여파 등등 많습니다
@user-ki5dj1rh6w
@user-ki5dj1rh6w 16 күн бұрын
서울 수도권 살고싶은 희망 지역 공급부족!! 서울은 지을 땅도 없음!
@user-qh5ib2ry8u
@user-qh5ib2ry8u 16 күн бұрын
공급부족맞아요. 서울아파트에 살고 싶은 사람이 얼마일까요? 새아파트로 가고 싶은 사람은 얼마일까요? 시골의 쓰러져가는 집까지 통계해서 공급이 충분하다는 건 말이 안되죠?
@zk2946
@zk2946 14 күн бұрын
2부 존버했는데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kylecha7949
@kylecha7949 15 күн бұрын
전세제도만 없어지면 알아서 떨어진다 은행에서 나온 돈 가지고 이자 장사만 하고 돈버는 은행이 세계 어느 나라에 있는지 찾아봐라 sbs 안팔고 정부에 손벌리고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 누군가 사서 다 팔고 전세를 이용해서 자기돈 최소로 땡겨서 나눠 먹는데 그만한 자산 없으면 진입을 못하는 세대만 노예 되는 원리가 어렵냐??
@user-uw1sb6dc4q
@user-uw1sb6dc4q 16 күн бұрын
대박!! 환경을 위해 노력해야 겠어요!
@user-hu4su8ek4n
@user-hu4su8ek4n 15 күн бұрын
똑똑한 젊은 청년들이 얼마나 많은데 정치권에서 이 어려운 문제를 아무도 한마디 못한다는 현실이 . . . 출산율 노령화 부동산 내수경제 여러가지 사회문제 . . . 하나도 제대로 되는게 없는 이상한 나라. . . 매일 자기들끼리 권력 지킬려고 교도소 보낼 궁리나 하고. . .
@SeunghwaSongSteve
@SeunghwaSongSteve 15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주거지원복지 허점 이용해서 스쿼터 같은 애들이 월세 안내고 눌러 앉으면서 지원금받는 경우도 생김. 국토부가 금융기관이 되라는 말이 도저히 이해가 안감.. 철근 빼먹는것도 제대로 관리 못하는데. 적시에 공급조절 못해서 급격한 공급충격 준것도 국토부 정책 잘못이고, 그걸 무슨 금융으로 해결한다는건지
@KoreaSOS
@KoreaSOS 16 күн бұрын
얼마전까지만 해도 ai기술은 먼미래 같았는데 점점 현실로 들어오네요. 앞으로는 정말 직업도 주거환경 등 전부 영향 받겠네요😮
@freetv8029
@freetv8029 16 күн бұрын
전 세계 어느 세대이든 사회초년생이 가장 가난하게 시작하는거 아니었나요?? 근로를 해오던 기존 세대가 더 가난하거나 초년생과 동일해야한다면 처음 초년생이었던 사람들은 그 다음해부터 새로운 초년생에게 자리를 넘겨줘야하는데, 어떻게 되는거에요??
@mk-qj9hc
@mk-qj9hc 15 күн бұрын
강의 너무 좋네요. 어디서도 들을 수 없었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yk5ri4du1g
@user-yk5ri4du1g 15 күн бұрын
이분 말 잘하네 누구임? 부동산 및 심리 경제 사람과의 이해 등 똑똑한분인듯 정책도 연구하는거같고
@sdrdffghj_fgg446
@sdrdffghj_fgg446 16 күн бұрын
몇달 전까지 아팟 가격 거품이 많아 하락할거라 생각 했는데 가만 생각하니 물가도 많이 올랐더라 밥값이 두배가 되었는데 집갑 거품이 두배면 지금 가격은 거품인가 적정가일까? 참 힘드네.. 집을 살 수 있으려나...
@user-wq2fi5cv2b
@user-wq2fi5cv2b 1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소득도 두배 올랐어요?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16 күн бұрын
@@user-wq2fi5cv2b 개인의 소득보다 뭉쳐진 자산이 더 희소가치가 있어서 당연히 자산가치가 올라가는 속도가 더 빠름. 유일한 예외는 전쟁직후 뿐입니다.
@user-jl3ds4zn3g
@user-jl3ds4zn3g 16 күн бұрын
​@@donghyuncho5861자산가치는 오르는데 소득이 못따라가면 더힘들거 깉은데? 물가 집값 다오르는데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16 күн бұрын
@@user-jl3ds4zn3g 그래서 하루라도 빨리 내가 사는 집은 내 명의로 해야 되는 겁니다. 그것이 시작이 되겠죠.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15 күн бұрын
​@@donghyuncho5861우린 한국을 먼저 더 걱정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ㅎㅎ 한국은 관광지 바가지 상술이랑! 외국인한테 택시 값 덤탱이 씌우는 행동은 하지 말아주었으면ㅠㅠ 그리구 사탄을 숭배하고 옹호하는 컴ㅍ즈 커피! 저눈 절대~~절대 안 마시구🤮 사탄숭배옹호~ 나라 대한민국ㅎㅎㅎ
@BYDkorea
@BYDkorea 16 күн бұрын
부동산 물린자들의 발악일 뿐, 극소수 최상위권 주거지 제외 전부 무너질듯
@mkp8936
@mkp8936 17 күн бұрын
기득권
@gopositivelee3639
@gopositivelee3639 11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떨어지려면 주변에 신축이 싸게 대규모로 공급 되어야 하는데 건축비 인건비 폭등으로 신축이 훨씬 더 비싸게 분양 되는데 주변 구축 집값이 어떻게 떨어질수 있을까 ? 신축 원가가 2배 오르지 않았따면 집값이 하락했을수도 있겠지만, 신축 공급 비용이 비싸져서 오히려 구축이 더 오를거 같은데 지금은 조금 저렴한 준신축 사는게 가장 좋아보임. 집값은 내거 팔고 더 싸게 매수 할수 있어야 집주인들이 파는데, 팔면 그가격으로 비슷한걸 더 비싸게 사야 하는데 팔수 있을까요? 집주인들도 집을 싸게 못팔아요
@MCsoon-bs2uk
@MCsoon-bs2uk 15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상승론자인줄 알았는데 되게 현실적인 분석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qo9ps7zy5o
@user-qo9ps7zy5o 16 күн бұрын
집값오른가장큰이유가 전세대출80%대출이라생각하는데 이제월세마져 올리려하네~~
@qwrghpore5563
@qwrghpore5563 16 күн бұрын
렌트가 자가보다 비용적으로 유리한건 명백하고, 장기 물가상승을 헷징할수 있는건, 비단 부동산만 있는것도 아니고, 미국주식 포함 다른 대체 자산도 얼마든지 있음. 미혼이거나 애 키울거 아니면 굳이 서울에서 살 필요도 없다. 서울 일부지역이 집이 수요에 비해 적은거지, 전국적으로 집은 지금도 충분함. 인구 줄고, GDP 성장 정체되는 나라에서, 일부 특별한 지역만 초과수익을 얻을거고 나머진 물가상승만큼 안오를 가능성도 있음. 마치 국장처럼 종목별 수익률 차이가 극과 극일거라 매물을 잘 골라야될것이다. 근데,, 왜 굳이 그렇게 힘든 투자를 해야하는가이다. 차라리 그 목돈 미국지수에 투자하고, 연 4% 씩 월세비용으로 인출해 살아도 충분한데. 물론 애 학군 떄문에 서울에 집 사는게 하나의 이유가 될수도 있겠지만, 지금 태어나는 애들이 향후 인서울 대학교 정원보다 적어진다고 하던데,, 그때도 다들 서율대 보내려고 아등바등할까. 내가 진짜 부자라면 망해가는 한국 대학 보낼바에야, 미국 유학보내겠음. 지방대학교 소멸되듯이, 어중간한 인서울 대학교도 점점 경쟁력을 잃어갈거라 생각됨.
@user-fw2sy4tm7b
@user-fw2sy4tm7b 16 күн бұрын
지방은 소멸해도 되나요 ?
@odinban2146
@odinban2146 12 күн бұрын
7:45 격하게 공감합니다 인구 줄고 있는데 코미디 하고 있는 거죠
@nahyoungkim5121
@nahyoungkim5121 17 күн бұрын
그동안 생각해왔던거 속시원하게 얘기해주십니다
@myvickyjiny
@myvickyjiny 16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너무 비싸구 오름세 기대 둔화료 매매로 안 가고 전세로 몰리는것이 전세가 상승의 원인중 하나 인듯합니다.. 부동산의 악순환 고리가 차단되길..
@user-bx4fj7ks7x
@user-bx4fj7ks7x 16 күн бұрын
23년 인구감소가 12만명인데 해마다 더 커진다 서울에만 2만2천명 11000가구가 줄어드는데 1인가구 증가를 감안하더라도 전체 가구수가 줄어들지 않을까? 가면 갈수록
@user-om4ge3li1w
@user-om4ge3li1w 13 күн бұрын
저출산 인구 감소인데 짓기는 뭘 지어요.... 공급 부족 현실화.. 두 개 동시에 말씀하시는데.. 서로 다른 지역 얘기죠?
@user-jk1jq1zv3t
@user-jk1jq1zv3t 16 күн бұрын
19:06 남양주가 이딴 생각으로 지식산업센터 존나게 허가해줬다가 지금 공실율 박터졌지... 별내에 현대그리너리 지었는데 건물 대부분 다 비어있고 1층 상가는 단 한곳도 안들어와있음 밤에도 불켜져있는곳 2~3군데 되나?? 네이버 부동산 보면 임대랑 매매 합쳐서 한 560개가 넘음 별내에만 지산이 3~4개 되고 바로 믿에 갈매도 여러개 다산도 여러개 죄다 공실임... 진짜 폭탄은 지산임 이거 터지면 한강다리 줄서야한다. 지산은 아파트나 이런거랑 다르게 한달 고정 관리비로 나가는것만해도 몇십만원임.. 대출금에 이자에 관리비까지 나가는거임 지산 지을때 대출 80% 해줬을건데 임대줘서 월세 받아먹으려던 사람 무덤이 되버림 용도도 정해져 있는거라 사무실같은거 말고는 다른걸로 쓰지도 못함 제조업은 평수가 죄다 기본 20평 이따위라 가내 수공업 할거 아니면 써먹지도 못하고 남양주에 쇼핑몰 물류창고 하는 분들은 상하차도 힘들도 가격대비 평수가 적어서 절대 안들어옴 조그만 더나가면 조립식 판넬로 지은 75평짜리가 150이면 빌리는데 누가 20평짜리를 80만원에 관리비 몇십 내면서 빌리겠음?
@bluekim634
@bluekim634 16 күн бұрын
현대그리너리 거기는 3월달인가 입주 시작해서 아직 다 들어오지도 않았을 것 같네요. 지산이 침체긴 한데 3월달 신축이니 비어있고 아직 안들어오는게 당연 ....
@user-jk1jq1zv3t
@user-jk1jq1zv3t 16 күн бұрын
@@bluekim634 남양주는 봄부터 이쯤까지 이사 시즌인데 들어올 업체 있었으면 벌써 들어 찼을겁니다. 제가 공장을 하기때문에 지산 관심있어서 계속 알아봤는데 지금 상황보면 이쪽 근방에서 거기 들어갈만한 업체 들이 없어요. 남양주는 서울과 그나마 가까운 물류창고로 대부분 사용하기때문에 평수가 작고 비싼 지산이 의미가 없습니다. 사무실로만 주변 지산들까지해서 채우려면 글쎄요.. 위례신도시 상가꼴 날거 같습니다.
@user-sk3vn3xb5f
@user-sk3vn3xb5f 16 күн бұрын
지식산업센터 폭탄이 핵폭탄급이죠 아파트보다 인허가 장벽이 낮아 막 지어댔으니 여기에 묶인 PF금액이 커서 금융사들 여럿 자빠질것
@user-sk3uf1bw7i
@user-sk3uf1bw7i 16 күн бұрын
지산 이건 어떻게 처리할지도 궁금 이미 들어간 사람들 답도없어보이는데 공실된거 활용이라도 가능한가?
@user-jk1jq1zv3t
@user-jk1jq1zv3t 16 күн бұрын
@@user-sk3uf1bw7i 사무실 용도 아니면 못써요. 나중에 임대하려고 분양받은 사람들도 답없이 그냥 임대 매매 둘다 걸어놓고 이자랑 관리비만 내고 있는 실정 몇달동안 렌트프리 걸어 놓고 입주자 기다리고 있죠
@seonmihwang9662
@seonmihwang9662 16 күн бұрын
가장 객관적이고 적절하게 현 부동산 시장의 문제와 실태를 잘 설명해주시는 것 같다
@heeut
@heeut 16 күн бұрын
MZ로 일컬어지는 연령대는 어느 시대나 가장 가난했습니다. 사회 참여 기간이 짧으니 당연한 거고요.
@DJcopylee
@DJcopylee 11 күн бұрын
좋은 부지에 원룸형 청년주택 너무 짓는 것도 문제임
@landjung2896
@landjung2896 11 күн бұрын
완전 명쾌하다 !!
@user-yt7cx6ro3o
@user-yt7cx6ro3o 16 күн бұрын
젊은이들 그래서 투표 잘하세여 ~
@user-op4tu4xt8i
@user-op4tu4xt8i 16 күн бұрын
이놈이나 저놈이나 똑같지 무슨 투표 타령 ㅡㅡㅋ
@tekkyun
@tekkyun 16 күн бұрын
기업들도 이제 서울에서 좀 빠져 나와라 좀.
@chumlee225
@chumlee225 16 күн бұрын
😢😢😢역대급 초차별 시대가 올 겁니다 진심
@TireSpare
@TireSpare 1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기성세대들이 갖고 있는 재산도, 상속세를 많이 없애서 MZ 세대들이 원활히 상속받아서 다음 세대 자녀들을 많이 출산하게 장려하고, 경제를 더욱 살리고 질 좋은 고용을 더욱 늘리도록 인센티브를 줘야합니다, 상속세율 지금의 절반으로 줄여야해요
@nonnonno-sx5mk
@nonnonno-sx5mk 10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한국 지금 문제가 상속이나 증여 이런 문제가 아니라 부모 재산도 많지 않고 본인도 소득이 낮거나 안정성이 없는 사람들이 결혼을 안하니까 전체 혼인율도 감소한거고 그렇기 때문에 출산율도 떨어지는 겁니다.
@nonnonno-sx5mk
@nonnonno-sx5mk 10 күн бұрын
한국 상속제도도 허점 많은 제도라 빠져나갈 구멍 많아요. 정치인들 바보로 아나~~ 민주당이고 국힘이고 아들딸내미들 외국국적인 사람들 많은 이유가 뭐라고 생각해요 ㅋㅋㅋ
@perfec2man
@perfec2man 15 күн бұрын
너무 똑똑하시네 .. 감탄 나옴
@user-cp1zf2fr7b
@user-cp1zf2fr7b 15 күн бұрын
역시 부동산 전문가가 아니라서 그런지...거의 초짜수준이네..단순하게 생각하지 말거라...전세가 뛴다고 무조건 집값이 뛰는것도 아니란다...지나간 역사를 공부하거라.....양극화란 ?..부동산 상승장에서 집값 차이가 벌어지는걸 의미한단다...하락장에선 반대로 집값 차이가 줄어든단다... 또 이제 한국 가구 구성원수가 2명이란다...3명은 되야 1명이 결혼해 분가해서 새집 장만을 할텐데...2명이면 사실상 이혼하지 않는이상 다시 신규 집살일도 없단다...또 전세계 돈시장을 보거라..그동한 전세계가 급등한건 정신나간 미연준의 말도안되는 양적완화 때문이였고...지금봐라...그 부작용으로 전세계가 휘청거리기 시작한걸,,,,어떻게 되겄냐?....
@dyshin8363
@dyshin8363 16 күн бұрын
결혼을 하는순간 자본층이 되는게아니고 ㅋㅋㅋ 자본층이 결혼하는거다...
@beounghawnrim9153
@beounghawnrim9153 15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을 정말 제대로 말씀해 주시네요. 국제 경쟁에서의 지역간의 경쟁 문제, 개인들의 가장 많은 돈이 드는 집은 사는 것이면서, 동시에 귀중한 투자의 대상이라는 것은 너무 당연한 것인데도, 이런 문제를 말씀, 너무나 당연하고 동의합니다. 이런 문제를 마치 거짓말 하듯 외면하는 정치인들, 고위 부동산 공무원들 보면 화가 나요
@speedlee2329
@speedlee2329 16 күн бұрын
휴전선과 가까운 수도권 개발? 딜레마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ex4qr5cx7d
@user-ex4qr5cx7d 1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15 күн бұрын
부의세습... 남들 다 쓰고놀때, 카페한번안가고.. 채소길러먹고 투잡해서 번 돈을.. 남들은 돈있다고 비꼬는사람들있고 자녀에게 좀증여한다고 비난하기도 한다. 몇몇은 이민을 갔다. 평생을 못쓰고살아.. 이제 쓸시간없이 나이가들었는데. 자녀에게증여하는게 불평등이라고 빼앗아간다면. 어찌해야하나...? 부가 아무이유없이 세습되는게아니라 피와 땀의댓가 보상을자손이받는것. 상속세보다 불건전하게 부를축척한사람골라내고! 사지멀쩡한데.. 일하느니 놀아서 보조금받는게 낫다고하는사람들 골라내고! 재산을 자녀에게 이전시키고, 통장에 500만원남겨.. 노령생계비는물론 요양보호등 혜택받는 실버들을골라네야한다! 특히 이런실버! 요양사들왈. 나보다 더잘사는 노인들.. 자녀에게 넘긴재산 자녀카드쓰며, 요양지원받는데.. 그런 노인이 90%이상되는것같다. 어마어마하다! 게다가 건강한편이라.. 밥 청소, 운전수역활도한다. 나라돈으로! 이 세금을 자녀들이낼텐데 생각하면..너무 무서울정도란다. 세금세는거나 더 막고, 그거로 지원하세요. 노려해서 돈번사람들 돈 강탈하려고만 혈안하지말고.
@user-ek8et3kn5h
@user-ek8et3kn5h 17 күн бұрын
영락없이 게토 구먼 ㅠㅠ
@dannylee9662
@dannylee9662 17 күн бұрын
하나 틀린 말씀이 없네.
@user-vo8rb3zj4y
@user-vo8rb3zj4y 15 күн бұрын
막내작가인가요? 졸음 참는게 엄청 귀엽네요 ㅋㅋ
@tvofferdatv1537
@tvofferdatv1537 16 күн бұрын
전정권의 최고의 실적. 서울 아파트 5년만에 3배 올려 주었지. 고맙긴 한데 최악의 정권이었지.
@user-rs9su5jo6r
@user-rs9su5jo6r 16 күн бұрын
부모가 저소득층인 경우 LTV를 낮춰주면 주택시장 진입은 쉬워지겠지만, 위험에 그만큼 취약해지겠죠. 이번처럼 역대급 저금리에서 갑자기 금리를 올려버리면 평생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망할수 있습니다. 부모가 돈이 있으면 막아주겠지만 저속득층은 그것도 안되잖아요? 부모가 생활비 달라고 하지나 않으면 땡큐지. 다른 것보다 정책이 일관적이고 예상가능하면 성실한 사람이 좀더 기회가 많을거 같아요. 경제정책이 급격히 변화하면 저소득층 때로는 중간 계층까지 탈탈 털리는거 같아요. 경제가 1대 99로 나눠지면 사람들은 오히려 평등하게 느낄수도 있어요. 1은 보이지 않을테니까요. 관건은 그 99가 살만한 환경이 되느냐하는 거겠죠. 99가 살만하지 않다면 기술발전은 1의 입장에서는 발전이지만 99의 입장에서는 퇴보죠. 소비층이 얇은 사회는 객관적인 의미에서 기술 발전도 불가능합니다.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16 күн бұрын
1이 소수여도 그들이 미디어(유투브 등의 신흥미디어 포함)에 노출되는 빈도는 30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노력하면서 본인이 그 위치까지 가려는 사람도 있고 노력없이 부러워하는 사람도 있는데 후자같은 부류 때문에 사회 갈등이 더 심해지는겁니다.
@mcyousung1
@mcyousung1 17 күн бұрын
만약 전세 대출에 dsr을 적용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실질금리를 올리면 전세가격이 올라갈수 있을까요?
@munnike7911
@munnike7911 17 күн бұрын
그럼 윌세로 가겠죠 그럼 윌세기중화 윌세 폭등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15 күн бұрын
​@@munnike7911우린 한국을 먼저 더 걱정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ㅎㅎ 한국은 관광지 바가지 상술이랑! 외국인한테 택시 값 덤탱이 씌우는 행동은 하지 말아주었으면ㅠㅠ 그리구 사탄을 숭배하고 옹호하는 컴ㅍ즈 커피! 저눈 절대~~절대 안 마시구🤮 사탄숭배옹호~ 나라 대한민국ㅎㅎㅎㅎ
@JS-iw8dg
@JS-iw8dg 16 күн бұрын
결론 은 집값 폭등 시작 ㄷㄷㄷ 앞으로 10년간
@dogmoonga
@dogmoonga 15 күн бұрын
맨날 강남 일자리때문에 강남접근성 얘기들을 하는데, 진짜 좋은 직장은 강북에 오히려 많다. 다들 환각에 빠져있어. it쪽도 테헤란로에서 대부분 판교, 분당으로 이전해서 강남에 좋은 일자리는 오히려 줄어듬.
@user-rc2ik7yr6n
@user-rc2ik7yr6n 16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SHKim-uv4wo
@SHKim-uv4wo 16 күн бұрын
전문가라는 사람들은 절대 미래를 예견하지 마라 ~~~
@gtx3005
@gtx3005 15 күн бұрын
미국도 물가를 못잡는데 우리나라가 뭐라고 잡냐? ㅋ
@marine-xw5gu
@marine-xw5gu 16 күн бұрын
좋은 입지금 오른다 좋은 입지에 살 수 있는 사람도 있어야죠 좋은 입지는 변호사 판사 검사 의사같은 사람들만 있어야 하나요ㅠㅠ
@user-pl7oz8dl5y
@user-pl7oz8dl5y 16 күн бұрын
결국 전세 없애고 월세로 가야 한단 얘기네!
@user-ip8tj4ir5y
@user-ip8tj4ir5y 16 күн бұрын
뭔~~~~~야기하는지 힝설수설 나만그런가 집값 다시 올라간다는건지 😂😂😂
@viridian327
@viridian327 9 күн бұрын
작년에 뭐 하러 전세반환대출 규제 완화 같은 정책을 펼친 건지? 이제는 오히려 전세가가 상승 중이라네?
@user-hk8re5nr7w
@user-hk8re5nr7w 15 күн бұрын
국토부는 화물차 단속이나 하면 딱인곳이지 주거안정은 신설부서 만들어야 가능할듯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ПЕЙ МОЛОКО КАК ФОКУСНИК
00:37
Masomk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이광수 “1년째 오르는 전셋값... 앞으로 더 오를까?”
15:46
CBS 김현정의 뉴스쇼
Рет қаралды 67 М.
[SNU Catch] Why do rental(Jeonse) scams worth billions keep happening? Causes and solutions
12:42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69 М.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