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고기를 못 먹게 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653,557

퍄퍄킴 역사

퍄퍄킴 역사

2 жыл бұрын

* 4:46 잘못된 내용이 있습니다. 원종서 → 원중거
* 영상에서 말하는 '고기'나 '육식'은 생선 등 어패류를 제외한 육지에서의 고기를 뜻합니다.
* 1200년간 점차 고기를 먹지 않게 된 것에 대한 이야기.
#육식금지령 #일본사 #고기
참고문헌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화국지. 원중거. 박재금 옮김.
『東京新繁昌記』를 통해 본 식문화의 변용. 김수성.
『料理物語』를 통해 본 일본 식문화 연구 -육식과 게가레 관념을 중심으로-. 김수성.
『源氏物語』에 나타난 음식문화 연구. 김종덕.
신문기사를 통해 본 근대 일본의 육식 문화 연구. 김수성.
원중거의 일본체험, 그 의의와 한계. 박재금.
일본 헤이안 시대의 작품에 나타난 ‘게가레(穢れ)’ 연구. 신미진.
일본의 밥상문화에 관한 고찰 -음식 및 식사와 관련된 사회적 맥락과 문
화적 태도-. 임경택.
일본의 육식문화와 부락 차별 연구. 김수성.
뉴스워치_[최유경의 알쏭달쏭 일본어 ⑤] 만주, 만두, 교자는 뭐가 다를까
세계일보_[심훈 한림대 교수의 일본을 보면 한국이 보인다] 저주받은 자연에 맞선 ‘신토(神道)’
컬처타임즈_[권동환의 세계여행] 불과 150년도 되지 않는 일본의 육식 문화
국제신문_송편·만주는 사촌지간…한국·중국·일본 만두 삼국지
NEWSTOF_승려들이 고안한 '양 없는' 양고깃국, 양갱으로 변신하다
NIPPONIA_일본의 음식문화
DISCOVER_In Search of japanese Roots
부산일보_한·중·일 만두, 같은 뿌리지만 제각각 문화 품은 음식
BGM (Artlist License)
1. here we go again - jake bradford sharp
2. dustins dirtbike - evert z
3. we are the fight - rhythm scott
4. big swagger - rhythm scott
5. gotta love instrumental version - yulee
질문이나 각종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퍄퍄킴 이메일 : pyapyakim@sandboxnetwork.net
퍄퍄킴 인스타그램 : / pyapyakim_history
퍄퍄킴 멤버십 : / @퍄퍄킴

Пікірлер: 819
@퍄퍄킴
@퍄퍄킴 2 жыл бұрын
🛑정치적 내용이나 욕설, 비하, 영상 속 사건과 관련없는 댓글은 경고 없이 삭제 또는 차단될 수 있습니다.🛑 * 일본 군주에 대한 호칭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공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천황'으로 통일했습니다. 🛑4:46 (블러처리 된 부분) 잘못된 내용이 있습니다. '원종서 -> 원중거'
@ptahoteff
@ptahoteff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는 절대로 그런 댓글 달 수가 없는게, 일본인들의 육식을 못해왔던 식문화 내력은 솔직히 너무 불쌍하니, 누가 감히 거기에까지 혐일 갖다가 붙이고 돌 던지겠음... 있음 그 넘이 반일 정신이 투철한게 아니라, 원래 없는 넘 업신여기는 철학을 가진 넘일 뿐이지요. 조현아나 대림산업 이해욱이 속에 들어있는 넘이어서, 최철원처럼 매값 폭행도 쉽게 저지르고 남을 넘이지...
@notificationoff2475
@notificationoff2475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여기가 내가 유일하게 등록한 한국 채널….
@user-sv9lh9qk5q
@user-sv9lh9qk5q 2 жыл бұрын
@@notificationoff2475
@빅페이스
@빅페이스 2 жыл бұрын
@@notificationoff2475 ily
@user-dn5pw1iz3d
@user-dn5pw1iz3d 2 жыл бұрын
그냥 덴노라고 부르면 안되나용? 언론에서는 일왕이라고 부르는데 그게 맞지않은것은 알고있고 그렇다고 천황이라고 부르기도 싫으니 덴노라고 부르는게...?
@wincup
@wincup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지금도 한식당이 아닌 그냥 일반 야키니쿠집들도 가면 한국어 메뉴가 엄청 많죠 (야키니쿠는 거의 다 재일교포들이 시작한 것). 마치 우리나라의 중국집같은 느낌이랄까. 고독한 미식가에서도 많이 나오듯.
@user-oc5fo9tr6c
@user-oc5fo9tr6c 2 жыл бұрын
오리는 물갈퀴가 달려있으니 생선이다! 라는 논리로 오리고기는 먹긴 했다고 하죠
@user-ui9fd3vw2f
@user-ui9fd3vw2f 2 жыл бұрын
비슷하게 일부 지역에서는 맷돼지나 곰 같은 야생 동물은 어차피 산에서 나니 가축이 아니지 않은가?라는 식으로 먹었다고 하네요.
@Goodboysquid
@Goodboysquid 2 жыл бұрын
파오리는 못참지
@lch0523
@lch0523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오리요리 전통은 있다죠
@koabounga
@koabounga 2 жыл бұрын
어엌ㅋㅋㅋㅋ
@rienlee5315
@rienlee5315 2 жыл бұрын
고래도 물에 사니 물고기, 오리도 물에서나 물고기...
@doroshi99
@doroshi99 2 жыл бұрын
웃긴건 당시 일본의 사찰음식은 고기맛을 따라하려는 시도가 굉장히 있었음. 고기는 못먹지만 고기맛은 내고싶다는 열망이 있었다는거암.임진왜란때 일본군장수가 고기육수로 낸 탕을 먹고 놀랬다는 일화도 있고.. 수백년간 고기를 안먹었다고해도 인간의 미각이 변하는건 아님
@kimunamuje
@kimunamuje 2 жыл бұрын
욕망이란게 쉽게 극복이 되는게 아니죠 뭐 ㅋㅋ 지금 이슬람 같은데만 봐도 교리 어기면 심하면 참수 하는데도 어기는 사람들이 계속 있잖아요
@JN_HARU
@JN_HARU 2 жыл бұрын
뭐 지금도 비건 비건 그러면서 콩고기니 베지터블 고기니 만드는거 보면 인간은 변하지 않음
@user-vj5jr2oe1e
@user-vj5jr2oe1e 2 жыл бұрын
신념으로 인해 금육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병이나 건강상 이유로 인해 어쩔수 없이 금육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비건고기의 발전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Hammer-bag
@Hammer-bag 2 жыл бұрын
불교에 살생 하지말라 했지. 고기먹지 말라는 말은 없음.
@user-tv8no5xb3l
@user-tv8no5xb3l 2 жыл бұрын
이거 딱 비건이잖아 ㅋㅋㅋㅋ
@user-wx6nr9rw6n
@user-wx6nr9rw6n 2 жыл бұрын
TMI: 육식을 허용한 이후 덴노는 실제로 암살 당할뻔함
@dinos119
@dinos119 2 жыл бұрын
인류의 진화에서 고기가 미친 영향이 워낙 컸으니...금지라해도 어떻게든 먹을 길을 찾아냈겠죠.
@RR-xh2xz
@RR-xh2xz Жыл бұрын
일본 근대에 육식을 장려한 본질 적인 목적은 육식으로 인한 체격차이를 극복 하고 싶었던 거였습니다, 정말 재빠르게 서방에 대해서 공부 하고 장점을 습득해서 정책으로 방영 했던 거였습니다.
@user-ms9tb9cq2g
@user-ms9tb9cq2g 2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검증해 주셨네요. 구독합니다.
@pabsoman
@pabsoman 2 жыл бұрын
사슴은 농사 이외에도 '모미지' 즉 단풍이라고 해서 먹었다고 하죠 ㅋㅋㅋ
@polyonomata
@polyonomata 2 жыл бұрын
모미지 드립은 참신하네요... 그 화투패에서 장짜리 단풍 열끗에 들어가있는 사슴이 그래서 들어가있는건가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어느 신사에서 사슴을 신성시해서 실수로 사슴을 죽인 소년까지 사형에 처했다고 하던데 히에신사였나 가스가신사였나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일본인 사이에도 풍습 차이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user-us7bg6pn4r
@user-us7bg6pn4r Ай бұрын
말고기는 '사쿠라', 벚꽃이란 뜻으로 말 전골인 사쿠라 나베로 먹었음 ㅋㅋㅋ
@ongs5526
@ongs5526 2 жыл бұрын
일본사도 굉장히 독특하고 재밌어요. 좋은 영살 잘 봤습니다 넘 재밌네요
@hwajin2651
@hwajin2651 2 жыл бұрын
이걸보니 경양식돈까스가 먹고싶어지는 날이군요
@__copper
@__copper 2 жыл бұрын
소스 듬뿍 얹은 돈까쓰에 감자볼에 샐러드까지 오...
@tonarinosekikun
@tonarinosekikun 2 жыл бұрын
군대 요리하니까 니쿠쟈가라고 고기조림이 있는데 이것도 영국에 유학간 일본인들이 거기서 먹은 비프스튜 맛을 고향에서도 느껴보려고 만들어진거라고 해요 고기맛 한번 맛들리면 못 빠져나오지
@user-dn5pw1iz3d
@user-dn5pw1iz3d 2 жыл бұрын
肉(니꾸, 고기)+じゃがいも(자가이모, 감자)=니쿠쟈가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 жыл бұрын
니쿠쟈가에서 한 발 더 나아간 요리가 일본 국민 요리인 카레라이스이죠.
@MNMNM1111
@MNMNM1111 2 жыл бұрын
그 유학생들이 레시피를 가지고 오지 않아서 "고기와 감자 등이 들어간 뭔가 색이 어두운 음식이었다~"식으로만 이야기한바람에, 요리사들은 아주 단편적인 정보만으로 어찌어찌 상상을 해서 만들어낸게 니쿠쟈가라는 이야기도 있죠.
@user-pc4sv9jn1w
@user-pc4sv9jn1w 2 жыл бұрын
해군 제독이였던 도고 헤이하치로가 영국유학에서 먹은 스튜를 집안의 요리사한테 만들어달라 해서 나온 게 니쿠쟈가였죠. 그 당시를 보면 일본 해군이 주로 영국으로 유학을 갔는지라, 각기병을 치료제이자 오늘날 일본 국민요리인 카레라이스도 영국 유학갔던 어느 군의관이 영국 해군의 커리를 도입했던 거였죠. (반대로 육군은 독일 유학을 많이 갔는지라, 같은 육군과 해군 내에서 영국 유학파냐? 독일 유학파냐로 파벌이 갈렸던 상황)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2 жыл бұрын
@@user-pc4sv9jn1w 그 당시 일본군은 육군과 해군이 서로 스파이를 보내야 할정도로 사이가 좋지는 않았을태니....상상이 안가는 군요...
@javaxerjack
@javaxerjack 2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미있는건, 어류는 살생으로 여기지 않았고 그래서 지금도 (여러가지 이유로) 고래를 어류로 여기길 원함.
@user-yl7uj7tl1u
@user-yl7uj7tl1u 2 жыл бұрын
@@user-hs1rd4jv4h 팩트) 아무도 뭐라 안함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2 жыл бұрын
@@user-hs1rd4jv4h ㄹㅇ?
@QVCM
@QVCM Жыл бұрын
고려시대 때 한반도도 일본열도 만큼은 아니지만 육식문화가 많이 침체되어 있었는데, 몽골제국의 영향을 받게 되어 육류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을 생각해볼 때 일본이 개항기 이전까지 육식 위주의 문화를 가진 북방유목민족과 거의 접촉이 없었던 것 또한 한 이유가 될 수 있겠네요.
@METAL1Z3R
@METAL1Z3R 6 ай бұрын
일본만 그런 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는 한중일 전부 세계 기준으로 어느정도는 육식문화가 침체되어 있었음. 불교의 영향도 잇겠지만 육식은 야만인들이나 하는 것이고 문명인들은 채식을 한다는 인식이 강했음. 육식=수렵채집사회 이런 인식은 동아시아 삼국에 널리 퍼져있었고 그 중 일본이 제일 심했음
@Ttriple_III
@Ttriple_III 2 жыл бұрын
돈까스의 탄생이라는 책이 있는데 돈까스라는 음식 자체가 일본 근대화를 축약해서 보여주는 상징적인 음식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pc4sv9jn1w
@user-pc4sv9jn1w 2 жыл бұрын
육식을 허용하면서 승려들의 육식도 허용했는데, 아무래도 일본이 육식을 안하게 된 계기가 불교의 영향도 있고, 메이지 유신의 신불분리 정책과도 관련이 있었죠. (더 정확하게는 신토의 위상을 높힐려는 일종의 정치적 목적)
@user-on4jx6qv7z
@user-on4jx6qv7z 4 ай бұрын
"중국황제 양무제 칙령따위 알빠노"
@user-qu2ih5br3l
@user-qu2ih5br3l 2 жыл бұрын
이 모든것은 양무제의 개똥철학때문에 시작되었다..
@user-em6tp2bf2l
@user-em6tp2bf2l 2 жыл бұрын
무타구치 렌야 센세는 일본의 전통을 따랐을 뿐이다.
@europa_jupiter_moon
@europa_jupiter_moon 2 жыл бұрын
ㅎㅇ
@user-sv9lh9qk5q
@user-sv9lh9qk5q 2 жыл бұрын
일본남아는 본래 초식동물이다
@user-ji6qy7cb2b
@user-ji6qy7cb2b 2 жыл бұрын
그러네...
@ulrichkesler1220
@ulrichkesler1220 2 жыл бұрын
독립군 중장 각하께선 아무 잘못이 없지요 ㅋㅋㅋㅋ
@user-it7hv7fh2x
@user-it7hv7fh2x 2 жыл бұрын
일본인이 원래 초식동물이라 한거는 다 이유가 있었구나 ㅋㅋㅋㅋㅋㅋ
@찬우정
@찬우정 2 жыл бұрын
외국의 포크 커틀릿이 일본에 전해졌는데 그게 돈가스가 되고 인도의 카레는 고기가 안들어가지만 일본에 들어갔을때는 고기가 들어가고 카레라이스로 변했죠. 일본의 늦은 고기사랑이 식문화도 바꿨네요.
@minipolenet
@minipolenet 2 жыл бұрын
근대이후 구일본군이 창설되고 여기저기 침략전쟁으로 원정나간 병사들이 각기병에 시달리는데 일본의 유명한 육해군 대립에 따라 이것도 육해군이 다른 결론을 냅니다.해군의 결론은 영국 해군의 식단을 베껴오는것. 다만 징집된 하층민들이 흰쌀밥 먹는걸 일종의 특권으로 여겼기 때문에 빵식에서 바꿔서 밥과 먹을수 있게 개량한것이 카레를 비롯한 일본식 양식입니다. 이 영상과 특별히 관련지을 이야긴 아닌듯 합니다
@cyp9571
@cyp9571 2 жыл бұрын
만약 일본이 육식을 계속 이어나갔다면 무슨 음식이 생겨났을까
@user-ds8cm7dv7o
@user-ds8cm7dv7o 2 жыл бұрын
@@cyp9571 맛있는거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2 жыл бұрын
@@user-ds8cm7dv7o 일단 이건 맞는것 같다
@Marunare
@Marunare 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카레는 인도 -> 영국 -> 일본입니다.
@winwinwinner5894
@winwinwinner5894 2 жыл бұрын
퍄퍄김님 영상 넘 좋아요.ㅎㅎ 새로운 정보를 귀여운 캐릭터로 자세히 알려주시니까 재밌고 이해가 잘되네요.🤭저 캐릭터 놀라거나 울때 넘 귀여워요.ㅋㅋ
@baapper
@baapper 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께서 봤으면 뒤집어질 세계....
@user-jjy1015
@user-jjy101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maus4033
@maus4033 2 жыл бұрын
@@abe69453 맞음 조선시절 가장 잘산시기는 성종 말기에서 연산군 극초반 혹은 정조쯤임
@New_Player1
@New_Player1 2 жыл бұрын
ㅇㅈㅋㅋㅋㅋ
@Twoyell11._.
@Twoyell11._. 2 жыл бұрын
맞네요
@user-sc2pt4oy2j
@user-sc2pt4oy2j 2 жыл бұрын
@@abe69453 세종때가 조선의 2top 전성기였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기 자주 먹진 않아도 한달에 한번정도는 먹겠죠
@homeworldeeveeturanicgigan4192
@homeworldeeveeturanicgigan4192 2 жыл бұрын
다음편은 힌두교, 인도인가요? ㅎ 마하트마 간디도 고기를 처음 먹어봤을때 맛이 이상하다고 느낀적 있었다고 하며 직접 고기가 아닌 요리를 해먹었다고 합니다.
@kutapark
@kutapark 7 ай бұрын
그랬으리라 짐작은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정리를 하니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sml834
@sml834 2 жыл бұрын
고양이 너무 매력적이야 이 채널의 자부심
@퍄퍄킴
@퍄퍄킴 2 жыл бұрын
1:01
@user-mf6yd1jh2t
@user-mf6yd1jh2t 2 ай бұрын
??
@goinmed
@goinmed 2 жыл бұрын
근대화 과정에서 서양군인과 일본군인의 체격이 눈에봐도 차이가 너무나서 육식을 허용했고 그 과정에서 일본의 정신을 더럽힌다! 라고 외치며 백의를 입고 궁에 처들어간 사건도 있었죠
@ButcherHandsome_Jang
@ButcherHandsome_Jang 2 жыл бұрын
8:42 그래서 메이지 유신때 일본 농민들이 고기 먹으려고 군입대를 많이 했다고...
@doo-han-kim
@doo-han-kim 2 жыл бұрын
퍄킴이형 오늘도 좋은 영상 만들어 줘서 고마워~
@user-dx4tu5dy3g
@user-dx4tu5dy3g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종교때문에 고기섭취 금지였는데 나중에 고려때 몽골이 밀고와서야 먹은것처럼 만약에 일본 원정에 승리하면 일본도 고기섭취했을지도 모름 ㄷㄷㄷ..
@qualia7276
@qualia7276 2 жыл бұрын
고려 초중기에 불교숭상의 이유로 육식 문화가 쇠퇴했다는 기록은 있으나 금지했다는 기록은 없음.
@user-dx4tu5dy3g
@user-dx4tu5dy3g 2 жыл бұрын
아.. 금지까지는 아니였군요..
@user-vr5jx2st8v
@user-vr5jx2st8v Ай бұрын
​@@user-dx4tu5dy3g 한국은 일본하곤 달리 고기금지 국가가 아니었습니다. 다만 지금하곤 달리 상류층만 먹을수있었던 음식이 고기였는데 세종대왕은 엄청난 고기매니아여서 1일 3끼가 다 고기였다고합니다. 그래서 부왕인 태종이 고기금지령을 내린적이 있기도 했었습니다
@Jinihyun
@Jinihyun 2 жыл бұрын
이런 자잘한 일본사 영상들도 재밌네요 ㅎㅎ
@abhsydgdk
@abhsydgdk 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귀족들일수록 고기를 먹고 하층민은 못먹게했을것 같은데 반대라니 신기하네요
@Kevin-ps9yf
@Kevin-ps9yf 2 жыл бұрын
''돈가스의 탄생''이란 책을 보니까 육식 금지령 해제 이후 일본에서 육식이 정착한 역할을 한 음식이 돈가스라서 일본인들이 돈까스에 가지는 의미가 얼마나 큰지 알게되었죠.
@user-mt2ny1cu5b
@user-mt2ny1cu5b Жыл бұрын
포크커틀릿 원래 북유럽에서 먹는 음식임!!! 절대 일본 고유음식이 아 니 에 요!!!!!!!! 한때 배추로 만든 단무지에 불과한 '기무치'를 '김치'의 원조인양 사기치던 놈들이 일본입니다!!!!!!!!! 언어가 저급하여 '김치'를 '기무치'로 발음한게 오히려 현재 고유명사가 되었죠...... 일본이 그냥 그런 수준입니다!!!!!! 남의거 베껴다가 스리슬적 찔끔 바꿔서 자기들이 원조라고 우겨대는거!!!!!!!!!
@anidrummer8780
@anidrummer8780 2 жыл бұрын
처음으로 이 채널에 두번 댓글 다는데 일본인이 키가 작은 이유가 고기류 단백질 적게 먹는 것과 단것과 짠것과 탄수화물 위주 섭취가 주된 원인 중 하나라고 하네요
@kelsen1975
@kelsen1975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론 원래 일본 토착인이랑 내지인의 결합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토착인이 키가 작다고 알고 있습니다.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2 жыл бұрын
pood랑 지식브런치 보셨군요
@kdyu178
@kdyu178 2 жыл бұрын
식생활 영향도 있긴 할 것 같아요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2 жыл бұрын
지식브런치 보시면 재밌게 설명해줌
@user-iz9gl5hy7h
@user-iz9gl5hy7h 2 жыл бұрын
한국인도 찌개류, 절임류에 단것 짠것 많이먹고 쌀이 주식이니 탄수화물 위주로 섭취하고 유럽권등 대부분의 나라가 탄수화물이 주식입니다 또한 과거 몽골 유목민들은 주로 단백질만 섭취했을텐데 기록에 의하면 키가 크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작았죠 빈민국이 아닌이상 영양으로 인해 키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며 그냥 유전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Lilyssebloom
@Lilyssebloom 2 жыл бұрын
이거 궁금했었는데 재밌게봤어요
@StBae-xi9fb
@StBae-xi9fb 2 жыл бұрын
흐 너무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workers4233
@workers4233 2 жыл бұрын
675년이면 백제 고구려가 무너지고 10~20년이 안 지난 시점인데 그때부터 육식금지...ㄷㄷ
@carnage3324
@carnage3324 2 жыл бұрын
1:17 퍄퍄쌤 일단 미리 죄송합니다.. 백제에요 가 아니라 백제예요 라고 쓰는거예요ㅠ 말 끝에 받침이 없으면 예요를 쓰고요,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를 씁니다. 아 물론 아니에요는 제외하구요.. 그리고 맞춤법에 좀 진지하다고 느끼신 구독자 분들께도 너무 죄송합니다ㅠㅜ
@user-so1bu3mb8t
@user-so1bu3mb8t 2 жыл бұрын
고려도 비슷한데 송나라사신들이 남긴 기록이 있지요. 대접하기 위한 고기요리를 내었는데 당시 고려가 육식을하지 않아 누린내잡는 법을 몰라 맛없다고 원간섭기부터 영향을 받아 고기를 다시 먹었다고 하네요
@NewRepublic4137
@NewRepublic4137 2 жыл бұрын
고려도 불교 국가였죠 하긴 일본처럼 고기를 그렇게 잘 먹었을 거 같진 않고 알음알음 전해오던 고기요리나 설렁탕 같은 것들이 원 시기에 들어오고 불교가 축출된 조선에 들어와서야 고기요리가 발전한 걸로 보이네요
@user-eq4hl5xk6e
@user-eq4hl5xk6e 2 жыл бұрын
고기 누린내는 오히려 몽골요리에서 많이 납니다. 몽골에서 전통적으로 믿는 몽골 전설에 따르면 몽골족의 조상이 늑대의 후손이기에 늑대를 함부로 잡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양을 잡을 때 피를 흘리지 않게 도축해서 누린내가 납니다. 되려 원라라 때 우리나라의 불고기에서 영감을 얻어 몽골도 양념고기요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user-eq4hl5xk6e
@user-eq4hl5xk6e 2 жыл бұрын
불고기 한자 이름은 맥적입니다. 맥족의 고기요리라는 뜻이죠. 삼국시대부터 먹던 음식입니다.
@user-ej5py3po9r
@user-ej5py3po9r Жыл бұрын
그 송나라 사신들이 도축한 고기에서 나는 아주 지독한 악취로 인해 이 고기를 굽던 삶던지간에 어떻게든 그 고기를 먹을 수 없었다고 아주 한탄을 하셨더랍니다 ㅋㅋㅋㅋㅋ 그만큼 당시 불교를 숭상하던 고려인들의 도축기술이 아주 형편없었다는 반증이죠 ㅋㅋ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user-ej5py3po9r 거란인 여진인 후손일 가능성이 매우 큰 양수척 집단이 백정으로 이어졌던게 다 이유가 있었군요ㄷㄷㄷ
@NARA_big7199
@NARA_big7199 2 жыл бұрын
와 규카츠가 얼마나 맛있는데 그걸 금지한다고? ㄷㄷ 물론 저땐 규카츠가 없었겠지만..
@user-or3sm4hx6n
@user-or3sm4hx6n 2 жыл бұрын
규카츠와 돈까스도 저 시절 영향을 받아 고기가 아닌 빵인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하다가 탄생햇죠 ㅋㅋ
@user-vw7lr4ih7e
@user-vw7lr4ih7e 2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아예 안 먹은건 아니고 자연에서 잡은건 일부 허용했다고 하는데...
@user-lc2gt8vw9l
@user-lc2gt8vw9l 2 жыл бұрын
일본내에서는 덴무천왕이 동물을 좋아해서 육식을 금지 했다고 하는 말도있죠
@user-px5js8gf1p
@user-px5js8gf1p 2 жыл бұрын
동물애호가로 유명한 모 쇼군은 개를 실수로 죽이기만 해도 유배보내는 일로 악명높았다네요...
@user-ih3mq6ek3e
@user-ih3mq6ek3e 2 жыл бұрын
괭이 캐릭터들 너무 귀여워요 ㅋㅋ
@dhlee3515
@dhlee3515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아는 돈까스도 프랑스의 커틀레트를 들여온 것인데, 너무 장기간동안 육식을 해오지 않아서 고기비린내를 참지 못하고 기피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고기인 줄 모르고 먹게 하기 위해서 반죽을 입혀 튀기고, 나이프와 포크에 익숙하지 않아 미리 얇게 썰어서 젓가락으로 집거먹게 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user-lf6hn3ns8t
@user-lf6hn3ns8t 2 жыл бұрын
지식브런치?
@user-kr6oz1xl8s
@user-kr6oz1xl8s Жыл бұрын
오스트리아의 슈니첼을 기원으로 합니다
@David-Davis-
@David-Davis- Жыл бұрын
개소리 썰을 당당하게 풀고 있네
@D_D-good
@D_D-good Жыл бұрын
@@David-Davis- 능지 낮으니까 용감하네 ㅋㄱㅋㅋ
@user-yi8ul1cz9k
@user-yi8ul1cz9k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일뽕은 심각 .. 최상류층은 그래도 조류나 가끔 소고기 먹음..
@skyfotress5782
@skyfotress5782 2 жыл бұрын
원래 초기 불교에서는 고기를 먹을 목적을 가지고 고의로 살생한 고기(고의로 살생한 사실을 보았거나 들었거나 신뢰할 수 없는 고기)만 금지했지 자연사나 사고사한 동물의 고기는 허용했음.
@ptahoteff
@ptahoteff 2 жыл бұрын
근데 아무래도 육식을 규제시키려는 정부 입장에서는 지금 현재도 그걸 구분하기가 애매하잖아요? 하여 초기 불교의 가르침을 알더라도 불교 정치를 하는 과정에서는 실무의 한계상 그런 걸 구분키 어려워 대강 다 금지해버렸나 봐요.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공양음식을 고기나 채소만 가려서 줄 수는 없었으니까요 아니면 부처님 제자들 중 편식쟁이가 있었거나ㅋㅋㅋㅋㅋㅋ
@user-ez3ii3jf1k
@user-ez3ii3jf1k 2 жыл бұрын
@@Supergolem12345 그거 주장한게 석가모니 형이라는데 이 인간이 원흉이라는 말도 있죠.기독교로 치면 유다에 해당되는 인물이지만 유다는 유다복음으로 반전되기는 했지만 이 인간은 찐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2 жыл бұрын
@@user-ez3ii3jf1k 데바닷타(제바달다)를 말하는군요 그리고 데바닷타는 석가모니보다 한참 어린 사촌동생입니다 석가모니가 결혼할 때 데바닷타는 아직 어린이였다는 기록이 있어요
@user-cd6qm9sc5z
@user-cd6qm9sc5z Жыл бұрын
@@ptahoteff 하긴 그냥 잡아먹고 죽어있었다 구라치면 알방법도 없고 하나하나조사하기도 낭비니까요
@say-you
@say-you 2 жыл бұрын
이거보고 두가지가 이해가 됐다 1. 이누야샤 같은 예전 일본만화에서 고기를 먹지 않는 것 2. 조선 후기 일본인들이 키 작은 이유
@Marunare
@Marunare 2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때도 왜놈이라 불렀어요.(작은 놈) 고려시대에도 작았고요. 삼국시대 중기쯤에는 작았으리라 예상합니다. 작은 사람들이 큰 사람을 보고(백제) 쫀거죠.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Marunare 삼국시대에도 왜인은 키가 작고 왜소한 것으로 묘사됩니다. 풍토와 유전자 차이 때문인듯.
@catfather4487
@catfather4487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렌야센세께서 그런 말을 했구나!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жыл бұрын
전통적으로 일본에선 고기를 오랫동안 안먹긴 했겠지만 식량이 부족한 산골 같은데선 사냥으로 고기를 안먹었을리가 없을 것 같아요. ㅎㅎㅎ입을 줄이려고 자기 자식도 죽이고 돈 받고 팔고 나라야마 부시코 보면 부모도 갖다 버렸다고 하는데 설마 사냥을 안했을까요? ㅎㅎ 활로 토끼 사냥 같은 건 꽤 오랜숙련도가 필요하니 제 생각엔 덫을 놔서 100프로 몰래 고기를 잡아 먹었을거라고 봐요. ㅎㅎㅎ
@user-cd4jh6yq2u
@user-cd4jh6yq2u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토끼는 새라고 뻥치고 먹었습니다. 실제로 그. 흔적이 남아서 토끼를 세는 단위가 새를 세는 단위랑 같죠 ㅋㅋ
@Hyundai_Motor_Group
@Hyundai_Motor_Group 2 жыл бұрын
멧돼지는 고래라고 구라치고 먹었다죠ㅋㅋㅋ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жыл бұрын
@@user-cd4jh6yq2u 그냥 동물은 다 히키로 세는 게 아닌가봐요? いっびき、にひき、さんびき가 아닌가 봐요.ㅎㅎ
@chanikun
@chanikun 2 жыл бұрын
@@user-xn4mj1wl5r 토끼(うさぎ)는 새처럼 羽(わ)로 많이 셉니다 一羽、二羽、三羽 이런식으로요
@tn596
@tn596 2 жыл бұрын
@@chanikun 돌하나로 토끼 두마리 잡으면 일석이조
@user-bb9es2wf9v
@user-bb9es2wf9v 2 жыл бұрын
어둠의 광복군 렌야선생님이 옳았다
@tonarinosekikun
@tonarinosekikun 2 жыл бұрын
어둠의 독립운동가 센세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x5js8gf1p
@user-px5js8gf1p 2 жыл бұрын
???: 아ㅋㅋ 조상님들은 거의 채식하셨다고ㅋㅋㅋ
@europa_jupiter_moon
@europa_jupiter_moon 2 жыл бұрын
@@tonarinosekikun 헬로우
@user-od9jc9ww1m
@user-od9jc9ww1m 2 жыл бұрын
@@europa_jupiter_moon ㅋㅋㅋㅋㅋㅋㅋㅋ 본인등판
@YiSo-yeon
@YiSo-yeon 8 ай бұрын
다크 히어로 ㄷㄷㄷㄷㄷ
@aphoenix6308
@aphoenix6308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첫 댓글을 단 구독자 입니다. 곧 20만이 가깝네요ㅎㅎ😄
@퍄퍄킴
@퍄퍄킴 2 жыл бұрын
오랜만이시네용
@aphoenix6308
@aphoenix6308 2 жыл бұрын
@@퍄퍄킴 그러게요 😆
@oliviamun
@oliviamun 2 жыл бұрын
극단적 비건이 권력을 잡으면 생기는일
@HansikMasterChef
@HansikMasterChef 2 жыл бұрын
중국 옛 고문서를 보면 젓갈을 담궈 먹었던 기록이 있는데 특히나 사람으로 젓갈 담궈먹었던 이야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미어캣
@미어캣 Жыл бұрын
그건 먹는거 보다는 경고성 의미죠
@ypagm
@ypagm 2 жыл бұрын
불교 영향으로 다른 음식은 발달했는데 육류는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부터 크게 발전하는군요. 우리가 알던 일본 고기 요리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 등장하면서 기존에 있던 일본 음식들 중에 고기가 추가되어 많이 달라지고 발전을 했을 것 같습니다.
@jhshin9413
@jhshin9413 2 жыл бұрын
메이지 시대때의 육류요리는 나츠메 소세키의 소설 도련님에도 나옵니다.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2 жыл бұрын
금지한 이유로는 자원을 아끼고 몰래 먹으려드는 생각도 있었겠지만, 결코 좋은 생각이 아니었죠... 식량에 대한 부족함을 해결하는 건 아끼기만 할 게 아니었는데... 오히려 그 때문에 약탈이 수시로 일어나고 식량에 관련된 범죄도 더 벌어지지 않았나 합니다.
@lilliliili8986
@lilliliili8986 2 жыл бұрын
외국(특히 미국)에 많이 있는 규카쿠 (일본 국내에도 있음)라는 일본 고깃집 체인은 간판에 영어로 일본 음식점이라고 크게 붙여놨는데 정작 메뉴의 절반은 한식임. 돌솥비빔밥, 김치찌개, 오이소박이, 김치 같은 한식을 일본음식이라고 팔고 있음.
@Yurde07
@Yurde07 2 жыл бұрын
그건 한국도 마친가지잖아 김밥천국에서 돈까스 김밥도 죄다 일식인데 김밥천국을 일본음식점이라고 소개함? 피자헛도 미국국적의 체인인데 정작 파는건 이탈리아 음식이잖슴
@coreanovida9237
@coreanovida9237 Жыл бұрын
@@Yurde07 김밥이 무슨 일본 음식? ㅉ 자기 음식의 유래도 모르네. 니뽕의 마끼랑 김밥이랑 같냐? 김의 원조는 어딘데? 김밥이 니뽕 이 원조가 되냐? ㅉ 차라리 마끼가 김밥 베낀거지.
@1_2_3_a
@1_2_3_a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그런지 일제강점기때 일제가 조선내 식육 생산을 괜히 신경쓴게 아니군요
@user-nq9zn9lh3m
@user-nq9zn9lh3m 2 жыл бұрын
메이지 유신 이후 생긴 대표적인 고기장려 음식 중 스키야끼도 있습니다. 고기 맛을 잘 모르니 채소와 익숙한 간장과 미소를 넣고 고기 냄새가 익숙하지 않아서 계란에 찍어 먹었습니다.
@yj75120
@yj75120 2 жыл бұрын
스키야키는 메이지 이전에 생긴 음식입니다. 기록에 나와요. 물론 소고기야 육식이 허용된 이후에 넣은 거지만.
@peasantofbretonnia5244
@peasantofbretonnia5244 2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당 ㄷㄷ 스키야끼 은근 맛나던데
@s7224l
@s7224l 2 жыл бұрын
메이지유신 이전, '에도막부'때도 있었는데요...
@user-nq9zn9lh3m
@user-nq9zn9lh3m 2 жыл бұрын
@@yj75120 저의 설명에 보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q9zn9lh3m
@user-nq9zn9lh3m 2 жыл бұрын
@@s7224l 저희가 현재 아는 형태로 바뀐 시기를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문장이 이상하게 보이긴 하네요 지적 감사합니다.
@user-mp6ct9pd3o
@user-mp6ct9pd3o 7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jiwonpark4987
@jiwonpark4987 2 жыл бұрын
백제는 그나마 다행이었던 게 육식금지와 사냥금지를 명한 법왕이 즉위한 지 얼마 안되어 사망하면서 흐지부지되었다는 거ㅋ
@user-dj7cl3eh6v
@user-dj7cl3eh6v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잘보고갑니다 화이팅 하세요 좋아요 찜하고감니다 ^^
@yckim4588
@yckim4588 2 жыл бұрын
일본인 치열이 나쁜게 12세기동안 질긴 육식을 못하고 부드러운 생선 채소만 먹다보니 그렇다는 주장을 본적이 있는데...
@newitx
@newitx 2 жыл бұрын
치열이 나쁜 건 도래인들이 열도에 유입되기 전 원주민이었던 죠몬인들에게서 물려받은 형질이니 육식금지령과는 무관
@nsequation1206
@nsequation1206 2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고기를 못먹는데 닭을 키우는게 신기해서 저거 먹을려고 키우는 거냐? 물어보니 "아.. 저거는 시계다. 니들은 시계도 먹냐?"라고 말했다는 전설이..
@user-sv9lh9qk5q
@user-sv9lh9qk5q 2 жыл бұрын
@BASSGREATBASS
@BASSGREATBASS 2 жыл бұрын
시계를 여러개 두면 하나정도는 먹어도 되지 않을까?
@user-uc2bx8uz1d
@user-uc2bx8uz1d 2 жыл бұрын
시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f2zi8vs5y
@user-qf2zi8vs5y 2 жыл бұрын
달걀..
@turksaie1550
@turksaie1550 2 жыл бұрын
다리달린건 의자빼고 다먹는 중국인한테 걸리면....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폴리네시아가 속한 서태평양 도서 지역에 들어감에도 돼지고기 소비량이 적고 그 요리 가지수도 적으며 그나마 즐겨먹는 돼지고기 요리도 19세기 편입된 오키나와와 후쿠오카 지방의 돼지고기 요리가 주류이지요.
@StudioCK187
@StudioCK187 2 жыл бұрын
세종 : 고기를...안먹어....?
@user-lk3ye7ys7h
@user-lk3ye7ys7h 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종교 때문에 그 맛있는 걸 당당히 못 먹다니
@turksaie1550
@turksaie1550 2 жыл бұрын
고트뻐커들 돼지고기먹었으면 돼지고기 사우디로 수출됨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z9gl5hy7h
@user-iz9gl5hy7h 2 жыл бұрын
@@turksaie1550 염소박이ㅋㅋㅋㅋㅋ
@user-jo4nl4zg6b
@user-jo4nl4zg6b 2 жыл бұрын
일본인은 초식인이라는 어둠의 독립군 무다구치 렌야 말이 맞았네요
@ay-lk5lf
@ay-lk5lf 2 жыл бұрын
明治維新より前の日本人は、足が4本ある生き物を食べることは仏教の禁忌として認識してました。鳥は足が2本なので、食べて良かったんですね〜。
@user-wy9xx2xu8n
@user-wy9xx2xu8n 2 жыл бұрын
와 유익하다 진짜로 잡것들까지 알려주시네 그냥 흘려들어본 채널인데
@hwhw4931
@hwhw4931 2 жыл бұрын
이야 진짜 조선시대든 옛날 일본이든 과거로 돌아간다면 진짜 못살것같다 이미 너무 좋은걸 누리고 있어서 난 현재가 너무 행복해...
@user-sv9lh9qk5q
@user-sv9lh9qk5q 2 жыл бұрын
그초.. 지금 시대도 고충은 있지만 옛날이랑 비교하면 천국이조
@gkdka
@gkdka 2 жыл бұрын
근데 또 우리가 3200년대에 사는 사람이라면 이때로는 못돌아간다고 생각할수도
@CurryWurst19
@CurryWurst19 2 жыл бұрын
퍄퍄킴 채널 히든 메인 코스인 ㄸ 이야기를 보면 ㄸ 못 싸서 죽을 것 같아요 ㅋㅋㅋㅋ 땅 까서 싸고 덮고는 어디서든 할 수 있는데 휴지가 없다니!
@user-ik5yq2rm1d
@user-ik5yq2rm1d 2 жыл бұрын
@@gkdka 살 수는 있나 세계 3차 대전 터지면 ㄷ
@LycanStand
@LycanStand 2 жыл бұрын
당장 지금도 2000년대에 되돌아가라 하면 갑갑해서 못 살듯 ㅋㅋㅋㅋ 스마트폰도 없고 환승버스카드도 없엌ㅋㅋㅋㅋㅋㅋㅋ
@TV-ef7rp
@TV-ef7rp 2 жыл бұрын
진짜 개인적으로 지도자.지도층이 종교에 이런 이유 때문에 빠지면 안돼다고 생각합니다(맛있는 고기 못먹는거 너무 불쌍함 ㅜㅜ)
@Setei_Kim
@Setei_Kim 2 жыл бұрын
멧돼지나 토끼같이 핑계대고 먹은것들 때문에 토끼는 아직도 조류를 세는 단위(羽)를 쓰는등 공부하는데 헷갈리더라구요🤔
@모스크바
@모스크바 2 жыл бұрын
늦게 왔네요 ㅠㅠ 실시간 채팅도 놓쳤네...
@user-lu1hi2ih8y
@user-lu1hi2ih8y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란 나라는 정말 특이하군요. 그래도 고기는 맛있습니다.
@sooncho88
@sooncho88 2 жыл бұрын
01:28 양무제가 만악의 근원이었군
@homuification
@homuification 2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막부의 '개 쇼군' 서술이 없는걸 보면 따로 빼서 다루시려는 걸까요..ㅋ
@퍄퍄킴
@퍄퍄킴 2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ms6Dq7KUvbjHdGQ.html 요기에 있습니당
@JY-pl2nc
@JY-pl2nc 10 ай бұрын
고기를 금지할 때 생선은 먹게 해 주는 것 같습니다. 가톨릭도 금요일 금육 때 생선은 먹게 해 주죠. 고기는 못 먹어도 다른 방식으로 단백질 보충을 해야 하니까요. 그나저나 영양소 개념이 없던 옛날에는 영양소를 몰라도 특정한 식품군에 공통된 효과가 있다는 건 알았을 테고, 탄수화물은 곡식 종류, 비타민은 채소과일 종류, 단백질은 동물과 콩 종류 이런 식으로 부르지 않았을까 싶네요. 쿡 선장도 괴혈병 예방을 위해 양배추와 라임주스를 선원들에게 보급했다는데 비타민은 몰라도 채소과일 종류를 먹어야 한다는 건 알았던 거겠죠.
@bugs_bunny__
@bugs_bunny__ 2 жыл бұрын
일본인이 단거와 튀김에 집착했던 이유
@MNMNM1111
@MNMNM1111 2 жыл бұрын
에도시대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무사의 레시피'라는 영화에서 연회 때 "꿩고기 회"라던가 "두루미 육수" 등이 나오길레 어느 정도는 육식을 했나?라는 생각을 했는데 영화적인 각색이었나보네요.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 2 жыл бұрын
'새' 는 허용했는데, '네발달린 짐승의 고기'가 주로 금지됨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2 жыл бұрын
그건 새(고급음식) 이니까 쌉가능
@user-kd1zw2cs1r
@user-kd1zw2cs1r 2 жыл бұрын
새는 가능했음
@tn596
@tn596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토끼를 새라고 우겨서 먹었군요.
@user-ej5py3po9r
@user-ej5py3po9r Жыл бұрын
에도시대때 닭잡아먹고 사형당한 사람 있었는데..?
@user-vu8of4un4i
@user-vu8of4un4i 2 жыл бұрын
오잉..... 대학교에서 배운거랑 일본 대학교에서 배운건 .... 도쿠가와 츠나요시가 금지시킨걸로 아는데 이 이야기는없네여 제대로 금지 시킨건 이때라고 알고있어요. 완전 금지화는 이때밖에 없어요
@maru5701
@maru5701 2 жыл бұрын
농사도 체력 오지게 빠질텐데 고기없이 어떻게 버티남..
@kimunamuje
@kimunamuje 2 жыл бұрын
사실 우리나라도 육식을 하긴 했으나 백정이 천민 취급 받았던거 생각하면 우리나 저들 못지 않았다거 볼 수 있죠 물론 고기가 흔한게 아니었기도 했지만, 육식을 좋게 보고 육식을 위한 살생을 정당하게 봤다면 서양의 도축업에 대한 인식처럼 나쁘지 않았겠죠 그래서 육식을 많이 하던 서양은 도축업자들을 천하게 보지 않고 오히려 스페셜리스트, 전문 기술자로 보고요
@doggeshiba276
@doggeshiba276 3 ай бұрын
사실 백정이 천민취급 받은 건 조선 초기에 농지 주고 정착시키려 했는데 백정들이 그걸 거부하고 하고 싶은대로 하고 살았던 데다가 조선 초기에 민간 상대로 범죄도 저질러대서...
@okjuyang77
@okjuyang77 2 жыл бұрын
전쟁을 밥먹듯이하고 길가다 사람을 죽이던 무사들이 살생의이유로 육식을 안한건 아이러니.
@oiochan
@oiochan 2 жыл бұрын
종교 땜이겠지
@barbarossakn8992
@barbarossakn8992 2 жыл бұрын
고려도 몽골이 들어온 이후 부터 육식을 했다고 하니... 고기 없는거 넘 슬프다
@6sinegohwan336
@6sinegohwan336 2 жыл бұрын
아예 안하진 않았고, 몽골이 들어온 이후 부터 육식 문화가 크게 번창했습니다.
@barbarossakn8992
@barbarossakn8992 2 жыл бұрын
@@6sinegohwan336 고기 구우라니까 그냥 불에 타는걸 놔뒀다고 할정도로 실전되긴 했죠 넘 슬프네요
@Colors_MINJONG92
@Colors_MINJONG92 2 жыл бұрын
이 맛을 1200동안 모르고 살았다니
@user-ct6to5te5t
@user-ct6to5te5t 2 жыл бұрын
3:29 고기는 비천한 음식이라니...요즘 저런 인식이 있으면 개꿀인데
@Junssssssss
@Junssssssss 2 жыл бұрын
그런 인식이 너무 강하면 도축과 유통 산업도 줄어서 고기 자체를 못구할 수도 있어요 ㅋ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Junssssssss 근데 비천한 음식이라는데 삼겹살 양념갈비 숯불구이 냄새가 진동하면 버틸 인간이 과연 있을까 싶군요
@user-sv9lh9qk5q
@user-sv9lh9qk5q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먹을게 귀하고 세금도 무거운 시대에 육식을 금하다니
@tom.egemcity4766
@tom.egemcity4766 2 жыл бұрын
예지력 상승!!
@name9947
@name9947 Жыл бұрын
그림너무귀엽다
@user-mh2kt4pu5l
@user-mh2kt4pu5l 2 жыл бұрын
일본에는 무사가 고기가 너무 마려워서 몰래 장에나가 개고기먹다가 마눌님한테 걸려서 쿠사리먹었다는 재밌는 기록이있죠!
@abno9938
@abno9938 2 жыл бұрын
제목에 "일본은"이 빠졌는데 알아들은게 유튜브로 배운 지식 레전드
@user-ry8nq5ys1n
@user-ry8nq5ys1n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돈까스가 탄생했군요
@user-yg3en9ut7o
@user-yg3en9ut7o 2 жыл бұрын
퍄퍄형 계속 고기 못먹는 내용 올리는 걸보니 새해목표가 다이어트여서 고기를 못먹고 그런거 아닐까 하는 비합리적 의심이 든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aniaKim
@user-maniaKim 2 жыл бұрын
일본인이 소를 기름 추출하려고 쓰는 장면에서 인상쓰는 조선 통신사 모습에서 웃음터짐 ㅋㅋ
@user-xs3no9uo4n
@user-xs3no9uo4n 2 жыл бұрын
4:55 대승불교가 육식을 금지하는건 맞는데 수명이 다하여 죽은 동물의 고기는 먹어도 된다는 조항이 있으며 이는 살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zic2222
@zic2222 2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유학온 애가 한 1주 3끼를 같이 먹더니 도시락 싸들고 왔음 왜 그렇냐고 물어보니까 한국사람들 고기 너무 많이 먹어서 속이 안좋다고 일본인은 야채를 먹어야 한다는 말에 김치는 야채 아니냐고 하니까 미국인 입장에서는 감자튀김도 야채라고 말함 그냥 그후로는 그친구 취향따라서 야채 많이 먹음 이새끼 무한고깃집에 가서 고기보다 야채 더먹더라
@izumiaco5079
@izumiaco5079 2 жыл бұрын
렌야선생님 그래서 당신은..
@user-yi4by5xw7i
@user-yi4by5xw7i 2 жыл бұрын
성경에도 살생하지마라는 말이 있어요
@user-hc8mt4tu8u
@user-hc8mt4tu8u Жыл бұрын
@@user-yi4by5xw7i 고기먹지말라고는 안함
@mywayto
@mywayto Жыл бұрын
@@user-yi4by5xw7i 찬찬히 가시 읽어봐요 무슨 의미인지..ㅋㅋㅋ
@Heimdall1218
@Heimdall1218 Жыл бұрын
@@user-yi4by5xw7i 불교에서도 살생하지 말라지만 동자승에게는 고기 먹입니다
@toughjjh
@toughjjh 2 жыл бұрын
오리고기에 대한 이야기 영상에도 오리가 나오듯 일본에서는 오리는 물갈퀴가 달려 있어 "생선"이니 먹어도 된다고 하고 오리를 잘 먹었음 한국에서는 전남지방에서는 잘 먹었지만 전국적으로는 거의 먹지 않았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먹던 개고기보다도 생소했음 개고기 먹는 한국인이 "오리고기도 먹는거야??" 하고 물을 정도였음 물론 지금은 개고기는 쇠퇴하고 오리고기는 건강에 좋은 고기로 퍼지며 소비량이 반전되었음
@abbag329
@abbag329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사람도 잡아먹고 고래도 잡아먹고 코로나도 잡아먹고..
@hanwhale7
@hanwhale7 2 жыл бұрын
고래잡이...
@workers4233
@workers4233 2 жыл бұрын
6:22~6:31 ㅋㅋㅋㅋㅋㅋㅋㅋ 보면서 터졌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r6ri5yz2w
@user-nr6ri5yz2w 2 жыл бұрын
4:36 고양이 왼쪽 입돌아갔어요
@kbketchup
@kbketchup 2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선 새를 세는 단위에 깃 우羽자를 써서 이치-와 니-와羽 이렇게 세는데 토끼도 이치와 니와 씀. 귀가 젖혀지면 날개 같고 앉아 있는 모습이 새 같다고 그렇게 부르며 먹었다카더라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아 아 이것은 뛰어다니는 새인 것이다
@user-io2mv6em6p
@user-io2mv6em6p 2 жыл бұрын
나치의 히틀러는 아떻게 말솜씨로 총독까지갔나의 주제는 어떨까요.
@Yura.
@Yura. 2 жыл бұрын
오늘은 고기 구워먹어야겠다
복날에 보면 좋은 영상/복날의 역사
8:12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245 М.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한복이 진짜 중국 옷일까?/중국 한푸의 실체
10:20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362 М.
고대인들이 즐겼던 게임!/서양의 게임
9:28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162 М.
종교에 심취한 군주들
9:23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275 М.
고속도로 휴게소의 진화 l 조선시대 주막 숙박 썰
8:25
교양만두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