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Gravity is the Time Machin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 Theory of Relativity Last Part

  Рет қаралды 627,816

과학쿠키 [Science Cookie]

과학쿠키 [Science Cookie]

6 жыл бұрын

Science Cookie develops through your sponsorship.
How to sponsor Science Cookie ☞ Subscription and Like!
Supporting through Google and Kakao! ▶ https: //toon.at/donate/Science Cookies_
Donate directly!▶국민 404001-04-612668 Science Cookie
Hello this is Science Cookie.
You have been waiting for a long time.
Today I am going to introduce to you the last part of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theory of magic that actually makes a difference in time.
I have produced this video to see the illustions that time makes,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clue whether time could flow in relative manner.
Not only that, to think about things that would never have been thought about.
I am not sure whether it was delivered as I have intended,
but with hope to have solved the curiosity of many people,
I am expecting that through this episode, from Galileo's theory of relativity to the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I have contributed to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relativity theory.
Thank you.
P.S.
1. Hans Zimmer - The First Step, which is at the last minute of the video is
Piano Covered song by KZfaq Channel Reynah.
I'll give you a link.
• 인터스텔라 Interstellar OST...
Thank you for giving me a nice and beautiful cover song and for us to use it as a video background sound.
2. I have a bad cold that seems to not getting any better ..... so the recording voice my not be so good ... I'm sorry ..
3. There is a person who is constantly asking for explaination of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through methods ... Well, as you know, my ultimate goal as a scientific caster, is to easily convey a difficult concept. (Laughter) But I would like to take a little more footage to get to the level of explaining general relativity after some more explanations. I'll be sure to do it in a year.
4. Comments of the Ripple video should be uploaded soon. It was supposed to be done every week, however, it changed to every two weeks and changed again to once a month. These days it is not easy to upload anything at all.
Reference website
-en.wikipedia.org/wiki/General...
- "GW150914: LIGO Detects Gravitational Waves". Black-holes.org. Retrieved 18 April 2016.
- Sections Orbital effects and the relativity of direction, Gravitational time dilation and frequency shift and Light deflection and gravitational time delay, and references therein
=============================================
Shooting Info
- Sony A6500 Body, 16-50 Bundle Lens
- Samsung GALAXY S8+ with UHD Setting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BGM List (All KZfaq Presents)
Cast of Pods
Destination Unknown
Under Cover
Hans Zimmer - The First Step (Reynah Covered) : • 인터스텔라 Interstellar OST...

Пікірлер: 1 400
@user-el3xf1gd5r
@user-el3xf1gd5r 5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 브금과 아인슈타인의 혁명스런 아이디어가 쿵쾅쿵쾅거리면서 와닿는데 개소름 어릴적 우주책 보면서 동심에 차 있던 그때 처럼 설레네요
@user-kw7oc7fg8x
@user-kw7oc7fg8x 5 жыл бұрын
ㅇㅈ 물1 시공간 단원할때 인터스텔라브금 들으면서 하면 ㄹㅇ 뽕취해서 공부잘됨 인터스텔라브금은 진짜 역대급 브금
@user-ok2bt3bv3g
@user-ok2bt3bv3g 6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이해를 시켜주시다니 감사해요 마지막은 항상 소름이 돋네요
@user-vv2ts5fi6w
@user-vv2ts5fi6w 6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엄청난 재능이 있으시니 얼렁 성장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쿠키졸귀ㅠㅠㅠㅠㅠ
@ph1049
@ph1049 6 жыл бұрын
일반 상대성 이론을 이렇게 잘 풀이해 주시다닛..ㅠㅠㅠ 덕분에 이해가 되네요ㅠㅠ 옛날에 강의 들을 때 어렵다고 생각했던 부분인데... 진짜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저런 남다른 천재적인 발상을 할 수 있었는지... 그의 이론에 대한 걸 배우면 배울수록 경외심이 드네요.
@user-qv3jb1hh8i
@user-qv3jb1hh8i 6 жыл бұрын
와... 아무리 상상해봐도 아인슈타인이 인류 과학발전을 한세기는 앞당긴듯 ㅎㄷㄷ;;
@Sleep_25
@Sleep_25 6 жыл бұрын
Au to 그당시 학계에서 거의 정설로 추앙받던 만유인력법칙인데 아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넘긴 사람.아인슈타인이 없었다면 아마 지금도 만유인력이 인정받고있을지도
@alexandrajeong1819
@alexandrajeong1819 6 жыл бұрын
만유인력은 지금도 인정받고 있죠...다만 아인슈타인은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밝힌것이구요.
@henomenonp9720
@henomenonp9720 6 жыл бұрын
한세기가 아니라 한 두세기 세세기는 될듯...? 현대에 아인슈타인같은존재가 등장해서 현대 과학계를 뒤집어논다고 생각해보삼... 그때보다 훨씬 더한 파급력으로 세계가 변할꺼임..
@user-ky8vd6vq2t
@user-ky8vd6vq2t 6 жыл бұрын
Au to 한세기가 아니죠 아인슈타인없었으면 지금은 일반상대성이론도 없을듯 아인슈타인말고는 절대못하는 생각이죠
@user-oz1vm7vc1g
@user-oz1vm7vc1g 6 жыл бұрын
진짜 아인슈타인은 좋은의미로 미친사람인듯
@Javier_Art_76
@Javier_Art_76 6 жыл бұрын
일반 상대성이론을 설명하는 길고짧은 다양한 영상들을 보아왔지만...이 영상이야말로 가장 쉽고 재미있고 편하게 일반 상대성이론을 설명하는 최고의 영상이라고 생각해요!! 감사합니다~^^/
@blur99009
@blur99009 6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네요 어려운 이론을 이렇게 쉽게 이해할수 있게하다니 대단하세요
@Kawkdoopal
@Kawkdoopal 3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아요 고작 고1인데 이해 가능할 정도로 설명해주시는 영상은 이게 처음이에요 진짜 항상 우주랑 물리학에 대한 관심에 비해 이해력이 안 따라와줘서 너무 슬펐는데 이 영상 보며 기쁨과 시원함 얻고 갑니다 앞으로 더 많은 걸 알아볼 수 있겠네요 감사해요ㅠㅠ
@user-wb5bt6np3p
@user-wb5bt6np3p 4 жыл бұрын
설명 미쳤어... 겁나 논리적이고 쉽게 설명해주시니, 과학과는 멀리떨어져 살고있던 제가 교양쌓기 참 좋은 영상인것같습니다. 많은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네요.
@snceckie
@snceckie 6 жыл бұрын
4:40 정정합니다. 최단거리가 아니라 최단시간 입니다. 한병우 님께서 잘 찾아주셨습니다. 좋은 지적 고마워요~! 덧붙여 하도 많은 분들이 계속 동일한 질문을 올려주셔서, 이해를 도와드릴 만한 하나의 내용을 더 소개해드리도록 할게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편에서도 지나치게 강조했지만, 또 말씀드립니다. "상대성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느끼는 시간의 변동은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0살 쌍둥이 A와 B, 그리고 C를 가정해봅시다. 시공간 곡률이 심한 곳에 A가 살도록 하고 좀 덜한 곳에 B가 살도록 한 뒤, 이들을 우주 밖에서 C가 관찰합니다.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해 실제로 A와 B는 시간이 다르게 흐릅니다. C는 A와 B를 약 10년 동안 관찰합니다. 그리고 C는 이들에게 우주선으로의 소집 명령을 내립니다. 자, 이제 A와 B가 C의 우주선으로 왔습니다. 이제 서로의 시간에 대해 물어봅니다. A는 5년이 지났다고 합니다. B는 8년이 흘렀다고 하구요, C는 이들을 10년동안 바라봤는데 말이죠.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A가 5년을 10년처럼 산 게 아닙니다. 그냥 5년 살았을 뿐이에요. A의 입장에서는 B와 C의 시간이 빠르게 흘렀다고 생각하겠죠? 마찬가지로 B 또한 8년을 10년처럼 산 게 아닙니다. "상대성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인, 본인이 느끼는 시간의 변동은 없다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빛의 속도의 약 99%로 달리는 P와 정지한 Q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할게요. P의 입장에서는 Q가 빛의 약 99%속도로 뒤로 후퇴한다고 생각합니다. P는 Q의 시간이 엄청나게 느려진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시간은 정상적으로 흐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Q는 P가 빛의 약 99%속도로 앞으로 전진한다고 생각합니다. Q는 P의 시간이 엄청나게 느려진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들의 실제 시간의 흐름은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그냥 '그렇게 보이는 것 뿐'입니다. 또한 본인이 빛의 속도로 날아가본들, 본인이 느끼는 시간의 변동은 없습니다. "상대성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인, 본인이 느끼는 시간의 변동은 없다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gc2eq4od1y
@user-gc2eq4od1y 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 [Science Cookie] 그래서 우린 지구의 자전을 못느끼는건가?
@doyoung9483
@doyoung9483 6 жыл бұрын
김보형 그건 아마 진화학적 관점에서 봐야 할 것 같네요. 만약 우리가 지구의 자전을 느낄 수 있다면 그에 따라 우리의 감각세포와 신경세포가 일을 하게 되는데 그러면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생존을 힘들게 만들 뿐만 아니라 감각기관이 피로해져 정작 필요한 순간에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을 테니까요. 우리가 순수한 물의 맛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와 같은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oo2379
@oo2379 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 [Science Cookie] 평평한 지구를 주장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반박 영상을 만들어 주세요.
@oo2379
@oo2379 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 [Science Cookie] 턴 오프 유어 티비 라는 사람이 그렇게 주장 합니다.
@user-cx8rv7wm2h
@user-cx8rv7wm2h 6 жыл бұрын
개구리 지구가 평평하다면 말그대로 평평함으로 인해 오존층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아 적외선 노출 및 남.북극 존재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항해를 하다가 끝에오면 떨어지겠죠? 그런 논리면 현재 무역 및 옛날 신대륙 발견은 있어선 안될 일이죠. 애초에 지구가 평평하다는 생각을 믿은 사람들은 중세시대가 대부분입니다 그 평평하다고 주장하시는 분의 뇌는 중세시대에 속하는 뇌라고 보시면 됩니다 (진짜로 평평하다고 믿고 있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사람들이 직접 보지않은데다가 NASA나 이런 정부기관이 지구가 둥글다 라는걸 숨겼다는 이야기도 있죠)
@close-game
@close-game 6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충실한 영상 너무 고마워요~~
@user-cx8rv7wm2h
@user-cx8rv7wm2h 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형 상대성이론에 관심이 많아서 많은 영상을 찾아봤는데 형 영상이 제일 이해가 잘되고 재밌네요 이번 영상은 마지막 부분이 멋있네여 앞으로도 재밌고 흥미로운 영상 부탁드릴게요 감사해요~~
@user-xv7iz7wt6r
@user-xv7iz7wt6r 5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 신인가 지구의나이에비해 잠깐왔다간존재이지만 엄청난 영향을끼쳤다
@iiiilililoliill
@iiiilililoliill 5 жыл бұрын
@@tangsgoos4455 우리가 우주과학을 배우는거랑 걔네들이 화성 가는거랑 먼상관이지
@user-kc6wy2oh1y
@user-kc6wy2oh1y 5 жыл бұрын
화성 가는게 늦어지는것과 우주과학이 SF라는것에 어떤 인과관계가 성립하는거죠??
@user-co3tc6ol7d
@user-co3tc6ol7d 5 жыл бұрын
@@tangsgoos4455 우리가 말하는 화성이라는게 먼데요? 화성은 존재합니다.
@DOONGU
@DOONGU 5 жыл бұрын
@@tangsgoos4455 나사가 주장하는 화성이 뭔가요? 또한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명백한 증거가 있나요?
@minhyeokkim1949
@minhyeokkim1949 4 жыл бұрын
그럼 뉴턴은...
@user-ll5mi2cp6t
@user-ll5mi2cp6t 6 жыл бұрын
과학을 아예 안 배운지 N년이 지났지만 과학을 교양 수준으로는 다시 공부해둘 필요가 생긴 문과생입니다 ㅋㅋ 쿠키님이 설명을 정말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적절한 깊이로 해주셔서 베이스가 없다시피한데도 이해가 정말 잘 됩니당! 감사해요~~~
@user-ps8jt1ct9y
@user-ps8jt1ct9y 5 жыл бұрын
좋겠어요. 이해하기 쉬워서요ㅠ. 전 두번씩 돌려봤는데 어려워요 ㅋㅋ 근데 교양으로 알아두면 좋을것 같고 재미있네영 ㅋ
@suncheolgwak7308
@suncheolgwak7308 6 жыл бұрын
캬 설명이 이해가 확 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nc2lh9ef2g
@user-nc2lh9ef2g 5 жыл бұрын
와 ... 진짜 유익한 채널이네요. 설명도 이해가기 쉽게 잘해주고.. 잘보고있습니다
@ehdtn0209
@ehdtn0209 6 жыл бұрын
개쩔어 설명 짱 잘해 !!
@htw4865
@htw4865 5 жыл бұрын
일반상대성 이론을 설명한 영상을 정말 많이 찾아봤었는데 과학쿠키님의 영상들은 이 영상을 포함해서 정말 전문적이면서도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시네요 진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존경해요!
@user-sm1rv9eg8m
@user-sm1rv9eg8m 6 жыл бұрын
영상들 정주행 중 인데 너무 좋습니드... 설명도 너무 알아듣기 쉽고 이해가 잘 되네여..
@user-cw5jo2xb1w
@user-cw5jo2xb1w 4 жыл бұрын
오늘 처음 보는데 또랑또랑 말 하시는 모습이 굉장히 똘똘해(?) 보여서 믿음이 가네욬ㅋㅋㅋㅋㅋㅋㅋㅋ 구독~~
@kiyonari0ify
@kiyonari0ify 6 жыл бұрын
과학계의 설민석..
@Jhp-bt6no
@Jhp-bt6no 5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cj4cl6ru3n
@user-cj4cl6ru3n 5 жыл бұрын
염병
@user-sq1yc6md4i
@user-sq1yc6md4i 5 жыл бұрын
문베충
@dagokuni1268
@dagokuni1268 5 жыл бұрын
왜 갑자기 염병이 나오지?
@hyunwoofather
@hyunwoofather 5 жыл бұрын
@@dagokuni1268 ㅋㅋㅋ
@dohyeonlee7862
@dohyeonlee7862 6 жыл бұрын
물리학과 학생으로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해 제가 좀 정리하자면... 첫번째로 시간과 공간을 따로 구분해서는 안됩니다. 우리의 관습에 따라 이 둘을 자연스럽게 분리하는데 이 둘은 일반 상대론에서는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상대론 관련 책들이 시간과 공간(space and time)이라는 말 대신 시공간(spacetime)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이 변하면 빛의 진행방향이 달라진다"라고 말하면 안되고 "시공간의 뒤틀림을 따라 빛이 진행한다"라고 생각하셔야합니다. 그리고 "빛이 직진한다"라는 말의 의미를 고찰하셔야 합니다. "직선"의 의미는 두 점을 잇는 최소 거리를 사진 선을 의미합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직선의 의미가 잘 맞지만, 공간이 휘어진 상태에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직선이 직선이 아닙니다. 그 말은 우리에겐 휘어져 보이는 선이 직선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빛의 입장에서는 항상 직진하고 있지만 이를 유클리드 공간에서 설명하기 위해 "휘어졌다"라는 어휘를 사용한 것입니다. 그리고 정말정말 마지막으로 중력에 의해 물체가 잡아당겨진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질량은 단지 공간을 변형시킵니다. 그리고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런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력이 빛을 끌어당기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안됩니다.
@dohyeonlee7862
@dohyeonlee7862 6 жыл бұрын
물리학과 학생으로서 이런 강의가 있다는 것이 정말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학쿠키님처럼 저도 나중에 이런 일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 열심히 해야겠다는 동기가 됩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yuyeoreum
@yuyeoreum 6 жыл бұрын
시간과 공간은 땔수없지.. 그러므로 시공
@user-xv8nl1dl7z
@user-xv8nl1dl7z 6 жыл бұрын
사밥 조아
@user-nd2pq5gp3u
@user-nd2pq5gp3u 6 жыл бұрын
이런 지식은 언제 어디서 배우셨나요 물리를 정말 배우고싶은 현 고1 학생입니다.
@april2505
@april2505 6 жыл бұрын
그럼 왜 그런것 처럼 보이게 되는건가요? 사람이 지구표면에 서있을수 있는건 마찰력 때문인가요? 아니면 시공간에 휘어짐이 제일 심한 곳에 위치해서 지표면에 마치 기대어 서있는거 같은 건가요? 시공간의 휘어짐은 한면이 아니라 지구의 표면마다 겹겹히 일어나있다고 이해하는게 맞는건가요?
@jengrey4724
@jengrey4724 6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정말 흥미로워요!!
@berl3455
@berl3455 4 жыл бұрын
행님의 설명을 듣고 이해가 잘되는거 같아요!! 이번 수능꼭 잘볼께요
@user-uk7vw1ip1b
@user-uk7vw1ip1b 6 жыл бұрын
와..진짜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설명을 들어도 이게 진짜 가능할까?? 라는 의문이 들만큼 혁신적이다 못해 사고방식 자체를 뒤집어 엎어야되는데...진짜 대단한 사람이었어 아인슈타인은...덕분에 우주의 조금이라도 더 이해할 수 있어서 행복함.
@bum-junkim1091
@bum-junkim1091 5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으로 넘어가면 더 말이 안되는 일들이많음.... 어떻게 빛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달 할수 있지? 어떻게 확률적으로 존재 한다는게 말이 되지 하는 등등..
@user-oo6wl6rn5q
@user-oo6wl6rn5q 6 жыл бұрын
뜬금 없지만 글씨랑 그림 잘그린다...
@user-hu5gr6kq2f
@user-hu5gr6kq2f 3 жыл бұрын
ㄹㅇ
@user-fe3bt2vl7n
@user-fe3bt2vl7n 3 жыл бұрын
문과와 이과의 시각차이 발생!
@user-s_hyeok
@user-s_hyeok 4 жыл бұрын
정말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지나가던 물리학과학생도 감명깊게봅니다
@madarada4793
@madarada4793 6 жыл бұрын
진짜 쉽게 이해시켜주네요. 정말 좋은 채널입니다.
@JK-my4nv
@JK-my4nv 6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이 분은 고생하시는거에 비해 조회수와 구독수가 적음 ㅠㅠ 그래서 맴찢 열심히 하시다 보면 분명 좋은 날이 옵니다
@taehyungkim1856
@taehyungkim1856 4 жыл бұрын
400k면 많이 받은 거 아잉교?!
@minhyeokkim1949
@minhyeokkim1949 4 жыл бұрын
이분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하는분들은 다 그래요ㅠㅠ 해외는 안그렇던데
@user-qq5ct6mb3n
@user-qq5ct6mb3n 3 жыл бұрын
@채널 헣.. 전 찾아왔네요
@sminsmin3456
@sminsmin3456 2 жыл бұрын
@채널 전 초딩 때 처음 찾아왔다가 중딩 때 다시 찾아오게 됨요 ㅎ
@user-ex9ce4ul6z
@user-ex9ce4ul6z 6 жыл бұрын
진짜 상대성 이론 배울때마다 눈물이 나와요 ㅋㅋㅋ 아인슈타인 대단하네요 아인슈타인이 현시대까지 살아있었다면 ㅜ
@yingcracker7513
@yingcracker7513 5 жыл бұрын
상대성 이론 이만큼 쉽게 전달하는 것도 정말 대단하다.. 구독 하고 갑니다.
@user-tu4el3pq9g
@user-tu4el3pq9g 6 жыл бұрын
항상 너무나 재밌고 흥미로운 이야기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e9yo7jx9j
@user-me9yo7jx9j 5 жыл бұрын
형 물리 100점 받아왔어요 기말 때 상대성이론 시험에 나오는데 이번에도 형 영상통해 100점 받아올게요
@Isaacnewtoooon
@Isaacnewtoooon 3 жыл бұрын
1년후 지만 어떻게 되셨나요? ㅋㅋ
@banmr.542
@banmr.54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user-kv1tq6ef7j
@user-kv1tq6ef7j 3 жыл бұрын
궁금
@user-me9yo7jx9j
@user-me9yo7jx9j 3 жыл бұрын
올해 대학 진학하네요.. ㅎㅎ 저도 쿠키님 처럼 과학을 가르치고 싶어서 물리교육과 진학했습니다..!
@Isaacnewtoooon
@Isaacnewtoooon 3 жыл бұрын
@@user-me9yo7jx9j 와 축하드려요!
@user-dj3fp4xj5z
@user-dj3fp4xj5z 6 жыл бұрын
미래의 어떻게든 성공할 1인중 한분 재밌는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seweone5144
@seweone5144 5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참 유익하게 봤습니다
@doyoungkang6999
@doyoungkang6999 6 жыл бұрын
쿠키님 영상을 보고나면 항상 여운이 남네요ㅠㅠ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user-hj7pt5zr7g
@user-hj7pt5zr7g 6 жыл бұрын
도대체가.. 중력과 관성으로 인한 힘의 작용을 어떻게 똑같이 본거지. 아직도 이해가 안된다. 이렇게 친절한 설명을 보고도 이해가 안되는데 이걸 관찰과 생각만으로 발견해낸 아인슈타인은 인간이 맞는건가..
@ililliliiii1236
@ililliliiii1236 6 жыл бұрын
내가 주체인지 관찰자인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관성속에 있는 상황, 중력속에 있는 상황 두가지 상황 모두다 "확률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그 두가지를 같다고 두고 생각한거 같아요
@XX-hi7sq
@XX-hi7sq 6 жыл бұрын
Lorentz라죠
@bum-junkim1091
@bum-junkim1091 5 жыл бұрын
당겨지는 힘. 이라는 대서 같죠. 그리고 생각해보면, 님도 이미 알고있어요. 중력에 중력 가속도. 가속도라는 단어가 붙어요. 중력 가속도 역시, 가속도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죠. 결국은 관성과 중력은 같은것이라고 할 수 있죠.
@wsiloveoov
@wsiloveoov 5 жыл бұрын
이번 블랙홀 관찰로 인해 상대성이론이 더욱더 확고해진 셈이라고 하니... 진짜 아인슈타인은 인류 최고의 천재라고 봐도 무방할듯
@silverchan0203
@silverchan0203 4 жыл бұрын
뇌 이식이 가능하면 아인슈타인 뇌 얼마에 팔릴까요? ㅋㅋㅋ
@9p128
@9p128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의 뇌로 가르치는 일을 하는 것은 시간낭비인 것 같다
@Cro-cop
@Cro-cop 3 жыл бұрын
@슼채널 그가 이룬 업적에 비교하면 너무 사소해서 언급할 가치도 없는 부분이군.
@ry0_yamada
@ry0_yamada 3 жыл бұрын
@채널 ㅋㅋ 트리플 악셀도 못한다고 하지 ㅋㅋ
@user-tn5zx7db5z
@user-tn5zx7db5z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의 머리로 가르쳐도 제자가 이해 못할듯
@Uneducated_Kim
@Uneducated_Kim 6 жыл бұрын
와우 보면 볼수록 영상 진짜 재밌내요
@wonseok0301
@wonseok0301 6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너무 잘해주시네요 ㅠㅠ 구독누르고 갑니다!!!
@user-dh6li8jx6v
@user-dh6li8jx6v 6 жыл бұрын
시간이느려지는것도 지금 동영상을보는게빠르게느껴지는것도상대적인건가 ㄷㄷㄷ
@user-bb9ej5ie8b
@user-bb9ej5ie8b 5 жыл бұрын
오미애 그런느낌이죠. 고통스러운순간에는 1분이 길잖아요.
@pochi3292
@pochi3292 3 жыл бұрын
등가원리로 해결한 아인슈타인.... 통찰력이 소름
@MoonVill
@MoonVill 5 жыл бұрын
오져따... 구독합니다 여러번 찾아봤는데 이해안됐었는데 완전 쉽게 이해했어요!
@angel9930044
@angel9930044 5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덕분에 공부하고 배우며 즐거움을 느낍니다. ^^
@user-cw3nz7vg3u
@user-cw3nz7vg3u 6 жыл бұрын
뭐야... 이 영상보니까 아인슈타인 개 멋있잖아....
@user-hx4hc9hd5p
@user-hx4hc9hd5p 5 жыл бұрын
정말 아무리 생각해도 아인슈타인은 너무 대단한거같다 . 스티븐호킹도 좋지만 . 아인슈타인이 지금세대에 살아있었으면 어떤일들이 일어날까 .
@user-gs4wy7jm4e
@user-gs4wy7jm4e 5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한국에서 6.25전쟁 끝날쯤에 돌아가셨다는,.... 1~2백년전사람이아님
@bum-junkim1091
@bum-junkim1091 5 жыл бұрын
음,. 글세요. 아인슈타인도 양자역학을 반대했기에, 글세요.......... 양자역학도 현대에 맞는 학문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니.,
@lenlan493
@lenlan493 4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에 의문을 제기한 이유는 상대성이론에 반하기 때문임 그리고 누가 말했듯이 반양자역학파인 슈뢰딩거와 아인슈타인에 의해 양자역학이 더욱 발전할수 있었음 오죽하면 양자역학을 가장 잘 설명한게 슈뢰딩거의 고양이 라는말이 있을까.. 자신이 지지하는 이론이면 자신이 가장 잘 설명할수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개인적으로 보어보다는 슈뢰딩거와 아인슈타인이 당시의 양자역학에 대해 더 잘이해하고 있었던것 같다.
@user-mp8zq7iu5d
@user-mp8zq7iu5d 6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쉽네요 재미도잇고요 감사합니다
@user-mb5er8pb4g
@user-mb5er8pb4g 6 жыл бұрын
와.... 진심으로 설명 너무 잘하신다.. 머리속에 바로 들어오네..
@Gil_gae
@Gil_gae 6 жыл бұрын
빛이 통과하는게 최단거리가 아니라 최단시간 아닌가요?
@snceckie
@snceckie 6 жыл бұрын
오우 잘 찾아주셨네요 감사합니다^.^
@user-fd1ts6zk8i
@user-fd1ts6zk8i 4 жыл бұрын
@슼채널 물론입니다. 매우 미세해서 아무도 못느끼지만요.
@mygeneral79
@mygeneral79 3 жыл бұрын
최단시간이나 최단거리나 같은거 아닌지요? 빛은 항상 초속 30만 킬로인데요.
@Gil_gae
@Gil_gae 3 жыл бұрын
@@mygeneral79 페르마의 원리에 의하면 빛은 언제나 최단 시간으로 가는 길을 선택해 가고, 이를 통해서 빛의 굴절법칙을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일단 일반싱대론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모든 공간이 유클리드공간 즉, 피타고라스의 법칙이 성립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했죠(특수상대론이 나온 이후에는 민코프스키 공간이긴 하지만, 이는 어려운 내용이니 생략하도록 합시다). 이러한 사고 과정에서 당연히 최단 거리를 가려면 평소에 생각하는 직선이었겠지만, 빛이 매질이 변화하지 않았음에도 휘어지기 때문에, 물질이 공간을 휘게 민들고, 그 휘어진 공간을 최단 시간으로 가기위해 휘어진 공간에 최단 거리를 빛이 선택해 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 기존의 사고방식을 깨트리기 위해서 즉, 공간은 유클리드 공간이고 휘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을 깨트리기 위해서 쿠키님이 영상에서 말하신 것 같습니다. 이정도면 좋은 답변이 되셨나요?
@ohsungc2
@ohsungc2 4 жыл бұрын
03:54 여기부터 소름돋았음 ㄷㄷㄷㄷ
@user-tv8it3dz2n
@user-tv8it3dz2n 6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보고 너무 궁금했는데 정리를 잘해주셔서 조금 더 쉽게 이해할수있는거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ee5nj1qy9b
@user-ee5nj1qy9b 5 жыл бұрын
과학 영상 보고 감동받은 적은 처음입니다. 감사해요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셔서요!!!
@zbrja
@zbrja 5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요.....ㅎ 그러면 질량에 따라 시간의 곡률이 생긴다는 말씀인데 그러면 만약 달에 탐사를 가거나 지구 밖으로 나가게 되는 탐사를 한다면 혹은 했었다면 시간은 지구와는 다르게 흘러가는 것인가요?
@bum-junkim1091
@bum-junkim1091 5 жыл бұрын
넵. 실제로 시계를 가져가서 시간이 지난후 다시 가져ㄴ다 놓아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user-jg6vx3mx4t
@user-jg6vx3mx4t 5 жыл бұрын
며칠, 몇 달 이런 식으로 극적인 차이는 안 나지만 분명 차이가 납니다. 근데 아마 초 단위도 안 날 거예요. 실제로 현대인에게 없어선 안 될 GPS시스템(여러분 폰이나 내비가 쓰는 그 GPS)에서도 이런 '시간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하네요. 만약 아인슈타인이 없었으면 GPS 쏘아올리고 몇 달만에 오차가 한 몇 백m씩 났을 겁니다.
@user-qt7xm6bz2t
@user-qt7xm6bz2t 5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지구밖에 떠도는 위성들 시간이 달라져서 시간을 조정합니다
@user-yf5mz5ee9g
@user-yf5mz5ee9g 6 жыл бұрын
이거 손 중지 검지 엄지로 하는거 플레밍의 왼손법칙이에요? 앙페르인가? 이거 헷갈려요...ㅠ 설명 해주세요!!
@cursed5800
@cursed5800 6 жыл бұрын
우승진 플레밍입니다 앙페르는👍이거요
@paulerdos3215
@paulerdos3215 5 жыл бұрын
@@cursed5800 이모티콘이 그거밖에 없는건 알지만 왼손이 아니라 오른손임ㅋㅋㅋㅋㅋ
@user-tm8fm2hd2r
@user-tm8fm2hd2r 6 жыл бұрын
그와중 그림설명 지리네요 그림도잘그리고 필체도좋고. 구독하고갑니다!
@user-ry8zc2ut7d
@user-ry8zc2ut7d 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늘 궁금했는데 재밌게 이해했네용
@changgyuhan1584
@changgyuhan1584 6 жыл бұрын
한가지 궁금한것이 있는데 지구에 있는 저희는 우주에 있는 사람보다는 지구의 질량으로인해 시간의 곡률로 인하여 극히 미세하게 시간이 느리게 갈겁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주 미미해서 별 차이가 안날 정도이죠 지구의 질량으로도 이렇게 미미한데 과연 영화에 나온것 처럼 그정도 시간의 곡률을가진 행성에서 사람이 버틸수 있을까요?? 영화라서 픽션일거라 생각되지만 그만한 시간의 곡률을 가지면서 인간이 존재할수 있는 상황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질량에따른 시간변화량의 수식도 있을지도 궁금해요! 똑똑한 댓글러님들 알려주세요
@sdffsd600
@sdffsd600 6 жыл бұрын
저도 저영화보면서 같은생각했는데 궁금
@henomenonp9720
@henomenonp9720 6 жыл бұрын
픽션이라 생각이 듭니다. 블랙홀에 빠지고도 살아남으니까요.. 화이트홀 개념으로 일단 주인공버프주고 살린거 같은데 일단 제 뇌피셜로는 5g정도의 중력만으로도 피가 쏠려 기절하는데 블랙홀은 999999g는 거뜬히 넘을테니까 못버틸껍니당 블랙홀에 근접하는순간 온몸의 피뿐만 아니라 가죽 뼈 심지어 우리 몸의 분자까지 쭈우우욱 늘어나버리지 않을까요?
@khk3038
@khk3038 6 жыл бұрын
볼때마다 경의로워서 울렁거림이 일어난당
@sanctuairekim6754
@sanctuairekim6754 3 жыл бұрын
경이..
@Cro-cop
@Cro-cop 3 жыл бұрын
경의라니요.. 참 어의없네요.
@woooooong
@woooooong 6 жыл бұрын
정말 좋네요. 여태 상대성이론에 대해 있었던 많은 궁금증이 해결됬어요. 잘못된 이해를 많이 해결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f1zw5mw9y
@user-pf1zw5mw9y 6 жыл бұрын
평생 문돌이었던 저에게 과학의 신비함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ㅋㅋ
@user-qn3ii1er7n
@user-qn3ii1er7n 6 жыл бұрын
과학 쿠키 님 안녕하세요 !!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제가 어떤 강의를 들은 적이 있는데요 관성력과 중력은 같아서 이 둘은 시간지연을 일으킨다고 얘기 들었는데 정말 관성력과 중력은 같은 건가요 ?? 아 참 그리고 1:08 ~ 1:45 까지가 이해가 잘 되지 않는데 설명 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 다시 한번 영상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
@Gumeon_
@Gumeon_ 5 жыл бұрын
일단 관성력이 무슨 힘인지는 알고 계시죠 운동상태를 유지할려는 힘을 말 합니다 만약 우주선이 위로 순간적으로 운동을 하면 저희의 몸은 자신의 운동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우주선 밑에 붙게됩니다 즉 밑으로의 힘을 받게되는 거죠 중력도 밑으로 힘을 받으니 이것을 같게 본 것 입니다
@hje2515
@hje2515 5 жыл бұрын
고등물리 등가원리가 생각나네 중학생때이런걸 봤으면 물리를 싫어하지 않고 공부열심히했을텐디
@user-wh5rl8fz6l
@user-wh5rl8fz6l 2 жыл бұрын
현재 중2인 저는 이런걸 보고 있죠...
@user-dk1ql7ik5j
@user-dk1ql7ik5j 6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맛에 과학 좋아한다 설명 너무 재밌네요 좋은영상 감사해요!
@joojak57
@joojak57 3 жыл бұрын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m8mc8ft4v
@user-lm8mc8ft4v 6 жыл бұрын
정말 우주과학은 볼수록 빠져드는군요... 학교다닐적 우주과학 거의 탑 급 이었는데😣 가끔 일반 상대성이론에 빚대어 맞물리지 않는점을 찾곤 하는데 머리가 정말 아픕니다ㅋㅋ 하지만 질량에 비례하여 빛의 굴절률이 다르면 질량만 더럽게 크고 중력이 약하고 이 행성 또는 항성보다 질량이 작고 중력이 더 강하면 어느쪽으로 빛이 휘는거죠? 당연히 중력이 큰쪽 이겠죠? 중력은 참 이스테리 합니다..
@snceckie
@snceckie 6 жыл бұрын
아쉽지만, 질량이 큰데 중력이 작을 수가 없어요..
@jjonggu_god
@jjonggu_god 6 жыл бұрын
중력 자체가 질량이 큰 물체가 시공간을 일그러뜨리면서 생기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힘입니다
@user-xl2xn5xf8z
@user-xl2xn5xf8z 5 жыл бұрын
@@kjoj220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anddeutsch8859
@landdeutsch8859 6 жыл бұрын
만약 한 사람이 과거로 간다면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될지가 궁금하다
@guitarkirk44444
@guitarkirk44444 6 жыл бұрын
궁금해 않으셔도 됩니다 공간과 물질 존재의 연속만 있을 뿐 우리가 아는 째깍째깍 그런 시간이 원래는 없는것 처럼 과거란 시간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과거란 시간으로 간다는거 자체가 모순적인 불가능한 가설 입니다
@user-rf9qh5go3k
@user-rf9qh5go3k 6 жыл бұрын
시간지연 효과로 ‘미래’로는 갈 수 있는데 ‘과거’ 로는 못갑니당
@user-ps2fg4cg6t
@user-ps2fg4cg6t 6 жыл бұрын
엥 수학적으로 과거로 갈 수 있다고 증명된걸로 아는데요.
@user-ps2fg4cg6t
@user-ps2fg4cg6t 6 жыл бұрын
초면에 반말하시네 싸가지 밥말아먹으셨나요?
@user-rf9qh5go3k
@user-rf9qh5go3k 6 жыл бұрын
김현희 제가읽은책이 몇년전꺼라 허허..
@korrus1004
@korrus1004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어려운 것을 정말 알기 쉽게 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다른 채널에 나와있는 영상을 몇 번을 봐도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여긴 한 번에 이해한 것 같아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blackhole8801
@blackhole8801 5 жыл бұрын
과학 쿠키님~너무 재밌고 이해하기 쉽고 너무 좋아요♥ 앞으로 블랙홀, 상대성 이론 많이 올려주세욧! 그분야를 좋아하거든요 ㅎㅎ근데 진짜 과학계 설민석 인듯 ㅎㄷㄷ
@user-ro9yy1re8i
@user-ro9yy1re8i 6 жыл бұрын
이형 다가졌어 이기적이야 잘생김,좋은목소리,좋은두뇌 아, 형님 만약 A라는 사람이 블랙홀의 특이점에 들어가서 빠져나오려고 있고 B라는 사람이 블랙홀의 특이점에서 빠져나오려는 속도와 똑같은 속력으로 우주를 여행하고있다면 A와 B를 보고있고 가만히있는 C는 둘다 시간이 멈춘걸로 보이나요? 그렇게된다면 A가 B를 보았을때는 서로 시간이 멈추지않고 활동하는것처럼 보이나요?
@snceckie
@snceckie 6 жыл бұрын
일단.. 블랙홀을 탈출하기 위한 속도로 가속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지만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C의 경우 A,B의 시간이 멈춘 것 처럼 보일거에요. A와 B도 볼 수만 있다면 서로가 서로를 볼 때 시간이 정지한 것 처럼 보일 거에요^.^
@user-of7fe4sy6p
@user-of7fe4sy6p 6 жыл бұрын
@red-glass
@red-glass 6 жыл бұрын
설명 쉽게 잘해주시네요 ㅎㅎ
@user-ws4sp5iy3t
@user-ws4sp5iy3t 6 жыл бұрын
와 한번에 이해했어요 정말 좋은 설명입니다
@user-of7fe4sy6p
@user-of7fe4sy6p 6 жыл бұрын
@user-wt5kd7uu1t
@user-wt5kd7uu1t 6 жыл бұрын
제가 아는 사람중 상대성이론을 무시하고 삼게탕이론 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떻하죠? 상대성이론은 대단한데....
@Mal_Taek
@Mal_Taek 6 жыл бұрын
구독하고 갑니다 간만에 좋은 채널 찾았네요
@insideyou9172
@insideyou9172 5 жыл бұрын
감동받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fd5bd6cp2u
@user-fd5bd6cp2u 6 жыл бұрын
아하~! 무슨 말인지 전혀 모르겠네 :)
@user-of7fe4sy6p
@user-of7fe4sy6p 6 жыл бұрын
@user-zs8jr2uw8n
@user-zs8jr2uw8n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해가 쏙쏙 되네여
@simonlee0990
@simonlee0990 2 жыл бұрын
와 이걸 왜 이제 봤지. 상대성 이론에 대해 막연하게 느껴지던 부분이 많이 해소된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uk7dh1sj4i
@user-uk7dh1sj4i 6 жыл бұрын
저 같은 찐따는 저런 생각은 하지도 못하고 영상을 봐도 못알아듣는 우이독경을 보여주죠 하핳 ㅠ 어렵네여 쉽게 설명해주시는데 전 정말 바보 인가 봅니다 ...
@snceckie
@snceckie 6 жыл бұрын
ㅠㅠ... 더 쉽게 준비할수있도록 할게요..
@user-bx7te7ex2c
@user-bx7te7ex2c 6 жыл бұрын
π
@user-qv3jb1hh8i
@user-qv3jb1hh8i 6 жыл бұрын
정성룡 과거로 돌아갈순 없을껄요? 아직 까지 이론을보면ㅎㅎ 시간이 느리게 가는것이지 흐르긴 흐릅니다 거꾸로 가는것도 아니라서 ㅎㅎ
@user-bx7te7ex2c
@user-bx7te7ex2c 6 жыл бұрын
Au to 왜 거꾸로 가지않는거죠?
@user-qv3jb1hh8i
@user-qv3jb1hh8i 6 жыл бұрын
정성룡 네?;; 지금 까지 이론과 정설로는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없어요ㅎㅎ 시간이 거꾸로 가는일이 일단 없조?ㅎㅎ 이 영상에서도 설명하는건 상대적으로 시간이 느리게 가서 서로 비교하면 어떤건 더 빠르게 흐른거조ㅎㅎ
@user-bx7te7ex2c
@user-bx7te7ex2c 6 жыл бұрын
Au to 그러니깐 왜 과거로는 가지않죠?
@rigel8402
@rigel8402 6 жыл бұрын
정성룡 우리가 위에 차원 존재가 되지않는한 불가능합니다. 여기서도 왜라고 하면 님 관종임
@texver8887
@texver8887 5 жыл бұрын
멋집니다! 사고의 한계를 뛰어넘어 원리를 찾아낸 아인슈타인도, 그걸 풀어 이해를 도와주시는 과학쿠키님도요. ㅋㅇ충분히, 알아감에 쾌감을 느끼고 취할수도 있구나 싶네요.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user-ll5mi2cp6t
@user-ll5mi2cp6t 6 жыл бұрын
봐도봐도 정말 잘 만드셨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
@user-of7fe4sy6p
@user-of7fe4sy6p 6 жыл бұрын
@user-of7fe4sy6p
@user-of7fe4sy6p 6 жыл бұрын
@user-cu6kc6fi5i
@user-cu6kc6fi5i 5 жыл бұрын
쿠키님 영상중에 제가 제일 좋아하는 영상이에요ㅠㅠ 상대성이론을 이해해보려고 여태 많은 서치를 해봤는데 왜 이 영상을 이제야 봤을까 싶을정도로!! 보는 내내 계속 오... 우와... 하다가 9분 지나감ㅋㅋㅋ 그 짧은시간에 영상의 내용을 모두 이해했어요!!
@user-iv7yh1kt1f
@user-iv7yh1kt1f 6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쏙쏙.... 최고다
@user-dx9hm5tb6q
@user-dx9hm5tb6q 4 жыл бұрын
도움 진짜 많이 됐어요!! 발표 준비를 해야하는데 이해를 못해서 어떡하지 하고 있었는데 진짜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ㅜㅜㅠ 덕분에 설명?은 못하더라도 이해는 정도껏 된 것 같습니다ㅠㅜㅠ 감사합니다!!
@hoonyoo5677
@hoonyoo5677 5 жыл бұрын
멋지네 아인슈타인이나 과학쿠키나 ..물리를 이해하는데 도움많이 됩니다
@user-mp7mv7pb8j
@user-mp7mv7pb8j 3 жыл бұрын
몇번을 다시 봐도 재미있고 신기합니다~~ 2년도 더 된 영상이지만 과학쿠키님의 컨텐츠 덕분에 과학이 정말 재미있고 신기한 것이라는걸 깨닫게 되었네요.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 많이 부탁 드립니다~~ 건강하세요~
@user-tt8xh9bt7r
@user-tt8xh9bt7r Ай бұрын
하지도 않던 과학교양때문에 몇시간을 머리싸매고 있었는데 충격적일정도로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덕분에 완벽이해하고가요! 영상을 만드신 노고에 감사를 표합니다!
@user-rf1ib5il3e
@user-rf1ib5il3e 6 жыл бұрын
우와... 정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특수 상대성 이론은 어떻게든 이해할 수 있었는데 일반 상대성 이론은 학교에서 배우고도 이해가 안 되서 반쯤 졸았던 것 같습니다. 근데 굴절으로 설명하자마자 아! 하면서 한순간에 이해되면서 소름돋았네요 ㄷㄷ 캐릭터도 되게 귀엽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awolkwon1
@awolkwon1 6 жыл бұрын
그림으로 묘사해주는 방법(직접 그리시는지...?)이 흥미를 유발하고 이해를 돕는 매우 좋은 방법 같네요. 영상 너무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csy6346
@csy6346 6 жыл бұрын
유익해요 생각을 많이하게 하네요
@user-cj8zw1oz2z
@user-cj8zw1oz2z 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해요😁😁
@macjerry8725
@macjerry8725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고 밖에는 할 수 없네요. 캐리커쳐를 이용하여 EBS다큐멘터리보다도 더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이 방송을 보고 인터스텔라와 그래비티가 다시 보고싶어졌어요.
@user-pc8bc1re9m
@user-pc8bc1re9m 2 жыл бұрын
와우 이제좀 이해가 가네요 감사합니다 ~ ^^
@user-no6hh9ib8u
@user-no6hh9ib8u 6 жыл бұрын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iami4301
@iami4301 5 жыл бұрын
와 설명 최고에요!!!!
The bridge of time expansion and length contraction! Method of inducing Lorentz factor
3:49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3 МЛН
格斗裁判暴力执法!#fighting #shorts
00:15
武林之巅
Рет қаралды 78 МЛН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Let's understand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 Relativity Theory Part 1
10:36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604 М.
대체 시간의 실체는 무엇일까? - 도서,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19:39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685 М.
지구에서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 - 광견병 리사 바이러스
10:31
한눈에 보는 세상 – Kurzgesagt
Рет қаралды 72 М.
How was speed of light discovered?
8:01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934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