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우승국이 이 중에서만 나오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173,457

Real KIM

Real KIM

Жыл бұрын

월드컵 우승국의 비밀에 대해 알아봅니다. 왜 그들만 우승을 하는 걸까요? 또 그들의 우승 과정을 알아봅니다.
인스타그램:
kimjinjja10...
비즈니스 문의:
qksdidhkdwk@naver.com

Пікірлер: 1 400
@user-ue5rg8gw9n
@user-ue5rg8gw9n Жыл бұрын
"한국 국가대표 축구 팬이라 주장하는 몇몇 사람들은 정말 말도 되지 않는 환상의 젖어 있다. 그들은 평소 축구를 위해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도 자신들의 대표팀은 언제나 브라질처럼 플레이하길 원한다. 또 자국 리그는 외면하면서도 세계적인 선수가 나오길 갈망하고 선수들이 목표점에 다다르지 못하면 그들을 범죄자보다 더욱 혹독하게 비난한다. 그리고 그런 자신들의 태도가 굉장히 정당한 것이었다고 믿는다."
@user-ue5rg8gw9n
@user-ue5rg8gw9n Жыл бұрын
@성이름 맞춤법 지적하시기 전에 본인 인성부터 고치는게 좋을듯요 요즘은 국민 수준이 많이 올라와서 몇몇이지 대다수가 아닙니다^~^ 근데 님은 어디 찔리세요?
@user-zr3be6ir6e
@user-zr3be6ir6e Жыл бұрын
@성이름 니이름이 더 말도 안되는데ㅋㅋㅋ걍 가서 디집어 자라
@Kristen_.
@Kristen_. Жыл бұрын
이 얘기 꽤나 오래전부터 돌던 명언임. K리그를 제대로 보지도 않으면서도 중계권 유료화에는 거품물고 반대하며, 해외 유명 클럽과 K리그 클럽의 대결에서는 국내 클럽이 개박살 나는걸 기대하는 유일한 나라, 우리나라 클럽의 홈 경기장을 해외클럽의 또다른 경기장으로 만들어 버리는 현수막, 성적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대회 도중 경질 당한 모 감독님, 귀국한 선수들에게 엿을 던지는 행위.. 그러면서도 "한국축구를 사랑하기 때문에."라는 말도 안되는 이유를 내세움. 본인의 무능력과 무관심을 숨기면서 열정을 드러내는 척 하는 가장 무책임한 방법은 남에게 증명과 당연한 희생, 책임을 강요하는 것임.
@xiwnvy
@xiwnvy Жыл бұрын
@@user-iwannasteak 오사마 빈라덴
@qsxftgbjik3731
@qsxftgbjik3731 Жыл бұрын
​@@xiwnvy ㅅㅂㅋㅋㅋㄲㅋㅋ
@hyeonie39
@hyeonie39 Жыл бұрын
전 남편이 브라질인인데 얘기 들어보니까 어릴때부터 정말 학교가서 내내 축구, 끝나도 축구 계속 축구만 했대요. 아무래도 빈부격차도 크고 학원등은 거의 안가니까 계속 축구만 합니다. 그리고 시설이 얼마자 갖춰있겠어요 거칠고 물이 곳곳에 있는 운동장에서 무겁고 다 낡은 공으로 계속 연습하고. 무엇보다 가난한 아이들이 축구가 유일하게 부자가 될 수 있는 수단이라 생각한다고 하네요.
@middlename.
@middlename. Жыл бұрын
​​@유오스타 브라질은 가난한 국가이기때문에 축구선수로 성공하는게 아주 좋은 장래희망입니다. 그래서 사실 경쟁, 연습을 하는거기때문에 마냥 즐거울 순 없어요.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재밌어보이고 진찌 재밌을 수도 있겠죠.
@Dingo_freestyIe
@Dingo_freestyIe Жыл бұрын
​@@middlename. 브라질이 가난해요..?
@user-qu1lf2hx5p
@user-qu1lf2hx5p Жыл бұрын
@@Dingo_freestyIe 빈부격차가 심한나라이고,대부분 가난합니다
@user-gd6cq2gq7j
@user-gd6cq2gq7j Жыл бұрын
@@Dingo_freestyIe내전같이 극단적인 경우 제외하고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국가들 중 최악의 치안을 자랑하는 나라입니다.
@user-ef3ng7cq2i
@user-ef3ng7cq2i Жыл бұрын
전 남편이요???
@CHEDA___
@CHEDA___ Жыл бұрын
축알못인데 최근 FM시작하면서 김진짜님 채널보기 시작했어요 설명 진짜 잘해주시고 이해가 잘돼요 김진짜님 진짜다!!!!!
@user-do9nl3ry9i
@user-do9nl3ry9i Жыл бұрын
김진짜님 아르헨티나 승부차기 우승이...과거 우승국의 재현일 줄이야...3주전 방송인데 분석력이 대단하십니다.
@user-gn4sd1vo6f
@user-gn4sd1vo6f Жыл бұрын
김진짜 폼 진짜로 미쳤다……..
@user-om4no5yi3r
@user-om4no5yi3r Жыл бұрын
??:김진짜 굉장하다
@user-lz7vy4eb1r
@user-lz7vy4eb1r Жыл бұрын
이제 폼 드립 그만보고 싶어요;;
@park3560
@park3560 Жыл бұрын
@@user-lz7vy4eb1r 그럼 보지마
@j_____camp1744
@j_____camp1744 Жыл бұрын
@@user-lz7vy4eb1r 안보면 되자낰ㅋㅋ
@user-qf1le7kt3p
@user-qf1le7kt3p Жыл бұрын
폼보다는 클래스를 봐야죠
@user-mi5ey6kx3w
@user-mi5ey6kx3w Жыл бұрын
ㄹㅇ 우스갯소리로 한국이 롤 잘하는 이유가 어릴 때부터 최첨단 유스 시설인 PC방 덕분이다라는 얘기가 있었는데 이 영상 보고 나니까 띵하네요 ㅋㅋㅋㅋ 이제 상대적으로 한국에선 축구보다 게임을 더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고, 스타 때부터 가지고 있던 실력과 인기가 롤 대회로 넘어가고도 유지되어 자본이랑 유스가 같이 증가한 게임 강국이 되었죠. 피겨 스케이팅이 비인기 종목이었으나 김연아 선수의 등장으로 관심도가 늘어 제 2의 김연아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와서 덩달아 피겨 산업이 발전한 것처럼 우리도 4강 신화 덕분에 축구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커지긴 하긴 했는데 현재는 우리나라가 따라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규모가 커진 상황이라 아쉽습니다.
@user-mi5ey6kx3w
@user-mi5ey6kx3w Жыл бұрын
K리그가 발전하면 좋겠는데 꾸준히 챙겨보는 사람도 많지 않고, 축구가 게임 급으로 일상에 접해있지도 않은 데다 국내 잘하는 선수는 유럽 진출로 실력을 더 키우지만 유럽 시장의 규모도 발전시켜주는 아이러니도 참 안타깝네여. 다른 프로 스포츠 산업도 많이 발전해서 관심이 분산되는 것도 있지만 이건 국가 입장에선 좋은 거네요.. ㅋㅋㅋ 아무튼 꾸준히 노력해준 선수들이 정말 대단하고 남은 월드컵 잘 마무리 했으면 좋겠습니다. 규모가 적은 나라에서 매번 이렇게 월드컵이라는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심에 감사드려요:)
@user-zy4hy2cg5b
@user-zy4hy2cg5b Жыл бұрын
요즘 학교 운동장들이 텅 비어요 예전만큼 축구 안해요 ㅠㅠ 핸폰 게임을 훨씬 많이 함
@user-mi5ey6kx3w
@user-mi5ey6kx3w Жыл бұрын
@@user-zy4hy2cg5b ㅠㅠ
@junek3458
@junek3458 Жыл бұрын
여담이지만 피겨산업이 어느정도 발전했을지는 모르나 국내에 피겨전용 빙상장은 아직도 없는 실정이랍니다... 빙상협회를 죽여주세요 여러분...
@user-mi5ey6kx3w
@user-mi5ey6kx3w Жыл бұрын
@@junek3458 이게 진짜 선수들과 협회쪽이 정말 진정한 한팀이 된 곳이 많이 없어요.. 맨날 마찰 생기고 협회는 그지같은데 선수들만 열심히 해서 국위선양 하니까 더 맘아파요..ㅠㅠ 양궁처럼 협회와 선수가 한팀인 관계가 되면 정말 우리 선수들의 기량이 폭발할텐데 아쉽습니다
@user-yv3ym4ph6q
@user-yv3ym4ph6q Жыл бұрын
김진짜님 정말 축구 컨텐츠 유튜버 1등이십니다! 한국 축구를 위해 큰 보탬이 되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lz6bi3er7h
@user-lz6bi3er7h Жыл бұрын
와 김진짜 큰그림 미쳤다 보는내내 축알못인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게 얘기했고 축구를 잘 아는 사람도 아는 얘기를 연결시켜서 김진짜 스타일대로 해석해서 설득을 해버리네 그러고 마지막 결론은 심플하게 한점 이게 김진짜가 가진 진짜 능력이자 매력이지 않을까
@grugrugi
@grugrugi Жыл бұрын
김진짜 폼 미쳤다
@cuvhowbndlk
@cuvhowbndlk Жыл бұрын
출알못이라 이해 가능한거임 ㅋㅋㅋㅋ 축구 10번만 봤어도 얼마나 말이 안되는 소리하는지 알 수 있음
@baek1617
@baek1617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마라도나 인터뷰 그냥 자막조작으로 밝혀진지가 언젠데... 팩트체크를 하시기 바랍니다..
@6974sexsex
@6974sexsex Жыл бұрын
그냥 인종이 축구못하는 인종이야.. 한국이 축구를 못해서 그런거야 우승국 이고 뭐고 개소리 잡소리가 많노
@user-dy7pp9bf7c
@user-dy7pp9bf7c 7 ай бұрын
인구수랑 축구잘하는건 상관없음 ㅋ 인도 중국이 둘이 합쳐28억이 넘는데 축구를 잘하나 ㅎㅎㅎ
@mypumas730
@mypumas730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도 수많은 우수한 유전자들이 운동을 하는데 우리나라는 종목이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문제.. 일단 올림픽 종목 거의 다 나가지 국가에서 훈련소 지어서 운동만 시킬 정도니까.. 진천에 있는 선수들 전부 초딩때부터 축구만 시켰으면 손흥민급 몇명 더 나왔을 수도 있다고 봄
@user-rx6cx9mr3s
@user-rx6cx9mr3s Жыл бұрын
쏟아지는 아이템 덕분에 진짜형 편집하느라 밤새겠네...ㅠ 육아도 힘들텐데 한달 빡세게 화이팅🎉
@Tae_Do109
@Tae_Do109 Жыл бұрын
@나린 COME MY 𝑷𝑳𝑨𝒀𝑳𝑰𝑺𝑻 ꪜ 넹....😍
@sunzoonee
@sunzoonee Жыл бұрын
1:35 여기 말 진짜 공감해요 어렸을 때부터 어떤식으로 자라는지가 중요한 것 같아요 근데 이게 개인적으로가 아니고 개개인이 뭉쳐서 단체, 국가 단위로 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ilovemylife23
@ilovemylife23 Жыл бұрын
진짜 김찐짜^^ 재미와 정보를 한번에~!! 오늘 우루과이전도 화이팅!!!
@wondoo_film
@wondoo_film Жыл бұрын
축구를 재밌게 하는 게 이런 외적인 다양한 요소들인데 이런걸 가장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잘 풀어주시는 게 진짜님 최강점인듯.. 월드컵때 열심히 노저어봅시다~!
@baek1617
@baek1617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마라도나 인터뷰 그냥 자막조작으로 밝혀진지가 언젠데... 팩트체크를 하시기 바랍니다..
@yodacoin
@yodacoin Жыл бұрын
브라질 혹은 프랑스가 우승합니다 무조건
@yonggeun4222
@yonggeun4222 Жыл бұрын
@@baek1617 우루과이는 아닌듯
@6974sexsex
@6974sexsex Жыл бұрын
그냥 인종이 축구못하는 인종이야.. 한국이 축구를 못해서 그런거야 우승국 이고 뭐고 개소리 잡소리가 많노
@user-eo6uk9ww2i
@user-eo6uk9ww2i Жыл бұрын
크로아티아 인구 400만 ? ;; 우리가 힘들어하는 우루과이 인구는 370만 ㅎㅎ .. 이번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웨일즈 310만. 러시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아이슬란드 37만 ..
@leinad8141
@leinad8141 Жыл бұрын
형 준비를 얼마나 많이 하고 있던 거야..역시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오는 건가
@jameslee8981
@jameslee8981 Жыл бұрын
와우! 설명 개잘하넹^^ 존경심이 마구마구 솟아오른당~~
@bbutter84
@bbutter84 Жыл бұрын
너무 조리있고 논리적인 내용 굿! 마지막에 징크스 깨보자.. 했을때 피식. 결국 한국사랑♡
@user-st6fh9lr5i
@user-st6fh9lr5i Жыл бұрын
우와! 월드컵 때 노저을줄 아는 멋쟁이 진짜님🥰
@andresmith549
@andresmith549 Жыл бұрын
와... 난 이거 카타르 월드컵 끝나고 올린건줄 알고 봤음 ㄷㄷ 김진짜 최고...
@user-wx9qg4tv4k
@user-wx9qg4tv4k Жыл бұрын
인프라가 중요함 우리나라에서 게임 강국인이유중 하나가 피씨방이 오지게 많다는거임 그러니 어릴때부터 자연스레 접하게되고 국제대회에서 계속 한국이우승할때마다 게임에대한 인식이좋아져 지원도 많고 심지어 관련학원 학과등이생겨서 점점 발전할수밖에없음 그러나 축구는 영국만 가더라도 풋살장 축구장이 압도적으로 많음 그리고 잉글랜드7부리그 소속이였던 원어민선생님도 하는말이 영국에선 어릴때부터 축구를보고 관심을가지게하고 또 축구에재능있으면 주위에서 권유하고 인식조차 예전보다 좋아지기도하고 꼭 우리나라 처럼 축구에 올인하는게아니라 축구를 그만두더라도 다른일을 할수있게 공부까지 가르침 허나 중국은 자본이 많아도 계층 권력 이런거때문에 발전안됨 진짜 인프라 갖춰있냐 아니냐 확실한 차이가 있다고봄
@user-ez5oj2qk9t
@user-ez5oj2qk9t Жыл бұрын
근데 인프라가 진짜중요한게맞는데 직접하는 축구는 좀달라..인종피지컬도다르고...좀 진짜다름..
@SsSs-vx1pl
@SsSs-vx1pl Жыл бұрын
@@user-ez5oj2qk9t 꼭 인종 얘기 하는 사람 있음. 인종 별 편차에 대한 논문 이미 엄청 많이 나와있음. 차이 크지 않다고. 물론 진짜 0.01초를 다투는 육상 같은 종목에서는 그 작은 차이가 결과를 만드니 유의미 할 수 도있지만, 단순히 속도만이 아닌 여러 요소가 요구되는 축구는 더더욱 차이 없음. 어느 인종에서든 탑 0.1%는 존재 하며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거임. 바로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예시를 하나 줄게. 참고로 대한민국의 평균 IQ는 전세계 최상위 권임. 하지만 그렇다고 다른 나라에서 머리 좋은애 안나옴? 심지어 우리나라보다 평균 IQ 바닥을 기는 나라에서 천재 안나옴? 오히려 인프라 안 좋고 지원도 없다 보니 좋은 뇌지컬 놔두고 자연과학 죽쓰는거 보면 정확히 알 수 있는거 같은데. '직접하는'의 의미를 잘 모르겠는데 우리나라 탑 피지컬인 사람들 봐보면 진짜 말 안나옴. 참고로, 난 평균 얘기 하는거 아님. 평균애들이 나와서 국가 대표 하는거는 아니잖아?
@user-oo3su4xd6u
@user-oo3su4xd6u Жыл бұрын
@@user-ez5oj2qk9t 동의합니다
@user-dn8ii7cn7d
@user-dn8ii7cn7d Жыл бұрын
@@SsSs-vx1pl 직관이랑 좀 다른 연구결과인데 그럼 나라별 키차이가 인종에 따라 다른건 뭘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SsSs-vx1pl
@SsSs-vx1pl Жыл бұрын
@@user-dn8ii7cn7d 그래서 마지막에 적어놨습니다. 평균을 말하는게 아니라고요. 평균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월드컵을 평균애들 뽑아서 하지는 않으니깐요 ㅎㅎ
@user-kd6dc4xv1s
@user-kd6dc4xv1s Жыл бұрын
1일1영상 너무 좋아요!
@catcoin-
@catcoin- Жыл бұрын
김진짜 폼 진짜 미쳤다.... 아니 그냥 미쳤다..!
@user-sz7pc8ep3h
@user-sz7pc8ep3h Жыл бұрын
김진짜 진짜 분석 잘함! 파이팅?
@damilove1601
@damilove1601 Жыл бұрын
여러 요인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영상에 없는 요인은 1.개발도상국 빈민가 출신의 유일한 사회적지위 상승수단 2.축구 외의 특별한 유흥,엔터테인먼트거리가 없는 개발도상국
@myw753
@myw75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왜 잘하냐의 질문은 그냥임. 한국이 게임을 왜 그렇게 잘하냐? 공부 못하는 애들이 도태되고 도피처를 찾다 보니 게임만 허구헌 날하는거임. 거기서는 부모를 잃으니까 목숨 걸고 함. 게임 왜 하냐 물어보면 그냥임. 재밌어서 즐거워서 좋아서 행복해서도 아니고 그냥 중독 된 거임. 좋게 표현하면 몰입이고. 애초에 중독과 몰입의 메커니즘은 같음. 돈 안 되는 건 중독이라 하고 돈 되는건 몰입이라고 함. 브라질 축구 왜 잘하냐? 인프라가 탄탄해서? ㄴㄴ 브라질은 축구 인프라가 안 좋아서 좀만 잘하면 타 리그로 나가려고 함. 한국 게임 왜 잘하냐? 인프라가 탄탄해서? ㄴㄴ 중국, 세계 여러 리그에 비해서 돈도 그렇고 수준 미달임. 하지만 세계적인 e 스포츠 선수 많음. 인프라 안좋아도 뛰어난 애들 특징은 1. 학창시절에 축구, 게임으로 스트레스 품. 2. 축구, 게임으로 사회 지위 상승 가능. 3. 그리고 해당 필드에대해선 국가 내수 인프라가 안 좋아도 어느정도 먹고 사는데 활성화 될 만큼 국민적인 인기가 있음. 최소한의 환경적인 뒷받침으로 잘하는걸하면 성공 가능.
@dftey2593
@dftey2593 Жыл бұрын
남미에는 해당될듯 영국 유럽 이런데는 진짜 우리나라의 게임 느낌이고 시도때도없이하는 삶 일부
@hyun7736
@hyun7736 3 ай бұрын
​@@myw753 브라질이 축구인프라가 안좋다니 그냥 축알못이네 ㅋㅋㅋㅋㅋㅋㅋ축구선수로 등록된 선수숫자 프로팀 갯수가 넘사벽으로 많은데 안좋긴 개뿔이 좀 모르면 아는척 나대지맙시다 설마 경제력=인프라라고 생각하는건 아닐테고
@zhishengpiao1814
@zhishengpiao1814 Жыл бұрын
강팀들은 이게 무섭죠...최용수 감독의 말처럼 포커스를 8강에 맞추고, 조별예선을 치룬다는 말처럼, 클럽팀에 뛰다가 온 선수들의 조직력을 조별예선을 통해 정비하고, 토너먼트부터 제 실력발휘개시..또한 자국 선배들의 국대경기 보면서 자라왔으니, 자기들도 선배들처럼 할수 있다라는 믿음... 이둘이 합쳐지는 거 같습니다.
@user-wx8cg2zs3d
@user-wx8cg2zs3d Жыл бұрын
상위 레벨에 있는 팀들은 컨디션을 토너먼트에 맞춤.특히 우승을 목표로 하는 국가들은 16강 8강에서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를 함 그해 비해 16강 목표로 하는 국가들은 예선전에서 모든걸 검.. 한가지 전적으로 동의하는게 미국을 보면 알수가 있음.. 미국은 축구는 비인기 종목임
@sun-ur9vz
@sun-ur9vz Жыл бұрын
리그에 투자하는게 다르긴하지만 뼈대가 다르다고 생각해요
@minamiakai4622
@minamiakai4622 Жыл бұрын
동계, 하계 올림픽 보면 어떤 종목의 금메달은 항상 특정나라가 따가잖아요? 그점에서 그종목을 잘하는 유전자는 있는것같아요. 육상 중장거리는 케냐(혹은 에티오피아)가 1등이고, 양궁은 우리가 잘하고, 스케이트는 네덜란드가 잘하고, 체조는 루마니아가 잘하고 이런것들요.
@BiggestChodeKR
@BiggestChodeKR Жыл бұрын
김진짜 미쳤다
@donvancouver
@donvancouver Жыл бұрын
영상 처음에 말씀해주신 부분 정말 격하게 공감합니다. 제가 5학년때 2년 정도 아르헨티나에 살았었는데 당시 아르헨티나 친구들한테 제일 좋아하는 스포츠가 뭐냐 물어보면 축구가 아닌 농구 테니스라는 대답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왜 축구가 아니냐 물어보니 그 어린 초등학교 아이들에게서 돌아오는 대답이 "축구는 스포츠가 아니라 내 삶이다" 였어요. 학교에서 10분씩 있는 쉬는시간, 점심시간, 그냥 쉴틈없이 시간만 나면 복도에서 운동장에서 축구만해요. 그리고 초등학생인데 오버헤드킥을 해요. 대리석 바닥으로 된 복도에서 공중을 돌며 오버헤드킥을요. 타고난 신체에 매일 매일 축구를 하니 못 할 수가 없어요. 축구를 대하는 생각 자체도 다르고요. 티비틀면 언제나 축구중계고요. 1990년 월드컵 당시 아르헨티나가 준우승할 때 열기는 지금도 잊을 수가 없어요. 매경기 승리가 확정되는 순간 거리가 순식간에 하얗게 물들죠. 사람들이 휴지나 하얀 종이 같은걸 거리에 풀어서 다 던져요. 나라 전체가 파티를 하는건데 정말 경험해본 사람만 느낄 수 있는 열기에요. 아직도 그 느낌을 잊지 못해서인지 축구만큼은 저는 한국이 아닌 아르헨티나를 1순위로 응원하게 돼요.
@-_-..-_-..-_
@-_-..-_-..-_ Жыл бұрын
사우디에게 혼쭐난건 어떻게 생각하세요
@donvancouver
@donvancouver Жыл бұрын
@@-_-..-_-..-_ 남은 2게임에서 잘 할꺼라 믿고 있어요. 1990년에도 카메룬 상대로 첫 개임 지고 주전 골키퍼 부상으로 아웃되고 최악인 상황이였지만 준우승 했던 기억이 있어서요. 당시에 교체멤버였던 후보 골키퍼 Goycochea가 맹활약해서 Caniggia와 더불어 국민영웅으로 등극했었어요. 첫경기 결과가 실망스럽긴 하지만 회복할꺼라 믿고 있습니다.
@user-pn6jh8lx7z
@user-pn6jh8lx7z Жыл бұрын
@@donvancouver 사람이름이 카껌둥이 ㄷㄷ;;
@Chicken___Lover
@Chicken___Lover Жыл бұрын
글 읽으면서 농구, 테니스에서 띠용했는데 축구는 스포츠가 아니라 내 삶이다에서 무언가 전율이 넘쳐흐르네요^^
@TPRpWPDLFEOVY
@TPRpWPDLFEOVY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반도체 자동차 무역 포기하고 축구 올인하면 월드컵 16강 팍팍올라갈수 있음. 할래?
@djluciferypk
@djluciferypk Жыл бұрын
진짜 월드컵때 김진짜님 70만 갑시다! 화이팅!!
@user-nw2gf9dn3t
@user-nw2gf9dn3t 7 ай бұрын
잘하는 팀들 끼리 서로 많은 경기를 하는 게 기본적인 이유고, 그 걸 바탕으로 각자 잘하는 스타일을 정립하고, 거기에 맞게 어릴 때 부터 축구를 가르치는 게 두 번째 요소, 거기다 팀에 다양한 인종들을 포함시켜, 인종의 낯설음도 없애 버린다.. 그런거죠 뭐..
@user-hc1tz5ks4w
@user-hc1tz5ks4w Жыл бұрын
설명도 잘해주는데 재미도 있넼ㅋ
@user-wr3yb1ym7i
@user-wr3yb1ym7i Жыл бұрын
물론 wbc도 있긴 하지만 종합경기인 올림픽에 견줄만한 스포츠 이벤트는 단연 월드컵인듯 화려한 볼거리도 제공하고 전세계인의 관심도 높음 관심이 높은 이유는 타 스포츠에 비해 경기규칙이 까다롭지 않아서 이해하기 쉬운데다 90분 내내 이어지는 긴장과 골이 터졌을때의 벅차오르는 희열이 그 어떤 종목보다도 찰진 느낌
@igniz2002
@igniz2002 Жыл бұрын
오 생각도 못했던 부분까지 알게 되었어요, 조목조목 재미있게 잘 짚어 주셨네요. 한국도 국내 리그에 관심도 좀 많고 활성화 되서 좋은 선수풀이 형성되야 하는데, 과정은 없고 결과인 월드컵에만 목을 메니 그게 좀 아쉬운 부분이네요. 사실 한국은 국내 리그에서 제일 관심도가 높은건 안타깝게도 야구가 아닌가 싶긴 합니다. 월드컵에 좋은 성적 내려면 야구만큼 혹은 야구 이상의 국내리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긴 해야 될 것 같아요.
@jh-nl8yf
@jh-nl8yf Жыл бұрын
1:29 글쎄요 무슨 요지인지는 알겠지만 스포츠는 피지컬 요소와 불가분의 관계인데 나라-인종별로 피지컬 차이가 있는 건 확실하니까 전혀 상관없다고 하긴 어렵지 않을까요
@igniz2002
@igniz2002 Жыл бұрын
@@jh-nl8yf 갑자기 인종별 피지컬 이야기가 왜 나왔는지 의문이네요? 전 야구 만큼의 관심도 증가를 이야기 하고 있었는데, 그리고 피지컬 문제는 현대에 와서는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메시는 흑인이라서? 키가 커서? 근육량이 좋아서 축신이라고 불리나요? 손흥민은 외국 사람입니까? 그럼 중국에는 인구 비율상 손흥민 같은 사람들이 수십명은 더 있어야 할텐데요? 전 인종별 피지컬이 과거에는 통용 될 수 있었지만, 현대 축구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구요. 무엇보다 국민들의 관심도 이야기에서 피지컬 이야기가 튀어나온 맥락은 이해하기 어렵군요
@jh-nl8yf
@jh-nl8yf Жыл бұрын
@@igniz2002 영상의 책 인용 부분에 대한 코멘트를 달았다고 생각했는데 폰 터치가 잘못돼서 엉뚱한 댓글에 대댓으로 써버렸네요;
@igniz2002
@igniz2002 Жыл бұрын
@@jh-nl8yf 아 해프닝이었군요. 저도 좀 이상한 상황인데?!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ㅎ 좋은 하루 되세요~
@jh-nl8yf
@jh-nl8yf Жыл бұрын
@@igniz2002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user-sr5tr7sx8m
@user-sr5tr7sx8m Жыл бұрын
대충 그래서 잘 하겠거니 한 걸 이렇게 정리 하니까 정말 일목요연 하네요. 굿잡
@soccer_tutorial
@soccer_tutorial Жыл бұрын
가만히 들어보니 결국 우리나라도 우승할수 있고 해보자는뜻~ 너무 좋습니다. 한번 가봅시다~~레쓰기릿~~!^^
@yankeesada
@yankeesada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나라가 작은 거에 비해 하는 운동이 너무 많음.. 그만큼 운동선수들이 분산되니까 안그래도 선수 풀이 좁은데 더 좁아짐 그리고 엘리트 스포츠화 돼있어서 프로와 아마추어의 격차가 더 큼 그래서 어려운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user-oj6hn3vp8n
@user-oj6hn3vp8n Жыл бұрын
그런데도 불구하고 각각 스포츠 분야에서 손흥민 류현진 같은 선수들 나오는거 보면 우리나라도 스포츠 유전자는 나쁘지 않은듯
@yankeesada
@yankeesada Жыл бұрын
@@user-oj6hn3vp8n 그치만 국대가 강해지려면 그런 선수가 많아야되니까 힘든거죠
@brianjung1733
@brianjung1733 Жыл бұрын
돼 되는 부별해야지 인영아 작은나라가 중요한게 아니라 인구 오천만이면 적은 수가 아니다 스포츠는 인저과 물적이 만나 시너지가 생기는데 5천만에 3만불 찍은국가는 10개가 되겠니?
@yankeesada
@yankeesada Жыл бұрын
@@brianjung1733 돼 되 어디 구별 못했는디? 너가 못한 거 같은데
@user-gr3tc6bg6b
@user-gr3tc6bg6b Жыл бұрын
저는 선수 분산보다 체육 자체가 활성화가 안된게 큰거 같아요. 모든 스포츠가 다 엘리트화 되어 있어서 애초에 선수풀에 들어가는 사람 수 자체가 엄청 적은 느낌
@kimnamho100
@kimnamho100 Жыл бұрын
심판도 유럽심판이 많아서 유럽팀에 유리하게 작용되고 우승을 많이 할수 있었다고 봅니다.. 86년 8강전 카멘룬과 잉글랜드는 잉글랜드에 pk만 3개 줬던 완전 조작된 경기로 보고 있습니다..
@user-gv9vk6nx8i
@user-gv9vk6nx8i Жыл бұрын
그 이유만으로는 좀..ㅋㅋ 유럽심판이 많다고 유럽팀에 유리하게 작용한다기보다는 누가봐도 유럽팀이랑 아시아팀이랑 실력차이가 많이나는데..ㅋㅋ
@user-ul3bt4we4l
@user-ul3bt4we4l Жыл бұрын
86년이 아니라 90년월드컵입니다
@user-ig9qg5lq5d
@user-ig9qg5lq5d Жыл бұрын
김찐짜님 대단합니다 진짜님 용상 볼려고 클릭했는데 광고 건너뛰기가 나왔는데 진짜님 영상이 나옵니다 대단합니다
@Currychick
@Currychick Жыл бұрын
진짜 생각해보니까 관심이 많아서 잘하는게 맞는듯 한국도 어딜가든 싼값에 고사양 게임을 할수 있는 pc방이 보급이 너무 잘된만큼 게임잘하는 사람이 많이 나오네
@user-aim99
@user-aim99 Жыл бұрын
인프라의 차이죠 단순 돈으로만 만들어지는 인프라가 아닌 인기가 많아짐에 따라 생기는 대중들 사이에 생기는 그런 문화들이 다른 국가가 따라 갈 수 없는 차이점이 된다 생각하네요 우리나라가 게임강국 양궁강국 사격강국인것 처럼요
@user-dy2je4wt3r
@user-dy2je4wt3r Жыл бұрын
리그오브레전드에서 매번 상위권의 성적을 이뤄내는 한국팀들을 생각해보면 말씀해주신 이야기가 잘 와닿는 것 같아요!
@173cm73kg
@173cm73kg Жыл бұрын
뭔 ㅈ같은소리야 롤이 미국껀데
@user-xt4we7uw1i
@user-xt4we7uw1i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투자는 lck보다 lpl리그가 더 많다는거..ㅠㅠㅋㅋㅋㅋ
@halsey2308
@halsey2308 Жыл бұрын
ㅆ덕겜따위랑 비교를하네
@psi_cpy
@psi_cpy Жыл бұрын
@@173cm73kg 혹시 난독이니?
@user-cn5it3rx7v
@user-cn5it3rx7v Жыл бұрын
@@halsey2308 무슨
@wojip
@wojip Жыл бұрын
와 흥미롭다ㄷㄷ이런건 생각만 해봤는데 그이유를 알게됨
@user-qz7ec1nc9t
@user-qz7ec1nc9t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많이 올리지만 유익하기 그지 없으니 이거야 말로 김진짜
@user-bf2vb7dm7q
@user-bf2vb7dm7q Жыл бұрын
묘하게도 우승국 중 두 팀이 벌써 아시아 국가한테 졌네요 ㅋㅋㅋㅋㅋㅋㅋ 제발 우리나라도 우루과이(우승국)한테 이길 수 있기를....!!
@Jenniejennie1029
@Jenniejennie1029 Жыл бұрын
한국 ㅈㄴ부담될듯ㅜㅋㅋㄱㄱ 앞팀 아시아들은 이변인듯 다 이기고 오늘 한국은 사람들이 우승하기 힘들 것 같다 그러구ㅋㅋㅋㄱㅌ
@idbrave
@idbrave Жыл бұрын
ㅋㅋㅋ우루과이도 떨어짐 이번 월드컵 웃기게 돌아감
@user-rr4lf3wl9r
@user-rr4lf3wl9r Жыл бұрын
묘하게도 역시 결승전은 그나라들끼리만함..
@asdasd-xp5yv
@asdasd-xp5yv Жыл бұрын
폼진짜 김 진짜로 미쳤다.......
@user-yb6ts1gc3c
@user-yb6ts1gc3c Жыл бұрын
게임만 보면 그 종목에 인기가 있어야 된다는게 맞음. 약체라고 평가받던 FPS도 오버워치가 인기있으니 언제 그랬냐듯이 우승을 하듯 인기가 제일 중요한 요소인게 맞는듯
@user-qw4sy8xy1v
@user-qw4sy8xy1v Жыл бұрын
로또명당 같은 게 아닐까요 로또명당이라는 게 원래부터 정해진 것이 아닌 1등이 나온 순간부터 그곳이 명당이 되는 것이니까요 그러다보면 1등이 나온 로또 명당이라는 곳에 사람들이 몰리게 되고 더 많이 복권을 구매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곳에서 1등이 더 많이 나오는 것처럼요
@lovematsu4
@lovematsu4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솔직히...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플라티니라는 선수만 떠오르고 그냥 유럽에선 체코나...크로아티아 정도 느낌의 팀이었는데... 혼혈, 흑인들 다 받아들이고 유소년 때부터 체계적으로 훈련시키고...환골탈태....
@user-dr3ic2cm8s
@user-dr3ic2cm8s Жыл бұрын
이 분석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바로 미국... 미국은 축구가 제1의 스포츠가 아니기 때문에 유럽에 비해 낮은 성적을 내는거죠. 만약 미국이 축구가 제1 스포츠라면 지금이라도 월드컵 씹어먹고 우승하겠죠.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적은 인구에 비해 프로 스포츠 종목이 지나치게 많다보니 프로축구 인기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그러다보니 대표팀 성적도 여기에 비례하고...
@simtole
@simtole Жыл бұрын
김진짜님 축구 분석 월드클래스!!! 절대 절대 맞습니다. 확실히 맞고요.
@ljs5943
@ljs5943 Жыл бұрын
조별리그에서 아르헨 이변 희생양인데 통계보니 우승으로 가기위한 루트였군... 아르헨 우승 메시 goat 마침표 찍자!!
@user-xo4px5dk9u
@user-xo4px5dk9u Жыл бұрын
1990년 월드컵때도 아르헨티나 개막전에서 졌는데 브라질 이태리 이기고 결승까지 갔어요 결승에서 독일에 아깝게 지긴했지만요
@FootballEverton
@FootballEverton Жыл бұрын
원래 아르헨이 첫경기 약함
@user-iz9hy3vw2m
@user-iz9hy3vw2m Жыл бұрын
아르헨이 첫경기에 못하고 그 담경기 정신차리고 갑자기 다른팀으로 돌변함 갑자기 잘해짐 ㄹㅇ
@Dormammu-pu8uq
@Dormammu-pu8uq Жыл бұрын
구토견들 ^사우디^한테 쳐발리고 한다는 소리가 ” 아르헨은 원래 첫경기에 약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실은 느그 아르헨은 조별딱이고 포르투갈이 우승~~~
@user-tr8bs8tw8d
@user-tr8bs8tw8d Жыл бұрын
@@Dormammu-pu8uq ㅗㅜㅑ 우리 ㅈ닌이 왔어 ???
@TV-qw7bk
@TV-qw7bk Жыл бұрын
2002년 브라질이 유일하게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거치지 않고 우승했네요 16강 벨기에 2:0 8강 잉글랜드 2:1 4강 터키 1:0 결승 독일 2:0 조별리그 포함 모든경기를 승리했습니다.
@user-kv4ri7gq1o
@user-kv4ri7gq1o Жыл бұрын
역대급 이긴하지 02브라질
@youtube_algorithms
@youtube_algorithms 8 ай бұрын
그당시 라인업이 미쳤지 호나우두,호나우딩요,히바우두,카카,카를로스,카푸 ㄷㄷ
@user-yy9gs3du1u
@user-yy9gs3du1u 4 ай бұрын
02 우승후보 아르헨티나,프랑스 탈락이 아쉽네요
@user-ie8vt4lm1l
@user-ie8vt4lm1l Жыл бұрын
정답이네요 대학 선출까지 해오면서 항상 느꼈던 점입니다 관심과 인재풀이 많아야하죠 그러기 위해서는 불을 지필 도화선이 필요한 것이구 저희나라가 괜히 e sports 강국이 아닌게 남녀노소 누구나 가볍게라도 게임에 접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하고 👍
@marke6533
@marke6533 Жыл бұрын
쉽거 재밌는 설명!
@user-hy2wb6gd6k
@user-hy2wb6gd6k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중동의 꺾이지 않는 마음" +"중요한건 아시아의 꺾이지 않는 마음"
@hdjdgpqhd7555
@hdjdgpqhd7555 Жыл бұрын
중꺽마
@koreanmessiLeeseungwoo
@koreanmessiLeeseungwoo Жыл бұрын
장윤철
@shsifjsbzuaj
@shsifjsbzuaj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아르헨도 조별리그 첫경기 사우디한테 질때만 해도 불쌍한 메시 이런 분위기 였었는데 ㄷㄷ
@lllll-gt8cy
@lllll-gt8cy Жыл бұрын
진짜형 요즘 영상 많이 올리는거 개꿀이면 개추 ㅋㅋ
@user-ob4pp5dg1b
@user-ob4pp5dg1b 7 ай бұрын
관심분야에 투자를하고 본인들도 자부심을 느끼고 하는 것도 자국이 우승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이죠.
@syl4607
@syl4607 Жыл бұрын
네덜란드는 아직 우승 못한게 ㄹㅇ 신이 밸패를 야무지게 했구나하고 체감함
@user-cu8qe9gj4p
@user-cu8qe9gj4p Жыл бұрын
???: 김진짜는 한국의 보물이다.. 그는 월드클래스이다
@letsswingdance2479
@letsswingdance2479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축구방송이구먼
@user-ik8nd5hw2y
@user-ik8nd5hw2y Жыл бұрын
W진짜진짜유용하고재밌다!
@user-wb3fo1of3y
@user-wb3fo1of3y Жыл бұрын
인구가 많으면 유리하다고 생각하지만 관심이 먼저인부분은 저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중국은 인구와 관심에 대해 지금까진 예외인 거 같아요.. 현재 중국 7~8년 거주중이고 30대 중반인데 오자마자 축구 하면서 느껴진 게 지연,학연,시기 우리나라 옛날처럼 그게 아직도 가장 크다고 느껴집니다.특히 현재 20대중반이후는요. 아직은 아니지만 1~20년 뒤는 정말 모를 거 같긴합니다. 이 주제로도 한 번 제작하시면 재밌을 거 같습니다 ㅎㅎ 우리도 겪었던 역사였고 여기 또한 겪으며 지나가고 발전하는 중이니까요.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ㅎㅎ
@user-hj2zg1bz9o
@user-hj2zg1bz9o Жыл бұрын
중국 개인적으로 모여서 축구도 못하잖아 공산주으라 ㅋㅋ
@user-ll2sv2xg3m
@user-ll2sv2xg3m Жыл бұрын
1-20년뒤 모른다 그소리 몇년째냐 ㅋㅋㅋㅋㅋ절대 중국은 안됨 우리는 그 겪었던 역사에서도 월드컵 계속 나가면서 발전했음 ㅋㅋ
@user-gi4ke7wh2j
@user-gi4ke7wh2j Жыл бұрын
그럼 인도도 축구 잘했겠지
@onhajun
@onhajun Жыл бұрын
계급있는 관심있는 자식들로 가지곤 안됨 . 공산주의라서 재능있고 잘하는 아이보다, 계급에 따라 스포츠도 하게되니 어쩔수없는듯
@user-xs4ve3dj1l
@user-xs4ve3dj1l Жыл бұрын
댓글들 왤케 빡대가리에 한심해보이냐 ㅋㅋ 진짜 중국이 뭐 사상때문에 안된다고 생각함? ㅋㅋㅋㅋ 걍 웃음만 나오네 ㅋㅋ 진짜 반지성주의 지리노
@graycain
@graycain Жыл бұрын
마라도나 메시 펠레 같은 혼자서 경기를 지배하는 타고난 천재형 선수도 있음. 그런 선수들 입장에선 재능이 맞음.
@tv-ff7hn
@tv-ff7hn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뵤~ㄱ 에 중독되서 구독 눌렀습니다
@user-is1dm5ro1q
@user-is1dm5ro1q Жыл бұрын
김진짜형 폼 좋을때 우승하자. 때놓치고 후회하지 말고! ㅋㅋ
@user-mn5yj8lo3e
@user-mn5yj8lo3e Жыл бұрын
조별리그 최약체에 최근 수비의 물오름, 손흥민의 부상......이거......완벽하잖아?....
@user-xv4jo2bl9q
@user-xv4jo2bl9q Жыл бұрын
스티로 폼 미쳤다
@Espritmyth
@Espritmyth Жыл бұрын
분석 대단합니다
@danchan8317
@danchan8317 Жыл бұрын
어느순간부터 결승전은 강팀(이전에 최소 4강이상 오른팀)끼리만 붙게됨... 네덜란드나 크로아티아도 우승한번 해야할것 같고 모로코같은 돌풍의 팀도 4강 간적 있으니 언젠간 결승가고 또 언젠간 우승도 할거라 믿는다..
@user-hh6cf4xo7t
@user-hh6cf4xo7t 8 ай бұрын
오 카타르 전에 한거구나 아르헨티나 첫경기 사우디에 졌는데 완전 정확하다잉
@braceman976
@braceman976 Жыл бұрын
이번 카타르 월드컵 우승은 아니더라도 꼭 아시아 국가 중 4강이상가는 나라가 나오길 기대합니다 그게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
@user-zy4hy2cg5b
@user-zy4hy2cg5b Жыл бұрын
아 근데 그게 또 일본이면 맘이 복잡할듯 ㅠㅠ
@user-ll3yp3ex2s
@user-ll3yp3ex2s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일본이될것 같아요 ㅠㅠ
@user-fw7mt4ie3k
@user-fw7mt4ie3k Жыл бұрын
16강 세팀 올라간건 참 좋은데 아시아 팀들이 원정 8강 이상은 죽었다 깨도 못가는걸까요... 일본에 기대를 조금 걸어봤는데 또다시 16강의 벽을 넘진 못했네요
@user-wy1gn7pu6e
@user-wy1gn7pu6e Жыл бұрын
축구 관심없는데 이분 영상은 재밋다..
@user-bq4cn7oc7p
@user-bq4cn7oc7p Жыл бұрын
스포츠는 뭐든지 선발주자가 제일 중요한듯 나라마다 유전적 체형 근육의 성장도 다 다르니 이상적인 성장 스타일이 플레이방식이 달라야 하는데 모든것은 선두하는 나라에 맞춰져있음 자질적으로 앞서는 유전자가 아니면 똑같은 방식으론 성장하기 힘들듯 아니면 나라에 돈이 준내 많아서 다 귀화시키거나
@jinyoon7163
@jinyoon7163 Жыл бұрын
진짜 설득력 있는듯 지금 일본 국대가 해외파 특히 분데스리가 소속 선수들이 많이 있는데 분데스 상위권 팀이 아니더라도 그 리그에 소속 되어 있으면 뮌헨이나 돌문 같은 팀 상대하면서 탑클래스 선수들도 많이 상대할테니까 자신감도 많이 붙을것 같은데 유럽에서 뛰는 선수들이 매우 적은 한국팀은 기본적인 실력도 그렇고 이 부분에서 특히 더 떨어질것 같습니다
@user-ll3yp3ex2s
@user-ll3yp3ex2s Жыл бұрын
일본 매우 부러워요 ㅠㅠ
@user-lk3ck4pe7g
@user-lk3ck4pe7g Жыл бұрын
2022카타르 연장전+승부차기 개소름이네
@user-wb8yc6ro7t
@user-wb8yc6ro7t 6 ай бұрын
말씀하신 이유들 다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중에서 좋은 인프라가 영향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iamkoreanbaby
@iamkoreanbaby Жыл бұрын
유익하다ㅎㅎ
@VARDECISION
@VARDECISION Жыл бұрын
1930년 🇺🇾 우루과이 월드컵 우승: 우루과이 🇺🇾 / 준우승: 아르헨티나 🇦🇷 1934년 🇮🇹 이탈리아 월드컵 우승: 이탈리아 🇮🇹 / 준우승: 체코슬로바키아 🇨🇿 1938년 🇫🇷 프랑스 월드컵 우승: 이탈리아 🇮🇹 / 준우승: 헝가리 🇭🇺 1950년 🇧🇷 브라질 월드컵 우승: 우루과이 🇺🇾 / 준우승: 브라질 🇧🇷 1954년 🇨🇭 스위스 월드컵 우승: 서독 🇩🇪 / 준우승: 헝가리 🇭🇺 1958년 🇸🇪 스웨덴 월드컵 우승: 브라질 🇧🇷 / 준우승: 스웨덴 🇸🇪 1962년 🇨🇱 칠레 월드컵 우승: 브라질 🇧🇷 / 준우승: 체코슬로바키아 🇨🇿 1966년 🏴󠁧󠁢󠁥󠁮󠁧󠁿 잉글랜드 월드컵 우승: 잉글랜드 🏴󠁧󠁢󠁥󠁮󠁧󠁿 / 준우승: 서독 🇩🇪 1970년 🇲🇽 멕시코 월드컵 우승: 브라질 🇧🇷 / 준우승: 이탈리아 🇮🇹 1974년 🇩🇪 서독 월드컵 우승: 서독 🇩🇪 / 준우승: 네덜란드 🇳🇱 1978년 🇦🇷 아르헨티나 월드컵 우승: 아르헨티나 🇦🇷 / 준우승: 네덜란드 🇳🇱 1982년 🇪🇸 스페인 월드컵 우승: 이탈리아 🇮🇹 / 준우승: 서독 🇩🇪 1986년 🇲🇽 멕시코 월드컵 우승: 아르헨티나 🇦🇷 / 준우승: 서독 🇩🇪 1990년 🇮🇹 이탈리아 월드컵 우승: 서독 🇩🇪 / 준우승: 아르헨티나 🇦🇷 1994년 🇺🇸 미국 월드컵 우승: 브라질 🇧🇷 / 준우승: 이탈리아 🇮🇹 1998년 🇫🇷 프랑스 월드컵 우승: 프랑스 🇫🇷 / 준우승: 브라질 🇧🇷 2002년 🇰🇷🇯🇵 한·일 월드컵 우승: 브라질 🇧🇷 / 준우승: 독일 🇩🇪 2006년 🇩🇪 독일 월드컵 우승: 이탈리아 🇮🇹 / 준우승: 프랑스 🇫🇷 2010년 🇿🇦 남아공 월드컵 우승: 스페인 🇪🇸 / 준우승: 네덜란드 🇳🇱 2014년 🇧🇷 브라질 월드컵 우승: 독일 🇩🇪 / 준우승: 아르헨티나 🇦🇷 2018년 🇷🇺 러시아 월드컵 우승: 프랑스 🇫🇷 / 준우승: 크로아티아 🇭🇷 2022년 🇶🇦 카타르 월드컵 우승: 아르헨티나 🇦🇷 / 준우승: 프랑스 🇫🇷 🇧🇷: ⭐️⭐️⭐️⭐️⭐️ (1958, 1962, 1970, 1994 2002) 🇩🇪: ⭐️⭐️⭐️⭐️ (1954, 1974, 1990, 2014) 🇮🇹: ⭐️⭐️⭐️⭐️ (1934, 1938, 1982, 2006) 🇦🇷: ⭐️⭐️⭐️ (1978, 1986,2022) 🇫🇷: ⭐️⭐️ (1998, 2018) 🇺🇾: ⭐️⭐️ (1930, 1950) 🇪🇸: ⭐️ (2010) 🏴󠁧󠁢󠁥󠁮󠁧󠁿: ⭐️ (1966)
@koreawp
@koreawp Жыл бұрын
브라질은 펠레때 3번이네
@woodichose4240
@woodichose4240 Жыл бұрын
우루과이 우승 2번이에요?? 별 4개여서 4번 한 줄 알았네,,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Жыл бұрын
@@woodichose4240 그래서 논란이었죠
@user-zn6bu3bv9s
@user-zn6bu3bv9s Жыл бұрын
@@woodichose4240 올림픽 금메달 2번 포함해서 별 4개로 알고 있어요!
@user-zn6bu3bv9s
@user-zn6bu3bv9s Жыл бұрын
스페인 뭔가 우승 많이 했을 줄 알았는데 한 번인 게 신기하네요
@webtoon782
@webtoon782 Жыл бұрын
김폼 진짜 미쳤다.
@ninano123
@ninano123 Жыл бұрын
폼 드립 슬슬 남발하니까 노잼되가고있음
@user-dq8pw6vv7t
@user-dq8pw6vv7t Жыл бұрын
@@ninano123ㅈㄴ재밌는데? ㅋㅋㅋㅋㅋㅋ
@jooooooonoo
@jooooooonoo Жыл бұрын
@@user-dq8pw6vv7t 어 그래 진짜 재밋다
@qwert8996
@qwert8996 Жыл бұрын
@@user-dq8pw6vv7t ㅈㄴ재밌다 개찐따야 그지?
@user-iw2gg2gx3v
@user-iw2gg2gx3v Жыл бұрын
진짜 찐중에 찐 김 레알; 분석력좋다
@user-zy2et9db4j
@user-zy2et9db4j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국내 축구 인기에 비해 국가대표팀 성적은 믿을수 없이 좋은거라고 봄.
@mgnoble15
@mgnoble15 Жыл бұрын
손흥민 아버님이 우리나라 유소년팀들 청소년팀들 성적에 영향 안받고 기본기 충실히 닦고 하면 16강? 아니 기본 8강은 갈거다라고 하더군요. 경기성적 안나오면 예산 안나와 해산되는 경우도 있고 여러이유가 있고.. 우리나라 축구 02년 월드컵 이후 많이 발전해왔지요 유럽파 선수들도 많이 나오고 있고 문제는 유소년 청소년 시스템이 아직
@user-nd8jq1od9e
@user-nd8jq1od9e Жыл бұрын
저도 유소년 시스템이 좋아야 축구 강국이 된다고 봅니다. 근데 유소년 축구경기 보면 하프라인에서 슛때리고 팀경기가 아닌 잘하는 애들 몇명 위주로 이기려고만 하는 경기를 하더군요. 그걸 보면서 손흥민 같은 선수는 한명씩 나올지 몰라도 축구 강국은 절대 못되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인프라나 피지컬이 부족해서 축구강국이 안되는건 절대아님. 축구 강국이 되려면 돈많고 축구 좋아하는 사람들이 유소년 지도자와 시스템을 싹 고쳐야 하는데 어렵다고 봅니다.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Жыл бұрын
@@user-nd8jq1od9e 근데 정작 돈많은 축구지도자들은 유소년 시스템을 대체 왜 고쳐야하는지 이해를 못합니다. 왜냐면 한국인들은 성향상 지속적인 훈련으로 실력을 꾸준히 향상시키는거보다는 개천에서 용나듯이 한방에 전세를 역전시키는 드라마틱한 스타성에 더 열광을 하기 때문에 지도자 입장에서도 소수의 재능충 위주의 육성을 할수밖에 없는것이죠. 만약 우리가 일본처럼 특출난 천재적인 스타선수없이 그냥 전체적으로 상향을 시키는 식으로 실력을 늘려간다면 한국인들은 아무도 축구에 흥미를 가지지않을겁니다. 그런건 재미가 없죠.
@user-nd8jq1od9e
@user-nd8jq1od9e Жыл бұрын
@@user-lq6lm8fh6m 투자자들이나 지도자들이 축구강국 시스템을 모를수가없죠. 이해를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죠. 스타에게 열광하는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어느나라든 똑같아요. 스타성때문이 아니라 이겨야지만 지원을받고 유지를 할수있으니 지도자 입장에서는 잘하는애들 위주로만 육성하는거죠. 개천에서 용나는거처럼 저비용 고효율을 원하니까 일본처럼 전체적인 성장을 못하는거죠.
@mgnoble15
@mgnoble15 Жыл бұрын
@@user-nd8jq1od9e 개인적으로 일본이 유소년이년게 잘돼있으니까 미래에 일본이 우리나라가 상대도 안되는 수준 못해도 월드컵 8강은 가는 수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우리나라도 바뀌겠지요
@asurada0236
@asurada0236 7 ай бұрын
​​@@user-lq6lm8fh6m 지도자들이 왜 그렇게 못하는 이유중에 가장 큰게 뭐냐면 1. 성적이 바로 안나오면 바로 짤린다 2. 부모들이 왜 우리 애는 안내보내고 저 애만 맨날 선발이냐 특히 아줌마들 3. 성적내기 위해 재능이 보이거나 잘하는 애들만 주구장창 내보내서 혹사당하고 부상당해 데뷔도 못하고 그냥 끝 근데 그중에서 요즘 제일 근본적인 문제인게 2번입니다ㅋㅋ
@JhKim_7
@JhKim_7 11 ай бұрын
확실히 그런 거 말고도 특히 유럽은 유로파나 챔스 같은 서로 다른 리그 강팀들이 서로 경기하면서 나오는 이점들도 많은 듯?
@kimgwijin
@kimgwijin 5 ай бұрын
정확하시네요👍
@yzh236
@yzh236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우루과이는 인구가 350만 밖에 안됩니다..ㄷㄷ
@JHS-gu4lw
@JHS-gu4lw Жыл бұрын
어~ 우리나라 아직 멀었어
@hyeonienie7041
@hyeonienie7041 9 ай бұрын
최근 클 감독님의 행실을 보며 속이 답답해서 다시 보러왔어요. 우리나라 축구도 많이 발전하길..
@user-rd5up3ys4v
@user-rd5up3ys4v Жыл бұрын
줜나 유익하네 이러니 좋아요 구독은 덤이지
@Dah-yemond
@Dah-yemond Жыл бұрын
우루과이는 인구수가 몽골급인데 강팀반열에 있는거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나라죠
@user-rw7fz1zg3h
@user-rw7fz1zg3h Жыл бұрын
그건 다른나라들 축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1950년까지만이고 그 이후로 한번도 우승 없었어요 ㅎㅎ 최대가 4위 이번에도 조별리그 탈락
@user-ll3yp3ex2s
@user-ll3yp3ex2s Жыл бұрын
저인구수로 저정도 수준이면 잘하는거죠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Жыл бұрын
부산인구가 딱 정확할듯
@user-xm1ud8gr6h
@user-xm1ud8gr6h 7 ай бұрын
그래도 고딘이나 수아레스 같은 월클 공격수가 나오는거보면 대단함
@user-rj6zu6kl3p
@user-rj6zu6kl3p 7 ай бұрын
남미 피지컬빨도 한몫하죠
@user-nq6sc8ku7d
@user-nq6sc8ku7d Жыл бұрын
럭비를 예로들겠습니다 우선 글쓰기전에 럭비와 미식축구는 조금 틀립니다[출전선수숫자 볼 규칙등] 우선 럭비의 종주국도 축구처럼 영국입니다 섬나라들 식민지 시절에 영국이 럭비를 많이 전파했었죠 물론 아주 오래전 이야기입니다 현제는 세계랭킹이 가끔 뒤바뀌긴하지만[현제1위뉴질랜드] 한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랭킹1위를 오랫동안 유지한적도 있고 유럽에 영국 호주도 간혹 1위를 유지했었구요 웨일즈나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영연방3개국도 상위권을 유지했었죠 럭비라는 스포츠가 참 아이러니한게 축구랑은 조금 틀리지만... 제가 럭비를 한20년동안 국내서만 했었는데 피지컬을 절대 무시못하는 스포츠중 하나입니다 자 여기서 피지컬로만 따진다면 마우리족을 보유한 뉴질랜드나 사모아 피지 퉁가등 오세아니아쪽 섬나라들이 항상1위를 해야맞는데 오히려 남아공이 오랫동안 유지했었던건 김진짜님 말씀처럼 얼마만큼 그나라에서 그종목에 투자를하고 유소년을키우고 생활스포츠로 발전시캬나에따라 많이 갈리는거같습니다 참고로 낭아공이 예전 럭비월드컵우승한날 어제 사우디처럼 국경일로 만들어 버렸죠 넬슨말델라 대통령이... 남아공은 많은 스포츠를 잘하는 나라는 아닙니다 허나 럭비에 투자는 세계어느나라 못지않게 나라 자체에서 엄청난 투자를 합니다 결국 피지컬적인면은 어느정도 플러스 요인이 될수 있으나 결국 스포츠는 어떤 종목에 그나라에서 얼마만큼의 관심과 투자를 하느냐에 따라서 성적도 많이 달라진다고 봅니다
@sungjunpark5209
@sungjunpark5209 Жыл бұрын
추가하자면 럭비와 미식축구는 조금 틀린 종목이 아니라, 그냥 완전히 다른 스포츠라고 봅니다.
@user-nq6sc8ku7d
@user-nq6sc8ku7d Жыл бұрын
@@sungjunpark5209 네 맞습니다 공모양이 비슷할뿐... 근데 아직까지 우리나라사람들은 럭비라고하면 아~그 머리에 하이바쓰고 하는거?? 이러는분들도 많아서요 ^^;; 그래도 아시안게임 금메달딴적도있는데 'ㅡ';;
@hyun7736
@hyun7736 Жыл бұрын
@@sungjunpark5209 틀립니다가 아니라 다릅니다겠죠
@user-uy9un2mv8e
@user-uy9un2mv8e Жыл бұрын
새로운시각 감사합네다
@user-sf3pk9di2y
@user-sf3pk9di2y Жыл бұрын
진짜형 요즘 미쳤네
@dooooooooooo
@dooooooooooo Жыл бұрын
축구 1위스포츠면 서장훈 강호동 박태환 이런분들이 축구햇겟지 겁나잘햇겟지 인재들이 다른종목으로 안간다는점이네요 ㅋㅋㅋ
@user-gi4ke7wh2j
@user-gi4ke7wh2j Жыл бұрын
서장훈이 흑인이면 nba에서 뛰었겠지 그게 인종빨이란거임 ㅋㅋ
@user-bb7mm1rz3t
@user-bb7mm1rz3t Жыл бұрын
우승후보 감독들 다 자국민이네 ㄷㄷ 독일 아르헨 프랑스 브라질 잉글랜드
@user-lv6jj8xq2r
@user-lv6jj8xq2r 8 ай бұрын
명장들도 전부 스페인 잉글렌드 프랑스 아르헨 등등..
@user-so4xe1ey5z
@user-so4xe1ey5z Жыл бұрын
역시 마라도나 선생님 항상 바른 말씀만ㅠㅠ
@mrlee-mn5dr
@mrlee-mn5dr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농구보면 노력으로 재능에영역을 극복할수없는게 보이죠 솔직히 축구가 노력으로 재능에 영억으로 극복할만한 운동이라 그렇지 농구나 미식축구처럼 하이레벨로 올라가면 유전자차이가 절대적이에요ㅜㅜ
@Seika_park
@Seika_park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롤 이나 스타크래프트를 잘하는 이유. 이걸 개발시켜야되는데...
@user-hf6vp8cc6p
@user-hf6vp8cc6p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언제나 꺾이(지 않)는 마음..
@rollingbear9789
@rollingbear9789 Жыл бұрын
몇수앞을 보신겁니까...
프랑스에서 축구 천재가 계속 나오는 이유
10:16
김진짜 Real KIM
Рет қаралды 923 М.
미리 예상해 본, 유로2024 16강 대진표ㅣTMF
25:14
원투펀치
Рет қаралды 74 М.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축구의 신, 펠레를 위하여!
3:13
전람회TV
Рет қаралды 311
펩 과르디올라는 퍼거슨을 넘었을까?
11:46
김진짜 Real KIM
Рет қаралды 382 М.
Janti liyera aaula😁😁😁 #shorts
0:15
Alan Thapa
Рет қаралды 10 М.
석유재벌들이 축구 클럽을 사는 진짜 이유
14:05
김진짜 Real KIM
Рет қаралды 732 М.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가 가능했던 이유
16:28
김진짜 Real KIM
Рет қаралды 851 М.
브라질은 왜 이렇게 축구를 잘할까?
7:07
궁금소
Рет қаралды 751 М.
레알 마드리드 팬들을 행복사하게 만드는 극락버튼 Top33
24:08
축구 읽어주는 여자 쵱내
Рет қаралды 134 М.
기적 같은 역전승이 가능했던 이유
8:02
김진짜 Real KIM
Рет қаралды 973 М.
축구에 그린카드가 존재하는 이유
10:08
김진짜 Real KIM
Рет қаралды 583 М.
😱СЫН КАНЬЕ И ЛЕГЕНДЫ ФУТБОЛА #ronaldo #футбол #football #messi
0:32
ФуЖур (Футбольный журнал)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Он круче РОНАЛДО🤯
0:27
Бутылочка
Рет қаралды 581 М.
Его невозможно остановить... 🤯 #shorts
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