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 원리와 구글의 양자컴퓨터가 대박인 이유 [안될과학 -랩미팅 2화 1부]

  Рет қаралды 268,787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모르면 모를수록 교수님과 랩장으로 모시는,
본격 역수직 관계 토크쇼 [안될과학 랩미팅 LIVE]!
오늘은 궤도 연구원이 지난 랩미팅 교수님들의 요청을 받아
[양자컴퓨터]를 이해하실 수 있도록 발표를 준비했습니다!
과연 궤도연구원은 교수님과 랩장님이 흡족할만한 발표를 준비했을까요?
[안될과학 랩미팅 LIVE]는 매주 화요일 밤 11시에 찾아옵니다!
#랩미팅 #양자컴퓨터 #궤도 #공진 #랩장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363
@byk8820
@byk8820 4 жыл бұрын
편집본 올려주시니 진짜 감사해요~~♡
@user-gt4fg9vw2x
@user-gt4fg9vw2x 4 жыл бұрын
편집방식 너무 좋은거 같아요! 라이브 놓쳐도 당시에 있는듯 한!
@HLIDEAinc
@HLIDEAinc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라도 설명영상을 다시볼수있어서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hx5jq1kx9q
@user-hx5jq1kx9q 4 жыл бұрын
우와아.... 이걸 편집으로 이만큼 살리다니.... 편밀레... 편밀레... 경이롭네요. 랩미팅 100회까지 직진 가즈아!
@aurora9531
@aurora9531 2 жыл бұрын
자금 150회가 넘었네요 ~~
@ZnEEjackson
@ZnEEjackson 2 жыл бұрын
제가 여러 과학유튜브를 봐왔지만, 궤도님이 최고인듯.. 본인이 과학자이기때문에 지식배경도 탄탄하고, 쉽게쉽게 설명하는능력도 최고..
@user-et1jo2gb1t
@user-et1jo2gb1t 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너무 재밌게 보고있어요! 흥해라아아아아
@user-bn4em4nu3i
@user-bn4em4nu3i 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진짜 솔직히 더 안띄워주나? 내가볼땐 이사람들 엔터쪽으로도 재능 심각하게 많은데.. 솔직히 어중간한 스타강사들 보다 더 재미있고 유익하다. 궤도 공진 약 진짜 공중파 방송에서 자주봤으면 좋겠다. 이런사람들이 자라나는 과학자, 연구원, 탐험가를 만들어내는건데..하..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좀 띄워주세요ㅠ 여기저기 소문 좀 많이 내주셔요 :)
@jeahao9096
@jeahao9096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푸엥카레영상 영상우연히봤는데 그뒤로 긴급과학영상다봤습니다 학창시절에 수학과학 물리에관심이 많았었는데 일하느라 바빠서 등지고있었는데 다시 깨어나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jeahao9096 깨어난 과학문화의 영혼에 박수를 드립니다 :)
@qnvoalsrnr
@qnvoalsrnr 4 жыл бұрын
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x2pv3go6q
@user-vx2pv3go6q 4 жыл бұрын
안될 과학은 그냥 하던일 계속 하시면 돼세요. 그것만 열심히 하고 계셔도 무지 바쁘실것 같은데...안바쁘시다면...ㅋㅋㅋ분발해서 더 많은 컨텐츠 제작좀 해주세요~! ㅎ 어차피 금방 뜨실거예요. 누가 안띄워줘요.~스스로 빛이 나시니 스스로 금방 뜨셀겁니다. 걱정마세요. 제가 확신합니다~ㅋㅋㅋㅋ
@user-ze9vz6qc4h
@user-ze9vz6qc4h 4 жыл бұрын
본방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는데 다시 봐도 꿀잼 ㅋㅋ
@user-sz2ep3zy2n
@user-sz2ep3zy2n 4 жыл бұрын
궤도님 너무 재밌습니다. 과학이 이렇게 재밌는거군요
@lanstercoc6661
@lanstercoc6661 4 жыл бұрын
중학교 과학교사입니다ㅎㅎ 중3 애기들 영화보여주는거보다 채널 영상 보여주면 더 좋아해요ㅋㅋㅋ 궤도님은 팬 생겼어요ㅋㅋㅋ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와우 영광입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MOAIIBONG
@MOAIIBONG 3 жыл бұрын
와 요즘중학생들 안될과학도보고 부럽다
@memey0
@memey0 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서 댓글 남기고 갑니다 영상이 길어서 조회수가 많이 안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긴급과학만큼이나 흡입력 있습니다 이 컨텐츠 경쟁력 있습니다 부디 오래오래 더 많이 업로드해주시기 바랍니다 궤도님 간바레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응원에 감사드립니다 :) 이런 응원이 저에겐 정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해요 :)
@user-um4ss1li5e
@user-um4ss1li5e 3 жыл бұрын
개꿀잼ㅠㅠ 완전 소중해 안될과학..!
@ot2787
@ot2787 4 жыл бұрын
병렬처리의 속도 향상의 한계점은 연산의 결과를 모으고 맞춰보는 동기화 문제 때문에 어느 이상부터 연산속도를 향상할 수 없는 것으로도 알고있어요. 영상 재미있게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쉽게 말해 검산 시간도 더 필요하기 때문에 더 이상 늘어나도 효율적이지 않죠 :) 좋은 추가설명 감사드려요 :)
@banchu80
@banchu80 4 жыл бұрын
현직 영어강사입니다! 과학관련 지문에 대한 지식을 얻어가는데서 끝나는게 아니라 개인적으로 완전 문과 머가리였는데 덕분에 과학에 지대한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감사드리고 응원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반갑습니다 :) 응원에 감사드려요! 학생들에게 좋은 영향력 많이 부탁드립니다!
@user-dy1tq1qn5v
@user-dy1tq1qn5v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 재밌어용 ㅜ.ㅜ..?.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lp6uz5vk1z
@user-lp6uz5vk1z 4 жыл бұрын
와 기타 잘 다루고 심슨 닮은 영국 교수님의 중첩 개념 발상이며 이걸 한국어로 설명 해주는 당신들 정말.... 👍🏼
@nneo6178
@nneo6178 4 жыл бұрын
(의견) 재생목록의 순서가 맞지않고 없는화도 있는 것 같네요. 전체 다 보고 싶어요 ^^
@user-pe4vl7fg4p
@user-pe4vl7fg4p 4 жыл бұрын
문과생이지만 견문과 지식을 넓히는 안될과학 정말 재밌게 잘보고 있어요! 이공계 계열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학문에 임하는 자세는 탐구에 대한 열정에 있어야 하죠! 앞으로도 힘내세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이런 응원은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해요!
@user-hx5jq1kx9q
@user-hx5jq1kx9q 4 жыл бұрын
문득,.... 이걸 이해 가능한 정도로 설명하시는 능력에 고개가 꺾여지는 기분이 든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아요 :)
@user-bv8bd5np5i
@user-bv8bd5np5i 4 жыл бұрын
얼굴보고 인사할시간없습니다 들으니까 색다른것..... 계속해줘요 ㅠㅠ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계속 할게요!!! 감사해요 :)
@Suprememale
@Suprememale 4 жыл бұрын
궤도님이 양자역학을 쉽게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그냥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거 같네요 비전공자들이 몇시간을 혼자 책펴서 알아봐야할 내용을 몇분이면 이해하게 하시니 항상 잘보고 갑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오오오ㅠㅠ 너무 과분한 칭찬에 감사드립니다 :) 저보다 훨씬 훌륭한 분들이 많이 계시지만 저는 그저 가장 구독자와 가까이 있는 궤도가 되겠습니다 :)
@PH-bl8cl
@PH-bl8cl 4 жыл бұрын
이 컨텐트는 처음 보는데 재밌네요
@PH-bl8cl
@PH-bl8cl 4 жыл бұрын
경우의 수 부분에서 그러면 이게 N/NP문제 해결과도 관련 있는 건가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해결에 실마리가 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user-eo7fy5ur2g
@user-eo7fy5ur2g 4 жыл бұрын
@@PH-bl8cl 경우의 수가 무한 하면 연속체 가설마냥 답은 확률로만 존재 할 수도 있겠지요
@soppj3384
@soppj3384 4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는내내 소름 돋았습니다 궤도님 귀중한 지식 감사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도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worldhellow6046
@worldhellow6046 4 жыл бұрын
2:55 양자컴퓨터 얘기 시작
@oh_engineering_math
@oh_engineering_math 4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재밌어요~!!ㅋㅋ 예전에 배운거라 기억이 안나는데 cos(theta/2)|upspin > + sin(theta/2)e^(i phi) |downspin > 이런거 이야기하시는건가요?
@jinmanlee8101
@jinmanlee8101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형들은....최고다~~
@Venti_DAISUKI
@Venti_DAISUKI 4 жыл бұрын
와!
@finedust999
@finedust999 4 жыл бұрын
바빠서 신경못쓰고 살았더니 이런 꿀잼행사를 놓쳤네요 ㅠㅠ 아무거나 물어봐도 된다니... 지나버렸지만 뭐 하나만 물어봐도 되나여? 그 양자역학에서 힘이 발생하는게 광자 교환이라고 설명하잖아여 그 광자가 빛의 광자 맞나여? 거울로 반사도 가능한가여? 물리학 하신 분 볼 떄마다 물어보는데 여태까지 확실한 답을 들은 적이 없네여 욕은 엄청 먹었는데 ㅂㄷㅂㄷ 궁금합니다 ㅠ
@ultraviolet_sa
@ultraviolet_sa 4 жыл бұрын
네 그 빛 맞습니다 저는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거울에 반사가 아마 될겁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우선 광자는 사람 이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빛을 의미합니다. 양자전자기이론에서 광자 교환으로 전자기력을 설명하곤 하는데, 전자가 방출한 광자가 다른 전자로 옮겨가면서 힘을 전달하고 사라진다는 것이죠. 여기서의 광자는 빛의 광자가 맞습니다 :) 그래서 광자를 매개 입자라고 하는 것이구요! 힘을 매개하기 때문에요 :)
@Shanks6674
@Shanks6674 4 жыл бұрын
매주 화요일 저녁에 생방송으로 하니까 다음번엔 꼭 오세요! 안될과학 카카오톡으로 사연 보내시면 읽어주십니다.
@piamarine
@piamarine 3 жыл бұрын
과학이 재미있다는걸 알려주신분! 이런분을 초등학교때 만났으면 단연코 나는 이과로 갔을것 같은데! 좀더 많은 주제 부탁드려요
@EhzToT
@EhzToT 3 жыл бұрын
일반 컴퓨터 : 사다리타기 한개씩 진행 > 이걸 매우 빨리 하거나 교대로 해서 동시에 하는것 처럼 보이게함 그래서 클럭이 중요 양자 컴퓨터 : 사다리 동시에 진행
@jocmos
@jocmos 4 жыл бұрын
19:40 디 웨이브 컴퓨터 예쁘게 생겼다
@fortekang5062
@fortekang5062 4 жыл бұрын
궤도조아!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두요 :)
@jjjjjjjj12
@jjjjjjjj12 3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랩미팅 1화도 보고 싶어요 ㅠㅠ 어떤 주제를 다뤘을지...
@dayservant
@dayservant 4 жыл бұрын
헐랭 벌써 거의 20만 되셨네요
@codeneoxide
@codeneoxide 4 жыл бұрын
랩장님 팬이네요
@macgulri
@macgulri 4 жыл бұрын
준내 어렵네 그러니까 지금 이 영상을 보기 전까지는 이해하는 나와 이해못하는 내가 중첩되어있다가 이 영상을 보는 순간 이해 못하는 내가 된다는건가?
@user-wq5tt1gg6t
@user-wq5tt1gg6t 4 жыл бұрын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permafrost8894
@permafrost8894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g3of1wm1l
@user-sg3of1wm1l 4 жыл бұрын
아뇨. 애초에 중첩상태가 붕괴되어 있는 상태라서 첨부터 이해 못하고 끝날때까지 이해를 못하는 본인인 것입니다.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4 жыл бұрын
그냥 이해못함1과 이해못함2가 중첩된 것일 수도
@iffake2541
@iffake2541 4 жыл бұрын
비유가 어느지점인지 모르겠어요, 11:16 ~ ??, 큐빗의 0이면1인 상태를 말하은것인가, 동시계산이 끝난이후 판단이 나온 상태를 이야기하는것인가, 모른다는게 수식적인 연산과정을 모른다는것인가 , 언어적인 표현을 모른다는것인가, 안다의 판단 키워드들의 종합구간은 어디쯤일까요?
@user-fj3vb6mw2x
@user-fj3vb6mw2x 4 жыл бұрын
큐비트의 설명에서 100가지의 길에대한 설명이 혹시 양자역학으로 비유한다면 100가지의길은 파동으로 가다 가장먼저도착한곳이 관측이 되었기때문에 입자로 변한것과같은 뭐 그런거하고 비슷하게 생각해도 되는부분인지요?
@wondaekyoyang
@wondaekyoyang 4 жыл бұрын
인사할 시간도 없습니다. 일단 무슨 내용인지 모르지만(^^...) 좋아요 누르고 다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kimminung1806
@kimminung1806 4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와 3D프린팅 기술이 접목된다면 금속과 식물, 금속과 기체, 금속과 육체 ... X와 Y의 조합점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볼 수 있고요.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게 됩니다. 인공 장기도 만들어질 수 있겠고.. 혈액이 흐르는 알고리즘정도 넣는다 생각하면 이해가 쉽겠네요..트랜센던스의 실현..궁극적으로 인공 원소의 개발.
@user-uh9mc7xb8t
@user-uh9mc7xb8t 4 жыл бұрын
관측자에 따라 있을수도 있고 없을수도있다면, 모든사람들이 볼때마다 거기 있는 남산 티워는 어찌된 일인가요? 실생활에서 와닿게 설멩 부탁드려요.~
@user-uh9mc7xb8t
@user-uh9mc7xb8t 4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의 이론적인 부분은 알겠는데, 구조적으로 실제 어떻게 구현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우리가 쓰는 pc의 경우 반도체소자와 입출력, 저장장치로 되어있고 전기 회로가 있고... 뭐 뻔히 상상이 되는데 설명하신 중첩상황을 전자 부품으로 어떻게 구현하는 건가요? 만실수 있는게 아니라 마술인가요?
@user-io8go7xp4g
@user-io8go7xp4g 4 жыл бұрын
이번편 레전든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oldskys
@coldskys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wonholee8884
@wonholee8884 4 жыл бұрын
근데 영상에서 말씀하신 전환점, 즉 경우의 수가 필요한만큼 큐비트가 필요하다는 건가요? 근데 그 전환점이라는 것도 미시적으로 보면 무한히 많지 않나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사실 제가 이해를 돕기위해 저렇게 설명했는데 전환점이 나올정도로 알고리즘이 단순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무한한 결과가 나오며, 문제의 설계부터 매우 특별한 방식으로 하기 때문에 쉽게 설명드리기가 어렵네요ㅠ
@GuD.H.k
@GuD.H.k Жыл бұрын
중첩을 상당이 어렵게 설명 끓여서 열기가 남아있는 물주전자에 다시 물을 넣고 끓이는 거 (처음에 사용한 열기가 남아 있어서 처음보다 물이 더욱 빨리 끓일수 있고 처음의 시간을 절약할수도 있다는)
@ill5104
@ill5104 4 жыл бұрын
랩미팅 1화 영상은 뭐였나요?
@okvary77
@okvary77 4 жыл бұрын
궤도의 짬짜면
@cmj7260
@cmj7260 4 жыл бұрын
비유가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or 과 and 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뜻. 일반 컴퓨터는 0 or 1. 즉, 0 아니면 1 만 나옴. 그러나 양자컴퓨터는 0 and 1. 즉, 0 과 1이 동시에 존재함. 이것이 얼마나 엄청난 차이냐. 만약 4자리 숫자의 경우의 수를 비교해보면, 일반 컴퓨터는 0과 1 두 가지의 선택지가 4자리 있으니 2의 4승개. 즉 16개가 있어서 16번을 연산해야 되는데, 양자컴퓨터는 동시에 존재하기때문에 1번만 하면 됨. 그럼 10자리면? 일반 컴퓨터가 1024번 연산해야 하는걸 양자컴은 1번만 하면 됨. 근데 구글에서 만들었다는 양자컴퓨터는 저 큐빗이 53개 있음. 즉 2의 53승개의 경우의 수 연산을 단 한 번만 하면 되는거. (물론 오류를 잡아내야 하거나 다른 변수도 있다지만 이점에 비하면 이정도 단점은 뭐.)
@user-gt4fg9vw2x
@user-gt4fg9vw2x 4 жыл бұрын
@hananehome2108
@hananehome2108 4 жыл бұрын
가장 이해가 잘되는 답변인데... 조금만 더 부연설명 해주실수 있나요. 컴퓨팅의 결과물 ,즉 2의 53승개 중 하나의 수,는 어떻게 알고 그 수로 맞춰지는건가요?
@3.1.2.4.4
@3.1.2.4.4 2 жыл бұрын
0과 1이라고 했지만 실제는 0과 1이 아닌 무수히 많은 경우의 수에서 하나가 도출되는 것
@user-hv3db3hf9w
@user-hv3db3hf9w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zm4wd7nd1f
@user-zm4wd7nd1f 3 жыл бұрын
원리는 언제 설명하실 건가요? 일반컴퓨터는 경우의 수를 모두 한번씩 계산하는데 양자컴은 한번에 계산한다? 이것이 설명인가요?
@user-zg2dy6ci5u
@user-zg2dy6ci5u 4 жыл бұрын
모모랜드 연우 직캠대신 이거 골랐어요 칭찬해줘요
@ragdo5186
@ragdo5186 4 жыл бұрын
정우진 장하십니다. 좋아요 누르고 끝까지 보셨으면 이제 직캠 보러 가셔도 됩니다 : )
@user-pw3fx6kb3e
@user-pw3fx6kb3e 4 жыл бұрын
이 댓 보고 연우 직캠보러 간다.
@user-ve5kh2hz1u
@user-ve5kh2hz1u 4 жыл бұрын
학구열이 어마어마하시네요~~
@wonder-chang
@wonder-chang 4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유니콘이 왜나와..
@migynaraful
@migynaraful 6 ай бұрын
언제나 어렵고 힘든 개념을 쉽게 풀어서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기에 올리는 이런 질문을 올리는 게 맞는 지 모르겠는데 궁금한데 답을 찾기 어려워서 이렇게 올립니다. 요즘 몹시 궁금해서 머리속을 떠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보이저1호와 2호가 지구를 떠난 지 꽤 오래되었고 태양권계면을 통과했다는 이야기까지는 들었는데 보이저 1호가 우리은하의 평면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 지 궁금합니다. 우리 평면을 기준으로 우리 태양계가 60도정도가 기울어져 있고 태양계자체가 은하평면에서 진동을 하고 있는데 지금은 평면에서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라고 들었습니다. 이상태로 우리은하중심을 기준으로 보이저1호가 위쪽(혹은 북쪽)으로 간다면 우리 은하바깥으로 나가는 것일 거고, 약 90도를 돌아서 가고 있는 중이라면 우리은하 중심으로 갈거고 반대편이라 우리은하 바깥으로 나가겠지요. 근데 이게 여기서 끝나지 않고 마지막 토성에서 플라이바이 할때 결국 토성도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어서 보이저 호 자체도 우리 태양계 회전면을 같이 회전하고 있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도대체 정확히 어느하늘을 보아야 그친구가 보일까요? .. 나사에 물어보면 알겠지만 영어가 짧아서리... 답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
@jjlee1960
@jjlee1960 4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쏙쏙 너무 재밌네요ㅎ 여성분 미모 짱이구^^
@BhangRonBooks
@BhangRonBooks 4 жыл бұрын
21:40 결맞음
@bbjjgfgu264
@bbjjgfgu264 3 жыл бұрын
비유가 약간 이해가 안가는데 백개의 경로가 중첩되어 있다 해도 그게 결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그 경로들을 한번에 계산해낼 수가 있죠? 백개의 경로중 하나를 계산하는 순간이 곧 관측해서 결정되는 순간 아닌가요?
@ascendo_lee
@ascendo_lee 4 жыл бұрын
랩미팅 1화는 어디있죠? 검색해도 안나오던데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1화는 시범방송으로 편집본을 공개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
@ygj6110
@ygj6110 3 жыл бұрын
카메라감독님 사심 ㅋ 크로즈업 맘에 들어요 ㅎㅎㅎ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Жыл бұрын
5:11 캬~
@minkyu__tube
@minkyu__tube 4 жыл бұрын
겁나이쁘다 ...♡♡♡♡
@maxchoi6394
@maxchoi6394 4 жыл бұрын
여자분 정말 매력적이시네요.. 과학은 뒷전이 됬네요 ㅜㅜ
@glk8772
@glk8772 3 жыл бұрын
쉽게 풀어서 설명하는데도 이해하기 어렵다...ㄷㄷ이제 컴퓨터 공학은 물리학 수준을 뛰어넘는 깊이를 가지게 될 듯.
@aga7989
@aga7989 4 жыл бұрын
조올라 재밌다 야이 빨리 올려주세요 2부
@toechon
@toechon 4 жыл бұрын
와 이쁘다 ㅋㅋㅋ
@riverablassa
@riverablassa 4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다잉
@makiable
@makiable 4 жыл бұрын
"과학과 사람들"과 콜라보 하실 생각은 없으신지요. 양쪽다 팬이라서 의견드려봅니다.
@user-ei7jk8tz6j
@user-ei7jk8tz6j 3 жыл бұрын
병렬화를 할 때 발열 때문에 한계가 오는 건 아닌데요... 병렬화를 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나누고 합치는 과정이 필수로 있어야 하는데 이 정보 처리 자체가 병렬으로 연결된 cpu 쓰레드 숫자에 비례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상의 쓰레드를 연결하면 오히려 느려지는 겁니다.
@user-ei7jk8tz6j
@user-ei7jk8tz6j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현재 방식의 컴퓨터가 한계가 오고 있는 이유는 공정의 미세화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 아닌가요?
@user-hv1gv2op9x
@user-hv1gv2op9x 4 жыл бұрын
문과 출신이라 내용이 어려워서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ㅠ_ㅠ 그저 랩장님 예쁘신 것만 눈에 들어오네요. ㅋㅋㅋㅋ 양자역학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보면 가장 어려운것이 첫째가 중첩, 둘째가 관측이라는 개념인것 같습니다. 관측하는 순간 결정된다는 것은, 어느것이 나올지 알 수 없다, 혹은 나오는건 항상 똑같다는 말 처럼 들립니다. 이것을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통제란게 가능한지를 전혀 감을 못 잡겠네요. 만약 앞서 말한것 처럼, 항상 똑같은 결과가 나오거나, 무엇이 나올 지 알 수 없다면, 100가지 경우의 수 중에서 가장 빠른 길이 아니라 가장 느린 길이 나올수 있거나, 아니면 가장 느린길을 검색했는데 가장 빠른길만 나올 수도 있다는 말 아닌가요...? 그리고 중첩이라는 개념도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짜장면과 짬뽕이 중첩된 경우를 생각하면 짬뽕과 짜장면을 섞으면 되겠지만, 실제로 중첩은 그런 개념이 아닌것 같습니다. 실제로는 짬뽕이면서 짜장면인데, 철가방을 여는 순간 짬뽕, 혹은 짜장면이 된다는 거잖아요. 말로는 이해할 수 있어도 실제로 그게 어떤 상태인지를 전혀 짐작할 수가 없습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잘 이해하고 계신 것 같아 좋습니다 :)
@user-gk2uc1dd4u
@user-gk2uc1dd4u 4 жыл бұрын
10:55 부터 표정 ㅋㅋㅋㅋㅋㅋㅋ ??????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4 жыл бұрын
ㅅㅂ뭐래는거야.. 이런 표정
@chgus0101
@chgus0101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개웃기네 진짜
@user-cw1wl8jb6d
@user-cw1wl8jb6d 4 жыл бұрын
뉴스보면 100큐비트 컴퓨터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원자를 담아 이에 대한 여러 상황을 시뮬레이팅 해볼 수 있는 정도의 성능이라던데... 우주 자체를 시뮬레이션 하는 것 같은 sf적인 내용도 가능해지는건가..
@aa-vc1mm
@aa-vc1mm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랩퍼 궤도님...
@yahoyoungho
@yahoyoungho 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이론적으론 qbit프로세서(?) 당 다른 event를 계산하는건가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결맞음 형태로 중첩되어있다가 한번에 연산결과가 관측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를 각각의 다른 이벤트로 보기는 힘들고, 경로 상 존재하는 가능성들로 이해해야할 것 같습니다 :)
@user-ui9om6sr5d
@user-ui9om6sr5d 2 жыл бұрын
입자는 모든곳에 존재한다. .파동이 중첩되면 그곳마다 존재한다. .모든곳에 무한히 존재한다. . 따라서 집까지 가는 모든곳에 , 무한히 존재하므로 ,알려고 하는 즉시 알수있다. . . .
@sdy6977
@sdy6977 3 жыл бұрын
양자 컴퓨터가 미친 장점 :기존의 컴퓨터와 다르게 비트의 증가로 인한 계산력이 기하급수로 증가함. 단점: 중첩현상을 유지하려면 외부로 부터 차단하고 저온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일빈 사용자에게 보편화 되기 어렵고 심지어 태양풍 때문에 지하에서 사용해야 할수도 있음. (상용화는 불가능 해도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용은 가능)
@Bulgogi_Haxen
@Bulgogi_Haxen 4 жыл бұрын
영지식증명은 어떻게 될까요?
@user-it1lg3go3c
@user-it1lg3go3c 4 жыл бұрын
아니 랩짱님 오늘따라왜이리이쁘심?
@sungwonhong798
@sungwonhong798 4 жыл бұрын
구독 완료!
@comix_nopi05
@comix_nopi05 Жыл бұрын
1화는 비공개인건가.. 암튼 이게 랩미팅 첫영상이구나
@freedom-lz7cg
@freedom-lz7cg 4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은 관찰하기전에 결과를 모르는데 우리가 원하는 결과을 얻을수 있나요. 그게 이해를 못하겠어요 뭐가 나오는지 모르는데
@user-ju4fo1rd1l
@user-ju4fo1rd1l 4 жыл бұрын
가운데 분은 리액션 담당인가요? 구독자 입장이신거죠?
@user-eg6uu6el1e
@user-eg6uu6el1e 4 жыл бұрын
궤도형 오늘따라 너무 섹시하다
@HIRIT08
@HIRIT08 4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은 진짜 어렵지유.... ㄷㄷ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4 жыл бұрын
7:00 설국열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whatyouwant6666
@whatyouwant6666 4 жыл бұрын
50년뒤에 보면 양자컴퓨터가 저시대엔 200초래?ㅋㅋㅋㅋㅋㅋㅋ개오래걸리네 이럴듯
@jon5i
@jon5i 4 жыл бұрын
6:23 하이라이트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4 жыл бұрын
1:47
@gabrielalucasbarbosa5724
@gabrielalucasbarbosa5724 5 ай бұрын
Gostaria de ver traduzido em português!
@jeong-hyunpark9632
@jeong-hyunpark9632 4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의 핵심기술은 큐비트중에서 결안맞는 큐빗을 수정하는 알고리즘이라고합니다.
@Mathetraveling
@Mathetraveling 4 жыл бұрын
하 꿀잼 ㅠ
@sekulim527
@sekulim527 3 жыл бұрын
부동소수점을 얼마나 빨리연산하느냐이고 그단점을 이용한것이 암호학
@patientaxe672
@patientaxe672 Жыл бұрын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암달의 법칙때문에 아무리 병렬처리를 해도 속도가 빨라지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3.1.2.4.4
@3.1.2.4.4 2 жыл бұрын
"그 경우의 수가 동시에 계산되는 원리"를 이해하고 싶어요
@user-cf8xz4mg3q
@user-cf8xz4mg3q 3 жыл бұрын
ㄹㅇ임 이거 진짜 하루종일더 가능이야
@kmszinable
@kmszinable 4 жыл бұрын
양자컴퓨터로 계산한 값을 검증하는것은 어떻게 증명하나요? 예를 들어 기존 슈퍼컴퓨터로 100년 걸리는값을 양자컴퓨터가 몇시간만에 계산했다고 치고 그 값이 참이라는것은 어떻게 증명하죠?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계산 결과가 참이냐 아니냐보다 연산 자체가 아예 엄두가 안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딱 맞는 예시는 아니지만 소인수분해 같은 경우, 전부 대입해보려면 엄청난 시간이 걸리지만 막상 분해되어 나온 수가 맞는지는 수들을 곱해보면 바로 검증이 가능합니다 :)
@user-dr7uj9ui2q
@user-dr7uj9ui2q 4 жыл бұрын
근데 공진님 연구원 아니였나? 모르는게 있으시네 신기
@user-uu8ui2zl9q
@user-uu8ui2zl9q 4 жыл бұрын
형님들 인스타 갬성 큰일났네;;
@koreailoveyou
@koreailoveyou 2 жыл бұрын
17:07 이걸 두 번째 듣고 있는 내 표정
@jamescallahan2985
@jamescallahan2985 4 жыл бұрын
10:57 이걸 듣는 내모습
@EstellaKim-nw6gf
@EstellaKim-nw6gf 2 жыл бұрын
양자 컴퓨터가 발전하고 완성형으로 가면 마치 닥터스트레인지의 타임스톤 같은 거네요 인피니티워에서 타임스톤을 이용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중 타노스를 이기는 단 한 가지의 경로를 확인하고 타임스톤을 내어주고 아이언맨을 구했던게 생각나네요 과학이 발전하면 마법이 된다는 말이 실감납니다^^ 전 가끔 인간의 사고체계가 고도화된 양자컴퓨터 같다는 생각을 하거든요 모든 가능성의 상태가 마음이라는 이 우주 모두를 담고있는 거대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에 정보로 중첩되있고 그 중 관찰자의 의식에 담겨있는 선택된 믿음과 신념의 것들이 홀로그램적으로 투사되어 지금 이 순간의 영화들을 만들어내고 있는건 아닐지 싶어요 인간의 사고 체계에 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 하고 있다는 바른마음의 생각들이 제대로 정렬해있고 현실에 일어나는 일들을 과거의 프리즘이 아닌 지금 있는 그대로를 편견없이 관찰하는 마음의 훈련을 꾸준히 한다면 굉장히 선한 영향력들을 일으킬 수 있을거라 추측되고요 과학에 대한 이해가 조금씩 자라나면서 우리 마음이 하는 일들이 이런거구나 하고 직관되기도 하네요 ㅇㄷㄱㅎ 덕분에 51세 전업주부가 과학의 세계를 재미있어하고 흥미롭게 이해해 가고 있습니다 진심 존경과 감사와 응원을 보냅니다♡
@user-iq1os7fj1u
@user-iq1os7fj1u 4 жыл бұрын
양자폰 내주세요 쌈썽
@SoCoolnvest
@SoCoolnvest 4 жыл бұрын
딕션이 좋은듯
'이온엔진'으로 우주여행을 하는 날이 온다!? [안될과학 -랩미팅 7화]
22:55
Cute Barbie gadgets 🩷💛
01:00
TheSoul Music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71 МЛН
Osman Kalyoncu Sonu Üzücü Saddest Videos Dream Engine 118 #shorts
00:30
Cat story: from hate to love! 😻 #cat #cute #kitten
00:40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야, 너두 양자컴퓨터 이해할 수 있어 (SDT 윤지원 대표 1부)
28:1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53 М.
그래서 양자컴퓨터는 왜 빠른 걸까?
22:40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208 М.
반도체의 미래는 자석에 달렸다 (카이스트 김갑진 교수)
1:14:09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74 М.
EBS 특집 다큐멘터리 <꿈의 기술, 미래를 열다 - 양자정보과학>
48:18
Power up all cell phones.
0:17
JL FUNNY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Обзор игрового компьютера Макса 2в1
23:34
How charged your battery?
0:14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