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선비 박제가, 시대를 비웃다 [임용한 역사학자]

  Рет қаралды 49,802

머니올라_KBS

머니올라_KBS

4 ай бұрын

#임용한 #박제가 #한국사 #조선 #케인즈 #머니올라 #KBS #경제
임용한 역사학자가 머니올라 구독자님들께 선보이는 첫 특강! 케인즈 이론의 핵심을 백여 년 먼저 간파했던 조선의 선비, 박제가를 다룹니다.
[영상 촬영 날짜: 1월 22일]
출연 신청/문의: kbsnewbonsa@gmail.com
출연을 원하는 전문가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213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방송 중 자막 오류가 있습니다. 박제가가 저술한 책은 입니다. 죄송합니다. 앞으로 더 신경 쓰는 머니올라가 되겠습니다!
@user-zo2ki9yx7n
@user-zo2ki9yx7n 4 ай бұрын
기자님 덕분에 토전사 이후 역대급 프로그램이 등장한거 같습니다! 항상 매끄러운 진행(쉬워보여도 상당히 어려운..!!) 감사드립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과찬이십니다 ^^ 감사합니다
@user-ei8re1kw7v
@user-ei8re1kw7v 4 ай бұрын
현쪽이 멘트는 인정 ~ ㅋㅋㅋ
@user-dw5ks7pq6v
@user-dw5ks7pq6v 20 күн бұрын
장혁진 기자님 진행 참 잘하세요~~~~ 소장님 시원하게 말씀하시게 해주시네요~~~
@user-dw5ks7pq6v
@user-dw5ks7pq6v 20 күн бұрын
토전사 이후 괜찮은 프로 탄생 의견에 찬성입니다!!!
@user-yi3hf8ng3h
@user-yi3hf8ng3h 4 ай бұрын
임소장님의 견해가 항상 너무 좋은 점은, 과거에 이랬다, 저랬다에 초점을 두는게 아니라, 그러한 역사들을 둘러보고 그 역사들로 우리가 무엇을 깨닫고 무엇을 교훈삼아 얻어야 한다라는 가이드를 명확하게 제시해주시고, 생각해볼 여지를 주시는게 너무 좋다고 생각해요. 임소장님 건강하시고, 이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ye4bi1em6u
@user-ye4bi1em6u 4 ай бұрын
진행자의 진행이 정말 대단, 박사님의 말씀을 잘 유도하셔서 최고 수준의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격려 고맙습니다 ^^
@user-dw5ks7pq6v
@user-dw5ks7pq6v 20 күн бұрын
기자님 퐈이팅~~!!!!
@kpk6917
@kpk6917 4 ай бұрын
기자님 정말 감사합니다 ㅠ 이렇게 소장님 핀트를 잘 맞춰주시는분은 오랜만에 본 거 같아요. 다른방송에선 진행자들이 흰소리나 해대서 고생하시는게 안타까웠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채널도 기자님도 흥하시길 바라겠습니다!
@jp5500
@jp5500 4 ай бұрын
진짜 100000배 동의합니다.. 진짜 오랜만에 이렇게 케미 좋은 콤비 보는거 같습니다!! 소문도 많이 나고 조회수도 대박나서 오래 흥했으면!!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epsdm
@epsdm 3 ай бұрын
흰소리 하는것도 나름 재미인데 ㄷ
@user-dw5ks7pq6v
@user-dw5ks7pq6v 20 күн бұрын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임용한과 장혁진
@user-vd7qs6ds5u
@user-vd7qs6ds5u 4 ай бұрын
매번 재밌게 잘 보고있습니다. 진행자 기자님께서 점점 더 공부를 많이 하시는 게 보여서 대단해보이고 또 즐겁네요. 앞으로도 자주 박사님이랑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mp8oo1su4j
@user-mp8oo1su4j 4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기자님이 정리를 잘해주시네요. 박사님이 이리저리 갈지자로 휘달리는 만연체 스타일이셔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그 부분을 딱 찝어서 정리 착착해주시니 좋아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dw5ks7pq6v
@user-dw5ks7pq6v 20 күн бұрын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임용한과 장혁진 ....... 이렇게 될겁니다ㅎ
@user-un9wo5nn4y
@user-un9wo5nn4y 4 ай бұрын
기자님이 박사님 말씀하시기 좋게 잘 쳐주시는 것 같습니다 ~~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youngjunlee3939
@youngjunlee3939 4 ай бұрын
@@_kbs7532기자님 딱 낄끼빠빠 잘하고 진행 매끄럽고 시청자가 시청하면서 궁금한거 딱딱 짚어주고 선생님 말 중간중간 정리해주고 아주 굿입니다. 전문 인터뷰어로 커리어 나가봐도 좋을것 같습니다
@MC-rn5vc
@MC-rn5vc 4 ай бұрын
박사님 자주 뵈서 너무 좋네요. 항상 건강하세요
@dongryullee1741
@dongryullee1741 4 сағат бұрын
정말 제대로된 방송이네요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살아야 할지 처신은 어떻게 해야 할지 또 유튜브 보면서 생각하면서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_kbs7532
@_kbs7532 2 сағат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z5cl7ir6s
@user-fz5cl7ir6s 4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달을 가리키면 달이 아니라 손가락을 보고, 숲을 보라하면 나무만 보는 사람들이 너무 많죠. 과거와 비교하면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도 나아가야할 길이 멀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박사님.
@yunj384
@yunj384 4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 정말 좋습니다. 사실 전쟁사는 어디까지나 틀일 뿐이지 박사님이 말씀하고 싶어하는 핵심은 따로 있다고 생각합니다. 듣는 이로 하여금 자기 멋대로 정신승리 할 요소라고는 조금도 없는 박제가 같은 얘기를 하실 때 더 전달이 잘 되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서 대중적인 흥미는 좀 떨어지는 주제일 수 있지만 진행자 분이 너무 잘 해주셔서 산만하지 않게 좋은 내용으로 잘 갈무리 해주신 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책을 미리 읽고 오셔서 더 깔끔하게 하실 수 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요즘 유튜브 시대에 영상들을 보다보면 박제가 같은 사람도 중요하지만 결국 미디어 상에서 그 내용을 잘 정돈해주는 진행자님과 같은 역할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박사님이 또 좋은 강의 파트너를 찾으신 거 같아 개인적으로 기쁩니다. 앞으로도 좋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raniranigo3022
@raniranigo3022 4 ай бұрын
주제 선정도 진행도 너무 좋아서 요새 이거 올라오는거만 기다립니다ㅋㅋㅋ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friendwhale8086
@friendwhale8086 4 ай бұрын
정말 눈이 확 떠집니다 . 감사합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드립니다
@user-kq6zb3fc8g
@user-kq6zb3fc8g 4 ай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빠입니다. 영상 잘 보겠습니다.
@user-fz6fu5oz6y
@user-fz6fu5oz6y 4 ай бұрын
박제가 너무 인상깊게 읽었는데 기다리던 콘텐츠입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junheelee6664
@junheelee6664 4 ай бұрын
진행자분 수준이 높으시네요 깔끔하게 정리를 잘하심 허준 mc보다 또 다른 매력으로 다가오네요 그리고 책도 미리 읽어오시는 센스까지..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
@kingkangkong
@kingkangkong 4 ай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의 정기 특강이라니! 원래도 많이 챙겨봤지만 앞으로가 너무 기대되서 구독 버튼 누르고 갑니다ㅋㅋ
@user-kk7vz7fs4p
@user-kk7vz7fs4p 4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user-ji4vr6uf4g
@user-ji4vr6uf4g 4 ай бұрын
좋은영상올려주셔서감사합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d3kc7nz5d
@user-ud3kc7nz5d 4 ай бұрын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oh.chang-ha
@oh.chang-ha 4 ай бұрын
넘모 좋아요. 처음에 고려거란전쟁만 하는 단편인 줄 알고 아쉬웠는데, 넘모 좋아요
@U-Da-Hee
@U-Da-Hee 4 ай бұрын
와! 임용한 박사님 다시 오셨네요ㅎㅎ 너무 좋아요!ㅎㅎㅎ 진행하시는 기자님은 책도 미리 읽고 오시고 준비성이 좋으시네요 발음도 좋으시고 오디오도 잘 안겹치게 진행을 상당히 잘 하시는 것 같아요 오늘도 잘 들었어요~!
@Mrthinkbeforewrite
@Mrthinkbeforewrite 4 ай бұрын
레어닉이시네 ㅋㅋㅋ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gygus1
@gygus1 2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잘보겠습니다
@sund8569
@sund8569 4 ай бұрын
많이 배우게 되어서 기뻐요!
@user-jy3ri5ie2p
@user-jy3ri5ie2p 2 ай бұрын
이런 컨텐츠 정말 좋네요
@no-vg8nr
@no-vg8nr 4 ай бұрын
구독했습니다 ㅋㅋㅋㅋㅋ 임용한과. 머니올라 이거 못참지
@user-ck5bm3mz4k
@user-ck5bm3mz4k 4 ай бұрын
임박사님 떴다 각잡아라
@ksav-dx2ns
@ksav-dx2ns 4 ай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박제가책 저도 도서관에서 읽어봤는데 되게 재미있게 읽었었어요 ㅋㅋ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bownara3347
@bownara3347 4 ай бұрын
정기적으로 나오신다고 하셔서 구독 박고 갑니다~~
@user-xz1gp1fj3m
@user-xz1gp1fj3m 4 ай бұрын
정기적으로 한다해서 바로 구독했습니다.
@MAIHAMA7329
@MAIHAMA7329 4 ай бұрын
와.. 박제가 이야기는 이전에 많이 들어서 큰 기대 없이 틀었는데 시간가는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user-dg1wt7vi7k
@user-dg1wt7vi7k 3 ай бұрын
영상보며 재밌어서 ㅋㅋㅋ웃으면서 봤는데요 임용한 박사님 일화 들어 말씀해주시는게, 모르던 지식도 얻었지만 또 여러가지 제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좋은프로제공 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_kbs7532
@_kbs7532 3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tiddkdh6554
@tiddkdh6554 4 ай бұрын
좋습니다
@user-or2cl8ig2n
@user-or2cl8ig2n 4 ай бұрын
신 그는 임용한인가?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GOAT 용한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4 ай бұрын
기습숭배
@user-dw5ks7pq6v
@user-dw5ks7pq6v 20 күн бұрын
우리 시대의 현자 임용한 그를 메이저 무대로 끌어올리는 장혁진
@tygang12
@tygang12 4 ай бұрын
재밌다 ㅋㅋ 시간 순삭이넹 ㅋㅋ
@mcat825
@mcat825 4 ай бұрын
박제가라는 책을 보면서 텍스트만으로는 다 이해 못한 부분도 있었는데 교수님이 오셔서 직접 이야기를 해주시니 좋네요.
@jp5500
@jp5500 4 ай бұрын
9:00 아직도 이런 부분은 우리나라 농축산업 등에 남아 있는거 같네요.. 여전히 기자님들이나 여론보면 산지에서는 저렴한 농산물(배추, 한우 등등)이 소비자에게 오면 비싸진다라는 주제가 주기적으로 반복적으로 문제시 되니까요.. 그리고 칭찬도 너무 반복하면 진정성이 안느껴질까봐 좀 고민되지만 장혁진 기자님의 질문의 퀄리티나 진행 너무 훌륭하고, 박사님이랑 케미 진짜 너무 좋습니다!!! 진짜 오래오래 해주세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좋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
@Wagana12
@Wagana12 4 ай бұрын
임용한 그는 신인가?
@juns5951
@juns5951 4 ай бұрын
재밌다❤❤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3 ай бұрын
박제가 주장의 핵심을 "소비가 생산을 촉진" 이런 식으로 알고 있죠. 학교 선생들이 그렇게 가르쳤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맨 마지막 문장이 핵심이라고 봅니다 "서로 도울 길이 없다" 시장경제의 장점은, 서로 도울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흔히 반대로 알죠. 전통 사회나 공산사회가 사람들을 돕고, 자본주의는 사람을 내팽개친다고요. 하지만 잘 보세요. 우리가 쓰는 한 푼 한 푼이 모두,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하는데 쓰입니다. 우리도 다른 사람을 '돕는' 활동을 해야 돈이 벌린다는 것을 알고, 어떻게 해야 다른 사람을 도울까 궁리합니다. 다만 그 궁리를 하면서도 자신이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애쓴다는 자각이 없이 단지 '내가 돈을 벌기 위해 애쓰는 것'이라고만 스스로 느끼는 것 뿐이죠.
@user-rp8sd2zj1x
@user-rp8sd2zj1x 4 ай бұрын
역시 전쟁광 박사님의 강의는 늘 재밌어요
@won3960
@won3960 3 ай бұрын
눈 앞의 사물만 보지 말고 그것이 만들어진 계기와 그것으로 인해 변화된 현상들을 폭넓게 보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참 어려울 것 같지만
@user-nc7ti3ef4g
@user-nc7ti3ef4g 3 ай бұрын
이 코너 쭉 가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유익하고 재밌기도 하고 공부가 많이 됐습니다
@_kbs7532
@_kbs7532 3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user-uj6tk9hq1v
@user-uj6tk9hq1v 4 ай бұрын
굿굿
@mns7397
@mns7397 4 ай бұрын
박사님과 진행자님 케미가 너무 좋아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고맙습니다 ^^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4 ай бұрын
많이배우게됩니다 박사님 계속나오셔요😊
@lfktrkrzkx8162
@lfktrkrzkx8162 3 ай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은 진짜세요. 사랑합니다.
@user-pj3uz1vt1c
@user-pj3uz1vt1c 3 ай бұрын
정말 너무 좋은내용..
@dhy5343
@dhy5343 4 ай бұрын
너무좋앙
@breezingsun3507
@breezingsun3507 4 ай бұрын
임 소장님은 정말 대단하신 분. 저런 분과 같은 하늘 아래에 살고 있다는 것이 행복임.
@user-uw2sv1ek8t
@user-uw2sv1ek8t 4 ай бұрын
와 운영하시는 기자님 👍
@belleepoquela3271
@belleepoquela3271 4 ай бұрын
역시 갓용한
@eatssophie
@eatssophie Ай бұрын
울 임 박사님 자주 나오게 해주세요!! ❤❤
@jksim990
@jksim990 4 ай бұрын
전쟁광 ㅋㅋㅋ 기자님께서 박사님이랑 케미를 맞추시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네요 ㅋㅋ 기자님 화이팅 ㅋㅋㅋ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칭찬 감사드립니다 ^^
@assault_captain
@assault_captain 4 ай бұрын
신난다 신나~~~~
@user-cj8rt6hq6i
@user-cj8rt6hq6i 3 ай бұрын
기자님 진행 정말 잘하시네요
@_kbs7532
@_kbs7532 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zc3bx7zl1w
@user-zc3bx7zl1w 3 ай бұрын
두분이 참 잘 어울리십니다. 방송 내용도 유익하고 차분한 진행인데 좋은 내용들이 돋보이고 연결성도 좋습니다. 다른 곳에서 듣기힘든 박사님 특유의 섬세하면서 파고드는 논점과 이야기들입니다. 청나라에 대해서는 지금은 많이 알려졌지만 당시 아시아뿐 아니라 전세계 통틀어서도 군사,경제,기술 모든면에서 월등한 강대국였습니다. 뛰어난 황제들이 연이어 나오는 행운이 이어졌습니다 중원대륙에 있던 여러 나라들중 동시대를 놓고보면 원나라, 청나라가 가장 번창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나라의 여러 장점을 배우려고 하는것은 박제가,박지원같은 똑똑한 이들에게는 당연함을 넘어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을 것입니다. 대영제국도 버거워할만한 나라였습니다. 원,청은 기간은 다르나 아시아판 로마라고 불릴만합니다. 비슷한 시기에 일본도 오다 노부나가라는 뛰어난 인물이 등장해서 많은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막부체제에는 생산성,교류를 꾸준히 늘려가는 돈이 넘치는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그에 비하면 우리는 민간에서는 다 알고 그게 맞다고 하려고 했으나 이상하리만큼 신분제같은 성리학질서 외의 세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더 큰 불행은 조선후기의 이러한 폐쇄성이 두고두고 우리나라 근현대사까지 끝모를 추락을 초래했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가치를 찾고, 그것을 유지하고, 계속 훌륭한 인재들이 나오도록 하는 일, 이것은 진짜 복받고 선택된 민족,나라만 할 수 있는 일입니다 박사님 말씀 뭐하나 뺄게 없습니다. 진정한 지도자라면 지옥에 가는한이 있더라도 백성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배워올게 있다면 가서 배워야합니다. 우리나라 현재 보수,진보 정치인들 이거 가능할까요? 우리가 지금 왜 힘든 나라인지 아직도 모른다면 그냥 미생국가로 갈수밖에 없습니다.
@user-qf2lp2bi9m
@user-qf2lp2bi9m 4 ай бұрын
지금도 유통업은 죄인 취급하는데 그떄랑 다를게 없네
@user-yl8wv9gv9v
@user-yl8wv9gv9v 6 күн бұрын
암튼 폭리랑께
@taehyunkim1337
@taehyunkim1337 4 ай бұрын
끼앗 호우😂
@user-hy7br4tt2i
@user-hy7br4tt2i 4 ай бұрын
사진이나 영상이 중간 중간에 섞이면 더 재밌을거 같아요~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user-jz8wv9yp1p
@user-jz8wv9yp1p 13 күн бұрын
정조 대왕 때 진짜 혁신가들이 많이 나오셨네요.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정약용 등등..
@sin1773
@sin1773 3 ай бұрын
재밌다 ㅋㅋ
@5yqhy35yhq5uyhqjths
@5yqhy35yhq5uyhqjths 3 ай бұрын
너무 좋다! kbs는 대담 방송같은 쓸데없는거 말고 임박사님 방송만 매일 하자
@SunggukLim
@SunggukLim 4 ай бұрын
개꿀잼 미쳤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kenaing1
@kenaing1 4 ай бұрын
용한이형 어서오세요
@user-jc3gg8uq8j
@user-jc3gg8uq8j 4 ай бұрын
이책 6년전인가에 살려고 했는데 절판이었음. 재판좀 내줘요 제발
@user-hi1gr4nv8h
@user-hi1gr4nv8h 4 ай бұрын
새로 나왔어요
@Ejesa0907
@Ejesa0907 4 ай бұрын
머니올라 이러다가 토전사 뉴전사 스토리 다 따라가서 머전사 나오는거 아닌가 모르겠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hv1vg7it4m
@user-hv1vg7it4m 4 ай бұрын
바뀐다는 것이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저때는 저기로 갔는데 지금은 이리로 간다' 이런 것은 그냥 간판만 바꾸는 격이고, 단순히 바뀐듯한 기분이 드니까 바뀌었다고 착각하는 것일 뿐인 것 같습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stoneschool
@stoneschool 4 ай бұрын
예전 토전사에서 30년 전쟁 시기 내외의 전쟁에 대해서 말할 때였던 것 같은데 '조선은 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상공업을 억압했다'와 비슷하게 얘기하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것과 연관해서 생각하면 좋을듯 합니다. 아마 그 시기 귀족 문화로 쓸데없이 정고혀고 단기적으로 보면 효율성도 없는 사치품 테엽식 권총과 같이 우리가 보기엔 이상하고 너무 낭비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에 자원이 투입됐던 것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 중 하나였다는 식의 맥락이었던듯.
@Tuna011
@Tuna011 4 ай бұрын
어쩌면 한국사회 초저출산 문제는 부동산만의 문제도 아니고 학벌의 문제도 아니고 직업의 문제도 아닌지 모르겠다. 그 모든 것이 합쳐진... 진짜 문제는 주류사회로 편입되지 못하는 사람에 대한 처우가 약하고 인생에 있어 한두번의 시험통과를 결과로 주류사회로 편입시키는 제한적 영역에서 오는 근본적 문제가 아닐까 싶다. 그게 바뀌던지 망하던지 사회 자체가 축소되는 것을 받아들이던지 셋 중 하나일 것 같다. 최근 기사에 프랑스에서 물가상승을 이유로 농업사회가 들고 일어났다는 뉴스가 보도되었다. 그리고 그런 노동자들의 집회시위가 각자의 삶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대의식이 있는 것 같았다. 트랙터로 파리로 진입하는 도로를 막아 모두에게 불편을 끼치더라도 이를 지지하고 성수를 뿌려주는 성직자가 있고 트랙터 시위를 흉내내며 미래에는 우리가 먹여살리겠다는 내용이 쓰여진 장난감 차를 타는 아이가 있었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개개의 삶이 모두 보호되기를 바라지만 실질적으로 그렇게 사회가 발전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유럽의 삶을 꿈꾸면서 경제는 미국을 보지만 정작 현실의 경제는 한국경제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상가 공실률이 높아져도 상가건물주는 상가 임대료를 낮추지 않는다. 자본주의 질서대로 라면 공급과잉에 수요감소가 일어나면 가격을 내리지만 우리는 현실적으로 그것을 경험한 적이 없다. 한번 내려간 부동산 임대료는 좀처럼 올라오지 않을 것이라는 불완전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리라. 주택 부동산 역시도 마찬가지다. 빚을 통해 올라간 가격은 공급매물이 늘어나고 수요자의 소비능력이 낮아져도 가격을 내리지 않는다. 아니 매물은 나오는데 그것을 제값주고 살 능력이 없다. 그럴 능력이 있는 이들은 이미 자기 집 정도는 있는 형편이고 그만큼의 액수가 저축액으로 쌓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회구조는 외환위기를 거치며 금융시장이 변화하고 평생직장이 깨졌지만 아직까지 완전한 자본시장이 되지는 못한 것이리라. 국제경기가 하강하면서 자본유동성이 떨어지고 부동산 버블이 조정기를 맞으면서 건설경기가 어려워지고 소비둔화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는 요즘이다. 건설현장의 임금체불도 늘어나고 있고 건설 자재값은 수년 전에 비해 30~50% 인상되었음에도 분양가는 더 올릴 수가 없는 형편이다. 올리지 못한 만큼의 부실건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 일 것이다. 일부에서는 일부러 훼손한 듯한 오피스텔 건축물도 보였고 불완전 시공에 대한 반발로 입주거부를 하는 모습도 보인다.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3 ай бұрын
상가 임대료 안 낮추는 이유가 임대료 때문이라고 뇌피셜 쓰는거 보니 딱 현실은 시궁창인 방구석 철학자 셀프 인증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실엔 잼병이면서 방구석 토론만 하는 조선시대 성리학자랑 다를바가 없누ㅜㅜ
@ursweet
@ursweet 4 ай бұрын
자막도 넣어주심 안될까요?!?!
@martinlutherking7264
@martinlutherking7264 4 ай бұрын
케인즈 이론은 생산력이 극도로 발달해서 국민소득이 총수요에 따라 결정되는(즉,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아서 총수요만 늘리면 생산(공급)은 자동으로 충족되는) 산업사회 이후에 가능한 정책입니다. 조선시대는 아직 생산 능력이 취약해서 국민소득이 총생산(공급)에 따라 결정되는(즉,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부족해서 생산(공급)을 늘리면 수요는 자동으로 충족되는) 전근대 사회인데, 그런 사회에서 케인즈의 총수요 정책을 말했다니....... 좋게 말하면 시대를 너무 앞서간 거고 나쁘게 말하면 현실 분석을 잘못한 겁니다.
@user-mf9ml1nn9i
@user-mf9ml1nn9i 4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에 비해 조회수가 빨리 오르지않네요ㅠㅠ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bnclee9620
@bnclee9620 4 ай бұрын
?? : 300년이 지나서야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 나오는구나
@jamesmillerjo
@jamesmillerjo 4 ай бұрын
28:30 NO 청나라 (병자호란에서 싸우지는 못했지만 청나라 욕하는 일에는 빠지지 않겠다) ㅋㅋㅋㅋㅋ
@whiteclind1
@whiteclind1 Ай бұрын
임용한 선생님의 라떼이야기를 왜 나는 동감하지?
@azeoy
@azeoy 18 сағат бұрын
오늘의 명언 : 장인정신 이 기술을 발전 시키는 게 아니라 공급과수효 의 원리에 따라 보수를 주면 기술은 발전한다!!
@user-ei8re1kw7v
@user-ei8re1kw7v 4 ай бұрын
장혁~! (언~년아~!!) 진 기자님 기대하겠습니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말씀 감사드립니다 ^^
@timothycheon
@timothycheon Ай бұрын
14년전 박제가의 북학의를 보고 조선의 아담스미스 라고 생각했는데 케인즈 라고 보셨네요.
@user-nc2hs4rp7l
@user-nc2hs4rp7l 4 ай бұрын
6:00 전쟁민수!
@jjjjjjjjjjjh
@jjjjjjjjjjjh 3 ай бұрын
자막이 나오면 좋겟다
@yusungbong
@yusungbong 3 ай бұрын
왕실에 납품할때만 이윤을 못붙인거지 자기들끼리 거래할때는 얼마든이 이윤을 붙여서 팔았죠. 조선인들도 상업 좋아했습니다. 단지 상업할만한 물산이 많지않았을뿐.
@Daily_TV94
@Daily_TV94 3 ай бұрын
장혁진 기자 임소장님 파이팅*^^&
@_kbs7532
@_kbs7532 3 ай бұрын
진행자 장혁진 기자입니다 고맙습니다 ^^
@capacsis
@capacsis 4 ай бұрын
박제가 더욱 발견해야할 위인입니다
@user-sd8fe8ij7l
@user-sd8fe8ij7l 4 ай бұрын
뭉탱
@user-wd2gc1bq3u
@user-wd2gc1bq3u 4 ай бұрын
농악대애서 괭가리의 날카로운 소리가 귀에 거슬리는데, 다른 악기로 대체하면 농악이 훨신 듣기 좋을 것이다.
@okkkr1574
@okkkr1574 4 ай бұрын
쌩뚱맞게 박제가를 주제로 유튭이 올라오길래 뭔가 싶었는데 항상 박사님이 일관적으로 하시는 주제네요 ㅋㅋㅋ 저도 국뽕이나 자기위안하는것이 오락적으로나 열등감 극복으로나 조금은 필요하지만 그것이 근복적인 해결법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래도 가진게 없고 스스로 돌아봤을때 자기 인생에 대해 후회하고 만족스럽지 않은 분들이 나이가 들면서 점점 이런게 심해지는것 같은데 제 주변에 가까이 계신 이런 어르신은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jamesmillerjo
@jamesmillerjo 4 ай бұрын
사람은 잘 변하지 않는데 그 사람이 물갈이되면서 사회는 변합니다. 이건 '좋아지는 세대의 대두' 일 수도 있고, '잘못된 세대의 점령'일수도 있지만 아무튼 변화는 변화죠. 교육이 백년지대계라고 하는건 100년뒤에 좋아졌거나 폭망하는걸로 끝, 이라는 게 아니라 끊임없이 요동치고 바뀌어가는 국민 집단 전체의 방향성을 미리 조향하고 예측하는 데 결국 교육의 방향을 이용한다는 뜻입니다 결론 : 물론 사람을 바꿀 수도 있지만 한명을 변하게 만드는 것보다 통찰을 가지는 일이 유용할 수도 있습니다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4 ай бұрын
18세기 현실 조선에서의 청나라 기술 도입의 모습을 보고 싶으면 "여행과 개혁,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라는 책을 읽어 보는 것이 좋아서 추천해봅니다 정조는 매우 현실적인 국왕의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과거 사람들이 노력한대로 중국의 기술을 도입하고 정착시킵니다 대표적인게 벽돌 사용이죠 물론 여기 영상에 나온대로 너무 현실을 따지다 보니 한계가 있었죠 박제가는 중국어 공용어론 뿐만 아니라 아예 중국 농법을 그대로 적용시켜봐야 하는 주장도 하는데 그건 박제가가 태어나기 전부터도 여러 학자들이나 관료들이 중국 농서를 보고 실험을 해봅니다 당연히 조선의 농업 현실과 많이 안 맞았죠 분명히 뛰어난 머리를 가진 인물임이 분명하지만 정조의 평가가 정확한거죠 여기 영상에 나온대로 성격도 원만하지 않은 것도 문제가 되었죠
@mjk9896
@mjk9896 4 ай бұрын
전쟁연구한다고 전쟁광이래 앜ㅋㅋㅋㅋ
@acknowledgebook8494
@acknowledgebook8494 2 ай бұрын
7:48
@user-my8xy1gg5k
@user-my8xy1gg5k 4 ай бұрын
2024년 현재에도 우리나라는 공평, 정의라는 잣대로 이윤을 부정하고 자본주의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드글~드글하죠
@iconoclast2072
@iconoclast2072 4 ай бұрын
지나치기 힘든 썸네일 ㅋㅋㅋ
@C10Tancredi
@C10Tancredi 4 ай бұрын
아직도 조선인이 많다
@user-go5pj8kz4u
@user-go5pj8kz4u 4 ай бұрын
이성계가 회군하지않고 고려에 충성했으면 한반도는 어떻게 될지 궁금해요
@arisukim3074
@arisukim3074 Ай бұрын
청나라를 일본으로 고치면 요새 똑같은사람 한트럭인듯요 ㅋㅋ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4 ай бұрын
그래서 박사님의 국적은 어디십니까? ㅋㅋㅋㅋㅋㅋ
@itwasjustbored
@itwasjustbored 4 ай бұрын
전쟁광민수야 매 주 감사하다
@_kbs7532
@_kbs7532 4 ай бұрын
ㅎㅎㅎ 전쟁광은 아니십니닷
@user-xc7il3gy3l
@user-xc7il3gy3l 4 ай бұрын
박제가 intj
@intouniq
@intouniq 4 ай бұрын
박제가 = 능력있고 고분고분하지않으며 집어던짐 요약이 되었습니다
역사학자와 함께 하는 한강 역사 챌린지 [임용한 소장]
20:44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실학을 완성한 공학자, 정약용 / YTN 사이언스
41:5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90 М.
명품 사극은 10년 지나고 봐도 개꿀잼 [임용한 역사학자]
39:59
선조 욕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임용한 역사학자 7부]
17:38
고려의 임금 체불, 반란을 낳다 [임용한 역사학자]
24:45
머니올라_KBS
Рет қаралды 19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