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24] 서울 아파트 거래량 증가..."집값 바닥 찍었다" vs "더 떨어진다" / YTN

  Рет қаралды 43,772

 YTN

YTN

Ай бұрын

■ 진행 : 윤보리 앵커
■ 출연 : 박원갑 KB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부동산 경기 침체로 하향 곡선을 그렸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집값이 바닥을 찍었다는 목소리와 더 떨어질거란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현재 시장 진단부터 향후 전망은 어떨지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잠잠하던 서울 아파트 값이 다시 기지개를 켜는 것 같습니다. 3월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이 4000건을 돌파했거든요. 이렇게 거래량이 증가한 배경부터 먼저 짚어주실까요?
[박원갑]
거래량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누군가는 산다는 거죠. 그러면 매수자들이 움직이고 있다, 이렇게도 볼 수가 있는데 제 생각에는 전셋값이 많이 오르니까 집을 사자, 이런 수요도 일부 있고요. 그리고 신생아특례대출이 두 달 동안 4조 5000억 정도 나갔거든요. 그 일부가 아마 주로 매매 수요로 이동한 측면도 있는 것 같고. 가장 큰 건 분양가가 너무 오른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 서울 아파트 기준으로 분양가가 3.3제곱미터당, 흔히 말하는 평당 3800만 원 정도 하잖아요.
이러다 보니까 분양받는 것보다 아예 집을 사버리자 하는 그런 수요들도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요. 그래서 이런 요소들이 모여서 결국은 거래량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은 말씀하신 것처럼 아마 오늘 저녁까지, 밤 늦게까지 보통 집계를 합니다. 3월 걸. 그러면 아까 오다 보니까 4072건이거든요. 그러면 2021년 8월 이때 이후에 가장 많은 건데 2년 7개월 이후 많이 늘어났다 이렇게 보시면 되고. 물론 역대 평균은 6000건 정도 돼요. 그것보다는 미진하지만 어쨌든 작년 연말에는 1800건 이랬거든요. 그럼 많이 늘어난 건 맞다. 시장이 약간 기지개를 켜고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거래량이 늘었다면 집값도 올랐을 것 같은데 어떤가요? 서울 아파트값의 고가 아파트 기준으로 신고가도 나오고 그랬다던데요.
[박원갑]
그렇죠. 그래서 실거래가 중심으로 보는 게 아마 실수요자분들은 좀 나을 겁니다. 1, 2월까지 실거래가가 나와 있는데 1% 정도 올랐어요. 그런데 나머지 지역들은 그렇게 오른 건 없는데 문제는 뭐냐 하면 이게 3월 실거래가 잠정지수라고 있습니다. 이게 약간 시장의 선행성이라고 해서 앞서가는 지표라고 보면 돼요.
그런데 이게 지금 3월에 마이너스로 접어들었잖아요. 그러면 사실상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가 1월, 2월 오르다가 자칫 3월에 마이너스로 접어든다는 얘기는 두 달 오르다가 반짝할 수도 있단 말이에요. 그래서 시장이 지금 상승 에너지가 강하지 않다고 말씀을 드리고 싶고. 다시 빠질 수도 있어요. 그래서 올해는 전반적으로 집값이 치고 올라가는 장세로 보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금리가 높잖아요. 이런 상황에서는 매물이 소화되면서 바닥을 친다기보다는 바닥을 다지는 양상이 되지 않을까, 이렇게 예상을 해 보고 있는 겁니다.
[앵커]
작년 연말에 1800건 정도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지금 4000건대를 찍었다면 이제 본격적인 상승장으로 봐야 되지 않을까, 이런 목소리도 나오는데 그렇게까지는 보시지 않는군요?
[박원갑]
그렇게 보기는 조금 위험하죠. 세 가지로 짧게 말씀을 드릴게요. 일단 매물 물량이 많아요. 그러니까 매물이 소화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매물이 나와서 작년 말보다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가 한 10% 정도 ... (중략)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2_202404...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Пікірлер: 204
@RespectBRT1207
@RespectBRT1207 Ай бұрын
통계가 틀렸는데 무슨 집값 바닥 ㅋㅋㅋㅋ
@bullsnam2239
@bullsnam2239 Ай бұрын
국토부가 통계를 고의로 누락해서 아파트 거품 키우는 개같은 나라....
@ds-k7878
@ds-k787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국토부에도 집값 꼭지에 영끌해서 쳐물려 있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ㅋㅋㅋㅋ
@user-ch9wk5rq7n
@user-ch9wk5rq7n Ай бұрын
19만호가 남는다고 절반만 발표 한거 아닌지??
@user-qh2bq3jm5l
@user-qh2bq3jm5l Ай бұрын
ㅋㅋㅋ 아파트 사라고 ... 미안하다 ... 안 산 다 ... 안 사 .
@martho6606
@martho6606 Ай бұрын
이 나라에서 이제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1986-1994] 86년도의 은행 금리는 18%였다. 94년도까지 금리는 9.46%까지 인하되었고, 이 시기에 전국 부동산가격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1994-1997] 94년도부터 IMF 외환위기가 터진 97년까지 금리는 25.63%까지 상승하였으며 이 시기에 전국 부동산가격지수는 하락하였습니다. [1998-2007] 외환위기 이후 경기를 살리기 위해 98년부터 07년까지 금리는 4~5%까지 획기적인 저금리가 유지되었고 부동산 가격 상승이 완만하게 이루어졌습니다. [2008-2021] 08년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함께 금융위기가 찾아왔고, 금리는 기존의 5%에서 2%까지 인하되며 양적완화 정책, 무차별 현금 살포가 시작됩니다. 그 이후로 10년이 넘게 1%대 초저금리가 유지되며 2018년부터 과열되는 시장을 잠재우기 위해 미국과 한국 대부분의 국가가 기준금리를 조금씩 올리는 찰나, 2019년 유례없는 코로나가 창궐, 다시금 세계 경제는 0% 금리, 무제한 양적완화를 실시합니다. 경기 흐름에 맞게 금리를 올려야 할 시점에 금리를 내리는 현상이 20년이 넘게 쌓였고, 그 결과, 세계 경제는 인류 역사에 있어 가장 악덕한 인플레이션 위기를 맞닥뜨렸죠. 자산 가격은 폭등하고, 현금의 가치는 떨어졌습니다. 노동 의지는 꺾였고, 성실함과 근검절약의 정신을 가진 사람들은 벼락 거지가 되었고, 남의 돈으로 돈 먹고 돈 먹는 투기판이 되어버렸죠. [2022-2024] 10%를 찍는 CPI에 연준은 2022년 0.25%에서 5.5%까지 연속 10차례 금리 인상의 카드를 선보이게 되었죠. 한국 또한 21년 8월부터 24년까지 3.5% 연속 금리 인상과 동결을 유지하고 있으며 22년, 23년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였습니다. 우리는 모든 투자의 잣대가 되는 기준 금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 해야합니다. 현재 금리는 물가에 따라 중앙은행이 조절을 하고 있고. 앞으로 금리의 향방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파악할 수 있는 법. 그렇다면 물가는 잡히고 있는가요? 잡히고 있다면, 금리가 인하될 것이고 물가가 다시 튄다면, 금리는 높은 상태로 동결되거나 인상될 것입니다. 24.4.10. 일주일 전 미국의 CPI 지수를 보면 ‘2%’ 목표 물가지수를 가지고 있는 연준 입장에서 ‘3.5%’ 물가 재상승을 확인했죠. 미국채 금리는 하루에 3%가 튀었고, 현재 FED WATCH는 하다못해 25BPS 금리 인상의 가능성마저 비추고 있습니다. 다이먼 JP 모건 CEO는 군사 갈등과 지속적인 고유가로 인한 인플레 압력으로 미국 금리 8% 상승을 전망했고, 8% 금리 인상이 없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될 것이라 예측했죠. 결국 금리를 올리지 않는다면, 고금리뿐만 아니라 신용손실, 낮아진 비즈니스 규모, 더 어려운 시장을 초래할 것이라 내다봤습니다. 여기서 한국물가를 봅시다. 왜 미국 물가를 쳐다보냐고 묻는 혹자가 있을 수 있는데, 미국과 한국의 금리 역전 상황에서 미국의 물가 상승으로 미국금리가 올라간다면, 한국과 금리 역전 차이가 더 커지면서 미국으로 외화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같은 돈을 맡기는데, 5.5% 이자를 주는 미국 달러 예금통장에 맡길까 3.5% 이자를 주는 한국 원화 예금통장에 맡길까 생각해 보라) 그리고 마지막느로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각합니다. 아니 심각이란 표현도 약한 정도의 멸망 수준이죠. 지금 동향에 출산율 1이상을 가정하는 통계에서도, 2072년, 지금으로부터 48년 후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절반이 됩니다. 인구는 내년 5175만 명에서 3622만 명으로 -30% 인구가 사라지죠. 게다가 3622만 명 중에서도 반이 65세 노인이라는 이야기죠. 지금 한국 국민들의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등 비금융 자산이 80%를 차지합니다. 그 부동산을 차지하는 대다수는 50-60세대고. 베이비 부머 세대는 경제활동에서 이제 한걸음 물러나 은퇴하는 시기가 도래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 비율로 65세 은퇴를 할 때 통계학적으로 노인들에게 남아있는 자산이라곤 부동산 자산 80%밖에 없다는 이야기. 노인들은 이 하나뿐인 부동산을 팔아, 각종 연금 및 금융 자산으로의 전환을 통해 생활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실제로 나의 부모님도 하나뿐인 잠실에 있는 하나뿐인 집 팔고 현금화 하려고 하시는데 1년이 넘게 집 한번 보러오는 사람이 없는 현실이죠. 오를 대로 오른 부동산 자산 가격을 30, 40세대들이 받아내기 버거운 상태. 저조차 세후 현재 1억4천만원 정도 연봉에 현금 4억을 모아둔 상태지만, 고향땅 잠실에 집하나 장만하기는 불가능, 죽을때쯤에 겨우 한채 마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 정부는 젊은 세대에게 대출을 늘려주고, 상환 기간도 50년 60년으로 늘려 미래의 빚을 끌어줄 수 있게 도와주고 지금 부동산의 오른 가격을 살 수 있게 지속적으로 도와주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30,40세대들은 이렇게라도 죽을 때까지 집을 마련할 수 있지만, 20세대들은 더 오른 가격의 부동산을 짊어질 수 있을까? 아마도 대출 상환 기간을 200년은 족히 늘리고, 0% 금리로 대출해 준다면 가능할 지도. 인구구조 개선이 안된다면, 결국 대한민국의 부동산이 우상향에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39세 이하 부동산 자산은 75% 금융자산 비중은 18% 불과하다. 50대보다도 낮아 '쏠림' 심각하고 부동산 침체 땐 노후 절벽 우려된다고 봅니다. 5060세대 부자들은 대부분 부동산 투자로 성공했죠. 부모 세대의 경험은 3040세대로 이어져 ‘부동산 몰빵’을 더 심화시켰습니다. 퇴직연금을 비롯한 노후를 뒷받침할 재원을 헐어 부동산에 쏟아붓고 있다는 것. 하지만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와 부동산시장 둔화 영향으로 이들의 재산 증가율은 부모 세대에 크게 뒤지는 상태. 자본주의가 태어난 역사적 이래 금리 고점에서 피벗 하여 금리 인하가 되는 시기에 단 한 번도 자산 가격이 올라간 적이 없습니다. 경제 흐름을 꼼꼼하게 체크합시다. CPI, PPI, Core CPI가 적어도 2%대로 안정되는 기간을 살피고, 그전까지는 절대 부동산 매매는 하지 않는 것이 추천되죠. 전세는 2년의 계약기간 때문에 빠르고 긴밀한 경제 변화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므로 절대 비추천. 전세로 산다는 것은 나의 목돈을 집주인에게 투자비용으로 빌려주고 나의 투자 기회비용을 모두 잃는 것입니다. 무주택자라면 반드시 지방, 외곽의 가격이 낮은 월세로 시드를 불려가고 물가가 낮아지는 시기까지 금융자산으로 리밸런싱 해야 한다. 부동산도 물론 장기적으로 우상향할테지만, 고금리 상황에 이자비용과 세금 손해가 훗날 물가가 정상으로 돌아왔을 때 다른 자산의 상승 비용폭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인구구조를 파악하면서, 출산율과 고령화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면 부동산보다는 금융 자산의 포지션을 늘려가며 주식, 채권, 암호화폐, 리츠, 원자재 등으로 다변화시켜 노후자산을 대비해야 합니다. 이 나라에서 이제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user-xm7hc6ys3n
@user-xm7hc6ys3n Ай бұрын
콘크리트 돌덩어리보다 이제 기업에 투자합니다!
@user-zw7fg1xo8q
@user-zw7fg1xo8q Ай бұрын
언론이 부동산 전망을 뒤바꿀 순 없지만 부추기는데 큰 몫을 하지
@UJDP
@UJDP Ай бұрын
미분양이 넘쳐나는가보구나~ 요즘 사람들 똑똑해져서 뉴스 보이는 그대로 안믿는다 거래량증가했다고하면 우와~~ 하면서 달려들거같나?
@user-ws9bc5yq6y
@user-ws9bc5yq6y Ай бұрын
이제 바보가 없는데 저런 사람들만 사람들이 안속는다는걸 모름 ㅋㅋ
@user-oc4ts1ep8m
@user-oc4ts1ep8m 29 күн бұрын
거래량이증가했으니 증가했다하지 떨어졌다하냐?ㅋㅋㅋ
@dss5397
@dss5397 Ай бұрын
집값이 바닥친건 모르겠고 박원갑이 나오는건 안본다.
@aion73
@aion73 Ай бұрын
원갑아 말은 바로해라 구라치지 말고
@user-dh7kl4vt7r
@user-dh7kl4vt7r Ай бұрын
부동산 통제 조작이 드러났죠? 기자님!
@user-mv9fz4mm5w
@user-mv9fz4mm5w Ай бұрын
더떨어진다 ~ 집사면 후회한다
@user-ll5ux7ug5h
@user-ll5ux7ug5h Ай бұрын
너무 부추기지맙시다.아직도미친가격~~
@flowerk2023
@flowerk2023 Ай бұрын
지금보다 30프로는 더 떨어져야지
@user-il6yd7uj1s
@user-il6yd7uj1s Ай бұрын
미안한데 그건 2040년은 돼야한다 난 산다
@dyw8312
@dyw8312 Ай бұрын
집값 폭락 시작도 안했다
@chk7910
@chk7910 Ай бұрын
아주 그냥 빚쟁이 만들고 한강 가게 만드는구나
@user-rk4uu2jk6v
@user-rk4uu2jk6v Ай бұрын
이 사람 믿을 수 없어
@user-qd5te3pe3w
@user-qd5te3pe3w Ай бұрын
박원갑 바닥이라는 말에 귀 얇은 사람들 조심하세요 ..
@user-bq3ul5js4q
@user-bq3ul5js4q Ай бұрын
박원갑 안믿어
@user-sk6lp8tw4f
@user-sk6lp8tw4f Ай бұрын
이게 나라냐.... 진실이없어무슨
@user-dm5vp4qb4c
@user-dm5vp4qb4c Ай бұрын
아파트에 미친나라
@user-ej4ep5tr7q
@user-ej4ep5tr7q Ай бұрын
ㅋㅋ 통계누락이라며 ㅋ
@Dongtanman
@Dongtanman Ай бұрын
오늘 누군가 급매로 싸게 살 수 있었던건 몇년전 고점에 산 호구가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 매수한 호구로 인해 몇년후 또 다시 누군가 급매로 싸게 잡을 수 있다
@user-rn6zs7hn9b
@user-rn6zs7hn9b Ай бұрын
박원갑 상승론자 였네요 언론 안믿는다 국민은 바보가 아니다
@user-zy9pd4ez1u
@user-zy9pd4ez1u Ай бұрын
방송에서 대국민 사기질
@user_Ekfrnala
@user_Ekfrnala Ай бұрын
어디가 바닥이라는거야
@user-ct7rh2nu5p
@user-ct7rh2nu5p Ай бұрын
잡값 내려가면 집은 더 안살껀데 세수는 어디서 가져오냐??
@user-iq1ck3pv1w
@user-iq1ck3pv1w Ай бұрын
?전혀아니던데?
@user-fw5dv7oz5f
@user-fw5dv7oz5f Ай бұрын
투기조장 전문 방송 YTN
@kw00194
@kw0019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부동산 광고 언론
@user-wr3fc9iu7q
@user-wr3fc9iu7q Ай бұрын
현재 아파트전세의 상승은 빌라 사기로 의 이동으로 약상승 으로 봐야함
@tomjerry2477
@tomjerry2477 Ай бұрын
예 유진건설 하청업체.
@zinoos4724
@zinoos4724 Ай бұрын
언론과 은행의 호객질에 당하지 말라. 바닥은 아직 모르다. 겁준다고 쫄지 마라. 절대 상승할 일 없다. 4월 총선 기준으로 꺾였다. 이미 끝났어.
@zinoos4724
@zinoos4724 Ай бұрын
은행 입장에서 부동산의 하락이 자신의 손실이다. 아직 바닥이 어디인지 모른다. 믿지 마라.
@user-ct7rh2nu5p
@user-ct7rh2nu5p Ай бұрын
풉 ...정부는 꺽인 집값을 아무 대책없이 그냥 있을까???일단 서울집값은 꺽일일이 없다
@hemyo75
@hemyo75 Ай бұрын
ㅋㅋㅋ 매각되더니 츠암내...잘한다...언론사가..쯔쯔...이런뉴스에 속아서 집사면 그길로 나락가는겨
@yeuxpurs
@yeuxpurs Ай бұрын
미분양 8만채 + 고의 누락 19만채 + 5월 분양 5만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락 시작임 ㅋㅋ
@user-ei9yi2me1f
@user-ei9yi2me1f Ай бұрын
고생헌다. 고생해. 집에 가서 거울보고 느껴봐라. 나는 무엇인가....,.
@user-wk9qm6vz2u
@user-wk9qm6vz2u Ай бұрын
더떨어진다고 다들 예상하시네....과연 몇년뒤에 어떻게 될지...
@user-uh3ch7zy3s
@user-uh3ch7zy3s Ай бұрын
신고가 갱신하면서 거래한다고?? 우와!! 대출금리가 높은데 다들 현금으로 사나 ㅋㅋㅋㅋ 그사세인가??
@user-rf9hb4zz7d
@user-rf9hb4zz7d Ай бұрын
자전거래
@user-bc2oi9cc3b
@user-bc2oi9cc3b Ай бұрын
집값 올려볼려고 애쓴다 애써 ㅋ 건설사 앞잡이 앉혀놓고 애쓴다 애써 ㅋㅋㅋ
@user-pu7ug4se1k
@user-pu7ug4se1k Ай бұрын
지금사야한다 더떨어지더라도
@kw00194
@kw00194 Ай бұрын
ㅋㅋㅋ 누구 빚 떠안으라고 1~2천도 아니고 2억이상은 떨어진다
@keumhoyu9219
@keumhoyu9219 Ай бұрын
바닥을 다진다고? 바닥 꺼지면 지하실~~!
@user-mr2oe7fp8q
@user-mr2oe7fp8q Ай бұрын
또 또 언론 플레이...언론과 건설사의 유착....
@user-dv9ee9jt2h
@user-dv9ee9jt2h Ай бұрын
기지개 펴니 좋나요? 저출산 초고령화 문제 해결의 중심에 집값 정상화가 있습니다.
@user-qw3md6ig6q
@user-qw3md6ig6q Ай бұрын
전세값상승은 집값 상승의 전조인데, 드디어 상승기류 탔네요..ㅎㅎ
@user-ix6el9vo2q
@user-ix6el9vo2q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더내려간다
@user-lz5rv9gm5v
@user-lz5rv9gm5v Ай бұрын
뭐 사실... 지금 경제 오락가락하는데, 사는 사람이 있으면 좋은 거긴 하지. 매매가 아예 죽어버리면 거기서 나오는 세수나 은행의 대출 같은 통화승수가 없어서 다 문제임. 터지지 않게하는 게 중요한 거임. 다만 터지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한 거고, 나보고 사라거나 또는 대출을 받으라고 하면 단연코 거절하겠음. 전 세계인이 몰리는 미국투자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유동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짜서, 노동소득을 투입해 계좌릉 강화해나가는 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스스로는 판단됨. 다달이 달러 배당금 받으면서 차익실현도 하는 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스스로 판단했음. 부동산이 나쁘다는 게 아님. 나는 부동산으로 부를 일군 사람들을 시기질투하지도 않고, 상관하지도 않으면서 내 자산증식에만 노력하고 싶음. 부동산 투자자들이나 실거주자들 가진 유동자산 전부 투입하고, 심지어 레버리지꺼지 이용해서 들어갔다면 그 사람들은 그만큼 미래의 한국부동산을 좋게 보는 것일 뿐이고, 나는 미국투자시장을 더 좋게 보는 것일 뿐임. 부동산 투자해서 세수 걷히는 거나, 통화승수 일어나는 호작용도 분명 있음. 나는 한국 부동산을 앞으로 투자하지 않을 거지만, 부동산 투자자들 덕분에 국가가 유지되는 거라면 딱히 반대는 안함.
@user-jd4fx4vv5r
@user-jd4fx4vv5r Ай бұрын
더 떨어질듯~~
@user-mk9ds3xe9p
@user-mk9ds3xe9p Ай бұрын
뉴스성향이나 의도를 이렇게 적나라게 알려주면 너무 고맙지 ㅋㅋㅋ 쉽게 거를수있으닌까
@kbj1632711
@kbj1632711 Ай бұрын
이제슬슬집값오르는소리여러곳에서들리는군
@sunwoorim
@sunwoorim Ай бұрын
지금은 아니다. 내년초봐야한다
@user-ye1qq7kn6n
@user-ye1qq7kn6n Ай бұрын
바닥을 찍었다?이사람 전문가 맞나?
@user-uo8cl8fx7x
@user-uo8cl8fx7x Ай бұрын
집이 필요하면 사라 제발. 투자로 사놓고 떨어지면 영끌했다고 금리 인하시켜달라고 징징대는게 말이나 되냐.. 영끌들 꼴보기도 싫다 진심으로...
@user-vm6ne5vt2x
@user-vm6ne5vt2x Ай бұрын
오 바닥찍었다고 개래기가 말하네 ?ㅋㅋㅋ 이제 진짜 바닥으로 가겠구나 ㅋㅋㅋㅋ
@user-qw4ob6us1v
@user-qw4ob6us1v Ай бұрын
지금 집사면 잦 됩니다
@leemhee1
@leemhee1 Ай бұрын
나라가 국민 사기치네😢😢
@minkeekim8014
@minkeekim8014 Ай бұрын
YTN SBS 고생이 많다. 사주가 건설회사니 건설업 커버는 쳐줘야 하는데.. 말도 안되는 논리를 펼치자니 지들도 민망할꺼야..ㅋㅋ
@user-me8qd5kw2u
@user-me8qd5kw2u Ай бұрын
집값이 쉽게 떨어지진 않을거에요. 그가격에 팔을 바에는 안팔고 만다. 라는 심리가 있어서 하지만 살사람이 있어야 그것도 가격이 형성 되는듯. 급전 필요한사람은 최소 10~30퍼는 깍아서 팔아야 팔릴듯.
@scolpion1
@scolpion1 Ай бұрын
유진건설 YTN 직원여러분. 언론의 양심과 자존심을 지켜내시긾바랍니다.
@chk7910
@chk7910 Ай бұрын
돈 있냐??? 대출???ㄱㄱ
@user-px6dr8mn3j
@user-px6dr8mn3j Ай бұрын
많이들사라ㅋ 이러고보면 언로도 진짜바람잡이 나쁜쉐리들
@user-bd3yn6le2q
@user-bd3yn6le2q Ай бұрын
언론만 가격오른다고 하네.. 거래량 찔끔인데
@user-ee8rz6ls5s
@user-ee8rz6ls5s Ай бұрын
YTN인수기업이 아마도 유진기업ᆢㅋ 유진기업은 콘크리트 만드는 레미콘회사죠ᆢㅋ 아무래도 건설경기가 살아야만 살수있는 기업이죠ᆢ
@user-ei9yi2me1f
@user-ei9yi2me1f Ай бұрын
박원갑 안나올때가 돼야 귀기울일걸?
@bridgebuilder1611
@bridgebuilder1611 Ай бұрын
떨어져?? 집 값이 떨어진 적이 있나?? 집 값이 몇 억씩 폭등한 후에 고작 몇천에서 1-2억 정도 떨어졌는데 다시 오른다고?? 정신 차리고 마음 단단히 먹어야 안 속는다... 지금 안 사면 오를거라는 심리적 불안감이 집을 사게 만들고 또 집 값을 오르게 한다... 속으면 바보다...
@kanebo3626
@kanebo3626 Ай бұрын
목구멍이 포도청, 어쪄랴
@user-qu6zd7nx7h
@user-qu6zd7nx7h Ай бұрын
열심히 사라 불지옥을 맛보게 될것이다ᆢ
@user-dk1um7mf7d
@user-dk1um7mf7d Ай бұрын
원래 하락장 진입시에 거래량 증가하면서 매매가 감소 합니다 손바뀜 나면서 매매가 상승을 만들수 있는 장이 아닙니다..
@hankeenam
@hankeenam Ай бұрын
원갑이 신수가 훤해졌네. 집 많이 사서 부자돼라.
@user-rs2xt1fe6v
@user-rs2xt1fe6v Ай бұрын
지금 집을사는사람은 주거목적이면 상관없지만 투기목적이면 그지되는 😅😅거지용
@user-gb4kl1st4c
@user-gb4kl1st4c Ай бұрын
많이들사소
@user-tx6ji1le7p
@user-tx6ji1le7p Ай бұрын
거품낀 가격이 바닥?? 개풀뜯어 먹을 ..
@user-ov5wf3ve7e
@user-ov5wf3ve7e Ай бұрын
서울집값 1억 정상가
@jongcheolkim849
@jongcheolkim849 Ай бұрын
부동산에서 허위매물 허위실거래가 절대로 집안 사요.
@user-lb5dq8ob4d
@user-lb5dq8ob4d Ай бұрын
돈있으면 집 한채 더사고싶다 ㅠ
@user-cf3vb2sn7z
@user-cf3vb2sn7z Ай бұрын
주택 매매가 자주 일어나지 안으면 세금이 많이 줄어들거예요 정치적으로도 올리려함 그나마자동차로 세금 충당중
@user-fn9yy9nm3s
@user-fn9yy9nm3s Ай бұрын
ㅇㅓ차피 우린 못사
@user-pk9lh5yr7l
@user-pk9lh5yr7l Ай бұрын
허구한날 맨날 바닥 찍었데.. 젊은 청년들에게 주택 구입시 빚을 권하는 나라, 죽을 때까지 평생 이자 갚으라고 하는 나라. 국민연금 돈은 많이 내고 혜택을 못 받을수 있는 젊은 청년들이 정말 불쌍하다. 답이 없다. 이민 가는게 답이다.
@user-bt9nv1pm2m
@user-bt9nv1pm2m Ай бұрын
전문가 맞냐...?ㅈ문가 아니나? 전문가라는 사람이 통계와 팩트를 기반해서 말해야지 그냥 낙천적이게 말하고있네
@user-uj3cu7kv5m
@user-uj3cu7kv5m Ай бұрын
지방 어디가 아직 덜 빠졌냐? 40%빠졌다 서울만 나라냐?
@tracert1
@tracert1 Ай бұрын
강남 아파트 매매가 10만원이 적당하다 ㅋㅋㅋ
@user-uc3ou1bj3x
@user-uc3ou1bj3x Ай бұрын
두꺼비도 알고있다 헌아파트는 하향할거이고 신규는 고공행진할것이라고
@user-mo3di6ow9r
@user-mo3di6ow9r Ай бұрын
돈들많구나 그비싼 아파트를 턱턱 사대다니 ㅠ.ㅠ
@user-ye1qq7kn6n
@user-ye1qq7kn6n Ай бұрын
지방은 회복세가 수도권 만큼 가파르지 않다는데 이사람 외국에서 살다왔나?지방은 미분양에 아파트값이 떨어지고 지금 심갃한데
@babidoll34
@babidoll34 Ай бұрын
거짓말 중이시네요
@user-mo1hi7jf3y
@user-mo1hi7jf3y Ай бұрын
공급은 언제 ? 투기정븐
@user-ew5qd2im1q
@user-ew5qd2im1q Ай бұрын
거래량증가이유? 하루만에 19만호 물량 풀림. 요번정부 서민들을 위해셔 하루만에 19만명 세대주 모집함
@user-wr6or7xm4x_tae
@user-wr6or7xm4x_tae Ай бұрын
계속 내릴건데 알면서도 바닦이라네?
@changlhee3561
@changlhee3561 Ай бұрын
부동산은 미국 기준금리와 PF로 때문에서도 가격은 계속 빠져야 합니다. 저출산으로 지원한 450조? 다 어디갔어 무능한 정부...ㅉ
@user-on4iv4tb6g
@user-on4iv4tb6g Ай бұрын
부동산 선동하는자 법으로 다스려라. 우리집앞 부동산 아줌마 완전 사기꾼인줄알았데 친구동네 부동산 할배 완전 끝판 빌런임
@user-bg5kp3yk1x
@user-bg5kp3yk1x Ай бұрын
바닥?
@user-dc8cg1gn9w
@user-dc8cg1gn9w Ай бұрын
여기뭐시여 이래도 되는겨
@user-bm2bf3ko6u
@user-bm2bf3ko6u Ай бұрын
빨리빨리사야됨 공사비 인건비 계속오름 상식적으로 개썩은위치 아니면 집값 내려가기 힘듭니다
@ydwookr
@ydwookr Ай бұрын
제롬파워가 선거전에 9월에 인하
@user-yb1vl3gj4f
@user-yb1vl3gj4f Ай бұрын
파워가이니고 파월입니다
@user-bj7xs2dq7w
@user-bj7xs2dq7w Ай бұрын
바닥 같은 소리하고 있네
@user-uc3ou1bj3x
@user-uc3ou1bj3x Ай бұрын
여의도 대교 이파트 나오네요 한20년쯤거기 살았는데 박키 자금쯤은 거의 대박일걸요
@user-vh8ho8cu1d
@user-vh8ho8cu1d Ай бұрын
뭐가증가야 내집도안팔려 옆집도안팔린다 발품팔어바라 거짓말인가
@user-sz1sd4rm7g
@user-sz1sd4rm7g Ай бұрын
신생아대착때문에 거래량는걸가지고 또또또 집값오른다고 선동질이야!
@jongpilshin5741
@jongpilshin5741 Ай бұрын
뭐가 떨어졌다는건지. ???
@user-wo8om5lc3s
@user-wo8om5lc3s Ай бұрын
자재값이 따블로 올랐는데 집값만 떨어지냐 ㅋㅋ
@user-uj5oq8yf6w
@user-uj5oq8yf6w Ай бұрын
코딱지 땅덩이에ᆢ인구는 주렁 주렁ᆢ아파트 누가 만들었는지 ᆢ기발하다ᆢ새 아파트일수록 편의시설 엄청나네ᆢ
@Gftedxc
@Gftedxc 29 күн бұрын
집없는 사람 아직 많구나
@user-zq1bx3jv3b
@user-zq1bx3jv3b Ай бұрын
히망상항이겠지요~
@jungmiyoon7087
@jungmiyoon7087 Ай бұрын
왜 이런 뉴스가 나오죠?
@user-ye7ns3fn9c
@user-ye7ns3fn9c Ай бұрын
건설사가 지금 급하거든요 ㅋ
@jhk1356
@jhk1356 Ай бұрын
태영건설이 지금 급해요
@user-sn2yn6kd6n
@user-sn2yn6kd6n Ай бұрын
지금 집사면 작살난딘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