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xz3wt1sw1e
@user-xz3wt1sw1e Күн бұрын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의 황금검과 똑같아 역시 신라는 북방유목제국의 후손들이 만들어낸역사가아닐까? 어쩌면 우리생각보다 훨씬더 거대한 제국이었던 조상님들의 나라 중국과 일본이 숨기려히고 조작하는 우리의 과거 상고사 한번더 찾아내고 진찌우리고토를 회복해서 찬란했던 우리조상의 업적을 다시 이루어나가야할듯
@user-po5mw3sm2i
@user-po5mw3sm2i Күн бұрын
방송, 퀄리티 좋아요~!
@Dasan1111
@Dasan1111 Күн бұрын
누가봐도 신라왕의 무덤인지 다 알았을텐데 1000년간 도굴을 안당한 것도 신기하고 왜놈들이 가만 놔둔것도 신기하군요.
@ryanminmac
@ryanminmac 3 күн бұрын
tras bien!!!!!!!!!!!!
@user-no7om7tu6n
@user-no7om7tu6n 4 күн бұрын
옛날 영상이지만 유물을 소개하는 장면들이 참 담백하고 정직하게 느껴지네요. 이런 식의 영상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user-hz4fi9iw6y
@user-hz4fi9iw6y 7 күн бұрын
볼륨좀 올려주세요
@user-tv4ds2ij9y
@user-tv4ds2ij9y 8 күн бұрын
대릉원은 마립간 시대 고분군으로 스키토-시베리아 문화의 기마민족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는 사슴을 토템으로 숭배했고, 신라 금관은 계림을 상징하는 나뭇가지와 사슴뿔을 상징하는 녹각이 합쳐져 수지녹각형의 모양을 갖게 됐죠. 현재 대릉원 무덤 중 유일하게 주인이 밝혀진 무덤은 금관총인데 학자들은 금관총의 주인인 이사지왕은 마립간은 아니고 고위 지배층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kzfaq.info/get/bejne/o6mTisygx7Sah6M.htmlsi=3ChGea5-CO6Fu6PP 연맹왕국에서 시작한 신라는 법흥왕 때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불교를 공인했고, 왕즉불 사상을 내세우며 왕권을 강화해나갔습니다. 선덕여왕은 성스러운 석가모니의 혈통인 성골이라는 이유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고, 불교적 세계관인 정토사상에 입각해서 옥녀봉-첨성대-선덕여왕릉-문무왕릉을 일직선에 위치시켰죠. 선덕여왕릉은 불교적 정토인 도리천을 상징하는데 첨성대가 33층인 이유가 그때문이죠. kzfaq.info/get/bejne/p7Sde7ik0M3JeZ8.htmlsi=TzfPry2P_jy_XW-- kzfaq.info/get/bejne/b6ePerycleCqd6c.htmlsi=Nh7ObYkx7xe5L2cO 신라 왕실에서 불교를 공인하며 기존 샤머니즘의 권위가 쇠퇴하자, 신라 공주였던 만명부인은 아들인 김유신에게 신궁의 제관인 천관녀를 음탕한 계집이라고 하며 그녀와 인연을 끊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마립간 시기 신의 권위를 상징하던 금관은 신라 왕실이 불교화한 6세기 이후에는 더이상 출토되지 않습니다. 선덕여왕, 문무왕 등의 초상화에 금관이 함께 그려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더이상 금관이 신의 권위를 상징하지 않고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상징물로 전락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금관총 주인인 이사지왕이 마립간이 아니고 신라의 고위층에 지나지 않았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금관이 왕의 권위를 상징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분 책을 읽으셨는지 짐작이 갑니다만 그 분 주장은 학술적으로 아예 말이 안돼요. 신라는 철저한 골품제 사회였고, 기마민족이었으며, 사로국에서 시작해 끊임없는 정복전쟁으로 나라가 발전했잖아요. 평등하고 평화로운 고대 모계사회가 고대 신라 문화에서 발견된다는 주장이 어떻게 말이 되겠습니까.
@hanbaedal
@hanbaedal 9 күн бұрын
경주박물관에 신라초기 건국역사를 부정하는 연대표를 지적하는 내용의 분들이 계시던데 사실인가요? 신라의 건국은 언제부터인가요.
@user-wn9cq4hp1x
@user-wn9cq4hp1x 12 күн бұрын
쇼를 한다. 애쓴다. 일반에게 빨리 공개해주세요. 팩트로요
@sasaki447
@sasaki447 12 күн бұрын
이런 기록 영상물을 보게 해준 많은 빛나는 앞선 사람들과 훌륭한 동시대 사람들에게 감사합니다.
@user-ln9sc8on8j
@user-ln9sc8on8j 14 күн бұрын
굿 보러갑니다
@gal4645
@gal4645 14 күн бұрын
6:42 저거 씻는 분들 학예사님 들인가? 맨발에 고무신 ㅋ 이쁘다
@user-mq7tq8vn1n
@user-mq7tq8vn1n 14 күн бұрын
그런데..저 감은사지는 저 자리가 감은사 였다는 증거가 있나?
@user-mf8qv9ob9u
@user-mf8qv9ob9u 15 күн бұрын
경주역은 도대체 왜 없앴을까 신경주역에서 시내 주거지역에 위치한 부모님 집까지 버스로 1시간 거리를 타고 오면서 현타가 밀려오더라.. (구)경주역이었으면 그냥 10분 거리인데 참
@user-po5mw3sm2i
@user-po5mw3sm2i 16 күн бұрын
국립 경주박물관, 너무 좋아~!
@user-sl3ce4qi1j
@user-sl3ce4qi1j 18 күн бұрын
저거 그냥 바위임 아무것도아닌데 의미부여한거였음 개허위임
@ssgj666
@ssgj666 20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저런 기술력을 천년 전에..
@goblin-of-korea
@goblin-of-korea 20 күн бұрын
웃기고 자빠졌네.. 아주 병신짓만 골라서 해요 뭔 동해 수증능? 문무왕 릉이 대륙에 있다는걸 모르나?
@user-ln9sc8on8j
@user-ln9sc8on8j 21 күн бұрын
모른건 왜그리 많나 좀 생각좀하지... 지들 모르면 연구래 ㅋㅋㅋㅋ
@zhandcl
@zhandcl 23 күн бұрын
우연히 다른 영상을 보다 신기해서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윤상덕 선생님께서 황금보검 하나에 인생의 열정을 기울여 주신 덕분에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manggoddang
@manggoddang 23 күн бұрын
대왕암은 중국 동해에 존재함 어떤 미친놈이 왕을 수장시키냐 ㅋㅋㅋ 무덤에 수맥만 흘러도 난리나는건데
@Thomas-ou2oh
@Thomas-ou2oh 24 күн бұрын
고등학교 1학년 때 수학여행 간다고 기차 전세내서 경주 갔던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가도가도 멀었던 경주 수학여행길…
@user-id5jr9ep8p
@user-id5jr9ep8p 24 күн бұрын
이 순회전 광고 너무 멋져요. 최고예요.❤️
@user-ef3fs3oq8t
@user-ef3fs3oq8t 24 күн бұрын
정확한 경주 위치 알려주세요
@user-po5mw3sm2i
@user-po5mw3sm2i 27 күн бұрын
국립경주 박물관, 소식 자주 전해 주세요_넘 좋아~!
@user-nh1vv8fv5g
@user-nh1vv8fv5g 27 күн бұрын
70년대모습을 영상으로 볼수있어서 좋네요
@user-zh8fw5tm2g
@user-zh8fw5tm2g 28 күн бұрын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유물들의 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것들을 보니 감동입니다. 로만 글라스를 여기서도 보네요.ㅇㅎㅎ 역사 저널에서 본 건데 너무 광택이 이쁨❤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Ай бұрын
예전에 마수리 드라마가 있었죠 . 케베스에서 어린이드라마 ...
@jangwonmoon9869
@jangwonmoon9869 Ай бұрын
여기 주차 언제까지 되나요? 여기 본후에 월지 가려는데요. 오후 5시쯤가서 구경하고, 6시에 월지가려는데, 오후6시에 문닫으면 차도 빼야하나요?
@user-ami1204
@user-ami1204 Ай бұрын
사리장식이 정말 아름다워요!!!
@rosie_tango
@rosie_tango Ай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부처님이 다 모여있네요. 깎아지른 절벽에서 경주를 굽어살피시는 부처님과 새소리라니... 다시 남산에 있는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려요. 영상 정말 아름답네요. 감사합니다.❤
@aoqjflr_300
@aoqjflr_300 Ай бұрын
고대국가 국경선도 규명 못하면서 발굴에 관해서는 흥분을 하는군요
@zhchoe469
@zhchoe469 Ай бұрын
왕족? 화랑?
@gamchocookie
@gamchocookie Ай бұрын
몇돈 정도되려나
@uoyk7318
@uoyk7318 Ай бұрын
지중왕 일꺼라 생각함 2미터 대야 저런걸 쓸수있음
@uoyk7318
@uoyk7318 Ай бұрын
남자 문무왕 일꺼라 생각함 너무크고 대두 일꺼라 생각함
@user-yy3np9gl8d
@user-yy3np9gl8d Ай бұрын
타지역 불상들 다 합친것만큼 경주남산에는 탑하고 불상들이 집중돼있네요 아름답네요
@user-ym1br4sv3o
@user-ym1br4sv3o Ай бұрын
여긴 문무대왕릉이 아님 중국에있음
@dama5568
@dama5568 Ай бұрын
금관은 황홀했음
@studykoreanart
@studykoreanart Ай бұрын
아름답네요
@cocowitch22
@cocowitch22 Ай бұрын
부처님 감사합니다 _()_
@user-os8gl8uo7r
@user-os8gl8uo7r Ай бұрын
보사노바공연 댓글 왜 막아놨습니까? 학예회 수준 공연이라고 한마디 해놨더니만 댓글을 막네.. 이 양반들아.. 다음부터 수준있는 아티스트 모시고 공연하면 되지 댓글 막기는 왜 막아.. 국민 세금을 그따위로 쓰고 반성은 안하고 뭐하는 짓인지..
@user-mj3it9rc4d
@user-mj3it9rc4d Ай бұрын
미스테리영상마니다루던건데 서양쪽에서 건너와서 신라까지 온거라던데 중국 중앙아시아에도 같은 검집들봐 벽화가 발견됐다고함 근데 온전히저렇게 발굴된건 한국이최초라함 세계유일한 유물
@skalwbd17..
@skalwbd17.. Ай бұрын
전 지금 까지 경주 낭산으로 불었은데 아니였나보군요 ㅠㅠ
@gnmuseum
@gnmuseum Ай бұрын
낭산은 경주 보문동에 위치해 있으며, 남산은 경주 배동에 위치한 국립공원입니다.😉
@TheExctshot
@TheExctshot 2 ай бұрын
흉노 이 후와 흉노의 차이점. 와우~~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겁니다. 흥미진진!!
@TheExctshot
@TheExctshot 2 ай бұрын
유목사에 관심이 큽니다. 유목민 자신의 관점으로보는 세계가 어떤 거였을까?? 정말 궁금하고 매력적이예요~~~
@TheExctshot
@TheExctshot 2 ай бұрын
치아도 나왔으면 그 치아 소유자의 인종이나 유전자 검사도 가능하지 않습니까??
@WheelOfFacts
@WheelOfFacts 2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자료를 남겨둔 지혜가 놀랍습니다👍 신라문화가 이렇게나 어마어마했군요 앞으로 발굴도 기대가 됩니다 요즘 나오는 다큐는 이상하게 국뽕 민족주의거나 정치색 다분한 가벼운 패널들이 주관적 왜곡 코멘트 가미한것들 뿐이라 보기도 싫어요
@moonlight-kd5hs
@moonlight-kd5hs 2 ай бұрын
이거 73년 제작...?! 이거 컬러에다가, 화질깨지는 점박이같은 거 1초 뜨는 그거도 거의 없는데... 그래서, 난 오래되도 80년대인줄 알았는데, 무려 73년 꺼였어... ㄹㅈㄷ... 우리 아빠 나이도 74년생 24년 기준 한국나이 51세인데... 그래도 음질 나뻐서 지직거림은 70년대 광고 퀄리티랑 똑같네.
@user-gp6jn6rs1v
@user-gp6jn6rs1v 2 ай бұрын
신라 금관은 왕 재위시에 사용한 것이 아니라, 왕 사후에 무덤에 부장퓸 용으로 사용되었다는 학자들의 주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왕관을 세워 놓고 오래 있으면 다 구부러지고 쓰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