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 of NRICH | 경주 석굴암
51:11
시간을 이어가는 사람들
2:33
Пікірлер
@user-zq5hf9nd8d
@user-zq5hf9nd8d Күн бұрын
오늘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에서도 국보 김천 갈항사지 석탑 조사 중이더군요. 해설 중이라 따로 인사는 못 드렸지만 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jeon7370
@jeon7370 2 күн бұрын
정말 대단하고 경이롭습니다
@user-zy3uj3vu7o
@user-zy3uj3vu7o 3 күн бұрын
전라남도 강진입니다.
@user-sw7sg9xf9k
@user-sw7sg9xf9k 4 күн бұрын
신기하다 고고학
@user-yt5vd4tt5b
@user-yt5vd4tt5b 4 күн бұрын
새소리가 잘 어울리네요^^
@user-pi8rv8ml6t
@user-pi8rv8ml6t 5 күн бұрын
영상미가 뛰어나네요.
@jeon7370
@jeon7370 5 күн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mmmijuo5407
@mmmijuo5407 6 күн бұрын
목공구가 좀 아쉽당 특히 끌같은 경우는 통짜 쇠로 되어있어서 조선끌만큼은 참 좋았다던데 일본이 대단하긴하구나
@mnbiop3470
@mnbiop3470 6 күн бұрын
웬 일본타령ㅋㅋ 일본이 저시절에 대단한게 뭐가 있음
@mmmijuo5407
@mmmijuo5407 5 күн бұрын
@@mnbiop3470 조선시대목공구가 아니라 일본목공구가 많이 보여서 그런겁니다 1970년 마지막 조선목공 채증기록이나 기타 여러증언을 들어봐도 끌만큼은 조선께 좋다고하였죠 기타몇개는 소규모정교한작업에 일제께좋다고하고요 아는만큼 보이는겁니다 ㅋ
@wincup
@wincup 5 күн бұрын
문장 마지막이 일본이 대단하구나로 끝나서 오해하기 쉬운 것 같긴 해요. 일본목공구만 요즘은 보이는 구나..식으로 마무리하셨다면 문맥이 제대로 전달되었을 듯 합니다. 말씀대로 많이 아쉽네요..왜 전통을 이어가질 못하는지..
@hanhan4980
@hanhan4980 8 күн бұрын
강화수도 강도 드다어 찾았습니다 고려사와 일치 유튜브 정두구
@amkmissions2480
@amkmissions2480 10 күн бұрын
일본의 문서 자료에 일제시대에 귀국치 못한 만명이 넘는 일본인들에게 한국에 잔류하며 다음을 기약하라고 일본 정부가 지시하엿는데 그들이 해방이후에도 한국인들은 먹고 살기도 힘든 판에 일본의 지원을 받으며 자녀들을 공부시켜 법조계로 언론인으로 정치계와 일부는 군부로 진출시켜 이나라를 무혈 재 입성하려는 계획을 꾸민다-그것이 실제적으로 충분히 이루어 질수 잇는 일이다 지금의 한국의 수장이 지멋대로하며 일본에게 내어주니 이 무슨 해괴망측한 일인가 한국은 아니 모든 국가는 일부 권력 가진자들이 계획하면 가능한 일이다 그것에 제일 아ㅠ선 나라가 일본이다
@user-sw2gv7zm7g
@user-sw2gv7zm7g 12 күн бұрын
넘 흥미롭덩
@user-sw2gv7zm7g
@user-sw2gv7zm7g 16 күн бұрын
재밌어보여용
@bulletproofchin7365
@bulletproofchin7365 18 күн бұрын
일본도 만드는거랑 별 차이가 없군
@mmmijuo5407
@mmmijuo5407 18 күн бұрын
광여기루미네선스는 어떨때 쓰는건가요 연대측정 용도별로 예시로 설명도있었으면 더 좋았을듯합니다
@mmmijuo5407
@mmmijuo5407 18 күн бұрын
현실은 재개발 및 레고랜드ㅜㅜ
@grb3542
@grb3542 19 күн бұрын
다 구라임 ㅋㅋ 한국에 저런 큰 목조건물을 만들 능력이 안됐음 ㅋㅋㅋ 그니까 지금도 아무것도 없는거지 ㅋㅋ
@anjuen88
@anjuen88 20 күн бұрын
이명호 작가님 사진 작업만큼 국가 유산을 보호하는 멋진 일을 하시는 분이셨네요. 👍
@sangreat1141
@sangreat1141 23 күн бұрын
설득력이 좀 많이 부족한거같은데..
@user-ns9tf6od7o
@user-ns9tf6od7o 23 күн бұрын
그럼 국가유산이니까 내 땅에서 국가유산 나와서 정부가 발굴하면 정부에서 사례금이나 보상금 주는건가
@user-jc6mn2oz9s
@user-jc6mn2oz9s 23 күн бұрын
그냥 세금 쓰고싶다는건데?
@y-rlee7261
@y-rlee7261 25 күн бұрын
그럼 문화유산으로 하던가 국가유산?
@pmtopseller
@pmtopseller 2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또 들리겠습니다. 오늘도 웃음꽃 활짝 피는 하루 되세요👍 첫 댓글 남기고갑니다^^
@aangbutter
@aangbutter 26 күн бұрын
새롭게 거듭날 우리 국가유산이 더욱 빛나는 시간과 함께 하길 소망해봅니다!
@ohsung_world
@ohsung_world 26 күн бұрын
저 역시 함께 참여해서 너무너무 좋았습니다!! 국가유산청 출범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늘 응원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zq5hf9nd8d
@user-zq5hf9nd8d 26 күн бұрын
뜻깊은 프로그램에 동참할 수 있어서 흐믓했습니다.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 가치, 국가유산! 길이 보전합시다~~~
@kimyounghoon707
@kimyounghoon707 26 күн бұрын
순수 한국말은 없었나? 피해의식 때문에 또 얼마나 많은 세금이 나갈꼬.....
@user-jq1sh4yi4t
@user-jq1sh4yi4t 26 күн бұрын
문화재라는 단어자체가 잘못된 의미는 아니지만 일본의 잔재언어 라서 바꾼다고 하는게 맞을듯..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 27 күн бұрын
무거운 돌들을 어떻게 저렇게 정교하게 다뤘을까~~~~~ 대단하다.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 27 күн бұрын
왕릉든에 무덤들의 주인이 누군지 기록을 돌판에 기록이라도 해놨으면 좋았으련만 ~~~ 문서들은 전쟁통에 없어졌겠지...안타깝다.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 27 күн бұрын
도굴꾼놈들 무덤의주인이 누군지에 대한 기록은 남겨두지~~~~
@user-zq5hf9nd8d
@user-zq5hf9nd8d Ай бұрын
국립문화유산연구원으로의 재도약을 응원합니다!!!
@bungaek7499
@bungaek7499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의 놀라운 무력과 군사는 물론 백성과 백성의 삶까지 아우르는 혜안은 언제나 감탄을 자아냅니다. 그의 개인적인 슬픔과 고통,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나라와 백성을 생각했던 그 마음에 감사하면서도 미안하구요. 이순신장군의 이야기를 볼때마다 선조가 조금만 덜 멍청했다면 이후 조선의 역사도 달라졌을거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white_jjanga
@white_jjanga Ай бұрын
나라를 수호하기 위해 몸 바쳐 싸웠떤 충무공 이순신 장구님의 애국정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Hikarigaa
@Hikarigaa Ай бұрын
명량과 노량 사이의 일들은 짐작만했지 이렇게 알아본 건 처음이었는데 참 감사하기도하고 한편으로는 씁쓸한 마음도 듭니다.
@skehskehgg
@skehskehgg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님의 희생과 투쟁으로 어렵게 지켜낸 대한민국의 평화와 자유를 생각하며, 지난 역사는 소중히 여겨지고 모든 국민들이 한 마음으로 감사해야 할 것입니다. 역사속 나라를 지키기 위한 노력들, 하나하나 의미를 생각해보며 충무공 이순신장군님을 기리고 감사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겠습니다.
@jameslee4770
@jameslee4770 Ай бұрын
장엄한 서사시와 같은 충무공 이순신의 417일의 뜨거운 스토리! 가슴속에 잊지말아야할 역사의식으로 다시금 새겨보게됩니다!!
@user-bh1fi8dj9h
@user-bh1fi8dj9h Ай бұрын
국난의 시기에 국난극복의 영웅이었던 충무공의 모습을 잊지 않고 그 정신을 기리며 그 기록들과 정신을 더욱 더 보존하고 함께 해 나가기를 국립문화재연구원에 바라고 응원합니다.
@Login_Game
@Login_Game Ай бұрын
위대한 이순신 장군님으로만 접하다가 이렇게 일어난 이야기들을 보니까 한 사람으로서 장군님이 얼마나 힘드셨을지 정말 상상도 안가네요. 이순신 장군님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전투에서 승리한 이야기들만 보는 것도 물론 정말 좋았고 장군님을 존경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지만 이렇게 ”하늘은 정유년 내내공을 죽이려고 등 떠미는것 같았다“와 같은 대사들과 같이 보니까 정말 인간적으로도 존경하고 싶은 장군님이라는게 확 와닿았습니다. 무서운 전쟁터로 나가는 심정, 전쟁터에서 공을 세우더라고 개인적으로 고난이 계속 생기는 속에서 백성들을 위해, 나라를 위해 무서운 전쟁터로 떠나신 심정을 차마 상상할 수도 없겠습니다. 우리나라를 지켜주신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과 수군의 희생을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또한 많은 자료 조사 및 촬영을 통해 좋은 영상을 만들어주신 문화재연구원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user-zz6lq3ru2e
@user-zz6lq3ru2e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를 위해 희생해주신 충무공 이순신장군을 마음속에 다시한번 새기고 감사드리는 마음 변치 않겠습니다. 위험한 순간에도 용기있게 싸워주신 충무공 이순신장군님의 나라와 국민을 사랑하는 마음, 책임감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숭고한 희생정신을 본받아 애국심을 키우고 깊은 뜻 함께 하겠습니다!
@parkchaei
@parkchaei Ай бұрын
감사히 잘 봤습니다. 충무공의 발자취를 영상으로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울컥하네요. 기억할게요.
@user-hp2nf2vx2b
@user-hp2nf2vx2b Ай бұрын
★ 탄생 479주년을 맞이하여 구국의 영웅이신 이순신 장군님의 숨결을 다시 한 번 느껴볼 수 있는 값진 영상이었네요. 장군님의 숭고한 희생 덕분에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liffeyriver
@liffeyriver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user-yy1ib1kv3q
@user-yy1ib1kv3q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신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희생정신을 발휘하였기에 지금의 평화도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순신장군님의 헌신에 의해 오늘날의 안전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는 사실 늘 가슴속에 새기며, 잊지 않겠습니다.
@nananafam
@nananafam Ай бұрын
영화에서 보던 혹은 보지 못하던 장면들을 영상을 통해 실제로 보게되어 좋은데, 학예연구사님의 해설까지 들으니 더 새롭네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던 내용을 잘 배워갑니다~~
@BTS_VHOLIC
@BTS_VHOLIC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업적이 지금도 우리에게 많은 울림을 주는건 이렇게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앞장 섰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가족을 잃은 슬픔도 채 가시지도 않았는데 얼마 되지 않는 군사를 이끌고 바다로 나가는 느낌이 어땠을지 상상조차 하기 힘드네요. 이 영상을 보며 다시 한번 마음으로 나마 감사를 전하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잊지 않고 올바르게 기억하겠습니다!
@user-ig8ch4fs3p
@user-ig8ch4fs3p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를 위해 힘써주신 이순신 장군님 감사합니다
@user-pt4ux5fm3l
@user-pt4ux5fm3l Ай бұрын
충무공의 위대함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user-un7ne5or5e
@user-un7ne5or5e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 사이의 기간 동안 고하도에서의 수군 재건과 아들의 죽음까지 계속 고난의 행보에도 전쟁 승리의 의지를 잃지 않았던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를 볼 수 있어 뜻 깊었고, 위대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user-jf5vn1ju9h
@user-jf5vn1ju9h Ай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의 삶과 죽음을 보면 우리는 영웅으로써 한없이 칭송하지만 개인으로는 얼마나 버겁고 힘든 삶이었는지 모르겠단 생각이 듭니다. 정말 우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영웅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rn4tl6jk7n
@user-rn4tl6jk7n Ай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의 업적을 다시한번 알 수 있어서 더욱 뜻 깊은 시간이였습니다. 임진왜란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목숨을 바쳐 왜병과 싸워 물리치고 나라를 구한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