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에서 노량 사이, 충무공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Рет қаралды 66,182

국립문화유산연구원 NRICH

국립문화유산연구원 NRICH

6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을 기린 돌들이 있습니다.
죽움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유튜브 공개 이벤트
영화 #노량 보기 전 필감 영상
영화에서 다루지 않은 #명량 과 #노량 사이
영화 노량 예고편: • [노량: 죽음의 바다] 메인 예고편 JIOyYiOqzoA%3D%3D
영상을 감상하시고 댓글로 감상평을 남겨주시면 추첨을 통해 무려 200분께 음료 쿠폰을 드립니다!
💞이벤트 참여 방법💞
①영상 감상하기
( / @nrichstory )
②감상평 댓글달기
③이벤트 참여하기
(forms.gle/BZoV8Gq8mCw2BiqV9)
이 영상은 국립문화재연구원 미술문화재연구실에서 추진하는 [금석문 기록유산 빅테이터 구축과 활용]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문화재연구원 누리집(www.nrich.go.kr) 문화유산 지식e음-'한국의 금석문'에서 검색해 주세요^^
영상이 좋으셨나요? 구독~ 좋아요~ 꾸욱♡ 풍성한 이벤트도 참여해주세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충무공 #이순신 #금석문 #감상평 #이벤트 #댓글이벤트 #EVENT #기프티콘 #적극행정

Пікірлер: 1 100
@hsk1190
@hsk1190 6 ай бұрын
어머니도 아들도 잃어버리면서 까지 나라를 위해 싸웠지만 지원도 없었고 억울하게 옥살이까지 하셨지만 죽음이후에도 조정에서는 해준것이 없었네요 이런사실도 같이 싸운 부하들이 비를 세우지 않았다면 알려지지 않았겠지요 이순신 장군님의 희생에 감사드리며 잊지 않고 역사를 기억하겠습니다
@jbpark6148
@jbpark6148 6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까지 죽음이 417일동안이나 허락되지 않았다니 이순신 장군의 위대함에 마음이 아파지네요 애국심으로 가득찬 이순신 장군님이 너무나 자랑스럽네요 감사합니다
@KHJay
@KHJay Ай бұрын
부모와 자식을 잃어 애 끓는 속을 끌어안고도 풍전등화인 나라의 사정 앞에 추스릴 시간도 없이 전장을 향해 나아가야 했던 충무공의 충정과 헌신에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 매 순간 순간이 죽음과 직면한 속에서도 오직 나라만을 생각하며 개의치 않았던 충무공의 발자취가 오늘날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묵묵히 나아가야 할 리더의 참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감명깊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장군님, 정말 감사합니다!
@user-oj9ze2gh6r
@user-oj9ze2gh6r 6 ай бұрын
''하늘은 통제공을 죽이려고 등 떠미는 것 같았다''라는 대사가 계속 기억에 남네요. 개인적인 삶은 고난의 연속이었으나 그가 걷는 한걸음 한걸음은 조선 백성의 희망이었으니 충무공이 명장을 넘어 민족 영웅인 이유를 영상을 보니 잘 알겠네요. 너무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oi8wo-psjndo08
@user-oi8wo-psjndo08 6 ай бұрын
사실 이순신 일대기 보면서 몇가지 느낀건 있지만 그게 전부 다 선조한테 가있음. 이 왕이 얼마나 멍청했으면 자기 아들 광해군이 17살 나이에 수렴청정을 받아야 정상일 나이에 지 애비라는 인간은 아예 나라를 버리고 명나라로 도망치려 작정했는데 본인은 세자시절 실제로 죽을 위기를 수차례를 넘기고 죽을 각오로 작정하고 적진에 뛰어들어 망할 이 나라를 구하려고 정말 고군분투를 많이 했는데 선조 얘가 이순신한테 했던 시기 질투 이딴 짓을 똑같이 갔다 박았음. 대신 자기 아들이니 고문이니 행사는 못했는데 원래 광해군이 폭군이니 암군이니 이게 안되어야 사실 정상인데 ㅋㅋㅋㅋㅋ 형 동생 잘못만나고 지 애비는 멀쩡한 세자의 정신을 오늘날 광해군으로 만들어, 거기다 붕당은 여전해 ㅋㅋㅋ 사실상 이때부터 이 나라는 완전히 끝났다는걸 바로 직감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i6uu7on7d
@user-qi6uu7on7d 5 ай бұрын
진린이 자신의 공적을 위해 안해도 되는 노량전투를 해서 조선수군은 개박살나고 이순신도 집중 사격받고 죽는다. 안해도 되는 전투를 강행한 진린한테 가서 따져라.
@user-iy6mg1wc5d
@user-iy6mg1wc5d 5 ай бұрын
​​@@user-qi6uu7on7d 정확히 반대로 말하네ㅋㅋ
@kili-uv7jn
@kili-uv7jn 5 ай бұрын
​@@user-qi6uu7on7d (노량해전) kzfaq.info/get/bejne/gb19gseCu8_Ommg.htmlsi=Mv-PS2NNrfV78XDr 7:50 선조실록 106권, 선조 31년 11월 24일 을사 4번째기사 1598년 명 만력(萬曆) 26년 ○軍門都監啓曰: "卽者陳提督差官入來曰: ‘賊船一百隻捕捉, 二百隻燒破, 斬首五百級, 生擒一百八十餘名。 溺死者, 時未浮出, 故不知其數。 李總兵一定死了云。 敢啓。" 傳曰: "知道。" 군문 도감이 아뢰기를, "방금 진 도독의 차관(差官)이 들어와서 말하기를 ‘왜적의 배 1백 척을 포획했고 2백 척을 불태웠으며, 5백 급(級)을 참수하였고 1백 80여 명을 생포하였다. 물에 빠져 죽은 자는 아직까지 떠오르지 않아 그 숫자를 알 수 없다. 또 이 총병(李總兵)은 죽은 것이 분명하다.’고 하였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선조실록 106권, 선조 31년 11월 25일 병오 9번째기사 1598년 명 만력(萬曆) 26년 ○陳都督 【璘。】 揭帖曰: 九十日〔十九日〕 自寅至巳, 與釜山、泗川等賊舟, 大戰于露梁島, 中外將士之用命效勤, 自有貴國口碑, 不必煩贅, 而統制使李舜臣, 身先士卒, 中丸而殞。 本官忠愍, 想簡在殿下, 更不必道。 惟是統制之職, 不可一日缺官。 意者, 就以李純信陞補, 第不知於貴國銓衡相合否耳。 萬希留神, 早斷用慰。 引領臨風, 不仞祈仰。 진 도독(陳都督)의 【진인(陳璘). 】 게첩(揭帖)은 다음과 같다. "19일 인시(寅時)부터 사시(巳時)까지 부산·사천(泗川) 등지의 적선(賊船)과 노량도(露梁島)에서 대대적으로 싸울 때 모든 장수들이 목숨을 바쳐 싸운 것은 귀방에서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니 굳이 번거롭게 덧붙여 말할 것이 없고,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은 앞장서서 싸우다가 탄환에 맞아 운명하였습니다. 본관의 충성은 전하께서 잘 알고 계실 것이니 다시 말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통제사의 직책은 하루라도 비워둘 수 없습니다. 생각건대 이순신(李純信)으로 승보(陞補)하는 것이 귀방의 전형(銓衡)에 부합될는지 모르겠습니다. 바라건대 유념하여 조속히 결단하여 자나깨나 기대하는 마음을 위로하소서. 간절히 빕니다." 선조실록 107권, 선조 31년 12월 1일 임자 5번째기사 1598년 명 만력(萬曆) 26년 ○備邊司啓曰: "李舜臣往日閑山之捷, 旣立大功。 及至舟師敗沒之後, 收拾殘燼, 器械、糧餉, 無異前日。 今此露梁, 達夜血戰, 使賊魁燒死, 至獲戰艦二百餘隻, 義氣大振於東南, 老賊褫魄而宵遁, 恢復之功, 此其第一。 不幸中丸折傷, 至於臨折, 從容處置, 彷彿有古名將之風。 今承聖敎, 官庇葬事, 又至於子息, 皆爲除職, 其激勵忠義, 至此已極。 海邊立祠, 似當於左水營本陣設立, 春秋致祭。 戰亡將士恤典事, 令該曹急急擧行。" 上從之。 비변사가 아뢰기를, "이순신(李舜臣)이 지난날 한산도에서 승첩을 거두어 큰 공을 세웠고, 주사가 패몰된 뒤에는 잔파된 나머지를 수습하여 기계와 군량을 전날과 다름없이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노량 해상에서 밤새워 혈전하여 적의 괴수를 불에 태워 죽이고 전함 2백여 척을 포획하기까지 하여 의기를 동남지역에 크게 떨치자 적추는 혼비 백산하여 밤에 도망쳤으니, 국가를 회복시킨 공에 있어서 이 사람이 제일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탄환에 맞아 목숨을 잃게 되었지만 숨을 거두면서도 조용히 처치하였으니 옛날 명장의 풍도를 지녔다고 이를 만하였습니다. 이제 성교를 받들어 관에서 장례를 치러주고 자식들도 모두 관직에 제수하였으니, 충의를 격려함이 이에 이르러 더할 나위 없이 되었습니다. 해변에 사당을 세우는 일은 좌수영 본진에 설립하여 봄·가을로 제사를 올리게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전사한 장사들에게 휼전(恤典)을 내리는 일도 해조로 하여금 속히 거행하도록 하소서." 하니, 상이 따랐다. 선조실록 107권, 선조 31년 12월 2일 계축 5번째기사 1598년 명 만력(萬曆) 26년 ○陳提督 【璘】 揭帖曰: 行酋伺舟師鏖戰于露梁, 潛踪奔遁, 反旆追之, 則已漂洋去矣, 不能無餘恨也。 整兵進擊南海, 二十一日四更, 薄巢賊, 船已空, 唯城上猶有火光, 良久旋滅。 此曉登巢, 賊從後山宵遁, 而馬糞尙煖, 始知去而未久耳。 米、梁、菽、粟, 搬頓水涯, 不能裝載者, 委積如山, 大約萬數, 大小銃砲、火藥、兵械與日用之具, 無一不有, 牛馬牲畜亦衆。 姑竢稍定, 當發師徒, 入山搜捕, 使一喙不留, 用光京觀也。 李舜臣員缺, 亟望簡命, 用紓引領。 진 제독(陳提督)이 【진인(陳璘). 】 게첩을 보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적추 소서행장이, 주사가 노량(露梁) 앞바다에서 격전할 때를 틈타 종적을 감추고 도망치기에 깃발을 돌려 추격하였으나 이미 대양으로 멀리 떠나 잡지 못하였으니 매우 한스럽습니다. 병사를 정돈하고 남해로 진격하여 21일 4경에 적의 소굴에 이르니 적의 배는 텅 비어있고 성 위에만 불빛이 있었는데, 잠시 후에 곧 꺼졌습니다. 새벽녘에 적의 소굴에 올라가 보니 적들이 밤사이에 뒷산으로 도망쳤는데 말똥이 아직 따스한 것으로 보아 조금 전에 떠났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쌀·기장·콩·조 등의 곡식을 물가에 운반해 놓고 싣고 가지 못한 것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데 대략 몇 만 석쯤 되었고, 크고 작은 총포 및 화약 등의 무기와 일용품까지도 없는 것이 없었으며, 소와 말 등 가축들도 많았습니다. 우선 잠시 안정을 되찾은 뒤에 군사를 풀어 산속에 들여보내 한 명의 적도 남김없이 잡아 전공(戰功)을 크게 빛내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순신(李舜臣)의 자리가 비어 있으니 속히 다른 관원을 임명하여 기대하는 마음을 풀어주소서." 선조수정실록 32권, 선조 31년 11월 1일 임오 2번째기사 1598년 명 만력(萬曆) 26년 ○劉綎再攻順天賊營, 統制使李舜臣以舟師, 大敗其救兵於海中, 舜臣死之。 時, 行長築城于順天 倭橋, 堅守不退, 劉綎復進攻之, 舜臣與陳璘扼海口以逼之。 行長求援於泗川賊沈安頓吾, 頓吾從水路來援, 舜臣進擊大破之, 焚賊船二百餘艘, 殺獲無算。 追至南海界, 舜臣親犯矢石力戰, 有飛丸中其胸, 左右扶入帳中, 舜臣曰: "戰方急, 愼勿言我死。" 言訖而絶。 舜臣兄子莞秘其死, 以舜臣令, 督戰益急, 軍中不知也。 陳璘所乘舡爲賊所圍, 莞揮其兵救之, 賊散去。 璘使人于舜臣謝救己, 始聞其死, 從椅上自投於地, 撫膺大慟。 我軍與天兵聞舜臣死, 連營慟哭。 柩行所至, 人民皆設祭, 挽車而哭, 車不得進。 朝廷贈右議政, 海邊之人相率爲祠宇, 號曰忠愍。 유정(劉綎)이 순천(順天)의 적영(賊營)을 다시 공격하고, 통제사(統制使) 이순신(李舜臣)이 수군을 거느리고 그들의 구원병을 크게 패퇴시켰는데 순신은 그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이때에 행장(行長)이 순천 왜교(倭橋)에다 성을 쌓고 굳게 지키면서 물러가지 않자 유정이 다시 진공하고, 순신은 진인(陳璘)과 해구(海口)를 막고 압박하였다. 행장이 사천(泗川)의 적 심안돈오(沈安頓吾)에게 후원을 요청하니, 돈오가 바닷길로 와서 구원하므로 순신이 진격하여 대파하였는데, 적선(賊船) 2백여 척을 불태웠고 죽이고 노획한 것이 무수하였다. 남해(南海) 경계까지 추격해 순신이 몸소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힘껏 싸우다 날아온 탄환에 가슴을 맞았다. 좌우(左右)가 부축하여 장막 속으로 들어가니, 순신이 말하기를 ‘싸움이 지금 한창 급하니 조심하여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지 말라.’ 하고, 말을 마치자 절명하였다. 순신의 형의 아들인 이완(李莞)이 그의 죽음을 숨기고 순신의 명령으로 더욱 급하게 싸움을 독려하니, 군중에서는 알지 못하였다. 진인이 탄 배가 적에게 포위되자 완은 그의 군사를 지휘해 구원하니, 적이 흩어져 갔다. 진인이 순신에게 사람을 보내 자기를 구해 준 것을 사례(謝禮)하다 비로소 그의 죽음을 듣고는 놀라 의자에서 떨어져 가슴을 치며 크게 통곡하였고, 우리 군사와 중국 군사들이 순신의 죽음을 듣고는 병영(兵營)마다 통곡하였다. 그의 운구 행렬이 이르는 곳마다 백성들이 모두 제사를 지내고 수레를 붙잡고 울어 수레가 앞으로 나갈 수가 없었다. 조정에서 우의정(右議政)을 추증했고, 바닷가 사람들이 자진하여 사우(祠宇)를 짓고 충민사(忠愍祠)라 불렀다.
@kili-uv7jn
@kili-uv7jn 5 ай бұрын
​​​​@@user-qi6uu7on7d 나한테 단 한번도 이긴 적도 없는 무식한 거짓말쟁이겸 사기꾼 아가(user-qi6uu7on7d)가 또 떼쓴다~ㅋㅋㅋㅋㅋ 너(user-qi6uu7on7d)의 우주까지 나아가는 무식함 + 어리광( 전부 다 개뻥이라니까:응애~ 응애~)이 죄다~🤣🤣🤣🤣🤣
@diane5246
@diane5246 6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의 발자취를 따라 목포 고하도, 진도(명량해전), 통영(한산도대첩), 거제도(옥포해전) 을 아이와 다녀왔습니다. 이순신장군의 유적지는 곳곳에 너무도 많아서 다 돌지도 못했어요. 이번 영상을 보니 수많은 시련과 좌절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나라를 위해 싸우신 이순신장군의 백성사랑이 진심으로 느껴집니다. 알지 못했던 유적지도 알게 되고 유익한 시간이였습니다. 아이들과도 같이 보겠습니다.
@user-ey2gl7xm6u
@user-ey2gl7xm6u 6 ай бұрын
오늘날 대한민국 수많은 국민들이 존경과 흠모의 대상으로 삼으며, 그 존재만으로 애국심과 자부심을 갖게 해주는 한국사의 대표적인 구국영웅이자 최고의 위인으로 높은 위상과 명성을 자랑하는 인물.. 세계적으로 살펴보아도 이름을 떨친 명장들은 모두 정부의 많은 지원을 받고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장군은 정부와 외부에서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오히려 반대로 정부와 명나라 육군에게 식량, 무기, 종이, 부채, 조총 등 각종 물자와 진상품을 지원해야 하는 것도 모자라 몰려드는 피난민들의 생계까지 직접 돌보면서 힘겹고 외롭게 전쟁을 수행해야 했으며 심지어 권율 휘하의 육군이 허락도 없이 이순신이 어렵게 마련한 수군이 먹을 식량을 시도 때도 없이 약탈하고 수군 병력을 마음대로 빼내어 육군으로 편입시키는 최악의 상황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오직 자신의 노력만으로 자급자족했으며, 휴전기 당시 수군 기지에 전염병이 크게 퍼져 막대한 병력 손실을 입었음에도 아픈 몸을 이끌고 군비를 꾸준히 확장하여 최강의 함대를 만들었다. 그리하여 7년간 수군을 이끌고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을 발휘하여 모든 전투에서 승리한 끝에 군함을 단 한 척도 잃지 않고 23전 23승 불패의 신화라는 역사상 유례가 없는 전무후무한 기적을 이뤄냈다. 이순신은 제해권을 장악하여 전쟁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적의 보급을 완벽히 차단함으로써 전쟁의 흐름 자체를 바꿔 망국으로 치닫는 나라를 구해낸 불세출의 명장이다. 과거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인류사에 없을 위대한 장군이자 성웅으로 길이 길이 역사에 기억될 것이다.
@user-yq8ey9bb4g
@user-yq8ey9bb4g 6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는 내내 울컥하네요... ”하늘은 정유년 내내공을 죽이려고 등 떠미는것 같았다“ ”죽음과 삶이 노려보는 바다위에 섰다. 눈앞에는 죽음이 있었지만, 죽음 너머의 삶을 향해 우리는 싸웠고, 싸워 이겨냈다.“ ,“통제공이 살아야 이 나라가 산다고 차마 말할수 없었다.“, “고하도에서의 108일은 죽음이 아닌 삶을 위한 시간이었다.“ , ”겨우내 고하도에서 웅크리며 하루를 버텨 하루의 목숨을 이어갔던 시절에서 마침내 내일을 생각할 수 있게 됐다.” “어쩌면 명량은 천운이 아니라 하늘이 통제공에게 내린 형벌이었을지도 모른다. 하늘은 울돌목에서 통제공에게 죽음을 허락하지 않았다. 명량에서 노량까지 죽음이 허락되지 않은 417일..“ ”노량은 어슴푸레 흐릿하고 물은 오직 깊은데 여기에 비석을 세우노라. 후세에도 없어지지 않고 공의 이름 우뚝하여 영원토록 으뜸가는 제사를 받으소서.“ 대사가 너무 좋고 귀와 뇌리에 쏙쏙 박힙니다. 조선의 사직과 백성을 구하려고 하늘이 단 한명의 장수를 내셨으니 그가 바로 충무공 이순신이다.
@digit96_
@digit96_ 6 ай бұрын
지난 9월. 충무공의 명량이후 행적을 가능한 범위에서 답사하였습니다. 고군산진 자리를 갔었고, 진도 벽파진, 고하도, 해남우수영, 해남대첩비, 묘당도 유허비, 고금도 통제영복원중인곳까지.. 여러가지 상상을 할수 있게 해서 좋았던 기행이었습니다. 이 영상은 그때의 기행을 떠올릴수 있게 해주어서 반가웠습니다. 앞으로도 아직 숨어있는 1차사료들이 많이 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brandonann9283
@brandonann9283 6 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눈시울😢과ㅜ콧물이... 통제공의 모습에 눈물이 납니다 역사는 돌고돌아 지금 우리가 있게된것이지요 충무공을 잊은 자 역사를 망각하고 역사를 망각한 민족은 세상에서 사라짐을 알수있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에 아낌없는 ㅁ❤사랑 보냅니다
@delimanjoo1107
@delimanjoo1107 6 ай бұрын
기록하지않았더라면 우리가 알지 못했을 역사를 대첩비를 통해 알 수 있고 생각할 수 있음에 감사하고, 이런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고 잘 복원, 정비 해야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를 힘써 지켜주신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과 수군의 희생을 잊지않고 살아가겠습니다. 또한 좋은 영상을 만들어주신 문화재연구원 모든분들 고생하셨고, 감사합니다.
@creaomma
@creaomma 6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의 “순”자가 저의 이름에도 포함되어 있어서 어린시절부터 자랑스러운데 이 영상을 보고 더더욱 영광으로 느꼈어요.
@user-hc7ou5ce5f
@user-hc7ou5ce5f 6 ай бұрын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417일의 기록을 통해 마지막까지 나라를 위해 헌신한 충무공 이순신의 모습을 알아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시간이었어요
@artistKako
@artistKako 6 ай бұрын
3:17 해전 장면과 대사가 너무 감명깊습니다. ‘죽음 너머의 삶을 향해 우리는 싸웠고, 싸워 이겨냈다‘ 선조들의 이러한 다짐과 희생이 있었기에 지금의 저희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iab9789
@iab9789 6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며 명량에서 노량까지 죽음이 417일동안이나 허락되지 않았다니 너무 울컥하고 먹먹해지네요..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이 더욱 자랑스럽고 멋있게 느껴지네요 뿐만아니라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신 모든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함을 느끼게 되는 영상이 됐어요 ! 💛💚
@cookie-dz9tk
@cookie-dz9tk 6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께서 417일간 나라를 지키기위해 고군분투하시며 애쓰셨을 생각하니 너무 자랑스럽고 감동적입니다. 이순신장군님 잊지않고 오래오래 기억하겠습니다.
@rkk8861
@rkk8861 6 ай бұрын
명량해전과 노량해전 사이 이순신 장군님의 417일.. 우리나라를 위해 얼마나 고생하셨을지 감히 상상이 안되네요. 나라를 지키기위해 목숨바쳐 헌신하신 이순신장군님 감사드립니다.
@vhmvhw
@vhmvhw 6 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울컥했습니다. 진정 나라를 사랑하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과 수군 분들의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지금의 시대에 비쳐 보면 아쉽기만 합니다. 이런 나라 사랑하는 분들이 많아지길 바래봅니다.
@user-he5ec5vw5p
@user-he5ec5vw5p 6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는내내 마음이 울컥하네요~~~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의 희생으로 지켜졌는지, 알 수 있었던 영상입니다. 이순신 장군과 수군들의 희생이 얼마나 값진것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417일.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user-ke3ei4ec5d
@user-ke3ei4ec5d 6 ай бұрын
이순신제독님 덕분에 우리가 한글을 사용하며 이렇게 좋은 나라에서 잘 살아가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진정으로 존경합니다!
@user-bk6qy3sv9t
@user-bk6qy3sv9t 6 ай бұрын
우리의 나라이자 정신이었던 과거의 조선시대에 백성과 민족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신 이순신 장군님께 다시 한 번 깊이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자신만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두의 생명과 평화를 위해 누구보다 용감히 싸워주시고, 지켜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sw8py2qn9b
@user-sw8py2qn9b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를 힘써 지켜주신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과 수군의 희생을 잊지않고 살아가겠습니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의 희생으로 지켜졌는지 알 수 있었던 영상입니다. 문화재연구원 모든분들 고생하셨고, 감사합니다.
@user-ti4js5ci1j
@user-ti4js5ci1j 6 ай бұрын
명량은 천운이 아닌 하늘이 충무공에게 내린 형벌이라는 글귀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진짜 자식과 자식같이 길러온 조선 수군을 칠천량해전에서 다 내어주고도 죽음보다 못한 삶을 나라를 위해 바치신 위대함 ㅠㅠ
@user-bb4hc8if8j
@user-bb4hc8if8j 6 ай бұрын
지략가 충무공 이순신의 면모를 볼 수 있는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가슴 뜨거워지는 충무공 이순신의 위대한 기록 감동 그 자체입니다.
@user-en3oh7vw9r
@user-en3oh7vw9r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위대함은 진정한 영웅이셨죠! 😊 명량에서 노량까지 죽음이 417일 동안 허락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정말 감탄을 금할 수 없어요. 이순신 장군의 애국심과 헌신이 얼마나 큰지를 생각하면, 그의 공로에 마음이 아픔과 감사함이 함께 느껴집니다.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 479주년을 맞아, 그의 영원한 공로를 경배하며 그의 위대한 정신을 기리고자 합니다. 🌟 '명량에서 노량 사이, 충무공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의 내용에 깊이 공감합니다. 이는 우리의 소중한 역사와 문화유산이니까요. 그래서 국가유일의 문화유산 종합 연구기관 '국립문화재연구원'을 성원하고 응원합니다. 함께하여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이어가는 일에 보람을 느낍니다. 🌺 함께 힘을 모아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여정에 함께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
@dowonwang1176
@dowonwang1176 6 ай бұрын
금석문으로 살펴본 명량과 노량 그리고 이순신의 이야기 정말 가슴 먹먹하네요. 전쟁 통에 전쟁을 지휘하면서도 가족을 한 명 한 명 잃으며 가슴을 치는 장면에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영상이라 그렇지 실제로는 가슴에 피멍이 들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하게되고요. 학예사님의 설명에 따라 통제공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전쟁의 기록은 이순신과 조정이 아닌 함께 했던 전우들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좀 색다르면서 우리가 알지못했던 통제공의 모습을 알게되서 더욱 재미있고 의미있게 봤습니다. 우리는 역사의 영웅앞에 감사함을 느껴야한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하게 됩니다.
@user-hn1dd8gh5j
@user-hn1dd8gh5j 6 ай бұрын
자랑스러운 이순신 장군의 인간적인 고뇌와 조선수군의 처절한 생존, 필사적인 전쟁을 생생히 전달함과 동시에 왜 그곳에 통제사를 설치했는지 이해가 가는 지형의 영상이 훌륭합니다! 대중성과 교육성 모두 굿입니다!!
@ryong_time_no_see
@ryong_time_no_see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에 관한 영상은 언제 봐도 너무 흥미롭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충무공 #이순신 #금석문 #감상평 #이벤트 #댓글이벤트 #EVENT #기프티콘 #적극행정
@lifegoogle4694
@lifegoogle4694 6 ай бұрын
금석문 기록유산 빅데이터 구축ㆍ활용사업의 진면모를 보여주는 영화와 같은 멋진 콘텐츠인 것 같습니다.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축약해 이해하기 쉽게 제작된 것 같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kiyuk7357
@kiyuk7357 6 ай бұрын
사연을 듣고 '타루'... 가만 이름을 불러보니 슬프고 서러운 기분이 듭니다. 영상 자료를 영화처럼 흥미롭게 만들어 주셔서 아이들과 가족과 함께 보고 공부하고 영화를 보면 감상이 더 각별할 것입니다. 양질의 자료 만들어 주셔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새롭게 배운 고하도 통제영, 고하도 유허비, 통행첩, 고금도 가시는 곳마다 백성들의 삶에 훈기와 활기를 찾아주신 충무공의 노고를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노량 #명량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충무공 #이순신 #금석문
@retfwdg8844
@retfwdg8844 6 ай бұрын
백생들이 기록하여 알수있었던 충무공의 진면목을 볼수있어서 너무 감동깊게 보았습니다. 충무공 처럼 훌륭한 분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하지 않았을겁니다. 감사합니다.
@OriOriMan
@OriOriMan 6 ай бұрын
굉장히 가슴이 뜨거워지는 영상이네요..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과 조금 더 가까워 지는 시간이었어요 !! 의미있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xnclsien
@xnclsien 6 ай бұрын
민족의 태양같으신 분이다 정말로
@K_Defense
@K_Defense 6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님의 발자취 417일동안의 이야기가 너무 감동이군요 나라를위해 희생하신 숭고한 마음 잊지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sy6oj9um8c
@user-sy6oj9um8c 6 ай бұрын
전란 당시 충무공은 승전보를 울리던 멋진 장수뿐 아니라 백성들에게 안전한 보금자리를 내어주고 사회를 구성시킨 또 다른 나랏님이었네요...
@Elin-sw3jd
@Elin-sw3jd 6 ай бұрын
그렇죠 솔직히 왕이라고 봐도 될정도로...그러니 선조가 위협을 느끼고 이순신을 그렇게 괴롭혀댔죠 ㅜㅜ
@mbag1416
@mbag1416 6 ай бұрын
임진란 병자호란 미국에서 일어남 ㅡ 다음 검색 미일과 친일파 방해로 통일기회 4번 놓쳣다 ㅡ 다음 검색 6.25때 무기비교 남침인가 ㅡ 다음 검색
@mbag1416
@mbag1416 6 ай бұрын
초 거 대 프로 젝트 한국 정치 미일 하수인 친일파 ㅡ 네이버
@user-qi6uu7on7d
@user-qi6uu7on7d 5 ай бұрын
망상 대강하자. 이순신은 수군이다. 육지는 병사라는 사람이 따로 있단다. 수군 대부분 충청, 전라 각지에서 왕명으로 지원나온 병력이란다. 아가들아. 조선나라는 철저한 중앙집권제에 문관 우위 나라라는 기본적인 사실만 인지해도 이런 개망상은 하지않아. 이순신이고 뭐고 전부 중앙에서 왕명을 가지고 내려온 문관들이 다했단다.
@kili-uv7jn
@kili-uv7jn 5 ай бұрын
@@user-qi6uu7on7d kzfaq.info/get/bejne/e5alq9l31M_IgIE.html kzfaq.info/get/bejne/eb95hMWC26mzmXU.html kzfaq.info/get/bejne/gb19gseCu8_Ommg.html kzfaq.info/get/bejne/g56SgcR5mdDac2g.html kzfaq.info/get/bejne/sNlzm6WkmtG4fI0.htmlsi=fi4p0duCiX715t4u kzfaq.info/get/bejne/j9abfK9l2bWlnX0.htmlsi=a9E7uA369XU8dYIA
@user-ch2mb5xk2r
@user-ch2mb5xk2r 6 ай бұрын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이라는 말이 너무나 먹먹하게 다가옵니다. 충무공의 신념과 고뇌 그리고 고난의 시간이 너무나 가슴 아프고 감사하게 느껴지는 오늘입니다.
@tekang1004
@tekang1004 Ай бұрын
준비된 이순신 장군이었기에 노량해전에서 승리 할 수 있었던 거군요! 미래를 내다 볼 수 있는 진정한 혜안을 가지신 이순신 장군님의 비를 보노라니 눈물이 흐르네요! 이렇게 명량에서 노량사랑의 417일의 발자취을 영상으로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하도 통제영의 일화를 보면서 다시금 존경심을 쌓게 합니다! #국립문화재 연구원 구독,좋아요!합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ib2ns7gd4b
@user-ib2ns7gd4b 6 ай бұрын
충무공이순신이 다시 하여금 얼마나 대단하신분인줄 알게되었습니다 나라를 지켜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user-cn7ib5cn6m
@user-cn7ib5cn6m 6 ай бұрын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명량과 노량사이에서 충무공의 발자취를 따라 역사적 사실을 영화처럼 만들어 주신 국립문화재연구원과 영상 중간에 예쁜 목소리로 설명을 잘 해주신 이종숙 학예연구관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영상을 보며 이순신 장군님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숭고한 희생 정신을 잊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user-od5yh8zk1h
@user-od5yh8zk1h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되지 않은 417일 위대함에 정말 깊은 존경감이 표현됩니다. 장군님의 희생 평생 잊지않고 역사를 기억하겠습니다. 애국심으로 가득한 우리나라 모든 국민들께서 하나되어, 가슴 속 깊이 새겨두겠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원
@hope153park
@hope153park 6 ай бұрын
일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다시 전선을 만들고 대단하다 !!!! 정말 시간을 허투러 쓰지 않고 정말 악착같이 쓰시면서 전력을 보강하고 다시 해전을 할 수 있도록 하신 다는 것 항상 배우기는 하는데 실제는 적용이 안되는 ㅋ 임진외란에서 우리가 이긴 것은 포를 활용한 화약무기 때문이었는데 화약 무기가 아니면 깨진것이 명나라도 평양성에서도 대포를 활용해서 이겼는데 백제관에서는 박살이 난게 화약 무기 없으면 열세 였던듯 하니 이순신 장군이 전선을 만드는 동안 어디선가는 화포와 화약을 만들었을 텐데 그 빈약한 상태에서도 그럴수 있었다는게 대단하다 화포나 화약제조한 것은 자료에 잘 나타나지 않은것 같은데 누군가의 수고와 노력으로 우리가 이길 수 있었던 것 같으니 나도 그 누군가가 되어야 겠다고 다짐은 해본다 !!!!!! 이순신 장군의 지략이나 통솔력은 정말 따라올 사람이 없을 정도가 아닐까 ??? 뭐 임진왜란 당시에는 말이지 총상 때문에 휴유증이 상당했다고 난중일기에 썼다는데 악 조건에도 불구하고 왜놈들을 몰아 냈으니 노량해전에서는 정말 죽기살기로 백병전 까지 남은 온 힘을 다 쏟았으니 전사를 각오하고 왜놈 한놈이라도 살려 보내지 않으려는 의지가 대단하셨던 듯 !!!!!! 만약에 이 때에 왜놈들 전력이 축이 나지 않고 그대로 돌아 갔더라면 ? 잔존 세력들이 주력 세력이 되어서 중앙에 대항이라도 했다하면은 그래서 다시 쳐 들어 올 수도 있었겠다 싶은 그/때는 아마도 경상도 전라도 만 점령하고 자기네 영지로 삼으려고 했을지도 그런데 물러가는 적을 상당한 타격을 입혔으므로 다시 올 생각은 꿈도 못꾸게 만들었던듯!!!!!!! 이것들이 그래서 제국이 되어서야 다시; 쳐 들어오게 된듯 !!! 그런 쪽바리들을 좋다고 찬양하는 세력들이 지금 대한민국에[ 있다는 것 이거은 정말 민족 배반이야 !!!!! 핵 오염수 방류하는 쪽바리 놈들 그걸 동조하는 어떤 정권 그리고 그걸 해가 없다고 방송으로 홍보하는 미친 정권 !!!! 2023년 12월 안에 윤석렬대통령 퇴진되게 하소서 !!! 그리고 다으 ㅁ정권에서든지 한번쯤은 쪽바리 세력들은 대한민국에서 싹다 정리 되기를
@pink81000
@pink81000 6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까지 죽음이 허락되지 않은 417일 이순신 장군의 나라를 위해 애쓰시던 모습이 너무나 자랑스럽네요 충무공 이순신의 이야기 감동적이었습니다 앞으로도 길이길이 기억하며 감사함을 잊지 않도록 할게요
@danjjakchinguTV
@danjjakchinguTV 6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슴이 먹먹 합니다. 장군님 덕분에 지금의 우리가 있다 생각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heeesssuu
@heeesssuu 6 ай бұрын
이렇게까지 훌륭한 영상을 만들어내다니..😢 너무 멋진걸요...❤ 교육자료도 넘 좋을것 같아요😮
@user-yb2tp8ui7x
@user-yb2tp8ui7x 6 ай бұрын
반드시노량본다...진짜영화가망하든안망하든본다애초부터이순신장군님께서나오는작품인데꼭봐야지~^^이순신장군님사랑합니다~^^♡♡♡♡♡♡♡♡♡
@user-dv4tm3yz3p
@user-dv4tm3yz3p 6 ай бұрын
나라의 세금은 이렇게 쓰여져야 한다.
@user-yc2hg4pq4s
@user-yc2hg4pq4s 6 ай бұрын
진짜 나락중에 나락으로, 바닥보다 더한 지하까지 떨어진 최악의 상황임에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며 싸워 결국에는 나라를 구하셨으니 존경을 안 할래야, 안 할수가 없다.
@BTS_VHOLIC
@BTS_VHOLIC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업적이 지금도 우리에게 많은 울림을 주는건 이렇게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앞장 섰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가족을 잃은 슬픔도 채 가시지도 않았는데 얼마 되지 않는 군사를 이끌고 바다로 나가는 느낌이 어땠을지 상상조차 하기 힘드네요. 이 영상을 보며 다시 한번 마음으로 나마 감사를 전하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잊지 않고 올바르게 기억하겠습니다!
@user-op6fp9ud6u
@user-op6fp9ud6u 6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께서 본인의 목숨보다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살신성인 하셨을 생각에 가슴이 먹먹해지네요. 다시한번 이순신 장군님께 감사드립니다.
@no_random2739
@no_random2739 6 ай бұрын
항상 느끼는 거지만 이순신 장군님이 아니셨더라면 지금 대한민국은 없었을 겁니다!! 정말 대단하시고 존경스럽습니다!! 영상 마지막까지 몰입해서 봤습니다!! 정말 가슴 뭉클해지네요
@panpeter8665
@panpeter8665 6 ай бұрын
국립진주박물관에 이어 문화재연구원에서도 건들건들과 작업하신 것 같네요. 멋집니다.
@user-fl8tq3vl4v
@user-fl8tq3vl4v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 사이, 충무공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잘보았습니다 극한의 상황에서도 포기 하지 않은 선조님들 귀한 역사 알수있었습니다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영웅들이 지킨 나라에 살게됨을 감사함 느끼고 잊지 않고 꿋꿋이 살아가겠습니다
@xnclsien
@xnclsien 6 ай бұрын
저도 성웅처럼 인생을 살면서 어떠한 시련과 고난이 닥쳐도 포기하지않고 꿋꿋이 살겠습니다.
@user-pm1lg2ql9d
@user-pm1lg2ql9d 6 ай бұрын
내가 충무공 이라면 제 정신으로 버틸까 싶다 어머니도 전쟁중에 돌아가셔 아들도 죽어 백의종군했지 왕의 시샘때문에 고문도 받아 아무리 난세에 영웅이 태어난다지만 어떠한 표현과 수식어로도 표현하기 어려운 이순신 장군님 백성을 먼저 생각한 애민정신의 표본이라고 하실수 있는분 존경합니다 백원 초상화에 계실분이 아닌듯 싶습니다. 기념지폐라도 나온다면 한장은 꼭 소장하고 싶네요
@coguryeo00
@coguryeo00 6 ай бұрын
통제공을 생각하면 눈물이 날 수 밖에 없다.
@user-ms6hc4dh8u
@user-ms6hc4dh8u Ай бұрын
백성을 생각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가슴 저미는 감동적인 발자취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지고 또한번 감사의 마음을 갖게 됩니다 417일의 기록을 통해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또 헌신한 이순신 장군의 위대함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기록유산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한번 느끼며 국립문화재연구원 훌륭한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d3fn4qr2p
@user-jd3fn4qr2p 6 ай бұрын
일회성이 짙은 콘텐츠만 즐기다가 이토록 유익한 정보가 실린 영상을 보니 괜시리 보람찬 마음이 드네요. 조금은 잊고 있던 감동을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hyang941
@yhyang941 6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까지의 417일... 단순히 위인이라고 생각했던 이순신장군의 인간적인 삶도 볼 수 있으면서 가슴이 먹먹해지네요. 아이에게도 보여주고 같이 이야기 나눠봐야겠어요.
@user-jl7mv1gn3x
@user-jl7mv1gn3x 6 ай бұрын
나라의 임금마저 공을 인정해주지 않고 그 희생을 가볍게 여기는 것이 무척 화가 납니다. 목술걸고 결사항전으로 맞서 싸웠는데 ... 거기에 대한 대가가 너무나도 절망적이였죠 오롯이 나라에 대한 애국심만으로 살아간 이순신 장군님의 일생을 생각하면 안타까움을 멈출 길이 없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입장에서 생생한 나레이션 저도 모르게 과몰입하게 됩니다.
@user-xq9ek7cu7r
@user-xq9ek7cu7r 6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마음이 많이 아픕니다.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어요.
@user-pt1lt4su5z
@user-pt1lt4su5z Ай бұрын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의 희생으로 지켜졌는지 알 수 있었던 영상입니다. 문화재연구원 열렬히 응원합니다..좋아요&구독완료..알림설정완료. 앞으로도 더욱더 사랑받길 바라며 많은분들의 관심과 사랑의 손길이 이어지길 기원합니다.
@user-nv3ol9nf5h
@user-nv3ol9nf5h 6 ай бұрын
한 편의 영화를 본 것 같습니다. 충무공 이순신장군님의 417일동안의 발자취 이야기를 보고 들으니 이순신장군님 덕분에 지금을 살고 있는 것 같아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이런 유익한 영상들 앞으로도 많이 제공해주시길 바랍니다 ㅎㅎ
@user-ef1rz9nl5h
@user-ef1rz9nl5h 6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까지..역시 이나라에는 실제 영웅이많네요 그 영웅들이 지킨 나라에 살게된 감사함과 애국심을 잊지않고살겠습니다.
@xnclsien
@xnclsien 6 ай бұрын
우리에게 성스러운 영웅이 있었다는게 너무 자랑스러우면서도 울컥하네
@kimbk7910
@kimbk7910 6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의 일생은 대단하고 감사하고 같은 땅위에 살았다는 자부심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영상이 다큐같지만 영화처럼 자세한 설명 나레이션으로 자세히 들려주셔서 다시금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e7vu6xs8r
@user-ke7vu6xs8r 6 ай бұрын
옛날 시대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이 엄청난 통찰력으로 현명하게 진두지휘 하셨다는 점이 정말 놀랍고 존경스러워요! 덕분에 위기 상황에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어요 멋진 영상 잘 봤습니다👍
@pumkindan
@pumkindan 6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죽음이 허락되지 않은 417일 가슴이 먹먹해지고 아프네요
@bborin2
@bborin2 Ай бұрын
애국심으로 가득찬 이순신장군님이 너무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죽음이 허락되지 않았던 417일 가슴이 너무너무 아픕니다 좋은 영상으로 유익하고 좋은 정보 귀중한 시간 가질수 있어 감사드립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
@user-uj3dh4rn2n
@user-uj3dh4rn2n Ай бұрын
한편의 영화와 같은 이번 명량에서 노량 사이, 충무공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영상을 보면서 다시한번 가슴이 뜨거워짐을 느낍니다 가슴깊이 새겨야 할 한민족의 역사를 잊지 않고 다시금 되새길 수 있도록 유익하고 좋은 영상 올려주신 국립문화재연구원 유튜브 채널에 감사드립니다
@jellyjellysuperjelly
@jellyjellysuperjelly 6 ай бұрын
국립문화재연구원의 영상 덕분에 이렇게 세상에는 잘 알려지지않은 이순싱장군님의 이야기를 알 수 있었어요. 나라의 지원도 들어오지 않는 상황에서 홀로 이 모든 걸 감당하느라 얼마나 힘드셨을지 죄송스럽고 감사하고 그런 마음이 들어요. 영상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cp6qx3hb7y
@user-cp6qx3hb7y Ай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의 노고와 헌심이 있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는 것 같습니다.
@silver00je
@silver00je Ай бұрын
그 누구보다 존경받는 위인이지만 개인 이순신은 참 힘들고 고된 삶을 살았던 분이기에 존경보다는 안타까움과 애잔함이 더 큰 것 같아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삶을 이렇게 기록으로 남겨주신 국립문화재연구원!! 감사합니다!!
@user-fp3vu9bn1n
@user-fp3vu9bn1n 6 ай бұрын
참 좋은 콘텐츠입니다😊 과거 위인을 기릴 수 있는 이런 영상은 많아져야한다고 생각해요~ 더군다나 국립연구원에서 만들었으니 이야기의 공신력과 퀄러티도 있을거구요. 영어로도 볼 수 있으면 좋을거 같아요~~
@user-qt2wv6en8d
@user-qt2wv6en8d 6 ай бұрын
장엄한 영상과 금석문 문장에 감동적이었습니다. 고하도 통제영에 다녀왔지만 새삼스럽습니다. 문화재연구원분들 수고많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cc3sn6fw9g
@user-cc3sn6fw9g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 다시 한번 존경의 마음을 표합니다 마지막 417일 영상을 보면서 조금 더 존경하는 마음을 가슴에 새겨봅니다 대한민국의 구국의 영웅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 사랑합니다
@user-ne6nw9vx4f
@user-ne6nw9vx4f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님 너무 멋있고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user-fw3ow6yt2m
@user-fw3ow6yt2m 6 ай бұрын
기록이라는 자산의 하나인 금석문의 중요성을 이 영상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사람이 제일 존경하는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영상 제작은 국민들에게 많은 홍보가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6 ай бұрын
영상으로 엄청 잘 묘사하고 표현했네요 영상을 보면서 이순신이 느꼈을 감정이 어렴풋이 느껴집니다 고하도 통제영에 대해서는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ju4nd5fr8y
@user-ju4nd5fr8y 6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님, 당신의 업적이 더욱 빛나는 지금입니다. 충성
@domotov
@domotov 6 ай бұрын
모두가 존경하는 충무공 이순신님의 417일간의 치열했던 이야기가 마음이 아리네요 이순신장군님의 인간적인 모습과 전장에서의 카리스마가 모두 느껴지는 멋진 영상이었습니다
@daenggi83
@daenggi83 6 ай бұрын
억울한 옥살이와 고문에도 다시한번 나라를 살리겠다고 바다로 나선 충무공의 넓은 아량이 대단하네요. 그때 이순신장군이 바다에서 왜적을 물리치지 않았더라면 더 일찍이 왜에게 나라를 빼앗겼겠지요
@hoya_91
@hoya_91 6 ай бұрын
역사는 관심있게 보지 않는다면 쓰윽 넘기는 경우가 많았는데, 영상으로 접하게 되니 집중하며 보게 되었네요. 이와 같은 영상들이 많이 만들어져 쌓이고 쌓여 차후에는 디지털역사박물관 같은곳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ro3kf7dg2l
@user-ro3kf7dg2l Ай бұрын
저희 조카들도 가장 좋아하는 위인으로 충무공 이순신장군을 말하더라구요 어렸을 땐 단순히 거북선을 발명한 엄청나신 분이란것만 알고 있었는데 크고나서 이순신장군님의 417일간의 발자취를 여기저기서 듣고 보고 알아가면서 느끼는게 참 힘든 여건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저버리지않고 나라를 위해 가장 앞에서 애쓰셨던 모습에 절로 고개가 숙여졌습니다. 이렇게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다시한번 보여주시는 영상을 보면서 또 한번 마음속에 이순신장군님의 모습을 새겨넣고 가게 됩니다!
@blassom
@blassom Ай бұрын
역사를 알면 알수록 그 위대함에 가슴이 먹먹해지고 깊은 감동이 밀려옵니다🥰 영상이 더 웅장해서인지 몰입감이 장난아니었어요 충무공 이순신님의 417일간의 발자취를 이렇게 다시금 되새겨보며 그때 도대체 어떤 감정과 생각으로 활약하셨을지 그 시절의 내용을 더 알고싶다는 마음이 커지네요 이렇게 오래오래 간직해온 문화유산들이 있었기에 오늘도 충무공 이순신이라는 이름만은 가슴깊이 기억하게 됩니다
@Jar-Honey
@Jar-Honey 6 ай бұрын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신 모든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함을 느낍니다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과 수군의 희생을 잊지않고 살아가겠습니다.
@judysahn677
@judysahn677 6 ай бұрын
마지막까지 몰입하면서 보게되는 이번 영상. 가슴이 뭉클해지네요. 이순신장군님의 대서사 잘 보고 이번에 알지못했던점도 많이 배우고갑니다😊
@newja77
@newja77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님의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가슴이 벅차오릅니다, 언제나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lgd6108
@lgd6108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장군께 감사합니다 멋져요❤국립문화재연구원 앞으로도 좋은 결과 기대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IHCHOI-wh7fs
@IHCHOI-wh7fs 6 ай бұрын
😍 너무 멋진 영상입니다~^^ 이렇게 조명하니 새롭네요. 한산같은 전쟁하는 장면만 생각나는데,, 충무공 이순신의 절절한 마음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중간중간 설명해 주시는 이종숙 연구관님도 넘 멋져요~ 연구원에서 정말 퀄리티 높은 영상 제작하셨네요! 큰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합니다!
@user-bv3fm5dy1x
@user-bv3fm5dy1x 6 ай бұрын
다시한번 이충무공의 업적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왜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지 정말~ 그가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있다는 것에 감사합니다...
@sk80388
@sk80388 6 ай бұрын
수업시간에 들었던 내용보다 더 많은 내용이 담겨있네요 이런 컨텐츠들은 홍보가 더 많이 되어 많은사람들이 시청했으면 좋겠습니다!
@Devikins2023
@Devikins2023 6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 사이,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이라는 영상을 시청하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숭고한 애국심과 불굴의 의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임진왜란의 절체절명의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조선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신 장군의 모습은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큰 감동을 줍니다. 특히, 고아도와 고금도에서의 겨울을 보낸 장군의 모습은 더욱 인상적이었습니다. 겨울의 혹독한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도 조선 수군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신 장군의 모습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상을 통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위대한 업적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충무공의 정신을 이어받아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사람이 많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user-mb9on8pp9q
@user-mb9on8pp9q 6 ай бұрын
보는데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망망대해에서 왜군을 대하며 외로웠을 수많은 이들의 마음을 얼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순신장군님을 잊지 않겠습니다.
@user-sg5gd8jh8s
@user-sg5gd8jh8s 6 ай бұрын
드디어 3부작이 완성되나봐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여정에 저절로 존경심이 생겨나요 잊지 않겠습니다!!!
@user-hf4ts2sn2d
@user-hf4ts2sn2d 6 ай бұрын
정말 잊지말아야할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순신 장군님과 수군의 희생 꼭 기억하겠습니다!!
@dslee2486
@dslee2486 Ай бұрын
명량에서 노량 사이, 충무공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 감상하고 정말 너무나 가슴이 먹먹해지는거 같아요. 이순신 장군님이 전쟁에서 기필코 승리하기 위해서 자신의 목숨도 희생하면서까지 지키려했던 그 충정심이 정말 대단한거 같고, 더불어서 역사적인 대전에서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점도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네요.
@BSH927
@BSH927 6 ай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의 고하도, 고금도 등에서의 417일의 고군분투를 와닿게 해주는 귀중한 영상이었습니다. 진정 위인이라는 말이 맞는 분이라는 걸 느낍니다.
@user-yw3su8dv5c
@user-yw3su8dv5c 6 ай бұрын
보고 펑펑 울었습니다. 충무공의 업적과 희생정신을 대대손손 기렸으면 좋겠습니다.
@user-ix8du5je9r
@user-ix8du5je9r Ай бұрын
이순신장군님 나라를 위한 희생 잊지 않아요! 소중한 영상 고맙습니다.
@user-yy1ib1kv3q
@user-yy1ib1kv3q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신 충무공 이순신장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희생정신을 발휘하였기에 지금의 평화도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순신장군님의 헌신에 의해 오늘날의 안전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는 사실 늘 가슴속에 새기며, 잊지 않겠습니다.
@user-vn8uw8ji1o
@user-vn8uw8ji1o 6 ай бұрын
충무공의 발자취 죽음이 허락하지 않은 417일을 다시한번 새길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고 고군분투하신 이순신 장군님께 감사하다고 전하고싶습니다
[화력조선 시네마 리뷰] 재밌다! 아쉽다.. 박물관 학예사가 본 영화 '한산' - 고증탐구
14:22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I CAN’T BELIEVE I LOST 😱
00:46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당신이 몰랐던 이순신 장군의 사적이고 인간적인 면모 『난중일기』 리뷰
24:59
이순신 장군은 노량해전서 죽지 않았다? / #비머실록 / 비디오머그
7:03
[화력조선 시네마] 단편영화 '사르후' , 코멘터리 - 역사적 배경과 제작 뒷 이야기
22:44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98 М.
[B tv 영화 추천] B tv x 기묘케 : ‘노량: 죽음의 바다’
8:22
B tv I SK브로드밴드
Рет қаралды 21 М.
💅🏻Айфон vs Андроид🤮
0:20
Бутылочка
Рет қаралды 523 М.
cute mini iphone
0:34
승비니 Seungbini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How To Unlock Your iphone With Your Voice
0:34
요루퐁 yorupong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