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hjlee-lg4dp
@hjlee-lg4dp 2 минут бұрын
과제하다 이 강의를 듣게 되었어요... 갑자기 눈물이 왈칵! 고마움과 감사의 눈물이요. 입양한 아이가 느린학습자라... 그 문제를 담담히 받아 들이는 선생님 너무 멋있고 훌륭하시고 딸 러블린이 복이 많은 아이구나~ 합니다. 항상 행복한 일들이 이어지시길 기도합니다. 화이팅! 입니다 ^^b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7 минут бұрын
빈정현 PD님의 강연 잘 들었어요! 날이 갈수록 심각한 저출생의 문제점을 바로 알고 알아가는 시간이라 유익하고 좋았네요. 다양한 지원과 제도와 함께 아이를 낳아도 부담이 되지 않는 건강한 환경이 중요한 것 같아요. 빨리 아이의 웃음소리가 많이 들리는 행복한 내일을 기대하며 응원할게요^^
@user-mx4xt3hi8x
@user-mx4xt3hi8x 11 минут бұрын
자기 자신을 지킬수만 있다면 얼마든지 이기적인게 좋은 것 도덕코르셋 그만 차기 자신에게 집중하기 나에게 좋은 게 세상에도 좋다 악인들은 무시하자
@ssuny219
@ssuny219 20 минут бұрын
저도 희귀병인 루게릭 진단을 서울에서 받고. 사는 지역 병원에 차료 받으러 왔어요. 의사샘은 알지만.. 간호사도 그외 모든 관계재도 이 병을, 치료를 어삐해야하는지 모르시더라구오^^;; 희귀난치병이 많이 알려져서 함께 살아갈수 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너요. ㅠㅠ
@jins-vo7rq
@jins-vo7rq 34 минут бұрын
동조자 시리즈 다 보고 검색해서 들어왔어요. 드라마 외적으로 작가님의 내러티브의 풍요와 빈곤의 이야기도 잘 들었습니다. 얼마나 오래 생각하셨는지 느낄 수 있었어요. 아직 소설은 보지 못했지만, 시리즈 끝까지 다 본 바로는 한 편의 고전을 읽은 것처럼 깊고 여운이 짙습니다. 박찬욱과 HBO 기대 이상입니다. 작가님, 베트남에 관해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imhoho
@kimhoho 35 минут бұрын
출산이지 출생 ㅇㅈㄹ ㅋㅋㅋㅋㅋ
@user-gf3po1st9g
@user-gf3po1st9g 49 минут бұрын
살아가면서 초기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지 는몰라도 후반부로 지나 갈수록 가시밭 길을 지나감에 있어 설령 '죽고싶을' 만큼 형언 못할 때가 많기는 하겠죠 그렇지만 이런 불합리한, 주옥 같은 현실에서 무엇을 택하든 어느 결과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노릇이라 그저 있는 그대로 분노를 억누르며 생을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나 스스로, 정말 표현하고 싶을 용어들은 있습니다 차마 그 내용이 있더라도 어떤 그 누구에게라도 표현할 수 없어 마음에 고통과 상처를 담고 여생을 보내요 심리 상담이던 기타 치유든 뭐라도 필요한 상태이겠죠 앞서 설명했듯이 뭘 골라봐도 결과는 내가 바라는대로 흘러가지도 않는 법이지만 그래서 스스로 독학하며, 직접 심화시켜, 여태까지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일상에 응용해··· 이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기는 해요 행동하면서 누누이 실수할 때가 빈번해도 실력 중에 꾸준함이 좋다는 말처럼 몇 번을 넘어지고 몸과 마음이 고장날 순간에도 계속 도전해 봐야죠 서두에서 서론에 이르기까지 말하기, 글쓰기, 읽기, 듣기도 중요하겠으나 생각하는 동안에 내가 뭣을 표출하고 싶었는지 까먹을 때가 많습니다 이렇게 같은 작업이 중복될 때 인간은 허무함을 느끼고는 하겠죠 이럴 때에도 어떻게 대처를 하느냐가 관건인데 이러는 중에도 이미 아는 사람들도 과반을 차지할 텐데 기꺼이 글을 작성하는 내가 바보 같지만 저는 새로운 노하우를 찾아가요 피할 수가 없으면 그 상황을 즐겨봐라 누가 했었던 말인데 재차재차 언급하겠지만 어떤 결과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일순이 지겹더라도 저는 이 순간을 즐깁니다 과거 - 현재 - 미래를 우리는 각자 보냈으며, 체감하는 중에, 앞으로도 겪을 시간이죠 제가 비정상인 같아 보일수는 있겠어요 남들은 그런 사람을 보고 뭐지 쟤 병신인가? 장애인 같다, 아! 관심종자구나 하시겠죠 제가 아니더라도 무수한 타인들은 눈물을 머금으며 공감하겠으나 은폐하듯 마치 외부에 가감없이 실천으로 옮기는 분들도 물론 드물겠죠 속으로만 생각하면 변하는 건 절대 없습니다 겉으로 꺼내봐야 본인은 비로소 발달하게 됩니다 당연하게도 성적만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듯 인성을 비롯한 다양한 인재는 여전히 필요할 겁니다 쓸모 없고, 몹시 하찮은, 부질한 존재일지 언정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다들 가지각색의 선택을 고르세요 진로를 응원합니다
@study_musiccat
@study_musiccat 56 минут бұрын
혼자 있으면 외롭고 같이 있으면 괴롭네요
@Anna-ht5yo
@Anna-ht5yo Сағат бұрын
넘 아름답습니다 송지은님 축복합니다
@for_what_or
@for_what_or Сағат бұрын
제도적인 해결책 이전에 부조리와 비상식적인 권력구조, 반사회적인 사회 가치관들에 초점을 맞추고 해결해 나가는게 급선무 아닐까 싶습니다. 새생명이 태어나지 않는다는건 어찌보면 사회 시스템 이전에 우리 사회가 '산사람 들에게 지옥과도 같은' 절망감을 주고 있는게 아닐까 깊이 생각해봐야만 합니다. 실생활 속에서도, 온갖 범람하는 매체나 인터넷 공간에서 역시나 행복한 낭만과 따스한 정서를 향유하고자 하는 사람은 극히 적어지고 있는 추세라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가 더이상 인간 그 자체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방증이기도 하고, 수많은 대립적 갈등과 증오, 분노, 혐오가 가면을 벗기 쉬운 인터넷 공간과 뒷담화를 통해 집단적으로까지 이뤄진다는 현실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심지어 더욱 깊은 인간의 내면까지도 연구해 봐야만 하지 않을까 싶은데 순수 학문 분야를 포함해서 연구지원 시스템과 역사가 부족한 지금 과연 누가 그러한 문제점들을 연구하고 분석하며 어디에 발표하고 소통하며 정책들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지금 이 방송에서 조차도 그렇고 우리나라는 언제나 소잃고 외양간 고치듯이 결국 선진국의 석학이나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구하지 않습니까 심지어 이미 오래전부터 뉴스에 나오는 각종 부조리나 비상식적인 사회적 균형을 파괴하는 사건들은 수도없었지만, 제대로 해결된건 없고 대부분 권력자들의 꼬리자르기나 책임회피로 인해 상대적 피권력자들이 처벌받거나 어영부영 넘어가는 일들이 많았죠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독한 허무주의와 염세주의에 빠졌다는건 그러한 부조리한 현실들이 끝도없고 해결될 기미조차 안보이는 절망적인 상황이라서 서로를 혐오하고 책임회피하고, 나아가 스스로의 인간성마저 포기한채 반사회적인 성향으로 돌아서기 까지하는 참 슬픈 시대정신이 되어버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자살율 1위의 나라 라는것과 여전히 지독하고 교활한 계급주의 사회, 상대적 권력자들의 갑질에 대항할수 없는 사회 라는것을 인지해야만 합니다.
@user-lc8ty1if1q
@user-lc8ty1if1q Сағат бұрын
나는 창의적이라고 생각하면서 아이디어에만 머물고 있다면! 거기까지만 창의적인 겁니다. 창의적인 것을 현실에 관철시키고 구체화하고 현실에 구현해 내야지만이 그것이 아이디어로서의 가치가 있다. 엄청 도전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lc8ty1if1q
@user-lc8ty1if1q Сағат бұрын
엄청도전됩니다!!!
@OLIVEEDU
@OLIVEEDU Сағат бұрын
일반인을 돕는 장애인..
@user-fd4tn5uo9e
@user-fd4tn5uo9e Сағат бұрын
연애하는줄몰랐음 넘 달달하고 설레는 느낌나는 커플이넹 ㅎ
@user-vy2fq1wt5t
@user-vy2fq1wt5t Сағат бұрын
의사하면 출세하고 행복한 일 많을거 같았는데 현실은 냉정하구나
@user-yy1dj8mb1f
@user-yy1dj8mb1f Сағат бұрын
?? 망하긴요 비정상적으로 성장한 지금까지의 대한민국이 이상한 나라인거임 ㅋㅋㅋ 우리나라 자원과 땅떵이 크기에는 인구수가 더 많이 줄어들고 좀더 가난해져야 그게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떠한 계획? 정책?을 만들어도 실패할수밖에 없습니다..왜냐면 애초에 대한민국은 지금의 사이즈가 될급이 아닙니다..외국좀 나가본 사람들을 알겁니다..울나라는 너무 거품.허세.형식 등등 아직도 조선시대 마인드임
@sebasi15
@sebasi15 Сағат бұрын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x6qf3ov7l
@user-zx6qf3ov7l 2 сағат бұрын
'저출생, 출생률'이라는 단어를 쓰는 자체가 이미 출산에 대한 책임 회피의 의미가 강한 단어 인데... 현재 출산율이 매우 심각하다는 영상에 '출생'이란 태그를 사용하는군요. 출생은 의지와 책임이 새롭게 태어나는 생명체에게 부여되는 단어고 생물학적으로 출산은 의지와 책임이 어미에게 있는 단어 입니다. 요즘 시대는 부모가 낳고 싶어도, 힘든 세상 살기를 거부해서 신생아가 본인 의지로 출생을 하지 않는 시대인가 보네요. 당연히 부모는 출산에서 자유롭고 책임도 회피할 수 있겠죠? 왜 출산율이 계속 현저하게 낮아지는지 알 수 있는 적절한 단어 사용입니다.
@sebasi15
@sebasi15 Сағат бұрын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e5ib6tn4u
@user-fe5ib6tn4u 2 сағат бұрын
7:23 엄마 남동생 b 언니 o 빌런 아빠 a형만은 아니길 바랐건만 결론 : a형입니다 😂 12:26 어머님 덕?분에 도저히 감당불가 결국 신용불량자가 되려던 찰나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손내밀어 봤던 (일찍이 가정 꾸리고 아이도 낳고 집 외제차 콘도분양 등 누가 봐도 탄탄대로) 언니한테 저도 똑같은 경험.. 없어. 거절.
@user-zg7tw8hi6r
@user-zg7tw8hi6r 3 сағат бұрын
교수님 마음 힐링 받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35
@lululalalula
@lululalalula 3 сағат бұрын
명강의..
@user-gn9ms9qy8m
@user-gn9ms9qy8m 3 сағат бұрын
얘기도 차분하고 내감정은뭐가
@user-rm1il9ir4u
@user-rm1il9ir4u 3 сағат бұрын
정이 많은게 저는 더 좋아요. 오지랖은 좀 아니지만요. 이제는 시대도 변했고, 정도없고 친절도 없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아요.댓글보니
@user-xh6wl8hq6s
@user-xh6wl8hq6s 3 сағат бұрын
거짓, 선전, 선동 전문채널MBC 종북 좌파 전문 방송 MBC MBC에서 민주당 빠느라 고생했지
@user-lb1ji8ld9o
@user-lb1ji8ld9o 3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정책이 나오길 바랍니다 잘보고갑니다 ~
@sebasi15
@sebasi15 3 сағат бұрын
응원 감사합니다🙌
@user-pm3sr7uz2i
@user-pm3sr7uz2i 3 сағат бұрын
대한민국이 살기는 좋은 나라인데 누구나가 살기 좋은 나라가 아니고 아이 키우기는 너무나 힘드니 출생율이 낮다고 생각합니다.
@sebasi15
@sebasi15 3 сағат бұрын
네🥲 의견 감사합니다
@jeonghyunlee7283
@jeonghyunlee7283 3 сағат бұрын
조부모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너무 힘들죠. 저또한 타지에서 아이 7세까지 휴직을 써가며 육아와 일을 병행했었는데요, 내년 초1, 너무 막막하더라구요, 정말로 일을 그만둬야할때가 온 것인가... 그런 저를 보며 남편이 휴직을 낸다고하네요. 남초 직장에서 엄청난 용기가 필요한 일인데요... 그 1년이 값진 추억으로 채워지길 바래봅니다. 일과 육아가 자유로워져서 출산하는데 부담을 갖지않는 세상이 어서 오길 바라며! 이세상 엄마아빠들 파이팅입니다
@sebasi15
@sebasi15 3 сағат бұрын
행복한 기억들로 가득한 시간 보내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user-zm5dm5gj8o
@user-zm5dm5gj8o 4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하지만 맞고 틀리고의 문제가 아니라 명제(?)들은 맥락적 인식으로 상황에 따라 다른 것은 아닐까요?
@user-pu2zn1ms7y
@user-pu2zn1ms7y 4 сағат бұрын
대한민국의 저출생이 정말 심각한데 획기적인 유인대책이 나올 수 있도록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동안의 저출생 정책들이 모두 실패했기 때문에 실패하지 않을 정책 시행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ebasi15
@sebasi15 3 сағат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hiu7195
@hiu7195 5 сағат бұрын
쎄하다
@user-fv7rj4ms8y
@user-fv7rj4ms8y 5 сағат бұрын
저는 이번 여름 옷을 사지 않기로 했었는데 다시한번 다짐해봅니다.
@user-zj2th2ue8t
@user-zj2th2ue8t 5 сағат бұрын
1.몸을 움직이고 2.방구석에서 나오고 3.새로운 취미ㅜ배우기
@user-ds2qt7vt1y
@user-ds2qt7vt1y 5 сағат бұрын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 진짜 중요한거같아요. 다른 이에게 널 믿어, 넌 할 수 있어라는 말은 쉽게 할 수 있는데 저 자신한테는 그 말을 쉽사리 하지 못 하겠더라구요. 내가 할 수 있을까? 난 나를 믿을 수 있을까? 라는 의문만 계속 들어서 그냥 살아가는게 무서워지기 시작하더라구요... 지금도 여전히 그렇지만, 그 두려움을 이겨내보려 한 발자국씩 내딛어보고있습니다.
@sebasi15
@sebasi15 5 сағат бұрын
[책이벤트] 댓글로 강연의 소감평과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분들의 책 중 한 권을 큐레이션하여 책 선물로 드립니다. (참여기간 5/31~6/10 당첨발표 6/11)
@user-bn8kg6pz5d
@user-bn8kg6pz5d 7 сағат бұрын
저도 사진 찍는 걸 좋아하는 편이라서 핸드폰을 바꿀 때도 다른 건 신경도 안 써요 오로지 카메라만 보게 되더라고요 본인이 좋아하는 관심 있는 일에 열정을 가지고 하시고 같은 길을 함께할 동반자를 만나신 것도 큰 행운인 거 같아요 멋진 모습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user-bn8kg6pz5d
@user-bn8kg6pz5d 7 сағат бұрын
나 답게 살아가는 게 어떤 걸까 나라는 존재를 찾는다는 일도 쉽지 않은 일인 거 같아요 상대방이 있어야 어우려져서 함께 하면서 나를 찾아 행복함을 느끼면서 사는 것도 중요한 일이네요 무슨 일이든 쉬운 건 없어요 나 자신을 돌아 보는 좋은 시간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user-bn8kg6pz5d
@user-bn8kg6pz5d 7 сағат бұрын
큰 메뚜기 떼 보기만 해도 무섭네요 긍정적인 생각으로 슬기롭게 이겨내는 케냐에 관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user-bn8kg6pz5d
@user-bn8kg6pz5d 7 сағат бұрын
정답이 없는 것이 정답이라는 말이 공감이 가네요 살면서 힘들 때 정답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 거 같아요 작은 일에도 감사하고 불평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마음까지 따뜻해 지는 강연 잘 들었습니다 ^^
@user-ok7lp2ih4n
@user-ok7lp2ih4n 7 сағат бұрын
송지은님 강연도 사랑두 다 예뻐요.위님과 평생 행복하세요♡♡♡♡
@user-vo2zy6hc9x
@user-vo2zy6hc9x 8 сағат бұрын
강바오님 존경합니다♡♡
@username20213
@username20213 8 сағат бұрын
나이가 들고 노화가 된다는걸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한다는걸 알면서도 저속노화 꿀팁은 늘 찾게되네요. 우리가 먹고, 소화(대사)해서 소비(활동)하는 것들이 결국 가속노화를 시킨다는 말이네요. 30대 젊은 당뇨로, 공복혈당 140이 넘고, 한동안 식후혈당 200이상 체크됬습니다 지금은 앱으로 관리하면서 정상혈당입니다 약이 다가 아니구요 1. 식후 걷기운동 꾸준하게 해주기 2. 저녁식사 밤 일곱시 이후 먹지않기 3. 언스윗 앱으로 식단기록하고 혈당 체크하면서 생활습관 코칭받기 4. 근손실 방지위해서 일주일에 근력운동 3번 이렇게만 해주고 지금은 약안먹고 정상혈당 유지 중입니다 당화혈색소도 5언저리구요 꾸준히 관리 하면 됩니다!
@3606jh
@3606jh 8 сағат бұрын
김창완 선생님같은 멋진 어른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인터뷰어의 심도있는 질문을 포함한 진행도 너무나 인상깊습니다.
@user-rs4ml3gi9c
@user-rs4ml3gi9c 9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모두사육사님말씀처럼푸바오의판생을위해보냈져.어찌보면뺏어간거나마찬가지인데..지금우리푸를보면..너무가슴이아프고후회가됩니다.우리푸는할부지곁에..바오가족옆에있었어야했어요.지금이라도돌아왔으면하는바램입니다
@catwalk188
@catwalk188 9 сағат бұрын
대층하는 사람이랑,,,뭐든지 진지하게 임하는 사람은 결국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user-ol3qx1km3g
@user-ol3qx1km3g 9 сағат бұрын
왠지 아프리카의 매력에 빠지면, 한 번도 가지 않은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간 사람은 없을 것 같아요! 아프리카 꼭 가고싶어요! 인간의 퇴화된 꼬리뼈처럼, 코끼리도 상아가 없이 태어난다는 게 슬프네요.. 대체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코끼리의 상아를 훔치나요!ㅠㅠ 단순히 아프리카의 자연과 동물의 사진을 찍는 것이 아닌, 사진 너머의 의미와 상징들을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남태영 사진작가님 앞으로의 작품들도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p8tx2bs6d
@user-yp8tx2bs6d 9 сағат бұрын
글은 잘쓰는지 모르겠으나 유사기촉새 글을 좋아하는거 보니 알만하다,수준
@jhnk6524
@jhnk6524 10 сағат бұрын
집안이 인물이 좋고 너무 다들 선하시네요 행복하시길바래요~~
@herren-house
@herren-house 10 сағат бұрын
악플러들은 천벌받을겁니다. 오늘도 용기있게 사시는분들 홧팅🎉
@minahong2378
@minahong2378 11 сағат бұрын
호르몬이 신체를 지배하는 건 동의하는데요 식욕을 조정하는 호르몬은 굴렐린과 렙틴이라고 하던데요. 😀
@Hjfucjfkso
@Hjfucjfkso 11 сағат бұрын
고독도 능력이예요 아줌마 ㅋㅋ
@user-hq5fz4pk2n
@user-hq5fz4pk2n 12 сағат бұрын
넘 용기 낼 수 강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