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yv7oi1be8h
@user-yv7oi1be8h 16 сағат бұрын
why the heck would you delete that?
@lotteasj
@lotteasj Күн бұрын
분당재건축? 최소 20년뒤.
@user-pq8nb2qv8m
@user-pq8nb2qv8m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업자는 무슨 말을 해도 책임이 없음.결국 본인이 잘 판단해야 됨
@user-le7gb2gn4z
@user-le7gb2gn4z 3 күн бұрын
성수동 주택가지고 오랫동안 살고있지만 이 동네 정서알면 핫플이 오래유지되긴 힘들듯 ㅋ 영세공장, 서민들 살던 동네라 다들 눈돌아가 있는 상태 .. 특색있는 개발 그딴거 관심도 없음 ㅋㅋ
@user-xq1wu1gw5t
@user-xq1wu1gw5t 4 күн бұрын
아파트를 잘 만들어서 층간소음으로 칼부림이 나는구나! 이미 재건축은 불가능하지 않나? 모든 건 수요와 공급. 인구는 줄고 1인 가족이 늘어나는데 아파트를 언제까지 짊어지고 있어야 하는가.
@ev5763
@ev5763 3 күн бұрын
2030년까지 30대 인구는 늘어납니다. 아파트의 수요가 늘어난단 얘기.. 반면 평균수명 연장으로 아파트에 사시던 노인분들이 돌아가시지 않고 아파트른 쥐고 계십니다. 화폐가치는 점점 떨어집니다. (니 월급이 오른다는 믿음이 있다면, 그게 곧 니가 화폐가치 하락을 이미 알고 있단 의미) 모든 자산의 가격은 지속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무주택은 아주 위험합니다. 정신 차리세요 ㅜㅜ
@she-hh9or
@she-hh9or 4 күн бұрын
대단지.... 저는 살아보니 아파트 들어가고 나가기 편하고 위치좋은 500세대 이하가 좋더라고요.. 대단지는 아파트 입구부터 들어가기가 일입니다..
@user-fs7bv1xy6e
@user-fs7bv1xy6e 4 күн бұрын
대체 선그라스는 왜 쓰고 나오는거죠??
@yonasoh2921
@yonasoh2921 5 күн бұрын
역시 고수
@dongsan2bro
@dongsan2bro 5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iga9114
@siga9114 5 күн бұрын
기존 거주자들을 원주민으로 비하하다니 참 안타깝다
@dongsan2bro
@dongsan2bro 5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기존 거주민들을 근원 원(原)자를 쓴 '원주민'이라 통칭합니다. '원래부터 있던 사람'을 의미하며, 거주자로서의 의미보다 더 오래된 격의 의미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newage5777
@newage5777 5 күн бұрын
분당 고도제한이 없는지역은 시범단지(일부지역제외), 샛별마을, 효자촌, 장안타운 지역입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5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ev5763
@ev5763 5 күн бұрын
이 중 여러모로 가능성 높은 곳은 샛별마을 정도..
@bokdaeng22
@bokdaeng22 6 күн бұрын
유익한정보감사드립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5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w9uk8rs4s
@user-gw9uk8rs4s 6 күн бұрын
지방 재건축되는 단지들은 지식수준이 부족하지만 진행하는건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ongsan2bro
@dongsan2bro 6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방 재건축 단지들도 예전과 같지 않아서 스마트하게 사업이 진행되는 곳들이 많습니다. 본편을 살펴 보시면 전문가분께서 더욱 자세히 설명해 주시지만, 00년대 ~ 최근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정비사업 지식수준이 현저히 낮아 사업성이 떨어진 현장들이 꽤 많았습니다. 실제로 인천의 A 재개발 현장이나, 천안의 B 재개발 현장, 서울의 C 재건축 현장 등이 조합장을 비롯, 임직원들의 전문성 결여로 인해 비례율 150%에 가까웠던 사업이 100% 미만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아직도 법적 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사업 진행은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지켜봐야 하는 것은 이게 사업성이 높냐, 낮냐의 문제겠지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w5bl2xx4e
@user-vw5bl2xx4e 6 күн бұрын
성수동 거품
@dongsan2bro
@dongsan2bro 5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hwang_jeyoon
@hwang_jeyoon 8 күн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수내쪽에는 스터디카페가 있는데 한솔쪽에 스터디카페 없는 이유가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dongsan2bro
@dongsan2bro 7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주변 중·고등학교와 주출입구 및 동선을 살펴보았을 때, 한솔마을 인근에는 마땅히 스터디 카페를 차릴 만한 곳이 없어 보입니다. 스터디 카페의 주요 고객층이 누구인지를 살펴봐야 할 것 같은데요. 카페를 찾는 대부분은 중·고등학생, 대학생, 그리고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사람들입니다. 한솔마을 내의 수요를 흡수하겠다는 마음으로 들어간다면 어느 정도의 매출은 올릴 수 있겠지만, 다소 사업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요즘 스터디 카페들은 쾌적함, 널찍함,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는데요. 한솔마을 주변에는 대부분 구축 상가들이 있고, 소형 평수 상가가 많으며, 월세가 상대적으로 비싼 물건들만 남아 있어서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스터디 카페를 하시는 분들은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hwang_jeyoon
@hwang_jeyoon 7 күн бұрын
@@dongsan2bro 말씀하신대로 근처 중, 고등학교가 많지 않고, 동선적으로도 파크타운에 비해 한솔이 스터디카페를 하기에 애매한 점이 있네요. 고견 감사합니다~👍
@love-gk3je
@love-gk3je 9 күн бұрын
김동산이형 재미있어요~^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s5ld1xg6b
@user-ss5ld1xg6b 9 күн бұрын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n9ws6vk6k
@user-hn9ws6vk6k 9 күн бұрын
2017년도obs경인방송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JJ-mr2iw
@JJ-mr2iw 10 күн бұрын
2016년 쯤 경인방송에 나온 분 아닌가? 오까네 이빠이 번 모양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yjck485
@yjck485 10 күн бұрын
투기꾼들.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dahn7674
@sdahn7674 11 күн бұрын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bokdaeng22
@bokdaeng22 11 күн бұрын
유익한정보감사드립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8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ongsan2bro
@dongsan2bro 11 күн бұрын
*[김동산이형과 함께 하는 6월 부동산 공부방 모집 안내]* *💬문의 : 02-356-7877* 재생시간 1.25배속으로 시청하시면 신속히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항상 시청해 주시는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user-ev7rr5bl4c
@user-ev7rr5bl4c 11 күн бұрын
반대비율이 높아서 못합니다. 정신 차리세요.
@dongsan2bro
@dongsan2bro 5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건대 모아타운은 자치구 공모 방식이 아닌, 주민 제안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 추진 지역입니다. 동의율은 사전에 60% 이상 채워진 것으로 확인되었고, 실제로 자양동 아랫쪽 모아타운 선정지역보다 주민들의 사업 추진 의지와 열기가 뜨겁습니다. 영상에서 나온 지역의 반대 비율이 높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신 것 같고, 모아타운 사업의 전반적 맥락을 살펴 보았을 때 반대 비율이 높아 사업이 지연된다고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 현장마다 상황들이 다르니, 관심 있는 지역은 투자하시거나 실거주를 위해 매매하실 때 잘 살펴보시고 들어가시길 권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dahn7674
@sdahn7674 11 күн бұрын
@user-xh3mm7xh2w
@user-xh3mm7xh2w 11 күн бұрын
송파구 올림픽선수기자촌 아파트 전망도 알려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20년ㅡ후 는어떻게될지 모르지만...아직까지는 강남 ...아닐까요...
@dongsan2bro
@dongsan2bro 11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는 향후 재건축 진행 시 인근 둔촌주공에 이어 잠실 최대 재건축 사업 단지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올림픽공원역 초역세권에 위치해 있어 강남, 여의도, 마포 출퇴근하시는 분들이 유독 선호하는 지역이지요. 국평과 일부 대형 평형 제외하고는 매물도 많지 않습니다. 그만큼 거주만족도가 높다라는 뜻이겠지요. 향후 가치는 높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특히 '잠실' 주변에 있는 리센츠, 잠실주공5단지, 장미아파트 등의 가격 변화에 따라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y8ni8je2e
@user-jy8ni8je2e 13 күн бұрын
연희동 숲길이 아니라 연남동 숲길이라고 말씀하셔야 합니다. 연희동은 서대문구입니다. 마포구에 편입될때 연희동 남쪽에 있다고하여 연남동이 되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라면 지명은 똑바로 이야기하시기 바랍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13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소중한 지적 감사드립니다. 더욱 양질의 영상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ms3bz9ux5v
@user-ms3bz9ux5v 14 күн бұрын
검은선글 검은마스크 왜 쓰신거죠 ?? 예의없어보여요
@dongsan2bro
@dongsan2bro 13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usic-ist
@music-ist 15 күн бұрын
명동은 경복궁덕수궁창덕궁 북촌서촌 남산 남대문시장 등등 다른 관광지에 홍대연남동으로 편하게 갈 수 있으니 해외관광객이 많이 찾지만 상수에 뭐할 게 있어서 가겠어요. 거기 있는 거 명동 부근에 다 있을텐데요. 피혁구두업이 살아남아서 차라리 구두가방 수공업 장인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남았으면 좋았을 걸요. 모두 사라지는 게 참 안타깝네요.
@dongsan2bro
@dongsan2bro 14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먼저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명동이 모름지기 대한민국 대표 상권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 주변에 몰려 있는 문화유산들,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대표 유산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를 잘 모르는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 기구했던 광복 이후의 시간부터 현재의 제6공화국 시기까지 격변했던 대한민국을 명동 인근에 오면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죠. 성수동은 서울 공업 역사의 한 획을 그었던 지역으로, 시대가 변하며 이곳도 쇠퇴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아직까지도 자동차 공업사, 선반, 포장 제작소처럼 다양한 공업소들과 2~3층의 단독주택과 빌라들이 밀집해 있고, 실제로 그런 공간들이 뒷편에 남아 있으며, 붉은 벽돌의 건물들도 사라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이걸 부수고 다시 짓는 게 아니라 성동구에서는 '도시재생'의 차원에서 성수 지역을 리뉴얼(renewal)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로, 생소한 이미지와 느낌을 가진 성수는 아직까지는 '내국인'들에게 한정돼 있는 상권입니다. 대한민국을 방문했던 외국인들이 한 번 또는 두 번 남짓 오는 경우라면 명동을 찾겠지만, 여러 번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겐 익숙하지 않은 또다른 장소가 필요할 거고요. 그때 성수가 빛을 발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피혁과 같은 가죽류로 특화된 상권이면 좋았겠으나, 메가 상권이 이루어지며 많이 사라진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그래도 아직까지 '아뜰리에'라는 이름으로 수제 공방이 몇 군데 남아 있어 명맥은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네요.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업체들이 소멸되지 않고, 지역의 뿌리로서 남아 있길 소망하는 바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동산이형에 올라오는 영상 많은 시청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mulejee9018
@mulejee9018 15 күн бұрын
뭐가 대박이라는거야..똥파리들...분담금을 안내야 대박이지...무슨 그지역이 20억..웃기지도않는다..분담금6-7억내고 머가남아..
@dongsan2bro
@dongsan2bro 14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h9bc1vs1y
@user-th9bc1vs1y 15 күн бұрын
말을 조금 조심해줬으면 하네요 든기가 좀~~~~술 / / 한다 .는 말은 아쉽네요 좋은정보는 감사하지만 ~
@dongsan2bro
@dongsan2bro 14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m5yp4ij1x
@user-tm5yp4ij1x 16 күн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업무지구와 상업지구 그리고 가장 중요한 외국인 수요로 봤을 때 을지로가 1탑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가보시면 벌써 외국인들 이미 을지로 단체관광 오기 시작함) 심지어 지하철도 탑급인 2호선 3호선이죠.. 세운지구쪽 녹지축도 완성되면 숲세권까지 완성되구요..용산은 매우 좋은 지역이지만 개인적으로 교통이 노답이고 개발도 시작하려면 멀었고.. 주거로는 환경이 좋지만 업무지구? 글쎄요..교통면에서 단점이 많다고 봅니다.. 기업 입장에서 차라리 단기적 개발 예정이 많은 CBD가 낫지않나 싶고 외국인들이 용산에 관광하러 갈까? 딱히 성수보다도 매력이 없어보이지 싶네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단지 을지로는 맞벽 건축이라 매수시 벨류업이 힘든 단점 말고는 빠른 개발 속도에 비해 가격도 용산과 현재 비슷해서 합리적이고 모든게 향후 20년안에 용산보다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보여 훨씬 매력적이라고 봅니다..어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15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을지로가 포함되어 있는 CBD는 우리나라 3대 업무지구 중 전통적인 상업·업무지구로, 오랜 시간 동안 많은 기업과 국민, 그리고 외국인 관광객에게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던 곳입니다. 사대문의 중심에 위치해 있어 대한민국의 건국 이전에도 한반도에서 가장 큰 상권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말씀하신 을지로가 기존의 명맥을 유지하며 다시금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용산이 강북뿐만 아니라 강남 테헤란로의 아성까지 무너뜨릴 수 있을 만한 개발 호재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서울 내에 주거, 업무, 복합문화, 공원시설들이 밀집되어 있는 국제업무지구가 완성되면 14만 6천 명의 고용 창출과 연간 32조 6천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 조사 결과가 있으며, 이는 서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견인하는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업무 지구 내에서 업무, 주거, 여가 문화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도보권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직주일체의 '콤팩트 시티'가 조성된다는 것에 가장 큰 의의가 있습니다. 세운지구의 녹지축은 종로, 을지로 정도를 커버할 수 있는 거점 공원의 수준이라면, 용산공원은 우리나라에 조성될 1호 '국가공원'입니다. 우리가 아직 경험해 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준의 파급력으로 다가올 것인지 예측하긴 어렵지만, 시장에 미칠 영향은 굉장히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CBD는 주거 부분이 굉장히 취약하고, 주변에 문화재들이 많아 개발 규제에 걸리는 것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반대로 용산은 상대적으로 땅이 넓고, 유휴지도 군데군데 있어 종로-을지로에 비해 개발 제약이 적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관광에 대한 부분은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지구 내 복합문화시설과 공원시설 등이 조성되면 지금보다 더 많은 인파가 찾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을지로나 성수와는 조금 성격이 다른 지역이기에 앞으로 어떻게 변모하는지 쭉 살펴보시면 더욱 좋을 것 같네요! 고견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앞으로 동산이형 채널에 올라오는 영상에 더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tm5yp4ij1x
@user-tm5yp4ij1x 15 күн бұрын
@@dongsan2bro 고견 감사합니다~!
@user-sg9zt1dg3k
@user-sg9zt1dg3k 16 күн бұрын
용산이지~~
@dongsan2bro
@dongsan2bro 14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n9ws6vk6k
@user-hn9ws6vk6k 18 күн бұрын
샤방샤방 목소리 이쁘다요
@dongsan2bro
@dongsan2bro 14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g3sp9fu2d
@user-cg3sp9fu2d 19 күн бұрын
요즘은 이주비 모두 유이자라고 하던데요
@dongsan2bro
@dongsan2bro 18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원래 이주비로 나오는 대출은 유이자입니다. 다만 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에서 조합원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무이자'로 선지급해주는 것처럼 보일 뿐, 실제로는 사업비에 이 이자비용이 포함돼 있는 것입니다. 고금리 여파가 있기 전까지는 이 이자가 2~3% 정도의 수준이어서 무이자에 준하는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이 이자에 대한 부담도 만만치 않아 대부분의 사업 현장에서 시중 금리 이자를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realk-estate6668
@realk-estate6668 19 күн бұрын
그냥 제2의 경리단길
@dongsan2bro
@dongsan2bro 19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fisherpark5606
@fisherpark5606 20 күн бұрын
진짜 평소의 무의식속에 있던 그런 것들이 문장으로 나오는 걸 보며 1층만 수익나고 이런 이야기 진짜 배우네요..ㅎㅎ 감사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19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부동산에 관심 있는 분들 누구나 무의식 중에 하고 싶은 말이 입 밖으로 튀어나오지만 않을 뿐이지, 터놓고 얘기하면 부동산 전문가에 준하는 수준을 갖고 계신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아마 시청자님께서도 생각은 하고 계셨겠지만, 한 번 더 전문가께서 짚어 주시니 바로 캐치해 내신 것 같아요. 통찰력이 부족하거나, 노력하지 않는 분들은 10번, 100번 말씀드려도 금방 잊고 맙니다. 저희 동산이형 채널과 꾸준하게 함께 하시어 부동산에 관한 깊은 통찰 얻어가시길 소망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fisherpark5606
@fisherpark5606 20 күн бұрын
9시 이후에도 사람들 바글바글 합니다... ㅎㅎㅎ 서울숲쪽은용 ㅋㅋ..ㅎ오 이승엽 건물 옆 그 아저씨 건물 부지를 무신사가 샀군요 대박.. 동대문서 사업하시던 분 부지였는데 무신사가.. 배우고가여 대체적으로 어떻게 건물을 바라봐야하나에 좋은 시각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살던 동네는.. 블루버틀 뒤라 역시 사람들이 잘 안걸어가는 곳이네요..ㅋㅋㅋ명동 평당 10억이라니...진짜 새로운 세계
@dongsan2bro
@dongsan2bro 19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audinis_jini
@user-raudinis_jini 20 күн бұрын
끝나긴요 저번주말에갔는데 사람미어터지던데요;;;
@dongsan2bro
@dongsan2bro 19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n2xi1mx9t
@user-hn2xi1mx9t 21 күн бұрын
용산공원의 진행 상황이 궁금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19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문의하신 진행 상황을 공유드립니다. 미군기지 완전 반환 예상 시기 : 2030년 용산공원 완성 예상 시기 : 2037년 * 상기 일정은 기지 완전 반환 및 공원 조성 사업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1) 용산공원(정식) :: 기본계획변경 예정 (기본계획 단계) - 2) 용산어린이정원(임시개방) :: 개방하여 프로그램 운영 중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l5yr4gy1s
@user-sl5yr4gy1s 22 күн бұрын
와 파크타운 유치원이 저렇게 바뀜?? ㄷㄷ 내정초 중앙공원가기전에 있는건데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krwprkehlsqkqh
@user-qkrwprkehlsqkqh 22 күн бұрын
그 다음은 신당임. 이효리도 거기 건물 샀다나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wsohn4456
@swsohn4456 22 күн бұрын
성수. 이제는 아웃. 가보면 느낌오잖아. 이상한동네, 요지경. 젊은이도 떠나야지. 뭐 인구도 줄고 겁나게. 나라가 망해서 쓸돈도 없고. 재명이나 준석이가 경제 살려줄것도 아니고😢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yumijeong3638
@yumijeong3638 23 күн бұрын
많은 영감을 주는 영상이네요..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께 양질의 내용을 제공하는 영상이 되었길 빕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w7bu9qh6e
@user-jw7bu9qh6e 23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성수 다음타자는 송정동과 바로옆 자양동 눈여겨보고있습니다
@swsohn4456
@swsohn4456 22 күн бұрын
네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것처럼 제2의 성수는 어디인가에 대한 고민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송정동과 자양동도 많은 투자자분들이 관심을 갖는 지역들이죠! 앞으로 변모할 모습들, 정말 기대가 됩니다. 모쪼록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 동산이형 채널에 올라오는 영상도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huilee6304
@huilee6304 23 күн бұрын
이 사람도 누구처럼 500억 자산가야?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junholee2377
@junholee2377 23 күн бұрын
사실 개인이나 꼬마빌딩 매매하시는 분들이 투자하기에는 성수동은 이제 힘들죠 이제 거대 자본의 회사들이 들어오는 지역입니다. 말씀하셨듯이 쇼룸과 홍보 역활을 하고 있고 IT 벤쳐 기업들이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는 지역이고 한강변 개발도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라 사실 땅값상승은 향후 최소 5~6년은 성장세가 서울 다른곳 보다는 높을것으로 보이는 지역입니다. 물론 이제는 기업말고는 투자하기는 힘든 덩치가 되고있죠... 대신 그 주변 동네 (자양동같은) 곳에 주거지역개발이 된다면 성수지역에서 일하는 젊은 사람들의 새로운 주거 상권을 만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좋은 고견 남겨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자이언트 상권으로서 자리매김 중인 성수동에는 거대 자본을 제외하고 소상공인들은 접근하기 힘든 상권으로 바뀌었습니다. 성수동 내에 있는 준주거, 상업지역 인근에 있는 주거지역은 뭐 말할 것 없이 이미 높은 가격대로 치솟았기에, 옆 동네인 자양4동부터 3동, 2동까지 주거지역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자양4동의 경우에는 영동대교 바로 앞부터 한강변 라인을 점유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 이곳이 20억 이상 갈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성수동 상권 + 성수 한강변 아파트의 치솟은 가격 덕분이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주거용 부동산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이미 자양동의 가능성을 보고, 선점 투자 들어가신 분들이 꽤 많습니다. 성수동을 뛰어넘을 수는 없겠지만, 준하는 수준의 가격대를 만들어 낼 것으로 보입니다. 본 영상에서는 상업용 부동산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말씀드렸지만, 주거 관련한 이야기를 해주셔서 첨언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f5qf5zg2t
@user-pf5qf5zg2t 23 күн бұрын
성수동은 좀 특수 상권인듯 하면서도 오피스상권 특색이 강한 지역 입니다. 사옥이라던지, 지식산업센터등 직장인구가 점점 늘어나니 중저가 밥집, 회식 가능한 수준의 고깃집 정도는 사업성이 있고, 주점은 큰 기대는 안하는것이.... 와인바들 망해나가는거 보면 테헤란처럼 주머니가 두꺼운 직장수요는 아닌듯 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자님, 안녕하세요! 성수동은 말씀하신 것처럼 오피스 상권의 특색이 강한 지역입니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점포들이 월~금요일까지는 크게 수혜를 입는 지역이지요. 그런데, 오피스 상권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토~일요일에는 손님이 없다는 점인데요. 성수동의 경우에는 오피스 상권이 아닌 특수 상권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일반 중저가 밥집이 들어오기에는 너무나도 값비싼 임대료, 좋지 못한 위치 등이 사업의 성패를 가르기 때문이지요. 성수 내에서 성공한 밥집들을 보면 시장의 수요와 요구에 부응한 점포들이 대부분입니다. 와인바나 고급 레스토랑은 강남으로 넘어가도 수두룩 빽빽이기에, 주머니 찬 분들은 대부분 퇴근하고 다리 건너 넘어가시는 것 같더군요. 모쪼록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 동산이형 채널에서 나오는 영상들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pf5qf5zg2t
@user-pf5qf5zg2t 21 күн бұрын
저는 요식업 10년차이고 코로나때 성수동 상권이 눈에 들어와서 2호점 자리를 몇달간 봤습니다만... 말씀 하신대로 중저가 밥집이 들어가기엔 마땅한 자리가 없더군요. 이미 오를때로 오른 임대료 때문에 타산이 안맞아서 포기했습니다. 그치만 분명한건 몇달간 성수동을 지켜본걸로는 오피스를 노리고 간 가게들은 비교적 평타 이상을 간다는 겁니다. 예를들어,저가 커피 프랜차이즈가 평일에 직장인들로 줄을 서는데 핫한카페는 주말엔 자리가 없지만 평일엔 비교적 떨어지는 현상을 자주 봤기에... 오피스를 노리는게 좀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평일에 샐러드집, 베이글집, 피잣집 손님 별루 없어요... 작은 칼국수집은 줄을 서죠. 직장수요에 비해 밥집이 너무 적기에... 유입인구를 노린 컨셉의 가게보다 오히려 그들이 원하는 평범하고 편안한 식당이 필요한 곳이라 생각이 많이 들었네요...ㅎㅎ 저는 순전히 식당 하는 사람의 눈으로 보긴 하지만....우리나라 사람들의 특성상, 먹거리가 여가에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성수동이 그런 자리를 조금만 만들어줘도 더욱 좋은 상권이 되지 않을까.....합니다.
@dongsan2bro
@dongsan2bro 21 күн бұрын
@@user-pf5qf5zg2t 요식업 10년차시면 이쪽 업계에선 꽤 잔뼈가 굵으시겠군요! 시청자님께서 말씀하신 '식당하는 사람의 시선'도 흔히 디벨로퍼나 부동산 전문가들이라고 하는 사람들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결국 디테일의 차이겠지요. 🤔 시청자님과 같은 건강한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많이 유입이 되어 성수동에 새로운 바람이 불길 소망해 봅니다. 😊
@dongsan2bro
@dongsan2bro 24 күн бұрын
*해당 물건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아래의 번호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02-356-7877*
@Come_to_my_world0501
@Come_to_my_world0501 24 күн бұрын
요긴 어디에요?
@dongsan2bro
@dongsan2bro 24 күн бұрын
02-356-7877로 연락 주시면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
@user-dr8bz1bg7n
@user-dr8bz1bg7n 25 күн бұрын
성수동은 무신사 소비층이랑 정확히 일치하지 않나? 취향이나 감성부터 소비력 다 동일 ㅋㅋ
@dongsan2bro
@dongsan2bro 22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