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억 년 전, 갑자기 죽어버린 은하가 발견되다

  Рет қаралды 182,447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우주먼지님과 함께 우주 이론을 뒤집는 은하의 발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22 은하가 죽으면 벌어지는 일
10:46 기존의 이론을 뒤엎는 은하의 발견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우주 #죽은은하

Пікірлер: 217
@boda100
@boda100 Ай бұрын
마침내 헤일메리x우주먼지 콜라보레이션 제품 출시! 보다몰 (사전 구매 10% 할인 중!) : bit.ly/3UzyHiM
@skyway220
@skyway220 Ай бұрын
오~~이번 천체 내용도 잼있어요
@user-yc1gd1fz8y
@user-yc1gd1fz8y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잘 봤습니다
@auteurism_sin7826
@auteurism_sin7826 Ай бұрын
요리프로보다 반죽 소리를 더 많이들을수 있는 먼지님 영상
@user-sz8de8hj5c
@user-sz8de8hj5c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ㅇㅈ
@norichanneru
@norichanneru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arsenale-mr1no
@arsenale-mr1no Ай бұрын
아주 좋은 댓글인데요
@figure645
@figure645 Ай бұрын
수백만도의 온도를 "미지근"하다고 표현하시는 목욕탕 열탕의 최강자
@slavetocode
@slavetocode Ай бұрын
@@figure645 시워어어언하다
@Dspellmagic
@Dspellmagic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 입니다. 매 번 유익하고 정성스런 정보를 영상으로 올려 주셔서 정말 감사 합니다. 응원 합니다.
@user-iv6um9wz1r
@user-iv6um9wz1r Ай бұрын
지웅배님 덕분에 안방에서 유트브로 편히 시청하면서 공부도 하네요~~감사합니다 ^^
@ssom4688
@ssom4688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자주 올라와서 좋아요!
@wz_mz
@wz_mz Ай бұрын
섬 우주 island universe 에서 앞으로 더 많은 발견 기대해주세요 😀
@alsid_
@alsid_ Ай бұрын
나선 은하를 젊은 은하로 표현하기엔 우주 초기의 나선 은하 비율이 너무 적지 않나요?
@SIA2501
@SIA2501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갑자기 든 생각인데 은하는 어떻게 탄생하나요?
@user-nc8mo7qk2w
@user-nc8mo7qk2w Ай бұрын
늘 감사해요. 항상 보고 있습니다. 가을하늘 무심코 올려다본 안드로메다 은하를보고 더욱 관심이 생겼습니다.
@kichancat
@kichancat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은 설명을 참 잘해주세요^^ 지웅배님 덕분에 매번 놀라운 우주이야기를 재미있게 잘 듣고ᆢ 즐기고 있습니다 ~^^
@leek35y
@leek35y Ай бұрын
시간강도좋아염
@user-eg8cr3sg2u
@user-eg8cr3sg2u Ай бұрын
굿
@hasemulee6628
@hasemulee6628 Ай бұрын
오오오
@user-ek2ps2yo4o
@user-ek2ps2yo4o Ай бұрын
1분전은 못참지
@user-bv1oi4nf3s
@user-bv1oi4nf3s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잠이 안올때 지웅배님의 목소리 듵고 잡니다 근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은하에는 1조개의 항성이 있습니다 그은하가 우주에는 1조개가 있습니다 저는 모르지만 천문학자님들의 연구결과입니다 근데 우주는 한 점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른바 빅뱅이지요 정말궁금한데요 우주의 시작이라는 그점이 1조개의 가능성은 없 습니까, 정말 궁금합니다
@rydenmark7108
@rydenmark7108 Ай бұрын
삼체가 지자룰 이용해서 지구의 과학에 혼란을 일으킨다!!
@ClTYHUTNER
@ClTYHUTNER Ай бұрын
물리학 뿐 아니라, 천문학도 방해하는건가요?ㄷㄷㄷ
@kwangsungpark4946
@kwangsungpark4946 Ай бұрын
​@@ClTYHUTNER하늘이 당신에게 윙크를 한다면?
@leesanghun598
@leesanghun598 Ай бұрын
아니지. 이 우주가 시뮬레이션인데 버그나서 멈춘거지. 좀 있으면 다시 돌아갈 것임ㅋㅋ
@yejunson5
@yejunson5 Ай бұрын
11:12
@user-ns6vl6iq2x
@user-ns6vl6iq2x Күн бұрын
아 응애에요
@pvp7600
@pvp7600 Ай бұрын
지박사님~~~~
@doltwe4891
@doltwe4891 Ай бұрын
은하 관측데이터는 어떤 시점에서 날라온 빛을 스샷의 이미지를 보고 분석하는거잔아요 그렇다면 관측하는 빛의 종류를 여러개로 나눠서 보면 하나의 은하, 별, 우주관측을 시간적 흐름의 스냅샷처럼 볼수도 있나요? 시간적 흐름으로 볼수 있는 스냅샷은 어느정도까지 볼수 있나요?
@user-wq9pk9cl9l
@user-wq9pk9cl9l Ай бұрын
오 ㅋㅋ
@HwanSangHyang
@HwanSangHyang Ай бұрын
7:13 가스 물질읗 헤짚고 나아가는데 그 가스물질이 은하로 유입되지는 않나요? +빵가루/해파리에 비유했는데, 혜성하고도 비슷해 보이네요
@djgnndjrb3955
@djgnndjrb3955 Ай бұрын
자물쇠걸기 좋은 안경테네요
@user-ud1hc2td2t
@user-ud1hc2td2t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una8298
@muna8298 Ай бұрын
점점 예뻐지시는듯
@Kevin_Kim22
@Kevin_Kim22 Ай бұрын
머리숱 축복 받으셨네요 단, 관리만 잘해주시면 이미지가 훨씬 더 세련대 보일텐데😢
@first-man0913
@first-man0913 Ай бұрын
삼체 관련 컨텐츠 언제 하실려나요😊😊
@mmmijuo5407
@mmmijuo5407 Ай бұрын
우주는 정말 신비롭군
@gamparang
@gamparang Ай бұрын
새로 발견된 죽은 은하가 기존 이론으로 완전히 해명이 안 되는 것으로 판명된 것도 아닌데 제목은 ‘은하가 죽으면 어떻게 될까’ 같은 게 더 적합해 보임… 어그로만 끄는 제목보다는 내용이 답하는 질문에 충실하게 제목을 뽑으면 관심과 흥미도 끌고 정보도 제공하는 좋은 제목이 되지 않을까…
@user-ns6vl6iq2x
@user-ns6vl6iq2x Күн бұрын
보다 자체가 제목 어그로가 좀 많음...
@user-eb8nv1it3y
@user-eb8nv1it3y Ай бұрын
옼ㅋ
@mc-dh7do
@mc-dh7do Ай бұрын
좋아하는 웅배님 지금 지구가 더 위태로워요ㅜ
@TN-rr1pe
@TN-rr1pe Ай бұрын
💜
@proximab777
@proximab777 Ай бұрын
아니 자기 개성인데 왜 자꾸 안경줄가지고 난리들인지 ㅋㅋㅋ
@user-ln2ue2kx6n
@user-ln2ue2kx6n Ай бұрын
목성 같은 가스형 행성이 태양 주위를 빠르게 공전하고 있음에도 가스가 날아가지 않고 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emotion.116
@emotion.116 Ай бұрын
천체 망원경 입문 이상 쓸만한 망원경 추천 해주실수 있나요? 저는 포천중에서도 안쪽이라 밤마다 집 옥상에서도 엄청난 별을 매일 보는데 천체 망원경으로도 보고 싶어서 사볼까 하는데 솔직히 종류가 너무 많아 뭐가 좋을지 모르겠네요
@user-qk6cb1kf8d
@user-qk6cb1kf8d Ай бұрын
안시관측위주 인지 천체사진위주일지 행성위주일지 딥스카이 위주일지 천차만별 달라집니다 아무리 비싼 망원경이라도 모든걸 만족하는 망원경은 없습니다 옥상에서도 잘 보이는 환경이라면 기동성쪽에서는 자유로우실테니 스카이워처 10인치 돕소니안을 추천드립니다 행성위주면 셀레스트론 8se 추천드립니다 돕소니안 고투는 가성비가 너무 떨어지니 수동돕으로 사시고 고투가 필요하시면 8se로 가신뒤 광시야 아이피스를 쓰셔야 딥스카이 관측이 가능할겁니다 촬영쪽은 고투 적도의가 필요한데 씨스타로 입문가능하지만 한계가 명확한 제품이고 기록촬영이 아닌 제대로된 촬영을 한다면 최소 300만원은 훌쩍 넘어갑니다
@30s-Science
@30s-Science Ай бұрын
은하를 정말 맛있게 반죽하시네요 꼭꼭 잘 씹어먹었어요 감사합니다
@user-pw6zc9nb5i
@user-pw6zc9nb5i Ай бұрын
와 그러면 타원은하도 원래 나선은하였는데 늙고 점점 중심으로 별이 모여 나선에서 타원이 되었을 수도 있다는 거네요?
@f_min
@f_min Ай бұрын
3:06 기뻐하는 지웅배님 왤케 귀엽지 ㅋㅋㅋ
@slavetocode
@slavetocode Ай бұрын
지웅배님! 은하 중심으로 모이게 되면 운동에너지가 높아져서 온도가 높아진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요! 중심으로 모인다는 것은 질량이 커지는 거고, 질량이 커지면 중력이 커지기 때문에 가스구름이 더 잘 뭉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운동에너지 때문에 가스구름이 잘 뭉치지 않는다는 해석에 대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두 번째로 은하와 은하 사이의 가스구름이 왜 뜨거운지 궁금합니다. 흑체복사하고 계속 차가워졌어야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NfK
@NfK Ай бұрын
자석 둘이 스쳐지나가는걸 생각하면 됩니다. 속도가 어느정도 빠르다면 두 자석이 가까워지더라도 붙지 않고 그냥 지나갈 수도 있죠 두번째는 제가 영상을 아직 다 안봐서 뭔지 모르겠습니다
@slavetocode
@slavetocode Ай бұрын
@@NfK 오.. 이해됐습키다. 원래 화학적인 반응을 할 때 온도가 높을 수록 잘 반응을 안하나요?
@NfK
@NfK Ай бұрын
@@slavetocode 화학반응은 온도가 높으면 잘 일어나긴 하지만 중력에 물질이 뭉치는건 화학반응이 아니죠
@slavetocode
@slavetocode Ай бұрын
@@NfK 아...ㅋㅋ 그러네요.. 일닼 제가 분자의 운동에너지(열에너지) 와 분자가 실제로 이동하는 운동량(?) 을 구분을 못하는 거 같아요. 이해 될듯 하면서도 어렵네요.
@user-jc4zq5sm3k
@user-jc4zq5sm3k Ай бұрын
저번 영상에서 블랙홀로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수있다고 하셨잖아요 그때 블랙홀의 회전속도도 줄어든다 하셨는데 만약 블랙홀의 에너지를 다써서 블랙홀의 회전이 멈춰버린다면 그 다음에 블래골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주변의 물어볼사람이 없어ㅓ 이렇게 물어봅니다
@sook8344
@sook8344 26 күн бұрын
강의 들을때는 재밌는데 시험 때는 문제 어렵게 내는 교수님 타입 같아요..ㅋㅋㅋ
@user-tj2yp2pf6r
@user-tj2yp2pf6r 13 күн бұрын
지구과학은 독학할 방법은 있나요? 흥미있어서요
@user-mv6wp5is3g
@user-mv6wp5is3g Ай бұрын
저도 쿠엔칭
@user-pw5ck6mh2g
@user-pw5ck6mh2g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항상 잘보고있어요 처음으로 댓글을 남기는데요 그럼 어린은하=나선은하 나이많은 은하는=타원은하 이면 결국 지금 현재우리은하도 많은시간이 지나면 타원은하가 되나요? 결국 우리은하도 나이가많아질테니 궁굼해요 😮
@NfK
@NfK Ай бұрын
아마 그럴거에요
@user-kr4gh5mf3j
@user-kr4gh5mf3j Ай бұрын
블랙홀이 에너지를 잃어서 물질을 붙잡을 수 없을 정도가 된다면 빅뱅 시기 처럼 물질을 퍼트리게 되나요?
@jfdkslfjdp9
@jfdkslfjdp9 Ай бұрын
🤔
@user-gx4rr2ph7l
@user-gx4rr2ph7l Ай бұрын
초기 우주의 밀도면 지금보다 중력도 엄청났을꺼고 그러면 그때의 시간의 흐름도 우리가보는 지금의 시간이랑 다른 시간의 흐름이 있지 않았을까? 지금 우리가보는 우주는 시간 계산을하는게 허무한거 같은데... 그때의 시간의 흐름을 적색편이만으로 계산하는것도 이상한걸꺼같은 무지랭이의 생각이었습니다.
@user-zr5rp6gy3f
@user-zr5rp6gy3f Ай бұрын
은하?우린 아니 지구는 태양에 손꿉만큼인데 그런 수많은 태양이.,어는. 중심에 돌고있다. 그게. 단 한개에 우리은하, , 그런 우리가.. 관측으로 증명할수 있을까? 보는것도. 힘들어. 보이는데
@user-bk7ni7kn1k
@user-bk7ni7kn1k Ай бұрын
아씨............... 어렵다... T^T
@moon0824
@moon0824 Ай бұрын
에? 쿠앤크요?
@eujin70
@eujin70 Ай бұрын
재밌다 천문학 전공할걸
@hoonlim1963
@hoonlim1963 Ай бұрын
은하도 공전을 하나요? 한다면 은하단 중심으로 공전을 하는건가요? 그럼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공전 방향이 반대라서 충돌하는건가요?궁금합니다.
@user-xq2cb6vy1i
@user-xq2cb6vy1i Ай бұрын
우리은하는 은하단을 공전하고 은하단은 초은하단을 공전하며 초은하단은 극초은하단을 공전합니다, 그리고 극초은하단은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더욱더 큰 우주의 어딘가를 공전을 하고 있다는것입니다
@NfK
@NfK Ай бұрын
⁠@@user-xq2cb6vy1i우리은하같은 대형은하 규모 이상에서는 공전 현상이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끌려가는 현상만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초은하단의 모습은 대부분 끈의 형태를 보입니다.
@user-xq2cb6vy1i
@user-xq2cb6vy1i Ай бұрын
@@NfK 우리의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고 태양은 우리은하를 공전한다는 사실은 확실히 검증된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에 그치지 않고 더욱더 큰 힘에 의하여 우리의 우주는 멈추어 있는 정적인 우주가 아니라 계속 자전과 공전을하며 움직이는것 또한 사실입니다 필라멘트와같이 연결되어 있는 관측 가능한 초은하단이 "정적"인 단 하나밖에 없는 우주를 형성하고 있다는것은, 이미 지나간 학설입니다 마치 우리의 은하가 우주에 한개밖에 없고 안드로메다 은하도 우리은하에 속해있다는 과거 무지하고 관측 기술이 부족할때의 생각 이었으나 점차 기술의 발달로 안드로메다는 우리 은하밖 다른 은하로 밝혀졌으며 그또한 우주속의 아주 작은 부분에 불가한 은하라는 사실도 밝혀지지 않았나요? 그후로 수많은 관측을 통하여 관측과,~ 실제 관측 되지는 않았으나 추측까지를 더하면 수조개의 은하가 있지 않을까? 그런것이 지금의 우주를 설명하는 정설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 사실입니다 현재는 관측 가능한 필라멘트와 같이 연결되어있는 은하단과 초,은하단등도 결코,죽어 있는듯한,정적인 우주는 아닐것으로 바라보는것이 현실적일것 입니다 우주의 빅뱅설과, 우주팽창설과 마찬가지로, 결코 정적인 우주는 아닙니다, 현 기술로서는 관측 가능하지는 않지만 관측 가능한 끝없는 이 우주도 그 어떤,알수없는 힘에 의한 공전 상호작용속에 있다는것이 점차 정설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처음에는 지구가 공전한다는 사실조차 믿지 않았는데 공전을 하고 있고 태양 또한 우리의 은하를 공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지금은 우리은하도 은하군속에 속하여 은하군 또한 상호작용을 하며 움직이고 있는것 까지는 확실히 관측되고 있는데 더 커다란 군집부터는 정적인 우주 일까요?
@realjdsn
@realjdsn Ай бұрын
왜 셔츠 사이즈가 줄었어요 ㅠㅠ 슈뢰딩거 고양이는 빅사이즈도 나와서 좋았는데 ㅠㅠ 빅사이즈 돌려주세요!
@user-ts5ee5js7i
@user-ts5ee5js7i Ай бұрын
정면처음봄
@user-lq4pu8iu5x
@user-lq4pu8iu5x Ай бұрын
3단계 문명의 은하 갈취?!
@user-nl5mw2wq5p
@user-nl5mw2wq5p Ай бұрын
웅배님 가둬놓고 썰만 풀게 해주세요
@user-yd2pd3zr3j
@user-yd2pd3zr3j 5 сағат бұрын
늙어가는 타원은하의 색이 붉은색계열이라 하셨는데 온도가 높으면 별이 잘 안만들어 진다면서요?? 그러면 은하의 색이 푸른계열이 될수도 아닌가여??
@user-sn6wp9mj8g
@user-sn6wp9mj8g Ай бұрын
은하도 둘이 만나서 병합을 하는데….
@user-bv5hc8up3h
@user-bv5hc8up3h Ай бұрын
은하는 생명이죠..
@user-mw2vf4ce4s
@user-mw2vf4ce4s 6 күн бұрын
수십 수백억년전 것을 관측한 것 가지고 연구하는 것보다 지구에 충실해야
@pepper_sound
@pepper_sound 28 күн бұрын
"나서누나... 타워누나... 눈나... 응애!!!" 오늘의 우주먼지님 멘트는 귀하군요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Ай бұрын
불끄고 퇴근한 은하
@sunshine_7665
@sunshine_7665 Ай бұрын
죽은별이나 행성도 중력을 가지나요?
@NfK
@NfK Ай бұрын
당연하죠
@banyajeong9576
@banyajeong9576 Ай бұрын
은하도 조로증이 걸리는구나
@user-uj6bq6fu7j
@user-uj6bq6fu7j Ай бұрын
우주먼지 징베입니다
@user-kj1mz9ff2g
@user-kj1mz9ff2g Ай бұрын
원시의 은하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빛 보다 공간이 빠르게 팽창했다는 건데 빛보다 빠르게 정보는 전달 될 수 없다고 알고있는데 a 위치에서 b위치까지 팽창하는 별이있고 위와같이 빛보다 빠르다면 해당 별은 본인의 빛은 볼 수 없나요? 혹은 시간이 지난후에 자신이 빛낸 불빞을 보게되나요?
@NfK
@NfK Ай бұрын
빛의 속도는 상대적이죠
@dongugkim6969
@dongugkim6969 9 күн бұрын
공간 자체는 빛보다 빨리 팽창할수 있음 하지만 이경우는 빛도 그 공간 안에 속해있어서 그건 불가능함
@user-dm5fi8zy6p
@user-dm5fi8zy6p Ай бұрын
매번 난리나는 천문학계 잔치로구나
@MyMrwoody
@MyMrwoody Ай бұрын
근데 안경끈 꼭 하셔야 되나요?
@isshoman5266
@isshoman5266 Ай бұрын
11:12 응애
@user-tc6tz5kn7i
@user-tc6tz5kn7i Ай бұрын
우주는 신비로운 샤브샤브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Ай бұрын
15:37 🎉🎉🎉
@user-kq3rl4pm9o
@user-kq3rl4pm9o Ай бұрын
형 안경줄만좀 어케해줘진짜
@noworriess6130
@noworriess6130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나이가 많은 별은 백색왜성이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타원은하가 붉은게 오히려 더 젊은 은하로 생각해야하고 밟은 블루의 색상의 나선은하가 더 오래된 은하 아닌가요??
@fester91113
@fester91113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론 밝고 뜨거운 푸른 별은 넘 커서 금방 다 태우고 뒤져요. 그런 밝은 별을 계속 본다는 건 별이 활발히 계속 맹글어 지고 있다는 거. 반대로 엄청나게 오~래 타는 적색왜성 같은 별로 갈수록 미지근하고 어둡고요. 백색왜성은 더 미지근하고 잘 빛나지도 않을 거임. 다 타고 남은 찌꺼기에 온열 조금 남은 걸꺼임
@user-uq9dk2fh7j
@user-uq9dk2fh7j Ай бұрын
우주는 정말 어떤곳일까…
@dongugkim6969
@dongugkim6969 9 күн бұрын
으 으아니 더이상 별을 만들수 없따니 이껀 말도안뙨따꾸......! 내가.....! 내가......!
@chriskim4308
@chriskim4308 Ай бұрын
질문1) 우리가 안드로메다 은하를 보면 가스층 등의 모양으로 별과 함께 은하의 모양이 보입니다. 그러면 안드로메다 은하 안쪽의 별에서 우주를 보면 까맣게 안 보이고 가스층 때문에 불투명하게 보이나요? 질문2) 우리 지구가 속한 태양계는 다른 은하 같은 가스층 같은 이물질이 없어서 우주 먼 곳을 잘 볼 수 있는 것인가요? 만약 아주 먼~ 곳에서 태양계를 본다면 안드로메다같은 가스층 없이 별 몇개만 보일까요? 궁금합니다~ 해결해줄때까지 계속 물어볼테야~~~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l5rd7js3c
@user-il5rd7js3c Ай бұрын
지구에서 보이는 우리은하의 님이 말하시는 가스?층이 은하수입니다(그게 가스층인지.. 별들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NfK
@NfK Ай бұрын
@@user-il5rd7js3c가스층과 별들의 운집이죠.
@user-ue7no6pb2b
@user-ue7no6pb2b Ай бұрын
대충 천체 사진을 보며 재밌게도...=과학자 어 그런가?=일반인
@user-cm8xn3hx4h
@user-cm8xn3hx4h Ай бұрын
우주는 끓이없이 생멸을 반복해왔다. 또한 우주는 수없이 많고 서로 영향을 미친다. 이미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okioppatv4791
@okioppatv4791 Ай бұрын
2분전이당
@kkittkkattt
@kkittkkattt Ай бұрын
별반죽은 잘 알지만 빵 반죽은 얼마나 잘하는지 지웅배의 쿡방 부탁드립니다.
@Newjeans_Elsa
@Newjeans_Elsa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이 항상 은하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라고 하시는데 혹시 다른 주제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도 있나요?
@NfK
@NfK Ай бұрын
특정 종류의 연구하는 천문학자도 있죠. 위성, 행성, 항성, 소행성, 블랙홀 등 우주 전체의 흐름을 연구하는 천문학자, 은하단을 연구하는 천문학자 등 다양합니다
@mr.h__
@mr.h__ Ай бұрын
특정한 은하의 중력권에 붙잡혀있지 않고 은하와 은하 사이의 텅 빈 우주공간을 외롭게 떠돌아다니는 항성 같은게 얼마나 있을지도 궁금해지게요ㅋㅋㅋ
@NfK
@NfK Ай бұрын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고 있긴 있습니다ㅋㅋㅋ
@Milkyway-vl1ih
@Milkyway-vl1ih Ай бұрын
난 맨날 내이름 불러줘서 좋아 ㅎㅎ
@user-bw5si7th8s
@user-bw5si7th8s Ай бұрын
제발 가마랑 머리결대로 가르마 반대로 타줘.............
@teungae6634
@teungae6634 Ай бұрын
딴건 모르겠고 안경에 끈만버리면 돌아올게
@user-ys5tg9dj1g
@user-ys5tg9dj1g Ай бұрын
아직은 안드로 메다에 있는 우주소식... 대단한 사람이란건 알았으니 좀더 쉽게 떠먹여주면 안되려나...?
@user-thesanesociety
@user-thesanesociety 22 күн бұрын
우주의 나이를 130억년으로 고정하고 풀면 답이 아닐텐데요..
@user-yy4tn3qh5m
@user-yy4tn3qh5m Ай бұрын
빛에 속도가 있잖아요? 우주 공간 아주 먼 곳에 커다란 거울이 있다 가정하고 우리가 그 거대한 거울을 망원경으로 봤을때 우리는 과거를 볼 수 있을까요?
@user-rf9sm9ol7b
@user-rf9sm9ol7b Ай бұрын
애초에 우리가 우주를 보는 게 전부 과거의 모습인데 .. 당장 태양만 해도 7분 전의 과거를 보고 있고. 당연히 볼 수 있지.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달에 거울 갖다놓으면, 지구에서 달을 볼 때 대략 2초 전의 내가 보이겠죠
@papajones2418
@papajones2418 Ай бұрын
천문학계는 거의 매일 난리나네요 ㅋㅋ
@danbipapa
@danbipapa Ай бұрын
망원경 가대 반대로 체결해주세요,
@DJO-si9uf
@DJO-si9uf Ай бұрын
웅배야 도대체 안경걸이에 왜 꽂힌거니....
@jyl2217
@jyl2217 Ай бұрын
자꾸 달랑거리면서 집중력을 흐트림
@yunkim9320
@yunkim9320 26 күн бұрын
시력이 좋으시면 상관없는데 시력이 안좋으면 저게 필요한 나이가 올것입니다 시력이 안좋으면 안경을 쓰고 가까운곳과 먼곳이 일정하게 보이는데 나이가 들거나 눈의 노화 기타 다른 이유로 눈안쪽 조리개의 조절력이 떨어지며 점점 안경을 쓰고도 가까운곳이 촛점이 안맞는 때가 오죠 휴대폰이나 책의 글씨가 흐릿하게 보이게 시작합니다 그때 안경을 벗으면 또렷하게 보입니다 다만 먼곳은 흐리게 보이겠죠 다시 안경을 써야하구요 이때의 해결방법은 다촛점렌즈를 쓰면 되는데 이게 제대로 자기눈에 안맞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지웅배님의 안경이 다촛점렌즈인지는 구별이 안되는데... 저같은경우 휴대폰을 볼때 안경을 벗어야 합니다 버스를 탓을 땐 손에 들고 있어야 하고 실내에선 책상에 두겠죠.. 그러다 잠시 벗어둔 안경을 두고 다른쪽으로 이동했다가 안경찾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책상위에둔 안경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저렇게 안경을 줄에 달아놓으면 항상 내몸에 붙어 있겠죠 본인이 하는 일과 일상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인데 그걸좀 거슬려 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user-ti8mg5io8d
@user-ti8mg5io8d Ай бұрын
우주에 대해서 제대로 떠들으려면 풀의 씨앗을 만드는 자에게 가서 물어보는게 정답 인간들은 씨앗 하나 제대로 만들수 업음
@yeowoowanabi
@yeowoowanabi Ай бұрын
쿠엔칭 타란티노
@user-td4lw5ig4e
@user-td4lw5ig4e Ай бұрын
먼지우주님 카운트다운이 보이지 않으세요??
@DayYoon1030
@DayYoon1030 Ай бұрын
은하 "발달" 이 아닌 은하 "진화"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있나요? 은하가 태어나서 죽기까지를 연구하는것이라면 발달이라는 단어가 더 어울려보이는데요..
@user-jo1sx6lf1p
@user-jo1sx6lf1p 7 күн бұрын
진화처럼 긴 세월에 걸쳐 일어나서 아닌가싶습니다
@user-xc4ig8gl6k
@user-xc4ig8gl6k Ай бұрын
뜬구름 잡는 설명
@user-bp2nh6qx8y
@user-bp2nh6qx8y Ай бұрын
어쩌면 신학이 맞았을수도 . 양자역학이 확률로 되듯이 고정적이지않는 무언가 살아있는 신적인 존재가 있는게아닐까.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Ай бұрын
신은 인간이 이해하기 힘들거나 자신이 위대한 존재이기에 너희를 지배할 정당성이 있다고 하기 위해 만들어진것일뿐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Ай бұрын
종교는 정치와 떨어질수 없는 관계이죠
@user-ti8mg5io8d
@user-ti8mg5io8d Ай бұрын
맨날 우주가 어떻다 저떻다 가설을 떠들어봐야 쓸대업는 소리임 가설은 진짜가 아닌거고 추리일 뿐이니까
@user-uu6ho1jr8b
@user-uu6ho1jr8b Ай бұрын
?안경 이상해
@TaeTae_xoxo
@TaeTae_xoxo Ай бұрын
새로운 생명을 점점 만들지 못하고 있는 대한민국도 죽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user-pq7lu7hs7v
@user-pq7lu7hs7v Ай бұрын
은하가 움직이는 것 은 그 최소 단위인 물질인 수소가 좌회전 하기 때문 이다 이는 불변의 우주 원칙에 속한다 그 물질로 이룬 것 들 모두 그 원천적인 움직임을 행하는 것 이고 불변이다 크고 강한 힘으로 우리 달과 수성 금성의 자전이 멈추어 있으나 큰 힘에 의 한 것일 뿐이다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좌회전...?? 뭘 기준으로 좌회전인가요?
@dongugkim6969
@dongugkim6969 9 күн бұрын
그리고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user-dh8fr8ox5c
@user-dh8fr8ox5c Ай бұрын
ㅋㅋ
it takes two to tango 💃🏻🕺🏻
00:1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5 СЕРИЯ
27:21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96 М.
Cat story: from hate to love! 😻 #cat #cute #kitten
00:40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땅속에 파묻힌 머리 잘린 석상의 정체
9:00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9 М.
Зу-зу Күлпәш. Санырау (13 бөлім)
40:27
ASTANATV Movie
Рет қаралды 606 М.
Дайте газа! 😈 #shorts
0:27
Julia Fu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1❤️ #thankyou #shorts
0:23
こたせな (KOTATSU&SEN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1❤️ #thankyou #shorts
0:23
こたせな (KOTATSU&SEN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Зоопарк без зверей #фильмы #сериалы
0:44
ВКРАТЦЕ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