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300권 읽은 다독가가 말하는 '책 잘 읽는 비결'

  Рет қаралды 322,906

STUDIAN

STUDIAN

5 жыл бұрын

#독서 #빡독 #빡세게독서하자
[신청하러 가기] forms.gle/kaAG8DbKC9TBpHgY9
2019년 세 번째 빡독을 시작합니다.
- 신청기간: 2019.04.27.(토) ~ 2019.05.10.(금) 24시까지
- 날짜: 2019.05.18.(토)
- 시간: 오전 9시 45분 ~ 오후 8시 30분
- 장소: 보라매 대교타워 3층 (주소: 서울 관악구 보라매로3길 23, *주차지원 가능)
★ [빡독] : 빡세게 독서, 대국민 문해력 높이기 프로젝트
- 아침부터 저녁까지 핸드폰을 끄고 함께 책을 읽습니다. 점심/저녁식사 모두 무료! 신영준 박사님, 고영성 작가님의 강연까지 모두 무료로 진행됩니다.
--------------------------------
[뼈아대] 유튜브 채널:
/ 뼈아대
★[체인지그라운드]를 구독해, 매일매일 자기성장, 자기계발, 동기부여 콘텐츠를 간편하게 받아보세요.
[체인지그라운드] 유튜브 채널:
/ 체인지그라운드
[체인지그라운드] 페이스북 채널:
/ changeground
[체인지그라운드] 광고 문의 :
info@changeground.com

Пікірлер: 168
@studian365
@studian365 5 жыл бұрын
2019년 3회 빡독 신청하러 가기>>forms.gle/kaAG8DbKC9TBpHgY9
@user-ne9it4zg5i
@user-ne9it4zg5i 4 жыл бұрын
23:20 바쁜분들은 요기
@user-dz1wt8qz9l
@user-dz1wt8qz9l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v2xt4kd1m
@user-rv2xt4kd1m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h5gm8hv6r
@user-vh5gm8hv6r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amykim3684
@amykim3684 3 жыл бұрын
와.. 2분 50초만에 끌려고 하는데, 이 댓글을 발견했네요..ㅋ 감사합니다
@user-ef7ux2np5s
@user-ef7ux2np5s 3 жыл бұрын
에이 그래도 저 뜻이 무엇인지 몸소 느끼려면 처음부터 다 봐야죠 ㅎㅎ
@so-ls9nh
@so-ls9nh 5 жыл бұрын
주옥같은 영상이네요 저장해놓고 두고두고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user-dk4nc3ib3l
@user-dk4nc3ib3l 4 жыл бұрын
작가님이 요즘 제가 가장 힘이 되어 주시고 계십니다.. 어제 완벽한 공부법 사서 읽는 중입니다! 화이팅!! 감사합니다 ! : D
@user-gg2wc6do2t
@user-gg2wc6do2t 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indsglee3320
@mindsglee3320 2 жыл бұрын
인싸이트 얻어가는 귀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작가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os4gn3dh6s
@user-os4gn3dh6s 4 жыл бұрын
책읽는 방법에 대해 이제 깨달았네요. 고작가님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1. 책보다 사람이 중요하다. - 메타인지를 높여라 2. 제너럴리스트보다 스페셜리스트가 중요하다. - 1번이랑 비슷한 맥락인거 같기도 한데... 그 분야의 책을 많이 읽으라는 뜻으로 알겠습니다. 3.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하다. - 단순 기억력이 약한 사람은 이방법을 꼭 활용해야 하겠어요. 글쓰기, 발표하기, 토론하기 등.
@user-lp1yh6zm6z
@user-lp1yh6zm6z 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odr_dreamer
@odr_dreamer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았던 이 날의 기억 감사드려요 작가님과 박사님 그리고 피디님들 모두 존경합니다🙏🏻
@user-sw4gb1ok8z
@user-sw4gb1ok8z 5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끓어서 체인지그라운드도 안보고있는데. 댓글만봐도 의미는 알거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qc9kj2rh4k
@user-qc9kj2rh4k 5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시네여 한달에 한권도 힘든데 ㅠㅠㅠ 저도 노력 해보겠습니다 ㅎㅎㅎ
@user-ov1od3yb8n
@user-ov1od3yb8n 3 жыл бұрын
내 자신을 갖춰가면서 제가 관심있는 분야의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조금씩 조금씩 하다보니, 저도 모르는 사이에 분별이 생기더군요. 작가님의 말씀을 듣고 나니, 제가 바르게 책을 읽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wj9gz7dr7p
@user-wj9gz7dr7p 5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제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영상을 보고 복잡한 고민거리들이 잘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깁니다. ^^♡♡
@sooz6840
@sooz6840 5 жыл бұрын
'컨텐츠의 미래' 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어요. 하지만 쉽게 건들여지지 않는 책이였습니다. 재미 없어보였거든요.. 고작가님의 다른 영상을 통해 이 책을 2번째 접할때도 '컨텐츠 자체가 중요한게 아니다. 연결이 중요하다'는 내용이라는데..ㅜ 사실 이 말도 이해가 안됐었어요..저게 무슨 말이야? 했었거든요. 하지만 고작가님을 믿고 가보자~ 읽기 시작했습니다!!!!! 크게 기대치 않았는데;;; ㅎㅎ정말 정말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특히 저희 회사와 비슷한 일을하는 텐센트는 더욱 집중해서 보았아요. 세계적인 회사들의 연결에대한 전략이 소름돋게 재밌습니다. 지금은 마지막 광고와 교육 부분을 읽고 있는 중이예요. 아웃풋과 재독 삼독을 통해 여러번 제 입으로 이야기 해보고 싶은 책입니다.
@user-wv9gc4me7e
@user-wv9gc4me7e 5 жыл бұрын
무지하면 거짓지식을 구분하지 못한다. 무지함은 죄다. 자기 자신에 대한
@user-pb1gm4pl2w
@user-pb1gm4pl2w 4 жыл бұрын
맞아유~ 자기 자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절이자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도리이지요
@piamina8306
@piamina8306 5 жыл бұрын
08:01 아웃풋 = 장기기억 😃❤
@user-rw9ry6hs2b
@user-rw9ry6hs2b 5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책과 관련된 유튜브를 시작했는데, 영상을 만들다보니 이것 또한 하나의 아웃풋이라는 생각이 드네요!이 영상을 보니 괜히 뿌듯해집니다>
@antic1236
@antic1236 2 жыл бұрын
종교, 철학, 고전과 같이 깊이있는 책은 완전히 내면화 될 때 까지 필사하면서 반복독서하고 과학, 소설, 에세이 같은 책은 다독이 맞는 것 같아요. 자기계발서 수천권 읽는 것 보다 제대로된 고전 한권 백독백습하는게 훨 좋더라고요.
@lavita6928
@lavita6928 2 жыл бұрын
책 많이 읽으신 분이라 그런지 말씀에 통찰이 있으시네요
@user-zk1xk2pn5t
@user-zk1xk2pn5t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듣고 갑니다.
@daeunlee8095
@daeunlee8095 5 жыл бұрын
우왓. 고작가님 더 핸썸해지셨네요!!!! ㅎㅎ 바뀐 헤어스타일이 잘 어울리세요! ㅎㅎㅎ
@user-rr9jl5yq4s
@user-rr9jl5yq4s 5 жыл бұрын
다독보다는 정독이 사고의 깊이를 더해 줍니다. 단순 지식은 유튜브에 널려 있지요. 어려운 책을 곱씩어서 여러 번 읽어 보는 것이 더 필요합니다.
@user-ux2gz7sm6z
@user-ux2gz7sm6z 3 жыл бұрын
저도 책을 스키밍 하는건 그냥 유튜브에서 정리된 지식을 보는거랑 다를바가 없다고 생각하네요.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곱씹으면서 읽게되던데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다른가봐요.
@user-qu9ny9ud9h
@user-qu9ny9ud9h 3 жыл бұрын
다독할 책도 있고 반복 해서 볼 책도 있어요
@qpalzmwoskxn-dv7zl
@qpalzmwoskxn-dv7zl 3 жыл бұрын
다독이 여러번 책보는게 아닌가요?? 무슨뜻인가요?ㅠㅠ
@sungwonbok2967
@sungwonbok2967 3 жыл бұрын
@@qpalzmwoskxn-dv7zl 다독 여러책들을 보는거말하시는듯 정독은 한책을 여러번보거나 다독보다 훨씬오래걸리더라도 그내용들을 진짜 내것으로만들어주는 느낌?인거같아여
@qpalzmwoskxn-dv7zl
@qpalzmwoskxn-dv7zl 3 жыл бұрын
@@sungwonbok2967 감사합니당!
@southpaw9312
@southpaw9312 5 жыл бұрын
크.. 피가되고 살이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user-zt3tl4ub9p
@user-zt3tl4ub9p 5 жыл бұрын
강의 정말 좋네요 책을 읽으면서 고민하던 것들이 많이 해결되네요
@skousoar
@skousoar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 5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인풋을 해도 아웃풋을 하지 않으면 제대로 남는게 없는 거 같아요.
@user-lx3vh8cy1p
@user-lx3vh8cy1p 4 жыл бұрын
아웃풋을 함께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는가?, 혹은 그런 대화가 가능한가??도 중요한거 같야요
@user-bc3dl9kh5u
@user-bc3dl9kh5u 3 жыл бұрын
일주일간 정리한 메모를 재정리하는 습관은 좋은 것 같습니다.
@user-kd8fp3uc7q
@user-kd8fp3uc7q 2 жыл бұрын
? 아웃풋을 유튜브로 하면?
@booksspace.1424
@booksspace.1424 4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책보다 쉬운 좋아하는 장르 택일하세요. 첫 권이 진짜 중요한 듯 해요.
@TV-yx4ly
@TV-yx4ly 5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thisgoni
@thisgoni 3 жыл бұрын
악서와 양서를 구별하기 위해선 사람이 중요하다 하셨는데 결국 그 구별하는 능력도 책을 많이 읽어야 길러지겠군요. 처음부터 구별하지는 못할테니까요! 따라서 독서 초보자로서 전 이 능력이 없으므로 어떤 책을 읽더라도 맹신하지는 말아야겠습니다. 그리고 차츰 키워야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user-pb8ff2vd1f
@user-pb8ff2vd1f 5 жыл бұрын
독서에 있어 내가 어떤 사람인가가 중요하다는 걸 알았어요! 내 자신의 수준을 높이는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점차 진화되어야 하는 나를 인식하게 되었어요!
@user-pb8ff2vd1f
@user-pb8ff2vd1f 5 жыл бұрын
더불어 많은 책을 읽기보다 한권을 읽더라도 그 한권의 양서에서 나에게 의미있는 언어는 선한 목표를 가지고 실천하여 100으로 내 생활화한다면 몇만권을 읽은이의 독서보다 훨씬 효과있는 독서가 됩니다!
@user-pb8ff2vd1f
@user-pb8ff2vd1f 3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아웃풋. 글쓰기한다
@booktube_afternoon
@booktube_afternoon 5 жыл бұрын
영상 업로드 될 때 마다 느끼는 거지만, 체인지그라운드 콘텐츠는 정말 좋아요, 유익합니다. 무엇보다 작가님들의 체험에서 나온 말이기 때문에 말에 힘있고, 신뢰가 가요. 참가자와 멤버들이 직접 행동으로 옮기는 모습들도 종종 나오는 데 시청자들에게 큰 자극이 될 것 같아요. 멋찜!~^^
@verahigh5020
@verahigh5020 5 жыл бұрын
쵝오
@ilovebgm-9362
@ilovebgm-9362 3 жыл бұрын
예전영상인줄모르고 재밌게 봤네요 ㅎㅎ 저도 독서하고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__^
@user-fp3fo4km8m
@user-fp3fo4km8m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zl3tc3vo3c
@user-zl3tc3vo3c 5 жыл бұрын
일주일에 서너번 글을썼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걸 썼나요??
@woodkim_osan
@woodkim_osan 5 жыл бұрын
책을 아무리 많이 읽어도 읽기만 하면 그냥 끝 .... 남는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꼭 아웃풋 , 독후감이든 토론이든 어떠한 방식이든 다시한번 생각해보고 내 뱉어 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zr4sp3qp1v
@user-zr4sp3qp1v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입니다!
@user-wn9qf5ff5e
@user-wn9qf5ff5e 3 жыл бұрын
많이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어떤 책을 읽느냐인것 같슴둥
@user-sm1ul3uc7l
@user-sm1ul3uc7l 5 жыл бұрын
저는 화폐전쟁을 참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콘텐츠의 미래는 작가님의 추천으로 한 번 읽고는 뭐라하는지 모르겠어서 연속으로 두 번 읽을까하다가 가르침이 생각나서 포기했습니다 다음에 다시 읽어볼 생각인데 요즘은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이 재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영성작가님 잘 들었습니다
@user-os5sd7iz4u
@user-os5sd7iz4u 5 жыл бұрын
저도 1년에 300권 읽던 다독가인데요. 작가님의 말에 동의하네요. 인풋만 아니라 아웃풋으로,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300권 읽은것 보다 1권의 책을 쓰기. 100번의 강의를 듣기보다 1번의 강의하기. 50개의 콘텐츠를 듣는 것보다 1번의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jriver8960
@jriver8960 5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많이 읽고 깨닫는 과정이 없으면 1개의 콘텐츠도 1번의 강의도 1 권의 책도 쉽게 나오기는 어렵겠죠? 그러나 읽는것 자체보다는 즉 읽기위한 읽기가 아니라 책을쓰고 강의하고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책을 읽는다는 자세와 목표의식이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user-xn1kg1kd1n
@user-xn1kg1kd1n 5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동안 아웃풋이 안되어서 그 수많은 책이 기억속에서 사라지는 아픔이~ㅎ 앞으로는 생각하고 소화시키는 시간을~ 적자생존~ㅎ
@user-os5sd7iz4u
@user-os5sd7iz4u 5 жыл бұрын
Justice River 공감합니다 :)
@user-os5sd7iz4u
@user-os5sd7iz4u 5 жыл бұрын
행복한 부자를 꿈꾸는 작은천사 아웃풋을 통해서 남고 나오것을 통해서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선순환이 되네요 :)
@user-jc2dz6oi4j
@user-jc2dz6oi4j 5 жыл бұрын
♡♡♡ 응원해용
@tv-db2gs
@tv-db2gs 3 жыл бұрын
요즘 독서를 하기 시작했는데 이걸 다 읽을 수 있을까, 몇 챕터 읽다가 지쳐서 과연 이걸 내가 다 읽고 변할 수 있을까 막막해지기도 하는데 ㅠㅠ 많은 도움이 된 영상입니다 ♡ 고마워요♡♡♡
@user-sc5mg6zi9m
@user-sc5mg6zi9m 5 жыл бұрын
악서를 구별하고,양서를 만나려면..그 전에 독서를 통해 선별력을 키워야 할것 같아요
@user-fq9zq6zx8o
@user-fq9zq6zx8o 5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전 역사책을 엄청 좋아하는데 뭘봐야할지 추천해주세요
@rlathdgns698
@rlathdgns698 5 жыл бұрын
사피엔스
@chae-okjeong9097
@chae-okjeong9097 5 жыл бұрын
총균쇠
@yhin747
@yhin747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두가지만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글을 쓸때는 어떻게 쓰는게 좋은가요? - 관련 강의, 영상, 책 등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커뮤니티에다가 글을 매일 올리셨다고 하셨는데.. 어느 커뮤니티인지요? - 글을 자주 쓰려면 아무래도 내가 쓴 글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빠른 피드백이 있으면 재미가 붙어서 자주 쓸 거 같은데, 마침 작가님께서 커뮤니티에 글을 쓰셨었다고 하셔서 궁금해서 여쭤봐요
@kkrrjjj3934
@kkrrjjj3934 4 жыл бұрын
독서 모임은 언제하나요? 참여방법이 궁금합니다
@user-yms1050
@user-yms1050 2 жыл бұрын
책의 내용에 따라 다르죠 저도 책을 많이 보지만 다독과 정독의 차이도 있고 비슷한 종류의 책이라면 이분처럼 다독을 하는것이 맞습니다
@jar2407
@jar2407 5 жыл бұрын
책은 목적보다는 어떻게 읽는지 그리고 제일 중요한것은 무엇을 읽느냐이다. 양서를 읽어야 한다. 양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많이 읽고 읽는 사람이 학습하는 인간이어야 한다. 큐블리케이션을 통해서 시간을 아낄수 있게 좋은 책을 선정해주시는 체인지 그라운드 고영성작가님 신영준 박사님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user-rr9jl5yq4s
@user-rr9jl5yq4s 5 жыл бұрын
더 중요한 것은 지식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천으로 옮기는 것이지요. 사회의 진보에 기여하는 그런 지성인이 되어야죠.
@user-mq3gs8iy4z
@user-mq3gs8iy4z 9 ай бұрын
그건 착각입니다. 그건 모르는데 아는 척 하는 거죠. 소크라테스는 이미 지행은 합일한다고 말했습니다. 공자도 인을 깨우치고도 하지 않을 수는 없다고 했죠. 한때 들떴던 미움받을 용기로 유명한 아들러 심리학에도 비슷하게 이야기 합니다. 결론은 하나인데, 몰라서 못하던지, 아니까 하던지입니다. 아는데 못하는 경우는 애초에 존재하지 않음이 배움의 기초입니다. 그래서 항상 못 배우면 "태도"를 탓하고 배우면 "무지"를 한탄한다고 하죠.
@user-hb9uk9ql2u
@user-hb9uk9ql2u 5 жыл бұрын
1.책보다 사람이 중요하다 양서와 악서를 구분하려면 그 분야를 잘 알아야 한다. 2. 스페셜리스트가 되어라 최소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됐을때 기준이 스고 다른분야로 확장하기 쉽다. 3.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하다. 장기기억으로 넘기려면 출력을 해봐야 효율이 좋다. 그리고 읽은것에 대해 정리가 된다.
@myongs-day
@myongs-day 5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책을 구분하는것도 어느정도 본인의 가치관이나.. 지식이 있어야 할거 같아요...그렇게 되려면 ... 기본적으로 다독을 해야 할거 같습니다 !얕은 지식으로는 구분을 못할거 같아요! 항상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yeonshilllee2239
@yeonshilllee2239 4 жыл бұрын
왜 읽고 어떻게 읽고 무엇을 읽든지간에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책을 읽고 좋은것은 취하고 나쁜것은 버리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purumethodmann9
@purumethodmann9 4 жыл бұрын
독서합시다
@user-qt4re1uu9q
@user-qt4re1uu9q 5 жыл бұрын
아니 아웃풋 즉 글쓰기가 중요하나고 알려주시는거 감사해요, 근데 서평은 어떻게 쓰는거고 글쓰기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좀 알려주세요 이게 가장 중요하지 않나요? 이걸 몰라서 알려주셔도 하고 있는 글쓰기가 올바르지 못한 방법일까봐 시작을 못합니다.
@user-dr1lg8ee4h
@user-dr1lg8ee4h 4 жыл бұрын
책을 읽는대 .. 잘못된 정보와 올바른 정보가 무엇인지.. 본인 스스로에게 질문할때.. 찾아내는게 너무 어려워요 ㅠ ㅠ
@user-gm2kc3zj4z
@user-gm2kc3zj4z 4 жыл бұрын
-어떤 책을 읽느냐보다 읽는 사람이 중요하다. -내가 누구인지. 나 자신의 수준을 높여야(메타인지를 높여야)한다. -한 분야의 스페셜리스트가 되라.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하다. [안하려는 의지가 대단하다 ㅋㅋㅋㅋ😂]
@user-ym8nk7qn7n
@user-ym8nk7qn7n 3 жыл бұрын
요약정리 감사합니다
@user-ug7we1um5x
@user-ug7we1um5x 2 жыл бұрын
속도 1.75배로 시청하니 좋으네요
@jameskim4545
@jameskim4545 5 жыл бұрын
다독해도 뒤돌아서면 까먹어서 어렵네요
@user-lm4gp8fl3l
@user-lm4gp8fl3l 5 жыл бұрын
전 궁금한게있으면 그거에 대한 책검색해서 읽어요. 윤리과목을 잘하기위해서 윤리를 배우는게 아니죠. 사람이라면 당연히 윤리를 알고 배워야죠. 전 독서도 그냥 삶과 같다고 생각해요. 져 누가 내게 물어보면 답은,해주지만 스스로말하진않는편이라 아웃풋이 적은듯.. ㅇ.ㅇ 190505 00:57
@IIllIll
@IIllIll 4 жыл бұрын
저는 좀 다른 견해인데.. 제너럴리스트와 스페셜리스트를 왔다갔다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칫 스페셜리스트로 뇌가 굳으면 변화에 대응하는데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뇌에는 항상 새로운 자극을 주어야 기발한 아이디어 발굴에 도움이 되거든요! 스페셜리스트의 함정이기도 합니다! 경제학에서 역사의 힌트가 역사에서 경제학의 힌트가 나올 수 있고, 제너럴리스트가 좋은 스페셜리스트가 되게 하는 밑거름이 되기도 하죠!
@user-xp3xl2ce8h
@user-xp3xl2ce8h 5 жыл бұрын
댓글 보면 양이나 질이냐...꼭 그렇게 읽어야 하냐 뭐 이런 의견이 분분합니다만... 고 작가님의 '어떻게 읽을 것인가' 에서 다독과 남독을 바탕으로 제 의견을 말하자면... 일단 초보독서가든 얼마 안된 독서가든 기본적으로 다독과 남독이 밑바탕이 되지 않으면 좋은 책을 골라서 여러번 읽는것은 힘듭니다. 이유는 많이 접해 보지 못했고..영상에 나온거 처럼 본인이 스페셜리스트가 되지 못했던지 또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 내지는 준전문가가 내 주위에 없으면 내가 읽고 있는 책이 좋은 책인지 아닌지 알수가 없는 거죠. 결국 자기자신이 다독을 통한 계독(특정분야의 책을 여러권 읽는것) 을 어느정도 하고 맥과, 줄기, 꽃, 열매를 구별할줄 알아야 보는 눈이 생기는 겁니다. 댓글에 좋은책 몇권 두고 계속 해서 읽지 왜 그렇게 많이 읽냐 라고 말씀하시는건 개인적인 생각에 굉장히 위험한 발언이라 봅니다. 양서든 악서든 맨 뒤를 보면 참조도서 목록이 있는데 그 책을 쓰기 위해 저자가 참고한 도서 목록이 상당합니다. 근데 책을 쓴 저자라면 단순히 참조도서 목록 이외의 책도 상당히 읽었을거라고 추측해 볼수 있는거죠. 한권의 책을 쓴 저자도 그렇게 책을 읽는데...저를 포함한 여기 계신분들이야...일단 많이 읽고 눈을 키워야 하는건 자명한거라 봅니다.
@user-om8nf6oc1d
@user-om8nf6oc1d 5 жыл бұрын
이런!!! input만 하면서 스스로 남는게 없다는 우를 범했네요... 사실 input은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되지만 output은... 머리에서 쥐납니다. 예전에 아이들에게 책읽고 꼭 독후감 쓰라고 쉽게 말하던 것이 생각나네요... 부모들도 책 읽고 독후감 써봐야 할듯해요...
@hoon7000
@hoon7000 4 жыл бұрын
머리에서 쥐나는것, 그게 바로 발전시키는 작용이 아닐까 싶어요. 그것을 긍정적으로 활용한다면 좋을거 같네요
@user-gn9mv2uk1q
@user-gn9mv2uk1q 2 жыл бұрын
독서하며 글쓰기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
@70tv26
@70tv26 4 жыл бұрын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WHAT?) 악서는 인생에 마이너스 by 파스칼 무지하면 거짓지식을 구별할수 없다 누가(WHO)읽느냐가 중요하다 {책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 내가 어떤 사람이냐가 중요하다 {제너럴리스트보다 스페셜리스트가 되자} 초보 독서가-모든 뇌를 쓴다 숙련된 독서가-독서를 할때 추론과 생각을 할수있다(깊이읽기가 가능하다 한분야의 전문가가 되면 다른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도 싶다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하다} 아웃풋-글쓰기,토론,삶에 적용하기,발표하기
@user-gx5uo1wt4b
@user-gx5uo1wt4b 3 жыл бұрын
독서를 많이 하신분이라 정리를 잘하시네요
@70tv26
@70tv26 3 жыл бұрын
@@user-gx5uo1wt4b 에규~과분한 칭찬 감사합니다~^^
@vinivisi70
@vinivisi70 5 жыл бұрын
책을선택할때 경중 나와맞을지 관심사 성향의 차이들로 선택하곤하는데...책은 가치중립적이지않다...쇼크네요....악서가 존재한다. 구분할수있으려면 얼마나 읽어야할지...
@ffas9955
@ffas9955 5 жыл бұрын
20:05
@user-wt7nu3ry7y
@user-wt7nu3ry7y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l7fs3bz6v
@user-rl7fs3bz6v 4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ㅎ나도 책제목에 '미래'들어가는거 별론데 이분도 그러네ㅎㅎㅎㅎㅎ
@user-ds6gz1rt5j
@user-ds6gz1rt5j Жыл бұрын
독서 + 글쓰기~~^^
@jeongminkim7567
@jeongminkim7567 3 жыл бұрын
사람, 스페셜리스트, 아웃풋
@neverstopit
@neverstopit 5 жыл бұрын
1.책읽는사람 수준 높히기 2. 스페셜리스트되기 3. 아웃풋식 독서하기 감사합니다
@user-rl7fs3bz6v
@user-rl7fs3bz6v 4 жыл бұрын
어떤사람이 읽느냐가 중요. 덕후(스폐셜리스트)가 독서하면 여유가 생기고 깊이 읽게 되고 넓힐 수 있음. 아웃풋이 중요ㅡ책을 읽고 얘기하거나 글을 남겨라
@kank5705
@kank5705 Жыл бұрын
고영성 작가보면 계속 개그맨 이윤석씨가 떠오름 ㅎ
@user-hp7ec5mj4e
@user-hp7ec5mj4e 5 жыл бұрын
화폐 전쟁을 읽으려고 했는데, 만약 이 책이 악서고 온갖 거짓이 점철된 책이라면.. 혹시 제대로 깊이 있게 경제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책을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차라리 경제학 개론을 읽는 편이 도움이 되는 걸까요? 돈의 역사는 읽고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계시다면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경제에 대해 너무 무지하거나 잘못 알고 있던 부분이 많아서, 이제라도 찾아서 읽으려고 합니다.
@user-pe6tc1bq4d
@user-pe6tc1bq4d 3 жыл бұрын
보더섀퍼의 돈 이란 책 추천드려요
@yeonshilllee2239
@yeonshilllee2239 4 жыл бұрын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지만, 책에는 좋은책과 나쁜책은 없다고 생각합니더 사람들의 의식의 흐름이 바뀌기 때문이지요
@haim7512
@haim7512 3 жыл бұрын
잘못된지식을 알려주는 책은 위험하지요. 다양한 사상은 관련이 없지만요
@yeonshilllee2239
@yeonshilllee2239 3 жыл бұрын
@@haim7512 잘못된 지식을 담은 책이 출판되었다면 그 출판사는 ㅎㅎ 제가 말하는 좋은책과 나쁜책의 의미는 댓글을 다신 님이 생각하시는 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네요 님의 생각이 옳다ㆍ그르다' 라고 표현하기 보다는 받아들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 되어질 수 있겠군요
@user-zq5tm8vy3o
@user-zq5tm8vy3o 5 жыл бұрын
컨텐츠미래를 보면서 번역본은 역시 책의 퀄리티를 떨어뜨리는것 같네요
@hoon7000
@hoon7000 4 жыл бұрын
*책에 미래 라는 말이 들어가면 싫어한다. 컨텐츠의 미래, CONTENT TRAP *자주 언급되는 책이 명저다
@ImmunoassayLab
@ImmunoassayLab 3 жыл бұрын
7:43
@user-dr5qu9xl1d
@user-dr5qu9xl1d 4 жыл бұрын
책보다사람이중요
@user-sh6nb5dc2j
@user-sh6nb5dc2j 2 жыл бұрын
5:42
@user-sz3xe2jr3l
@user-sz3xe2jr3l 4 ай бұрын
14:58 16:40 18:19 19:05
@user-sz3xe2jr3l
@user-sz3xe2jr3l 4 ай бұрын
20:05
@user-bi8jd7ug3b
@user-bi8jd7ug3b 5 жыл бұрын
저 개인적 생각으로는 독서는 who 가 중요한 것 같아요... 누구와 같이 읽느냐, 그냥 누구와 공감을 가지냐. 책을 읽는 작가와 대화하거나.. 이 모든 것이 who와 연결되지 않느냐라고 생각이 드네요^^
@user-bi8jd7ug3b
@user-bi8jd7ug3b 5 жыл бұрын
초반부만 보고 댓글 적었는데 중간부보고 작가님 who라는 말을 보고 갑짝 놀랐네요 ^^ 스케일과 콘택츠의 미래는 명저이기한데 읽어보니 복잡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이해하려면 2번 이상읽어야지 이해가 된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1번 읽고 이해하기는 어려운 책들이었습니다 ^^
@user-pp3fu4fi1q
@user-pp3fu4fi1q 3 жыл бұрын
1. 양서와 악서를 잘 구분해서 읽어야 한다. 2.한분야 깊이 파라 3.아웃풋은 필수다. 인풋만하면 지식은 금방 휘발된다.
@dualipabffruna4216
@dualipabffruna4216 5 жыл бұрын
2둥
@jw-fd2gc
@jw-fd2gc 3 жыл бұрын
어쩐지.. 화폐전쟁 유명해서 굳이 돈주고 사서 읽었는데 읽을수록 음모론 같아서 읽다 말았는데, 내 느낌이 맞았군..
@nanadopostit1695
@nanadopostit1695 2 жыл бұрын
11분 35초에 콘텐츠에 미래 책ㅋㅋㅋㅋㅋㅋㅋ
@user-ph9uw9ug9g
@user-ph9uw9ug9g 3 жыл бұрын
난 속독, 다독, 정독이 다 필요하다고 보는데 나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은 없는게 외롭다
@changsungyub4212
@changsungyub4212 3 жыл бұрын
다 되면 베스트긴하죠ㅋㅋㅋ
@Gos-rw8oy
@Gos-rw8oy Жыл бұрын
Why 독기서법 , how 독서법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Жыл бұрын
책을 정독하되 짧은시간에 많은양을 정독하고 책을 정독하는 시간을 늘리려면 어떻게하나요? 쉴대로 쉬고 책을 정독하는데 책을 정되하기 싫어지고 책을 정독한다해도 짧은시간에 많은양을 정독하지 못하고 책을 정독하는 시간이 짧아요.
@thisgoni
@thisgoni 3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화폐전쟁이 악서라니.... 충격이네요 그 이유가 궁금해집니다
@jw-fd2gc
@jw-fd2gc 3 жыл бұрын
읽다보면 점점 음모론으로 빠집니다..
@narin178
@narin178 5 жыл бұрын
너무 움직여서 잘안들어와요… 뭔가 좋은말을 하시는것같기는 합니다.
@JUN_SEOP1008
@JUN_SEOP1008 4 жыл бұрын
여러분 갓종대왕님은 책 1권을 100번을 읽으셨습니다.
@user-pu1lm5zm5d
@user-pu1lm5zm5d 4 жыл бұрын
허허...
@JUN_SEOP1008
@JUN_SEOP1008 4 жыл бұрын
@@user-pu1lm5zm5d ㄷㄷ
@user-ph9uw9ug9g
@user-ph9uw9ug9g 3 жыл бұрын
대왕님...
@user-bc9ni9hm6h
@user-bc9ni9hm6h 4 жыл бұрын
책 읽기 비결 말고 유튜브 보기 비결은 없나요? 😅 책은 읽기가 너무 힘드네요.
@user-eu7wr6jz9s
@user-eu7wr6jz9s 3 жыл бұрын
아니 왜 이렇게 움직이나요..ㅠㅠㅠ
@homerunball1128
@homerunball1128 4 жыл бұрын
1년에 300권이면 1년 내내 읽고있나
@homerunball1128
@homerunball1128 4 жыл бұрын
아웃풋까지 하면 그냥 책에 미쳐사는건가
@user-ht3rw7og3i
@user-ht3rw7og3i 5 жыл бұрын
친구한테 돈백걸고 한달동안 31권 못읽으면 가져가라하면됨
@jriver8960
@jriver8960 5 жыл бұрын
이 강연자(작가)분 이름이 뭐죠?
@user-iz2cg1hv6p
@user-iz2cg1hv6p 5 жыл бұрын
고영성 작가님 입니다.
@user-yr1jd1np6q
@user-yr1jd1np6q 3 жыл бұрын
누구 닮은거 같은데
@jiwonkim5644
@jiwonkim5644 3 жыл бұрын
박완규
@user-sb3sj1di2s
@user-sb3sj1di2s 2 жыл бұрын
너무 쉽지 않아? 1일 1독서...만화책보면 되지.ㅋㅋㅋ
@infp3054
@infp3054 4 жыл бұрын
독서는 하우지 ㅋㅋ
@user-xp3xl2ce8h
@user-xp3xl2ce8h 5 жыл бұрын
음...독서를 잘하는 법의 3가지인 1) 책 보다 사람이 중요 하다 2) 제너럴리스트보다 스페셜리스트가 중요 하다 3)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 하다 인데...제가 내린 결론은 결국 '1) 책 보다 사람이 중요하다' 를 추구 하기 위해 '3) 인풋보다 아웃풋이 중요하다' 를 수행해서 '2) 제너럴리스트 보다 스페셜리스트가 중요하다' 를 거쳐야 할 거 같습니다. 요약하면 영상의 순서는 1) -> 2) -> 3) 으로 소개 하셨지만 실질적으로는 3) -> 2) -> 1) 의 과정인거 같습니다. 저는 현재 다독과 남독 중 입니다. 어떻게 보면 돼지, 말, 소 처럼 구유에 머리 처박고 찹찹 거리며 먹듯이 보는데...이것도 읽고 싶고 저것도 읽고 싶고 합니다 ㅎㅎ 조절 하면서 서평도 써가면서 읽어야 겠습니다 ㅋ
@hyunseokim1253
@hyunseokim1253 3 жыл бұрын
빡세게 독서하자 빡독입니까?
@user-ly5ht4uv3w
@user-ly5ht4uv3w 3 жыл бұрын
1
독서는 '일'이어야만 한다 (최재천 교수 레전드 강연)
39:15
Is it Cake or Fake ? 🍰
00:53
A4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103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이걸' 아는 사람은 미친 경쟁력을 갖게 됩니다.
25:02
How to read books well | Kim Bong Jin 'How to read books' Author | Home 902 times of Sebasti
18:53
진짜 퓨처셀프로 살아가는 구체적인 방법
35:57
스터디언
Рет қаралды 33 М.
Is it Cake or Fake ? 🍰
00:53
A4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