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건축계의 암흑기, 우리 소규모 건축사사무소 살아 남을 수 있을까? 사태 분석 + 생존 팁! [아키리즘, 블랙]

  Рет қаралды 15,666

PHM TV

PHM TV

Күн бұрын

#설계사무소생존기 #건축계 #건축경영 #아뜰리에 #설계사무소
검은기운의 겁 없는 이들이 모였다! 세상의 흐름을 건축으로 읽어 보는, 지적 허영 만땅의 잡담 유희, 보는 팟캐스트 Archirism Black! 건축계 암흑기가 예상되는 2023년, 우리 회사 생존 팁을 알려드립니다.
준비 없으면, 끝 지금 부터 준비하세요!
* 팟캐스트
www.podbbang.com/ch/1778992?e=...
* 출연
윤근주 건축가 (일구구공 도시건축, 1990uao.kr/)
김성우 건축가 (공유건축, gyarch.com/)
박현진 건축가 (hjp건축, www.hjp-architects.kr/)
공경태 (PHM, phmkorea.com)
00:00 하이라이트
01:07 요즘 설계사무소 근황 (얼마나 어려운가?)
04:56 이렇게 어렵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현상 분석
14:20 암흑기를 타파할 만한 팁
29:53 설계사무소 소셜미디어는 필수일까? 선택일까?

Пікірлер: 45
@21MARCHK
@21MARCHK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게 재밌게 잘 봤습니다 ㅎㅎ 영상 보니까 예전만큼 탈건을 생각하기보단 건축 괜찮은 것 같네요. 산업으로, 사업으로의 건축도 편하게 이야기 해야 할 시대가 온 것 같아요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minkykim4304
@minkykim4304 Жыл бұрын
박소장님 너무 재미있어요~~~ㅋㅋㅋㅋ 픽픽 웃으면서 많이 깨닫는 내용이네요. 직원들에게 운영에 대해 알려줘야 할지, 디자인만 가르쳐야 할지 그것도 나중에 회사운영에 고민에 되겠네요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주변을 밝게 만드는 능력을 가진 예능 건축가 ㅎㅎ
@user-pd6pw2zp8d
@user-pd6pw2zp8d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학생 경영 관련 수업을 해야합니다. 단순히 디자인만 잘하면 된다는 환상? 순진한 생각으로 업계에 나와 자기 사무소 운영하게 되면 피봅니다. 혼자 일하면 혼자 피보면 끝이지만 직원이 있으면 큰문제죠. 그리고 소장이 고상한 척 책상에만 앉아 있으면 안됩니다. 디자인을 하고 싶으면 운영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두고, 그게 안되면 출연자가 말한 것처럼 춤을 추더라도 일거리 따와야 합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환상? 보다는 현실에 대한 이해를 가르치는 것은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user-pd6pw2zp8d
@user-pd6pw2zp8d Жыл бұрын
@@phmtv 최소한 이런 논의가 협회를 통해 이야기되어야 하는데 개업 관련 교육은 협회의 업무라고 생각하고요. 근데 밥그릇만 관심있어서 정작 회원비내는 건축가은 안중에도 없고. 이번 의무가입 역사에 부끄러울 짓을 지른 겁니다.
@kg7749
@kg7749 Жыл бұрын
학생들에게 경영을 가르치기전에 부당함이 뭔지를 먼저 알려줘야 될것 같습니다. 여전히 소위 작가 사무소들과 교수님들은 무급으로 학생들을 쓰고 있고 준다고 한들 최저임금도 안되는 돈으로 일을 시키는게 현실이죠. 여전히 많은 학교들이 졸업을 위해 필수로 들어야하는 과목들에서 조차 재료비, 레이저컷, 3D 프린터비들을 학기에 적게는 수십만원 많게는 백만원대 비용을 학생들에게 부담시키도 있죠. 건축과 5년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건축 저변에 부당함을 그냥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훈련을 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얼마전 학생들과 진행하는 Upenn 에서의 한 렉쳐에서 한 교수가 학생들에게 사람들은 모두가 삶에 대한 가치를 선택을 한다 그리고 너희는 돈을 못버는 선택한거다 라고 한 말이 떠오르네요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부당한 대우는 건축 업계를 넘어 사회 전반에서 없어져야하는데 말이죠.ㅜㅜ 마지막 말이 뼈를 때리네요.
@kg7749
@kg7749 Жыл бұрын
@@phmtv 다행이 그 교수는 그 렉처가 온라인에 올라오면서 무급인턴과 학생들을 사용한게 문제되어 학교에서 퇴출당했습니다
@scale1522
@scale1522 3 ай бұрын
저희 설계교수님들 중에는 사무소를 직접 운영하시는 분들이 교수님으로 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교수님께서 가끔씩 사무소 운영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었죠.
@kimddonghee
@kimddonghee Жыл бұрын
최곱니다
@Exynos3
@Exynos3 Жыл бұрын
건축, 건설, 토목, 부동산까지 다 수주산업에 건설 경기와 연관이 깊어서 역시 복합적인 이야기가 여러가지 많군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그래도 23~25년 부터 시장금리는 더 낮아지고 22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사람이 0809년도 같이 저금리에 양적완화를 추진하는것을 주도한 사람이 받은것을 보면 미국 금융기관부터 코로나로 인한 협조융자를 풀어 놓은것이 부담되어 정부와 연방은행에 금리인하 압박이 있고 계속 돈은 풀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m2 광의통화상 인플레가 매우 심해서 건축비 인상부담이 계속 늘어나는것은 어떻게 하기 힘들어 보이지만요... 그리고 이때 독일이나 미국같은 건축, 건설, 토목 산업 운영체제 변화의 기회일수도 있지 않나 싶네요 설계비부터 현실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기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
@junghwankim4197
@junghwankim4197 Жыл бұрын
프랑스에서 공부를 마치고 사무실을 개업했습니다. 항상 고민되고, 무거울 수 있는 현실적인 주제를, 건축가분들이 솔직하고 흥미롭게 이야기해 주셔서 너무 좋습니다. 인스타그램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이 채널을 통해서, 출연하신 소장님을 알게 되었고 협업이 잘 진행이 되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아무쪼록 같이 잘 살아 남아 훌륭한 건축물들을 만나보기를 기대합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한국에서 개업하신거라면, 저희가 이번에 아뜰리에 캠프라는 걸 진행하는데, 참석해 주셔도 좋을 듯 합니다. 캠프 홍보 내용 입니다. forms.gle/JR8NJmLiWVwxVgi7A 다양한 의견 남겨주시면, 영상 만들때 많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
@junghwankim4197
@junghwankim4197 Жыл бұрын
@@phmtv 프랑스에서 개소를 해서 일하고 있습니다. 아쉽지만 상황적으로 지금은 힘들거 같네요. 프로그램 봤는데 저같은 초보사무소소장님들께 도움이 될 만한 실무적인 내용을 다루는거같아 더 아쉽습니다. 성공적인 워크샵이 되길 바랍니다 :)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junghwankim4197 나중에 한국 방문하시게 되면, 꼭 한 번 출연해 주셔서 프랑스 이야기 들려주세요 :) 응원하겠습니다!
@choievelyn3228
@choievelyn3228 2 ай бұрын
프랑스 건축사로서, 한국에서 개소가 가능한지도 궁금하네요 😊
@junghwankim4197
@junghwankim4197 2 ай бұрын
@@choievelyn3228 프랑스 건축사는 한국에서 인정이 되지 않아 한국에서 프로젝트 진행 시에 한국 건축사 사무소 개설자와 같이 공동으로 업무를 수임 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랑스 건축사 단독으로는 건축사 사무소로는 개업을 할 수 없고, 다른 한국 건축사와 같이 개소를 한다던지, 다른 예로 보면 디자인 사무소나 연구소 같은 직종으로 사무소를 개업 한 후에 한국건축사사무소와 협업을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
@user-qh8xo7be5c
@user-qh8xo7be5c Жыл бұрын
재밋게 잘봤습니다. 아는 지인 인연으로 소위 상위 건축가에게 설계를 의뢰하게 되었습니다. 실평수 56평정도 되는 주택입니다.저도 처음에 약간 거부감도 들고 선입견이 있어서 젊은 건축가에게 가려고 했지만 나이도 있으시고 경력도 화려하고 하신데도 의외로 겸손하시고 철학에 설득되어 동의하게 되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건축비가 많이 상승되어 추천시공사나 일반시공사에 맡길 능력이 안되더군요. 설계에 돈은 아끼지 않은걸 후회하지 않습니다. 자금압박으로 독한마음먹고 열심히 준비해서 직영으로 공사할 마음으로 가고 있는데 건축가분에게는 말을 못했네요.겸손하시고 그러지만 나이도 있으시고 세세한 소통은 와이프는 잘하는데 저는 좀 그래서요. 여기에 나오시는 분들도 이분야에서 자리잡으신 분들인데 설계를 정성스럽게 했는데 시공자가 직영으로 한다면 어떤생각이실가 궁금합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고민되시겠네요. 다음 녹음 때, 물어보도록 하겠습니다~~
@l2archive
@l2archive Жыл бұрын
공유 김성우 소장님 오랜만에 뵙는게.. 영상으로 뵙네요.. 건축쪽에 오는 영향들이 저희쪽에도 오기에. 내년 많은 걱정이 많은게 사실입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큰 영향 없도록 응원하겠습니다~^^
@ddachilee4971
@ddachilee4971 Жыл бұрын
시공/설계 무엇이든 경영은 기본으로 깔고 가야됨 경영이 곧 운영이니 학생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되긴 함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정말 디자인 능력만 믿고 사회 나와 사무소 오픈하게 되면 크게 다치는 일이 발생하는데, 다치는 일 없게 학교 과정에서 1과목이라도 넣어야 합니다.
@ddachilee4971
@ddachilee4971 Жыл бұрын
@@phmtv 사무소 오픈이라기 보단 그냥 업무를 보더라도 경영기초는 갖춰야 된다봅니다. 교수님들껜 죄송한 말이지만 현실성없이 설계철학만을 강조하시는걸 많이 보았는데 애들이 막상사회나와서 1년이내에 그만두는게 철학적 설계만 강요받다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quartz-hong
@quartz-hong Жыл бұрын
이제 막 꿈에 부푼 고3 건축학과 합격생에게 충격을 주네요.ㅠㅠ 그렇다면 대학에 갔을때 교양으로 경영수업을 들어 사업 생태계를 익혀야 겠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합격 너무 축하드립니다~~🥳🎉🥳🎉 훗날 졸업하시고 사무소 오픈하시면 저희 채널 출연해주셔서 경영 수업의 효과에 대해 꼭 이야기 해주세요~~
@AnsenTube
@AnsenTube Жыл бұрын
결국 디자인적으로 설계적으로 잘해도 인적네트워크가 필요하다라는걸 또 깨닫는 계기가 됩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건축도 사업이니 인맥이라는 것을 무실 할 수 없는 거 같습니다. ^^
@kiho863
@kiho863 Жыл бұрын
어렵다고 하지만 여태 어렵지 않았던 적이 있었는지... 유명 또는 해질려는 건축가?가 언론에서 나와서 연예인처럼 변하여 버린 세상이죠. 대한민국의 건축가?가 과연 사회의 아픔과 문제에 대하여 얼마나 고민하며 나름 대안을 제시한 적이 있었는 지 궁금합니다.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며 조금이라도 보다나은 사회로 가는 데 보탬이 되려고 한 적이 있었는 지... 예를 들면 세월호때 진도에서 가족들이 서로간의 간극도 없이 짐승우리같은 체육관에서 지낼 때 할 줄 아는 설계안으로 한 번이라도 계획안을 낸 적이 었었는 지 재건축이란 돈의 논리로 자연을 훼손할 때 또다른 대안을 고민하며 목소리를 낸 적이 있었는 지... 여하튼 어릴 때 사무실에서 욕?하면서 나는 소장님처럼되지 말아야지라고 생각했는 데 어느듯 세월이 지나고 보니 나도 그 소장님과 별반 다르지 않으니 할 말도 없습니다만 지금의 건축가란 분들이 건축가란 단어가 주는 의미와 정의를 생각하며 나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사회의 이익도 고민하는 개인과 잡단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의 반성이기도 하고 ㅡㅡㅡ 쓰고 보니 방향도 다르고 내용도 장황하게 되어 미안합니다.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시대의 아픔과 함께하는 건축가, 너무 멋진 것 같습니다^^
@arch_-sz8xk
@arch_-sz8xk Жыл бұрын
제목오타 ?
@phmtv
@phmtv Жыл бұрын
^^;; 네 급하게 제목 수정하면서 오타 났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u6ii6bo5c
@user-xu6ii6bo5c 11 ай бұрын
소규모는 다 어려움,, 어느 업종이나,,,,,,
@depil7392
@depil7392 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아파트 때문에 좋은 건축가가 많을 필요가 없어요
@phmtv
@phmtv 9 ай бұрын
더 좋은 환경의 아파트를 위해서 많은 건축 전문가들이 많이 사용되어지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해외의 경우는 유명 건축가들이 만든 아파트도 많이 있거든요. 건설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만들어져서 제공되는 아파트와 건축가들의 설계를 거쳐 제공되는 아파트이 적정 비율로 공존하게 되면, 서로 비교되면서 시너지 효과도 있을 거라고 봅니다^^
@depil7392
@depil7392 9 ай бұрын
@@phmtv 없읍니다
@phmtv
@phmtv 9 ай бұрын
있읍니다. 국내외 건축 전문가 모두가 노력하는 것이고 그 결과가 해외만큼은 아니지만 조금씩 주거 공간에 대한 인식과 시도 등 변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공공주택설계공모전은 많은 젼화와 지원 등 손볼 곳이 있지만 좋은 시도의 예입니다.
@user-wz2nw4yu8t
@user-wz2nw4yu8t 8 ай бұрын
소장님들 자존심은 겁나쎄고, 영업은 할생각은 없고 ㅋㅋ 폐업속출나는거쥐뭐~ 안봐도 비디오 ㅎㅎ 소장님들 건축 다 때려치고 쿠팡가서 택배상하차나 하세요~
@user-wz2nw4yu8t
@user-wz2nw4yu8t Жыл бұрын
건축사 다른 모든 전문직종들 전부 공인중개사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 어쩐다냐 ㅋㅋ 따기는 힘들고 실속은없고 양극화 그들만의 리그 ㅋㅋ 답이없구나 해마다 계속 건축사 쏟아져 나오고 레드오션으로 변해가고있는데 ㅋㅋ 어쩐다냐?캬캬캬캬 설계수주 따내도 단발성이고 ㅋㅋ 답이없네 ㅋㅋ
@user-jv4nw9lg9t
@user-jv4nw9lg9t Жыл бұрын
고리타분 하네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91 МЛН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Ultimate Cookie Blizzard 🍦🍦🍦 54
0:10
Ice Cream Man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2000000❤️⚽️#shorts #thankyou
0:20
あしざるFC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ШАШЛЫК ВСЕМУ ГОЛОВА
0:16
KINO KAIF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Чудовищный нож на азоте "Оса" 🔪🔥
0:30
СПОРУ НЕТ!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