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년 동안 풀리지 않던 5차 방정식을 며칠 만에 풀어버린 비운의 천재 수학자 '갈루아' | 이야기 수학사 | 넘버스

  Рет қаралды 571,572

EBS Collection - Nature

EBS Collection - Nature

Жыл бұрын

에바리스트 갈루아(1811.10.25~1832.5.31)는 프랑스의 사회운동가이자 수학자이다.
갈루아는 10대 시절에 수학의 오랜 난제였던 5차 이상의 고등 다항식을 거듭 제곱근의 해로 나타낼 수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밝혔다. 이 과정을 통해서, 갈루아는 수열을 특정한 수학적 조건에 따라서 묶는 방법을 가리키는 군(프랑스어: groupe)이란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갈루아의 연구는 추상대수학의 주요 분야인 갈루아 이론과 군론의 기반이 되었으며, 하위 분야인 갈루아 접속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당시 프랑스는 루이 필리프 1세가 왕으로 있던 군주제였는데, 갈루아는 이에 반대하는 급진적인 공화주의자였다. 사랑에 빠진 갈루아는 21세에 결투로 복부에 총상을 입고 짧은 생을 마감하게 된다.
#수학 #방정식 #대수학

Пікірлер: 445
@poby_polar_bear
@poby_polar_bear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전공했던 사람으로서 갈루아가 일찍 죽지 않았다면? 오늘날 수포자가 더 많이 생겼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nh5lq8cd1q
@user-nh5lq8cd1q Жыл бұрын
대결 상대가 미래에서 온 수학과 학생이리고 하더라구요
@comfortlife9152
@comfortlife9152 Жыл бұрын
진지하게 수학교과서 대수 함수의 분량이 최소 2배는 늘었을거라 생각합니다 40살까지만 살았더라도
@user-wt4nm4kr3l
@user-wt4nm4kr3l Жыл бұрын
수포자로써 갈루아가 태어나지 않았어도 난 수포자의 길을 걸었을겁니다.
@Busan18009
@Busan18009 Жыл бұрын
@@user-wt4nm4kr3l 수포자로서*
@breakthrough6271
@breakthrough6271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user-wr7gw2jq1u
@user-wr7gw2jq1u Жыл бұрын
가끔 역사를 보다보면 영화보다 훨씬 더 영화같은 순간들이 있는거 같다 300년동안 풀리지 않던 수학의 난제를 죽기 하루전에 해결하며 다음날 죽음을 맞이하는 천재수학자 안타깝다.. 그가 계속해서 살았다면 오일러같은 업적을 수학사에서 남겼을까? 몇백년전의 수학사의 한 단면을 이 다큐로 알게 돼면서 너무 이른 나이에 죽은 천재수학자에게 깊은 애도를 보낸다...
@dri13829
@dri13829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자기가 죽을 것을 직감 했기에 자신이 일평생에 걸쳐 증명할 것을 미리 증명 하고 떠난 것이라 봅니다. 한마디로 갈루아가 죽기 전 마지막으로 남긴 논문이 갈루아가 가지고 있던 사상의 정수라고 봅니다.
@roofrangers2033
@roofrangers2033 Жыл бұрын
맞음 공부가원래 시험전날 잘됨
@user-en4yg9mx4n
@user-en4yg9mx4n 10 ай бұрын
나는 경이적인 방법으로 이 정리를 증명했지만 이 책의 여백이 너무 좁아 여기에 풀이를 적지는 않는다 이정도 떡밥은 던저야 진정한 수학자죠 358년 동안 후대 수학자을 물먹은 페르마 형님
@777-ve4dr
@777-ve4dr 7 ай бұрын
아직 영상을 보고도 이해를 못하네요. ---- 오일러 같은 업적을 남겼을까?가 아니라 이미 남겼습니다. --- 갈루아는 대학교수가 감도 못잡는 이론인 "추상대수학"을 세상에 있은 적도 없는 새로운 개척분야를 대학도 제대로 안다니고 만든 것입니다. 이 추상대수학 이론은 세계 3대 수학자라는 "뉴턴"은 감도 못잡고 저걸 보여줘도 무슨 뜻이지도 어떤 응용이 되는 줄도 전혀 모르는 당시 최고 난제의 새로운 수학입니다. --- 대학도 제대로 안다닌 사람이 20살의 나이로 세계 최고 난이도 수학분야를 스스로 만들었다는게 상상할 수 없습니다. ---- 여러 업적으로 보면 오일러가 훨씬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그 난이도를 보면 단 1개 일지라도 갈루아의 업적이 더 우수한 것을 남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아마 5천년 인류 역사를 통틀어 단 1개의 업적(수학)을 보자면 단연 갈루아의 저 추상대수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정도입니다. -
@yagum3370
@yagum3370 3 ай бұрын
갈루아의 죽음은 베일에 싸엿지만 가장 유력한 설이 시체팔이용 자살이 가장 유력해요.. 당시 언론에서도 그렇게 보도기도 하고.. 평소에 내 시체를 이용해 폭동을 일으켜라 하고...했고요... 또 결투 한다고 무조건 죽나요.. 케플르인지.. 야코비 인지 유명한 어떤 수학자는 결투에서 13전 전승하고 오래 살았어요
@user-fg7rb9sm6c
@user-fg7rb9sm6c Жыл бұрын
5차방정식의 비가해성 대수학 공부해보니 정말 아름다웠던것 같음..
@chh6028
@chh6028 Жыл бұрын
군과 체의 대칭성하며... 3학기 마지막을 5차다항식 비가해성증명으로 끝나는데 엄청 짜릿했던 기억이 나네요. 학부시절 그립네요 ㅎㅎ
@user-fg7rb9sm6c
@user-fg7rb9sm6c Жыл бұрын
@@chh6028 대수도 재밌었지만 개인적으로 topology하고 해석이 제일 재미있었습니다. ㅎㅎ
@chh6028
@chh6028 Жыл бұрын
Munkres 삽화 좋았던 기억나네요 ㅎㅎ 간만에 책을...ㅎㅎ
@user-dc6op6hk5z
@user-dc6op6hk5z Жыл бұрын
우왕 여기 대단한형들많네 ㅎ
@user-yl9ij3mp3h
@user-yl9ij3mp3h Жыл бұрын
@@YHWHYHWH 미쳤나 보네...
@user-lg7sf1sp4e
@user-lg7sf1sp4e Жыл бұрын
교수가 논문을 두번이나 잃어버리다니 그건 선넘었지,, 눈앞이 아득하다
@jamesclerkmaxwell6874
@jamesclerkmaxwell6874 Жыл бұрын
멍석말이해서 존나패도 무죄줘야지..
@user-ni3ne4vw5o
@user-ni3ne4vw5o 10 ай бұрын
교수가 쓰레기라고 버렸을 수도
@user-vg3yl9sd2o
@user-vg3yl9sd2o 9 ай бұрын
잃어버렸다는 걸 믿어야 함? 조금 고쳐서 지꺼라고 하려고 금고에 넣어놨겠지. 억지라고? 남의 작품을 잃어버렸으면 그게 오해라도 감수해야지. 아무런 책임도 안지는데..
@kdy2506
@kdy2506 9 ай бұрын
백업은 필수
@user-ou5xy6ub3i
@user-ou5xy6ub3i 3 ай бұрын
쓰레기라고 생각해서버림 가우스도 버림 ㅋㅋ
@user-zt5of2ur3m
@user-zt5of2ur3m Жыл бұрын
대체 수학자들의 눈에는 세상이 어떻게 보이는걸까? 참 다른 세상을 살아가는 거 같다.
@user-oj4fd1jn4u
@user-oj4fd1jn4u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다큐. 추천합니다.
@fisher100
@fisher100 9 ай бұрын
넘버스 풀버전으로 묶어서 vod 판매 해주세요.. 예전엔 옥수수tv같은데서 봤었는데 ㅠㅡㅜ
@lilyomish
@lilyomish Жыл бұрын
이 다큐는 참 볼때마다 뭔가 슬픔이 밀려옴
@minggumalam4363
@minggumalam4363 10 ай бұрын
인생도 사랑도 한껏 불태우고 사그러지지만 수학은 언제나 호기심을 이끌어내죠. 그 영혼의 마지막 불꽃이 재가 되는 그 순간까지도 해답을 향한 열정을 품은체..
@mustafahassan5913
@mustafahassan5913 Жыл бұрын
EBS랑 KBS는 이런 다큐에 집중해야함 👍
@user-xg9ow1sl7b
@user-xg9ow1sl7b Жыл бұрын
특히 개비에스.. 티비 조선에서 기자나 영입하고. ㅉㅉ
@joshkerr1013
@joshkerr1013 Жыл бұрын
정답 이상한 예능은 적당히 하기를
@user-uj3zs6wj5g
@user-uj3zs6wj5g 10 ай бұрын
​@@user-xg9ow1sl7bㅌㅈㅌ😅
@user-uj3zs6wj5g
@user-uj3zs6wj5g 10 ай бұрын
​@@joshkerr1013ㅡㄷ
@user-ri9tr1qv2m
@user-ri9tr1qv2m Жыл бұрын
오늘 잘때 다시봐야지
@user-uw1fm1bf5y
@user-uw1fm1bf5y Жыл бұрын
수학 석사까지 하고 현업에서 머신러닝 엔지니어로 근무중인데 이게 왜 내 영상으로 추천됐는진 모르겠지만 오랜만에 가슴이 뜨거워지는 영상이었다 ㅋㅋㅋ 교수님한테 감금당해서 연구실에서 욕먹으면서 첨부터 끝까지 하루죙일 증명하던거 생각나네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Жыл бұрын
어느 학교에서 석사 받으셨나요? 저도 수학과 대학원 진학 준비 중입니다.
@sunqkim2230
@sunqkim2230 Жыл бұрын
으 너무 슬픈 이야기네요 ㅠㅠ
@DanJJSTChoi
@DanJJSTChoi Жыл бұрын
진짜 상남자에 천재에.... 불공평하구만
@user-lh1vw9uq5g
@user-lh1vw9uq5g Жыл бұрын
슬프다.. 인생이란 고통인가..
@user-zj8ph4sh9x
@user-zj8ph4sh9x Жыл бұрын
대학생때 갈루아 정리 보고 감탄했음. 체를 다시 군과 연결되는걸 발견한 천재성에 한번, 그리고 그런 갈루아가 결투 벌인다고 22살에 죽은거에 또 한번. 그리고 또 한번은 갈루아 본인은 자신이 발견한게 맞는지가 궁금한게 아니라 수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가 더 궁금했었음ㅋㅋㅋㅋ 천재라고 하면 떠오르는 편견?을 예외없이 모조리 갖고 있는 인물
@lagunaloire1472
@lagunaloire1472 Жыл бұрын
당시에는 군의 개념이 제대로 세워진 상태도 아니었다고 해서 더 대단함. 군을 스스로 정립하고 정규부분군과 고정체의 일대일 대응이 있음을 알아낸 것이 겨우 나이 스무살즈음이었다니 진짜 말도 안됨… 이 대단한 이론을 별다른 설명이 없이 내놓았으니 웬만한 사람들은 이해를 못하는게 당연함. 이걸 일아본 리우빌도 대단한 사람이지요.
@agroman712
@agroman712 Жыл бұрын
ㅋㅋ 완전 특이한 사람이네 이런 인류 역사 속의 천재,위인들을 앞으로 과학이 아무리 발전해도 다시 살려낼 수 없다는게 고통스럽다 혹시 기~~~~~인 시간이 지나면 달라질까
@hyungjoolee742
@hyungjoolee742 10 ай бұрын
저딴게 천재? 우리나라 수능 고득점자들이 리얼 천재! 갈루아나 뉴턴 한국에서 수능치면 만점 못받을걸
@user-iy5ev4on5v
@user-iy5ev4on5v 9 ай бұрын
​@@hyungjoolee742뉴턴 갈루아는 지금 태어났으면 공중제비돌면서 수능수학 만점받음 수능수학이 아니라 올림피아드 만점이 되냐 안되냐로 해도 모자를판에 ㅋㅋㅋㅋㅋ 거인의 어깨 모름?
@user-ii6my8lo7l
@user-ii6my8lo7l 9 ай бұрын
@@user-iy5ev4on5v뉴턴이 거인의 어깨 위에 서 있다 했지
@user-wx1ui4jt2e
@user-wx1ui4jt2e Жыл бұрын
7:31 소장님 ebs에서 자주 보이네요
@songstarr
@songstarr Жыл бұрын
신구선생님 목소리 좋아요
@controless1
@controless1 Жыл бұрын
연구소장님 반갑네요
@illiil9052
@illiil9052 Жыл бұрын
수학과에서 1년동안 현대대수학 과목 들어서 마지막으로 나오는게 이건데 이걸 200년전에 나보다 어린놈이 만든거라는걸 생각하면 기분이 참 미묘해짐
@ld9199
@ld9199 Жыл бұрын
갈루아 이론을 졸업연구로 했었는데 이렇게 보니 반갑네요. 수학과졸업한 변태라 저는 재밌었습니다
@user-mo5rq4ct4k
@user-mo5rq4ct4k 10 ай бұрын
지금은 뭐하시나요?
@user-hr3qr2ou3o
@user-hr3qr2ou3o 9 ай бұрын
​@@user-mo5rq4ct4k공돌이라카네😊😊
@K_ASMR106
@K_ASMR106 Ай бұрын
공장 갔대요
@user-wm3ty5co1j
@user-wm3ty5co1j Жыл бұрын
대수학은 프렐라이... 학부생 대수학에서 위의 이론을 이해할 정도면 성공한거고 왠만한 임용 대수학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음.. 뒤쪽 갈루아군 너무 어렵 ㅠ
@infoview4
@infoview4 11 ай бұрын
혹시 대수학이 논리학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아시나요?
@user-no9eq3vq4e
@user-no9eq3vq4e 10 ай бұрын
@@infoview4집합론 수준의 기초적인 논리학은 수학 어디에나 쓰이지만 수리논리학같이 심화된 과정까지 나가면 연구분야나 사고방식이나 전혀 다르다 보면 됩니다
@infoview4
@infoview4 10 ай бұрын
@@user-no9eq3vq4e 말씀하신 연구분야와 사고방식의 예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user-no9eq3vq4e
@user-no9eq3vq4e 10 ай бұрын
@@infoview4 대수학은 특정한 연산 규칙을 만족하는 수학적 대상을 연구합니다. 같은 규칙을 만족하는 수학적 대상들을 모아놓은게 군환체 같은 것들이죠. 실수나 다변수 벡터가 대표적인 케이스지만 이런 이론들로 수열이나 함수 등에 관해서 논의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이런 수학적 대상을 집합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모아놓는다는게 뭔지, 두 대상이 같다는건 뭐고 다르다는건 뭔지 등을 정의해야겠죠. 심지어는 명제 자체가 옳고 그른건 뭔지도 정의해야해요. 이런게 집합론과 수리논리학에서 하는 일입니다. 그러니 대수학과 논리학의 초점은 달라도 관계는 깊은데, 대표적인 예로 선택공리를 받아들일 것이냐 하는 논쟁은 집합론의 연구주제지만 선택공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대수학의 많은 이론이 유효하지 않게 됩니다.
@infoview4
@infoview4 10 ай бұрын
@@user-no9eq3vq4e 친절히 알려주셔 감사합니다.
@user-qq6yl1vf3z
@user-qq6yl1vf3z 7 ай бұрын
천재도 운이 없으면 저렇게 허무하게 갈수가 있군아 아 정말 안타깝다
@jhrhew
@jhrhew 3 ай бұрын
푹 자고 일어나도 모자랄 판에 300년 된 난제를 밤새 풀고 결투를 했으니 상대를 이길 수가 없었을 거다.
@user-pj1rh8vk6y
@user-pj1rh8vk6y Жыл бұрын
두 사람이 시대를 뛰어넘는 발견을 했는데 한 사람은 굶어죽고 한 사람은 결투하다 죽고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3 ай бұрын
1832년이면 정조 끝나고 순조로 넘어가서 암흑기 오는 시대인데. 서양은 대수학을 4차까지 정리하고 5차 방정식의 일반 근이 있냐 없냐로 몇일씩 고민하고 있었네. 확실히 산업혁명 전이라 하더라도 르네상스 이후로는 서양이 동양을 역전한 듯.
@ssaktoong
@ssaktoong Жыл бұрын
학교다닐때 이렇게 어려운 수학을 왜 배울까, 살면서 써먹을곳이 있을까 의문이었는데, 유틉으로 여러 컨텐츠 보면서 느낀게, 세상을 바꾸는건 수학이었구나….그 인재를 찾기위해 광범위하게 수학을 가르키면서 원석을 고르는게 아닌가 생각됨
@user-js9uc9dz9t
@user-js9uc9dz9t Жыл бұрын
가르치면서
@starreal6475
@starreal6475 Жыл бұрын
수학은 가르칠 수 없어서 가르킨다라고 하신듯.
@user-hg5en7ob7e
@user-hg5en7ob7e Жыл бұрын
@@starreal6475 와.. 너무 이쁜말이네요
@user-sq8xo6dg8l
@user-sq8xo6dg8l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수학을 만든 게 아니고, 인간이 발견한다고 하니..
@user-vp6dl6qx6x
@user-vp6dl6qx6x Жыл бұрын
수학는..신를 가르킵니다~ 풀수록 .. 어려워질수록 ..
@user-ix3ee1lg9p
@user-ix3ee1lg9p Жыл бұрын
아쉽게도 아벨이 먼저 증명하였죠….. 갈루아는 전체적인 대수학적인 언어를 다듬은데에 가장 큰 의의가 있죠
@user-jq2em1cz2r
@user-jq2em1cz2r Жыл бұрын
둘다 불행한 삶을 살았죠
@jhl2458
@jhl2458 8 ай бұрын
아밸은 5차방정식만 증명. 갈루아는 5차이상
@777-ve4dr
@777-ve4dr 7 ай бұрын
갈루아가 진정한 일반해를 구했습니다. 5차이상은 일반해가 없음을 증명하였고 더 고차원적으로 해결했습니다.
@sd68127
@sd68127 4 ай бұрын
먼저한거는 중요하지 않아요. 얼마나 고등한것을 증명해내냐에 따라 이름이 남겨질 뿐이죠
@YANGBAECHU.
@YANGBAECHU. Жыл бұрын
미친천재의 말로가 너무도 짧고 비통하네..
@sin102004
@sin102004 Жыл бұрын
유부녀에 눈 돌아가서 결투 걸고 총 맞아 죽은게 왜 비통한거냐
@user-pd5rn7si5m
@user-pd5rn7si5m Жыл бұрын
@@sin102004 인생이 암울하잖씀
@ydi0516
@ydi0516 11 ай бұрын
갈루아가 장수했다면 수학의 정석책이 3배이상 두꺼워졌을지도 모른다는 농담아닌 농담이 있었지
@DayofmoonLuv
@DayofmoonLuv Жыл бұрын
아벨이건 갈루아건 ㅋㅋ..학교에서 보고서 쓰다 조사좀 했는데 논문 두번 잃어버렸다는거 보고 쉬는시간에 괜히 내가 억울해함 세상이 억까 ㅈㄴ함
@user-dc8bq9bx5k
@user-dc8bq9bx5k Ай бұрын
잘잤습니다
@dobby.is.free.
@dobby.is.free. Жыл бұрын
10:38 5차의 마지막 숫자는 d가 아니라 f 여야합니다
@infoview4
@infoview4 11 ай бұрын
혹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dobby.is.free.
@dobby.is.free. 11 ай бұрын
​@@infoview4d가 두번 나왔어요
@PzH-2000
@PzH-2000 4 ай бұрын
​​@@infoview45차방정식은 가질수있는 계수 개수가 6개인데 abcde하고나서 f가 나오겠죠
@K_ASMR106
@K_ASMR106 Ай бұрын
또또또 아는 거 하나 나왔다고 트집 잡고 잘난 척한다
@you_can-do.it_
@you_can-do.it_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에 불면증이 치료가 됐어요
@MangoPuding1004
@MangoPuding100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 다 봐버림..,,
@user-fiveletters
@user-fiveletters Жыл бұрын
나도 불면증 치료로 봤다가 오랜만에 수학에 흥미가 생겨서 끝까지 다봄
@sewonha1777
@sewonha1777 Жыл бұрын
갈루아는 권총대결을 해서 사망한 것이 아니라, 어느날 아침 총에 맞은 시체로 발견된 것.... 학생운동을 하던 시기라 암살당한거라는 말이 많았지만 역사책에는 사랑하는 이를 두고 권총대결을 하다 지게되어 사망했다고 되어 있습니다.
@user-xs2ly1cc4s
@user-xs2ly1cc4s Жыл бұрын
사랑하는 사람 = 이념 이었던 것이 아닐까요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user-xs2ly1cc4s 그냥 틀렸다고 하는데 억빠하는거 정말 노답이네요. 결투는 가문이나 일신상의 명예가 걸려있거나 치정싸움같이 한쪽이 죽어야 끝나는 일에만 합니다. 이념이 걸려있다면 내가 옳다는 주장을 하고 조직을 만들고 활동을 하겠죠. 이념 때문에 결투를 한다손 쳐도 나에게 반대하고 상대방에게 동의하는 사람이 있을텐데 그걸 다 죽일겁니까? 그건 전쟁이고 학살이지 결투가 아닙니다.
@soooh565
@soooh565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레플님의 말을 오해하신 듯 합니다. 이념 때문에 결투했다는 것이 아니고, 이념 때문에 총맞아 죽은 것이 아닐까 하는 말로 보입니다.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soooh565 님은 제가 왜 억빠한다는지 모르시네요. 이념은 사랑만큼 중요한 가치가 맞죠. 그러나 원댓은 "사실관계가 다르다" 라는 설을 제시하고 있고 아무리 좋은말을 하더라도 그걸 왜곡하거나 한발 더 나아가면 안된다고 봅니다.
@dri13829
@dri13829 Жыл бұрын
@@soooh565 무시 하세요. 저 사람은 나무에 있는 옹이의 수가 다르다 만 보고 있지 나무라는 그 자체의 특성은 보려고 하지 않고 있는 거임.
@pangrim4412
@pangrim4412 Жыл бұрын
갈루아의 에임이 조금만 더 좋았더라면...
@user-zf7sk8pc7n
@user-zf7sk8pc7n Жыл бұрын
아니 미치겠네;; 06:48 에 오르간(?) 치는 분이랑 07:10 교수님이랑 동일인물인가요? 암만 봐도 잘 모르겠어서 ...ㅠㅠ 안면인식 장애의 그 경계선 어디쯤인건가ㅠㅠ
@IMYI
@IMYI 2 ай бұрын
다른사람이에요 머리길이 눈썹두께 다름
@user-lj4rk9gj7x
@user-lj4rk9gj7x 8 ай бұрын
😭그깟 여자가 뭐라고. 저런 천재를..
@asdasd-bh2zn
@asdasd-bh2zn Жыл бұрын
수학 너무좋앙
@user-zo6pe7hj8g
@user-zo6pe7hj8g Жыл бұрын
너무 추상적이긴하네요. 하긴 여기서 좀더 들어가면 좀 그런가...
@user-cr3jz3uj2i
@user-cr3jz3uj2i Жыл бұрын
미래의 석박사들이 참다못해 타임머신 개발해 암살했다는게 정설..
@user-ds4oe4vn4t
@user-ds4oe4vn4t Жыл бұрын
고전 문학 쓴 시인들이나 작가들 보면 사랑 때문에 죽은 사람들 많음 나도 왜 그런지는 자세하게 모르지만 사례가 굉장히 많음
@borealis7315
@borealis7315 2 ай бұрын
어려운 수학문제는 풀었으나 인생의 문제는 풀지 못했네. 수학은 호기심에서 출발하지만 인생은 욕망에서 출발하고, 수학문제에 집중하듯 자신의 욕망을 다스리는데 집중했다면 큰 어려움은 없었을텐데..
@kimeuis
@kimeuis 9 ай бұрын
잘생긴 연구원 세드릭 빌라니도 필즈메달 수상자임
@theoryset7158
@theoryset7158 Жыл бұрын
갈루아 아벨 우리손 등 요절하지 않았다면….어떻게 되었을까…
@user-uu2sb6um5n
@user-uu2sb6um5n Жыл бұрын
21살에 한 여인을 사랑해서 결투로 총을 맞고 사망한 천재라니.. 당시 시대 상이 정말 황당합니다. 1:1 결투 문화까지는 이해해주겠지만 총으로 사망 플래그 세워서 싸울 만큼 가치 있는 싸움이었을까요? 미국에 서부 개척 시대에도 이와 비슷했나 싶기도 하네요. 정말 인정사정 없는 세상이었던 거 같습니다.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Жыл бұрын
ㄴㄴ
@songwonan3121
@songwonan3121 10 ай бұрын
상대가 유명한 총잡이였다네요, 지금으로 따지면 유엡 선수와 붙은격
@eaminaiya
@eaminaiya Жыл бұрын
권총결투에서 꼭 사격신호를 기다렸다가 쏴야하나요? 그냥 먼저 쏴야 이기는거 아님?
@gwakjoonsung
@gwakjoonsung Жыл бұрын
명예
@user-vp6dl6qx6x
@user-vp6dl6qx6x Жыл бұрын
사격신호가애매하긴 하네요~ 잘하면..둘다 죽는다는~
@Leenuuuu
@Leenuuuu Жыл бұрын
이런 선구자들의 업적을 보면 진짜 인류라는 종에 대한 경외감이 생김
@realpitt007
@realpitt007 Жыл бұрын
갈루아 필드, 생각나네요
@misayang3784
@misayang3784 Жыл бұрын
인류 최고의 지성도 총앞에서는 모두 평등하죠. 총기 합법화만이 진정한 자유이고 평등입니다.
@fulltimelearner9205
@fulltimelearner9205 Жыл бұрын
제목이 잘못 되었네요
@user-qu1mb5qz4t
@user-qu1mb5qz4t Ай бұрын
내가 사랑하는 수학자…. 처절했고 치열한 인생이였고, 난세 속에서 사라져 버린 인물. 사후에 프랑스 교육체계를 바꿔서 푸랭카레가 혜택을 봤지만, 젊고 역동적으로 사회를 산 21살 청년이 너무 안타깝다. 요절한 아벨과는 나에겐 다른 느낌의 안타까움이지만, 사후에 인정받는 것이 좋을까? 아님 사후에라도 인정받는 것이 좋을까? 그를 보면 늘 질문을 하게된다. 그토록 원했던 에콜 폴리테크닉에 다음생에 꼭 입학했기를…..
@sk-mh1ko
@sk-mh1ko Жыл бұрын
와 3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 폼 미쳤다
@yhsh4994
@yhsh4994 Жыл бұрын
이게.. 현대대수학의 군환체는 천재학부생이 아닌이상 진짜 교수님을 잘만나서 잘배워야함.. 안그러면 걍 당연한 덧셈곱셈만 냅다하다가 종래엔 의미없는 논법전개만 하고있음... 내가 그랬다는게 절대 아니뮤ㅠㅠㅠㅠ
@oooo-lu3ty
@oooo-lu3ty Жыл бұрын
현대대수학(몇백년전 세기의 천재들이 정립)
@lllllllllllIIl
@lllllllllllIIl Жыл бұрын
군환체?
@user-et6yb8iw3v
@user-et6yb8iw3v Жыл бұрын
구ㅣ엽넼ㅋㅋ
@user-qg3vd6dh9y
@user-qg3vd6dh9y 8 ай бұрын
저 부르셨나요…? 진심 교수님을 보며 강의력과 지식 보유량은 별 상관 없다는걸 깨달았음… 지나가던 수교과 졸업생
@user-ic3sf7zf5c
@user-ic3sf7zf5c 9 ай бұрын
아마도 우주의 공통어가 수학과 물리학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user-tq6xd4hc1f
@user-tq6xd4hc1f Жыл бұрын
이거 보고 군론 공부하려다가 나 자신의 주제를 확인하게 됨. 😭
@anthonykim7305
@anthonykim7305 Жыл бұрын
11:50 "정이면체군" 이라고 합니다.
@estp.
@estp. Жыл бұрын
대수 군 환 까지는 그렇다쳐도 체가 너무 어려워잉...
@CONSTANTINEPOKER
@CONSTANTINEPOKER Жыл бұрын
7:05 에 나오는 푸앵카레 연구소장 세드릭 빌라니 쟤는 재연배우인 줄 알았는데 진짜 푸앵카레 연구소장인가? ㅋㅋㅋㅋㅋ 뭔가 존나 어색하네
@boogupo
@boogupo Жыл бұрын
찐 연구소장입니다.. 무려 필즈상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Rich_Lawyer
@Rich_Lawyer Жыл бұрын
이왜진 ㄷㄷ
@K_ASMR106
@K_ASMR106 Ай бұрын
근데 수학자가 뭔 저렇게 감정적이냐
@user-ed9ti8ty1r
@user-ed9ti8ty1r 7 ай бұрын
공간의 3차원에 시간까지 합치면 우주는 4차원인데 4차방정식의 근은 항상 존재하지만 5차 방정식의 근은 존재하지 않을수 있는 것은 이 우주의 구조를 반영한게 아닐까?
@user-ed9ti8ty1r
@user-ed9ti8ty1r 7 ай бұрын
5차 방정식은 근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다면 이 우주의 전체는 아니지만 이 우주의 일부분은 5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을까? 그 현존하면서도 인식할수 없는 5차원의 작용이 암흑물질이 아닐까?
@CR7goat488
@CR7goat488 3 ай бұрын
오옹
@user-nn2fr6xj1j
@user-nn2fr6xj1j Жыл бұрын
뭔지 이해는 못하는데, 제밌고, 신기함. 알고 싶어짐
@mrrobot3950
@mrrobot3950 Жыл бұрын
더 깊이 들어가면 재미없어짐
@tww2682
@tww2682 3 ай бұрын
​@@mrrobot3950더 파고들면 다시 재밌어 질듯
@llllIIIIlllIIIlll
@llllIIIIlllIIIlll Ай бұрын
똑똑함과 현명함은 다르다는 거...
@konspirolog
@konspirolog Жыл бұрын
7:19 서프라이즈 배우 인줄 알았네...
@ztzeros
@ztzeros Жыл бұрын
10:48
@user-mt6ks7gb8l
@user-mt6ks7gb8l Жыл бұрын
더 오래 살았다면 뛰어난 업적 많이 남기고 수학을 크게 발전시켰을텐데 이 바보놈이 그걸 죽냐
@user-qm6kf8ze1d
@user-qm6kf8ze1d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jc5255
@sjc5255 9 ай бұрын
10:36 5차방정식 오타났어요
@bbani_bottle
@bbani_bottle 10 ай бұрын
칼루아 밀크 폼 마쳤다
@park19970429
@park19970429 Жыл бұрын
3차방정식 해법 카르다노가 만든게 아니라 다른 수학자가 만들고 ‘내가 이거 만들었는데 너만 알구이썽~ ㅎㅎ’ 했는데, 카르다노가 ‘응 내꺼~’하고 발표한거 아니었나요?
@xllrby5344
@xllrby5344 Жыл бұрын
저도 들어본거 같아요
@user-xv6js8df2n
@user-xv6js8df2n Жыл бұрын
타르탈리아가 3차방정식해법을 카르다노에게알려줌
@Koko_mimi_mom
@Koko_mimi_mom Жыл бұрын
7:08 푸앵카레연구소장 너무 수학계의 패셔니스타다 진짜.... 쌉인싸느낌
@user-vw9uh7lw6f
@user-vw9uh7lw6f Жыл бұрын
인생은 갈루아 처럼
@user-lg1ff1ly4s
@user-lg1ff1ly4s 3 ай бұрын
마지막 지구에서 여행은 수학이다. 첫번째가 갈로와가 닦아놓은 길을 가는 여행이다
@davidruh39
@davidruh39 2 ай бұрын
더빙하시는 분의 목소리가 수학의 명쾌함과는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ley766
@ley766 2 ай бұрын
신구 선생님입니다. 난 오히려 가볍지 않아서 좋은데요.
@user-vn8yh5yi3w
@user-vn8yh5yi3w Ай бұрын
킹정킹정
@59motors12
@59motors12 Ай бұрын
수학자가 이 글을 보면 무슨 생각을 할까 싶네요
@Jonny00011
@Jonny00011 Жыл бұрын
머리는 이성으로, 가슴은 낭만으로 가득 차있네 ㅋㅋㅋㅋ
@ccc4142
@ccc4142 Жыл бұрын
갈루아 밀크나 먹으러 가야게따
@Life-or4gy
@Life-or4gy 3 ай бұрын
갈루아를 통해 배운 사실 '사랑은 목숨보다 중요하다'
@Uy-zv2sb
@Uy-zv2sb Жыл бұрын
결국 수학도 고차원으로 가면 철학이라는 말이 있다는걸 느끼게 해주는군요.
@Zeddy272
@Zeddy272 Жыл бұрын
철학은 수학의 충분 조건이라 봅니다. 수학자는 철학자가 되기도 하지만 철학자가 반드시 수학자는 아니죠.
@rdytogo9803
@rdytogo9803 Жыл бұрын
인문충인가?
@ilwhankim1739
@ilwhankim1739 Жыл бұрын
수학의 고차원단계가 철학이라기보단 철학이 수학의 원류라고 하는 게 적절할듯
@csy6410
@csy6410 Жыл бұрын
@@Zeddy272 철학이 수학의 충분조건이란 말은 철학자가 모두 수학자라는 뜻인데 용어를 잘 모르고 남발하네
@csy6410
@csy6410 Жыл бұрын
딴지걸까봐 설명해주면 충분조건은 전건이 후건에 그 자체로 포함된다는거임 남학생-> 남자 인 경우처럼 ㅋㅋ 남학생은 당연히 남자지만 남자라고 남학생은 아니지? 철학이 수학의 충분조건이라는 말은 철학->수학 이라는건데 ㅋㅋ 바로 밑에서는 정반대로 말하네
@desha8551
@desha8551 Жыл бұрын
수학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수학에서는 아무리 잘못된 판단을 해도 죽지않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걸 망각한게 아닐까
@saeonthefox153
@saeonthefox153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결투는 그냥 말 그대로 유행이었습니다. 상당히 많은 수의 젊은 귀족/부르주아 남성들이 무가치하고 비합리적인 결투로 목숨을 잃었죠. 그것이 그들의 문화이고 정체성이었습니다.
@ragekim3421
@ragekim3421 Жыл бұрын
주펄 구독목록 보고오니까 수학자 갈루아 뜨는거 실화??
@joajoa92
@joajoa92 Жыл бұрын
갈루아 군론 은 디지털 통신 공학과 컴퓨터 공학 지대한 공헌을 했음...
@777-ve4dr
@777-ve4dr 7 ай бұрын
error correction code! --- Good!
@showbergvicvor211
@showbergvicvor211 2 ай бұрын
수학으로 대결하는 시대라....
@takingtherest
@takingtherest 10 ай бұрын
HAN LOW LOOKS LOVE A BATTLE! ㅋ
@sanghyunpark1046
@sanghyunpark1046 Жыл бұрын
아무도 생애에 집중하지 못하고 결말만 놓고 본다.
@user-el1dx3no3k
@user-el1dx3no3k 3 ай бұрын
저 정도는 껌이지 나는 10 살때 이미 알았지
@rising1936
@rising1936 3 ай бұрын
카르다노는 되게 악명이 높은 수학자였다고 들었습니다. 일반적인 3차 방정식의 해법도 원래 타르탈리아가 알아냈는데 카르다노가 타르탈리아한테 어디 안 실을 테니까 알려 달라고 하고 자기 책에 실었다는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물론 저는 아마추어라 자세한 건 모르지만 그냥 이런 이야기를 어디서 들어서 그냥 적어 봅니다.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결투에서 승리하신 분 누구신진 모르겠지만 감사합니다
@user-yu3sb6yw6q
@user-yu3sb6yw6q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Жыл бұрын
뭘 도대체 얼마나 사랑해야 저런 세기의 영광을 뒤로 하면서까지 권총 결투를 할 수가 있는거지...? 사랑때문에 결투해서 목숨을 걸고 사람하나 죽이는게 평생을 누릴 부와 명예보다 중요했던건가... 21살이 그걸 깨달을 수 있는 나이인가
@ailaoot
@ailaoot Жыл бұрын
깨닫을->깨달을
@DanJJSTChoi
@DanJJSTChoi Жыл бұрын
수학보다 여자가 더 소중했겠죠
@_-.--
@_-.-- Жыл бұрын
갈루아는 사후에 그 업적이 인정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 갈루아는 본인을 수학 좀 잘하는 학생 정도로만 생각했을 지도 모르겠네요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명성과 부가 없었기에 결투 한건데
@user-oj2vx9mk9f
@user-oj2vx9mk9f Жыл бұрын
나중엔 자존심 싸움이지요...
@user-tu5vk7qr9b
@user-tu5vk7qr9b 2 ай бұрын
82년도에 서울학원에서 재수할 때 MIT공대 기초수학 원서로 강의해 주셨던 황승기 선생님이 기억나네요. 덕분에 그해 학력고사에서 수학 만점을 받았고! 내가 60 이 넘었으니 선생님 생존해 계시는지! 💕💕💕💕💕💕
@ysj143
@ysj143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수학을 만들어준 백인들에게 감사드립니다.
@pensmari1566
@pensmari1566 10 ай бұрын
사실 고대 오리엔트문화 사람들이 수학의 기초를 세우긴 했는데..
@ysj143
@ysj143 10 ай бұрын
@@pensmari1566 그 오리엔트 종족들은 코카서스 종족이라 결국 백인입니다
@tww2682
@tww2682 3 ай бұрын
인류의 조상이신 오스트랄로 피테쿠스에 감사~
@tepliche
@tepliche Жыл бұрын
완전 영화다..
@user-je9ld5jv4i
@user-je9ld5jv4i 10 ай бұрын
abstract algebra 배울때 대미를 장식했던 하일라이트. 기계공학 전공으로 abstract algebra는 교양으로 아무생각없이 들었었는데....수학의 진정한 세계를 느꼈던 과목.
@777-ve4dr
@777-ve4dr 7 ай бұрын
abstract algebra = 추상대수학(현대대수학) : 전자통신공학(베이스밴드)에 응용되는 수학인데 에러를 자동검출할 뿐 아니라 자동정정하는데 쓰입니다. 기계공학자가 이 과목을 들었다니 대단하네요.
@0hit976
@0hit976 Жыл бұрын
😢😢😢
@user-ze4xg3nh6b
@user-ze4xg3nh6b 9 ай бұрын
5차방정식이 먼저냐!? 내가 좋아하는 여자가 먼저냐!? 둘다 이룰수 있는 방법을 떠올리기엔 아~시간이 촉박하구나!? 그 촉박한 시간은 누가 만들었는가!!!? 결국 중요하다 생각하는 두가지를 보고만 가는구나 그대들은 아무상관없이 살아가고 때때로 이야기거리로 떠올릴것이다 아무상관없는 상태의 상태로 그렇게 기억될것이다 결국 수학이라는 이름에 뭍힐것이다 간혹 수학이라는것에 공식을 찾듯 때때로 기억하는이가 있을것이다 제목:"뭣이 중한디"
@keithcho4535
@keithcho4535 2 ай бұрын
밤을 샌 탓에 컨디션이 안좋았거나 상대가 스카프가 땅에 닿기 전에 쏜거. 증인이야 돈으로 사면 그 뿐.
@rani-sx3up
@rani-sx3up Жыл бұрын
아쉽다 한계를 넘어설수 있는 상상이 존재함을 몰랐을까
@jsbyun.
@jsbyun. Жыл бұрын
에휴.. 차라리 내가 죽는게 낫겠다... 뭐저리 한방에 가는가..
@zirize
@zirize Жыл бұрын
대수학은 이름이 진짜 괴랄하긴 함.
@nakedape9926
@nakedape9926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이거 틀어놓고 자야겠다.
@kmyungsic
@kmyungsic 10 ай бұрын
수학은 만국공통어입니다.. 현대 과학의 핵심은 수학이고 이를 대중적으로 가르쳐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yeorinim2sida
@yeorinim2sida Жыл бұрын
중2병의 최후... 세상에 여자는 많다. 목숨 걸지 말자.
OMG 😨 Era o tênis dela 🤬
00:19
Polar em português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Can you beat this impossible game?
00:13
LOL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청딱다구리소리#grey-headed woodpecker
1:19
생활탐조TV
Рет қаралды 7 М.
수학자 레전드 100명 30분 총정리 | 매스프레소
34:03
매스프레소 MathPresso
Рет қаралды 97 М.
중3(상) 이차방정식 part1- 이차방정식의 모든 것을 파헤친다!!
32:18
뉴턴 vs 라이프니치의 미적분 이야기 | 문명과 수학
20:2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제발 풀려고 하지 마세요! (아무도 못푼 쉬운 문제. 콜라츠 추측)
20:54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Эффект Карбонаро и бумажный телефон
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How much charging is in your phone right now? 📱➡️ 🔋VS 🪫
0:11
How To Unlock Your iphone With Your Voice
0:34
요루퐁 yorupon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iPhone 12 socket cleaning #fixit
0:30
Tamar DB (mt)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