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이 말'을 자주 하면 아이 자존감이 낮아집니다 | 육아 심리

  Рет қаралды 272,221

책식주의

책식주의

Жыл бұрын

*제작비를 지원 받은 콘텐츠입니다.
대상관계전문가가 부모에게 건네는 따뜻한 8단계 심리 조언
『관계의 힘을 키우는 부모 심리 수업』을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관계의 힘을 키우는 부모 심리 수업』, 권경인
✔ 책 보러 가기: bit.ly/423UZKq
✔ 제작: 책식주의(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강미정(kanglab.co@gmail.com)

Пікірлер: 109
@bookvore
@bookvore Жыл бұрын
아이를 키울 때 경제적 자본만큼 중요한 심리적 자본을 늘리는 방법, 도서 『관계의 힘을 키우는 부모 심리 수업』 bit.ly/423UZKq 을 소개합니다. 🙂
@bemekang6451
@bemekang6451 11 ай бұрын
완벽한 부모가 아니어도 됩니다. 그럭저럭 괜찮은 부모면 됩니다. '엄마, 아빠가 항상 거기에 있어.'라는 믿음만 주어도 충분합니다. 아이를 사랑하고 키우는 모든 부모님들 화이팅❣️
@ilikebeatles3136
@ilikebeatles3136 Жыл бұрын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기 친구들하고 잘 못섞이고 잘 울고 해도 그대로 인정하기 한숨 안쉬고 얼굴 찡그리지 않고 빙긋이 웃어주면서 바라보기 아이들은 엄마 뒷통수를 보고도 엄마 표정이 어떤지 읽어내요 불안해하지 않기 그럴수 있다 시간 지나면 오늘일은 생각이 나지 않아요 그런날이 모여서 어른이 되는거니까 항상 확신을 가지고 아이들을 봐주는거 중요합니다
@user-cd1tw5ld7x
@user-cd1tw5ld7x Жыл бұрын
1.다그치지말고 외국인보듯이 아이를봐라 2.대상항상성 분열하지말고 통합하는법 배우기 3.좌절을 원천차단하지않기
@user-ie4wk7eo4s
@user-ie4wk7eo4s 8 ай бұрын
지금 초등학생인데.. 맞는거 같아요. 만약 제가 애를 낳은다면 저런말은 않하겠다 생각했어요. 부모님이 이 영상을 시청하시면 좋겠네요.
@kg4772
@kg4772 Жыл бұрын
우리엄마가 어렸을때 딱 내성적이었던 저한테 혼내고 그랬었는데 자존감 엄청 낮고 사람 한번아니면 다신 돌아보지 않습니다ㅜㅋㅋㅋ 다 내얘기네...
@user-gf6th9pi3j
@user-gf6th9pi3j Жыл бұрын
너무 제 이야기에요ㅜㅜㅜㅜ
@minje213
@minje213 Жыл бұрын
경제적자본 보다 심리적 자본이 더중요한데 경제적 자본도없고 심리적자본까지 없이 자라와서 너무 힘들어요
@user-dkan8rjsk
@user-dkan8rjsk Жыл бұрын
경제적 자본이 없는 부모는 맘적 여유가 없어, 심리적인 자본은 당연히 없어서 아이한테 화풀이를 합니다 못난 것이 못난 짓을 하는데 애 고생시킨 도태인간들이 좋은 부몬줄 아는게 아이러니..
@user-zm6xx3cs4z
@user-zm6xx3cs4z 9 ай бұрын
하-이제 심리적자본까지 .. 무한 정보의 홍수속에서 .. 부모되기 힘들다ㅜㅠㅠ
@user-zu2ff5qh6c
@user-zu2ff5qh6c Жыл бұрын
저는 어렸을때부터 집에 있는걸 좋아했습니다. 어머니는 항상 밖에 나가서 놀라고 잔소리를 했죠. 그래서 어렸을때는 제가 잘못된 줄 알았죠. 근데 성인이 되고 여러 사람을 많나고 한참이 흐른 후에나 내가 잘못된게 아니라 그냥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user-vi2sw3ju4c
@user-vi2sw3ju4c Жыл бұрын
아이들끼리 소탕하고 어울리게 그냥놔둬 개입하지말고...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어울리는게 빠르거나 느린 아이들이 있어.
@tm13865
@tm13865 Жыл бұрын
아니 소탕하면 안되죠
@user-jz4xm7mo5c
@user-jz4xm7mo5c Жыл бұрын
읭?? 소탕이요?? 아니뭐 때려잡을일있습니까...??
@kidaripapa35
@kidaripapa35 Жыл бұрын
소탈? 을 생각하고 쓰신것 같은데 잘못 쓰신듯
@tm13865
@tm13865 Жыл бұрын
@@kidaripapa35 소통같네요
@user-oo2rk4do5q
@user-oo2rk4do5q Жыл бұрын
아이들끼리의 소통을 말하려는듯요~
@user-ew8lj2mv8s
@user-ew8lj2mv8s Жыл бұрын
저에게 필요한 말같아요.. 투사,엄마의 자존감이 겉으로 들어나게되는... 남보듯해야하는게 맞아요
@GuardianKnightsK
@GuardianKnightsK Жыл бұрын
아이에게 대하는 태도를 보려고 들어왔다가 스스로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도 다시 돌아보게 되는 내용이었어요 저한테 문제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생각 못하고 살았던 거 같아요
@yuutadao
@yuutadao Жыл бұрын
폭압적인 아버지와 모든 걸 내팽개치고 교회에 올인한 엄마 밑에 자란 저희 엄마가 투사를 극도로 심하게 했어요, 아주 조그마한 낌새만 보여도 분노를 참지 못하고 욕설과 저주를 퍼부으며 그 행동을 하지 말 것을 종용했죠, 마치 지금 교정하지 않으면 흉악범이 될 것처럼 불안해 했지만 막상 제가 학교 등 사회생활할땐 오히려 너무 바른학생이란 이야길 들었고요, 그리고 절대 실패하지 못하게 본인 경험을 바탕으로 제 의견은 무시하고 무조건 엄마의 생각대로만 할 것을 종용했었죠. 엄마 본인도 좋지 않은 부모때문에 그리된 걸 알지만 저도 살아야 했기에 대학졸업 이후 서울로 상경했고 엄마의 공격을 온몸으로 받아내던 제가 사라지니 그 공격의 화살이 동생에게 갔고 동생도 일년도 되지 않아 도망치듯 상경했습니다. 결국 아버지도 끝내 엄마와 살지 못해 이혼을 하고 엄마는 홀로 지내고 있습니다. 다행이랄까 아버지의 연금을 위자료로 안정적으로 살고 있고 일년에 한 두번 연락 정도는 하지만 십수년간 만나지 않고 있습니다. 개선이 가능한 초기단계엔 최선을 다해 관계개선을 하되 그게 불가능하다 판단될때는 최선을 다해 그곳에서 탈출해야 한다는 말 전해드리고 싶었습니다. 정말 아닌 사람과는 그게 설령 부모라 할지라도 반드시 분리만이 답이라는 거 꼭 알아두셨으면 해요.
@user-wc3gz9wn9l
@user-wc3gz9wn9l Жыл бұрын
멋지다 앞으로 좋은일만 생기셨음 좋겠어요
@user-me6cd8bg4f
@user-me6cd8bg4f Жыл бұрын
연금 존나아깝네요...
@tv-ot8xo
@tv-ot8xo Жыл бұрын
공감 가네요...너무 가슴아픈일이지만... 진짜 아니다 싶으면 거리를 두고 자주 안보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user-jc2vi3gb7m
@user-jc2vi3gb7m 23 күн бұрын
우리엄마 같네요ㅠ 교회에 올인하고 투사를 극도로하는 성향때문에 저도 도망치듯 결혼 하긴했어요 아이에게 안좋은행동이 보이면 저도 엄청 난리칩니다. 공부안하면 죽는것처럼 악을 쓰고요. 안그러고싶은데 보고 자란게 그거라 안바뀌더라구요... (엄마는 교회부분에서 지금도 들들볶습니다ㅜ) 저는 인연은 끊을수 없어서.. 아이를 키워주셨어가지고.. 교회도 끊을수 없습니다.. 살아도 사는것 같지 않네요...
@user-cg2ed8ue7y
@user-cg2ed8ue7y Жыл бұрын
이런더는 부모가 안보고 아이들이 보는 것 같음.
@tnrud147
@tnrud147 Жыл бұрын
부모라면 꼭 필요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olling_0
@Lolling_0 Жыл бұрын
제가 모든 사람에게 안맞는 부분을 하나라도 느끼면 마음속 손절이 생기는 성격입니다. 그래도 학습된 사회성으로 지금은 친절하다, 좋은 사람이다 라는 평판을 가지고 있지만, 사적인 관계에서는 항상 연기하는거 같다 어색한것 같다 라는 말을 많이 듣지요. 이미 사람만나기 훈련으로 겉모습은 좋게 포장했지만 마음속으로는 한 번 나쁜점이 보이면 손절하는 본능을 고치지 못했습니다. 어린시절 말 좀 걸라는 말 많이 듣고, 부모싸움의 원인은 저라는 말, 맘에 안들면 사회부적응으로 낙인 찍는 부모 밑에서 자란 환경이 원인인것 같긴 한데 이건 제가 바꿀 수 없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저까지 자녀를 못살게 굴려고 하진 않을겁니다. 사적인 관계에서 저런 평가를 듣지만 이성을 사귀거나 친구를 사귀는데에는 또 문제가 없더라구요. 어린시절 고통 받았단 모든 분들 힘내세요 계속 힘들 이유도 없고 모두가 행복할 자격이 있습니다!!
@user-dt8ok2je2o
@user-dt8ok2je2o Жыл бұрын
근데 힘들어요 ㅜ
@mmmmmm-us4nc
@mmmmmm-us4nc Жыл бұрын
이런 것을 들을때마다 어릴때에 상처를 이해하게 되네요. 부모님들이 자라오면서 받은 상처도 이해가 되고요. 나이를 먹으며서 세상을 경함하고 종교를 통해서 변해가고, 서로 깊이 사랑할수 있는 아내를 만나면서 많은 부분이 치유 되며 나를 알고 이해하게 되더군요. 두 딸의 아빠로서 딸을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진 아이로 키우며, 어떻게 사랑하며 살아야하는지 보여주며 살고 싶네요.
@peacelove7694
@peacelove7694 Жыл бұрын
저는 한번 아니면 그 사람 아닙니다. 라는 말을 하는 사람은 자존감이 낮은사람이라는 결론에..사람은 보통 안바뀌죠. 한번 당했을땐 그 사람을 욕하지만 두번이상 당하면 내가 바보라는말.즉 대응을 안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하면 문제는 나에게 있다라는 말과 상충되는것 같습니다. 관계단절까진? 할필요없다고 하면 납득이 갑니다 저는 타인을 모사하고 욕하는 사람은 철저히 끊어내는 사람이라서요. 그 사람들과는 어떻게든 엮여 관계를 잇게되면 결국 내가 하지않은말만 돌아옵니다. 많이 피곤해집니다. 이 부분은 차라리 손절이 답이다라고 생각해요. 나의 자존감과 상관없이..
@sevenleaf6504
@sevenleaf650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정답이 어디 있겠습니까? 이런 것도 생각해보자 정도만 되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user-l1w0k6w5v
@user-l1w0k6w5v Жыл бұрын
저도 자존감 높은데 한번 아닌건 아닙니다 자존감이랑 뭔 상관인지
@jscho1269
@jscho1269 Жыл бұрын
저에게 너무도 필요한 내용이네요. 잘 듣고 제 딸에게 좋은 엄마가 되는 밑거름으로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ORchipmunk
@KORchipmunk Жыл бұрын
우리 사회는 사람을 어떠한 역할과 지위로 먹어치우기 때문에 영상에 나온 것처럼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 특히나 자신이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되었다고 믿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더 필요하다. 보통 자기가 성장해서 어른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생각이나 행동이 고정적이고 자신이 하는 행동이 옳다라고 무의식적으로나 의식적으로나 규정지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신보다 어린 사람이 하는 조언은 '나보다 덜 살아놓고 뭘 안다고 지껄여?' 등의 무시로 이어지고 세상 여러가지에서 배우려는 자세가 부족해지게 된다. 실제로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가 하는 행동과 말에서도 배우는 부모가 있다. 그리고 가장 큰 격언은 '삼척동자에게도 배울 것이 있다'라는 것이다. 부모들은 자신이 아이도 있고 사회에서 어느정도 정착한 인간이라고 믿기 때문에 자신이 이미 거의 완성된 사람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영상에서도 나오듯 평생에 걸쳐 우리는 배워가야하고 완성해가야하는 특질이 존재한다. 자기 자신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결국 타인과 자식을 이해하는 첫 걸음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은 절대로 완벽하고 완전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우린 평생 죽는 그 순간까지도 배움을 멈추지 않아야하는 불완전한 존재들이다.
@user-em1op7ut8o
@user-em1op7ut8o Жыл бұрын
9
@michaelking4575
@michaelking4575 Жыл бұрын
정말 구구절절 맞는 말씀입니다.
@pukupuku5391
@pukupuku5391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pd8rt1jt9v
@user-pd8rt1jt9v Жыл бұрын
자존감이 너무크면 안하무인이 됩니다~적절한 교육이 정답입니다.
@mbti9827
@mbti9827 Жыл бұрын
자존감은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한 자신에 대한 사랑과 믿음이기 때문에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 같아요. 님께서 우려하시는 것은 '자의식 과잉'이나 '웅대성 자기애'와 같은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 )
@SK-ug3jl
@SK-ug3jl Жыл бұрын
자존감이 아닌 자존심 아닌가요?;;;
@user-fx6hy7dl8b
@user-fx6hy7dl8b Жыл бұрын
요새는 무례한 행동을 걸크러쉬라고 포장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user-cw8kf4lp4q
@user-cw8kf4lp4q Жыл бұрын
왜 보는데 눈물이 나냐...
@minic2412
@minic2412 Жыл бұрын
사랑에 더불어 공감과 감수성과 이해심과 인내심과 오래참음이 필요함...
@user-xp4kg5np6f
@user-xp4kg5np6f Жыл бұрын
아직 부모가 아니더라도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와닿는게 많네요. 감사합니다.
@sushidushi8472
@sushidushi8472 Жыл бұрын
와. 주옥같은 영상이네요. 육아에 꼭 필요한..
@tv9105
@tv910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ii3jq3vv7p
@user-ii3jq3vv7p Жыл бұрын
도움많이되네요.~~
@user-yo8mj5em7g
@user-yo8mj5em7g Жыл бұрын
지금 딱 저에게 필요한영상입니다
@KIJUNTV
@KIJUNTV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user-tr1gd1mk1s
@user-tr1gd1mk1s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user-hr3pc7yq4i
@user-hr3pc7yq4i Жыл бұрын
저한테 대상항상성이 없었네요.. 지금부터라도 키워봐야겠네요 ㅠㅠㅠ
@user-fe7wk6mc6p
@user-fe7wk6mc6p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으네요.
@user-bx5de9up5c
@user-bx5de9up5c Жыл бұрын
무척~~~공감이 가네요!!!
@chichicoco_
@chichicoco_ Жыл бұрын
아이 잘 키울게여 감사합니다.
@user-sx9gf5gw9h
@user-sx9gf5gw9h Жыл бұрын
아이둘키우며 영상보니 맘에 너무와닿네요 👍
@user-inse1004
@user-inse1004 Жыл бұрын
너무멋지다 라는말은 오히려 11살이후로 많이 해주면 좋을거같아요.. 자꾸 잔소리가 엄청 시작되고 그래서 3살이다 생각하고 칭찬으로 감싸주니 반항적인 4학년 남자아이가 3살때 표정으로 가끔 돌아오네요 ㅠㅠ 더 꾸준하게 해보려구요 오히려 4살~7살때 위험한행동때 엄격하게 일러주고 하는게 괜찮을거같아요 둘째때 깨닳아서 둘째는 너무 사랑이라 선을 지키려 노력중이네여 ㅎㅎ 쉬운게 없네요 육아...
@vivianah1037
@vivianah1037 12 күн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user-dt8ok2je2o
@user-dt8ok2je2o Жыл бұрын
80~90년대 유년기 살았다 좋은 부모는 자식을 바라보고 응원하는게 👍 넌 할수 있어!!! 내새끼 😊
@hyemijoo3620
@hyemijoo3620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ru8zi6eb2m
@user-ru8zi6eb2m Жыл бұрын
저는 심하진 않지만 분열돼 좋은 것과 안 좋은 것이 잘 통합되지 않았던 사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계속 참다가 아닌 것 같다고 하면 매몰차게 인간관계를 끊어냈으니까요.. 예전에 만났던 남자친구도 그래서 좋은 사람도 놓쳤던 것 같네요.. 귀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z7vt1sg9w
@user-nz7vt1sg9w Жыл бұрын
나는 매 맞고, 언어폭력 받고 자랐는데 이런영상 볼 때마다 불편합니다. 잘 하려고 노력은 하고 있지만, 나를 모르면서 자꾸 강요당하는 기분이랄까 나도 부잣집에서 따뜻한 사랑 받고자랐으면 훨씬 수월했겠죠
@jinnyyoon5101
@jinnyyoon5101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oftear
@softear Жыл бұрын
통합이 중요했구나
@seankim7399
@seankim7399 Жыл бұрын
요즘 제 자식 자존감 지키겠다고 훈육을 안하는 부모들, 아이가 남에게 피해를 입혀도 남이 뭐라하는것은 원치않는 부모들...사회성이 결여된 아이를 키우는 지름길. 공감능력이 부족한 아이가 된다.
@toyou2643
@toyou2643 10 күн бұрын
굿!!!
@soojinshin2344
@soojinshin2344 5 ай бұрын
대상관계이론으로 보면 나는 분열이 심해서 통합이 안됩니다. 라는 뜻으로 대상항상성이 없다는 것. ㅋㅋㅋ 다음에 써먹어야 겠어요.
@user-gj3mb3pd8g
@user-gj3mb3pd8g Жыл бұрын
최적의 좌절...✏
@user-hn6lc4hc5n
@user-hn6lc4hc5n Жыл бұрын
맞벌이 인데 심리적 자본이 너무 부족 ㅜㅜ 직장에서 다쓰고옴 😢 헐 대상항상성 제가 없네요... 그냥 한번 싫으면 걍 계속 싫어요...믿음이 안가..
@user-kkdghelksdwq
@user-kkdghelksdwq 8 ай бұрын
반성합니다ㅠㅠ
@user-kk1si1uu8b
@user-kk1si1uu8b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네요 딱제모습같네요 미안하네ㅜ😊
@zarnigorsuyunova4548
@zarnigorsuyunova4548 Жыл бұрын
나도 그런 적이 있어요
@kook2348
@kook2348 Жыл бұрын
가끔 화를 냈던 아빠인데;; 이제는 바꿔야 되겠네요. 그래도 하루에95%는 아이에게 맞춰주고 다정하게 대한답니다. 아이는 늘 이런말을 하죠. 아빠 사랑해 아빠 엄마랑 있으니까 좋아 라는 표현을 자주 한답니다.😅
@user-xk2di8kl3t
@user-xk2di8kl3t Жыл бұрын
뭐든 너무 잘하려하고 억지로 하면 탈나는법 탈만 안나게 적당히 하는게 만사형통임
@user-xn1kd2pe2w
@user-xn1kd2pe2w Жыл бұрын
👍👍👍👍👍
@user-gt6md1xz4q
@user-gt6md1xz4q Жыл бұрын
아이성격 못어울리는거 다 부모성격닮거나 그렇게키운거고 칭찬 안하거나 기를 죽여서 키운 결과물인데 아이를 야단치는건 부모의 이기심의 극치이겠죠 많은 부모들은 그들의 잘못된 양육방법이 아이의 문제행동으로 나타나는건데 이기적인 부모들은 오늘도 자식만 닥달하는현실ㅠㅠㅠ
@jeul_saimdang
@jeul_saimdang Жыл бұрын
아,,,, 제발 그 xx가 좀 봤으면 좋겠다...... 암튼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정말 중요하고 중요한 내용이네요
@rojinlee7488
@rojinlee7488 7 күн бұрын
스피치.학원 보내면 많이 좋아지더라구요. 제 아이들 경험상 말씀드려요.
@user-li3wc4zp2z
@user-li3wc4zp2z Жыл бұрын
사업 실패로 아버지 돌아가지고 집이 휘청할때 어머니께서 죽어야지 같이죽자 라고 매일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지금은 상황이 나아져 잘살고있지만, 한번씩 작은 다툼이 있으면 늙으면 죽어야지라고 하시네요. 죄송한마음도 들고 가슴이 미어집니다. 저는 절대로 제 아이에게 안그러리라 다짐해야겠습니다.
@fofounni
@fofounni Жыл бұрын
💚💚💚💚
@user-fe7wk6mc6p
@user-fe7wk6mc6p Жыл бұрын
심리적 자본의 불평등은 누가 해소해 주나요?
@user-ur4gp7ey7t
@user-ur4gp7ey7t 7 ай бұрын
보기만 하는데 스트레스다.. 제발 자식 자존감 낮아지는 행동 하지마세요..
@user-hj8co9tk9w
@user-hj8co9tk9w 6 күн бұрын
진짜아닌건 아닌거지.나만의기준이란게있는것임
@jun8937
@jun8937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우린다그렇게 살았어
@user-oq7pz5gz3g
@user-oq7pz5gz3g 11 сағат бұрын
부모의 심리적 자본은 자기 이해이다
@user-fp2ht3bu6r
@user-fp2ht3bu6r 3 күн бұрын
6살 아이.. 내성적이라 생각하여 친구와 놀고오면 많이 다그치고 혼냈네요.. 그랬더니 정말 더 기가 죽는거 같아 이 영상을 찾아보았습니다.. 이미 낮아져버린 자존감.. 부모가 바뀌면 지금이라도 회복가능할까요..? 6살이라 아이가 눈치도 빠삭하고 이해도 빠른데.. 이미 타격이 많아 회복탄성이 부족할까봐 걱정이고 후회됩니다..
@user-bt3yp5jp7n
@user-bt3yp5jp7n 2 ай бұрын
자식들 어리고 힘없을때는 부모 편한대로 마음대로 하다가 나중에 나이먹고 힘없어지고 외로우면 자식들이 자주 연락해주고 찾아와주기 바라지만 자식들은 이미 불편해져버려서 다가 가기싫음.
@user-jm8zt9qs4d
@user-jm8zt9qs4d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못 끼어 놀면 내가 나서서 같이 끼어 놀면서 줄겁게 놀수 있게 해주면 된다 부모가 게으르고 모자른거다
@coramdeo509
@coramdeo509 Ай бұрын
이래서 내가 좀 그런가?......😢
@user-wu6es6sq2t
@user-wu6es6sq2t 5 күн бұрын
제얘기같네요
@zarnigorsuyunova4548
@zarnigorsuyunova4548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저는 아직 아이 임니다
@user-li5sb3eb8l
@user-li5sb3eb8l Жыл бұрын
안낳으면 편함
@user-fv9nq5bh4k
@user-fv9nq5bh4k Жыл бұрын
옳은말씀!!
@user-li5sb3eb8l
@user-li5sb3eb8l Жыл бұрын
@@gibeomkim7101 36에 결혼 포기하고 애포기하고 충분히 벌고 저축했더니 아파트 값이 떨어져도 두 채 합쳐서 근9억 나가는 집이 있고 예금 4천 넘기고 있음 아 물론 은행근저당 합쳐서 3억 좀 넘게있긴 함
@hotdog4_love
@hotdog4_love Жыл бұрын
제 엄마는 어려서 가정환경이 좋진않았었던 반면 학창시절부터 성인시절 대인관계는 남녀 구별없이 좋았었다고 해요. 근데 저에게만큼은 고당때까지 통금이란거 자체가 없었어요 그냥 학교끝나면 바로 집으로 가야했었음... (대딩1학년땐10시 2학년땐 11싴ㅋㅋㅋ) 진짜 지옥 그 자체같았고 사람들이 학교다닐때가 좋았다면서 그때로 돌아가고싶다는 말 하는거볼때마다 이해1도 안감... 절대싫음ㅋㅋㅋㅋ 독립이 꿈이였음.
@user-iz5ni5zj1n
@user-iz5ni5zj1n Жыл бұрын
11시면 잘 시간인데 ^^; 저는 통금 없어도 그 시간에는 갔는데 ... 여자의 경우 통금 다 있었죠 ^^ 본인이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이셨나봐요.
@RTFyEds4Irg67wNX5dXP
@RTFyEds4Irg67wNX5dXP Жыл бұрын
노는거 좋아하고 공부하는거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11시면 대낮인지도...
@user-qi4rw5yl3t
@user-qi4rw5yl3t Жыл бұрын
@@user-iz5ni5zj1n 대딩1학년때 누가 10시까지 들어가여ㅋㅋㅋ 중딩,고딩때도 친구들하고 안놀으셨나봐요ㅋㅋ
@suchislifespace7725
@suchislifespace7725 10 күн бұрын
나네.......슬프다
@dkdoenejalwjwjw1200
@dkdoenejalwjwjw1200 Жыл бұрын
제발 애들한테 집착좀 하지마라. 부모가 할일은 애가 성장하는데 정말 필요한 것만 딱 제공하고 그저 남일보듯 하면 그것만큼 좋은게 없다. 모든 문제는 애일을 마치 내일인양 착각하면서 간섭 집착하면서 이리저리 내맘대로 휘두르려는데서 다 시작된다. 기억해라. 자식은 내 분신도 내 소유도 아닌 또다른 인간일 뿐이다. 내 꿈을 이뤄줄 존재도 나랑 놀아줄 존재도 아닌 18세 이후엔 나가서 스스로 살아가다 때되면 죽는 또하나의 평범한 인간일 뿐.
@HWKim-ml2bu
@HWKim-ml2bu Жыл бұрын
집착 간섭하며 공부를 시킨다(나의 꿈을 이루기 위해) vs 필요한것만 주고 알아서 크게 방임한다 몰상식한 이분법 대결임? 애 키우는 방식은 님 생각할 때 둘 중 하나임? 사람들이 자녀교육을 고민하고 멘탈을 케어하려고 이런 영상도 보고 고민하는 이유를 모름?
@lynlynrhoro5735
@lynlynrhoro5735 Жыл бұрын
모를수록 단순하게 환원시켜 얘기하는게 쉽죠.
@jaeheonchoi3015
@jaeheonchoi3015 Жыл бұрын
1등인가?
@user-qe3xw2rb2b
@user-qe3xw2rb2b Жыл бұрын
니가 그럼 그렇지
@sey0443
@sey0443 Жыл бұрын
용어가 너무 어렵다.
@lights6220
@lights6220 4 ай бұрын
또담. 자존감. 부모가 '이 말'을 자주 하면 아이 자존감이 낮아집니다.
@lv2_popo
@lv2_popo Жыл бұрын
부모의 가스라이팅
@ceo2191
@ceo2191 Жыл бұрын
아이에게 적절한 좌절? 아이가 느끼기에 적절한게 어느정도인지도 모를뿐더러 굳이 좌절을 만들어 줄필요가 있나 살면서 느낄텐데 예외없이 답만말하는느낌이네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자존감 높은 아들은 가정에서 '이 말'을 주로 듣습니다. [최민준]
9:39
아이의 공부태도는 이렇게 길러주세요 | 이임숙 선생님
24:54
조작가의 스몰빅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9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