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천지인 곳에서…왜 망했을까" 17년째 방치된 1200억짜리 유령쉼터 '신촌 민자역사'

  Рет қаралды 625,391

땅집고

땅집고

Жыл бұрын

"누가 봐도 안 될 거 같았는데…" 혈세 190억만 허공에 날리고 폐허 된 동두천 육타운
• "누가 봐도 안 될 거 같았는데…" 혈세...
"20평 10억" 억소리 나는 분양가격, 턱없이 부족한 주차장…침몰 중인 '빛 좋은 개살구' 김포수변상권
• "20평 10억" 억소리 나는 분양가격,...
“다시 가고 싶지 않아요”…이태원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
• “다시 가고 싶지 않아요”…이태원 다시 ...
한창땐 권리금 1.5억 주고도 들어왔는데…이대·라페스타·가로수길의 예견된 몰락
• 한창땐 권리금 1.5억 주고도 들어왔는데...
나란히 망해버린 '서울 대표 상가' 동대문·강변·용산의 공통점
• 나란히 망해버린 '서울 대표 상가' 동대...
2006년 문을 연 신촌 민자역사가 도심 속 흉물로 전락했다. 회복할 기미마저 없어 장기간 방치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오픈한 지도 벌써 17년이 지났지만 활용 방안를 찾지 못하고 있고, 이대 상권 침체와 맞물려 이 일대 상권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다.
신촌 민자역사 개발사업 시행사는 전국적인 밀리오레 체인망을 완성한 성창F&D다. 성창F&D는 2004년 신촌 민자역사에 1200억원을 들여 밀리오레 건물 공사에 착공했고 2006년 신축을 완료했다. 1~4층엔 동대문 패션의 대중화를 이끈 쇼핑몰 밀리오레, 5~6층엔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가 입점해 신촌, 이대 상권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지금은 4층까지 아예 문을 싹 닫았고 출입구엔 외부인 출입금지를 알리는 안내문만 붙어있다. 신촌 민자역사는 사실 오픈 당시부터 불안한 조짐이 나타났다. 2006년 오픈 당시 점포 입점률이 30%에 불과했다. 개관 후 6년이 지난 2012년부터는 입점 점포가 아예 ‘단 한 곳도 없는’ 사실상의 폐점 상태를 맞았다.
민자역사 사업자는 역사와 결합된 상업시설을 세운 뒤 정부에 기부채납하기 때문에 건물에 대한 소유권이 없다. 일정 금액의 점용료를 내고 해당 시설을 30년간 운영할 수 있는 권리는 가진다. 2006년 건물이 지어져 2036년 점용허가는 만료된다. 2020년 SM(삼라마이다스) 그룹이 1~4층 상가 운영권을 200억원에 인수해 식음료 매장과 쇼핑몰을 입점시킬 계획이었으나 코로나 사태가 터지면서 수포로 돌아갔다. SM그룹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와 지역상권 악화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현재 역사 활성화를 위한 여러가지 사업 제안을 받고 있으며 서대문구청, 국토부 등과 다양한 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박기홍 땅집고 기자 hongg@chosun.com
땅집고M에서 부동산 · 투자 · 재테크 · 절세전략 · 꼬마빌딩 · 건축 등 다양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땅집고M 6월 개강 강의
📢[땅집고 아카데미]중소형빌딩 자산운영 관리 설루션 8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lfobw
나의 빌딩의 현재가치는 얼마나 될까? 그에 맞는 임대차 및 유지관리 전략은?!
땅집고M에서 미래가치 극대화를 통한 매각부터 절세 전략까지 알려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코리빙하우스 개발 실전스쿨 3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2MkUd
1인 주거형태의 새로운 트렌드! 오피스텔, 원룸보다 수익률 100배?!
임대형 기숙사 개발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기업세무조사 트렌드와 대응방안 원데이 특강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urlBD
다가오는 세무조사 두렵기만 하다면? 여기를 주목하세요!
기업세무조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찾아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베이커리 카페 유치와 개발, 경영의 모든 것 3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cItXk
내 땅, 내 건물에 카페를 투자하고 싶다면?
투자, 부동산 개발 관점에서 카페 기획에 대해 전문적으로 알려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건축주대학 28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uFjoh
땅집고 베스트 셀러 건축주대학, 돈 버는 건축 노하우.
단순한 집짓기 기초 교육이나 인문학 강의가 아니라 돈 버는 실전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918
@ddangzipgo
@ddangzipgo Жыл бұрын
[땅집고 구독자 전용 특가 상품] 100% 국산 농산물 원재료로 만든 열무김치! 농협의 통합 김치 브랜드, 한국농협김치 가격 : 39,710원 → 36,900원 상품명 : 한국농협김치 열무김치 5kg 구매 링크 : bit.ly/43aWxmE 전화 상담 : 1660-0166 평일 10:00 ~ 17:00 (점심시간 11:30 ~ 13:00)
@kimnoda5026
@kimnoda5026 2 ай бұрын
김치 ㄱㅅ
@camilus_kim
@camilus_kim Жыл бұрын
신촌 주차난인데 주차장으로 쓰면 좋을 듯합니다. 왼쪽 신촌 오른쪽 이대, 육교 건너는 신촌세브란스 병원이라 주차장으로는 최적의 입지임
@hsk3035
@hsk3035 Жыл бұрын
주차장으로 쓰려고 해도 쇼핑몰안에.있는 주차장만 쓸수있고 쇼핑몰자체 건물은 주차장으로 쓸수가 없죠.
@user-is6tl5zq9m
@user-is6tl5zq9m Жыл бұрын
주차타워 고고 근데 철거하고 뭐하고하면 비용이 많이 들긴하겠네요
@wintergarten3860
@wintergarten3860 Жыл бұрын
주차장 개조 어렵고 비용도 문제…
@faceoff2762
@faceoff2762 Жыл бұрын
신촌 홍대쪽에 부족한 건 주차장 과 모텔 뿐....
@2udwj1
@2udwj1 Жыл бұрын
분양상가라서 주차장용도변경 거의불가능해요
@user-zl1xt1mx6m
@user-zl1xt1mx6m Жыл бұрын
연대생들은 지하철 신촌역으로 향하고, 이대생들은 이대역으로 향함. 애초에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 아님. 진짜 청년주택이나 문화 창작 공간으로 만들어야 할 듯.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이 근처에서 지내보긴 했나? 전혀 사정 모르고 말하는 거. 지금이 아닌, 저 건물 짓기 전상황부터 봐야지. 저거 짓기 전에는 유동인구 많았음, 오히려 저 건물 앞은 특이하게도 이대정문길-연대방향-대흥동방향이 삼거리처럼 이어지는 공간이라, 기존의 구 기차역이 있을 때는 일본인 관광객버스가 멈춰 서는 자리였고, 이대 정문으로 올라가는 엔트리 게이트 역할이라 학생+쇼핑객+관광객까지 엄청 유동인구가 많았음. 그렇게 유동인구가 많은데 사실상 제대로 활용도 안 되는 역이 자리차지하고, 오래된 술집(뒤는 개천)과 영세 수입가게나 있으니까 신축으로 메가박스 들어간 밀리오레를 지은 거임. 결론: 밀리오레를 지은 건 오판일지 몰라도 그런 오판을 할 정도의 유동인구 있었음, 그 당시에는. 전혀 모르면서 애초에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 아니라느니 하는 뇌피셜 좀 아닥.
@hawk8873
@hawk8873 11 ай бұрын
@@user-kanbooy3104 /그 시절엔 신촌부터 이대까지가 핫플이였죠. 홍익 서점에서 만나가지고,,,,
@wrwsxf
@wrwsxf 11 ай бұрын
저기 유동인구 많았어요. 근데 헬로우 apm? 그거 들어오면서부터 확실히 망하기시작, 저 메가박스 들어올때는 아예 망해버림ㅋㅋ 진짜 신기한 곳이긴함. 저 동네서 학교다녔고 이대 앞 살아서 생생히 목격
@untitl6d
@untitl6d 11 ай бұрын
지하철이 구석구석 다양하지 않던 시절에는 그래도 버스 거점 역할을 많이 했었는데, 지하철 노선이 늘고 버스도 중앙차선 위주로 바뀌면서 점점 지나갈 일이 없어짐
@user-et8se3od1p
@user-et8se3od1p 11 ай бұрын
기숙사형 주거 공간을 만드는 게 좋아 보입니다.
@ninoeltigre
@ninoeltigre Жыл бұрын
저기 메가박스때문에 자주가는데 볼때마다 너무 아깝다 저 큰곳이 비어있다니..
@user-gj5eu7wc4x
@user-gj5eu7wc4x 2 ай бұрын
ㅋㅋㅋ밀리오레 희망고문 20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k3rs5md3p
@user-zk3rs5md3p 2 ай бұрын
저문지 오래인 대형 의류상가의 저주인듯.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Ай бұрын
이제 저길 교도소나 만들자 아니면 핵폐기물 보관소로😂😂😂
@ForLiberalDemocracy
@ForLiberalDemocracy Ай бұрын
저 큰 건물에 메가박스만 정상영업하는 듯 합니다.
@EveningPrimrose1
@EveningPrimrose1 Ай бұрын
@@user-kt3zk9ly6p 좋은 생각이네 서울에 쓰레기처리장이 없어서 그동안 쓰레기 처리가 불편했는데 그거 만드는 것도 좋을듯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학교가 그쪽이고 여전히 살다보니 97년부터 현재까지 이 지역의 역사를 아는데, 이 방송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언급 안 하면 그냥 문제의 핵심을 비껴간 거임. 순서대로 정리하자면... 1. 신촌기차역에 밀레오레하고 학교 정문에서 역으로 가다가 헬로apm인가 뭐 그런 거 생겼는데, 이쪽 상권은 골목골목 즐비한 보세랑 싼 옷 매장들의 아기자기함이 매력이었고, 그래서 깻잎머리 애들도 다 몰려오는 그런 상권이었는데 그 캐릭터를 다 날려버렸음. 상권 특성 사라짐. 2. 처음에 분양가 너무 비싸서 첫 출발이 화끈했어야 하는데, 진짜 별로였고, 초반에 한 5년동안은 골목 상권이 기차역보다 훨씬 잘나갔음. 이 방송에서 안 다룬 것 중 하나가 있는데, 그게 이대 운동장 리모델링해서 주변 상권 죽인 효과가 있었다는 점임. 지금은 그 지하가 썰렁해도 처음 생겼을 때 최소 5년은 지역상권 활기를 날리는데 기여했지. 3. 이 방송이 전혀 짚지 않은 핵심 이유가 하나 있음. 우리학교 들어와서 꽃사진 찍고 좋은 복?받아간다고 중국인 관광객 엄청 들어왔었음. 신촌보다 이대가 중국인 관광객한테 필수코스로 자리잡은 시절이 약 6년은 지속되었는데, 그때 주변 상권이 모두 중국인 특화되어서 완전히 캐릭터 사라졌고, 중국인 사라짐과 동시에 주변상권이 완전히 망해버림. 그러면서 신촌역사는 말할 것도 없고 그냥 그 지역에 외부인(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자체가 오질 않는 분위기가 된 게 신촌역사를 끝장낸 결정타가 된 거임. 4. 온라인 몰 늘어나고 일단 애들이 신촌이대를 오질 않고 합정망원-홍대연남으로 빠졌음, 미용실도 전에는 이대앞에 미스코리아 사자머리 해준 사진들이 즐비했는데, 헤어샵도 대부분 홍대합정쪽으로 다 빠지고 이대스타일 미용실에 아예 안 가게됨. 5. 보세랑 수입의류 전문점, 싼옷 전문점 월드컵때까지만해도 잘 됐었는데, 2008년쯤엔 거의 전멸, 민주떡볶이나 대흥집, 오리지널 같은 맛집들도 쇠퇴하고 이젠 다 사라진 수준. 명동이든 신촌이든 이대앞이든 간에 상권이란게 자기 특성을 갖고 유지되었어야 하는데, 외국인 관광객, 특히 중국인한테만 기대서 특화되니까 걔들 빠지니 그냥 유령타운된 거임.
@innerpeace9856
@innerpeace9856 Жыл бұрын
맞음…예전에 이대, 명동 갔더니 유리문엔 온통 한자에 한 건물지나 하나씩 화장품체인점. 밥먹고 나서 할게 하나도 없는데 그 음식점 마저도 대부분 체인점이라 집 근처에도 다 있는 것들…중국인들도 한번 오고 노잼이라 안올듯 14억 인구 뜨내기장사로만 먹고 살려고 했나? 그 다음 간 게 2년전쯤 인데 뉴스에서 보던 공실건물 엄청난 그 모습이었음
@user-xx6kq5qk7m
@user-xx6kq5qk7m Жыл бұрын
@ryanl6551
@ryanl6551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초반 대학생때만 해도 이대상권 번창했었는데 윗분 이대상권 몰락에 대한 정확한 분석 공감합니다!! 볼수록 안타까운 상황이네요
@lindaperk6518
@lindaperk6518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 잘 짚으셨어요
@user-tu2dt9sy9d
@user-tu2dt9sy9d Жыл бұрын
어머 마자요ㅋㅋㅋ
@iraf27
@iraf27 Жыл бұрын
신촌서도 애매한 거리, 이대서도 애매한 거리.. 상가계의 "더블역세권"이라 생각함. 7년 신촌 사는동안 영화갈때 빼곤 저근처를 갈 이유가 없었음. 홍대처럼 상권이 계속 확대되면 민자역사에도 희망이 있겠지만 신촌은 현재규모 유지하는것도 버거워하는게 보여서 아쉽네용
@ohsuk1993
@ohsuk1993 22 күн бұрын
이게 정확하지요
@b.rfmm4981
@b.rfmm4981 11 ай бұрын
저동네사는데 여태까지 저기 제일 붐볏던 시기가 코로나 선별진료소 있엇을때임
@jih.391
@jih.391 2 ай бұрын
😂😂
@coda32
@coda32 Ай бұрын
맞네욬ㅋㅋㅌㅌㅋ 코찌르러 줄섰던 기억 ㅠㅠ
@korea7140
@korea7140 26 күн бұрын
웃프네ㅋㅋㅋ
@nicklee9116
@nicklee9116 Жыл бұрын
위치가 신촌에서 이대로 올라가는 코너 바깥쪽으로 살짝 튀어나온 곳이라 맘먹고 가려고 하지 않으면 굳이 갈 일이 없음. 08년 쿵푸팬더 개봉했을때 메가박스가본게 마지막 기억인데 그때도 1-4층은 거의 생기가 없었음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기억력 ㅇㅈ. 08년 이미 산소호흡기 달까 말까 이랬을 때임.
@breakthewall5566
@breakthewall5566 11 ай бұрын
15년 전에도 호흡기 이야기가 나오는데 아직도있는거보면 앞으로도 바뀌긴 글럿네요 ㄷㄷ
@lilee00
@lilee00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하필 코너 바깥쪽인데다 건물이 굳이 뒤로 더 들어간 위치라 좀 멀찍이 물러나 있는것처럼 보이죠. 일층에 매력적인 업장이나 간판이 하나도 보이지도 않고 답답해 보이는 밀리오레식 건물..
@Kim-ve1tf
@Kim-ve1tf 11 ай бұрын
저는 여기 영화관 자주 갔었는데요 . 사람이없고 생각보다 잘해놓았지만 건물 외관에 빨간 스프레이페인트로 시위?하는 말들과 좀 폐허같은 분위기에 조금 무섭기는 했습니다. 여기뿐만아니라 그 건너편 컨테이너 푸드코너 입주한사람들도 사람이없다고 하소연을 들었습니다 다 떠나서 이대에 애초에 사람이없습니다. 여기 신촌에서 15분은 걸어가야하고 다 죽은 이대인데 거기 갈바에야 홍대 가자 인거죠…
@soongyuchoi9356
@soongyuchoi9356 2 ай бұрын
올해 졸업한 연대 졸업생인데 청년 주택이 괜찮지 않나 싶음. 코로나 풀리고 대면수업 전환되면서 자취방 수요는 꽤나 있다고 보고, 위치가 애매하긴 하지만 주변 오피스텔보다 저렴하게 공급한다면 주거지로써는 상당히 깨끗하고 메리트 있지 않나 생각함. 연대 본교 기숙사 시설도 굉장히 열악하고 서문 쪽 노후화 된 주택에서 사는 친구들 굉장히 많음.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Ай бұрын
졸업 축하드립니다 세계적으로 유명 대학이죠
@jaemammpark-ph5sw
@jaemammpark-ph5sw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친구 평생 술자리에서 술취하면 한탄했던 대출받고 투자지가 바로 저기구나 ㅠ 인생 얼마나 산다고 십년넘게 마음고생 하던데 ㅠㅠㅠ
@user-cv2cs9dx2p
@user-cv2cs9dx2p Жыл бұрын
안타까워요... 친구 분 위로 해 주세요.
@user-kh5rj2id5d
@user-kh5rj2id5d 2 ай бұрын
저도 다른지역에서. . 지금은 털었습니다. 그 고생 누구보다도 잘 알지요. 많이 위로해 주십시오.
@goodbuster6189
@goodbuster6189 Жыл бұрын
건축 디자인 설계도 문제라고 봅니다. 잘게 쪼개서 분양수익 올리기 위한 디자인으로만 하다보니 사람들이 드나들기 편리하고 또 오고 싶은 디자인 설계가 중요하다 봅니다.
@user-dr7rz8cp5q
@user-dr7rz8cp5q 11 ай бұрын
건축가들은 절대 저렇게 계획하지도 않고 제시하지도 않습니다. 오로지 분양수익만 가지고 따지는 시행사가 문제입니다. 건축가는 건축주의 의도를 구현해야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한계가 명확합니다. 건축주가 저렇게 해달라고 하면 해줘야 돈을 받으니까요. 여러 대안을 만들어서 보여줘도 결국엔 분양수익타령입니다. 건물이 고급스러워지려면 공용공간에 대한 의미를 건축주(시행사)가 깨달아야 합니다. 하지만 전용공간에 대해서만 계산기 뚜드리고 있으니 당연히 저런 사례가 나올 수 밖에 없죠.
@oioxix6816
@oioxix6816 9 ай бұрын
딴에는 매출동선 만든다고, 미로를 만들어놔서 어설프게 쇼핑하러 들어갔다가는 지쳐 쓰러져 죽을 때까지 걸어야 되는 형벌을 받기도 하죠 ㅋㅋㅋ 다신 가고싶지 않은 쇼핑몰 특징입니다.
@user-bl2zw8ms7c
@user-bl2zw8ms7c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볼일이 있어 안에 들어가보고 정말 감짝 놀랐다 서울 한복판에 이정도 규모의 유령건물이 이렇게 있다는게 진짜 신기했다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9 ай бұрын
주위에 유명 대학 캠퍼스 여러개 있으면 우리나라 최고의 자리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lastomurice3231
@lastomurice3231 Жыл бұрын
망한 원인은 다른게 아니라 이대 상권이 죽었기 때문이죠. 90년대~00년대초 까지는 이대 상권이 살아있어서 상당히 유망해 보였습니다. 중심지가 홍대로 넘어가서 이대를 아무도 찾지 않게 된게 가장 큰 이유예요
@yongkim5826
@yongkim5826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홍대는 상가라기 보다는 주로 카페등의 음심점위주였으나, 점차 홍대는 다양한 행사 이벤트 및 길거리 댄스 버스킹 등으로 볼거리 등이 많아지면서 젊은이들이 찾게 되었지요. 그에 반해 이대 주변은 그냥 상점들만 있었는데 이왕 가는길에 볼거리 위주도 있는 곳을 가자해서 아마 홍대로 많이 가게 되고 그래서 이대의 상점들은 점차 손님들이 덜가게 되었나 봅니다.
@JW-7
@JW-7 11 ай бұрын
결국 홍대 인디문화의 존버가 상권을 지켰군요
@user-nf7ev2gv6x
@user-nf7ev2gv6x 11 ай бұрын
이거 쓰러왔는데 아주 정확한 댓글이 있었네요 2000초반 까지만 해도 이대,신촌엔 인파에 휩쓸려 걷기 힘들정도로 사람이 많았습니다. 반면 홍대는 모히칸 스타일을 한 펑크족들,락커들 등등 매니아층들이나 찾는 그런 동네였는데 03년즈음부터 NB같은 힙합클럽이 성행하면서 홍대가 급부상합니다
@harrypp_pharm8356
@harrypp_pharm8356 11 ай бұрын
아무리 살아있어도 저기가 동대문 명동도 아니고 이대인데 저리 큰 쇼핑센터를 소비할 규모의 상권이 아니었음... 애시당초 잘못된 판단...
@newjae1
@newjae1 11 ай бұрын
홍대에 인천공항철도 환승역이 생기고, 그 밑에 공덕오거리 살아난거도 일정부분 있을듯. 신촌은 지상신촌역이 사실상 없는수준이나 마찬가지고 도저히 살릴수가 없는. 기지로 돌아가는 기차들이 너무 많이 지나가는 ㅜㅜ
@muse1659
@muse1659 9 ай бұрын
메가박스 에레베타로 올라가면서 깜깜한 층 몇번 열려서 개깜놀ㅜㅜ 혼자 갔다가 엄청 무서웠음ㅜㅜ 괴담도 많았고요
@jaydenhan6107
@jaydenhan6107 2 ай бұрын
귀신나오기로 유명하죠
@FATMANHSM
@FATMANHSM Ай бұрын
헛 괴담이요???
@user-zi5yt8nj8s
@user-zi5yt8nj8s 29 күн бұрын
저도 소문으로 듣기론 저기에 투자한사람중 공실에서 자살했는데 가끔 올라갈때 누른사람이 없는데 중간에 엘베가 선다고 하더라구요
@user-fw8jc4xc4z
@user-fw8jc4xc4z Жыл бұрын
저기 뿐 아니라 서울시내 밀리오네 건물은 망했다고 보면 됨 . 동대문도 그렇고 중랑구도 그렇고 죄다 망했거나 망해감.저런데가 아주싼건 없고 꼴에 자리세인지 먼지 그런거 같다 붙혀서 중저가보다 비싸게 팜. 저런데는 보통 명품이 아닌 실속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오가는데 딱 봐도 비싸거든 그러니 망할수 밖에 없슴,
@ppeume4300
@ppeume4300 2 ай бұрын
2009년에 영화보러 갔었는데 그때도 텅텅비었었구.. 무엇보다 한참지난 유행따라 만들어서 신축인데도 구질구질한 느낌이었음...그때는 신촌상권이 괜찮았을때도 그런 느낌을 받음
@Becoming-Rich-by-Auction-TV
@Becoming-Rich-by-Auction-TV Жыл бұрын
치밀한 상권분석 없이 무작정 상가를 분양 받으면 폭망합니다 상가분양은 신중하고 철저한 상권분석이 전제 되어야 합니다
@Papa_Smurf_Zumba
@Papa_Smurf_Zumba 10 ай бұрын
노인인구 증가하고,전세대에 비해 돈인는 은퇴자들이 늘어나니, 레지던스 도심형실버타운으로 개조하는게 좋을듯 하네요. 옆에 세브란스병원도 있으니 입지는 좋은데 말이죠..
@lsh6948
@lsh6948 3 күн бұрын
그게쉽냐ㅋㅋ 건물 싹 갈아엎어야 하는데 돈은 너가 대줄거냐
@normal77079
@normal77079 Жыл бұрын
20대 초반에 친구들 만나면 주로 가던곳이 신촌이었음. 맥도널드나 투썸 앞에서 주로 만났는데 시간이 흐르고 저 건물이 생김. 뭐라도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뭐랄까 저 건물 있는곳 분위기 자체가 너무 조용하고 상권과 거리가 멀었음. 신촌역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곳이고 굳이 저곳까지 가야할 이유가 없던데 무슨 생각으로 만든건가했음.
@user-os5yh7hx3z
@user-os5yh7hx3z Жыл бұрын
사기치려고 만들었음
@user-os5yh7hx3z
@user-os5yh7hx3z Жыл бұрын
사기치려고 만들었음
@aglio
@aglio 11 ай бұрын
늘 친구들 만나던 3번출구 맥도날드 지하입구 그립네요
@kangchoonghyun
@kangchoonghyun 2 ай бұрын
이대에선 가기편했으니까ㅇㅇ 이대 정문에서 오른쪽으로 걷다보면 화장품가게들도 많았고, 디저트가게도 많았던터라 조금만 걷다보면 저 건물이 나왔음. 특히 저 건물 바로앞이 당시 버스 환승 거점이라 유동인구도 많았고. 다만 컨셉자체가 너무 애매했음ㅇㅇ 이화여대 정문 앞쪽에 이미 패션타워가 있었고 그 마저도 골목옷가게에 밀려 망해가는 상태였는데 또 패션타워를 지은건 큰실수였음. 당시 3년사귄 여자친구가 이대생이라 자주 들렀는데 늘 컨셉에 대해 의구심이 들었지
@damnzing7470
@damnzing7470 2 ай бұрын
메가박스는 희안하게 항상 저런곳에 자리잡는거같드라
@user-wr6ki7jv9t
@user-wr6ki7jv9t 2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user-wr6ki7jv9t
@user-wr6ki7jv9t 2 ай бұрын
꼭 가기 어려운곳에 자리잡는 느낌이라 잘 안가게됨
@jaylim7715
@jaylim7715 Жыл бұрын
연대생도 안가고 이대생도 홍대생도 안갈만한 위치죠. 소위말하는 더블역세권, 트리플역세권 아파트와 같은거죠. 있으나 없는거와 마찬가지.
@link3523
@link3523 10 ай бұрын
이대생 연대생들이 얼마나 세련됐는데 저렇게 지어놓고 오기를 바라는지... 진짜 저런거 구상한 사람들은 미적 감각도 없고 절대 인싸는 아님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9 ай бұрын
딱 봐서 빌딩이 납작하고 성의 없어보이죠 그냥 공업용 상자 같아요 갑갑해요
@user-ln9dd1mf5v
@user-ln9dd1mf5v Жыл бұрын
밀리오레 운영사 대단한 사람들이지... 동대문 하나 성공한 걸로 신촌 해먹고 명동 해먹고 분양도 쇼핑몰로 사기광고 띄우고 호텔로 사기광고 띄우고 당한 사람들 엄청 많다. 그 동대문조차 쇼핑몰 자체는 이제 사업성이 없어서 망한거나 다름 없다만
@hc3067
@hc3067 2 ай бұрын
명동 밀리오레는 호텔 됨. 역 바로 위 역세권에 적당히 괜찮은 시설 금액이라 외국인 관광객 수요 있음
@user-xn3vr9jh5f
@user-xn3vr9jh5f Жыл бұрын
지으면 그냥 들어오는게 아니라, 구상권에 상인들을 신상권으로 뺏어와야하는 구조인데.. 결국 상가를 지으면 누군가는 망해야 하는 구조이다. 제발 상가 그만 짓고.. 상가 분양받지 마세요.
@samdori
@samdori Жыл бұрын
저거 지을때 저기다가 주차장이나 짓지 생각했는데 저동네 주차하기가 너무 힘듬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주차장 매우 잘 되어 있고 메박 이용 안 하는 사람도 주차장으로만 사용하긴 함.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9 ай бұрын
대학생들을 겨냥한 비지니스가 많을건데요 대학생들은 차 보단 대중교통 더 많이 쓰지 않는가요?
@Cookizie
@Cookizie 11 ай бұрын
그냥 사람들이 모일수 없는 구조라는게 맞는 것 같아요 신촌 메인 거리에서도 한참 떨어져있어 아무도 안가고, 이대와 신촌을 잇는 길목이기도 하지만 딱 중간에 있어서 다 그냥 버스타고 지나치고 지하철은 사실상 없는거나 마찬가지에다 훨씬 접근성 좋은 박스스퀘어쪽도 공실 투성이라면 길 건너편 역사쪽은 뭐... 진짜 가망없을듯
@bangbang76
@bangbang76 Жыл бұрын
1시간에 1대 오는 경의중앙선… 버스타고 지나가는 지역일 뿐 도보로 가본적이 없다.
@zsmydestiny2827
@zsmydestiny2827 11 ай бұрын
내가 알기로 주변 대형마트 별로 없는 걸로 아는데 그냥 흔한 민자역사가 그렇듯이 대형마트 들여놓으면 될 것 같은데 대형마트는 대중교통은 애매해도 차로 가기가 편하면 장사가 어떻게든 되기 마련이라 저기가 지하철은 애매할지 몰라도 차로 가기는 나름 괜찮은 곳이지 또 주변에 아파트들 좀 들어섰으니 인구도 늘어날 테고 다만 주차장을 그만큼 확충할 수 있을지 또 진입도로를 어느 정도나 확보할 수 있을지가 관건 대학교랑 가깝다고 꼭 대학생 위주로만 타켓팅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릴 필요가 있음
@username-ie7rr
@username-ie7rr Ай бұрын
진짜 코스트코 같은거 들어오면 대박날거 같음. 마포구 사람들 다 몰릴듯
@RobotTaekwonVV
@RobotTaekwonVV Ай бұрын
근데 문제가 저 건물 앞쪽 교통량은 연대 세브란스 병원 때문에 지금도 엄청 많은데다가 도로가 오래되어서 왕복 4차로밖에 안돼요 . . 회전 교차로도 있는데 늘 꽉 막혀있어서 대형마트가 생기면 주차줄 감당이 안될듯합니다
@rlaqbxotlrl
@rlaqbxotlrl Ай бұрын
​@@RobotTaekwonVV 거기다 오히려 대형마트들 점포를 줄여나가는 추세니....
@aidendh-9107
@aidendh-9107 Ай бұрын
저기 주변 죄다 길 좁은데다 신촌 명물거리도 버스만 다니기 때문에 대형마트 생겨도 사람들 절대 안갈듯 합니다. 저기 학교 다녔는데 07년도에 메가박스 생긴 이후부터 영화보러나 두세번 가봤나... 여전하군요
@user-lg1fm3ik4k
@user-lg1fm3ik4k Жыл бұрын
정말 살면서 공실을 보게될줄은 정말 몰랐다 영원한건 없구나 정말
@llillilillilliililllilliiiilil
@llillilillilliililllilliiiilil Жыл бұрын
06년부터 유령이였음 오픈할때부터 유령이였음 접근성이 헬임 사통발달아닌 지역에 쳐박아놓은게 제일큼
@granadajoy7024
@granadajoy7024 Жыл бұрын
심지어 메가박스에 귀신나온다는 소문이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06년에도 유령이었고 실제로 매장들 있었을 때도 둘러보기가 편하지 않은 이상한 구조였음. 거기서 옷 팔고 악세사리 팔던 언니들 나중에 월세 못내서 유흥뛰고 그랬었음. 그게 08년 이럴 때임.
@aziktn
@aziktn 2 ай бұрын
역사에 붙은 건물인데 그 역에서 지하철 타고 나가려면 한 시간에 한 대씩 오는 지하철 기다려서 타고 가야 됐었어서 교통적 메리트가 단 하나도 없었던
@Pfelix-dj3gu
@Pfelix-dj3gu 27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안가보고 지도만 쳐다보면서 여기 역세권이니까 인구 많겠지 하고 찍은 위치처럼 보임 거의 그수준
@sampark1311
@sampark1311 Жыл бұрын
신촌 지상역은 지하역하고 환승통로체계도 없어서 그냥 별도 역임. 거기다 영상에서 나왔다시피 경의중앙선 배차간격이 너무길어서 이용객수의 한계가 명확함. 글고 여긴 과거부터 연대, 이대생이 도보로 접근을 잘 안하는 곳임. 간이역만도 못한역에 왜 이런 민자역사를 지었는지가 의문임.
@user-qt5fe3sj1z
@user-qt5fe3sj1z Жыл бұрын
저 일대에 자그만한 이마트랑 하나로마트 밖에 없어서 롯데마트 들어오는 게 제일 최선일 거 같기도 하고 아닌 거 같기도 하고
@bangbang76
@bangbang76 Жыл бұрын
저 큰 빈공간을 채울만한건 마트밖에 없긴하지만 기존대형마트도 없어지는 지경인데 새로 들어오는건 현실적으로 어렵고 오피스텔? (그것도 좋은 선택은 아닌듯하지만요.) 전 모르겠습니다.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이케아+코스트코 합동 몰이 들어와야 그나마 가능성이 있을까 말까임.
@trev_s1
@trev_s1 Жыл бұрын
제보 드립니다 ㅎ 메가박스 말고 굴다리 삼거리 옆 두 건물은 임대만 붙어있고 계속 몇년째 유령 건물인데 정확한 정보는 하나도 없는데 이것도 알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LE_SSERAFIM
@LE_SSERAFIM 2 ай бұрын
메가박스 건물 가는 길이 넘 애매해서 오픈 때도 가는 사람 거의 없었음. 연대 이대 서강대 친구들이랑 놀때도 그냥 저 근방을 잘 안갔었음. 대로변에 있는 백화점 맥날 CGV쪽을 더 많이 갔지. 차라리 3 대학에 점유권을 넘겨서 각 대학 기숙사 or 학생들 전용 공간으로 쓰게하는게 훨씬 효용가치가 클듯.
@jin1191
@jin1191 Жыл бұрын
저기 메가박스 사람 없는데 시설은 깔끔한 편이라 개꿀입니다
@qst595
@qst595 Жыл бұрын
이런 상가가 될 리 없는게 웬만한 것은 인터넷쇼핑으로... 백화점 자주 가던 분들이 안가는 시대가 되었으니...ㅡ
@user-gt7ln2uv6e
@user-gt7ln2uv6e Жыл бұрын
흐름을 잘못탄거지...오프라인 옷구매 최상으로 치달을 때 계획했는데 분양 당시는 끝물...이때 누군가 총때매고 과감히 전환해야하는데 저런 30 년 후 기부체납구조는 아무도 책임을 안짐...이대입구 신촌역 사이 ampm도 똑같음. 살면서 촉으로 아니면 아닌거다...
@DarkSideoftheMoon2022
@DarkSideoftheMoon2022 Жыл бұрын
오피스텔 + 주상복합건물로 리모델링하는 게 현재 추세에는 가장 적합해 보이네요. 그마저 사용권이 10여년 남짓 남은 건물이라면 누가 하려고 할까요.
@bombj01
@bombj01 11 ай бұрын
하… 안타깝네요. 2017년까지 운전하면서 저 앞으로 참 많이 지나다녔는데, 다닐때마다 언제 한번 놀러와야지 했던 곳인데..
@user-dj9me3ib7s
@user-dj9me3ib7s 11 ай бұрын
그 위치에 처음 생길 때부터 들어가고 싶지 않은 디자인 건물이었음. 그 시절 이미 거리에 재미난 샵들이 많은데 답답한 그 곳에 굳이 들어갈 이유가 없었음.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Ай бұрын
딱 봐도 건물이 답답해 보이고 이쁘지 않다고 느껴지더군요 우리나라 백화점들 알록달록 곡선도 많고 이쁜게 얼마나 많은데
@George-gy4rd
@George-gy4rd Жыл бұрын
저거 주거용도로 바꾸자는 인간들 10년 강제주거해서 깨닫게 해야한다 집에서 누워서 기차 굴려가는 진동 & 소리 느끼면 차암좋겠다 무식이 밥 맥여주냐?
@user-rc7oo6tg8f
@user-rc7oo6tg8f Жыл бұрын
원래 족생쥐들 국평오인거 모름??ㅋㅋㅋ
@heb1727
@heb1727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실제로 가 보면 알겠지만 기차 굴러가는 진동과 소리보다 바로 앞의 세브란스 앞 도로정체와 소음이 더 괴로울 것임.
@xvtsusu4309
@xvtsusu4309 Жыл бұрын
21세기인 지금도 일본은 수도인 도쿄에도 건널목 많은나라인데 일본 건널목 주택들 살아보면 바로 이사나옴 ㅋㅋㅋㅋㅋㅋ
@FutureProductPreview
@FutureProductPreview Жыл бұрын
밀리오레부터 신촌 상가까지 같은 회사가 아직까지 맡고 있다는게 좀 의심스럽네요. 분양을해서 비싸게 팔고, 비싸게 관리비 받고, 못버티고 나간 후 상권 죽은거 싸게 매입하려는 큰 그림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walehump7216
@walehump7216 11 ай бұрын
의심?? 큰그림? 세상 참편하게 사시네요 심심하진 않겠어요
@edenpjw
@edenpjw 11 ай бұрын
전혀요. 불가능합니다.
@myseethers
@myseethers 10 ай бұрын
드라마 그만 보세요
@Olaola630
@Olaola630 5 ай бұрын
칸당 개별 분양입니다 주인이 달라요
@user-ou2dd2iz8t
@user-ou2dd2iz8t Жыл бұрын
뒤가 철도라 시끄러워서 주거도 힘들듯
@jse5217
@jse5217 Жыл бұрын
서울 온지 10년이 다 되어가는데 신촌은 딱 한번 가봤네요. 근처에 접근성 좋고 가성비 좋은 홍대, 연남동 등등이 있는데 굳이 신촌을 갈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user-xe3dc8on9j
@user-xe3dc8on9j Жыл бұрын
저는 홍대 연남보다 신촌이 더 좋아서 신촌 죽돌이인데 저쪽은 안 가네요 ㅎㅎ
@user-sw6lm4dl7g
@user-sw6lm4dl7g Жыл бұрын
예전엔 신촌 독다방에서 약속 장소 잡고 신촌이 유명했는데, 강남 빼고는 상권 판도가 바뀌는 현실이니.
@molra1768
@molra1768 Жыл бұрын
서울살이 10년이면 이미 신촌상권 침체된 이후에 오셨네요. 홍대가 2000년 이후부터 부상하기 시작했고 신촌,이대 상권이 홍대쪽으로 유동인구 빼앗기면서 침체 시작된게 2천년대 중반무렵이에요. 그 이전은 신촌,이대 정말 사람 넘쳐나던 시절이고 만남의 장소 같은곳. 물론 지금은 침체를 넘어서 망한 수준이고..특히 이대 상권은 회생 불가 일것 같음.
@youngsukim3360
@youngsukim3360 Жыл бұрын
그건 뜨내기라서 그래요 서울 사정 모르는
@Space-gw3yj
@Space-gw3yj Жыл бұрын
서울온지 10년 되었으니 신촌 안가죠 ㅎㅎㅎㅎ 예전은 신촌 이대에 사람 많앗어요. ㅎㅎ
@younakim3233
@younakim3233 2 ай бұрын
03학번인데 저희때도 영화관 말고는 간적이 없네요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9 ай бұрын
최근엔 물가 까지 오르면서 점점 시민들 주머니 사정도 어려워져 있고요 우리나란 인터넷 쇼핑도 참 무섭게 빠르게 발달했지요 그리고 이건 빌딩 주인에겐 좀 죄송한 말이지만 신촌밀리오레 생겨먹은것 자체가 너무 갑갑한 단순한 상자 같습니다 백화점 처럼 예쁘고 곡선이 많고 알록달록한 불빛도 들어와야 들어가고싶은 마음이 나요
@seongto
@seongto 11 ай бұрын
10년전에도 저랬던 곳이 참 한결같은 모습으로 남아있구낭...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Ай бұрын
10년은 무슨... 곧 20년 생일 맞이하게 생겼구만.
@user-ov2zw7tv4i
@user-ov2zw7tv4i Жыл бұрын
출퇴근 30분, 평시 1시간 경의선 간의역 일때도 이용객 적었고, 개축 했을때도 왜짓지 했고, 준공 승인후에도 역시나였죠. 저기는 이대상권 폭망한 것과 무관하게 망한거에요. 저거 지어서 나이진건 세브란스에서 이대가는길이 단축된거 이상이 있나 싶네요.
@user-qj5pt7dp5k
@user-qj5pt7dp5k Жыл бұрын
우선 지역주민으로서 한마디. 상가가 너무 많아. 많아도 너무 많다고...
@dowonson7467
@dowonson7467 Жыл бұрын
저거 처음 만들어졌을때 친구랑 약속때문에 근처에서 만난적 있는데, 그때도 새로지은지 얼마 안돼 비어있나 싶던 건물...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정확한 기억이심. 개장 2년 내에 이미 산소호흡기 달았던 건물임.
@user-sg8ze7bm8k
@user-sg8ze7bm8k 11 ай бұрын
서울역이랑 신촌사이에라도 조금 자주 열차가 다니면 좋겠던데... 한시간에 한대는 있으나 마나에요.
@user-zv5cl2xg9i
@user-zv5cl2xg9i 2 ай бұрын
일단 신촌 지하철역에서 도보 12~15분 정도 걸림. 이대역에서도 10분은 족히 걸리는 위치라서 접근성이 다소 애매한게 젤 문제고, 인근에 병원이랑 대학교가 있으나, 유동인구로 잡기에는 뭔가 애매함...이래저래 애매해서 뭔가 메리트가 크게 있지 않는이상 갈 이유가 없는곳...
@J15102
@J15102 Жыл бұрын
완전히 헐고 주상복합이나 두개 동 정도의 아파트를 지으면 망하진 않을거 같은데.. 물론 허가가 필요하겠지만요. 서울 그 비싼 땅에 저렇게 방치되어 있는게 너무 아깝네요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Жыл бұрын
화이팅입니다
@joseph5146
@joseph5146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소유권을 행사할 수 없는 곳이라서 뭘 할 수가 없음. 일단 건물소유권은 코레일이 갖고 200억 주고 sm이 운영권 및 운영수익을 먹는 그림이긴 한데 sm이 마음대로 뭘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님. 아직도 민간업자간 법률관계 복잡하게 얽혀있음. 애초에 성창 쪽은 분양해서 나르면 그만이었고. 정부 입장에서도 전두환 시절도 아니고 민간끼리 문제에 개입할 수가 없음.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 말씀임. 그 소유권 행사 부분을 손대서 무언가 용도변경+개선을 하려고 했던 게 지금 세상에 없는 설시장이었다는 카더라가 있었음.
@hyeonjoonmartinchoi6421
@hyeonjoonmartinchoi6421 11 ай бұрын
차라리 전두환 대통령 할아버지 시절이 나았을 정도네요. ㅠㅠ
@RobertKangchristianunix
@RobertKangchristianunix 4 ай бұрын
후후 서울의 봄 봤는지 궁금하오
@swaneeway
@swaneeway Жыл бұрын
홍대 밀려서 신촌 상권이 많이 떨어진 시점에서 오픈한게 문제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전혀 아님. 홍대한테 밀리기 전에 지었음. 이대 상권 자체는 홍대나 연남의 부상과 무관하게, 자기들끼리 중국인 관광객 특화하다가 망한 거임.
@user-mt1ed3lc7r
@user-mt1ed3lc7r Жыл бұрын
접근성도 좋고 대학가라 공유 오피스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한번 추진해 주시면 좋겠네요.
@txyxkx1402
@txyxkx1402 2 ай бұрын
공유오피스 있는곳들도 잘안되는데 더 생겨봤자
@user-up9xe3bz2u
@user-up9xe3bz2u 11 ай бұрын
탐관오리 검사와 조폭이 끼면, 어떤 건물,어떤 장사,어떤 사업이더라도 쪽박찬다.
@user-su7xv5zr9c
@user-su7xv5zr9c 2 ай бұрын
그렇게~~~ 짓지말라고~ 민자역사 하지말라고~~~ 학생들 교수까지 나서서 다 데모하고 그랬는데...결국 짓더니 꼴좋네. 이대역 근처 그 높은 상가도 애초에 공원부지를 말도 안되게 상가를 짓더니 결국 이 꼴 보여주려고 강행했냐??? 당시 공무원들이랑 시원하게 해먹은거지. 거기 학생 교수들은 다 반대하고 그렇게 난리였는데
@youcantata
@youcantata 11 ай бұрын
근본적으로 젊은 층의 인구가 줄었고 또 상거래도 직접 보고 구매하는 판매방식에서 쿠팡같은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 되니 상가는 몰락할 수 밖에 없음. 즐기는 오락 문화도 젊은 층들도 술 같은 유흥을 멀리하니 인파가 몰리 지 않고 다들 일 끝 나면 집으로 바로 귀가함. 즉 소비와 오락의 중심이 상가를 떠난 것임.
@user-cn9zj3cc8g
@user-cn9zj3cc8g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청년 민자주택을 만들어서 주변 대학생을 흡수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죠. 어차피 원룸, 오피스텔 공급도 부족해서 가격도 비싼데 말이에요.
@tomato6348
@tomato6348 Жыл бұрын
저기 역입니다. 주거지론 안좋아요. 차라리 저렴한 임대료로 술집만드는게 이득입니다. 뭔가 들어와서 살릴 방법이 없는 건물임....동네특성상 술집 밥집말곤 답이 없어요.
@tomato6348
@tomato6348 Жыл бұрын
@@trodoro 그거 아님 방법 자체가 없어요. 이대앞이라고 별 다른게 없고 옆에 홍대있고 신촌있고 클럽이나 헌팅포차 아님 방법 없습니다. 그게 이대앞을 최대한 활용할 방법 모텔도 만들구요. 그동네 모텔비 강남만큼 비쌈.
@user-yy7pt5gp2m
@user-yy7pt5gp2m Жыл бұрын
@@tomato6348 만원 모텔은 어떨까요 지하철 끊기면 쉬다 갈수 있는
@joshuabhoul2016
@joshuabhoul2016 Жыл бұрын
​@@tomato6348 누가 거기서 결혼해서 애낳고 몇십년 살래?? 대학생들은 그런거 상관 안하고 걍 몇년만 값싸게 살수 있으면 오케이할건데 대학생들은 오히려 역 가까워서 좋아할듯 술집이 더 말이 안된다 빙구야,,, 너 장사하면 폭망할듯
@user-cn9zj3cc8g
@user-cn9zj3cc8g Жыл бұрын
​@@tomato6348 이대 상권도 망해가는 판국에 또 상권을 만들어요? 안됩니다. 또 망해요.😊
@user-zg9lm4mw7t
@user-zg9lm4mw7t 4 ай бұрын
2010년도쯤에 저 건물 바로 앞 언덕에 살았어요. 진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그나마 저 건물 상권이 돌아갈때네요. 그때도 공실률 80퍼라곤 했지만 그래도 영화관이 장사가 잘되어서 ( 저도많이갔음) 오며가며 사람들이 아주 없진 않았는데.. 그때가 잠깐 괜찮을때였네요. 하긴 그때만해도 신촌역과 이대앞은 꽤 괜찮았습니다. 이대앞에 악세사리나 보세옷 신발가게들도 영업 잘될때였죠. 그러다 그 이후로 아주 폭망했나보네요.
@elocin01
@elocin01 2 ай бұрын
신촌에서만 30년 살아가는데 저긴 가본 기억 자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뭐 '위치도 그냥 애매함'
@wiscrutgersaustin
@wiscrutgersaustin Жыл бұрын
코로나가 끝나고 전국 대학가 중에서 이대 앞 주거비용이 가장 많이 올랐다. 이대앞 주거시설들은 대학생뿐만 아니라 시내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수많은 젊은 근로자들이 사는 곳이다. 한 마디로 주거시설이 부족하다는 말이다. 5평짜리 오피스텔 하나가 한 달에 100만원을 넘어갔지. 이런 공간을 주거시설로 활용하면 모든 사람이 행복해 할거다. 몇몇 오피스텔 건물주들만 빼고...
@yungoankim6153
@yungoankim6153 Жыл бұрын
그럼 기찻길 옆 오막살이?
@cookyjh9379
@cookyjh9379 Жыл бұрын
이대 옷가게 상가들 거의없어지고 몇년전부터 신축 오피스텔 새로 지은게 한 20채는 되는데 뭔소린지
@hyrmm3270
@hyrmm3270 Жыл бұрын
우와 10년전에도 입점가게 거의없었는데 요즘도인가보다 ᆢ걍 싹리모델링해서 입점 새로받는게 답
@kingshark77
@kingshark77 Ай бұрын
저기 신촌메박이 여친이랑 이차이차하기 딱좋음 문제는 내 앞뒤 옆다 그러고 잇음
@dutong-N.ssadaegi
@dutong-N.ssadaegi Жыл бұрын
너무 단조롭지 않나.... 난 도시에서도 쉽게 접근 할수 있는 스포츠 체험 시설이 저런 대형 건물에 있어도 괜찮을 듯
@user-cc5jd3xp4b
@user-cc5jd3xp4b 11 ай бұрын
이마트 넣으면 끝.. 그래서 신촌 차없는거리도 슬슬 간보면서 없애는중(도로확보차원). 이대역중심으로 신축 아파트 많이 생김. 북아현동 아파트. 대신동. 노고산동. 연희동. 창전동 다 가능한 거리.. 신촌 메인도로 버스전용도로 없애는걸로보아 이미 간보는걸로 보임
@user-wq8ff6ie3c
@user-wq8ff6ie3c 11 ай бұрын
메가박스 가면 사람 없어서 너무 좋음 예전부터 예매없이 금욜 토욜 아무때나 가도 한가하게 영화관람 가능했지
@minjikim1291
@minjikim1291 28 күн бұрын
와 신촌메박 다니면서 저긴 대체왜 항상 똑같이 아무것도 없지 궁금했었는데.. 신촌메박은 사라지면 안됩니다ㅜㅜ 오타쿠들은 여기서 영화 봐야됨..
@puckyoun
@puckyoun 2 ай бұрын
위치가 생각보다 나쁘던데? 들어가는길이 구석진곳에있고 입구도별로없어서 안찾게된다 그리고 큰길때문에 생각보다 시끄러워서 주택보단 주차장이나 소규모기업들 입주하는곳으로 운영해야맞지
@smk1525
@smk1525 2 ай бұрын
열차가 288번 지나가긴 합니다 말그대로 그냥요~ㅋ (역은 아니고 프리패스)
@user-nu8ub2cz4c
@user-nu8ub2cz4c Жыл бұрын
현재 아내랑 뚜벅이시절 연애할때두 저기 메가박스 있어서 그나마 갔지 그때두 1층은 텅텅이었음 ㅋㅋ
@user-kanbooy3104
@user-kanbooy3104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저 건물에서 극장 빼면 1층이 가장 마지막까지 매장이 있었던 건 안 비밀.
@wnsl5156
@wnsl5156 Ай бұрын
왜 이렇게 됐는지 말은 없네... 민자 역사로 설계 승인한 사람들 책임감 느끼시길
@user-pu8kd2ws1w
@user-pu8kd2ws1w 11 ай бұрын
구 철도청민자역사는 30년 사용권 이후에는 다시 철도공사에 귀속되는 특수물건으로 개인에게 매매한것은 소유권이 아닌 기한이한정된 점유사용권이기에 문제해결이 쉽지않네요
@wheldixn
@wheldixn Жыл бұрын
과거에야 경기가 좋아지고 성장하면 빈 상가도 활성화됐지만 이제는 인구감소 저성장에 저런 빈 상가들 앞으론 영원히 공실
@user-df4vo2cx8x
@user-df4vo2cx8x Жыл бұрын
지하나 더 파서 트레이더스 같은 마트로 좀 바꿔주지 주변에 마트 하나도 없는디
@taengsic0805
@taengsic0805 3 ай бұрын
신촌역 이마트 가셈
@user-df4vo2cx8x
@user-df4vo2cx8x 3 ай бұрын
@@taengsic0805 거기 주차 그지같아서 공덕으로 댕깁니다
@HEDFUCcom
@HEDFUCcom 2 ай бұрын
3:30 청년주택 계획 무산된건 왜 그런건가요 그거 들어서면 딱일것 같은데 다시 폭발할것 같은데.. 위치는 여전히 최상급이랄까
@greatmeerkat
@greatmeerkat Жыл бұрын
저층은 상가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저렴한 임대비용의 청년주택으로 활용하는게 상권 활성화에도 매우 좋은 방안인 것 같아요. 그런데, 36년이후에나 가능하고 그 근방의 임대사업하시는 분들의 반발도 클 것 같아요.
@bcda8140
@bcda8140 Жыл бұрын
저 좋은땅을 청년주택으로 왜 쓰나요 ㅋ 심지어 주거건물도 아닌데 생각을 좀 많이했으면 ㅋ
@user-ps3gi8mv5b
@user-ps3gi8mv5b Жыл бұрын
용도변경 불가
@centupleprice
@centupleprice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는 철도노선계획 무산되어 상권자체가 무너지고 분양가도 비싸 소송이 들어갔다고 나옵니다 근데 이상황에서 저렴하게 청년주택 임대라뇨?? 무슨 황당한 말씀이세요??
@hsk3035
@hsk3035 Жыл бұрын
주거용으로는 쓸수가 없죠. 건물 용도자체가 애시당초 쇼핑몰로 설계되었어요. 주거용으로 쓰려면 화장실 욕실에 공사하고 급수파이프를 각 방마다 끌어와야 하는데 가능할까요? 방음도 저 건축물은 고려되서 설계된게 아니에요. 그럴바에는 건물을 완전히 부셔버리고 주택용으로 새로 짓는게 낫죠. 그냥 제 생각에 국가에서 아예 모든 권한을 받아서 대학들이 밀집한곳이니 공용 도서관이나 대학관련 임대 사무실으로 하는게 좋을거같아요.
@chaostar88
@chaostar88 Жыл бұрын
@@bcda8140 그럼 36년까지 저렇게 놀림? 남은 13년 이자랑 원금 감당 되나?
@and-all
@and-all 2 ай бұрын
여긴 기획 단계부터 실패임. 생기고 초반엔 그래도 사람들이 영화보러 가거나 궁금해서 꽤 몰렸는데 막상 가보면 옷사러 가기에도 당시 밀리오레처럼 상가들이 괜찮은 것도 아니고 더군다나 대형 패션몰들이 저물어 가는 시기였음 밥먹을 곳은 없고, 결국 갈 명분이 영화뿐인데 근처엔 또 신촌 cgv가 역세권에 있었음 참 안타까운 공간낭비
@user-bd7sw3ne5p
@user-bd7sw3ne5p Жыл бұрын
경의중앙선 라인중에 신촌역은 거의 안지나감 유령역인줄
@jmjeong2799
@jmjeong2799 11 ай бұрын
그냥 빙 구성해서 대학생들 임대 주택으로 구성하는 게 가장 좋아 보임 걸어서 통학할 수 있는 대학만 3개라 입지로는 저만한 데가 없음 상권이라기엔 예전 신촌역 있던 시절에도 엠티갈 때 외에는 발길이 잘 가던 곳은 아님 놀거면 지하철 신촌역 쪽으로 나오거나 이대 앞에서 놀았지
@user-mg4cp4pr8v
@user-mg4cp4pr8v Жыл бұрын
저 메가박스 건물은 1년도 안되서 공실 쩔었음 옷가게 원툴 걍 시작부터 답이 없었음
@JHK-xr3ue
@JHK-xr3ue 2 ай бұрын
신촌 메가박스 사람없어서 쾌적한 영화관람 가능 ㅋㅋ
@kyungmin197
@kyungmin197 2 ай бұрын
22여기 cgv아트레온 간다는사람들 진짜 근방학생주민들 맞는지 의문ㅋㅋㅋ무조건 신촌메박이지 다쓰러져가는 낡은신촌cgv왜감
@user-qr1bh1xo2t
@user-qr1bh1xo2t 11 ай бұрын
위치가 애매함. 신촌과 이대사이여서. 물론 이대상권이 죽은것도 영향이 있겠지만... 지하철만 자주 다녀도 가능성이 잇겟는데 1시간에 1대꼴로 정차하니 의미가 없지. 저긴 열차는 자주 다녀. 다만 차량기지 오가는 기차들이 많지.
@workoutpa
@workoutpa 11 ай бұрын
처음에 공실 문제를 해결 못해서 이렇게 된거죠.
@yesjj12
@yesjj12 Жыл бұрын
09학번인데 그때도 저 모양이었어요
@Louisvuitton100
@Louisvuitton100 Жыл бұрын
와 충격이네요 신촌역을 안가봐서 몰랐는데 역에 바로 붙어있는데 어떻게 17년 방치에요?;;; 말이 안되는데;; 무슨 시골도 허허벌판도 아니고 서울 중심지인데 말이 되나...?;;; 와 나는 저 건물 당연히 영업하는건 줄 알고 딱히 눈여겨보지도 않았는데 소름이네...
@top_green
@top_green Жыл бұрын
저긴 역 앞에 바로 붙어있는게 큰 의미가 없는 곳입니다. 저 신촌역은 지하철 신촌역과는 별개의 역이고 열차가 1시간에 1대 꼴로 오고 이용객도 많지 않습니다.
@jaylim7715
@jaylim7715 Жыл бұрын
저 신촌역이 2호선 신촌역이 아니니까요.
@Louisvuitton100
@Louisvuitton100 Жыл бұрын
@@top_green 신촌 지하철역이랑 얼마나 떨어져있나요???
@jhlee6524
@jhlee6524 Жыл бұрын
@@Louisvuitton100 걸어서 10분?
@GosariMatjip
@GosariMatjip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서울은 인구천만 사람 미어터지니 어디에다 건물 짓든 중간은 갈줄 알지만 현실은 달랐네요
@user-tw6eb8sc7z
@user-tw6eb8sc7z 2 ай бұрын
신촌에 크게 cgv가 있으니 그나마 가던 메가박스도 안가게 되지...안타깝다
@ASmith-bm3zj
@ASmith-bm3zj 2 ай бұрын
이대 상권은 이대역에서 이대 정문까지 직선으로 이어지는 일명 등하교길 상권이 상권이지 옆길, 그것도 학교에서 한참 멀리 떨어진, 그것도 건물 안이라면 누가 수고스럽게 들어감 간판도 안보이고 길 바로 옆에 가게가 있어야 들어갈까 말까임
@thankyou12317
@thankyou12317 2 ай бұрын
그 이대정문까지 상권도 망했음. 이대 상권검색해서 영상보셈
@hdj7547
@hdj7547 Жыл бұрын
*_나라가 활기가 없는데 이런 나라를 외국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케이드라마보고 한국 오고싶어하는데..실망만 하고 가겠네_*
@swj8742
@swj8742 Жыл бұрын
저기 집으로 바꾸면 다 나가지
@user-ie2qc6vl2p
@user-ie2qc6vl2p Жыл бұрын
주거시설로 리모델링하면 대박일듯
@bluecoder777
@bluecoder777 Жыл бұрын
너 역사가 무슨 뜻인지 모르지?
@swj8742
@swj8742 Жыл бұрын
@@bluecoder777 너 용도변경 뭔지 모르지?
@user-ed1xt8yz6t
@user-ed1xt8yz6t Жыл бұрын
@@swj8742 민자역사 특성때문에 안될듯
@user-xw2qj4fh4i
@user-xw2qj4fh4i Жыл бұрын
조금이라도 용도 변경을 안다면 저게 불가능한지 알게될텐데....용도변경이 쉬우면 동대문 남아도는 쇼핑몰 숙박시설이나 주거시설로 변경하지..
@youngtaeahn7638
@youngtaeahn7638 Жыл бұрын
필요도 없는 걸 욕심과 사기로 얼룩져 스스로 망조의 길을 갔구나. 허물고 주변 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임대주택이나 지어라.
@lemmy8284
@lemmy8284 11 ай бұрын
저기는 신촌상권은 아니고 이대 상권이라고 하기도 애매한 중간지점임. 저런 곳에 저렇게 큰 건물을 짓는다는게 애시당초 말도 안 되는 소리였음.
@mbvw1718
@mbvw1718 2 ай бұрын
집에서 병원 출퇴근 하는데 딱 가로막고 있어서 짜증나는 건물...
@user-ki9en5dq2h
@user-ki9en5dq2h Жыл бұрын
인천 동인천에 가면 20년 된 동인천역사쇼핑몰 있다 ㅋㅋㅋ 신촌보다 더 오래됐다. 취재 부탁
@sungminnoh8230
@sungminnoh8230 Жыл бұрын
거긴 철거 후 재사용 확정이라던데
@Y25PCCF6MAr9sPoV
@Y25PCCF6MAr9sPoV 11 ай бұрын
원래가 대학가는 저렴한 상권으로 사람들이 몰려서 흥하는건데 기업화되면서 찾던이들도 찾을 이유가 없어 망해버린거뿐 분석할것도 없이 상권이 망하는 가장큰 이유는 임대료상승
@aiden_87
@aiden_87 Жыл бұрын
사무용 시설로 뜯어고쳐야지 뭐 일부는 연대가 좀 쓰고 청년 창업 지원시설로 나머지 써먹으면 동네에 딱 어울리지 않겠나
@Dkdhdhjajaksksk
@Dkdhdhjajaksksk 3 ай бұрын
아니 국내최고 대학병원인 세브란스가 바로 앞에구... 국내 사립최고 대학이 두개를 양쪽에 끼고 아무리 신촌 이대가 죽었다지만.. 상권지 땅인데.. 저걸 못살리나..에휴.. 거기다 아무리 경의선이라지만 철도가 붙어있구... 난 진짜.미스테리다..이걸 못살리구 20년째 폐허로 만든다는게..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86 МЛН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