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도 낡았고, 볼 것도 딱히" 텅텅 빈 종로 젊음의 거리…그나마 임대료 싼 먹자골목만 버틴다

  Рет қаралды 308,417

땅집고

땅집고

11 ай бұрын

"누가 봐도 안 될 거 같았는데…" 혈세 190억만 허공에 날리고 폐허 된 동두천 육타운
• "누가 봐도 안 될 거 같았는데…" 혈세...
롯데백화점에 손님 다 뺏기고, 있으나 마나 한 동탄역에 한숨만 나는 광비콤 상권
• 롯데백화점에 손님 다 뺏기고, 있으나 마...
"전용 57평 월세 1억 2000만원" 억소리 나는 임대료에 볼 것도 없어…그래도 "월세는 절대 못 낮춰"
• "전용 57평 월세 1억 2000만원" ...
초역세권이면 뭐해, 90%가 공실인데…'억'소리 나오는 분양가로 폭망한 마곡·판교 상권
• 초역세권이면 뭐해, 90%가 공실인데…'...
공무원 덕에 먹고 살던 과천 상권…"다시 살아나긴 힘들 거 같아요"
• 공무원 덕에 먹고 살던 과천 상권…"다시...
[땅집고] 한때 1등 상권이었던 종로구 관철동 '젊음의 거리'가 이제는 공실의 거리로 불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종로 상가 공실률은 중대형 상가가 9.5%, 소규모 상가가 9.7%다. 서울 평균 공실률인 8.6%, 6.3%보다 높은 수치다.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공실률이 많이 낮아졌다고 하지만 현장은 여전히 암담한 상황이다. 종각역 4번 출입구를 나서자마자 건물이 통째로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로변 따라 몇 걸음 걷지 않아도 1층 상가 곳곳에 임대문의 딱지가 붙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7번출구 앞과 11번 출구 앞도 마찬가지. 통신사 매장은 물론이고 1층 매장이 연달아 텅 비어 있다. 통임대를 내놓은 건물도 우후죽순 보였다.
종로 상권 중심인 '젊음의 거리' 입구부터 공실이 자리하고 있다. 원래 의류 브랜드 '뱅뱅'이 있던 자리로 유명했던 건물 1층은 6년째 공실 상태다. 전용 67평인 이 상가는 현재 보증금 6억, 월세 6000만원에 매물로 나와있다.
대로변에 비해 먹자골목은 그나마 공실이 덜한 편이다. 임대료가 10배 더 저렴하기 때문이다. 젊음의 거리 입구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인데 전용 79평이 보증금 1억원에 월세 600만원 수준이다. 3층 임대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6억에 6000만원인 대로변 상가와 비교하면 입이 벌어지는 차이다. 땅집고가 종로 관철동 상권을 직접 찾아 현장 이야기를 들어 봤다. / 김혜주 땅집고 기자 0629aa@chosun.com
땅집고M에서 부동산 · 투자 · 재테크 · 절세전략 · 꼬마빌딩 · 건축 등 다양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땅집고M 6월 개강 강의
📢[땅집고 아카데미]중소형빌딩 자산운영 관리 설루션 8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lfobw
나의 빌딩의 현재가치는 얼마나 될까? 그에 맞는 임대차 및 유지관리 전략은?!
땅집고M에서 미래가치 극대화를 통한 매각부터 절세 전략까지 알려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코리빙하우스 개발 실전스쿨 3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2MkUd
1인 주거형태의 새로운 트렌드! 오피스텔, 원룸보다 수익률 100배?!
임대형 기숙사 개발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기업세무조사 트렌드와 대응방안 원데이 특강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urlBD
다가오는 세무조사 두렵기만 하다면? 여기를 주목하세요!
기업세무조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찾아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베이커리 카페 유치와 개발, 경영의 모든 것 3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cItXk
내 땅, 내 건물에 카페를 투자하고 싶다면?
투자, 부동산 개발 관점에서 카페 기획에 대해 전문적으로 알려드립니다.
📢[땅집고 아카데미]건축주대학 28기 수강생 모집
강의 자세히 보기 : vo.la/uFjoh
땅집고 베스트 셀러 건축주대학, 돈 버는 건축 노하우.
단순한 집짓기 기초 교육이나 인문학 강의가 아니라 돈 버는 실전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758
@ddangzipgo
@ddangzipgo 11 ай бұрын
🎤땅집고 무료 토크 콘서트 개최🎤 땅집고TV가 오는 7월5일(수)과 6일(목) 이틀간 구독자님들을 초청해 무료 토크 콘서트를 개최합니다. 무더위와 장마에 지친 구독자님들에게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흥미로운 건축 이야기와 미술품 시장의 최신 트렌드를 알려드립니다. 럭셔리 주거브랜드 르피에드가 후원하는 이번 콘서트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르피에드 갤러리(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124-19)에서 열립니다. 1인당 1회만 신청 가능하며 1회당 참석 인원은 선착순 70명입니다. ▶콘서트 신청 바로가기 bit.ly/444I6kA ▶관련 기사 보러가기 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6/28/2023062800487.html 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6/26/2023062600387.html#_mobwcvr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11 ай бұрын
공실의거리 엌ㅋㅋ
@rmfrn4835
@rmfrn4835 11 ай бұрын
허구헌날 ~ ㅋ옆에서 집회.시위 하는데 가고싶냐? 이것만해결돼면 ...상권은 다시 살아남 ...대한민국 1등급 상권...
@always22_63
@always22_63 11 ай бұрын
노점상은 전부 망해야 한다
@LKKVMD
@LKKVMD 6 ай бұрын
@@rmfrn4835 죄송하지만 종로 살고 있는 입장에서 공감이 안갑니다. 시위는 제가 사는 종로 5가에도 매번 종각과 동일하게 있고 혜화동에도 종로3가에도 똑같이 시위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위는 광화문 또는 시청에서 시작해서 대학로나 동대문을 종점으로 행진합니다. 그런데 광화문 , 종로3가는 아직 핫플레이스고 특히 종로3가쪽은 오히려 뜨고있죠 혜화동은 몰락삘 나다가 근래 다시 살아나고 있구요 시위 때문이 아니라 무언가 다른 요소 때문에 망해가고 있는 겁니다.
@gomtank3357
@gomtank3357 11 ай бұрын
종로에 오래동안 건물 소유했으면 보통 부자가 아님 걱정해 줄 필요 없습니다
@user-ys6uj7op5r
@user-ys6uj7op5r 11 ай бұрын
자영업을 하는 입장에서 공실이 오래된 곳은 절대 피해야 한다. 건물주가 변화된 상황에 순응해야 함에도 외골수에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성격일 가능성이 크고, 결국 세입자가 힘들게 뻔하니까..
@choi775
@choi775 11 ай бұрын
가격이 너무 비싸서 가기도 싫죠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11 ай бұрын
대기업이 들어가야되는데 대기업이 ㅡ안들어가지 유명 bj한테 상품돌리고 광고 해주게 효과가 더큼
@kes5131
@kes5131 11 ай бұрын
비교 임차인은 일확천금만 꿈꾸며 손해도 안보려는 자들이다
@Oizman
@Oizman 11 ай бұрын
보유해도 세금이 너무 싸서 공실로 냅둬두 잘 먹고 삽니다..걱정 노노..
@kes5131
@kes5131 11 ай бұрын
@@Oizman 북조선 가서 살아.. 많이 보유해 봤어야 세금이 많다는걸 알지 저 사람들 상위 30프로의 세금으로 세금 안내는 당신들에게 복지랍시고 지원해주고 있는거다..이보다 더한 걸 원하고 질투가 난다면 북으로 가라
@user-og1nu5pb8c
@user-og1nu5pb8c 11 ай бұрын
건물주들이 38년 동안 그만큼 해먹엇으면 됏지 뭐가 더 필요하지?? 절대로 동정 따윈 필요없다...어차피 돈 남아도는 분들이니
@choi775
@choi775 11 ай бұрын
부자들이라 저기 망해도 다른데 건물 많아서 저기 끝까지 쥐고 잇을겁니다 ㅋㅋ
@Oizman
@Oizman 11 ай бұрын
보유세 싸서 10년 공실되도 잘먹고 살죠.
@erwinkim7125
@erwinkim7125 11 ай бұрын
땅값 올리려고 임대료까지 단합한듯한 동네 클라스 제발 수십년 저렇게 공실로 남길 바래봅니다 종로bye
@commenno929
@commenno929 11 ай бұрын
ㅋㅋㅋ ㅄ 건물주가 아니니까 이딴소리하지 , 야 임대료내리면 건물가격 팍팍떨어진다. 계산법도 따로있어 ㅋㅋㅋㅋ한심하내. 그리고 '담합'이지 단합이아니야.
@heavensky1
@heavensky1 11 ай бұрын
임대료 담합 안 되 답답아
@user-hq6xn8nx6z
@user-hq6xn8nx6z 11 ай бұрын
@@heavensky1 세상물정모르는 백수들이 세상이 기득권들의 담합으로 돌아간다는 망상을 철석같이 믿는거지
@choi775
@choi775 11 ай бұрын
@@heavensky1되는데? 답답아? 옆집 올리면 다같이 올라가는거여 ㅋㅋ
@miosarang
@miosarang 11 ай бұрын
@@heavensky1 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돼
@bcw10529
@bcw10529 11 ай бұрын
월세6천만원을 내고 무슨 장사할수 있을까요? 주인더러 장사하라 하세요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10 ай бұрын
내가왜? 호구하나 잡아야지 ㅋㅋ
@nameun_haru
@nameun_haru 11 ай бұрын
건물주들 힘들겠네 싶었는데 임대료 낮출 생각은 없다는거 듣자마자 내가 누굴걱정하나 자아성찰 해버림
@rmfrn4835
@rmfrn4835 11 ай бұрын
허구헌날 ~ ㅋ옆에서 집회.시위 하는데 가고싶냐? 이것만해결돼면 ...상권은 다시 살아남 ...대한민국 1등급 상권...
@LKKVMD
@LKKVMD 6 ай бұрын
@@rmfrn4835 그렇게 보기엔 똑같이 집회 시위 하는 광화문과 종로 3가는 상권이 아직 살아있습니다. 종각에서만 시위하는게 아니니까요 보통 시위는 광화문에서 시작해서 동대문 또는 혜화동(대학로)까지 가죠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rmfrn4835 집회의 문제가 아니고 이미 이나라가 돌이킬 수없게 돼버린거임
@samlee1052
@samlee1052 11 ай бұрын
이 동네 15년 살았는데 종로 오던 사람들 다들 옆동네 간듯. 요즘 안국역 쪽 가면 사람 정말 많음. 을지로는 두말할 것 없고. 솔직히 종각역 왜 가나 싶음.. 주말되면 집회한다고 시끄럽게 하지... 교통 안 좋지 상권가 가봐야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프렌차이즈 밖에 없지. 그렇다고 주차가 편한가? 그것도 아니지.
@user-yz9pn2nv4o
@user-yz9pn2nv4o 11 ай бұрын
집회는 아직도 왜 거기서 하는지. 용산이나 강남으로 가지. 종로 서울 원도심 상권 망치는데 영양이 지대할듯.
@sangho9274
@sangho9274 11 ай бұрын
주차 때문에 안갈수 있겠네요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거기도 얼마 안남음 ㅅㄱ
@user-mm2im1kg4l
@user-mm2im1kg4l 11 ай бұрын
종로, 가로수 길 다 망했네요...이런 상황은 어쩔 수 없이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려면 겪어야 하는 상황이겠죠 꼭 나아지길 !
@user-gc7ky2wg3i
@user-gc7ky2wg3i 11 ай бұрын
건물주가 얼마나 돈이 남아돌면 6년동안 건물을 비워놓냐. 역시 대한민국 건물주는 갓이다.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호구하나 ㅡ걸 려라 ㅋㅋㅋ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11 ай бұрын
마약 성매매 아니면gg
@grx1988
@grx1988 11 ай бұрын
6년 비워둘 정도면 대출없는 건물주 겠지요^^
@ssong161
@ssong161 11 ай бұрын
대출이 없어도 세금만 하더라도 ㅋㅋㅋ ㄷㄷㄷ
@user-hb9ij3ow5x
@user-hb9ij3ow5x 11 ай бұрын
​@@user-lx5zn6xi9m 걱정이아니라 ㅇㅜ리나라 현상황이야 모지리야ㅋㅋ 너는 가진게없어 세금내본적이 없어서 그래 뭐가 논란인지를모름ㅋㅋㅋ 그저 단순하게 받아들이지 개소돼 처럼
@user-ht6co7ie1n
@user-ht6co7ie1n 11 ай бұрын
임대료가 정신 못차렸구나 아직 멀었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1 ай бұрын
!!!!!!!!!!!!!!!!!!!!!!!! 국민들이 무기력에 빠져 있고 국민들이 죽어가는데 자영업이 되겠냐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 취업 활동 없이 그냥 쉰다는 2030 이 66 만명. 거기다 세계 최저 출산율 , 노령 인구 급증. 노인은 돈 안쓰지!!!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국민 68% 가 번아웃 증후군 상태!!!!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11 ай бұрын
인간의 탐욕
@user-ic2zx3cc7y
@user-ic2zx3cc7y 11 ай бұрын
임대료를 견디어 낸 예전의 점주들이 존경스럽고 대단하내요.
@JsL-zq5yx
@JsL-zq5yx 11 ай бұрын
다 재벌가검경근친혼하는 존재들이에요 ㅋ
@user-gk7dt5td6x
@user-gk7dt5td6x 11 ай бұрын
예전의 점주들 대부분 부도낫슴
@DIYLifeSkills
@DIYLifeSkills 11 ай бұрын
촬영과 편집 둘 다 너무 잘 했네요. 처음엔 뉴스방송을 보는 줄 알았습니다.
@user-ul8kk7cy7g
@user-ul8kk7cy7g 11 ай бұрын
월세가 수천만원? 월세 내려면 도대체 얼마를 팔아야 하는지?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11 ай бұрын
온라인 시대로 끝나감
@user-qz4px9yl7g
@user-qz4px9yl7g 11 ай бұрын
6억에 6천이면 앞으로도 쭈욱 공실일듯
@user-jc1vq6nu4p
@user-jc1vq6nu4p 11 ай бұрын
도른듯 ㅋㅋㅋㅋ 최고점을 아직도 고수하니 공실이지 빌딩값 이미 떡락인데 임대료라도 챙겨야지 ㅋㅋㅋ
@E-217
@E-217 11 ай бұрын
건물주 다 죽어야
@moonstone440
@moonstone440 11 ай бұрын
뱅뱅 자리라고 했으니 직영제외 위탁 의류 브랜드가 들러와 영업 한다고 했을때 월매출 2억하면 대충본전이네 그이상해야 이득 나옴
@ashutalos
@ashutalos 11 ай бұрын
임대료를 내리지 않아도 이미 건물가치는 한 참 떨어져 있는 걸로 보이는데요.
@user-iz4zo8by3j
@user-iz4zo8by3j 11 ай бұрын
저 곳을 갈바엔 차라리 집 주변에 있는 상가를 갑니다. 즐길 수 있는 경험이 상가에 뻔한 술집뿐인데 굳이 갈 필요가 없죠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11 ай бұрын
경인선 경부선 경원선 전철로 무료로 전철타고온 노인들이 거리에서 멍하니 시간 보내는 거리가 종각역에서 파고다 공원 일대더라. 답 없음. 그 세대들에겐 종로는 꿈의 거리였지. 2-30대들에겐 직장 아니면 갈 이유가 없는 곳임.
@normal77079
@normal77079 11 ай бұрын
저기를 가야할 이유가 없죠. 예전이야 학원들이 밀집해있어서 갔지만 지금은 인강도 많고 학원도 다양해져서 굳이? 싶어요. 20대때에 종각 인근에서 사람들 많이 만났지만 지금은 종각까지 가야할 뭔가 목적이 없어요. 인사동도 예전같지 않고 명동 상권이 살아나고 있지만 종각으로 내려오는 수요도 없으니까요. 있어봐야 할아버지들?
@user-pi6ny8lx8p
@user-pi6ny8lx8p 11 ай бұрын
90년대에는 친구들하고 무조건 종로에서 만났는데 밥먹고 비디오방 가고 노래방 가고 정말 이제는 추억이네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1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일요일날 영어, 일본어, 중국어 시험 준비한다는 핑계(??!) 대고 자주 갔었는데...아~ 옛날이여~ 추억거리가 되었네용~ 😢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11 ай бұрын
요즘에 그런코스로 노는게 없어진게 큽니다. 카페도 인스타에 올릴만한 곳에 가야하고, 밥도 한끼 맛있는곳에서 먹어야되고 노래방 비디오방같이 지저분하게 폐쇄적인곳은 거의 안가고.. 다같이 술먹는건 더더욱 없고 ㅋㅋ
@fusahkimti1153
@fusahkimti1153 11 ай бұрын
이미 가치가 떨어졌는데 해당지역 건물주들이 정신못차리네!
@user-qx8ds6zk9y
@user-qx8ds6zk9y 11 ай бұрын
30년간 공실로 남아도 임대료 수준은 변화가 없겠죠
@gomtank3357
@gomtank3357 11 ай бұрын
정신 차릴 필요가 없음. 평생 공실 나도 먹고 살 돈 넘치는 건물주들이라
@LKKVMD
@LKKVMD 6 ай бұрын
저기에 건물 가지신 분들중 일부 분들은 저 건물이 갑자기 무너져서 가치가 0이 되도 사는데 지장 없는 분들 입니다.
@hoonchoo337
@hoonchoo337 11 ай бұрын
종로가 이렇게 되다니.. 어디 중소도시 구도심 중심상권 느낌이네.. 너무 낡았다... 지방사람들도 서울 가면 종로가 갈 생각은 안하니까.. 서울 사람들은 더하겠지...
@crizark
@crizark 11 ай бұрын
식당 가보면 점심 한끼에 13000원 이런곳 천지라 구내식당만 가게 됨. 당연히 값 올리는건 임대료 때문이겠지만 저렇게 임대료가 어마어마하면 뭘 해도 힘들 듯
@otpkeep
@otpkeep 11 ай бұрын
꺄~나 20대때는 종로사람 바글바글했었는데~친구들이랑 모임하면 종로에서 만났었고...세월참...근데 건물주 걱정은안해도 될듯...6년공실인데도 걍두는거보며 걍 자산가치떨어지는니 두는듯
@checkchecktv8296
@checkchecktv8296 11 ай бұрын
옛날이야 갈곳이 많지 않으니 종로 명동 갔지만 지금은 인구도 줄고 상권도 많아지고 신도시도 많아지고.. 종로에 갈일이 별로 없죠
@user-zd6sh2lk3h
@user-zd6sh2lk3h 11 ай бұрын
명동 뒷골목 들어가보면 전선줄이 얽히고 섥혀서 언제 대형 화재가 나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 코로나 터져서 장사 안될때 건물주들이 수리나 좀 하지 욕심만 가득해서요 ㅠㅠㅠㅠ
@Tarkovshit
@Tarkovshit 11 ай бұрын
커피빈은 다죽어가는 상권에만 들어가네요 신기한 포지션입니다
@davidpak7267
@davidpak7267 11 ай бұрын
커피는 조용한데서 폼잡고 천천히 음미하며 마셔야 제맛..😝
@user-rs3sb9yr9f
@user-rs3sb9yr9f 11 ай бұрын
의외로 조용하고 본인들끼리 얘기 할 수 있는 공간을 선호 할때도 있죠. 그리고 가는 길도 조용해야 안정감 느끼는 것도 있어서. 어차피 카페는 목적이 있는 곳이라 컨셉만 확실하면 굳이 번화가도 필요없긴 하죠.
@user-tb5nl3zd6m
@user-tb5nl3zd6m 11 ай бұрын
곧..임대딱지붙을거임..
@jane5346
@jane5346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그러네요...
@user-fw8jc4xc4z
@user-fw8jc4xc4z 11 ай бұрын
사람 엄청나게 붐비던 종로가 이렇게 변했구나. 내 추억도 종로에 많이 남아있었는데 슬프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한데 시대의 흐름 은 어쩔수 없는 건가 보네. 출퇴근 시간대면 발디딜 틈도 없던 종로가 이제는 폐허가 되어 가기 직전인가 보네.
@jhj280
@jhj280 11 ай бұрын
6억에 월6천 ㅡ 6년째공실 ㅋㅋㅋ 죽을때까지 공실일듯 ㅋㅋㅋㅋㅋ
@user-tb3xr6xx3e
@user-tb3xr6xx3e 11 ай бұрын
미친임대료를내려고 밥값을비싸게올리니 손님들이 없어지지
@user-bt8gk5re5q
@user-bt8gk5re5q 11 ай бұрын
01:46 6년째 공실을줘도 전혀걱정없는 사람들이 임대인이란의미지. 신경쓸거없음.
@sooshin3569
@sooshin3569 11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감사합니다.
@elvenisar
@elvenisar 11 ай бұрын
젠트리피케이션은 욕심에 눈이 먼 건물주들이 만드는거다.
@user-ky7oz3me6g
@user-ky7oz3me6g 11 ай бұрын
'공실로 남겨둬도 집값은 떨어뜨리지 않겠다' = 딱 조팔육 기득권의 마인드를 알려주는 말
@user-og4tk6mr5n
@user-og4tk6mr5n 11 ай бұрын
이제 도시의 공동화로 늙어지는것입니다 외곽 신도시로 다 젊은이들이 빠지는것입니다 시대가 변하고 있어요 부동산들이!!!
@jao2022
@jao2022 11 ай бұрын
에이 주거지는 수도권화의 심화지
@flame_flower
@flame_flower 11 ай бұрын
익선동은 미어터짐. 상권이 이동했을 뿐
@jao2022
@jao2022 11 ай бұрын
@@flame_flower 나 관철동에서 살았는데 나름 괜찮더라는 대신... 주변 물가는 비싸서 버거킹가서 사먹어야...
@sportshggg
@sportshggg 11 ай бұрын
아니오, 집은 외곽 신도시로 빠져도 상권은 서울로 모입니다. 신도시 상권중에 젊은이들 북적대는곳 없잖아요?? 판교도 현백 빼고는 싸그리 죽었어요.
@latchutvtv8331
@latchutvtv8331 11 ай бұрын
월세 내릴 생각도없구 그냥 영원히 공실로 남을듯
@tv-mp3zp
@tv-mp3zp 11 ай бұрын
저 대로변 상가 월세 보셨나요?ㅎㅎ 접근이 안될 수준이에요~~건물주분들 여유가 넘치심ㅜㅜ
@user-oe4yr7qg5j
@user-oe4yr7qg5j 11 ай бұрын
그동안 벌어놓은것만해도 어마어마할듯
@HP_Y
@HP_Y 11 ай бұрын
다른 상권보다 종로가 더 심한게, 상권이 생긴 역사기 긴 것 때문인데 신규 상권이 생길때마다 신규 투자자들은 그곳으로 가고, 그래서 종로는 신규 투자자 말고 수십년 전부터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많음. 당연 이들은 지금 노인에, 이미 오랫동안 대출 등 부채도 다 갚은 상황이라 까짓것 뭐 비어있다고 눈하나 깜짝 안함. 젊은 세대들이 대출 일으켜 신규 상가 투자한 경우면 대출금을 갚기 위해서라도 어떻게든 할텐데 소유주가 전혀 아쉬운 것이 없던 노인세대에, 아직도 4대문안이 진짜 서울 하면서 애써 강남을 무시하는 꼰대기질까지 있슴. (꼰대기질이 없이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들 같으면 종로가 정점일 때 팔아버리고 막 떠오르는 동네를 샀을 것임) 그러니 자존심 상 이정도는 받아야지까지 됨.
@user-il6nv8yv7k
@user-il6nv8yv7k 11 ай бұрын
20대 후반에 종각에서 내려서 그 근처 어학원 다녔는데 2007년인가 2008년인가 그때 12월 연말 되면 진짜 사람 어마어마 했는데 지금 저렇게 공실이 있을 줄 상상도 못했지
@user-qn6hc4rs3x
@user-qn6hc4rs3x 11 ай бұрын
임대료 내리면 건물의 가치가 내리니까 비워두더라도 임대료 안내리는 건물주들이 많습니다.
@rmfrn4835
@rmfrn4835 11 ай бұрын
쥐뿔도 모르는 ㅋㅋ 허구헌날 ~ ㅋ옆에서 집회.시위 하는데 가고싶냐? 이것만해결돼면 ...상권은 다시 살아남 ...대한민국 1등급 상권...앞으로도 !
@vegabondjune
@vegabondjune 11 ай бұрын
앞으로 건물 가진 사람들의 수난의 시대가 올 겁니다. 인구는 줄어들고, 그나마 나라 전체의 인구 절반인 수도권 인구는 주말에 전국 각지로 흩어지고, 점점 모바일 등 디지털의 힘으로 집안에서 해결 가능한 것들은 늘어나고... 기존의 모든 상권의 바로미터였던 주말 상권의 개념은 이미 미약해졌습니다. 임대료의 현실화만이 건물주들의 살 길인데, 영상에서처럼 6년 동안 비어있는 임대 공간은 소유주가 개인인지 법인인지 몰라도 너무 높이 잡았던 본전의 기준을 유지하고 건물가치의 하향화를 막기 위해 버티는 거지요. 그러나... 그 인내가 10년, 20년... 30년 넘어가고 이미 건물가가 똥값이 되는 날이 오면 과연 버틸 수 있을까요? 과연 국가에서 매기는 세금이 그 하향화에 맞추어 낮아질까요? 그 하향화에 맞추어 금융기관이 건물에 담긴 대출의 이자를 알아서 낮춰 줄까요? 언젠가 좋은 날이 오겠지?...하고 버티신다면 오산입니다. 모든 것은 통계, 분석 등 과학적 데이터에 의해 이미 결론이 나 있습니다. 조물주 위에 건물주라는 이야기는 삼국유사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날이 조만간 올 겁니다. 더 이상 안정된 수익창출이 건물 소유에 의한 임대는 절대 아니라는 결론을 모두 느끼게 될겁니다.
@user-wt6vb9sf2q
@user-wt6vb9sf2q 11 ай бұрын
내 장담하는데 님이 먼저 수난을 겪는다에 몰빵입니다..
@user-dp4oh1db6d
@user-dp4oh1db6d 11 ай бұрын
망상만 있을뿐 근거는 전혀 볼수없는
@zsmydestiny2827
@zsmydestiny2827 9 ай бұрын
인류역사에서 사유재산이 생긴 이래로 땅을 많이 가진 사람 즉, 대지주는 언제나 부자였었지요 지금은 그것이 건물주라는 모양새로 넘어갔을 뿐이에요 말하자면 대지주(건물주)=부자 이 개념은 인류 문명의 역사 그 자체와 함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근데 그런 시대가 막을 내린다? 밑도 끝도 없이요? 사유재산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지면 몰라도 사유재산이 존재하는 한 건물주는 여전히 부자계층으로 남아있을 겁니다
@miosarang
@miosarang 4 ай бұрын
알아서 하겄쥬?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건물주들 여기와서 댓글로 ㅂㄷㅂㄷ 대고 잇네 ㅋㅋㅋㅋㅋ
@pmy800
@pmy800 11 ай бұрын
망한 상권 정보 잘보고 있습니다. 의외로 흥한 상권(성수처럼 뻔한곳 말고) 도 부탁드립니다~~
@user-hb3rc9pw9g
@user-hb3rc9pw9g 11 ай бұрын
저 상가들의 임대 수익은 부가적인 것이지 결국 건물보단 토지의 가치는 줄지 않기 때문에 나가더라도 신경안쓰는거다. 빈집세든 빈땅세든 부과해서 더이상 다른 이들의 경제 활동에 부동산 소유주들의 욕심으로 시장에 허들을 높여서는 안된다.
@kef3112
@kef3112 11 ай бұрын
저 근처 회사원이지만.. 점심때 가끔 가지만 음식점은 다동이 더 저렴하고 맛집도 많고 저기까지 안가도 페럼이니 센터원이니 지하에도 먹을대 많고.. 카페는 익선동이나 을3쪽에 분위기 괜찮고 맛있는대 많고.. 술집도 마찬가지.. 대학교때 어학원이니 스터디니 많이 종로 정말 많이 돌아댕겼는데....정말 이제 특색없는 회식장소들만 즐비한 곳이 되버린것같아요
@kk-pq7ty
@kk-pq7ty 11 ай бұрын
80년대 후반 나이트로 유명했던 그 시절 종3가 YMCA 는 만남의장소 그후 건물주들 영원히 갈 것 같은 자만심에 오늘의 쇠퇴기를 겪는건 아닌지 아쉽네요
@user-yz9pn2nv4o
@user-yz9pn2nv4o 11 ай бұрын
종각역이 더 가까운 ymca 종로2가 아닌가요?
@kk-pq7ty
@kk-pq7ty 11 ай бұрын
맞네요^^
@jy1470
@jy1470 11 ай бұрын
80학번 입니다.군대 다녀오구 복학... 88년도 졸업하고 직장 다녔네요. 을지로 4-5가 직장이 있었고 당시 일 끝나면 을지로 5가였나? 미군 공병대 담벼락 포차 매일 출근 했고 을지로 골뱅이 거리도 잘 다녔네요... 졸업전에는 돈이 많지 않지만 종로 2-3가 엄청 쓸고 다녔지요. 종각 뒷쪽 첫골목,두번째 골목(상대적으로 술값이 쌌지요) 자주 놀러 다녔고 미팅도 종로서 주로 했네요,비싼 돈가스 가게들에서 허세도? 해봤고...암튼 을지로에 있었던 회사가 대학로 인근 은석빌딩으로 이사하고 종로 2-5가 까지 나와 바리였습니다...대학로도 이다금 갔었네요... 강남구청 쪽으로 직장을 옮긴후 종로 을지로는 자주 못갔지만 친구들 만나려면 거의 종로로 갔습니다,당시는 경제가 호황 이었고 일자리도 많았습니다...국내 기업들이 관세등이나 현지화 로 해외로 많이 이전 하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줄고 대학교 졸업해도 갈 회사가 많이 줄었네요...DJ 때 부터 파견직.임시직 허가하고 해고도 쉽게 하고 젊은이들에세 열정 페이만 강요하고 대기업들은 하청업체 피 피빨아 먹는게 관행이 되고 정부가 눈 감아 주었지요...저 한창 일할때 대기업,중견,중소기업 급여 차이 별로 안났고요...일부 대기업이 복지만 좀 좋았지요...효ㅅ 중공업 본사 대리 경력직으로 입사 한적도 있었는데 복지는 커녕 윌급이 너무 적어 다시 무역회사로 전직 한적도 있네요... 전직하고 다니던 회사 부장 이상 연봉 받았습니다. 당시 효ㅅ중공업,롯ㄷ,지금의 엘ㅈ 등은 연봉이 낮은거로 유명 했습니다. 현재 양질의 직장이 사라진게 가장 큰문제지만 코로나등으로 경제위축들도 문제고 근래 가장 문제인게 택시비 인상이 큰것도 있습니다...술 한잔 마시고 전철 일찍 끊기고 버스도 없고 택시 타고 종로서 노량진 까지 오는것도 일주일에 두번이면 부담이 됩니다....그나마 이정도 거리면 덜한데...더 멀면 엄청 부담이요. 그리고 자영업자들도 스스로 자살질 하더군요...소주병값 받기 시작할때 천원이나 술집서 올렸지요.지네들이 천원 더 내는것도 아니고 소비자들이 병값 백원 부담하고 소주병도 지네들이 가지 는건데 왜 올리나요? 그리고 작년인가 소주세 올린다고 정부가 깝죽거리다가 안올렸는데 왜 니내들은 소주가격 또 올리나요? 동네 인근 7호선 라인 술집들 보면 캐나다산 삼겹살 120-140 그람 일인분이 16000 천원인가? 기억하고 원산지 불명의 냉동인지 뭔지 삼겹은 14,000 원입니다. 빅마켓 가면 캐나다 냉장이 100그람에 1100 원 입니다...우리 가족 고깃집 안간지 10년도 아주 넘었습니다. 동내 정육점에서 통으로 현지에서 잡아온 고기만 사다가 먹습니다. 암퇘지 삼겹 비싸면 100그람에 3000원 목살 2600원 입니다.인근 정육보다 빅마켓,코숫코가 고기가 저렴하지요 그래도 박스고기라 (미리 도축해 분류한 고기)안사먹네요. 맛이 덜합니다.돼지고기는 거의 거세 숫돼지고 일반 소고기도 거세 숫퇘지...소등심 1++ 종종 대형마트나 마장동서 사다가 먹어 봤는데...느끼해서 좀만 먹으면 질리네요...동에 단골 정육점에서 통으로 잡은 소고기는 비교 불가 네요... 글이 삼천포로 빠졌는데 동네가 땅값이 비싼 강남도 아닌데 서민 상대하는 식당들 재료도 허접 3류고 시설도 그저 그런데 너무 비싸니 그런데로 벌어서 먹고 우리같은 집도 안가게 되네요. 돈이 없어서 못가는게 아니고 너무 허접인데 비용만 비싸네요. 요즘 동네가 개발이 엄청나니 개나소나 다 올라가나 봅니다... 사는 아파트 앞이 주택가인데 번화가도 아닌데 외진 길가 단독이 평당 6000,안쪽 허접도 5000 이라네요...시장통 아주 작은 땅 건 물도 못짓는데 평당 2억 5천... 코로나전에 새벽4시경 드물게 차 끌고 집 3정거장 떨어진 노량진 역과 학원가를 지날일이 몇번 있는데 수백명 젊은 애들들 학원 좋은 자리 차지 한다고 4시경 잠도 안자고 줄서고 있었는데 지금은 학원 본전통 가게들 많이 비었고 임대 안나가더군요...학원생들도 거의 없구 이따금 베트남 애들이 지나가더군요...지역 경제가 아닌 국가 경제가 박살 났네요...식구 하나가 대기업 기술직 다닙니다. 서울 상암이고요...연봉 기본급으로 3% 올랐네요...물가 오른건 50% 이상 이더군요.
@unforgivenpalerider365
@unforgivenpalerider365 11 ай бұрын
시장 경제에 역행하는 인간들을 위하여 상권이 완전히 붕괴되길 기원🎉합니다..😂❤아주 훈훈한 내용 알려주셨네요
@user-eh2tn9vl9z
@user-eh2tn9vl9z 11 ай бұрын
임대인들 정신차리게 20~30년 공실이되어야된다 그리고 비싼 임대 절대 들어가면 않되요 장사하다 망하는 지름길 입니다 나중엔 빈 털털이 된다
@youngtaeahn7638
@youngtaeahn7638 11 ай бұрын
아직도 시대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 사람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1 ай бұрын
!!!!!!!!!!!!!!!!!!!!!!!! 국민들이 무기력에 빠져 있고 국민들이 죽어가는데 자영업이 되겠냐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 취업 활동 없이 그냥 쉰다는 2030 이 66 만명. 거기다 세계 최저 출산율 , 노령 인구 급증. 노인은 돈 안쓰지!!!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국민 68% 가 번아웃 증후군 상태!!!!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KhaKja-pc7jv
@KhaKja-pc7jv 11 ай бұрын
그래서 동네 상권중 시장이 난거여~ 시장 메인은 비싸고 싸쪽에 sns쓰구 글구 ~ 동네 아파트가많아야해
@user-no3te4fo4s
@user-no3te4fo4s 11 ай бұрын
근데 저기는 당연한거 아니냐ㅋㅋㅋ 규제로 묶여있어서 건물을 새로 리모델링하든 새로 짓든 뭐가 안되는구역인데ㅋㅋㅋㅋ 시대의 변화고 ㅈㄹ이고 규제로 손을 쓸수가 없으니 도태되는건 당연하지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11 ай бұрын
할배들 빠릿빠릿 하지가 않아서 그런듯 ㅋㅋ
@zerowaterkr
@zerowaterkr 11 ай бұрын
80년대에 관철동하면 생맥주골목으로 완전 힙한곳이였는데. 2가 3가쪽 학원생들에 KFC 만남의 장소와 종각을 오가던 청춘들과 길건너 YMCA 뒤의 피맛골 생선구이집, 막걸리파와 생맥주파가 확연히 갈리는 분위기의 종로였는데..그냥 옛 추억의 종로일뿐. 그나마 도심지의 추억은 을지로의 골뱅이만 남을것 같네요.
@kk-pq7ty
@kk-pq7ty 11 ай бұрын
좀.. 아시네요^^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1 ай бұрын
!!!!!!!!!!!!!!!!!!!!!!!! 국민들이 무기력에 빠져 있고 국민들이 죽어가는데 자영업이 되겠냐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 취업 활동 없이 그냥 쉰다는 2030 이 66 만명. 거기다 세계 최저 출산율 , 노령 인구 급증. 노인은 돈 안쓰지!!!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국민 68% 가 번아웃 증후군 상태!!!!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11 ай бұрын
80년대 말에는 북창동 이었지..
@zwalzwal
@zwalzwal 11 ай бұрын
그래도 부동산 보유세는 꼬박 꼬박 내줄테니 감사한 애국자들 ㅎㅎ
@heavensky1
@heavensky1 11 ай бұрын
ㅋㅋ 애국자 번 돈이 얼마인대
@user-vr3vx1ky8y
@user-vr3vx1ky8y 11 ай бұрын
그마저저도 이번정부가 5분의1정도로 낮춰줌
@zwalzwal
@zwalzwal 11 ай бұрын
@@user-vr3vx1ky8y 대신 서민들이 그 부분 부담하겠죠 ㅎㅎㅎ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이번정부도 3년 밖에 안남았지롱 이젠 김정은이 밀고 내려올 날도 머지 않았네 ^^ 집주인 놈들 김정은이 전쟁 한다 하면 경기 일으키잔음?
@sbsmbc2619
@sbsmbc2619 11 ай бұрын
건물주들이 임차료 낮춰야지. 그들이 음직이지 않으면 답 없다.
@CherryCandy3535
@CherryCandy3535 11 ай бұрын
임차료를 아무리 낮추면 뭐합니까, 손님이 안 오는데
@user-ku9nf7cg2j
@user-ku9nf7cg2j 11 ай бұрын
저도 몰랐는데 임차료가 만드는 기대수입이 건물매매가를 좌우해서 그러더라구요. 말씀처럼 되려면 건물주들이 싹 파산하고 건물이 경매로 나와 3-4번 유찰되고 똥값이 되야 가능할것 같습니다.
@yeonghunkim8265
@yeonghunkim8265 11 ай бұрын
건물이 똥값되야지ㅡ 그래야 진짜 젊은 사장들이 이것저것도전을하지. 기대수익이 안나오니 임대를 누가함
@user-li7dq1jd6m
@user-li7dq1jd6m 11 ай бұрын
@@CherryCandy3535 임차료가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젊은 사장들이 들어올수있고 젊은 사장들이 모이면서 창의적인 가게들이 나오고 그러면서 손님들도 유입이 되는거죠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11 ай бұрын
​굥때매안됨.지금까지 중국강간객때매머코살았는디굥을몰아내고
@tbrotherxmileyun2276
@tbrotherxmileyun2276 11 ай бұрын
국민들 개개인들의 소득에 압박을 격기 때문인거라 봅니다! 이태원 명동 홍대 빼곤 활성화가 힘들다고 봐야조!
@uliej2731
@uliej2731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월세6천만...누가 저돈을 주냐...6백도 많쿠만...ㅋㅋㅋㅋㅋㅋ..대한민국 조은나라...이래서하느님 위에 건물주님 카는구나....
@sjacc74
@sjacc74 11 ай бұрын
대학 때 종로 자주 갔었는 데 아쉽네요~
@dosungpark
@dosungpark 11 ай бұрын
젊은 인구가 반으로 줄였는데 상가도 반으로 주는게 자연스러운 수순인듯
@user-iv8dl4yn4t
@user-iv8dl4yn4t 11 ай бұрын
반으로 줄진 않았어… 아직 그세대가 저기 소비자가 아니라구…. 제발 뭣도 모르면서 분석하지말자 저기 소비자들은 연남 성수 압구정으로 옮겨서 더 붐빈다
@MoMo-sc1zg
@MoMo-sc1zg 11 ай бұрын
제가 30인데 제 나이대가 출생아 수 젤 많아여 그냥 집에서 인터넷이나 하지 굳이 안 나가서 적은거에요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user-iv8dl4yn4t현실도 모르면서 분석하지 말자 이제 10년도 안남았다 딴데로 옮기긴 머가 딴데로 옮겨 걍 대한민국 자체가 헬조선이다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MoMo-sc1zg제일 많다는 뻔한 그짓말을 쓰시네 제일많은건 50댑니다. 한해 100만 출생자 세대
@nanbori
@nanbori 11 ай бұрын
임대료 내려야 된다. 정말 자영업자들 한달 디지게해도 임대료 내면 끝. 너무 월세가 높아.
@user-xn5vz9ec4m
@user-xn5vz9ec4m 11 ай бұрын
놀러 종로를 왜감 솔직히.. 이유가 하나도 없음 ㅠㅠ
@MLB1
@MLB1 11 ай бұрын
2000년에 잭코브라 건너편 2층에 모나코레스토랑에서 일년동안 일했는데 앞건물에 베니건스 처음 생기고 베스킨라빈스도 처음 생기고 아직도 잭코브라 후문쪽에는 분식집이 있더라고요 라제비 맛있어요
@user-nf4em5re2c
@user-nf4em5re2c 10 ай бұрын
이제 갈대도 많고 더 큰건 젊은 사람이 없어도 많이 없죠. 90년 2000년대생이 70년 80년 인구의 1/4밖에 안되요. 단순히 1/4이 아니라서 년수를 곱하면 어마어마한 젊은이들이 사라진거에요.
@J15102
@J15102 11 ай бұрын
최근 한달 정도 땅집고의 상가 관련 영상들을 꽤 봤습니다. 예전에 잘나갔던 그 많은 상권들이 지금은 대부분 공실이 많던데 그 많은 사람들은 요즘 어디로 가는걸까요? 성수동? 연남동?
@AandB675
@AandB675 10 ай бұрын
방구석에서 유튜브 보고, 핸드폰 잡고 주말 보냄.....
@ssaico
@ssaico 11 ай бұрын
종각역 바로앞 파이로트 본사 옆 전층 병원 건물이 나가고도 수년동안 임차인을 찾지 못했는 데요. 이렇게 보면 젊음의 거리가 늙은이의 거리로 변모한 지도 10년이 넘었죠. 정작 나이먹은 사람들에겐 젊음의 거리가 아니라 피아노거리로 불리기도 했구요. 학원 수요가 받혀주고 있었는 데, 그나마 젊은 사람들 오는 상권이 을지로, 익선동으로 변화하면서 다빠져 나갔죠. 종로 상권은 그때부터 위기였어요.
@restart2533
@restart2533 10 ай бұрын
2017년인가 종로 르메이에르 오피스텔 건물에 갔을 때 사람이 너무나 많고 북적였었는데, 1~2년후 다시 갔을때 사람이 너무 줄고 공실이 많아져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karabelle33
@karabelle33 11 ай бұрын
지인이 서울 여기저기에 건물 십수채 가지고 계시는 4대를 이은 부자가문 출신인데, 한 십여년 전부터 종로 쪽 세가 안 나간다고 앓는 소리 많이 하셨어요. 우리 가족들은 그럼 임대료를 낮추거나 리모델링하거나 팔라고 해봤는데, 거긴 투자할 가치나 전망이 없다고 그냥 선선대부터 갖고 있는 건물이라 보존하는 거라 하더군요. 뭐 보니까 세금도 자제분들이 내주고(대기업이나 외국계회사 중역이라 관리회사 대표를 부모님께 맡기고 세금이나 금융 쪽은 다른 회사가 알아서 운영한다고 함), 생활비나 각종 유지비도 법인이 해결해주고 있어서 그냥 본인명의 재산이 안 남았단 거지 생활엔 전혀 문제가 없으셨음.
@user-ok5jj9vq5q
@user-ok5jj9vq5q 11 ай бұрын
욕심들도 많아 끝까지 안내리겠다 한치앞을 못보는구나 그러면 지역이 죽어 그땐바닥기어다녀 지금내리고공실없애야지
@kaka33a1
@kaka33a1 11 ай бұрын
좋은현상 많이벌었는데 공실이든뭐든 우리같은 서민이 저 엄청난 상위 10프로 부자들 걱정할일있나
@coingoblin
@coingoblin 11 ай бұрын
이래도 임대료 안낮추지?? 압구정은 임대료 1/3토막으로 낮추니 이제서야 슬슬 살아나고있는데
@junghoshin6876
@junghoshin6876 11 ай бұрын
솔직 다른 곳에 비해 너무 노력을 안 했음 90년대부터 이곳은 특성이 없었음 인근 직장인과 학원가를 잡기 위한 노력이라도 좀 해야 하는데
@user-cm6mi4ty1t
@user-cm6mi4ty1t 6 ай бұрын
젊은층 수가 일단 줄어들고 대체지가 많아졌고 이젠 젊음의 거리가 아니라 중장년 추억의 거리가 어울리는데, 그마저도 너무 변해서 추억을 찾아볼수 없다는.. 멀티플렉스가 단성사,피카디리,대한극장 등 다 문닫게 한다고 하던게 얼마전 같은데, 이제 OTT에 밀려 극장자체가 사라질 판이니 변화가 빠른 시대에 사는게 그닥 좋은거 같지는 않다.
@dkngit5
@dkngit5 11 ай бұрын
그래요 건물주들 열심히 버텨주시길 바랍니다
@user-dz9sv8pn4g
@user-dz9sv8pn4g 11 ай бұрын
수백만원의 임대료에대해서는 아무말도 안하고 알바최저시급때문에 망한다고하는 자영업자들을 이해할수 없다.
@ddd-yu5nh
@ddd-yu5nh 11 ай бұрын
이때싶 최저임금쉴드치네 ㅋㅋㅋ 임대료 싼곳도 최저시급 처오른뒤에 종업원수 줄이고 키오스크로 대처하고 있구만 ㅋㅋㅋ 멍청한 좌파들은 그냥 스스로 하직하면 안됨?
@user-qc1if9cb2s
@user-qc1if9cb2s 11 ай бұрын
임대료도 맨날 비싸다고 난리처서 5%넘게 인상못하도록 막았잖아
@user-ri3vg6yr6j
@user-ri3vg6yr6j 11 ай бұрын
건물에 세금 폭발적으로 늘려야한다 그래서 똥줄타고 임대료 내리지
@zen-master1
@zen-master1 11 ай бұрын
늙은 이의 거리 조성하면 더 잘 될 것 같아요 추억의 종로 안녕 👋
@prayforyou9965
@prayforyou9965 11 ай бұрын
온라인으로 쇼핑이 대세가 되버렷는대 아직도 월세비싸게 받아먹으려는 임대인들 ㅋㅋ 싹다망해라~
@User_nothing522
@User_nothing522 11 ай бұрын
이미 10년전에도 낡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살면 굳이 갈 이유를 못찾는 동네 익선동 을지로에 가는 것이 좋겠죠
@8koora853
@8koora853 11 ай бұрын
종로는 젊음의 거리보다 옆에 종로3가역 6번출구가 요즘 정말로 핫해져버렸음🎉
@Mistoffeleess
@Mistoffeleess 11 ай бұрын
10년전 익선동 뜨기 전까지만 해도 거긴 노인네들 아니면 절대 갈 일이 없는 완전히 슬럼이었음.
@methical1
@methical1 11 ай бұрын
요즘이라고 하기엔 뜬 지 오래됐죠
@GaleRianes
@GaleRianes 11 ай бұрын
거기 성소자들 동네
@user-rn5fu7tj4l
@user-rn5fu7tj4l 11 ай бұрын
5-6년 전도 요즘이라고 하냐 ㅋㅋ
@8koora853
@8koora853 11 ай бұрын
@@user-rn5fu7tj4l 넌뭔데 조랄조랄이냐ㅋㅋ 다물어라
@ksj261
@ksj261 11 ай бұрын
종로 건물주들 공실 걱정하느라 고생이 많다...ㅋㅋㅋㅋㅋ
@shsifjsbzuaj
@shsifjsbzuaj 11 ай бұрын
종로에 남은 어학원들도 이제 힘 다 빠지고 폐점 하고 을지로3~4가 쪽 재개발 완료 되면 오피스들도 그쪽으로 빠져나갈거임 종로(종각) ~ 왕산로(청량리) 까지 갈수록 노인들의 도시라고 보는게 맞음
@MrLegend70
@MrLegend70 11 ай бұрын
종로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건물주들이 오래되어서 대출로 다른데 엄한짓 하지않았으면 공실 몇년 나도 문제없다우.
@nokla5505
@nokla5505 11 ай бұрын
ybm별관 1층은 학원로비로쓰다가 학원축소하고 로비로이용하다가 커피빈들어간거아닌가요?
@hotplenamja
@hotplenamja 11 ай бұрын
05:11 평당이 아니라 1제곱미터 입니다 저기에 3.3곱해야 평당 임대료
@user-ed2me3vr1m
@user-ed2me3vr1m 11 ай бұрын
종로/신촌/이대/압구정도 죄다 같은 이유지,, 높은 임대료에 비해, 수익이 안나니... 상권 무너지는것은 당연한것
@ikkim5198
@ikkim5198 11 ай бұрын
건물은 낡았지 지져분한 간판만 덕지덕지 흉물스럽게 붙어있지 역사적인 건물도 없지 도로변에는 주차된 차로 통행 불편하지 종로뿐이 아니라 한국 전체가 그런것같다
@LOGOYT1
@LOGOYT1 11 ай бұрын
임대료 인건비 무시하면 거지꼴 못 면합니다
@user-eh1no4fu7o
@user-eh1no4fu7o 11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로 우미관있고 김두환 식구들 있을때가 전성기인걸로 알고있어요 요즘 종로는 젊음의 거리라고 하긴 좀 그래요
@ho458
@ho458 11 ай бұрын
소비재는 온라인이용으로 직접 갈 필요도 없고 진짜 명품은 세련된 번화가 백화점 상점으로 가고
@user-ij5ov3ps9s
@user-ij5ov3ps9s 10 ай бұрын
부동산 가격이 확 떨어지거나 인구가 확 늘어나거나 해야 해결될 문제!
@user-cv1il5pw5c
@user-cv1il5pw5c 11 ай бұрын
6년동안 공실인데도 월6000천만원 살인적인 집세 그러니 공실이지 평생 끼고살어라
@jinjudamchi
@jinjudamchi 11 ай бұрын
신촌 이대앞도 썰렁.대낮에 문닫은 상가만 즐비~~~
@user-ge9os4oo5m
@user-ge9os4oo5m 11 ай бұрын
아직 임대료가 너무 싸네요 임대료 두배 세배 올려서 공실이 늘어나야 건물주들 신나겠쥬
@cyberchany
@cyberchany 11 ай бұрын
평생 공실상태로 되길 기원합니다.
@user-rb3jd8go7z
@user-rb3jd8go7z 11 ай бұрын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마인드 차이가 느껴진다. 구멍가게 영세상인들은 자기 물건 먼저 팔려고 서로 제살 깍아먹기 경쟁하는데, 건물주들은 6년이나 공실이어도 자기가 받고 싶은 가격 아니면 그냥 비워둬.... 더럽고 힘들면 안하면 그만인데 굳이 돈 더달라고 파업하는 노동자와 연봉3억을 준다고해도 지방은 근무여건이 별로랍시고 지원자가 없는 의사가 비교되듯이..
@JJurgenKlopp
@JJurgenKlopp 11 ай бұрын
감평사입니다. 넓은 대로변 땅과 좁은 골목 땅의 가치는 평균 10배
@user-ql5jw2nt6g
@user-ql5jw2nt6g 11 ай бұрын
저런 낡은 건물이 월세 6천이라고? 아직도 배부르구먼
@asdasdassdwww9784
@asdasdassdwww9784 11 ай бұрын
건물주 입장에서 오래전에 구매해서 레버리지는 어느정도 감수할만큼 태워버렸고 월세를 덜받자니 건물값이 문제고 차라리 공실 냅두고 배째 하는거지
@user-ne1ic4lq3e
@user-ne1ic4lq3e 11 ай бұрын
어우 너무 잘됐다. 제발 좀 코로나는 안오되 코로나때처럼 통금 생활로 돌아가고싶다. 피곤해 죽겠엉.
@user-te8gy1mt8w
@user-te8gy1mt8w 11 ай бұрын
대도시의 유치원과 초등학교도 폐교하는 판국인데 사람들이 과거의 영광이 돌아 올거라 생각하는건가?
@user-gr9yi3rj4l
@user-gr9yi3rj4l 11 ай бұрын
임대료 확낮추면 세입자가 거리를 살리겟죠 ㅎㅎ
@kimjung8
@kimjung8 11 ай бұрын
참 좋응 소식들이다
@MoonC_K
@MoonC_K 9 ай бұрын
저들은 사실 돈으로 똥닦아도 살 사람들이라 다만 심보가 괘씸한건 어쩔수없네요
@gracep4894
@gracep4894 11 ай бұрын
건물주들이 문제지 자기들은 그 땅에 그 건물을 가지고 있는거 뿐 임대인과 소비자 그리고 지자체에서 살리는 거릴 자기들 욕심에 다 망친거. 방법은 하나 있어요. 나라에서 건물주에 일정기간 지난 공실에 대해 세금 때리면 돼요~ 그 세금이 임대료 낮춰서 생기는 세금보다 높으면 임대료 낮춰서 임대해주는게 낫겠다 싶을걸요. 빈집문제도 그렇고 법 만들어야지 국회의원들아~
@ts-maria
@ts-maria 11 ай бұрын
지들이 잡혀갈까봐 법은 못 만들고 방탄질만 하고 있죠~
@user-hh9hd2oy6f
@user-hh9hd2oy6f 11 ай бұрын
임대료내리면 들어갈 사람 많다.사회문제가아니고 건물주들의욕심이 만들어낸참사다 임대료안내리고 건물가치가 떨어지지말고 그냥 망해버려라
@andrew4432
@andrew4432 9 ай бұрын
대학교 다닐때 주말에 종로 나가면 사람으로 인산인해였는데 ~😮 세월무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