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SUB】조총학개론 - 조총 만발이면 정규직 공무원? 원딜의 뿌리를 찾아서 In Search of the Origin of Ranged Attacks

  Рет қаралды 107,691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2 жыл бұрын

창과 칼, 활 대신 조총을 지급받은 조선군은 어떤 훈련을 받고 어떤 대형으로 사격했을까요?
실전에서는 어떻게 사용했을까요?
그리고 왜 조선은 조총이라는 무기를 200년 이상 고수했을까요?
뻔하면서도 알 수 없는 조선의 조총에 대한 보다 깊은 이야기를 다룹니다.
Joseon forces were given matchlock muskets instead of pikes, swords, or bows and arrows. What training did they undergo, and what formations did they make?
How did they employ the muskets in actual battles?
Plus, why did Joseon stick to matchlock muskets as its main weapon for more than two centuries?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e mysterious story of Joseon’s muskets.
▼▼참고자료▼▼
[단행본]
1. 한양의 삼군영(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2019
2. 한양을 지켜라- 삼군영 소속 한 군인 집안의 고군분투기 도록, 서울 역사박물관, 2020
2. 병학지남 (兵學指南)
[논문 및 학술자료]
1. 노영구, 16~17세기 의 도입과 조선의 변화, 2012, 한국문화 58

Пікірлер: 283
@user-dt7rm7eq5q
@user-dt7rm7eq5q 2 жыл бұрын
"원딜의 뿌리를 찾아서" 이 썸네일을 어떻게 지나치냐고 ㅋㅋㅋㅋㅋㅋㅋ 심지어 문체부
@HungryFox.
@HungryFox. 2 жыл бұрын
제목을 '조선의 조총의 신비' 이렇게 지었으면 아무도 안왔겠지만 '원딜'의 두글자 만으로도 들어올 가치는 생겼다
@makpa4976
@makpa4976 2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은 타임슬립대비 구직편이군요. 먹고 살 방법까지 꼼꼼하게 챙겨줘서 감사합니다. 꼭 평생직장 따내겠습니다!
@oldskoolprid
@oldskoolprid 2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도구는 누구였을까?
@zoody9261
@zoody9261 2 жыл бұрын
@@oldskoolprid 팽배수..?
@h7g65f4fj
@h7g65f4fj 2 жыл бұрын
아 ㅋㅋㅋㅋ
@ryunenzo6793
@ryunenzo6793 2 жыл бұрын
조선에 타임슬립한 내가 조총수가 된 건에 대하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m8ee1ty3j
@user-tm8ee1ty3j Жыл бұрын
@@zoody9261 조총이랑 공존할때면 등패수
@YogiMaemi
@YogiMaemi 2 жыл бұрын
0:27 결코 시켜서 했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cane0723
@cane0723 2 жыл бұрын
박물관 영상에서 '원딜'이라는 단어를 보고 홀린듯이 들어왔다 ㅋㅋㅋ
@Taiwan_No_1
@Taiwan_No_1 2 жыл бұрын
0:37 편집자님.... 점멸은 F입니까? 맞습니다😀
@user-ni3gg8tf7f
@user-ni3gg8tf7f 2 жыл бұрын
0:38 당연히 점멸은 F지
@Daedongstudio
@Daedongstudio 2 жыл бұрын
F지 ㅋㅋ
@user-fh1wb7vi6r
@user-fh1wb7vi6r 2 жыл бұрын
옛부터 우리는 서든을 할때부터 저격총을 잡았으며..
@user-he4jc3ll8w
@user-he4jc3ll8w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배그에서 에땁을 잡는다…
@user-yg5kh1pw3z
@user-yg5kh1pw3z 2 жыл бұрын
일단 쏘고 보는
@clanhunter2677
@clanhunter2677 2 жыл бұрын
FPS 민족...
@OLSEADS
@OLSEADS 2 жыл бұрын
들어올 수 밖에 없는 제목이다 0:28 시켜서 하신 게 아니지 않습니까 학예사님? 병부들고 머리 부순다고 하시던 시즌1때의 그 패기넘치는 모습을 성심성의껏 그대로 재현하시는 모습에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1:40 전쟁은 가성비다 메모메모. 사실 인간세상만사가 다 그렇지만 2:06 사료 옴뇸뇸 마시쪙
@djs1293
@djs1293 2 жыл бұрын
이번영상 요약: 만약 장비가 구려보인다면 충분히 고이지 않았나 생각해 봅시다
@user-mh7wd7lg5c
@user-mh7wd7lg5c 2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일본군이 카타나 들고 미군 머리를 타격했는데 철모가 딴딴해서 역으로 제압 당하고 관련 물품은 박물관으로 보내짐
@mrkim-rp2zk
@mrkim-rp2zk 2 жыл бұрын
@@as-vu7bk 훈련의 부재죠 투구 쪼개는 법도 교육받지 않았을텐데 머리를 내려치는건 누가 봐도 훈련이 불충분해서 생기는 현상 아닌가요?
@IlIDOOMGUYIlI
@IlIDOOMGUYIlI 2 жыл бұрын
@@user-mh7wd7lg5c 애초에 대전차 총검술 같은거 하던 놈들 ㅋㅋ
@user-nu5zm8wn1k
@user-nu5zm8wn1k 2 жыл бұрын
@@as-vu7bk 러일전쟁이나 청일전쟁때 총검돌격으로 이긴 전투가 종종 있었고 그 승리로 승진한 놈들이 일본육군 고위층으로 올라가니까 정규교범으로 딱 채용한게 아닐까싶음
@user-ng4xe5rf8n
@user-ng4xe5rf8n 2 жыл бұрын
@@mrkim-rp2zk 훈련을 받긴 했는데 기합으로 베면 베어진다고 훈련을 시켜서...
@rig6t403
@rig6t403 2 жыл бұрын
콜라보 영상들 보고 직접 가봄
@user-se7sj3jc6i
@user-se7sj3jc6i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은 너무 세련되어서 좋아요. 역덕,밀덕 취향에 맞게 화력조선, 비격진천뢰 초콜릿과 화약무기 보고서 이벤트, 진주성전투 애니 등등...
@SomeSeeYa
@SomeSeeYa 2 жыл бұрын
내 눈을 의심하며 입장
@city_tr
@city_tr 2 жыл бұрын
군내날 수 있는 역사다큐멘타리를 아주 힙하게 만들어내는 건들팀과 국립진주박물관직원분들에게 찬사와 👏를...
@user-hg8kq6ly2q
@user-hg8kq6ly2q 2 жыл бұрын
그거 아십니까 시리즈를 진행할수록 배우들의 생동감이 배가 되는거 같습니다.
@user-mg5ih1yc5z
@user-mg5ih1yc5z 2 жыл бұрын
진짜 진주박물관 짱이다
@changhyunjeong2165
@changhyunjeong2165 2 жыл бұрын
화력덕후 조선 컨텐츠로 알기 시작해서 구독하면서 업데이트 되는 영상 모두 다 보고 있습니다. 진주는 연고도 없고, 일로 방문할 일도 없어서 지명만 아는 곳이었는데 이 유튜브 컨텐츠 덕분에 진주박물관과 진주성을 둘러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거리두기 단계 좀 떨어지고 날씨 선선해지면 꼭 한번 방문하겠습니다. 진주박물관 화이팅입니다.
@maxkim5013
@maxkim5013 2 жыл бұрын
박물관 컨텐츠가 이리 재밌는거 맞음??
@user-em4kx8vj7z
@user-em4kx8vj7z 2 жыл бұрын
06:02 영걸전 일기토 1997년에 꿀잼이었던 것과 동시에 너무나 아련한 그 전투이전 출전대상자 선택하기 전에 들려오던 그곡...
@user-hy8ud7iz8q
@user-hy8ud7iz8q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이걸 아시는분이 또있네유!!
@CBRN-115
@CBRN-115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박물관은 참신한 컨텐츠를 잘 뽑는다ㅋㅋㅋㅋ
@drinkjeans5683
@drinkjeans5683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일 정말잘한다 영상 퀄리티👍👍👍
@user-mi4yc6lu6y
@user-mi4yc6lu6y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제목 ㅋㅋㅋㅋㅋㅋ미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c8ui7nl5w
@user-dc8ui7nl5w 2 жыл бұрын
16세기 사격 클럽의 기록에 133명의 사수가 약 180미터 거리에 있는 1미터 정도의 표적에 24발을 쐈는데 40명 이상의 사수가 20발 이상을 표적에 맞혔다는 기록이 존재하죠(몰론 당시의 활강총신 화승머스킷으로) 조선에서는 총보다 더 배우기 어렵고 명중률도 떨어지는 활도 잘 쐈는데 총은 뭐... 그리고 나선정벌이야기가 나오니까 나중에 혹시 나선정벌 영상도 나오면은 좋겠네요
@halielee3151
@halielee3151 2 жыл бұрын
이 콜라보 찬성 입니다. 계속 이어 갔으면 좋겠습니다.
@user-pi2sm5kj3l
@user-pi2sm5kj3l 2 жыл бұрын
05:35 볼 수록 신기함 몰랐을 때는 당연히 거방 포자 포자 방장 공자 순일 거라 생각 했는데
@user-th4qk5in8u
@user-th4qk5in8u 2 жыл бұрын
이름 엄청 끌리게 잘지어놨네ㅋㅋㅋㅋㅋㅌㅌㅋㅌㅋㅋㅋ 원딜의 뿌리라니 이건 못 참지.
@P.J.R.CCAT__
@P.J.R.CCAT__ 2 жыл бұрын
퀄 개미쳐
@h7g65f4fj
@h7g65f4fj 2 жыл бұрын
오늘부터 조총훈련 열심히하여 공시준비 열심히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kyblood99
@skyblood99 2 жыл бұрын
왜 그래요? 일을 왜 이렇게 잘하는거에요?
@AP-bj7kf
@AP-bj7kf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학예사께서 잘 설명해주시네요.
@idolprincess
@idolprincess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X_X194
@-X_X194 2 жыл бұрын
진주사람으로 ㅋㅋ 진주박물관 개꿀잼. 우리진주 박물관 화이팅!!
@sylvn3801
@sylvn3801 2 жыл бұрын
썸네일 뭐얔ㅋㅋㅋㅋ
@user-lb3dz7kh6c
@user-lb3dz7kh6c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다
@aoki8859
@aoki8859 2 жыл бұрын
이런 고퀼 영상이 구독자가 겨우 1만 이라니 ㅠㅠ
@archaeology_fieldnote
@archaeology_fieldnote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학예사선생님 너무 설명도 디테일하고 설명도 쏙쏙 들어와서 인상깊네요. 또 자료들도 풍부하니 한가지 배워가네요.
@user-cn3cz9sr5t
@user-cn3cz9sr5t 2 жыл бұрын
공무원과 민간의 멋진 콜라보입니다
@Gaygaygayya
@Gaygaygayya 2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있어다구
@airplane9942
@airplane9942 2 жыл бұрын
검은 실루엣 사용하는게 점점더 솜씨가 좋아지는군요. 퀄리티 미쳐
@nirm5769
@nirm5769 2 жыл бұрын
하도 취직이 어려우니 시간대를 건너 어디가서든 취직할 방법을 알려주는 진주박물관...
@WJMERKATZ
@WJMERKATZ 2 жыл бұрын
원딜이라니 ㅋㅋㅋㅋ 공공기관에서의 파격적 표현에 찬사를 보냅니다!
@user-uc2ox4qv4m
@user-uc2ox4qv4m 2 жыл бұрын
참 역동적인 갈등과 경쟁이 없이 양란 후 다시 평화의 지속으로 인해 무기의 발전이 더뎌졌다는게 씁쓸허네요. 꼭 무기 뿐만아니라 사고, 인식, 정치, 사회 등 전반의 혁신적인 변화가 있기 위해서는 안정, 평회보단 일정한 자극이 주어져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한편 조선 후기에 또다른 큰 전쟁, 또는 지속적인 소규모 전투가 계속 있었다면 과연 조선은 서세동점 시기에 허무하게 보호국으로 전락 되었을까요?
@user-jy1ky1go2f
@user-jy1ky1go2f 2 жыл бұрын
일 개잘하네 이런 일처리 칭찬해~~♡♡
@user-du7nw3db8m
@user-du7nw3db8m 2 жыл бұрын
와 제목 이왜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uuuuuq6223
@luuuuuq6223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앞으로도 다양한 컨텐츠 기대할게요!!!
@user-qj5ot2be2q
@user-qj5ot2be2q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ebifuraioisii
@ebifuraioisii 2 жыл бұрын
컨텐츠가 너무 유익해요 ㅋㅋ 고맙습니다!!
@room5859
@room5859 2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자료 감사합니다
@user-qj5ot2be2q
@user-qj5ot2be2q 2 жыл бұрын
진짜 훌륭한 영상입니다~~
@user-qy9gm7or7s
@user-qy9gm7or7s 2 жыл бұрын
참 세련된 컨텐츠 입니다. 진주에 한번 가면 꼭 국립진주박물관에 가보고 싶네요. 대단합니다
@hottube.9239
@hottube.9239 2 жыл бұрын
아주 유익하고 멋스러운 컨텐츠, 감사합니다.^^
@user-jk2td2pg6v
@user-jk2td2pg6v 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역사를 현대에 와 마치 살아서 움직이듯 그리고 더 알기쉽고 싑게 이해할 수 있게 역사적 고증자료를 바탕으로 재해석하는 이 프로에 빠졌네요, 갠적으로 너무 흥미롭고 재밌습니다 고맙습니다
@dslee5069
@dslee5069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greatkoliki2006
@greatkoliki2006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봤습니다 늘 하는 말이지만 정말 엄청난 작품들을 계속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고!
@user-cr2lg6zs2n
@user-cr2lg6zs2n 2 жыл бұрын
영상 수준이 정말 기가 맥힙니다욧ㅇ 멋지당
@Dongmyng
@Dongmyng 2 жыл бұрын
진짜 봐도봐도 미친 퀄리티다..
@cielogrey
@cielogrey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홧팅!!!🙆‍♀️❤❤❤
@Benedict_Cucumberbatch
@Benedict_Cucumberbatch 2 жыл бұрын
후.. 오늘 조총 야간사격 했는데 화염 튀는 거 때문에 암순응상태 깨져서 만발 실패했습니다. 진급에 불이익 많지는 않겠죠?
@hwidamjoung1876
@hwidamjoung1876 2 жыл бұрын
환도 사용법도 올려주시면 좋을텐데요🙏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2 жыл бұрын
신미양요 때도 화승총의 초기 단계인 매치락 머스캣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미군은 머스캣이 아니라 현대식 라이플을 썼던걸 비교해 보면.. 진짜 무기발전과 국방안보의 중요성은 너무 중요한거 같음.
@sonhuengmin1
@sonhuengmin1 Жыл бұрын
그 상륙한 미군중 일부만 트랩도어 소총을 쓰고 대다수 병들은 전장식 머스켓을 썼습니다
@undenkbaridiot7858
@undenkbaridiot7858 6 ай бұрын
​@@sonhuengmin1 전장식 소총일듯요. 머스킷은 아니고.
@user-pi4dv1yu7y
@user-pi4dv1yu7y 2 жыл бұрын
0:38 역시 근본있는 F플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고전적인 야전인 송림, 박천 전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술 평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user-pw1hg3yj6c
@user-pw1hg3yj6c 2 жыл бұрын
원딜의 뿌리라니 이걸 어떻게 안들어옴
@turn_table_
@turn_table_ 2 жыл бұрын
2:07 말 먹는거 존내 웃기네ㅋㅋㅋㅋ
@nskpc1
@nskpc1 2 жыл бұрын
6:06 삼국지 영걸전 실화냐?
@atogame6530
@atogame6530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만들기로 기획한.. 그중에서도 제일 먼저 제안한 분... 매우 칭찬합니다. 그리고 그 기획을 컨펌한 분도... 박물관을 대중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 거리를 줄이셨습니다.
@BUNNYXIYO
@BUNNYXIYO 2 жыл бұрын
@user-tn2sc2ic2v
@user-tn2sc2ic2v 2 жыл бұрын
3:00 와 사격결과에 따라 그림자 병사 느낌이 확 와닿네요 👍 병사들 움직임도 어색하지않고 자연스러움이 쥑이는데요? 영상제작 굳
@user-ep3ml8rl7i
@user-ep3ml8rl7i 2 жыл бұрын
역시 우리는 태생부터 화력덕후였어!
@kimc2602
@kimc2602 2 жыл бұрын
병사들 그림자 실루엣 게임같은 느낌 잘 살림 ㅋㅋㅋ
@asooiso
@asooiso 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한국인은 예로부터 저격총을 선호하지
@Dkdjeksnd
@Dkdjeksnd 2 жыл бұрын
난....저격총을 더럽게 못쏜다
@armirad
@armirad 2 жыл бұрын
와 제목은 어그로지만 내용은 유익하다 이것이 인문학이다
@user-uz4qr8bn8u
@user-uz4qr8bn8u 2 жыл бұрын
0:34 총도 잘 쏘고 활도 잘 쏘고 밥도 잘 쏘고
@gomalsoon
@gomalsoon 2 жыл бұрын
0:28 *결코 시켜서 했습니다*
@minjunsong3685
@minjunsong3685 2 жыл бұрын
이집 썸네일 잘 만드네...
@five2329
@five2329 10 ай бұрын
조선의 탱커편은 없나요??
@comele772
@comele772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는 특급전사였던 내가 조선에서는 군인? 쓰고보니 똑같은직업이네
@user-cm1xh4qm7f
@user-cm1xh4qm7f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은 근 10년 전에 3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던 진주대첩 영상도 다시 올려줬으면 좋겠어요 ㅜㅜ
@user-pi4dv1yu7y
@user-pi4dv1yu7y 2 жыл бұрын
아ㅋㅋ 원딜은 못참지
@user-oh5xy3tc3k
@user-oh5xy3tc3k 2 жыл бұрын
중간에 영걸전 BGM이?
@YesMyLord14
@YesMyLord14 2 жыл бұрын
이 집 장사 잘하네
@guleumvely593
@guleumvely593 2 жыл бұрын
고로.. 구형 조총으로 원딜 고인물 플레이를 했다?
@alexkim3794
@alexkim3794 2 жыл бұрын
고전 갱플?
@user-qj5ot2be2q
@user-qj5ot2be2q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멋있습니다 진주박물관가고십어요 선생님볼수있나요^^ㅎ~
@hmmteresting6014
@hmmteresting6014 2 жыл бұрын
조총병 지급 장비중에 환도도 포함되어있었나요?
@TheExpensive_
@TheExpensive_ 2 жыл бұрын
캬~ 일렬로 서서 쿨타임 생각해서 운용하는 전술 크~ 근데 아무리 옛날 총이라도 총은 총인데 개머리판 없이, 즉, 견착 없이 어떻게 쐈는지 너무 신기함 어떻게 버티지? 요즘도 개머리판 없는 총들 있는데 어떻게 쏘는지 이해가 안됨 자세까진 알겠는데 어떻게 버틸 수 있는건지 모르겠음 해보기 전까진 와닿지 않아서 이해 못할 것 같음 즉, 영원히 이해불가..
@user-pe8ej6bi7q
@user-pe8ej6bi7q 2 жыл бұрын
제목보고 온갖 딜러들 다 낚여 오겠구만...ㅋㅋ
@Hello_Dex
@Hello_Dex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노획한 장비가 더 많았더라면 어찌될지 몰랐다는거네...
@Hying_tube
@Hying_tube 2 жыл бұрын
역시 전쟁이나 그에 준하는 동기가 있어야 무기가 발전하나봅니다. 1차대전때는 탱크와 비행기와 전함이 나왔고 2차대전때는 그것들이 이전과는 비교가 안될정도로 강해졌죠. 심지어 항공모함까지 나왔으니.. 역사에 만약이란 없지만 그래도 만약 당시 조선이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을 받았더라면 오히려 더 강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kwngur
@kwngur 2 жыл бұрын
타임슬립이라면 비누가 국룰인데...하...빨리 천연 비누 제작법 부탁드립니다
@commentno7245
@commentno7245 2 жыл бұрын
이 동영상을 보고 착호갑사에 지원 했읍니다 ^^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2 жыл бұрын
명나라도 자체적으로 플린트락 총을 생산한 적이 있고 조선도 플린트락 기술을 이용해 지뢰를 개발한 바 있지만 동아시아 지대에 플린트락이 부족하다는 것이 큰 문제죠
@pepsi9885
@pepsi9885 2 жыл бұрын
다음에는 나니의 뿌리도 찾아주세요
@dubu999
@dubu999 2 жыл бұрын
실제 야전에서는 돌아가면서 쏘는 윤방이 아무래도 서로 걸리적거리는등 현실적으로는 적용하기 힘든부분이 있었다고 들었었고 매치락부터 플린트락까지 전장식총을 이용하던 모든 국가들이 이론적으론 도입은해도 실제로 써먹지는 못했다는데 조선은 문제가 없었는지 궁금하네요. 조선군 같은 경우엔 진형을 보면 상당히 개인과 개인과의 간격이 넓은 편인데 그 때문에 괜찮았을려나요
@lostbutter001
@lostbutter001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플린트락이 습기에 부싯돌 격발이 잘 안이루어지는데다 비싸기까지해서 도입이 사실상 무산아니었나요? 습기에 취약한건 물론 기존 심지도 마찬가지지만 최소한 심지는 예비용 심지나 기름먹인 심지를 쓰면 됐으니까요. 그럼에도 불땡기는데 사람 필요하지않았던거는 큰 장점..,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영상에서도 나왔듯이 가성비 안나온다는 결론이 나왔죠 당시 화포장들도 노획한 플린트락을 분석해봤을거고 그결과 일단 단순 성능 자체는 조총보다 편리하지만 동일한 규격의 격발장치를 대량생산할 기술과 비용 부싯돌의 비용과 우천이나 습도가 높을시 불발율이 높다는결론에 이르러 결국 가성비 안나와서 패스~! 이런 결과가 나온걸껌니다. 게다가 설사 만들어서 보급한다 쳐도 그많은 병사들의 사격 훈련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되니...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2 жыл бұрын
사실 수발총을 제대로 써먹은 건 서구권이 대부분이니 전쟁과 자본과 기술의 콜라보 아닐까 싶긴 합니다
@user-pi2sm5kj3l
@user-pi2sm5kj3l 2 жыл бұрын
군대에 있을 때 만발이었는데...... 조총 쏘면 얼마나 맞출 수 있을까? 궁금하긴 하네
@user-vi8ri8oq3x
@user-vi8ri8oq3x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점이 있네요 병자호란 패배의 원인이 조총만능주의는 아니였는지? (왜군이 여진한테 대패한 이유) 조총이라는건 활,승마술 등등에 비해 가격.시간적 부분에서 훨씬 유리함이 생기고 이는 사회적 계층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부분일텐데 신분제와 관련한 일은 없었는지 궁금하네요
@strongman5846
@strongman5846 Жыл бұрын
조총만능주의 때문이라기보단 당시 이괄의 난으로 전력이 약화되었고, 병참에 실패한 것이 큰 원인이라 봐요. 개인적인 사견이지만. 남한산성의 보급고도 산성 밖에다 지어진 상태였고, 구원군도 접근 중 전투를 벌이면서 보급품 소진으로 진격을 못하기도 했으니까요. 청의 예방전쟁이자 도박이었고, 각 성을 점령하면서 온 형태가 아니었기에 조금 더 버텼으면 청의 역사가 사라졌을 겁니다. 압록강이 녹고, 북부지방의 성에서 보급로만 차단했더라도 청이 자랑하는 기동력이 상실 됬을테니까요.
@user-ut1ry5sd3w
@user-ut1ry5sd3w Жыл бұрын
조총 보다 더 편한 비슷한 시대 총 있나요? 아니면 조총 업글 느낌 ..총 ?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Жыл бұрын
조총은 화승총 즉 서구권에서는 매치락 머스킷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동양에서는 조총의 성능과 신뢰성에 만족하여 이를 19세기까지 내내 사용했지만 서구권, 특히 유럽에서는 매치락 이후 휠락을 거쳐 플린트락이라고 하여 방아쇠를 당겼을때 화승이 아닌 부싯돌로 화약에 불을 붙이는 라이플로 발전했습니다. 또한 16세기 말엽에는 종이를 사용한 일체형 탄약이 도입되었으며 덕분에 일일히 화약과 탄약을 따로 넣는 수고를 들이지 않게 되었고, 17세기 말엽에는 소켓형 총검이 도입되어 그동안 머스킷 총병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근접전에 약하다는 문제가 해결되었는데, 그동안 머스킷 총병이 총을 한번 쏘고 재장전을 할 동안 스스로를 방어할 수단이 거의 전무했기 때문에 테르시오처럼 근접전 전문 병력이 항상 따라다녀야 했다면 소켓형 총검의 도입은 이들이 총을 쏘고 나서도 총 끝에 달린 총검 덕분에 사실상 창이나 다름없는 자기방어수단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소켓형 총검 도입 이전 기존 총검들처럼 총구를 막는 형태도 아니라서 화력을 쏟아붓고 바로 백병전을 수행할수도 있었죠
@user-ut1ry5sd3w
@user-ut1ry5sd3w Жыл бұрын
@@999masijjyeong 크으.. 감사합니다
@user-yt9mn9ge5r
@user-yt9mn9ge5r Жыл бұрын
​@@999masijjyeong 결국 화력덕후는 조선이 아니라 서양이었네요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Жыл бұрын
@@user-yt9mn9ge5r 개인적으로 조선은 화력덕후의 자세는 되어있었으나 처한 상황이 여러모로 받쳐주지 못한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여러 군소국들이 난립하며 춘추전국을 방불케 하는 전란과 이합집산의 연속이었던 근세 유럽에 비해 중원대륙은 한번 왕조가 교체되면 하나의 거대세력이 형성되어 각종 기술적 발전이 정체되는 곳이었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이런 정체에 더해 한반도 자체가 일본과는 달리 남만교역의 주요 행선지에서 벗어나있던 데다 애초에 물산자체가 부족한 편이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기술 수혈도 어려웠다는 점, 마지막으로 플린트락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필수적인 부싯돌의 원료로 사용되는 광물들이 대부분 퇴적암 지층에서 생산되는데 반해 한반도의 경우 늙은 지형이라 드러난 지형의 대부분이 화강암 내지 변성암이라는 점을 꼽을수 있겠습니다 덕질을 하려고 해도 여러 제반상황이 받쳐주지 않는다면 현실의 벽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가 많겠지요. 어떻게 보면 제러드 다이아몬드가 제창했던 환경결정론의 연장선상이자 지정학적인 변수가 그 땅 위에 살고 있는 인간의 의지와 별개로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좋은 사례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ShawnKim07
@ShawnKim07 2 жыл бұрын
나라에서 사격을 권장하면 동북아의 깡패(?)가 각성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user-xi7nh9ni4p
@user-xi7nh9ni4p 9 ай бұрын
뭔가 이미지가 임진왜란때문에 우리는 활이랑 화포만 쏜것으로 인식이 박혀있었는데 여러 전쟁을 겪으면서 조상들이 조선시대에도 총에 주목해서 가면 갈수록 포수가 주력이 될만큼 많아졌다는것도 이번에 여기 영상 많이 보면서 알게되었네요. 21세기까지 이어져온 원딜의 민족...너무 재밌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skyre1646
@skyre1646 2 жыл бұрын
썸네일과 제목보고 안들어올수가없었다
[화력조선 시네마 리뷰] 재밌다! 아쉽다.. 박물관 학예사가 본 영화 '한산' - 고증탐구
14:22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How many pencils can hold me up?
00:40
A4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신미양요150주년 특별영상] 1부. 신미양요, 그리고 빼앗긴 깃발
15:29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OKCHF
Рет қаралды 202 М.
[화력조선 시네마] 홍경래의 난, 정주성 전투 - 코멘터리
18:37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9 М.
[화력조선 시네마] 단편영화 '사르후' , 코멘터리 - 역사적 배경과 제작 뒷 이야기
22:44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9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