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길 점포 80곳 중 30곳 공실...임대료 4배 뛴 세로수길도 위험

  Рет қаралды 869,893

땅집고

땅집고

Күн бұрын

공부 엄청나게 한 고소득자가 상가 투자 폭망한 안타까운 이유
• 공부 엄청나게 한 고소득자가 상가 투자 ...
인기지역이니 월세 350 쉬울 것 같죠? 빼도 박도 못하고 폭망합니다
• 인기지역이니 월세 350 쉬울 것 같죠?...
4년 새 임대료 2배 폭등…'핫플' 성수동의 남모를 절규
• 4년 새 임대료 2배 폭등…'핫플' 성수...
미친 임대료에 이면도로는 50% 텅텅…홍대의 절규
• 미친 임대료에 이면도로는 50% 텅텅…홍...
시청 코앞 상가도 5년째 텅텅…유령도 안 다닐 법한 세종 상권
• 시청 코앞 상가도 5년째 텅텅…유령도 안...
1시간 동안 오가는 사람 30명…청라 커넬웨이가 폭망할 수밖에 없던 이유
• 1시간 동안 오가는 사람 30명…청라 커...
14평 상가 분양가 13억?…무너질 수밖에 없는 '광교역세권 상권'
• 14평 상가 분양가 13억?…무너질 수밖...
1층 상가 35곳 중 25곳이 텅텅…7년째 공실 폭탄에 울부짖는 이대상권
• 1층 상가 35곳 중 25곳이 텅텅…7년...
"전철 옵니다" 평당 1억 분양했는데...10년째 텅텅 빈 위례 상가
• "전철 옵니다" 평당 1억 분양했는데.....
공실률 무려 50%…'평당 6500만원' 기세등등 분양하다 폭망한 미사역 상권
• 공실률 무려 50%…'평당 6500만원'...
1층 상가 56곳 중 48곳이 공실…그 흔한 고깃집 하나 없는 '최악의 베드타운' 대장동
• 1층 상가 56곳 중 48곳이 공실…그 ...
1.5억짜리 매장이 302만원에…상상초월 공실 폭탄, 최악의 동대문 상황
• "장사 안돼 투잡, 쓰리잡 뛰어요"…상상...
빨대효과에 공실만 90%…'백화점 블랙홀'에 허우적대는 판교 상권
• 빨대효과에 공실만 90%…'백화점 블랙홀...
'1등 상권'으로 불리던 가로수길 상권이 높은 임대료에 공실이 속출하면서 몰락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신사역 8번 출구 인근에서 현대고등학교까지 약 700m 거리를 가로수길이라 칭한다. 가로수길을 직접 걸어보니 중앙 도로에 있는 1층 점포는 약 80개. 그 중 30개는 공실로 임대문의 현수막이 붙어 있다. 3~4층짜리 건물이 통째로 비어 있는 것도 쉽게 볼 수 있다. 부동산 정보회사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로수길의 공실률은 31.5%로, 3분기 29.5%보다 증가했다.
가로수길 터줏대감으로 불리던 글로벌 패션 브랜드 '자라' 매장도 지난 1월 철수해 폐업 안내만 붙어 있다. 쥬얼리 브랜드 '스와로브스키'도 작년 겨울 폐업 수순을 밟았다.
국내 대기업 의류 매장의 폐업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LF의 편집매장 브랜드 '어라운드더코너'가 철수한데 이어 이랜드의 캐주얼 브랜드 '후아유' 건물도 올해 문을 닫았다.
현재 가로수길 1층 상가 임대료는 3.3 ㎡ 당 100만원이 넘는다. 한 층당 30평 정도의 3층 건물을 통 임대할 경우, 한 달 임대료만 1억원을 내야 한다. 값 비싼 임대료에 임차인을 구하기 힘든 상황이지만 임대인들은 임대료를 내리지 않고 있다. 임대인들은 임대료를 내리는 대신 ‘렌트프리’를 택했다. 두세 달 일정기간 임대료를 받지 않더라도 임대료 자체를 낮춰서 계약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땅집고가 가로수길 상권을 직접 찾아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 / 김혜주 땅집고 기자 0629aa@chosun.com
▶타임라인
00:00 하이라이트
00:28 대기업도 줄폐업...'월세 0원' 내건 1등 상권 가로수길의 몰락
02:46 젠트리피케이션 후폭풍, 천정부지로 치솟은 임대료
04:03 기업의 골목상권 점령, 세로수길도 위험하다
06:45 결론
●'돈 버는 실전 강의 플랫폼 땅집고M' 온라인 강의 30% OFF
☞증여는 생존전략! 세금 폭탄에서 살아남을 특급 비법
자세히 보기 : bit.ly/3vStCEO
☞성공적인 재개발 투자 전략, 알아야 돈 번다!
자세히 보기 : bit.ly/3GRQJFL

Пікірлер: 2 500
@bururumuni
@bururumuni Жыл бұрын
영국에서 공실세를 왜 검토했는지 알겠음. 공실세를 때려야 건물썩히는 일이 덜 생길듯.
@Lim486
@Lim486 Жыл бұрын
괜찮은 법안이네요
@Dalydaly2020
@Dalydaly2020 Жыл бұрын
오…공실세 괜찮은 생각이네요
@user-id1gc7zw6k
@user-id1gc7zw6k Жыл бұрын
나이스한데?
@user-wm6rb4id3s
@user-wm6rb4id3s Жыл бұрын
토지세,건물세도 내고있는 데 거기다 공실세까지 더하면 임대료만 더 오른다.
@Ss2_ss2
@Ss2_ss2 Жыл бұрын
@@user-wm6rb4id3s임대료가 왜 오르냨ㅋㅋㅋㅋㅋㅋㅋㅋ 공실세 때문이라도 임대료를 낮출수 밖에 없게끔 만드는게 공실세의 원 취지인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ducki0
@0ducki0 Жыл бұрын
저기 건물주 걱정할필요 없음 4배를 1년간 받았다면 3년치 월세를 선불로 받은거나 다름없음.
@arthurli9105
@arthurli9105 Жыл бұрын
​@@user-nf5gp8sd7b 절대 안돌아옴ㅋ
@user-kt1fh1fx5u
@user-kt1fh1fx5u Жыл бұрын
그쵸 20년 공실로 나둬도 이익임
@user-green90
@user-green90 Жыл бұрын
정답이네요
@user-lou472
@user-lou472 Жыл бұрын
이태원도 많이 벌었으니 코로나및할로윈등으로 번 돈으로
@user-rd8fu3rt8m
@user-rd8fu3rt8m Жыл бұрын
한번무너지면 다시 원래되로 못돌아가요
@Marta-xc5fl
@Marta-xc5fl 9 ай бұрын
공실세내라 도시경관 해치는 공실은 없애는게 맞다. 건물주만 배불리는 정책 폐지하라
@jaepark6169
@jaepark6169 2 ай бұрын
❤온라인 구입,배달앺 주문으로 영세자영업자들이 계속 영업을 할 수 있는 월세액은 월 150만원 내외가 적당하다❤대형업체라도 인건비를 고려하면 월300만원 내외가 적당하다❤점포하나 갖고 팔자 고치던 시대는 지났다❤초고층 아파트들도 30-50년후에는 어떻게 할 것이냐?❤
@user-ch3pi8vs4e
@user-ch3pi8vs4e Жыл бұрын
영원히 임대가 나가질 않아서 건물가격이 폭망했으면 하는바램 입니다 ~~건물주들 욕심이 너무 과해요
@cashewnut1951
@cashewnut1951 Жыл бұрын
비워두는게 이득이니 한 100년 정도 공실로 있는거도 괜찮아 보이네요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Жыл бұрын
그 전에 중국인들이 들어올듯
@user-uz2no2el6f
@user-uz2no2el6f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중국애들 들어오고 치안 개판될듯
@hispe7
@hispe7 Жыл бұрын
@@user-ii4el7cc1z 중국인들은 투자가치 보고 들어오는건데....왜 와요?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Жыл бұрын
@@hispe7 말이 투자가치기 이러면서 잠식합니다.
@user-od3xr9wx3r
@user-od3xr9wx3r Жыл бұрын
@@user-ii4el7cc1z 중국인이 그 건물을 사는게 아니라 임대를 할리는 없죠... 매수관점이면 가능
@user-mh2zm8ei7d
@user-mh2zm8ei7d Жыл бұрын
가로수길이 다시 잘되어야 할 필요가 있나요?? 길들 다른 곳에도 많은데.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새로운 x로수길 후보지 널리고 깔렸음.
@Pinetree4405
@Pinetree4405 Жыл бұрын
진짜 그렇죠. 그럴필요 없음.
@wendyyy7486
@wendyyy7486 Жыл бұрын
가로수길 안가면되지 ㅎㅎㅎ
@user-abcda
@user-abcda Жыл бұрын
다른길도 좋은길이 많습니다 장사 좀 잘된다면 월세를 × 나게 올려버리니 남는게 없습니다 죽써서 개준다는게 가장 잘맞는표현입니다 임대료 비싼곳은 절대들어가지 마세요 건물주들한테 등골빠집니다
@gosohebakiki
@gosohebakiki Жыл бұрын
ㅋㅋ ㄹㅇ 뭐하러 살려야하노
@user-zs9kz1hd6m
@user-zs9kz1hd6m Жыл бұрын
가로수길 영원히 비워놔서 공실명소로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mariogerardo1663
@mariogerardo1663 9 ай бұрын
왜? 넌 건물 없어서 배아팠어?
@sohnson439
@sohnson439 9 ай бұрын
​@@mariogerardo1663그 뜻이 아니잖아 ㅎㅎ 히스테리인가? 생각이 배배 꼬이셨네.
@mariogerardo1663
@mariogerardo1663 9 ай бұрын
@@sohnson439 니 엄마가 몸은 더 꼬던데
@supykun
@supykun 9 ай бұрын
⁠​⁠@@mariogerardo1663 여기 가로수길 임대인 한마리 계셨네
@mariogerardo1663
@mariogerardo1663 9 ай бұрын
@@supykun 가로수길 뿐이겠냐? ㅋㅋㅋ
@ChemLibrary
@ChemLibrary Жыл бұрын
그냥 비단 가로수길의 문제라기보단 한국 전체의 특징이라 생각해요. 홍대도 왜 젊은이들에게 떴나요 비싼 임대료 내던 곳에서 나온 아티스트들이 값싼 홍대로 몰리며 홍대가 탄생한 것 아니던가요. 그 홍대도 지금은 가로수길과 똑같이 비싸진 임대료로 정작 진짜 예술가 대부분은 다 떠났고, 그렇게 매번 돌고 도는 것 같아요
@mirimiz
@mirimiz Жыл бұрын
황금알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건 진짜 인간의 본성인가 보다. 균형이라는 것은 고려하지 않고 그저 욕심을 위해 내달리며 그 과정에 있는 모든 건 망가뜨리고 만다.
@ej7314
@ej7314 Жыл бұрын
결국은 자기살 깍아먹기!
@light-light
@light-light Жыл бұрын
좌파 특이지 ㅋ
@chocookieland
@chocookieland Жыл бұрын
@@light-light 밑도 끝도 없이 네탓이나 하는 도그피그 ㅅㄲㅉㅉㅉㅉ
@PETBOY
@PETBOY Жыл бұрын
ㄴㄴ 한국만 그런거임, 유럽에서 그렇게 못함, 건물조차 마음대로 못지음 지차체에서 도시자체를 관리함
@hong3840
@hong3840 Жыл бұрын
한국만 이래요 한국만.. 한국은 사람이 사는 나라가 아니고 자본과 거대기업 이익집단만 사는 나라고 정부가 중심잡고 제대로된 시장경제와 선순환경제를 위한 역할을 해야하는데 그게 전혀 안되요 잠깐 거대자본들이 이익 취하고 장기적으로는 다같이 망하는 구조죠..
@irontail6033
@irontail6033 Жыл бұрын
청년,자영업자들이 특색있는 거리 만듬 -> 투기꾼,업자들,대기업 끼어듬 -> 멸망 -> 다른곳에 청년,자영업자들이 특색있는 거리 만듬 -> 투기꾼,업자들,대기업 끼어듬 -> 멸망 -> 또 다른곳에 청년,자영업자들이 특색있는 거리 만듬 -> 멸망
@user-ye8xy7vf5k
@user-ye8xy7vf5k Жыл бұрын
무한 반복이죠
@user-nz9dt1pr1n
@user-nz9dt1pr1n Жыл бұрын
그곳의 임대업자가 문제지 대기업이 문제는 아님 대기업 밖에 그 임대료 못 맞쳐준다가 문제의 시작임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거리는 얼마든지 만드니 비싸면 새로 만들면 될 것
@user-nz9dt1pr1n
@user-nz9dt1pr1n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해결방법 간단함 일본에서 빈집세 매기듯이 공실 나면 공실세라고 매년 공시지가 10%씩 매기면 된다 뭔 저런것들한테 혜택을 줘 공실 나면 자신들이 손해다라는 부분을 알려주고 상권 붕괴에 대한 사회 비용을 청구하는 방법으로 유도하면 될 문제
@user-ww9xb6eq9f
@user-ww9xb6eq9f Жыл бұрын
예산시장 도 똑같이 될듯
@user-fr3kq2wn1e
@user-fr3kq2wn1e 10 ай бұрын
시장원리를 그렇게 좋아했으면서 내리는 건 시장원리대로 안함 ㅋㅋ
@5분순삭한국사
@5분순삭한국사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관광 산업이 발전을 못하는 이유 . 1. 사람들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지던 곳이 순간 핫플레이스로 급부상 2. SNS에 줄기차게 오르내리기 시작하며 여러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음 3. 뭐가 반짝 떠오른다 싶으면 이때다 싶은 대기업들 프렌차이즈가 진입 시도 4. 갑자기 임대료가 높아지며 기존 상권의 상인들이 하나 둘씩 이탈하기 시작 5. 가성비 좋고 맛도 있던 음식점들이 사라지고 프랜차이즈 음식점만 우르르르 6. 가성비 좋고 싸고 이쁘게 구입할 수 있던 보세가 사라지고 프랜차이즈 쇼핑몰이 우르르르르 7.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것이 점점 비싸지고 가격이 오르면서 점점 부담스러워짐 8. 결국 기존에 있던 상인들 대부분이 gg를 치고 상권에서 빠지자 점점 나락 9. 더 이상 사람들이 찾지 않으면서 활기를 잃은 거리의 모습 때문에 상권은 몰락 10. 1번부터 무한반복
@user-eo7sk4qo8n
@user-eo7sk4qo8n Жыл бұрын
춥지 덥지 주차 구리지 갈 이유가 없 대형 쇼핑몰이 너무 잘되어있음
@dayflydayfly1907
@dayflydayfly1907 Жыл бұрын
로드샵은 弘大가 最高라...lol
@user-zg2oi4iy4g
@user-zg2oi4iy4g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대형쇼핑몰이랑 유형이달라서 찾는 고객도 다르고 비교하기가 좀 애매하죠. 그냥 상권의 흥망성쇠를 보는 과정이 아닐까 싶네요.. 인간의 탐욕이 부른
@bill_blackhands
@bill_blackhands Жыл бұрын
대기업이 들어와서 망한게 아니라 대기업밖에 못 들어올만큼 임대료를 올린 건물주들의 탐욕때문임. 점점 대기업 프랜차이즈로 바뀌면서 특색 잃기 시작하면 그 상권 끝물임.
@youngjinno695
@youngjinno695 Жыл бұрын
임대료가 말도안되게 오른걸 이기고 들어가는 대기업이 원인제공을 한것임...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소비층감소로 기업들도 고용투자 못하고 규모의경제가 안되서 물가는상승. 20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kingthe1316
@kingthe1316 Жыл бұрын
대기업 들어온다니깐 임대료가 인상이 되는거죠 근본을 알아야지 대기업이라고 높은 임대료 줄까?사람은 다 똑같어 더 받고 싶고 덜내고 싶고 그건 대기업도 똑같은거여 멍청한 소리좀 하지마 몬 원인제공이여 예를 들어줄까? 지금 예산시장 모텔비가 2배가 넘어서 백종원님이 욕심 부리지 말라고 하지 그게 몬소리겠냐 사람 많아지니 모텔 주인들이 돈 더 받고 싶은거겟지 그걸 백종원님 잘못이라고 하는거랑 똑같은 거여 멍청한 놈아
@highfive2580
@highfive2580 Жыл бұрын
그게 그 소리임. 대기업이 건물주 물욕을 건드려서 망테크 타는것. 혼자 미쳐서 임대료 올리는게 아님.
@Moonjein
@Moonjein Жыл бұрын
수요 공급이지
@user-wd2kz5uy4o
@user-wd2kz5uy4o 9 ай бұрын
요즘 누가 가로수길 가요.. 다 성수 을지로 가지 가로수길 정말 노잼 상권된지 오래에요
@user-wc5xb6qr2m
@user-wc5xb6qr2m Жыл бұрын
하루빨리 가로수길 건물주들 망하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user-ef5wb3us5f
@user-ef5wb3us5f Жыл бұрын
건물주 걱정을 왜 하나요?
@hwanjunu6789
@hwanjunu6789 Жыл бұрын
목숨 걱정
@charaznable8204
@charaznable8204 Жыл бұрын
걱정 아니고 관람중이에요 ㅎㅎ 팝콘 들고 ㅋㅋㅋ
@highfive2580
@highfive2580 Жыл бұрын
건물주 걱정하는 사람 없어요 ㅎㅎ
@dkdnddkri15
@dkdnddkri15 Жыл бұрын
누가요?꼬소한데
@user-yu4df3ev6z
@user-yu4df3ev6z Жыл бұрын
걱정하는게 아니라 관망하는거임
@user-xn6tu9zr1z
@user-xn6tu9zr1z Жыл бұрын
저곳은 앞으로 10년간 공실로 넘쳐야한다
@yooej1127
@yooej1127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가로수길 가봤는데 사실 왜 인기인지 몰랐어요. 개인개인이 운영하는 특색있는 가게가 아니라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브랜드들 뿐이었어서요. 가로수길이 망하는 과정을 보는 게 흥미진진하네요.
@jaychung9415
@jaychung9415 Жыл бұрын
영국의 공실세가 우라에게도 필요하겠네요. 건물주가 임대료를 지나치게 올리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장치이군요.
@lljljljlljll
@lljljljlljll Жыл бұрын
먹고 살만 하니까 안내리는거겠지 뭐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Жыл бұрын
네 기존 빌딩 대출내고 갈아타고 날리면 되니까요 공실이던 아니던 상관없음 대출 과정 방법 전부 고쳐야 합니다
@user-ej8yl8pu2h
@user-ej8yl8pu2h Жыл бұрын
망해라 졸부건물주들
@growlermaverick2589
@growlermaverick2589 Жыл бұрын
먹고 살만한 정도가 아니라 목에 힘주고 떵떵거리며 사는 수준일 거임..
@user-et9xc4eg9q
@user-et9xc4eg9q Жыл бұрын
ㅇㅇ 공실없고 사람들의.유입이.있어야지.건물가격도 유지된다 공실많고 사람없으면 끝!!
@user-ky7oz3me6g
@user-ky7oz3me6g Жыл бұрын
이미 수백억대 현금부자고 임대료를 낮추면 다른곳도 다 낮춰야함..
@View-Flower
@View-Flower Жыл бұрын
저런 임대인들 냅둬요. 대대손손 공실로 가기를.
@ssangfawpark149
@ssangfawpark14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문제점. 임대료가 상가를 죄다 죽인다. 온라인시대에 음식점이니 조금 살아있는데 임대료를 자꾸 올리니끼 서로 서로 망하는거야
@ShSong-oo3nj
@ShSong-oo3nj Жыл бұрын
이런 지역은 소비자가 외면해주어야 적정한 가격에 우수한 점포들이 공존할 수 있는건데. 가로수길 폭등소식 나오고나서부터는 아예 걸음을 끊어버렸다. 더 가지 말아야 한다.
@streetwalk3586
@streetwalk3586 Жыл бұрын
죽은 거리에 애플 매장만 남겠네
@user-ye8xy7vf5k
@user-ye8xy7vf5k Жыл бұрын
계약 끝나면 애플도 다른데로 가겠죠.. 상권 자체가 없어졌으니..
@user-cz3lx2yq1i
@user-cz3lx2yq1i Жыл бұрын
애플은 잘못선택했네ㅋㅋ
@LEEkyouho
@LEEkyouho Жыл бұрын
@@user-ye8xy7vf5k 2038년까지니까 걱정할 필요가 아니 고려할 필요가 있을까요? 과장 조금 섞어서 여의도 파크원 99년 임대계약 같은 느낌인데요😂😂
@LEEkyouho
@LEEkyouho Жыл бұрын
@@user-ye8xy7vf5k 굳이 걱정하자면 2038년쯤에 애플이 한국에서 더 잘나가면 아예 매입해버릴 수도 있는거고 애플이 한국에서 망하면 저렴하고 작은 외곽으로 빠지거나 철수하겠죠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소비층감소로 기업들도 고용투자 못하고 규모의경제가 안되서 물가는상승. 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JillyScope
@JillyScope Жыл бұрын
그 동안 얼마나 넉넉하게 받아뒀으면 비워두는게 이득이라고 할까… 유동인구 텅텅 비어서 아무도 안와서 시장 안돌기 몇해 되고, 못버틸 때쯤 되어야 후회하겠지…
@user-tl2bg1cf8u
@user-tl2bg1cf8u Жыл бұрын
진짜 개꿀이다.. 비워두는게 이득이라고 말할정도면 얼마나 해처먹은거지....
@user-mq5ne8ho3f
@user-mq5ne8ho3f Жыл бұрын
임대료 4배튀기로 5년치 먹음 20년치를 미리 땡겨받았다고 생각하면 됨
@andrew-hwang
@andrew-hwang Жыл бұрын
요즘 핫플이라는데 가면 다 똑같애서 사실 가는 의미가 없음 스벅, 준오헤어, 올리브영, 오렌즈, 백종원프렌차이즈, 인생네컷 등등 어딜가나 똑같애서 멀리 찾아가도 막상 할 수 있는게 동네번화가랑 크게 다르지 않은듯…
@Yunisgood
@Yunisgood Жыл бұрын
건물주들이 대한민국을 망하는 길로 몰고가네요.. 조물주라고 진짜 착각들이라도 하는건지..
@user-qn6je9dd5k
@user-qn6je9dd5k Жыл бұрын
소상공인들이 거리좀 살릴라치면 부동산에서 건물주한테 뽐뿌 들어감. 얼마 받아줄테니까 어쩌구 하면서 임대료 폭등 시키고 그 이후 젠트리피케이션 터지면 나몰라라 함 근처 기획부동산들도 싹 잡아 족쳐야 하고, 탐욕에 눈이 멀어 황금알을 낳는 거위배를 가른 건물주도 모조리 망해야 한다
@user-op6ir9gf7v
@user-op6ir9gf7v Жыл бұрын
부산 전포동카페거리도 마찬가지임 25만원점포세가 280만원으로 올려버리니 너도나도 건물주들이 미쳐가고 있음
@user-tf8nv1dn9t
@user-tf8nv1dn9t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 같음 부동산 요것들이 가장 문제임 권리랑 월세가 올라야 본인들도 수수로 더 받으니 월세 올리는데 한몫함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소비층감소로 기업들도 고용투자 못하고 규모의경제가 안되서 물가는상승. 20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mwl5587
@mwl5587 9 ай бұрын
상가 들이 있어서 사람들이 가로수길 가는건데 건물주들 바로 앞만 보는구나!!
@user-to4hg7tq1b
@user-to4hg7tq1b 9 ай бұрын
장기간 공실되면 보는 구경꾼 입장에서는 깨소금이라고 박수칠 일인대 가로수길 건물주 정도면 보통 기본 2채 이상 가지고 있는 부자가 많아서 건물주들은 티끌만큼도 타격 없을껄... 그래서 공실세를 부과해야됨
@tk-so3sg
@tk-so3sg Жыл бұрын
예전 그늘진 미술용품 , 액자 팔던 거리에서 화려하게 변신했는데 결국 욕심에 무너진거죠. 가로수길은 압구정 로데오가 욕심 부리면서 가로수길로 옮겨 뜬건데 ,똑같이 반복되는거죠,, 자영업자들만 불쌍한겁니다
@user-ut6fn3tk2p
@user-ut6fn3tk2p Жыл бұрын
공실 책임은 건물주에게 있다. 세금으로 지원해줄 생각하지마라!!!!!!!!!
@alsk33
@alsk33 9 ай бұрын
기본적으로 선진국애선 국가가 개입해서 월세를 물가 상승률 이상으로 못 올리게끔 법으로 막고 있다.
@user-ic7ws8gi7h
@user-ic7ws8gi7h Жыл бұрын
누가 요즘 가로수길 가나요. 가로수길 망한지 오랜데
@user-vs6kz1uc1y
@user-vs6kz1uc1y Жыл бұрын
영원히 임대 안 되길 기도합니다.
@user-si6ef6ek9i
@user-si6ef6ek9i Жыл бұрын
자연의법칙이고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는 과정임. 1-2년 일시적인 임대가 아니라 10년 이상 공실이 이어지는 건물이라면 가치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그 가격은 시장에 반영될 수 밖에 없음 .
@zodie8371
@zodie8371 Жыл бұрын
참 15년전 개성많던 아는사람만 가던 가로수길이 그립네요
@user-cj9bs8jx4d
@user-cj9bs8jx4d 8 ай бұрын
작금에는 개나 소;;;;;
@user-lf7vk6jd8p
@user-lf7vk6jd8p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빠진게 있는데, 바로 사람들의 인식이라는거다. 저렇게 개판인 상태로 1-2년 가다보면 사람들의 머리속에 “가로수길 망했네?ㅋ”라는 생각이 들어가고, 그거 바꾸는 건 쉽지 않을거다.
@goodwood5941
@goodwood5941 Жыл бұрын
ㅇㅈ 한번 빠진 소비자 돌리는건 매우 어려움 지방의 케이스 보면 답나옴 상권 이동 한번 일어나면 잡을 수가 없음
@AlessandroBerluti-zs2he
@AlessandroBerluti-zs2he Жыл бұрын
이미저는 가로수길 지나갈때마다 망했다고 생각중
@user-jx3eu6uo1g
@user-jx3eu6uo1g Жыл бұрын
ㄹㅇ 망하고 슬럼 느낌 드는 순간 그곳은 절대 안감.
@summeryu3049
@summeryu3049 Жыл бұрын
가로수길 갈까 라고 누가 물으면 가로수길 이제 별 거 없어 라고 대답함
@swl7997
@swl7997 Жыл бұрын
그나마 20대는 야 가로수길 망했다 하지 10대 애들은 아예 가로수길이 원래부터 망한동네였는줄 알던데요 ㅋㅋ 걔네가 소비자로서 활동할 나이가 된 시점에서 이미 가로수길은 죄다 공실이었으니
@user-mj7rw4bz2p
@user-mj7rw4bz2p Жыл бұрын
한달임대료가 1억이면 대기업만 들어설수있겠네요...대기업도 발뺄정도니 ...엄청나네요
@liberty2308
@liberty2308 Жыл бұрын
대기업이 많은 거리를 갈 필요가 없어요… 집 주변에도 대기업 널렸는데… 거기에만 있는 식당이 있고, 거기에만 있는 매장이 있어야 가지… 그래도 충분히 견딜 자금력 있으심 분들이니 끝까지 버티셔서 건승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injoylife222
@injoylife22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공실이 많은데 부동상 가격이 오른다고? 경제가 살아나야 오로지
@user-rb3lg9ek8o
@user-rb3lg9ek8o Жыл бұрын
그냥 놔누면 알아서 정리됨~~ 하지만.. 정리될때쯤 상권은 반드시 무너짐~~
@user-ye8xy7vf5k
@user-ye8xy7vf5k Жыл бұрын
빨리 폐망 해야됨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ㅋㅋㅋ이제 가로수길 메인거리 볼것도 없드만ㅋㅋㅋㅋ롯데월드몰이나 코엑스몰이나 갈게요~!
@zenobam9
@zenobam9 Жыл бұрын
여긴 살인적인 임대료때문에.... 원상복구대환영....여기 90년대초까지는 거리가 개미한마리 없던곳인데 어느날부터 사람들 바글바글하게 변했는데 다시 예전모습 되찾는다니 너무 좋네요.감사합니다.
@deepwishkim5678
@deepwishkim5678 Жыл бұрын
우리는 그저 가로수길을 까마득히 잊어주면 된다. 뻐속깊이 학습되려면 5년 정도는 최소한 필요할 것이다. 머지않아 건물주가 자랑스럽지 못할 것이다.
@user-dr3nd8to1n
@user-dr3nd8to1n Жыл бұрын
훈훈한 소식이네요. 진정한 공터를 보여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user-du3bv8tx7r
@user-du3bv8tx7r Жыл бұрын
기존 상권으로 특색있는거리로 소문남 - 임대료가 올라 다 빠짐 - 그자리에 대기업상권이형성됨 - 기존특색이 없어져 사람들이 다른곳을 찾음 - 끝내 찾는사람이 줄어 대기업도 빠짐
@carrotpig1977
@carrotpig1977 Жыл бұрын
갈수록 저곳을 가는 젊은 층이 급격히 줄어들 예정이니 상권은 죽고 공실은 더 늘어날 듯 하군요.
@user-vx5dc8mm2s
@user-vx5dc8mm2s 10 ай бұрын
공실을 걱정해주는 착한 나라
@msdigital7065
@msdigital7065 Жыл бұрын
뭔 협의회 같은데서 입맞추고 임대료 담합했을 것. 조사해봐라. 공정위
@user-hp5yt5mg8z
@user-hp5yt5mg8z Жыл бұрын
가격내려도 거기서 장사하지마세요 망해야 정신차리지 돈벌어서 건물주 다주려고 장사하시나요
@leesun9315
@leesun9315 Жыл бұрын
ㅎㅎ 저 사람들 공실이건 입주건 크게 영향 안받아요.무슨 갭투자 인줄아시내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Жыл бұрын
마약 성매매 아니면 gg
@JP-su8ls
@JP-su8ls Жыл бұрын
@@leesun9315 응 임차인들 안들어오는곳이면 상권 망한거고 건물 팔릴일 없어~ ㅋㅋㅋ호가? 부르고싶은대로 불러~ 실거래 찍힐라면 200년은 기다려야할걸? ㅋㅋ임차인들 없으면 건물껍데기 밖에 안가지고있는 주제에 뭐 할수있는거라곤 임차인구해서 월세 뜯어먹는거밖에 못함ㅋㅋㅋ
@user-ib2wk9oo4d
@user-ib2wk9oo4d Жыл бұрын
가로수길 인근 회사 다녔었는데 18년 애플 들어왔을때에도 임대 공실비율은 좀 있었음. 그때도 이미 임대료가 무지막지 하던시절이라. 그래서 가로수길 근방 음식점에 비해 압구정역 근방까지 가면 음식가격이 1~2000원은 줄어들어서 직원들끼리 식사하러 10분이상 걸어다니곤 했음.
@gustnwk1
@gustnwk1 Жыл бұрын
그때 다들 애플 안목이 이상하다며 다죽어가는 곳에 왜 짓냐는 반응들이었음 근데 지금 보면 애플스토어는 애초에 어디에 지어도 상관 없는 거였음 사람들이 알아서 찾아가니까.
@user-zs9kz1hd6m
@user-zs9kz1hd6m Жыл бұрын
@@gustnwk1 ㄹㅇ 애플스토어는 다 찾아갈수밖에 없음
@user-sf2yu2kv6h
@user-sf2yu2kv6h Жыл бұрын
최저임금이 많이 올라서 가게가 망하는게 아니라 임대료가 몇배씩 오르기 때문에 망하는거임.
@user-el3nb7gr2t
@user-el3nb7gr2t Жыл бұрын
욕심이 화를키웠네요. 상가 임대 안되면 건물가격도 하락하겠죠
@user-kb8iz3zd1p
@user-kb8iz3zd1p 4 ай бұрын
공실세 도입이 시급합니다
@user-kb8iz3zd1p
@user-kb8iz3zd1p 4 ай бұрын
좋은생각이네요 법추진안하려나?
@user-eu2pe2gq8c
@user-eu2pe2gq8c Жыл бұрын
건물주 걱정은 할 필요가 없죠.. 자기들 욕심만 채우려고 저러는거지
@joontakeda2475
@joontakeda2475 Жыл бұрын
상권의 특색은 아주 중요합니다. 외국에 나가면 백화점이나 유명 브랜드점이아닌 조그마한 상점들이 늘어서있는길을 쭉~따라 걸어가다 맘에 드는 가계에도 들어가보고 3~4곳 들어가다보면 한군데에서 맘에 드는 물건이있으면 하나 사다보면 배가 고파져서 근처 조그만 식당에서 밥먹고 나와서 맘에 드는 카페에서 커피한잔하고...예전에 압구정동이나 신사동 뒷길에는 이런곳이 많았는데 얼마전에 가보았더니 예전의 분위기는 하나도 남아있지않더라고요.
@user-qx6pl9oy4u
@user-qx6pl9oy4u Жыл бұрын
자연스러운 현상이네요~~~
@user-lz6vl5oh6c
@user-lz6vl5oh6c Жыл бұрын
건물이올라가도 살호구가있나요 인구가사라지고있는데 건물주들이똑같은생각을하고있으니 멍청이 얼간이집합소같네요 10년후어떻게될까
@ComedianZorba
@ComedianZorba Жыл бұрын
서울시는 왜 가로수길에 용적률 인센티브까지 주냐? 법에 정해진 용적률을 가로수길 부자건물주들한테 선물처럼 덤으로 얹어주네.
@youyouo493
@youyouo49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임대료로 더렵혀진 길은 절대 못살리게 해야합니다. 건물주들 망해라.
@user-bg1xv2if7q
@user-bg1xv2if7q Жыл бұрын
참 심성이 고약한 인갈일세
@1130elizabeth
@1130elizabeth Жыл бұрын
올소
@Ss2_ss2
@Ss2_ss2 Жыл бұрын
@@user-bg1xv2if7q고약하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런 건물주는 소멸하는게 답임
@user-co3bg9pq7n
@user-co3bg9pq7n Жыл бұрын
@@Ss2_ss2 ?? 개인재산 손해 어차피 건물주가 감당할 몫임 ㅋㅋㅋㅋ
@goodwood5941
@goodwood5941 Жыл бұрын
@@Ss2_ss2 ㅇㅈ 건물주들이 더고약함 ㅅㅂ 악덕 건물주들이 90%다 우리 집안도 건물 많이 가진 부자 집안인데 건물주들은 쓰레기라는 생각 가지고 있다. 우리집 어머니는 가난한데 아버지랑 사이 안좋아서 근데 어머니 사업 할 때 권리금 3억 정도 못받고 인테리어 다해놓고 쫒겨나고 월세도 계속 올렸었음. 건물주는 할매인데 심성 고약한 년으로 유명함 내가 찾아가서 죽일려다가 참음 (천벌 받을년아 안죽은걸 다행으로 알어 나이 처먹고 시불련 손가락 하나 하나씩 뜯으면서 죽일려햇다) 두번째 건물주는 할배인데 일부러 관리 안하고 누수 다만들어서 지하는 이미 다잠겨놓고 (옥상에서 누수잇어서 전층 물 줄줄 새서 옥상 우리가 지붕 만듬) 일부러 파산내고 경매나와서 엄마가 삿음 이 할배도 성질 고약함 이게 현실임 그리고 사람들이 잘못알고 있는게 건물 가치는 오로지 월세로 결정되고 월세가 낮으면 건물값이 싼 줄 아는데 그 기준이 월세이고 이건 너무나 잘못된 지식임 건물주들의 허상의 거짓말일 뿐임 그 이유는 일반 감정평가사가 하는 감정평가액 ,행안부에서 하는 시가표준액 쉽게 말해 공시지가 . 이것을 결정하는 기준은 엄청 많고 종합적으로 여러가지로 판단하고 계산해서 나오는 것 이고 이 평가액 또한 단지 세금을 내기위한 하나의 기준의 평가액일 뿐이지 건물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님 오히려 높으면 세금만 많이냄 그 증거로 행안부 시가표준액 산정 기준 법령 올림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지방세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4조제2항, 같은 조 제3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과 선박, 항공기 및 그 밖의 과세대상에 대한 시가표준액을 조사 ㆍ산정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 등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행정규칙 지방세 시가표준액 조사·산정 기준 [시행 2023. 1. 1.] [행정안전부훈령 제271호, 2022. 12. 28., 일부개정] 지방세 시가표준액 조사·산정 기준 [시행 2023. 1. 1.] [행정안전부훈령 제271호, 2022. 12. 28., 일부개정] 행정안전부(부동산세제과), 044-205-3844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지방세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4조제2항, 같은 조 제3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과 선박, 항공기 및 그 밖의 과세대상에 대한 시가표준액을 조사 ㆍ산정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 등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시가표준액"이란 시가 그 자체는 아니지만 지방세 세목별 과세표준의 기준이 되는 물건의 적정가액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결정한 가액을 말한다. 2. "표준가격기준액"이란 「지방세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4조제1항제1호에서 정한 물건의 시가표준액 산정 기준이 되는 가액으로서 같은 호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이 산정ㆍ고시하는 금액을 말한다. 3.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이란 영 제4조제1항제1의2호에서 정한 물건의 시가표준액 산정 기준이 되는 가액으로서 같은 호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이 산정ㆍ고시하는 금액을 말한다. 4. "기준가격"이란 영 제4조제1항제2호부터 제11호 및 제136조제1항제3호에서 정한 물건의 시가표준액 산정 기준이 되는 가액으로서 행정안전부장관이 산정ㆍ고시한 가격을 말한다. 다만, 광업권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직접 조사하여 산정한 가격을 말한다. 5. "기타물건"이란 영 제4조제1항제2호부터 제9호까지 정한 과세대상을 말한다. 제3조(적용범위) 시가표준액의 조사ㆍ산정은 지방세법령에서 따로 정한 것 외에는 이 기준이 정하는 바에 따르고, 이 기준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시가표준액 조사ㆍ산정 업무요령에 따른다. 제4조(조사ㆍ산정원칙) ① 시가표준액은 건축물대장 등 객관적인 자료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이용현황에 따라 조사ㆍ산정하여야 한다. ② 시가표준액 조사ㆍ산정시 납세의무자가 갖는 주관적 가치나 특별한 용도에 사용할 것을 전제로 한 것은 고려하지 아니한다. 제2장 시가표준액 산정을 위한 조사ㆍ산정 절차 제1절 표준가격기준액의 조사ㆍ산정절차 제5조(조사 절차) 표준가격기준액을 조사ㆍ산정하는 기관은 표준가격기준액을 조사ㆍ산정할 때 다음 각 호의 절차를 따른다. 1. 조사의뢰 대상 분석 2. 거래 및 임대 가격자료의 수집 및 분석 3. 지역별 부동산 시장 동향 및 가격분석 4. 표준가격기준액 산정 5. 표준가격기준액안 가격균형성 검증 6. 표준가격기준액 조사ㆍ산정보고서의 작성 제6조(조사의뢰 대상 분석) 표준가격기준액을 조사ㆍ산정할 때에는 공부조사 및 현황조사를 통해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한 대상의 특성 자료를 분석한다. 1. 소재지, 지번, 명칭, 동호수 2. 구조, 용도, 건축연도, 면적 3. 위치 및 주변 환경 등 지역적 특성 4. 물건의 유형 및 형태 등 개별적 특성 5. 그 밖에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7조(거래 및 임대 가격자료의 수집 및 분석) 표준가격기준액을 조사ㆍ산정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한 가격 자료를 수집ㆍ분석한다. 1. 취득세 신고자료 및 실거래신고 2. 부동산 매물 가격 자료 3. 부동산 임대 가격 4. 그 밖에 인근지역의 가격 및 임대 자료 제8조(지역별 부동산 시장 동향 및 가격분석) 표준가격기준액을 조사ㆍ산정할 때에는 부동산시장 동향 및 가격분석을 통해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한 지역의 가격동향 및 가격 추세를 분석한다. 1. 조사 대상 소재지의 부동산 시장 특성 2. 조사 대상 유형의 부동산 가격 동향 3. 조사 대상 부동산 가격 추세 및 전망 4. 그 밖에 지역의 부동산 시장 동향 및 가격에 대한 종합의견 제9조(표준가격기준액 산정) 표준가격기준액을 산정할 때에는 실거래가격, 개별공시지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10조(표준가격기준액안 가격균형성 검증) ① 표준가격기준액을 산정한 경우 가격균형성에 대한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가격균형성 검증을 위해서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하여야 한다. 1. 표준가격기준액의 수준에 관한 사항 2. 전년도 표준가격기준액과의 균형유지에 관한 사항 3. 인근 표준가격기준액과의 균형유지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표준가격기준액의 적정성 검토를 위해 필요한 사항
@investorkorea
@investorkorea Жыл бұрын
저런곳에 들어오는 대기업은 돈벌라고 들어오는게 아니라 광고용 안테나샵이지 그냥 임대료가 광고료임 자영업자 입장에서보면 임대료만 높여놓는 개쓰레기들임 건물주는 그게 정석인양 주변은 비슷하게 따라가고 그러다 동반 잣되는것
@jbl3039
@jbl3039 Жыл бұрын
이게맞지. 애플이 미쳣다고 20년치 600억내고 저길 기어들어왔겠음?? 뭐 얼마나 저기서 팔린다고... 그냥 플래그십이라 광고비지
@greenlim1948
@greenlim1948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대기업간판만 줄줄이 늘어선 광고거리가 되어야 건물주들과 윈윈이 돼요 자영업자가 그 틈에 끼면 목숨 갈려 나가요
@goodwood5941
@goodwood5941 Жыл бұрын
팩폭
@user-bq3gr7zd9j
@user-bq3gr7zd9j Жыл бұрын
오늘 가로수길 갓다왓는데 진짜 빈곳많더라구요
@user-iw3lb4hq8r
@user-iw3lb4hq8r Жыл бұрын
12000원짜리 김치찌게 파는집 월세 1500만원이라길레 깜짝 놀랐음. 그래서 남는게 없다고 음식값올리는건 임대료와 인건비가 대부분
@user-green90
@user-green90 Жыл бұрын
계속 더 올려라. 아주 폐허가 되게. 임차인들은 더 싸고 좋은 곳에서 자리 잡아 승승장구하시길
@user-vj6ks9kw2k
@user-vj6ks9kw2k Жыл бұрын
건물 공실료를 월세반만끔 받아야 합니다 그레야 저욕심을 잠제우지
@yschi608
@yschi608 Жыл бұрын
상권은 원래 계속 이동하는거죠 다른 좋은지역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onginess-hb4py
@longiness-hb4py Жыл бұрын
대기업들이 저런 곳에 무지막지한 렌트를 내면서까지 들어가니까 건물주들은 계속 높은 월세 받고 싶은 마음만 커지고 상권은 특색을 잃는거다 특히 건물주들은 당장의 욕심에 눈이멀어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행위를 하고있는거고
@goodwood5941
@goodwood5941 Жыл бұрын
100%사실 너무나 명확해
@user-tb4dt3do1z
@user-tb4dt3do1z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매년 월세 올리던 건물주 같은 건물에 공실 몇달이나 됐는데 아무도 안 들어오길래 근방 부동산 한테 물어보니 월세가 비싸서 안 들어옴 업종도 제한 있음 월세 좀 내리지 왜 안 내리냐 하니까 건물 가치 떨어진다고 안 내린다고 함 부동산에서 이야기 하기를 그 돈 없어도 그 사람들 어차피 월세 보다 땅값 오르는게 더 많고 100억대 부자라 그 월세 없어도 잘 살고 자존심 때문에라도 안 내리는 거라고 함 ㅎ 참고로 거기서 5년 넘게 했는데 최초 내가 들어갔을때 45억 쯤 했다는데 5년 뒤 75억~80억 사이라고 했었음 ㅋㅋㅋ 참고로 강남이고 한때 그 소리 듣고 현타왔음 노동의 가치가 쓸모 없어지는 기분
@molra3250
@molra3250 Жыл бұрын
땅값도 내려주길 기도합니다 ㅋㅋ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Жыл бұрын
​@@molra3250 서울 요지 땅값 안 떨어 집니다. 바랠 것 바래요..
@user-ut6fn3tk2p
@user-ut6fn3tk2p Жыл бұрын
서울 요지에 폭탄한번 터지면 땅값 떨어짐
@youngjeashin3147
@youngjeashin3147 Жыл бұрын
imf보다 더 큰거 대기중
@JIyuziyu
@JIyuziyu Жыл бұрын
예? 그럼 건물주뿐만 아니라 서민들도 다 나락가자나옄ㅋㅋㅋ
@IT-ey2su
@IT-ey2su Жыл бұрын
상인들이 열심히 해서 상권 살려 놓으면 건물주는 빨때 꼽고 생각없이 월세만 올리니 누가 거길 들어가서 장사를 해요.
@Back_Owl
@Back_Owl Жыл бұрын
기업들이 만든 가치가 아니라, 여러 점포가 모여서 만든 가치일텐데, 결국 더 떨어지고 말것이다..
@user-xy2cg4ig9g
@user-xy2cg4ig9g Жыл бұрын
욕심이 끝이 없다 진짜 상생 하고 나눠 먹고 살아야지
@chaostar88
@chaostar88 Жыл бұрын
강남이 천민 자본주의의 끝을 보여준다. 아니 길도 좁은 가로수길이 뭐 볼게 있어... 저런 곳은 망해야 된다. 젊은애들이 갈수록 온라인 이용할텐데 이제 강남 따위가 비쌀 이유가 없지... 어느 분야든 생태계가 파괴되면 결국 다 죽는다는걸 모르는건가...
@user-sw9fs1qo3j
@user-sw9fs1qo3j Жыл бұрын
강남 평생 가본적도 없고 가볼일도 없으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세로수길 압구정가면 제일많은게20대30대다 ㅋㅋㅋㅋ단순 오프라인 쇼핑하러 오는줄아나..?ㅋㅋ 사진찍어서 인스타 올리고 술먹고 놀려고 오는대다… 그리고 길이 넓고 시원시원해서 이쁜게 장땡이면 지방가서 보면됨^^ 거기 모여있는 가게들과 사람들이 이쁘고 잘생긴거지 ㅋㅋ 천민은 강남에 한평땅살돈도 없는 사람이 천민아님? 신사동 건물주가 천밀일리가 없잖아…😂😂
@hwanjunu6789
@hwanjunu6789 Жыл бұрын
@@user-sw9fs1qo3j하... 잼민아 핸드폰 끄고 공부하라고 했잖니
@user-sw9fs1qo3j
@user-sw9fs1qo3j Жыл бұрын
@@hwanjunu6789 zzzz거지 하나 추가됬누 ㅋㅋㅋ 응 니들이 열폭해봐야 그냥 웃음만나와 ㅋㅋㅋㅋㅋ 건물은 무슨 강남도 아니고 서울에 자가도 하나없는 거지들이 신사동 건물이 어쩌구 저쩌구 평가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건물주들끼리 만나면 다들 걍 여유가 있고 어떻게 되던 말던 별신경도 안쓴다 ㅋㅋ 거지들끼리 모이면 뭐 ㅋㅋ세상 비난하고 우울한 얘기만하고 맨날 쌈박질이나 하겠지 ㅋㅋㅋㅋㅋㅋ 거지 인생 평생살어~~나는 좋은 부모님 만나서 강남 건물 증여받고 편하게 산다~~
@user-bu5uq3et1t
@user-bu5uq3et1t Жыл бұрын
​@@user-sw9fs1qo3j 신림에서 발견
@highfive2580
@highfive2580 Жыл бұрын
다른 지역은 안그런척, ㅎㅎ
@84tv79
@84tv79 Жыл бұрын
건물주들한테 영상 보내서 알려주길
@kalima3451
@kalima3451 Жыл бұрын
우리가 건물주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그냥 그렇게 한 10년 20년 공실 됐으면 좋겠어요.
@goodwood5941
@goodwood5941 Жыл бұрын
100년 공실 원해요 ㅎㅎ
@Train505
@Train505 9 ай бұрын
ㄴㄴ 거기에 노숙자랑 범죄자 살면 확정공실임 슬럼화 가주아!
@crt8609
@crt8609 Жыл бұрын
건물 하나로 평생을 놀고먹는건 이제 없어져야한다. 그 월세내고 노예로 살려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우습다
@user-kf5oo1fe8r
@user-kf5oo1fe8r Жыл бұрын
소비자들이 강남 상권 외면하고 버릴때가 되었습니다~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Жыл бұрын
공실 견딜수 있나보다 얼마나 돈이 많은거징 ㄷㄷ
@user-dx7fx9cj4e
@user-dx7fx9cj4e Жыл бұрын
윗대부터 물려받은것들은 이미 원리금이 없을 확률이 매우 높아 그런듯합니다. 신도시쪽에 저렇게 공실나면 완전 나가리죠ㅎ
@user-ky7oz3me6g
@user-ky7oz3me6g Жыл бұрын
이미 뽕다 뽑았고 몇백억대 현금을 어마하게 가지고 있죠 임대료 낮추느니 그냥 놀리는게 답입니다
@kind_piggy
@kind_piggy Жыл бұрын
종로 공실이 10년차인데도 임대료 안내려가고 버티는거 보면 현금 어마어마하게 쌓았을듯 하네요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Жыл бұрын
@@user-ky7oz3me6g 와 상상이 안가네요
@user-ky7oz3me6g
@user-ky7oz3me6g Жыл бұрын
@@kind_piggy 일단 워낙 단합이 심해서 임대료낮추면 바로 주변 상인 빌딩주들 떼거지로 몰려듬
@usersuseruser
@usersuseruser Жыл бұрын
툭히 서울은 대체할 수 있는 상권이 많아요. 특색이 있는 거리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우선이어야 했을듯.
@user-zy3jj5eu2o
@user-zy3jj5eu2o Жыл бұрын
죽써서 개준다는 말이있지.. 저딴 곳에서 장사해봤자 시간이 지날수록 거지되서 나오지..
@user-bu2ip2cc9l
@user-bu2ip2cc9l Жыл бұрын
원래 상권이라는게 저렇게 옮겨가는게 정상이죠. 종로에서 신촌 홍대 넘어간 이유도 같았죠
@user-nd8nw8ii3h
@user-nd8nw8ii3h Жыл бұрын
현재 홍대에서 문래동으로 넘어갔죠^^(매니아거리)
@samofei
@samofei Жыл бұрын
사실 정상은 아닙니다.
@is8384
@is8384 Жыл бұрын
@@samofei 정상입니다
@ddd-yu5nh
@ddd-yu5nh Жыл бұрын
@@samofei 돌고도는거예요 추팔하지말고 인정하세요
@samofei
@samofei Жыл бұрын
@@is8384 다른 선진국 상권 보고 오세요 ㅋ
@elodie95201
@elodie95201 Жыл бұрын
정확히 압구정 로데오 상권이 갔던 길을 따라가네요.; 압구정 로데오는 저렇게 되고 난 이후에 건물주들 다같이 합심해서 임대료 내리거나 동결해서 요새 다시 새로운 가게 마니 생기고 사람들 바글바글해져서 부활했던데.
@seoklee5458
@seoklee5458 9 ай бұрын
가로수길은 같은곳들 이름그대로 가로수로 전부 대체합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건물다 뿌쎠버리고 그린벨트로 묶으세요 ㅋㅋㅋㅋㅋ 그게제일 좋은방법임
@TheJiJumTo
@TheJiJumTo Жыл бұрын
공실나면 전에 받던 임대료에 비례해서 공실세 내면 해결되겠네요. 토지라는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세금은 필수죠. 저렇게 토지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처분하게 하던가 아니면 세금을 걷어서 새로운 지역 조성을 위한 비용을 마련해야 함.
@gggg-gx4bm
@gggg-gx4bm Жыл бұрын
기득권들 절대 안하죠 ㅋㅋ
@youngjeashin3147
@youngjeashin3147 Жыл бұрын
국개의원들이 건물주라 할리가 없죠 ㅎㅎ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소비층감소로 기업들도 고용투자 못하고 규모의경제가 안되서 물가는상승. 20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user-yp6qu5sv6k
@user-yp6qu5sv6k Жыл бұрын
그 논리라면 눈만높아서 공장취직 안하는 백수들도 백수세 내야하나요? 어차피 공실 장기화되면 시장논리에 따라 임대료, 건물값 내려갑니다. 이런 배아파리즘이 임대인을 죽이는게 아니라 결국엔 임차인을 죽이는겁니다.
@user-xi9cn6ym6u
@user-xi9cn6ym6u Жыл бұрын
와 이런생각을하네 공산주의자놈이네 면상 뻔함
@1225osy
@1225osy Жыл бұрын
요즘에는 인터넷에 후미진곳에도 사진 이쁘게 나오면 핫플이 되는 곳인데 저런 임대료 비싼 거리는 계속 사라지게 될 수 밖에
@HEATH_EDU
@HEATH_EDU Жыл бұрын
예전 가로수길이 그립네요
@TAB022O
@TAB022O Жыл бұрын
스타필드가라 진짜 주차까지 최고여
@user-Best_of_me
@user-Best_of_me Жыл бұрын
월드타워도 추천 음식점들 뷰까지좋음
@charaznable8204
@charaznable8204 Жыл бұрын
스타필드 인정 ㅎㅎ
@wsk9787
@wsk9787 Жыл бұрын
스타필드 너무복잡 특히 식당은 밥먹기조차 힘듬
@locomotif
@locomotif Жыл бұрын
스타필드 노감성이라 별로…
@TAB022O
@TAB022O Жыл бұрын
@@wsk9787 하남 말고 좀 밑에를 가세요
@nessenty
@nessenty Жыл бұрын
그냥 다 공실났으면 좋겠네요 싹다 나가고 애플스토어도 그냥 거기서 빠져나오면 가로수길 한방에 나락 갈수있는데 ^^| 주차도 힘든 동네 뭐 볼거있다고 비싼지 ㅉㅉ
@user-om8td7id6g
@user-om8td7id6g Жыл бұрын
진짜 횡포다...
@tytekfl4265
@tytekfl4265 Жыл бұрын
자꾸 시에서 도와줄 생각하지말고 저런건 알아서 망하게 내비둬야함 그래야지 월세를 정도껏 올리지
@user-onlyssip
@user-onlyssip Жыл бұрын
뭐든 안사주면 가격은 내릴수밖에없다
@iam_yek
@iam_yek Жыл бұрын
땅집고 요즘 상권분석 시리즈 너무 알차네요. 알림신청해놓고 잘보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ddangzipgo
@ddangzipgo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pj6jh4gm3q
@user-pj6jh4gm3q Жыл бұрын
국가에서 나서서 철퇴를 놓아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jocodr670
@jocodr670 Жыл бұрын
월세 안내리고.. 비워두는 게 건물 시세 유지하고 건물주들 한텐 그게 이득이라면.. 평생 비워두라 그러세요 부동산등 경제가 한번 또 고통스러운 과정을 깊게 거쳐야 차츰 정상으로 회복 될 듯함.
@IiIiiIiIiI-fc3mf
@IiIiiIiIiI-fc3mf Жыл бұрын
언제적 가로수길이여
@Bkrtyfgptbzx
@Bkrtyfgptbzx Жыл бұрын
세로수길도 사람 없습니다.,. 평일 가보시면 텅텅 비어있구요. 밤 10시면 되어도 유령도시 같아요. 건물주들이 거위배를 너무 빨리 갈라버렸다는 말씀이 맞아요ㅣ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소비층감소로 기업들도 고용투자 못하고 규모의경제가 안되서 물가는상승. 20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VS-zp8up
@VS-zp8up Жыл бұрын
강남빌딩주들의 횡포로 또 하나의 새로운 신상권이 10년도 못 가서 무너지는구나 ... 서글프다 ~~~ 로대오거리도 저러다가 무너졌고 신촌도 그렇고 이대도 저렇게 똑같이 무너졌지 ... 처참한 심정일뿐이다
@JONGHERN
@JONGHERN Жыл бұрын
욕심만 가득찬 건물주들, 너희들의 쪽박찬 피눈물을 보구싶구나…
@illillee
@illillee 9 ай бұрын
가로수길은 하루에가 망한 이후 특색 없어지고 구려졌죠. 화랑 있고 화방 있고 작은 매장들 작은 식당들이 있을때가 제일 멋졌죠.
@rainbowsky2603
@rainbowsky2603 Жыл бұрын
전에 가로수길 건물주 인터뷰 생각나네.. 아침에일어나 커피한잔하고 골프치러 갔다가 지인들 만나는게 하루일과... 세금떼고 월4천씩 번다는데... 놀기만하고 월4천... 진짜 임대료 너무비싸..절대 비싼덴 가지말아야하는데.. 돈벌어보려고 일단 들어가보자 하곤.. 장사 안되기 시작하면 월세 몇번에 그간 번거 다 날리는 구조..
@EulerNumber_e_2.7183
@EulerNumber_e_2.7183 9 ай бұрын
건물의 ‘소유주’라는 이유로 수많은 사람들의 피땀을 강탈해 가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거 아닌가? 임대료 자체가 합법화된 약탈 아닌가?
@dwj7114
@dwj711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어떤지역이든 상가는 미래가 없음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허세 인플레이션'에 고통 받는 2030, 지금 정신 차려야 합니다.
32:33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